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005B1 -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전이시트를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갖는 흡수물품 - Google Patents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전이시트를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갖는 흡수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005B1
KR100625005B1 KR1020017007303A KR20017007303A KR100625005B1 KR 100625005 B1 KR100625005 B1 KR 100625005B1 KR 1020017007303 A KR1020017007303 A KR 1020017007303A KR 20017007303 A KR20017007303 A KR 20017007303A KR 100625005 B1 KR100625005 B1 KR 1006250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aminate
sheet
absorbent article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7007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1177A (ko
Inventor
울리카 하그루트
Original Assignee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041369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62500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filed Critical 에스체아 히기에너 프로덕츠 악티에볼라그
Publication of KR2001010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0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0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6Deodorants or malodour counteractants, e.g. to inhibit the formation of ammoni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aperture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6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 A61F2013/51182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being formed of multiple layers with non-continuous bon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thermoplastic agent, i.e. softened by h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11), 및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와 액체 투과성 액체 전이시트(3) 형태의 라미네이트(1)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12)를 포함하며, 액체 전이시트(3)가 흡수체(12)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물품에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와 액체 전이시트(3)가 함께 연결되며 흡수체가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보호대, 상처용 붕대 등과 같은 흡수물품.
Figure 112001013915655-pct00003
흡수물품, 액체 전이시트, 단일 코어체, 재료 라미네이트

Description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전이시트를 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갖는 흡수물품{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MATERIAL LAMINATE THAT COMPRISES A LIQUID PERMEABLE TOP SHEET AND A LIQUID PERMEABLE LIQUID TRANSFER SHEET}
본 발명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액체 투과성 외부시트 또는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 전이시트 형태의 재료 라미네이트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물품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액체 투과성 전이시트는 흡수체에 인접하여 위치한다.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보호대 등과 같은 흡수물품에서 마주치는 일반적인 문제는 그것의 사용이 피부염증 및 인체의 악취와 관련된 문제 등의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 문제는 폐색, 수분의 존재, 및 기계적 인자, 미생물 및 효소인자의 결과로서 발생할 수 있으며, 이것들 모두는 서로 다른 정도로 서로에게 영향을 주고 서로에 대한 효과를 증대시킨다. 몇가지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또한 pH의 증가의 결과로 또는 그것과 관련하여 발생할 수 있다.
미국특허 US 3,794,034는 흡수물품내 pH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으며, 물품내 pH를 3.5와 6.0 사이에서 유지시키도록 하는 완충물질을 흡수물품이 함유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그것은 원치않는 박테리아의 증식을 억제하고 그것과 관련해서 원치않는 악취의 발생을 억제하며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부정적 효과를 피하게 하는데 유리하다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
스웨덴 특허출원 SE 9702298-2는 젖은 후에 물품의 pH가 3.5와 4.9 사이에 있는, 부분 중화 초흡수 물질의 형태로 pH 조절물질을 포함하는 흡수물품의 사용을 개시하고 있다. SE 9702298-2에 따른 흡수물품은 피부염증 및 악취와 관련된 문제의 위험을 줄여준다. 종래의 초흡수 재료는 약 70%의 중화도를 가지며,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는 낮은 중화도를 가진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염증, 예를 들면 접촉성 피부염 등의 위험을 추가로 줄이는 것이다. 이것은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체, 및 불연속 영역(점/선 영역)에서 다공성 액체 전이시트에 열적으로 결합된 액체 투과성 섬유 상부시트를 함유하는 흡수물품으로 달성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 및 상부시트로서의 액체 투과성 섬유재료시트 및 흡수체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액체 전이시트로서의 액체 투과성, 다공성 및 탄력성 재료시트를 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를 포함하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보호대, 상처용 붕대 등과 같은 흡수물품에 관한 것이며, 재료시트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재료중 두 시트는 열가소성 재료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 또는 용융되고 이로써 두 시트를 함께 결합하는 라미네이트 결합위치의 매체를 통과하여 함께 결합되며, 흡수체는 부분 중화 초흡수체를 포함하며, 라미네이트상의 시트연결 영역 또는 위치는 상부시트를 통과하고 적어도 액체 전이시트의 일부를 통과하여 라미네이트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있다.
플라스틱 필름은 많은 형태의 흡수물품에서 상부시트로서 사용된다. 섬유조직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그것이 폐색의 위험을 감소시키며, 바꾸어 말하면 피부염증의 위험을 감소시킨다는 것이다. 이것은 섬유조직이 필름만큼 조밀하지 않기 때문이다. 섬유 상부시트는 또한 통상 피부에 대해 좀더 부드럽고 매끄러운 표면을 제공하며, 이로써 피부에 대한 상부시트의 기계적 효과(가령, 착용자가 움직일때의 피부 마찰)를 감소시키게 된다.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불연속 영역에서 상부시트에 열적으로 결합되는 흡수체 사이의 다공성 액체수득층 또는 시트에 의해 제공되는 이점은 섬유 외부시트의 통풍성이, 상부시트의 전체표면 또는 그것의 적어도 큰 부분의 표면이 액체수득시트의 표면에 결합될때보다 더 나은 효과로 유지된다는 것이다. 불연속 결합은 또한 통상 라미네이트의 두께방향으로, 결합위치에서 좀더 쉽게 액체를 인도할 수 있는, 비결합 부분에서보다 더 조밀한 조직을 다공성 액체수득조직이 있는 안쪽을 향해 제공한다.
흡수체가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를 포함하기 때문에 pH는 상기 흡수체가 사용될때 낮아지게 되며, 이로써 악취 및 피부염증과 같은 원치 않는 부작용을 상쇄시킨다. 이것은 사용시 착용자가 접하게 되는 좀더 건조하고 부드러운 상부 또는 외부시트와 함께 착용자에 대해 매우 우수한 효과를 준다. 중화도가 본 발명의 경우에 낮아진다고 하더라도, 전형적인 중화도는 약 70%이다.
본 발명은 특히 다른 것들 중에서도 기저귀 발진의 방지에 사용하기에 적당하다.
발명은 수반된 도면과 관련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이와 관련해서,
도 1은 발명에 따른 흡수물품에 포함된 라미네이트를 위로부터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라인 II-II에서 취한 라미네이트를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4는 제2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5는 제3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6은 제4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7은 제5결합 패턴을 도시한다,
도 8은 요실금 보호대 형태의 본 발명의 제1구체예를 도시한다,
도 9는 참고제품 4와 비교한, 참고제품에서의 암모니아 발생 도표이다,
도 10은 대응하는 테스트제품4의 이용과 비교한, 종래의 흡수체를 포함하는 테스트제품을 사용할때의 피부표면 pH의 도표이다.
구체예의 설명
본 발명은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보호대, 상처용 붕대 등과 같은 흡수물품에 관한 것이다. 도 8은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11), 및 상부시트로서의 액체 투과성 섬유재료시트(2) 및 액체 전이시트(3)로서의 액체 투과성 다공성, 탄력성 재료시트(3)를 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1)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 또는 패드(12)를 포함하는 요실금 보호대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액체 전이시트(3)는 흡수체(12)를 향해 대면하고 있고 재료 라미네이트(1)는 평면 및 상기 평면에 수직인 두께방향부를 가진다. 재료시트들(2,3)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두 시트(2,3)는 라미네이트(1) 상의 결합영역(4)의 매체를 통과하여 함께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영역에서 열가소성 재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화 또는 용융되고 이로써 두 시트재료들(2,3)이 함께 결합한다. 흡수체는 부분 중화 초흡수체를 포함한다. 라미네이트 결합영역은 상부시트(2)를 통과하여 및 액체 전이시트(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통과하여 라미네이트(1)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있다.
라미네이트(1)의 결합영역은 각각의 군(5)에 적어도 두 결합위치(4)를 가진 둘 이상의 군(5)에 배열되어 있으며, 주어진 군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결합위치(4)들 사이의 최장거리는 각각의 군(5)과 그것의 가장 가까이 인접한 군(5)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더 짧고, 이로써 상기 라미네이트(1)는 각 결합 군(5)의 결합위치(4)들 사이에서, 상기 결합 군(4)들 사이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의 비결합 영역(9)보다 더 높은 밀도를 가진 비결합 영역(6)을 가진다.
라미네이트가 도 1-7과 관련해서 좀더 상세히 기재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라미네이트(1)는 제1재료시트(2), 상부시트(2), 및 제2재료시트(3), 액체 전이시트(3)를 포함한다. 제1재료시트(2)는 편리하게는 비교적 얇은 부직재료로 이루 어진다.
부직재료는 많은 방법, 가령 섬유매트를 카딩 또는 방사하고 그 후 매트를 결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멜트 블로우 기술이 섬유매트의 형태로 짧은 섬유를 침착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부직재료의 섬유는 많은 서로 다른 방법중 어느 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다른 형태의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재료에 존재하는 뜨거운 용융성분이 초음파 또는 열의 인가에 의해 효과적인 결합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결합방법은 니들링(needling) 및 히드로인탱글링 (hydro-entangling)이다. 서로 다른 결합방법의 조합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라미네이트가 흡수물품의 액체 투과성 상부재료로서 사용될때, 제1재료시트(2), 상부시트(2)는 물품의 착용자에 가까이 위치하도록 되어 있는 시트이다. 그러므로 제1시트는 착용자에 대해 부드럽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진다는 것이 중요하다.
제2재료시트(3), 액체 전이시트(3)는 바람직하게는 제1재료시트(2)보다 더 두꺼워야 하며 0.5 내지 4mm의 두께를 가진 다공성, 탄력성 섬유재료로 이루어진다. 이 제2재료시트(3)는 라미네이트가 상부시트로서 흡수물품에 부착되어 있을때 액체 전이시트로서 작용한다. 그러므로, 제2재료시트(3)는 바람직하게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액체를 축적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재료시트의 평면에 액체를 분배 또는 분산시켜야 하고 라미네이트(1) 아래 배열된 흡수체로 액체를 나아가게 해야하며, 또한 흡수체에 의해 흡수될 시간이 없는 액체를 임시로 저장할 수 있어야 한다. 액체 전이시트(3)에서 사용하기에 특히 적당한 재료는 합성섬유 덩어리, 카딩 결합 또는 비결합 섬유층, 또는 벌키 부직재료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한가지 특별한 형태의 섬유재료는 층 또는 줄 형태로 존재하는 본질적으로 평행이며, 길거나 또는 무한대인 섬유 또는 섬유 필라멘트를 의미하는 토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적당한 재료는 다공성 친수성 발포재료이다. 제2재료시트는 또한 둘 이상의 서로 다른 재료층 또는 한가지 형태 및 동일 형태의 재료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흡수물품의 상부시트를 형성하는 라미네이트의 비제한적 예로서, 10과 50g/m2 사이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진 부직 합성섬유 재료의 제1재료시트(2), 및 20과 100g/m2 사이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진 합성섬유 덩어리로 이루어진 제2재료시트(3)로 이루어진 복합 부직재료가 언급될 수 있다. 적어도 제1재료시트(2), 및 바람직하게는 층들 모두(2,3)는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한다. 적당한 열가소성 재료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등이다. 다른 형태의 2성분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두 시트(2,3)는 다수의 결합위치(4)를 통해 함께 연결된다. 결합위치(4)는 본질적으로 점 형태이며 라미네이트(1)를 압축하고 동시에 거기에 에너지를 가함으로써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열가소성 재료는 라미네이트(1)의 두 시트(2,3)를 함께 결합시키기 위해 결합위치(4)에서 연화 또는 용융되었다. 제1시트 및 제2시트(2,3)는 열결합에 의해 또는 가령, 녹여붙임의 형태로 초음파 결합시킴으로써 적절히 함께 결합된다. 이와 함께 형성된 녹여붙임 패턴은 삼차원 구조를 가진다.
결합위치(4)는 각각의 군(5) 안에 4개의 결합위치(4)를 가진 군(5) 내에 배열된다. 4 결합은 사각형의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각 군 내의 결합위치들(4) 사이의 거리는 인접하고 있는 군들(5) 사이의 거리보다 더 짧다. 군(5) 내의 결합위치들 사이의 거리는 서로 인접해 있는 결합위치들(4) 사이의 최근접거리로서 결정된다. 유사하게, 군(5)들 사이의 거리는 서로 인접한 군(5)들 사이의 최근접거리로서 결정된다. 두 경우 모두, 거리는 결합위치(4)의 가장자리로부터 측정된다. 각각의 군(5) 내의 서로 가장 가까이에 있는 결합위치(4)들 사이에서 측정된 인접한 군들 사이의 최단거리 x는 적절하게는 2-6mm이고, 군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결합위치(4)들 사이의 최장거리 y는 적절하게는 0.5-1mm이다. 그러므로, 먼저 언급한 거리 x는 후에 언급한 거리 y의 적어도 약 2배이다. 거리 x와 거리 y 사이의 x/y 비는 2/1 내지 12/1이다.
라미네이트(1)의 용융된 또는 연화된 열가소성 재료가 냉각될때, 그것은 고화되고 라미네이트 결합제로서 작용한다. 두 시트들(2,3)의 이러한 결합에 더하여, 시트(2,3)에서의 다공성 구조는 압축되거나 또는 조밀하게 된다. 가장 명백한 것은 실제 결합위치(4)에서의 조밀화이다. 결합위치(4)의 특정 위치 지정은 결합된 라미네이트(1)가 군(5) 내의 결합위치(4)에 의해 둘러싸인 사각 영역(6)으로 나타나며, 결합된 라미네이트가 군(5)들 사이의 영역(7)에서 보다 이들 영역에서 더 조밀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라미네이트(1)를 형성하는 시트는 결합위치(4)에 상부시트(2)의 관통구멍(8)을 형성시킴으로써 함께 결합된다. 더욱이, 결합위치(4) 안 및 결합위치(4) 근접주변에 위치하는 재료는 매우 조밀하며 주위의 재료보다 더 미세한 모세관을 가진다. 이것은 결합이 위치하고 있는 영역의, 액체를 상부시트(2)로부터 액체 전이시트(3)로 통과하게 하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라미네이트(1)가 제1시트(2), 즉 상부시트(2)내에 관통구멍(8)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이더라도, 이것은 본 발명의 필수적인 특징은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결합위치(4)가 약간의 액체 불투과성 성질의 표면을 나타내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하며, 관통구멍 및 액체 불투과성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라미네이트가 용융된 고 비율의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그 후 필름과 유사한 표면으로 고화할때, 낮은 액체 투과성 또는 액체 불투과성의 결합위치가 얻어진다. 실제 결합위치(4)가 실제적으로 완전한 액체 불투과성이더라도, 각각의 최근접 결합위치(4)에서 발생하는 결합압축과 관련해서 결합위치(4) 주위에서 발생하는 압축 섬유조직은 매우 높은 액체 전이 능력을 가진다.
또한, 결합위치들의 각각의 군(5)에서의 결합위치(4)들의 안쪽의 조밀영역(6)은 상승된 액체 전이능력의 영역을 형성한다. 각 군(5)내의 결합위치(4)들 사이의 거리가 비교적 좁고,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1mm 이기 때문에, 결합위치(4)에서의 재료의 압축은 또한 상기 결합위치(4)의 안쪽 영역(6)에 영향을 미쳐서 좀더 조밀한 조직이 얻어진다. 그러므로, 결합위치(4)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조밀영역(6)에서의 모세관 크기는 결합위치(4)의 군(5)들 사이에 위치하는 라미네이트(1) 영역에서의 모세관의 크기보다 평균적으로 작다. 그러므로 라미네이트(1)는 결합위치(4)의 조합 표면과 관련해서 비교적 높은 액체 전이능력을 가 진다. 조합된 결합 표면은 바람직하게는 총 표면적의 3 내지 11%이다. 라미네이트의 놀랍도록 우수한 액체 이송 및 액체 전이 능력은 결합위치(4) 그 자체 및 이들 위치에 바로 인접하여 위치하고 향상된 액체 전이 능력을 보이는 영역 또는 지역에 기인할 뿐만 아니라, 향상된 액체 전이능력에 기여하는 군(5) 내의 결합위치(4)들 사이에 위치하는 지역 또는 영역에 기인하기도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좀더 조밀한 영역을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부드럽고 유연한 고 벌크 라미네이트(1)를 얻으면서도 개선된 액체 이송능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한 더 건조한 표면의 결과 및 부분 중화 초흡수체를 포함하는 흡수체에 기인하는 낮은 pH를 가지는 제품의 결과를 낳게 한다. 악취 및 피부염증과 같은 원치 않는 부작용의 위험이 또한 감소된다.
피부에 적용하는 제품들의 사용은 모두 원치 않는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이들 부작용은 폐색, 수분의 존재, 및 기계적 인자, 미생물 및 효소의 성질에 의해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사용은 또한 피부염증, 1차 또는 2차 피부감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원치않는 악취를 발생시킬 수 있다. pH의 증가는 흡수제품이 피부에 닿을때 통상 발생한다. 그러나, 몇가지 원치 않는 부작용이 pH-증가의 결과로서 또는 pH-증가와 관련해서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원치 않는 부작용의 한 예는 피부의 표면 pH와 관련해서 보이는 자극성 접촉피부염이다.
원치 않는 부작용의 또 다른 예는 프로테우스같은 일부 박테리아가 소변과 다른 체액에서 물질을 신진대사시킬 수 있고 암모니아와 아민과 같은 취기물질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또한 pH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높은 pH에서 많은 취기물질들 의 평형은 휘발성 성분들이 좀더 형성되도록 이동하며, 낮은 pH에서보다 좀더 강한 악취가 나게된다.
흡수물품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은, 다른 것들 중에서 수분, 영양물 및 열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이 또한 미생물의 증식을 돕는다. 많은 수의 박테리아는 감염의 위험을 구성하고 있다. 많은 박테리아의 존재는 또한 악취가 소변 및 월경액으로 구성된 것과 같은 체액 성분들의 생물학적 또는 화학적 분해의 결과로서 형성되는 서로 다른 물질에 의해 제조되는 더 큰 위험을 의미한다. 미생물의 활성은 pH에 상당히 의존하며 pH값이 떨어짐에 따라 감소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수 조직에서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의 사용은 pH의 감소를 야기한다. 그러므로 상기한 원치않는 부작용은 발명의 흡수조직의 경우에서는 감소된다.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는 스웨덴 특허 출원 SE9702298-2에 기재된 흡수물품에서 사용된다. 감소된 pH 값은 재료에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의 형태로 pH 조절물질을 포함시킨 결과로서 얻어진다. 물품이 젖은 후에 흡수물품의 pH가 3.5-4.9의 범위에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4.1-4.7의 범위에 있을때, 뚜렷한 증식억제 효과가 미생물의 원치않는 균주와 관련해서 얻어지며 물품의 사용으로부터 얻어질 수 있는 원치 않는 부작용 효과의 발생이 감소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적당한,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는 유럽 특허 명세서 EP 0 391 108, Casella AG에 기재된 종류의 가교결합 폴리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응하는 성질을 갖는 상기 재료 이외의 초흡수 재료가 대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화도와 초흡수 재료의 pH 값 사이의 관계의 예가 아래의 본문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하기한 정보는 스웨덴 특허 출원 SE 9702298-2로부터 취하였다.
중화도 % pH
18 25 30 35 45 60 4.0 4.3 4.5 4.7 5.0 5.5
표로부터 중화도가 보통 45%보다 낮아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35%보다 낮아야만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중화도는 바람직하게는 약 20%보다 더 높아야 한다. 이들 중화도는 또한 본 발명에 대해서 적당하다.
중화도가 본 발명에 따른 흡수물품의 흡수조직에서 사용될때, 피부에 대해 착용시 조직이 젖은 후에 산 환경이 얻어지고, 이로써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며 및 불쾌한 악취 및 피부염증을 회피할 수 있게 된다.
젖은 후에, 발명의 흡수물품의 흡수체는 3.5-4.9 범위, 바람직하게는 4.1-4.7 범위의 pH를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또 다른 이점은 피부에 대해 흡수물품을 착용한 결과로서 가령, 불쾌한 악취 및 피부병의 발생이 회피된다는 것이다. 증식억제 효과는 많은 미생물이 강하게 pH의존적이며 pH 값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는 활성을 가진다는 사실에 기초한고 있다. 리파제 및 프로테아제와 같은 효소는 강하게 pH의존적이며 pH 값의 감소에 따라 감소하는 활성을 또한 가진다. 그러므로, pH의 감소는 대부분의 미생물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또한 효소활성을 감소시키고, 이로써 피부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아래의 실시예는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가진 흡수물품의 효과를 예시하기 위해 SE 9702298-2로부터 취하였다. 흡수체는 또한 2.5-8.5의 pH를 가진 셀룰로스 펄프를 포함한다.
흡수재료 및 흡수된 액을 포함하는 흡수체는 자연적으로 pH측면에서 비균일 시스템이다. 시스템은 초흡수재료, 섬유, 및 여러 형태의 이온을 함유하는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재현성 있는 pH 값을 얻기 위해서는, 시료체의 여러 곳에서의 측정치를 취하고 상기 측정치의 평균값을 계산할 필요가 있다.
실시예의 설명
다음의 실시예는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 및 2.5-8.5의 pH를 갖는 셀룰로스 펄프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흡수체를 갖는 흡수물품에서의 효과를 좀더 면밀히 설명하도록 의도되었다. 대응하는 형태의 종래 재료와 비교를 행하였다.
테스트 액:
테스트 액 1
0.9 % 염화나트륨 용액
테스트 액 2
특히, EP 0,565,606의 설명에 따른 합성 소변은 Pennsylvania의 Jayco Pharmaceuticals Co. 로부터 얻을 수 있다. 그 소변은 2g/l KCl; 2g/l Na2SO4; 0.85g/l (NH4)H2PO4; 0.15g/l (NH4)2HPO4; 0.19g/l Cal2 그리고 0.23g/l MgCl2 의 조성을 가진다. 이 혼합물은 6.0 - 6.4의 pH를 가진다.
테스트 액 3
합성 소변은 다음의 물질들을 포함한다 : KCl, NaCl, MgSO4, KH2PO4, Na 2HPO4, NH2CONH2. 이 혼합물은 6.0 - 6.5의 pH를 가진다.
테스트 액 4
살균한 합성 소변을 미생물 증식배지에 가했다. 합성 소변은 1가와 2가의 양이온과 음이온 그리고 요소를 포함하며 Geigy, Scientific Tables, vol 2, 8th ed. 1981 p.53의 지시에 따라 제조하였다. 미생물 증식배지는 Hook media and FSA media for enterobacteria 의 자료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이 혼합물은 6.6의 pH를 가진다.
테스트 방법 :
방법 1, 테스트를 위한 흡수체의 제조
SCAN C 33:80 에 따라 앞서의 것을 약간 변형시킨 테스트 바디를 이용하여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플러프 펄프와 바람직한 종류의 초흡수 재료의 무게를 달고 그 후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 재료의 균일 혼합물을, 5cm의 직경을 가지며 금속 그물을 바닥에 구비하고 있고 상기 그물위에 얇은 직물이 놓여진 파이프를 통해 약 85mbar의 음압에서의 공기 흐름을 통과하게 하였다. 플러프 펄프와 초흡수 재료의 혼합물을 금속그물위에 배열된 직물위에 모으고 그 후 흡수체를 형성시켰다. 흡수체의 무게를 달고 6-12cm3/g의 벌크밀도로 압축시켰다. 하기한 대로 여러 조성을 갖는 참고 제품 1, 참고 제품 2, 테스트 제품 1, 테스트 제품 2, 테스트 제품 3, 테 스트 제품 4 등으로 칭해지는 다수의 흡수체들을 제조하였다. 단일 코어 흡수체 그리고 이중 코어 흡수체에서 흡수 재료의 양은 단일 코어체와 이중 코어체가 거의 동일한 흡수 용량을 갖도록 조절하였다.
방법 2, 셀룰로스 펄프에서의 pH의 측정
여러 테스트 제품들에서 셀룰로스 펄프의 pH를 SCAN P 14:65 에 따른 펄프로부터 추출한 물의 pH를 결정함으로써 측정하였다. 1.0g의 공기 건조 셀룰로스 펄프를 100ml 유리 비이커안에 넣고 20ml의 증류수를 가하였다. 혼합물을 교반시킨 후, 50ml의 증류수를 좀더 가하였고 그 혼합물을 약 30초동안 교반하였다. 그리고 그것을 1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액을 쏟아내고 20-30℃에서 유리전극으로 pH를 결정하였다. 두개의 시료를 제조하고 평균 값을 계산하였다.
방법 3, 흡수체의 pH의 측정
약 50mm의 직경을 갖는 흡수체를 방법 1에 따라 제조하였다. 소정량의 테스트액 1, 2 및 3을 단일 코어 흡수체에 대해서는 10ml 그리고 이중 코어 흡수체에 대해서는 20ml 가하였다. 그 후 흡수체를 30분동안 부풀도록 방치하고, 그 후에 표면 전극, 평저 메트롬(flat bottom Metrohm)pH측정기, Beckman
Figure 112001013915655-pct00001
12 또는
Figure 112001013915655-pct00002
72 를 이용하여 흡수체의 pH를 측정하였다. 적어도 두개의 상이한 흡수체에 대해 유사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각각의 흡수체에 대해 10곳에서 pH를 결정하였고 그 후 평균값을 계산하였다.
방법 4, 흡수체에서 박테리아 억제의 측정
방법 1에 따라 흡수체를 제조하였다. 단일 코어 흡수체 및 이중 코어 흡수체 를 모두 제조하였다. 테스트액 4를 제조하였다. 박테리아 현탁액의 각각의 대장균(E.c),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Proteus mirabilis)(P.m.),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Enterococcus faecalis)(E.f.)를 30℃에서 영양부용에서 밤새 배양시켰다. 그라프트 배양액을 희석시키고 박테리아 수를 계산하였다. 배양액을 최종 혼합 배양액이 테스트액 4의 단위 ml 당 약 104 세균을 포함하도록 여러 비율로 혼합시켰다. 테스트액 4를 70.5×52mm, 부피 100ml의 살균한 담용기에 쏟아붓고, 용기내의 흡수체를 뒤집어 놓고 액을 흡수하도록 5분동안 방치하였으며, 그 후에 용기를 뒤집고 35℃에서 0, 6 및 12시간 동안 각각 보온하였고, 그 후에 흡수체에서의 박테리아 값을 결정하였다.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총 수를 측정하는데 사용된 영양한천은 TGE 한천이었으며, Drigalski 한천 및 Slanetz Bartley 한천을 대장균 및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및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의 구체적 측정을 위해 각각 사용하였다.
방법 5, 암모니아 함량의 측정
단일 코어 흡수체를 방법 1에 따라 제조하였다. 테스트액과 미생물을 방법 5에 따라 가한 후, 용기를 0.3, 6 및 12 시간동안 35℃에서 각각 보온하였고, 그 후 시료를 수동펌프 및 소위 Drager 튜브로를 이용하여 용기로부터 취하였다. 암모니아 함량은 ppm 또는 부피-퍼센트의 눈금을 따라 색의 표시로서 읽었다.
방법 6, 피부 표면-pH의 측정
시료 제품을 각각 참고 3과 테스트 4에 따라 흡수체의 뒷면을 약 25g/m2 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진 폴리에틸렌 도료로 각각 도포하고, 상기 흡수체의 앞면을 약 20g/m2 의 단위면적당 중량을 가진 폴리프로필렌 부직 도료로 도포함으로써 제조하였다. 테스트액 3을 테스트 제품의 앞면에 적용하고 그 안으로 흡수시켰다. 얻어진 테스트 제품을 피험자의 팔뚝에 붙이고 24시간동안 유지시켰다. 그 과정을 두번 반복하였다. 피부의 표면-pH를 테스트 제품을 적용하기 전에, 및 테스트 제품을 적용한지 24, 48 및 72시간후에 평저 메틀러-톨레도(flat bottom Mettler-Toledo) 유리 전극 403/120을 가진 Courage + Khazaka 피부 pH 측정기를 사용하여 접촉지점에서 측정하였다.
테스트 제품 :
참고 제품 1 :
15/85 중량% 비율의 종래의 초흡수 재료와 종래의 화학 열기계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총중량 1 그램을 갖는 단일 코어 흡수체.
테스트 제품 1 :
1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2를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pH=5.8을 갖는 화학 열기계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단일 코어 흡수체.
테스트 제품 2 :
1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2를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pH=3.7을 갖는 화학 열기계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 는 단일 코어 흡수체.
참고 제품 2 :
이중 코어 흡수체. 상부 코어(UC)는 1.2 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2/88% 비율의 종래의 초흡수 재료와 종래의 화학 열기계 펄프로부터 제조된다. 하부 코어(LC)는 1.1 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2/88 중량% 비율의 종래의 초흡수 재료와 종래의 화학 펄프로부터 제조된다.
테스트 제품 3 :
이중 코어 흡수체. 상부 코어(UC)는 1.3 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비율의 pH=4.5를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5.8의 pH를 갖는 화학 열기계 펄프로부터 제조된다. 하부 코어(LC)는 1.2 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5를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pH=6.3을 갖는 화학 펄프로부터 제조된다.
참고 제품 3 :
1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종래의 초흡수 재료와 종래의 화학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단일 코어 흡수체.
테스트 제품 4 :
1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2를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종래의 화학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단일 코어 흡수체.
참고 제품 4 :
1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종래의 초흡수 재료와 pH=6.7을 갖는 화학 열기계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단일 코어 흡수체.
테스트 제품 5 :
1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2를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pH=6.7을 갖는 화학 열기계 셀룰로스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단일 코어 흡수체.
테스트 제품 6 :
이중 코어 흡수체. 상부 코어(UC)는 1.3 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6을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pH=5.8을 갖는 화학 열기계 펄프로부터 제조된다. 하부 코어(LC)는 1.2 그램의 총중량을 가지며, 15/85 중량% 비율의 pH=4.6을 갖는 발명에 따른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와 pH=6.3을 갖는 화학 펄프로부터 제조된다.
테스트 결과 :
실시예 1
표 1로부터 알 수 있듯이, 미생물의 증식은 참고 제품 1에 따른 종래의 단일 코어 흡수체에서 양호하였다. 박테리아 증식은 방법 4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간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0 시간 3.3 3.1 3.7
6 시간 7.0 6.4 7.1
12 시간 9.2 9.1 8.3
실시예 2
미생물 증식의 억제는 테스트 제품 1에 따른 단일 코어 흡수체에서 양호하였다는 것을 표 2로부터 알 수 있다. 박테리아 억제는 방법 4에 따라 측정하였다.
시간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0 시간 3.2 3.3 3.4
6 시간 5.5 3.2 4.8
12 시간 7.3 4.0 6.1
실시예 3
미생물 증식의 억제는 테스트 제품 2에 따른 단일 코어 흡수체에서 양호하였다는 것을 표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측정은 방법 4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간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0 시간 3.4 3.3 3.5
6 시간 3.2 2.6 3.6
12 시간 2.8 2.0 3.5
실시예 4
미생물의 증식은 참고 제품 2에 따른 종래의 이중 코어 흡수체에서 양호하였다는 것을 표 4로부터 알 수 있다. 측정은 방법 4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간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UC* LC** UC* LC** UC* LC**
0 시간 3.4 3.4 3.4 3.4 3.4 3.4
6 시간 6.8 7.0 6.6 6.7 6.7 6.2
12 시간 9.0 9.0 9.1 9.0 8.0 7.8
UC*=상부 코어,**LC=하부 코어
실시예 5
미생물 증식의 억제는 테스트 제품 3에 따른 이중 코어 흡수체에서 양호하였다는 것을 표 5로부터 알 수 있다. 측정은 방법 4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간 대장균 프로테우스 미라빌리스 엔테로코커스 패칼리스
UC* LC** UC* LC** UC* LC**
0 시간 3.4 3.4 3.4 3.4 3.4 3.4
6 시간 5.1 5.6 3.3 4.2 4.4 4.5
12 시간 7.3 7.4 4.0 4.0 5.9 4.8
UC*=상부 코어,**LC=하부 코어
실시예 6
참고 제품 4에 따른 종래의 단일 코어 흡수체와 비교하였을 때, 테스트 제품 5에 따른 단일 코어 흡수체에서 암모니아 발생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켰다는 것을 도 9로부터 알 수 있다. 측정은 방법 5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7
도 1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주어진 시간동안 테스트 제품 4에 따른 흡수체를 포함하는 시료 제품을 사용한 후, 피부의 표면 pH는 테스트 액 3을 가한 후에 참고 제품 3에 따른 종래의 초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해당 시료 제품의 경우에서 보다 낮은 수준에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측정은 방법 6에 따라 실시하였다.
실시예 8
표 6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테스트 제품 1에 따른 단일 코어 흡수체에서 측정된 pH는 테스트액을 가한 후에 3.5-4.9의 활성 pH 범위내에 있었다. 측정은 방법 3에 따라 실시하였다.
테스트액 1 테스트액 2 테스트액 3
pH 4.29 4.42 4.54
실시예 9
표 7로부터 알 수 있듯이, 테스트액을 가한 후에 테스트 제품 6에 따른 이중 코어 흡수체에서 측정된 pH는 3.5-4.9의 활성 pH범위내에 있었다. 측정은 방법 3에 따라 실시하였다.
테스트액 1 테스트액 2 테스트액 3
pH UC* 4.72 4.83 4.80
pH LC* 4.75 4.73 4.73
UC*=상부 코어,**LC=하부 코어
그러므로, 낮은 pH는 미생물 증식 억제와 관련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가 흡수물품에서 상기한 라미네이트와 함께 사용될때, 피부염증 및 악취와 관련하여 추가의 이득이 얻어진다. 기재된 라미네이트는 또한 착용자의 피부에 건조표면을 제공하며, 그것은 또한 피부염증과 관련하여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가령 도 2로부터 명백히 알 수 있듯이, 발명의 물품의 라미네이트의 결합패턴은 3차원구조를 가진다. 이것은 더 적은 재료가 착용자의 피부에 대해 직접 닿게되며, 이로써 표면재료와 착용자의 피부 사이에 어느 정도의 자유로움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가령, 찰상 및/또는 폐색(열)의 결과로서 축축해진 피부에 의해 및/또는 첫번째 젖은 후에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상부시트에 일부 액이 남아있기 때문에 야기되는 피부염증의 위험을 줄여준다.
하기한 것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된 라미네이트(1)의 또 다른 구체예이다. 도 3은 최상부 시트 또는 최상부 층이 발명의 흡수물품의 착용자에 가까이 놓인 라미네이트(1)의 결합패턴을 도시한다. 결합패턴은 각각의 군(5') 내에 4개의 결합위치(4)가 있는 군(5') 내에 배열된 마름모꼴 결합위치(4)들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결합패턴은 각각 4개의 결합위치(4)를 가지는 4개의 군(5')들을 포함하는 상위의 군 구조(5")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서로 다른 재료 밀도를 가진 세가지 서로 다른 형태의 영역(6,7,9)이 도 3에 도시된 결합패턴에서 확인될 수 있다. 가장 작은 세공크기를 가진 가장 조밀한 재료 구조가 4개의 결합위치(4)를 포함하는 군(5') 내에서 발견된다. 좀더 큰 세공크기를 갖는 덜 조밀한 영역(7)은 각각 4개의 결합위치(4)를 가지는 군(5')들을 포함하는 상위의 군 구조(5")에서 발견된다. 최저 밀도영역(9)은 상위의 군 구조(5")들 사이에서, 및 상위의 군 구조(5")들 사이에 배열된 결합위치(4)들의 단일 군(5)과 상위의 군 구조(5") 사이에서 발견된다.
도 4의 구체예의 경우에서, 결합위치(4)는 줄무늬의 결합위치(4)들 사이의 거리 보다 더 먼 거리만큼 서로 떨어져 위치하는 대체로 평행인 줄무늬 배열(5)로 배치된 짧은(1-1.5mm) 대시모양의 결합의 형태를 가진다. 선 또는 줄무늬(5)들 사이에 위치하는 영역(7)보다 더 작은 세공크기를 가진 조밀영역(6)은 각각의 줄무늬의 결합위치(4)들 사이에 위치한다.
도 5-7은 추가로 생각할 수 있는 결합패턴을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결합패턴은 대체로 평행하고 물결모양인 쌍의 결합선들(4)을 포함하는데 각 쌍(5)의 선(4)들 사이의 거리는 한 쌍(5)의 결합선(4)들 사이의 거리를 초과한다. 그러므로, 각 쌍의 결합선(4)들 사이의 조밀 액체전이영역, 및 결합 쌍(5)들 사이의 벌크하고, 부드럽고 통풍공간이 있는 영역(7)을 포함하는 라미네이트를 도 5에 도시된 결합패턴으로 얻는다.
줄무늬 또는 선의 형태로 결합위치(4)를 배열함으로써 제공되는 한가지 이점은 상기 결합패턴을 포함하는 상부재료가 액체를 줄무늬 또는 선을 따라 흐르게 하고, 상기 줄무늬 또는 선에 수직으로 액이 퍼지는 것을 방해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구조는 흡수물품에서 가장자리로 누수될 수 있는 위험을 감소시키는데 유리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6은 조밀영역(6)을 한정하지 않는 동심원 고리 형태의 두 결합위치(4)로 각각 이루어진 군(5)들을 포함하는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저밀도 영역(7)은 고리모양의 결합위치(4)의 외부고리 바깥쪽에서 발견된다.
도 7은 각 쌍(5)의 대시모양 선(4)들 사이의 조밀영역(6) 및 한 쌍의 대시모양 선(4)들 사이의 저밀도 영역을 형성하도록 떨어져 있는 주어진 거리에서 쌍으로 배열된, 짧은 평행 대시모양 선(4)을 포함하는 패턴을 도시한다.
도 8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 및 액체 투과성 액체 전이시트(3)를 갖는 라미네이트(1)를 포함하는 요실금 보호대 또는 생리용 냅킨(10) 형태의 발명의 흡수물품의 구체예를 도시한다. 물품은 또한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11), 및 상부시트(2)와 배면시트(11)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 또는 패드(12)를 포함한다. 상부시트(2)와 배면시트(11)는 흡수체(12) 보다 약간 더 크며 상기 흡수체의 가장자리를 약간 넘도록 뻗어있다. 상부시트(2) 및 배면시트(11)는 그것의 바깥쪽 돌출부(13)를 따라 , 예를 들면 열 또는 초음파로 접착 또는 녹여붙임으로써 상호연결된다.
흡수체(12)는 종래의 어떤 형태이어도 좋다. 전형적인 흡수재료의 예는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 티슈, 고 흡수중합체(소위 초 흡수체), 흡수 발포재, 흡수 부직 재 등이다. 흡수체를 액체수득능력, 액체분산능력 및 저장능력에 관련된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서로 다른 재료층으로 구성하는 것이 또한 일반적이다. 상기 구성은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바이므로 여기서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면, 아기 기저귀 및 요실금 보호대에 보통 존재하는 얇은 흡수체 또는 패드는 때때로 셀룰로스 플러프 펄프 및 초흡수체의 압축 혼합 구조 또는 층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발명에 따르면, 흡수재료는 흡수체의 부분 중화 초흡수체와 조합되어 있다. 상기한 것처럼, 이것은 흡수물품이 사용중에 피부에 대해 낮은 pH를 갖게하며 피부에 건조표면을 제공하게 한다. 피부염증 및 악취가스의 생성은 몇가지 인자, 가령 미생물의 증식억제, 피부마찰의 감소 및 피부와 접촉하는 수분감소에 의해 좌절된다.
요실금 보호대 또는 생리용 냅킨(10)은 넓은 단부(15,16) 및 상기 단부들(15,16) 사이에 위치하는 좁은 가랑이부(17)를 포함하는 모래시계 구조를 가진다. 가랑이부(17)는 사용시 사용자의 가랑이에 오도록 되어있고 분비된 체액을 수득하는 표면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있는 요실금 보호대의 일부분이다.
상기한 것과 같이, 다공성 및 탄력성의 액체 전이시트(3), 예를 들면 섬유 덩어리, 다공성 발포층, 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라미네이트의 제2시트에 적당한 것으로 상기 기재된 재료들중 하나의 층이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와 흡수체(11) 사이에 제공된다. 액체 전이시트(3)는 상부시트(2)를 통과하는 액체를 수용한다. 방뇨는 때때로 단기간에 배설되는 비교적 많은 양의 액체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액체가 빠르게 액체 전이시트(3)로 스며들도록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와 내부에 놓여 있는 액체 전이시트(3) 사이에서 접촉이 달성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액체 전이시트가 고벌크밀도 및 바람직하게는 0.5mm 내지 4mm의 두께를 갖기때문에, 시트(3)는 흡수체(11)로 나중에 흡수되기 전에 임시 액체 저장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액체 전이시트(3)는 요실금 보호대의 총 길이를 따라 뻗어있지만 흡수체(11)보다 다소 더 좁다. 상기 설계의 장점은 그것이 재료 소비를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액체 전이시트(3)를 요실금 보호대의 길이보다 짧게 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재료를 더 절약할 수 있다. 요실금 보호대에 의해 흡수된 대부분의 체액, 또는 유체가 이 보호부(17)내에서 배설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으므로, 가령 이것과 관련하여 한가지 생각해 볼 수 있는 다른 것은 상기 요실금 보호대의 가랑이부(17)에 액체 전이시트(3)만 배열하는 것이다.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액체 전이시트는 대개 매우 다공성이며 그것에 의해 비교적 큰 유효 중간크기를 보이는데, 그것은 종래의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재료의 유효 중간 세공크기보다 때때로 더 크다. 섬유재료의 유효 중간 세공크기는 EP-A-0 470 392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모세관 효과의 결과로, 액체가 다른 길로는 가지 않고 넓은 모세관으로부터 미세 모세관으로 통과하려 하기 때문에, 액체는 좀더 다공성의 액체 전이시트에 의해 배출되는 대신에 외부재료의 섬유망에 잔여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액체는 외부시트, 또는 상부시트의 표면에서 흐르고, 누출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상부시트의 섬유구조에 잔류하게 되는 액체는 또한 상기 시트의 표면이 젖은 느낌이 들게하여 착용자가 불편한 느낌을 갖게 한다.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을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라미네이트(1)와 관련해서 설명된 액체 전이시트(3)에 연결함으로써, 액체 전이시트(3)가 결합위치(4)에서 압축되게 한다. 그러므로, 액체 전이시트(3)는 밀도가 각각의 결합위치(4) 방향으로 증가하는 밀도 구배를 가진다. 그러므로 액체 전이시트(3)는 결합위치(4) 주위의 영역에 세공크기 구배 및 유효 중간 세공크기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의 중간 세공크기보다 더 작은 면적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위치(4)들을 그룹으로 묶음으로써, 액체 전이시트(3)의 중간세공크기가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의 중간세공크기보다 작은 라미네이트(1) 표면의 일부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것은 액체 전이시트(3)가 상부시트(2)로부터 액체를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게한다. 액체가 각각의 결합위치(4) 주위 영역 및 각각의 결합위치 군(5) 내의 결합위치(4)들 사이에 있는 조밀영역(6)에서의 상부시트로부터 배출되기 때문에, 이들 영역은 액이 주위 영역과 평형을 이루도록 하기 위해서 액체부족을 가지게 된다. 상부시트(2)는 액체를 전체적으로 덜 포함하게 될 것이며, 결과적으로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피부에 대해 좀더 건조감을 느끼게 할 것이다. 물품을 사용할때 낮은 pH가 얻어지기 때문에, 흡수체에 존재하는 부분 중화 초흡수 재료의 결과로서 가령, 피부염증의 위험이 상당히 줄어든다.
군(5)내의 결합위치(4)들을 상기 결합위치(4)들 사이의 비결합 조밀영역(6)과 함께 배열함으로써, 비교적 적은 수의 결합으로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2)로부터 액체 전이시트(3)로 매우 효과적인 액체 전이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비결 합 영역(7)은 군(5)들 사이에 있고, 이로써 사용시 착용자에 근접해 있는 요실금 보호대(10)의 표면에 파동형 또는 "울퉁불퉁한" 구조를 제공한다. 결합 군들(5) 사이의 이들 비결합 영역(7)은 부피가 크고 부드러워서 라미네이트(1)가 통풍이 잘되게 하고 착용자에게 편안함을 주며, 또한 라미네이트가 젖었을때도 피부가 건조하게 유지되도록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상기 표면을 효과적으로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한다.
액체 전이시트(3)와 흡수체(11) 사이에서 효과적인 액체 전이가 얻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흡수체는 액체 전이시트(3)보다 더 액체에 대한 친화성을 가져야 한다. 이것은 예를 들면, 흡수체(11)보다 덜 친수성인 액체 전이시트(3)를 제조함으로써 및/또는 액체 전이시트(3) 보다 좀더 미세한 모세관 구조를 흡수체(11)에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본 발명의 예시화된 구체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 청구항의 범위내에서 여러 변경과 변형을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포함한다"라는 단어는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함유하는 것을 의미한다.

Claims (12)

  1. 액체 불투과성 배면시트(11), 및 상부시트(2)를 형성하는 재료(2)의 액체 투과성, 섬유시트 및 흡수체(12)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액체 전이시트(3)를 형성하는 재료(3)의 액체 투과성, 다공성 및 탄력성 시트 형태의 재료 라미네이트(1) 사이에 둘러싸인 흡수체(12)를 포함하며, 라미네이트(1)가 평면 및 상기 평면에 수직인 두께방향부를 가지며, 시트들(2,3)중 하나 또는 2개 모두가 열가소성 재료를 포함하며, 두 시트(2,3)는 라미네이트(1)의 결합위치(4)의 매체를 통하여 함께 연결되고, 이 중에서 열가소성 재료가 연화 또는 용융되어 상기 두 시트(2,3)를 함께 연결하는, 기저귀, 생리대, 요실금 보호대, 상처용 붕대 등과 같은 흡수물품에 있어서,
    흡수체가 45% 미만의 중화도를 갖는 부분 중화 초흡수체를 포함하며, 라미네이트의 시트연결 영역이 상부시트(2)를 통과하고 액체 전이시트(3)를 통과하여 상기 라미네이트(1)의 두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결합영역은, 각 군이 두 군데 이상의 결합위치(4)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군(5)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주어진 군(5)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결합위치(4)들 사이의 최장 상대거리가 그 군(5)과 그것의 가장 가까이 인접한 군(5) 사이의 최단거리보다 짧고, 라미네이트(1)가 각 결합 군(5)의 결합위치(4)들 사이에서, 각각의 결합 군(4)들 사이에 위치하는 제2 비결합 라미네이트 영역(9)보다 더 큰 밀도를 가진 제1 비결합 라미네이트 영역(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초흡수체는 젖었을 때의 물품의 흡수체의 pH가 3.5-4.9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중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초흡수체는 젖었을 때의 물품의 흡수체의 pH가 4.1-4.7의 범위에 있도록 하는 중화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라미네이트 결합위치(4)가 점 결합, 선 결합, 직사각형 결합 또는 원형 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시트가(2) 결합위치(4)내에 관통구멍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시트가(2) 부직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부시트(2)가 카딩되고 열결합된 부직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액체 전이시트(3)가 0.5-4mm의 두께를 가지는 섬유 덩어리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위치(4)의 서로 인접하는 두 군(5)들 사이의 최단거리 x가 각각의 군(5) 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두 결합위치 (4)들 사이의 최장거리 y의 크기의 2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11. 제 10 항에 있어서, 거리 x와 y사이의 x/y 비가 2/1 내지 1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12. 제 10 항에 있어서, x가 2-6mm이고 y가 0.5-1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물품.
KR1020017007303A 1998-12-16 1999-12-15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전이시트를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갖는 흡수물품 KR1006250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804360-7 1998-12-16
SE9804360A SE513375C2 (sv) 1998-12-16 1998-12-16 Absorberande alster med ett materiallaminat innefattande ett vätskegenomsläppligt ytskikt och ett vätskegenomsläppligt vätskeöverföringsskik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1177A KR20010101177A (ko) 2001-11-14
KR100625005B1 true KR100625005B1 (ko) 2006-09-20

Family

ID=20413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7007303A KR100625005B1 (ko) 1998-12-16 1999-12-15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전이시트를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갖는 흡수물품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1140228B1 (ko)
JP (1) JP4489300B2 (ko)
KR (1) KR100625005B1 (ko)
AT (1) ATE261318T1 (ko)
AU (1) AU760134B2 (ko)
BR (1) BR9916290A (ko)
CA (1) CA2352806C (ko)
CO (1) CO5070671A1 (ko)
DE (1) DE69915512T2 (ko)
DK (1) DK1140228T3 (ko)
ES (1) ES2217869T3 (ko)
MY (1) MY121797A (ko)
PL (1) PL195669B1 (ko)
RU (1) RU2232605C2 (ko)
SE (1) SE513375C2 (ko)
TW (1) TW524682B (ko)
WO (1) WO20000355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4611B2 (ja) * 2000-08-25 2007-08-2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衛生物品用の体液吸収性パネル
JP3609361B2 (ja) 2000-10-12 2005-01-12 花王株式会社 立体シート材料
SE518409C2 (sv) * 2000-12-22 2002-10-08 Sca Hygiene Prod Ab Absorberande struktur, framställning därav och användning i olika former av hygienartiklar
JP4390406B2 (ja) * 2001-06-08 2009-1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DE60225383T2 (de) 2001-08-10 2008-06-12 Kao Corp. Obere Schicht für absorbierenden Artikel
JP3611838B2 (ja) 2001-12-28 2005-01-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JP2003235894A (ja) * 2002-02-22 2003-08-26 Oji Kinocloth Co Ltd 液拡散性シート
JP4278963B2 (ja) 2002-03-26 2009-06-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US7518032B2 (en) * 2006-11-14 2009-04-14 Tredegar Film Products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apertured film for transmitting dynamically-deposited and statically-retained fluids
BRPI0622130B1 (pt) 2006-11-17 2016-02-10 Sca Hygiene Prod Ab artigos absorventes compreendendo um sal orgânico de zinco e um agente antibacteriano ou cloreto de metal alcalino ou cloreto de metal alcalino terroso
EP2086596B1 (en) 2006-11-17 2013-05-08 SCA Hygiene Products AB Absorbent articles comprising acidic cellulosic fibers and an organic zinc salt
DE202008005811U1 (de) 2008-04-30 2008-07-24 Kretzer, Thorsten Spendersystem und Urinal mit Spendersystem
JP5421676B2 (ja) * 2009-07-07 2014-02-19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用の表面シート
DE102009054097A1 (de) * 2009-11-12 2011-05-19 Paul Hartman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stimmen der Feuchtigkeit bei einem absorbierenden Hygienartikel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AU2011207572A1 (en) * 2010-01-20 2012-07-05 Kci Licensing, Inc. Foam wound inserts with regions of higher and lower densities, wound dressings, and methods
DE102011018985A1 (de) 2011-04-28 2012-10-31 Evonik Industries Ag Elastischer, absorbierender Hygieneartikel für die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en
DE102011106046A1 (de) * 2011-06-30 2013-01-03 Paul Hartmann Ag Wundversorgungsprodukt
US9775750B2 (en) 2011-12-09 2017-10-03 Sca Hygiene Products Ab Signal layer for an absorbent article
JP6153291B2 (ja) * 2012-04-13 2017-06-2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6271186B2 (ja) * 2012-11-08 2018-01-31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72808B2 (ja) * 2013-11-29 2017-08-02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
EP3215084B1 (en) 2014-11-06 2022-01-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e-strained laminate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BR112018072036B1 (pt) 2016-05-03 2023-03-14 Essity Hygiene And Health Aktiebolag Artigo absorvente 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um artigo absorvente
EP4335420A3 (en) 2017-02-16 2024-05-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with substrates having repeating patterns of apertures comprising a plurality of repeat units
CN108114307A (zh) * 2018-02-07 2018-06-05 苏州元禾医疗器械有限公司 高生物相容性的医用敷料的制备方法
DE202018005136U1 (de) 2018-11-07 2019-02-06 Chris Schöne Tropfenfang-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H23760A (en) * 1985-05-15 1989-11-03 Procter & Gam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PH26954A (en) * 1985-05-15 1992-12-03 Procter & Gamble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DE3910563A1 (de) * 1989-04-01 1990-10-04 Cassella Ag Hydrophile, quellfaehige pfropfcopolymeris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JP2790875B2 (ja) * 1989-10-25 1998-08-27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の表面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522811A (en) * 1992-11-30 1996-06-04 Uni-Charm Corporation Topsheet for use in disposable body fluid absorptive goods
JPH06280150A (ja) * 1993-03-29 1994-10-04 Mitsui Petrochem Ind Ltd 穿孔積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215262B2 (ja) * 1994-06-03 2001-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の体液吸収性物品
DE19512005A1 (de) * 1995-03-31 1995-08-31 Wirkelastic Gmbh Wundkompres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915512T2 (de) 2005-03-03
PL348823A1 (en) 2002-06-17
PL195669B1 (pl) 2007-10-31
EP1140228B1 (en) 2004-03-10
SE9804360D0 (sv) 1998-12-16
TW524682B (en) 2003-03-21
SE513375C2 (sv) 2000-09-04
SE9804360L (sv) 2000-06-17
AU3091200A (en) 2000-07-03
CA2352806A1 (en) 2000-06-22
RU2232605C2 (ru) 2004-07-20
CO5070671A1 (es) 2001-08-28
BR9916290A (pt) 2001-10-16
ES2217869T3 (es) 2004-11-01
CA2352806C (en) 2008-08-19
DE69915512D1 (de) 2004-04-15
WO2000035503A1 (en) 2000-06-22
KR20010101177A (ko) 2001-11-14
JP4489300B2 (ja) 2010-06-23
MY121797A (en) 2006-02-28
DK1140228T3 (da) 2004-07-19
JP2002532277A (ja) 2002-10-02
ATE261318T1 (de) 2004-03-15
AU760134B2 (en) 2003-05-08
EP1140228A1 (en) 200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5005B1 (ko) 액체 투과성 상부시트 및 액체 투과성 액체전이시트를포함하는 재료 라미네이트를 갖는 흡수물품
RU2230576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CA2441038C (en) Absorbent article having hydrophobic leak protection zones
KR940000805B1 (ko) 1회용 이중층 흡수심 및 이를 포함하는 1회용 흡수용품
US20030093045A1 (en) Absorbing article having zoned areas of hydrophilicity
EP1116479A2 (en) Absorbent incontinence pads
RU2234947C2 (ru) Абсорбирующая структура в абсорбирующем изделии, содержащая частично нейтрализованный сверхабсорбирующий материал, и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которое содержит эту абсорбирующую структуру
TWI571247B (zh) Absorbent items
US6323387B1 (en) Disposable body fluids absorbent article
KR20080046414A (ko) 이중 흡수 생리대
RU2345748C2 (ru) Абсорбентное изделие, включающее в себя абсорбентную структуру
MXPA01005876A (en) An absorbent article having a material laminate that comprises a liquid permeable top sheet and a liquid permeable liquid transfer sheet
KR100510218B1 (ko) 흡수체
JP2022131164A (ja) 吸収性物品
AU636796B2 (en) Absorbent article having an absorbent with a variable density in the z direction and a method of forming said article
JP2001340369A (ja) 失禁ライナー
JP2021019785A (ja) 吸収性物品
CN111743695A (zh) 一种含酶复合芯体及其制备方法
MXPA00002050A (en)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having a dilatant behaviou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