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331B1 -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31B1
KR100623331B1 KR1020050044431A KR20050044431A KR100623331B1 KR 100623331 B1 KR100623331 B1 KR 100623331B1 KR 1020050044431 A KR1020050044431 A KR 1020050044431A KR 20050044431 A KR20050044431 A KR 20050044431A KR 100623331 B1 KR100623331 B1 KR 100623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adjust
pivot
lower housing
output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원
최진기
김창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Priority to KR10200500444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01Upper door structure
    • B60J5/0404Outside rear view mirror suppor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angles or tapers; for testing the alignment of ax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outside the vehic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볼트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를 위치시켜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함으로써 고정축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위치 재생시 위치보정회수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위치 제어시간도 줄일 수 있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와 웜기어와 웜휠과 어저스트 볼트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어저스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장치와,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동작 피봇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위면에는 미러가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와, 상기한 글래스홀더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볼트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를 위치시켜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미러, 글래스홀더 플레이트, 하우징, 댐퍼, 어저스트 가이드, 동작 피봇

Description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for power-actuated exterior mirror}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2의 (a), (b)는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위치 검출장치의 분해 구성도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평면 구조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구조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하부 하우징에 위치 검출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의 (a), (b)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 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50 : 하부 하우징 20, 60 : 위치 검출장치
30, 70 : 상부 하우징 40, 80 : 글래스홀더 플레이트
90 : 댐퍼
이 발명은 자동차용 아웃사이드미러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세부적으로 말하자면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볼트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를 위치시켜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함으로써 고정축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위치 재생시 위치보정회수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위치 제어시간도 줄일 수 있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운전자의 시계를 확보하기 위하여 아웃사이드미러(outside mirror)가 필수적으로 설치된다. 일반적으로 상기한 아웃사이드미러의 각도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근래에는 운전자의 편의를 위하여 운전석의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스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차안에서 미러의 각도를 조 절할 수 있는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보급이 확산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에는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구동을 위한 장치가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1-27247호(출원일자: 2001년 9월 6일)의 "자동차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는 가이드 홀더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고,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에 고정결합이 아닌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1-55139호(출원일자: 2001년 9월 7일)의 "차량용 전동미러의 위치 검출장치"에는 가이드 홀더를 이용하여 조정 가이드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면서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한 조정 가이드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에 접촉 결합되도록 하여 진동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여 내진동력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4-29588호(출원일자: 2004년 10월 20일)의 "자동차용 전동미러 장치의 탈착식 위치 검출장치"에는 차량 주행중에 발생하는 탈착식 위치 검출장치의 진동을 저감시켜 안정적인 메모리 성능을 기대하기 위하여 고정핀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지지부와 안착부와 고정편 및 결합편을 형성하였으며, 또한 가이드 홀더를 탈착식 위치 검출장치의 하부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메모리 가이드의 좌우 유동이 방지되어 원활한 상하이동이 가능한 기술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시되어 있다.
위에서 언급한 "자동차용 전동미러 장치의 탈착식 위치 검출장치"에서 개시 되어 있는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터(11A, 11B)와 웜기어(12A, 12B)와 웜휠(13A, 13B)과 어저스트 볼트(14A, 14B)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0)의 일측에 장착되며 어저스트 가이드(21A, 21B)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장치(20)와, 상기 하부 하우징(10)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30)과, 상기 상부 하우징(30)의 동작 피봇(32)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위면에는 미러(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부 하우징(10)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11A, 11B)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11A, 11B)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면, 모터(11A, 11B)의 회전동력이 웜기어(12A, 12B)를 통해 웜휠(13A, 13B)로 전달됨으로써 웜휠(13A, 13B)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한 웜휠(13A, 13B)의 회전방향에 따라 어저스트 볼트(14A, 14B)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어저스트 볼트(14A, 14B)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은 상부 하우징(30)의 통공부(31A, 31B)를 통하여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40)로 전해져서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40)가 동작 피봇(32)을 중심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40)의 X축 및 Y축 경사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 경우에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40)의 유동은 위치 검출장치(20)의 어저스 트 가이드(21A, 21B)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40)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는 미러(도시되지 않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는 동작피봇과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서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축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하고 심하게 변동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고정축의 출력전압의 변동은 기억된 위치를 재생하는 경우에 미러의 상하작동시 미러의 좌우작동의 위치 변화율이 커서 위치보정을 여러번 에 걸쳐서 수행해야 하고, 이에따라 위치 제어시간이 상대적으로 오래 걸리게 되어 이와 같은 아웃사이드미러가 장착된 자동차의 운전자들의 불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볼트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를 위치시켜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함으로써 고정축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위치 재생시 위치보정회수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위치 제어시간도 줄일 수 있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이 발명의 구성은, 모터와 웜기어와 웜휠과 어저스트 볼트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과, 상기 하부 하우징의 일측에 장착되며 어저스트 가이드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장치와, 상기 하부 하우징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상기 상부 하우징의 동작 피봇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위면에는 미러가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와, 상기한 글래스홀더 플레이트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에 삽입결합되는 댐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볼트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를 위치시켜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는 한쌍이 설치되어 하나는 X축의 변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Y축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위치검출장치는 조립후 스크류를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의 하부에 장착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이 발명의 구성은, 상기한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가이드와 어저스트 볼트의 상단이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하면 바람직하다.
이하,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발명의 목적, 작용, 효과를 포함하여 기타 다른 목적들, 특징점들, 그리고 동작상의 이점들이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참고로,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3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 4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위치 검출장치의 분해 구성도이고, 도 5는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평면 구조도이고,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구조도이고, 도 7은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하부 하우징에 위치 검출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구성은, 모터(51A, 51B)와 웜기어(52A, 52B)와 웜휠(53A, 53B)과 어저스트 볼트(54A, 54B)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50)과,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일측에 장착되며 어 저스트 가이드(61A, 61B)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장치(60)와, 상기 하부 하우징(50)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70)과, 상기 상부 하우징(70)의 동작 피봇(71)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위면에는 미러(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와, 상기한 글래스홀더 플레이트(8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81)에 삽입결합되는 댐퍼(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피봇(71)과 상기한 어저스트 볼트(54A, 54B)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를 각각 위치시켜서 상기 동작피봇(71)과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위치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중 하나는 X축의 변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Y축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위치검출장치(60)는 조립후 스크류(62A, 62B)를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50)의 하부에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동작 피봇(71)과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와 어저스트 볼트(54A, 54B)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이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하부 하우징(50)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51A, 51B)에 각각 전원이 인가되어 모터(51A, 51B)가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면, 모터(51A, 51B)의 회전동력이 웜기어(52A, 52B)를 통해 웜휠(53A, 53B)로 전달됨으로써 웜휠(53A, 53B)을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한 웜휠(53A, 53B)의 회전방향에 따라 어저스트 볼트(54A, 54B)가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상기한 어저스트 볼트(54A, 54B)의 상승 또는 하강 운동은 상부 하우징(70)의 통공을 통하여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로 전해져서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가 동작 피봇(71)을 중심으로 유동하게 됨으로써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의 X축 및 Y축 경사 각도를 조정하게 된다.
이 경우에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의 유동은 위치 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에 의해 검출되어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제어부가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의 윗면에 장착되어 있는 미러(도시되지 않음)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81)에 삽입결합되는 댐퍼(90)는, 하부 하우징(50)의 구형상면을 따라 마찰운동을 함으로써 외부로부터 글래스홀더 플레이트(80)로 전해져 오는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글래스홀더 플레이트(80)의 떨림현상을 감쇠시킨다.
한편, 상기한 위치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는 상기한 동작 피봇(71)과 어저스트 볼트(54A, 54B)와의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있어서, 동작피봇(71)과 위치 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와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되어 있어서, 모터(51A, 51B)의 구동에 의해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가 유동하게 됨에 따라 상기한 한쌍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중 하나는 X축의 변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Y축의 변위를 감지하는 경우에, 도 8에 도시되어 있 는 바와 같이 X축의 전압 출력에 대해서 고정축인 Y축의 전압 출력이 항상 일정하게 유지됨으로써 기억위치 재생시 위치보정회수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위치 제어시간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한 위치검출장치(6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 하우징(50)의 하부에서 장착 및 탈착 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스크류(62B, 62B)를 이용하여 하부하우징(50)에 고정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이 발명은, 동작 피봇과 어저스트 볼트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를 위치시켜서 상기한 동작 피봇과 위치검출장치의 어저스트 가이드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함으로써 고정축의 출력전압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여 기억위치 재생시 위치보정회수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위치 제어시간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4)

  1. 모터(51A, 51B)와 웜기어(52A, 52B)와 웜휠(53A, 53B)과 어저스트 볼트(54A, 54B)가 장착되어 있는 하부 하우징(50);
    상기 하부 하우징(50)의 일측에 장착되며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를 이용하여 미러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장치(60);
    상기 하부 하우징(50)과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70);
    상기 상부 하우징(70)의 동작 피봇(71)에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위면에는 미러가 장착되는 글래스 홀더 플레이트(80); 및
    상기한 글래스홀더 플레이트(8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홀(81)에 삽입결합되는 댐퍼(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피봇(71)과 상기한 어저스트 볼트(54A, 54B)와의 사이에 위치 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를 각각 위치시켜서 상기 동작피봇(71)과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와의 거리를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검출장치(60)의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중 하나는 X축의 변위를 감지하고 다른 하나는 Y축의 변위를 감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위치검출장치(60)는 조립후 스크류(62A, 62B)를 이용하여 하부 하우징(50)의 하부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동작 피봇(71)과 어저스트 가이드(61A, 61B)와 어저스트 볼트(54A, 54B)의 상단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KR1020050044431A 2005-05-26 2005-05-26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KR100623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31A KR100623331B1 (ko) 2005-05-26 2005-05-26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431A KR100623331B1 (ko) 2005-05-26 2005-05-26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331B1 true KR100623331B1 (ko) 2006-09-13

Family

ID=3762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431A KR100623331B1 (ko) 2005-05-26 2005-05-26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96B1 (ko) 2006-12-20 2007-12-21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위치검출장치를 구비한 사이드미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519A (ja) 1996-11-28 1998-06-16 Ichikoh Ind Ltd 車両用後写鏡
JPH11291819A (ja) 1998-04-08 1999-10-26 Ichikoh Ind Ltd ミラー駆動ユニット装置
KR20050007162A (ko) * 2003-07-10 2005-01-17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아우터미러 경동장치
KR20050060207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519A (ja) 1996-11-28 1998-06-16 Ichikoh Ind Ltd 車両用後写鏡
JPH11291819A (ja) 1998-04-08 1999-10-26 Ichikoh Ind Ltd ミラー駆動ユニット装置
KR20050007162A (ko) * 2003-07-10 2005-01-17 이치코 고교가부시키가이샤 아우터미러 경동장치
KR20050060207A (ko) * 2003-12-16 2005-06-22 한국프로큅인터내셔널(주) 차량용 아웃사이더 미러 조립체의 미러조정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696B1 (ko) 2006-12-20 2007-12-21 주식회사 쉐프네커 풍정 위치검출장치를 구비한 사이드미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4245B2 (en) Vehicular seat
KR100899017B1 (ko) 스티어링 장치
JP2019532875A (ja) アクティブ防振装置
JP2009538775A (ja) 閉鎖パネル装置
JP2005145231A (ja) ローリングシート装置
JP5038606B2 (ja) 電動ミラー制御装置
JP2008302921A6 (ja) 車両座席
WO2002017753A1 (fr) Siege de vehicule
GB2259248A (en) Lumbar support apparatus for vehicular seat
KR100623331B1 (ko) 고정축 출력전압 특성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 구동장치
KR100623330B1 (ko) 미러의 떨림을 감쇠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미러 구동장치
KR10147022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0600926B1 (ko) 구동력을 향상시킨 자동차용 전동식 아웃사이드미러의 미러구동장치
KR101549968B1 (ko) 차량의 높이 조절 시트
KR100655410B1 (ko) 차량용 선바이저 각도 조절장치
JP5229680B2 (ja) 電動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2013028298A (ja) 電動チルト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288159B2 (ja) アクチュエータ
JP2588325Y2 (ja) 電動式チルト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520798B1 (ko) 틸팅 판토그래프 구동용 벨트의 장력 조절장치
KR100787696B1 (ko) 위치검출장치를 구비한 사이드미러
KR200242441Y1 (ko) 자동차용 전자식 액셀레이터 장치
KR100456777B1 (ko) 자동차용 틸트식 조향장치
JP2560511Y2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372691Y1 (ko) 자동차용 전동미러 장치의 탈착식 위치 검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