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026Y1 - 건조방지용 필기구 - Google Patents

건조방지용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026Y1
KR200284026Y1 KR2020020012390U KR20020012390U KR200284026Y1 KR 200284026 Y1 KR200284026 Y1 KR 200284026Y1 KR 2020020012390 U KR2020020012390 U KR 2020020012390U KR 20020012390 U KR20020012390 U KR 20020012390U KR 200284026 Y1 KR200284026 Y1 KR 2002840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housing body
writing
opening
clo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23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회곤
Original Assignee
김회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회곤 filed Critical 김회곤
Priority to KR20200200123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0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026Y1/ko

Links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조방지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필기구를 이루는 하우징 몸체의 심재출입단 내측에 제공되어 심재출입단을 개폐시키는 개폐관체가 누름버튼의 누름에 따른 심재고정부재의 나선 방향 회전 이동시 개폐관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심재고정부재의 심재가 심재출입단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고 동시에 누름버튼 해제시 필기용 심재가 하우징 몸체내로 이송됨과 동시에 개폐관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출구를 폐쇄시키도록 하여 간섭에 의한 심재의 파손 및 심재의 건조를 방지하는 것이다.
즉, 필기를 위한 심재고정부재가 하우짐 몸체내에서 일측 누름버튼의 누름시 하우징 몸체에 대해 회전 이동되면서 이와 결합된 개폐관체를 하우징 몸체에 대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켜 심재가 외부 간섭없이 노출되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심재의 파손 및 심재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조방지용 필기구{A PEN FOR DRY PREVENTION}
본 고안은 건조방지용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성 또는 수성의 필기용 심재를 갖는 필기구가 별도의 밀폐용 캡이 필요없이 밀폐 상태를 유지하며 보관될 수 있도록 하여 심재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건조방지용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기구는, 볼펜을 비롯하여 사인펜, 형광펜, 매직펜 등을 말하며 이들 대부분은 필기용 심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밀폐용 캡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필기후 심재가 외부로 노출되면 유성 또는 수성의 심재가 건조되어 다시 필기를 하지 못함에 따라 반드시 캡으로 고정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한 필기구의 경우 필기용 심재의 건조방지를 위해 사용시마다 캡을 탈착시켜야 함에 따라 이에따른 사용자의 번거러움이 있었고 또한 캡이 주변에 방치되는 경우 잃어버리는 문제점 및 필기후 자칫 실수로 캡을 고정시키지 않아 심재가 건조되는 등 사용시 불편함이 많이 있어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캡이 필요없는 필기구가, 실용등록 제1995-776호(건조방지 장치를 가진 뚜껑없는 필기구), 실용신안등록 제181734호(뚜껑이 필요없는 수성 및 유성 필기구), 실용신안 공개 제94-678호, 실용신안등록 제1991-4175호(캡없는 필기구), 실용신안 공개 제90-15552호(캡 없는 필기구) 등 다수건이 제안되어 등록 및 공개된 바 있다.
그 한 예로서, 1986년 7월 4일자로 출원되어 1989년 5월 31일자 제 1989-3644호로 등록된 바 있는 캡 없는 필기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외통(1)내에 필기축체(2)가 끼워 넣어지고 이 필기축체(2)의 선단부를 그 사이 간격(3)내에 덮어 씌워주도록 한 쪽 끝이 개폐되는 내통(4)이 설치되며, 필기축체(2)의 노크부(5)를 압축스프링(6)에 대항해서 눌러주거나 눌러진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필기축체(2)가 되돌려짐에 따라 내통(4)을 개폐시켜 필기축체(2)의 펜끝(2a)이 상기 내통(4)으로부터 출몰하도록 된 캡 없는 필기구에 있어서, 상기 내통(4)의 선단에는 내통(4)을 그 개폐단부에 외통(1)의 선단부(1a)의 내면과 맞닿는 탄성접편(12a,12b)을 갖는 탄성체로 구성시켜 주면서 그 외통(1) 선단부(1a) 내주면에 걸어끼워지도록 된 날개부(9)가 형성된 것으로 이는, 필기축체의 전진 이동시 펜끝이 탄성접편에 맞닿음 되면서 이동함에 따라 밀폐 효과를 가질 수는 있지만 반복된 마찰로 펜촉의 손상 또는 탄성접편 마모 등의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탄성접편의 탄성력과 내통 자체의 탄성력으로 필기축체의 이동시 내통이 필기축체와 항상 밀착되어 있음에 따라 노크부 해제시 스프링 탄성력에 의한 복귀 및 잦은 면 마찰로 밀폐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필기구의 필기용 심재 출입단에 버튼 누름에 따른 심재의 전후 이동시 이를 개폐하는 개폐관체를 구비하여 필기구의 버튼 누름시 필기용 심재가 개방된 출구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개폐관체가 출구를 개방시키도록 하고, 또한 버튼 해제시 필기용 심재가 필기구 몸체내로 이송됨과 동시에 개폐관체가 출구를 폐쇄시키도록 하여 심재의 건조방지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또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필기용 심재와 개폐관체는 서로 간섭없이 이동되도록 함에 따라 마찰에 의한 심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캡 없는 필기구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조방지용 필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으로 필기구의 초기 밀폐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사용상태 단면으로 버튼 누름에 따른 필기구의 심재가 노출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절개사시도,
도 7은 도 5의 절개사시도,
도 8은 도 4의 "F"부를 확대시켜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심재고정부재 130,140: 전후방 돌기
150: 스프링 200: 하우징 몸체
210: 심재출입단 230: 직선홈
240: 나선홈 300: 누름버튼
320: 밀폐부재 400: 개폐관체
410,420: 반원체 420,421: 탄성리브
430: 나선홈 440: 돌기
S: 안내수단
T: 밀폐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건조방지용 필기구에 있어서, 선단에 축소관 형태로 개방된 심재출입단을 일체로 형성하며, 내부에 전방으로의 이동시 스프링을 압축하며 심재출입단을 통해 심재를 외부로 돌출하는 필기용 심재고정부재를 갖는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후방에서 누름시 상기 심재고정부재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해제 돌기의 누름에 따른 복귀시 밀폐수단에 의해 내부가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누름버튼과; 전방단에 상기 심재출입단의 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리된 반원체가 각기 탄성리브에 의해 대향되게 구비되며, 후방단이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에 제공된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발생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심재고정부재와 안내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심재고정부재의 전후방 회전이동에 따라 상기 심재고정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교차 이동하면서 탄성리브에 결합된 반원체의 결합 및 분리로 상기 심재출입단의 출구를 개폐시키게 되는 개폐관체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심재고정부재의 몸체 전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방 돌기;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돌기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나선홈 및 전방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된 직선홈; 상기 개폐관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돌기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나선홈 및 상기 직선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고정부재의 후방돌기가 하우징 몸체의 나선홈을 따라 전방이동시 심재고정부재의 전방 돌기와 직선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돌기에 의해 개폐관체가 후방 이동하여 심재가 심재출입단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단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내에서 슬라이드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원형의 링홈이 형성된 피스톤형의 밀폐부재이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징 몸체가 양쪽으로 분할되어 서로나사결합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하우징 몸체가 이중관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내측관에 상기 나선홈과 직선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함에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다른 특징은, 상기 누름버튼이, 한번 누름시 심재고정부재를 밀면서 하우징 몸체에 고정되고 다시 한번 누름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해제되는 푸쉬풀버튼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전후이동되는 단부에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는 밀폐용 패킹이 구비되도록 함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건조방지용 필기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의 도시에 의하여, 본 고안은, 필기를 위한 필기용 심재고정부재(100)와, 필기구의 외관을 이루며 그 내부는 상기 심재고정부재(100)를 보호하게 되는 하우징 몸체(200)와, 하우징 몸체(200)의 일측에 구비되어 누름시 심재고정부재(100)를 밀어내도록 하는 누름버튼(300)과, 하우징 몸체(200)의 타측 내부에 제공되어 초기 폐쇄상태에서 누름버튼(300)의 누름에 따른 심재고정부재(100)의 이동시 안내수단(S)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출구를 개방시키게 되는 개폐관체(400)로 구성된다.
상기 필기용 심재고정부재(100)는, 일측 몸체(110)내에 필기를 위한 액체상태의 약액이 저장되며 선단에 필기용 심재(120)가 돌출 구비된다. 그리고 외주면에는 전방과 후방의 위치에 동일선상으로 돌기(130)(140)가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스프링(150)이 감싸지며 상기 스프링(150)의 일단이 상기 몸체(110)의 후방단에 형성된 단턱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 몸체(200)는, 내부에 상기 필기용 심재고정부재(100)가 삽입되며, 선단에는 축소관 형태로 개방된 심재출입단(210)이 일체로 형성되고, 후방단 외주면에는 상기 누름버튼(300)의 록킹 구간을 설정하도록 록킹홈(220)(222)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또한 내주면에는 전후방 위치에 축방향을 따른 소정구간의 직선홈(230)과 오른나사 방향으로 소정각도를 가지며 소정구간 형성되는 나선홈(240)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나선홈(240)에는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후방 돌기(14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심재고정부재(100)는 상기 하우징 몸체(200) 내에서 나선홈(240)에 의해 안내 및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 몸체(200)는, 두개로 분할체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서로 나사결합 방식을 취하며 결합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 상기 직선홈(230)과 나선홈(240)의 내주면 가공 또는 개폐관체(400)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이중관체 즉, 하우징 몸체와, 직선홈과 나선홈이 관통 형성된 내측몸체로 제작하여 이들이 끼움 결합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 개폐관체(400)는,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심재출입단(21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전방단에 상기 심재출입단(210)을 개폐시킬 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리된 반원체(410)(411)가 각기 탄성리브(420)(421)에 의해 대향되게 구비되고, 후방단이 상기 심재고정부재(100)를 감싼 스프링(150)의단부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개폐관체(400)의 외주면에는 후방의 위치에 전방으로 오른나사 방향을 갖는 나선홈(430)과 그 일측에 돌기(440)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440)는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전방 직선홈(230)에 슬라이드 삽입되어 이동하게 되고, 상기 나선홈(430)에는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전방 돌기(130)가 슬라이드 결합되어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와 개폐관체(400)는 상기 하우징 몸체(200)와 안내수단(S)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안내수단(S)은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전방 이동시 개폐관체(4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며 하우징 몸체(200)의 심재출입단(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다시말해, 상기 안내수단(S)은,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몸체 전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방 돌기(130)(140)와,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 돌기(140)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나선홈(240) 및 전방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된 직선홈(230)과, 상기 개폐관체(400)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 돌기(130)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나선홈(430) 및 상기 직선홈(230)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 돌기(440)로 이루어진다.
이는, 초기상태에서의 동작시 상기 누름버튼(300)의 누름에 따라 상기 심재고정부재(100)가 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며 전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후방 돌기(140)가 하우징 몸체(200)의 나선홈(240)을 따라 오른나사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고, 동시에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전방 돌기(130)가 개폐관체(400)의 나선홈(430)을 따라 회전 안내되는데, 이때 개폐관체(400)는돌기(440)가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직선홈(230)에 위치됨에 따라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돌기(130)는 상기 개폐관체(400)의 나선홈(430)을 밀면서 회전 이동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상기 개폐관체(400)는 스프링(150)을 압축시키며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전방 이동에 대하여 후방으로 이동되면서 선단이 심재출입단(210)을 개방시키게 된다.
상기 누름버튼(300)은,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후방에서 상기 심재고정부재(100)를 밀어서 이동시키는 것으로, 공지의 볼펜 버튼과 같이 일측 후방단에 누름부(310)가 구비되고, 타측에 탄발편(330)이 제공되며 상기 탄발편(330)에는 상기 록킹홀(220)(222)에 각각 선택적으로 끼움 고정되는 해제돌기(340)와 록킹돌기(341)가 구비되며, 해제돌기(340)의 누름에 따른 복귀시에는 스프링(150)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누름버튼(300)의 삽입 밀착단에는 복귀시 내부가 밀폐되도록 밀폐수단(T)을 갖는다.
상기 밀폐수단(T)은, 상기 누름버튼(300)의 일측단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200)내에서 슬라이드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원형의 링홈(321)이 형성된 피스톤형의 밀폐부재(320)이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상기 밀폐부재(320)의 하우징 몸체(200) 밀착면에는 돌레를 따라 오목한 요홈(322)이 형성되어 그 외측단부는 요홈(450)에 의해 상기 하우징 몸체(200)와의 면마찰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의 동작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조립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먼저 하우징 몸체(200) 내부에 개폐관체(400)와 심재고정부재(100) 및 누름버튼(300)을 순차적으로 끼움 결합시키면 되는데, 이때 심재고정부재(100)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50)이 감싸지도록 하고 동시에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심재고정부재(100)의 전방 돌기(130)가 개폐관체(400)의 나선홈(430)에 결합되도록 그리고 개폐관체(400)의 돌기(440)는 하우징 몸체(200)의 직선홈(230)에 결합되도록 그리고 심재고정부재(100)의 후방 돌기(140)가 하우징 몸체(200)의 후방 나선홈(240)에 결합되도록 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개폐관체(400)의 선단 반원체(410)(411)는 하우징 몸체(200)의 심재출입단(210)을 폐쇄시키게 되고 아울러 누름버튼(300)의 밀폐부재(320)가 상측 개방부를 폐쇄시켜 심재(120)의 건조가 방지되게 된다.
작동시에는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누름버튼(300)의 누름부(310)를 누루게 되면 밀폐부재(320)가 심재고정부재(100)를 밀게 된다. 연속해서 심재고정부재(100)는 전후방 돌기(130)(140)가 각각 개폐관체(400)의 나선홈(430)과 하우징 몸체(200)의 나선홈(240)에 결합되어 회전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개폐관체(400)는 상기 하우징 몸체(200)의 직선홈(230)에 의해 회전이 제어되고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걸림되어 있어 상기 심재고정부재(100)의 전방 회전 이동에 따라 상기 개폐관체(400)는 나선홈(430)과 돌기(130)의 접촉 저항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개폐관체(400)의 반원체(410)(411)가 탄성리브(420)(421)에 의해 벌어지면서 심재출입단(210)을 개방시키고 동시에 전진이동하는 심재고정부재(100)의 심재(120)가 심재출입단(210)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이후, 누름버튼(300)의 록킹돌기(341)가 하우징 몸체(200)의 록킹홈(222)에 걸림되어 심재고정부재(100)는 하우징 몸체(200)에 대해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해제시에는 누름버튼(300)의 탄발편(330)에 구비된 해제돌기(340)를 누루게 되면 록킹돌기(341)이 록킹홈(222)으로부터 해제되면서 동시에 스프링(15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심재고정부재(100)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속해서 누름버튼(300)을 초기상태로 밀어내게 되며 이때 해제돌기(340)가 록킹홈(220)의 후방측에 걸림된다. 이와동시에 개폐관체(400)는 심재고정부재(100)의 후방 이동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선단의 반원체(410)(411)가 심재출입단(210)을 폐쇄시키게 된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로서, 밀폐부재(320)가 공지의 피스톤과 동일하게 복수개의 링홈(321)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링홈(321)에는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한 슬라이드용 오링(324)이 구비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의 누름버튼(300)이 한번 누루면 스프링(150)을 압축하며 고정상태를 유지하고 다시한번 누루면 스프링(150)의 탄성 복원력으로 초기상태로 해제되는 푸쉬풀버튼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며, 상기 누름버튼의 단부에는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도록 밀폐용 패킹이 구비되도록 함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건조방지용 필기구는, 필기구를 이루는 하우징 몸체의 심재출입단 내측에 제공되어 심재출입단을 개폐시키는 개폐관체가 누름버튼의 누름에 따른 심재고정부재의 나선 방향 회전 이동시 개폐관체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심재고정부재의 심재가 심재출입단을 통해 노출되도록 하고 동시에 누름버튼 해제시 필기용 심재가 하우징 몸체내로 이송됨과 동시에 개폐관체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출구를 폐쇄시키도록 하여 간섭에 의한 심재의 파손 및 심재의 건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말해, 필기를 위한 심재고정부재가 하우짐 몸체내에서 일측 누름버튼의 누름시 하우징 몸체에 대해 회전 이동되면서 이와 결합된 개폐관체를 하우징 몸체에 대해 후방으로 직선 이동시켜 심재가 외부 간섭없이 노출되도록 하여 마찰에 의한 심재의 파손 및 심재의 건조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건조방지용 필기구에 있어서,
    선단에 축소관 형태로 개방된 심재출입단을 일체로 형성하며, 내부에 전방으로의 이동시 스프링을 압축하며 심재출입단을 통해 심재를 외부로 돌출하는 필기용 심재고정부재를 갖는 하우징 몸체와;
    상기 하우징 몸체의 후방에서 누름시 상기 심재고정부재를 밀어서 이동시키며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고, 해제 돌기의 누름에 따른 복귀시 밀폐수단에 의해 내부가 밀폐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누름버튼과;
    전방단에 상기 심재출입단의 출구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양쪽으로 분리된 반원체가 각기 탄성리브에 의해 대향되게 구비되며, 후방단이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측에 제공된 상기 스프링의 단부에 밀착되어 탄성력을 발생하고, 상기 하우징 몸체 및 상기 심재고정부재와 안내수단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상기 심재고정부재의 전후방 회전이동에 따라 상기 심재고정부재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교차 이동하면서 탄성리브에 결합된 반원체의 결합 및 분리로 상기 심재출입단의 출구를 개폐시키게 되는 개폐관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심재고정부재의 몸체 전후방에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전후방 돌기;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후방돌기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나선홈 및 전방 내주면에 축방향으로 소정구간 형성된 직선홈;
    상기 개폐관체에 형성되며 상기 전방돌기가 안내되도록 형성된 나선홈 및 상기 직선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심재고정부재의 후방돌기가 하우징 몸체의 나선홈을 따라 전방이동시 심재고정부재의 전방 돌기와 직선이동하도록 된 슬라이드돌기에 의해 개폐관체가 후방 이동하여 심재가 심재출입단을 통해 노출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상기 누름버튼의 일측단에 제공되어 상기 하우징 몸체내에서 슬라이드시 기밀이 유지되도록 외주면에 축방향을 따라 원형의 링홈이 형성된 피스톤형의 밀폐부재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가 양쪽으로 분할되어 서로 나사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몸체가 이중관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내측관에 상기 나선홈과 직선홈이 형성되도록 하여 서로 끼움 결합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버튼이
    한번 누름시 심재고정부재를 밀면서 하우징 몸체에 고정되고 다시 한번 누름시 스프링의 복원력으로 해제되는 푸쉬풀버튼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전후이동되는 단부에 상기 하우징 몸체의 내주면에 돌출 형성된 단턱에 밀착되어 내부를 밀폐시키게 되는 밀폐용 패킹이 구비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방지용 필기구.
KR2020020012390U 2002-04-23 2002-04-23 건조방지용 필기구 KR200284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90U KR200284026Y1 (ko) 2002-04-23 2002-04-23 건조방지용 필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2390U KR200284026Y1 (ko) 2002-04-23 2002-04-23 건조방지용 필기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2030A Division KR100451941B1 (ko) 2002-04-22 2002-04-22 건조방지용 필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026Y1 true KR200284026Y1 (ko) 2002-07-31

Family

ID=730839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2390U KR200284026Y1 (ko) 2002-04-23 2002-04-23 건조방지용 필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0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11B1 (ko) * 2007-03-07 2015-03-30 김종출 이중구조의 피복을 구비한 다용도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6711B1 (ko) * 2007-03-07 2015-03-30 김종출 이중구조의 피복을 구비한 다용도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7840B2 (en) Slide type writing tool preventing dryness
KR101455958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EP1354722A2 (en) Self-sealing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US10538124B2 (en)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US4575271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and second sealing means
KR20040010133A (ko) 필기구
KR100451941B1 (ko) 건조방지용 필기구
US4533272A (en) Writing instrument with movable closure
KR200284026Y1 (ko) 건조방지용 필기구
KR100622657B1 (ko) 필기구
JP3325647B2 (ja) 筆記具
JP3933087B2 (ja) 出没式筆記具
KR101188919B1 (ko) 마름방지장치를 구비한 출몰식 필기구
EP0121113B1 (en) Writing instrument
US11813886B2 (en) Slide-type writing instrument having drying-prevention device
JPS6130916B2 (ko)
JP3945409B2 (ja) 出没式筆記具
JP7506976B2 (ja) 筆記具
KR102550147B1 (ko) 다색 마카펜의 밀폐부 구조
JPS6220316Y2 (ko)
JP2023095594A (ja) 筆記具
JP3629685B2 (ja) キャップ式エアタイト筆記具
AU2017200776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US10214046B2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EP3357707A1 (en) Writing instrument having automatic seal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