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315B1 - 렌즈미터 - Google Patents

렌즈미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315B1
KR100621315B1 KR1020050007371A KR20050007371A KR100621315B1 KR 100621315 B1 KR100621315 B1 KR 100621315B1 KR 1020050007371 A KR1020050007371 A KR 1020050007371A KR 20050007371 A KR20050007371 A KR 20050007371A KR 100621315 B1 KR100621315 B1 KR 100621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pection
glasses
lens
fram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7758A (ko
Inventor
에이이치 야나기
신이치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탑콘
Publication of KR20050077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7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01M11/0214Details of devices holding the object to be test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07Details of measur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0Testing of optical apparatus; Testing structures by optical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1/02Testing optical properties
    • G01M11/0228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 G01M11/0235Testing optical properties by measuring refractive power by measuring multiple properties of lenses, automatic lens 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02Lenses; Lens systems ; Methods of designing len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sting Of Optical Devices Or Fiber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서 협동하여 안경의 외측 테두리부를 협지하는 2개의 협지부재(21, 22)에 각기 별개로 장착 및 이탈가능하며, 양 협지부재(21, 22)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는, 양 협지부재(21, 22)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고, 안경으로서 지지되는 검사안경(10)의 트라이얼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하는 탈착식 렌즈(12)의 탭(12c)의 가동범위 밖의 프레임 부분에 접촉하는 돌출 협지부(71, 81, 82)를 갖고, 돌출 협지부(71, 81, 82) 이외의 부분은, 탭(12c)의 가동범위에서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된 검사 안경프레임용 어댑터(70, 80)를 구비한다.
렌즈미터, 검사안경

Description

렌즈미터{LENS METER}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예 관계되는 렌즈미터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내장되어 있는 광학계 등을 예시한다.
도 2는 도 1a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장착 구비되는 모니터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중 1)이다.
도 3은 도 1a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장착 구비되는 모니터로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모식도(그중 2)이다..
도 4는 도 1a에 나타낸 렌즈미터의 세트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세트부에 제품안경을 안착한 초기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 및 B-B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세트부에 안착된 제품안경이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E-E선 단면 및 F-F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7의 E-E선 단면 및 F-F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로, 최종적인 협지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C-C선 단면 및 D-D선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차광부재 및 프레임 서포트의 승강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그중 1)이다.
도 12는 차광부재 및 프레임 서포트의 승강기구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그중 2)이다.
도 13은 검사안경을 나타내는 모식도로, (a)는 검사안경 프레임, (b)는 탈착식 렌즈를 각각 나타낸다.
도 14는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 (a)는 뒤쪽의 협지부재용, (b)는 앞쪽의 협지부재용이다.
도 15는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각 협지부재에 장착한 세트부의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세트부에 검사안경이 협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각 협지부재와 일체화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협지부재에, 전동으로 장착 및 이탈시키는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CCD(광검출수단)으로의 투영상에 의거하여,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장착유무를 검출하는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장착유무를 검출하는 다른 검출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1은 종래의 렌즈미터의 안경 협지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검사안경을, 도 21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세트했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상측 하우징 2:하측 하우징
3:리어 하우징 4:케이스
5:모니터 6:조작스위치
7a, 8a:광원 7b, 8b:투광광학계
7c, 8c:검출광학계 7d, 8d:CCD
9:연산제어회로 16:안경
18:렌즈 20:세트부
21, 22:협지부재 23:지지핀
24:노즈패드 지지부재 25, 26:프레임 서포트
29, 30:회전 암 100:렌즈미터
본 발명은 안경렌즈의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렌즈미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상의 제품인 안경 이외에, 검사안경 프레임을 갖는 검사 안경에 관해서도 적용가능한 렌즈미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안경에 끼워지는 렌즈의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것으로서 렌즈미터가 알려져 있다.
이 렌즈미터는, 안경을, 그 렌즈가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소정의 위치에서 지지하는 안경 지지수단과, 광학특성 계측용 소정의 검사광을 출사하는 LED 등의 광원과, 안경 지지수단에 지지된 안경의 렌즈에 대해서, 렌즈의 대략 광축방향을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검사광을 투광하는 투광광학계와, CCD 등의 광검출수단과, 검사광이 안경렌즈를 투과함으로써 얻어진 투과광을 광검출수단으로 유도하는 검출광학계를 구비하고 있으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검사용 광은, 투광광학계에 의해서, 안경 지지수단에 지지된 안경렌즈에 해당 렌즈의 대략 광축방향을 따라서 유도되고, 이 렌즈를 투과한 투과광은, 검출광학계에 의해서 광검출수단으로 유도되며, 광검출수단에 의해서 그 광량분포 등이 검출됨으로써, 렌즈의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것이다.
이 종류의 렌즈미터는, 렌즈 단체(單體)를 계측대상으로 하는 계측장치와는 달리, 이미 안경으로서 프레임 등이 끼워진 렌즈를 계측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안경 지지수단에는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해서 협동하여 안경의 외측 테두리를 협지하는(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2개의 협지부재(21, 22)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들 2개의 협지부재(21, 22)에 의해서, 프레임을 갖는 안경에서는 프레임의 외측 테두리를 협지함으로써, 안경렌즈를 소정의 계측위치에 고정하고 있다.
또, 세트(set)시의 안경의 자세안정성의 관점에서, 협지부재(21, 22)를 포함 하는 안경 지지수단은, 안경을 그 렌즈가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도 21에 나타낸 렌즈미터(100)는, 렌즈의 하면측에 세워진 지지핀(23, 23)에 의해서 렌즈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5).
[특허문헌 1] 특개2002-202219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02-257680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2002-257681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2002-296549호 공보
[특허문헌 5] 특개2003-194670호 공보
그런데, 상술한 종래의 렌즈미터는, 주로 제품으로서의 안경을 계측대상으로 하고 있으나, 제품안경을 제작하기 전에 행해지는 시력검사 등에 사용되고 있는, 소위 검사안경(trial)프레임(11)(도 13a 참조)에 장착된 탈착식 렌즈(12)(도 13b 참조)에 관해서도 계측대상으로 하고픈 요망이 있으며, 이 경우, 검사안경 프레임(11) 및 이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된 탈착식 렌즈(12)로 이루어지는 검사안경(10)을 안경 지지수단에 지지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 검사안경(10)을 통상의 제품안경과 마찬가지로 렌즈미터에 세트하면, 도 22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부재(21 또는 (22))가, 탈착식 렌즈(12)에 설치된 탭(12c)에 닿아서, 탭(12c)과 함께 탈착식 렌즈(12)를 검사안경 프레임(11)에 대해서 회전시켜 버리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 탈착식 렌즈(12)가 난시 교정용 렌즈인 경우에는, 렌즈(12)가 회전함으로써, 렌즈(12) 원주축의 축각도가 세트시와는 다른 각도로 되어, 본래 계측 하고자 하는 광학특성을 계측할 수 없다.
또, 탈착식 렌즈(12)가 회전되지 않는 경우라도, 협지부재(21, 22)는 안경렌즈의 광축을 통과한 광이 광검출수단의 대략 중심에 입력되도록 안경을 협지함에도 불구하고, 검사안경(10)에서는, 한쪽의 협지부재(21)가 탭(12c)을 사이에 끼워서 검사안경 프레임(11)을 협지하기 때문에, 탭(12c)의 검사안경 프레임(11)으로부터의 돌출량에 따른 거리(L5)만큼, 렌즈(12)의 광축(12d)과, 광검출수단의 대략 중심에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지지핀(23)이 떨어져서, 렌즈(12)의 광축(12d)을 통과한 광이 광검출수단의 대략 중심에 입력되지 않게 되어, 정밀도가 좋은 계측결과를 얻을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의 제품으로서의 안경 이외에, 검사안경 프레임을 갖는 검사안경에 관해서도, 간단하고 용이하면서도 정밀도 좋게, 그 렌즈의 광학특성을 계측할 수 있는 렌즈미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미터는, 안경을 사이에 끼워서 지지하는 협지부재에, 검사안경 프레임 등 검사안경 프레임으로부터 돌출된 탈착 교환식 렌즈의 탭에 협지부재 등이 닿는 것을 방지하는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구비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미터는, 안경을, 그 렌즈가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지지하는 안경 지지수단과, 소정의 검사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안경 지지수단에 지지된 안경렌즈에 대해서, 이 렌즈의 대략 광축방향을 따라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검사광을 투광하는 투광광학계와, 광검출수단과, 검사광이 안경렌즈를 투과함으로써 얻어진 투과광을 광검출수단으로 유도하는 검출광학계를 구비하고, 안경 지지수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해서 협동하여 안경의 외측 테두리부를 협지하는 2개의 협지부재를 갖고, 렌즈의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렌즈미터는 상기 2개의 협지부재에 각기 별개로 장착 및 이탈가능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구비하고, 그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는 그 양 협지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협지부를 갖고, 그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가 그 양 협지부재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돌출 협지부는 상기 안경으로서 지지되는 검사안경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탈착식 렌즈의 탭의 가동범위 밖의 프레임 부분에 접촉하고, 그 돌출 협지부 이외의 부분은, 상기 탭의 가동범위에서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 검사안경이란, 한쌍의 안경렌즈와 그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제품으로서의 안경이 아니라, 가령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또 서로 다른 광학특성을 갖는 여러 종류의 탈착식 렌즈(12) 중 1매 이상을, 소위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한 상태의 시험용 안경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제품안경 제작전의 시력검사 장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 탭이란, 가령 동일 도면(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탈착식 렌즈(12)의 렌즈 본체(12a)를 외측 테두리측으로부터 유지하는 링(12b)에 형성된 파지부(把持部)이지만, 단지 파지부로서의 기능 외에, 렌즈 본체(12a)의 표리(表裏)나 교정 시도(視度)를 표시하는 기능이나, 난시 교정용 렌즈의 원주축의 축각도의 기준위치를 나 타내는 등의 기능도 갖고 있다.
또, 탭의 가동범위란, 탈착식 렌즈(12)를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가동범위로서, 탈착 조작에 따르는 탭의 궤적범위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탈착식 렌즈(12)가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된 상태에서, 렌즈(12)는 검사안경 프레임(11)에 대해서, 렌즈(12)의 대략 광축을 자전축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렌즈(12)를 이 회전 가능한 범위에서 회전시켰을 때의 탭(12c)의 궤적, 즉 띠형상의 원호 영역이 탭의 가동범위로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미터에 의하면, 검사안경의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된 탈착식 렌즈에 관한 광학특성을 계측할 때는,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각각 협지부재에 장착함으로써,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돌출 협지부가 검사안경 프레임을 협지하여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어댑터는, 검사안경의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된 탈착식 렌즈의 탭의 가동범위에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어댑터가 검사안경을 협지했을 때에 탈착식 렌즈를 변위시키는 일은 없으며, 이 렌즈미터에 세트되었을 때의 프레임과의 위치관계를 유지하여, 렌즈의 광학특성을 정밀도 좋게 계측할 수 있다.
또, 어댑터는 탭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검사안경의 렌즈의 광축이 광검출수단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크게 벗어난 위치에 세트되는 일이 없어, 이러한 점에서도 정밀도 좋은 계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어댑터는 검사안경측이 아니라, 이 렌즈미터의 협지부재측에 장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검사안경에 장착되는 어댑터보다도 장착 및 이탈조작을 용이하 게 할 수 있다.
일본 특허출원 2004-019131호의 명세서 내용 및 미국특허 제6,778,264B2호 공보의 내용을, 번호를 참조하여 본원 명세서 중에 삽입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미터의 최량의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계되는 렌즈미터(100)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낸 렌즈미터에 내장되어 있는 광학계 등을 예시한다.
(구성)
도시한 렌즈미터(100)는, 측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대략 コ형상을 이루는 케이스(4)를 가지며, 이 케이스(4)는 상측 하우징(1), 하측 하우징(2) 및 후부측의 리어 하우징(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측 하우징(1)의 정면에는, 도 2,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학특성의 계측결과 등을 표시하는 모니터(5)나 각종 조작스위치(6)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측 하우징(1)과 하측 하우징(2)의 사이에는, 광학특성을 계측할 대상이 되는 안경(16)(도 5참조)이 세트되는 세트부(20)(안경 지지수단)가 설치되어 있고,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는 세트부(20)에 지지된 안경(16)의 우측렌즈(18) 및 좌측렌즈(18)에 각각 대응하는 검사광을 출사하는 LED등의 광원(7a, 8a)과, 이들 우측렌즈(18), 좌측렌즈(18)에 대해서, 각 렌즈(18, 18)의 대략 광축(18a, 18a)방향을 따라서, 광원(7a, 8a)으로부터 출사된 검사광을 투광하는 투광광학계(7b, 8b)가 배치되어 있다. 또, 광원(7a, 8a)의 일부 또는 전부, 투광광학계(7b, 8b)의 일 부는 리어 하우징(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상측 하우징(1)에는, 이 상측 하우징(1)의 정면 및 양 측면의 하부 내측 테두리를 따르도록, 도면에서 보아 파선으로 나타내고 단면이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된 2단 승강식의 차광부재(53, 54)가 설치되어 있다.
하측 하우징(2) 및 리어 하우징(3)의 내부에는, 2차원의 공간 분해능을 갖는 CCD(7d, 8d)(광검출수단, 본 실시예에서는 공용 CCD가, 7d와 8d로서 사용됨)와, 검사광이 세트부(20)에 지지된 안경(16)의 각 렌즈(18, 18)를 투과함으로써 얻어진 투과광을, 각각 대응하는 CCD(7d, 8d)로 유도하는 할트만(Haltman)플레이트(할트만의 패턴판)를 포함하는 검출광학계(7c, 8c)와, CCD(7d, 8d)에 의해서 얻어진 광량분포 등에 의거하여 각 렌즈(18, 18)의 광학특성을 산출하는 각종 연상처리나 각부의 구동제어 등을 행하는 제어수단(9)이 설치되어 있다. 또, 검출광학계(7c, 8c)의 일부나, CCD(7d, 8d) 및 제어수단(9)의 일부 또는 전부는, 리어 하우징(3)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안경렌즈를 장치 본체의 좌우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측정광학계의 광로에 정확하게 배향시킨다. 측정광학계는, 상측 하우징부 내에 내장된 투광광학계(조명광학계)와, 하측 하우징부에 내장된 수광광학계를 갖는다.
좌측 투광광학계는, LED(7a1, 7a2), 콜리미터 렌즈(7b1, 7b2), 다이크로익 미러(dichroic mirror)(7b3)로 이루어져 있다. LED(7a1)는 적외광을 발사하고, LED(7a2)는 적색광(파장 630㎚)을 발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7b3)는 적외광을 반사하고, 적색광을 투과한다. 콜리미터 렌즈(7b1, 7b2)는 LED(7a1, 7a2)로부터 발생 된 발산광속을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 좌측 수광광학계는, 할트만의 패턴판(7c1), 스크린면(7c2')이 설치된 필드렌즈(7c2), 반사미러(7c3, 7c3'), 광로합성 프리즘(7c4), 결상렌즈(7c5), 수상(受像)소자인 CCD(수광소자, 수광수단)(7d)를 갖는다. 패턴판(7c1)에는 다수의 광투과부(도시 생략)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광투과부는 투과공 또는 다수의 렌즈 어레이라도 된다. 이것에 의해 패턴판(7c1)은 측정광속을 다수의 측정광속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렌즈 받침기구의 렌즈받침축의 축선은 측정광학계의 측정광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우측 측정광학계는, 상측 하우징 내부에 내장된 투광광학계(조명광학계)와, 하측 하우징부에 내장된 수광광학계를 갖는다.
투광광학계는, LED(8al, 8a2), 콜리미터 렌즈(8b1, 8b2), 다이크로익 미러(8b3)로 이루어져 있다. LED(8a1)는 적외광을 발사하고, LED(8a2)는 적색광(파장 630㎚)을 발사한다. 다이크로익 미러(8b3)는 적외광을 반사하고, 적색광을 투과한다. 콜리미터 렌즈(8b1, 8b2)는 LED(8a1, 8a2)로부터 발생된 발산광속을 측정광속으로서의 평행광속으로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 우측 수광광학계는, 할트만의 패턴판(8c1), 스크린면(8c2')이 설치된 필드렌즈(8c2), 반사미러(8c3), 광로합성 프리즘(8c4), 결상렌즈(8c5), CCD(우측 측정광학계와 공통)(8d)를 갖는다. 패턴판(8c1)에는 다수의 광투과부(도시 생략)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광투과부는 투과공 또는 다수의 렌즈 어레이 라도 된다. 이것에 의해 패턴판(8c1)은 측정광속을 다수의 측정광속으로 분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렌즈 받침기구의 렌즈받침축의 축선은 측정광학계의 측정광축과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좌측 측정광학계와 우측 측정광학계의 수광소자를 공통 CCD(7d, 8d)로 함으로써, 적은 광학부품으로 좌우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거의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좌측 측정광학계와 우측 측정광학계의 수광소자를 공통 CCD로 하였으나, 이 CCD는 좌측 측정광학계와 우측 측정광학계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좌우 안경렌즈의 굴절특성을 완전히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제어회로>
그리고, CCD(7d, 8d)로부터의 출력은 연산제어회로(9)에 입력된다. 이 연산제어회로(9)로부터의 출력은 성업장치 CPU(퍼스널 컴퓨터)로 입력된다. 또, 케이스(4)의 측벽에는 조작레버를 설치(도시 생략)하고, 조작레버가 수평으로 넘어지는 것을 검출하는 센서를 설치하며(도시 생략), 이 센서로부터의 출력을 연산제어회로(9)에 입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 세트부(20)에는, 도 4의 상세 사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협지부재(21, 22)가 렌즈미터(100)의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고, 이 2개의 협지부재(21, 22)는,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여, 도 5의 평면도 및 도 6(a), (b)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협지부재(21, 22)사이에서, 안경(16)이 거의 수평으로(렌즈(18)의 광축이 도면에서 보아 상하방향을 따르도록)배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이들 2개의 협지부재(21, 22)는, 서로 반대방향, 및 거의 동일 변위량으로 연동하여 변위하도록, 도시를 생략한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양 협지부재(21, 22) 간의 전후방향의 중간점은, 양 협지부재(21, 22) 간의 간격의 넓고 좁음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위치로 되어 있다. 이 연결부재에 의한 양 협지부재(21, 22)의 연동기구로서는, 가령 특허문헌 5에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는 기구 등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연결부재로서는, 미국특허 제6,778,264A2호의 Fig.6과 Fig.7의 부호40(40a, 40b)의 연결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세트부(20)에는, 안경(16)을 세트했을 때 각 렌즈(18)의 하면측(안경을 걸쳤을 때 안면을 향한 면측)에 지지핀(23, 23)이 세워지고, 각 지지핀(23, 23)이 안경(16)의 좌우 각 렌즈(18, 18)를 하면측으로부터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지지핀(23, 23)은, 양 협지부재(21, 22) 간의 전후방향의 대략 중간점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지핀(23, 23)은, 좌우 각 렌즈(18, 18)에 대응하여 각각 설치된 2개의 CCD(7d, 8d)(본 실시예에서는, 공용 CCD로서 사용됨)의 검출영역의 대략 중심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안경(16)의 프레임(17) 중, 렌즈(18, 18)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분의 폭과 상측에 배치되는 부분의 폭은 거의 같기 때문에, 안경(16)이 도 5와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협지부재(21, 22)에 협지된 상태에서는, 안경(16)의 렌즈(18, 18)의 광축(18a, 18a)과, 지지핀(23, 23)과의 전후방향의 위치는 거의 일치한다. 바꾸어 말하면, 안경(16)의 각 렌즈(18, 18)의 광축(18a, 18a)이, 2개의 지지핀(23, 23)을 잇는 선상에 배치되도록, 양 협지부재(21, 22)와 지지핀(23, 23)의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게다가, 지지핀(23, 23)은, 각 CCD(7d, 8d)의 검출영역의 거의 중심에 대응되어 있기 때문에, 안경(16)의 각 렌즈(18, 18)의 광축(18a, 18a)을 투과한 투과광이 각각 대응하는 CCD(7d, 8d)의 검출영역의 거의 중심에 입사하게 되며, 양 협지부재(21, 22)는, 안경(16)을 세트부(20)의 전후방향에 관해서 자동적으로, 및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게 된다.
또, 각 협지부재(21, 22)의 양 외측에는 각각, 각 협지부재(21, 22)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면이 대략 역L자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 서포트(25, 26)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프레임 서포트(25, 26)는 그 상면(25a, 26a)의 위치가, 지지핀(23, 23)의 정상부보다도 높지 않은 위치와, 지지핀(23, 23)의 정상부보다도 낮은 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스프링(65)(도 11참조)에 의해서, 지지핀(23, 23)의 정상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가압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프레임 서포트(25, 26)의 상면(25a, 26a)에는, 도 5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계측대상이 되는 안경(16)의 프레임(17)이 안착된다. 이때, 프레임(17)은, 좌우의 각 렌즈(18, 18)측 모두, 적어도 각 2개소가 프레임 서포트(25, 26)의 상면(25a, 26a)에 각각 접촉하기 때문에, 안경(16)은 전체로서 적어도 4점으로 프레임 서포트(25, 26)에 지지되고, 안경(16)의 안착된 자세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양 협지부재(21, 22)의 사이에 있어서, 좌우방향, 즉 길이방향의 거의 중앙부에는, 앞쪽의 협지부재(21)에 대향하는 면이 원주면으로서 형성된 노즈패드(nose pad)지지부재(24)가 배치되어 있다. 이 노즈패드 지지부재(24)는, 도시한 전후방향 거의 중앙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고, 도시한 위치에서,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 등에 의해 가압되며, 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협지부재(21, 22)가 협동하여 안경(16)을 전후에서 협지했을 때, 노즈패드 지지부재(24)의 원주면이 안경(16)의 노즈패드부(19, 19)에 접촉하여, 이 노즈패드부(19, 19)에, 미는 힘에 따른 가압력을 가한다.
이때, 좌우의 노즈패드부(19, 19)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균등하게 되도록, 안경(16)은 자세를 자율적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최종적으로는, 접촉부가 좌우 모두 세트부(20)의 좌우방향 중심으로부터 거리(L1, L1)로 이루어지는 위치에서 안정되어, 안경(16)을 세트부(20)의 좌우방향 거의 중앙에 자동적으로 위치결정하게 된다.
또, 노즈패드 지지부재(24)의 미는 힘은, 앞쪽의 협지부재(21)가 안경(16)을 후방으로 가압시키는 가압력보다 작기 때문에, 안경(16)의 좌우 노즈패즈부(19, 19)를 개재하여 받는 앞쪽의 협지부재(21)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 후퇴한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어 하우징(3)에는, 도면에서 보아 화살표방향으로 회전가능한 원주부재(27, 28)가 설치되어 있고, 각 원주부재(27, 28)에 는, 도면에서 보아 상방으로 연장되고, 그 상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대략 역L자형상의 회전 암(29, 30)이 접합되며, 이들 회전 암(29, 30)의 각 선단 근방에는 수평방향에 있어서, 양 회전 암(29, 30)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각 2개의 가압핀(31a, 31b, 32a, 32b)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각 원주부재(27, 28)가 각각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면, 이들 원주부재(27, 28)에 접합된 각 회전 암(29, 30)이 회동하고, 각 가압핀(31a, 31b, 32a, 32b)은, 지지핀(23, 23)의 상방에 배치된 안경(16)의 각 렌즈(18, 18)의 상면에 접촉하여, 이 렌즈(18, 18)를 하방(엄밀하게는, 접선방향이 하방으로 되는 원호방향)으로, 프레임 서포트(25, 26)의 미는 힘을 극복하고 가압한다.
그리고, 도 8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8, 18) 하방의 지지핀(23, 23)과, 렌즈(18, 18) 상방의 가압핀(31a, 31b, 32a, 32b)에 의해서 렌즈(18, 18)를 협지한 상태에서 원주부재(27, 28)의 회전이 정지하여, 렌즈(18, 18)의 도면에서 보아 상하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또, 가압핀(31a, 31b, 32a, 32b)이 렌즈(18, 18)를 하방으로 밀어내림으로써, 프레임 서포트(25, 26)는, 안경(16)의 프레임(17)을 개재하여 하방으로의 가압력을 받아서, 렌즈(18)의 하면과 지지핀(23)의 사이에 초기적으로 존재한 간극의 길이 분량만큼, 하방으로 밀려내린다.
이상과 같이, 세트부(20)는, 안경(16)을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에 대해서 각각, 소정의 계측위치로 세트(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프레임 서포트(26) 중, 안경(16)의 프레임(17)이 안착되지 않는 길이 범 위(가령, 도 5의 C-C선 부분 근방)에 대해서는, 도 10(a)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이지만, 안경(16)의 프레임(17)이 안착될 가능성이 있는 길이범위(가령, 도 5의 D-D선 부분 등)에 대해서는, 도 10(b)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L자형상의 모서리부에, 이 프레임 서포트(26)를 관통하는 슬릿(26b)이 형성되어 있다. 도시는 생략하였으나, 다른 쪽 프레임 서포트(25)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의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레임 서포트(25, 26)의 최외측 부분이 절결되어 있음으로써, 가령, 좌우 안경다리 간의 폭이 좁은 안경(16)을 계측대상으로 할 경우에, 안경(16)의 프레임(17)은 아니며, 어느 한쪽의 안경다리가, 이 프레임 서포트(25 또는 26)에 얹혀져, 안경(16)이 경사져서 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와 같은 안경다리 사이의 폭이 좁은 안경에 대해서도, 적정한 자세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 무테 안경에서는, 도 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18)와 안경다리(17a)가 접합핀(17b)에 의해서 접합되지만, 이 접합핀(17b)은 렌즈(18)를 관통하여 프레임 서포트(25, 26)측으로 돌출하고, 게다가 접합핀(17b)은 렌즈(18)에 장착되기 때문에, 프레임 부착 안경 프레임의 좌우방향 외측 부분보다도 좌우방향의 내측에 위치하여, 프레임 서포트(25, 26)에 얹혀지기 쉽다. 그리고, 접합핀(17b)이 프레임 서포트(25, 26)에 얹혀지면, 안경이 경사지게 지지되거나, 상방으로부터의 가압핀(31a, 31b, 32a, 32b)으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지지위치가 위치변위될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슬릿(26b)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접합핀(17b)이 슬릿 (26b)에 돌입한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접합핀(17b)이, 이 프레임 서포트(25 또는 26)에 얹혀져서, 안경(16)이 경사져서 세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경을 적정한 자세로 안착시킬 수 있다.
또, 하측 하우징(2)의 좌우방향의 폭(W1)을, 안경의 폭(W2)에 대해서 충분히 작게함으로써, 프레임 서포트(25, 26)간의 폭을 좁게 설정하고, 슬릿(25b와 26b)을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는 것도 가능하지만, 하측 하우징(2)의 내부에는 2차원의 너비를 갖는 CCD(7d, 8d)가 배치되어 있어, 하측 하우징(2)의 폭(W1)을 좁게 하면, CCD(7d, 8d)의 검출영역이 좁아져서, 계측 결과의 공간 분해능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술한 슬릿(25b, 26b)을 형성함으로써, CCD(7d, 8d)의 검출영역을 좁게하는 일 없이, 즉 계측결과의 공간 분해능을 저하시키는 일 없이, 안경(16)의 자세를 안정시킬 수 있다.
다음에, 상측 하우징(1)에 설치된 2단 승강식의 차광부재(53, 54)의 승강기구에 대해서, 도 11, 12의 요부 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리어 하우징(3)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한 구동력이 공급되어 회전하는 이송나사(61)와, 이 이송나사(61)에 나사결합되어 상하이동하는 너트(62)와, 후술하는 제 1차광부재(53)의 후단부(53a)가 접합된 승강 기초부재(51)와, 선단부(52b)에 제 2차광부재(54)의 후단부(54a)가 접합되고, 또 후단부(52a)가 승강 기초부재(51)에 축지지됨과 동시에, 자중에 의해 너트(62)의 상면에 접촉하는 안착부(52e)를 갖는 요동부재(52)와, 승 강 기초부재(51)가 하방으로 하강했을 때, 승강 기초부재(51)의 전방벽(51c)의 하단부(51b)가 부딪치는 스토퍼판(63)과, 하강된 너트(62)의 하면에 일단부(제 1단부)(64a)가 접촉하고, 타단부(제 2단부)(64c)가 프레임 서포트(25, 26)의 후단부(25c, 26c)의 상면에 접촉하며, 양단부(64a, 64c)간의 축지지부(64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서포트 누름부재(64)가 배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승강 기초부재(5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를 따라서, 그 자세를 유지한 채로 상하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요동부재(52)는 승강 기초부재(51)의 전방벽(51c)에 형성된 개구(51a)를 관통하고 있으며, 이 개구(51a)의 상측 테두리와 하측 테두리 사이에서, 후단부(52a)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너트(62)는 회전할 때에, 그 외주면이 승강 기초부재(51)의 전방벽(51c)이나 측벽 등과 간섭하기 때문에, 이송나사(61)의 회전에 의해서, 이송나사(6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일은 없으며, 이송나사(61)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면서 상하이동한다.
또, 프레임 서포트(25, 26)의 후단부(25c, 26c)의 하면에는 프레임 서포트(25, 26)를 상방으로 가압하는 스프링(65)이 배치되어 있다.
또,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는, 이 상측 하우징(1)의 내주벽을 따르도록, 평면에서 보아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 제 1차광부재(53)가 배치되고, 이 제 1차광부재(53)의 더욱 내주측에, 마찬가지로 대략 コ형상의 제 2차광부재(54)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각 차광부재(53, 54)는, 안경(16)의 렌즈(18)의 광학특성의 계측기간중 이외는 도 1a,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어, 외부에서 보아 인식되는 일이 없다.
한편, 렌즈(18)의 광학특성의 계측기간 중에는, 상측 하우징(1)의 하측 테두리(1a)로부터 하방으로 하강하여, 세트부(20)에 세트된 안경(16)의 상방공간의 주위를 덮고, 안경(16)의 렌즈(18)에, 측방으로부터의 외부광(노이즈광)이 입사되는 것을 억제한다.
다음에, 승강기구에 의한 차광부재(53, 54)의 승강동작 및 프레임 서포트(25, 26)의 승강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도 11(a)에 도시한 초기상태에 있어서는, 너트(62)가 이송나사(61)의 상부에 위치해 있고, 너트(62)의 상면에는 요동부재(52)의 안착부(52e)가 접촉하여, 요동부재(52)를 하방에서 지지하고 있다. 또, 이 요동부재(52)의 후단부(52a)는 승강 기초부재(51)에 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62)로부터 받는 지지력은, 승강 기초부재(51)에 대해서 도면에서 보아 시계회전방향의 회전 모우먼트로서 작용한다. 이 결과, 요동부재(52)의 안착부(52e)보다도 전방부분의 상면(52d)이, 승강 기초부재(51)의 전방벽(51c)에 형성된 개구(51a)의 상측 테두리에 접촉하여, 이 개구(51a)의 상측 테두리를 상방으로 가압한다.
여기에서, 승강 기초부재(51)는 자세를 바꾸는 일 없이 상하방향으로만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요동부재(52)의 후단부(52a)를 축지지하는 부분과, 개구(51a)의 상측 테두리가 상방으로 가압된 상태로 되며, 요동부재(52)를 개재하 여 너트(62)에 지지된 상태로 된다.
그리고, 승강 기초부재(51)에 접합된 제 1차광부재(53), 및 요동부재(52)에 접합된 제 2차광부재(54)는, 상측 하우징(1)의 하측 테두리(1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해서 이동나사(61)가 소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도 1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62)가 하방으로 하강하고, 이 너트(62)의 하강에 따라서, 요동부재(52) 및 승강 기초부재(51)가, 이들 양 부재(52, 51)간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를 변화시키는 일 없이 하강한다.
이것에 의해, 승강 기초부재(51)에 접합된 제 1차광부재(53)가 평행으로 하강하고, 상측 하우징(1)의 하측 테두리(1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 제 1차광부재(54)는, 상측 하우징(1)의 하측 테두리(1a)보다도 상방에 위치하여,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 기초부재(51)의 전방벽(51c)의 하단(51b)이 스토퍼판(63)에 접촉하는 위치까지 하강하면, 승강 기초부재(51)의 하강은 정지한다(도 11(b)).
이 상태에서 더욱 이송나사(61)가 회전하여 너트(62)가 하강하면,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요동부재(52)의 안착부(52e)는, 요동부재(52)의 자중에 의해서 너트(62)의 하강과 함께 하강하는 한편, 하강이 정지된 승강 기초부재(51)와의 축지지부인 후단부(52a)는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요동부재(52)는 후단부(52a)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도면에서 보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요동부재(52)는, 승강 기초부재(51)의 개구(51a)의 하측 테두리에, 그 하측 테두리(52c)가 접촉할 때까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요동부재(52)에 접합된 제 2차광부재(54)가, 요동부재(52)와 함께 회동하여, 제 1차광부재(53)의 하측 테두리(53a)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 2단 승강식 차광부재(53, 54)가 순차 돌출하고, 이 돌출한 차광부재(53, 54)가 세트부(20)에 세트된 안경(16)의 상방 공간에 측방으로부터 입사되는 외부광을 차광할 수 있다.
또, 제 2차광부재(54)는 안경(16)의 바로 옆까지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안경(16)의 상부 공간을 완전히 덮는 일은 없지만, 하측 하우징(2)의 내부에 설치된 검출광학계(7c, 8c)에 의해서 CCD(7d, 8d)로 유도되는 광속은, 어느 정도의 입사각도 범위의 것으로 한정되기 때문에, 차광부재(53, 54)에 의한 차광에 의해, 안경(16)의 렌즈(18)에 대한 입사각도(광축에 대한 각도)가 비교적 적은 외부광을 차단할 수 있어, 외부광의 차광기능을 충분히 달성할 수 있다.
또, 제 2차광부재(54)는, 요동부재(52)를 개재하여 너트(62)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을 뿐이며, 제 2차광부재(54) 및 요동부재(52)의 자중에 의해서만 하강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고,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하강상태(도 12(a))에 있어서도, 제 2차광부재(54)에 대해서 상방을 향해서 제 2차광부재(54) 및 요동부재(52)의 자중 이상의 하중으로 하방으로부터 가압하면, 용이하게 상방으로 밀려올라 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1차광부재(53)는, 승강 기초부재(51) 및 요동부재(52)를 개재하여 너트(62)의 상면에 안착되어 있을 뿐이며, 제 1차광부재(53), 승강 기초부 재(51), 요동부재(52) 및 제 2차광부재(54)의 자중에 의해서만 하강하고 있는데 지나지 않고, 구동수단의 구동력에 의해서 하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하강상태(도 12(a))에 있어서도, 제 1차광부재(53)에 대해서 상방을 향해서, 이들의 합계하중 이상의 하중으로 하방으로부터 가압하면, 용이하게 상방으로 밀려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조작자의 오조작에 의해, 차광부재(53, 54)의 하강영역에, 조작자가 손가락 등을 배치하고 있어도, 하강하는 차광부재(53, 54)가 손가락 등에 접촉한 위치 이상으로 강제적인 하강 하중이 걸려서 하강하는 일은 없다.
이 상태에서 더욱 이송나사(61)가 회전하여 너트(62)가 하강하면,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62)의 하면이 서포트 누름부재(64)의 제 1단부(64a)를 하방으로 밀어내리고, 서포트 누름부재(64)는 축지지부(64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며, 제 2단부(64c)가 프레임 서포트(25, 26)의 후단부(25c, 26c)의 상면을 스프링(65)의 누름력을 극복하고 밀어내려서, 프레임 서포트(25, 26)는 하방으로 하강한다.
이상은, 승강기구에 의한 차광부재(53, 54)의 하강동작 및 프레임 서포트(25, 26)의 하강동작이지만, 상승동작은 도 12(b)에 도시한 상태로부터, 구동수단이 이송나사(61)를 역회전시킴으로써, 상술한 하강동작을 순차 역방향으로 진행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도 14(a), (b)는 도 13(b)에 도시한 탈착식 렌즈(12)를 동일 도면(a)에 도시한 검사안경 프레임(11)에 장착한 검사안경(10)에 대해서, 이 렌즈미터(100)에 의해 광학특성의 계측을 행할 경우에 사용되는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이하, 어댑터로도 기재함)(80, 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14(a)의 어댑터(80)는, 세트부(20) 뒤쪽의 협지부재(22)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덮히고, 동일 도면(b)의 어댑터(70)는, 세트부(20) 앞쪽의 협지부재(21)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덮혀져서 사용되며, 어느 것이나 대응하는 협지부재(22, 21)의 평면에서 본 윤곽형상의 일부와 끼워맞춤됨으로써, 일의적(一義的)으로 위치결정된다.
즉, 어댑터(80)는 후방벽(84)의 내면(84a)이 뒤쪽 협지부재(22)의 후면(다른쪽 협지부재(21)와의 대향면과는 반대쪽의 배면)에 거의 접촉하고, 앞쪽의 중앙 전방벽(83)의 내면(83a)이 뒤쪽 협지부재(22)의 전면(다른쪽 협지부재(21)와의 대향면)의 중앙에 형성된 요면(凹面)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어댑터(70)는 전방벽(73)의 내면(73a)이 앞쪽 협지부재(21)의 전면(다른쪽 협지부재(22)와의 대향면과는 반대쪽의 배면)에 거의 접촉하고, 후방벽(72)의 내면(72a)이 앞쪽 협지부재(21)의 후면(다른쪽 협지부재(22)와의 대향면)의 중앙에 형성된 요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어댑터(70, 80)는, 양 협지부재(21, 22)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양 협지부재(21, 22)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여, 안경(16)으로서 지지되는 검사안경(10)의 검사안경 프레임(11)으로부터 돌출하는 탈착식 렌즈(12)의 탭(12c)의 가동범위 밖의 프레임 부분에 접촉하는 돌출 협지부(71, 81, 82)를 갖고, 이들 돌출 협지부(71, 81, 82)이외의 부분은, 탭(12c)의 가동범위에서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구체적으로는, 도 16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쪽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70)의 돌출 협지부(71)는 검사안경 프레임(11)의 좌우 연결부(11b)의 거의 중앙부에 접촉하고, 다른쪽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80)의 돌출 협지부(81, 82)는 검사안경 프레임(11)의 탭(12c)의 가동범위 밖의 좌우 각 하측 테두리에 접촉한다.
또, 어댑터(70)는 돌출 협지부(71)의 앞쪽 협지부재(21)의 중앙 후면으로부터의 돌출길이(L3)와, 어댑터(80)의 돌출 협지부(81, 82)의 뒤쪽 협지부재(22)의 돌출 전면으로부터의 돌출길이(L2)는, 협지부재(21)와 협지부재(22)가 서로 연동하여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일 길이(L4)만큼 변위되었을 때, 돌출 협지부(71, 81, 82)에 협지된 검사안경(10)의 렌즈(12, 12)의 광축(12d, 12d)이, 지지핀(23, 23)을 잇는 직선 상에 배치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결과, 검사안경(10)의 각 렌즈(12, 12)의 광축(12d, 12d)을 투과한 투과광은, 각각 대응하는 CCD(7d, 8d)(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용 CCD가, CCD 7d와 8d로서 사용됨)의 검출영역의 거의 중심에 입사하게 되어, 검사안경(10)을, 이 세트부(20)의 전후방향에 대해서 자동적으로, 또 적정하게 위치결정하는 것으로 된다.
또, 이들 어댑터(70, 80)는,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면에 의한 단면이 각각 대략 コ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각 대응하는 대략 사각 기둥형상의 협지부재(21, 22)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덮는 것만으로 간단한 조작에 의해서 장착가능하며, 또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것만으로의 간단한 조작으로 이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작용)
다음에, 본 실시예의 렌즈미터(100)의 작용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제품안경(16)에 대해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경우에 관해서 설명한다. 렌즈미터(100)는, 초기상태에 있어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협지부재(21, 22)가 크게 이격된 상태로 세트되고, 프레임 서포트(25, 26)는 상방으로 밀린 상태로 세트되고, 가압핀(31a, 31b, 32a, 32b)은 상방으로 물러나 있는 상태로 세트되며, 또 차광부재(53, 54)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세트되어 있다.
이 초기상태에 있어서, 양 협지부재(21, 22)의 사이에서, 도 5,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 서포트(25, 26)의 상면(25a, 26a) 상에 안경(16)이 안착된다.
다음에, 조작버튼(6)에 계측개시의 지시가 입력되면, 조작버튼(6)으로의 지시입력이 제어수단(9)으로 입력되고, 제어수단(9)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며, 구동수단은 양 협지부재(21, 22)를 서로 접근시키는 방향으로 연동시키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부재(21, 22) 사이에 안착된 안경(16)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부재(21, 22)에 협지됨과 동시에, 노즈패드 지지부재(24)에 접촉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해서 적정한 계측위치에 세트된다.
다음에, 제어수단(9)은 차광부재(53, 54)를 하강시키기 위해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구동시키고, 도 11(a)에 도시한 이송나사(61)를 회전시켜, 차광부재(53, 54)를 도 12(a)에 도시한 위치까지 하강시킨다.
또, 이 차광부재(53, 54)의 하강 제어와 병행해서, 원기둥부재(27, 28)(도 4참조)를 회전시키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원기둥부재(27, 28)의 회전에 의해, 회전암(29, 30)의 선단에 형성된 가압핀(31a, 31b, 32a, 32b)이 각 렌즈(18, 18)를 지지핀(23, 23)에 접촉시킬 때까지 하방으로 밀어내린다(도 8(a), (b) 참조).
또, 이 가압핀(31a, 31b, 32a, 32b)에 의한 밀어내림에 의해서, 안경(16)은 협지부재(21, 22)에 협지된 채로 하방으로 변위되지만, 이때, 안경(16)의 프레임(17)과 각 협지부재(21, 22)의 사이에는 미끄럼이 생기게 된다.
또, 안경(16)의 하방으로의 변위에 의해, 프레임 서포트(25, 26)는 하방으로 가압되어, 안경(16)의 변위분만큼 하방으로 변위된다.
다음에,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트(62)의 추가적인 하강에 의해, 프레임 서포트(25, 26)는 안경(16)의 프레임(17)으로부터 떨어져 하강된다.
여기에서, 안경(16)은, 적정하게는 협지부재(21, 22)와, 지지핀(23, 23) 및 가압핀(31a, 31b, 32a, 32b)에 의해서 지지되게끔 되지만, 가압핀(31a, 31b, 32a, 32b)이 각 렌즈(18, 18)를 가압했을 때 안경(16)의 프레임(17)과 각 협지부재(21, 22)의 사이에서 생긴 미끄럼이 각 협지부분 사이에서 불균일한 경우에는, 안경(16)이 기울어져서 협지되어 어느 하나의 렌즈(18, 18)가 지지핀(23, 23)으로부터 들어올려져서, 적정한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이 지지상태로부터, 양 협지부재(21, 22)를 이격시키는 방향으로 일시적으로 변위시켜, 일시적으로 지지핀(23, 23) 및 가압핀(31a, 31b, 32a, 32b)만에 의한 지지를 행한다.
그로 인해, 안경(16)이 적정하게 지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각 렌즈(18, 18)에 지지핀(23, 23) 및 가압핀(31a, 31b, 32a, 32b)이 적정하게 접촉하도록 자세가 수정되어 안경(16)은 적정한 자세로 지지된다.
그리고, 양 협지부재(21, 22)가 안경(16)을 다시 협지하고, 이어서, 원기둥부재(27, 28)의 회전에 의해 가압핀(31a, 31b, 32a, 32b)이 상방으로 물러나게 된다.
이상의 작용에 의해, 안경(16)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핀(23, 23) 및 양 협지부재(21, 22)에 의해서, 적정한 계측위치 및 계측자세로 지지된다.
그리고, 제어수단(9)은 광원(7a, 8a)으로부터 검사광을 각각 출사시키고, 출사된 검사광은 대응하는 투광광학계(7b, 8b)에 의해 대응하는 렌즈(18, 18)로, 각각의 대략 광축(18a, 18a)방향을 따라서 입사된다.
그리고, 검사광이 각 렌즈(18, 18)을 투과하여 얻어진 투과광은, 검출광학계(7c, 8c)에 의해, 각 렌즈(18, 18)에 대응한 CCD(7d, 8d)(본 실시예에서는, 이 공용 CCD가, CCD 7d와 8d로서 사용됨)에 투영된다.
여기에서, 검출광학계(7c, 8c)가 할트만 플레이트를 가짐으로써, 각 투과광은 각 렌즈(18, 18)의 작은 영역마다의 광학특성 정보를 담지한 2차원의 공간분해능을 갖는 광으로서 CCD(7d, 8d)로 입사되기 때문에, CCD(7d, 8d)의 배열소자마다의 검출광량을 제어수단(9)이 연산처리함으로써, 각 렌즈(18, 18)에 관한 각종 광학특성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 이때, 각 CCD(7d, 8d)의 검출영역의 거의 중앙에는, 대응하는 렌즈(18, 18)의 광축(18a, 18a)을 통과한 투과광이 입사되도록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으나, 렌즈(18, 18)의 광축(18a, 18a) 부분이 지지핀(23, 23)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엄밀하게는 렌즈(18, 18)의 광축(18a, 18a)을 통과한 투과광이 CCD(7d, 8d)에는 도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 검출 결여누락점에 관한 데이터는, 주변영역의 검출 데이터에 의거하여 보간처리에 의해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렌즈 전체의 광학특성 정보를 얻는 점에서 지장은 없다.
그리고, 얻어진 광학특성 정보는 도 2나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폼(form)에 따라서 모니터(5)에 표시된다.
또, 광학특성의 계측종료 후는, 협지부재(21, 22)가 초기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제어수단(9)이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추가로 이송나사(61)를 역회전시켜 프레임 서포트(25, 26)를 상승시켜서 차광부재(53, 54)를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시킨다.
다음에, 도 13에 도시한 검사안경(10)에 관해서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렌즈미터(100)는, 초기상태에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협지부재(21, 22)가 크게 이격된 상태로 세트되고, 프레임 서포트(25, 26)는 상방으로 밀린 상태로 세트되고, 가압핀(31a, 31b, 32a, 32b)은 상방으로 물러난 상태로 세트되며, 또 차광부재(53, 54)는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하우징(1)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세트되어 있는 점은, 통상의 제품안경(16)을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경우와 동일하다.
여기에서, 도 14(a)에 도시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80)가, 뒤쪽 협지부재(22)에, 그 돌출 협지부(81, 82)가 앞쪽 협지부재(21)를 행해서 돌출하도록 덮히고, 동일 도면(b)에 도시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70)가 앞쪽 협지부재(21)에, 그 돌출 협지부(71)가 뒤쪽 협지부재(22)를 향해서 돌출하도록 덮힌다(도 15).
그 후, 양 어댑터(70, 80)사이에서, 프레임 서포트(25, 26)의 상면(25a, 26a)상에 검사안경(10)이 안착된다.
다음에, 조작버튼(6)에 계측개시의 지시가 입력되면, 조작버튼(6)으로의 지시입력이 제어수단(9)에 입력되고, 제어수단(9)은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을 구동제어하며, 구동수단은 양 협지부재(21, 22)를 서로 근접시키는 방향으로 연동시키면서 이동시킨다.
그리고, 양 어댑터(70, 80) 사이에 안착된 검사안경(10)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 어댑터(70, 80)의 돌출 협지부(71, 81, 82)에 협지됨과 동시에, 노즈패드 지지부재(24)에 접촉하여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에 대해서 적정한 계측위치, 즉 검사안경(10)의 탈착식 렌즈(12, 12)의 광축(12d, 12d)이 지지핀(23, 23)을 잇는 직선 상에 세트된다.
이후의 동작은 통상의 제품안경(16)을 계측대상으로 하는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관계되는 렌즈미터(100)에 의하면, 검사안경(10)에 장착된 탈착식 렌즈(12, 12)에 관한 광학특성을 계측할 때는,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70, 80)를 각각 협지부재(21, 22)에 장착함으로써, 어댑터(70, 80)의 돌출 협지부(71, 81, 82)가 검사안경(10)의 검사안경 프레임(11)을 협지하여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어댑터(70, 80)는 검사안경(10)에 장착된 탈착식 렌즈(12, 12)의 탭(12c, 12c)의 가동범위에서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어댑터(70, 80)가 검사안경(10)을 협지했을 때에 탈착식 렌즈(12, 12)를 회전변위시키는 일이 없으며, 이 렌즈미터(100)에 세트되었을 때의 검사안경 프레임(11)과의 위치관계를 유지하여 탈착식 렌즈(12, 12)의 광학특성을 정밀도 좋게 계측할 수 있다.
또, 어댑터(70, 80)는 탭(12c, 12c)에 접촉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검사안경(10)의 탈착식 렌즈(12, 12)의 광축(12d, 12d)이 CCD(7d, 8d)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크게 벗어난 위치에 세트되는 일이 없어, 이 점으로부터도 정밀도 좋은 계측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댑터(70, 80)는 검사안경(10)측이 아니라, 이 렌즈미터(100)의 협지부재(21, 22)측에 장착되기 때문에, 검사안경(10)에 장착되는 어댑터보다도 용이한 장착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의 렌즈미터(100)는, 각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70, 80)가 협지부재(21, 22)와는 별개의 몸체로, 또 대응하는 협지부재(21, 22)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이것은 이하의 효과에 의한 것이다.
즉, 검사안경(10)의 탈착식 렌즈(12, 12)에 관해서 광학특성을 계측할 경우와, 통상의 제품안경(16)의 렌즈(18, 18)에 관해서 광학특성을 계측할 경우를 전환하는 빈도가 높은 경우에는, 어댑터(70, 80)가 협지부재(21, 22)에 미리 슬라이드 가능 또는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어댑터(70, 80)를 협지부재(21, 22)에 대해서 슬라이드 또는 회동시켜서 협지부재(21, 22)의 실제 협지부분에 장착 및 이탈시키는 것이, 조작이 용이하여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으로는, 통상의 안경(16)에 관한 계측조작 빈도가 검사안경에 관한 계측조작 빈도에 비해서 극히 많으며, 통상의 안경(16)과 검사안경(10)의 계측을 전환하는 빈도는 상당히 적다. 이 경우에는, 어댑터(70, 80)가 협지부재(21, 22)에 미리 장착되어 있는 것보다도, 협지부재(21, 22)와는 별개의 몸체로 설치되어 있는 것의 쪽이, 통상의 안경(16)의 계측 조작시에 어댑터(70, 80)가 방해가 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관계되는 렌즈미터에 있어서의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는, 이 형태의 어댑터(70, 80)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댑터가 협지부재의 일부분으로서 협지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이 협지부재의 본체부분에 대해서 어댑터 부분이 상대적으로 회동 등의 변위를 함으로써, 협지부재의 실질적 협지면 측에 장착 및 이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즉, 가령 협지부재(21, 22)의 길이방향으로 직교하는 단면도인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L자 형상으로 형성된 어댑터(70, 80)의 이 L자 형상의 일단부를, 각 협지부재(21, 22)의 상면에, 핀지지의 힌지(두께가 얇은 힌지 등이라도 된다.)에 의해서 회동가능하게 축지지함으로써, 어댑터(70, 80)를 협지부재(21, 22)에 일체화하고, 어댑터(70, 80)의 필요시(동일 도면(b))에는 어댑터(70, 80)를 각각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협지부재(21, 22)의 협지면 측에 장착하는 한편, 어댑터(70, 80)의 불필요시(동일 도면(a))에는 어댑터(70, 80) 를 각각 힌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켜서, 협지부재(21, 22)의 협지면 측으로부터 물러나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각 어댑터(70, 80)를 협지부재(21, 22)에 일체화한 채로, 협지부재(21, 22)의 본체부분의 협지면에 대해서 장착 및 이탈가능하게 함으로써, 어댑터(70, 80)의 예기치 못한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어댑터(70, 80)를 협지부재(21, 22)와 일체화한 렌즈미터에 있어서는, 추가로, 이 어댑터(70, 80)의 장착 및 이탈조작을, 전동모터 등의 구동수단에 의해서 실행시키도록 해도 된다.
즉, 가령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70)의 힌지부분에 기어(75)를 형성하고, 이 어댑터(70)가 일체화된 협지부재(21)의 내부에 이 기어(75)와 치합하는 구동기어(96) 및 구동기어(96)를 회전 구동시키는 전동모터(95)를 설치한다. 그리고, 이 전동모터(95)를 제어수단(9)에 의해서 구동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렌즈미터(100)에 의하면, 렌즈미터(100)의 정면에 설치된 조작버튼(6)에 의해서, 검사안경(10)을 계측대상으로 한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는, 제어수단(9)이 전동모터(95)를 구동제어하며, 이 제어에 의해서 전동모터(95)가 소정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전동모터(95)에 의해서 구동된 구동기어(96)가 도면에서 보아 화살표 방향으로 구동되며, 이 구동기어(96)에 치합된 어댑터(70)의 기어(75)가 도면에서 보아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어댑터(70)가 협지부재(21)의 협지면 측에 장착된다.
한편, 통상의 제품안경(16)을 계측 대상으로 한 모드가 선택되었을 때는, 전동모터(95)가 상술한 설명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제어됨으로써, 어댑터(70)는 협지부재(21)의 협지면 측으로부터 이탈된다.
또, 도 18에 있어서는 어댑터(70) 및 협지부재(21)의 측에 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어댑터(80) 및 협지부재(22)측에 관해서도 동일하게 구성하면 된다.
이와 같이, 어댑터(70, 80)의 장착 및 이탈을 전동화함으로써, 조작자의 조작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어댑터(70, 80)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협지부재(21, 22)에 장착 및 이탈되는 렌즈미터에서는, 어댑터(70, 80)가 대응하는 협지부재(21, 22)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은 어댑터(70, 80)의 장착유무에 대한 자동적인 검출수단으로서는, 가령,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협지부재(21, 22)에 의한 협지동작 전의 상태(초기상태)에 있어서, CCD(7d, 8d)에 투영되는 협지부재(21, 22) 또는 어댑터(70, 80)의 상의 윤곽형상에 의거하여, 협지부재(21, 22)에 어댑터(70, 80)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동일 도면(a))인지, 장착하고 있는 상태(동일 도면(b))인지를, 제어수단(9)이 식별함으로써 검출해도 되며,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어댑터(70)에 협지부재(21) 측으로 돌출된 발톱(74)을 형성하고, 또 협지부재(21)의 상면에, 이 발톱(74)의 삽입 관통을 허용하는 슬릿(21a)을 형성함과 동시에, 협지부재(21)의 내부에 슬릿(21a)에 삽입 관통된 발톱(74)을 검출하는 포토 커플러(91, 92)를 설치하고, 포토 커플러(91, 92)에 의한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협지부재(21, 22)에 어댑터(70, 80)를 장착하고 있지 않은 상태(동일 도면(b)의 실선)인지, 장착하고 있는 상태(동일 도면(b)의 이점쇄선)인지를, 제어수단(9)이 식별함으로써 검출해도 된다.
또, 도 20에 있어서는, 어댑터(70) 및 협지부재(21) 측에 관해서만 도시하였으나, 어댑터(80) 및 협지부재(22) 측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구성하면 된다. 또, 이와 같은 자동 검출기구는, 어댑터(70, 80)가 협지부재(21, 22)와 별개의 몸체인지 일체인지에 관계없이 채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수단(9)에 의한 어댑터(70, 80)의 장착유무에 대한 검출결과를 모니터(5)에 표시하는 등으로 해서, 조작자에 대해 통지함으로써, 어댑터(70, 80)의 장착 및 이탈 미스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가령 조작버튼(6)으로의 입력에 의해, 어댑터(70, 80)의 장착을 필요로 하는 계측모드(검사렌즈를 계측대상으로 하는 모드)인지, 또는 비장착에 의한 계측모드(제품안경을 계측대상으로 하는 모드)인지를, 제어수단(9)이 식별가능하게 되어 있는 렌즈미터에 있어서는, 제어수단(9)이 계측모드에 대응한 장착/비장착의 구별과, 상술한 어댑터(70, 80)의 장착유무의 검출결과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올바르면 계측개시의 제어, 즉 각종 구동수단에 대한 구동제어를 행하며, 비교결과가 올바르지 않으면 계측을 개시하는 일 없이, 계측모드에 대응한 어댑터(70, 80)의 장착 또는 비장착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모니터(5)에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제어수단(9)이 어댑터(70, 80)의 장착유무를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조작자에게 주의를 촉구하거나, 계측개시 동작을 개시하지 않음으로써, 어댑터(70, 80)의 장착 및 이탈 미스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발명의 렌즈미터는, 통상의 제품인 안경 이외에, 검사안경 프레임을 갖는 검사 안경에 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Claims (12)

  1. 안경을, 그 렌즈가 거의 수평으로 되도록 지지하는 안경 지지수단과, 소정의 검사광을 출사하는 광원과, 상기 안경 지지수단에 지지된 안경렌즈에 대해서, 그 렌즈의 대략 광축방향을 따라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검사광을 투광하는 투광광학계와, 광검출수단과, 상기 검사광이 상기 안경렌즈를 투과함으로써 얻어진 투과광을, 상기 광검출수단으로 유도하는 검출광학계를 구비하고, 상기 안경 지지수단이, 서로 접근하는 방향 및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변위가능해서 협동하여 상기 안경의 외측 테두리부를 협지하는(사이에 끼고 지지하는) 2개의 협지부재를 갖고, 상기 렌즈의 광학특성을 계측하는 렌즈미터에 있어서, 상기 렌즈미터는 상기 2개의 협지부재에 각기 별개로 장착 및 이탈 가능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구비하고, 그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는 그 양 협지부재의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 협지부를 갖고, 그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가 그 양 협지부재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는, 각각의 돌출 협지부는 상기 안경으로서 지지되는 검사안경 프레임으로부터 돌출하는 탈착식 렌즈의 탭의 가동범위 밖의 프레임 부분에 접촉하고, 그 돌출 협지부 이외의 부분은, 상기 탭의 가동범위에서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는, 상기 협지부재와는 별개의 몸체로, 및 그 협지부재에 대해서 착탈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협지부재는, 서로 반대방향, 및 거의 동일 변위량으로 연동하여 변위하도록, 연결부재에 의해서 연결되고, 그 양 협지부재에 협지된 상기 안경렌즈의 광축을 투과한 상기 투과광이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영역의 거의 중심에 입사하도록, 상기 양 협지부재와 상기 광검출수단의 위치관계가 설정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양 협지부재에 상기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가 장착되고, 상기 검사안경의 프레임이 상기 양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에 의해서 협지된 상태에서, 상기 검사안경의 상기 탈착식 렌즈의 광축을 투과한 상기 투과광이, 상기 광검출수단의 검출영역의 거의 중심에 입사하도록, 상기 돌출 협지부의 돌출량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는 각각, 2개의 협지부재에 대해서 상방으로부터 덮히고, 대응하는 협지부재의 평면에서 보아 윤곽형상의 일부와 끼워 맞춤됨으로써 위치결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5. 제 1항에 있어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한쪽 돌출 협지부는 검사안경 프레임의 좌우 연결부의 거의 중앙부에 접촉하고, 다른 쪽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돌출 협지부는 검사안경 프레임의 탭의 가동범위 밖의 좌우 각 하측 테두리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6. 제 1항에 있어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는 각각 협지부재에, 미리 슬라이드 가능 또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를 협지부재에 대해서 슬라이드 또는 회동시켜서 협지부재의 실제 협지부분에 장착 및 이탈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7. 제 1항에 있어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가 협지부재의 일부분으로서 협지부재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협지부재의 본체부분에 대해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 부분이 상대적으로 회동 변위함으로써, 협지부재의 실질적 협지면 측에 장착 및 이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장착 및 이탈조작을, 구동수단에 의해서 실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9. 제 1항에 있어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가 수동조작에 의해서, 협지부재에 장착 및 이탈되도록 되어 있고,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가, 대응하는 협지부재에 장착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자동적으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10. 제 1항에 있어서, 렌즈미터가 추가로 제어수단 및 모니터를 구비하고, 그 제어수단은 조작버튼으로의 입력에 의해,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장착을 필요로 하는 계측모드(검사 렌즈를 계측대상으로 하는 모드)인지, 또는 비장착에 의한 계측모드(제품안경을 계측대상으로 하는 모드)인지를 식별가능하게 되며, 그 제어수단이, 계측모드에 대응한 장착/비장착의 구별과,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장착유무의 검출결과를 비교하고, 비교결과가 올바르면 계측개시의 제어, 즉 각종 구동수단에 대한 구동제어를 행하고, 비교결과가 올바르지 않으면 계측을 개시하는 일 없이, 계측모드에 대응한 검사안경 프레임용 어댑터의 장착 또는 비장착을 촉구하는 메시지를 모니터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11. 제 1항에 있어서, 렌즈미터가 추가로, 좌우 렌즈를 하면 측에서 지지하는 1쌍의 지지핀과, 안경 프레임 또는 검사안경 프레임을 구성하는 좌우 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서 협지부재의 양 외측에 설치된 프레임 서포트와, 좌우 렌즈의 상면을 가압하는 가압핀을 갖고, 프레임 서포트의 상면위치가 지지핀의 정상부보다도 높은 위치와, 지지핀의 정상부보다도 낮은 위치 사이에서 승강가능하게 되어 있고, 상면위치가 지지핀의 정상부보다도 높은 위치에 있는 프레임 서포트에 안경 또는 검사안경을 세트하고, 양 협지부재로 안경 또는 검사안경 프레임을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유지하고, 가압핀에 의해 좌우 렌즈의 상면을 가압하고, 좌우 렌즈를 각각 가압핀과 지지핀으로 협지하고, 프레임 서포트를 지지핀의 정상부보다도 낮은 위치로 하강시켜서, 필요에 따라서 양 협지부재를 프레임으로부터 이격시킨 후, 다시 협지시켜서 가압핀을 상방으로 물러나 있게 하고, 안경 또는 검사안경의 좌우 렌즈는 지지핀 및 양 협지부재에 의해서, 적정한 계측위치 및 계측자세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12. 제 1항에 있어서, 렌즈미터는 추가로, 양 협지부재의 사이에서, 좌우방향의 거의 중앙부에 앞쪽 협지부재에 대향하는 면이 원주면으로서 형성된 노즈패드 지지 부재를 갖고, 그 노즈패드 지지부재의 전후방향의 거의 중앙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며, 양 협지부재가 협동해서 안경을 전후로부터 협지했을 때, 노즈패드 지지부재의 원주면이 안경 또는 검사안경의 노즈패드부에 접촉하여, 그 노즈패드부에 누름력에 대응한 가압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미터.
KR1020050007371A 2004-01-28 2005-01-27 렌즈미터 KR1006213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19131A JP4566569B2 (ja) 2004-01-28 2004-01-28 レンズメータ
JPJP-P-2004-00019131 2004-0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7758A KR20050077758A (ko) 2005-08-03
KR100621315B1 true KR100621315B1 (ko) 2006-09-13

Family

ID=34650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7371A KR100621315B1 (ko) 2004-01-28 2005-01-27 렌즈미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80191B2 (ko)
EP (1) EP1560015B1 (ko)
JP (1) JP4566569B2 (ko)
KR (1) KR100621315B1 (ko)
CN (1) CN100514024C (ko)
AT (1) ATE517327T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559B1 (ko) * 2021-01-05 2021-06-14 민준기 기능성 렌즈의 확인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16932B1 (ko) * 2010-09-30 2018-01-09 가부시키가이샤 니데크 렌즈미터
CN103698872B (zh) * 2013-12-26 2015-1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眼镜夹持器
CN104764574A (zh) * 2015-04-01 2015-07-08 无锡市康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眼镜架部件与鼻梁镜托弹性测定仪
EP3128362B1 (en) * 2015-08-05 2023-10-04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determining a parameter of an optical equipment
US10018530B2 (en) * 2016-04-01 2018-07-10 Signet Armorlite, Inc. System for measuring transmission of light through glasses
US10302598B2 (en) 2016-10-24 2019-05-28 General Electric Company Corrosion and crack detection for fastener nuts
CN106645197B (zh) * 2016-12-29 2024-01-30 中国工程物理研究院激光聚变研究中心 检测精密光学元件表面颗粒物的在线检测系统及应用方法
AU2019360254B2 (en) * 2018-10-18 2022-02-03 Warby Parker Inc. Fixtureless lensmeter system
CN111814815B (zh) * 2019-04-11 2023-08-22 浙江快奇控股有限公司 一种基于轻量级神经网络的眼镜放置状态的智能判别方法
CN113865828A (zh) * 2021-09-27 2021-12-31 陕西省计量科学研究院 读数显微镜专用检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34A (ja) * 1989-06-23 1991-02-04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JP2001074603A (ja) * 1999-09-09 2001-03-23 Nidek Co Ltd レンズ度数読取装置及びレンズ度数読取方法
JP2003042903A (ja) * 2001-07-31 2003-02-13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0666B2 (ja) * 2000-12-28 2006-08-16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
JP2002202219A (ja) * 2000-12-28 2002-07-19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ー
US6778264B2 (en) * 2000-12-28 2004-08-17 Kabushiki Kaisha Topcon Lens meter
JP3775579B2 (ja) * 2000-12-28 2006-05-17 株式会社トプコン レンズメータ
JP2002296549A (ja) * 2001-03-30 2002-10-09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JP2003083844A (ja) * 2001-09-14 2003-03-19 Ryusyo Industrial Co Ltd レンズメータのメガネ位置決め装置
JP2003194670A (ja) * 2001-12-28 2003-07-09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5334A (ja) * 1989-06-23 1991-02-04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JP2001074603A (ja) * 1999-09-09 2001-03-23 Nidek Co Ltd レンズ度数読取装置及びレンズ度数読取方法
JP2003042903A (ja) * 2001-07-31 2003-02-13 Topcon Corp レンズメータ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559B1 (ko) * 2021-01-05 2021-06-14 민준기 기능성 렌즈의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60015A3 (en) 2009-01-28
US7280191B2 (en) 2007-10-09
JP4566569B2 (ja) 2010-10-20
ATE517327T1 (de) 2011-08-15
JP2005214681A (ja) 2005-08-11
EP1560015A2 (en) 2005-08-03
EP1560015B1 (en) 2011-07-20
US20050162642A1 (en) 2005-07-28
CN100514024C (zh) 2009-07-15
KR20050077758A (ko) 2005-08-03
CN1648629A (zh) 2005-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1315B1 (ko) 렌즈미터
JP6338039B2 (ja) カップ取り付けユニットを有する装置
US7301614B2 (en) Lens-refracting characteristic measuring apparatus
US8928870B2 (en) Lens meter
US6847441B2 (en) Method of measuring optical characteristics of spectacle lenses and lens meter
KR100806053B1 (ko) 자동 렌즈 블록킹 장치
EP2775722A2 (en) Laser projection device
JP3810784B2 (ja) レンズメータ
KR100722150B1 (ko) 렌즈미터
JP3775579B2 (ja) レンズメータ
JP4777108B2 (ja) レンズメータ
EP322766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light-absorption measurement of a specified amount of sample subject to pressure force
CN111419170A (zh) 一种双目视力筛查仪及其控制方法
JP3810666B2 (ja) レンズメータ
JP4818834B2 (ja) レンズメータ
JP4473002B2 (ja) 眼鏡レンズの光学特性測定方法及びレンズメータ
JP7275515B2 (ja) カップ取付装置
JP7225645B2 (ja) カップ取付装置
JP2009236694A (ja) レンズ測定装置、レンズ測定方法、及びレンズ生産方法
KR20210132586A (ko) 광 통과 및 반사 장치를 구비한 블로커
KR200198428Y1 (ko) 반도체패턴형성오차측정장치
JPS61104240A (ja) 光透過率測定装置における光軸合わせ方法
JPH04344440A (ja) レンズメータ
JP2004037604A (ja) 半導体製造用マスクの傾き検査装置及び位置出し方法
JP2012048086A (ja) 光学ユニット及び光学ユニットを備える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