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987B1 - 차량용 언더 커버 - Google Patents

차량용 언더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987B1
KR102002987B1 KR1020170124372A KR20170124372A KR102002987B1 KR 102002987 B1 KR102002987 B1 KR 102002987B1 KR 1020170124372 A KR1020170124372 A KR 1020170124372A KR 20170124372 A KR20170124372 A KR 20170124372A KR 102002987 B1 KR102002987 B1 KR 102002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resin
layer
absorbing layer
poly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5309A (ko
Inventor
박명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컴
Priority to KR1020170124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98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53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53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9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romatic vinyl (co)polymers, e.g. styren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32B27/3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comprising 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02Cellular or porous
    • B32B2305/026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32B2307/7246Water vap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Landscapes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차량용 언더 커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차량용 언더 커버는 유리 섬유가 함침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된 다공성 고분자층; 및 상기 흡음층의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언더 커버{UNDER CO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언더 커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엔진 룸 하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언더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언더커버는 엔진의 하부는 물론 차체의 하부에 구비한 각종 구성 부품을 보호하고, 차량의 주행시 공기와의 저항을 감소시키며, 노면에서의 비산물을 차단시킬 수 있게 하고, 차량의 제품신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차량 하부에 설치하는 설비이다.
이러한 언더 커버는 차량의 차량의 주행 중, 도로 상의 돌이나 오염 물체로부터 엔진과 변속기 등 엔진 룸 내부의 주요 부품을 보호하고 오염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언더 커버는 차량에 따라 그 형상이 다르지만, 차량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필름 및, 이 필름의 일면에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및 유리 섬유를 혼합한 유리 매트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glass mat reinforced thermoplastics) 필름인 강화 열가소성 플라스틱(LWRT: low weight reinforced thermoplastics)을 포함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윗면 및 아랫면에 부직포가 위치하는 구성을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흡음 성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윗면의 부직포를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크림층으로 변경한 언더 커버 또는 수분 및 오일 흡수로 인한 내구력 향상을 위하여 윗면의 부직포 위에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더욱 형성시킨 언더 커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스크림층을 사용한 언더 커버는 흡음성은 우수하나, 수분 및 오일 흡수 인한 내구력이 열화되고, 폴리카보네이트 필름을 더욱 사용한 언더 커버는 내구력은 우수하나, 흡음성이 좋지 않은 문제가 있다. 이에 언더 커버의 내구력 및 흡음성을 모두 향상시키기 위한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일 구현예는 향상된 흡음 성능을 나타내고, 수분을 차단시켜 수분을 차단하여 내구력이 우수한 차량용 언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유리 섬유가 함침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된 다공성 고분자층; 및 상기 흡음층의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를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 커버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0 : 10 중량비일 수 있고,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5 : 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흡음층에서,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흡음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중합체 필름을 상기 흡음층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중합체 필름이 위치한 흡음층에 핫프레스를 실시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100㎛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필름층은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기타 본 발명의 구현예들의 구체적인 사항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어 있다.
일 구현예에 따른 차량용 언더 커버는 향상된 흡음성을 나타내고, 수분을 효과적으로 차단시킬 수 있어,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언더 커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언더 커버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일 구현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유리 섬유가 함침된 고분자 수지를 포함하는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된 다공성 고분자층; 및 상기 흡음층의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를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 커버를 제공한다.
이러한 언더 커버 구조를 도 1에 개략적으로 나타냈으며, 즉, 일 구현예에 따른 언더 커버(10)는 흡음층(3), 다공성 고분자층(7) 및 다공성 필름층(5)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제1 수지에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를 첨가함에 따라, 흡음 특성(Noise Vibration Harshness, NVH)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어, 즉 상기 흡음층 이외에 이 흡음층 하부에 위치하는 다공성 고분자층 또한 흡음 성능을 나타내므로, 언더 커버의 흡음성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최근에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감성 품질이 향상되면서, 차량의 언더 커버에도 요구되는 우수한 흡음 특성을 일 구현예에 따른 언더 커버는 만족할 수 있다.
또한, 일 구현예에 따른 언더 커버는 종래 언더 커버에 비하여, 약 1.75배 향상된 강도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므로, 매우 우수한 내구력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와 제2 수지를 함께 사용함에 따라, 폴리우레탄 폼 또는 글래스 울(glass wool) 등의 별도의 흡음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를 사용함에 따른 중량 증가 및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에 고분자가 함침되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언더 커버를 차량에 설치시,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하는 것으로서, 이와 같이 다공성 고분자층이 상기 흡음층을 커버하면서, 외부에 노출되게 위치하는 것이기에, 이러한 언더 커버를 차량에 설치할 때, 흡음층에 포함되어 있는 유리 섬유가 외부로 떨어지는, 즉 작업자에게 떨어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언더 커버는 상기 다공성 필름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을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이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0 : 10 중량비일 수 있고, 다른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5 : 5 중량비일 수 있다.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즉, 상기 제2 수지의 중량비가 1 중량% 미만이면, 상기 흡음층과의 접착력이 저하되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적절하지 않다.
또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및/또는 상기 다공성 필름층은 이 다공성 고분자층 또는 다공성 필름층의 기계적 성질, 필름 가공 특성, 흡음층과의 접착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 활제, 산화방지제, 안료, 염료, 자외선 안정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첨가제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활제, 산화방지제, 안료, 염료, 자외선 방지제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첨가량 또한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사용할 수 있기에, 첨가제 종류 및 첨가량을 한정할 필요는 없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및/또는 상기 다공성 필름층에 포함되는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로 만약 제1 수지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흡음층과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의 부착력 또한 상기 흡음층과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함유 층의 부착력이 약한 문제가 있고, 이 부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접착 필름을 더욱 사용해야하므로 적절하지 않다.
이러한 다공성 고분자층은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를 이용하여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여, 이 필름을 상기 흡음층의 일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중합체 필름의 일면에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을 위치시킨 뒤, 핫프레스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핫프레스 공정시 용융 공정이 발생하므로, 상기 중합체 필름이 용융되면서, 다공층으로 함침되어 한 층의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의 두께는 10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필름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형성과 동일하게, 즉, 상기 중합체 필름을 상기 흡음층의 양면에 위치시킨 후, 상기 중합체 필름의 일면에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을 위치시킨 뒤, 핫프레스하여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필름층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부직포일 수 있다. 이 다공성 필름층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200㎛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 형성 공정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를 접착제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이 혼합물을 이축압출기에서 용융혼련하고, 용융혼련물을 커터를 이용하여 펠렛화하고, 이 펠렛을 이용하여 중합체 필름을 제조한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을 상기 흡음층 위에 위치시키고, 이 중합체 필름의 일면에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을 위치시킨 뒤, 핫프레스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핫프레스 공정시 용융 공정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혼합 공정에서, 상기 제1 수지와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0 : 10 중량부일 수 있고, 99 : 1 내지 95 :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용융 공정은 상기 220℃ 내지 280℃에서 실시할 수 있다. 용융 공정을 실시하는 시간은 상기 온도에서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용융 공정을 상기 온도 범위에서 실시하는 경우, 고분자가 타는 등의 문제없이, 고분자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고분자가 적절하게 용융될 수 있다.
상기 핫프레스 공정에서,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가 용융되면서, 상기 다공층으로 함침되어, 결과적으로, 흡음층의 일면에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공정에 따라 형성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다공성일 수 있다.
상기 흡음층에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흡음층에서,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흡음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인 경우, 강도가 약해질 수 있고, 7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딱딱해짐에 따라 브리틀(brittle)해지므로, 파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100㎛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이 상기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 보다 적절한 강도 및 흡음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흡음층의 두께는 사용되는 차량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한정할 필요는 없다.
일 구현예에 따른 언더 커버는 하기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를 이용하여 중합체 필름을 제조하여, 이 필름을 상기 흡음층의 일면에 위치시킨다.
이어서, 상기 중합체 필름의 일면에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을 위치시킨 뒤, 핫프레스한다. 이 공정으로 흡음층 일면에 다공성 고분자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공성 필름층이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을 더욱 포함하는 경우에는, 상기 중합체 필름을 상기 흡음층의 양면에 위치시키고, 중합체 필름의 일면에 부직포와 같은 다공층을 위치시킨 뒤, 핫프레스하여 실시할 수 있다. 핫프레스 공정에서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이 용융되어, 다공성 필름층으로 함침되어, 다공성 필름층 내에 폴리카보네이트계 물질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카보네이트(제조사: LG, grade: 1201)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제조사: 금호 석유화학, grade: HR-181)의 중합체(폴리카보네이트 :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 혼합비: 70 : 30) 99 중량% 및 말레이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제조사: IruChem, grade: IRUCOMP510) 제2 수지 1 중량%를 혼합한 수지 조성물 100 중량부에,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Tetrakis(methylene-3-(3,5-di-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methane) 산화방지제(제조사: Adeka, grade: A060) 0.2 중량부 및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tris(2,4-di-t-butylphenyl) phosphite) 산화방지제(제조사: Adeka, grade: 2112)를 접착제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혼련한 후, 커터를 이용하여 펠렛화하였다.
상기 펠렛을 이용하여 변성 PC/ABS 필름을 제조하였다.
상기 변성 PC/ABS 필름을, 유리 섬유가 함침된 폴리프로필렌 흡음층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변성 PC/ABS 필름의 일면에 두께가 1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220℃에서 용융시켜, 상기 흡음층 일면에, 변성 PC/ABS가 부직포에 함침된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공정으로 얻어진 생성물의 상부면, 즉 상기 다공성 흡음층과 접하도록 또한 상기 생성물의 상부면에 두께가 2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위치시켰다.
이어서, 얻어진 생성물을 핫프레스하여, PC/ABS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에 함침된 다공성 고분자층, 유리섬유가 함침된 폴리프로필렌 흡음층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가 차례대로 형성된 언더커버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언더커버에서,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흡음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였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의 두께는 100㎛였으며, 상기 흡음층 두께는 500㎛이었다.
(실시예 2)
상기 변성 PC/ABS 필름을, 유리 섬유가 함침된 폴리프로필렌 흡음층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변성 PC/ABS 필름의 일면에 두께가 15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220℃에서 용융시켜, 상기 흡음층 일면에, 변성 PC/ABS가 부직포에 함침된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언더커버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언더커버에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의 두께는 150㎛이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변성 PC/ABS 필름을, 유리 섬유가 함침된 폴리프로필렌 흡음층의 일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변성 PC/ABS 필름의 일면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220℃에서 용융시켜, 상기 흡음층 일면에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하였다.
이어서, 상기 흡음층의 다른 일면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변성 PC/ABS 필름을 위치시키고, 두께가 2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순서대로 위치시킨 후, 핫프레스를 실시하여, 언더 커버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언더커버에서,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흡음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였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의 두께는 100㎛였으며, 상기 흡음층 두께는 500㎛이었다.
(비교예 1)
유리 섬유가 함침된 폴리프로필렌 흡음층의 양면에 두께가 200㎛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부직포를 위치시킨 후, 핫프레스를 실시하여, 언더 커버를 제조하였다.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흡음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50 중량%였고, 상기 흡음층 두께는 500㎛이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언더 커버의 인장 강도, 최대하중 및 굴곡 탄성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인장 강도 및 최대 하중 측정은 ASTM D638 방법으로 측정하고, 굴곡 탄성율은 ASTM D790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인장강도(2.0t, MPa) 28 38 39 68
최대 하중(3.2t, N) 13 47 51 84
굴곡탄성율(3.2t, MPa) 967 1429 1456 2572
상기 표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PC/ABS 함유 다공성 고분자층을 형성한 실시예 1 내지 3의 인장 강도, 최대 하중 및 굴곡 탄성율이 이 층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 비하여 매우 우수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교예 1과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언더커버의 흡음 성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흡음 성능 측정은 Two-cavity method 방법(Utsuno et al)을 이용하여 측정한 흡음 계수로 파악하였다.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의 흡음 계수가 비교예 1보다 높은 결과가 얻어졌고, 이 결과로부터 실시예 1의 언더커버를 차량에 장착시키는 경우 차량 소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어, 차량 탑승자가 보다 편안함을 느낄 수 있음을 예측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Claims (7)

  1. 흡음층;
    상기 흡음층의 하부에 형성된 다공성 고분자층; 및
    상기 흡음층의 상부에 형성된 다공성 필름층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층은 유리 섬유가 함침된 고분자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가 함침된 부직포이고,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0 : 10 중량비이고,
    상기 다공성 필름층은 부직포 및 이 부직포 내에 존재하는 폴리카보네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러버의 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 수지; 및 말레인산무수물 변성 폴리에틸렌 제2 수지로 이루어진 것이고,
    상기 흡음층에서, 상기 유리 섬유의 함량은 상기 흡음층 전체 중량에 대하여 30 중량% 내지 70 중량%인
    차량의 엔진 룸 하부에 설치되는 차량용 언더 커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지 및 상기 제2 수지의 혼합비는 99 : 1 내지 95 : 5 중량비인 차량용 언더 커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이들의 조합인 차량용 언더 커버.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고분자층은 100㎛ 내지 200㎛의 두께를 갖는 것인 차량용 언더 커버.
  7. 삭제
KR1020170124372A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언더 커버 KR102002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72A KR102002987B1 (ko)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언더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372A KR102002987B1 (ko)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언더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309A KR20190035309A (ko) 2019-04-03
KR102002987B1 true KR102002987B1 (ko) 2019-07-25

Family

ID=66165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372A KR102002987B1 (ko) 2017-09-26 2017-09-26 차량용 언더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99403A (ko) 2021-12-27 2023-07-04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흡음 및 방열 성능이 우수한 복합 다공성 구조체, 이를 포함하는 흡음 및 방열 소재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313B1 (ko) * 2001-06-20 2004-08-30 장홍근 열가소성 수지계 적층물, 그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U2012329341B2 (en) * 2011-10-24 2017-08-03 Hanwha Azdel, Inc. Deep draw composites and methods of using them
KR101923379B1 (ko) * 2015-06-29 2018-11-30 (주)엘지하우시스 차량용 언더바디 커버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5309A (ko) 2019-04-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64333B (zh) 包括聚乙烯之熱塑性組成物及其製造與應用方法
KR102187250B1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KR101821499B1 (ko) 자동차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272077B1 (ko) 폴리올레핀계 탄성체 조성물
KR102002987B1 (ko) 차량용 언더 커버
KR20210025379A (ko) 자동차 펜더라이너용 복합소재 및 이를 이용한 펜더라이너의 제조방법
KR102304884B1 (ko) 차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플로우 카페트 제조 방법
KR101723963B1 (ko) 자동차의 카매트 백킹재용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자동차 카매트의 제조방법
KR101421674B1 (ko)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KR100653253B1 (ko) 새집 증후군을 감소시키기 위한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US20220118749A1 (en) Sound-Insulating Material and Sound-Absorbing Material
JPS62257838A (ja) ヘツダ−トリムレス天井材
KR101980336B1 (ko)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복합소재
KR102145732B1 (ko) 자동차용 차음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자동차용 차음재
KR102145724B1 (ko) 자동차용 흡차음재 조성물 및 흡차음 매트
KR101512384B1 (ko) 소음 차단성이 개선된 고성능 차음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202742B1 (ko) 흡차음재의매스층성형용조성물
KR101689286B1 (ko)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발포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 플로어 카페트의 제조방법
KR100769689B1 (ko) Tpo 바닥재
KR10224986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자동차용 플로어 카페트
KR102174759B1 (ko) 접힘 가능한 자동차 트렁크용 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49854B1 (ko) 차량용 내장재
KR102064339B1 (ko) Pc-abs 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언더커버 및 그 제조방법
KR102187247B1 (ko) 발포쿠션층 및 이를 포함하는 쿠션 바닥장식재
KR102184463B1 (ko) 열가소성 복합재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열가소성 복합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