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207B1 -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207B1
KR100622207B1 KR1020000043390A KR20000043390A KR100622207B1 KR 100622207 B1 KR100622207 B1 KR 100622207B1 KR 1020000043390 A KR1020000043390 A KR 1020000043390A KR 20000043390 A KR20000043390 A KR 20000043390A KR 100622207 B1 KR100622207 B1 KR 100622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ular
skirt wall
wall
circumferential surface
t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3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9857A (ko
Inventor
츠지구치요우이치
야게타마사오
Original Assignee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저팬 크라운 코르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00043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07B1/ko
Publication of KR200200098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98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 B65D41/34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 B65D41/3485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the tamper element being rolled or pressed to conform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e.g. metallic closures having tear-off st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824Means for facilitating removing of the closure
    • B65D2543/00833Integral tabs, tongues, handles or simil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합성수지제 용기덮개(2)는 상면벽(4), 스커트벽(6), 및 손잡이편(8)을 구비하고 있다. 스커트벽(6)을 주부(14)와 탬퍼에비던트 저부(16)로 구획하는 환상파단수단(12)을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18)을 배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편은 스커트벽의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에 접속된 기단부(34)와, 기단부에서 상기 환상파단수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부(36)와, 상승부에서 스커트벽의 주부의 외주면을 따라 환상파단수단보다 상방을 원호상으로 연장하는 원호상부(38)를 갖는다.
합성수지, 용기덮개, 탬퍼에비던트, 스커트벽, 파단수단

Description

합성수지제 용기덮개{PLASTIC CONTAINER CLOSU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용기덮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용기덮개의 저면도.
도 4는 도 3의 IV-IV선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용기덮개를 유리제 우유병의 구경부(口頸部)에 장착한 상태를 일부를 정면도,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용기덮개 4 : 원형상면벽
6 : 원통상 스커트벽 8 : 손잡이편
10 : 원통상 밀봉편 12 : 환상파단수단
14 : 주부 16 : 탬퍼에비던트저부
18 : 환상홈 20 : 환상플랜지
21 : 칼라 22 : 돌출부
24 : 맞물림수단 26 : 원호상 돌출부
28 : 맞물림수단 30 : 결손부
32 : 돌출부 34 : 기단부
36 : 상승부 38 : 원호상부
40 : 접속편 42 : 종방향 파단수단
44 : 슬릿 46 : 홈
48 : 결손면 50 : 결손면
52 : 몰드부재 54 : 분할몰드부재
56 : 구경부 58 : 상측 팽창부
60 : 하측 팽창부 62 : 환상 요부
64 : 환상 요부
본 발명은 탬퍼 에비턴트(tamper evident)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더욱 상세하게는 합성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되고,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유리제 우유병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탬퍼 에비던트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제2743160호 공보 및 특개평9-30552호 공보에는 특히 유리제 우유병에 바람직하게 적용되는 폴리에틸렌같은 적절한 합성수지로부터 일체로 성형된 합성수지제 용기덮개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기덮개는 원형상면벽, 이 상면벽의 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상 스커트벽(skirt wall), 및 손잡이편(knob piece)이 구비되어 있다. 스커트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 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스커트벽은 환상 파단수단 보다 상방에 있는 주부(主部)와 환상 파단수단 보다 하방에 있는 탬퍼 에비던트 저부로 구획되어 있다. 스커트벽의 내주면에는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인 맞물림수단이 형성되고,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내주면에도 마찬가지로 반경방향 안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인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편은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에 접속된 기단부에서 거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탬퍼 에비던트 저부에는 손잡이편의 기단부 근방에서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종파단수단도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용기덮개는 구경부(口頸部)의 외주면에 환상 요부(凹部)인 상측 맞물림수단과, 마찬가지로 환상 요부인 하측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용기, 예를 들면 유리제 우유병에 적용된다. 용기의 구경부에 용기덮개를 장착하여 구경부를 밀봉하는 경우에는 구경부에 용기덮개를 덮어 끼워 내리누르고, 스커트벽의 주부의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구경부의 상측 맞물림수단에 맞물리게 하고, 탬퍼 에비턴트 저부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수단을 구경부의 하측 맞물림수단에 맞물리게 한다. 용기의 구경부를 개봉하는 경우에는 용기덮개의 손잡이편을 잡고 잡아당김으로써 탬퍼 에비던트 저부의 종파단수단을 파단시키고, 이어서 스커트벽의 환상 파단수단을 파단시키고, 이렇게 하여 탬퍼 에비던트 저부를 스커트벽의 주부에서 분리시킴과 동시에 구경부에서 이탈시킨다. 그런 연후에 용기덮개의 잔부, 즉 상면벽과 스커트벽의 주부를 구경부에서 이탈시킨다.
상기 일본특허 제27431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덮개에 있어서, 환상 파단수단은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의 얇은 벽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는 경우에는 용기덮개 성형시의 형제거(mold release)라는 점에서 스커트벽의 적어도 환상홈에서 하방 부분의 외곽을 규정하는 자형부(female mold)를 반경방향 외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용기덮개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2개의 분할형(split-mold) 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할형부재를 사용하는 경우, 손잡이편은 형제거(mold release)라는 점에서 그 기단부가 분할형부재의 상호 접촉선을 걸친 형태로 하고, 따라서 기단부의 일부가 일방의 분할형부재에 의해 규정되고 기단부의 잔부가 타방의 분할형부재에 의해 규정되고, 손잡이편의 주부는 분할형(split-mold)의 타방에 의해 규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손잡이편의 주부는 분할형의 수평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필요하고,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이 아니라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의 접선에 대하여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것이 필요하다. 손잡이편의 주부를 이처럼 직선상으로 연장시키는 경우에는 손잡이편의 주부의 길이가 길게 되면 손잡이편의 선단부와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의 사이에 상당한 공간이 생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공간의 존재에 기인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용기덮개를 용기의 구경부에 장착하는 장착공정 등에서 다수의 용기덮개를 호퍼 내에 투입한 때에 용기덮개의 손잡이편과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상당히 큰 공간에 다른 용기덮개의 손잡이편이 진입하고, 이것에 기인하여 용기덮개와 용기덮개 가 상호 맞물려지고, 소위 블로킹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손잡이편의 연장길이를 짧게 할 필요가 있으나, 손잡이편의 연장길이를 짧게 하면 손잡이편을 파지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따라서 종파단수단 및 환상 파단수단의 파단이 상당히 곤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특개평 9-305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덮개에서는, 환상파단수단은 스커트벽의 외주면에는 없고 내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의 얇은 벽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스커트벽의 내부면에 환상홈을 배설하는 경우, 스커트벽의 내주면을 규정하는 웅형(male mold)을 소위 분할형부재로 형성하면, 웅형(male mold) 자체의 구성 및 그 이동공정이 매우 복잡하게 되기 때문에 통상은 웅형(male mold)에 분할형(split-mold) 구조를 채용하지 않고, 스커트벽의 내주면에 배설된 환상홈에 관하여는 소위 무리한 형제거(forced mold release)를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무리한 형제거(forced mold release)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환상홈의 깊이를 작은 값으로 제한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얇은 벽부의 벽두께를 충분히 작게 하기 위해서는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벽두께를 상당히 얇게 할 필요가 있다.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벽두께를 상당히 얇게 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환상홈의 한쪽 연(緣)은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연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에 환상홈의 성형성이 저하된다. 즉, 필요로 하는 환상홈을 안정하게 성형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하단연에 지지부재를 접촉시켜 용기덮개에 힘을 가하면 얇은 탬퍼에비던트 저부가 지나치게 변형되게 되므로 성형된 용기덮개에서 웅형(male mold)을 무리하게 제거하는 경우에는 용기덮개 의 상면벽의 내면에 힘을 가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렇게 함으로써 상면벽이 외측으로 불룩하게 튀어나온 형상으로 변형되어버리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스커트벽의 환상 파단수단을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의 얇은 벽부(annular thin-wall portion; 이하 '환상박벽부'라 함)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하고 있고, 따라서 스커트벽의 적어도 환상홈에서 하방 부분의 외곽을 규정하는 자형부(female mold)를 반경방향 외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켜 용기덮개에서 이격시킬 수 있는 2개의 소위 분할형(split-mold)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손잡이편(knob piece)의 연장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특개평9-305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덮개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일본특허 제2743160호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덮개에 존재하는 문제점도 회피할 수 있는 신규하고 개량된 용기덮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박벽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환상파단수단을 형성함과 동시에, 손잡이편을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에 접속된 기단부와, 이 기단부에서 환상파단수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부와, 상승부에서 스커트벽의 주부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고 환상파단수단보다도 상방을 원호상으로 연장하는 원호상부를 갖는 형태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합성수지제 용기덮개로서,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상면벽, 상기 상면벽의 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상 스커트벽, 및 손잡이편을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은 상기 환상파단수단보다 상방의 주부와 상기 환상파단수단보다 하방의 탬퍼에비던트 저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주부의 내주면에는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파단수단은 상기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박벽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편은 상기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에 접속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서 상기 환상파단수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환상파단수단보다 상방을 원호상으로 연장하는 원호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가 제공된다.
상기 손잡이편의 상기 원호상부의 내면은 파단가능한 가느다란 접속편을 통하여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주부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탬퍼에비던트 저부에는 상기 손잡이편의 상기 기단부 근방에서 상기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파단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합성수지제 용기덮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체를 도면부호 2로 나타내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같은 합성수지 로 사출성형법 혹은 압축성형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있다(성형시의 형(mold) 형태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언급한다). 이러한 용기덮개(2)는 원형상면벽(4), 이 상면벽(4)의 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상 스커트벽(6), 및 스커트벽(6)의 외주면에 부설된 손잡이편(8)을 구비하고 있다. 도 4에서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상면벽(4)의 내면에는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상 밀봉편(10)이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에는 환상파단수단(12)이 형성되어 있고, 스커트벽(6)은 환상파단수단(12)보다 상방의 주부(14)와 환상파단수단(12)보다 하방의 탬퍼에비던트저부(16)로 구획되어 있다. 환상파단수단(12)은 도 4를 참조함으로써 명확히 이해되는 바와 같이, 스커트벽(6)의 외주면에 환상홈(18)을 배설하여 환상박벽부 즉, 스코어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외주면 하단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환상플랜지(20)가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플랜지(20)의 소정 각도 위치, 즉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손잡이편(8)에 대하여 약 90도 이격된 위치에는 반경방향 외방으로 돌출되는 칼라(collar)(21)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의 주부(14)에서의 환상플랜지(20)보다 상방의 영역에는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축선방향 상방에 스커트벽(6)과 상면벽(4)의 경계영역까지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다.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내주면에는 도 3 및 도 4에서 이해되는 바와 같이, 맞물림수단(24)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맞물림수단(24)은 원주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설되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3개의 원호상돌출부(26)로 구성되어 있다. 도 4에 의해 이해되는 바와 같이,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내경은 주부(14)의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내주면에도 맞물림수단(28)이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수단(28)은 후술하는 손잡이편(8)의 하단부가 위치하는 부위에서의 결손부(30)를 제외하고 원주방향에 연속하여 연장되는 돌출부(32)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을 계속하면, 스커트벽(6)의 외주면에 부설된 손잡이편(8)은 기단부(34), 상승부(36) 및 원호상부(38)를 갖는다. 기단부(34)는 도 2에서 상방으로 향하여 좌측으로 약간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명확히 이해되는 것처럼, 기단부(34)는 비교적 두꺼운 벽이고, 스커트벽(6)의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외주면에 충분히 견고하게 접속되어 있다. 상승부(36)는 기단부(34)보다 얇고, 기단부(34)의 두께방향 외측부에서 축선방향 상방으로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상승부(36)는 상기 환상파단수단(12)을 넘어서 상방으로, 즉 스커트벽(6)의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상단을 넘어서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영역까지 연장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원호상부(38)는 도 3에서 명확히 이해되는 것처럼, 상승부(36)의 상단부에서 원주방향으로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부(38)는 환상파단수단(12)보다 상방에 위치되어 있는 것이 중요하다. 손잡이편(8)의 상승부(36) 및 원호상부(38)의 내면은 스커트벽(6)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있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호상부(38)의 내면에서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외주면까지,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환상플랜지(20)까지 연장되는 파단가능한 가느다란 접속편(40)이 배설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스커트벽(6)의 탬퍼에비던트 저부(16)에는 손잡이편(8)의 기단부(34) 근방에서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상단부터 하단까지 종방향(즉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파단수단(42)도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의 종방향파단수단(42)은 탬퍼에비던트 저부(16)에 형성된 슬릿(베어낸 자국)(44)과,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외주면에 홈(46)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된 박벽부(thin-wall portion) 즉 스코어로 구성되어 있다. 슬릿(44)은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주부(44a)와 이 주부(44a)의 편측부에서 하방으로 실질상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직하부(44b)를 갖는다. 박벽부를 생성하는 홈(46)은 슬릿(44)의 하단에서 손잡이편(8)의 기단부(34)의 편측연(片側緣)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46a), 부분(46a)에 이어져 기단부(34)의 하단연을 따라 연장되는 부분(46b) 및 부분(46b)에서 더욱 하방으로 향하여 도 2에서 우방으로 경사져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하단까지 연장되는 부분(46c)을 갖는다. 성형시 형제거(mold release) 중에 상기 슬릿(44) 및 홈(46)에 기인하는 무리한 제거를 회피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도 2에서 슬릿(44)의 주부(44a)와 수직하부(44b) 그리고 홈(46)의 부분(46a)와 부분(46b)의 좌측영역에 탬퍼에비던트저부(16)의 외주면의 표면부를 결손시켜 형성된 거의 평탄한 결손면(48)이 배설되어 있고, 또한 도 2에서 홈(46)의 부분(46c)의 우측영역에도 탬퍼에비던트저부(16)의 외주면의 표면부를 결손시켜 형성된 거의 평탄한 결손면(50)이 배설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는 용기덮개(2)를 성형하는 경우에 사용되는 자형(female mold), 즉 용기덮개(2)의 외곽(상부면 및 외주면)을 규정하는 형부재(mold member) 도 이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 이러한 자형은 환상파단수단(12)보다 상방의 외곽, 즉 상면벽(4)의 상부면 및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외주면을 규정하는 상측 형부재(52)와 함께, 환상파단수단(12) 이하의 외곽, 즉 환상파단수단(12)의 외주면 및 스커트벽(6)의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외주면을 규정하는 2개의 분할형부재(54a 및 54b)로 구성되어 있다. 형제거시에는, 상측 형부재(52)는 용기덮개(2)에 대하여 축선방향 상방으로 직선상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고, 2개의 분할형 부재(54a 및 54b)는 반경방향 양쪽 외방으로 직선상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용기덮개(2)에 있어서, 손잡이편(8)의 원호상부(38)는 환상파단수단(12)보다도 상방에 위치되어 있고, 따라서 2개의 분할형 부재(54a 및 54b)에 의해 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형제거 중에 축선방향 상방으로 이동되는 상측 형부재(52)에 의해 규정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형제거 중에 무리한 제거를 할 필요없이,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외주면을 따라서 소요 길이에 걸쳐 원호상으로 연장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일본특허 제274316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용기덮개에서와 같이, 손잡이편을 환상파단수단보다도 하방에 위치되게 한 경우에는 손잡이편의 전체가 2개의 분할형 부재에 의해 규정되고, 따라서 원호상부(38)에 대응하는 부분을 분할형 부재의 이동방향에 평행한 방향, 즉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에서의 접선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어야만 하고(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을 따라 원호상으로 연장되면, 2개의 분할형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경우에 지나치게 무리한 제거가 일어난다), 원호상부(38)에 대응하는 부분을 소요 길이로 하면, 그 선단부와 탬퍼에비던트저부의 외주면과의 간격이 문제가 된다.
도 5는 유리제 우유병의 구경부(56)에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용기덮개(2)를 장착하여 구경부(56)를 밀봉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 자체가 공지된 우유병의 구경부(56)는 전체로서 거의 원통형상이고, 그의 외주면에는 환상 상측 팽창부(bulge)(58)와 환상 하측 팽창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 팽창부(58)의 하방에는 상측 맞물림수단을 구성하는 환상 요부(62)가 규정되고, 하측 팽창부(60)의 하방에는 하측 맞물림수단을 구성하는 환상 요부(64)가 규정되어 있다. 구경부(56)에 용기덮개(2)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구경부(56)에 용기덮개(2)를 끼워 하방으로 내리누르고, 도 5에 도시하는 것처럼 스커트벽(6)의 주부(14)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수단(24) 즉 3개의 원호상 돌출부(26)를 환상 요부(62)에 맞물리게 하고, 탬퍼에비던트 저부(16)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는 맞물림수단(28) 즉 돌출부(32)를 환상 요부(64)에 맞물리게 한다. 그 결과, 상면벽(4)의 내면에 형성되어 있는 밀봉편(10)이 구경부(56)의 내주면에 밀봉접촉되고, 따라서 구경부(56)가 밀봉된다.
구경부(56)에서 용기덮개(2)를 이탈시켜 구경부(56)를 개봉하는 때에는 최초로 손잡이편(8)의 원호상부(38)를 외방으로 힘을 가하여 가느다란 접속편(40)을 파단시킨다. 이어서, 원호상부(38)를 파지하여 소요 방향으로 잡아당겨 탬퍼에비던트 저부(16)에 형성되어 있는 종방향 파단수단(42)를 파단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홈(46)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박벽부를 파단하고, 그리고 환상파단수단(12)을 파단하고, 더욱 상세하게는 환상홈(18)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환상박벽부를 파단하고, 이렇게 하여 탬퍼에비던트 저부(16)를 스커트벽(6)의 주부(14)에서 분리시킴과 동 시에 구경부(56)에서 이탈시킨다. 그 후에, 스커트벽(6)의 주부(14)에 형성되어 있는 칼라(21)에 손가락을 걸어 상방으로 힘을 가하고, 맞물림수단(24)을 구성하는 3개의 원호상 돌출부(26)를 구경부(56)의 환상 요부(62)에서 탄성적으로 이탈시키고, 상면벽(4) 및 스커트벽(6)의 주부(14)를 구경부(56)에서 이탈시킨다. 개봉한 구경부(56)를 일차적으로 가밀봉하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에는 탬퍼에비던트 저부(16)가 분리된 용기덮개(2), 즉 상면벽(4) 및 스커트벽(6)의 주부(14)를 구경부(56)에 끼워 내리누르고, 맞물림수단(24)을 구성하는 3개의 원호상 돌출부(26)를 구경부(56)의 환상 요부(62)에 다시 맞물리게 하면 된다.
본 발명의 용기덮개에 있어서는, 스커트벽의 환상파단수단이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박벽부를 생성함으로써 형성하고 있고, 따라서 스커트벽의 적어도 환상홈에서 하방 부분의 외곽을 규정하는 자형부를 반경방향 외방으로 직선적으로 이동시키고 용기덮개에서 이격되게 할 수 있는 2개의 소위 분할형 부재로 구성할 필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손잡이편의 연장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할 수 있다.

Claims (3)

  1.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된 상면벽, 상기 상면벽의 주연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상 스커트벽, 및 손잡이편을 구비하고,
    상기 스커트벽에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환상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은 상기 환상파단수단보다 상방의 주부와 상기 환상파단수단보다 하방의 탬퍼에비던트 저부로 구획되어 있고,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주부의 내주면에는 맞물림수단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파단수단은 상기 스커트벽의 외주면에 환상홈을 배설하여 환상박벽부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손잡이편은 상기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외주면에 접속된 기단부와, 상기 기단부에서 상기 환상파단수단을 넘어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에서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외주면을 따라 상기 환상파단수단보다 상방을 원호상으로 연장하는 원호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편의 상기 원호상부의 내면은 파단가능한 가느다란 접속편을 통하여 상기 스커트벽의 상기 주부의 외주면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탬퍼에비던트 저부에는 상기 손잡이편의 상기 기단부 근방에서 상기 탬퍼에비던트 저부의 상단에서 하단까지 연장되는 종방향 파단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KR1020000043390A 2000-07-27 2000-07-27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KR100622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390A KR100622207B1 (ko) 2000-07-27 2000-07-27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3390A KR100622207B1 (ko) 2000-07-27 2000-07-27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57A KR20020009857A (ko) 2002-02-02
KR100622207B1 true KR100622207B1 (ko) 2006-09-07

Family

ID=37478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3390A KR100622207B1 (ko) 2000-07-27 2000-07-27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2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542187A (zh) * 2015-09-18 2017-03-29 赖国鼎 塑料易撕瓶盖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8282A (ja) * 2000-09-01 2002-03-08 Japan Crown Cork Co Ltd 加熱殺菌可能な樹脂製キャップ
JP3423507B2 (ja) * 1995-10-06 2003-07-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507B2 (ja) * 1995-10-06 2003-07-07 株式会社吉野工業所 キャップ
JP2002068282A (ja) * 2000-09-01 2002-03-08 Japan Crown Cork Co Ltd 加熱殺菌可能な樹脂製キャ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9857A (ko) 2002-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6168B1 (ko) 고정밴드를갖는개봉사실확인마개
EP1666370B1 (en) Synthetic resin cap, closing device, and container-packed beverage
KR100586748B1 (ko) 플래스틱 캡
KR100797913B1 (ko) 제거 보조부를 갖는 복합 마개 및 그 제조 방법
JPS58160259A (ja) ねじまたはアンダ−カツトを有する容器首部の蓋と蓋構造体およびこの蓋構造体の組立方法
US4331233A (en) Activation closure for vial
KR20190126803A (ko) 합성수지제 용기 덮개
RU2660044C1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из синтетической смолы
RU2461500C2 (ru) Запо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KR100622207B1 (ko) 합성수지제 용기덮개
JPH09221155A (ja) 樹脂製キャップ
JPH08244802A (ja) キャップ
JP4330234B2 (ja) 容器とそのキャップ
JP4227813B2 (ja) Te性を有するプレスオンツイストオフキャップ及び該キャップと容器との閉栓構造
JP7123753B2 (ja) ヒンジキャップ
JP2019210054A (ja) 封緘部付きキャップ
JP4205801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JP3748604B2 (ja) 分別廃棄容易な合成樹脂製容器蓋
JP4171605B2 (ja) 紙パック用スパウト
JP4818739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EP0407441B1 (en) Containers with tamper evident closures
JP4762426B2 (ja) 分別廃棄可能なキャップ
JP2006527690A (ja) 容器を密封するための蓋締装置および方法
JPH0738164Y2 (ja) 密閉キャップ
JPH11115953A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