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146B1 -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146B1
KR100626146B1 KR1020050020087A KR20050020087A KR100626146B1 KR 100626146 B1 KR100626146 B1 KR 100626146B1 KR 1020050020087 A KR1020050020087 A KR 1020050020087A KR 20050020087 A KR20050020087 A KR 20050020087A KR 100626146 B1 KR100626146 B1 KR 10062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cd
content
participant
sponsor
recrui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9074A (ko
Inventor
최동혁
Original Assignee
최동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동혁 filed Critical 최동혁
Priority to KR1020050020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1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90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0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 체제 하에서, 특정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제안한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타 사용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여, 고 품질의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특정 사용자가 제안한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가 보유한 자원(저장공간, 사이버머니, 현금 등)을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운용)에 융통성 있게 후원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체적인 개발/수집/보급 절차가 다수 사용자들의 참여/후원에 의한 개방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종래의 컨텐츠 단독 개발/수집/보급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들(예컨대, 컨텐츠 질 저하 문제점, 경제적인 비용 부담 문제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System for guiding a joint development of a contents based on the on-line networ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에 의해 관리되는 메인 페이지의 게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체적인 공동 컨텐츠 개발 절차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JCD 제안자 정보 D/B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집/지원 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집/지원 관리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참여자 /후원자 모집 가이드 프레임 및 참여자/후원자 지원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JCD 참여자 정보 D/B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JCD 후원자 정보 D/B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자원 후원내역 정보 D/B의 데이터 저장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에 의해 관리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의 게시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 관리모듈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은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여, 컨텐츠의 공동개발을 가이드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컨텐츠의 전체적인 개발/수집/보급 절차가 다수 사용자들의 참여/후원에 의한 개방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종래의 컨텐츠 단독 개발/수집/보급에 기인 한 각종 문제점들(예컨대, 컨텐츠 질 저하 문제점, 경제적인 비용 부담 문제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온라인망(예컨대, 인터넷망) 관련 기술이 급격한 발전을 이루면서, 온라인을 통해 거래/교환 및 확산되는 컨텐츠의 양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컨텐츠의 확산 추세에 비례하여, 컨텐츠의 품질과 관련된 사안은 각 컨텐츠 제공자들에게 있어, 더할 나위 없이 중요한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통상, 각 컨텐츠 제공자들은 단지 자신이 갖고 있는 개인적인 지식, 기술, 인맥 등에 제한적으로 의존하여, 컨텐츠를 폐쇄적으로 개발/수집/보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각 컨텐츠 제공자들에 의해 제공/보급되는 컨텐츠는 해당 컨텐츠 제공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 편협된(협소한, 불완전한) 내용만을 담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각 컨텐츠 제공자들은 자가 제공 컨텐츠의 경쟁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을 어쩔 수 없이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온라인 컨텐츠의 컨텐츠 제공자 단독 개발/수집/보급 체제> 하에서, 별도의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해당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는 예컨대,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운영·관리하기 위한 비용,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저장·보관하기 위한 비용, 컨텐츠를 온라인 상에서 홍보하기 위한 비용 등을 타인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부담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이와 같은 여러 가지 기술적, 경제적인 이유로 인하여, 컨텐츠 개발 자체를 불가피하게 포기할 수밖에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라인 체제 하에서, 특정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제안한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타 사용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여, 고 품질의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특정 사용자가 제안한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가 보유한 자원(저장공간, 사이버머니, 현금 등)을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운용)에 융통성 있게 후원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체적인 개발/수집/보급 절차가 다수 사용자들의 참여/후원에 의한 개방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종래의 컨텐츠 단독 개발/수집/보급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들(예컨대, 컨텐츠 질 저하 문제점, 경제적인 비용 부담 문제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공동 컨텐츠 개발(JCD:Joint Contents Development; 이하, "JCD"라 칭함)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과 선택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JCD 제안 가이드 절차, JCD 참여 가이드 절차, JCD 후원 가이드 절차를 선택적으로 총괄 제어하면서,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와,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가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JCD를 제안 또는 후원하거나, 상기 JCD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별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지속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과,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JCD를 위한 공동 프로젝트 계정을 생성·관리하며, 상기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컨텐츠 데이터들을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내에 저장·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후원 내역에 따라,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의 품질을 선택적으로 개선시키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을 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200)은 크게, 온라인망(4), 예컨대, 인터넷망에 개설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이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서버운영 관리모듈(130)과, 앞의 온라인망(4)을 매개로 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에 선택적으로 접속·신호 연결되는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서버운영 관리모듈(130)은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의 제어 하에, 운영정보 D/B(131)와 교신하여, 이에 저장되어 있던 각종 운영정보, 예컨대, 웹 페이지를 생성하기 위한 각종 텍스트/이미지/영상/링크/프로그램 정보, 각종 웹 페이지 설정정보, 각 전산모듈들의 소속정보 등을 융통성 있게 추출하고, 추출 완료된 각 운영정보를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 전달함으로써,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한 일련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상술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 등으로는 예컨대,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셀룰러폰(Cellular phone), 피씨에스폰(PCS phone: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s phone), 동기식/비동기식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팜 PC(Palm Personal Computer), 개인용 디지털 보조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Smart phone), 왑폰(WAP phone:Wireless application protocol phone), 게임기(Play-station) 등이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 등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가 갖추어진 상황에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는 인터페이스 모듈(20)을 매개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 등으로부터 일련의 접속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서버운영 관리모듈(130)을 활용하여, 일련의 메인 페이지를 생성한 후, 생성 완료된 메인 페이지(301)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 측에 게시하고, 추후, 게시 완료된 메인 페이지(301)를 기반으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들로부터 이벤트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이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JCD 제안 가이드 절차>, <JCD 참여 가이드 절차>, <JCD 후원 가이드 절차>,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절차> 등을 선택적으로 총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의 기능 수행 하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JCD 제안자(PU)는 다수의 사용자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공동 프로젝트를 온라인 상에서 손쉽게 제안할 수 있게 되며, 이 공동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다 사용자들, 예컨대, JCD 참여자들(CU)은 해당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여, 자신이 보유(제작)한 컨텐츠(C)를 탄력적으로 제공함으로써, JCD 제안자(PU)와 함께, 고 품질의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공동 개발할 수 있게 되고, 이 공동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또 다른 다수의 사용자들, 예컨대, JCD 후원자들(AU)은 자신이 보유한 자원(S:예컨대, 저장공간, 사이버머니, 현금 등)을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운용)에 융통성 있게 후원함으로써,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등과 함께, 최종 완성되는 컨텐츠가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추후, 컨텐츠 의 완성 시점에서, 상황에 따라, JCD 제안자(PU)는 컨텐츠의 완성에 따른 이익을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에게 융통성 있게 분배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컨텐츠의 전체적인 개발/수집/보급 절차는 다수 사용자들의 참여/후원에 의한 개방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JCD 제안자(PU:컨텐츠 제공자) 측에서는 종래의 컨텐츠 단독 개발/수집/보급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들(예컨대, 컨텐츠 질 저하 문제점, 경제적인 비용 부담 문제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피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앞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는 서버운영 관리모듈(30) 이외에도, 자신의 제어 체제 내에, 각종 전산모듈들, 예컨대,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 모집/지원 관리모듈(80), JCD 제안자 관리모듈(120), JCD 참여자 관리모듈(90), JCD 후원자 관리모듈(110), 자원 후원내역 관리모듈(70),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60), 분배 관리모듈(40) 등을 체계적으로 연계 배치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은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지속적인 신호 교환관계를 취하면서,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가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를 통하여, JCD를 제안 또는 후원하거나, JCD에 참여할 수 있도록 일련의 개별 사용자 계정(IA)을 생성하여 지속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은 사용자 계 정 관리부(31)와, 이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해 총괄 관리되는 데이터 보고부(33), 사용자 계정 운영소스 저장부(34), 사용자 계정 생성부(35), 사용자 계정 소속정보 관리부(36)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 계정 관리부(31)는 인터페이스부(3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 등이 예컨대, 메인 페이지(301)의 내방 가기 항목(302)을 선택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접속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3)로부터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304)을 생성·게시하고, 추후,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3)로부터 이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304)을 기반으로 하는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예컨대, JCD 제안 이벤트, JCD 참여자/후원자 모집 이벤트, JCD 참여자 지원 이벤트, JCD 후원자 지원 이벤트 등)가 전송되는 경우, 해당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가 JCD를 제안 또는 후원하거나, JCD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35)는 인터페이스부(3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의 지시에 따라, 일련의 사용자 계정(IA)을 일반 사용자,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별로 개별·생성하는 역 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해 제어되는 데이터 보고부(33)는 인터페이스부(3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상술한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304)을 기초로, JCD의 제안, 참여, 후원과 관련된 데이터가 생성되고, 사용자 계정 관리부(31)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서버(10) 측에 보고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해당 JCD의 제안, 참여, 후원과 관련된 데이터를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 보고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한 일련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계정 운영소스 저장부(34)는 상술한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304)을 생성·운영하기 위한 운영소스(예컨대,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용 각종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영상 정보, 링크 정보, 프로그램 정보, 설정정보 등)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한 일련의 사용자 계정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해 제어되는 사용자 계정 소속정보 관리부(36)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35)에 의해 생성된 사용자 계정(IA)의 각종 소속정보, 예컨대, 사용자 계정(IA)의 처리가능 용량정보, 사용자 계정(IA)의 어드 레스 정보, 사용자 계정(IA)의 데이터 축적량 정보, 사용자 계정(IA)의 처리속도 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용자 계정 관리부(31)에 의한 일련의 사용자 계정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과 함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JCD 제안자 관리모듈(120)은 사용자 관리모듈(100)과 지속적인 신호 교환관계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 제안자(PU)가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를 매개로 시스템(200)에 접속한 후, 이에 게시된 사용자 계정 운용 가이드 프레임(304)의 프로젝트 제안 항목(305)을 선택하여, 일련의 프로젝트 제안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부터 <해당 사용자를 JCD 제안자(PU)로 관리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사용자 관리모듈(100)과 교신을 취하여, 사용자 정보 D/B(101)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아이디 정보, 사용자 로그기록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일련의 정보저장 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사용자를 JCD 제안자 정보 D/B(121) 내에 JCD 제안자(PU)로 선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JCD 제안자 정보 D/B(121)는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JCD 제안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한 JCD 제안자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 앞의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 JCD 제안자 관리모듈(120) 등과 함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모집/지원 관리모듈(80)은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지속적인 신호 교환관계를 취하면서,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에 의한 사용자 계정(IA)의 관리절차(예컨대, JCD 참여자/JCD 후원자의 모집을 위한 JCD 제안자의 웹 이벤트를 관리하는 절차)에 따라,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를 모집하기 위한 모집광고를 온라인 상에 생성·게시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이 모집광고에 대응되는 JCD 참여자(CU) 및 JCD 후원자(AU)의 지원정보를 체계적으로 수취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집/지원 관리모듈(80)은 모집지원 관리부(82)와, 이 모집지원 관리부(82)에 의해 총괄 관리되는 모집/지원정보 수취부(84), 모집/지원정보 저장부(87), 모집광고 생성부(86), 모집광고 게시부(8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모집지원 관리부(82)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83)를 매개로,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30)과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 등이 사용자 계정 운용 가이드 프레임(304)의 참여자/후원자 모집 항목(306), 참여자/후원자 지원 항목(307) 등을 선택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접속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들로부터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참여자/후원자 모집 가이드 프레임(310), 참여자/후원자 참여 가이드 프레임(311) 등을 생성·게시하고, 추후, 이 참여자/후원자 모집 가이드 프레임 (310), 참여자/후원자 지원 가이드 프레임(311) 등을 기반으로 하여,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들로부터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예컨대, JCD 참여자/후원자 모집 이벤트, JCD 참여자 지원 이벤트, JCD 후원자 지원 이벤트 등)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따라, JCD 제안자(PU)의 요청에 의한 모집광고 게시절차, JCD 참여자(CU) 및 JCD 후원자(AU)의 요청에 의한 지원정보 수취·저장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에서, 모집/지원 관리부(82)에 의해 제어되는 모집/지원정보 수취부(84)는 예컨대, JCD 제안자(PU)가 참여자/후원자 모집 가이드 프레임(310)의 필요항목을 기재하여,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83)를 매개로 이를 수취하고, 수취 완료된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를 모집/지원 관리부(82)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과 아울러,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PU) 등이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 가이드 프레임(311)의 참여자 지원항목(312), 후원자 지원항목(313) 등을 선택하여,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 등으로부터 일련의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83)를 매개로 이를 수취하고, 수취 완료된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정보를 모집/지원 관리부(82)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모집/지원 관리부(82)에 의해 제어되는 모집/지원정보 저장부(87)는 모집/지원정보 수취부(84)에 의해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3)로부터 출력된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정보 등이 수취 완료되고, 이에 대응하여, 모집/지원 관리부(82) 측으로부터 <해당 정보를 저장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일련의 저장 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정보 등을 모집/지원 정보 D/B(81)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모집/지원 관리부(82)에 의해 제어되는 모집광고 생성부(86)는 모집/지원정보 저장부(87)에 의해, 예컨대,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가 저장되고, 이에 대응하여, 모집/지원 관리부(82) 측으로부터 <참여자/후원자 모집정보에 상응하는 모집광고를 생성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일련의 광고 생성 루틴을 가동시켜,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에 대응되는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광고를 생성하고, 생성 완료된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광고를 모집/지원 관리부(82) 측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함께, 모집/지원 관리부(82)에 의해 제어되는 모집광고 게시부(85)는 모집광고 생성부(86)에 의해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에 대응되는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광고가 생성 완료되고, 이에 대응하여, 모집/지원 관리부(82) 측으로부터 <참여자/지원자 모집광고를 게시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정보 게시 루틴을 가동시켜, 모집/지원 관리부(82)에 의해 생성되는 참여자/후원자 지원 가이드 프레임(311)에 일련의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광고를 게시함으로써,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PU) 측에서, 일련의 JCD에 손쉽게 지원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JCD 참여자 관리모듈(90)은 사용자 관리모듈(100), 모집/지원 관리모듈(80) 등과 지속적인 신호 연결관계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 참여자(CU)에 의해 지원된 JCD 참여가 JCD 제안자(PU)에 의해 승인되어,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JCD 참여 승인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부터 <해당 사용자를 JCD 참여자로 관리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사용자 관리모듈(100)과 교신을 취하여, 사용자 정보 D/B(101)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아이디 정보, 사용자 로그기록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일련의 정보저장 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사용자를 JCD 참여자 정보 D/B(91) 내에 JCD 참여자로 선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JCD 참여자 정보 D/B(91)는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JCD 참여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한 JCD 참여자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JCD 후원자 관리모듈(110)은 사용자 관리모듈(100), 모집/지원 관리모듈(80) 등과 지속적인 신호 연결관계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 후원자(AU)에 의해 지원된 JCD 후원이 JCD 제안자(PU)에 의해 승인되어,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일련의 JCD 후원 승인 이벤트가 발생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부터 <해당 사용자를 JCD 후원자로 관리하라>는 취지의 메 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사용자 관리모듈(100)과 교신을 취하여, 사용자 정보 D/B(101)에 저장되어 있던 사용자 정보(예컨대, 사용자 아이디 정보, 사용자 로그기록 정보 등)을 추출한 후, 일련의 정보저장 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사용자를 JCD 후원자 정보 D/B(111) 내에 JCD 후원자로 선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JCD 후원자 정보 D/B(111)는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JCD 후원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한 JCD 후원자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자원 후원내역 관리모듈(70)은 자원보유 관리모듈(50), 모집/지원 관리모듈(80) 등과 지속적인 신호 연결관계를 취하면서, 특정 사용자가 JCD 후원자(AU)로 JCD 후원자 정보 D/B(111) 내에 저장 관리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부터 <해당 사용자의 후원내역을 관리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자원보유 관리모듈(50)과 교신을 취하여, 자원보유 정보 D/B(51)에 저장되어 있던 해당 사용자의 자원보유 정보를 추출한 후, 일련의 정보저장 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사용자(JCD 후원자)의 후원 내역을 자원 후원내역 정보 D/B(71) 내에서 선별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자원 후원내역 정보 D/B(71)는 자신의 정보저장 영역 내에, JCD 후원자(AU)의 후원내역과 관련된 데이터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한 JCD 후원내역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른 한편,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60)은 JCD를 위한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을 생성·관리하면서,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컨텐츠 데이터들을 공동 프로젝트 계정(JA) 내에 저장·관리함과 아울러,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2)들로부터 전송되는 후원 내역에 따라,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품질을 선택적으로 개선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60)은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와, 이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총괄 관리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생성부(64),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수취부(63),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저장부(68), 공동 프로젝트 계정 운영소스 저장부(66), 공동 프로젝트 계정 소속정보 관리부(67), 계정품질 개선부(6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는 인터페이스부(6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접속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들로부터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가 출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309)을 생성·게시하고, 추후,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 등이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309)에 소속된 각종 메뉴(314,315)를 선택하여,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들로부터 일련의 이벤트 데이터(예컨대, 컨텐츠 데이터, JCD 후원 데이터 등)가 전송되는 경우, 이에 대응하여, <JCD 참여자(CU) 측으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수취·저장/관리하는 절차>, <JCD 후원자(AU) 측으로부터 전송된 후원 내역을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운영에 반영하는 절차> 등을 총괄 진행하게 된다.
여기서,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제어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생성부(64)는 인터페이스부(6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예컨대, JCD 제안 데이터)에 대응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의 지시에 따라, 일련의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을 JCD 제안자(CU)에 의해 제안된 JCD 프로젝트별로 개별·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제어되는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수취부(63)는 인터페이스부(6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등이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309)에 속한 컨텐츠 업-로드 항목(314)을 선택하여,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들로부터 컨텐츠 데이터가 전송되는 경우, 이룰 수취하고, 수취 완료된 컨텐츠 데이터를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제어되는 공동 프로젝트 컨텐 츠 저장부(68)는 앞의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수취부(63)의 기능 수행에 의해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등으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가 수취 완료되고, 이에 대응하여,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 측으로부터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일련의 정보 저장루틴을 가동시켜,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2) 등으로부터 전송된 컨텐츠 데이터를 자신의 정보 저장 영역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수취부(63),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저장부(68) 등의 기능 수행 하에서, 공동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JCD 참여자(CU)들은 해당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여, 자신이 보유(제작)한 컨텐츠를 탄력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그 결과, JCD 제안자(AU) 등과 더불어, 최종 완성되는 컨텐츠가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제어되는 공동 프로젝트 운영소스 저장부(66)는 상술한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309)을 생성·운영하기 위한 운영소스(예컨대, 공동 프로젝트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용 각종 이미지 정보, 텍스트 정보, 영상 정보, 링크 정보, 프로그램 정보, 설정정보 등)를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한 일련의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제어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소속정보 관리부(67)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생성부(64)에 의해 생성된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각종 소속정보, 예컨대,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처리가능 용량정보,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어드레스 정보,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데이터 축적량 정보,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처리속도 정보 등을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한 일련의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더하여,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61)에 의해 제어되는 계정품질 개선부(65)는 인터페이스부(62)를 매개로,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 후원자(AU)가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309)에 속한 프로젝트 후원 항목(315)을 선택하여,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3)로부터 후원 내역 데이터(저장공간 제공 데이터, 사이버머니 제공 데이터, 현금제공 데이터 등)가 전송되고, 해당 후원 내역 데이터가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승인 완료되는 경우, 그 즉시, 일련의 품질 개선루틴을 가동시켜,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품질을 선택적으로 개선시키는 절차(예컨대,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저장용량을 증가시키는 절차,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에 할당된 사이버머니를 증가시키는 절차,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처리속도를 증가시키는 절차 등)를 진행시키게 된다.
결국, 이러한 계정품질 개선부(65)의 기능 수행 하에서, 공동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JCD 후원자(AU)들은 자신이 보유한 자원(저장공간, 사이버머니, 현 금 등)을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운용)에 융통성 있게 후원하여, 공동 프로젝트 계정(JA)의 품질을 자신의 후원내역에 따라, 최적의 조건으로 개선할 수 있게 되며, 결국, JCD 제안자(PU), JCD 참여자(CU) 등과 더불어, 최종 완성되는 컨텐츠가 최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각 전산모듈들과 함께,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에 의해 제어되는 분배 관리모듈(40)은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와 지속적인 신호 교환관계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가 최종 완료되어,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이익 분배에 대한 데이터가 전송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부터 <JCD에 대한 이익을 각 JCD 참여자, JCD 후원자 등에게 분배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자원보유 관리모듈(50)과 교신을 취하여, JCD에 지원/참여한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 등의 자원보유 내역이 JCD 제안자(PU) 측의 이익 분배 내역에 따라, 융통성 있게 증가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 관리모듈(40)은 분배 관리부(42)와, 이 분배 관리부(42)에 의해 총괄 관리되는 분배정보 수취부(44), 분배정보 저장 관리부(46), 분배 실행부(45) 등이 긴밀하게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분배 관리부(42)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인터페이스부(43)를 매개로 하여, 자원보유 관리모듈(50)과 교신하는 구조를 취하면서, 예컨대, JCD 이익 분배정보 수취 및 저장절차, JCD 이익 분배 실행절차 등을 총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분배 관리부(42)에 의해 제어되는 분배정보 수취부(44)는 예컨대, JCD의 완료 국면에서, JCD 제안자(PU)가 상술한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304), 공동 프로젝트 계정 가이드 프레임(309) 등에 속한 분배관련 항목을 선택하여,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1)로부터 JCD의 이익 분배와 관련된 정보가 전송되고, 이에 대응하여,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 측으로부터 일련의 승인정보가 전송되는 경우, 인터페이스부(43)를 매개로, 해당 JCD 이익 분배정보를 수취하고, 수취 완료된 JCD 이익 분배정보를 분배 관리부(42) 측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분배 관리부(42)에 의한 일련의 JCD 이익 분배절차가 별다른 문제점 없이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보조하게 된다.
또한, 분배 관리부(42)에 의해 제어되는 분배정보 저장 관리부(46)는 분배정보 수취부(44)에 의해 JCD 이익 분배정보가 수취 완료되고, 이에 대응하여, 분배 관리부(42) 측으로부터 <해당 정보를 저장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일련의 저장 루틴을 가동시켜, 해당 JCD 이익 분배정보를 분배정보 D/B(46)의 정보 저장영역 내에 안정적으로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분배 관리부(42)에 의해 제어되는 분배 실행부(45)는 분배정보 저장 관리부(46)에 의해, JCD 이익 분배정보가 분배정보 D/B(41) 내에 저장 완료되고, 이에 대응하여, 분배 관리부(42) 측으로부터 <분배 내역을 시스템에 반영하라>는 취지의 메시지가 전달되면, 그 즉시, 자원보유 관리모듈(50)과 일련의 교신절차를 진행하여, 자원보유 정보 D/B(51)에 저장되어 있던 JCD 참여자(CU) 측 자원내역, JCD 후원자(CU) 측 자원내역 등이 JCD 이익분배 내역에 맞추어, 융통성 있게 증가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분배 관리모듈(40)의 기능 수행 하에서, JCD 제안자(PU) 측 공동 프로젝트에 참여한 각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 등에서는 JCD 이익 분배 내역에 맞추어, JCD 공동 참여에 따른 이점, 예컨대, 자신의 사이버머니가 증가하는 이점, 자신의 사용자 계정 용량이 증가하는 이점 등을 효율적으로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다양한 변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의 제어 체제 내에, 일련의 권한허가 관리모듈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고, 이를 통해, JCD 제안자(PU)가 예컨대, 제공 컨텐츠의 품질, 후원 정도 등에 따라, JCD에 대한 JCD 참여자(CU), JCD 후원자(AU)의 권한을 선택적으로 차별화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변형을 꾀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에서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10)의 제어 체제 내에, 금융기관의 전산서버와 신호 연결되는 일련의 금융기관 교신모듈을 추가 배치하는 조치를 강구하고, 이를 통해, 실제 현금이 JCD 자원으로 후원되거나, JCD 이익으로 분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변형을 꾀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일련의 온라인 체제 하에서, 특정 사용자(컨텐츠 제공자)가 제안한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타 사용자들이 해당 프로젝트에 함께 참여하여, 고 품질의 컨텐츠를 자연스럽게 공동 개발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특정 사용자가 제안한 컨텐츠 개발 프로젝트에 동의하는 다수의 사용자가 각자가 보유한 자원(저장공간, 사이버머니, 현금 등)을 해당 프로젝트의 진행(운용)에 융통성 있게 후원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전산모듈 등을 체계적으로 연동 배치하고, 이를 통해, 컨텐츠의 전체적인 개발/수집/보급 절차가 다수 사용자들의 참여/후원에 의한 개방적인 환경 하에서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종래의 컨텐츠 단독 개발/수집/보급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들(예컨대, 컨텐츠 질 저하 문제점, 경제적인 비용 부담 문제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손쉽게 피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온라인망에 접속 중인 공동 컨텐츠 개발(JCD:Joint Contents Development)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과 선택적으로 신호 연결되며,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JCD 제안 가이드 절차, JCD 참여 가이드 절차, JCD 후원 가이드 절차를 선택적으로 총괄 제어하면서,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와;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가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를 통하여, 상기 JCD를 제안 또는 후원하거나, 상기 JCD에 참여할 수 있도록 개별 사용자 계정을 생성하여 지속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과;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JCD를 위한 공동 프로젝트 계정을 생성·관리하며, 상기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각 컨텐츠 데이터들을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내에 저장·관리함과 아울러, 상기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후원 내역에 따라,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의 품질을 선택적으로 개선시키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 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은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에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생성·게시하면서,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이벤트 데이터를 처리하여, JCD 제안자, JCD 참여자, JCD 후원자가 상기 JCD를 제안 또는 후원하거나, 상기 JCD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사용자 계정 관리부와;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계정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사용자 계정 생성부와;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기초로 생성된 상기 JCD의 제안, 참여, 후원과 관련된 데이터를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 측으로 보고하는 데이터 보고부와;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계정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생성·운영하기 위한 운영소스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 계정 운영소스 저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모듈은 상기 컨텐츠 공동개 발 가이드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에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생성·게시하면서, 상기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기초로 컨텐츠 데이터의 수취·저장절차, 후원 내역 반영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와;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을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생성부와;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기초로,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상기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컨텐츠 데이터를 수취하는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수취부와;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수취부에 의해 수취된 상기 컨텐츠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공동 프로젝트 컨텐츠 저장부와;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공동 프로젝트 운영 가이드 프레임을 생성·운영하기 위한 운영소스를 저장 관리하는 공동 프로젝트 계정 운영소스 저장부와;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전송되는 후원 내역에 따라, 상기 공동 프로젝트 계정의 품질을 선 택적으로 개선시키는 계정품질 개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에 의해 제어되면서,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에 의한 상기 사용자 계정의 관리절차에 따라, JCD 참여자, JCD 후원자를 모집하기 위한 모집광고를 생성·게시함과 아울러, 상기 모집광고에 대응되는 JCD 참여자 및 JCD 후원자 지원정보를 수취 관리하는 모집/지원 관리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지원 관리모듈은 상기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서버의 제어에 따라,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과 교신하면서,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들로부터 출력되는 이벤트 데이터에 따라, JCD 제안자의 모집광고 게시절차, JCD 참여자 및 JCD 후원자의 지원정보 수취·저장절차를 총괄 관리하는 모집/지원 관리부와;
    상기 모집/지원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사용자 계정 관리모듈을 매개로 하여, 상기 JCD 제안자 측 클라이언트의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및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의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정보를 수취하는 모집/지원정보 수취부와;
    상기 모집/지원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모집/지원정보 수취부에 의해 수취된 상기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 및 JCD 참여자/JCD 후원자 지원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모집/지원정보 저장부와;
    상기 모집/지원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모집/지원정보 수취부에 의해 수취된 상기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정보에 대응되는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광고를 생성하는 모집광고 생성부와;
    상기 모집/지원 관리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모집광고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상기 JCD 참여자/JCD 후원자 모집광고를 JCD 참여자 측 클라이언트, JCD 후원자 측 클라이언트에 선택적으로 게시하는 모집광고 게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KR1020050020087A 2005-03-10 2005-03-10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KR10062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87A KR100626146B1 (ko) 2005-03-10 2005-03-10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087A KR100626146B1 (ko) 2005-03-10 2005-03-10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74A KR20060099074A (ko) 2006-09-19
KR100626146B1 true KR100626146B1 (ko) 2006-09-21

Family

ID=37630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087A KR100626146B1 (ko) 2005-03-10 2005-03-10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1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113B1 (ko) * 2009-11-13 2010-09-03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59660A1 (ko) * 2015-04-01 2016-10-06 주식회사 엔돌핀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531B1 (ko) * 2007-01-30 2009-06-08 주식회사 픽셀플레넷 디지털컨텐츠 제작 커뮤니케이션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46B1 (ko) 2001-03-23 2004-03-24 (주)우리랑월드 투표 기반 커뮤니티 페이지 선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6048463A (ja) 2004-08-06 2006-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共同制作支援システムおよび共同制作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146B1 (ko) 2001-03-23 2004-03-24 (주)우리랑월드 투표 기반 커뮤니티 페이지 선정 방법 및 시스템
JP2006048463A (ja) 2004-08-06 2006-02-16 Dainippon Printing Co Ltd デジタルコンテンツの共同制作支援システムおよび共同制作支援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0113B1 (ko) * 2009-11-13 2010-09-03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6159660A1 (ko) * 2015-04-01 2016-10-06 주식회사 엔돌핀 스타트업 프로젝트 통합 지원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074A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62335B2 (en) Online survey spawning,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CN110490562A (zh) 一种多区块链的跨链数据处理方法和系统
US70801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exchanging creative content
US20120290654A1 (en) Rewarding Users for Sharing Digital Content
CN103136624A (zh) 工程项目招标、投标、评标的在线管理方法
CN102414705A (zh) 用于向社交网络的用户提供广告的方法和系统
US20010025296A1 (en) Creation of works over a computer network
CN107209877A (zh) 在线产品预订系统
US20110184742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centing behavior
TW201033919A (en) Architecture for an online advertisement bidding system
CN106453045A (zh) 基于互联社交网构建投融资共享平台的方法和装置及系统
KR20110123455A (ko)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는 자원, 지식정보 및 창의적 아이디어 등을 공모하거나 중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0626146B1 (ko)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JP7188997B2 (ja) P2p保険を実施するための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0910205A (zh) 一种基于充电宝的社交互动方法及系统
KR100509022B1 (ko) 사이버 선물주 개념을 도입한 연예인 펀드 조성 방법 및시스템
KR102579032B1 (ko)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465473B (zh) 用于团建活动创建的信息处理方法及装置
KR102357616B1 (ko) 응모 이벤트를 진행하는 방법 및 메시지 서버
JP4649744B2 (ja) コンテンツ無料配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コンテンツ無料配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Housel et al. A new theory of value: The new invisible hand of altruism
KR20120076580A (ko) 게임을 이용한 기부 애플리케이션이 저장된 기록 매체 및 게임을 이용한 기부 시스템
Guo et al. Autonomy in collaborative manufacturing networks
Won Lee et al. Scholarly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document supply trends and services between KERIS and NII
KR20130118038A (ko) 인터넷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대회 개최방법 및 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