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783B1 -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783B1
KR100628783B1 KR1020050024473A KR20050024473A KR100628783B1 KR 100628783 B1 KR100628783 B1 KR 100628783B1 KR 1020050024473 A KR1020050024473 A KR 1020050024473A KR 20050024473 A KR20050024473 A KR 20050024473A KR 100628783 B1 KR100628783 B1 KR 10062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upled
elevating
scaffold
elevating scaff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2645A (ko
Inventor
정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244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783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 B60N3/06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ootrests with adjustment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승강발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 사이에서 승강발판을 규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승강발판 구동부(14)와,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승강발판을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발판 이송수단(16)과, 상기 승강발판을 차량에 바닥측 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한 승강발판 지지수단과, 도어가 닫히고 열리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10)와,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승강발판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승강발판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는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에 관한 것이다.
승강발판, 피니언, 랙기어, 가이드봉

Description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 이송방법{a boarding plate of a car, its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블럭도이다.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시개략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부분 발췌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부분 상세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승강발판의 사진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구동측 가이드봉 102 : 상부 엑스아암
104, 106, 112 : 봉취부구 108 : 중간 가이드봉
110 : 하부 엑스아암 120 : 승강발판
122 : 발판 가이드봉 123 :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
124 : 수직 이동프레임 126 :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
128 : 수평 이동프레임부 134 : 랙기어 136 : 모터
138 : 피니언
본 발명은 승합차 등 자동차의 출입구에 있어서 타고 내릴 때 디딛는 승강발판(side step), 그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식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용 승강발판은 승합차 등의 자동차의 좌우측 사이드의 도어 하단부에 장착되어 승하차시 이를 밟고 오르내릴 수 있게 하여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에는 승합차 등 차량 내부 바닥이 지상면으로부터 상당히 큰 단차를 갖는 경우 승강을 돕기 위한 승강발판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입구 하측의 차량 외부 측면에 고정 형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고정된 승강발판은 차체 높이를 그 두께 만큼 낮추는 문제를 갖게 된다. 차체가 낮으면 장애물 등에 바닥이 닫는 등의 단점이 있게 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구동장치에 의하여 승강발판을 이동가능하게 형성한 자동 이송식 승강발판 및 그 이송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주행시에는 발판이 차체 아래 부분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되고 차량을 정지한 후 오르내리는 경우에만 발판이 도어 하단부로 이동되게 한 이동식 승강발판을 제공함으로써 주행 중 승강 발판이 지면에 닿는 등 차체가 실질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엑스아암의 치수를 선택함에 의하여 승강발판의 이동궤적 예를 들면 승강발판의 상하 이동거리와 수평이동거리의 비 등을 원하는대로 형성할 수 있게 하여 각각의 승용차에 가장 적합한 이동궤적을 간단히 형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 및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 등 서로 교차하는 지지 프레임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승강발판에 걸리는 무거운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견딜 수 있으면서 동시에 승강발판의 수평 및 수직의 동시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획기적인 구조의 승강발판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승강발판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 사이에서 승강발판을 규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승강발판 구동부(14)와,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승강발판을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발판 이송수단 (16)과, 상기 승강발판을 차량에 바닥측 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한 승강발판 지지수단과, 도어가 닫히고 열리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10)와,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승강발판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승강발판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는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승강발판 이송수단은 차체에 고정 형성된 구동측 가이드봉(100)과,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4)는 각각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에 결합되고 타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6)는 각각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의 아래측에 설치된 중간 가이드봉(108)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엑스아암(102)과, 상기 상부 엑스아암의 일측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6)에 결합된 중간 가이드봉(108)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는 상기 중간 가이드 봉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봉취부구(106)에 각각 결합되고 타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12)는 각각 상기 승강발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발판과 함께 움직이는 발판 가이드봉(122)에 결합된 하부 엑스아암(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는 구동모터(136)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138)과, 상기 피니언(138)에 치합된 랙기어(134)와, 일측은 상기 랙기 어에 물려 결합되고 타 일측은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100)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4) 중 하나에 결합된 결합부재(1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이 차체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에 의해 수직 직선 운동을 하도록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124)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이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과 함께 상하 이동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의 내측으로 포개어져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을 따라 움직이게 형성된 수평 이동프레임부(128)가 상기 승강발판에 결합되어 형성된 이동식 승강발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은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에 포개어져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형성되되,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2)가 상기 절개부(130) 끝단에 걸림으로써 하중이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으로 전달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부(128)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여 다단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승강발판 이송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승강발판이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닫히면 이에 관한 정보가 감지센서부(10)에서 제어부(12)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발판이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이에 관한 정보가 감지센서부(10)에서 제어부(12)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측면측에 위치하는 도어 하단부의 상기 제 2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어가 열리고 차량에 오르내리는 경우에만 상기 승강발판이 도어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승강발판 이송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승강발판이 도어 하단부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와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게 형성된다. 즉, 도어를 닫고 주행 중에는 승강발판이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에 위치하게 되며, 도어를 열면 승강발판이 전기력에 의하여 구동되어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즉, 도어를 닫으면 도어 하단부에 위치하던 승강발판이 차량측으로 당겨지는 수평이동을 하면서 동시에 상측으로의 수직 이동을 하여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로 이동되게 됨으로써, 주행중의 승강발판의 높이가 충분히 높게 형성함으로써 승강발판 때문에 차체가 그만큼 실질적으로 낮아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도어를 열면 제 1 위치에 있던 승강발판이 그보다 아래쪽이고 차량 사이드 쪽에 위치하는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로 이송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센서 장치에 의하여 도어를 여닫는 것을 감지하여 도어의 개폐에 관한 정보에 따라 승강발판의 이동이 제어되게 한다. 도 1의 블럭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 센서부(10)를 포함한다. 감지 센서부에서는 개폐 상태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12)로 전달하고 제어부는 이를 전달 받아 승강발판 구동부(14)를 제어하여 승강발판의 움직임을 제어하게 된다. 승강발판 구동부는 구동모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피니언, 랙기어 등의 수단으로 구성된다. 승강발판 구동부에서 구동력을 전달받은 승강발판 이송수단(16)에 의하여 승강발판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정해진 경로를 통해 이동되게 된다. 한편, 승강발판이 지면에 떨어지지 아니하고 차체에 결합되어 지지되어 있기 위한 승강발판 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승강발판은 자체 중량 및 승하차시 이를 밟는 사람의 하중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러한 하중을 충분히 지탱할 수 있기 위한 지지수단이 필요하다.
도 2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승강발판을 효과 적으로 이송시키고 지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우선 승강발판 이송수단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있어서 두 개의 엑스아암에 의하여 승강발판의 수직 및 수평의 동시 이동을 매우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엑스아암(102)과 상부 엑스아암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부 엑스아암에 연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하부 엑스아암(110)이 설치된다. 상부 엑스아암 및 하부 엑스아암은 양측으로 두 개씩의 아암 단부를 갖게 됨은 물론이다. 이러한 아암 단부에는 각각 봉취부구가 결합되어 있어서 봉취부구에 의하여 가이드봉에 연결되어 있어서 각각의 엑스아암이 가이드봉을 따라 규칙적으로 펼쳐지거나 접혀지는 움직임을 수행하도록 형성된다.
우선 수직으로 설치되는 상부 엑스아암(102)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는 두 개의 봉취부구(104)는 각각 구동측 가이드봉(100)에 결합된다. 봉취부구는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이 관통되는 링 형상의 봉 취부 구조를 갖음으로써 봉을 따라 미끄러지면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동측 가이드봉(100)은 차체 바닥측에 대하여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취부부재(101)의 일측에 구동측 가이드봉(100)이 고정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상부 엑스아암(102)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는 두 개의 봉취부구(106)는 각각 중간 가이드봉(108)에 결합되어 중간 가이드 봉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이러한 구 성에 의하여 상부 엑스아암이 펼쳐지면 중간 가이드봉(108)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부 엑스아암이 접히면 중간 가이드봉이 상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엑스아암 일측의 봉취부구가 서로 가까와지면 엑스아암이 펼쳐지는 것으로 표현하고 엑스아암 일측의 봉취부구가 서로 멀어지면 엑스아암이 접히는 것으로 표현한다.
한편 상부 엑스아암의 하측 끝단에 결합되는 두 개의 봉 취부구(106)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하부 엑스아암(110)의 일측 끝단에 각각 결합된다. 따라서 상부 엑스아암이 펼쳐지거나 접히면 하부 엑스아암도 연동되어 펼쳐지거나 접히게 된다. 하부 엑스아암의 타측 끝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판 가이드봉(122)에 결합된다. 발판 가이드봉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발판 일측에 고정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발판 가이드봉이 이동되면 승강발판이 함께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두 개의 엑스아암 및 이에 결합되는 세 개의 가이드봉으로 형성된 구조에 의하여 상부 엑스아암에 연동되어 하부 엑스아암, 중간 가이드봉, 발판 가이드봉이 이동되게 된다. 즉,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엑스아암(102)이 펼쳐지면 이에 연동되어 중간 가이드봉(108)이 하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동시에 하부 엑스아암도 펼쳐지게 되면서 발판 가이드봉(122)은 하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차량 내측으로 수평이동된다. 즉, 발판 가이드봉이 수직으로 이동되는 동시 에 수평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엑스아암이 접히면 이에 연동되어 중간 가이드봉이 상측으로 이동되게 되고 동시에 하부 엑스아암도 접히면서 발판 가이드봉은 상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차량 사이드측으로 수평이동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발판 가이드봉에 고정되어 함께 이동되는 승강 발판은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 사이에서 수평 및 수직의 동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전기적 동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승강발판이 이동되도록 구동하는 수단은 다음과 같다. 구동측 가이드봉(100)에 결합된 봉취부구 중 하나는 도어가 열리거나 닫힘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측 가이드 봉을 따라 직선 운동을 하도록 구동되도록 제어된다. 이를 위해 도 1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36)에 의하여 회전하는 피니언(138)에 랙기어(134)가 치합되어 있다. 랙기어는 바람직하게는 도 7의 부분상세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내에 나선 이빨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부 엑스아암의 상측 끝단에 결합된 두 개의 봉취부구(104) 중 하나는 고정된다. 나머지 하나의 봉취부구에는 결합부재(135)가 결합된다. 결합부재의 일측은 랙기어(134)에 물려 결합되고 타 일측은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100)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4) 중 하나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랙기어의 기어 이가 움직이면 결합부재는 함께 움직이게 되며 따라서 봉취부구 중 하나가 함께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가 일측으로 회전하여 피니 언이 일측으로 회전하면 랙기어의 기어 이가 일방향으로 움직여서 결합부재(135)에 결합된 봉취부구가 구동측 가이드봉(100)을 따라 일측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며, 모터가 타 일측으로 회전하면 피니언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랙기어의 기어 이도 반대 방향으로 움직여서 결합부재(135)에 결합된 봉취부구가 구동측 가이드봉(100)을 따라 타 일측으로 직선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면 상부 엑스아암이 펼쳐지거나 접히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터의 회전은 도어가 열리거나 닫히는 것을 감지하는 센서의 정보를 수신한 제어부에 의하여 제어됨은 물론이다.
한편 승강발판은 자체의 무게도 상당하며 나아가 사람의 체중 등의 하중이 이에 실릴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승강발판에 걸리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하는 기계적 지지구조가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며, 이를 위해서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과 이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하는 수직 이동프레임(124) 및 수직 이동프레임에 결합된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과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수평 이동프레임부(128)의 구조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은 차체 프레임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30)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의 내측으로 포개어져 결합되어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하 이동되게 되는 수직 이동프레임(124)이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30)에 대응되는 수직 이동프레임의 측면에는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가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돌출된 형태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절개부의 끝단까지 이동되면 돌출부가 절개부의 끝단에 의하여 걸리게 된다.
이러한 원리에 의하여 도 4 또는 도 5와 같이 엑스아암이 펼쳐지게 되어 승강발판이 이동되어 차량의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에 오게 되면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의 돌출부(132)는 절개부(130) 끝단에 걸리게 되어 수직 이동프레임의 추가적인 하방 이동은 제한되며 나아가 돌출부와 절개부의 접촉을 통해 수직 이동프레임에 걸리는 하중이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으로 전달되게 되어 승강발판을 사람이 밟는 순간 승강발판에 걸리는 무거운 하중을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에서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은 취부부재(101)에 의하여 차량 바닥측의 차체 프레임 등에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무거운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수직 이동프레임(124)에는 도 2 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이 ㄱ자 형태로 직각 방향으로 꺾어져 결합되어 있다. 수직 이동프레임 하측 끝단에는 절곡된 지지부(125)가 형성되어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 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핀 (127)등을 통하여 수지 이동프레임과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의 결합을 보조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의 내측으로는 수평 이동프레임부(128)가 포개어져 결합되어 수평 이동프레임부는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다. 수평 이동프레임부(128)는 바람직하게는 두 개 이상의 채널(128-1, 128-2)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수평 이동 프레임이 수평 방향으로 비교적 긴 거리를 이동되야 하는 경우 복수의 채널을 형성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이동프레임은 외측 채널부(128-1)와 그 내측에 결합된 내측 채널부(128-2)의 이중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다중 구조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평 이동프레임부의 일 끝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발판에 고정되어 결합되어 있다. 승강발판에 걸리는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 수직 이동프레임,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 수평 이동프레임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3쌍의 지지구조가 예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네 개 이상의 지지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고 두 개만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센서에 의하여 도어의 개폐 상태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구동장치에 의하여 승강발판을 이동가능하게 형성하여 주행시에는 발판이 차체 아래 부분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게 되고 차량을 정지한 후 오르내리는 경우에만 발판이 도어 하단부로 이동되게 함으로써 주행 중 승강 발판이 지면에 닿는 등 차체가 실질적으로 낮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발명은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 및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 등 서로 교차하는 지지 프레임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승강발판에 걸리는 무거운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하고 견딜 수 있으면서 동시에 승강발판의 수평 및 수직의 동시 이동에 방해가 되지 않는 획기적인 구조의 승강발판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7)

  1.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에 있어서,
    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 사이에서 승강발판을 규칙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승강발판 구동부(14)와,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통해 상기 승강발판을 상기 제 1 위치와 상기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송시키기 위한 승강발판 이송수단(16)과,
    상기 승강발판을 차량에 바닥측 프레임에 지지하기 위한 승강발판 지지수단과,
    도어가 닫히고 열리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부(10)와,
    상기 감지센서부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토대로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승강발판이 상기 제 2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는 승강발판을 상기 제 1 위치로 이동시키고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12)를 포함하는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발판 이송수단(16)은
    차체에 고정 형성된 구동측 가이드봉(100)과,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4)는 각각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에 결합되고 타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6)는 각각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의 아래측에 설치된 중간 가이드봉(108)에 결합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상부 엑스아암(102)과,
    상기 상부 엑스아암의 일측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6)에 결합된 중간 가이드봉(108)과,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되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는 상기 중간 가이드 봉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봉취부구(106)에 각각 결합되고 타 일측의 한 쌍의 아암 단부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12)는 각각 상기 승강발판(120)에 고정되어 상기 승강발판과 함께 움직이는 발판 가이드봉(122)에 결합된 하부 엑스아암(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발판 구동부(14)는
    구동모터(136)와,
    상기 구동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피니언(138)과,
    상기 피니언(138)에 치합된 랙기어(134)와,
    일측은 상기 랙기어에 물려 결합되고 타 일측은 상기 구동측 가이드봉(100)에 결합된 한 쌍의 봉취부구(104) 중 하나에 결합된 결합부재(135)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4. 이동식 승강발판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이 차체에 고정되어 형성되며,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에 의해 수직 직선 운동을 하도록 가이드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이동프레임(124)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이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과 함께 상하 이동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126)의 내측으로 포개어져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에 의해 가이드되어 상기 수평 가이드 지지프레임을 따라 움직이게 형성된 수평 이동프레임부(128)가 상기 승강발판에 결합되어 형성된
    이동식 승강발판 지지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124)은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에 포개어져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123)을 따라 상하 이동되게 형성되되, 상기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절개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 이동프레임에는 상기 절개부를 관통하여 돌출되는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132)가 상기 절개부(130) 끝단에 걸림으로써 하중이 수직 가이드 지지프레임으로 전달되게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발판 지지구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이동프레임부(128)는 복수의 채널을 포함하여 다단식으로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승강발판 지지구조.
  7. 자동차용 승강발판 이송방법에 있어서,
    승강발판이 도어 하단부의 제 2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닫히면 이에 관한 정보가 감지센서부(10)에서 제어부(12)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발판이 상기 제 2 위치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상기 제 2 위치보다 높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차량 외부 바닥측의 제 1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 도어가 열리면 이에 관한 정보가 감지센서부(10)에서 제어부(12)로 전달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발판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수평 및 수직방향의 동시 이동을 통해 상기 제 1 위치보다 낮고 수평 방향으로는 차량 측면측에 위치하는 도어 하단부의 상기 제 2 위치로 이송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도어가 열리고 차량에 오르내리는 경우에만 상기 승강발판이 도어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자동차용 승강발판 이송방법.
KR1020050024473A 2005-03-24 2005-03-24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KR10062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473A KR100628783B1 (ko) 2005-03-24 2005-03-24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473A KR100628783B1 (ko) 2005-03-24 2005-03-24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645A KR20060102645A (ko) 2006-09-28
KR100628783B1 true KR100628783B1 (ko) 2006-09-29

Family

ID=37622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473A KR100628783B1 (ko) 2005-03-24 2005-03-24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7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669766B2 (en) * 2015-06-01 2017-06-06 T-Max (Hangzhou) Industrial Co., Ltd Vehicle and vehicle step apparatus
KR20180016071A (ko) * 2016-08-05 2018-02-14 김영식 채염 및 적재 기능을 갖는 염전용 전동카
KR20180076486A (ko) * 2016-12-28 2018-07-06 신상윤 차량용 도어 사이드 스텝 구동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09318814A (zh) * 2018-11-01 2019-02-12 安徽沃杰斯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牢固的汽车电动踏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060A (ja) 2003-01-17 2004-08-05 Asmo Co Ltd 車両用乗降補助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16060A (ja) 2003-01-17 2004-08-05 Asmo Co Ltd 車両用乗降補助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645A (ko) 2006-09-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20089A (en) Step lift for railway cars
US9017000B2 (en) Automatic parking structure
JP2017502891A (ja) 垂直昇降移動型作業プラットホーム
KR100628783B1 (ko) 자동 이송식 자동차용 승강발판, 그 지지구조 및 승강발판이송방법
JP5049682B2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KR100628786B1 (ko) 자동차용 승강발판 구동장치
JP6435187B2 (ja) ホーム柵
JP6700072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
JP6106013B2 (ja) 車両用乗降補助ステップ装置
JP6407585B2 (ja) エレベータ
CN215828285U (zh) 举升装置及agv
JP2017066809A (ja) 車両飛び込み防止装置とその運転方法
JP2016014296A (ja) 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の乗降デッキ装置、こ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式駐車場設備
JP6161383B2 (ja) 機械式駐車設備
JP4837488B2 (ja) 工事用エレベータの乗降用ステージ
KR102471610B1 (ko) 엘리베이터의 화물 운반 보조장치
JP2001019287A (ja) 可動式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4700661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3681594B2 (ja) 自走式エレベータ装置
JP2005289106A (ja) 車両用昇降装置
JP3824750B2 (ja) 駐車設備のゲート装置
JPH097743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
CN218055027U (zh) 无障碍乘车装置和无障碍车辆
JP3742830B2 (ja) 電車等の車椅子乗降補助装置
KR19980035838A (ko) 자동차용 승하차발판 자동승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