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39B1 -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39B1
KR100628539B1 KR1020050041192A KR20050041192A KR100628539B1 KR 100628539 B1 KR100628539 B1 KR 100628539B1 KR 1020050041192 A KR1020050041192 A KR 1020050041192A KR 20050041192 A KR20050041192 A KR 20050041192A KR 100628539 B1 KR100628539 B1 KR 1006285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pressure
yogurt
composition
hypertens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치훈
신현정
신현수
조영훈
강진옥
Original Assignee
남양유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유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유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11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2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only microorganisms of the genus lactobacteriaceae; Yoghur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2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A23C9/13Fermented milk preparations; Treatment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using additives
    • A23C9/137Thickening substan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압상승 억제 또는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높은 정상혈압 및 초기 고혈압 환자들에게 있어 혈관확장,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저해, 이뇨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를 가지는 성분과 저칼로리 성분을 복합처방한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요구르트, 혈압저하, 고혈압, 유산균

Description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Yogurt composition for the control of a blood pressure}
본 발명은 혈압상승 억제 또는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높은 정상혈압 또는 초기 고혈압 환자들이 음용이 간편한 요구르트를 통해 혈압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혈관확장,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저해, 이뇨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저칼로리 효능을 갖는 성분을 입체적으로 설계하여 복합처방한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압은 맥관 속을 흐르는 혈류의 압력 즉 동맥압을 말한다. 따라서, 고혈압이란 어떤 원인에 의해 혈관 내벽에 미치는 저항이 증가되어 최고혈압이 150~ 160mmHg이상, 최저혈압이 90mmHg 이상인 경우를 말하며 전자를 수축기성 고혈압, 후자를 확장기성 고혈압이라고 한다. 최고혈압과 최저혈압이 따로 오는 경우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동시에 존재하는 경우가 많다. 고혈압은 크게 일차성 고혈압과 이차성 고혈압으로 나뉘는데, 일차성 고혈압은 본태성 고혈압이라고도 하며 전체 고 혈압 환자의 90~95%를 차지한다. 이차성 고혈압은 속발성 고혈압이라고 하며 급성신염, 임신중독증, 갱년기 장애 등의 질병에 의한 증상으로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일차성(본태성) 고혈압은 원인이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인 소인이 강하고 비대한 사람에게 많이 나타난다. 그러나, 그렇지 않은 사람에게서도 나타나며 뚜렷한 원인을 밝힐 수 없는 상태로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혈압을 유발시킨다고 볼 수 있다.
고혈압은 국내 성인병 발병률 1위로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약 20%가 가지고 있는 질병으로 추정된다. 40~49세의 고혈압 환자의 경우 정상 혈압을 나타내는 사람에 비해 말초혈관 질환의 발생빈도가 2배, 관상동맥질환 3배, 심부전증 4배 그리고 뇌졸중(중풍)의 발생빈도가 7배가 높다. 발병하는 시기는 30대에서 나타나기도 하지만 갱년기 전후가 가장 많다. 연령별로 보면 30대 5%, 40대 10%, 50대 15%, 60대 20%, 70대 25%가 고혈압이 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고혈압 발생률이 높으며 여성보다 남성이 발생률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현재 고혈압 환자는 전세계적으로 6억명을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국내의 고혈압 환자는 700만명으로 추산되며, 연 6,000억원대의 고혈압 치료제 시장이 형성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매년 평균 15~20%의 고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약 40년전부터 고혈압에 대한 의학적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어 여러 가지 치료제가 많이 개발되었으나, 이의 적용에 있어서는 약물에 의한 부작용 등 투약에 따른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아직도 만족할 만한 고혈압 치료제는 없는 실정이다. 고혈압 치료시에는 약용기전이 서로 다른 2종 또는 3종류의 혈압 강하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약물에 의한 부작용뿐만 아나라 치료제에 내성이 생겨 충분한 효과를 지속적으로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항고혈압제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며 혈압을 강하시키는 메카니즘에 따라 여러 범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현존하는 항고혈압제를 크게 분류해 보면, 이뇨제, 베타차단제, 알파차단제, 칼슘채널 차단제, 혈관확장제,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저해제, 안지오텐신 길항제 등 7가지를 들 수 있다.
항고혈압제는 고혈압을 정상혈압으로 낮추어 조절해줌으로 여러 증세와 합병증을 예방하는 것이지 고혈압의 요인 자체를 없애주는 치료제는 아니다. 또한, 복용하는 약물에 따라 다르지만 성기능 장애, 위장관 장애, 혈관부종, 피로감, 호흡곤란, 두통, 우울증, 설사, 소화성 궤양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최근에는 약물치료에 의한 부작용을 막고 고혈압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하여 일반식품을 통한 식이요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소재의 효능에 대해 특허 및 학회논문 등으로 많이 발표되고 있다.
특히, 일본에서는 혈압조절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식품소재들이 사용되고 있으며, 기능이 우수한 소재의 경우 혈압조절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 허가를 받아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허가 받은 소재를 살펴보면 두충엽 유래 배당체, 카제인도데카 펩타이드, 정어리 유래 펩타이드, 가다랑어 유래 펩타이드, 발효유 유래 펩타이드 등이 있다. 이러한 소재의 대부분은 펩타이드로서 그 기작은 혈압을 상승시키는 안지오텐신Ⅱ를 생산하는 체내의 변환효소(ACE)를 저해함으로써 혈압상승을 막아 혈압을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 밖에 고혈압에 효능이 있는 약용식물로 는 갈근, 나문제, 엉겅퀴, 산사자, 상백피, 상엽, 인삼, 하고초, 황금, 결명자, 천마, 산죽, 잣잎, 황기 등의 생약재나 자생식물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식품 또는 약재들은 혈압조절을 위한 명확한 작용기전이 불분명하며,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저해, 이뇨작용, 혈관확장 등의 기능 중 1가지 정도만을 갖고 있다. 또한, 유효성분만을 추출한 약제가 아니며 유효성분의 일일 투여량을 확인할 수 없고, 그 효능도 투입되는 약초 및 제재가 재배되는 지역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부작용도 확인할 수 없는 등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원인이 다양한 고혈압 환자들이 사용하기에는 부적절하고 지속적인 혈압조절에 어려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풍미가 떨어져 장기간 섭취가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요구르트를 이용한 종래기술로는 한국특허 제378154호에 항암, 항산화, 콜레스테롤 저하, 혈압강하 및 항혈전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상기 발명은 버섯 균사체와 자실체, 느타리버섯 추출물, 탈지분유 및 정제수를 혼합하고 여기에 요구르트 균주를 접종, 발효시켜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혈관확장,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저해, 이뇨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가 있는 성분 및 저칼로리 성분을 일정비로 혼합하여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를 부가한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상기 요구르트 조성물은 고혈압 환자에게 정상적인 식생활로 영양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혈액내 지질대사 개선, 혈당 등의 정상화, 적절한 체중유지, 합병증의 지연 및 예방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장, 면역, 항암, 변비해소 등의 요구르트 본래의 효능에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저하 효과를 부가하여 음용이 간편한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물과 유산균 등을 대상으로 각각의 기능을 관찰하여, 혈압강하에 효과가 있는 성분을 입체적으로 설계하여 혈관확장 성분, 안지오텐신변환효소 저해 성분, 이뇨작용 성분, 콜레스테롤 저하 성분 및 저칼로리 성분을 함유하는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은 FK-23 유산균 0.01~0.08중량%, 미배아 추출물 0.01~0.05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Fiber sol-2) 3~6중량%, YQ2 0.01~0.3중량%, 저분자 알긴산칼륨 0.05~0.5%, 유청단백 가수분해 펩타이드 0.05~0.3%, 에리스리톨 2~6중량% 및 잔량의 요구르트 베이스를 포함하는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요구르트 조성물의 총유산균이 107~109cells/㎖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 성분의 하한 농도 미만인 경우 혈압 상승 억제 및 혈압저하 효과가 거의 없으며, 상한 농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증가량에 비하여 효과의 개선 정도가 미미해진다. 또한, 미배아추출물, YQ2, 유청단백 가수분해 펩타이드 등의 소재들은 과량 첨가시 요구르트의 풍미를 현격히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요구르트의 형태는 제한이 없으며, 마실 수 있는 액상 요구르트, 스푼으로 떠먹을 수 있는 고형 및 동결 요구르트, 발효유의 동결건조에 의해 제조된 분말형 요구르트 등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요구르트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감미료, 과즙, 향료, 비타민, 미네랄 등의 기능성 소재, 기타 식품 첨가물들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구르트 조성물의 각 성분을 기능에 따라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혈관확장을 통한 혈압저하 효과를 나타내는 성분으로는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인 FK-23 유산균과 쌀의 배아성분에서 추출한 미배아추출물이 있다.
상기 FK-23 유산균은 일반적인 유산균과는 달리 생균체에서 뿐만 아니라 사균체에서도 탁월한 혈압저하 효과를 나타내며, 균체 중에 있는 RNA와 DNA 물질이 그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미배아추출물에 포함된 감마 아미노낙산(이하, "GABA"와 혼용함)은 혈관수축작용 전달물질인 노르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억제하는 메카니즘에 의해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을 강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GABA가 고함량 함유되어 있는 미배아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현미에서 정미시 발생하는 미강을 정선하여 원료가 되는 미배아를 추출하여 탈지처리공정으로 풍미의 원인인 유리지방산을 제거하고 미배아 중의 글루타민산을 내재효소 활성에 의한 제법을 이용하여 GABA로 변환하여 함유량을 증가시키고, 농축, 살균, 분무건조를 통한 공정으로 제조된다. 감마 아미노낙산(GABA)은 동식물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일종으로서 뇌척수에 존재하는 억제계의 신경전달물질이다. GABA는 뇌의 혈류를 활발하게 하고 뇌에 산소공급량을 증가시킴으로서 뇌세포의 대사기능을 촉진하고, 두통, 기억장해, 의욕저하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작용이 있으며 연수의 혈관운동중추에 작용하여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 등이 인정되고 있는 물질이다. 그 외에 신장기능의 활성화, 간기능 개선, 알콜대사 촉진, 비만방지 작용 등의 효능도 있는 기능성 소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본 오리자사(Oryza사)의 "RGP-HC90"을 사용하였으나, 특별한 제한은 없다.
둘째, 안지오텐신Ⅱ를 저해하는 성분으로 유청단백 가수분해 펩타이드가 있다. 일반적으로 혈압상승은 혈액량의 감소와 함께 간에서 만들어져 혈액 중으로 안지오텐시노겐이 신장에서 분비되어 레닌이라는 분해효소의 작용에 의해 안지오텐신Ⅰ으로 변화하고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의 작용으로 안지오텐신Ⅱ가 되어 이 물 질이 혈관의 수축작용 등에 의해 강력한 혈압상승작용을 가져온다. 이러한 메카니즘 중 우유의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에서 얻은 펩타이드가 안지오텐신Ⅱ의 생성을 돕는 안지오텐신 변환효소(ACE)의 작용을 방해함으로서 혈압상승을 억제한다.
셋째, 이뇨작용을 통해 나트륨을 외부로 강제 방출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소재로 저분자 알긴산칼륨(ONC-129)이 있다. ONC-129는 분자량이 10~600KD의 자연적인 알기네이트(alginate)를 저분자화, 초여과, 나노여과 등의 첨단기술로 5~8KD 정도의 저분자량화한 소재이다. ONC-129는 마니톨(Manitol)과 유사한 삼투압 에이전트로서 사구체를 자유로이 통과하나, 신장 미세혈관에서는 재흡수되지 않고 배출된다. 이와 같은 작용에 의해 ONC-129는 미세혈관에서 혈류속도를 증가시키는 이뇨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미세혈관 말단에서 1가 양이온의 재흡수를 감소시키는 이온교환 작용에 의해 나트륨 이온의 배출을 촉진한다. 또한, 호르몬에 의해 생성된 알도스테론의 생성을 감소시켜 칼륨과 나트륨 이온의 균형을 유지시켜 배뇨를 촉진시킨다.
넷째, 혈중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에 특이적인 저하효과를 보이는 소재로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과 YQ2가 있다.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은 콜레스테롤의 체내 합성이나 흡수를 방해하고, 콜레스테롤로부터 합성되는 담즙산의 소장에서의 재흡수를 저해하여 혈장 및 간의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의 비율을 높혀서 심장, 순환기계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가 뛰어난 소재이다. 그 밖의 기능으로는 위장의 포만감을 부여하고 대장운동을 촉진시켜 변비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이며, 식사후 장에서 당성분이 흡수되는 것을 막아주어 혈당수치를 낮추는 기능이 있다.
또한, YQ2는 남미 사막에서 자생하는 용설란(Yucca)과 장미과식물(Quillaja)에서 추출, 고도 정제한 천연 복합물질로서 사포닌, 올리고당, 폴리페놀, 타닌 등의 천연생리활성물질을 다량 포함하고 있다. 특히 배당체 화합물인 사포닌은 화학구조상으로 콜레스테롤과 유사한 특성으로 인하여 체내콜레스테롤 합성 및 대사경로에 관여한다. 이러한 사포닌을 함유한 YQ2는 소장내에서 지방(콜레스테롤), 담즙산, 담즙과 결합한 지방복합물질과 직접 결합하여 지방의 흡수를 억제하여 체내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킨다. 또한, 지방흡수를 방해하고 지방변을 증가시켜 내장비만 방지 및 변비 예방에 효과가 크며, 담즙산의 산화를 방지한다. 또한 혈중 총 콜레스테롤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며, 특히 인체에 유해한 저밀도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에 특이적으로 혈중 지질 농도를 낮추는 반면 인체에 유익한 고밀도 콜레스테롤 농도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아 심혈관계 질환에 탁월한 예방 및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 그 뿐만 아니라 비피더스균과의 상호작용으로 장내 유익균의 증식, 유해균의 억제를 통해 장 기능 개선에도 효과적인 소재이다.
다섯째, 고혈압 환자의 식이요법시 칼로리를 조절하기 위한 성분으로는 당알코올인 에리스리톨이 있다. 저칼로리 소재인 당알코올은 당류의 카보닐기가 환원되면서 얻어지는 다가의 알코올로 자일리톨, 말티톨, 솔비톨, 에리스리톨 등이 대표적인 당알코올이다. 설탕에 비해 체내 분해율과 흡수율이 낮아 에너지화되는 정도가 낮으며 용해도가 낮아 상대적으로 체내 흡수가 매우 천천히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상기 나열한 당알코올 중 에리스리톨은 1g당 0.2kcal의 가장 작은 열량을 가 지며 설탕과 가장 유사한 맛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요구르트의 풍미 증진에도 매우 효과적이므로 본 발명의 요구르트 조성물에 사용하였다.
에리스리톨의 제조는 포도당을 기질로 해서 미생물 발효에 의해 만들어지며 내열성과 내산성이 우수하다. 또한, 당알코올이지만 분자량이 작기 때문에 동물이나 사람이 흡수했을 때 다른 당알코올류와는 다른 소화흡수 경로를 가지며 복용량의 80%이상이 생체 내에서 대사되지 않고 소변으로 배출되므로 저칼로리 식이조절용 음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요구르트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과 통상의 요구르트 제조방법에 따라서 4가지 종류의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 분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1 비교예 3
FK-23 유산균 0.01 - 0.01 0.08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Fiber sol-2) - 4.00 4.00 4.00
미배아추출물(RGP-HC90) - 0.02 0.02 0.08
유청단백 가수분해 펩타이드 0.1 - 0.1 0.70
저분자알긴산칼륨 0.1 0.16 0.1 0.8
YQ2 0.01 0.01 0.01 0.5
에리스리톨 3.00 3.00 3.00 3.00
요구르트 베이스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 계 100 100 100 100
주) 상기 수치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에 2: 혈압상승 억제효과 측정
높은 정상 혈압을 가진 사람 및 초기 고혈압 환자 총 20명(남 16명, 여 4명)을 대상으로 상기 비교예 1 내지 3 및 실시예 1의 요구르트 조성물을 섭취하면서 4주 동안 혈압저하 효과에 관한 임상실험과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5점법으로 실시하여, "1점-매우 맛 없음, 2점-맛이 없음, 3점-보통, 4점-맛있음, 5점-매우 맛 있음" 으로 평가하였다.
임상대상자 20명을 5명씩 4그룹으로 각각 나누어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의 측정은 24시간 자동혈압측정계(TONOPORT Ⅴ)를 임상대상자가 착용하여 하루 동안의 혈압을 30분 간격으로 측정하였으며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각각의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우선 모든 임상대상자가 자동혈압측정계를 착용하여 자신의 음용전 평균혈압을 측정한 후, 그룹별로 제시한 요구르트를 4주 동안 하루 2봉(150ml/봉)씩 규칙적으로 음용하였다. 음용 중 2주차와 4주차의 혈압을 측정하여 음용전의 혈압과 비교하였다.
상기 각 요구르트 조성물에 대한 혈압저하 효과를 검토한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2의 요구르트 조성물은 음용전에 비해 뚜렷한 혈압저하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실시예 1 및 비교예 3의 요구르트 조성물을 음용한 그룹에서는 혈압저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비교예 3의 요구르트 조성물은 관능검사 결과 요구르트 제품의 맛과 풍미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혈압저하 효과 및 관능검사 결과가 우수한 실시예 1의 요구르트 조성물이 가장 적합하였다.
구분 음용전 측정혈압(mmHg) 2주차 측정혈압(mmHg) 4주차 측정혈압(mmHg) 관능평가(점)
최고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최저
비교예1 140 98 142 98 140 97 4.2
비교예2 138 96 140 95 137 96 4.3
실시예1 144 100 139 96 136 93 4.3
비교예3 145 98 140 93 137 89 1.6
실시예 3: 요구르트 조성물의 음용기간별 혈압저하 효과 측정
본 실시예는 초기 고혈압 환자로서 나이가 25~75세인 지원자 40명(남 32명, 여 8명)을 실험 대상자로 선발하여 12주간 실시예 1의 요구르트 조성물을 음용하면서 혈압저하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선발된 혈압환자를 대상으로 자동혈압측정계를 사용하여 현재의 혈압을 측정하고, 상기 실시예 1의 요구르트 조성물을 하루 2회(총 300ml씩 12주간 복용) 점심과 저녁 식사 전에 섭취하도록 하였다. 3주 단위로 자동혈압 측정계를 착용하여 평균혈압을 측정하여 전체 대상자의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분석 결과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각 실험군의 평균간 유의차는 α= 0.05 수준에서 Duncan`s multiple range test로 검정하였고, 실험결과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의 결과와 같이 요구르트 조성물을 음용하기 전과 음용후 혈압을 시간대별(주간, 야간, 기상, 하루평균)로 비교분석한 결과 표 3과 같이 음용 전에 비해 혈압저하 효과를 나타내었다.
구분 음용전(mmHg) 3주차 (mmHg) 6주차(mmHg) 9주차(mmHg) 12주차(mmHg)
최고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최저 최고 최저
주간 144±13 98±11 139±12 97±11 138±11 93±14 137±10 91±13 132±11 86±7
야간 138±7 96±6 135±7 94±7 137±7 92±7 131±9 88±8 125±12 83±8
기상 134±6 94±5 139±7 91±6 136±6 90±7 130±9 91±9 128±8 86±3
평균 144±10 100±5 140±6 96±8 137±8 93±3 134±11 90±5 129±4 88±7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혈관확장, 안지오텐신효소 저해, 이뇨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및 저칼로리 특성을 복합적으로 발휘할 수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혈관확장, 안지오텐신효소 저해, 이뇨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및 저칼로리 기능으로 각각 선택된 성분을 적절히 조절하여 단일 성분만을 원료로한 제품보다 월등한 효능을 나타내고, 맛과 풍미 또한 우수한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요구르트 조성물은 혈압이 높은 사람 및 고혈압 환자에게 정상적인 식생활로 좋은 영양상태가 유지되면서 혈압의 정상화, 혈액내 지질 대사 개선과 혈당의 정상화, 적절한 체중유지, 합병증의 지연 및 예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건강한 사람도 쉽게 음용할 수 있도록 발효유 형태로 제조하여 유산균에 의한 각종 질병예방 및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

  1. 엔테로코커스 페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 유산균 0.01~0.08중량%, 미배아 추출물 0.01~0.05중량%, 난소화성 말토덱스트린 3~6중량%, YQ2 0.01~0.3중량%, 저분자알긴산칼륨 0.05~0.5%, 유청단백가수분해 펩타이드 0.05~0.3%, 에리스리톨 2~6중량% 및 잔량의 요구르트 베이스를 포함하는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르트 조성물은 총유산균이 107~109cell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KR1020050041192A 2005-05-17 2005-05-17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KR1006285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92A KR100628539B1 (ko) 2005-05-17 2005-05-17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92A KR100628539B1 (ko) 2005-05-17 2005-05-17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539B1 true KR100628539B1 (ko) 2006-09-26

Family

ID=37628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92A KR100628539B1 (ko) 2005-05-17 2005-05-17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53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510B1 (ko) * 2006-09-22 2007-09-04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터스 rmk567 균주를 함유하는발효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327295B1 (ko) 2011-12-16 2013-11-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엔테로코커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2410250A (zh) * 2020-11-12 2021-02-26 广东省微生物研究所(广东省微生物分析检测中心) 一种粪肠球菌及其应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510B1 (ko) * 2006-09-22 2007-09-04 한국식품연구원 락토바실러스 크리스파터스 rmk567 균주를 함유하는발효유 및 그 제조방법
KR101327295B1 (ko) 2011-12-16 2013-11-11 한국식품연구원 신규한 면역기능 증진 활성이 있는 엔테로코커스 속 균주 및 이의 용도
CN112410250A (zh) * 2020-11-12 2021-02-26 广东省微生物研究所(广东省微生物分析检测中心) 一种粪肠球菌及其应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69621B2 (en) Diet composition comprising raw foods and dietary fibers
CN101120787B (zh) 一种石榴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JPH09191852A (ja) 健康食品
CN102648751A (zh) 一种具有解酒护肝功能工程米及其制备方法
KR100716123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및 비만의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CN114271502A (zh) 一种保护心血管系统和肾脏的蛤蜊肽复合物及其应用
KR101896024B1 (ko) 가르시니아 캄보지아 추출물을 활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60117034A (ko) 정자수 증가와 환경호르몬 예방효과를 갖는 성기능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707707B1 (ko) 마 또는 산약의 유산 발효액을 함유하는 변비 예방 및개선용 건강기능식품
US20180296615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or functional health food for preventing and treating metabolic diseases, containing water extract of pleurotus eryngii var. ferulae (pf.) as active ingredient
KR100628539B1 (ko) 혈압상승 억제 및 혈압강하 효과가 있는 요구르트 조성물
KR101394358B1 (ko)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1770468B1 (ko) 천연혼합물을 이용한 다이어트 식품 제조방법
KR102112599B1 (ko) 석류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만 조성물
KR101509796B1 (ko) 블루베리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00003045A (ko) 천일염 및 한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치료 또는예방용 조성물
CN103750358B (zh) 适宜三高人群食用的保健牛肉
KR102239066B1 (ko) 식물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30130131A (ko) 흑마늘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50046B1 (ko) 항비만 효능을 갖는 복합 생약 발효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8911A (ko) 한약재를 이용한 유산균 곡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33586B1 (ko) 숙취 해소 및 간 기능 개선용 식품 조성물
JP2005304355A (ja) そば芽抽出エキスを含有する食品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0137897B1 (ko) 두충엽을 주원료로 함유한 건강식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