KR100629418B1 -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418B1
KR100629418B1 KR1020060067308A KR20060067308A KR100629418B1 KR 100629418 B1 KR100629418 B1 KR 100629418B1 KR 1020060067308 A KR1020060067308 A KR 1020060067308A KR 20060067308 A KR20060067308 A KR 20060067308A KR 100629418 B1 KR100629418 B1 KR 1006294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witch
parking
fix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나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60067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4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42Devices or arrangements peculiar to garages, not covered elsewhere, e.g. securing devices, safety devices, monitoring and operating schemes; center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서 자동차가 주차할 때 뒷벽면 부딛치거나 제대로 파킹하지 않아 다른 차들이 주차하기 힘들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에 관한 것이며, 양측부에 고정플랜지(14)가 형성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며, 가이드홀(12)과 통하도록 상면에 개방구(13)가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부의 고정플랜지(14) 위로 일부가 개방된 롤러가이드홀(11)이 형성되며, 후단의 일부가 주차장의 벽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프레임(10); 원형의 가이드봉(21) 일부와 일체로 고정바(22)가 형성되고, 가이드봉(21)의 후단에 적은 직경의 스프링고정돌기(24)가 형성되어 스프링(25)의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바(22)에 고정홀(23)이 형성되고, 가이드봉(21)이 스프링(25)과 함께 레일프레임(10)의 가이드홀(1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지지체(20); ㄷ자형의 절곡부(31)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부(32)가 형성되어 고정바(22)에 볼트로 고정되고, 절곡부(31)의 하단인 하부판(33)에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롤러(34)는 레일프레임(10)의 롤러가이드홀(1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롤러브라켓(30); 양측단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고, 배면에 누름봉(48)이 형성되며, 누름봉(48)이 스위치박스(60)의 스위치홈(62)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한 보호판체(40); 보호판체(40)의 전면에 부착되도록 양측부에 고정플랜지(51)가 형성되고, 중앙이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고무판(50); 일측에 전원공급부(61)가 형성되고, 전원공급부(61)와 전선(63)으로 발광램프(64) 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61)와 발광램프(64)는 타측에 형성된 스위치홈(6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개폐되는 스위치박스(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주차장, 주차보호대, 레일프레임, 보호판체

Description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A protection apparatus of parking for houses}
도 1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레일프레임 11 : 롤러가이드홀
12 : 가이드홀 13 : 개방구
14 : 고정플랜지 20 : 가이드지지체
21 : 가이드봉 22 : 고정바
23 : 고정홀 24 : 스프링고정돌기
25 : 스프링 26 : 고정볼트
30 : 롤러브라켓 31 : 절곡부
32 : 고정부 33 : 하부판
34 : 롤러 40 : 보호판체
41 : 고정돌기 42 : 누름봉기초부
43 : 공간부 44 : 스프링
45 : 탄성봉 46 : 걸림턱
47 : 돌기 48 : 누름봉
50 : 탄성고무판 51 : 고정플랜지
60 : 스위치박스 61 : 전원공급부
62 : 스위치홈 63 : 전선
64 : 발광램프
본 발명은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서 자동차가 주차할 때 뒷벽면에 부딛치거나 제대로 파킹하지 않아 다른 차들이 주차하기 힘들게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동주택 단지내에 설치되는 지하주차장의 경우, 자동차가 주차할 때 전방벽이나 후방벽이 어느 정도 위치에 있는지 잘 인식이 안되어 주차장 벽체를 들이 박아 차체와 벽체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초보자의 경우 차량의 길이 인식이 잘 되지 않아 주차구획선 내에 주차하는 것이 힘이 들뿐만 아니라,
통상은 주차구획선 안에 자동차를 제대로 세울려면 자동차의 앞 범퍼가 벽체에 닿지 않고 벽체에 근접하게 위치하여야 하나, 운전자는 차량의 앞범퍼가 벽체에 닿을 것 같아 주차구획선 안으로 완전히 들어가지 않고 멈추는 경우가 많다. 이렇게 주차구획선 안에 제대로 세우지 않으면 그 후방에 그어진 주차구획선에 차를 세울때 튀어나온 차량으로 인하여 불편한 점이 많이 발생한다.
그리고 차량을 무리하게 앞으로 밀어넣으면 주차장 벽체에 차량이 부딪쳐 차량의 손상과 벽체의 손상을 동시에 가져오는 문제가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주차할 때 보통은 나갈때 편하기 위해 후방주차를 하게 되지만, 주차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주차구획선을 벗어날 뿐만 아니라, 벽과의 거리가 어느정도인지 인식하지 못하는 초보자는 여러번 섰다가 차량에서 내려 거리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차량을 적정위치까지 후진하지 않으면, 앞으로 튀어나온 차량의 전단이 지나가는 차량에 의해 부딪치거나, 옆차선에 주차하려는 차량에 불편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이 주차구획선 내에 제대로 주차하게 하고, 적절한 주차위치까지 차량이 왔는지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차에서 자신의 차량이 적절한 주차위치에 왔는지 쉽게 알 수 있게 하고, 양측의 주차구획선 부분에 레일프레임이 설치하여 차량이 돌출된 레일프레임에 의해 바람직한 주차를 가이드하게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측부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홀이 형성되며, 가이드홀과 통하도록 상면에 개방구가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부의 고정플랜지 위로 일부가 개방된 롤러가이드홀이 형성되며, 후단의 일부가 주차장의 벽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프레임; 원형의 가이드봉 일부와 일체로 고정바가 형성되고, 가이드봉의 후단에 적은 직경의 스프링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스프링의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바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가이드봉이 스프링과 함께 레일프레임의 가이드홀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지지체; ㄷ자형의 절곡부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부가 형성되어 고정바에 볼트로 고정되고, 절곡부의 하단인 하부판에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롤러는 레일프레임의 롤러가이드홀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롤러브라켓; 양측단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배면에 누름봉이 형성되며, 누름봉이 스위치박스의 스위치홈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한 보호판체; 보호판체의 전면에 부착되도록 양측부에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중앙이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고무판; 일측에 전원공급부가 형성되고, 전원공급부와 전선으로 발광램프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와 발광램 프는 타측에 형성된 스위치홈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개폐되는 스위치박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누름봉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누름봉기초부를 보호판체의 배면 중앙에 볼트로 고정하고, 누름봉기초부는 후단에 걸림턱이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며, 단부에 돌기가 형성된 탄성봉을 스프링에 의해 지지되도록 누름봉기초부의 공간부에 삽입시켜 탄성봉의 후단이 스위치홈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누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되지 않고,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어 주차장 벽면을 보호하고, 주차구획선을 벗어나 주차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서, 양측의 주차구획선에 레일프레임(10)을 고정설치하고, 레일프레임(10)에 형성된 가이드홀(12)을 따라 움직이는 가이드지지체(20)에 탄성고무판(50)이 부착된 보호판체(40)를 고정하며, 보호판체(40)의 배면에 누름봉(48)을 고정하여 스위치박스(60)의 스위치를 눌러 발광램프(64)를 발광시키게 하는 것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레일프레임(10)은 양측부에 고정플랜지(14)가 형성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며, 가이드홀(12)과 통하도록 상면에 개방구(13)가 슬릿형태로 형성된다.
레일프레임(10)의 양측부에 형성된 고정플랜지(14) 위로 일부가 개방된 롤러가이드홀(11)이 형성된다. 롤러가이드홀(11)의 일측은 후술할 롤러브라켓(30)의 하부판(33)이 삽입되어 전후 이동할 수 있게 개방구가 형성된다.
레일프레임(10)의 후단의 일부가 주차장의 벽체에 삽입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고정플랜지(14)가 볼트로 고정된다.
가이드지지체(20)는 원형의 가이드봉(21) 일부와 일체로 고정바(22)가 형성되고, 가이드봉(21)의 후단에 가이드봉(21)보다 적은 직경의 스프링고정돌기(24)가 형성되어 스프링(25)의 일단이 고정된다. 가이드봉(21)과 고정바(22)는 90도 각도를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고정바(22)는 가이드봉(21)이 스프링(25)과 함께 가이드홀(12)에 삽입된 상태에서 개방구(13)를 통해 레일프레임(10) 상부에 노출되어 레일프레임(10)을 따라 전후 이동한다.
고정바(22)에는 사각의 고정홀(23)이 형성되어 보호판체(40)의 고정돌기가 삽입되어 고정볼트(26)로 고정된다.
롤러브라켓(30)은 ㄷ자형의 절곡부(31)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부(32)가 형성되어 고정바(22)에 볼트로 고정되고, 절곡부(31)의 하단인 하부판(33)에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하부판(33)에는 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되고, 고정홀에 원형의 바퀴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된 롤러어셈블리가 고정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34)는 레일프레임(10)의 롤러가이드홀(11)에 삽입되어 전후 이동하고, 롤러(34)는 가이드지지체(20)가 쉽게 이동할 수 있게 도와준다.
보호판체(40)는 양측단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어 양쪽의 가이드지지체(20)에 고정되어 전후 이동가능하게 되고, 배면에 누름봉(48)이 형성되어 누름봉(48)에 의해 발광램프(64)의 전원이 들어오게 된다.
누름봉(48)이 보호판체(40)의 이동에 따라 스위치박스(60)의 스위치홈(62)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된다.
누름봉(48)은 내부에 공간부(43)가 형성된 누름봉기초부(42)를 보호판체(40)의 배면 중앙에 볼트로 고정하고, 누름봉기초부(42)는 후단에 걸림턱(46)이 내측을 향하여 형성된다.
단부에 돌기(47)가 형성되어 걸림턱(46)에 걸리게 한 탄성봉(45)을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도록 누름봉기초부(42)의 공간부(43)에 삽입시켜 누름봉기초부(42)를 보호판체(40)에 고정한다.
탄성봉(45)의 후단이 스위치홈(62)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누르게 되는데, 차량이 후진하면서 과다한 힘이 가해지면 스위치가 파손되므로, 이러한 힘을 탄성봉(45)이 흡수한다. 탄성봉(45)에 평소에는 스위치를 누르지만 과다한 힘이 가해지면 스프링(44)을 압축시키면서 누름봉기초부(42) 내부로 삽입되며 스위치의 파손을 막는다.
탄성고무판(50)은 보호판체(40)의 전면에 부착되도록 양측부에 고정플랜 지(51)가 형성되고, 중앙이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차량의 주차시 차량의 앞 뒤 범퍼는 이 탄성고무판(50)에 닿게 되므로 조금의 손상도 입지 않는다.
적절한 위치에 온것을 알리는 발광램프(64)를 동작시키는 스위치박스(60)는 일측에 전원공급부(61)가 형성되고, 전원공급부(61)와 전선(63)으로 발광램프(64)가 연결된다.
전원공급부(61)와 발광램프(64)는 스위치박스(60) 타측에 형성된 스위치홈(6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위치(미도시)의 눌림에 의해 전원이 개폐된다.
주차시 차량의 바퀴가 레일프레임(10)의 측부에 부딪치면 주차구획선을 벗어난다는 사실을 운전자가 쉽게 인식할 수 있어 편리하고, 천천히 후진하다가 발광램프에 불이 들어오면 바로 멈추어 주차를 완료할 수 있으므로 초보자도 쉽게 바른 위치에 주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이 돌출된 레일프레임에 의해 옆 주차구획선으로 넘어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여러 주차구획선을 걸쳐서 주차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후면주차나 전면 주차시 차량이 적절한 위치에 왔는지 발광램프에 의해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측부에 고정플랜지(14)가 형성되고,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원형의 가이드홀(12)이 형성되며, 가이드홀(12)과 통하도록 상면에 개방구(13)가 슬릿형태로 형성되고, 양측부의 고정플랜지(14) 위로 일부가 개방된 롤러가이드홀(11)이 형성되며, 후단의 일부가 주차장의 벽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프레임(10);
    원형의 가이드봉(21) 일부와 일체로 고정바(22)가 형성되고, 가이드봉(21)의 후단에 적은 직경의 스프링고정돌기(24)가 형성되어 스프링(25)의 일단이 고정되며, 고정바(22)에 고정홀(23)이 형성되고, 가이드봉(21)이 스프링(25)과 함께 레일프레임(10)의 가이드홀(12)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지지체(20);
    ㄷ자형의 절곡부(31)의 상단에 수직으로 고정부(32)가 형성되어 고정바(22)에 볼트로 고정되고, 절곡부(31)의 하단인 하부판(33)에 롤러(34)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롤러(34)는 레일프레임(10)의 롤러가이드홈(11)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롤러브라켓(30);
    양측단에 고정돌기(41)가 형성되고, 배면에 누름봉(48)이 형성되며, 누름봉(48)이 스위치박스(60)의 스위치홈(62)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동작시키게 한 보호판체(40);
    보호판체(40)의 전면에 부착되도록 양측부에 고정플랜지(51)가 형성되고, 중앙이 호형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탄성고무판(50);
    일측에 전원공급부(61)가 형성되고, 전원공급부(61)와 전선(63)으로 발광램 프(64)가 연결되며, 전원공급부(61)와 발광램프(64)는 타측에 형성된 스위치홈(62)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스위치의 눌림에 의해 개폐되는 스위치박스(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2. 제 1 항에 있어서, 누름봉(48)은 내부에 공간부(43)가 형성된 누름봉기초부(42)를 보호판체(40)의 배면 중앙에 볼트로 고정하고, 누름봉기초부(42)는 후단에 걸림턱(46)이 내측을 향하여 형성되며, 단부에 돌기(47)가 형성된 탄성봉(45)을 스프링(44)에 의해 지지되도록 누름봉기초부(42)의 공간부(43)에 삽입시켜 탄성봉(45)의 후단이 스위치홈(62)에 삽입되어 스위치를 누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KR1020060067308A 2006-07-19 2006-07-19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KR1006294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08A KR100629418B1 (ko) 2006-07-19 2006-07-19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308A KR100629418B1 (ko) 2006-07-19 2006-07-19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418B1 true KR100629418B1 (ko) 2006-09-28

Family

ID=3762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308A KR100629418B1 (ko) 2006-07-19 2006-07-19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4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14B1 (ko) 2006-11-07 2007-02-0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하는 주차확인 장치
CN112366587A (zh) * 2020-05-29 2021-02-12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齐齐哈尔供电公司 一体式供电线盒支撑修复装置及使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658A (ja) 1998-02-13 1999-08-24 Yasuo Nagatomo 自動車停止位置報知装置
KR100610311B1 (ko) 2006-05-17 2006-08-09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29658A (ja) 1998-02-13 1999-08-24 Yasuo Nagatomo 自動車停止位置報知装置
KR100610311B1 (ko) 2006-05-17 2006-08-09 (주)동남종합감리공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단지내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확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6714B1 (ko) 2006-11-07 2007-02-01 주식회사 행림종합 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하는 주차확인 장치
CN112366587A (zh) * 2020-05-29 2021-02-12 国网黑龙江省电力有限公司齐齐哈尔供电公司 一体式供电线盒支撑修复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970B1 (ko) 링크를 이용한 차량 도어 보호장치
KR100629418B1 (ko) 공동주택 지하 주차장의 주차보호대
US5564359A (en) Safety apparatus for a school bus
KR100610311B1 (ko) 공동주택 단지내의 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확인장치
KR101066408B1 (ko) 건축물의 지하 주차장 기둥 보호 구조
KR100676714B1 (ko) 공동주택의 주차장에 설치하는 주차확인 장치
KR100948411B1 (ko) 차량도난방지용 공동주택 벽체
JP2008162382A (ja) 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229792B1 (ko)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에 설치되는 주차안내장치
KR100854054B1 (ko) 자동차 도어의 파손 방지장치
KR101886446B1 (ko) 차량용 발판의 안전바 장치
KR100948422B1 (ko) 공동주택의 보안형 담 구조물
KR100597369B1 (ko) 차량용 후드 힌지장치
KR100790024B1 (ko) 자동차용 도어가드
KR101059286B1 (ko) 조명용 개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명장치
JP2006140040A (ja) スライドキーおよびドアスイッチ
KR100520360B1 (ko) 자동차용 후드힌지의 충격흡수장치
KR101261201B1 (ko) 자동차의 도어 충돌방지장치
KR20020022228A (ko) 자동차의 후드래치 구조
KR100534361B1 (ko) 차량의 필러 도어 개폐구조
KR0171327B1 (ko) 충격흡수 구조로된 차량용 도어스위치
KR101902501B1 (ko) 차량 도어 손상 방지 장치
KR200295801Y1 (ko) 대형 차량의 승객 보호용 안전장치
WO2016179643A1 (en) Finger protection assembly for a sliding door
KR20070030980A (ko) 자동차의 도어 측면충돌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