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113B1 -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113B1
KR100980113B1 KR1020090109975A KR20090109975A KR100980113B1 KR 100980113 B1 KR100980113 B1 KR 100980113B1 KR 1020090109975 A KR1020090109975 A KR 1020090109975A KR 20090109975 A KR20090109975 A KR 20090109975A KR 100980113 B1 KR100980113 B1 KR 100980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content
idea
program
unit
ide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철
정의승
Original Assignee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109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1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단 지성을 이용하여 TV 프로그램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참여된 단말로부터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하는 아이디어 모집부;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적어도 두명의 참여자들을 결정하는 참여자 결정부; 참여자들이 소지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초안을 생성하는 초안 생성부; 및 미리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 또는 특정 집단에만 의존하며 획일화된 TV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좀더 독창적이고 공감할 수 있어 대중성을 갖춘 TV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media contents}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집단 지성을 이용하여 TV 프로그램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TV 산업을 변화시키는 요인으로 다매체 다채널과 방통 융합 등의 미디어 환경, 국제적 TV 산업의 환경 등을 꼽을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현재 이러한 글로벌 TV 산업의 영향권에 속해 있다고 볼 수 있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에 의해 제작된 TV 드라마인 '겨울연가', '대장금' 등이 해외로 수출되면서 한류 붐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한류 붐으로 인해 드라마와 같은 미디어 콘텐츠가 우리나라의 인지도를 국제적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국제 경쟁력을 통해 국내에 큰 시장을 형성시킬 수 있음을 인지하게 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미디어 콘텐츠는 소수의 전문가에 의해 그 내용이 결정될 뿐만 아니라, 시청자에 대한 인기에 따라 특정 드라마에 국한된 장르적 한계를 노출시켰다. 더불어, TV 프로그램 모방에 따른 저작권 문제가 표출되었으며, 유통 시스 템의 비전문성, 글로벌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의 고갈 등과 같은 문제점에도 직면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집단 지성을 이용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이러한 집단 지성에 의해 미디어 콘텐츠가 창작되도록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참여된 단말로부터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하는 아이디어 모집부;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적어도 두명의 참여자들을 결정하는 참여자 결정부; 상기 참여자들이 소지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초안을 생성하는 초안 생성부; 및 미리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아이디어는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디어이고 제2 아이디어는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되되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디어일 때,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상기 제2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 들과 비교하는 단어 비교부; 및 상기 비교로부터 추출된 공통 단어의 개수가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아이디어 선택부를 더욱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는 미리 정해진 키워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톨로지를 기준으로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유사도 비교부;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비교 대상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에 인증 정보를 부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등록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또는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상기 이용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개략 내역을 제공하는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 및 상기 제공된 내역을 수신한 제1 이용자 단말이 상기 제공된 내역으로부터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를 더욱 포함하거나,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또는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오픈 마켓에서 상기 마켓에 접속한 모든 이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는 갱신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부는 상기 인증 정보로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한 자에 대한 정보,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의 인증 일자, 및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의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시킨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는 판매 수익금 배분부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등록되거나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가 판매되면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등급 조정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동일 미디어 콘텐츠를 구입하려는 적어도 두명의 이용자들 중에서 적어도 한명의 이용자가 독점 계약을 원하면, 상기 적어도 두명의 이용자들이 선택한 미디어 콘텐츠를 경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경매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는 상기 경매로부터 낙찰된 이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이디어 모집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제안된 아이디어로 미리 정해진 미디어 콘텐츠 체계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디어를 모집한다. 또는, 상기 참여자 단말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 제공시 참조되는 아이디어 구체화 체크리스트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여자 단말은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를 고려 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는 상기 TV 프로그램의 제목, 상기 TV 프로그램의 대상 시청자층, 육하원칙에서 비롯된 상기 TV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상기 참여자 단말들은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각 구성 요소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안내 정보를 더욱 고려한다.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육하원칙에서 비롯된 TV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는 상기 TV 프로그램의 소재와 상기 소재로부터 비롯된 사건과 상기 사건의 해결 과제 및 상기 해결 과제에 대한 처리 결과를 포함하는 행동 요소(WHAT), 상기 TV 프로그램의 형식과 상기 TV 프로그램에서의 규칙과 상기 TV 프로그램의 줄거리 및 상기 TV 프로그램의 연출 방식을 포함하는 규칙 요소(HOW), 상기 TV 프로그램의 출연자와 상기 TV 프로그램의 진행자와 상기 TV 프로그램의 보조 진행자 및 상기 TV 프로그램의 패널을 포함하는 인적 요소(WHO), 상기 TV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 및 상기 TV 프로그램의 기획 목표를 포함하는 동기 요소(WHY), 상기 TV 프로그램이 촬영되는 장소를 포함하는 공간 요소(WHERE), 및 상기 TV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요소(WHEN)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여자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디어를 추천하거나 상기 선택된 아이디어에 댓글을 부가시킨 사용자들 중에서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를 상기 참여자로 결정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로 TV 프로그램을 창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텐츠 초안은 방송용 포맷에 적합하게 미디어 콘텐츠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공통 요소, 및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차별 요소를 포함하거나,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방송용 포맷에 적합하게 미디어 콘텐츠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공통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차별 요소,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예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기대 효과, 미디어 콘텐츠와 장르가 유사한 미디어 콘텐츠 샘플, 및 미디어 콘텐츠 시나리오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상기 참여자 단말들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데이터는 기획하려는 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미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초안에 대한 견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공감도 값이 가장 큰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거나, 미리 정해진 키워드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제2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아이디어 선택부를 더욱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참여자 결정부는 상기 제1 아이디어에 대해 상기 공감도를 표시한 사용자들 또는 상기 키워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용자들을 상기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참여자들로 결정하거나, 상기 아이디어 선택부는 상기 제1 아이디어로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추천인 수가 가장 많거나 검색건 수가 가장 많은 아이디어를 선택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모집하는 아이디어 모집부;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할 참여자를 결정하는 참여자 결정부; 상기 아이디어로부터 착안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기획하려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초안을 생성하는 초안 생성부; 및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를 포함하며, (a) 상기 아이디어 모집부가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참여된 단말로부터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하는 단계; (b) 상기 참여자 결정부가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적어도 두명의 참여자들을 결정하는 단계; (c) 상기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참여자들이 소지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d) 상기 초안 생성부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초안을 생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가 미리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단어를 비교하는 단어 비 교부; 및 상기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아이디어 선택부를 더욱 포함하며, 제1 아이디어는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디어이고, 제2 아이디어는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되되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디어이며,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의 중간 단계는, (aa) 상기 단어 비교부가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상기 제2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과 비교하는 단계; 및 (ab) 상기 아이디어 선택부가 상기 비교로부터 추출된 공통 단어의 개수가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미디어 콘텐츠들끼리 유사도를 비교하는 유사도 비교부와, 미디어 콘텐츠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미디어 콘텐츠를 등록시키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e) 단계의 이후 단계는 (f) 상기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가 상기 제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f) 단계는 (fa) 상기 유사도 비교부가 미리 정해진 키워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톨로지를 기준으로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fb) 상기 인증부가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비교 대상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하는 단계; 및 (fc) 상기 등록부가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에 인증 정보를 부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의 내역을 제공하는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 및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의 이후 단계는 (g) 상기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가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또는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개략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및 (h)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가 상기 제공된 내역을 수신한 제1 이용자 단말이 상기 제공된 내역으로부터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면, 상기 제1 이용자 단말로 상기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하거나, (g')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가 오픈 마켓에서 상기 마켓에 접속한 모든 이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는 갱신부; 또는 상기 참여자의 등급을 조정하는 등급 조정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f) 단계의 이후 단계는 (g) 상기 갱신부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거나, 상기 등급 조정부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은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는 판매 수익금 배분부; 또는 상기 참여자의 등급을 조정하는 등급 조정부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h) 단계 또는 상기 (g') 단계는 상기 판매 수익금 배분부가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거나, 상기 등급 조정부가 상기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로 TV 프로그램을 창작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집단 지성을 이용함으로써, 개인 또는 특정 집단에만 의존하며 획일화된 TV 프로그램에서 벗어나 좀더 독창적이고 공감할 수 있는 TV 프로그램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더불어, 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 고갈 현상을 해소할 수 있으며, 대중성이 있는 미디어 콘텐츠를 창출할 수 있다.
둘째, TV 프로그램 포맷 창작 과정을 온라인 상에서 시스템적으로 구현하여 전문가들이 아닐지라도 쉽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체계화할 수 있으며, 유통 시스템을 전문화시키고 제작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해 인증함으로써 TV 프로그램 포맷을 지적 재산권화할 수 있다.
세째, TV 프로그램 제작 노하우를 온라인 시스템적으로 구현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일반인들도 쉽게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포맷으로 창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 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a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100)은 참여자 단말(110), 이용자 단말(120), 전문가 단말(130) 및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를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100)은 미디어 컨텐츠 창작에 관심이 있는 사용자들이 다양한 장르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하고, 이러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사이버 창작 과정을 통하여 미디어 콘텐츠 제작자를 위한 미디어 콘텐츠 포맷을 제작 및 유통하는 인터넷 서비스 시스템이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콘텐츠는 음성, 음성+영상 등으로 표시되는 방송용 콘텐츠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예컨대 TV 프로그램이 이에 해당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100)은 기존의 전문가들의 아이디어에만 의존하던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일반 사용자들의 집단 지성으로부터 이끌어 내어 공동 창작물을 제작하여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포맷을 유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100)의 특징은 한명의 아이디어 또는 방송 제작 전문가들에 의한 아이디어가 아니라, 인터넷을 통하여 유사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사용자들의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방송 제작 전문가들의 방송 제작 노하우를 시스템적으로 구성한 가이드를 통하여 체계화함으로써, 사용자들의 참신하고 독창적인 TV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쉽게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포맷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데에 있다.
오늘날 TV 프로그램은 해외 콘텐츠 시장의 국내 시장 진입 대비 및 글로벌 콘텐츠 유통 시장의 흐름을 주도할 수 있는 콘텐츠 창작 및 유통 비즈니스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해외 시장에서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TV 콘텐츠 유통 비즈니스 모델인 TV 포맷 산업이 주목받고 있다. 이는 종래의 TV 프로그램 완제품 유통 방식과는 달리 지역 간의 문화적인 차이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TV 프로그램 포맷을 수출하는 것이다. 이러한 TV 포맷 산업은 2000년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확장되어 오늘날 전세계적으로 필수적인 TV 프로그램 유통모델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TV 포맷 산업의 핵심은 TV 포맷 자체가 전세계적으로 유통되는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아이디어 창조 상품이라는 데 있다. 종래의 TV 프로그램 완제품 유통과는 달리, 프로그램 아이디어, 제작 노하우를 매뉴얼화한 포맷 바이블 패키지 유통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에 아이디어 자체가 저작권을 가지고 있는 상품인 것이다. 따라서,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더이상 전문가들에게만 맡길 것이 아니라, 일반인들의 창의성과 아이디어 창출에 기초한 지적 재산을 축적할 필 요가 있다.
참여자 단말(110)은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하는 참여자가 접속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참여자 단말(11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 사용자 클라이언트 PC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참여자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관심 있는 일반인 모두 해당될 수 있으며, 소정의 회원가입 절차를 거치면 누구나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참여할 수 있다.
참여자 단말(110)로 접속하는 참여자는 크게 일반 사용자와 전문 사용자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 사용자는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가입한 회원이며, 전문 사용자는 TV 프로그램 제작에 경험이 있는 회원을 의미한다.
이용자 단말(120)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이용하는 이용자가 접속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이용자 단말(120)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사 클라이언트 PC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용자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로는 프로듀서(PD), 영화감독, 뮤직비디오 감독 등이 있으며,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로는 영화 제작사, 드라마 제작사 등이 있다.
전문가 단말(130)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가 접속하는 단말이다. 이러한 전문가 단말(130)은 포맷 전문가 클라이언트 PC로 구현될 수 있다. 전문가 단말(130)은 참여자 단말(110) 그룹에 의해 생성된 미디어 콘텐츠 초안에 대하여 전문가가 피력한 견해를 송신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전문가 단말(130)은 기획하려는 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미리 선택될 수 있으며, 참여자 단말(110) 그룹의 추천에 의해 선택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사용자를 회원 가입시키며, TV 프로그램 창작을 위한 초기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제안한 아이디어에 공감대를 가지고 있거나 공통 키워드를 가진 아이디어 사용자들을 클럽으로 결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이를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아이디어 등록 서버(141)를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시스템적으로 DB화된 방송 제작 전문가들의 노하우에 대해 사이버 상에서 클럽원들이 학습할 수 있게 그 환경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초기 아이디어로부터 창작 과정을 통하여 확장 가능하게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이를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어 확장 지원 시스템(142)을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창작 과정을 거친 창작물을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서면 포맷으로 작성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최종 서면 포맷을 작성하기에 앞서 전문가 의견을 반영시킬 수 있게 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이를 위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맷 기획안 작성 시스템(143), 최종 포맷 평가 시스템(144) 등을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작성된 TV 프로그램 포맷을 등록하고, 등록 번호를 부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방송 제작 관련 업체와의 연계를 통하여 계약 및 판매를 대행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이를 위해 최종 포맷 등록 서버(145)를 포함한다.
한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처리하거나 수신된 것을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한다. 이러한 데이터베이스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유무선 통신 연결되어 별도 구축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100)은 전술한 기능을 통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다양한 의견 교류를 지원하기 위해 누구나 자신의 아이디어를 적고, 이러한 아이디어에 대한 키워드를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과 유사한 아이디어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둘째, 키워드가 동일한 아이디어들이나 아이디어에 대한 댓글을 태그화함으로써 사용자가 항시 자신이 발상한 아이디어의 의견 및 유사 아이디어를 쉽게 보고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한다.
세째, 아이디어 구체화를 위하여 전문가 DB 시스템을 구축하여 아이디어가 TV 프로그램으로 확장되기 위한 조건을 시스템 상에 명문화하여 사용자들이 쉽게 자신의 의견을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갖추어야 할 요소들로 변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네째, 상기를 통해 추출된 결과물을 가지고 실제 전문가들의 자문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위하여 전문가 위원회를 사이버 상에서 구축하고, 이들과 의견 교류를 통하여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최종 서면 포맷이 온라인 상에서 창작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다섯째, 창작된 최종 서면 포맷을 DB화하여 등록 관리함으로써 창작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게 한다.
여섯째, 변화하는 디지털 시대,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고 새롭고 진화된 콘텐츠의 생산을 위해 다양한 아이디어를 공유하며 창작 의욕을 고취시킨다. 단순한 아이디어에서부터 전문적인 프로그램 기획 제안서, 콘텐츠 포맷 창작 및 아이디어 제안을 아우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아이디어 창작 사이버 공간으로서의 전문가만이 가지고 있는 노하우를 시스템화함으로써 아카이빙(archiving), 아이디어 플랫폼, 호스팅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아이디어 모집부(200), 참여자 결정부(210), 데이터 수집부(220), 초안 생성부(230),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240),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 전원부(270) 및 제어부(280)를 포함한다.
아이디어 모집부(200)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아이디어 모집부(200)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제안된 아이디어로 미리 정해진 미디어 콘텐츠 체계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디어를 모집한다.
사용자들은 최초 사이트에 접속시 다른 사용자들이 작성해 놓은 아이디어를 열람할 수 있다. 또한,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직접 자신의 아이디어를 작성하고, 자신의 아이디어를 다른 사용자가 찾아볼 수 있도록 키워드(600)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작성한 다른 사용자의 아이디어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댓글 형태로 작성할 수 있으며, 추천도 가능하다. TV 프로그램을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DB에 모이게 되면, 사용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좀더 구체적으로 확장시킬 수가 있다. 이 경우,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아이디어 구체화 체크리스트 항목(610)을 작성하여 서버(140)에 제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아이디어 구체화 체크리스트는 미리 정해진 미디어 콘텐츠 체계에 따른 조건을 만족하는 아이디어로서, 단순히 사용자의 상상력을 통한 아이디어를 TV 프로그램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로 체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방송 전문가들이 기존의 아이디어 미팅에서 자주 사용하는 체크 항목을 시스템적으로 DB화한 것이다. 이러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사용자들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프로그램 포맷에 맞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시청자들의 공감을 얻어 실제 프로그램화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의문도 해결할 수 있다. 아이디어 구체화 체크리스트는 예컨대 표 1과 같이 구성할 수 있으며, 서버(140)의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
<필수>
1. 프로그램 연출을 위한 특별한 조건이 제시되었나?
: 문제 혹은 갈등 발생 요소 (인물, 장소, 시간, 방법, 대상, 목표)
: 문제 혹은 갈등 해결 조건
2. 프로그램을 보여주는 방식에 특별한 아이디어가 있는가?
: 특별한 연출 장소, 조건
: 등장 인물들의 조합 방식
: 프로그램 룰의 새로움
: 기술적인 특별함
: 최종 목표의 신선함
3. 프로그램을 통해서 시청자들이 새롭게 얻어가는 것이 있는가?
: 정보
: 유희 (긴장감, 즐거움, 감동 등)
: 새로운 시각적 스타일
: 참여
<부가>
1. 시대적 이슈에 얼마나 부합하나?
: 동시대 감각에 얼마나 부응하는가.
2. 사람들의 공감은 얻을 수 있나?
: 상식적인가. 인권문제 등으로 비약될 가능성은 없는가.
: 보편적인 감성 코드를 가지고 있는가.
3. 유사한 프로그램이나 아이디어는 없는가?
: 유사해도 다른 포인트가 있는가.
4. 타겟 시청자층은 확실한가?
: 누구를 대상으로 제작하는가.
: 타겟 대상층의 감성에 어필할 수 있겠는가.
5.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
참여자 결정부(210)는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적어도 두명의 참여자들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참여자 결정부(210)는 선택된 아이디어를 추천하거나 선택된 아이디어에 댓글을 부가시킨 사용자들 중에서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를 참여자로 결정한다. 상기에서, 댓글이란 게시물 바로 밑에 즉시 남길 수 있는 짧은 글로서, 덧글, 코멘트(comment), 리플(reply) 등과 동일한 개념이다.
참여자 결정부(210)는 단어 비교부(211), 아이디어 선택부(212) 등을 포함한다.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임의의 아이디어를 선택하여 이를 제1 아이디어라고 하고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되되 제1 아이디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디어를 제2 아이디어라고 할 경우, 단어 비교부(211)는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제2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반면, 아이디어 선택부(212)는 상기 비교로부터 추출된 공통 단어의 개수가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이면,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공통 단어는 동일 단어 뿐만 아니라 유사 단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사용자들이 자신의 아이디어에 대하여 아이디어 구체화 체크리스트를 작성하게 되면, 단어 비교부(211)는 작성된 체크리스트를 다른 사용자의 체크리스트와 단어 유사성을 비교한다. 60% 이상 일치하는 아이디어가 없으면 아이디어 선택부(212)는 대상 아이디어를 채택하고, 참여자 결정부(210)는 이로부터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참여할 참여자 단말을 그루핑시킨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참여자 결정부(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디어 창안자에게 자신의 아이디어를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클럽 결성 권한(700)을 부여하는 것도 가능하다.
참여자 결정부(210)는 아이디어를 구체화시킬 가능성이 높은 참여자로 해당 아이디어에 댓글을 작성하였거나 추천한 회원을 대상으로 참여자를 사이트 내에서 선별한다. 아이디어 창안자가 원하는 만큼의 클럽원이 확보되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해당 클럽에 비공개 클럽 게시판을 제공한다. 이러한 클럽 게시판에서 작성된 모든 컨텐츠는 비공개되며, 향후 새로운 TV 프로그램 창작을 위한 서면 포맷이 등록되었을 때 저작권 및 소유권의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시스템 DB에 저장된다. 한편, 아이디어 창안자에게 클럽 결성 권한을 부여한 경우,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아이디어 창안자로부터 클럽 결성 사실이 수신되면 해당 클럽에 비공개 클럽 게시판을 제공한다.
한편,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공감도 값이 가장 큰 아이디어를 제3 아이디어라 하고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아이디어를 제4 아이디어라고 할 경우, 아이디어 선택부(212)는 제3 아이디어 또는 제4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아이디어 선택부(212)는 제3 아이디어로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추천인 수가 가장 많거나 검색건 수가 가장 많은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참여자 결정부(210)는 제3 아이디어에 대해 공감도를 표시한 사용자들 또는 미리 정해진 키워드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키워드를 포함하는 아이디어를 제안한 사용자들을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참여자로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공감도란 해당 아이디어를 추천하거나 해당 아이디어에 댓글을 다는 등 호감이나 호응을 표시한 것을 의미한다.
한편, 참여자 결정부(210)(또는 클럽 결성 권한을 부여받은 아이디어 창안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창을 통해 클럽 게시판을 생성하거나(800), 수정, 삭제 등 편집할 수 있다(810). 또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시로 클럽 회원을 신규 가입시키거나(820), 회원 관리할 수 있다(830). 또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였거나 더이상 클럽의 운영이 어려운 상황일 경우에는 클럽 운영을 일시 중지시키거나(840), 폐쇄할 수도 있다(850).
데이터 수집부(220)는 참여자가 소지한 참여자 단말(110)로부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수집부(220)는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제1 데이터를 수집한다.
데이터 수집부(220)가 수집하는 제1 데이터는 참여자 단말(110)이 생성하는 것으로서, 참여자 단말(110)은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제1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참여자 단말(110)은 제1 데이터를 생성할 때에 미디어 콘텐츠의 각 구성 요소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안내 정보를 더욱 고려할 수 있다.
TV 프로그램 제작을 위한 초기 기획안을 작성하기 위하여 데이터 수집부(220)는 참여자들에게 TV 프로그램 창작 시스템을 제공한다. TV 프로그램 창작 시스템이란 TV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과 그 요소들이 가져야 할 특성을 안내해 주는 시스템을 말한다.
클럽원들은 도 9a ~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창을 통해 TV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에서 제시된 작성 항목(900)에 대하여 자신들의 생각을 각자 작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가져야 할 특성을 안내하는 안내 정보의 경우, TV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의 범주에 대하여 아이디어가 프로그램으로 제작되기 위하여 갖추어야 할 요건들을 시스템적으로 명문화하여 가이드해 준다. 이러한 TV 프로그램 창작 시스템은 참여자들이 전문가가 아닐지라도 학습을 통하여 충분히 자신들의 아이디어를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으로 쉽게 변형하여 작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는 예컨대 미디어 콘텐츠가 TV 프로그램일 경우, 표 2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표 2를 참조하면,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는 TV 프로그램의 제목, TV 프로그램의 대상 시청자층, 육하원칙에서 비롯된 TV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육하원칙에서 비롯된 TV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는 TV 프로그램의 소재, 소재로부터 비롯된 사건, 사건의 해결 과제, 해결 과제에 대한 처리 결과 등을 포함하는 행동 요소(WHAT)와, TV 프로그램의 형식, TV 프로그램에서의 규칙, TV 프로그램의 줄거리, TV 프로그램의 연출 방식 등을 포함하는 규칙 요소(HOW)와, TV 프로그램의 출연자, TV 프로그램의 진행자, TV 프로그램의 보조 진행자, TV 프로그램의 패널 등을 포함하는 인적 요소(WHO)와, TV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 TV 프로그램의 기획 목표 등을 포함하는 동기 요소(WHY)와, TV 프로그램이 촬영되는 장소를 포함하는 공간 요소(WHERE), 및 TV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포함하는 시간 요소(WHEN)을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아래 표 2를 참조한다.
구분 범주 작성 항목 세부 안내 내용
제작 기본 기본 정보 프로그램 제목
대상 시청자층
콘셉트 키워드
행동 요소 WHAT
프로그램 소재 영역 및 과제
소재 연애/매칭
결혼/부부
가족/육아
요리
인테리어/집/정원
동물
패션
성형
미용
창업/비즈니스
스타/연예인/유명인사
영재/전문가
극과 극
다이어트
취미/여가
건강
여행
개그/유머/코미디
음악
댄스
스포츠
묘기/장기자랑
범죄
엽기/공포/극한체험
생존/야생/오지체험/탐험
역사/유물
연예정보
과학/상식
관계/감정(emotion)
심리
진위판정/거짓말
꿈의 실현
(dreams come true)
감정(鑑定)
경매
기타
사건 상황, 갈등요소
과제 미션, 퀴즈
결과 해결방법, 획득결과물 (심리적 보상 포함)
규칙 요소 HOW
프로그램 구조 및 진행방법
형식 리얼리티
변신
게임/대결
퀴즈
콘테스트
베팅(betting)
토크
버라이어티
매거진
역할 수행(role playing)
재연
인터뷰
사연 소개
시청자 비디오
시청자 투표
전문가 참여/조언
스튜디오 구성
몰래 카메라
비디오 클립
문제해결(solution)
목표달성
실험/검증
인터랙티브(interactive)
기타
규칙(룰) 상/벌, 팀 구성방식, 심사 방식, 우승자 결정방식, 진행방식 등
줄거리/구조 사건의 흐름, 에피소드 구성 흐름도
연출방식 독특한 스타일, 독창성
인적 요소 WHO
프로그램 구성원 성격과 역할
출연자 인원, 성별/ 연령, 역할, 특징, 팀 분류 기준
진행자 인원, 성별/ 연령, 역할, 특징
보조진행자 인원, 성별/ 연령, 역할, 특징
패널 인원, 성별/ 연령, 역할, 특징, 고정 여부
동기 요소 WHY
프로그램 기획 의도
동기 및 목표
(프로그램 컨셉트)
프로그램 컨셉트(제작 의도, 목표)
공간 요소 WHERE
프로그램 공간 기획 주요 아이디어
야외/스튜디오 프로그램 공간 기획 등 주요 아이디어 (야외촬영장소, 스튜디오, 세트등의 진행 환경, 기술 요소)
시간 요소 WHEN
프로그램 흐름
시간(방송시간) 프로그램 흐름 : 속도감, 타이밍, 시의성, 템포 등
한편, 미디어 콘텐츠의 각 구성 요소가 가지는 특성에 대한 안내 정보 예시는 아래 보기와 같다.
<보기>
1. Who, 누가 - 인적 요소
□ 주 요소
1) 출연자 - 그(그들)은 누구이며 캐릭터가 매력적인가?
2) 선발방식 - 선발에 의외성과 긴장감이 있는가?
3) 보조출연자 - 주출연자와 보조출연자 사이의 역학 관계는? 조력자를 둘 것인가?
4) 진행자 - 프로그램 전체를 휘어잡을 수 있는 카리스마가 있는가?
5) 캐릭터의 변화 - 프로그램의 처음과 끝, 그들은 어떻게 달라지는가? 영웅이 되는가? 비참하게 되는가?
6) 관계망 - 모든 출연자의 관계는 얼마나 역동적인가?
□ 보조 요소
7) 평가단(Reaction) - 시청자 참여인가, 방청객 패널인가?
8) 제작진의 개입 - 개입은 기발하면서 통제 가능한가?
9) 시청자 - 어느 정도 참여를 허용할 것인가?
2. What, 무엇을 - 과제 요소
□ 주 요소
1) 몰입성 - 과제는 누가 봐도 푹 빠질만큼 재미있고 매력적인가?
2) 난이성 - 과제는 어려우면서도 해결 가능한 것인가?
3) 과격성 - 해결해야 할 과제는 평범하면서도 기발함이 있는가?
4) 대립성 - 과제의 해결에 늘 대립적인 요소들이 충돌하는가?
5) 보편성 - 과제는 인간의 보편적인 갈등, 욕망을 반영한 것인가?
6) 민족성 - 과제를 해결하고 나서의 성취감, 만족감은 어느 정도인가?
□ 보조 요소
7) 복잡성 - 간단해 보이지만 파고들수록 복잡한가?
8) 비약성 - 과제는 순차적 접근보다는 때때로 비약을 용납하는가?
9) 의외성 - 과제가 잘 풀릴 것 같으면서도 돌발 상황에 직면할 수 있는가?
3. How, 어떻게 - 방법 요소
□ 주 요소
1) 장르 적절성 - 선택한 장르는 프로그램의 내용에 적합한가?
2) 규칙의 공감성 -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룰을 가지고 있는가?
3) 인과성 - 과제 해결 과정이 개연적이고 납득할 만한가?
4) 예측성 - 행동의 다음 결과를 예측하기가 힘든가?
5) 긴장감 - 전개 과정이 손에 땀을 쥐게 하는가?
6) 독창성 - 프로그램의 전개가 창의적이고 신선한가?
□ 보조 요소
7) 공정성 - 상벌, 생존과 탈락의 규칙은 공정한가?
8) 우연성 - 전개와 결말에 의외의 요소가 끼어들 수 있는가?
9) 교정 가능성 - 잘못된 방식에 대해 항의하고 이의를 제기할 수 있는가?
4. Why, 왜 - 동기 요소
□ 주 요소
1) 유인의 타당성 - 출연자들을 움직이게 하는 동기는 적절한가?
2) 목표의 적합성 - 출연자들이 감당할 만한 목표인가?
3) 자극성 - 출연자들의 인간적 욕망을 얼마나 자극하는가?
4) 대리만족성 - 동기와 목표는 시청자가 자기의 것으로 할 수 있는 것인가?
5) 도전성 - 인간의 도전의식을 일깨우는가?
6) 접근의 다양성 - 늘 같은 목표이지만 매번 새롭게 접근할 수 있는가?
□ 보조 요소
7) 직관성 - 프로그램의 동기와 목표가 한 눈에 바로 알아볼 수 있을 정도로 명료한가?
8) 사회 반영성 - 어떤 사회적 흐름을 담고 있는가?
9) 국제성 - 어느 나라 누구에게도 먹힐 만한가?
5. When, 언제 - 시간 요소
□ 주 요소
1) 속도감 - 구성의 흐름을 속도감 있게 잘 배열했는가?
2) 타이밍 - 적절한 순간에 의외의 사건이 터지도록 배치했는가?
3) 희귀성 - 누구나 한번쯤 되돌아가고 싶은 순간들을 잘 배열했는가?
4) 압축성 - 다양한 시간을 압축해서 보여줄 수 있는 장치가 있는가?
5) 시의적절성 - 사회적 경향과 흐름을 잘 반영하고 있는가?
6) 제한성 - 주어진 시간은 늘 제한적임을 효과적으로 주지시키고 있는가?
□ 보조 요소
7) 개입성 - 시간의 흐름을 가로막는 장애물을 잘 개입시켰는가?
8) 역행성 - 시간의 흐름을 역행시키는 의외의 사건들을 배치했는가?
9) 반추성 - 지나간 시간을 되씹어보며 반성할 기회가 있는가?
6. Where, 어디서 - 공간 요소
□ 주 요소
1) 환상성 - 프로그램이 벌어지는 공간은 누구나 선망하는 곳인가?
2) 친밀성 - 누구나 집같이 느낄만큼 편안함을 주는가?
3) 변화무쌍 - 공간 안에 다양한 차원, 구획을 만들 수 있는가?
4) 연결성 - 시청자가 이용하는 공간으로부터 유추 가능한 곳인가?
5) 이동성 - 프로그램 내의 공간 이동이 자유로운가?
6) 화제성 - 최첨단 유행과 기술을 접목한 곳인가?
□ 보조 요소
7) 상징성 - 공간이 함축적으로 상징하는 바는 무엇인가?
8) 접근가능성 - 시청자와 일반인들이 접근이 가능한 곳인가?
9) 경제성 - 전체 예산에 부담 주지 않을 정도로 운용할 수 있는 곳인가?
초안 생성부(230)는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초안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러 명의 클럽원들이 각자의 생각을 가지고 TV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요소들의 항목을 작성하면, 각 항목마다 다양한 의견들이 작성된다. 이러한 여러 사람들의 의견을 읽어보고, 검토하여 클럽원들은 각자가 자신이 생각하는 가장 독창적이고 매력적인 TV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각 항목간의 연결을 통하여 완성할 수 있다. 꼭 자신이 낸 아이디어가 아니라 할지라도, 여러 사람의 아이디어를 자신의 아이디어로 흡수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집단 지성을 이용한 콘텐츠 창작의 가장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규칙 요소 부분은 자신이 작성한 아이디어를 그대로 사용하고, 인적 요소 부분은 다른 클럽원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차용하여 새로운 또 하나의 TV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연결된 하나의 TV 프로그램 아이디어를 클럽원들이 클럽 게시판에 올려 놓으면, 클럽원들의 투표를 통해(ex. 클럽원 2/3 이상 추천) 하나 또는 2개 정도의 스토리를 가지고 있는 아이디어가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 작성 단계로 진입하게 된다.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 형식이 제공된 뒤, 초안 생성부(230)는 단독으로(또는 아이디어 창안자와 함께)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을 작성한다. 이렇게 작성된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은 일반인들의 아이디어를 전문가들과 의사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그러면, 전문가들은 이를 통해 초기 일반인들의 아이디어 도출을 위한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일반인들은 방송 컨텐츠 창작을 위한 장벽을 뛰어넘을 수 있게 된다.
초안 생성부(230)에 의해 생성된 콘텐츠 초안은 방송용 포맷에 적합하게 미디어 콘텐츠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공통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차별 요소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 초안에 해당하는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 형식의 일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에서 미디어 콘텐츠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는 도면 부호 30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며,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공통 요소는 도면 부호 310~33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차별 요소는 도면 부호 34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특히, 도면 부호 310 내용은 플로우 차트 형태로서 시간적 순서에 따라 전개되는 내용을 포함하는 TV 프로그램 구조에 대한 것이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미디어 콘텐츠 포맷을 창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초기 기획안이 작성되어 제출되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240)는 회원 가입된 TV 프로그램 전문가들을 섭외하여 클럽을 위한 TV 프로그램 포맷 제작 가이드 위원회를 구성하여 클럽원들과 연결시켜 준다. 전문가 위원회는 초기 기획안에 대한 TV 프로그램화 가능 여부 및 자신들의 의견을 첨부하여 클럽원들에게 송부하며, 클럽원들과 의견을 교류할 수 있다. 이러한 의견 교류를 통하여 초기 기획안이 확정되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240)는 TV 프로그램 창작을 위한 최종 서면 포맷을 정해진 형식에 따라 작성하여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240)에 의해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는 방송용 포맷에 적합하게 미디어 콘텐츠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공통 요소,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차별 요소,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예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기대 효과, 미디어 콘텐츠와 장르가 유사한 미디어 콘텐츠 샘플, 미디어 콘텐츠 시나리오 등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미디어 콘텐츠에 해당하는 TV 프로그램 최종 서면 포맷 형식의 일례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4에서 미디어 콘텐츠가 갖추어야 할 기본 요소는 도면 부호 30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며,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공통 요소는 도면 부호 310~33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다른 미디어 콘텐츠와의 차별 요소는 도면 부호 34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예산은 도면 부호 35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기대 효과는 도면 부호 36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하며, 미디어 콘텐츠와 장르가 유사한 미디어 콘텐츠 샘플은 도면 부호 370과 같은 내용을 포함한다.
한편, 제2 데이터는 기획하려는 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미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130)로부터 수신된 콘텐츠 초안에 대한 견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전문가 단말(130)로부터 수신되는 견해는 콘텐츠 초안에 대한 해당 전문가의 자문이나 조언 또는 내용 첨삭, 콘텐츠 초안이 미디어 콘텐츠 자격에 부합하는지 여부 등을 포함한다.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최종 작성된 TV 프로그램 최종 서면 포맷의 유사성을 기존에 등록된 서면 포맷과의 단어 일치성을 조사하여 최종 등록하고 번호를 부여할 수 있다. 이때, 번호가 부여된 최종 서면 포맷은 TV 프로그램 제작사들에게 통보되고, 오픈 마켓을 통하여 판매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참여자들은 판매된 포맷에 대한 저작권을 가질 수 있다. 이를 단계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 최종 서면 포맷에 대한 기여도를 확정한다. 제2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 최종 서면 포맷의 고유성을 심사한다. 제3 단계에서는 위원회 2/3 이상의 승인으로 제작된 TV 프로그램 포맷을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한다. 제4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 최종 서면 포맷에 대해 등록 번호를 부여한다. 제5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 서면 포맷을 사이버 마켓에 등록하고 제작사에 이를 통보한다. 더불어, TV 프로그램 서면 포맷에 대해 제작자 권리를 인정한다. 제6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 서면 포맷을 제작사 포맷으로 피칭한다. 제7 단계에서는 TV 프로그램 포맷을 판매한다. 제8 단계에서는 판매 수익금을 배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점을 고려하여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가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와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미디어 콘텐츠를 유형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킨다.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유사도 비교부(251), 인증부(252), 등록부(25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도 비교부(251)는 미리 정해진 키워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톨로지를 기준으로 제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인증부(252)는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비교 대상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등록부(253)는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에 인증 정보를 부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등록부(253)는 인증 정보로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한 자에 대한 정보,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의 인증 일자, 및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의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시킨다.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갱신부(미도시), 등급 조정부(미도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갱신부는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에서, 갱신이란 업데이트(update) 또는 업그레이드(upgrade)를 지칭한다.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등록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 가능하게 관리한다. 바람직하게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 단말들에 한해 등록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할 수 있게 한다. 이는 창작자들의 권리를 보호하고, 아이디어에 대한 저작권을 보호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등급 조정부는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등록되면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는, 등급 조정부는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가 판매되면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등급 조정부는 기여도에 따라 참여자들의 등급을 차별 상향시킨다.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는 미디어 콘텐츠를 아카이빙(archiving)한다. 아카이빙이란 원본 파일을 항상 최신의 상태로 보호 관리하는 기법을 말한다. 오늘날 이러한 아카이빙은 단순한 데이터 보존의 목적에서 벗어나, 복잡하고 다양한 데이터 관리 기술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수행할 수 있게 해주며, 비상시 빠른 복구도 가능케 한다. 더불어, 아카이빙은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의 영향 없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서비스 제공업체의 여러 의무 규칙에 따른 데이터 보호 체계를 쉽게 구축할 수 있게 도와준다.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는 오픈 마켓에서 상기 마켓에 접속한 모든 이용자 단말(120)들을 대상으로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는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미도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120)로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개략 내역을 제공하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는 제공된 내역을 수신한 제1 이용자 단말이 제공된 내역으로부터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면 제1 이용자 단말로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한다.
상기에서,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는 예컨대 단말 리스트 작성부(미도시), 단말 리스트 저장부(미도시), 내역 제공 단말 선택부(미도시) 등을 구비함으로써 이용자 단말을 결정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단말 리스트 작성부는 이용자 단말(120)에 대한 단말 리스트를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단말 리스트 저장부는 작성된 단말 리스트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내역 제공 단말 선택부는 저장된 단말 리스트로부터 내역을 제공할 이용자 단말을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는 판매 수익금 배분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판매 수익금 배분부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는 미디어 콘텐츠 경매부(미도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 경매부는 동일 미디어 콘텐츠를 구입하려는 적어도 두명의 이용자들 중에서 적어도 한명의 이용자가 독점 계약을 원하면, 적어도 두명의 이용자들이 선택한 미디어 콘텐츠를 경매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는 경매로부터 낙찰된 이용자에게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한다.
전원부(270)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의 모든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어부(280)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의 모든 구성요소의 전체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140)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미도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콘텐츠 정보 제공부는 그루핑된 참여자 단말들로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경우, 데이터 수집부(220)는 제공된 정보를 수신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제1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100)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그리고,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설명은 도 5a와 도 5b를 참조한다.
먼저, 아이디어 모집부(200)가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한다(S500). 이러한 아이디어 모집 단계는 아이디어 발상 가이드라인 DB(505)에 저장된 정보를 참고하여 아이디어를 제안하는 단계(S501), 아이디어를 논의하는 단계(S502)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후, 참여자 결정부(210)가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참여자들을 결정한다(S510). 이러한 참여자 결정 단계는 포맷 프로젝트 팀을 결성하는 단계(S511)로 구체화될 수 있다.
참여자 결정부(210)가 참여자들을 결정하기 전에, 단어 비교부(211)가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제2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과 비교하는 단계, 아이디어 선택부(212)가 상기 비교로부터 추출된 공통 단어의 개수가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이면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단계 등이 부가될 수 있다. 이때, 제1 아이디어는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디어를 의미하며, 제2 아이디어는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되되 제1 아이디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디어를 의미한다.
이후, 데이터 수집부(220)가 참여자들이 소지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한다(S520).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는 콘텐츠 시나리오 구성요소 DB(525)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단계(S521)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이후, 초안 생성부(230)가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콘텐츠 초안을 생성한다(S530). 콘텐츠 초안 생성 단계는 콘텐츠 창작 가이드라인 DB(535)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포맷 초기 기획안을 창작하는 단계(S531), 기획안을 콘텐츠 포맷으로 인큐베이팅(incubating)시키는 단계(S532), 콘텐츠 포맷에 대해 프로젝트 팀 내부 평가를 거치는 단계(S533), 내부 평가 결과 콘텐츠 포맷으로 적합하다고 판단되면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수행하며, 내부 평가 결과 콘텐츠 포맷으로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포맷 초기 기획안을 재구성하는 단계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이후,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240)가 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한다(S540). 미디어 콘텐츠 창작 단계는 포맷 기획안 가이드라인 DB(545)에 저장된 정보를 토대로 서면 포맷을 작성하는 단계(S541), 서면 포맷에 대해 전문가 평가를 거치는 단계(S542), 전문가 평가 결과 서면 포맷이 미디어 콘텐츠로 창작되기에 내용 충분한 것으로 판별되면 최종 서면 포맷을 작성하는 단계(S543), 전문가 평가 결과 서면 포맷이 미디어 콘텐츠로 창작되기에 내용 불충분한 것으로 판별되면 내용 보완을 위한 전문가 의견을 첨부하여 서면 포맷을 재작성하는 단계(S544)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가 창작된 뒤에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250)가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고 오픈 마켓 등을 통해 판매하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이러한 미디어 콘텐츠 등록 판매 단계는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 포맷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는 단계(S551), 유사한 포맷이 있으면 최종 서면 포맷을 재작성하며, 유사한 포맷이 없으면 최종 서면 포맷을 등록시키는 단계(S552), 등록된 최종 서면 포맷을 판매하는 단계(S553) 등으로 세분할 수 있다.
미디어 콘텐츠를 등록시키는 단계는 유사도 비교부(251)가 미리 정해진 키워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톨로지를 기준으로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단계, 인증부(252)가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비교 대상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하는 단계, 등록부(253)가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에 인증 정보를 부가시켜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단계 등으로 구체화시킬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뒤에는 미디어 콘텐츠 내역 제공부가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또는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개략 내역을 제공하는 단계,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가 제공된 내역을 수신한 제1 이용자 단말이 제공된 내역으로부터 특정 미디어 콘텐츠를 선택하면 제1 이용자 단말로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단계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또는,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260)가 오픈 마켓에서 상기 마켓에 접속한 모든 이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단계가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가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뒤에는 갱신부가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는 단계, 등급 조정부가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 등이 부가될 수 있다.
또한, 미디어 콘텐츠가 판매된 뒤에는 판매 수익금 배분부가 미디어 콘텐츠 생성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는 단계, 등급 조정부가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 등이 부가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개방과 참여 공유를 화두로 한 웹 2.0 시대가 되면서 새로운 콘텐츠 창작 패러다임에 대한 니즈(needs)가 높아져만 가고 있다. 새로운 패러다임으로의 창작 기회가 확대되면서 창작이 대중화 및 보편화되었고, 폭넓은 미디어 네트워크의 변화는 새로운 참여형 미디어의 등장을 촉진시켜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는 아이디어는 더욱 중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방송사의 기획 아이디어 수급 시스템으로서의 역할을 목적으로 착안되었다. 그동안 방송사 내부의 프로그램 제작에 있어 오리지널 기획 또는 아이디어 빈곤이 문제시 되어 왔으며, 빈곤화를 만드는 시스템 역시 문제시 되어 왔다. 기획 아이디어는 모방, 표절, 복제 등이 만연하여 윤리적 인식까지 부재한 상황이다. 더욱이, 아이디어 창작에 대한 지적재산권 개념이 부재하며, 기획 제 안서, 기획 아이디어 등의 지적재산권화도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은 그동안 기획안 및 제작 아이디어 회의가 오프라인에서만 머물렀던 것을 사이버로 옮겨오면서 그동안 문제시 되어 왔던 점들을 보완하여 사이버 창작 시스템으로 구축을 위한 아이디어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가들에게는 아이디어 및 콘텐츠 창작 여정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인들에게는 기본적인 아이디어의 창작 여정을 위한 사이버 공간으로서 아이디어 및 콘텐츠 창작 산업의 활성화를 주도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콘텐츠 초안에 해당하는 TV 프로그램 초기 기획안 형식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4는 미디어 콘텐츠에 해당하는 TV 프로그램 최종 서면 포맷 형식의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아이디어 모집과 관련한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7은 아이디어를 기획안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클럽 결성 권한 부여와 관련한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클럽 결성 권한을 부여받은 자에 의한 클럽 운영과 관련한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아이디어를 기획안으로 구체화시키는 방법과 관련한 일실시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10 : 참여자 단말
120 : 이용자 단말 130 : 전문가 단말
140 : 미디어 콘텐츠 창작 서버 200 : 아이디어 모집부
210 : 참여자 결정부 211 : 단어 비교부
212 : 아이디어 선택부 220 : 데이터 수집부
230 : 초안 생성부 240 :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
250 :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 251 : 유사도 비교부
252 : 인증부 253 : 등록부
260 :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 270 : 전원부
280 : 제어부

Claims (27)

  1.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참여된 단말로부터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하는 아이디어 모집부;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적어도 두명의 참여자들을 결정하는 참여자 결정부;
    상기 참여자들이 소지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초안을 생성하는 초안 생성부;
    미리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 및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것으로서, 미리 정해진 키워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톨로지를 기준으로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지를 비교하는 유사도 비교부,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비교 대상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하는 인증부, 및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에 인증 정보를 부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제1 아이디어는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디어이고, 제2 아이디어는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되되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디어이며,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상기 제2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과 단어 비교하는 단어 비교부; 및
    상기 단어 비교로부터 추출된 공통 단어의 개수가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아이디어 선택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또는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용자 단말; 및
    오픈 마켓에 접속한 상기 이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단말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한 아이디어 제공시 참조되는 아이디어 구체화 체크리스트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단말은 TV 프로그램의 제목, TV 프로그램의 대상 시청자층, TV 프로그램의 소재, TV 프로그램의 형식, TV 프로그램의 줄거리, TV 프로그램의 출연자, TV 프로그램의 진행자, TV 프로그램의 보조 진행자, TV 프로그램의 패널, TV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 TV 프로그램의 기획 목표, TV 프로그램이 촬영되는 장소, 및 TV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의 구성 요소를 고려하여 상기 제1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결정부는 상기 선택된 아이디어를 추천하거나 상기 선택된 아이디어에 댓글을 부가시킨 사용자들 중에서 적어도 한명의 사용자를 상기 참여자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로 TV 프로그램을 창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초안은 미디어 콘텐츠의 제목,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 및 미디어 콘텐츠의 시놉시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거나,
    상기 미디어 콘텐츠는 미디어 콘텐츠의 제목, 미디어 콘텐츠의 장르, 미디어 콘텐츠의 시놉시스, 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예산,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기대 효과, 및 미디어 콘텐츠와 장르가 유사한 미디어 콘텐츠 샘플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는 갱신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부는 상기 인증 정보로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를 저작한 자에 대한 정보,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의 인증 일자, 및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의 인증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부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제작 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참여자 단말들로 TV 프로그램의 제목, TV 프로그램의 대상 시청자층, TV 프로그램의 소재, TV 프로그램의 형식, TV 프로그램의 줄거리, TV 프로그램의 출연자, TV 프로그램의 진행자, TV 프로그램의 보조 진행자, TV 프로그램의 패널, TV 프로그램의 기획 의도, TV 프로그램의 기획 목표, TV 프로그램이 촬영되는 장소, 및 TV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는 콘텐츠 정보 제공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 수집부는 상기 정보를 수신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는 판매 수익금 배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등록되거나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가 판매되면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 또는 상기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등급 조정부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7. 제 1 항에 있어서,
    미디어 콘텐츠 제작 전문가가 접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
    을 더욱 포함하며,
    상기 제2 데이터는 기획하려는 미디어 콘텐츠에 따라 미리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전문가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콘텐츠 초안에 대한 견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추천 횟수나 댓글이 가장 많은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거나, 미리 정해진 키워드들을 가장 많이 포함하는 제2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아이디어 선택부
    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19. 삭제
  20. 제 4 항에 있어서,
    동일 미디어 콘텐츠를 구입하려는 적어도 두명의 이용자들 중에서 적어도 한명의 이용자가 독점 계약을 원하면, 상기 적어도 두명의 이용자들이 선택한 미디어 콘텐츠를 경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경매부
    를 더욱 포함하며,
    상기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는 상기 경매로부터 낙찰된 이용자에게 상기 선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21. (a)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한 아이디어를 모집하는 아이디어 모집부가 미디어 콘텐츠 창작을 위해 참여된 단말로부터 제안된 아이디어들을 모집하는 단계;
    (b)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할 참여자를 결정하는 참여자 결정부가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상기 미디어 콘텐츠 포맷의 콘텐츠 초안 생성에 참여할 적어도 두명의 참여자들을 결정하는 단계;
    (c) 미디어 콘텐츠와 관련한 아이디어로부터 착안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가 상기 참여자들이 소지한 참여자 단말들로부터 상기 콘텐츠 초안에 반영시킬 제1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d) 기획하려는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초안을 생성하는 초안 생성부가 상기 수집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상기 콘텐츠 초안을 생성하는 단계;
    (e)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가 미리 수신된 제2 데이터에 따라 상기 콘텐츠 초안으로부터 상기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단계; 및
    (f) 미디어 콘텐츠를 관리하는 것으로서 미디어 콘텐츠들끼리 유사도를 비교하는 유사도 비교부와 미디어 콘텐츠를 인증하는 인증부 및 미디어 콘텐츠를 등록시키는 등록부를 포함하는 미디어 콘텐츠 관리부가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되, 상기 유사도 비교부가 미리 정해진 키워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톨로지를 기준으로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한지를 비교하고,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가 상기 비교 대상 미디어 콘텐츠와 유사하지 않은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인증부가 상기 창작된 미디어 콘텐츠를 독창적인 것으로 인증하며, 상기 등록부가 상기 인증된 미디어 콘텐츠에 인증 정보를 부가시켜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와 상기 (b) 단계의 중간 단계는,
    (aa) 단어를 비교하는 단어 비교부가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된 특정 아이디어인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을 상기 모집된 아이디어들 중에서 선택하되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제외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아이디어인 제2 아이디어에 포함된 단어들과 단어 비교하는 단계; 및
    (ab)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아이디어 선택부가 상기 단어 비교로부터 추출된 공통 단어의 개수가 상기 제1 아이디어에 포함된 전체 단어의 개수를 기준으로 미리 정해진 값 이하이면, 상기 제1 아이디어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
  23. 삭제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이후 단계는,
    (g)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미디어 콘텐츠 판매부가 미디어 콘텐츠 제작업자 또는 미디어 콘텐츠 취급업자가 접속하는 단말로서 오픈 마켓에 접속한 이용자 단말을 대상으로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판매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상기 미디어 콘텐츠 창작부가 상기 미디어 콘텐츠로 TV 프로그램을 창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의 이후 단계는,
    (g)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는 갱신부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갱신시키거나, 상기 참여자의 등급을 조정하는 등급 조정부가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
  27.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는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는 판매 수익금 배분부가 미디어 콘텐츠 창작에 참여한 참여자들의 기여도에 따라 상기 등록된 미디어 콘텐츠의 판매 수익금을 배분하거나, 상기 참여자의 등급을 조정하는 등급 조정부가 상기 판매된 미디어 콘텐츠를 창작하는 데에 참여한 참여자의 등급을 상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의 미디어 콘텐츠 창작 방법.
KR1020090109975A 2009-11-13 2009-11-13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80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975A KR100980113B1 (ko) 2009-11-13 2009-11-13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975A KR100980113B1 (ko) 2009-11-13 2009-11-13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113B1 true KR100980113B1 (ko) 2010-09-03

Family

ID=4300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975A KR100980113B1 (ko) 2009-11-13 2009-11-13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11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46B1 (ko) * 2013-12-03 2014-08-14 컬처코리아(주)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6294A (ko) 2015-04-23 2016-11-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텍스트 분석 기반 대화 이력 추적을 이용한 작가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90095596A (ko) * 2018-01-23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4639B1 (ko) * 2018-02-22 2019-10-21 최혜경 키워드 기반 맞춤형 음악 창작자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KR102322668B1 (ko) * 2021-04-05 2021-11-05 김시현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중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46B1 (ko) * 2005-03-10 2006-09-21 최동혁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KR20090001578A (ko) * 2007-04-28 2009-01-09 스타워너비(주) 회원간 공동 컨텐츠 제작시스템
KR20090001498A (ko) * 2007-04-19 2009-01-09 스토리블렌더 인코퍼레이티드 컨텐츠 공동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146B1 (ko) * 2005-03-10 2006-09-21 최동혁 온라인망을 기반으로 하는 컨텐츠 공동개발 가이드 시스템
KR20090001498A (ko) * 2007-04-19 2009-01-09 스토리블렌더 인코퍼레이티드 컨텐츠 공동제작 서비스 제공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90001578A (ko) * 2007-04-28 2009-01-09 스타워너비(주) 회원간 공동 컨텐츠 제작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446B1 (ko) * 2013-12-03 2014-08-14 컬처코리아(주)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5083964A1 (ko) * 2013-12-03 2015-06-11 컬처코리아 주식회사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26294A (ko) 2015-04-23 2016-11-02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텍스트 분석 기반 대화 이력 추적을 이용한 작가 지원 장치 및 방법
KR20190095596A (ko) * 2018-01-23 2019-08-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553806B1 (ko) 2018-01-23 2023-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콘텐츠 정보 제공 방법, 콘텐츠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4639B1 (ko) * 2018-02-22 2019-10-21 최혜경 키워드 기반 맞춤형 음악 창작자 중개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중개 방법
KR102322668B1 (ko) * 2021-04-05 2021-11-05 김시현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창작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중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nningham et al. Creator governance in social media entertainment
Bishop Anxiety, panic and self-optimization: Inequalities and the YouTube algorithm
Tsipursky Socialist Fun: Youth, Consumption, and State-Sponsored Popular Culture in the Soviet Union, 1945–1970
Turow The daily you: How the new advertising industry is defining your identity and your worth
Zhang et al. Working as playing? Consumer labor, guild and the secondary industry of online gaming in China
Chaney The music industry in the digital age: Consumer participation in value creation
Hearn John, a 20-year-old Boston native with a great sense of humour: On the spectacularization of the self and the incorporation of identity in the age of reality television
KR20160029013A (ko) 소셜 보고 엔진을 가진 게임 작성 시스템
Meng et al. Commons/commodity: peer production caught in the Web of the commercial market
Lee et al. The Korean Wave as a source of implicit cultural policy: Making of a neoliberal subjectivity in a Korean style
KR100980113B1 (ko) 미디어 콘텐츠 창작 시스템 및 그 방법
Huston et al. Dimensionalizing esports consumption: Alternative journeys to professional play
Wu Entertainment and politics in contemporary China
Velthuis et al. Weathering winner-take-all
Palmer et al. Design and aesthetics: a reader
Siciliano Intermediaries in the age of platformized gatekeeping: The case of YouTube “creators” and MCNs in the US
McMurria Republic on the Wire: Cable Television, Pluralism, and the Politics of New Technologies, 1948-1984
Tsang Entrepreneurial creativity in a virtual world
Hollows Media Studies: A Complete Introduction: Teach Yourself
Loraine “Hollywood’s New Power Players”: Music Supervisors and the Post-2010 Culture of Music Supervision and Sync
Jian Negotiating paternalism and the enterprising self in Taiwanese talent shows
Whittaker A study of information behaviour in the Fantasy Premier League community
Yöreş Celebrity Endorsement: Developing A Brand Image in Housing Ads
Wang Entertainment enjoyment as social: Identifying relatedness enjoyment in entertainment consumption
Zimmerman Branding Environmentalism for TV: The Rise and Fall of Planet G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