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579B1 -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프레임 저감 방법 - Google Patents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프레임 저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579B1
KR100626579B1 KR1020040043150A KR20040043150A KR100626579B1 KR 100626579 B1 KR100626579 B1 KR 100626579B1 KR 1020040043150 A KR1020040043150 A KR 1020040043150A KR 20040043150 A KR20040043150 A KR 20040043150A KR 100626579 B1 KR100626579 B1 KR 100626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ixels
rearrangement
image signal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423A (ko
Inventor
이노우에신이치
오쿠자와마사히코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107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Abstract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재배열 회로(13)을 구비한다. 이로써, 화상 열화를 억제하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M × M의 행렬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회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화상의 다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계조, 의사 프레임

Description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AT MULTIPLE GRAY SCALES AND METHOD OF REDUCING MOVING-PICTURE PSEUDO-FRAME IN THE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의 제 1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에서 샘플링되는 2 × 2 화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재배열 처리(re-arrangement)가 실행되지 않는 상위 5비트의 화상 신호와,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는 하위 3비트의 화상 신호로 구성된 2 × 2 화상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로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입력 화상의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입력 화상에 대해 실행되는 재배열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7은 입력 화상의 다른 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입력 화상에 대해 실행되는 재배열 처리를 설명하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 3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제 4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5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제 6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 7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제 8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제 9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0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1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2의 실시예로서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포함된 화상 신호 처리 회로를 도시한 블록도.
기술분야
본 발명은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의 동화상 의사 프레임(pseudo-frame) 저감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예컨대, 일본국 특개평7-271325(A)호 공보에는 다계조 화상 표시 방식으로서, 64계조의 1필드를 휘도비가 1 : 2 : 4 : 8 : 16 : 32의 순으로 배열된 6개의 서브필드의 조합으로 계조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6개의 서브필드는 표시 순서가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을 이용하여 동화상을 표현한 경우는 점등하는 서브필드의 조합이 크게 변화하는 계조 변화(예를 들면, 63과 64, 31과 32, 또는 15와 16 등의 계조 사이에서의 변화)가 발생하면, 발광의 시간적 불균일성이 현저하고, 계조의 혼란이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계조의 혼란을 개선하는 방법으로서, 각 서브필드의 점등 순서를 교체하는 방법과, 1필드 내에서 분할하는 서브필드수를 늘리고, 계조를 표시할 때에 점등하는 서브필드의 조합이 2종류 이상 존재하도록 설정한다는 방법이 있다. 오차 확산법 등의 신호 처리로 계조의 혼란을 공간적으로 확산하는 방법도 있다.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서, 소위 등화(equalizing) 펄스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이 Display and Imaging 1997, Vol.5, pp. 229-240에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제안된 등화 펄스법에 의하면, 서브필드법을 채용하고 있는 디스플레이상에서 시선이 이동한 때에 계조의 혼란이 관측된다고 예상되는 경우에, 원 신호에 여분으로 발광을 가하든지 또는 광을 줄임에 의해, 계조의 큰 혼란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일본국 특개2003-157045호 공보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기 쉬운 개소의 화소를 교체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억제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제안된 방법에 의하면, 화소 배열의 교체를 명암의 혼란이 교대로 발생하도록 행함으로써, 계조의 혼란이 교대로 상쇄되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2N계조(N은 정의 정수)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 N개의 서브필드가 필요하다. 종래의 다계조 표시 방식에서는 발광의 시간적 불균일성을 작게 하여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시키기 위해 분할하는 서브필드 수를 (N + 1) 이상 늘린 경우에는 예를 들면,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경우는 유지 방전 기간이 짧아지고 휘도가 저하되어 버린다. 즉, 종래의 다계조 표시 방식에서는 휘도의 저하를 수반하지 않고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의 목적으로 서브필드 수를 증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다계조 표시 방식에서는 분할 서브필드 수를 늘린 경우라도 특정한 계조 레벨에서의 계조의 혼란은 발생하기 때문에, 특정한 계조 레벨에서의 계조의 혼란을 막을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종래의 오차 확산법 등의 신호 처리 방식에서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의 여부에 관계 없이 입력 신호에 대해 신호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생기는 영역 이외의 입력 신호를 열화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오차 확산법 등의 신호 처리 방식에서는 오차 확산법 등에 의해 확산된 계조의 혼란에는 규칙성이 없기 때문에, 확산한 계조의 혼란에 의한 영향을 미리 예상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상술한 등화 펄스법에서는 눈이 인식하는 화상의 혼란을 적게 하기 위해, 입력 신호에서 상(image)의 움직임을 검출하고, 상의 이동 속도에 응하여 신호를 보정하지만, 입력 영상에 따라서는 움직임 벡터 검출의 정밀도가 나빠지는 일이 있기 때문에, 잘못된 신호 보정에 의해 동화상 품질을 저하시켜 버리는 일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등화 펄스법에서는 움직이고 있는 상을 시선이 추종하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상을 시선이 추종하지 않는 경우에는 보정된 신호에 의거한 화상의 혼란을 인식하여 버리는 일이 있다는 문제도 있다.
화소 교체에 의한 동화상 의사 프레임 억제의 방법에서는 화질이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한 일본국 특개평 2003-157045호 공보에는 화소의 재배열 방법으로서 일방향 일렬의 화소를 교체하는 예가 기재되어 있지만, 상기 방법으로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억제 효과가 기대될 수 있는 것은 특정 방향 의 화상 이동에 대해서 만이고, 그 밖의 방향의 화상 이동에 대해서는 효과가 기대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화질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 가능하게 하고, 또한, 다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 가능하게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장치에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재배열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에 의한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은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기 때문에, 화소 신호의 전 비트 (all bits) 에 관해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한 경우에 비하여, 원래의 화소 신호에 의거한 화상에 대해서의 화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화질 열화를 억제하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는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재배열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에 의한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은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 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킴에 의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동화상의 이동 방향에 의존하지 않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부의 화소들으로서의 M × M의 행렬의 화소들에 대해, 90° 회전, 경상(鏡像) 반전, 그것들의 반복, 또는 그것들의 조합의 변위를 실행하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바람직한 한 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일부의 화소들으로서의 M × N 행렬의 화소들을 미러 화상 반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중의 복수의 비트 신호에 대해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재배열 처리가 행하여지는 비트 신호마다,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을 별개로 구비하는 것을 바람직한 예로 한다.
또한, 상기 경우, 화상 신호가 재배열되는 화소들의 범위를 상위의 비트가 될수록 작게 하여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화질의 열화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신호의 하위 n비트(n은 정의 정수)에 대해서만 상기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화질 열화를 보다 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상 신호에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 여부의 예측을 행하고,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한다고 예측한 경우에, 상기 발생이 예측되는 부위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들의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인 것을 바람직한 예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로 구성된다.
상기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도시 생략)과,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상기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 이, 상기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예측 실행 회로(11)와, 메모리(12)와, 재배열 회로(13)와, 위상 동기 회로(14)와, 서브필드(SF) 코딩 회로(15)와, 신호 컨버터(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는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예를 들면, 8비트 화상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화상 신호에서 표시되는 화소의 휘도와 동화상 의사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휘도를 비교하고, 그에 따라,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예측한다.
상기 메모리(12)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에서 발생되는 휘도를 기억한다.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는 상기 메모리(12)의 휘도를 판독하고 그 후 상술한 비교를 실행한다.
상기 재배열 회로(13)는, 상기 평가 실행 회로(11)가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예측하면, 화상 신호에 대한 재배열을 실행한다.
상기 위상 동기 회로(14)는 재배열 회로(13)에 의한 재배열 처리가 실행된 비트 신호(예를 들면, 하위 3비트)의 지연과, 상기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비트 신호(예를 들면, 상위 5비트)의 지연을 서로 동기한다.
상기 SF 코딩 회로(15)는 상기 위상 동기 회로(14)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복수의 서브필드로 구성된 화상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신호 컨버터(16)는 상기 SF 코딩 회로(15)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플라즈마 표시 패널이 구동되는 구동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는 어떤 화소들, 즉,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에 입력되는 입력 화상 신호 각각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 예측 실행 회로(11)는 2 × 2의 화소들, 즉, 2행 2열로 배치된 화소들을 샘플링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 단순화를 위해, 2 × 2의 화소들을 표시하는 화상 신호를 도 2에 도시된 한 예로서, 2 × 2 데이터(21)라고 한다. 또한, 이하, 2 × 2 데이터(21)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2행 2열의 화소들을 2 × 2 화소들이라고 한다.
예측 실행 회로(11)는, 상기와 같이 샘플링된 2 × 2 데이터(21)에 대해 후술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이 표시되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예측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는 2 × 2 데이터(21)에 포함되는 각 화소 데이터, 즉, 제 1의 화소 데이터(21a), 제 2의 화소 데이터(21b), 제 3의 화소 데이터(21c) 및 제 4의 화소 데이터(21d)에 기초하여 표시되는 각 화소의 휘도와, 동화상 의사 프레임 발생 휘도 메모리(12)에 기억된 동화상 의사 프레임 발생 휘도를 비교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되었는지의 여부를 예측한다.
상기 비교는 이하의 부등식에 따라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에 의해 실행된다. 상기 부등식은 수가 많지만 단순한 규칙성을 갖기 때문에 일부만을 기재한다. 이하,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생성 되는 휘도는 단순히 PF 휘도라도 언급된다.
제 1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제 1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1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제 1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제 1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2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 일부 생략 …
제 1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제 1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15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제 1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제 1의 화소 휘도 < 제 16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4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1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3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휘도 < 제 16의 PF 휘도 < 제 2의 화소 휘도
상기 부등식에서, 2 × 2 화소들은 제 1의 화소 데이터(21a)에 대응하는 제 1의 화소 휘도, 제 2의 화소 데이터(21b)에 대응하는 제 2의 화소 휘도, 제 3의 화소 데이터(21c)에 대응하는 제 3의 화소 휘도, 제 4의 화소 데이터(21d)에 대응하는 제 4의 화소 휘도를 갖는다고 가정된다.
PF 휘도는 점등하는 서브필드의 조합이 가로질러 크게 재배열되는 휘도로서 정의된다. 따라서, PF 휘도의 값과 그 갯수는 각 서브필드의 휘도 가중의 설정과 서브필드 코딩만에 의존한다. 적어도 하나의 PF 휘도(상술한 제 16의 PF 휘도)는 상기 메모리(12)에 기억된다.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는 상기한 부등식을 전부 이용하여 제 1의 조건이 충족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 1의 조건은 "2 × 2 화소들 중에 서로 이웃하는 화소들의 휘도의 사이에, 제 1의 내지 제 n의 어느 하나의 PF 휘도가 존재한다"라는 것이다.
평가 실행 회로(11)가 상기 제 1의 조건을 충족시킨다고 판정된 경우에, 즉 상기한 부등식의 적어도 어느 하나라도 충족된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재배열 처리 회로(13)는 8비트의 입력 화상 신호 중 하위 3비트의 재배열 처리를 실행한다.
제 1의 실시예의 상기 재배열 회로(13)에 의해 실행된 재배열 처리에 있어서, 화상 신호들은 어떤 화소들의 그룹에 포함된 화소들 중의 공통 필드에서 재배열 처리 된다. 예컨대, 2 × 2 화소들은 그 배열을 변화시키지 않고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다.
본 제 1의 실시예의 재배열 처리는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의 일부(예를 들면, 하위 3비트)에 대해서만 실행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재배열 처리는 2 × 2 데이터(21)의 일부로서 상위 5비트의 화상 신호(211)에 대해서는 실행되지 않는 반면에, 상기 재배열 처리는 2 × 2 데이터(21)의 일부로서 하위 3비트의 화상 신호(212)에 대해서는 실행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상기 재배열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제 1의 화소 데이터는 원래의 제 1의 화소 데이터(21a)의 상위 5비트와 원래의 제 2의 화소 데이터(21b)의 하위 3비트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재배열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제 2의 화소 데이터는 원래의 제 2의 화소 데이터(21b)의 상위 5비트와 원래의 제 4의 화소 데이터(21d)의 하위 3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배열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제 3의 화소 데이터는 원래의 제 3의 화소 데이터(21c)의 상위 5비트와 원래의 제 1의 화소 데이터(21a)의 하위 3비트로 이루어진다. 상기 재배열 처리의 결과로서 얻어진 제 4의 화소 데이터는 원래의 제 4의 화소 데이터(21d)의 상위 5비트와 원래의 제 3의 화소 데이터(21c)의 하위 3비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재배열 처리에 관해,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재배열 회로(13)에는 일부의 비트 신호(예를 들면, 하위 3비트)가 입력되고, 그 밖의 비트 신호(예를 들면, 상위 5비트)는 재배열 회로(13)에 입력되지 않고, 위상 동기 회로(14)에 입력된다. 재배열 처리는 재배열 회로(13)에서 상기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실행된다.
상기 재배열 회로(13)에 기억된 행렬(131)은 M행 M렬의 행렬이다. 즉, 상기 행렬(131)은 M × M의 행렬이다. "R"은 M × M의 행렬을 반시계 방향의 90°회전시키는 회전 행렬이다. 따라서, 회전 행렬(R)의 지수(p)를 1로 한 경우에, 행렬(131)은 반시계 방향으로 90°회전된다.
도 15에 있어서, "H"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행렬(131)에 대해 미러 화상 반전을 실행하는 반전 행렬이다. 본 제 1의 실시예에서, 미러 화상 반전은 행렬(131)에 대해 실행되지 않고, 따라서 반전 행렬(H)의 지수(q)는 0으로 설정된다.
위상 동기 회로(14)는 재배열 회로(13)에 의해 재배열 처리가 행해진 하위 3비트 신호(212)(도 3을 참조)의 지연과,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상위 5비트의 신호(211)의 지연을 서로 조정한다.
상기 위상 동기 회로(14)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SF 코딩 회로(15)에서 복수의 서브필드로 구성된 화상 신호로 변환된다. 그 후, 신호 컨버터(16)는 SF 코딩 회로(15)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를 플라즈마 표시 패널이 구동되는 구동 신호로 변환된다. 그 후, 상기 화상 신호는 상기 SF 코딩 회로(15)로부터 플라즈마 표시 패널로 출력된다.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상기 SF 코딩 회로(15)로부터 수신된 구동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즉, 상기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상기 회로(10)에 입력되고 상기 재배열 처리가 상기 재배열 회로(13)에 의해 실행된 화상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본 제 1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다.
이하, 플라즈마 표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도 4의 플로우 차트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화상 신호 처리 회로(10)에 의한 신호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 신호 처리에서, 예측 실행 회로(11)는 수신된 화상 신호에 포함되는 2 × 2 데이터(21)를 샘플링한다(스텝 S1).
그 후, 예측 실행 회로(11)는 상술한 제 1의 조건이 만족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 보다 상세하게는, 예측 실행 회로(11)는, 샘플링된 2 × 2 데이터(21)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이 표시되면, 상기 2 × 2 데이터(21)에 대응하는 2 × 2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중에서 서로 이웃하는 화소들 사이에서, 제 1 내지 제 N의 PF 휘도 의 어느 하나 사이에서 계조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가 제 1의 조건이 충족된다고 판정하면(스텝 S2의 YES), 상기 재배열 회로(13)는 제 1 내지 제 4의 화소 데이터(21a 내지 21d)의 하위 3비트에 대한 재배열 처리를 실행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재배열 회로(13)는 제 1 내지 제 4의 화소 데이터(21a 내지 21d)의 하위 3비트에 대해 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90°의 회전을 가한다(스텝 S3). 상기 예측 실행 회로(11)가 제 1의 조건이 충족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도(스텝 S2의 YES), 제 1 내지 제 4의 화소 데이터(21a 내지 21d)의 상위 5비트에 대해서는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다.
예측 실행 회로(11)가 제 1의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스텝 S2의 N0)에, 제 1 내지 제 4의 화소 데이터(21a 내지 21d)의 모든 비트에 대해서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는다.
상기 화상 신호는, 재배열 처리가 화상 신호의 어느 비트에 대해 실행되었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위상 동기 회로(14)에 입력된다. 상기 위상 동기 회로(14)는 수신된 화상 신호의 지연을 일정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의 조건이 충족되는 경우에, 상기 재배열 회로(13)에 의해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는 하위 3비트 신호의 지연과,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지 않는 상위 5비트 신호의 지연이 서로에 대해 조정된다.
그 후, 화상 신호는 SF 코딩 회로(15)의 대응하는 서브 필드로 변환되고(스텝 S5), 그 후, 플라즈마 표시 패널에 구동 신호로서 출력된다(스텝 S6).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 표시 패널은 수신된 구동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이하, 상기 재배열 회로(13)에 의해 실행된 상기 재배열 처리에 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1필드는 점등 순으로, 1, 2, 4, 7, 11, 17, 24, 32, 41, 52, 64의 휘도의 가중(제 1의 가중 조건)이 할당되는 11개의 서브필드로 구성된고, 화상은 8비트 계조로 표현된다.
도 5는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화상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의 2행의 각각에 관해, 휘도는 수평 방향으로 입력 화소마다 149, 150, 151, 152의 순서대로 변한다.
만일, 화상 신호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상기 휘도 가중을 갖는 입력 화상 신호에 대해 SF 코딩이 실행되면, 점등하는 서브필드의 조합(필드 내에서의 펄스 발광 프로파일)은 휘도(150)를 갖는 화소(P1)와 휘도(151)를 갖는 화소(P2) 사이에서 크게 다르게 된다. 상세하게는, 발광은 1로서, 비발광은 0으로서 표시된다고 가정한 경우에, 휘도가 상술한 휘도 가중을 갖는 서브 필드로 표시된다면, 휘도(150)는 〔1 1 1 1 1 1 1 1 0 1 0〕으로 표시되고, 입력 휘도(151)는 〔0 1 1 0 1 1 1 0 1 1 O〕로 표시된다. 따라서, 휘도 가중이 41인 서브필드 이전에 발광하는 각 서브필드의 발광 프로파일, 즉 휘도 가중〔1, 2, 4, 7, 11, 17, 24, 32, 41〕을 갖는 서브필드의 발광 프로파일은 크게 다르다. 그 결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화상 의사 프레임(N)을 발생시킨다.
단순화를 위해, 휘도(150 - 151) 사이에서의 휘도 변화가 생기는 경우에만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 것으로 한다. 즉, PH 휘도SMS 150과 151의 사이에 만 존재한다.
본 제 1의 실시예의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서, 예측 실행 회로(11)가 동화상 의사 프레임(N)의 발생을 예측하는 결과로서, 재배열 회로(13)에 의한 재배열 처리가 실행된다. 따라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즉,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뷰어가 인식하기가 어렵다는 것이 확인된다.
도 5에서의 중앙의 2 × 2 데이터(21)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하면, 제 1의 화소 휘도는 150, 제 2의 화소의 휘도는 151, 제 3의 화소의 휘도는 150, 제 4의 화소의 휘도는 151이다.
재배열 처리를 행함에 의해, 도 6의 섹션(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 5비트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고, 도 6의 섹션(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3비트는 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된다. 서로에 대해 상위 5비트와 하위 3비트를 함침에 의해, 도 6의 섹션(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휘도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도 6의 섹션(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의 행에서는 149, 151, 151, 152의 휘도 프로파일이 얻어지고, 한편, 하측의 행에서는 149, 150, 150, 152의 휘도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그 결과, 동화상 의사 프레임(20)이 발생되는 개소(site)는 공간적으로 확산된다. 상세하게는, 149와 151 사이에서 휘도가 변화하는 화소와, 150과 152 사이에서 휘도가 변화하는 화소는 서로로부터 분리된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2 × 2 데이터(21)과는 다르게, 뷰어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N)을 확실한 선으로 거의 인식하지 못한다. 즉, 동화상 의사 프레임(N)은 뷰어에 의해 거의 인식되지 않는다.
도 6에서, 섹션(a)에 도시된 휘도(144)는 휘도(150, 151)를 구성하는 8비트 중의 5비트 부분에 상당하는 값이다. 마찬가지로, 섹션(b)에 도시된 휘도(6, 7)는 휘도(150, 151)를 구성하는 8비트 중의 3비트에 상당하는 값이다.
도 7은 재배열 처리가 실행되지 않은 화상의 예를 나타낸다.
도 7은, 휘도 프로파일이 각각 0, 0, 255, 255인 상하의 2행의 각각에 배열된 화소를 도시한다. 서브 프로파일의 발광 프로파일은 휘도(0, 255)으로부터 매우 다르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N)이 생성된다.
도 7에 있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N)은 휘도가 0 내지 255까지 매우 다른 경우에 발생된다. 따라서, 상기 동화상 의사 프레임은 모니터에 의해 거의 인식되지 않고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문제를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재배열 회로(13)는, 예측 실행 회로(11)가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예측하는 결과로서 재배열 처리를 실행한다.
도 7의 중앙의 2 × 2 데이터(21)에 대해 재배열 처리가 실행된다고 가정하면, 제 1의 화소의 휘도는 0, 제 2의 화소의 휘도는 255, 제 3의 화소의 휘도는 0, 제 4의 화소의 휘도는 255이다.
재배열 처리를 행함에 의해, 상위 5비트는 도 8의 섹셕(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경되지 않고 유지되고, 도 8의 섹션(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위 3비트는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된다. 상기 상위 5비트와 상기 하위 3비트를 서로 합침에 의해, 도 8의 섹션(c)에 도시한 바와 같은 휘도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도 8의 섹션(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행에서는 0, 7, 255, 255의 휘도 프로파일이 얻어지고, 하부 행에서는 0, 0, 248, 255의 휘도 프로파일이 얻어진다.
만일, 재배열 처리가 모든 8비트에 대해 실행되지 않으면, 제1의 화소(0)의 휘도는 상기 재배열 처리의 결과로서 제 2의 화소(255)로 교체되고,또한, 제 4의 화소(255)의 휘도는 상기 재배열 처리의 결과로서 제 3의 화소(0)의 휘도로 교체된다.
이에 비해, 제 1의 실시예에서의 재배열 처리는 하위 3비트에 대해서만 실행되기 때문에, 예컨대, 원래의 화상에 관련된 화상 품질의 저하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의하면,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예를 들면, 2 × 2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재배열 회로(13))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열 회로(13)에 의한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발생을 저감할(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인식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화상의 다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실행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에 대한 화질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중의 하위 n비트(예를 들면, 하위 3비트)에 대해서만 실행하기 때문에, 입력 화상에 대한 화질의 열화를 보다 한 층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중의 복수의 비트 신호(예를 들면, 3비트)에 대해 실행하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한다.
또한, 화상 신호에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 여부의 예측을 행하고,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한다고 예측한 경우에, 상기 발생이 예측되는 부위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들의 화상 신호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결과로서 화질을 열화시키는 일이 없다.
상기한 실시예에서, 재배열 처리로서, M × M렬의 화소들로서, 2 × 2의 화소들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3행3렬 이상의 화소들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15의 "M"은 3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화소들을 반시계 방향(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90° 회전시키고 나서 화상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90° 회전을 복수회(예를 들면, 2회 또는 3회) 반복하고 나서 화상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15에서, 지수 "p"는 2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화소들을 미러 화상 반전시키고 나서 화상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15의 지수"p"는 0으로, 반전 행렬(H)의 지수"q"는 1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화소들에 대해, 미러 화상 반전과 회전을 조합시킨 변위(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90° 회전을 1 내지 3회와 미러 화상 반전과의 조합)를 실행하고 나서 화상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경우에, 도 15의 "p"는 1 내지 3으로, "q"는 1로 설정된다.
상기 회로(1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재배열 회로(13)를 포함할 수 있고, 그 경우에, 재배열 처리는 재배열 회로(13)의 각각에서 복수의 비트 신호의 각각에 대해 실행된다.
상기 회로(10)가 복수의 상기 재배열 회로(13)를 포함하는 경우에, 재배열 처리는 상위 비트의 화소의 적은 범위까지 실행될 수 있다. 상위 비트 신호는 재배열 처리에 의해 발생된 화상 품질의 악화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고, 하위 비트는 상기 악화에 의해 영향을 덜 받는다. 상위 비트의 화소의 적은 범위까지 재배열 처리를 함에 의해, 상기 재배열 처리는 상위 비트까지 실행되어 상위 비트 신호가 영향을 덜받는 것을 보장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는 광범위한 범위의 화소에서 하위 비트 신호에 대해 실행될 수 있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의 감소를 보장한다.
제 1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의 비트 신호(예를 들면, 하위 3비트분의 비트 신호)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예를 들면, 어느 1비트분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하위의 비트(하위의 1비트 또는 복수 비트)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상위의 어느 하나의 비트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위인지 하위인지에 관계없이 어느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에 한하지 않고, 전 비트 신호에 대해, 90° 회전, 미러 화상 반전, 그것들의 반복, 또는 그것들의 조합의 변위를 실행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M × M의 행렬의 화소들에 대해 변위를 실행하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하지 않고, M × N 행렬(N은 2 이상의 정의 정수)의 화소들을 미러 화상 반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16 내지 도 19 참조). 여기서, 도 16 내지 도 19에서 행렬(132)은 M × N 행렬(M≠N)의 행렬이다.
재배열 처리는 M × N 화소들에 대해 실행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M × N 화소 대해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 비트 신호에 대해 미러 화상 반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미러 화상 반전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비트 신호에 대해 미러 화상 반전을 실행하는 경우에, 재배열 처리가 행하여지는 비트 신호마다 재배열 회로(13)를 별개로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위 n비트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미러 화상 반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는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으로서, M × M의 행렬과 M × N 행렬의 화소들을 예시하였지만, 그 다른 임의 형상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화소들에 대해 실행하는 변위로서, 90°회전과 미러 화상 반전만을 예시하였지만, 그 밖의 변위(예를 들면, 점대칭으로 반전시키는 변위)를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90° 회전의 예로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예시하였지만, 시계 방향의 회전을 실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재배열 처리는 화소들의 그룹에 대해 실행되었다. 또한,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 중의 일부의 비트는 도 9 내지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소 중에서 재배열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동화상 의사 프레임은 저감하면서도, 원래의 화소 신호에 의거한 화상에 대한 화질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에 몇몇의 비트 신호는 이하의 방법에 의해 재배열 될 수 있다.
상기 재배열 처리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신호의 어느 부분(L 비트)에 대해서만 실행될 수 있고, 비트 신호의 나머지((N-L) 비트)에 대해서는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열 처리가 복수의 비트 신호에 대해 실행되는 경우에, 상기 회로(10)는 비트 신호 각각에 대한 재배열 처리를 각각 실 행하는 복수의 재배열 회로(1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재배열 처리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트 신호의 하부 n비트에 대해서만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재배열 처리는 공통 필드에 속하는 화소들에 대해 실행된다. 또한, 재배열 처리는 공통 필드에서만의 화소에 대해서 실행될 뿐 아니라, 시간 순소로 서로 인접한 복수의 필드에서 또한 실행될 수 있다.
상술한 경우에, 플라즈마 표시 장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로서 선택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다계조 화상을 표시하면 어떠한 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화질의 열화를 억제하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을 구성하는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기 때문에, 다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20)

  1.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로서,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만을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재배열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에 의한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2.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로서,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한 재배열 처리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에 의한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상기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상기 일부의 화소들으로서의 M × M의 행렬(M은 2 이상의 정의 정수)의 화소들에 대해, 90° 회전, 미러 화상 반전, 그것들의 반복, 또는 그것들의 조합의 변위를 실행하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상기 일부의 화소들으로서의 M × N 행렬(M, N은 2 이상의 정의 정수)의 화소들을 미러 화상 반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해,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5. 삭제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복수의 비트 신호에 대해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가 행하여지는 비트 신호마다,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을 별개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화상 신호가 재배열되는 화소들의 범위를 상위의 비트가 될수록 작게 하여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하위 n비트(n은 정의 정수)에 대해서만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신호에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의 여부를 예측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발생 예측 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수단은,
    상기 동화상 의사 프레임 발생 예측 수단에 의해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한다고 예측된 경우에, 상기 발생이 예측된 부위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들의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는 플라즈마 표시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12.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만을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13. 화상에 있어서의 각 화소를 소정 비트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함에 있어서 휘도의 가중이 이루어진 복수의 서브필드에 의해 1필드를 형성하여 계조 표현을 행하는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 동화상 의사 프레임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들 중의 일부의 화소들을 하나로 정리된 상태에서 변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화상 신호를 복수의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고,
    상기 재배열 처리 후의 화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을 표시하되,
    상기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일부의 비트 신호에 대해서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화소들으로서의 M × M의 행렬의 화소들에 대해, 90° 회전, 미러 화상 반전, 그것들의 반복, 또는 그것들의 조합의 변위를 실행하고 나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의 화소들로서의 M × N 행렬의 화소들을 미러 화상 반전시키고 나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화상 신호를 상기 화소들에 포함되는 화소 사이에서 교체하는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16. 삭제
  17.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복수의 비트 신호에 대해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화상 신호가 재배열되는 화소들의 범위를 상위의 비트가 될수록 작게 하여 상기 재배열 처리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19.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열 처리를,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비트 신호들 중의 하위 n비트(n는 정의 정수)에 대해서만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20.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 신호에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지 않고 화상을 표시한 경우에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하는지 여부의 예측을 행하고,
    동화상 의사 프레임이 발생한다고 예측한 경우에, 상기 발생이 예측되는 부위의 화소를 포함하는 화소들의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재배열 처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화상 의사 프레임 저감 방법.
KR1020040043150A 2003-06-12 2004-06-11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프레임 저감 방법 KR1006265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67953 2003-06-12
JP2003167953A JP4559041B2 (ja) 2003-06-12 2003-06-12 多階調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画偽輪郭低減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423A KR20040107423A (ko) 2004-12-20
KR100626579B1 true KR100626579B1 (ko) 2006-09-25

Family

ID=33509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3150A KR100626579B1 (ko) 2003-06-12 2004-06-11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프레임 저감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40252140A1 (ko)
JP (1) JP4559041B2 (ko)
KR (1) KR1006265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2701B (zh) * 2019-04-04 2021-07-09 网易(杭州)网络有限公司 图像展示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10349539A (zh) * 2019-06-24 2019-10-18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的显示驱动方法、显示面板以及显示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125A (ko) * 1999-12-24 2001-07-09 박종섭 의사 윤곽 보상 장치
KR20020014766A (ko) * 2000-08-17 2002-02-2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계조 처리방법
JP2003157045A (ja) * 2001-09-07 2003-05-30 Nec Corp 動画偽輪郭発生箇所の特定方法、画像信号の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の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22809B2 (ja) * 1995-10-24 2002-09-09 富士通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駆動方法及び装置
WO1998044479A1 (fr) * 1997-03-31 1998-10-08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de visualisation du premier plan d'images et dispositif connexe
JP2994631B2 (ja) * 1997-12-10 1999-12-2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dp表示の駆動パルス制御装置
US6614413B2 (en) * 1998-04-22 2003-09-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ethod of driving plasma display panel
US6407506B1 (en) * 1999-04-02 2002-06-18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and control-drive circuit for display apparatus
US6965389B1 (en) * 1999-09-08 2005-11-15 Victor Company Of Japan, Ltd. Image displaying with multi-gradation processing
JP2002023693A (ja) * 2000-07-06 2002-01-23 Pioneer Electronic Corp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3357666B2 (ja) * 2000-07-07 2002-1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2149106A (ja) * 2000-10-25 2002-05-24 Lg Electronics Inc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階調表示処理方法
JP4703892B2 (ja) * 2001-06-15 2011-06-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4698076B2 (ja) * 2001-07-06 2011-06-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
JP2003076316A (ja) * 2001-09-03 2003-03-14 Lg Electronics Inc 表示装置及び階調表示方法
KR100844836B1 (ko) * 2001-12-06 2008-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구동 방법 및 그 장치
KR100486715B1 (ko) * 2002-10-09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펄스수 변조방식 디지털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의사 윤곽감소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472483B1 (ko) * 2002-11-29 2005-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의사 윤곽 제거 방법 및 이에 적합한 장치
KR100700405B1 (ko) * 2003-04-28 2007-03-2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계조 표시 장치
KR20050091509A (ko) * 2004-03-12 2005-09-1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KR101062198B1 (ko) * 2004-04-09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2005321775A (ja) * 2004-05-01 2005-11-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ディスプレー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4125A (ko) * 1999-12-24 2001-07-09 박종섭 의사 윤곽 보상 장치
KR20020014766A (ko) * 2000-08-17 2002-02-25 구자홍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계조 처리방법
JP2003157045A (ja) * 2001-09-07 2003-05-30 Nec Corp 動画偽輪郭発生箇所の特定方法、画像信号の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の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003981A (ja) 2005-01-06
JP4559041B2 (ja) 2010-10-06
KR20040107423A (ko) 2004-12-20
US20040252140A1 (en) 200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65358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 gray scale display with subframes
US6496194B1 (en) Halftone display method and display apparatus for reducing halftone disturbances occurring in moving image portions
KR100514615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
KR1004972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N109036248B (zh) 显示驱动装置及子像素驱动方法
KR20050099303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8513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에 비디오 이미지를디스플레이하는 방법, 및 이에 대응하는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3747317B2 (ja) 動画偽輪郭発生箇所の特定方法、画像信号の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の処理装置
US20080049239A1 (en) Multiple tone display system
US20050052351A1 (en) Method of displaying video images on a display device, e.g. a plasma display panel
JP4203665B2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09186800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フリッカ判定方法。
KR100626579B1 (ko)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프레임 저감 방법
JP2004138783A (ja) 画像表示装置
JP2001125529A (ja) 階調表示方法及び表示装置
Mikoshiba 26.1: Invited Paper: Visual Artifacts Generated in Frame‐Sequential Display Devices: An Overview
JP2000259127A (ja) 階調表示方法
KR1005029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2002351390A (ja) 表示装置及び階調表示方法
KR10050293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2004233980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KR10041410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계조표시 처리방법
JP4578096B2 (ja) ディジタルディスプレイ装置にビデオ画像を表示する方法
EP2355081A1 (en) Video processing apparatus and video display apparatus
JP3889020B2 (ja) 画像信号の処理方法及び画像信号の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