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4084B1 - 기구 - Google Patents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4084B1
KR101384084B1 KR1020070114902A KR20070114902A KR101384084B1 KR 101384084 B1 KR101384084 B1 KR 101384084B1 KR 1020070114902 A KR1020070114902 A KR 1020070114902A KR 20070114902 A KR20070114902 A KR 20070114902A KR 101384084 B1 KR101384084 B1 KR 101384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p
medium
state
mov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836A (ko
Inventor
노구치 요시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to KR102007011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084B1/ko
Publication of KR200900488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8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3/00Holders or connectors for writing implements; Means for protecting the writing-points
    • B43K23/08Protecting means, e.g. caps
    • B43K23/12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 B43K23/128Protecting means, e.g. caps for pens with sp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02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 B43K24/08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locking a single writing unit in only fully projected or retracted positions operated by push-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5/00Pens with ink reservoirs in holders, e.g. fountain-pens
    • B43K5/005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003Pen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8/00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 B43K8/24Pens with writing-points other than nibs or ball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retracting writing-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축통에 보유지지되는 매체의 선단부를 축통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부착시킨 캡을 덮을 수 있는 기구에서, 캡의 밀봉상태와 밀봉 해제상태의 절환을 보다 안정되고 확실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한다.
캡(30)에 설치된 가이드(36)와, 캡(30)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노크 스프링(부세부재; 34)과, 매체(16)에 형성되어 가이드(36)와 걸려지도록 된 안내 홈(19)과, 축통에 형성되어 가이드(36)와 걸려지도록 된 안내 홈(19)을 구비하고 있다. 가이드(36)는, 캡이 밀봉 해제상태에 있을 때에는 안내 홈(19)에만 걸려지고, 캡(30)이 밀봉상태에 있을 때는 안내 홈(15)에만 걸려진다. 안내 홈(19)은, 캡(30)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되어 밀봉상태로 되도록, 가이드(36)의 이동을 안내하고, 안내 홈(15)은, 캡(30)의 밀봉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되어 밀봉 해제상태로 되도록, 가이드(36)의 이동을 안내한다.

Description

기구 {Instrument}
본 발명은, 축통(軸筒)에 보유지지되는 매체의 선단부를, 축통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된 캡으로 덮을 수 있도록 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기구(器具)로서는,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구로서의 필기구에서는, 축통에 필기체를 보유지지시킴과 더불어 필기체의 선단부를 축통보다도 전방으로 돌출시키고, 축통 내에 슬라이드부재를 축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하고, 이 슬라이드부재의 선단부에 상기 필기체의 선단부를 덮을 수 있는 밀봉부재를 연결함과 더불어, 슬라이드부재에, 축통의 외부에서 조작가능하고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조작부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축통 또는 필기체와 슬라이드부재와의 사이에 슬라이드부재의 축방향 운동에 대응해서 슬라이드부재 및 밀봉부재를 회동시키는 제어수단이 설치되어 있는바, 예컨대, 제어수단은, 축통에 형성된 캠면과, 슬라이드부재에 형성되어 캠면을 이동시키는 걸림볼록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면에 의해 형성되는 캠로(路)는, 밀봉부재가 밀봉상태로부터 밀봉 해제상태로 절환될 때와,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절환될 때에, 다른 캠로를 구성하고 있어서, 걸림볼록부가 다른 캠로를 통과함으로써, 그 절환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4-262222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필기구와 같은 기구의 구성을 개량해서, 밀봉부재인 캡(cap)의 밀봉상태와 밀봉 해제상태와의 절환을 보다 안정되고 확실하게 실행시킬 수 있는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축통과, 축통에 보유지지되어, 그 선단부가 축통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 매체(媒體)와, 상기 매체의 선단부를 덮어주도록 된 캡부를 갖추어 매체의 선단부의 밀봉상태와 밀봉 해제상태로 절환되는 축통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된 캡과, 당해 캡을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기구에서, 캡에 설치된 가이드와, 캡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부세부재(付勢部材)와, 가이드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캡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시켜 밀봉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로(路)와, 가이드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캡을 밀봉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시켜 밀봉 해제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로를 갖추되, 상기 가이드는,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1 가이드로에만 걸려지고, 캡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2 가이드로에만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가, 상기 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설치되어, 가이드가 상기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로가, 캡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전진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 캡을 회동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앙부와, 캡을 후퇴시키는 제2 가이드부를 갖추되, 상기 제2 가이드로는, 캡을 밀봉상태로부터 전진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와, 캡을 회동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앙부와, 캡을 후퇴시키는 제2 안내부를 갖고서, 제1 가이드로의 제1 안내부와 제2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가 대향하는 한편, 제1 가이드로의 제1 안내부의 쪽이 제2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와 제2 가이드로의 제1 안내부가 대향하는 한편, 제2 가이드로의 제1 안내부의 쪽이 제1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상기 제1 가이드로의 중앙부는, 제1 안내부의 전단(前端)에서 제2 안내부의 전단을 향해 앞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고, 상기 제2 가이드로의 중앙부는, 제1 안내부의 전단에서 제2 안내부의 전단을 향해 앞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는 홈(溝)으로서, 가이드가 홈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가이드로 및 제2 가이드로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와 제2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의 각 후단부가, 후방을 향해 감에 따라 점차 홈바닥이 얕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캡이, 축통과 매체 사이를 삽통하는 1쌍의 아암부를 갖추되, 1쌍의 아암부가 상기 캡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제1 가이드로는 축통과 매체의 어느 한쪽에, 제2 가이드로는 축통과 매체의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아암부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설치되어, 가이드가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의 적어도 한쪽에 삽입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캡이, 조작부재에 기울어질 수 있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는,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1 가이드로에만 걸려지고, 캡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2 가이드로에만 걸려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캡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할 때에 는, 제1 가이드로를 따라 가이드를 안내할 수가 있고, 캡을 밀봉상태로부터 밀봉 해제상태로 할 때에는, 제2 가이드로에 따라 가이드를 안내할 수가 있어, 확실하고 안정되게 밀봉 해제상태와 밀봉상태를 절환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 1쌍의 아암부에 의해 캡부가 지지됨으로써, 매체의 밀봉상태를 균형있고 안정되게 보유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구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체 종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축통으로서, 축통(10)은, 본체(12)와 선구(14)의 2개 부품으로 구성된다. 본 예에서는, 조립의 편의상 축통을 2개 부품으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으나, 반드시 2개 부품 점수에 한하지 않고, 1개 부품 또는 3개 부품 이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매체(媒體)는, 본 예에서는, 펠트 펜으로 되어 있지만, 기구(器具)로서 볼펜, 만년필, 아이 라이너, 립 리이너, 아이 셰도우와 같은 문방구, 화장품 등의 용기에 적용될 때는 각종 기구에 적합한 필기매체 또는 도포매체로 할 수가 있고, 각 매체는 그 종류에 적합한 선단부(20)를 갖도록 할 수가 있다.
이 본체(12)와 선구(14)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선구(14)의 후단부가 본체(12)의 선단부 내로 삽입되어 일체화되어 축통(10)을 구성한다. 축통(10)은 그 횡단면에서, 그 내부 형상이 대략 4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본체(12)의 양 측면의 내면에는 각각 홈(12a)이 형성되고, 선구(14)의 양 측면의 후단부에는 각각 절 결(14a)이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12)와 선구(14)가 일체화되었을 때에, 홈(12a)과 절결(14a)이 조합되어, 1쌍의 횡방향의 변형 U자 모양의 안내 홈(15)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이 변형 U자 모양의 안내 홈(15)은, U자 모양의 양 각부(脚部)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가 같지 않고, U자 모양의 한쪽의 각부로 되는 전후방향으로 뻗은 전후 홈부(15a)가 길고, 다른 쪽 각부로 되는 전후 홈부(15b)가 짧게 되어 있다. 긴 쪽 전후 홈부(15a)의 후단부는, 홈 깊이가 후방을 향해 감에 따라 점차 얕아지게 되어 있고, 그 말단은 거의 깊이가 0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U자 모양의 중앙부로 되는 중앙부(15c)는 전후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보다도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 경사는, 짧은 전후 홈부(15b)의 측에서 긴 전후 홈부(15a) 측 쪽으로 전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본체(12)의 후단면은, 전후방향으로 직각으로 되어 있지는 않고, 직각에서 경사진 경사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통(10)에는 매체(16)가 보유지지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매체(16)는, 매체 본체(18), 매체 본체(18)로부터 돌출하는 펜 끝(20), 매체 본체(18)의 내부에 배설되어 펜 끝(20)으로 공급하는 잉크가 침입해서 보관된 잉크보관 면체(綿體; 22) 및 매체 본체(18)의 뒷부분을 밀봉하는 뒷 마개(24)로 구성되어 있다.
매체 본체(18)의 외표면에는, 본체(12)의 내부에 형성된 걸림부(12b)에 걸려지는 걸림부(18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12b)와 걸림부(18a)의 걸림에 의해 매 체(16)는 축통(10) 내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매체 본체(18)의 선단에는, 앞쪽으로 돌출해서 펜 끝(20)을 포위하는 돌출부(18b)가 형성되어 있다. 펜 끝(20)은, 돌출부(18b)로부터 돌출함과 더불어, 축통(10)의 선단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해서, 필기에 제공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매체 본체(18)의 선단에는, 돌출부(18b)와 나란히 캡 받침(18c)이 형성되어 있다. 이 캡 받침(18c)은, 뒤에 설명되는 캡(30)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에, 그 캡부(30c)를 받쳐주기 위한 것으로서, 캡부(30c)를 축통(10) 내에 수납할 수가 있도록, 선구(14)의 선단보다도 속으로 들어간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매체 본체(18)의 횡단면의 외부 형상은 축통(10)의 내부 형상에 합치되도록 대략 4각형상을 이루고서, 그 양 측면의 외면에는 변형 U자 모양의 안내 홈(19)이 형성되어 있다. 변형 U자 모양의 안내 홈(19)은, U자 모양의 양 각부에 대응하는 부분의 길이가 같지 않고, U자 모양의 방의 각부로 되는 전후 홈부(19a)가 길고, 다른 쪽 각부로 되는 전후 홈부(19b)가 짧게 되어 있다. 짧은 쪽의 전후 홈부(19b)의 후단부는, 홈 깊이가 후방을 향해 감에 따라 점차 얕아지게 되어 있고, 그 말단은 거의 깊이가 0이 되도록 되어 있다. 또, U자 모양의 중앙부로 되는 중앙부(19c)는 전후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보다도 경사진 방향으로 뻗어 있고, 그 경사는, 긴 전후 홈부(19a) 측에서 짧은 전후 홈부(19b) 쪽으로 전방을 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펜 끝(20)의 선단부를 사용하지않을 때에 덮어주는 캡(30)은, 축통(10)과 매체(16) 사이를 삽통해서 축통(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됨과 더불어, 상하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게 배설된다. 캡(30)은, 도 6에 도시된 것 과 같이, 후단부가 4각통 모양의 기부(30a)로 되어 있고, 기부(30a)로부터 1쌍 아암부(30b, 30b)가 앞쪽으로 뻗어 있고, 1쌍의 아암부(30b, 30b)의 선단에는 캡부(30c)가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이 캡(30)이 일체의 성형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예컨대 캡부(30c)와 아암부(30b)를 별개의 부품으로 해서, 복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아암부(30b)의 뒷부분에는, 내외에 탄성변형할 수 있도록 된 돌기(30d)가 형성되어 있고, 또 아암부(30b)의 중간부에는 관통구멍(30e)이 형성되어 있다.
캡(30)의 후단에는 노크부재(32)가 연결된다. 노크부재(32)는, 축통(10)의 후단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축통(10)의 본체(12)의 경사진 후단부의 절결부분을 이용해서 노크부재(32)의 노크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크부재(32)의 횡단면의 외부형상도 축통(10)의 내부형상에 합치하도록 대략 4각형상을 이루고서, 그 양 측면에는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긴 장공(32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장공(32a)에, 상기 캡(30)의 돌기(30d)가 슬라이드할 수 있게 끼워짐으로써, 캡(30)이 노크부재(32)에 대해 경사이동과 회동을 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또, 노크부재(32)의 내부에는 후단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봉상부(32b)가 연장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봉상부(32b)의 주위에는 노크 스프링(부세부재; 34)이 감겨져 있다. 노크 스프링(34)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노크부재(32)의 후단면과 매체(16)의 뒷 마개(24) 사이에 끼워져 있어서, 노크부재(32) 및 캡(30)을 항상 후방으로 밀어붙이고 있다. 노크 스프링(34)은, 봉상부(32b)에 의해 그 굽힘이나 가로방향 어긋남이 방지되게 된다.
캡(30)의 각 아암부(30b)의 관통구멍(30e)에는 가이드(36)가 삽입되어 있다. 가이드(36)는 관통구멍(30e)에 확실하게 적합한 횡단면 형상을 가진 형상을 이루고서, 관통구멍(30e)을 관통함과 더불어, 관통구멍(30e)을 자유로이 슬라이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가이드(36)가 원주 형상으로 되어 있으나, 다각기둥 형상이나 타원기둥 형상으로 할 수가 있다. 또는, 속이 찬 구조로 하는 대신, 도 1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내부에 공간부를 설치하고, 외표면에 돌기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에 탄발성을 마련해서, 이하에서 설명하는 안내 홈에 걸려지는 힘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도 5는, 축통(10)에 형성된 안내 홈(15)을 실선으로, 매체(16)에 형성된 안내 홈(19)을 파선으로 나타낸 것이다. 안내 홈(15)과 안내 홈(19)은, 상호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긴 전후 홈부(15a)와 긴 전후 홈부(19a)가 대향하고, 각각 캡 받침(18c) 측에 위치해 있다. 마찬가지로, 짧은 전후 홈부(15b)와 짧은 전후 홈부(19b)가 대향 하고, 각각 펜 끝(20) 측에 위치해 있다. 또, 전후 홈부(19a)는, 후방을 향해 홈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전후 홈부(15a)보다도 후방으로 길게 뻗어 있고, 전후 홈부(15b)는, 후방을 향해 홈 깊이가 점차 얕아지는 전후 홈부(19b)보다도 후방으로 길게 뻗어 있다. 캡(30)의 아암부(30b)의 관통구멍(30e)을 자유로이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된 가이드(36)의 양단은, 안내 홈(15) 및 안내 홈(19)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삽입해서 걸려지도록 되어 있다. 또, 각 안내 홈(15, 19)의 중앙부(15c, 19c)의 경사는 각각 반대의 방향을 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기구에서 그 작용을 도 8 내지 도 12를 이용해서 설명한 다. 먼저, 매체(16)의 사용시에는, 가이드(36)의 단부는, 안내 홈(19)의 전후 홈부(19a)에 삽입되어, 전후 홈부(19a)의 후단부에 위치해 있다. 전후 홈부(19a)의 후단부에 대향하는 안내 홈(15)은 아니기 때문에, 가이드(36)의 단부는 전후 홈부(19a)에만 걸려져 있게 된다(도 9(a)).
이때, 캡(30)의 아암부(30a)가 도 8, 도 l0a의 상측에 위치하도록 캡(30)은 노크부재(32)에 대해 회동하고 있고, 따라서 캡부(30c)는 캡 받침(18c)에 씌워져 있고, 펜 끝(20)이 노출된 밀봉 해제상태로 있게 된다. 캡부(30c)는 축통(10) 내에 거의 수납된 상태로 있고, 펜 끝(20)에 의한 필기의 방해로 되지 않아, 기구를 사용할 수가 있도록 되어 있다.
필기가 종료되어, 펜 끝(20)을 덮어 보호하기를 원한다면, 사용자에 의해 노크부재(32)가 노크된다. 이 노크에 의한 노크부재(32)의 전진에 의해, 노크부재(32)에 연결된 캡(30)이 전진하고, 이때, 가이드(36)는 안내 홈(19)의 전후 홈부(19a)의 후단부를 출발해서, 전후 홈부(19a)를 따라 이동하고(도 9(a), 도 10b), 또 중앙부(19c)로 이행한다(도 9(b), 도 10c). 가이드(36)는, 중앙부(19c)의 경사를 따라 전후 홈부(19b) 측에 있는 중앙부(19c)의 단부까지 이동할 수가 있다(도 10d, 도 10e). 그리하여, 가이드(36), 캡(30) 및 노크부재(32)의 새로운 전진은 없기 때문에, 노크부재(32)의 노크 힘이 해제되면, 노크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36)는 전후 홈부(19b)를 후퇴시킨다(도 9(c)). 전후 홈부(19b)는 도중에서부터 홈 깊이가 얕아지게 되어, 홈 바닥에 의해서 밀려진 가이드(36)는 그 반대측의 단부가 전후 홈부(15b)에 삽입되어, 전후 홈부(15b)를 따라 전후 홈부(15b)의 후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도 10f). 전후 홈부(15b)의 후단부에 대향하는 안내 홈(19)은 없기 때문에, 가이드(36)의 단부는 전후 홈부(15b)에만 걸려지게 된다(도 9(d)).
이상의 가이드(36)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36)와 함께 이동하는 캡(30)은 전진한 후, 노크부재(32)에 대해 회동하고, 그 후, 후퇴한다. 이때, 캡(30)의 캡부(30c)는 캡 받침(18c)에서 떨어져, 펜 끝(20) 쪽으로 회동하여, 펜 끝(20)을 포위한다. 즉, 아암부(30b)는 도 11, 도 l2a의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캡(30)이 노크부재(32)에 대해 회동한다. 캡(30) 및 노크부재(32)는 노크 스프링(34)에 의해 후방으로 밀어붙여져 있기 때문에, 캡부(30c)는 매체 본체(18)의 돌출부(18b)의 선단에 밀착되어, 펜 끝(20)을 밀폐상태로 포위해서, 펜 끝(20)의 건조를 막을 수가 있다.
다음, 필기하기를 원하면, 사용자에 의해 노크부재(32)가 다시 노크된다. 이 노크에 의한 노크부재(32)의 전진에 의해, 노크부재(32)에 연결된 캡(30)이 전진하는바, 이때 가이드(36)는 안내 홈(15)의 전후 홈부(15b)의 후단부를 출발해서, 전후 홈부(15b)를 따라 이동하고(도 9(e), 도 12b), 또 중앙부(15c)로 이행한다(도 9(f), 도 12c). 가이드(36)는, 중앙부(15c)의 경사를 따라 전후 홈부(15a) 측에 있는 중앙부(15c)의 단부까지 이동할 수 있게 된다(도 12d). 그리하여, 가이드(36), 캡(30) 및 노크부재(32)의 새로운 전진은 없게 되기 때문에, 노크부재(32)의 노크 탄발력이 해제되면, 노크 스프링(34)의 복원력에 의해 가이드(36)는 전후 홈부(15a)를 후퇴시킨다(도 9(g), 도 12e). 전후 홈부(15a)는 도중에서부터 홈 깊이가 얕아져, 홈바닥을 따라 밀려진 가이드(36)는 그 반대측 단부가 전후 홈부(19a) 에 삽입되어, 전후 홈부(19a)를 따라 전후 홈부(19a)의 후단부까지 이동하게 된다(도 12f). 전후 홈부(19a)의 후단부에 대향하는 안내 홈(15)은 없기 때문에, 가이드(36)의 단부는 전후 홈부(19a)에만 걸려지게 된다(도 9(h)).
이상의 가이드(36)의 이동에 의해, 가이드(36)와 함께 이동하는 캡(30)이 전진한 후, 노크부재(32)에 대해 회동하고, 그 후 후퇴한다. 이때, 캡(30)의 캡부(30c)는 펜 끝(20)에서 떨어져, 캡 받침(18c) 쪽으로 회동을 하여, 캡 받침(18c)을 덮어주게 된다. 이렇게 해서, 펜 끝(20)이 노출되기 때문에, 필기가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36)가, 캡(30)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에는 안내 홈(19)에만 걸려지고, 캡(30)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에는 안내 홈(15)에만 걸려지기 때문에, 노크부재(32)를 교대로 노크함으로써, 가이드(36)를 안내하는 안내 홈이, 안내 홈(15)과 안내 홈(19) 사이에서 교대로 절환되게 된다. 안내 홈(15)은 캡(30)을 펜 끝(20)의 밀봉상태로부터 밀봉 해제상태로 이동시키고, 안내 홈(19)은 캡(30)을 펜 끝(20)의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이동시키기에 적합한 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캡(30)의 캡부(30c)가 펜 끝(20)의 밀봉상태와 밀봉 해제상태와의 왕복동작을 확실히 실행할 수가 있게 된다.
가이드(36)는, 홈 깊이가 얕아지는 각 안내 홈의 홈 바닥에 의해 밀려짐으로써, 관통구멍(30e)을 슬라이드 해서 안내되는 안내 홈이, 안내 홈(15)과 안내 홈(19) 사이에서 교대로 절환되지만, 홈 깊이가 얕아지는 안내 홈의 홈 바닥에 의해 밀려지는 이외에는 절환되는 일이 없도록 하는 적당한 마찰력을 갖고서, 관통구 멍(30e)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으면 된다.
또, 캡(30)의 캡부(30c)는, 2개의 아암(30b, 30b)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2개의 아암(30b, 30b)을 매개로 노크 스프링(34)의 스프링 탄발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펜 끝(20)의 밀봉상태를 균형있고 안정되게 보유지지할 수가 있게 된다.
이 예에서는, 캡(30)을 펜 끝(20)의 밀봉상태로부터 밀봉 해제상태로 이동시키는 안내 홈(15)이 축통(10)에 형성되고, 캡(30)을 펜 끝(20)의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이동시키는 안내 홈(19)이 매체(16)에 형성되어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캡(30)을 펜 끝(20)의 밀봉상태로부터 밀봉 해제상태로 이동시키는 안내 홈이 매체에 형성되고, 캡(30)을 펜 끝(20)의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밀봉상태로 이동시키는 안내 홈(19)이 축통(10)에 형성되어도 되고, 또는 축통(10) 내의 어느 부재에 형성되고, 축통 내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구의 실시형태를 나타낸 전체 종단면도,
도 2a는, 축통의 종단면도,
도 2b는, 도 2a의 2b-2b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3은, 매체의 측면도,
도 4a는, 매체의 종단면도,
도 4b는, 도 4a의 4b-4b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축통에 형성된 안내 홈(실선)과 매체로 형성된 안내 홈(파선)을 나타낸 도면,
도 6a는, 캡의 종단면도,
도 6b는, 캡의 도 6a와 90°다른 면으로 절단한 종단면도,
도 6c는, 캡의 배면도,
도 7a는, 노크부재의 종단면도,
도 7b는, 도 7a의 7b-7b 선을 따라 바라본 단면도,
도 8은,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의 기구의 정면도,
도 9는, 캡의 밀봉 해제상태와 밀봉상태와의 이행을 가이드의 이동과 함께 나타낸 횡단면도,
도 l0a는, 캡의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의 기구의 종단면도,
도 l0b는, 도 l0a로부터 캡이 밀봉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0c는, 도 l0b에서 계속해서 캡이 밀봉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0d는, 도 10c에서 계속해서 캡이 밀봉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0e는, 도 10d에서 계속해서 캡이 밀봉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0f는, 도 10e에서 계속해서 캡의 밀봉상태로 있을 때의 종단면도,
도 11은, 캡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의 기구의 정면도,
도 12a는, 캡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의 기구의 종단면도,
도 12b는, 도 12a로부터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2c는, 도 12b에서 계속해서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2d는, 도 12c에서 계속해서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2e는, 도 12d에 계속해서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이행하는 도중의 도면,
도 12f는, 도 12e에 계속해서 캡의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의 종단면도,
도 13은, 내부에 공간부를 설치하고, 외표면에 돌기부를 형성하도록 한 가이드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 - - 축통
15 - - - - 안내 홈(제2 가이드로)
15a - - - - 전후 홈부(제2 안내부)
15b - - - - 전후 홈부(제1 안내부)
15c - - - - 중앙부
16 - - - - 매체
19 - - - - 안내 홈(제1 가이드로)
19a - - - - 전후 홈부(제1 안내부)
19b - - - - 전후 홈부(제2 안내부)
19c - - - - 중앙부
20 - - - - 펜 끝(매체의 선단부)
30 - - - - 캡
30b - - - - 아암부
30c - - - - 캡부
32 - - - - 노크부재(조작부재)
34 - - - - 노크 스프링(부세부재)
36 - - - - 가이드

Claims (9)

  1. 축통과, 축통에 보유지지되어 그 선단부가 축통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 매체와, 상기 매체의 선단부를 덮을 수 있는 캡부를 갖추어 매체의 선단부의 밀봉상태와 밀봉 해제상태로 절환될 수 있도록 축통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된 캡과, 당해 캡을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기구에서,
    캡에 설치된 가이드와,
    캡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부세부재와,
    가이드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캡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시켜 밀봉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로와,
    가이드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캡을 밀봉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시켜 밀봉 해제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로를 갖추되,
    상기 가이드가,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1 가이드로에만 걸려지고, 캡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2 가이드로에만 걸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제1 가이드로는 축통과 매체의 어느 한쪽에, 제2 가이드로는 축통과 매체의 어느 다른 쪽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는 아암부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설치되어, 가이드가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의 적어도 한쪽에 삽입되는 상태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2. 삭제
  3. 축통과, 축통에 보유지지되어 그 선단부가 축통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한 매체와, 상기 매체의 선단부를 덮을 수 있는 캡부를 갖추어 매체의 선단부의 밀봉상태와 밀봉 해제상태로 절환될 수 있도록 축통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부착된 캡과, 당해 캡을 조작하는 조작부재를 구비하는 기구에서,
    캡에 설치된 가이드와,
    캡을 후방으로 밀어붙이는 부세부재와,
    가이드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캡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시켜 밀봉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로와,
    가이드와 걸려지도록 되어 있고, 캡을 밀봉상태로부터 전진시켜 회동시킨 후, 후퇴시켜 밀봉 해제상태로 되도록, 상기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로를 갖추되,
    상기 가이드가, 캡이 밀봉 해제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1 가이드로에만 걸려지고, 캡이 밀봉상태로 있을 때에는 제2 가이드로에만 걸려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는, 상기 가이드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설치되고, 가이드는 상기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캡에 설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로(19)는, 캡을 밀봉 해제상태로부터 전진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19a)와, 캡을 회동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앙부(19c)와, 캡을 후퇴시키는 제2 안내부(19b)를 갖추되,
    상기 제2 가이드로(15)는, 캡을 밀봉상태로부터 전진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 안내부(15b)와, 캡을 회동시키도록 가이드의 이동을 안내하는 중앙부(15c)와, 캡을 후퇴시키는 제2 안내부(15a)를 갖추고서,
    제1 가이드로(19)의 제1 안내부(19a)와 제2 가이드로(15)의 제2 안내부(15a)가 대향하는 한편, 제1 가이드로의 제1 안내부(19a)의 쪽이 제2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15a)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1 가이드로(19)의 제2 안내부(19b)와 제2 가이드로(15)의 제1 안내부(15b)가 대향하는 한편, 제2 가이드로의 제1 안내부(15b)의 쪽이 제1 가이드로의 제2 안내부(19b)보다도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로(19)의 중앙부(19c)는, 제1 안내부(19a)의 전단에서 제2 안내부(19b)의 전단을 향해 앞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고, 상기 제2 가이드로(15)의 중앙부(15c)는, 제1 안내부(15b)의 전단에서 제2 안내부(15a)의 전단을 향해 앞쪽으로 경사져 뻗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로와 제2 가이드로는 홈으로서, 가이드가 홈 내에 삽입됨으로써 제1 가이드로 및 제2 가이드로에 걸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로(19)의 제2 안내부(19b)와 제2 가이드로(15)의 제2 안내부(15a)의 각 후단부는, 후방으로 향해 감에 따라 점차 홈 바닥이 얕아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축통과 매체와의 사이를 삽통하는 1쌍의 아암부를 갖추되, 1쌍의 아암부가 상기 캡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조작부재에 기울어질 수 있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구.
KR1020070114902A 2007-11-12 2007-11-12 기구 KR101384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02A KR101384084B1 (ko) 2007-11-12 2007-11-12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4902A KR101384084B1 (ko) 2007-11-12 2007-11-12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36A KR20090048836A (ko) 2009-05-15
KR101384084B1 true KR101384084B1 (ko) 2014-04-09

Family

ID=408577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4902A KR101384084B1 (ko) 2007-11-12 2007-11-12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08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0298A (ja) * 1986-01-09 1987-07-16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化粧用具等塗布具のキヤツプ
JPH0668881U (ja) * 1993-03-12 1994-09-27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筆記具
JP2004262222A (ja) 2003-01-09 2004-09-24 Kotobuki & Co Ltd 筆記具
KR20060003314A (ko) * 2004-07-05 2006-01-10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필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0298A (ja) * 1986-01-09 1987-07-16 三菱鉛筆株式会社 筆記具、化粧用具等塗布具のキヤツプ
JPH0668881U (ja) * 1993-03-12 1994-09-27 シヤチハタ工業株式会社 筆記具
JP2004262222A (ja) 2003-01-09 2004-09-24 Kotobuki & Co Ltd 筆記具
KR20060003314A (ko) * 2004-07-05 2006-01-10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필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836A (ko) 200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6877B2 (ja) 熱変色性筆記具
KR102234299B1 (ko) 필기구
JP4731501B2 (ja) ノック式筆記具
KR101384084B1 (ko) 기구
JP2009292001A (ja) シャープペンシル
WO2016002779A1 (ja) 塗布具
EP3222438B1 (en)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
JP5813929B2 (ja) 筆記具
JP6351099B2 (ja) 塗布具
CN114222668B (zh) 伸缩式书写工具
JP6530095B2 (ja) 筆記具
JP2006334832A (ja) 複式筆記具
JP5070942B2 (ja) 複式筆記具
JP6351098B2 (ja) 塗布具
JP2001191684A (ja) ノック式筆記具
JP4969205B2 (ja) 筆記具
JP5798770B2 (ja) 筆記具
JP2018108662A (ja) 熱変色性筆記具
JPH0617589Y2 (ja) 出没式筆記具
JP2002052892A (ja) クリップを有するスライド式の複合筆記具
JP2019051609A (ja) 出没式筆記具
JP2006150725A (ja) 出没式筆記具
JP2023174005A (ja) 出没式筆記具
JP2019111658A (ja) 多芯筆記具
JP4444692B2 (ja) クリップ部材を有するノック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