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908B1 -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908B1
KR100623908B1 KR1020040046853A KR20040046853A KR100623908B1 KR 100623908 B1 KR100623908 B1 KR 100623908B1 KR 1020040046853 A KR1020040046853 A KR 1020040046853A KR 20040046853 A KR20040046853 A KR 20040046853A KR 100623908 B1 KR100623908 B1 KR 1006239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inuous casting
carbon steel
mold flux
slag
sla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68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21781A (ko
Inventor
김광성
김관춘
유병열
Original Assignee
스톨베르그 앤드 삼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톨베르그 앤드 삼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톨베르그 앤드 삼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468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908B1/ko
Priority to JP2005025254A priority patent/JP2006007316A/ja
Priority to CNB2005100653827A priority patent/CN1321764C/zh
Publication of KR200501217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217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03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 C04B35/04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magnesium oxide, calcium oxide or oxide mixtures derived from dolomite based on magnes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5/0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 C04B35/01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 C04B35/10Shaped ceramic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Ceramics compositions; Processing powders of inorganic compounds preparatory to the manufacturing of ceramic products based on oxide ceramics based on aluminium oxid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3/00Making ferrous alloys
    • C22C33/02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 C22C33/0257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characterised by the range of the alloying elements
    • C22C33/0264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characterised by the range of the alloying elements the maximum content of each alloying element not exceeding 5%
    • C22C33/0271Making ferrous alloys by powder metallurgy characterised by the range of the alloying elements the maximum content of each alloying element not exceeding 5% with only C, Mn, Si, P, S, As as alloying elements, e.g. carbon ste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4Very low carbon steels, i.e. having a carbon content of less than 0,0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 Continuous C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에서는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슬래그계(Slag System)로서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를 연속주조 조건에 적합하도록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여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제조한다. 이에 의해 균일한 용융 특성과 유동성 및 점도의 개선 또는 향상이 달성되어 연속 주조 공정에서의 원활한 작업성로 인해 조업 안정과 표면 품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FLUORINE-FREE MOLD FLUX FOR THE CONTINUOUS CASTING OF STE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분말형 제품 제조 공정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중공 과립형 제품 제조 공정 개략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분말형 제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중공 과립형 제품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분말 혼합기 2 : 포장기 호퍼
3 : 스크류 블런저 4 : 과립 건조기
본 발명은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에 관한 것이다. 흔히 상용되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는 일반적으로 불소 성분을 0.5% ~ 15% 함유하고 있으며 주조된 주편의 표면에는 스케일(Scale, 산화철)과 함께 몰드 플럭스 슬래그(Slag, 鎔滓)가 잔류되며 이 잔류물 중의 불소 성분은 일부 휘발하나 대부분이 잔존한다. 더욱이 주편 응고 및 냉각을 위해 주편에 직접 살수되는 냉각수에 불소 성분이 용출되어 폐수의 불소 농도가 증가되어 수처리 설비에서 별도의 불소 처리를 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용되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와 달리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신개념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통상, 몰드 플럭스란 강의 연속 주조 공정에서 주형 내 첨가제로 사용하는 중요한 소모성 부자재로서, 이를 주형내 용강 위에 투입하면 용강의 열을 받아 미용융층, 소결층, 용융 슬래그층의 3개 층을 나타내는데, 이러한 몰드 플럭스의 주된 기능은 탄소 함량과 밀접하게 관계하여 용강의 응고를 방지하는 보온 기능, 대기와의 접촉을 차단함으로써 대기에 의한 용강의 재산화를 방지하는 기능, 용강 표면으로부터 부상되는 개재물을 흡수하는 기능, 응고 셀과 주형간의 윤활 기능 및, 응고 셀과 주형 간의 열전달 매체의 기능을 수행한다. 특히, 몰드 플럭스는 용강과 접촉하여 액상 슬래그(Slag)로 변화되면서 주형과 응고 셀 사이에 유입되어 윤활 작용을 함으로써 연속 주조 공정의 조업 안정과 주편 표면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일반적으로, 몰드 플럭스는 SiO2, CaO, MgO, Al2O3, Na2O, Fe2O3, F, C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여러 화합물의 혼합 물질이다. 강의 연속주조 조건 즉, 강종 및 주조속도에 따라 몰드 플럭스의 화학 및 물리적 성질(용융점, 점도, 결정질율, 응고 온도 등)은 적절하게 조절되어야 한다. 강종의 구분은 대개 강 중의 탄소 함량에 따라 구분하며 극저탄소강(0.08wt%C 미만), 저탄소강(0.08 ~ 0.15 또는 0.18wt%C), 중·고탄소강(0.16 또는 0.19 ~ 0.7wt%C), 고탄소강(0.7wt%C 이상)으로 나누며 주조속도는 약 1.2 ~ 1.5m/min을 기준으로하여 낮은 쪽이 저속, 높은 쪽이 고속으로 구분된다. 따라서, 강종에 따라 요구되는 몰드 플럭스의 화학 및 물리적 성질은 저탄소강일수록 몰드플럭스의 결정화 경향이 크며 고탄소강에 비해 염기도, 용융점 및 점도가 높다. 또한 저속용 보다는 고속용 몰드 플럭스의 점도가 낮다.
또한 몰드 플럭스 중의 각종 산화물 종류에 따른 몰드 플럭스의 화학 및 물리적 성질 변화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몰드 플럭스의 점도는 SiO2와 Al2O3 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CaO, MgO, Na2O, Fe2O3, F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응고온도는 CaO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SiO2, Al2O3, MgO, Na2O, Fe2O3, F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또한 결정화 경향은 CaO, MgO, Na2O, F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나, SiO2, Al2O3 의 증가에 따라 감소한다.
종래에 상용되는 몰드 플럭스는 불소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것은 형석(Fluospar, CaF2), 불화 나트륨(Sodium Fluorite, NaF), 빙정석(Cryolite, Na3AlF6), 규소불화소다(Sodium Silicofluoride, Na2SiF6), 불소 성분을 포함하는 전융 원료(Premelted Material) 등의 형태로 포함된다. 또한 불소 성분은 점도를 낮추며, 응고온도를 낮추며, 결정화 경향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원 발명에서 주목할 부분은 불소 성분의 역할 및 기능을 대신할 수 있는 슬래그계를 확보하는데 있다. 즉,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를 상기의 연속주조 조건(강종, 주조속도 등)에 적합하도록 다른 산화물(SiO2, CaO, MgO, Al2O3 등)과 단독 또는 조합적으로 사용하여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제조함으로써 균일한 용융 특성과 유동성 및 개선 또는 향상된 점도를 얻음으로써 연속 주조 공정에서의 원활한 작업성으로 인해 조업 안정과 표면 품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편 응고 및 냉각을 위해 주편에 직접 살수되는 냉각수에 불소 성분의 용출을 방지하여 폐수의 불소 농도를 제로(Zero)화 함으로써 수처리 설비에서 별도의 불소 처리를 할 필요가 없는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및 고탄소강의 저속 및 고속 연속주조에 적합한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를 상기의 연속주조 조건에 적합하도록 다른 산화물(SiO2, CaO, MgO, Al2O3 등)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여 균일한 용융 특성과 유동성 및 개선또는 향상된 점도를 얻음으로써 연속 주조 공정에서의 작업성을 개선하여 조업 안정과 표면 품질의 향상에 기여하는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아래와 같은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를 상기의 연속주조 조건에 적합하도록 다른 산화물(SiO2, CaO, MgO, Al2O3 등)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하였다.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는, 전융 붕소 슬래그 조성물[특허출원 2003-14770호 참조, CaO-SiO2-B2O3-Na2O-Al2O3 슬래그계], 프리트(Frit, SiO2-CaO-B2O3 슬래그계), 회붕석(특허 제0079378호 참조, CaO-SiO2-B2O3-Al2 O3-MgO 슬래그계), 무수보락스(Borax Anhydrate, Na2B4O7)를 사용하나, 바람직하게는 전융 붕소 슬래그 조성물 및 프리트를 사용하는 것이 몰드 플럭스의 결정수분 함량을 줄여 수분에 기인하는 수소성 브레이크 아웃(Break Out, 용강유출 사고)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는, 리튬 카보네이트(Lithium Carbonate, Li2CO3), 리티아 휘석(Spodumene, SiO2-Al2O3-Li2O 계) 및 상기의 전융 붕소 슬래그 조성물(CaO-SiO2-B2O3-Na2O-Al2O3 슬래그계), 합성소다칼슘실리케이트 조성물[특허출원 2002-3978호 참조, CaO-SiO2-Na2O-Al2O3 슬래그계], 소다회(Sodium carbonate, Na2CO3), 소디움 칼슘 실리케이트(Sodium Calcium Silicate, CaO-SiO2-Na2O 슬래그계), 전융망간슬래그 조성물(특허출원 2002-59050호 참조, MnO2-SiO2-CaO-Al2O3 슬래그계)를 사용하였다.
상기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는 상기의 연속주조 조건에 적합하도록 다른 산화물(SiO2, CaO, MgO, Al2O3 등)과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각각 표1, 표2와 같은 조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 분 전융붕소슬래그 조성물 프리트 무수보락스 회붕석
화학성분 (wt%) SiO2 31.5 (20~50) 33.8 (25~45) - 21(8~35)
CaO 32.5 (20~50) 33.3 (25~45) - 39 (30~50)
Al2O3 2.3 (1~10) - - 2 (0.01~8)
Na2O 8.6 (1~15) - 29.3 (27.3~31.3) -
MgO - - - 1.7 (0.01~5)
B2O3 20.0 (5~35) 28.0 (5~50) 66.0 (64~68) 31.5 (20~50)
리튬 카보네이트 리티아 휘석 합성소다칼슘실리케이트 소다회 소디움 칼슘 실리케이트 전융 망간 슬래그 조성물
화학 성분 (wt%) SiO2 - 63.0 (60~66) 45.3 (40~48) - 41 (39~43) 25 (21~29)
CaO - - 43.2 (40~48) - 25 (23~27) 22 (19~27)
Al2O3 - 26.0 (23~29) 2.1 (1~5) - 2 (1~5) 14 (11~19)
Na2O - - 6.9 (2~10) 56.0 (53~59) 30 (28~32) -
Li2O 39.6 (37~43) 7.0 (5~9) - - - -
MnO2 - - - - - 32 (28~36)
CO2 58.6 (55~62) - - 40.7 (37~43) - -
표1, 2는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를 위한 원료의 화학조성이며 괄호 안의 숫자는 바람직한 화학조성의 범위를 나타낸다(단위는 중량%).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분말형 제품 제조 공정 개략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분말 혼합기(1)에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의 원료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기타 원료와 함께 혼합한 후 포장기 호퍼(2)로 이송하여 혼합된 몰드 플럭스를 포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중공 과립형 제품 제조 공정 개략도로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크류 블런저(3) 탱크의 공업용수에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의 원료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기타 원료와 함께 투입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여 과립 건조기(4)에서 분사하여 냉각한 후 중공 과립형 몰드 플럭스를 포장한다.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분말 및 중공 과립형 제품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로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의 원료를 사용하여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제조하여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슬라브(Slab)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및 고탄소강 연속 주조 공정에 적용하였다. 연속 주조 공정에 적용한 결과 브레이크 아 웃 발생이 없었으며, 주편 품질 역시 향상되었다.
<실시예>
(1)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제조
실시예 2는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전융 붕소 슬래그 조성물을 50%, 소다회를 7.5%로 하여 기타 원료와 함께 혼합하였으며, 실시예 3은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합성소다칼슘실리케이트를 45%, 전융 붕소 슬래그 조성물을 15%, 소다회를 11%, 리티아 휘석을 2%, 리튬 카보네이트를 5%로 하여 기타 원료와 함께 혼합하여 도 2의 과립 제품 공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나머지 실시예 1, 4 ~ 14 역시 상기의 실시예 2, 3과 같이 정해진 화학성분 규격에 따라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 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의 원료를 단독 또는 조합하여 기타 원료와 함께 혼합하여 도 2의 과립 제품 공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를 표 3, 4, 5, 6과 같이 제조하여 포스코 광양제철소의 슬라브(Slab)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및 고탄소강 연속 주조 공정에 적용하였다. 연속 주조 공정에 적용한 결과 브레이크 아웃 발생이 없었으며, 연속 주조 조업 안정 및 주편 품질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구 분 극저탄소강 저속용 극저탄소강 고속용
기존품 실시예1 실시예2 기존품 실시예3 실시예4
화학성분 (wt%) 염기도 0.95 1.05 1.30 1.10 0.95 1.30
SiO2 36.5 35.2 28.2 36.3 24.0 27.4
CaO 34.6 37.0 36.6 39.8 22.9 35.6
MgO 5.0 5.5 3.3 0.8 7.6 5.1
Al2O3 6.5 7.5 4.9 6.0 8.8 5.0
MnO2 - - 0.1 - 0.1 -
Na2O 3.9 11.8 7.8 3.4 12.5 7.8
F 7.0 - - 6.7 - -
B2O3 1.0 7.5 9.2 - 7.0 9.2
Li2O - 2.0 - 0.4 1.9 -
C-free 1.24 1.4 1.6 2.1 1.5 1.6
용융점(℃) 1238 982 1128 1152 950 1094
점도(poise, at 1300℃) 3.57 1.72 3.41 1.32 1.63 2.58
구 분 저탄소강 저속용 저탄소강 고속용
기존품 실시예5 실시예6 기존품 실시예7 실시예8
화학성분 (wt%) 염기도 0.96 0.94 1.25 1.10 0.89 1.04
SiO2 33.9 30.8 28.5 31.0 25.2 24.6
CaO 32.6 29.0 35.6 34.2 22.3 25.6
MgO 3.8 2.4 3.0 8.1 5.5 9.7
Al2O3 3.8 3.1 2.8 3.0 2.9 3.1
MnO2 0.1 0.1 - 0.1 0.1 2.11
Na2O 7.1 12.1 11.0 6.6 14.7 11.32
F 7.1 - - 8.5 - -
B2O3 - 10.0 12.0 - 13.6 8.1
Li2O - 1.0 - 0.8 2.8 1.9
C-free 6.0 2.0 2.5 3.6 2.0 2.4
용융점(℃) 1143 902 925 1120 823 931
점도(poise, at 1300℃) 1.56 2.05 1.95 0.83 1.5 1.04
구 분 중·고탄소강용
기존품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화학성분 (wt%) 염기도 1.22 1.22 1.40 1.27 1.50
SiO2 30.3 27.9 29.0 25.3 28.0
CaO 36.8 34.0 40.6 31.9 42.0
MgO 0.7 1.8 2.0 11.5 3.0
Al2O3 3.5 1.9 3.0 1.4 3.0
MnO2 0.1 0.1 0.1 0.1 0.1
Na2O 5.0 8.7 12.0 4.6 10.0
F 7.0 - - - -
B2O3 - 8.8 7.0 9.5 6.5
Li2O - 1.0 2.0 1.6 3.0
C-free 6.5 2.0 2.5 2.5 2.0
용융점(℃) 1127 971 1059 1043 1012
점도(poise, at 1300℃) 0.92 2.0 1.3 0.9 1.0
구 분 고탄소강용
기존품 실시예13 실시예14
화학성분 (wt%) 염기도 1.05 1.10 1.60
SiO2 26.6 25.4 25.8
CaO 28.0 28.0 41.2
MgO 8.8 3.0 4.5
Al2O3 2.3 2.5 3.0
MnO2 - - -
Na2O 9.7 14.0 12.3
F 9.9 - -
B2O3 6.0 8.1 7.2
Li2O 3.0 3.5 4.5
C-free 1.8 1.6 1.3
용융점(℃) 813 980 951
점도(poise, at 1300℃) 0.29 0.5 0.43
표 3은 극저탄소강 저속 및 고속용, 표 4는 저탄소강 저속 및 고속용, 표 5는 중·고탄소강용, 표 6은 고탄소강용으로 사용되는 불소 성분을 함유한 기존의 몰드 플럭스와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의 화학 및 물리적 특성을 나타낸 표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친환경적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에 의하면 불소 성분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는 B2O3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Li 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Na2O를 함유하는 슬래그계 및 MnO2를 함유하는 슬래그계를 연속주조 조건(강종, 주조속도 등)에 적합하도록 단독 또는 조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균일한 용융 특성과 유동성 및 점도가 개선 또는 향상됨으로써 연속 주조 공정에서 원활한 작업성 달성으로 인해 조업 안정과 표면 품질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Claims (7)

  1.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및 고탄소강용 몰드 플럭스로서, A의 조성을 갖고, 물성범위가 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A. (1) 23 ~ 40wt%의 SiO2
    (2) 20 ~ 45wt%의 CaO
    (3) 0.5 ~ 10wt%의 MgO
    (4) 0.5 ~ 10wt%의 Al2O3
    (5) 0.5 ~ 10wt%의 MnO2
    (6) 2 ~ 15wt%의 Na2O
    (7) 5 ~ 15wt%의 B2O3
    (8) 0.5 ~ 10.0wt%의 C
    B. (1) 0.8~2.0의 염기도
    (2) 800 ~ 1200℃의 용융점
    (3) 0.2 ~ 5 poise의 점도
    (4) 0.1 ~ 30%의 결정질율
  2. 극저탄소강, 저탄소강, 중·고탄소강 및 고탄소강용 몰드 플럭스로서, A의 조성을 갖고, 물성 범위가 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A. (1) 23 ~ 40wt%의 SiO2
    (2) 20 ~ 45wt%의 CaO
    (3) 0.5 ~ 10wt%의 MgO
    (4) 0.5 ~ 10wt%의 Al2O3
    (5) 0.5 ~ 10wt%의 MnO2
    (6) 2 ~ 15wt%의 Na2O
    (7) 5 ~ 15wt%의 B2O3
    (8) 1 ~ 10wt%의 Li2O
    (9) 0.5 ~ 10.0wt%의 C
    B. (1) 0.8~2.0 의 염기도
    (2) 800 ~ 1200℃의 용융점
    (3) 0.2 ~ 5 poise의 점도
    (4) 0.1 ~ 30%의 결정질율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B2O3계 원료로 전융 붕소 슬래그 조성물, 프리트, 회붕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B2O3 및 Na2O계 원료로 무수보락스를 포함하고;
    상기 Na2O계 원료로 합성 소다 칼슘 실리케이트, 소다회, 소디움 칼슘 실리케이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MnO2계 원료로 전융 망간 슬래그 조성물을 포함하고;
    상기 Li2O계 원료로 리튬 카보네이트, 리티아 휘석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46853A 2004-06-23 2004-06-23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23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853A KR100623908B1 (ko) 2004-06-23 2004-06-23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5025254A JP2006007316A (ja) 2004-06-23 2005-02-01 フッ素成分を含有しない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フラックス
CNB2005100653827A CN1321764C (zh) 2004-06-23 2005-04-14 不含氟的炼钢连铸用保护渣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6853A KR100623908B1 (ko) 2004-06-23 2004-06-23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21781A KR20050121781A (ko) 2005-12-28
KR100623908B1 true KR100623908B1 (ko) 2006-09-19

Family

ID=3503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6853A KR100623908B1 (ko) 2004-06-23 2004-06-23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6007316A (ko)
KR (1) KR100623908B1 (ko)
CN (1) CN1321764C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59B1 (ko) * 2011-11-15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 Al 함유 TWIP강 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TWIP강의 제조방법
CN104128578A (zh) * 2014-06-18 2014-11-05 武汉钢铁(集团)公司 环保型高铝包晶钢用连铸结晶器保护渣
KR20150113045A (ko) * 2013-01-25 2015-10-07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초저탄소강용 불소 무함유 연속주조 몰드 플럭스
CN110614351A (zh) * 2019-10-30 2019-12-27 江苏理工学院 一种不锈钢用连铸保护渣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021B1 (ko) * 2005-12-29 2007-08-13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CN100563871C (zh) * 2006-12-22 2009-12-02 重庆大学 一种裂纹敏感性钢连铸用结晶器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00467164C (zh) * 2007-05-15 2009-03-11 武汉钢铁(集团)公司 一种防止连铸包晶钢结晶器液面波动的方法
JP5336058B2 (ja) * 2007-08-22 2013-11-0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モールドフラックスを用いた鋼の連続鋳造方法
CN101254526B (zh) * 2008-02-22 2010-06-23 马鞍山钢铁股份有限公司 异型坯铸机连铸耐候钢的结晶器保护渣
CN101733377B (zh) * 2010-01-20 2012-05-23 广州珠江钢铁有限责任公司 一种中高碳碳素钢及合金钢的连铸保护渣
CN101773996B (zh) * 2010-01-21 2012-05-30 山西太钢不锈钢股份有限公司 一种无间隙原子钢用连铸结晶器保护渣
CN101947644B (zh) * 2010-08-28 2012-05-23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高锰高氮低镍不锈钢板坯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02009146B (zh) * 2010-12-08 2013-09-11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700~800mm圆坯中碳钢连铸保护渣
KR101331320B1 (ko) * 2011-12-23 2013-11-20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 몰드 플럭스를 이용한 고속 주조 방법
CN102554160A (zh) * 2011-12-31 2012-07-11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圆坯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生产方法
CN103317111B (zh) * 2012-03-22 2016-06-2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低碳钢用无氟连铸保护渣
CN102652990B (zh) * 2012-05-18 2014-04-09 江苏大学 一种中碳亚包晶钢连铸结晶器用保护渣
CN102794420B (zh) * 2012-08-08 2014-02-12 江苏大学 一种高速连铸结晶器用无氟保护渣
CN103008590A (zh) * 2012-12-08 2013-04-03 内蒙古包钢钢联股份有限公司 一种中碳锰钢用连铸结晶器保护渣
CN104511581B (zh) * 2013-09-30 2018-07-27 上海梅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冷轧镀锡钢板用钢水熔剂
CN104772441A (zh) * 2014-01-10 2015-07-15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高碳高合金钢用连铸保护渣
CN103769556A (zh) * 2014-01-22 2014-05-07 红安县生伦冶金矿产科技实业有限公司 一种膨胀保温剂
CN103817301B (zh) * 2014-02-27 2016-01-27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用于超低碳钢的连铸结晶器保护渣
CN103785808B (zh) * 2014-02-27 2016-01-27 西峡龙成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奥氏体抗菌不锈钢用结晶器保护渣
CN105344956B (zh) * 2015-12-18 2018-08-10 河南省西保冶材集团有限公司 硫系易切削用钢专用连铸结晶器功能保护材料
CN108746533B (zh) * 2018-05-08 2020-07-10 北京科技大学 一种脉冲电流控制连铸结晶器保护渣结晶度的方法
CN110538973B (zh) * 2018-05-29 2021-09-17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轻量无氟环保的搪瓷钢专用连铸保护渣
CN112391541A (zh) * 2019-08-14 2021-02-23 山特维克材料技术公司 模制保护渣和制造镍基合金的方法
CN111774542A (zh) * 2020-04-23 2020-10-16 华北理工大学 中碳钢用超高拉速薄板坯连铸保护渣
CN111390129A (zh) * 2020-04-24 2020-07-10 芜湖新兴铸管有限责任公司 用于psb830钢铸坯的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11496201A (zh) * 2020-05-26 2020-08-07 武汉钢铁有限公司 连铸结晶器铜板防粘涂料及具有其的连铸结晶器
CN113751681B (zh) * 2021-09-14 2023-06-16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适用于高钛钢的连铸保护渣
CN113828743A (zh) * 2021-09-26 2021-12-24 青岛馨匀冶金材料有限公司 一种含磷渣的高氧化钠预熔熔精炼渣及其生产方法
CN114713782B (zh) * 2022-05-10 2024-04-02 江苏嘉耐高温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稀土不锈钢用预熔型结晶器保护渣及制备方法
CN115074623B (zh) * 2022-06-16 2023-08-25 唐山钢铁集团高强汽车板有限公司 一种耐氢致开裂的镀锌热冲压用钢及其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86A (ko) * 1996-11-01 1998-08-05 김종진 중탄소 고망간강용 몰드 플럭스
JPH10263767A (ja) 1997-03-21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極低炭素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KR20020024064A (ko) * 2002-01-23 2002-03-29 강 석 호, 보도시라 몰드 플럭스 제조용 합성 소다 칼슘 실리케이트 조성물 및몰드 플럭스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86423A (ko) * 1973-12-03 1975-07-11
JPS5629733B2 (ko) * 1974-11-28 1981-07-10
JPS5193728A (ko) * 1975-02-14 1976-08-17
JP3015136B2 (ja) * 1991-04-11 2000-03-06 川崎製鉄株式会社 極低炭素鋼連続鋳造用モールドフラックス
JP3081339B2 (ja) * 1992-01-31 2000-08-28 品川白煉瓦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用鋳型添加剤
JP3105150B2 (ja) * 1995-03-30 2000-10-30 日本鋼管株式会社 中炭素鋼鋳片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および中炭素鋼鋳片の連続鋳造方法
JP3348828B2 (ja) * 1998-03-03 2002-11-20 川崎製鉄株式会社 クロム酸化物含有スラグの改質方法
JP4134389B2 (ja) * 1998-07-31 2008-08-20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還元スラグの粉化を防止する方法
JP2000143306A (ja) * 1998-09-04 2000-05-23 Nkk Corp 高炉スラグの処理方法
JP2000158106A (ja) * 1998-11-30 2000-06-13 Shinagawa Refract Co Ltd 鋼の連続鋳造方法
JP4727773B2 (ja) * 1998-12-07 2011-07-20 品川リフラクトリーズ株式会社 合成ケイ酸カルシウムを使用した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JP3452520B2 (ja) * 2000-01-28 2003-09-2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CN1131118C (zh) * 2000-04-30 2003-12-17 钢铁研究总院 一种超低碳钢连铸用保护渣
JP3610885B2 (ja) * 2000-06-07 2005-01-19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モールドパウダおよび連続鋳造方法
JP3523173B2 (ja) * 2000-09-20 2004-04-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連続鋳造用モ−ルドパウダ−
CN1151901C (zh) * 2001-02-23 2004-06-02 上海宝谊保温材料有限公司 一种碱性颗粒钢包覆盖剂
JP2002249812A (ja) * 2001-02-26 2002-09-06 Kawasaki Steel Corp 乾式製錬炉の操業方法
JP4276419B2 (ja) * 2002-10-31 2009-06-1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用パウダー
CN1233489C (zh) * 2003-04-30 2005-12-28 重庆大学 含钛高炉渣的无氟连铸保护渣及其制造工艺
RU2245756C1 (ru) * 2003-09-09 2005-02-10 ОАО Челябинский металлургический комбинат "МЕЧЕЛ" Шлакообразующая смесь для разливки стали
CN1281360C (zh) * 2003-10-10 2006-10-25 西峡龙成冶材集团有限公司 超薄板坯专用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生产工艺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3786A (ko) * 1996-11-01 1998-08-05 김종진 중탄소 고망간강용 몰드 플럭스
JPH10263767A (ja) 1997-03-21 1998-10-06 Kawasaki Steel Corp 極低炭素鋼の連続鋳造方法及び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KR20020024064A (ko) * 2002-01-23 2002-03-29 강 석 호, 보도시라 몰드 플럭스 제조용 합성 소다 칼슘 실리케이트 조성물 및몰드 플럭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959B1 (ko) * 2011-11-15 2014-03-10 주식회사 포스코 고 Al 함유 TWIP강 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를 이용한 TWIP강의 제조방법
KR20150113045A (ko) * 2013-01-25 2015-10-07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초저탄소강용 불소 무함유 연속주조 몰드 플럭스
KR102231188B1 (ko) * 2013-01-25 2021-03-23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초저탄소강용 불소 무함유 연속주조 몰드 플럭스
CN104128578A (zh) * 2014-06-18 2014-11-05 武汉钢铁(集团)公司 环保型高铝包晶钢用连铸结晶器保护渣
CN104128578B (zh) * 2014-06-18 2016-06-29 武汉钢铁(集团)公司 环保型高铝包晶钢用连铸结晶器保护渣
CN110614351A (zh) * 2019-10-30 2019-12-27 江苏理工学院 一种不锈钢用连铸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10614351B (zh) * 2019-10-30 2021-05-18 江苏理工学院 一种不锈钢用连铸保护渣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66829A (zh) 2005-09-14
JP2006007316A (ja) 2006-01-12
CN1321764C (zh) 2007-06-20
KR20050121781A (ko) 200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3908B1 (ko) 불소 성분을 함유하지 않는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 플럭스 및 이의 제조 방법
US10092948B2 (en) Fluoride-free continuous casting mold flux for low-carbon steel
AU764954B2 (en) Molding powder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and method for continuous casting of steel
CN101406939B (zh) 一种高钠低氟连铸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01885043B (zh) 一种高拉速结晶器保护渣
US9550229B2 (en) Fluoride-free continuous casting mold flux for ultralow-carbon steel
CN101637809B (zh) 圆坯低碳焊条钢连铸保护材料
CN104772441A (zh) 高碳高合金钢用连铸保护渣
US11945027B2 (en) Mold powder
CN105328151A (zh) 一种连铸结晶器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03551537A (zh) 汽车板连铸用超低碳钢、低碳钢结晶器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04128578B (zh) 环保型高铝包晶钢用连铸结晶器保护渣
CN104607607A (zh) 一种含锆中碳钢连铸用无氟保护渣
CN105436446A (zh) 一种用于高锰高铝钢的连铸保护渣及其制备方法
CN104511580B (zh) 一种低碳钢用钢水熔剂
JP3142216B2 (ja) 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
KR100252483B1 (ko) 강의 연속주조용 몰드파우더
JP2000051998A (ja) 鉛含有鋼の連続鋳造方法
JP3717049B2 (ja) 鋼の連続鋳造用モールドパウダー及び鋼の連続鋳造方法
CN103785802A (zh) 宽厚板船板钢专用连铸结晶器功能保护材料
CN110560649B (zh) 一种新型高铝钢保护渣及其应用
CN115870465A (zh) 一种重型异形坯用连铸结晶器保护渣
JPS5910862B2 (ja) 連続鋳造用鋳型添加剤
JPS6330101B2 (ko)
JPS6012146B2 (ja) 連続鋳造用添加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