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4615B1 -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4615B1
KR100514615B1 KR10-1999-7008113A KR19997008113A KR100514615B1 KR 100514615 B1 KR100514615 B1 KR 100514615B1 KR 19997008113 A KR19997008113 A KR 19997008113A KR 100514615 B1 KR100514615 B1 KR 100514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ctor
correlation value
block
unit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6027A (ko
Inventor
코바야시마사유기
나카지마마사미치
덴다하야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6929597A external-priority patent/JP415895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9094902A external-priority patent/JPH102749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9213954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45068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후지츠 제네랄
Publication of KR20000076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4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46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6Driving circuits for producing the waveforms applied to the driving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18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 G09G3/2022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by time modulation using two or more time intervals using sub-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 G09G3/29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using AC panels controlling the gas discharge to control a cell condition, e.g. by means of specific pulse shap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6Reduction of sub-frame artefa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10Special adaptations of display systems for operation with variable images
    • G09G2320/106Determination of movement vectors or equivalent parameters within the imag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2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luminous gas-discharge panels, e.g. plasma panels
    • G09G3/2803Display of gra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동벡터 검출부로 프레임 사이의 동벡터를 검출하고, 동화상보정부로 동벡터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블록내의 화소의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나 입력영상신호의 요동등에 기인하여, 동벡터검출부로부터 잘못된 동벡터가 출력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것, 또는 동벡터검출부로부터 잘못된 동벡터가 출력되여도 잘못된 동벡터가 동화상보정부에 입력하지 않도록 하므로서, 동화상 보정시에 화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 9 도는 동벡터검출부로부터 잘못된 동벡터가 출력되지 아니하도록 한 것이다. 제 9 도에 있어서, 노이즈나 요동등에 기인하여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로 분산이 생기고, 최저상관치검출부 20 으로 검출한 최저상관치 S 1 (예 : 9) 가 원점으로부터 멀리떨어진 틀린 블록에 대한 상관치이고, 원점에 가까운 블록에 대한 본래의 최저 상관치가 S 1 보다 큰 S 1 a(예 : 10) 로 변화된 경우, 상관치 교환부 26 은 상관치 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 중의 연산부 22 의 승산치 1.5 × S 1 이하의 승산치를 S 2(S 2≤S 1, 예를들면 0) 으로 치환하며, 치환전의 S 1 a 도 검출대상 범위에 포함한다. 동벡터 생성부 14 는, 상관치 S 2 의 복수 블록중에서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에 대한 상관치 S 2 (치환전의 S 1 a 에 대응) 을 검출하고, 이 검출 상관치의 블록위치와 원점과를 시점, 종점으로 하는 올바른 동벡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MOVING PICTURE CORRECTING CIRCUIT OF DISPLAY}
본 발명은,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 (또는 서브프레임) 로 시분할 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 (subfields) 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 (multitonal image) 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에 관한 것이다.
박형 (薄型), 경량의 디스플레이장치로서, P D P (Plasma Display Panel) 나 L C D (Liquid ciystal display) 판넬을 이용한 표시장치가 관심을 끌고 있다. 이 P D P 의 구동방식은, 종래의 C R T 구동방식과는 전혀 다르게 되있으며, 디지털화된 입력영상신호에 의한 직접구동방식이다. 따라서, 판넬면으로터 발광되는 휘도톤 (luminance tone) 은, 취급신호의 비트 (bit) 수에 의해 정해진다.
P D P 는, 기본적 특성이 다른 A C 형과 D C 형의 2 방식으로 나누어 진다. A C 형 P D P 에서는, 휘도와 수명에 대해서는 충분한 특성이 얻어지고 있지만, 톤 표시에 관하여서는, 시작레벨 (trial manufacture level) 에서는 최대 64 톤 (tone) 표시까지의 보고밖에 없었지만, 최근에는 어드레스 (address)·표시분리형구동법 (A D S 서브필드법) 에 의한 장래의 256 톤의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이 방법으로 사용되는 P D P 의 구동 시퀀스 (sequence) 와 구동파형은, 예를들면, 8 비트, 256 톤의 경우, 제 1 도 (a) (b) 와 같이 된다.
제 1 도 (a) 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 (frame) 은, 휘도의 상대비가 1, 2, 4, 8, 16, 32, 64, 128 의 8 개의 서브필드 S F 1 , S F 2, S F 3, S F 4, S F 5, S F 6, S F 7, S F 8 로 구성되며, 8 화면의 휘도가 조합하여 256 톤의 표시가 행해진다.
제 1 도 (b) 에 있어서, 각각의 서브필드는, 재생된 (refreshed) 하나의 화면분의 데이터의 기록을 행하는 어드레스기간과 이 서브필드의 휘도레벨을 정하는 지속기간 (sustaining duration) 으로 구성된다. 어드레스기간에서는, 최초 전 화면 동시에 각 화소 (pixel) 에 초기적으로 벽전하 (wall charge) 가 형성되며, 그 후 지속펄스가 전 화면에 주어져 표시를 향한다. 서브필드의 밝기는 지속펄스 수에 비례하고, 소정의 휘도로 설정된다. 이와같이 하여 256 톤 표시가 실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어드레스·표시분리형구동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는, 동화상 (moving image) 을 표시한 경우에 발생하는 시각적인 표시편차를 줄이기 위하여, 종래, 제 2 도에 나타낸바와 같은 동화상 보정회로가 설치되어 있었다. 제 2 도에 나타낸 동화상 보정회로는, 동벡터검출부 10 과 동화상보정부 11 로 구성되고, 이 동벡터 검출부 10 은, 제 3 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프레임메모리 12 와, 상관치연산부 13 과 동벡터생성부 14 로 구성되어 있다.
동벡터검출부 10 에서는 각 구성요소가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프레임메모리 12 가 입력단자 15 로 입력된 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현 프레임 화면의 하나의 프레임 앞의 화면 (이하 전 프레임 화면이라 함) 의 영상신호를 작성하고, 상관치연산부 13 이 현재 프레임 화면의 대상으로 하는 블록 (하나 또는 복수의 화소로부터되고, 예를 들면 2×2 화소) 을 기준으로 하고, 전 프레임화면의 동벡터 (motion vector) 의 검출영역내의 모든 블록에 대한 영상신호의 상관치 (차이값) 을 순차로 구한다. 그리고, 동벡터생성부 14 가 상관치가 최소로 되기전 프레임화면의 블록위치와, 동벡터 0 의 원점 (현재 프레임화면의 블록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위치) 와를 시점, 종점으로 하는 이동벡터 (이동방향과 이동량을 표시하는 신호) 를 생성하고, 이 이동벡터를 대상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동화상보정부 11 에서는, 동벡터검출부 10 의 검출치 (detected value)(즉 동벡터) 에 기초하여 입력단자 15 에 입력한 영상신호를 보정하고, 이 보정한 영상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서 P D P (도시생략) 로 출력하며, 대상 블록내의 화소에 대하여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하여 동화상보정을 행하고 있다.
다음에 동벡터검출부 10 내의 상관치연산부 13 이 상관치를 연산하는 작용을 상술한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제 4 도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프레임화면의 동벡터의 검출영역 K R 을 25 블록 (5 × 5 블록) 으로 하고, 이 검출영역 K R 내의 블록 Z B 51 의 위치에 있던 영상 (화상) 이, 현재 프레임화면에서는 블록 G B 33 의 위치로 이동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Z B 11 ∼ Z B 55, 현 프레임화면의 블록 G B 11 ∼ G B 55 의 각각이 2 × 2 화소 (또는 점(dots)) 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현 프레임화면의 대상블록이 G B 33 일때에는, 상관치연산부 13 은, 이 블록 G B 33 을 기준으로 하여 전 프레임화면의 검출영역 K R 내의 모든 블록 Z B 11 ∼ Z B 55 에 대한 영상신호의 상관치를, 제 4 도 (a) 에 이점 쇄선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따라서, 순차로 다음식에 의해서 산출한다.
S =│A1 - A2 │+│B1 - B2 │+│C1 - C2 │+│D1 - D2 │
전 식에서 A1, B1, C1, D1 은, 제 5 도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Z B 11 ∼ Z B 55 의 각각을 형성하는 화소의 휘도레벨을 나타내고, A2, B2, C2, D2 은, 제 5 도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 프레임 화면의 대상블록 G B 33 을 형성하는 화소의 휘도레벨을 나타낸다.
또, 동벡터생성부 14 는,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복수의 상관치를 비교하고, 제 4 도 (b) 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같이, 상관치가 최저로 되기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Z B 51 위치와, 동벡터 0 의 원점 (현 프레임화면의 블록 G B 33 에 대응한 위치에 있는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Z B 33 위치) 와를 시점, 종점으로 하는 이동벡터 M V 를 생성하고, 이것을 대상블록 G B 33 의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현 벡터화면의 기타블록 (예를들련 G B 11 이나 G B 55) 에 대해서의 동벡터도 같은 모양으로 구해진다. 이때, 전 프레임화면의 동벡터검출영역 K R 은, 대응하는 원점 (예를들면 블록 G B 11 이나 G B 55 에 대응한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Z B 11 이나 Z B 55 의 위치) 를 중심으로 한 주변의 25 블록 (5 × 5 블록) 으로 된다.
그러나, 입력영상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나 입력영상신호의 요동등에 의해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에 분산이 생긴 경우, 최저 상관치에 대응한 블록위치가 이동벡터의 시점 (또는 종점) 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므로, 사람의 눈으로부터 본 움직임을 나타내는 본래의 동벡터와는 다른 잘못된 동벡터를 검출하는 경우가 있었다.
예를들면, 설명의 편의상, 전 프레임화면의 검출영역 K R 을 9 × 9 블록의 81 블록으로 하고, 이 검출영역 K R 내의 블록 Z B 11 ∼ Z B 99 에 대하여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가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값으로 있었다고 한다. 이 제 6 도에 나타낸 상관치중,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전 프레임화면의 원점 (수평벡터「0」, 수직벡터「0」의 블록 Z B 55 위치) 에 가까운 블록 Z B 65 에 대한 상관치가 본래의 「0」으로부터 「10」으로 변환하고, 원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블록 Z B 82 에 대한 상관치가 본래의 「20」으로부터 「9」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러면은, 동벡터 생성부 14 는, 제 6 도에 나타낸 상관치를 비교하고, 최소 상관치 「9」에 대응한 블록 Z B 82 위치를 시점으로 하고, 원점을 종점으로 하는 동벡터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제 6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래의 최저 상관치 「0」에 대응한 블록 Z B 65 위치를 시점으로 한 수평벡터 「0」, 수직벡터 「1」의 동벡터가 아니고, 블록 Z B 82 를 시점으로 한 수평벡터 「-3」, 수직벡터「3」의 잘못된 동벡터가 출력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잘못된 동벡터에 기초하여 동화상보정부 11 에서 동화상보정을한 경우, 동화상보정에 의해 거꾸로 화질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들면, 제 7 도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B 11 ∼ B 33 의 9 블록 (3 × 3 블록) 에 있어서, 노이즈나 요동등의 영향을 받아 중심블록 B 22 의 동벡터의 검출치가 「2」또는「3」으로부터 「5」로 변화하고, 주변의 8 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의 동벡터의 검출치가 노이즈나 요동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2」나「3」으로 유지한다. 그러면, 주변 8 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내의 화소에 대하여서는 맞는 검출치 「2」,「3」에 기초하여 동화상보정이 행하여지는 것에 대하여, 중심의 블록 B 22 내의 화소에 대해서는 틀린 검출치 「5」에 기초하여 동화상보정이 행하여 지므로, 동화상보정에 의해 거꾸로 화질의 악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제 8 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B 11 ∼ B 33 의 9 블록 (3 × 3 블록) 에 있어서 노이즈나 요동등의 영향을 받은 3 블록 B 13 , B 22, B 33 에 대하여는 동벡터가 검출되지 아니하고 (움직임이 없음), 노이즈나 요동등의 영향을 받지않는 나머지의 6 블록 B 11 , B 12, B 21, B 23, B 31, B 32 에 대하여는 동벡터가 검출된 (도면중 햇칭으로 표시) 것으로 한다. 그러면 동벡터가 검출된 6 블록 B 11 , B 12, B 21, B 23, B 31, B 32 내의 화소에 대해서는 화질의 향상을 위한 동화상 보정이 행해지지만, 동벡터가 검출되지 않는 3 블록 B 13 , B 22, B 33 내의 화소에 대하여는 동화상 보정이 행하여지지않기 때문에, 동화상 보정에 의해 반대로 화질의 악화를 초래하여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된 것으로,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빌드로 시분할 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동화상표시시에 발생하는 시각적인 표시편차를 줄이기 위한 동화상보정을 한 경우에, 입력영상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나 입력영상신호의 요동등에 기인하여 화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 1 도는 어드레스·표시분리형 구동법을 설명한 것으로, (a) 는 256 톤의 구동시퀀스의 설명도, (b) 는 구동파형도임.
제 2 도는 종래예에 있어서의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회로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3 도는 제 2 도중 동벡터검출부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4 도는 제 3 도의 작용을 설명한 것으로, (a) 는 전 프레임화면을 나타낸 도면, (b) 는 현 프레임화면을 나타낸 도면임.
제 5 도는 상관치의 산출을 설명하기위한 블록의 구성예를 나타낸 것으로, (a) 는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2 × 2 화소) 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 레벨이 A 1, B 1, C 1, D 1 인 것을 나타낸 도면, (b) 는 현 프레임화면의 블록 (2 × 2 화소) 을 구성하는 각 화소의 휘도레벨이 A 2, B 2, C 2, D 2 인 것을 나타낸 도면임.
제 6 도는 제 3 도에 있어서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상관치 연산부로 구한 상관치에 분산이 생길때의 상관치데이터의 설명도임.
제 7 도는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의 검출치가,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주변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과 멀리떨어진 검출치로 된 경우를 나타낸 설명도로, (a) 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 B 11 ∼ B 33 중에서 검출치가 「2」의 블록의수가 가장 많은 경우, (b) 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 B 11 ∼ B 33 중에서 검출치가 「2」와「3」의 블록의수가 많고, 또한 동수의 경우의 설명도임.
제 8 도는 동화상부분중의 9 블록 B 11 ∼ B 33 중,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가, 노이즈나 요동등으로 검출되지 않은 경우 (동벡터 M V 22 = 0) 를 나타낸 설명도임.
제 9 도는 제 1 발명에 의한 동화상 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0 도는 제 9 도의 상관치 변환부로 치환되기 전과 후의 상관치데이터를 설명한 것으로, (a) 는 치환되기 전의 상관치데이터 1 의 설명도, (b) 는 치환된 후의 상관치데이터 2 의 설명도임.
제 11 도는 제 2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2 도는 1 개의 종선, 횡선, 경사선의 화상이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의 동벡터의 검출치의 1 예를 나타낸 것으로, (a) 는 종선화상, (b) 는 횡선화상, (c) 는 좌오름 경사선화상, (d) 는 우오름 경사선화상의 경우의 검출치의 설명도임.
제 13 도는 제 3 발명에 의한 동화상 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4 도는 하나의 종선, 횡선, 경사선의 화상이 소정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의 동벡터의 검출치의 다른예를 나타낸 것으로, (a) 는 종성화상, (b) 는 횡선화상, (c) 는 좌오름경사선화상, (d) 는 우오름경사선화상인 경우의 검출치의 설명도임.
제 15 도는 제 4 발명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6 도는 제 15 도중 동벡터지연부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7 도는 설정범위 S (3 × 3 블록) 내의 동벡터 있음의 블록과 동벡터 없음의 블록을 나타낸 것으로, (a) 는 동벡터있음의 블록수 K 가 설정치 Q (= 5) 이상인 경우 (내장을 행한 경우), (b) 는 동벡터있음의 블록수 K 가 설정치 Q 미만인 경우 (내장하지 아니한 경우)의 설명도임.
제 18 도는 제 5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9 도는 제 6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20 도는 제 7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임.
제 1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는,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의 프레임사이에 있어 블록 (예를들면 2 × 2 화소) 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이 동벡터검출부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블록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와를 설치하고, 상기 동벡터검출부는, 현 프레임화면의 대상블록을 기준으로하여, 전 프레임화면의 검출영역내의 모든 블록에 대한 영상신호의 상관치를 연산하는 상관치연산부와, 이 상관치연산부로 구한 복수의 상관치중 가장 상관성이 높은 최저 상관치 S 1 을 검출하는 최저 상관치검출부와, 이 최저상관치 S 1 에 계수 k (k >1) 를 곱하는 승산부와, 상관치연산부로 구한 복수의 상관치중 승산치 k·S 1 이하의 상관치를 설정상관치 S 2 (S 2 ≤S 1) 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상관치변환부와, 이 상관치변화부로부터 출력하는 설정상관치 S 2 중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에 대응한 상관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한 블록의 위치와 원점과를 시점, 종점으로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고, 동벡터로서 출력하는 동벡터생성부와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
설명의 편의상, 노이즈나 요동등에의해 상관치연산부로 구한 상관치에 분산이 생기며, 최저 상관치검출부로 검출한 최저 상관치 S 1 (예를들면 9) 이 원점으로부터 멀리떨어진 틀린 블록에 대응한 상관치로서, 원점에 가까운 블록에 대응한 본래의 최저 상관치 (예를들면 0) 가 S 1 보다 큰 상관치 S 1 a (예를들면 10) 으로 변화한 경우에 대하여 생각한다. 이경우, 제 6 도의 종래 예에서는 최저 상관치 S 1 에 대응한 블록위치와 원점과를 시점, 종점으로 하는 틀린 동벡터가 검출 되지만, 제 1 발명에서는 이와같이 틀린 동벡터의 검출이 방지된다. 즉 상관치변환부는, 상관치연산부로 구한 상관치중 승산치 k ·S 1 (예를들면 1.5 × S 1) 이하의 상관치를 S 1 이하의 설정상관치 S 2 (예를들면 0) 으로 치환하고, 치환전의 상관치 S 1 a 를 검출대상의 최저 상관치 (S 2) 에 포함시킨다. 동벡터생성부는, 복수의 최저 상관치중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에 대응한 상관치 (치환전의 상관치 S 1 a 에 대응) 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한 블록위치와 원점과를 시점, 종점으로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여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이때문에, 노이즈나 요동등에 기인하여 동벡터검출부로부터 틀린 동벡터가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고, 동화상보정부로의 동화상보정으로 화질이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는,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프레임 사이에 있어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대상블록을 포함하는 설정범위 S 내의 모든 블록에 대하여서의 동벡터검출부에 의한 검출치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한 검출치를 구하는 다수결처리부와, 이 다수결처리부로 구한 검출치에 기초하여 대상블록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와를 구비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나의 프레임을 n 개의 서브필드 S F n ∼ S F 1 으로 시분할 하고, n 비트의 입력영상신호의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생각하면, 동벡터검출부는 프렘임사이에 있어 블록의 이동방향 (예를들면 화면의 상방향) 과 이동량 (예를들면 1 프레임당 5 점 (5 화소)) 을 검출한다 (즉 동벡터를 검출한다). 다수결처리부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에 대해서의 동벡터검출에 의한 검출치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한 검출치를 구한다. 동화상보정부는, 다수결처리부로 구한 검출치에 기초하여 입력영상신호를 보정하고,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한다. 이 때문에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동벡터검출부로부터 틀린 동벡터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다수결처리로 불균일한 동벡터를 제거할수가 있으며, 동화상보정으로 화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는,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프레임사이에 있어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대상블록을 포함하는 설정범위 S 내의 모든 블록에 대해서의 동벡터검출부에 의한 검출치중에서 가장수가 많은 동일한 검출치를 구하는 다수결처리부와, 동벡터검출부에 의한 검출치가 동일한 블록이 설정범위 S 내에 있어서 대상블록을 포함하여 종, 횡, 경사의 어느 것인가에 연속하여 배열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시에 동일한 검출치를 출력하는 종·횡·경사검출부와, 이 종·횡·경사검출부의 검출출력이 있을때에는 종·횡·경사검출부가 출력하는 검출치를 선택하고, 종·횡·경사검출부의 검출출력이 없을때에는 다수결처리부로 구한 검출치를 선택하는 셀렉터와, 이 셀렉터로 선택한 검출치에 기초하여 대상블록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와를 구비하여 되는것을 특징으로한다.
본 제 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과 마찬가지로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동벡터검출부로부터 틀린 동벡터가 출력한 경우라도, 다수결처리로 불균일한 동벡터를 제거할수 있으며, 동화상보정으로 화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그 위에, 본 제 3 발명은. 하나의 종선, 횡선, 경사선의 화상이 소정방향으로 움직이는 것 같은 경우에, 종·횡·경사검출부의 검출출력으로 종선, 횡선, 경사선의 화상에 대해서의 검출치를, 다수결로 구함 검출치에 우선시키도록 한 것이므로, 화상의 세부까지 정확한 동화상보정을 행할수가 있다.
제 4 발명에 의한 동화상 보정회로는,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이 동벡터검출부의 검출치를 지연하여 대상블록과 주변블록으로부터 되는 설정범위 S 내의 각 블록의 동벡터를 구하는 동벡터지연부와, 설정범위 S 내의 모든 블록중에 동벡터 있음과 검출된 블록이 몇개 있는가를 계수하는 동벡터수계수부와, 이 동벡터수계수부의 계수치가 설정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비교하는 계수치 비교부와, 동벡터지연부와 계수치비교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동벡터를 출력하는 동벡터내장부와, 이 동벡터 내장부로부터 출력하는 동벡터에 기초하여 대상블록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와를 구비하고, 동벡터내장부는, 동벡터지연부로 구한 대상부블록의 동벡터가 없으며, 또한 계수치비교부가 비교 신호를 출력하고 있을때에,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가 있는 블록의 동벡터를 대상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이외일때에 동벡터지연부로 구한 대상블록의 동벡터를 출력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벡터지연부로 구한 대상블록의 동벡터가 없으며, 또한 계수치비교부가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있을 때에는, 동벡터내장부가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있음의 블록의 동벡터를 대상블록의 동벡터로서 동화상보정부에 출력한다. 즉, 대상블록의 동벡터가 없는 경우에도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있음의 블록의 수가 설정치 이상일때에는, 대상블록의 동벡터는 동벡터있음의 블록의 동벡터로 내장된다 (치환된다) 이때문에, 실제로는 동벡터가 있는데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동벡터가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에도, 동벡터내장부로 내장된 동벡터에 기초하여, 대상블록내의 화소에 대하여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할 수가 있으며, 대상블록과 주변블록과의 분산이 없어지고, 화질을 손상하는 일이 없이 동화상 보정을 행할수가 있다.
제 5, 제 6, 제7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는, 상기 제 2, 제 3, 제 4 발명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동벡터검출부를, 제 1 발명의 구성요소의 하나인 동벡터검출부로 치환하여 되고, 전단의 동벡터검출부로부터 틀린 동벡터가 출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동벡터검출부로부터 비록 틀린 동벡터가 출력되는 경우에도 후단의 회로에 의해 동화상보정부에 틀린 동벡터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므로, 더욱 정밀도를 높여, 동화상보정부에 의한 동화상보정으로 화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이것을 설명한다.
제 9 도는 제 1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에 있어서, 제 2 도 및 제 3 도와 동일 부분은 동일부호로 한다. 제 9 도에 있어서, 10A 는 동벡터검출부, 11 은 동화상보정부로, 상기 동벡터검출부 10A 는, 프레임메모리 12, 상관치연산부 13, 최저상관치검출부 20, 승산부 22, 지연부 24, 상관치변환부 26 및 동벡터생성부 14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임메모리 12 는, 입력단자 15 에 입력한 영상신호를 1 프레임 지연시켜 전프레임 화면의 영상신호를 작성하고,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출력한다.
상기 상관치연산부 13 은, 현 프레임화면의 대상으로 하는 블록 G B (예를들면 제 4 도 (b) 의 G B 33) 을 기준으로 하고, 전프레임화면의 동벡터의 검출영역 K R 내의 모든 블록 (예를들면 제 4 도 (a) 의 Z B 11 ∼ Z B 55) 와의 상관치(차이값을 순차적으로 구하여 출력한다.
상기 최저상관치검출부 20 은, 상기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복수의 상관치중 가장 상관성이 높은 최저상관치 S 1 을 검출하고, 검출한 최저상관치 S 1 을 출력한다.
상기 승산부 22 는, 상기 최저상관치검출부 20 으로 검출한 최저상관치 S 1 으로 미리 설정한 계수 1.5 (계수 k 가 1.5 의 경우) 을 곱하여 승산치 1.5 × S 1 을 출력한다.
상기 지연부 24 는, 상기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를, 상기 최저상관치검출부 20 및 승산부 22 의 신호처리에 요한 시간분 만큼 지연시켜 출력한다.
상기 상관치변화부 22 는, 상기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하고, 상기 지연부 24 로 소정시간 지연시킨 상관치중 승산치 1.5 × S 1 이하의 상관치를, 설정상관치 0 (설정상관치 S 2 = 0 의 경우) 로 치환하여 출력한다.
상기 동벡터생성부 14 는, 상기 상관치변환부 26 으로부터 출력하는 상관치를 비교하고, 복수의 설정상관치중 원점 (예를들면 제 4 도 (a)의 Z B 33 위치) 에 가장 가까운 위치의 블록에 대응한 상관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한 블록위치를 시점으로하고 원점을 종점으로 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며, 현 프레임화면의 검출대상의 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단자 16 으로 출력한다.
상기 동화상보정부 11 은, 상기 동벡터검출부 10 A 로 검출한 동벡터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단자 15 에 입력한 영상신호를 보정하고, 출력단자 16 을 거쳐서 P D P 측에 출력한다.
다음에, 제 9 도의 작용에 대하여 제 10 도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전 프레임의 검출영역 K R 을, 제 6 도에 나타낸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점 (현 프레임의 검출대상의 블록 G B 55 에 대응한 전 프레임의 블록 Z B 55 위치) 을 중심으로 한 81 개의 블록으로 한다. 그리고, 검출영역 K R 내의 블록 Z B 11 ∼ Z B 99 에 대하여 상관치 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가,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제 10 도 (a) 에 나타낸 바와같은 상관치데이터 1 (제 6 도와 같은값)으로 변화한것으로 한다.
즉, 상관치데이터 1 중 전 프레임화면의 원점 (블록 Z B 55 위치) 에 가까운 블록 Z B 65 에 대한 상관치가 본래의 「0」으로부터 「10」으로 변환하고, 원점으로 부터 멀리 떨어진 블록 Z B 82 에 대한 상관치가 본래의 「20」으로부터 최저의 「9」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기타의 블록에 대한 상관치는 변화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1) 최저상관치 검출부 20 은,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한 상관치데이터 1 중, 가장 상관성이 높은 최저상관치 「9」(S 1 = 9) 을 검출하고, 승산부 22 는 최저상관치 「9」에 계수 1.5 (k = 1.5) 을 곱하여 승산치 「13.5」(k · S 1 = 13.5) 을 출력한다.
(2) 상관치변환부 26 은, 상관치연산부 13 으로 구하고 연산부 24 로 소정시간 지연된 상관치 데이터 1 중, 승산치 「13.5」이하의 상관치를 설정상관치 「0」(S 2 = 0 의경우) 로 치환하고, 제 10 도 (b) 에 나타낸 상관치데이터 2 를 출력한다. 즉 상관치가 승산치 「13.5」이하의 블록 Z B 64, Z B 65, Z B 66, Z B 75 및 Z B 82 에 대한 상관치「12」, 「10」, 「12」, 「12」, 및 「9」를, 설정상관치 「0」 으로 치환하여, 검출대상범위를 넓힌다.
(3) 동벡터생성부 14 는, 상관치변환부 26 으로부터 출력하는 상관치데이터 2 의 각 상관치를 비교하고, 복수의 설정상관치 「0」(블록 Z B 64, Z B 65, Z B 66, Z B 75 및 Z B 82 에 대한 상관치)중,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 Z B 65 에 대한 상관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한 블록 Z B 65 위치와 원점을 시점, 종점으로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고 동벡터로서 출력단자 16 으로 출력한다. 즉 수평벡터 「0」, 수직벡터 「1」의 맞는동벡터를 출력단자 16 으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노이즈나 요동등에 기인하여 동벡터검출부 10 A 로 부터 틀린 동벡터가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화상보정부에 의한 동화상보정으로 화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관치변환부에 의해 치환되는 설정상관치 S 2 가 「0」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저 상관치 검출부로 검출된 최저 상관치 S 1 이하의 값 (예를들면 「5」) 이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승산부에 의해 최저상관치 S 1 (예를들면 「9」) 에 곱하는 계수 k 가 1.5 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이즈나 요동등으로 상관치에 분산이 생겨도, 본래의 최저상관치 (예를들면 상관치 「10」) 을 동벡터의 검출 대상 범위에 포함하도록 하기위하여, 1 을 넘는 계수이면 좋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관치연산부는, 검출대상의 블록 (예를 들면 G B 55 ) 에 대응한 위치에 있는 전 프레임화면의 블록 (예를들면 G B 55 ) 를 중심으로 한 주변의 복수블록 (예를들면 9 × 9 의 81 개의 블록) 을, 동벡터의검출영역 K R 로서 상관치를 산출하도록 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동벡터의 검출영역 K R 이, 제 4 도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 프레임화면의 대응한 블록 Z B 33 (G B 33 에 대응한 블록) 을 중심으로 한 일정영역 (예를들면 5 × 5 의 25 개의 블록) 의 경우나, 전 프레임화면에 대응한 블록을 중심이외의 위치에 포함하는 일정영역 (예를들면 5 × 5 의 25 개의 블록) 의 경우도 좋다.
제 11 도는 제 2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 도면에 있어서 제 2 도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 한다. 제 11 도에 있어서, 10 은 동벡터검출부, 11 은 동화상보정부, 30 은 다수결처리부 이다.
상기 다수결처리부 30 은, 대상블록을 포함하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에 대하여의 상기 동벡터검출부 10 에 의한 검출치 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 검출치를 구하여 출력한다. 예를들면, 제 7 도 (a) 에 나타낸 바와같이, 대상블록 B 22 의 검출치가「5」, 주변블록중의 B 11, B 12, B 21, B 31 및 B 32 의 검출치가 「2」, B 13, B 23 및 B 33 의 검출치가 「3」의 경우에는, 검출치 「2」의 블록이 5 개로 가장 많으므로, 이 검출치 「2」를 다수결로서 구하여 출력한다.
상기 동화상보정부 11 은, 상기 다수결처리부 30 으로 부터 출력하는 검출치 (예를들면 「2」)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단자 15 에 입력한 대상블록 B 22 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 위치를 보정하고, 보정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서 P D P 로 출력한다.
다음에, 제 11 도의 작용에 대하여 제 7 도 (a) 를 병용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 7 도 (a) 에 나타낸 바와같이, 설정범위 S 를 처리대상의 블록 B 22 와 그 주변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로 부터 되는 9 블록으로 하고, 동벡터검출부 10 의 검출치의 일부가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본래의 값과 다른 값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즉 대상블록 B22 의 동벡터의 검출치가 본래의 검출치 (예를들면「2」) 와 다른값 「5」로 변화하고, 주변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가 노이즈나 요동의 영향을 받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제 7 도 (a) 에 나타낸 검출치 「5」, 「2」,「3」은 소정방향 (예를들면 상방향) 의 이동량 (예를들면 5, 2, 3 점 / 프레임) 을 나타내고 있다. 이때문에, 검출치 「-5」, 「-2」,「-3」(도시생략) 은, 반대방향의 이동량 (예를들면 5, 2, 3 점 / 프레임) 을 나타나는 것으로 된다.
(1) 다수결처리부 30 은, 대상블록 B 22 를 포함하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 B 11 ∼ B 33 에 대해서의 동벡터검출부 10 에 의한 검출치 「5」, 「2」, 「3」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 검출치 「2」를 구한다.
(2) 동화상보정부 11 은, 다수결처리부 30 으로 구한 검출치 「2」에 기초하여 대상블록 B 22 내의 화소의 n 개의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 P D P 로 출력한다.
이때문에,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대상블록 B 22 의 검출치가 주변블록 B 11 ∼ B 33 의 검출치 (「2」,「3」) 로부터 멀리 떨어진 값 (「5」) 으로 된 경우에도, 다수결처리로 돌출한 값 (「5」) 을 제거할수가 있으며, 동화상보정을 행한때의 화질의 악화를 방지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수결처리부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에 대해서의 동벡터검출부에 의한 검출치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검출치 (제 7 도 (a)의 예에서는 「2」) 을 구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에 순위매김을 하고, 다수결로 구한 동일 검출치가 복수있을때, 이 복수의 동일 검출치 중에서 순위매김이 높은 쪽의 블록의 검출치를 구하도록 구성한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대상 블록 B 22 을 제 1 순위로하고, 주변 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에 대해서는 B 11, B 12, B 13, B 21, B 23, B 31, B 32, B 33, 의 순으로 제 2 순위로부터 제 9 순위까지로 한다.
이와 같이 순위매김을 하는 경우, 다수결처리부는, 동벡터의 검출치가 제 7 도 (a) 인 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가장 수가 많은 동일 검출치「2」를 구해 출력하지만, 제 7 도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블록 B 11, B 12, B 13 및 B 23 의 검출치가 「3」, 블록 B 21, B 31, B 32 및 B 33 의 검출치가 「2」에서 블록수가 함께 4 인 때 (다수결로 결정되지 않는 때) 에는, 순위매김의 높은 블록 B 11, 의 검출치 「3」을 구해 출력한다.
이 순위매김은 일예로서 상술한 경우에 한정하지 않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수결처리 (순위매김하는 경우와 하지 않은 경우를 포함하여) 로 돌출한 값을 제거함으로서, 동화상보정에서 화질이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지만, 다수결처리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다음과 같은 예외적인 경우가 있다.
즉, 한개의 종선 화상이 소정 방향 (예를 들면 횡방향) 으로 소정량 (예를 들어 3 점/프레임) 이동하고 있는 경우, 동벡터검출부 10 의 검출치는 도 12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 블록 B 22 및 주변 블록 B 12, B 32 에 있어서는 「3」, 그 이외의 주변 블록 B 11, B 13, B 21, B 23, B 31 및 B 33 에 있어서는 「0」으로 되므로, 다수결처리하면 가장수가 많은 검출치「0」이 출력하고, 동화상보정부 11 은 대상 블록 B 22 의 움직임이 없는 것으로 하여 처리하여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 개의 횡선 화상이나 경사선 화상이 소정 방향으로 이동 (예를 들면 3 점/프레임)하고 있는 경우, 동벡터검출부 10 의 검출치가 제 12 도 (b), (c), (d) 에 나타낸 바와 같이되므로, 같은 문제점이 있다.
도 13 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제 3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1 도와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로 한다.
제 13 도에 있어서, 32 는 종·횡·경사 검출부, 34 는 셀렉터이다.
상기 종·횡·경사 검출부 32 는, 상기 동벡터검출부 10 에 의한 검출치 동일의 블록이 설정범위 S 내에 있어서 대상 블록 B22 을 포함하고 종, 횡, 경사 중 어느것이든지 연속해서 배열하고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 시에 상기 동일의 검출치 (예를 들면 대상 블록 B 22 의 검출치) 를 출력한다.
상기 셀렉터 34 는, 상기 종·횡·경사검출부 32 의 검출출력 se 가 있을 (예를 들면 H 레벨) 때에는, 이 종·횡·경사 검출부 32 가 출력하는 출력치 sv (동벡터)를 선택하고, 상기 종·횡·경사 검출부 32 의 검출출력 se 가 없을 (예를 들면 L 레벨) 때에는 다수결처리부 30 에서 구한 검출치 tv (동벡터)를 선택한다.
이 때문에, 동벡터검출부 10 에 의한 검출치가, 도 14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상블록 B 22 및 주변블록 B 12, B 32 에 대해서는 특정치「N」(예를 들면 N = 3), 그 외의 주변블록 B 11, B 13, B 21, B 23, B 31 및 B 33 에 대해서는 N 이외의 부정치「X」(예를 들면 X = 0 이나 1)인 종선 화상에 대응하고 있을 때에는, 종·횡·경사 검출부 32 의 검출출력 se 에 의해 셀렉터 34 가 검출치「N」(sv = N) 을 선택하고, 동화상보정부 11 은, 셀렉터 34 에서 선택한 검출치 「N」에 기초하여 대상 블록 B 22 내의 화소의 n 개의 서브필드 SFn ~ SF1 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서 P D P 로 출력한다.
동벡터검출부 10 에 의한 검출치가, 제 14 도 (b), (c),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횡선, 좌오름 경사선, 우오름 경사선의 화상에 대응하는 때에도, 상기 종선 화상의 경우와 같이 작용한다.
한편, 동벡터검출부 10 에 의한 검출치가, 제 14 도 (a), (b), (c), (d)에 나타난 경우와 다른 경우 (예를 들면 종, 횡, 경사선의 화상에 대응한 검출치가 아닌 경우)에는, 종·횡·경사 검출부 32 의 검출출력 se 가 없는 경우 (예를 들면 L 레벨)이므로, 셀렉터 34 는 다수결처리부 30 이 출력하는 검출치 tv 를 출력하고, 동화상보정부 11 은, 셀렉터 34 에서 선택한 검출치 tv 에 기초해서, 대상 블록 B22 내의 화소의 n 개의 서브필드 SFn ~ SF1 의 표시위치를 보정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다수결처리부가 다수결을 취하는 범위, 종·횡·경사 검출부의 검출대상으로 하는 범위, 즉 설정범위 S 가 3 ×3 의 9 개의 블록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면, 설정범위 S 가 5 × 5 의 25 개의 블록인 경우에 대해서도 이용할 수 있다.
제 15 도는 제 4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제 2 도와 동일부분은 동일부호로 한다. 도 15 에 있어서, 10 은 동벡터검출부, 11 은 동화상보정부, 40 은 동벡터지연부, 42 는 동벡터 수계수부, 44 는 계수치비교부, 46 은 동벡터내장부이다.
상기 동벡터지연부 40 은, 상기 동벡터검출부 10 의 검출치를 지연하고, 대상 블록과 주변 블록으로 되는 설정범위 S (예를 들면 3 × 3 의 9 개의 블록) 내의 각 블록에 대해서의 동벡터를 출력한다.
상기 동벡터지연부 40 는, 구체적으로는, 도 16 에 나타난 바와 같이 6 개의 1 점지연소자 D ~ D 와 2 개의 1 라인지연소자 LM, LM 을 결합하여 되고, 입력한 동벡터에 기초해서 도 17 (a), (b) 에 나타낸 대상 블록 B22 과 그 주변 블록 B11 ~ B33 (B22를 제외함) 으로 되는 설정범위 S (3 × 3 의 9 개의 블록) 내의 각 블록의 동벡터를 출력한다. 1 점지연소자 D 는 D-FF (플립플롭) 로 구성되고, 1 라인 지연 소자 LM 은 라인메모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벡터수계수부 42 는, 상기 동벡터 지연부 40 에서 출련한 동벡턱에 기초해, 설정 범위 S 내의 전 블록 B 11 ~ B 33 의 속에 동벡터 있음과 검출된 블록이 몇 개가 있는지를 계수하고, 그 계수치 K 를 출력한다.
상기 계수치 비교부 44 는, 상기 동벡터수계수부 42 에 의한 계수치 K 를 설정치 입력 단자 48 에 입력한 설처치 Q 와 비교해, K ≥Q 때에 비교 신호 (예컨대 H 레벨 신호) 를 출력한다.
상기 동벡터 내장부 46 는, 상기 계수치 비교부 44 가 비교 신호 (예컨대, H 레벨 신호) 를 출력하고, 또 상기 동벡터 지연부 40 에서 출력하는 대상 블록 B 22 의 동벡터가 없을 때 (즉, 동벡터 검출부 10 이 대상 블록 B 22 의 동벡터 없음을 검출한 때) 에, 설정 범위 S 내의 동벡터 있음의 블록중의 우선 순위가 높은 블록의 동벡터를 대상 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해, 상기 이외의 경우에 상기 동벡터 지연부 40 에서 출력하는 대상 블록 B 22 의 동벡터를 출력한다. 예컨대, 설정 범위 S 가 제 17 도 (a) 에 나타낸 9 개의 블록으로, 동벡터 있음의 블록이 동일 도면에 해칭으로 도시된 B 11, B 12, B 21, B 23, B 31, B 32 인 (K ≥Q의 경우) 로 하면, 대상 블록 B 22 이외의 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한다) 에 미리 순위 매김 (예컨대, B 21, B 23, B12 , B 32, B 11, B 13, B 31, B 33 순으로 순위 부여) 를 해, 동벡터 상태의 블록 B 11, B 12, B 21, B 23, B 31, B 32, 가운데 순위 매김이 높은 블록 (예를 들어, 블록 B 21) 의 동벡터를 대상 블록 B 22 의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상기 동화상 보정부 11 은, 상기 동벡터 내장부 46 에서 출력한 동벡터에 기초해 대상 블록 내의 화소의 각 프레임의 n 개의 서브필드 SFn ~ SF1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서 P D P 로 출력한다.
예를들면, 제 17 도 (a) 에 나타낸 예에서는, 동벡터내장부 46 으로 부터 출력된 동벡터 (예를들면 블록 B 21 의 동벡터) 에 기초하여, 대상블록 B 22 내의 화소의 각 프레임의 n 개의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 P D P 출력한다.
다음에, 제 15 도의 작용을 도 16 및 도 17 을 병용해서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상, 제 17 도 (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정범위 S 를 처리대상인 대상 블록 B 22 와 그 주변 블록 B 11 ~ B 33 (B 22 를 제외함) 으로 이루어진 9 블록으로 해, 이들의 주변 블록에 미리 B 21, B 23, B 12, B 32, B 11, B 13, B 31 B 33 의 순서로 우선 순위를 결정해 두고, 계수치 비교부 44 의 설정치 Q 를 5 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1) 동벡터 검출부 10 은, 입력단자 15 에 입력한 n 비트의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1 또는 복수 프레임 사이에 있는 블록의 동벡터 (이동 방향과 이동량) 을 검출해, 동벡터 지연부 40 은, 동벡터 검출부 10 에서 출력한 동벡터에 기초해서 설정범위 S 내의 각 블록 B 11 ~ B 33 에 대한 동벡터 MV 11 ~ MV 33를 출력한다.
동벡터수 계수부 42 는, 동벡터 지연부 40 에서 출력한 동벡터에 기초해, 설정범위 S 내의 전 블록 B11 ~ B33 가운데에서 동벡터 상태로 검출시킨 블록이 몇 개 있는가를 계수하여, 이 계수치 K 를 출력한다.
예를들면, 제 17 도 (a) 에 나타낸 바와같이, 설정범위 S 내의 9 블록중에 동벡터있음의 블록 (햇칭으로 표시하였음) 이 6 개의 경우에는, 동벡터수계수부 42 로 부터 출력하는 계수치 K 는 6 (K = 6) 으로되며, 동도면 (b) 에 나타낸바와같이 동벡터있음의 블록이 4 개의 경우에는, 동벡터수 계수부 42 로 부터 출력하는 계수치 K 는 4 (K = 4) 로 된다.
(2) 제 17 도 (a) 에 나타낸바와같이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가 없으며 (M N 22 = 0), K = 6 의 경우에는, K ≥Q (Q = 5) 로 되는것으로, 계수치비교부 44 가 비교신호를 출력한다 (예를들면 H 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동벡터내장부 46 은,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중 우선순위가 높은블록 B 21 의 동벡터 M V 21 을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즉, 대상블록 B22 의 동벡터 M V 22 (=0) 은, 블록 B 21 의 동벡터 M V 21 에 의해 내장된다.
(3) 동화상보정부 11 은, 동벡터내장부 46 으로 내장된 동벡터 M V 21 에 기초하여, 대상블록 B 22 내의 화소의 n 개의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서 P D P 로 출력한다. 이 때문에, 동벡터검출부 10 으로 본래 검출되어야 하는 대상블록 B22 의 동벡터가, 노이즈나 요동등에 의해 검출되지 않았던 경우에 있어서도, 동벡터내장부 46 으로 내장된 동벡터 M V 21 에 기초하여, 대상블록 B 22 내의 화소에 대하여 n 개의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위치가 보정된다.
(4) 제 17 도 (b) 에 나타낸바와같이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가 없으며(M V 22 = 0), K = 4 의 경우에는, K < Q (Q = 5)로 되므로, 계수치비교부 44 가 비교신호를 출력하지 아니한다 (예를들면, L 레벨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문에, 동벡터내장부 46 은, 동벡터 M V 22 (=0) 을 그대로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즉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 M V22 (=0) 은 주변블록의 동벡터로 내장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동화상보정부 11 에 의해 대상블록 B22 내의 화소에 대하여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위치는 보정되지 아니한다.
(5) 대상블록 B22 의 동벡터가 있는 (M V22 ≠0) 의 경우에는, K 의 값에 불구하고 동벡터내장부 46 은, 이 동벡터 M V 22 를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로서 출력한다. 즉 M V 22 ≠0 의 경우에는 계수치비교부 44 가 비교신호를 출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H, L 레벨신호에 불구하고),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는 주변블록의 동벡터로 내장되지 아니한다. 이 때문에 동화상보정부 11 이, 동벡터 M V 22(≠0)에 기초하여 대상블록 B 22 내의 화소의 서브필드 S F n ∼ S F 1 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출력단자 16 을 거쳐 P D P 로 출력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정범위 S 내의 주변블록에 미리 순위매김을 하여놓고,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가 없으며 (M V 22 = 0), 또한 동벡터내장부로 내장한 경우에, 그 내장동벡터로서,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중 순위매김의 높은 블록의 동벡터(예를들면 M V 21)을 채용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의 동벡터의 평균치에 의해, 대상블록 B22 의 동벡터없음(M V 22 = 0)을 내장하여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제 17 도 (a)의 경우에는,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 B 11, B 12, B 21, B 23, B 31, B 32 의 동벡터 M V 11, M V 12, M V 21, M V 23, M V 31, M V 32 의 평균치 M V m 을 다음식(1)에 의해 구하고, 이 평균치 M V m 으로 대상블록 B 22 의 동벡터없음(M V 22 = 0)을 내장하도록 하여도 좋다.
M V m=(M V 11 + M V 12 + M V 21 + M V 23 + M V 31 + M V 32) / 6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계수치비교부의 설정치 Q 가 5 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정범위 S 가 대상블록과 그 주변의 8 블록으로 부터 되는 9 블록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정범위 S 가 n ×m 블록(예를들면 5 ×5 블록)의 경우에 대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18 도는 제 5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1 도에 나타낸 제 2 발명의 실시예의 동벡터검출부 10 을, 제 1 발명의 실시예의 동벡터검출부 10 A 로 치환한 것이다.
제 19 도는 제 6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3 도에 나타낸 제 3 발명의 실시예의 동벡터검출부 10 을, 제 1 발명의 실시예의 동벡터검출부 10 A 로 치환한 것이다.
제 20 도는 제 7 발명에 의한 동화상보정회로의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 15 도에 나타낸 제 4 발명의 실시예의 동벡터검출부 10 을, 제 1 발명의 실시예의 동벡터검출부 10 A 로 치환한 것이다.
제 18 도, 제 19 도 및, 제 20 도에 나타낸 동화상보정회로는, 전단의 동벡터검출부 10 A 로 부터 틀린 동벡터가 출력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 동벡터검출부 10 A 부터 비록 틀린 동벡터가 출력하는 경우에도, 후단의 회로로 동화상보정부 11 로 틀린 동벡터가 입력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 더욱 정밀도를 높여, 동화상 보정시에 있어서 화질의 악화를 방지할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가 P D P 를 이용한 표시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장치(예를들면 L C D 판넬을 이용한 표시장치)의 경우에 대하여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예를들면 P D P 나 L C D 판넬을 이용한 표시장치)에 있어서, 입력영상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나 입력영상신호의 요동등에 의해 동화상보정시에 화질이 악화하는 것을 방지하는데 이용할수 있다.

Claims (11)

  1.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이 동벡터검출부의 검출치에 기초하여 상기 블록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를 설치하고, 상기 동벡터검출부는, 현 프레임화면의 대상블록을 기준으로하여 전 프레임화면의 검출영역내의 모든 블록에 대한 영상신호의 상관치를 연산하는 상관치연산부와, 이 상관치연산부에서 구한 복수의 상관치 중 가장 상관성이 높은 최저상관치 S 1 을 검출하는 최저상관치검출부와, 이 최저상관치 S 1 에 계수 k(k > 1) 를 곱하는 승산부와, 상기 상관치연산부에서 구한 복수의 상관치중 승산치 k ·S 1 이하의 상관치를 설정상관치 S 2 (S 2 ≤ S 1)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상관치 변환부와, 이 상관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상관치 S 2 중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에 대응하는 상관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하는 블록의 위치와 원점을 시점, 종점으로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고 동벡터로서 출력하는 동벡터생성부를 구비하여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관치연산부는 원점을 중심으로 한 주변의 복수블록을 전(前) 프레임화면의 검출영역으로서 영상신호의 상관치를 연산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승산부는 최저상관치검출부에서 검출한 최저상관치 S 1 에 1.5 (계수 k 가 1.5 의 경우)를 곱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4.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대상블록을 포함하는 설정범위 S 내의 모든 블록에 대해서의 상기 동벡터 검출부에 의한 검출치 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한 검출치를 구하는 다수결처리부와, 이 다수결처리부에서 구한 검출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블록 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 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를 구비하여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5.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프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대상블록을 포함하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에 대해서의 상기 동벡터검출부에 의한 검출치 중에서 가장 수가 많은 동일검출치를 구하는 다수결처리부와, 상기 동벡터검출부에 의한 검출치 동일한 블록이 상기 설정범위 S 내에 있어서 상기 대상블록을 포함하여 종, 횡, 경사의 어딘가에 연속하여 배열되어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함과 동시에, 검출시에 상기 동일검출치를 출력하는 종·횡·경사검출부와, 이 종·횡·경사검출부의 검출 출력이 있을때에는 상기 종·횡·경사검출부의 출력하는 검출치를 선택하고, 상기 종·횡·경사검출부의 검출출력이 없을 때에는 상기 다수결처리부에서 구한 검출치를 선택하는 셀렉터와, 이 셀렉터에서 선택한 검출치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블록 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를 구비하여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다수결처리부는 설정범위 S 내의 블록에 순위매김을 하고, 다수결로 구한 검출치가 복수 있을 때에 이 복수의 검출치 중에서 순위매김이 높은 쪽 블록의 검출치를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7. 하나의 프레임을 복수의 서브필드로 시분할하고, 입력영상신호의 휘도레벨에 대응한 서브필드를 발광하여 다중톤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영상신호에 기초하여 하나 또는 복수 프레임 사이에 있어서의 블록의 동벡터를 검출하는 동벡터검출부와, 이 동벡터검출부의 검출치를 지연하여 대상 블록과 주변블록으로 되는 설정범위 S 내의 각 블록의 동벡터를 구하는 동벡터지연부와, 설정범위 S 내의 모든 블록 중에 동벡터를 가진다고 검출된 블록이 얼마 있는가를 계수하는 동벡터수 계수부와, 이 동벡터수 계수부의 계수치가 설정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비교하는 계수치 비교부와, 상기 동벡터지연부 및 계수치비교부의 출력에 대응한 동벡터를 출력하는 동벡터내장부와, 이 동벡터내장부로부터 출력되는 동벡터에 기초하여 대상 블록 내의 화소의 각 서브필드의 표시위치를 보정한 신호를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 출력하는 동화상보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동벡터내장부는 상기 동벡터지연부에서 구한 대상블록의 동벡터가 없고, 또한 상기 계수치비교부가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있을때에,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의 동벡터를 대상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하고, 상기 이 외의 때에 상기 동벡터지연부에서 구한 대상블록의 동벡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설정범위 S 내의 주변블록은 미리 순위매김되고, 동벡터내장부는 계수치비교부가 비교신호를 출력하며, 또한 동벡터검출부가 대상블록의 동벡터 없음을 검출할때에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 중 순위매김이 높은 블록의 동벡터를 상기 대상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9. 제 7 항에 있어서,
    동벡터내장부는 계수치비교부가 비교신호를 출력하고, 또한 동벡터검출부가 대상블록의 동벡터 없음을 검출할 때에 설정범위 S 내의 동벡터를 갖는 블록의 동벡터 평균치를 상기 대상블록의 동벡터로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10.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제 8 항 또는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벡터검출부는 현 프레임화면의 대상블록을 기준으로하여, 전(前) 프레임화면의 검출영역 내의 모든 블록에 대한 영상신호의 상관치를 연산하는 상관치연산부와, 이 상관치연산부에서 구한 복수의 상관치중 가장 상관성이 높은 최저 상관치 S 1 을 검출하는 최저 상관 검출부와, 이 최저 상관치 S 1 에 계수 k (k >1) 를 곱하는 승산부와, 상기 상관치연산부에서 구한 복수의 상관치 중 승산치 k·S 1 이하의 상관치를 설정상관치 S 2(S 2 ≤S 1 )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상관치 변환부와, 이 상관치 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설정 상관치 S 2 중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에 대응한 상관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한 블록의 위치와 원점을 시점, 종점으로 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고 동벡터로서 출력하는 동벡터생성부를 구비하여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11. 제 6 항에 있어서,
    동벡터검출부는 현 프레임화면의 대상블록을 기준으로하여, 전(前) 프레임 화면의 검출영역 내의 모든 블록에 대한 영상신호의 상관치를 연산하는 상관치연산부와, 이 상관치연산부에서 구한 복수의 상관치 중 가장 상관성이 높은 최저상관치 S 1을 검출하는 최저상관치검출부와, 이 최저상관치 S 1에 계수 k (k>1) 를 곱하는 승산부와, 상기 상관치연산부에서 구한 복수의 상관치 중 승산치 k·S 1 이하의 상관치를 설정상관치 S 2(S 2≤S 1)로 치환하여 출력하는 상관치변환부와, 이 상관치변환부로부터 출력되는 설정상관치 S 2 중 원점에 가장 가까운 블록에 대응한 상관치를 검출하고, 이 검출상관치에 대응한 블록의 위치와 원점을 시점, 종점으로 하는 이동벡터를 생성하고 동벡터로서 출력하는 동벡터생성부를 구비하여 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보정회로.
KR10-1999-7008113A 1997-03-06 1998-03-04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 KR100514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7-69295 1997-03-06
JP06929597A JP4158950B2 (ja) 1997-03-06 1997-03-06 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画補正回路
JP1997-94902 1997-03-28
JP9094902A JPH10274962A (ja) 1997-03-28 1997-03-28 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画補正回路
JP9213954A JPH1145068A (ja) 1997-07-25 1997-07-25 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
JP1997-213954 1997-07-25
PCT/JP1998/000888 WO1998039764A1 (fr) 1997-03-06 1998-03-04 Circuit de correction d'images animees pour afficheu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027A KR20000076027A (ko) 2000-12-26
KR100514615B1 true KR100514615B1 (ko) 2005-09-15

Family

ID=27300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8113A KR100514615B1 (ko) 1997-03-06 1998-03-04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456337B1 (ko)
EP (1) EP0965973B1 (ko)
KR (1) KR100514615B1 (ko)
AU (1) AU732968B2 (ko)
CA (1) CA2283330C (ko)
DE (1) DE69841762D1 (ko)
TW (1) TW394914B (ko)
WO (1) WO19980397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0917B1 (en) * 1999-06-28 2003-10-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ubfield-driven display
US6956971B1 (en) * 1999-07-20 2005-10-18 Lg Electronics Inc.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porting still picture
JP2001197501A (ja) * 2000-01-07 2001-07-19 Fujitsu Ltd 動きベクトル探索器及び動きベクトル探索方法並びに動画像符号化装置
US7053874B2 (en) * 2000-09-08 2006-05-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KR20030027963A (ko) * 2001-06-21 2003-04-07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픽셀들을 처리하기 위한 이미지 처리 유닛 및 방법과이러한 이미지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이미지 디스플레이장치
SG120889A1 (en) * 2001-09-28 2006-04-26 Semiconductor Energy Lab A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SG120888A1 (en) 2001-09-28 2006-04-26 Semiconductor Energy Lab A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3330419A (ja) * 2002-05-15 2003-11-19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表示装置
US7307607B2 (en) * 2002-05-15 2007-12-11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assive matrix light emitting device
US20040150594A1 (en) * 2002-07-25 2004-08-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e method therefor
JP4077738B2 (ja) 2003-02-17 2008-04-23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映像処理回路、映像処理方法及び映像表示装置並びに映像表示方法
US7482629B2 (en) * 2004-05-21 2009-01-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705764B2 (ja) * 2004-07-14 2011-06-2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ビデオデータ補正回路及び表示装置の制御回路並びにそれを内蔵した表示装置・電子機器
EP1653433B1 (en) * 2004-10-29 2016-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Video data correction circuit,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liance
KR20060088419A (ko) * 2005-02-01 2006-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크 교환시기 표시방법
JP4910645B2 (ja) * 2006-11-06 2012-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信号処理方法、画像信号処理装置、表示装置
US8526502B2 (en) * 2007-09-10 2013-09-03 Entrop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line based vertical moti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AT505798B1 (de) * 2007-09-20 2011-12-15 Naderhirn Michael Verfahren zur automatischen vermeidung von kollisionen eines objektes mit weiteren objekten
JP2010015061A (ja) * 2008-07-04 2010-01-21 Panasonic Corp 画像表示装置、集積回路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780212B2 (ja) * 2009-03-24 2011-09-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異常判断プログラム
US9113133B2 (en) * 2012-01-31 2015-08-18 Prime Image Delaware,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vertical cut in a video signal for the purpose of time alteration
CN102592290A (zh) * 2012-02-16 2012-07-18 浙江大学 一种针对水下显微视频的运动目标区域检测方法
CN102592130B (zh) * 2012-02-16 2013-11-06 浙江大学 一种针对水下显微视频的目标识别系统及其视频编码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8361B (en) * 1990-09-28 1994-06-01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Motion dependent video signal processing
GB2266023B (en) * 1992-03-31 1995-09-06 Sony Broadcast & Communication Motion dependent video signal processing
US6160900A (en) * 1994-02-04 2000-12-12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processing time required in motion vector detection
JPH089340A (ja) 1994-06-24 1996-01-12 Mitsubishi Electric Corp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
US6178265B1 (en) * 1994-09-22 2001-01-23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tion vector compression
GB2296401B (en) * 1994-10-04 1998-10-14 Kenneth Stanley Jones Improved 'majority' filter
JP3711378B2 (ja) 1995-02-06 2005-11-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中間調表示方法及び中間調表示装置
US5903313A (en) * 1995-04-18 1999-05-11 Advanced Micro Devic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performing motion compensation in a video processing apparatus
JP3631868B2 (ja) * 1996-12-20 2005-03-23 株式会社東芝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方法
JP3226020B2 (ja) * 1997-05-28 2001-11-05 日本電気株式会社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
US6081553A (en) * 1998-04-06 2000-06-27 Hewlett Packard Company Block-matching motion estimation technique for video compression of noisy source signa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3330C (en) 2004-10-26
EP0965973B1 (en) 2010-07-14
AU732968B2 (en) 2001-05-03
EP0965973A1 (en) 1999-12-22
WO1998039764A1 (fr) 1998-09-11
US6456337B1 (en) 2002-09-24
EP0965973A4 (en) 2000-07-26
DE69841762D1 (de) 2010-08-26
TW394914B (en) 2000-06-21
AU6119898A (en) 1998-09-22
KR20000076027A (ko) 2000-12-26
CA2283330A1 (en) 1998-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4615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상 보정 회로
KR100595077B1 (ko) 화상표시장치및화상평가장치
KR10088942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04856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동화보정방법 및 동화보정회로
KR1004972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4649108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US7256755B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driving method for effectively eliminating the occurrence of a moving image false contour
US714217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grayscale of plasma display panel
WO2011086877A1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表示装置
US20090040146A1 (en) Plasma display apparatus and plasma display panel driving method
KR2002001476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계조 처리방법
KR10057068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JP200515736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駆動方法および駆動装置
KR20030074737A (ko) 신호처리장치
KR10057891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구동 장치,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상 처리 방법 및 플라즈마디스플레이 패널
JP4158950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画補正回路
KR100626579B1 (ko) 다계조 화상 표시 장치 및 상기 장치에서의 동화상 의사프레임 저감 방법
EP1696407A1 (en) Image displaying method and image display
JPH10274962A (ja) ディスプレイ装置の動画補正回路
KR100517367B1 (ko) 플라즈마 표시 패널의 오차 확산 처리 회로
JPH1145068A (ja) 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
EP1455331A1 (en) Video coding method for a plasma display panel.
US20040046716A1 (en) Method for displaying video images on a plasma display panel and corresponding plasma display panel
JPH10149137A (ja) 動画補正用動きベクトル検出回路
KR20060041590A (ko) 플라즈마 표시 장치 및 그 화상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