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684B1 - 농작물 수확기 - Google Patents

농작물 수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684B1
KR100627684B1 KR1020050067704A KR20050067704A KR100627684B1 KR 100627684 B1 KR100627684 B1 KR 100627684B1 KR 1020050067704 A KR1020050067704 A KR 1020050067704A KR 20050067704 A KR20050067704 A KR 20050067704A KR 100627684 B1 KR100627684 B1 KR 100627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ance
bag
conveying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7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6774A (ko
Inventor
이사오 이시다
하지메 오다기리
신고 다카기
타카아키 이와부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6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6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13/00Diggers, e.g. potato plough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25/00Lifters for beet or like cro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08Special sorting and clean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3/00Accessories for digging harvesters
    • A01D33/10Crop collecting devices, with or without weig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1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06Control or measuring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75/00Accessories for harvesters or mowers
    • A01D75/28Control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hen moving on slopes; Devices preventing lateral pull
    • A01D75/285Control mechanisms for harvesters or mowers when moving on slopes; Devices preventing lateral pull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the harvesting or mowing apparatus in a horizontal posi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ing Machines For Root Cro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확한 농작물을 수용자루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농작물 수확기로서,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하여 기체 조종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반송부와 회수부의 구성을 간략히 하여, 기체의 컴팩트화,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기체의 좌우 일측부에 수확부(4)를 기체 앞쪽에서 뒷쪽에 걸쳐 배치하고, 기체의 좌우 타측부의 앞쪽에 조종부(3)를 배치함과 함께, 기체의 좌우 타측부의 뒷쪽에 회수부(6)를 배치하고, 반송부(7)는, 기체의 좌우 일측부측에서 좌우 타측부에 걸쳐 배치하여 수확부(4)가 수확한 농작물을 횡방향으로 반송하여 회수부(6)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함께,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넓힌 상태로 지지하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농작물, 수확기, 근채류, 뿌리채소류, 수용자루

Description

농작물 수확기{CROPS HARVEST MACHINE}
도 1은, 뿌리채소류(根菜類) 수확기의 좌측면도.
도 2는,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3은,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평면도.
도 4는,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배면도.
도 5는, 수확부를 배치한 쪽의 주행장치의 좌측면도.
도 6은, 회수부를 배치한 쪽의 주행장치의 우측면도.
도 7(a)는, 잔엽(殘葉)처리부와 반송부의 반송 시단부(始端部)측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b)는, 잔엽처리부를 배면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기체(機體) 뒷 부분측의 일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은, 반송부의 회동지점 부위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다른 구성으로 한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과 선별작업용 좌석을 다른 구성으로 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평면도.
도 12는, 반송부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제어의 제어 블록도.
도 13은, 다른 구성으로 한 반송부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제어의 제어 블록도.
도 14는, 회수부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도 15는, 회수부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지지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7(a)는, 수용자루내의 뿌리채소류 회수량이 적을 때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17(b)는, 수용자루내의 뿌리채소류 회수량이 많았을 때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18(a)는, 지지대를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하여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를 지면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18(b)는, 기체를 후진시켜서 지지대를 수용자루로부터 분리시켰을 때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19(a)는, 지지대를 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하여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를 지면으로 이동시켰을 때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19(b)는, 기체를 전진시켜서 지지대를 수용자루로부터 분리하였을 때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20은, 적재부를 구비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21은, 적재부를 구비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평면도.
도 22는, 적재부를 구비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에 있어서의 지지대의 결합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우측면도.
도 23은, 수용자루를 가득 찬 상태로 한 적재부 장비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우측면도.
도 24는, 수용자루를 가득 찬 상태로 한 적재부 장비의 뿌리채소류 수확기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뿌리채소류 수확기
2 : 주행장치
3 : 조종부
4 : 수확부
5 : 잔엽처리부
6 : 회수부
6' : 회수부
7 : 반송부
40 :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
51 : 적재부
본 발명은, 뿌리채소류(根菜類) 등의 농작물을 논밭으로부터 수확하여 천 (布)등의 유연한 소재로 자루모양으로 형성한 수용자루에 회수하도록 구성한 농작물 수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아래의 특허문헌1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체(機體)를 자동주행 시키는 주행장치와, 탑승한 조종자가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부와, 뿌리채소류를 논밭에서 뽑아서 반송하고 경엽부(莖葉部)를 절단하여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측을 수확하는 수확부와,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용하는 수용자루를 설치하는 회수부와, 상기 수확부에서 수확물을 받아서 상기 수용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설치하고, 기체의 좌측부에 앞쪽에서 뒷쪽에 걸쳐 상기 수확부를 배치하고, 기체의 우측 앞 부분에 상기 조종부를 배치함과 함께, 그 조종부의 후방 근방에 상기 회수부를 배치하고, 상기 반송부에, 상기 수확부측으로부터 상기 수용부의 후방 부위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반송하는 횡(橫)반송부와, 그 횡반송부로부터 뿌리채소류를 이어받아 기체 뒷쪽으로부터 앞쪽 상방으로 들어올려 반송하여 상기 회수부에 설치한 수용자루의 상측 개구부내에 뿌리채소류를 방출하는 종(縱)반송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뿌리채소류 수확기가 있다. 그리고, 이 뿌리채소류 수확기는, 횡반송부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를, 그 횡반송부 앞쪽 또는 뒷쪽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선별작업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회수부에는, 회수부에서 뿌리채소류가 크게 낙하하여 손상하는 것 같은 일이 없도록, 수용자루의 바닥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대를 설치하고, 회수 초기에 승강대를 상승시켜서 수용자루내로 들어오는 뿌리채소류의 낙하거리를 작게 하고, 뿌리채소류의 회수량의 증대에 따라 승강대를 하강시켜 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1] 일본국 특개평 2004-89063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한 뿌리채소류 수확기는, 상기 수확부에 의해 수확된 뿌리채소류를, 수확부의 뒷쪽으로부터 횡반송부에 의해 기체의 좌우 일측에서 기체의 좌우 반대쪽으로 횡반송하고, 더욱이, 종반송부에 의해 기체 앞쪽 상방으로 들어올려 반송하여, 상기 조종부의 후방 근방에 배치한 상기 회수부의 수용자루내로 방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체가 전후로 긴 구성으로 되고, 논밭 가장자리 등에서 기체를 선회할 때에 폭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여 기체의 조종성이 별로 좋지않다. 또한, 횡반송부에 의해,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확부를 설치한 기체의 좌우 일측부에서 기체의 좌우 반대측으로 반송한 후, 종반송부를 통하여 회수부에 반송하고 있으므로, 반송부의 구성이 복잡화, 대형화하고, 기체의 대형화나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된다. 또한, 회수부에서의 뿌리채소류의 손상 방지 때문에 수용자루의 바닥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대를 설치하고 있고, 뿌리채소류의 회수량이 증대하면 중량이 무거워지는 수용자루를 승강대에서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므로, 그 승강대의 지지부나 승강 구동부를 견고한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어, 회수부의 구조가 대형화, 복잡화하고, 이것도 기체의 대형화나 비용 상승의 원인으로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수확한 농작물을 수용자루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농작물 수확기로서,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하고 기체 조종성을 양호하게 하며, 또한, 반송부와 회수부의 구성을 간략하게 하여, 기체의 소형화, 비용 저감을 도모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하였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주행장치(2)와, 조종부(3)와, 농작물을 논밭에서 수확하는 수확부(4)와, 그 수확부(4)에 의해 수확된 농작물을 수용하는 수용자루(B)를 설치하는 회수부(6)와, 상기 수확부(4)가 수확한 농작물을 상기 회수부(6)에 반송하는 반송부(7)를 설치한 농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기체의 좌우 일측부에 상기 수확부(4)를 기체 전후방향으로 배치하고, 기체의 좌우 타측부 앞쪽에 상기 조종부(3)를 배치함과 함께, 기체의 좌우 타측부의 뒷쪽에 상기 회수부(6)를 배치하고, 상기 반송부(7)는, 기체의 좌우 일측부측에서 좌우 타측부측에 걸쳐 배치하여 상기 수확부(4)가 수확한 농작물을 반송하여 상기 회수부(6)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함께, 상기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넓힌 상태로 지지하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로 하였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7)의 뒷쪽에 상기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의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로 하였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始端部)에서 반송 종단부(終端部)까지의 도중에 설치한 전후방향축(43) 주위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로 하였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로 하였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의 기재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와 반송 종단부의 사이에 설치한 전후방향의 축(43) 주위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반송부(7)의 뒷쪽에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의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좌석(42)을 설치하고, 그 좌석(42)을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축으로 되는 전후방향의 상기 축(43)의 후방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로 하였다.
상기 구성으로 한 청구항 1 기재의 농작물 수확기는, 주행장치(2)에 의해 기체가 자동주행하고, 조종부(3)에 탑승한 조종자에 의해 기체의 조종이 행하여진다.그리고, 논밭내를 주행하고, 기체의 좌우 일측부 앞쪽에서 뒷쪽에 걸쳐 배치된 수확부(4)가, 논밭에서 농작물을 수확한다. 수확부(4)가 수확한 농작물은, 기체의 좌우 일측부측에서 좌우 타측부측에 걸쳐 배치된 반송부(7)에 의해 반송되어서 기체의 좌우 타측부의 뒷쪽에 배치된 회수부(6)에 공급된다.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은 함께 상하 이동한다. 수용자루(B)내의 농작물 회수량이 적을 때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낮은 위치에 위치시켜서 회수부(6)에서의 농작물의 낙하거리를 작게 하고, 그리고, 수용자루(B)의 회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 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승시킴으로써 농작물(B)을 넘쳐 나오지 않도록 하고, 또한 크게 낙하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용자루(B)에 가득 찬 상태로 될때 까지 수용시킨다.
청구항 2 기재의 농작물 수확기는, 작업자가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에 탑승하고, 반송부(7)의 뒷쪽에 위치하여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의 선별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3 기재의 농작물 수확기는, 더욱이,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에서 반송 종단부까지의 도중에 설치한 전후방향축(43) 주위에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게 되고, 반송부(7)의 뒷쪽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반송부(7)의 상하 이동이 적은 부위에서 또는 상하 이동하지 않는 부위에서 선별할 수가 있다.
청구항 4 기재의 농작물 수확기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에서 지지되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한다.
청구항 5 기재의 농작물 수확기는,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와 반송 종단부 사이에 설치한 전후방향의 축(43) 주위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 하고, 또한, 그 반송부(7)의 뒷쪽에 설치한 좌석(42)에 작업자가 앉아서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의 선별작업을 한다. 좌석(42)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축으로 되는 전후방향의 축(43)의 후방 근방에 위치하므로, 좌석(42)에 앉는 작업자가 선별작업을 하는 부위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 동축이 있는 부위 또는 그 부근이 되므로, 좌석(42)에 앉는 작업자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회동하였을 때의 상하 이동이 적은 부위에서 선별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하나로서, 인삼 등의 뿌리채소류를 논밭에서 수확하는 뿌리채소류 수확기가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실시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도면에 도시한 뿌리채소류 수확기(1)는, 기체를 자동주행시키는 주행장치(2)와, 탑승한 조종자가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부(3)와, 뿌리채소류를 논밭에서 뽑아서 반송하고 경엽부를 절단하여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측을 수확하는 수확부(4)와, 그 수확부(4)에 의해 수확된 뿌리채소류를 반송하면서 뿌리채소류에 남은 불필요한 경엽부를 제거하는 잔엽처리부(5)와,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용하는 수용자루(B)를 설치하는 회수부(6)와, 상기 수확부(4)로부터 뿌리채소류를 받아서 상기 회수부(6)에 반송하는 반송부(7)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하에, 뿌리채소류 수확기(1)의 각 구성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주행장치(2)는, 구동 회전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라(crawler, 8L, 8R)에 의해 구성하고 있다. 이 크롤라(8L, 8R)의 구동기구는, 먼저, 조종부(3)의 조종좌석(12)의 아래쪽에 배치한 엔진의 동력이, 기체 앞 부분의 바닥 위치에 설치한 미션(mission, 13)으로 전동하고, 그 미션(13)으로부터 좌우 양측으로 연장시킨 주행구 동축이 구동 회전하고, 이 주행구동축의 좌우 양쪽 외단부(外端部)에 설치한 구동 스프로켓(14, 14)이 구동 회전하여 좌우의 크롤라(8L, 8R)가 구동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크롤라(8L, 8R)는, 구동 스프로켓(sprocket, 14, 14)과 기체 뒷 부분쪽의 전동륜(轉動輪, 15, 15), 그리고, 그 전동륜(15, 15)과 구동 스프로켓(14, 14) 사이에 설치한 전륜(轉輪, 16, 16, 16;16, 16, 16)의 주위에 감아 걸어서 설치하고 있다.
수확부(4)를 배치하고 있는 쪽(왼쪽)의 크롤라(8L)에 대하여는, 그 전동륜(15)과 전륜(16, 16, 16)을, 기체(기체 프레임(frame, 17))에 설치한 앞쪽 지지 프레임(18L)과 뒷쪽 지지 프레임(19L)에 고착된 좌측 전륜지지 프레임(20L)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수확부(4)를 배치하고 있는 쪽(왼쪽)의 크롤라(8L)의 하면인 접지부는 기체에 대하여 상하 이동 조작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수부(6)를 배치한 쪽(오른쪽)의 크롤라(8R)에 대하여는 아래와 같이 구성하고 있다. 먼저, 기체(기체 프레임(17))에 설치한 앞쪽 지지 프레임(18R)과 뒷쪽 지지 프레임(19R)에 각각 축심이 횡방향인 스윙축(21, 21)을 설치하고, 그 전후의 스윙축(21, 21)에 위쪽과 뒷쪽으로 아암(arm)부가 연장되는 스윙 아암(swinging arm, 22, 22)을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그 스윙 아암(22, 22)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의 선단부를 연결 로드(rod, 23)의 전후단부에 횡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하고, 스윙 아암(22, 22)의 뒷쪽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의 선단부를 우측 전륜 지지 프레임(20R)에 횡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우측 전륜 지지 프레임(20R)에 전동륜(15)과 전륜(16, 16, 16)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뒷쪽의 스윙 아암(22)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아암부의 선단부에는, 실린더 기부(基部)를 기체(기체 프레임(17))의 뒷 부분쪽에 횡축 주위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유압 실린더(24)의 피스톤 로드(piston rod) 선단부를 연결하고 있다. 따라서, 유압 실린더(24)가 작동하여 그 피스톤 로드가 기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 전후의 스윙 아암(22, 22)이 스윙축(21, 21) 주위로 회동하여 우측 전륜 지지 프레임(20R)이 상하 이동함과 함께 전동륜(15)과 전륜(16, 16, 16)이 상하 이동하고, 회수부(6)를 배치한 쪽(오른쪽)의 크롤라(8R)의 하면인 접지부는 기체에 대하여 상하 이동 조작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뒷쪽 지지 프레임(19R)의 스윙 축(21)에는, 크롤라(8R)의 위쪽의 내측면에 전동가능하게 접하는 전륜(25)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크롤라(8L, 8R)의 내측면의 좌우 중앙측에 전동륜(15)의 외주부가 좌우로 벗어나지 않게 전동륜(15)의 외주부의 좌우 양측부를 끼우도록 돌출하는 좌우의 돌기(26, 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좌우의 돌기(26, 26…) 사이에 들어와서 크롤라를 안내하는 봉(棒)형상의 가이드부재(27, 27;27, 27)가 크롤라 아래쪽의 내면측에 접하도록 전륜 지지 프레임(20L, 20R)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부재(27, 27)의 전동륜(15, 15)에 근접하는 후단부의 위쪽은, 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전동륜(15, 15)과 크롤라 사이에 가능한 한 들어가도록 설치되어 있고, 가이드부재(27, 27)의 하면측 가이드 작용부가 가능한 한 길게 형성되도록 하여, 크롤라의 이탈 방지 효과를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크롤라의 외주면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래그(lag, 28…)를 크롤라 회전방향의 일정 간격마다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뿌리채소류 수확기(1)는, 상기 주행장치(2)가 구동 회전하는 좌우 한쌍의 크롤라(8L, 8R)를 구비하고, 상기 수확부(4)는 기체의 좌우 한쪽측에 배치하고, 상기 회수부(6)는 기체의 좌우 다른쪽측에 배치하고, 더욱이 그 회수부(6)를 배치한 쪽의 크롤라(8R)의 좌우 외단부에서 회수부(7)의 좌우 외단부가 좌우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부(6)를 배치한 쪽의 크롤라(8R)의 접지부를 좌우 반대쪽의 크롤라(8L)의 접지부에서 아래쪽으로 위치하는 상태로 하향 이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수확부(4)를 배치한 쪽의 크롤라(8L)는 두둑의 상면을 주행하고, 회수부(6)를 배치한 쪽의 크롤라(8R)는 두둑 사이의 도랑을 주행하고, 회수부(6)를 배치한 쪽이 낮아지도록 기체가 좌우로 경사지는 상태로 될 경우에, 회수부(6)의 좌우 외단부를 상승시켜서 인접하는 두둑 상면에의 접지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수확작업 주행이 적절하게 행해진다. 또한, 수확부(4)를 기체의 좌우 한쪽측에 배치하고, 회수부(6)를 기체의 좌우 다른쪽측에 배치하고, 더욱이 그 회수부(6)를 배치한 쪽의 크롤라(8R)의 좌우 외단부에서 회수부(6)의 좌우 외단부가 좌우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하고, 크롤라를 하향 이동시키는 기구를 회수부(6)를 배치한 쪽의 크롤라(8R)에만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고, 기체의 경량화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한편, 크롤라를 하향 이동시키는 기구를 조종자에 의한 인위적 조작에 근거하여 작동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기체의 좌우의 경사를 검출하는 경사검출수단을 설치하여 그 경사검출수단의 검출값에 따라 자동 적으로 크롤라를 하향 이동시켜서 기체의 좌우 경사를 작게 하고, 또는 수평상태로 변경하는 제어수단을 설치하여도 좋다.
수확부(4)는, 뿌리채소류의 경엽부를 협지(挾持)하여 반송하는 반송 작용부로서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를 구비한다. 이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는, 기체 앞 부분쪽의 좌우에 걸쳐 놓은 좌우 유동(游動) 풀리(pully)와, 기체 뒷 부분쪽의 좌우에 설치한 좌우 구동 풀리와, 양쪽 풀리의 전후 사이에 적당히 설치한 롤러(roller)에 감아서 걸고, 또한, 그 좌우 협지 반송벨트의 서로 좌우 대향하는 원주측면이 서로 압접(壓接)하는 상태로 회전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좌우 구동 풀리가 엔진으로부터의 동력을 받아서 구동 회전하면,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가 서로 압접하는 벨트면이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좌우의 벨트의 서로 압접하는 벨트면 사이에, 뿌리채소류의 경엽부의 기부(뿌리부의 어깨에 근접한 부분)을 협지하여 매달은 상태로 반송하는 것으로 된다. 이 수확부(4)의 뒷 부분은 기체 뒷 부분쪽에 설치한 좌우 횡축(29) 주위로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되고, 그리고, 유압 실린더(30)에 의해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의 앞 부분을 상하 이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의 반송 작용부의 반송 시단부를 지면의 높이 변동과, 반송 작용부가 유지하려고 하는 뿌리채소류의 경엽부의 상태에 맞춰서 용이하게 상하 조절할 수가 있다. 더욱이, 수확부(4)는, 기체가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되었을 때,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의 반송 시단부 등 수확부(4)의 앞 부분이 지면에 돌입하지 않도록 지면에 대하여 설정 높이 이하의 하강을 규제하는 게이지(gauge)륜(30a)을 수확부(4)에 설치하 고 있다.
또한, 수확부(4)에는, 뿌리채소류의 경엽부를 절단하여 뿌리부측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하여 절단하는 절단장치(31)도 설치하고 있다.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로 뿌리채소류를 반송하는 도중에 뿌리채소류의 경엽부를 이어받아 협지하여 기체 뒷쪽에 대략 수평형태로 반송하는 경엽부 반송벨트(32, 32)를,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의 종단부분의 아래쪽으로 대략 수평자세로 좌우 한쌍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 경엽부 반송벨트(32, 32)에 경엽부를 이어받아 반송할 때에,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뿌리채소류의 상승을 규제하고 뿌리채소류의 높이를 절단장치(31)에 대하여 설정 높이에 맞추기 위한 위치맞춤 벨트(33, 33)를 설치하고 있다. 이 위치맞춤 벨트(33, 33)의 후단부 후방에, 절단장치(31)를 구성하는 좌우 한쌍의 원판모양의 절단날을 배치하고, 반송되어 온 뿌리채소류의 경엽부의 기부를 절단한다. 절단된 뿌리채소류의 뿌리부는 아래쪽으로 낙하하고, 경엽부는 경엽부 반송벨트(32, 32)로써 기체 후방으로 반송되어 기체 뒷 부분쪽으로부터 배출된다. 좌우 협지 반송벨트(9L, 9R) 앞쪽에는, 그 벨트(9L, 9R)에 의한 경엽부의 협지가 적절하게 행하여지도록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 돌출하는 래그를 주회(周回)시켜서 경엽부를 일으켜 세우는 종방향 인기(引起)장치(34)와 횡방향 인기장치(35)를 설치하고 있다.
수확부(4)에 의해 뽑아서 반송되고 경엽부가 절단되어 낙하하는 뿌리채소류는, 잔엽처리부(5)와 반송부(7)에 의해 반송되어, 수확부(4)가 배치되어 있는 쪽과는 좌우 반대쪽에 배치한 회수부(6)에 설치된 수용자루(B)내에 수용된다.
잔엽처리부(5)에는, 수확부(4)의 뒷쪽에 설치한 절단장치(31)의 아래쪽으로부터 수확부(4)가 배치되어 있는 쪽과는 좌우 반대쪽인 오른쪽을 향하여 뿌리채소류를 반송하는 제1 컨베이어(36)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반송부(7)에는, 그 제1 컨베이어(36) 앞쪽에 병행하도록 위치하여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뿌리채소류를 반송하는 제2 컨베이어(37)를 설치하고 있다. 수확부(4)에 의해 반송되어, 절단장치(31)에 의해 경엽부가 절단되어서 낙하한 뿌리채소류는, 잔엽처리부(5)의 제1 컨베이어(36) 위에 받아져서 기체의 오른쪽을 향하여 반송되고, 그리고, 불필요한 경엽부를 제거 처리하여 앞쪽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반송부(7)의 제2 컨베이어(37)에 의해, 잔엽처리부(5) 앞쪽 부위에서 기체 우측에 배치된 회수부(6)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반송된다.
잔엽처리부(5)는, 그 제1 컨베이어(36)를, 평탄한 면을 갖는 전후 폭이 넓은 무단(無端)벨트(36a)를, 좌우로 배치한 전후방향의 축심(軸心) 주위로 회동하는 좌우의 롤러(36b, 36c)에 감아 걸어서 구성하고, 무단벨트(36a)의 상면측(반송면측)이 기체 오른쪽측을 향하여 이동 구동하도록 설치하고, 그리고, 그 이송 아래쪽측의 무단벨트(36a) 상면의 위쪽에 작은 틈을 두고, 아래쪽이 벨트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향하여 구동 회전하는 잔엽처리 롤러(38)를, 그 롤러 전단부측이 후단부측에 비교하여 기체의 우측으로 되는 평면에서 바라보아서 경사상태로 배치하여 설치하고 있다. 한편, 도면의 예에서는, 우측의 롤러(36c)를 구동 회전하고, 좌측의 롤러(36b)는 자유 회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절단장치(31)에 의해 경엽부가 절단되어 낙하한 뿌리채소류는, 제1 컨베이어(36)의 상면 위에 받아져서 기 체 오른쪽측으로 반송된다. 그리고, 뿌리채소류가 잔엽처리 롤러(38)에 닿으면, 뿌리채소류의 뿌리부는, 평면에서 바라보아서 경사상태로 배치된 잔엽처리 롤러(38)에 따라 기체 앞쪽으로 이동하고, 잔엽처리부(5) 앞쪽에 배치한 반송부(7)의 제2 컨베이어(37) 위로 공급된다. 여기에서,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측과 연결된 경엽부의 기부에 절단장치(31)에 의해 절단되지 않고 남아 있는 잎(잔엽)이 있을 때는, 그 잎은, 제1 컨베이어(36)의 벨트 상면과 잔엽처리 롤러(38) 사이로 끌어 들여지고, 그리고 잡아 뜯겨져서, 제1 컨베이어(36)의 잔엽처리 롤러(38)보다 반송 아래쪽측으로 반송되어, 뿌리채소의 뿌리부로부터 제거된다.
반송부(7)의 제2 컨베이어(37)는, 평탄한 면을 갖는 전후 폭이 넓은 무단벨트(37a)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파(波)형상으로 만곡시켜서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한 가요성 시트(sheet, 37b)를 원주방향 설정간격으로 부착한 반송벨트(37c)를, 잔엽처리부(5)의 기체 전방측에 배치한 전후방향의 축심 주위로 구동 회전하는 롤러(37d)와, 그 구동롤러(37d)의 기체 오른쪽측에서 회수부(6)의 좌단측 위쪽에 배치한 전후방향의 축심 주위로 자유 회전하는 롤러(37e)에 감아 걸어서 구성하고, 반송벨트(37c)의 상면측이 잔엽처리부(5)의 기체 전방측 부위에서 기체 오른쪽측의 회수부(6)를 향하여 이동하고 구동 회전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또한, 잔엽처리부(5) 앞쪽 부위의 반송벨트(37c)의 반송 시단부측의 상면(반송면)은, 잔엽처리부(5)의 제1 컨베이어(36)의 상면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배치되고, 또한, 기체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경사상태로 하여 설치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잔엽처리부(5)의 기체 오른쪽측 근방 부위에 설치한 축(43)에 설치한 중간롤러(37f)를 상 기 반송벨트(37c)내에 설치하고 있고, 이 중간롤러(37f)의 축(43)을 지점으로 그 보다 반송 아래쪽측 부분을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벨트(37c)의 반송 시단부측에서 기체 좌측에는, 반송벨트(37c)의 반송 시단부를 향하여 내려가는 경사상태로 한 복수의 슬릿(slit)을 갖는 슬로프(slope, 37g)를 설치하고 있고, 이 슬로프(37g)에 의해 수확부(4)의 절단장치(31)에 절단되기 전에 경엽부가 찢겨져 버려서 낙하한 뿌리채소류를 받아내서 반송벨트(37c)의 반송 시단부로 공급할 수가 있다.
또한, 반송부(7)는, 상하 회동하는 반송 종단부측과 상하 회동하지 않는 반송 시단부측을 반송방향으로 2개의 다른 무단 반송벨트를 직렬 배치하여 각각 주회 (周回)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지만, 본 예의 반송부(7)는, 상하 회동하는 반송 종단부측과 상하 회동하지 않는 반송 시단부측에 걸쳐 하나의 무단 반송벨트(37c)을 주회 구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상하 회동하지 않는 반송 시단부측과 상하 회동하는 반송 종단부측 사이의 굴곡부를 원활하게 뿌리채소류를 이동시켜서 반송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예에 있어서는, 반송부(7)의 반송벨트(37c)를 구동하는 구동롤러(37d) 보다 위쪽, 더욱이 기체 오른쪽측에 축(43)에 설치한 중간롤러(37f)를 설치하고, 그 중간롤러(37f) 보다 기체 오른쪽측에 상기 중간롤러(37f)의 축(43)을 지점으로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지지한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롤러(37e)를 설치하고, 상기 구동롤러(37d)와 중간롤러(37f)와 회전롤러(37e)를 내측으로 둘러싸도록 하여 단일의 무단 반송벨트(37c)을 감아 걸고, 그리고, 중간롤러(37f)의 아래쪽을 통과하는 반송벨트(37c)의 외주에 접촉하는 회전이 자유로 운 텐션(tension)롤러(37h)를 설치하고, 반송부(7)의 반송작동중에 있어서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범위를, 반송벨트(37c)가 중간롤러(37f)의 부위에서 반송 종단부측이 반송 시단부측에 대하여 아래쪽으로 굴곡하는 상태로 되도록 반송 종단부측이 하강한 위치와, 반송 시단부측의 구동롤러(37d)와 중간롤러(37f)와 반송 종단측의 회전롤러(37e)가 기체 배면에서 바라보아서 오른쪽으로 올라가는 경사상태에서 거의 직선상으로 나란한 상태로 되도록 반송 종단부측이 상승한 위치의 상하 범위내로 설정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하강하였을 때에, 반송벨트(37c)가 느슨해져서 반송벨트(37c)가 슬립(slip)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고,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승시켰을 때도, 그 상승범위를 상기한 바와 같이 설정함으로써 반송벨트(37c)의 상면측에 대하여 뿌리채소류의 반송의 방해가 되는 텐션롤러를 설치하지 않아도, 반송벨트(37c)가 느슨해져서 반송벨트(37c)가 슬립되는 것을 생기기 어렵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예의 반송부(7)의 반송벨트(37c)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탄한 면을 갖는 전후 폭이 넓은 무단벨트(37a)의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파형상으로 만곡시켜서 외주측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한 가요성 시트(37b)를 원주방향 설정 간격으로 부착한 구성으로 하여, 뿌리채소류가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들어올려 반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파형상으로 만곡하여 돌출하는 가요성 시트(37b)는, 전후 전폭에 걸쳐 설치되어 있으면, 상기 텐션롤러(37h)에 의해 절곡되어 버리므로, 텐션롤러(37h)가 접촉하는 중앙부위는, 가요성 시트(37b)의 돌출이 없도록 삭제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파형상으로 만곡하여 돌출하는 가요성 시트 (37b)를 설치하여 들어올려 반송가능하게 한 반송벨트(37c)의 구성으로 하면서도, 돌출하는 가요성 시트(37b)를 절곡하지 않도록 하여 외주면에 텐션롤러(37h)를 접촉가능하게 하고, 반송벨트(37c)를 느슨하게 하지 않고 반송부(7)를 굴곡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회수부(6)는, 수확부(4)가 배치되어 있는 쪽(왼쪽)과는 좌우 반대쪽(오른쪽)에 배치하고 있다. 본 예에서는, 더욱이, 수확부(4)가 기체의 좌측의 앞 부분쪽에서 뒷 부분쪽에 걸쳐 배치되고, 조종부(3)를 기체의 오른쪽의 앞 부분에 배치하고, 그리고, 회수부(6)는, 조종부(3) 보다 기체 뒷쪽에서, 더욱이, 조종부(3) 보다 기체 좌우방향 외측에서, 또한, 반송부(7)의 기체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회수부(6)를 배치하고 나서, 상기와 같이 잔엽처리부(5)를 기체의 오른쪽을 향하여 뿌리채소류를 반송하면서 불필요한 경엽부를 제거 처리하여 앞쪽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반송부(7)를, 잔엽처리부(5) 앞쪽 부위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배치한 회수부(6)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한 뿌리채소류 수확기는, 수확부에 의해 수확되어 경엽부를 절단하여 낙하한 뿌리채소류를 수확부의 후단부에서 오른쪽으로 배출하고, 계속하여, 횡반송부에서 기체 오른쪽으로 반송하고, 더욱이, 종반송부에서 기체 앞쪽 상방으로 들어올려 반송하고, 상기 조종부의 후방 근방에 배치한 상기 회수부의 수용자루내로 방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기체가 전후로 긴 구성으로 되고, 논밭 가장자리 등에서 기체를 선회할 때에 폭넓은 영역을 필요로 하여 기체의 조종성이 별로 좋지 않다. 또한, 회수부를 조종부와 종반송부에 전후로 끼워 진 부위에 형성하고 있으므로, 그 회수부에 설치할 수 있는 수용자루의 전후 폭이 회수부의 전후 폭으로 제한되어, 큰 수용자루를 사용하기가 어려워서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하기가 어려운 점도 있다.
한편, 본 예에 있어서는,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용자루(B)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하고, 더욱이, 수확부(4)에 의해 수확된 뿌리채소류에 잔존하는 불필요한 경엽부를 제거하는 잔엽처리부(5)를 구비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에 있어서, 수확부(4)에 의해 수확되어 경엽부가 절단되어 낙하한 뿌리채소류를 잔엽처리부(5)에 의해 기체의 오른쪽을 향하여 반송하면서 불필요한 경엽부를 제거 처리하여 앞쪽으로 배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리고, 반송부(7)에 의해 잔엽처리부(5) 앞쪽 부위에서 기체의 오른쪽을 향하여 더 반송하여 그 반송 종단부의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한 회수부(6)로 반송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잔엽처리부(5)를 구비하고, 또한, 종래보다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되어, 조종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고, 또한, 회수부(6)를 조종부(3) 보다 기체 뒷쪽에서, 또한 기체 좌우방향 외측에 배치한 것이므로, 종래보다 큰 수용자루를 설치하여 한층 더 많은 뿌리채소류를 수용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반송부(7)의 후방에,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기체 후방측에서 승강이 가능하게 하여 탑승할 수 있는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를 설치하고 있다. 이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로서, 작업자가 기체 위에 설 수 있도록 작업 디딤판(step, 41)을 잔엽처리부(5)의 측방에서 반송부(7)의 후방 부위에 설치하고, 더욱이, 그 디딤판(41)의 기체 평면에서 바라보아서 뒷쪽에 작업자가 앉는 좌석(42)을 설치하여 구성하고 있다.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를 설치함으로써,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기체에 탑승하여 편안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잔엽처리부(5)의 측방에서, 더욱이 반송부(7)의 후방 부위에 형성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설치하고 있으므로, 기체 구성도 컴팩트(compact)한 것으로 된다. 한편, 반송부(7)는,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에 탑승한 작업자에 의해 선별작업이 행하여지는 선별 반송부로 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7)는 조종부(3)의 뒷쪽 근방 부위에도 위치하고 있으므로,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와 조종부(3)의 전후사이에 끼워진 상태에서 반송부(7)가 기체 좌측에서 오른쪽에 걸쳐 횡방향으로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회수부(6)의 뒷쪽에도 보조 디딤판(41a)을 설치하고, 상기 작업 디딤판(41)에서 그 보조 디딤판(41a)으로 직접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작업 디딤판(41) 위에 탑승한 작업자는, 회수부(6)의 수용자루(B)를 설치할 때나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의 꺼내기 작업을 할 때 등에, 기체로부터 내리는 일이 없이 보조 디딤판(41a) 위로 이동하고, 그리고, 그 보조 디딤판(41a) 위에 서서 회수부(6)의 뒷쪽 근방으로부터 상기한 바와 같은 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은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보조 디딤판(41a)은, 기체 프레임(17)에 대하여 전후의 축심 주위로 상방 회동시켜서 수납가능하게 설치하고 있고, 기체를 컴팩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좌석(42)의 하방으로부터 우측방으로 돌출한 상태에서 기체 후단부에 위치하는 후부(後部) 디딤판(42b)도 설치하고 있다.이 후부 디딤판(42b)상에서 좌석(42)의 우측방에 컨테이너(container, M)를 배치하여 둘 수 있고, 좌석(42)에 앉아서 선별작업하는 작업자는, 선별한 불량의 뿌리채소류를 그 컨테이너(M)에 용이하게 투입하여 수용시켜 둘 수가 있다. 또한, 비작업 시에는, 그 컨테이너(M)를 좌석(42)의 아래쪽 부위의 후부 디딤판(42b) 위로 이동하여 좌석(42)의 아래쪽에 수납할 수도 있고, 작업자가 기체 후방으로부터 승강할 때에 방해되지 않도록 하여 둘 수도 있다. 또한, 기체 후단부에 이 후부 디딤판(41b)을 배치한 것이므로, 상기 작업 디딤판(41)에의 승강 디딤판으로서 사용할 수 있고, 작업자의 승강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본 예의 뿌리채소류 수확기(1)는, 수확부(4)에 의해 수확된 뿌리채소류는, 기체 뒷 부분쪽에 있어서 좌측에서 우측으로 뿌리채소류를 횡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부(7)에 의해, 기체 좌측에 배치한 수확부(4)측으로부터 좌우 반대쪽의 기체 우측에 배치한 회수부(6)로 뿌리채소류를 반송하는 구성으로 한 것이며, 더구나, 반송부(7)의 뒷쪽 근방 부위에 그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탑승하는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를 설치하고, 반송부(7) 앞쪽 근방 부위에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부(3)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기체의 우측부(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좌우방향 바깥쪽측에서, 또한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 및 조종부(3)의 좌우 방향 바깥쪽측 근방)에서,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의 측방 부위에서 조종부(3)의 측방 부위에 걸친 범위에, 반송부(7)에 의해 반송되어온 뿌리채소류를 받아 들여 회수하는 수용자루(B)를 설치가능하게 한 회수부(6)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것이므로, 종래보다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되고, 조종성이 양호한 것으로 되고, 또한, 회수부(6)에 설치하는 수용자루(B)를 전후로 폭이 넓은 대용량의 것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더욱이, 수용자루(B)가,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의 측방 부위에서 조종부(3)의 측방 부위에 걸친 전후 범위에 걸쳐 회수부(6) 위에 설치되므로, 회수부(6)에의 수용자루(B)의 설치작업이나 취출작업이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 위에서도 행할 수가 있고, 수용자루(B)내에 수용된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도,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에 탑승한 작업자와 조종부(3)에 탑승한 조종자가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서 작업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또한, 반송부(7)가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 앞쪽 근방에 배치하고, 또한 조종부(3)의 뒷쪽 근방에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에 탑승한 작업자뿐만 아니라, 조종부(3)에 탑승한 조종자도 기체 후방을 향하여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를 확인할 수가 있고, 조종자가 기체의 조종에 여유를 가질 수 있으면, 기체 후방을 뒤돌아봐서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할 수도 있다. 특히,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위쪽으로 회동시켜서 높게 위치시켰을 때는, 조종부(3)에서 반송부(7)가 한층 더 접근하므로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선별작업자 탑승부의 좌석(42)은 기체 좌우방향의 위치에서 반송부(7)의 상하 회동지점의 근방 위치에 위치하고, 조종부(3)의 좌석(12)은, 기체 좌우방향의 위치에서, 상기 선별작업자 탑승부의 좌석(42)보다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 주변에 위치하고, 더욱이, 선별작업자 탑승부의 좌석(42)의 착석부의 높이가 낮고, 조종부(3)의 좌석(12)의 착석 부의 높이가 높게 위치하도록 설치하였으므로, 선별작업자 탑승부의 좌석(42)에 앉는 작업자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회동하였을 때의 상하 이동량이 적은 반송부(7)의 상하 회동지점으로 되는 축(43)의 근방 위치에서 반송부(7)에 의해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이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한편, 조종부(3)의 좌석(12)에 앉는 조종자는, 기체조종의 도중에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위쪽으로 회동시켜서 높게 위치시켰을 때에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한편, 회수부(6)를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의 측방 부위에서 조종부(3)의 측방 부위에 걸진 전후범위에 배치하여 작업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면서도, 조종부(3)의 승강부 보다 뒷쪽에 회수부(6)가 배치되어 수용자루(B)가 설치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조종부(3)에의 조종자의 승강이 수용자루(B)에 방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선별작업자 탑승부의 좌석(42) 보다 앞쪽에 회수부(6)가 배치되어 수용자루(B)가 설치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선별작업자 탑승부(41, 42)에의 작업자의 승강도 수용자루(B)에 방해되는 일이 없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는 반송부(7)의 뒷쪽에 있어서, 선별작업자가 반송 종단부측이 상승 회동하여 높아졌을 때에, 반송 시단부측에서 반송 종단부측으로 향하는 자세, 즉, 오른쪽으로 비듬하게 앞방향으로 향한 자세에서, 또는, 오른쪽 횡방향으로 향한 자세에서 용이하게 앉아서 선별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오른쪽 방향으로 한(등받이를 착석부에 대하여 기체 좌측으로 이동시킨) 좌석(42')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좌석(42')을 설치하 면, 특히,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승 회동하여 높아졌을 때의 선별작업이 하기 쉬워지고, 또한, 회수부(6)의 수용자루(B)내에 수용되는 뿌리채소류의 양을 확인하기가 쉬어지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승조작과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의 상승조작을 한층 더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선별된 불량의 뿌리채소류를 기체 후방으로 버릴 경우에 그 동작도 행하기가 쉬워진다. 또한, 좌석(42)을 회동조작 용이하게 설치하고, 횡방향 자세로 앉는 상태(등받이를 착석부에 대하여 기체 좌측에 위치시킨 상태)와 앞방향 자세로 앉는 상태(등받이를 착석부에 대하여 기체 후측에 위치시킨 상태)로 용이하게 바꿀 수 있도록 하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낮을 때에 앞방향 자세에서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높을 때에 횡방향 자세에서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앞방향 자세에서 앉는 좌석을 잔엽처리부(5)의 위쪽에 배치하면, 기체 우측에 큰 중량이 걸리는 회수부(6)에 대항하여 선별작업자의 체중을 기체의 좌측 주변에 걸리도록 할 수 있어, 기체의 좌우 중량 밸런스(balance)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회수부(6)에는, 반송부(7)에 의해 반송되어온 뿌리채소류를 내측에 수용한 수용자루(B)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9)와, 그 지지대(39) 위에 설치한 수용자루(B)의 상부 개구부를 넓힌 상태로 지지하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설치하고 있다. 이 지지대(39) 위에 지지된 수용자루(B)는, 기체 전후방향 및 오른쪽 외측방향에 대하여 넓게 개방된 상태로 되므로, 지지대(39) 위에 설치할 수 있는 수용자루(B)의 크기는 지지대(39)상으로부터 어느 정도 삐져나오도록 한 큰 수용자루로도 설치가능하고, 또한, 이 지지대(39) 위에 설치한 수용자루(B)는, 뿌리채소류를 수용하여 기체의 전후방향 및 좌우 외측방향으로 비교적 크게 부풀이면서 뿌리채소류를 수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큰 수용자루(B)를 설치하여 그 수용자루(B)에 많은 뿌리채소류를 수용하여 수확작업을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본 예의 뿌리채소류 수확기(1)는, 기체를 자동주행시키는 주행장치(2)와, 탑승한 조종자가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부(3)와, 뿌리채소류를 논밭에서 뽑아서 반송하고 경엽부를 절단하여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측을 수확하는 수확부(4)와,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용하는 수용자루(B)를 설치하는 회수부(6)와, 상기 수확부(4)로부터 뿌리채소류를 받아서 상기 회수부(6)로 반송하는 반송수단(5, 7)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더욱이,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와, 상기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B)의 상부개구부를 넓힌 상태로 지지하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하 같은 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비어 있는 상태의 수용자루(B)에 뿌리채소류를 수용하기 시작할 때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와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함께 낮은 위치로 하강하여 두면,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B)내에 낙하하는 거리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뿌리채소류의 수용량이 점차로 늘어남에 따라,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와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함께 상승시켜 가면, 수용자루(B)로부터 뿌리채소류가 넘쳐나오지 않도록 하면서 가득 찬 상태로 될 때까지 수용자루(B)에 뿌리채소류를 수용할 수가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되는 뿌리채소류 수확기에서 는,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내에 낙하하는 거리를 작게 하면서, 뿌리채소류의 수용량이 증가하여도 수용자루로부터 뿌리채소류가 넘쳐나오지 않고 가득 찬 상태로 될 때까지 수용자루내에 뿌리채소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자루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큰 하중이 걸리는 지지대를 승강하기 위하여 승강기구를 튼튼하고 강력한 것으로 하지 않으면 안되고, 승강기구가 대형화되어, 비용 상승하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예에서는, 수용자루(B)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9)는 승강하지 않고, 수용자루(B)의 상부 개구부를 지지하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과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를 승강하는 구성이므로,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되는 뿌리채소류 수확기와 같이 튼튼하고 강력한 승강기구는 필요로 하지 않아, 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예에서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에 설치하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과 함께 승강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한층 더 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1에 기재한 뿌리채소류 수확기는, 수확부로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선별 컨베이어로써 수확부를 배치한 쪽으로부터 회수부를 배치한 쪽을 향하여 횡방향으로 반송하고, 그리고, 인양 컨베이어로써 전방 위쪽으로 반송하여 운전부 후방에 배치한 회수부에서 뿌리채소류를 회수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고, 선별 컨베이어와 회수부 사이에 다른 컨베이어(인양 컨베이어)가 있고, 기체 전체의 구성이 복잡하고, 또한, 기체 중량이 증대하는 결점이 있다.
한편, 본 예에 있어서는, 상기 반송부(7)의 기체 후방측에 작업자가 탑승 가능하게 하기 위한 디딤판(41) 또는 좌석(42)을 설치하여 상기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에 대하여 선별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리고, 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와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승강이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므로,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내에 낙하할 때에 가능한 한 낙하거리를 작게 하여 뿌리채소류가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고, 더구나, 선별작업을 하는 반송부와 회수부 사이에 다른 반송부를 설치하지 않고, 선별작업을 하는 반송부의 반송 종단부에서 직접 회수부로 뿌리채소류가 방출되므로, 기체 전체의 구성이 간략하게 되고, 또한, 기체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반송부(7)는, 반송 시단부와 반송 종단부의 사이에 설치한 축(43) 주위로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반송부(7)의 뒷쪽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할 때, 반송부(7)의 전체가 상하 이동하지 않고, 반송부(7)의 반송도중 부위에서 절곡되지 않도록 하여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므로, 작업자는 반송부(7)에 있어서 상하 이동이 적은 부위에서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할 수 있고, 이로써, 선별작업을 하는 부위의 반송부(7)가 너무 낮거나, 너무 높거나 하는 일이 없고,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가능하게 구성한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지점으로 되는 축(43)을, 반송 부(7)의 반송방향 중앙위치보다 반송 시단측 주면에 배치하면, 반송 종단부측을 설정높이 상승시켰을 때의 반송부(7)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가 있고, 이로써, 좌석(42)에 앉는 작업자가 선별작업을 하는 부위의 반송부(7)의 각도변화가 작아져서 선별작업의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축(43)을,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좌석(42) 앞쪽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반송부(7)를 그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동시켰을 때, 반송부(7)의 좌석(42) 앞쪽 부위의 상하 이동량은 가능한 한 작게 할 수 있고, 반송부(7)를 상하 회동하여도 좌석(42)에 앉는 작업자가 하는 선별작업의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더욱이, 상기의 축(43)을 좌석(42) 앞쪽 위치에 있어서 반송 종단부측에 접근하여 배치하면, 반송 종단부측을 설정높이 상승시켰을 때의 반송부(7)의 경사각을 작게 할 수 있고, 좌석(42)에 앉는 작업자가 행하는 선별작업의 작업성은 한층 더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축(43)을 좌석(42) 앞쪽 위치에 있어서 좌석(42)의 착석부 상면보다 위쪽에 위치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좌석(42)에 앉는 작업자에게 있어서 선별작업을 하는 부위의 반송부(7)가 적절한 높이에 위치하게 되어 선별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반송부(7)는, 축심이 전후방향의 축(43) 주위로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이동하도록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또한, 그 축(43)을 잔엽처리부(5)의 잔엽처리 롤러(38) 전단부에서 반송부(7)의 반송방향 아래쪽(기체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배치하고, 잔엽처리 롤러(38) 전단부에서 반송부(7)의 반송방향 위쪽(기체의 좌측)에 있어서의 반송부(7)의 상면(반송면)은 잔엽처리 롤러(38) 전단부에서 아래쪽 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잔엽처리 롤러(38) 전단부에서 반송부(7)의 반송방향 아래쪽에 배치한 축(43) 주위로 상하 이동하고, 잔엽처리부(5)의 잔엽처리 롤러(38) 전단부에서 기체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뿌리채소류를 받는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측은 상하 이동하지 않으므로, 잔엽처리부(5)로부터 반송부(7)에의 뿌리채소류의 이어받기가 양호학 행하여진다. 또한, 잔엽처리부(5)로부터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측에 공급되는 뿌리채소류의 양이 반송부(7)의 뿌리채소류의 반송량보다 많아지면,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측에 있어서 일시적으로 뿌리채소류가 저류되게 되지만, 상기와 같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이동하여도, 잔엽처리부(5)의 잔엽처리 롤러(38) 전단부에서 기체 전방측으로 배출되는 뿌리채소류를 받는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측은 상하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측에 있어서의 뿌리채소류의 일시적인 저류량은 변동하지 않으므로, 뿌리채소류의 수확량이 일시적으로 증대하여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측에서 뿌리채소류가 넘치는 것 같은 일은 없고, 수확작업을 적정한 상태에서 능률 좋게 행할 수가 있다.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기 축(43) 주위로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더욱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에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상기와 같이 ,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과 함께 승강할 수 있으므로,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내에 낙하할 때에 가능한 한 낙하거리를 작게 하여 뿌리채소류가 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구의 간략화를 일층 도모할 수 있는 것으로 되고, 게다가,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축 (43) 보다 아래쪽까지 하강가능하게 하고, 또한 상기 축(43) 보다 위쪽까지 상승가능하게 하도록,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승강범위를 설정하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에 의한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의 좌우방향으로의 이동량을 적게 할 수 있고,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B)가 좌우로 크게 흐트러진 자세로 되지 않도록 하여 뿌리채소류를 수용자루(B)에 수용시킬 수가 있다. 한편,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상기 축(43) 보다 아래쪽에의 하강량과, 상기 축(43) 보다 위쪽에의 상승량을 거의 같게 설정하면, 한층 더 바람직한 것으로 된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상기 축(43) 보다 위쪽에의 상승량을, 상기 축(43) 보다 아래쪽에의 하강량보다 크게 설정하면, 상하 폭의 큰 수용자루(B)에 대하여 뿌리채소류를 대부분 수용시킬 수 있고, 작업능률의 일층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예의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은,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의 좌우 전후의 4곳을 지지하는 전후의 내측지지부(40a, 40a)와 전후의 외측지지부(40b, 40b)를 구비하고 있고, 상측 개구부를 넓게 개방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으로부터 방출되는 뿌리채소류를 적정하게 수용자루(B)내에 수용시킬 수가 있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하쪽 부위의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지지하는 중간지지부(40c)를 설치하고 있으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 아래쪽 부위의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가 느슨해져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으로부터 방출되는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B)의 외측으로 넘쳐흘러서 떨어지는 일이 없고, 뿌리채소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수용자루(B)내에 수용시킬 수가 있 다. 또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에 있어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좌우방향 내측 부위를 지지하는 내측지지부(40a, 40a) 및 중간지지부(40c)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측의 상하 회동과 함께 상하 회동하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프레임(구체적으로는, 회동롤러(37e)를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는 전후의 반송부 상하 회동측판)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과 함께,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지지하는 내측지지부(40a, 40a) 및 중간지지부(40c)가 상하 회동 하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 부위의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가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분리되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지지되고,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B)의 외측으로 넘쳐나와서 떨어지는 일이 없어, 뿌리채소류를 한층 더 정확하게 수용자루(B)내에 수용시킬 수가 있다.
한편, 본 예에서는, 내측지지부(40a, 40a), 외측지지부(40b, 40b), 중간지지부(40c)의 각각은,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에 설치한 구멍 또는 바퀴에 걸리도록 후크(hook)모양으로 형성하여 있고, 이 내측지지부(40a)와 외측지지부(40b)를 좌우 양단부에 형성한 행거(hanger, 40d)를 전후에 2개 설치하고, 이 전후의 행거(40d, 40d)의 좌우 중간부에 형성한 결합부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행거 지지 프레임(40e)의 전후 양단부에 결합시키고, 그리고, 그 행거 지지 프레임(40e)의 전후 양단부를,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프레임부(구체적으로는, 전후의 상기 반송부 상하 회동측판)에 설치하여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전후 양측부에서 좌우방향 외쪽측으로 연장되고, 또한 전후로 간격을 넓히면서 연장되는 전후의 설치 아암(40f, 40f)의 각 선단부에 연결하고, 각 지지부(40a, 40a;40b, 40b;40c)를, 상하 회동하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프레임부에 지지시키고 있다. 전후의 행거(40d, 40d)는, 행거 지지 프레임(40e)의 전후 양단부에 전후방향 축 주위로 회동이 자유롭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여 설치 아암(40f, 40f)이 상하 회동하여도 거의 수평자세를 유지하면서 상하 이동할 수 있으므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정확하게 상승시켜 갈 수 있어서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B)의 자세가 크게 흐트러지는 일이 없고, 뿌리채소류를 가득채울 때까지 수용자루(B)에 정확하게 수용시킬 수가 있다. 한편,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외측방에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 보다 앞쪽에서 뒷쪽에 걸쳐 기체를 평면에서 바라보아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행거 지지 프레임(40e)은, 행거(40d, 40d)와 연결하는 전후 양단부의 사이가 위쪽에 위치하도록 위쪽으로 굴곡시킨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특히,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낮은 위치에 하강시켰을 때에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방출된 뿌리채소류가 행거 지지 프레임(40e)에 닿지않도록 하고 있다.
한편, 도 10∼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으로 할 수도 있다. 즉,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프레임(구체적으로는, 전후의 상기 반송부 상하 회동측판)으로부터 전후로 연장되는 내측 설치축(40g)의 전후 양단부 및 전후 중간부에 전후의 내측지지부(40a, 40a)와 중간지지부(40c)를 설치하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프레임부(구체적으로는, 전후의 상기 반송부 상하 회동측판)에 설치하여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전후 양측부에서 거의 평행한 상태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에서 좌우방향 외방측으로 연장되는 설치 아암(40h, 40h)의 각 선단부에 연결한 전후로 연장되는 외측 설치축(40i)의 전후 양단부에 전후의 외측지지부(40b, 40b)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구성하면, 뒷쪽의 내측지지부(40a)와 외측지지부(40b)의 좌우 사이에 설치부재가 배치되지 않고, 뒷쪽에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반송부(7)의 뒷쪽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수용자루(B)내에 수용된 뿌리채소류를 평탄하게 고르기 위하여 수용자루(B)내에 손을 넣어서 작업을 할 때에,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의 설치부 재 등이 방해되지 않고 작업이 쉽게 된다. 한편, 설치 아암(40h, 40h)을 판스프링 재(材) 등에 의한 탄성 변형가능한 부재로 구성하면, 수용자루(B)를 한층 더 밸런스 좋게 지지할 수가 있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 40')에 지지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내의 위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위치하고 있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방출된 뿌리채소류가 정확하게 수용자루(B)내에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는,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의 기체 내측 부위 주변에 위치하여 있으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에서 좌우방향 외측으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가 크게 위쪽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뿌리채소류가 기세 좋게 방출되어도 정확하게 수용자루(B)내에 수용된다. 더욱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뿌리채소류가 기세 좋게 방출되어 수용자루(B)로부터 튀어나가 버리지 않도록,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의 좌우방향 외측방으로, 얇은 고무시트나 두꺼운 비닐시트 등의 가요성 시 트(40j)를 매달아 설치하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방출되는 뿌리채소류를 이 가요성 시트(40j)에서 받아내서 수용자루(B)내에 정확하게 낙하시키도록 할 수가 있다. 가요성 시트(40j)는, 상기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에서는, 행거 지지 프레임(40e)에 매달은 상태로 용이하게 설치할 수가 있고, 또한,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에서는, 전후의 설치 아암(40h, 40h)에 매달은 상태로 설치할 수가 있다.
회수부(6)는 조종부(3) 보다 기체의 좌우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상태로 위치하고, 그 회수부(6)의 위쪽에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돌출한 상태로 위치하여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 바닥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등의 조종부(3)에서 우측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회수부 구성부재를 기체 프레임(17)에 대하여 축심이 전후방향의 설치축(6a, 6a)을 통하여 설치하고, 그 회수부 구성부재를 설치축(6a, 6a) 주위로 위쪽 회동시켜서 기체 내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납가능하게 설치한다. 더욱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은, 반송작업중의 작업시 상한위치보다 더 위쪽의 수납 상승위치로 회동시켜서 기체 내측방향으로 수납가능하게 설치한다. 이에 의해, 기체의 운반·이동시나 격납시에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된다. 한편, 반송부(7)를 하나의 무단반송벨트(37)로 구성하고, 또한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회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에 있어서, 반송벨트(37)를 느슨하게 하지 않고 도중에 굴절시키기 위하여 설치하는 텐션롤러(37h)가 반송벨트(37)의 하측에 대하여만 설치하고 있으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수납 상승위치로 회동시켰을 때는, 텐션롤러가 없는 쪽으로 절첩( 折疊)하여 반송벨트(37)를 느슨하게 하면서 회동시키는 상태로 되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수납시에 용이하게 크게 회동시킬 수 있고, 한층 더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이러한 수납시에,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크게 위쪽으로 회동시키면,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의 설치 아암(40f, 40f)이나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의 설치 아암(40h, 40h)이 위쪽으로 돌출하는 상태로 되므로, 그 설치 아암(40f, 40f;40h, 40h)을 절첩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기체를 더 컴팩트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회수부(6)의 회수부 구성부재는, 수납 상승위치로 회동시킨 상태의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아래쪽 공간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위쪽으로 회동시켜서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한층 더 기체를 컴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예에서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반송 시단부측에 설치한 축심이 전후방향의 축(43) 주위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구동하는 승강 구동장치(도면의 예에서는 전동 실린더이지만 유압 실린더라도 좋다) (44)를 설치하고, 그 승강 구동장치(44)를 작업자가 임의로 작동 조작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작동 조작구는, 반송부(7)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발로 조작가능한 발조작구(45)로 하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좌석(42)보다 앞쪽의 디딤판(41) 근방에 설치한 페달식 조작구로 하고 있다. 반송부(7)의 후방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반송부(7)를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양손으로 하면서, 수용자루(B)내에의 뿌리채소류의 수용상황을 확인하고, 뿌리채소류가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 부근까지 수용되면, 페달식 조작구(45)를 발로 조작하고,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적당히 상승 조작한다. 따라서, 작업자는 선별작업하는 손을 쉬게 함이 없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발조작으로 상승 조작할 수 있어, 작업능률도 양호하게 된다. 또한, 이 페달식 조작구(45)는 상승 조작만을 하므로, 조작이 단순하여 선별작업중이라도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 작업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페달식 조작구(45)를, 조작구로부터 발을 뗐을 때는 비조작시의 위치로 자동복귀하는 복귀기구를 구비하고, 그 페달식 조작구(45)을 한번 눌러 조작하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설정높이로 상승하여 자동적으로 정지하도록 설치하면, 선별작업중에 있어서의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승조작을 신속하며서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 조작성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페달식 조작구(45)를 한번 눌러 조작하여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승하여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 40')이 상승하지만, 이 상승량을 15∼25cm로 설정하면, 뿌리채소류가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에서 수용자루(B)내에 낙하하였을 때에 깨어짐 등의 손상이 생기기 어렵다.
또한, 상기 페달식 조작구(45)와는 별도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임의의 높이에 수동으로 상하 조작하는 수동조작구(45a)를 설치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기 페달식 조작구(45)에 의해 설정높이 상승시킨 후에,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의 위치를 보다 적정한 위치로 상하 조절할 수가 있어, 한층 더, 작업성, 조작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페달식 조작구(45)에 의한 상승 조작은 작업중에 상승할 수 있는 작업 상승 상한위치까지로 하고, 회수부(6)에서 뿌리채소류로 가득찬 수용자루(B)를 기체 바깥으로 배출할 때에 작업 상승 상한위치보다 더 위쪽으로 상승시켜서 퇴피시킬 때나 수납 상승위치까지 상승시킬 때는, 수동조작구(45a)로써 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별작업중의 페달 조작구(45)의 조작에 의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작업 상승 상한위치보다 위쪽으로 조작할 수 있지만, 가득 채워진 대중량의 수용자루를 부상시켜서 큰 부하가 걸려 파손되는 것 같은 상황을 회피할 수가 있다. 한편, 수동조작구(45a)로써 작업 상승 상한위치보다 위쪽으로 조작할 수 있지만, 선별작업시 이외에서 조작하므로, 주의를 하게 되어 상기와 같은 상황을 용이하게 알아차려서 회피할 수가 있다. 또한, 페달식 조작구(45)와 수동조작구(45a)를 동시에 조작하였을 때에는, 수동조작구의 쪽이 우선하여 동작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발의 동작보다 손의 동작으로 의식이 집중되므로, 안전하고 정확한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수동조작구(45a)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뒷쪽부분에 설치하고 있고, 반송부(7)의 뒷쪽에 위치하는 작업자뿐만 아니라, 수용자루(B)의 설치를 위하여 또는 가득찬 수용자루(B)를 기체 바깥으로 배출하기 위하여 기체 바깥의 회수부 근방에 위치하는 작업자로부터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성이 양호하게 된다. 또한, 조종부(3)에 위치하는 조종자에게서도 손이 닿는 위치에 있으면 조작성이 더 양호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성을 나타내는 제어 블록도를 도 12에 도시하고 있고, 그 도면에 있어서, 제어장치(C)와, 페달식 조작구(45)에 의해 절환되는 스위치(SW1)와, 수동조작구(45a)에 의해 절환되는 스위치(SW2)와, 그들의 스위치(SW1, SW2)의 절환신호가 입력되어서 제어장치(C)가 승강 구동장치(44)에 제어 출력하는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상기한 페달식 조작구(45)를 페달의 전후 중간부를 좌우방향의 축주위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고, 페달 앞 부분을 아래쪽 회동가능하게, 또한 페달 뒷 부분를 아래쪽 회동가능하게 구성하고, 더욱이, 전후 회동 중립위치로 자동복귀하는 복귀기구를 설치하고, 페달 앞 부분을 아래쪽 회동조작하였을 때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승 동작하도록 설치하고, 페달 뒷 부분를 아래쪽 회동조작하였을 때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하강 동작하도록 설치하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양방향의 조작을 발조작만으로 행할 수 있고,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의 위치를 지나치게 상승시켰을 때 하강 조작하여 적정한 위치에 상하 조절하는 것이 선별작업중에 발조작으로 행할 수 있어, 한층 더, 작업성, 조작성이 양호하게 된다. 한편,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승시키는 상승 조작페달과 하강시키는 하강 조작페달을 따로따로 설치할 수도 있다.
작업중에 하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승 조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임의로 발 또는 손으로 조작하여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자동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선별작업중의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승 조작을 불필요하게 하여, 작업성, 조작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도 13의 제어 블록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용자루(B)의 바닥부를 받아서 지지하는 지지대(39)의 아래쪽에 그 지지대(39)의 저면에 접하여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B)의 중량을 검출하는 센서(WS)를 설치하고, 이 센서(WS)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승강 구동장치(44)을 구동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고, 수용자루(B)내의 뿌리채소류의 증가에 따르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 부측의 상승을 자동적으로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한다.
본 예의 뿌리채소류 수확기(1)는, 기체를 전후진가능하게 자동주행시키는 주행장치(2)와, 탑승한 조종자가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부(3)와, 뿌리채소류를 논밭에서 뽑아 반송하고 경엽부를 절단하여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측을 수확하는 수확부(4)와,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용하는 수용자루(B)를 설치하는 회수부(6)와, 상기 수확부(4)로부터 뿌리채소류를 받아서 상기 회수부(6)로 반송하는 반송수단(5, 7)을 설치한 구성으로 하고, 더욱이, 상기 회수부(6)에 반송부(7)에 의해 반송되어 온 뿌리채소류를 내측에 수용한 수용자루(B)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9)를 설치하고, 그 지지대(39)를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 또는 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자세변경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회수부(6)의 수용자루(B)가 뿌리채소류로 가득 채워져서 그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를 기체 바깥으로 배출할 때에, 지지대(39)를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 또는 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것만으로, 그 경사자세로 된 지지대(39) 위를 수용자루(B)가 지면(GL)까지 미끄러져서 이동하므로, 가득 찬 수용자루(B)를 지면으로 하강시키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지지대(39)의 앞쪽 또는 뒷쪽의 지면(GL)에 수용자루(B)를 하강시키는 구성이므로, 지면(GL)까지 수용자루(B)를 이동시킨 후는, 지지대(39)를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하여 지지대(39) 앞쪽의 지면에 수용자루(B)를 하강시킨 경우에는, 기체를 후진시키는 것만으로, 수용자루(B)를 지지대(39)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지면에 기립상태로 할 수가 있다. 지지대(39)를 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하여 지지대(39) 뒷쪽의 지 면에 수용자루(B)를 하강시킨 경우에는, 기체를 전진시키는 것만으로, 수용자루(B)를 지지대(39)로부터 완전히 분리하여 지면에 기립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또한, 수용자루(B)의 지면에의 이동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본 예에서는, 지지대(39)는, 수용자루(B)의 저면을 지지하는 평탄한 상면을 갖는 대부(台部, 39a)와, 그 대부(39a)의 좌우 양측에 기립하는 측벽부(39b, 39b)와, 대부(39a)의 뒷쪽에 기립하는 후벽부(39c)를 설치하고, 대부(39a) 앞쪽에는 기립하는 벽부를 설치하지 않고 전방에 개방상태로 한 버켓(bucket) 형상으로 한 것으로, 수용자루(B)의 바닥부가 지지대(39)로부터 벗어나기 어려워서, 수용자루(B)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대부(39a) 앞쪽 부분은, 전방 오름 상태의 경사면부(39d)를 형성하고 있어서, 지지대(39)를 거의 수평자세로 하여 수용자루(B)를 지지하고 있을 때의 수용자루(B)의 전방으로의 벗어남을 억제할 수가 있고, 더욱이, 지지대(39)의 앞 부분을 전방 방향에 장착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 상태로 자세 변경하고, 또는, 지지대(39)의 앞 부분을 후방 방향에 장착한 상태에서 후방으로 낮아지는 상태로 자세 변경하고, 지지대상의 수용자루(B)를 지면(GL)에 미끄러지게 하여 이동시킬 때, 지지대(39)를 수평자세로부터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도중에 수용자루(B)가 미끄러져 떨어지려고 하지만, 지지대(39) 전단부에 형성한 경사면부(39d)로 수용자루(B)를 받아내서, 자세 변경 도중에의 수용자루(B)의 지지대(39) 위로부터 낙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지지대(39) 전단부를 지면(GL)에 접촉할때 까지 또는 지면(GL)의 위쪽 근방 부위까지 하강시켰을 때는, 경사면부(39d)는 지면(GL)에 대하여는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상태로 되고, 수용자루(B)의 지면(GL)에의 미끄러짐 이동을 허용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39)는 착탈이 자유로운 구성으로 하고 있다. 지지대(39)는, 지지대(39)의 뒷 부분에 설치한 결합부(39j)가 회동축(47)에 고착한 결합부재(46a, 46a)에 결합한 상태로 장착되고, 이 결합에 의해, 지지대(39)를 경사자세로 하여도, 지지대(39)가 수용자루(B)와 함께 벗어나 떨어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지지대(39)의 자세변경기구는, 도면의 예에서는, 착탈이 자유로운 지지대(39)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부재(39e)의 후단부에 축심 횡방향의 회동축(46)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그 회동축(46)을 기체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더욱이, 그 회동축(46)을 회동조작하여 지지대(39)를 거의 수평자세로부터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변경가능하게 하는 자세변경조작기구를 연결하고 있다. 회동축(46)의 기체측에의 설치구성은, 기체 프레임(17)에 설치 브래킷(bracket, 17a, 17a;17a, 17a)을 고착하고, 한편, 기체 프레임(17)의 우측부의 전후로 연장되는 프레임부를 따라 전후로 연장되는 세로 프레임(39f)을 설치하고, 그 세로 프레임(39f)에 고착한 설치 브래킷(39g, 39g, 39g, 39g)을 전후방향의 설치축(6a, 6a)을 통하여 연결하고 있다. 또한, 종 프레임(39f)의 후단부에는 좌우방향 바깥쪽측으로 연장되는 가로 프레임(39h)을 고착하고, 더욱이, 그 가로 프레임(39h)의 외단부에 지지 플레이트(39i)를 설치하고, 이 지지 플레이트(39i)와 세로 프레임(39f)에 회동축(46)의 좌우 양단부를 회동이 자유롭게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자세변경 조작기구로서, 회동축(46)의 외단부 근방에 일체로 아암(47)을 설치하고, 그 아암 (47)에 나사부의 회동에 의해 신축가능한 신축로드(48)를 연결하고, 또한, 그 신축로드(48)의 후단부측을 지지하는 지지부(49)을 설치하고, 신축로드(48)의 나사부를 회동하여 신축 조작하는 조작핸들(50)을 설치하고, 그 조작핸들(50)의 회동조작에 의해 신축로드(48)가 신축 동작하고, 이에 의해 아암(47)과 함께 회동축(46)과 지지부재(39e)가 회동하여 지지대(39)이 회동축(46) 주위로 회동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들의 지지대 구성부재는, 자세변경조작기구도 포함하여, 설치축(6a, 6a) 주위로 위쪽 회동시켜서 기체측에 적절히 설치한 지지구로 지지하여, 수납상태로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세변경조작기구는 기체 뒷 부분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에 탑승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ㅇ어 조작성이 좋다. 한편, 다른 도면 예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대(39)의 회동축심으로 되는 회동축(46)을 지지대(39)에 대하여 앞쪽에 배치하여, 지지대(39)를 거의 수평자세에서 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변경가능하게 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자세변경조작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동조작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저비용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된다. 또한, 상기 자세변경조작기구의 신축로드로 변화시켜 전동 실린더나 유압 실린더 등의 신축 구동체(48a)로 하고, 조작핸들(50)로 변화시켜, 신축 구동체(48a)를 신축 구동 조작하는 스위치 등의 조작구를 조종부(3)에 설치한 구성으로 하면, 지지대(39)의 자세변경 조작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또한, 조종부(3)에 탑승한 조종자가 지지대(39)의 자세변경 조작을 하여 수용자루(B)를 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리고, 그 조작에 이어서 기체를 전진 또는 후진 조작할 수 있으므로, 수용자루(B)를 지면에 내리게 하는 작업을 한층 더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한편, 지지대(39)를 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하여 지지대(39)의 뒷쪽의 지면에 수용자루(B)를 내리게 하는 구성으로 하였을 경우에는, 수용자루(B)가 지지대(39)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기 어려울 때에 기체 뒷 부분에 탑승하도록 한 작업자가 기체 후방에 수용자루(B)를 잡아 당기는 것을 신속하게 행할 수가 있다.
도 20∼24에는, 회수부(6')로 회수된 뿌리채소류가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를 기체 위에 적재하여 두고 적재부(51)를 회수부(6')의 기체 앞쪽에 설치하고, 회수부(6') 위의 수용자루(B)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적재부(51) 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의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를 기체 위에 적재하여 수확작업을 계속할 수 있어, 수확작업의 능률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수확작업을 논밭 가장자리까지 계속하고 나서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를 지면으로 내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고,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의 회수작업도 신속하게 행할 수 있어, 수확한 뿌리채소류의 운반작업의 능률향상도 도모된다.
또한, 수용자루(B)를 지지하는 지지대(39)를 회수부(6')로부터 적재부(51)에 걸쳐 복수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가능하게 하고, 지지대(39)를 회수부(6')로부터 전방으로 이동시켜서 적재부(51) 위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수용자루(B)를 지지대(39) 위에 재치(載置)한 상태인 채로 회수부(6')로부터 적재부(51)로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적재부(51)에 있어서 안정한 상태로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를 적재하여 둘 수가 있다.
회수부(6')로부터 적재부(51)에 걸쳐 횡축 주위로 회동이 자유로운 롤러(52…)를 복수 설치하고, 그 롤러(52…) 위에 지지대(39)를 설치하여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회수부(6')로부터 적재부(51)에의 수용자루(B)의 이동을, 비교적 가벼운 힘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동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재부(51)에서 지지대(39)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9e')를 거의 수평자세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자세 변경가능하게 설치하였으므로, 적재부(51)에 적재한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B)를 지면에 용이하고 신속하게 내리게 할 수 있어, 작업능률이 양호하게 된다.
더욱이, 회수부(6')로부터 적재부(51)까지 지지대(39)를 이동시키면, 지지대(39)의 일부(본 예에서는 결합부(39j))와 지지대(39)를 지지하는 쪽에 설치한 결합부재(46a')가 결합하여 지지대(39)의 전방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적재부(51)에서 지지대(39)를 거의 수평자세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자세로 자세 변경하였을 때, 수용자루(B)와 함께 지지대(39)가 벗어나 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써, 지지대(39)를 아래로 받친 상태에서 수용자루(B)가 지면으로 내리게 되어버리는 일이 없어, 작업능률이 양호한 것으로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과 비교하면, 회수부(6')에는 자세변경기구는 설치하지 않은 구성이고, 적재부(51)에, 수용자루(B)를 지지하는 지지대(39)를 거의 수평자세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자세로 자세 변경하는 자세변경기구를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39)의 자세변경기구의 구체적 구성은, 상기한 회수부 (6)의 지지대(39)의 자세변경기구와 같은 기구를 채용하고 있다. 도면의 예에서는, 같은 기능을 갖는 부분에 대하여는 같은 부호를 붙이고 있다.
상기 구성으로 한 뿌리채소류 수확기에 있어서,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B)가 회수된 뿌리채소류로 가득 채워졌을 때는, 회수부(6')에서 적재부(51)로 그 수용자루(B)를 이동시킨다. 이 때, 지지대(39)는, 횡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52…)를 회수부(6')로부터 적재부(51)에 걸쳐 복수 설치한 지지부(53) 위에 지지시킨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적재부(51) 위에 아무것도 적재하지 않고 있는 지지대(39)를 제거하고, 그 후, 작업자가 뿌리채소류로 가득 채워진 수용자루(B)를 전방에 누름으로써 수용자루(B)를 위에 적재한 지지대(39)를, 지지부(53)의 롤러(52…)을 회전시키면서 지지부(53)상을 전방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가 있다. 적재부(51) 에는, 지지대(39)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횡축 주위로 회전이 자유로운 롤러(52…)를 복수 설치한 지지부재(39e')를 설치하고 있고, 그 후단부를 상기와 마찬가지인 축심 횡방향의 회동축(46)에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이 회동축(46)을, 상기와 마찬가지인, 아암(47), 신축로드(48), 지지부(49), 조작핸들(50)로써 구성한 자세변경조작기구에 의해, 회동축(46)을 회동조작하여 지지부재(39e')와 함께 지지대(39)를 회동축(46) 주위로 회동시켜서 거의 수평자세에서 전방으로 낮아지는 경사자세로 자세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한편, 이들 수동조작기구를 바꾸어서 구동기구를 이용하여 자세 변경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회수부(6')로부터 가득 찬 수용자루(B)를 적재부(51) 위로 이동시키면, 먼저 제거하여 둔 지지대(39)를, 회수부(6') 위에 설치한다. 그리고, 수확작업을 계속한다. 그 후, 다시,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B)가 가득 차면, 우선, 적재부(51)상의 수용자루(B)를 그 지지대(39)를 전방으로 낮아지는 상태로 자세 변경하여, 상기와 같이 지면으로 내리게 한다. 그리고, 적재부(51)의 지지대(39)를 원래의 대략 수평자세로 자세를 되돌리고, 다시, 회수부(6)로부터 가득 찬 수용자루(B)를 적재부(51) 위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그 적재부(51) 위로 이동시킨 수용자루(B)를 그 지지대(39)를 전방으로 낮아지는 상태로 자세변경하여, 상기와 같이 지면으로 내리게 한다. 이와 같이 작업을 진행시키면, 수확작업의 능률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적재부(51)에 가득찬 수용자루(B)를 이동한 후에 회수부(6')에 다시 설치한 수용자루(B)가 가득 차기 전에, 기체가 논밭 가장자리에 도달하였을 때에, 수용자루(B)를 적재부(51)로부터 지면으로 내리게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뿌리채소류를 수용한 수용자루(B)의 회수작업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고, 수확한 뿌리채소류의 운반작업의 능률향상도 도모할 수가 있다.
회수부(6')에 설치한 지지대(39)는, 그 뒷쪽에 설치한 스토퍼(stopper, 54)와 적재부(51)에 설치한 지지대(39)에 끼워져서 전후로 크게 벗어나는 일이 없도록 설치되어 있다. 적재부(51)에 설치한 지지대(39)는, 전방으로 낮아지는으로 자세 변경하였을 때에 지지대(39)가 벗어나 떨어지지 않도록, 지지대(39)의 일부(본 예에서는 결합부(39j))와 지지대(39)를 지지하는 쪽에 설치한 결합부재(46a')가 결합하여 지지대(39)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으므로, 회수부(6')에 설치한 지지대(39)가 앞쪽으로 벗어나서 적재부(51)에 설치한 지지대(39)에 닿아도, 그 이상 앞쪽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고, 적재부(51)의 지지대(39)의 이탈 방지기구가, 회수 부(6')에 설치한 지지대(39) 앞쪽으로의 이탈 방지도 겸하여, 구성의 간략화가 도모된다. 또한, 회수부(6')에 설치한 지지대(39)의 좌우방향으로의 엇갈림 방지는 지지부(53)에 설치한 좌우 가이드(55, 55)에 의해 행하여지고, 적재부(51)에 설치한 지지대(39)의 좌우 방향으로의 엇갈림 방지는 지지부재(39e')에 설치한 좌우 가이드(56, 56)에 의해 행하여진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의 좌석(42) 앞쪽에서 반송부(7)의 뒷쪽에는,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로부터 선별하여 꺼낸 불량한 뿌리채소류를 논밭으로 낙하 안내하는 낙하통로(57)의 투입부를 배치하고 있다.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 앞쪽에는 반송부(7)와 조종부(3)가 있고, 좌측에는 수확부(4)의 뒷 부분과 잔엽처리부(5)가 있고, 우측에는 회수부(6)가 있기 때문에, 꺼낸 불량한 뿌리채소류는, 기체 앞쪽 및 좌우측쪽으로 내던질 수 없다.
전방 방향에서 후방으로 내던지면, 던진 불량한 뿌리채소류가 실수로 미수확한 논밭쪽으로 날아 가버릴 일이 있어, 수확의 장해로 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예에서는, 작업자는 전방 방향으로 앉아서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의 선별작업을 하면서, 작업자 앞쪽에 있는 낙하통로(57)내에 투입하여 불량한 뿌리채소류를 논밭의 정확한 부위로 떨어뜨릴 수 있다. 낙하통로(57)는, 디딤판(41)을 관통하여 기체 아래쪽의 논밭에 도달하도록 형성한 통모양의 안내통로로써 구성하고, 또는, 좌석(42) 앞쪽 하방 부위에서 좌석(42)의 하방을 통하여 기체 후방으로 연장되는 슬로프(slope)모양의 슈터(shooter)로 구성할 수도 있다. 수확부(4) 의 절단장치(31)에 의해 절단되어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에서 잘라진 경엽부는, 수확부(4)의 경엽부 반송벨트(32, 32)로 기체 후방으로 반송되어, 그 반송벨트의 후단부에서 후방으로 꺼내진다. 꺼내진 경엽부는, 인접하는 미수확측 논밭으로 낙하시키지 않도록 배엽(排葉) 슈터(58)에 의해 기체의 좌우방향 내측으로 근접시키면서 낙하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엽부가 낙하 배출되는 배엽 슈터(58)의 아래쪽 배출부(58a)는,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의 좌석(42) 보다 뒷쪽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석(42)에 앉는 작업자에게 낙하 배출되는 경엽부가 걸리지 않고, 쾌적하게 작업을 행할 수가 있다. 한편, 경엽부가 낙하 배출되는 배엽 슈터(58)의 아래쪽 배출부(58a)가,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의 좌석(42)의 아래쪽으로 위치하도록 배엽 슈터(58)의 하부를 연장 설치하면, 좌석(42)에 앉는 작업자에게 낙하 배출되는 경엽부가 걸리지 않도록 하면서, 배엽 슈터(58)를 기체 후방에 많이 돌출시키지 않게 설치되어,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의 좌석(42)의 좌측방에는, 잔엽처리부(5)를 배치하고 있어서, 잔엽처리 롤러(38)에서 기체 우측 부위의 제1 컨베이어(36)는, 잔엽처리 롤러(38)에 의해 제거된 경엽부가 반송되어, 그 경엽부가 반송 종단부에서 낙하한다.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 종단부의 아래쪽은 개구되어 있고,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 종단부에서 낙하한 경엽부는 그 개구부를 통과하여 논밭으로 낙하한다. 한편, 잔엽처리부(5)의 위쪽을 안전을 위해 커버(cover, 5a)로 덮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그 커버(5a)를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 종단부의 오른쪽 및 그 아래쪽까지 연장하여 덮고, 그 연장한 커버부가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 종단 부에서 낙하한 경엽부를 논밭으로 낙하시키기 위하여 아래쪽에 형성한 상기 개구부로 안내하는 가이드를 겸하도록 한다.
그리고, 잔엽처리 롤러(38)로부터 기체 우측의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 종단부측 위쪽의 커버(5a)에는 개구부(5b)를 설치하고 있고, 이 개구부(5b)에,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로부터 선별되어 꺼내진 불량한 뿌리채소류를 투입 할 수도 있다. 개구부(5b)에 투입된 불량한 뿌리채소류는, 잔엽처리 롤러(38)에 의해 제거된 경엽부와 함께, 제1 컨베이어(36)의 반송 종단부에서 낙하하고, 그 아래쪽에 형성한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논밭으로 낙하한다(도 8 참조)
한편, 종래의 뿌리채소류 수확기는, 일본국 특개평 2004-89063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기체를 자동주행시키는 주행장치와, 탑승한 조종자가 기체를 조종하는 조종부와, 뿌리채소류를 논밭에서 뽑아서 반송하고 경엽부를 절단하여 뿌리채소류의 뿌리부측을 수확하는 수확부와, 수확한 뿌리채소류를 수용하는 수용자루를 설치하는 회수부와, 상기 수확부로부터 수확물을 받아서 상기 수용부로 반송하는 반송부를 설치하고, 기체의 좌측부에 앞쪽에서 뒷쪽에 걸쳐 상기 수확부를 배치하고, 기체의 오른쪽 앞 부분에 상기 조종부를 배치함과 함께, 그 조종부의 후방 근방에 상기 회수부를 배치하고, 상기 반송부에, 상기 수확부측에서 상기 수용부의 후방 부위를 향하여 횡방향으로 반송하는 횡반송부와, 그 횡반송부에서 뿌리채소류를 이어받아서 기체 후측에서 앞쪽 상방으로 들어올려 반송하여 상기 회수부에 설치한 수용자루의 상측 개구부내에 뿌리채소류를 방출하는 종반송부를 설치한 구성으로 한 뿌리채소류 수확기가 있다. 그리고, 이 뿌리채소류 수확기는, 횡반송 부에서 반송되는 뿌리채소류를, 그 횡반송부 앞쪽 또는 뒷쪽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선별작업하는 구성으로 하고 또한, 회수부에는, 회수부에서 뿌리채소류가 크게 낙하하여 손상하는 것 같은 일이 없도록, 수용자루의 바닥부를 승강가능하게 지지하는 승강대를 설치하고, 회수 초기에 승강대를 상승시켜서 수용자루내에 들어오는 뿌리채소류의 낙하거리를 작게 하고, 뿌리채소류의 회수량의 증대에 따라 승강대를 하강시켜 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더욱이, 회수부에 설치한 수용자루가 뿌리채소류로 가득 채워져서 그 수용자루를 기체 바깥으로 꺼낼 때는, 승강대를 기체 측방으로 인출하여 하강 회동시켜서 꺼내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수확한 농작물을 수용자루(B)에 수용하는 구성으로 한 농작물 수확기로서, 상기와 같이 구성한 것이므로, 종래와 같은 기체 뒷 부분측에서 앞쪽 상방으로 들어올려 반송하는 종반송부를 설치하지 않고, 기체의 좌우 일측부측에서 좌우 타측부측에 걸쳐 배치한 반송부(7)에 의해 농작물을 반송하여 회수부(6)에 직접 공급하는 것이므로, 종래 보다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되어, 기체의 조종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수확부(4)측으로부터 회수부(6)로의 반송부의 구성을 간략화 및 소형화할 수 있어, 기체의 컴팩트화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이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하여, 수용자루(B)내의 농작물 회수량이 적을 때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낮은 위치에 위치시켜서 회수부(6)에서의 농작물의 낙하거리를 작게 하고, 그리고, 수용자 루(B)의 회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승시킴으로써 농작물(B)을 넘쳐나오지 않도록 하면서도 크게 낙하하지 않도록 하면서 수용자루(B)에 가득 찬 상태로 될 때까지 수용시켜, 회수부의 구조를 소형화, 간략화할 수 있고, 더욱이, 기체의 컴팩트화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종래 보다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은 구성으로 되어, 기체의 조종성이 양호하게 되고, 또한, 수확부(4)측으로부터 회수부(6)로의 반송부의 구성을 간략화 및 소형화할 수 있고, 또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이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에 의해 회수부로 수용될 때에 농작물의 손상이 생기기 어렵도록 하고, 회수부의 구조를 소형화, 간략화할 수 있어, 기체의 컴팩트화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이, 기체의 전후 길이가 짧아서 기체의 조종성이 양호하게 되고, 수확부(4)측으로부터 회수부(6)로의 반송부(7)의 구성과 회수부(6)의 구조를 간략화, 소형화할 수 있고, 기체의 컴팩트화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가 있고, 또한, 그와 같이 구성한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에 대하여 작업자가 기체에 탑승하여 선별작업을 행할 수 있어, 작업성도 양호한 것으로 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더욱이, 작업자가 반송부(7)의 상하 이동이 적은 부위에서 또는 상하 이동하지 않는 부위에서 선별할 수 있어, 선별작업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고, 또한,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에서 지지되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이동에 의해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이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과 일체적으로 상하 이동하므로,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이동과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의 상하 이동의 기구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과 같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고, 또한,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에 대하여 작업자가 기체에 탑승하여 좌석(42)에 앉아서 선별작업을 행할 수 있고, 더욱이, 좌석(42)에 앉은 작업자는,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회동하였을 때의 상하 이동이 적은 부위에서 선별할 수 있어, 선별작업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Claims (5)

  1. 주행장치(2)와, 조종부(3)와, 농작물을 논밭으로부터 수확하는 수확부(4)와, 그 수확부(4)에 의해 수확된 농작물을 수용하는 수용자루(B)를 설치하는 회수부(6)와, 상기 수확부(4)가 수확한 농작물을 상기 회수부(6)로 반송하는 반송부(7)를 설치한 농작물 수확기에 있어서,
    기체(機體)의 좌우 일측부에 상기 수확부(4)를 기체 전후방향으로 배치하고, 기체의 좌우 타측부 앞쪽에 상기 조종부(3)를 배치함과 함께, 기체의 좌우 타측부의 뒷쪽에 상기 회수부(6)를 배치하고, 상기 반송부(7)는, 기체의 좌우 일측부측에서 좌우 타측부측에 걸쳐 배치하여 상기 수확부(4)가 수확한 농작물을 반송하여 상기 회수부(6)에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을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함과 함께, 상기 회수부(6)에 설치한 수용자루(B)의 상측 개구부를 넓힌 상태로 지지하는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이동과 함께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7)의 뒷쪽에 상기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의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탑승하기 위한 선별작업자용 탑승부(41, 42)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에서 반송 종단부까지의 도중에 설치한 전후방향축(43) 주위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자루 개구부 지지수단(40)을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에서 지지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시단부와 반송 종단부의 사이에 설치한 전후방향의 축(43) 주위로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이 상하 회동하는 구성으로 하고, 그 반송부(7)의 뒷쪽에 반송부(7)에서 반송되는 농작물의 선별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앉는 좌석(42)을 설치하고, 그 좌석(42)을 상기 반송부(7)의 반송 종단부측의 상하 회동축으로 되는 전후방향의 상기 축(43)의 후방 근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물 수확기.
KR1020050067704A 2004-07-29 2005-07-26 농작물 수확기 KR100627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2653A JP4293085B2 (ja) 2004-07-29 2004-07-29 農作物収穫機
JPJP-P-2004-00222653 2004-07-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6774A KR20060046774A (ko) 2006-05-17
KR100627684B1 true KR100627684B1 (ko) 2006-09-25

Family

ID=35899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7704A KR100627684B1 (ko) 2004-07-29 2005-07-26 농작물 수확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293085B2 (ko)
KR (1) KR100627684B1 (ko)
CN (1) CN10035533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95951B2 (ja) * 2006-03-10 2012-12-12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収穫機
JP5753705B2 (ja) * 2011-03-04 2015-07-22 ヤンマー株式会社 根菜収穫機
JP6358061B2 (ja) * 2014-11-28 2018-07-18 井関農機株式会社 作物収穫作業機
CN110050565A (zh) * 2019-04-23 2019-07-26 重庆智田科技有限公司 一种拔取式萝卜收获机器人
CN114223378B (zh) * 2021-12-30 2023-07-11 重庆智田科技有限公司 一种抓取式萝卜收获机器人
CN115956430B (zh) * 2022-12-20 2023-07-14 佳木斯大学 一种马铃薯挖掘放铺及秧茎还田一体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815A (ja) * 1986-06-24 1988-01-08 酒井 文子 ベツトシ−ツ
JP3222747B2 (ja) * 1996-01-10 2001-10-29 株式会社クボタ 根菜収穫機の根菜収納部構造
JP3222770B2 (ja) * 1996-06-10 2001-10-29 株式会社クボタ 根菜収穫機の回収部構造
JP3715408B2 (ja) * 1997-05-20 2005-11-09 小橋工業株式会社 農産物収穫機における収穫物搬送装置
JP2004089063A (ja) * 2002-08-30 2004-03-25 Kubota Corp 根菜収穫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93085B2 (ja) 2009-07-08
CN100355331C (zh) 2007-12-19
CN1726751A (zh) 2006-02-01
KR20060046774A (ko) 2006-05-17
JP2006034247A (ja)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7684B1 (ko) 농작물 수확기
JP4569703B2 (ja) 農作物収穫機
JP4905580B2 (ja) 農作物収穫機
JP4239920B2 (ja) 農作物収穫機
JP4905564B2 (ja) 農作物収穫機
JP4849167B2 (ja) 農作物収穫機
JP4849177B2 (ja) 農作物収穫機
JP2006034247A5 (ko)
JP3222786B2 (ja) 根菜収穫機の根菜回収部構造
JP2006034248A5 (ko)
JP4247578B2 (ja) 農作物収穫機
JP4849100B2 (ja) 農作物収穫機
JP4849138B2 (ja) 農作物収穫機
JP4905579B2 (ja) 農作物収穫機
JP4905476B2 (ja) 農作物収穫機
JP4379497B2 (ja) 農作物収穫機
JP4569208B2 (ja) 農作物収穫機
JP4367278B2 (ja) 農作物収穫機
JP2006034249A5 (ko)
JP4849125B2 (ja) 農作物収穫機
JP4849137B2 (ja) 農作物収穫機
JP4687816B2 (ja) 農作物収穫機
JP2014087287A (ja) 根菜類収穫機
JP2006034246A5 (ko)
JP4367271B2 (ja) 根菜類収穫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