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823B1 -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 Google Patents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823B1
KR100626823B1 KR1020040074094A KR20040074094A KR100626823B1 KR 100626823 B1 KR100626823 B1 KR 100626823B1 KR 1020040074094 A KR1020040074094 A KR 1020040074094A KR 20040074094 A KR20040074094 A KR 20040074094A KR 100626823 B1 KR100626823 B1 KR 100626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conveyor belt
cutting
confectionery materia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5342A (ko
Inventor
서상진
Original Assignee
서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상진 filed Critical 서상진
Priority to KR102004007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8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25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5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8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2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 B26D1/3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 B26D1/3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non-circular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parallel to the line of cut and rotating continuously in one direction during cutting, e.g. mounted on a rotary cylin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086Electric, magnetic, piezoelectric, electro-magnet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2210/00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 B26D2210/02Machines or methods used for cutting special materials for cutting food products, e.g. food slic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의 구조를 단순화 하여 떡 및 제과용 소재(2)의 가공특성에 따라 성형과 절단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므로서 제작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아울러 가공상황에 맞추어 증설과 축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여, 우수한 품질의 떡이나 제과류 소재를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선단측로울러(8)와 후미측로울러(10)에 콘베이어벨트(12)를 궤도형식으로 감아서 구성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12) 하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6)를 설치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12)상에 절단장치(14)가 설치되어 구동모터(16)로 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하면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절단하는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떡, 콘베이어벨트, 로울러

Description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Rice cake and confectionery of material a automatic cutting machine}
도 1 은 본 발명인 절단장치가 콘베이어벨트상에 설치된 상태도.
도 2 는 도 1 의 A - A선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인 절단장치의 동력전달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인 절단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인 절단장치의 분리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인 절단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7a, 7b, 7c는 본 발명인 절단장치의 작동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떡 및 제과용 소재 4 : 횡절단부 6 : 종절단부
8 : 선단측로울러 10 : 후미측로울러 12 : 콘베이어벨트
14 : 절단장치 16 : 구동모터 18,20,22 : 스프라킷
19 : 아이들스프라킷 24 : 체인 26 : 프레임
28 : 절단회전부재 30 : 원통부재 32 : 절단날
33 : 골 34 : 작동바 36 : 회전장축
38 : 측판 40 : 장공 42 : 충격링
44 : 플레이트 46 : 탈거면 48 : 가압면
50 : 고정돌부 52 : 지지판
본 발명은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정크기를 갖는 판상형의 떡(인절미) 및 제과용 소재를 먹기에 적당한 크기의 떡이나 제과용 소재를 단시간에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떡 및 제과용 소재의 자동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떡이나 과자류를 만드는 작업에 있어 이들의 소재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때 종래에는 사람이 손에 물을 묻혀가며 떡을 납작하게 만든 후 칼 등으로 소정의 크기로 절단하는 단계에서 조금 더 진보되어 콘베이어벨트상에 떡 및 제과용 소재를 올려 놓고 콘베이어벨트가 움직이는 방향의 끝단에 작두와 같은 칼날을 힌지작용으로 작동되게 하여 떡 및 제과용 소재가 그 위치에 도달하면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는 방법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모두 떡이나 과자류의 소재절단에 있어서, 그 크기나 모양이 일정하게 될 수 없어 작업의 숙련도가 필요할 뿐 아니라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적으므로, 대량주문이 있을 경우 이에 대한 대처가 불가능한 문 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수작업이나 콘베이어벨트에 의해 떡이나 제과용 소재를 절단할 경우에도 그 형상이나 모양이 일정치 못하여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받을 만한 제품의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떡 및 제과용 소재 절단장치를 소재 이송용 컨베이어벨트에 설치하여 떡 및 제과용 소재를 특정한 크기 및 모양(가로 및 세로 절단)으로 가공하고자 할 때, 그 가공 상황에 맞게 절단할 뿐 아니라 본 기계장치를 필요에 따라 종·횡절단장치를 함께 부가 또는 제거되게 하므로서 제과용 떡 및 제과용 소재를 길게 또는 사각형상으로 임의 조정할 수 있는 품질 좋은 떡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다른 목적으로는 절단장치의 구조를 단순화시켜 제작비용을 절감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선단측로울러(8)와 후미측로울러(10)에 콘베이어벨트(12)를 궤도형식으로 감아서 구성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12) 하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6)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상기 콘베이어벨트(12)상에 절단장치(14)가 설치되어 구동모터(16)로 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하면서 떡및제과용소재(2)를 절단하는 구조로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을 도 1, 2에서 보면, 미 도시된 제변기(일명 떡시루)에 의해 만들어진 떡 및 제과용 소재(2)(도 1 참조)(시루떡, 제과류 등)는 가로방향으로 절단하는 횡절단부(4)를 거친 후, 세로방향으로 절단하는 종절단부(6)의 장치를 거치게 함으로서 절편을 만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횡절단부(4)에는, 소정의 거리를 두고 회전하는 선단측로울러(8)와 후미측로울러(10)에 소재를 이송시키는 콘베이어벨트(12)가 궤도 형식으로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12)의 앞측 하부에는 지지로울러(13)(도 2 참조)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로울러(13)가 위치하는 콘베이어벨트(12)(도 1 참조) 상부에는 떡및제과용소재(2)를 동일한 길이로 절단하여 통과시키는 절단장치(14)가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고, 콘베이어벨트(12) 하부에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6)가 위치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횡절단부(4)(도 1 참조)의 출구측에는 이송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종 방향으로 절단하는 종절단부(6)가 배치되는데, 상기 종절단부(6)는 횡절단부(4)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지만 절단된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길이보다 폭이 큰 관계로, 상기 종절단부(6)의 폭은 횡절단부(4)의 폭 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구조를 하지만 크기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이때 상기 횡절단부(4)만 설치하고 종절단부(6)를 제거하면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길이에 비해 큰 폭으로 절단된 상태의 제품이 만들어지게 된다.
따라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소요되는 특성에 맞추어 특정한 모양으로 만들어지게 되고, 상기 이후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연속하여 특정한 모양으로 가공하고자 할 경우에는 종절단부(6)를 설치하거나 또 다른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선단측로울러(8)와 절단장치(14)와 구동모터(16)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라킷(22,20,18)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구동모터(16)의 스프라킷(18)에는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아이들스프라킷(19)이 맞물리면서 프레임(26)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스프라킷(22,20,18)과 아이들스프라킷(19)에는 동력을 전달하는 체인(24)이 감겨져 설치되고, 콘베이어벨트(12)(도 1 참조) 양측에는 지지역할을 하는 프레임(26)이 각각 수직으로 설치된다.
상기 횡절단부(4)와 종절단부(6)를 구성하는 프레임(26)에는 선단측로울러(8)와 후미측로울러(10)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구동모터(16)는 콘베이어벨트(12) 하부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횡절단부(4)와 종절단부(6)에 설치된 절단장치(14)들을 도 4 내지 6에서 살펴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절단장치(14)들에는 콘베이어벨트(12)(도 6 참조)상에 위치하면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회전부재(28)가 구성되는데, 상기 절단회전부재(28)에는 콘베이어벨트(12)의 폭 보다 작은 크기로 된 원통부재(30)가 형성되고, 상기 원통부재(30) 외주에는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절단하는 다수개의 절단날(32)이 방사형으로 배치되면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절단날(32)은 떡 및 제과용 소재(2)가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 골(33)을 형성하면서 소정의 높이로 형성되어 무늬를 갖게 되는데, 상기 무늬는 일자형면, 요철면, 지그재그형면, S자형면 중 어느 하나를 적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각각의 절단날(32)(도 5 참조) 사이에는 떡 및 제과용 소재(2)가 유입되고, 유입된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작동바(34)에 의해 밀어낼 수 있도록 작동바(34)가 내,외측으로 유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상기 작동바(34)는 절단날(32)의 폭 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상기 원통부재(30)에는 회전중심을 이루는 회전장축(36)이 양측을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시켜 고정 결합되고, 원통부재(30)의 양단부 측면에는 원형판으로 된 측판(38)이 절단날(32) 끝단부 지름 보다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나사로 고정 결합된다.
상기 측판(38)에는 다수개의 장공(40)이 골(33)과 같은 갯수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데, 이때 상기 장공(40)의 구멍 길이는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외측으로 밀어내기에 적정한 길이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골(33)에서 부터 시작하여 절단날(32)의 끝단부 보다는 낮은 위치까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장공(40)에는 작동바(34)가 일측을 통과 시키면서 유동할 수 있게 결합된다.
계속하여 상기 측판(38)의 외측에는 작동바(34)의 끝단부가 둘레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는 충격링(42) 이격되어 위치하고, 상기 충격링(42)은 회전장축(36)에 별도로 분리될 수 있게 헐겁게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때 충격링(42)은 원판형의 플레이트(44)로 형성하고, 플레이트(44) 외주는 작동바(34)와 미끄럼 면 접촉하는 탈거면(46)이 원호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탈거면(46) 양측단부에는 떡 및제과용 소재(2)에 의해 밀려져 내측으로 이동하는 작동바(34)가 재차 외측으로 이동하며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밀어 낼 수 있게 한 가압면(48)이 콘베이어벨트(12)에 대하여 떡이 유입되는 부분이 높고, 배출되는 부분이 낮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면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되는 충격링(42)에 의해 가려지는 측판(38)의 장공(40)은 충격링(42)의 탈거면(46)이 위치하는 부분에서 작동바(34)가 유동할 수 없도록 좁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가압면(48)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작동바(34)가 유동할 수 있도록 넓은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작동바(34)가 충격링(42)의 가압면(48)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장공(40)내에서 유동하여 이동할 수 있게 되고, 탈거면(46)을 따라 이동할 때에는 장공(40)내에서 고정된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44)의 일면에는 지지역할을 하는 고정돌부(50)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플레이트(44) 외측에는 지지판(52)이 프레임(26) 상부에 고정 설치되면서 고정돌부(50)를 나사로 결합하여 충격링(42)이 정지된 상태로 회전장축(36)상에서 머물러 있게 하고, 그리고 지지판(52)에는 회전장축(36)의 끝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베어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절단장치(14)의 회전장축(36) 일단부에는 체인(24)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라킷(20)이 지지판(52) 외측에 위치하면서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가공하기 위해 횡절단부(4)(도 1 참조)의 컨베이어벨트(12)상에 올려 놓고 구동모터(16)를 작동시키면, 동력은 스프라킷(20,18,22)과 아이들스프라킷(19)을 거쳐 체인(24)으로 전달되는데, 이때 횡절단부 (4)의 선단측로울러(8)는 회전하면서 콘베이어벨트(12)를 회전시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절단회전부재(28)의 전면에 도달시키게 되고, 상기 떡 및 제과용 소재(2)의 앞 부분은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날(32)(도 5 참조)에 의해 눌려지면서 골(33) 부분 측으로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회전하는 절단회전부재(28)와 측판(38)과 함께 회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작동바(34)가 탈거면(46)을 통과하면, 가압면(48)과 장공(40)의 외측단부 사이에 발생된 공간부에서 떡 및 제과용 소재(2)에 의해 밀려지며 가압면(48)에 밀착하게 되고, 이후로 상기 작동바(34)는 측판(38)과 함께 회전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가압면(48)에 밀착한 상태에서 경사진 면을 따라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작동바(34)는 원통부재(30)에 형성된 골(33) 내부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하여 절단회전부재(28)가 회전하면서 떡 및 제과용 소재(2)가 이송되면 절단날(32)의 끝단부는 지지로울러(13)가 위치하는 컨베이어벨트(12)상에 접촉하면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절단하게 되고, 동시에 작동바(34)는 가압면(48)에 접촉한 상태에서 장공(40)의 내측에 위치하여 있게 된다.
상기 떡 및 제과용 소재(2)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회전부재(28)를 통과하면 작동바(34)는 충격링(42)의 플레이트(44)에 형성된 가압면(48)을 이탈하여 탈거면(46)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작동바(34)는 장공(40)의 외측단부로 이동하며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골(33)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절단장치(14)로 부터 분리되어 소정의 길이 로 절단된 상태에서 컨베이어벨트(12)를 따라 이송 된다.
상기와 같이 횡 방향으로 절단된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절단날(32)의 길이와 같은 폭과, 절단날(32) 사이의 간격과 같은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큰 폭과 작은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모양으로 절단된 형태를 하게 된다.
상기 이후로 떡 및 제과용 소재(2)가 횡절단부(4)를 통과하여 종절단부(6)에 도달하면, 컨베이어벨트(12)를 따라 이송되면서 절단장치(14)를 통과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절단된다.
이때 상기 떡 및 제과용 소재(2)의 폭은 횡절단부(4)에서 절단될 때 절단날(32) 사이의 간격을 갖게 되고, 길이는 종절단부(6)에서 절단될 때 절단날(32) 사이의 간격을 갖게 되므로서 절편이 완성되어 반출된다.
상기와 같이 절단되는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적용된 절단날(32)의 무늬 모양에 따라 절단된 가장자리가 일자형면이나 요철면, 지그재그형면, S자형면 등으로 형성되면서 만들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는 달리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길게 횡절단 만을 하고자 할 때에는 횡절단부(4)만 설치하고 종절단부(6)를 제거하면, 떡 및 제과용 소재(2)는 횡절단된 제품만이 만들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절단부(6)를 제거한 상태에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가공할 수 있고, 상기 종절단부(6)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장치 이외에 특정 모양으로 가공할 수 있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작동바(34)가 충격링(42)에 형성된 가압면(48)과 탈거면(46)을 따라 이동하며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연속적으로 눌러 성형시키면서 탈거시키는 구조이므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종,횡방향으로 성형 및 절단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일정한 품질을 다량으로 생산할 수 있게 하며, 또한 절단장치(14)의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어서 제조원가를 낮출 뿐 아니라, 떡 및 제과용 소재(2)의 형상을 필요에 맞게 별도의 절단장치(14)를 부설 또는 제거가 용이하게 될 수 있게 하여 필요로 하는 제품생산이 가능하며, 또한 그 설치는 간편하게 할 수 있어서 비용절감 효과가 크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선단측로울러(8)와 후미측로울러(10)에 콘베이어벨트(12)를 궤도형식으로 감아서 구성하고, 상기 콘베이어벨트(12) 하부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16)를 설치하며, 상기 콘베이어벨트(12)상부에 구동모터(16)로 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원통부재(30)가 다수개의 절단날(32)을 외주에 방사형으로 형성하면서 구성되고, 상기 원통부재(30) 양단부에는 지지판(52)이 결합되면서 콘베이어벨트(12) 양측에 절단장치(14)가 설치되어 구동모터(16)로 부터 동력을 전달 받아 작동하면서 떡 및 제과용 소재(2)를 절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절단날(32) 사이에 작동바(34)가 설치되고,
    상기 원통부재(30) 양단부 측면에는 작동바(34) 외측을 통과시키며 결합하는 장공(40)을 방사형으로 다수 형성한 측판(38)이 각각 고정 결합되며,
    상기 작동바(34) 끝단부를 둘레에 배치한 충격링(42)이 측판(38)과는 분리되어 배치되면서 지지판(52)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원통부재(30)에 회전장축(36)이 고정 결합되면서 측판(38)과 충격링(42)을 통과하여 지지판(5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링(42)은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플레이트(44)로 구성되고, 상기 플레이트(44) 상부측은 원호 모양으로 된 탈거면(46)이 형성되며, 상기 탈거면(46) 끝단부에는 직선으로 된 가압면(48)이 연결되면서 플레이트(44) 하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면(48)은
    콘베이어벨트(12)에 대하여 떡이 유입되는 부분이 높고, 배출되는 부분이 낮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KR1020040074094A 2004-09-16 2004-09-16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KR100626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094A KR100626823B1 (ko) 2004-09-16 2004-09-16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4094A KR100626823B1 (ko) 2004-09-16 2004-09-16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42A KR20060025342A (ko) 2006-03-21
KR100626823B1 true KR100626823B1 (ko) 2006-09-20

Family

ID=37130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4094A KR100626823B1 (ko) 2004-09-16 2004-09-16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8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34666A4 (en) 2016-03-24 2019-11-27 Nissan Chemical Corporation ARYLAMINE DERIVATIVE AND USE THEREOF
CN113558188B (zh) * 2021-07-19 2023-12-22 金菜地食品股份有限公司 全自动绿豆糕生产系统及生产绿豆糕的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31Y1 (ko) * 1992-06-20 1994-09-28 임생규 떡 제조기
KR970005120A (ko) * 1995-07-28 1997-02-19 김 절단장치
KR200229053Y1 (ko) 2000-12-02 2001-07-19 이병열 인절미 자동 절단장치
KR200256881Y1 (ko) 2001-09-19 2001-12-31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떡성형기
KR20020029053A (ko) * 2002-04-01 2002-04-17 (주)기가레인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속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6731Y1 (ko) * 1992-06-20 1994-09-28 임생규 떡 제조기
KR970005120A (ko) * 1995-07-28 1997-02-19 김 절단장치
KR200229053Y1 (ko) 2000-12-02 2001-07-19 이병열 인절미 자동 절단장치
KR200256881Y1 (ko) 2001-09-19 2001-12-31 성광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떡성형기
KR20020029053A (ko) * 2002-04-01 2002-04-17 (주)기가레인 동축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접속 구조체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20022905300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5342A (ko) 2006-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1133A (ko) 면류 제조장치
KR100626823B1 (ko)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 절단 장치
KR101082596B1 (ko) 떡 절단장치
KR101774194B1 (ko) 곡물가공식품 분할용 절단기
KR100626824B1 (ko) 떡 및 제과용 소재 자동절단장치
DK2712506T3 (en) Roller forming device for forming a uniform blanket of confectionery mass
KR102192971B1 (ko) 새알심 제조장치
KR101739237B1 (ko) 물결무늬 감자스틱을 제조하기 위한 감자절단장치
JP4145772B2 (ja) 食品成形装置
JPH11127763A (ja) 縦型製麺機
KR102030348B1 (ko) 건어물 인열 장치
KR940006731Y1 (ko) 떡 제조기
KR102128259B1 (ko) 타래과자 성형기
KR100439866B1 (ko) 조각치즈제조방법과그장치
KR200464947Y1 (ko) 반죽물 안내부를 갖는 수제비 성형기
KR0138294Y1 (ko) 떡 성형장치
KR102156491B1 (ko) 제면기용 면발 절단장치
KR0167636B1 (ko) 떡 제조기
KR200283813Y1 (ko) 김밥 제조기
KR100514061B1 (ko) 꼬투리 김밥의 제조장치
KR200229053Y1 (ko) 인절미 자동 절단장치
KR0128395Y1 (ko) 김밥 자동 제조장치
JPS5920341B2 (ja) 食品自動成形機における定量供給装置
PL79182B1 (en) Apparatus for extruding flowable materials [gb1421453a]
JPH0671412B2 (ja) コンニャク片の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