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356B1 -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 Google Patents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356B1
KR100626356B1 KR1019990036309A KR19990036309A KR100626356B1 KR 100626356 B1 KR100626356 B1 KR 100626356B1 KR 1019990036309 A KR1019990036309 A KR 1019990036309A KR 19990036309 A KR19990036309 A KR 19990036309A KR 100626356 B1 KR100626356 B1 KR 100626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computer
power
data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6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19733A (ko
Inventor
박희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36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356B1/ko
Publication of KR20010019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9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87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switching off individual functional units in the computer syst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266Arrangements to supply power to external peripherals either directly from the computer or under computer control, e.g. supply of power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 computer controlled power-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여기에 개시된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주변장치로 데이터 및 스위칭 신호를 한꺼번에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전송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일일이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데이터 전송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원 소모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POWER SWITCHING METHOD OF COMPUTER PERIPHERAL DEVICE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주변장치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장치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주변장치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주변장치 드라이버 20 : 스위치
100 : 컴퓨터 시스템 200 : 주변장치
본 발명은 컴퓨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자동으로 전원이 켜지는 컴퓨터 주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주변장치란, 프린터나 디스크 드라이브처럼 컴퓨터의 CPU 외부에 존재하지만,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어서 컴퓨터가 제어하게 되어 있는 장치를 말한다. 종래의 컴퓨터 주변장치는, 사용자가 주변장치를 사용하고 싶을 때 주변장치의 전원을 넣고 컴퓨터에 인식을 시킨 뒤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컴퓨터 주변장치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S10에서 컴퓨터 시스템을 파워 온 한다. 이어서 단계 S12에서는 주변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만약 주변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으면 수순은 단계 S16으로 진행하여 주변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리고, 만약 주변장치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지 않으면 수순은 단계 S14로 진행하여 주변장치를 파워 온 한 후 수순은 S16으로 진행한다. 단계 S16에서 컴퓨터 시스템은 주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어서 단계 S18에서 주변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예를 들어, 프린터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프린터의 전원을 켜고 나서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여야 했다. 만약, 프린트 명령과 함께 데이터를 전송했는데, 프린트의 전원이 꺼진 상태라면, 프린터 드라이버는 컴퓨터 시스템의 화면에 프린터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았다는 에러 메시지를 발생한다. 이 메시지를 확인한 사용자가 프린터의 전원을 켜게 되면, 그 때서야 프린터는 프린트 작업을 수행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프린터의 기종에 따라, 전원 스위치가 없는 프린터들이 생산되고 있다. 이러한 기종의 프린터들은, 프린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항상 대기 모드 상태에서 전원을 지속적으로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컴퓨터 주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일일이 전원 스위치를 조작해서 전원을 넣어야 하는 불편과 함께 불필요한 전원이 소비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컴퓨터 주변장치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가 일일이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데이터 전송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원 소모도 줄일 수 있는 컴퓨터 주변장치의 스위칭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 주변장치의 스위칭 방법은,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로 데이터 및 스위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주변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판별결과,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전송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상기 주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주변장치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이 온/오프 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은, 컴퓨터 시스템이 컴퓨터 주변장치로 데이터 및 스위칭 신호를 한꺼번에 전송하여,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전송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을 온 시키고, 상기 데이터를 처리한다. 그 결과 사용자가 일일이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데이터 전송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전원 소비도 줄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시스템과 주변장치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터 시스템(100)은 그것의 주변장치(20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주변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컴퓨터 시스템(100)에는 주변장치 드라이버(10)가 포함되고, 주변장치(200)에는 스위치(20)가 포함된다.
이 주변장치 드라이버(1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의 데이터와 함께, 주변장치(200)의 전원을 스위칭하기 위한 스위칭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주변장치(200)로 전송한다. 그리고, 그 외에도 주변장치 드라이버(10)는 주변장치(200)의 다양한 동작을 제어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컴퓨터 주변장치(200)에 구비된 스위치(20)는,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의 주변장치 드라이버(10)로부터 전송되는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소프트웨어적인 신호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된다.
이 스위치(20)는 일종의 전원 스위치로서, 만약 주변장치(200)의 전원이 오프(OFF) 상태일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전송되면, 이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주변장치(200)의 전원을 온(ON) 시킨다. 이와 같은 스위칭 동작에 의해서 상기 주변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주변장치(200)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주변장치(200)가 이 상태에 진입한 후 스위칭 신호와 함께 전송된 데이터가 처리된다.
그리고 만약, 상기 주변장치(200)의 전원이 온(ON) 상태일 때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스위칭 신호가 전송되면, 전원이 이미 파워 온 된 상태이므로 전원 스위칭 동작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스위칭 신호와 함께 전송된 데이터가 곧바로 처리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일일이 주변장치(200)의 전원 상태를 확인하고 전원 스위치의 조작을 통해 주변장치(200)의 전원을 온/오프 할 필요 없이 컴퓨터에서 주변장치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작업을 수행하는 것만으로도, 상기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스위칭 신호에 의해서 주변장치(200)의 전원을 자동으로 켤 수 있다. 그러므로, 주변장치가 대기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때 소비하는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고, 주변장치(200)를 사용하고자 할 때만 전원을 인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주변장치의 동작 수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S100에서는 컴퓨터 시스템(100)을 파워 온 시킨다. 이어서 단계 S120에서는,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주변장치(200)로 데이터 및 전원 관련 스위칭 신호를 전송한다.
단계 S140에서는 상기 주변장치(200)에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즉, 상기 주변장치(200)의 전원이 온 상태인지를 판별한다. 판별 결과, 만약 주변장치(200)의 전원이 온 상태라면, 수순은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데이터에 대한 주변장치(200)의 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주변장치(200)는 상기 스위칭 신호와 함께 전송된 데이터를 곧바로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판별결과, 만약 주변장치(200)가 파워 온 상태가 아니라면, 수순은 단계 S180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주변장치(200)를 파워 온 시킨다. 주변장치(200)가 파워 온된 후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수순은 단계 S160으로 진행하여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에 대한 주변장치(200)의 작업을 수행한다. 즉, 상기 주변장치(200)는 스위칭 신호와 함께 전송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이 경우에 상기 컴퓨터 시스템(100)은 상기 주변장치 드라이버(10)에 버퍼링 되어있는 상기 데이터를 상기 주변장치(200)에 다시 전송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주변장치 드라이버(예를 들면, 프린터 드라이버)가 전원이 꺼져있는 주변장치에 소정시간 경과 후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는 것은 일반적인 컴퓨터 시스템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컴퓨터 주변장치(200)는, 사용자가 일일이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데이터 전송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원의 소모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구성 및 동작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일일이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아도 데이터 전송과 함께 주변 장치의 전원 스위칭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불필요한 전원 소모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컴퓨터 시스템에 연결된 컴퓨터 주변장치의 스위칭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로 데이터 및 스위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와;
    주변장치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별하는 단계; 그리고
    판별결과,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이 오프 상태이면, 상기 전송된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을 온 시킨 후 상기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시스템은, 상기 데이터와 상기 스위칭 신호를 상기 주변장치로 전송하기 위한 주변장치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주변장치는, 상기 스위칭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이 온/오프 될 수 있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KR1019990036309A 1999-08-30 1999-08-30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KR100626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09A KR100626356B1 (ko) 1999-08-30 1999-08-30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36309A KR100626356B1 (ko) 1999-08-30 1999-08-30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33A KR20010019733A (ko) 2001-03-15
KR100626356B1 true KR100626356B1 (ko) 2006-09-20

Family

ID=19609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6309A KR100626356B1 (ko) 1999-08-30 1999-08-30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3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9733A (ko) 2001-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9975B1 (en) Printer system
US5630144A (en) Desktop computer monitor power control using keyboard controller
JP2002287936A (ja) 印刷装置、データ処理装置、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の制御方法、データ処理装置の処理方法、プログラム、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20070058190A1 (en) Multi-function printer
KR100626356B1 (ko)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 스위칭 방법
US6240520B1 (en) Power on/off control device for computer
EP0750247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nectable to a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via an interface
US5412761A (en) Architecture and method for supporting enable/disable of printer panel switching by a host computer
KR0159726B1 (ko) 프린터의 웨이크 업 방법
JPH05189100A (ja) 情報処理装置
JP2778524B2 (ja) プリンタ装置
JP7047053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JP2003114740A (ja) ハブの電源制御方式および方法
JP3406171B2 (ja) 端末制御システム及び端末装置
JP3575355B2 (ja) Rgb信号入力切替装置および消費電力低減方法
JPH04354017A (ja) プリンタ装置
JPS63246268A (ja) プリンタ用電源回路装置
JP3370818B2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2686024B2 (ja) クロック制御方式
JP2645456B2 (ja) 電源制御装置
JPH08314581A (ja) 電源制御装置
JPH01263064A (ja) プリンタ装置
JPH10333785A (ja) プリンター電源制御方式
JPS62119084A (ja) プリンタの消費電力制御装置
JPH10312227A (ja) マイコン制御リセ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