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086B1 -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086B1
KR100620086B1 KR1020040108057A KR20040108057A KR100620086B1 KR 100620086 B1 KR100620086 B1 KR 100620086B1 KR 1020040108057 A KR1020040108057 A KR 1020040108057A KR 20040108057 A KR20040108057 A KR 20040108057A KR 100620086 B1 KR100620086 B1 KR 100620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sound insulation
sound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9558A (ko
Inventor
양기욱
최정우
이봉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익성
이봉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익성, 이봉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익성
Priority to KR1020040108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086B1/ko
Publication of KR20060069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9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3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oxy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7/00Use of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409Sound-absorbing elements sheet-shap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ymer) 및 상용화제(Compatibilizer)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입상, 판상 및 침상의 무기 충진제 20 내지 400 중량부로 이루어진 차음 조성물을 얇게 도포한 차음층을 포함하는 차음재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판상 및 침상의 무기 충진제의 배향이 일정하게 정렬되어 내열노화성, 내오존성 및 내충격강도가 향상되며 재진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가벼운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SOUND INSULATION COMPOSITION, SOUND INSULATION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음시트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다른 차음재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펫 원단 20 : 차음층
30 : 기포지층 40 : 흡음층
100 : 차음시트 200 : 차음재
본 발명은,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음 조성물에 첨가되는 판상 및 침상 무기 충진제의 배향을 일정하게 정렬시켜 내열노화성, 내오존성 및 내충격강도가 향상되며 제진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가벼운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바닥에는 차량의 주행 중에 엔진, 도어, 헤드라이너 및 기타 기계부품에 의하여 발생하는 소음 및 진동음을 제거하여 주행자에게 쾌적한 주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차음 및 흡음 성능의 차음재 또는 바닥재를 설치한다.
이런 차음재는 차량의 실내로 유입되는 소음 및 진동음을 차단, 제진 및 흡음하여야 하며 주행 중 발생하는 소음의 저주파 및 고주파의 복합에너지를 차량의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한다.
그래서, 종래의 차량용 차음재는 차음, 제진 및 흡음 기능의 차음 조성물을 차량용 원단에 코팅하거나 차음층을 제조하여 접착시켜 차량의 바닥면에 설치하여 사용하였다. 이런, 차음 조성물 및 차음재는 차음, 제진 및 흡음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일정 수준 이상의 비중을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경질의 충진제와 같은 무거운 소재를 수지 혼합물에 혼입하여 사용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차음 조성물 및 차음재는 고중량으로 인하여 성형성이 좋지 않으며, APP(Atatic Polypropylene) 등의 성분이 첨가되어 불쾌한 냄새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재료에 의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상대적으로 제진 및 차음 특성이 좋지 못하며, 내열노화성, 내오존성 및 내충격강도가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음 조성물에 첨가되는 침상 및 판상 무기 충진제의 배향을 일정하게 정렬시켜 내열노화성, 내오존성 및 내충격강도가 향상되며 제진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가벼운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음 조성물에 있어서,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ymer) 및 상용화제(Compatibilizer)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진제 2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용화제는 옥사조린계 상용화제(Oxazoline Group's Compatibilizer)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합성수지 혼합물은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umer) 10 내지 800 중량부, 상용화제 3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며, 무기 충진제는 입상 충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침상 충진제 3 내지 500 중량부 및 판상 충진제 3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합성수지 혼합물은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5 내지 80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합성수지 혼합물은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란계 커플링제 1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합성수지 혼합물은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5 내지 800 중량부와 실란계 커플링제 1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2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첨가제는 계면 활성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2 내지 100 중량부, 안료 2 내지 100 중량부 및 난연제 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입상 충진제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미분규산, 실리카샌드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판상 충진제는 편운모, 산화철 및 카올린클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침상 충진제는 세피올라이트, 규회석 및 아타팔자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음재에 있어서, 카펫 원단과; 카펫 원단 상에 형성되어 있는 상술한 차음조성물 중 어느 한 차음 조성물이 도포된 차음층과; 차음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기포지층; 및 기포지층 상에 형성된 흡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차음층에는 침상 무기 충진제와 판상 무기 충진제가 포함되며, 침상 무기 충진제와 판상 무기 충진제는 상기 차음층의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 배열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차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술한 차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마련된 차음 조성물을 압출성형기에 넣어 넓고 얇은 구간을 통과시켜 카펫 원단 상에 도포하면서 기포지층을 압축 접착하여 차음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차음시트 상에 열융착하여 흡음층을 접착하여 차음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차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의 제조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압출성형기는 150℃ 이상으로 유지되는 T-Die 캐스팅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음 조성물은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ymer) 및 상용화제(Compatibilizer)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진제 20 내지 400 중량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한 알파 올레핀계 수지로 본 발명에서는 PE와 Octene 또는 Butene을 합성한 물질로서 종래의 PE 또는 LLDPE에 비하여 탄성이 보강된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폴리에틸렌(Metallocene alpha olefin polyethylene)을 사용한다. 특히,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폴리에틸렌은 고충전이 가능한 구조 즉, 무기 충진제를 높게 충전하더라도 수지의 물성이 크게 떨어지지 않는 구조를 가지면서도 탄성을 저하시키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수지에만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과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동종계의 다른 수지도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그리고,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ymer)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의 가지에 강한 극성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극성을 가진 다른 물질과 접착력이 좋은 수지이다. 그래서,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는 가공시 피착재와의 접착성을 크게 증가시켜 준다.
상용화제(Compatibilizer)는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가 서로 상이한 극성을 가지고 있어 서로 상용성이 떨어지므로 첨가되는 것이다. 일정량의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와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가 상 분리 되지 않은 균질한 수지층을 구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옥사조린계 상용화제(Oxazoline Group's Compatibilizer)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옥조린계 상용화제를 사용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기능 및 목적을 나타내는 상용화제의 사용도 가능하다.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폴리에틸렌과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에 옥사조린계 상용화제를 일정량 첨가하여 혼합하면,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폴리에틸렌은 수지층을 형성하면서 고분자 사슬과 사슬 사이에 넓은 공극(Empty Hole)을 가진 마이크로 매트릭스 구조를 갖게 된다. 마이크로 매트릭스 구조는 종래의 다른 수지와 달리 넓은 공극에 무기 충진제를 높게 충전할 수 있다. 그래서, 부피가 작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무기 충진제를 높게 충전하여 기준 이상의 비중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는 전기음성도가 큰 극성물질을 구성 원소로 포함하고 있어서 가공시 피착재와 접착성을 크게 증가시켜준다. 그래서, 본 발명에 의한 차음층(20)은 열을 가하면 높은 접착력을 보이게 되어 후술할 차량용 카펫 원판(10) 및 기포지층(30)과 잘 접착되어 구조적 및 기능적으로 차음 특성이 향상된다.
합성수지 혼합물은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umer) 10 내지 800 중량부, 상기 상용화제 3 내지 300 중량부을 혼입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합성수지 혼합물은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5 내지 800 중량부를 더 포함하거나 실란계 커플링제 1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폴리에틸렌 및 실란계 커플링제를 모두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폴리에틸렌은 에틸렌의 중합으로 생기는 사슬모양의 고분자 물질로 상온에서 딱딱한 상태를 유지한다. 폴리에틸렌은 차음재(200)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시 가공온도에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온에서 제품의 형상을 유지시켜 준다. 폴리에틸렌 이외에도 동일한 기능을 하는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할 수 있다.
실란계 커플링제는 상술한 합성수지 혼합물과 무기 충진제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서로 다른 고분자를 일정비율로 섞어 혼합 조성물을 만들 면 분자상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균일한 상을 만들기 어려운데, 각 성분이 균일하게 혼합되어 각 성분의 특성을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수지성분의 배합비에 따라 상기와 같이 차음재(200)의 물성이 변화되는데, 각 수지들의 배합비를 일정하게 한정하는 이유는 차음재(200)가 본연의 성질을 유지하면서 차음재(200)로서 기능하기 위한 한계수치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합성수지 조성물에 입상 무기 충진제와 함께 침상과 판상의 무기 충진제를 함께 첨가함으로서 재료의 차음성능에 가장 큰 매개변수인 밀도감소에 따른 성능 손실을 최소화 하였다. 침상과 판상 필러를 재료에 첨가하면 수지와 재료의 분산성과 흡착성이 상승하여 차음재의 재료가 균일해지므로, 완제품상태의 차음재의 취약점(week point)의 숫자를 감소시켜,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파동성과 입자성을 가진 음파가 어느 방향에서 접근해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는 내부 구조를 가지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침상 및 판상 무기 충진제가 첨가된 차음 조성물을 원판 상에 T-Die 캐스팅을 이용하여 얇게 도포하면 판상 및 침상의 무기 충진제가 얇고 넓은 T-Die 구간을 지나면서 압력에 의해 원판의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층상 배열된다. 즉, 침상 및 판상의 무기 충진제가 일정하게 정렬되어 촘촘한 마이크로 매트릭스 구조를 갖게 된다. 이런 구조에 의해 판상 충진제는 입상 충진제를 통과한 입자성을 가진 소리 및 소음의 파장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키며, 침상 충진제는 분산성과 흡착성을 상승시켜 차음재의 차음 특성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입상 충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침상 충진제 3 내지 500 중량부 및 판상 충진제 3 내지 500 중량부의 비율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상 충진제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미분규산, 실리카샌드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판상 충진제는 편운모, 산화철 및 카올린클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침상 충진제는 세피올라이트, 규회석 및 아타팔자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그리고, 수지계는 전체 중량에 대하여 80wt%를 넘어서 첨가되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차음재라고 하면 비중이 높은 물질, 다시 말해 무거운 층(heavy layer)을 의미하는데 보통 비중이 1 내지 2.5의 범위 이어야 한다. 고분자 수지는 대부분이 비중 1이하의 물질이기 때문에 만약 수지계가 전체 중량에 대하여 80wt%를 넘는다면 차음재로서 기능하기 위한 비중을 가질 수 없다. 또한, 차음재로서 요구되는 비중을 만족시키기 위해 비중 2 내지 4 범위의 상기 입상, 판상 및 침상의 무기 충진제를 첨가한다. 상기 수지계에 상기 충진제를 효과적으로 충전시키는 것과 제조단가가 합리적인 차음재를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래서 고충진할 수 있으면서 합리적인 가격을 맞출 수 있는 저렴한 수지를 선택하는데, 이런 수지들이 앞에서 설명한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폴리에틸렌(Metallocene alpha olefin polyethylene),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umer), 폴리에틸렌, 옥사조린계 상용화제 및 실란계 커플링제이다.
본 발명의 차음조성물에 선택적으로 차음재(200)의 내열성 및 난연성 등의 기타 물성을 보완해 주기 위해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2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는 계면 활성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2 내지 100 중량부, 안료 2 내지 100 중량부 및 난연제 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여 기능성이 보완된 차음 조성물을 제조 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가소제, 산화방지제 등이 추가되어 첨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제조한 차음 조성물을 이용하여 차음시트(100)를 제조하고, 차음 시트에 흡음층(40)을 접착하여 차음재(200)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차음조성물을 마련한 뒤, 150℃ 이상으로 유지되는 압출기에 상기 차음 조성물을 넣어 카펫 원단(10) 상에 코팅하면서 기포지층(30)을 압축 접착하여 차음시트(100)를 제조한다. 여기서, 상기 차음 조성물은 녹는 온도(Melting Temperature) 이상에서 점도가 매우 낮고 흐름성이 매우 큰 용액상태가 되어 T-Die 캐스팅 장치에 의해 카펫 원단(10)에 0.1mm 내지 0.5mm로 얇게 코팅가능하다.
이에 의해, 판상과 침상 무기 충진제는 표면과 평행하게 층층이 배향되며, 판상 무기 충진제는 입상 무기 충진제를 통과한 입자성을 가진 소리의 파장을 효과적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마이크로 매트릭스 구조를 갖게 한다. 그리고, 침상 무기 충진재는 분산성과 흡착성을 상승시키고, 차음재(200)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시 두께의 불균일 등에 따른 위크 포인트(weak point)의 숫자를 감소시켜 효과적으로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 성능을 유지시켜 향상된 차음 특성을 가지는 구조를 갖게 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표면과 평행하게"라는 용어는 표면과 평행한 경우뿐 만 아니라, 표면과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면서 누워 배열된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카펫 원판(10)과 기포지층(30) 사이에 개재된 차음층(20)으로 이루어진 차음시트(100)에 열을 가하여 흡음층(40)을 접착하여 차음재(200)를 제조하고, 제조된 차음재(200)를 원하는 형상으로 가공한다. 이때, 흡음층(40)의 접착과 형상 가공은 하나의 공정으로 가능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 시키고 제조비를 절감할 수 있다. 흡음층의 상술한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에 의해 잘 접착된다.
여기서, 카펫 원판(10)은 나일론을 주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이며 기포지층(30)은 폴리에스터(polyester)를 주 원료로 하여 제조된 것으로 차음재(200)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시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프레스기에 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흡음층(40)은 음파를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재료로 제조된 것으로 PET felt 층, resin felt 층 및 Chip mold 등과 같은 것을 사용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차음재(200)에는 입상 무기 충진제에 일정량의 기능성 판상 및 침상 무기 충진제를 첨가하여 차음재의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 배열시킴으로서 부피가 작고 두께가 얇으면서도 차음 특성이 좋은 차음재(200)를 제조할 수 있으며,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한 올레핀계 폴리머를 사용함으로써 내열노화성, 내오존성 및 내충격강도가 좋아 환경에 의한 분해에 강한 특성을 지닌다.
본 발명에 의한 차음 조성물은 차동차용 차음재뿐만 아니라 건축재 등 다른 산업현장에서 음파를 차단하기 위한 곳에서 모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침상 및 판상의 무기 충진제가 일정하게 정렬되므로 제진 및 차음 특성이 향상되며 내열노화성, 내오존성 및 내충격강도가 우수한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가벼운 차량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13)

  1. 차음 조성물에 있어서,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ymer) 및 상용화제(Compatibilizer)를 포함하는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 충진제 2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옥사조린계 상용화제(Oxazoline Group's Compatibiliz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혼합물은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올레핀계 극성 접착성 수지(Olefin Base Polarity Adhesive Polumer) 10 내지 800 중량부, 상기 상용화제 3 내지 30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기 충진제는 입상 충진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침상 충진제 3 내지 500 중량부 및 판상 충진제 3 내지 5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혼합물은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5 내지 80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혼합물은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실란계 커플링제 1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혼합물은 상기 메탈로센 알파 올레핀계 수지(Metallocene Alpha Olefin Polymer)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PE) 또는 폴리프로필렌(PP) 5 내지 800 중량부와 실란계 커플링제 1 내지 5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첨가제 2 내지 3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계면 활성제 100 중량부에 대하여, 안정제 2 내지 100 중량부, 안료 2 내지 100 중량부 및 난연제 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입상 충진제는 황산바륨, 탄산칼슘, 미분규산, 실리카샌드 및 질석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판상 충진제는 편운모, 산화철 및 카올린클레이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침상 충진제는 세피올라이트, 규회석 및 아타팔자이트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 조성물.
  10. 차음재에 있어서,
    카펫 원단과;
    상기 카펫 원단 상에 형성되어 있는 제 1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음 조성물을 도포한 차음층과;
    상기 차음층 상에 형성되어 있는 기포지층; 및
    상기 기포지층 상에 형성된 흡음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층에는 침상 무기 충진제와 판상 무기 충진제가 포함되며,
    상기 침상 무기 충진제와 상기 판상 무기 충진제는 상기 차음층의 표면과 평행하게 층상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
  12. 차음재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의 차음 조성물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마련된 차음 조성물을 압출성형기에 넣어 넓고 얇은 T- Die구간을 통과시켜 카펫 원단 상에 도포하면서 기포지층을 압축 접착하여 차음시트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차음시트 상에 열융착하여 흡음층을 접착하여 차음재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성형기는 150℃ 이상으로 유지되는 T-Die 캐스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음재의 제조방법.
KR1020040108057A 2004-12-17 2004-12-17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620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057A KR100620086B1 (ko) 2004-12-17 2004-12-17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8057A KR100620086B1 (ko) 2004-12-17 2004-12-17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558A KR20060069558A (ko) 2006-06-21
KR100620086B1 true KR100620086B1 (ko) 2006-09-08

Family

ID=37163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057A KR100620086B1 (ko) 2004-12-17 2004-12-17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0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5958B1 (ko) * 2016-06-30 2018-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음재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페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619A (ja) * 1996-01-17 1997-07-29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00060251A (ko) * 1999-03-12 2000-10-16 권문구 전선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절연전선
KR20030013831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전자파 차폐용 금속복합수지 조성물,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US20030154885A1 (en) 2000-05-12 2003-08-21 Ernst Krendlinger Use of wax mixtures for coating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4619A (ja) * 1996-01-17 1997-07-29 Sekisui Chem Co Ltd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の製造方法
KR20000060251A (ko) * 1999-03-12 2000-10-16 권문구 전선용 절연 재료 조성물 및 그것을 이용한 절연전선
US20030154885A1 (en) 2000-05-12 2003-08-21 Ernst Krendlinger Use of wax mixtures for coatings
KR20030013831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두람하이테크 전자파 차폐용 금속복합수지 조성물, 시트 및 이의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9558A (ko) 200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71160A1 (en) Expandable vibration damping materials
JP2010517864A (ja) 車両のための被拘束層減衰
JPS5970559A (ja) 配向を制御したフレ−ク充てん高分子系制振材
JP2019513620A (ja) 自動車の内装用防音トリムパネルの製造方法
KR100620086B1 (ko) 차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차음재 및 그 제조방법
CN103009731B (zh) 一种压电吸声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US20230192011A1 (en) Automotive trim part with vibration damping properties
WO1999025166A1 (fr) Matieres absorbant les ondes radioelectriques, absorbeur d'ondes radioelectriques et chambre anechoique aux ondes radioelectriques et analogue produite au moyen de ceux-ci
JP2004018670A (ja) 制振性と成形性に優れた制振塗料
JP2009545707A (ja) 振動移動の減少
KR102304884B1 (ko)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KR100601401B1 (ko) 차음 조성물 및 그 차음재
EP3118273B1 (en) Multilayer material usable particularly as damping material
CN201240215Y (zh) 汽车外轮罩地毯
US20220118749A1 (en) Sound-Insulating Material and Sound-Absorbing Material
JP7384176B2 (ja) 振動吸収材
JPS62275743A (ja) 車両用制振防音シ−ト
JP2010007267A (ja) 制振性複合シート、制振性複合体、及びそれを用いた床材
WO2002053647A1 (fr) Matériau d'amortissement de vibrations
CN110418711A (zh) 包括蜂窝芯和阻尼或衰减材料层的复合夹芯板
KR100307508B1 (ko) 철근콘크리트구조물의흡진흡음용절연판
JPS604556A (ja) 振動吸収用組成物
JPS62251131A (ja) 車両用制振防音シ−ト
KR100622736B1 (ko) 스트레이트 아스팔트계 제진 시트 조성물
JPS5920658A (ja) 積層された振動吸収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