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657B1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657B1
KR100622657B1 KR1020040073667A KR20040073667A KR100622657B1 KR 100622657 B1 KR100622657 B1 KR 100622657B1 KR 1020040073667 A KR1020040073667 A KR 1020040073667A KR 20040073667 A KR20040073667 A KR 20040073667A KR 100622657 B1 KR100622657 B1 KR 100622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writing
cam
shaft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3314A (ko
Inventor
카게야마히데헤이
토리오사무
스즈키토모아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피 켄쿠쇼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피 켄쿠쇼,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지에스피 켄쿠쇼
Publication of KR20060003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3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7/00Ball-point pens
    • B43K7/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2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with 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or similar porous or capillary material
    • B43K8/028Movable closure or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 Pen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이는 필기체를 보유지지하는 축통과,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캡 및, 이 캡을 탈착하도록 노크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를 구비하되, 캡은 회전변환기구를 매개로 조작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회전변환기구는 조작부재의 축방향으로의 1회 노크에 대응하여 캡을 전진시킨 후에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캡을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조작부재의 노크마다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운 상태와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가 전환가능하게 되어 있다.

Description

필기구 {INSTRU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구에서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우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전체 종단면도에서,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전체도에서,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우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전체도에서,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축통의 종단면도이다.
도 5b는 캠본체의 전개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조작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b는 상기 조작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6c-6c선에 따른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조작부재에 있는 노크캠의 선단부의 전개도이다.
도 8a는 도 1에 도시된 기구의 회전캠의 측면도이다.
도 8b는 상기 회전캠의 평면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8c-8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d는 도 8b의 화살표(8D)의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회전변환기구의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에서 캡에 의해 필기체의 선단이 밀봉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11-11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0의 12-1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기구의 캡이 필기체의 선단을 밀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4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캠면이 형성된 축통의 내주면의 전개도이다.
도 15는 제어수단의 다른 예를 구성하는 캠면이 형성된 축통의 내주면의 전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나타낸 후부(後部)의 종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17-17선에 따른 도면이다.
도 18은 제어수단의 다른 예를 나타낸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9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캠면이 형성된 축통의 내통부의 전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구에서 캡이 필기체의 선단을 밀봉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기구에서 캡이 필기체의 선단을 밀봉하 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의 22-22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축통에 보유지지되는 필기 또는 도포매체의 선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캡으로 덮어씌워 보호할 수 있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예컨대 필기구에서는 필기체의 선단부를 보호하기 위해 필기매체의 건조를 방지하거나 주위를 더럽히지 않도록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울 필요가 있고, 이 때문에 캡을 축통의 선단부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캡에서는 캡을 벗겨내기 위해서 양손을 사용해야 하는데, 이 탈착조작이 귀찮고, 벗겨진 캡을 분실할 우려가 있었다.
그러므로, 일본국 특허 제2714780호 공보에서는 캡을 없애고 노크조작으로 선단필기부를 출몰시킬 수 있으며, 잉크의 누출과 건조 및 역류를 방지하는 기구를 구비한 캡이 없는 필기구를 제안하고 있다. 이 특허공보에서는 필기구의 본체내에 필기체의 전부(前部)가 관통할 수 있는 가이드가 전후이동할 수 있음과 더불어 소정 이상의 전진을 규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의 선단에는 내측면이 탄성체로 구성된 밀봉뚜껑이 자유로이 개폐되게 설치되고, 밀봉뚜껑에 줄형상부재가 연결되어서 수납시에 이 줄형상부재가 밀봉뚜껑을 잡아당겨 필기체의 선단을 밀봉 뚜껑의 탄성체에 밀착시키는 한편, 필기체의 전진시에는 줄형상부재의 잡아당김을 느슨하게 하여 밀봉뚜껑의 밀봉상태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공보에 기재된 것에서는 본체내에 밀봉뚜껑을 개폐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필기체를 전진시켜 본체의 선단으로부터 돌출시키기까지의 스트로크 길이가 길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필기 또는 도포매체의 선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호할 수 있고,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운 상태와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간단히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필기체를 보유지지하는 축통과,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캡 및, 이 캡을 탈착하도록 축통에 대하여 노크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를 구비한 기구에서, 캡은 회전변환기구를 매개로 조작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회전변환기구는 조작부재의 축방향으로의 1회 노크에 대응하여 캡을 전진시킨 후에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캡을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조작부재의 노크마다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운 상태와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가 전환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우고 있는 상태로 조작부재를 노크하면, 회전변환기구가 캡을 전진시킨 후에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캡을 후퇴시키기 때문에, 캡은 필기체의 선단부에서 벗겨져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반대로,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키고 있는 상태에서 조작부재를 노크하면, 회전변환기구가 캡을 전진시킨 후에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캡을 후퇴시키기 때문에, 캡은 필기체의 선단부에 부착되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운 상태, 바람직하기로는 기밀하게 덮어씌운 상태로 할 수가 있다. 이렇게 조작부재와 캡 사이에 회전변환기구를 설치함으로써, 캡의 축방향이동과 회전을 확실히 행할 수 있게 하여서,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변환기구는, 조작부재에 연결되어 축통내에 설치된 슬라이드용 축구멍내에서 이 슬라이드용 축구멍에 대해 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노크캠과, 슬라이드용 축구멍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앞쪽에 면하여 축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을 갖춘 캠본체, 캡과 연결되어 슬라이드용 축구멍내에서 이 슬라이드용 축구멍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회전캠 및, 이 회전캠을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체를 구비할 수 있는데, 노크캠은 앞쪽에 면하여 축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을 갖추고 있고, 회전캠은 노크캠 및 캠본체의 캠면에 의해 회전이 유도되어진다.
상기 조작부재의 1회 노크에 대응하여 캡이 180도 회전할 수 있고, 이로써 2회의 노크에 의해 캡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축통의 선단부에는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캡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공동부가 설치되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 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캡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 공동부내에 캡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할 수 있어서 외관이 보기 좋게 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의 본 발명에 따른 기구는 축통에 필기체를 보유지지시킴과 더불어 필기체의 선단부를 축통보다 앞쪽으로 돌출시키며, 축통내에 슬라이드부재를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서, 슬라이드부재의 선단부에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캡을 연결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에다 축통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작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작부를 손가락으로 조작하여 축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슬라이드부재를 매개로 하여 캡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필기체의 선단부를 보호하는 밀봉상태와 필기체의 선단부를 해방시킨 밀봉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캡에 의한 필기체의 밀봉 및 밀봉해제는 캡의 이동에 의해 주로 축통 바깥쪽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필기체의 스트로크를 필요로 하지 않고 축통을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캡에 의해 필기체의 선단부에 밀폐공간을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기밀성을 완전히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기 축통의 선단부 근처에 상기 캡을 수납할 수 있는 공동부를 설치하면 좋다. 밀봉해제상태에서는 캡을 축통에 설치된 공동부에 수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시에 캡이 방해물로 되지 않고, 사용시 기구의 전체 형상을 적절한 것으로 되게 할 수 있다.
슬라이드부재를 축통에 대하여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체를 설치하면 좋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캡은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쳐지기 때문에, 밀봉상태에서 는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확실히 밀봉할 수 있고, 상기 공동부를 설치한 경우에는 밀봉해제상태에서 캡이 공동부내에 확실히 수납될 수 있다.
상기 축통 또는 필기체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슬라이드부재의 축방향 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부재 및 캡을 회전운동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작부를 손가락으로 전진시키는 조작만으로, 제어수단에 의해 캡이 전진하면 전진과 더불어 자동적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다. 제어수단에 의해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와 동일 선상에 있는 위치와 비동일 선상에 있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함으로써, 캡을 밀봉상태와 밀봉해제상태 사이에서 자동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을, 축통에 설치된 캠면과 슬라이드부재에 설치되어 이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걸림볼록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어수단을 간단히 제조할 수 있고, 확실히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축통의 측부에 설치된 사이드노크부재 또는 축통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노크부재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체의 선단부에는 캡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보유지지하기 위해 곡면형상의 외주면을 갖춘 곡면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캡이 밀봉할 때에 다소 편심되어 있다 하더라도 곡면부에 의해 캡이 밀봉성을 보유지지하여 곡면부에 밀접하게 될 수 있고, 캡을 직접 손가락으로 제어하지 않아도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적정하게 덮어씌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 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필기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3과 도 4는 이의 전체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필기구는 필기체인 리필(refill:12)을 보유지지하는 축통(10)과, 이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보호하는 캡(16) 및, 이 캡(16)의 탈착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재(14)를 갖추고 있다.
필기체인 리필(12)은 이 예에서 축통(10)과 별개 부품인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기체와 축통이 일체로 구성되어 필기체를 구성하는 부분이 축통(10)을 구성하는 부분에 실질적으로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축통(1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필기체인 리필(12)은 이 예에서 펠트펜(felt pen)인데, 기구로는 볼펜, 만년필, 아이라이너, 립라이너, 아이섀도우 등의 문구용이나 화장용 등과 같은 기구의 임의의 필기매체 또는 도포매체로 할 수 있고, 필기체는 그 종류에 적합한 선단부(12a)를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필기체가 볼펜인 경우에는 선단부(12a)가 볼을 구비하고, 필기체가 펠트펜인 경우에는 선단부(12a)가 펠트심을 구비하고 있다.
축통(10)은 리필(12)이 수납되는 메인축구멍(10b)을 구비하고 있고, 그 선단개구(10a)에서 리필(12)의 선단부(12a)가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축통(10)은 그 내부에 메인축구멍(10b)과 평행하게 축방향으로 뻗어 있는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슬라이드용 축구멍(10c)내를 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작부재(14)가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재(14)의 선단부는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삽입된 노크캠(14a)으로 되어 있고, 조작부재(14)의 후단부는 축통(10)에서 노출된 노크조작부(14b)로 되어 있다. 노크캠(14a)과 노크조작부(14b)는 별개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노크조작부(14b)는 축통(10)에 대하여 노크가능하게 되어 있고, 이 노크에 의해 노크캠(14a)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노크조작부(14b)는 노크스프링(15)에 의해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쳐짐과 더불어 축통(10)에서 뒤쪽으로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있다.
축통(10)의 선단부에는, 리필(12)의 선단부(12a)가 돌출하는 선단개구(10a)와 나란히 되어 있고서 캡(16)이 출입하는 제2선단개구(10d)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2선단개구(10d)에서 축통(10)내로는 캡(16)의 캡본체(16a)를 수납하는 공동부(10e)가 형성되어 있다.
캡(16)은 그 선단부에 상기 캡본체(16a)를 갖춤과 더불어 캡본체(16a)에서 뒤쪽으로 뻗어 있어 상기 슬라이드용 축구멍(10c)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봉형상부(16b)를 갖추고 있다. 캡본체(16a)는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덮어씌우는 위치와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노출시킨 위치 사이로 이동가능하고, 노출시킨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공동부(10e)내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캡본체(16a)와 봉형상부(16b)는 별개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캡(16)의 봉형상부(16b)의 후단부는, 슬라이드용 축구멍(10c)내를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된 회전캠(17)의 선단부에 형성된 수용구멍(17d)에 삽입되어 있고, 캡(16)은 회전캠(17)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또, 캡(16)의 봉형상부(16b)의 외주면에는 복귀스프링(18)이 둘러싸고 있으며, 이 복귀스프링(18)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내에 고정된 가이드(19)와 회전캠(17)의 선단 사이에 끼워져 있어, 회전캠(17) 및 캡(16)을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치고 있다.
또한, 축통(10)의 후단부에는, 메인축구멍(10b)의 뒤끝을 폐쇄하는 마개(20)가 설치되어 있다. 마개(20)를 적절히 빼낼 수 있게 하여 리필(12)을 메인축구멍(10b)의 뒤끝에서부터 삽입할 수 있게 하여서 리필(12)을 교환할 수 있게 하면 좋다.
상기 캡(16)과 조작부재(14)는 회전캠(17)과,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형성된 캠본체(10f), 노크캠(14a) 및, 탄성체인 복귀스프링(18)으로 구성되는 회전변환기구(22) 또는 회전캠기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다. 이하, 이 회전변환기구(2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의 내주면에는 캠본체(10f)가 형성된다. 이 캠본체(10f)에는 도 5b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180도마다 산형상부(10f1,10f1)가 형성되고, 2개의 산형상부(10f1,10f1) 사이는 골짜기 모양을 이룬 길이방향 홈(10f2,10f2)으로 되어 있다. 또, 산형상부(10f1,10f1)의 선단은 앞쪽으로 면하여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캠면(10f3,10f3)으로 되어 있다.
노크캠(14a)의 선단부에는, 도 7의 전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외주면에 180도마다 돌기(14a1,14a1)가 형성되어 있고, 더구나 선단면은 180도마다 축방향에 대해 경사진 2종류의 캠면(14a2,14a3)이 형성되어 있다. 캠면(14a2)은 완만한 경사 면이고 캠면(14a3)은 급한 경사면으로 되어 있으며, 양자는 앞쪽으로 면하면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향한 경사로 되어 있다. 돌기(14a1,14a1)는 상기 캠본체(10f)의 길이방향 홈(10f2,10f2)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이로써 노크캠(14a)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대해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면서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전캠(1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선단은 직경이 확장된 플랜지부(17a)로 되어 있고, 이 플랜지부(17a)보다 뒤쪽의 외주면에는 2개의 길이방향 리브(17b,17b)가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길이방향 리브(17b,17b)는 캠본체(10f)의 길이방향 홈(10f2,10f2)내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된다. 그리고, 이 길이방향 리브(17b,17b)의 후단면은 캠면(17c,17c)으로 되어 있다. 회전캠(17)은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대해 축방향 이동이 가능하면서, 길이방향 리브(17b,17b)가 캠본체(10f)의 길이방향 홈(10f2,10f2)에서 탈출하여 앞쪽에 있을 때에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에 대하여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필기를 하지 않을 때에는,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보호하기 위해서 캡(16)의 캡본체(16a)가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덮어씌우고 있다. 이 상태에서 필기를 하기 위해서 노크조작부(14b)를 노크하게 되면, 노크캠(14a)이 슬라이드용 축구멍(10c)을 전진하여 그 선단이 회전캠(17)의 후단부에 접촉하여서 회전캠(17)을 전진시킨다(도 9a 참조).
회전캠(17)의 길이방향 리브(17b,17b)가 캠본체(10f)의 길이방향 홈 (10f2,10f2)을 탈출하면, 복귀스프링(18)의 밀어부치는 힘에 의해 후퇴와 더불어 회전캠(17)의 캠면(17c,17c)이 노크캠(14a)의 캠면(14a2,14a2)을 따라 미끄럼이동하여, 회전캠(17)은 회전한다(도 9b 참조). 또한, 노크조작부(14b)의 노크력을 해제하면, 캠본체(10f)의 홈(10f2,10f2)을 따라 캠면(17c,17c)이 미끄럼이동하여(도 9c 참조), 회전캠(17)이 180도 회전한 후에 길이방향 리브(17b,17b)가 캠본체(10f)의 이전과 180도 다른 길이방향 홈(10f2,10f2)내에 삽입되어 후퇴한다.
이상과 같은 회전캠(17)의 전진과 180도 회전 및 후퇴에 수반하여, 캡(16)도 전진하여 캡본체(16a)가 리필(12)의 선단부(12a)보다 회전하고, 봉형상부(16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하며 후퇴하여, 제2선단개구(10d)를 통해 공동부(10e)에 수납된다. 이에 의해, 리필(12)의 선단부(12a)가 노출되어 필기할 수 있게 된다.
캡(16)이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노출하고 있을 때의 캡(16)의 후퇴위치는, 캡본체(16a)의 뒤끝이 축통(10)의 제2선단개구(10d)에 접촉하는지, 또는 회전캠(17)의 플랜지부(17a)가 캠본체(10f)의 산형상부(10f1,10f1)에 접촉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캡(16)은 그 일부가 공동부(10e)내에 수납되기 때문에, 필기시에 캡(16)이 방해물로 되지 않고, 외관도 우수하게 될 수 있다.
필기가 완료되어, 다시 노크조작부(14b)를 노크하면 전술된 바와 마찬가지로 노크캠(14a)과 캠본체(10f) 및 회전캠(17)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캠(17)의 전진과 180도 회전 및 후퇴의 운동이 이루어져, 캡(16)이 제2선단개구(10d)를 통해 공동부(10e)에서 전진하고, 봉형상부(16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180도 회전하며 후퇴하 여,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덮어씌운다.
또, 캡(16)이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덮어씌우고 있을 때의 캡(16)의 후퇴위치는, 캡본체(16a)가 축통(10)의 선단개구(10a)에 접촉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변환기구(22)에 의해 노크조작부(14b)의 노크마다 캡(16)이 리필(12)의 선단부(12a)를 덮어씌운 상태와 선단부(12a)를 노출시킨 상태로 캡(16)을 전환시킬 수 있고, 그 전환시에 캡(16)이 180도씩 회전하고 있어서 확실히 그 전환동작을 이행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기구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축통(110)내에는 필기체(112)가 수납되어 있다. 필기체(112)는 축통(110)에 대해 고정적으로 보유지지된다. 이 예의 경우, 필기체(112)를 전진시키기 위한 전진기구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이 예에서는 필기체(112)와 축통(110)은 별개 부품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로 구성되어 필기체(112)를 구성하는 부분이 축통(110)을 구성하는 부분에 실질적으로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 도시된 예에서는 축통(11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된다.
필기체(112)로는, 상기 리필(12) 또는 도포매체와 마찬가지의 것으로 될 수 있다.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는 축통(110)의 선단개구(110a)에서 항상 앞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필기체(112)의 후단부는 필기잉크 등의 필기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112b)로 되고, 이 수용부(112b)와 선단부(112a) 사이는 중간부(112c)로 되어 있다. 선단부(112a) 및 중간부(112c)는 수용부(112b)보다 직경이 작게 되어 있다. 또, 선단부(112a)에는 부분적으로 구면형상의 외주면을 갖춘 곡면부(112d)가 형성되어 있다.
축통(110)내에는, 필기체(112)와 평행하게 슬라이드부재(114)가 자유로이 진퇴, 즉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부재(114)는 축통(110)의 횡단면에서 점유면적이 크게 되지 않도록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봉형상부(114a)로 되고, 이 봉형상부(114a)의 선단부에는 캡(115)이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캡(115)은 상기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우는 데에 적합한 캡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통(110)과 필기체(112)의 사이에는, 슬라이드부재(114)의 봉형상부(114a)를 축통(110)의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시키면서 자전(自轉)가능하게 축지지하도록 가이드부(117,11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부재(114)와 일체로 조작부재(116)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재(116)는 이 예에서 축통(110)의 측부에 설치된 사이드노크부재로 되어 있고, 축통(110)의 측면외주에 형성된 긴 구멍(110c)에서 외부로 노출하여 축통(110)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며, 긴 구멍(110c)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재(116)의 횡단면은 원형형상을 하고 있으면 좋고, 조작부재(116)에 인접한 필기체(112)의 수용부(112b)의 측면외주는 이 조작부재(116)와 간섭하지 않도록 원호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의해, 조작부재(116)는 슬라이드부재(114)와 함께 자유로이 회전운동(자전)하게 된 다.
축통(110)과 필기체(112)의 중간부(112c) 사이에는, 공동부(118)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동부(118)내에 상기 캡(115)이 수납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 공동부(118)는 축통(110)의 선단개구(110b)에 연통되어 있으며, 선단개구(110b)를 통과하여 캡(115) 및 슬라이드부재(114)의 선단부가 자유로이 진퇴하도록 되어 있다.
도 10은 캡(115)에 의해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가 덮어씌워져 보호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 필기를 할 때에는 손가락으로 조작부재(116)를 조작하여 전진시킨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부재(114) 및 캡(115)이 전진하여 캡(115)이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에서 이탈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회전운동시키면, 캡(115)은 봉형상부(114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운동하여서,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동일 선상의 위치에서 비동일 선상의 위치로 이동한다. 또,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면, 캡(115)은 상기 선단개구(110b)를 통과하여 공동부(118)내에 수용된다. 이로써,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가 완전히 해방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캡(115)을 공동부(118)내에 수용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슬라이드부재(114)를 탄성체에 의해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의 밀어부치는 힘에 의해서, 캡(115)을 공동부(118)내에 수용하고 있을 수 있다. 또는, 탄성체 대신에 캡(115)을 공동부(118)내에 가볍게 걸림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필기를 완료한 후에는, 위의 역순으로 하여 캡(115)에서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울 수 있다. 캡(115)을 후퇴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포위할 때에, 캡(115)이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동일 선상의 위치에서 조금 편심되어 있다 하더라도, 캡(115)의 원추형상의 내주면이 곡면형상의 외주면으로 된 곡면부(112d)와 접촉함으로써 캡(115)의 위치가 자동적으로 조정되거나, 조금 편심된 채로 있어도 캡(115)이 선단부(112a)를 확실히 기밀상태로 밀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조작부재(116)의 조작만으로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보호하는 밀봉상태와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해방하는 밀봉해제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조작자가 조작부재(116)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을 조작함으로써 캡(115)을 이동시키는 것에 대해 설명하였다. 회전운동을 조작하는 대신에 캡(115)을 정해진 경로에 따라 이동시키기 위해서, 슬라이드부재(114)와 축통(110:또는 필기체(112)여도 좋다) 사이에 제어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도 14는 제어수단을 구성하는 캠면을 나타내는 축통(110)의 내주면의 전개도이다. 이 도면에서, 축통(110)의 내주면에는 캠면(1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120)에 슬라이드부재(114)에 설치된 걸림볼록부(114b)가 접촉하여, 캠면(120)에 의해 형성되는 캠경로를 이동한다. 이 캠면(120)과 걸림볼록부(114b)로 제어수단이 구성된다. 캠경로는 슬라이드부재(114)를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직선로(120a) 및 제2직선로(120b)와, 이들 제1직선로(120a)와 제2직선로(120b) 사이에 있어 슬라이드부재(114)를 회전운동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캠경로(120c) 및 제2캠경로(120d)를 갖춘다.
캡(115)이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보호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가 제2직선로(120b)의 종점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전진조작하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2직선로(120b)에서 출발하여 제2캠경로(120d)를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드부재(114) 및 캡(115)은 전진하면서 회전운동한다. 걸림볼록부(114b)가 제2캠면(120d)의 정점(頂点)을 지난 곳에서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2캠경로(120d)에서 제1직선로(120a)로 이동하여 제1직선로(120a)의 종점위치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이동을 따라감으로써, 캡(115)은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에서 이탈한 후 회전운동하여, 공동부(118)내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가 캡(115)에서 해방되어 필기에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다시 전진시키면,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는 제1직선로(120a)의 종점위치에서 출발하여 제1캠경로(120c)를 이동한다. 이 때, 슬라이드부재(114) 및 캡(115)은 전진하면서 회전운동한다. 걸림볼록부(114b)는 제1캠경로(120c)의 정점을 지난 곳에서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1캠경로(120c)에서 제2직선로(120b)로 이동하여 제2직선로(120b)의 종점위치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이동을 따라감으로써, 캡(115)은 공동부(118)에서 이탈한 후 회전운동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캠면(120) 및 걸림볼록부(114b)로 된 제어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4)의 축방향 운동에 대응해서 슬라이드부재(114)와 캡(115)을 자동적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15는 제어수단의 다른 예를 구성하는 캠면(120')과 걸림볼록부(114'b)를 도시한 도면이다. 걸림볼록부(114'b)는 슬라이드부재(114)에 대해 힌지를 매개로 축선회되게 부착된다. 캠면(120')에 의해 형성되는 캠경로는 슬라이드부재(114)를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직선로(120'a) 및 제2직선로(120'b)와, 제1직선로(120'a) 및 제2직선로(120'b)의 사이에 있어 슬라이드부재(114)를 회전운동방향으로 유도하는 캠경로(120'c)를 갖춘다. 캠경로(120'c)는 2개의 정점(120'd,120'e)을 갖추고 있다.
캡(115)이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보호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가 제2직선로(120'b)의 종점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전진조작하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2직선로(120'b)에서 출발하여 정점(120'e)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걸림볼록부(114'b)의 방향이 변한 곳에서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1직선로(120'a)로 향해 이동하여 제1직선로(120'a)의 종점위치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이동을 따라감으로써, 캡(115)은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에서 이탈한 후 회전운동하여, 공동부(118)내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가 캡(115)에서 해방되어 필기에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다시 전진시키면,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는 제1직선로(120'a)의 종점위치에서 출발하여 정점(120'd)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걸림볼록부(114'b)의 방향이 변한 곳에서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 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2직선로(120'b)로 향해 이동하여 제2직선로(120'b)의 종점위치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이동을 따라감으로써, 캡(115)은 공동부(118)에서 이탈한 후 회전운동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울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하여, 캠면(120') 및 걸림볼록부(114'b)로 된 제어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4)의 축방향 운동에 대응해서 슬라이드부재(114)와 캡(115)을 자동적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18과 도 19는 제어수단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는 바, 축통(110)의 내부에는 내통부(110d)가 형성되어 있고, 슬라이드부재(114)가 이 내통부(110d)의 내부를 관통한다. 캠면(121)이 내통부(110d)의 내주면에서 원주방향 주위로 형성되고, 슬라이드부재(114)에 구비된 걸림볼록부(114b)는 캠면(121)에 의해 형성되는 캠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제어수단은 이들 캠면(121)과 걸림볼록부(114b)로 구성된다. 캠경로는 슬라이드부재(114)를 축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직선로(121a) 및 제2직선로(121b)와, 제1직선로(121a) 및 제2직선로(121b)의 사이에 있어 슬라이드부재(114)를 회전운동방향으로 유도하는 제1캠경로(121c) 및 제2캠경로(121d)를 갖춘다.
캡(115)이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보호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가 제2직선로(121b)의 종점위치에 있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전진조작하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2직선로(121b)에서 출발하여 전진한 후, 제2캠경로(121d)를 따라 이동한다. 걸림볼록부(114b)가 제2캠경로(121d)로 전진한 곳에서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2캠경 로(121d)를 따라 이동하여 제1직선로(121a)의 종점위치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이동을 따라감으로써, 캡(115)은 직선으로 전진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에서 이탈한 후 회전운동하여, 공동부(118)내로 이동한다. 이렇게 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가 캡(115)에서 해방되어 필기에 사용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다시 전진시키면,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는 제1직선로(121a)의 종점위치에서 출발하여 전진한 후, 제1캠경로(121c)를 따라 이동한다. 걸림볼록부(114b)가 제1캠경로(121c)로 전진한 곳에서 조작부재(116)를 후퇴시키면, 걸림볼록부(114b)는 제1캠경로(121c)를 따라 이동하고, 이 제1캠경로(121c)에서 제2직선로(121b)로 이동하여 제2직선로(121b)의 종점위치에 도달한다. 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이동을 따라감으로써, 캡(115)은 직선으로 전진하여 공동부(118)에서 이탈한 후 회전운동하고 더욱 직선으로 후퇴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울 수 있게 된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울 때, 그 밀봉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편평한 패킹 또는 유사한 것이 캡(115)의 내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캠면(121) 및 걸림볼록부(114b)로 된 제어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4)의 축방향 운동에 대응해서 슬라이드부재(114)와 캡(115)을 자동적으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도 1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도 16에서 선단부분은 도 10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도시를 생략한다. 이 예에서는, 조작부재(116')가 슬라이드부재(114)의 뒤끝에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축통(110)의 뒤끝에는 슬라이드캡(122)이 장착되어 있고, 이 슬라이드캡(122)과 축통(110) 사이에는 이들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체(124)가 끼워넣어져 있다. 상기 조작부재(116')는 슬라이드캡(122)의 후단면(122a)에 형성된 관통구멍(122b)을 관통하여 후단면(122a)에 걸림고정되어 있다. 탄성체(124)에 의해, 조작부재(116') 및 슬라이드부재(114)는 축통(110)에 대하여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쳐진다. 조작부재(116')를 슬라이드캡(122)과 함께 앞쪽으로 밀어보내면서 조작부재(116')를 관통구멍(122b)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시킨 후 힘을 해제함으로써,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115)을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밀봉상태에서 밀봉해제상태로, 또는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밀봉해제상태에서 밀봉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밀봉상태 및 밀봉해제상태 중 어느 상태에서도 캡(115)은 뒤쪽으로 밀어부쳐지기 때문에,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확실히 기밀상태로 밀봉할 수 있거나, 공동부(118)내에 확실히 수용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바, 이 실시예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는 슬라이드캡(122) 자체가 조작부재(116")로 되어 있고, 조작부재(116")는 축통(110)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노크부재로 되어 있다. 조작부재(116")는 슬라이드부재(114)의 뒤끝에 상대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다. 조작부재(116")와 축통(110) 사이에는 이들을 떨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체(124)가 끼워넣어져 있다. 탄성체(124)에 의해 조작부재(116") 및 슬라이드부재(114)는 축통(110)에 대하여 항상 뒤쪽으로 밀어부쳐진다.
슬라이드부재(114)에는 걸림볼록부(114b)가 형성되어 있는 한편, 필기체 (112)의 수용부(112b)의 후부의 외주면에는 캠면(120)이 형성되어 있고, 이 캠면(120)과 걸림볼록부(114b)로 제어수단이 구성된다. 이 제어수단은 도 14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될 수 있다. 필기체(112)의 길이가 짧은 경우에는, 제1직선로(120a)를 필기체(112)의 뒤끝까지 뻗게 하여 맨 뒤끝에서 개방되게 하면 좋고, 슬라이드부재(114)가 후퇴할 때에 걸림볼록부(114b)가 제1직선로(120a)의 맨 뒤끝에서 제1직선로(120a)를 탈출하여 필기체(112)보다 뒤쪽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좋다. 단, 제어수단은 도 15 또는 도 19에 도시된 제어수단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드부재(114)의 선단은 축통(110)의 외부로 돌출하여 있고, 슬라이드부재(114)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캡(115)은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밀봉해제상태에서, 축통(110)내에 수납되어 있지 않으면 축통(110)의 선단부의 작은 직경부(110e)의 옆에 배치되어 있다.
조작부재(116")를 앞쪽으로 밀어보낸 후 힘을 해제하면,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캡(115)을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밀봉상태에서 밀봉해제상태로, 또는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의 밀봉해제상태에서 밀봉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20에 도시된 상태에서 조작부재(116")를 전진시키면, 제어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가 캠면(120)에 의해 형성되는 캠경로를 이동하여, 슬라이드부재(114) 및 캡(115)은 전진하고 회전운동한 후 후퇴한다. 캡(115)은 회전운동함으로써 필기체(112)의 옆에 있는 편심상태에서 축중심상으로 이동하여,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를 덮어씌울 수 있다(도 21 참조).
또한, 다시 조작부재(116")를 전진시키면, 제어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4)의 걸림볼록부(114b)가 캠면(120)에 의해 형성되는 캠경로를 이동하여, 슬라이드부재(114) 및 캡(115)은 전진하고 회전운동한 후 후퇴한다. 캡(115)은 회전운동함으로써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에서 이탈한 후에 편심되어, 필기체(112)의 옆에 있는 상태로 되돌아간다.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슬라이드부재(114)를 조작부재(116)의 손가락 조작으로, 또는 제어수단(예컨대 114b,114'b,120,120',121)에 의해 회전운동시키는 것인데,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부재(114)를 가요성이 있는 재료로 구성한 경우에는 슬라이드부재(114)가 회전운동하는 대신에 슬라이드부재(114) 자체가 구부려져 변형됨으로써, 캡(115)을 필기체(112)의 선단부(112a)와 동일 선상의 위치와 비동일 선상의 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시킬 수 있다.
또,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캡(115) 및 조작부재(116)를 슬라이드부재(114)와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것도 있는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별개 부품으로 된 캡(115) 또는 조작부재(116)를 임의의 결합수단에 의해 슬라이드부재(114)에 결합하여 연결한 것도 가능하다. 또한, 캡(115) 또는 조작부재(116)와 슬라이드부재(114)의 연결은 일체로 된 연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조작부재(116) 또는 캡(115)이 슬라이드부재(114)의 축방향으로 따라가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서의 연결도 괜찮다.
본 발명이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되었지만, 당해분야의 숙련자들은 본 발명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정신과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응용될 수 있음을 알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필기 또는 도포매체의 선단부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 보호할 수 있고,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운 상태와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를 간단히 전환시킬 수 있도록 된 기구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12)

  1. 필기체를 보유지지하는 축통과,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캡 및, 이 캡을 탈착하도록 축통에 대하여 노크가능하게 설치된 조작부재를 구비한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캡은 회전변환기구를 매개로 조작부재와 연결되어 있고,
    이 회전변환기구는 조작부재의 축방향으로의 1회 노크에 대응하여 캡을 전진시킨 후에 캡을 축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서 캡을 후퇴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부재의 노크마다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운 상태와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가 전환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변환기구는, 조작부재에 연결되어 축통내에 설치된 슬라이드용 축구멍내에서 이 슬라이드용 축구멍에 대해 회전할 수 없고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노크캠과, 상기 슬라이드용 축구멍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앞쪽으로 면하여 축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을 갖춘 캠본체, 상기 캡과 연결되어 슬라이드용 축구멍내에서 이 슬라이드용 축구멍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회전캠 및, 이 회전캠을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체를 구비하되,
    상기 노크캠은 앞쪽으로 면하여 축방향으로 경사진 캠면을 갖추고 있고,
    상기 회전캠은 노크캠 및 캠본체의 캠면에 의해 회전이 유도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필기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1회 노크에 대응하여, 캡이 180도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의 선단부에는 캡이 필기체의 선단부를 노출시킨 상태에서 캡의 적어도 일부를 수납하는 공동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5. 축통에 필기체를 보유지지시킴과 더불어 필기체의 선단부를 축통보다 앞쪽으로 돌출시키며, 축통내에 슬라이드부재를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서, 슬라이드부재의 선단부에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어씌울 수 있는 캡을 연결함과 동시에, 슬라이드부재에다 축통의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게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조작부를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의 선단부 근처에 상기 캡을 수납할 수 있는 공동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부재를 축통에 대하여 뒤쪽으로 밀어부치는 탄성체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축통 또는 필기체와 슬라이드부재 사이에 슬라이드부재의 축방향 운동에 대응하여 슬라이드부재 및 캡을 회전운동시키는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축통에 설치된 캠면과 슬라이드부재에 설치되어 이 캠면과 상호작용하는 걸림볼록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0.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축통의 측부에 설치된 사이드노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1.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축통의 후단부에 설치된 후단노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체의 선단부에는, 캡과의 사이의 기밀성을 보유지지하도록 곡면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KR1020040073667A 2004-07-05 2004-09-15 필기구 KR100622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98579 2004-07-05
JP2004198579 2004-07-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3314A KR20060003314A (ko) 2006-01-10
KR100622657B1 true KR100622657B1 (ko) 2006-09-19

Family

ID=35514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667A KR100622657B1 (ko) 2004-07-05 2004-09-15 필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128488B2 (ko)
KR (1) KR100622657B1 (ko)
CN (1) CN100469594C (ko)
TW (1) TW20060220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15857B2 (en) * 2007-10-16 2012-07-10 Craig Carroll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US8727650B2 (en) * 2007-10-16 2014-05-20 Craig Carroll Retractable substance dispenser
KR101384084B1 (ko) * 2007-11-12 2014-04-09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기구
WO2009082764A1 (en) * 2007-12-26 2009-07-02 Chana Cabatan Adapter for writing instruments
US8096721B2 (en) 2008-03-27 2012-01-17 Craig Carroll Retractable solid or semi-solid substance dispenser
WO2010111236A1 (en) * 2009-03-23 2010-09-30 Craig Carroll Improved cosmetic substance dispenser
CN104337208B (zh) * 2013-07-29 2017-06-20 株式会社常盘 涂布材料压出式容器
US9474348B2 (en) * 2013-07-29 2016-10-25 Tokiwa Corporation Applying material extrud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615506A (en) * 1925-12-08 1927-01-25 George G Felt Cap attachment for fountain pens
US3992115A (en) * 1975-11-10 1976-11-16 Culver Craig F Self-contained closure for writing instruments and the like
EP0057686A4 (en) * 1980-08-19 1984-03-01 Harris David Peter MANUAL TOOL.
US4479732A (en) * 1981-07-02 1984-10-30 Ancos Co., Ltd. Writing instrument with sealing cap retained in tip
IT8223063V0 (it) * 1982-09-30 1982-09-30 Larizza & Scuratti Strumento per scrittura o disegno.
GB8819565D0 (en) * 1988-08-17 1988-09-21 Taggart L Hand-held instrument
JP2714780B2 (ja) 1995-11-10 1998-02-16 アンコス株式会社 キャップレス筆記具
JP2673501B2 (ja) 1995-10-05 1997-11-05 巴豊 小林 キャップ付き筆記具
TWI224056B (en) * 2002-07-25 2004-11-21 Micro Co Ltd Writing instrument
JP4658534B2 (ja) * 2004-07-21 2011-03-23 株式会社壽 気密性キャップ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2208A (en) 2006-01-16
CN100469594C (zh) 2009-03-18
KR20060003314A (ko) 2006-01-10
US7128488B2 (en) 2006-10-31
US20060002756A1 (en) 2006-01-05
CN1718446A (zh) 2006-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66169B1 (en) Retractable writing utensil having an airtight valve
JP4746130B2 (ja) 乾き防止装置を備えたスライド式筆記具
KR100503569B1 (ko) 필기구
JP4973013B2 (ja) 出没式筆記具
KR100622657B1 (ko) 필기구
US4575271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and second sealing means
JP2007320209A (ja) 開閉蓋付の筆記具
US6244769B1 (en) Stick cosmetic container
JP4086828B2 (ja) 器具
JP3933087B2 (ja) 出没式筆記具
KR100451941B1 (ko) 건조방지용 필기구
JP3325647B2 (ja) 筆記具
EP1422075A1 (en) Writing instrument
JP3668523B2 (ja) キャップレス式筆記具
JP2004262222A (ja) 筆記具
EP1614547A2 (en) Writing Instrument
JP2006264105A (ja) 繰出容器
KR200284026Y1 (ko) 건조방지용 필기구
JP3629685B2 (ja) キャップ式エアタイト筆記具
JPH11314491A (ja) 複式筆記具
EP0121113A2 (en) Writing instrument
JPS6130916B2 (ko)
JP4738985B2 (ja) 気密性キャップ構造
JP3281443B2 (ja) 筆記具
JP2005246889A (ja) 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