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884B1 -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884B1
KR102304884B1 KR1020200013479A KR20200013479A KR102304884B1 KR 102304884 B1 KR102304884 B1 KR 102304884B1 KR 1020200013479 A KR1020200013479 A KR 1020200013479A KR 20200013479 A KR20200013479 A KR 20200013479A KR 102304884 B1 KR102304884 B1 KR 102304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ing material
weight
sound insulatin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3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236A (ko
Inventor
박병철
윤영환
한기현
김흥준
Original Assignee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주식회사 온코퀘스트파마슈티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주식회사 온코퀘스트파마슈티컬 filed Critical 한화컴파운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13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88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2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2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음재 조성물 및 차음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우수한 성형성 및 차음 성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자동차용 차음재 매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SOUND INSULATION MATERIAL COMPOSITIO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OUND INSULATION MATERIAL FOR AUTOMOBILE A FLOW CARPET PRODUCED THEREFROM}
본 발명은 차량의 실내 소음을 감소시키기 위한 차음재 조성물 및 차음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우수한 성형성 및 차음 성능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자동차용 차음재 매트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레스 가공에 의해 차음층이 파괴되거나, 측면으로 누출되어 파괴되는 불량을 방지하고, 또한 고온가압 프레스 상에서도 균일한 두께가 형성할 수 있는 차음재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자동차 주행 시 발생하는 소음은 엔진 소음, 풍절음, 타이어를 통해 전해지는 노면 소음 및 트렁크를 통해 유입되는 배기음 등이 있으며, 자동차용 차음재는 상기 소음이 차량의 실내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자동차 성능 저하를 막아주며, 소음으로 인한 운전자의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안전운전을 가능하게 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차음재는 자동차 플로어 패널 및 트렁크 룸의 바닥 등에 장착되는 자동차용 매트에 사용되며, 상기 자동차용 매트는 주행 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고, 자동차 내부의 오염을 막아주는 효과를 가진다.
최근 자동차 엔진의 성능 개선으로 인하여 엔진 소음은 감소하였으나, 자동차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노면의 소음을 차단하는 것이 취약하여, 우수한 차음 성능을 갖는 자동차용 차음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다.
또한, 주행 시 발생하는 소음 외 엔진의 진동 및 소음 진동은 운전자에게 불쾌한 감각이나 피로감을 줄 수 있으므로, 소리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감소시키는 흡음재를 이용하여 진동을 차단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가 개발하였고 또한 다양한 차음재가 개발되고 있지만 도 1에서 보듯이, 카페트의 차음재 층을 제조할 때, 수십 톤 이상의 가압 및 고온 상태에서 제조하게 되는데, 이때 고압 및 고온에 의해 차음재 층의 파괴가 되어 불량이 발생하거나, 내부 파괴에 의해 두께가 불균일하게 제조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약간의 불균일 혼련의 의해 분산성이 완전하지 않는 조성물을 고온 가압시 파괴 및 두께 불균일이 존재하게 되어 차음성능에서 저하를 초래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766087 호 (2017.08.0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 고압에서 성형을 하더라도 차음재의 파괴가 없고 또한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하여 차음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차음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음 카페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우수한 성형성을 가지면서 동시에 자동차 소재로서 요구되는 낮은 중량을 가져 경량화를 도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성이 우수하고, 신율 및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강도도 우수함과 동시에 차음효과가 우수한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합성 고무 10 내지 100 중량부 및 무기필러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합성 고무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및 올레핀계 극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규회석, 탄산칼슘, 카올린, 운모, 실리카, 쵸크, 미세 백운암, 탈크,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유리 분말,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 화산재, 규조토,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나노클레이 및 흑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킨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비중이 1.4 내지 1.8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인장강도가 4MPa 이상,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신율이 500%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ASTM E1050 관내법으로 측정된 투과손실이 15 dB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서는, 베이스 층;상기 베이스 층 상에 적층된 섬유층; 상기 섬유 층 상에 적층된 차음재층; 상기 차음재 복합소재 층 상에 적층된 라텍스 층; 상기 라텍스 층 상에 적층된 파일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재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킨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 카페트는 베이스 층, 섬유 층, 차음재 층, 라텍스 층 및 파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층은 기포지 및 펠트 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파일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이 니들펀칭 된 파일직물이며,
상기 라텍스층은 상기 파일층의 일면에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기 섬유파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파일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재질의 기포지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이 결합된 파일직물이며,
상기 라텍스층은 상기 기포지의 타면에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음재 층은 티다이 또는 카렌더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합성 고무 10 내지 100 중량부 및 무기필러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합성 고무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및 올레핀계 극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규회석, 탄산칼슘, 카올린, 운모, 실리카, 쵸크, 미세 백운암, 탈크,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유리 분말,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 화산재, 규조토,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나노클레이 및 흑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음재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비중이 1.4 내지 1.8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인장강도가 4MPa 이상,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신율이 500% 이상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음재는 ASTM E1050 관내법으로 측정된 투과손실이 15 dB 이상인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신율이 높아 고온 고압에서 성형시, 차음재 조성물이 파괴되지 않으며 차음재의 두께의 균일성이 우수한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비중 낮아 경량화를 도모하며, 우수한 인장강도 및 동시에 우수한 차음성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상기 성형성 및 낮은 비중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높은 인장강도 및 차음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음재는 접착층 등을 적층시키는 단계를 거치지 않고, 단일공정으로 차음재의 제조가 가능함으로써 공정편리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차음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페트의 적층 구성을 도식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포함한 구체예 또는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구체예 또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참조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모든 기술적 용어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 중 하나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 구체예를 효과적으로 기술하기 위함이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문맥에서 특별한 지시가 없는 한 복수 형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할 수 있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들은 고온 고압에서 성형시 파괴되지 않으며, 동시에 두께가 균일하고 인장강도가 우수한 차음재를 제공하였으며 동시에 현저한 차음효과까지 가지는 우수한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카페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물질들이 균일하게 혼합되며, 고온 고압 가공시에 상기 조성물이 파괴되지 않으며, 동시에 균일한 두께의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제공할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 필러를 포함함으로써 높은 인장강도, 낮은 비중 및 우수한 차음 효과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음재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균일성 및 가공성이 우수하며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접착층 형성을 하지 않아도 접착도 또한 우수하며, 단일층으로 제조할 수 있어 가공성 및 생산성이 우수한 차음재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자동차용 차음재에 포함함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가 높은 신율, 높은 가공성 및 차음 효과 또한 우수해 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를 다른 수지에 비하여 과량으로 사용함으로써, 신율이 우수하며, 차음성도 우수한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에서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5 내지 40 중량% 일 때 상기 효과가 더욱 우수할 수 있으며,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 필러와 혼합 시 균일하게 혼합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는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및 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경우 인장강도가 증대되며, 더욱 우수한 차음 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혼합이 용이하여 균일한 두께의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제공 할 수 있다.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는 ASTM D 1238에 의거하여 190℃, 2.16 kg에서 측정된 용융흐름지수가 1 내지 30 g/10 min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융흐름지수가 10 내지 25 g/10 mi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용융흐름지수를 갖는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할 경우, 우수한 가공성 및 높은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는 상기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5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우수한 성형 가공성으로 조성물 내의 구성성분 간의 혼화성을 더욱 향상시켜 목적으로 하는 우수한 물성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합성 고무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고무 및 올레핀계 극성 수지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합성 고무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 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고무 및 올레핀계 극성 수지 등에서 선택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C4-C10의 알파올레핀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필렌-(C4-C10)알파올레핀 공중합체, 에틸렌-(C4-C10)알파올레핀 공중합체, 프로필렌-(C4-C10)알파올레핀 디엔 공중합체 및 에틸렌-(C4-C10)알파올레핀 디엔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4-C10알파올레핀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및 1-데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타디엔계 고무는 부타디엔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등을 포함하며, 스티렌계 고무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 고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스티렌-프로필렌 고무, 실리콘 고무, 폴리우레탄 고무, 하이브리드실리콘고무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고무일 수 있다.
상기 합성 고무는 차음재 조성물의 우수한 성형 가공성 및 탄성을 부여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동차용 차음재로서, 우수한 차음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비중을 낮출 수 있고,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합성 고무는 ASTM D2240에 의거하여 측정된 쇼어 경도 A(shore A)가 10 내지 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쇼어경도를 갖는 합성 고무를 포함함으로써,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 투과 손실을 향상시켜 더욱 우수한 차음성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합성 고무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 중량부, 더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할 경우, 신율이 좋아지며,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의 내구성 및 차음성 또한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무기필러는 규회석, 탄산칼슘, 카올린, 운모, 실리카, 쵸크, 미세 백운암, 탈크,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유리 분말,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 화산재, 규조토,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나노클레이 및 흑연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탈크, 규회석,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및 벤토나이트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의 무기필러들을 상기 차동차 차음재 조성물에 포함함으로써 차음성을 더욱 우수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및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무기필러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와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어, 가공시에 차음재 조성물이 파괴되지 않으며, 균일한 두께의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합성 고무 10 내지 100 중량부 및 무기필러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20 내지 40 중량부, 합성 고무 20 내지 80 중량부, 무기 필러 200 내지 350 중량부 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함량으로 포함할 경우, 더욱 우수한 소음 투과 손실을 구현할 수 있으며, 낮은 비중, 높은 기계적 특성뿐만 아니라 고온 고압에서도 파괴되지 않으며 두께가 균일한 우수한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킨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한다.
즉,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이루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필러를 혼합하여 압출기로 용융압출하여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상기의 함량으로 배합하여 텀블러 믹서, 블랜딩 머신 등 공지의 혼합방법으로 균일하게 혼합한다. 이 후, 혼합된 조성물을 이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80 ~ 300℃, 더욱 좋게는 150 ~ 250℃에서 용융 압출하여 수지를 제조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용도에 따라서 방수, 절연, 미끄럼방지 및 쿠션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필름 등을 적층하여 다양한 기능을 더욱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로서 열안정제, 난연제, 충격 보강제 및 착색제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열안정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아인산 트라이메틸, 아인산 트라이에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라이메틸포스페이트, 트리스(2,4-다이-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및 비스(2,4-다이-ter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다이포스파이트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금속수산화물, 금속산화물, 질소계 화합물, 불소 수지, 인계 화합물 및 실리콘 오일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충격보강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메틸 메타 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스틸렌(MBS,Methyl Methacrylate-Butadiene Styrene), 클로린네이티드 폴리에틸렌 (CPE, Chlorinated Polyethylene) 및 이산화실리콘 등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착색제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자동차용 매트 안료로서 카본블랙을 들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의 물성 및 외관특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상기 매트릭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 10 중량부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비중이 1.4 내지 1.8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인장강도가 4MPa 이상,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신율이 500% 이상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비중이 1.4 내지 1.8의 범위를 포함하면서, 인장강도가 4.0 MPa 이상,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 MPa,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 Mpa을 만족하고 동시에 신율이 500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00%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물성 범위를 만족함으로 인하여 낮은 경량, 높은 내구성 및 성형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동시에 우수한 차음성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현저한 효과로서 고온 고압 가공시에 상기 차음재 조성물이 파괴되지 않으며, 균일한 두께를 유지하여 현저한 효과의 차음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ASTM E1050 관내법으로 측정된 투과손실이 15 dB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관내법 설비를 이용하여 125 ~ 6,300 Hz 범위에서 ASTM E 1050에 따라 측정된 투과손실의 평균값이 15 dB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20 dB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 필러 등을 포함함에 따라 낮은 경량, 우수한 기계적 강도 및 높은 성형성을 제공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차음효과까지 포함하는 효과가 우수한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이스 층; 상기 베이스 층 상에 적층된 섬유층; 상기 섬유 층 상에 적층된 차음재층; 상기 차음재 층 상에 적층된 카페트 원단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재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고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킨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를 제공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층, 섬유 층, 차음재 층 및 카페트 원단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베이스 층(100); 상기 베이스 층(100) 상에 적층된 섬유 층(200); 상기 섬유 층(200) 상에 적층된 차음재 층(300); 상기 차음재 층(300) 상에 적층된 카페트 원단층(400)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재(200)는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올레핀계 수지, 합성 고무 및 무기필러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킨 자동차용 카페트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카페트는 폴리우레탄 폼을 포함하는 베이스층(100), 섬유 층(200), 차음재(300) 및 파일 층(410)과 라텍스층(420)을 포함하는 카페트 원단층(400)을 순차적으로 적층하여 카페트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술한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차음재 층(300)으로 포함됨으로써, 두께 축소 및 비중 하향 등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우수한 차음성을 구현할 수 있다. 더욱이, 기존의 자동차용 차음재는 차음재 층(300)을 타 기재에 적층시키기 위하여 접착층 형성단계를 거친 것과 달리 단일공정으로 차음재의 제조가 가능함으로써 공정편리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제조 과정에서 발생되는 차음재 층 파괴 및 두께의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어 현저한 차음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음재 층에 들어가는 조성물은 앞서 설명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과 동일하므로 그 구성 및 특징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의 각 층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베이스층(100)은 섬유 층(200)의 하부 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자동차 카페트에 상기 베이스층이 포함됨으로서 흡음 효과가 더욱 증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 폼 등과 같이 흡음효과가 우수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섬유층(200)은 기포지 및 펠트 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섬유층(200)을 기포지 또는 펠트를 사용할수 있으며 상기 섬유층을 포함함으로써 차음효과가 더욱 우수해지고, 자동차의 물리적인 진동 또한 효과적으로 흡수하며,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의 내구성 또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라, 상기 카페트 원단층(400)은 방수, 절연 및 미끄럼 방지 기능을 부여하기 위한 층으로, 파일 층(410) 및 라텍스 층(42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파일층(410)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이 니들펀칭 된 파일직물이며,
상기 라텍스층(420)은 상기 파일층(410)의 일면에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기 섬유파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층(410)은 섬유파일이 서로 엉켜서 균일한 밀도로 니들펀칭 된 파일직물 또는 기포지 일면에 섬유파일이 결합된 파일직물인 것일 수 있다.
상기 파일층(410)이 섬유파일이 서로 엉켜서 균일한 밀도로 니들펀칭 된 파일직물인 경우 상기 파일직물이 형태를 유지하고, 기재층에 접착이 되도록 하고, 흡음성 및 차음성을 더욱 부여하기 위하여 파일층(410)의 일면에 라텍스층(420)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일층(410)이 기포지 일면에 섬유파일이 결합된 파일직물인 경우에도 기재층에 접착이 되도록 하고, 흡음성 및 차음성을 더욱 부여하기 위하여 파일층(410)의 일면에 라텍스층(420)을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파일층(410)과 라텍스층(420)은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파일층(410)에 사용되는 섬유파일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유파일은 폴리에스테르 중공섬유 파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 중공섬유 파일로 이루어지는 경우 흡음성 및 차음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파일층(410)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재질의 기포지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이 결합된 파일직물이며,
상기 라텍스층(420)은 상기 기포지의 타면에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한 후 오븐 또는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것일 수 있으며,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파일층(410)과 라텍스층(420)이 일체화되도록 한다.
상기 파일층(410)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 파일이 균일한 밀도로 니들펀칭 된 파일직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라텍스층(420)은 상기 파일직물이 형태를 유지하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흡음성 및 차음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재층과 열접착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매트를 제조할 수 있어서 친환경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상기 차음재 층(300)은 티다이 또는 카렌더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티다이 또는 카렌더 성형을 통해 도포됨으로써 균일한 두께로 도포 가능하며, 용융된 조성물을 바로 라텍스층에 라미네이트가 가능하여 별도의 접착제 없이도 열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가공시 변형이 없으며, 고온으로 압착시 차음재 층이 파괴되지 않고 균일한 두께의 층으로 구성될수 있다. 특히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차음효과 또한 우수하다.
상기 차음 효과는 APAMAT 설비를 이용하여 400 ~ 8,000 Hz 범위에서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의 투과손실 값을 측정하였을 때, 평균 10 dB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dB 이상 차음될 수 있다.
상기 투과손실은 초기 음원이 물체를 통과할 때 물체에 의해 손실되는 음압으로 차음성을 표현하는 대표적인 용어이며, 상기 범위의 투과손실의 평균값을 가지는 자동차용 차음재 카페트는 우수한 차음능을 나타내므로, 자동차 주행 시 발생하는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차음과 더불어 흠음에도 효과가 있다. 관내법 설비를 이용하여 125 ~ 6,300 Hz 범위에서 KS F 2814-2에 따라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를 측정하였을 때 측정된 흡음율이 0.08%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0.1%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태로,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ALPHA CABIN 설비를 이용하여 400 ~ 5,000 Hz 범위에서 측정된 흡음율이 0.2%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좋게는 0.22%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범위의 흡음율을 가지는 자동차용 카페트는 소리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감소시키는 효과가 향상되어 자동차 주행 시 운전자 및 탑승자가 느끼는 진동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부여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바탕으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에서 특별히 기재하지 않은 첨가물의 단위는 중량%일 수 있다.
[물성측정방법]
1. 투과손실(Transmission Loss : TL)
관내법을 이용하여 125 ~ 6,300 Hz 범위에서 ASTM E 1050에 의거하여 투과손실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이 때, 투과손실의 평균값은 높을수록 차음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2. 성형성
Brabender사 단축 압출기와 T-die를 활용하여 자동차용 시트의 성형도를 육안으로 우수,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우수는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이며, 불량은 파괴가 존재하고 두께 균일성이 현저하게 훼손된 점을 의미한다.
3. 인장강도
만능재료시험기 (UTM 5967, INSTRON)를 사용하여 ASTM D 412에 의거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4. 비중
ASTM D792에 의거하여 비중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1]
먼저, 180℃로 가열된 이축 압출기(L/D=44, Φ=32mm)의 1차 원료 투입구에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한화케미칼, 비닐아세테이트 25중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한화케미칼, ASTM D 1238, 190℃, 2.16 kg 조건에서 측정된 용융지수 15 g/10 min) 30 중량부,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에틸렌 55중량% 함유) 50 중량부, 황산바륨(평균입경 2.0㎛) 50 중량부, 탈크(평균입경 1.0㎛) 50 중량부, 탄산칼슘(평균입경 1.0㎛) 100 중량부, 고유동개질제(수소화 석유수지, Eastotac H-142W) 5 중량부 및 규회석(Wollastonite) 5 중량부를 사이드 피더를 통해 이축 압출기 중간에 위치하는 2차 투입구로 투입하였다. 이 후, 카본블랙(평균입경 20 nm) 2 중량부, 산화방지제(IRGANOX1010) 0.5 중량부 및 윤활제(PE Wax) 0.3 중량부를 이축 압출기 첫단에 위치하는 1차 투입구로 투입하면서 180℃ 열용융 혼련 공정을 통하여 차음재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제조하고 70℃에서 12시간 열풍건조기에서 건조하여 차음재 조성물 펠렛을 제조하였다.
상기 펠렛을 온도 200℃에서 물성 측정 및 차음성능(TL) 등 응용 평가를 위한 시편을 70ton Press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이들 시편은 23℃, 상대습도 50%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상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4, 인장강도는 4.8 MPa 및 인장신율은 76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6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황산바륨의 함량을 10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5, 인장강도는 4.7 MPa 및 인장신율은 72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21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대신하여 스티렌-에틸렌-부타디엔-스티렌 고무를 50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4, 인장강도는 4.4 MPa 및 인장신율은 83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9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황산바륨 대신에 산화알루미늄을 10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5, 인장강도는 4.4 MPa 및 인장신율은 71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20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에서 황산바륨을 100 중량부 및 탈크를 100 중량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7, 인장강도는 4.5 MPa 및 인장신율은 70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21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에서 황산바륨을 15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7, 인장강도는 4.3 MPa 및 인장신율은 66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22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에서 황산바륨을 20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7, 인장강도는 4.1 MPa 및 인장신율은 54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8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100 중량부 사용하고,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를 5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5, 인장강도는 4.2 MPa 및 인장신율은 51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5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9]
상기 실시예 1에서 황산바륨을 200 중량부, 탄산칼슘을 150 중량부 및 탈크를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9, 인장강도는 4.0 MPa 및 인장신율은 34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7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10]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을 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4, 인장강도는 4.1 MPa 및 인장신율은 63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3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11]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를 5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4, 인장강도는 4.7 MPa 및 인장신율은 45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2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실시예 12]
상기 실시예 1에서 탈크 대신에 유리섬유를 5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5, 인장강도는 4.3 MPa 및 인장신율은 32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2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두께 외관이 균일하고 파괴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은 상태로 상당히 우수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100 중량부 사용하고,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대신에 저밀도폴리에틸렌을 50 중량부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5, 인장강도는 3.5 MPa 및 인장신율은 32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4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외관이 파괴가 존재하고 두께가 일정하지 않았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5, 인장강도는 3.9 MPa 및 인장신율은 29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2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외관이 파괴가 존재하고 두께가 일정하지 않았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대신에 폴리에틸렌(PE, 용융지수 20g/10min, 190℃, 2.16kg)을 100 중량부 사용하였고,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 대신에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TPO, 용융지수 5g/10min, 200℃, 2.16kg)를 10 중량부, 에틸렌-1-헥센 공중합체 대신에 에어로젤을 5 중량부 사용하였다. 탄산칼슘은 30 중량부, 황산바륨은 100 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물성으로는 비중이 1.4, 인장강도는 3.3 MPa 및 인장신율은 300 %으로 측정되었다. 또한 투과손실은 14 dB로 측정되었으며, 성형시 외관이 파괴가 존재하고 두께가 일정하지 않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15 dB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8 dB이상의 우수한 투과손실을 가지며, 높은 인장강도 및 현저한 성형성이 관측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은 1.4 내지 1.8 범위의 비중을 가지며, 인장강도는 4.0 MPa 및 신율이 500% 이상을 동시에 만족하였다.
상기 이는 자동차 차음재의 중량의 경량화, 높은 기계적 강도 및 높은 신율을 가지며, 더욱이 우수한 차음성을 동시에 가지는 현저한 효과를 가진 자동차용 차음재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특정된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베이스 층
200: 섬유 층
300: 차음재 층
400: 카페트 원단 층
410: 파일 층
420: 라텍스 층

Claims (19)

  1.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합성 고무 10 내지 100 중량부 및 무기필러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및 올레핀계 극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규회석, 탄산칼슘, 카올린, 운모, 실리카, 쵸크, 미세 백운암, 탈크,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유리 분말,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 화산재, 규조토,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나노클레이 및 흑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5. 제 1항 및 제3항 내지 제 4항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 항의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을 압출시킨 자동차용 차음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비중이 1.4 내지 1.8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인장강도가 4MPa 이상,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신율이 500% 이상인 자동차용 차음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차음재는 ASTM E1050 관내법으로 측정된 투과손실이 15 dB 이상인 자동차용 차음재.
  8. 베이스 층;
    상기 베이스 층 상에 적층된 섬유층;
    상기 섬유 층 상에 적층된 차음재 층;
    상기 차음재 층 상에 적층된 라텍스 층;
    상기 라텍스 층 상에 적층된 파일층;을 포함하고,
    상기 차음재 층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수지 10 내지 50 중량부, 합성 고무 10 내지 100 중량부 및 무기필러 200 내지 4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페트.
  9. 삭제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용 카페트는 베이스 층, 섬유 층, 차음재 층, 라텍스 층 및 파일층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은 기포지 및 펠트 층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된 자동차용 카페트.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이 니들펀칭 된 파일직물이며,
    상기 라텍스층은 상기 파일층의 일면에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상기 섬유파일이 고정되도록 형성된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파일층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재질의 기포지 일면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나일론계 수지 재질의 섬유파일이 결합된 파일직물이며,
    상기 라텍스층은 상기 기포지의 타면에 라텍스 조성물을 도포 및 건조하여 형성된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 층은 티다이 또는 카렌더 성형으로 제조되는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
  15. 삭제
  16.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고무는 C4-C10 알파올레핀계 공중합체, 부타디엔계 고무, 스티렌계 고무, 에틸렌-프로필렌계 고무 및 올레핀계 극성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페트.
  17.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규회석, 탄산칼슘, 카올린, 운모, 실리카, 쵸크, 미세 백운암, 탈크, 산화철, 이산화티타늄, 유리 분말, 탄산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벤토나이트, 화산재, 규조토, 황산바륨, 산화알루미늄, 나노클레이 및 흑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카페트.
  18.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 층은 ASTM D792에 따라 측정된 비중이 1.4 내지 1.8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인장강도가 4MPa 이상, ASTM D412에 따라 측정된 신율이 500% 이상인 자동차용 카페트.
  1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재 층은 ASTM E1050 관내법으로 측정된 투과손실이 15 dB 이상인 것인 자동차용 카페트.
KR1020200013479A 2020-02-05 2020-02-05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KR102304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79A KR102304884B1 (ko) 2020-02-05 2020-02-05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479A KR102304884B1 (ko) 2020-02-05 2020-02-05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236A KR20210100236A (ko) 2021-08-17
KR102304884B1 true KR102304884B1 (ko) 2021-09-27

Family

ID=77466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3479A KR102304884B1 (ko) 2020-02-05 2020-02-05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8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167B1 (ko) 2023-03-13 2024-02-01 주식회사 익성 탄소섬유 함침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4740B1 (ko) * 2023-04-21 2024-03-13 주식회사 휴림에이텍 자동차용 난방 자동차용 카페트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366B1 (ko) 1998-04-28 2002-07-27 주식회사동인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KR100889848B1 (ko) * 2007-12-31 2009-03-20 한국펠저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음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1073B1 (ko) * 2008-03-04 2009-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플로워카페트 및 이의 성형방법
KR101766087B1 (ko) 2015-12-11 2017-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프레이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자동차용 차음재
KR101905958B1 (ko) * 2016-06-30 2018-10-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음재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페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6366B1 (ko) 1998-04-28 2002-07-27 주식회사동인 차음, 방진, 내열성 인슐레이숀쉬이트조성물
KR100889848B1 (ko) * 2007-12-31 2009-03-20 한국펠저 주식회사 자동차용 차음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2167B1 (ko) 2023-03-13 2024-02-01 주식회사 익성 탄소섬유 함침 복합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236A (ko) 2021-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4333B (zh) 包括聚乙烯之熱塑性組成物及其製造與應用方法
CN105820438B (zh) 一种汽车转向防尘罩用热塑性硫化橡胶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304884B1 (ko)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KR100950602B1 (ko) 자동차 내장용 방음재
US20050267261A1 (en) Low gloss thermoplastic polyolefin composition
CN102504388A (zh) 隔音材料
KR101905958B1 (ko) 차음재의 제조방법, 이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차음재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카페트
KR20160057528A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JPH07219556A (ja) 自動車用遮音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135709A (ko) 폴리올레핀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자동차용 내장재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자동차용 내장재
KR102002987B1 (ko) 차량용 언더 커버
KR102145732B1 (ko)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차음재
KR102145724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 및 흡차음 매트
US20030096099A1 (en) Recyclable vehicle interior artic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JP6969353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19928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내외장부품
KR100769689B1 (ko) Tpo 바닥재
KR101512384B1 (ko) 소음 차단성이 개선된 고성능 차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4759B1 (ko) 접힘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32272A1 (en) Sheet containing a thermoplastic elastomer, preparation method and use
JP6992461B2 (ja) 加飾成形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402323Y1 (ko) Tpo 바닥재
EP4275881A1 (e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containing a textile layer
WO2023217899A1 (en) Elastic composite structure containing a textile layer
KR20200000121A (ko) 내충격성 및 흡·차음성능이 우수한 자동차용 트렁크 리드라이닝용 친환경복합소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