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032B1 -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032B1
KR102579032B1 KR1020210053934A KR20210053934A KR102579032B1 KR 102579032 B1 KR102579032 B1 KR 102579032B1 KR 1020210053934 A KR1020210053934 A KR 1020210053934A KR 20210053934 A KR20210053934 A KR 20210053934A KR 102579032 B1 KR102579032 B1 KR 102579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company
customer
online
govern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3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6963A (ko
Inventor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이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석 filed Critical 이현석
Priority to KR1020210053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032B1/ko
Publication of KR20220146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6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2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using automatic reactions or user delegation, e.g. automatic replies or chatbot-generated mess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별로 대응된 고객사 단말 장치; 및 상기 고객사들의 기업 정보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사 단말 장치로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수신한 고객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임의의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기획서가 전달되면, 기 등록된 기업 정보 및 대응된 정부 지원사업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입찰 서류 작성 및 입찰 참여 절차를 위한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안정적인 사업 진행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N/OFFLINE SECRETARY SERVICE}
본 발명은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업체의 대표님들을 업무를 보조하기 위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타트업(start-up) 회사는 설립한 지 오래되지 않은 신생 벤처기업을 뜻하는 말로써,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고 준비하는 기업, 현재 가치 보다는 미래 가치로 평가받는 성장성이 무궁무진한 회사를 말한다.
이러한 스타트업 회사를 정의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비즈니스 모델을 세우고 판로를 개척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은, 기업을 설립하기 전부터, 정부 지원사업을 포함한 다양한 서류 업무부터 외주 업체 선별 등, 다양한 업무를 진행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대부분의 업무 시간을 대표자 본연의 업무(예컨대, 개발, 기획, 마케팅 등)를 진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지원사업에 선정되기 위해,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는 정부 기관에 제출할 서류(예컨대, 기획서/중간보고서/최종보고서 등) 및 자금 사용에 따른 증빙 서류를 작성해야 하며, 한달 평균 적게는 2회 부터 많게는 25건 이상의 외부 업무가 발생되고 있다. 게다가, 제출 서류를 반려 받아 재작성하는 사례도 다수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어려움으로 인해,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는 것 자체를 포기하는 스타트업 회사들도 다수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돕기 위한, 외주 업체 또는 정부 지원사업 브로커 등, 스타트업 관련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설립 연수가 짧은 스타트업 회사의 경우,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다수의 외주 업체와 계약을 맺어 서비스 및 제품의 안정화/마케팅/디자인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작업 과정에서의 마찰, 작업 결과에 대한 불만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스타트업 회사가 입는 손해가 매우 크다.
또한, 정부 지원사업 브로커의 경우, 경험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의 불안한 심리를 악용하여, 상기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유료로 멘토링을 제공한 후, 해당 스타트업 회사가 정부 지원사업에 선정될 경우 부당하게 수익을 챙김으로써, 스타트업 회사에게 피해를 입히는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정부 지원사업 정보, 외부 업체 정보 및 기업 정보 등을 데이터화하고, 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정부 지원사업 정보, 맞춤 추천 업체 정보 및 멘토링 서비스 등을 제공함으로써, 스타트업 회사들에게 안정적인 사업 진행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가 절실한 현실이다.
종래에는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예컨대, k-startup, 기업마당, SM-TECH 등)를 운영하고, 이에 접속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정부 지원사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였지만, 이는 정보 검색 위주의 사이트로써, 스타트업 회사들 각각에 맞춤 정보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사이트들은 정부 지원사업 정보만 제공함으로써, 인력과 경험 및 정보가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들에게, 관련 사업 진행을 위한 외주 업체 정보 또는 멘토링 서비스를 위한 정보 등과 같이, 현실적으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 10-2018-0019869 호에는, 컴퓨터에 의해 구현되는 방법으로서, 개인 비서 챗봇이 사용자로부터 소정의 요청 사항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개인 비서 챗봇이 상기 사용자를 대신하여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 챗봇과 대화하여 상기 복수의 서비스 제공자의 복수의 거래 조건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개인 비서 챗봇이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복수의 거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개인 비서 챗봇이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복수의 거래 조건 중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거래 조건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개인 비서 챗봇이 상기 사용자를 대신하여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거래 조건에 상응하는 서비스 제공자 챗봇과 대화하여 상기 요청 사항의 처리를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챗봇을 이용한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 의하면, 사용자가 오직 개인비서 챗봇과의 대화를 통해서 다양한 서비스 제공자 챗봇과 소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하는 요청 사항이 빠르고 편리하게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은 개인이 전용 챗봇을 통해 다수의 서비스 제공자 챗봇과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원하는 조건으로 거래를 할 수 있도록 할 뿐,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거나,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를 보조 또는 대행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다.
또한, AI 기술력의 증가로 다양한 AI 기반 비서 서비스(예컨대, 시리, 빅스비, 헤이카카오 등)가 등장했지만, 이러한 종래의 AI 기반 비서 서비스는 간단한 명령어 및 텍스트 기입 정도만 가능할 뿐, 다양한 업무의 변수들에 대한 대처가 불가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 10-1735375 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정부 지원사업 정보 및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에게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한 후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를 보조 또는 대행함으로써, 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안정적인 사업 진행을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 및 보안 정보들을 저장/관리하고, 고객사별로 대응된 AI 챗봇이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 및 보안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 수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에게 추천함으로써, 고객사의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별로 대응된 고객사 단말 장치; 및 상기 고객사들의 기업 정보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고객사 단말 장치로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한 후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수신한 고객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임의의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기획서가 전달되면, 기 등록된 기업 정보 및 대응된 정부 지원사업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입찰 서류 작성 및 입찰 참여 절차를 위한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고객사 단말 장치와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 사이에서 자연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챗봇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정부지원사업별 참여요건, 참여기간, 공모기간, 구비서류, 기술 분야를 포함하는 세부내역을 저장하는 정부 지원사업정보 저장부;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정보를 저장하되, 일반정보와 보안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관리하는 기업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 저장부를 모니터링하여, 공모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인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제공한 후,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기획서가 전달되면,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업정보 저장부는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일반기업정보;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 인증서를 포함하는 보안 기업정보; 해당 기업에 속한 인력 정보; 및 수상증빙, 특허증빙, 투자정보,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타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보안 기업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수신한 고객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되, 해당 고객사의 보안 기업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포함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고, 해당 고객사에게 상기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접근 권한에 의거하여 해당 고객사의 보안 기업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과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매칭시켜 정부 지원사업별로 참여요건을 만족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하고, 대응된 고객사들에게 해당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하는 외주 업체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멘토링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카테고리별 분류 정보 및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 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들의 기업 정보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기 고객사들에게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고객사의 기업정보를 전달받아 등록하는 기업정보 등록 단계;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는 정부 지원사업 정보 등록 단계; 상기 등록된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단말장치들로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수신한 고객사 단말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기획서가 전달되면, 그에 응답하여 해당 고객사에 대한 입찰서류를 생성하기 위한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검출하는 정보검출단계; 및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의거하여 입찰서류를 완성하여, 상기 입찰서류를 고객사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입찰서류 전달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대한 검증을 위해,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해당 고객사 단말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대한 변경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변경정보를 적용하여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변경하는 정보변경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추가적인 정보가 더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 후, 그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가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추가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추가정보를 적용하여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변경하는 추가정보적용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업정보 등록 단계는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일반기업정보;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 인증서를 포함하는 보안 기업정보; 해당 기업에 속한 인력 정보; 및 수상증빙, 특허증빙, 투자정보,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타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보안 기업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 등록 단계는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정부 지원사업별 참여요건, 참여기간, 공모기간, 구비서류, 기술 분야를 포함하는 세부내역을 저장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 저장부를 모니터링하여, 공모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인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과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매칭시켜 정부 지원사업별로 참여요건을 만족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하고, 대응된 고객사들에게 해당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정보 검출단계는 상기 사업 기획서를 송신한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접근하여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검출하되, 상기 접근 권한 정보가 포함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권한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고객사의 보안정보에 접근한 후 상기 보안정보를 포함한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하는 외주업체 추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카테고리별 분류 정보 및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 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하는 멘토링 대상 추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AI 챗봇을 이용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정부 지원사업 정보 및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정보에 의거하여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에게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한 후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를 보조 또는 대행함으로써, 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에게 안정적인 사업 진행을 위한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 및 보안 정보들을 저장/관리하고, 고객사별로 대응된 AI 챗봇이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 및 보안 정보에 접근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절차 수행 중 발생하는 다양한 변수들에 대하여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에게 추천함으로써, 고객사의 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관리함으로써,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들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여도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한 개략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 AI 챗봇 서버(200), 고객사 단말(300), 정부 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을 포함한다.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들에게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한다. 특히,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업무 부하로 인하여 어려움을 격고 있는 스타트업 대표자들에게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멘토링 정보 관리 DB(110),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120), 정부지원 사업정보 관리 DB(130),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 및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를 포함할 수 있다.
멘토링 정보 관리 DB(110)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1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거나 희망하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고, 정부 지원사업정보 관리 DB(130)는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저장/관리하고,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들의 기업정보를 저장/관리하고,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는 상기 고객사들의 인력정보를 저장/관리한다.
AI 챗봇 서버(200)는 고객사 단말(300)과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 사이에서 자연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때, AI 챗봇 서버(200)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 또는 고객사 단말(300)에 내장되어 동작할 수 있다.
고객사 단말(300)은 상기 고객사별로 대응된 단말장치로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이 설치된 고객사 담당자(즉,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휴대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정부 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은 정부 지원사업을 담당하는 담당자의 단말 장치로서, 정부 기관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 장치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 구성을 갖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할 수 있다.
먼저, 정부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이 정부지원사업정보를 전달하면(S105),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이를 수신한다.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부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로부터 정부지원사업정보를 전달받거나,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미도시) 등에 접속하여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수신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 고객사 단말(300)에게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전달한다(S110, S115). 이를 위해, AI 챗봇 서버(200)는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알림 메시지(MSG) 형태로 구현하여 고객사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한 고객사의 담당자(즉,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는 사업 기획서를 작성한 후, 고객사 단말(300) 및 AI 챗봇 서버(200)를 이용하여 이를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 전달한다(S120, S125). 이 때, 고객사 단말(300)은 해당 기업의 보안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이를 확인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기 저장된 정보들을 검색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하기 위한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에 대한 검증을 위해, 그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 고객사 단말(300)에게 전달한다(S130, S135).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고객사의 기업정보 관리 DB(140)에 접근하되, 상기 고객사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접근 권한을 이용하여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의 보안 영역에 접근하여 해당 고객사의 보안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찰서류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 고객사의 인감 도장이나, 공인 인증서 등이 필요한 경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상기 접근권한에 의거하여 해당 기업의 인감 도장 또는 공인 인증서와 같은 보안 정보에 접근하고, 그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서류를 발급할 수 있다.
한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확인한 고객사의 담당자(즉,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는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확인하여, 추가 또는 변경해야 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추가 또는 변경해야 할 정보가 있는 경우, 그 추가/변경 정보를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에게 전달한다(S140, S145).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고객사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추가/변경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변경한 후, 그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이용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한다(S150).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정부 지원사업 정보 관리 DB(130)에 저장된 정부 지원사업 별 구비서류 정보에 의거하여, 필요한 입찰서류를 결정하고,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 및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발급받아야 할 서류가 있는 경우, 해당 서버에 접속한 후, 고객사 단말(300)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고객의 단말(300)로부터 전달받은 접근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인증정보를 검출하고, 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
상기 입찰서류를 생성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정부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에 접속하여 상기 입찰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S155). 또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상기 입찰서류를 고객사 단말(300)에게 전달함으로써, 고객사 단말(300)이 상기 입찰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S160), 고객사 단말(300)을 통해 출력한 입찰서류를 오프라인으로 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멘토링 정보 관리 DB(110),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120), 정부지원 사업정보 관리 DB(130),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 통신 인터페이스(I/F)(160), 사용자 인터페이스(I/F)(170), 챗봇 관리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한다.
멘토링 정보 관리 DB(110)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특히, 멘토링 정보 관리 DB(110)는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예컨대, 사업 분야 등)로 분류하여 저장함으로써, 후술될 제어부(190)에서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선정할 때, 상기 카테고리별 분류 정보 및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로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120)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거나 이를 희망하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한다. 특히,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120)는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즉, 해당 외주업체와 협업을 수행했던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후술될 제어부(190)에서 외주 업체를 추천할 때,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추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정부지원 사업정보 관리 DB(130)는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한다. 이 때, 정부지원 사업정보 관리 DB(130)에 저장된 정부지원사업 정보는 통신망을 통해 정부 지원사업을 담당하는 담당자의 단말로 부터 전달된 정보이거나, 또는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미도시) 등에 접속하여 읽어온 정보일 수 있으며, 정부지원사업별 참여요건, 참여기간, 공모기간, 구비서류 정보를 포함하는 세부내역일 수 있다.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정보를 저장하되, 일반정보와 보안 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는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일반기업정보와,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 인증서를 포함하는 보안 기업정보를 분리하여 저장하되, 상기 보안 기업정보를 보안영역에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는 해당 기업에 속한 인력 정보; 및 수상증빙, 특허증빙, 투자정보,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타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도 2의 예에서는, 상기 인력정보를 기업정보와 분리하여 저장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를 별도로 구성하고, 해당 기업의 인력정보를 기업정보와 분리하여 저장할 수 있다.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의 경우에도, 상기 인력정보를 일반 인력정보와 보안 인력정보로 구분하고, 상기 보안 인력정보를 보안영역에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암호화된 정보에 접근하기 위해,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대응된 고객사로부터 보안 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 정보(예컨대, 암호키 등)를 수신하고, 그 접근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보안 기업정보 또는 보안 인력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I/F)(160)는 통신망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I/F)(160)는, 도 1의 예에서와 같이, 고객사 단말(300) 또는 정부 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과 통신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I/F)(170)는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I/F)(170)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유지 보수 또는 데이터 설정 등을 위한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챗봇 관리부(180)는, 고객사 단말(300)(도 1 참조)과 원활한 데이터 교환을 위해 자연어 처리를 하는 AI 챗봇을 관리한다.즉, 챗봇 관리부(180)는 상기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챗봇 서버를 관리한다.
제어부(190)는 미리 설정된 제어 알고리즘이나, 통신 인터페이스(I/F)(160) 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I/F)(170)를 통해 전달된 제어 명령에 의거하여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의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90)는 정부 지원사업정보 관리 DB(130)를 모니터링하여 지원가능한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검출하여, 고객사 단말(300)(도 1 참조)로 제공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정부 지원사업정보 관리 DB(130)로부터 공모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인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고객사 단말(300)(도 1 참조)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과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매칭시켜 정부 지원사업별로 참여요건을 만족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하고, 대응된 고객사들에게 해당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에 포함된 기술 분야를 이용하여,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를 검색하고, 상기 세부 내역에 포함된 기술 분야와 동일한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한 후, 상기 선정된 고객사들에게만 해당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고객사 단말(300)(도 1 참조)로부터 해당 정부지원사업에 대한 사업기획서가 전달되면, 제어부(190)는 그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19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I/F)(160)를 통해,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수신한 고객사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전달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되, 해당 고객사의 보안 기업정보에 대한 접근 권한이 포함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고, 상기 접근 권한에 의거하여 해당 고객사의 보안 기업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이는, 입찰서류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 고객사의 인감 도장이나, 공인 인증서 등이 필요한 경우, 제어부(190)가 상기 접근권한에 의거하여 해당 기업의 인감 도장 또는 공인 인증서와 같은 보안 정보에 접근하고, 그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서류를 발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제어부(190)는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120)를 모니터링하고, 외주업체별로 기 저장된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고객사 단말(도 1의 300)로 추천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가 외주업체와의 불협화음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하인 외주 업체의 경우 회피 업체로 등록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90)는 멘토링 정보 관리 DB(110)를 모니터링하고, 기 저장된 현업 대표자의 카테고리 분류 정보 및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로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에게 효율적인 멘토링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처리 절차도들로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 AI 챗봇 서버(200), 고객사 단말(300), 정부 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들 간의 연동에 의해,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기 위한 업무 부하로 인하여 어려움을 격고 있는 스타트업 대표자들에게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절차가 예시되어 있다.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계 S205에서는, 고객사 단말(300)이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에 회원으로 가입한다. 이를 위해, 단계 S205에서, 고객사 단말(300)은 해당 고객사의 기업정보 및 인력정보를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 전달한다. 이 때, 고객사 단말(300)은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일반기업정보;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 인증서를 포함하는 보안 기업정보; 해당 기업에 속한 인력 정보; 및 수상증빙, 특허증빙, 투자정보,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타정보를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의 제어부(190)가 상기 수신된 정보에 의거하여 해당 고객사를 회원으로 등록한다. 이를 위해, 단계 S210에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고객사 단말(300)로부터 전달된 기업정보 및 인력정보를 분류하여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 및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에 저장한다. 특히, 제어부(190)는 상기 일반 기업정보(예컨대,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 등)와, 상기 보안 기업정보(예컨대,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 인증서 등)를 분리하여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에 저장하되, 상기 보안 기업정보를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의 보안 영역에 암호화하여 저장하고, 일반 인력정보와 보안 기업정보를 분리하여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에 저장하되, 상기 보안 인력정보를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의 보안 영역에 암호화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단계 S215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별로 챗봇을 배정한다. 즉, 단계 S215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와 고객사 단말(300) 사이에서 자연어를 이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AI 챗봇을 배정한다. 이 때, 고객사별로 AI 챗봇을 배정하는 이유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가 고객사별 인증 정보를 포함한 보안 정보를 다루는 서비스이기 때문이다.
단계 S220에서는, 정부 지원사업 단말(400)이 정부지원사업정보를 전달하면,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이를 수신하여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등록한다. 이 때,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별 참여요건, 참여기간, 공모기간, 구비서류를 포함하는 세부내역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계 S220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를 정부지원사업정보 관리 DB(130)에 저장한다.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도 3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정부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로부터 정부지원사업정보를 전달받거나,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 서버(미도시) 등에 접속하여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읽어올 수 있다.
단계 S225 내지 단계 S245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상기 등록된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단말장치들로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단계 S225 및 단계 S230에서는, 제어부(190)가 정부 지원사업정보 관리 DB(130)를 모니터링하여 지원 가능한 정부 지원사업정보의 존재여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는 정부 지원사업정보 관리 DB(130)로부터 공모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인 정부 지원사업정보가 존재하는 지 여부에 따라 지원 가능한 정부 지원사업정보의 존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S230의 결정 결과, 지원 가능한 정부 지원사업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단계 S35에서는, 제어부(190)가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를 검색하여 상기 정부 지원사업에 참여 가능한 고객사들을 선정한다. 예를 들어, 단계 S235에서, 제어부(190)는 상기 지원 가능한 정부 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과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매칭시켜 정부 지원사업별로 참여요건(예컨대, 기술분야 등)을 만족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할 수 있다.
단계 S240 및 단계 S245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 고객사 단말(300)에게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전달한다. 이를 위해, AI 챗봇 서버(200)는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알림 메시지(MSG) 형태로 구현하여 고객사 단말(3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계 S250 내지 단계 S260에서는, 고객사 단말(300)이 사업 기획서의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업 기획서를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 전달한다. 즉, 상기 고객사 단말(300)을 통해 상기 정부지원사업 정보를 확인한 고객사의 담당자(즉,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가 사업 기획서를 작성하여, 고객사 단말(300)에 입력하면, 단계 S250 내지 단계 S260에서, 고객사 단말(300)은 및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 이를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 전달한다. 이 때, 고객사 단말(300)은 해당 기업의 보안정보에 접근할 수 있는 접근 권한을 함께 전달할 수 있다.
단계 S265에서는, 상기 사업 기획서를 수신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해당 고객사에 대한 입찰서류를 생성하기 위한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검출한다. 이를 위해, 단계 S265에서는, 제어부(190)가 고객사의 기업정보 관리 DB(140)에 접근하되, 상기 고객사 단말(300)로부터 수신된 접근 권한을 이용하여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의 보안 영역에 접근하여 해당 고객사의 보안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보안 정보를 포함하는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찰서류를 생성하기 위해, 해당 고객사의 인감 도장이나, 공인 인증서 등이 필요한 경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상기 접근권한에 의거하여 해당 기업의 인감 도장 또는 공인 인증서와 같은 보안 정보에 접근하고, 그 보안 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서류를 발급할 수 있다.
단계 S270 및 단계 275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상기 검출된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 고객사 단말(300)에게 전달한다. 이는 상기 검출된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대한 검증을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사업상의 이유로 인하여, 기 등록된 기업 정보가 변경된 경우, 이를 반영하기 위함이다.
단계 S280 내지 단계 S295에서는,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가 변경된 경우 그 변경정보를 반영한다. 즉,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로부터 전달된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를 확인한 고객사의 담당자(즉,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가 변경해야 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로 변경할 정보가 있는 경우, 변경정보를 고객사 단말(300)에 입력하면, 단계 S280에서는, 고객사 단말(300)이 이를 확인하고, 단계 S285 및 단계 S290에서는, 고객사 단말(300)이 상기 변경정보를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에게 전달한다. 한편, 단계 S295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그 변경 정보를 기 생성된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적용한다.
단계 S300 내지 단계 S310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가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입찰서류 생성정보에 추가정보가 필요한 지 여부를 결정하고, 추가정보가 필요한 경우,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 고객사 단말(300)에게 추가 정보를 요청한다.
고객사 단말(300)을 통해 상기 추가 정보 요청을 확인한 고객사의 담당자(즉,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가 추가해야 할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그 결과로 추가할 정보가 있는 경우, 추가정보를 고객사 단말(300)에 입력하면, 단계 S315에서는, 고객사 단말(300)이 이를 확인하고, 단계 S320 및 단계 S325에서는, 고객사 단말(300)이 상기 추가정보를 AI 챗봇 서버(200)를 거쳐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에게 전달한다.
단계 S330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상기 변경정보 또는 추가정보가 반영된 입찰서류 생성 정보를 이용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한다.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정부 지원사업 정보 관리 DB(130)에 저장된 정부 지원사업 별 구비서류 정보에 의거하여, 필요한 입찰서류를 결정하고,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140) 및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150)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검출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할 수 있다. 특히,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외부의 서버(미도시)로부터 발급받아야 할 서류가 있는 경우, 해당 서버에 접속한 후, 고객사 단말(300)의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고객의 단말(300)로부터 전달받은 접근 권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업의 인증정보를 검출하고, 그 인증정보를 이용하여 필요한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다.
단계 S335에서는, 상기 입찰서류를 생성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정부지원사업 담당자 단말(400)에 접속하여 상기 입찰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340에서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가 상기 입찰서류를 고객사 단말(300)에게 전달함으로써, 고객사 단말(300)이 상기 입찰서류를 온라인으로 제출하거나, 고객사 단말(300)을 통해 출력한 입찰서류를 오프라인으로 제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외주업체 추천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외주업체 추천단계(미도시)에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외주업체정보 관리 DB(120)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 단말(300)에게 외주 업체를 추천하되, 외주 업체별 평가점수에 의거하여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고객사 단말(300)로 추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멘토링 대상 추천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멘토링 대상 추천단계(미도시)에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100)는 멘토링정보 관리 DB(110)에 저장된 정보에 의거하여 멘토링 대상을 추천하되,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카테고리별 분류 정보 및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하여 고객사 단말(300)장치로 멘토링 대상 추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100)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가 사업 기획서 만을 작성함으로써, 특정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스타트업 회사가 특정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경우, 해당 회사의 대표자는 정부 지원사업의 기획 의도에 따라 새롭게 작성되어야 하는 사업 기획서 만을 작성하고, 그 이외에 반복적으로 생성/수집해야 하는 기타 입찰 서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여 손쉽게 생성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인력 및 경험이 부족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들이 안정적인 사업 진행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상기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이 실시 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할 수 있다.
100: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0: 멘토링 정보 관리 DB
120: 외주업체 정보 관리 DB 130: 정부지원 사업정보 관리 DB
140: 고객사 기업정보 관리 DB 150: 고객사 인력정보 관리 DB
160: 통신 I/F 170: 사용자 I/F
180: 챗봇관리부 190: 제어부
200: AI 챗봇 서버 300: 고객사 단말
400: 정부지원 사업담당자 단말

Claims (18)

  1.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별로 대응된 고객사 단말 장치; 및
    정부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기 고객사의 담당자들에게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와 통신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별 참여요건, 참여기간, 공모기간, 구비서류, 기술 분야를 포함하는 세부내역을 저장하는 정부 지원사업정보 저장부;
    상기 고객사의 기업정보를 일반기업정보와 보안기업정보로 분리하여 저장/관리하되,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인증서를 포함하는 보안기업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기업정보 저장부; 및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에 대한 입찰서류작성 및 입찰참여절차를 위한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절차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 저장부로부터 공모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인 임의의 제1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제공하고,
    임의의 제1 고객사에 대응한 단말장치인 제1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되, 상기 제1 고객사의 보안기업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포함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고,
    상기 정부 지원사업정보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정부 지원사업에 입찰하기 위해 필요한 구비서류를 확인한 후 상기 제1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접근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하되,
    상기 접근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고객사의 보안기업정보에 접근하고,
    상기 구비서류 중 외부의 서버로부터 발급받아야 할 추가서류가 있는 경우 상기 보안기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서류를 발급받아 상기 입찰서류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사 단말 장치와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 사이에서 자연어를 이용한 인터페이스 제공을 위해 AI 챗봇 서비스를 제공하는 AI 챗봇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정보 저장부는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일반기업정보;
    해당 기업에 속한 인력 정보; 및
    수상증빙, 특허증빙, 투자정보,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타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과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매칭시켜 정부 지원사업별로 참여요건을 만족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하고, 대응된 고객사들에게 해당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하는 외주 업체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는 멘토링 정보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카테고리별 분류 정보 및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 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기업 정보를 제공하고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 별로 대응된 고객사 단말장치; 및 상기 고객사들의 기업 정보 및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 정보를 저장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를 이용하여,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 입찰에 참여하고자 하는 상기 고객사들에게 온라인 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해당 고객사의 기업정보를 전달받아 등록하되, 일반기업정보와 보안기업정보로 분리하여 저장하고, 인감도장, 법인 인감카드, 및 공인인증서를 포함하는 보안기업정보를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기업정보 등록 단계;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정부 기관으로부터 제공된 정부의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되, 상기 정부의 지원사업별 참여요건, 참여기간, 공모기간, 구비서류, 및 기술분야를 포함하는 세부내역을 저장하는 정부 지원사업 정보 등록 단계;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등록된 정부의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기 공모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 이내인 임의의 제1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검출하여, 적어도 하나의 고객사 단말장치들에게 전송하는 정보제공단계;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고객사 단말장치들 중 적어도 하나의 제1 고객사 단말장치로부터 상기 제1 정부 지원사업에 대한 사업 기획서를 수신하되, 해당 고객사의 보안기업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이 포함된 사업기획서를 수신하는 사업기획서 수신단계;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제1 정부지원사업에 입찰하기 위해 필요한 구비서류를 확인한 후, 사업기획서를 전달한 고객사의 기업정보에 접근하여 입찰서류를 생성하는 입찰서류 생성단계; 및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서버가, 상기 입찰서류를 고객사 단말장치로 전달하는 입찰서류 전달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입찰서류 생성단계는
    상기 접근권한을 이용하여 상기 사업기획서를 전달한 고객사의 보안기업정보에 접근하는 보안기업정보 접근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비서류 중 외부의 서버로부터 발급받아야 할 추가서류가 잇는 경우 상기 보안기업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서류를 발급받아 상기 입찰서류에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기업정보 등록 단계는
    회사명, 연락처, 사업자 등록번호, 법인 등록번호, 및 주소를 포함하는 일반기업정보;
    해당 기업에 속한 인력 정보; 및
    수상증빙, 특허증빙, 투자정보, 인증서를 포함하는 기타정보를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정부 지원사업 정보의 세부 내역과 상기 고객사의 기업 정보를 매칭시켜 정부 지원사업별로 참여요건을 만족하는 고객사들을 선정하고, 대응된 고객사들에게 해당 정부 지원사업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16. 삭제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적어도 하나의 스타트업 회사들에 대하여 외주 업체로 등록되어 업무를 수행한 이력이 있는 업체들의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대응된 스타트업 회사 대표자의 평가 점수를 함께 저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평가 점수가 미리 설정된 소정 점수 이상인 외주 업체만을 선별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하는 외주업체 추천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서버는 스타트업 회사의 대표자들에게 멘토링이 가능한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관리하되, 상기 현업 대표자들을 미리 설정된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현업 대표자들에 대한 카테고리별 분류 정보 및 상기 회원으로 가입한 고객사의 기업 정보에 의거하여 고객사별 멘토링 대상을 맞춤 선택하여 상기 고객사 단말장치로 추천 정보를 전달하는 멘토링 대상 추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10053934A 2021-04-26 2021-04-26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79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34A KR102579032B1 (ko) 2021-04-26 2021-04-26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3934A KR102579032B1 (ko) 2021-04-26 2021-04-26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63A KR20220146963A (ko) 2022-11-02
KR102579032B1 true KR102579032B1 (ko) 2023-09-14

Family

ID=8408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3934A KR102579032B1 (ko) 2021-04-26 2021-04-26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03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635B1 (ko) * 2023-05-15 2023-12-27 조민호 관공서와 기업 간을 연결하는 공공계약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105A (ja) * 2001-04-25 2002-11-08 Unico System Kk 公共工事における工事情報データの利用システム
KR100618169B1 (ko) * 2006-06-27 2006-08-29 대한민국 맞춤형 중소기업 정책 사업 시스템
KR102093584B1 (ko) * 2019-10-04 2020-03-25 주식회사 한국인증융합연구원 자문가 지원 기반의 기업부설연구소 및 전담부서 연구개발관리를 위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5375B1 (ko) 2016-08-11 2017-05-16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배전선로의 부하 제어 장치
KR20180019869A (ko) * 2016-08-17 2018-02-27 주식회사 텍스트팩토리 챗봇을 이용한 개인 비서 서비스 제공 방법
KR20190110517A (ko) * 2019-09-24 2019-09-30 주식회사 바이씨엠씨 맞춤형 중소기업 정책사업 정보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4105A (ja) * 2001-04-25 2002-11-08 Unico System Kk 公共工事における工事情報データの利用システム
KR100618169B1 (ko) * 2006-06-27 2006-08-29 대한민국 맞춤형 중소기업 정책 사업 시스템
KR102093584B1 (ko) * 2019-10-04 2020-03-25 주식회사 한국인증융합연구원 자문가 지원 기반의 기업부설연구소 및 전담부서 연구개발관리를 위한 전사적 자원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6963A (ko) 2022-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3421B1 (ko) 금융 오픈 플랫폼 기반의 금융서비스 제공 장치
US200200167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innovation marketplace
US2011003559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ive message tagging
JP2000511672A (ja) エキスパートに基づく商業を促進しサポートする、暗号で補助された商業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用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20078742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leads for the sale of goods and services
CN107851285A (zh) 社交账户交互与主不可知身份绑定
US20150199774A1 (en) One click on-boarding crowdsourcing information incentivized by a leaderboard
US118424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rching and monitoring assets available for acquisition
CN109492985A (zh) 一种审核方法、装置及系统
JP2018508877A (ja) 技術プロジェクトをクラウドソーシング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442694B1 (ko) 인력 매칭 시스템
US20070271175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brokering loan applications
KR102579032B1 (ko) 온라인 비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118038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micro businesses
US10810300B2 (en) User authentication employing user activity based inquiries
USH2214H1 (en)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managing and developing information regarding philanthropic organizations and donations
US1190045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entralized VC funds
US20090177510A1 (en) System and method of generating a business plan
JP200205591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並びに記録媒体
JP6733797B1 (ja) 申込受付システム
JP5849725B2 (ja) ノベルティサーバ装置、サーバ装置
US20150199773A1 (en) Creating business profiles by third party user on-boarding
KR101869489B1 (ko) 오퍼 행위를 승인하는 방법, 장치, 서버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309578B1 (ko) 구인구직인력 매칭 시스템 및 방법
JP2002007784A (ja) ソフトウェア発注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