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285B1 - 그레이팅용 주부재 - Google Patents

그레이팅용 주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285B1
KR100616285B1 KR1020040018675A KR20040018675A KR100616285B1 KR 100616285 B1 KR100616285 B1 KR 100616285B1 KR 1020040018675 A KR1020040018675 A KR 1020040018675A KR 20040018675 A KR20040018675 A KR 20040018675A KR 100616285 B1 KR100616285 B1 KR 100616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main member
grating
fla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8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56841A (ko
Inventor
오카지마노부유키
Original Assignee
도호쿠 오카지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호쿠 오카지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호쿠 오카지마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56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56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1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by special construction of the fram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4Natural ventilation using conv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in or close to a window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Sewage (AREA)

Abstract

비바람에 노출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그 비바람을 이용하여 홈부분에 축적되는 쓰레기를 자연정화 배제할 수 있는 그레이팅용 주부재를 제공한다.
띠판 형상체로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되고, 금속제의 부부재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제의 그레이팅용 주부재로서, 상면부에 복수의 평탄부분과 복수의 홈부분이 형성되고, 또한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상태에서의 상면부에서, 이 홈부분의 홈바닥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를 형성하고, 더욱 이 경사로가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격자형상, 평탄부분, 홈부분, 홈바닥, 경사로, 트위스트 바.

Description

그레이팅용 주부재{MAIN MEMBER FOR GRATING}
도 1은 실시형태 1의 그레이팅용 주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주부재를 사용한 그레이팅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주부재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a)가 도 3의 II-II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고, (b)가 III-III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는 (a)가 도 1의 주부재의 정면도이고, (b)가 도 1의 주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V-V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7은 실시형태 2의 그레이팅용 주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3의 그레이팅용 주부재의 부분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주부재 2a 상면부
3 평탄부분 31 상측 가장자리(일측)
4 홈부분 40 홈바닥
41 경사로 41a 최상부위
7 부부재 E 일측(타측)
F 타측(일측)
본 발명은 배수구의 개구 등을 덮는 그레이팅의 그레이팅용 주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레이팅은 주부재(종방향 살)과 부부재(횡방향 살)을 격자형상으로 한 조합 격자를 테두리판으로 둘러싼 것으로, 도로, 엔트런스 등의 측구(側溝)나 횡단 홈 등 각종 배수구 등의 개구에 필요 매수를 설치하여 빗물의 배출을 보증하면서, 사람과 차량의 통행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레이팅은, 띠판 형상체로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되는 주부재와, 금속제의 부부재로 격자형상으로 형성되고, 통로의 빗물용 홈 덮개 등에는 이 종류의 그레이팅이 사용되고, 특히 금속제 그레이팅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배수가 양호하고, 또한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기 때문이다. 단지 그레이팅이 금속제이기 때문에 미끄러지기 쉽고, 특히, 표면이 젖어 있으면 더욱 미끄러지기 쉽게 되었다.
이러한 것에서, 주부재에 여러가지 미끄럼방지 기능을 갖춘 그레이팅이 제안되어 왔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2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 27l011l호 공보(제 1-3페이지)
(특허문헌 2) 일본 특개 2000-170241 공보(제 1-4페이지)
특허문헌 1의 기술은,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띠판 형상의 주부재를 평행으로 복수 배열설치하고, 이 주부재에 격자형상으로 직교시켜서 봉형상의 연결재를 재치하고, 더욱, 그 접합부를 압접 고정하여 이루어지는 금속제 그레이팅에 있어서, 이 주부재의 표면 평탄부에,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경사하는 오목홈을 다수 형성하고, 위에서 보아, 이 오목홈과 이 주부재의 일측과의 교점을 통과하여 주부재에 직교시킨 직선이 이 주부재의 타측 지점에서 이 평탄부의 영역내에 모두 들어가는 동시에, 이 오목홈과 이 주부재의 타측과의 교점을 통과하여 주부재에 직교시킨 직선이 이 주부재의 일측 지점에서 이 평탄부의 영역내에 모두 들어가도록 구성한 금속제 그레이팅」이다.
또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발을 딛는 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조(突條)를 가로질러 형성함으로써 생긴 홈부에 대해 이 홈부를 차단하는 돌조를 설치한 그레이팅용 베어링 바(본원에서 말하는 주부재)」이다.
그런데, 특허문헌 1, 2 등의 지금까지의 종래 기술에서는, 모두 미끄럼 방지용으로 설치한 오목홈, 홈부의 홈바닥이 수평하게 되어 평평하기 때문에, 그레이팅이 오랜 시간에 걸쳐서 사용에 쓰이게 되면 쓰레기가 이들 오목홈, 홈부에 축적되었다. 비바람에 노출되어도 오목홈, 홈부에 축적된 채로 배제되지 않고 있었다. 그 때문에 경우에 따라서는 토사 등이 오목홈, 홈부를 매워서 미끄럼방지 기능이 저하되었다(제 1 문제). 미끄럼 방지 기능을 상실할 정도는 아니더라도, 미끄럼방지를 시행한 오목홈, 홈부는 그레이팅의 외관 표면에 드러나므로, 쓰레기가 쌓인 상태에 있는 그레이팅은 경관을 손상시켰다(제 2 문제). 더욱이 빗물을 함유한 쓰레기 등이 그레이팅의 부식을 진행시키는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었다(제 3 문제).
게다가, 그레이팅은 아연도금 등의 도금 마무리가 행해지는 경우가 있지만, 종래의 오목홈, 홈부는 평탄하게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었기 때문에, 용융 아연 등의 도금 도료가 오목홈, 홈부에 쌓여서 마무리가 나빠지거나 눈막힘을 일으키는 다른 문제도 있었다(제 4 문제).
특허문헌 1에서는 연결재인 부부재가 사행(蛇行)하지 않도록 오목홈의 폭이 제한을 받기 때문에, 오목홈의 크기, 형상에 한계가 있고, 오목홈에 쓰레기가 축적되기 쉬웠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돌조가 각 홈부를 거의 2분할로 칸막이하기 때문에, 구획화된 홈부가 작아져 쓰레기가 한층더 여기에 정체되기 쉽게 되어 있었다.
오목홈, 홈부내에 쌓인 쓰레기를 정기적으로 청소하여 제거한다고 해도, 그레이팅은 수많이 부설되고, 또한 각 그레이팅의 주부재의 오목홈, 홈부가 가늘게 형성되어 무수하게 있기 때문에, 제거작업을 한다고 해도 대단한 일이며,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까웠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비바람에 노출되는 그레이팅에 있어서, 그 비바람을 이용하여 홈부분에 축적되는 쓰레기를 자연정화하여 배제할 수 있는 그레이팅용 주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요지는, 띠판 형상체로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되고, 금속제의 부부재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제의 그레이팅용 주부재로서, 상면부에 복수의 평탄부분과 복수의 홈부분이 형성되고, 또한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에서의 상면부에서, 이 홈부분의 홈바닥이 일측에서 타측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를 형성하고, 더욱이 이 경사로가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용 주부재에 있다.
청구항 2의 발명된 그레이팅용 주부재는, 청구항 1에서 경사로의 최상부위의 높이를,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상기 평탄부분의 높이에 일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의 발명인 그레이팅용 주부재는, 청구항 1에서, 경사로의 최상부위의 높이를,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상기 평탄부분의 높이에 일치시키고, 더욱이 이 최상부위가 평탄부분의 일측에 일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작용)
청구항 1의 발명과 같이, 그레이팅의 상면부에 복수의 평탄부분과 복수의 홈부분이 형성되므로, 미끄럼방지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에서의 상면부에서, 홈부분의 홈바닥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를 형성하고, 더욱이 이 경사로가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면, 홈부분에 쓰레기가 쌓여도, 비가 내리면 경사로를 따라 빗물이 흘러내리는 기세로 타측으로 밀려가서 홈부분 밖으로 씻겨질 수 있다. 쓰레기가 쌓이면 빗물을 함유하여 그레이팅의 부식을 진행시키고, 홈부분을 형성한 곳 중 미끄럼방지 효과가 가장 큰 에지의 손실을 진행시키게 되지만, 홈부분으로부터 쓰레기를 배제하므로 이러한 문제도 회피할 수 있다. 홈바닥이 평평한 경우는, 비가 내리면 항상 홈부분에 물이 남으므로 부식을 조장하지만, 본 발명과 같이 경사 홈이 설치되면, 물기 사라짐이 양호하여, 홈부분이 말라 양호한 상태를 바로 얻을 수 있다.
그레이팅에 아연 도금 등의 도금 마무리가 행해지는 경우라도, 홈부분의 홈바닥이 경사로를 형성하고, 이 경사로는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홈부분으로의 용융 아연 등의 도금 원료에 흐름성이 부여되어, 잉여의 도금 원료는 경사로의 타측으로 흘러버리므로, 홈부분에 잉여의 도금 원료가 남지 않는다. 경사로에 의해 너절한 얼룩 제거가 양호하게 된다. 오목홈, 홈부가 평탄하고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던 종래품과 같이, 도금 원료가 오목홈, 홈부에 쌓여서 마무리가 나빠지거나 눈막힘을 일으키거나 하는 문제는 해소된다.
청구항 2, 3의 발명과 같이, 경사로의 최상부위의 높이를,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상기 평탄부분의 높이에 일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그레이팅용 주부재이면, 홈부분이 형성되어도, 부부재가 주부재의 어느 부분을 가로지르는 경우라도 그레이팅의 상면부의 가장 높은 곳의 평탄부분에 닿으므로, 부부재가 트위스트 바 등의 압접용접으로 주부재와 연결할 때에 횡방향 어긋남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청구항 3의 발명과 같이, 경사로의 최상부위의 높이를,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상기 평탄부분의 높이에 일치시키고, 더욱이 이 최상부위가 평탄부분의 일측에 일치시켜지면, 경사로가 길어져 그 만큼, 얕은 홈부분부터 깊은 홈부분까지 여러 사양의 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효과에 위력을 발휘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그레이팅용 주부재(이하, 간단히 「주부재」라고 한다.)에 대하여 상술한다.
(1) 실시형태 1
도 1∼도 6은 본 발명의 주부재의 1형태이고, 도 1은 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주부재를 사용한 그레이팅의 부분사시도, 도 3은 도 1의 주부재의 부분 확대 평면도, 도 4(a)가 도 3의 II-II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b)가 III-III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 도 5(a)가 도 1의 주부재의 정면도이고, (b)가 도 1의 주부재의 우측면도, 도 6은 도 3의 V-V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다. 도 5(b)의 주부재에 해칭을 넣으면 도 3의 IV-IV선의 화살표 방향으로 본 도면이 된다.
주부재(1)는, 이것에 직교하는 부부재(7)와 조합 격자를 구성하고, 그 주위를 일정 폭의 테두리판(8)으로 둘러싸고, 전체 형상이 규격화된 직방체 형상을 이루는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금속제 그레이팅으로 하여 제품화된다. 부부재(7)로서, 여기에서는 금속제 봉형상재를 비튼 트위스트 봉을 사용한다. 부부재(7)는, 평탄부분(3)과 홈부분(4)이 형성된 상면부(2a)를 상방으로 하여 주부재(1)를 복수 세워설치한 후, 이것들에 직교시키고 또한 일정 간격 마다 주부재(1) 상면에 재치된다. 그 후, 주부재(1)와 부부재(7)를 전기 압접으로 고정하여 그레이팅용 격자형상체가 조립된다.
본 실시형태는, 전기 압접에 의한 고정으로 형성되는 금속제 그레이팅용 주부재(1)로 하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면 주부재(1)에 부부재(7)를 단순히 격자형상으로 조립하는 금속제 그레이팅에 관계되는 주부재(1), 구체적으로는, 주부재(1)의 중앙 기립부(5) 등에 관통 구멍을 설치하고, 이것에 부부재(7)를 관통 크로스 배열설치하여 격자형상으로 조립하여 형성하는 소위 조합 홈으로 형성하는 금속제 그레이팅에 관계되는 주부재(1) 등에도 물론 적용할 수 있다.
주부재(1)는, 여기에서는, 도 1과 같은 단면 I자 형상의 금속제 띠판(통칭 「I 바」라고 한다.)으로 이루어진다. 주부재(1)는 상부(2)와 중앙 기립부(5)와 하부(6)로 구성되고, 그레이팅을 제조하는 경우는, 주부재(1)가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복수 배열설치된다. 주부재 상부(2)의 상면부(2a)에는,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문자 그대로 상면부(2a)로 하여 가장 높은 위치에 있어서 평평한 평탄부분(3)과, 이 평탄부분(3)보다 움푹 패여서 낮아진 홈부분(4)이 다수 형성되어서, 미끄럼방지 기능을 발휘하고 있다. 이들 홈부분(4)은, 예를 들면 주부재(1)인 형강을 제조하는 열간 압연공정으로 동시에 제조된다.
평탄부분(3)과 홈부분(4)은, 도 3의 평면도로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반복 패턴으로 형성된다.
평탄부분(3)은, 도 3의 평면도에서, 하측 바닥부분에 작은 오목부를 설치한 사다리꼴을, 주부재 상면부(2a)를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는 홈부분(4)을 사이에 두고, 상측 바닥과 하측 바닥을 반대로 교체 배치하고, 이 패턴이 반복 모양의 형태로 상면부(2a)에 배열설치된다.
홈부분(4)은, 이웃하는 평탄부분(3)의 사다리꼴 경사변의 기립벽을 측벽(42)(제방)으로 하여 이 평탄부분(3)보다 낮은 홈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웃하는 평탄부분(3)의 거리가 홈 폭이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평탄부분(3)에 관계되는 사다리꼴의 하측 바닥부분에 하나의 작은 사다리꼴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부분에도 홈부분(4)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홈부분(4)은 그 홈바닥(40)이 주부재(1)의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의 상면부(2a)에서,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가 생기도록 형성한다. 경사로(41)는 기복이 없이 하강 경사하여 타측으로 향한다. 이웃하는 평탄부분(3)의 사다리꼴 경사변의 기립벽을 홈부분(4)의 측벽(42)으로 하는 이 홈부분(4)의 경사로(41)는, 도 1중, 또는 포인트에서 일측(E)(지면 앞쪽)으로부터 타측(F)(지면 안쪽)을 향하여 하강 경사하면, 타측(F)의 지점이 경사로(41)의 최하부위(41b)로 된다. 이 경사로(41)에 맞닿는 사다리꼴의 평탄부분(3)을 넘어선 이웃의 경사로(41)에서는 일측(F)(지면 안쪽)으로부터 타측(E)(지면 앞쪽)을 향해서 하강 경사지도록 설정된다. 이때, 타측(E)의 지점이 경사로(41)의 최하부위(41b)로 된다. 이것을 또 도 6에서 설명하면, 지면 좌측의 상면부 상측 가장자리(31)를 최상부위(41a)로 하고 이 지점으로부터 오른쪽으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가 존재하면, 동 도면에 나타난 평탄부분(3)의 맞은편(지면 수직방향 안쪽)에는, 평탄부분(3)의 사다리꼴 경사변을 홈부분(4)의 측벽(42)으로 하는 경사로(41)가, 지면 우측의 상면부 상측 가장자리(31)를 최상부위(41a)로 하여 이 지점으로부터 왼쪽으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가 존재한다. 위에서 보아 평탄부분(3)을 사이에 두고, 이웃하는 경사로(41)의 경사 방향이 역방향으로 됨으로써, 그레이팅의 상면의 요철정도가 뒤섞여서 미끄럼방지 효과를 보다 한층더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평탄부분(3)을 구성하는 사다리꼴의 경사변을 따르는 이들 홈부분(4)은, 모두 주부재 상부(2)의 판두께 폭을 가로 지르는 횡단 홈(4a)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그 경사로(41)의 최상부위(41a)는 평탄부분(3)으로부터 일측을 뻗어 설치하여 이루어지는 상측 가장자리(31)에 일치하고, 당해 개소에서는 평탄부분(3)과 높이를 동일하게 한다. 즉, 주부재(1)의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경사로(41)의 최상부위(41a)의 높이를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시켜, 더욱 이 최상부위(41a)가 평탄부분(3)의 일측에 일치하도록 설정된다.
횡단 홈(4a)의 경사로(41)의 경사각도(θ2)는, 도 6의 횡단면도(또는 그레이팅의 측면에 횡단 홈(4a)이 나타나는 경우는 측면도)에서 3°∼4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의 범위이다. 경사각도(θ2)가 3°보다 작으면, 경사로(41)를 설치함에 의한 본 발명의 효과, 예를 들면 빗물 등에 의한 쓰레기를 배제하는 자연정화 작용이 효과적으로 얻어지지 않고, 한편, 경사각도(θ2)가 45°보다 크면 경사로(41)가 급경사로 되어 제작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고 또 제품 코스트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또 경사각도(θ2)가 45°를 초과하면, 그때까지 비례적으로 증대하고 있던 경사로(41) 형성에 의한 쓰레기의 씻어내기 효과 등이 둔화되어, 그 이상의 급경사를 만들 필요성이 덜해지기 때문이다. 경사각도(θ2)가 5°∼30°의 범위이면, 제작상의 문제도 없고 또한 제품 코스트 상승을 억제하면서, 본 주부재(1)의 작용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경사각도(θ2)는 약 20°로 한다(도 6).
상기 평탄부분(3)의 사다리꼴 하측 바닥부분에 설치된 작은 오목부의 홈부분(4)은, 평면도에서, 사다리꼴 높이의 중앙 라인(32) 즉 주부재(1)의 폭의 중간부위를 상측 바닥으로 하고 평탄부분(3) 하측 바닥을 그대로 하측 바닥으로 하는 사다리꼴 홈이며, 사다리꼴 높이가 주부재 상부(2)의 판 폭의 약 반이 되는 하프 홈(4b)으로 되어 있다. 이 홈부분(4)의 홈 바닥(40)에는,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하는 중앙 라인(일측)(32)으로부터 하측 바닥(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가 형성된다. 하프 홈(4b)의 경사로(41)의 경사각도(θ1)도, 상기 횡단 홈(4a)과 동일하게, 3°∼45°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의 범위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홈부분(4)은, 상기 횡단 홈(4a)과 하프 홈(4b) 모두 도 4와 같이 횡단면
Figure 112006040503912-pat00001
형상이지만, 횡단면 U자 형상 등 이라도 좋다. 횡단면 U자 형상으로 하면, 디자인 등의 영향을 무시하면, 홈바닥(40)과 측벽(42)으로 만드는 각이 사라지고 또한 홈 라인 중앙에 빗물을 한데 모으므로, 그 집수작용에 의해 쓰레기의 씻어 내리기 효과가 증가하여 보다 바람직하게 된다.
하프 홈(4b)에서의 평탄부분(3)으로부터 최하부위(41c)까지의 깊이는, 횡단 홈(4a)에서의 평탄부분(3)으로부터 최하부위(41b)까지의 깊이의 약 반이 된다.
그런데, 상기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의 「일측」은, 상부(2)의 일측의 방향으로부터의 의미로서, 일측의 상부(2) 측면으로부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에 의해 하프 홈(4b)은 홈부분(4b)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하여」의 「타측」도, 상부(2)의 타측의 방향을 향해서의 의미이다. 그러나, 타측에 대해서는, 경사로(41)가 타측의 상부(2)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므로, 경사로(41)는 반드시 상부(2)의 타측의 측면에 도달한다.
이렇게 구성한 주부재(1)는, 그레이팅의 표면부(2a)에 평탄부분(3)과 홈부분(4)이 형성되므로, 마찰 저항이 커져 홈부분(4)에서 슬립하는 것을 막는다. 홈부분(4)은 그 홈바닥(40)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를 형성하여 홈깊이가 얕은 곳으로부터 깊은 곳까지 존재하므로, 그 홈 깊이에 따른 여러 미끄럼방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횡단 홈(4a)의 경사로(41)는 상부(2)를 횡단하므로 그만큼 길어져, 얕은 홈으로부터 깊은 홈까지 여러 사양의 홈이 얻어지므로, 미끄럼방지 효과에 위력을 발휘한다.
그리고, 경사로(41)는 상부(2)의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되므로, 가령 홈부분(4)에 쓰레기가 쌓여도, 비가 내리면 경사로(41)의 하강 경사면을 흐르는 빗물의 기세로 최하부위(41b, 41c)로 몰아내고, 더욱 타측으로부터 밖으로 방출하여 씻어낼 수 있다. 본 주부재(1)를 채용하면, 쓰레기의 눈막힘이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미끄럼방지 기능이 장기에 걸쳐서 유지 된다. 쓰레기가 홈부분(4)에 쌓이면 빗물을 함유하기 쉬워져, 그레이팅의 부식을 진행시키는 문제가 있지만, 비가 내릴때 마다 빗물에 의한 자연정화 작용에 의해 쓰레기를 정화 배제하므로 그러한 문제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미끄럼 방지로 설치한 홈부분(4)에 쓰레기가 쌓임으로 인한 경관이 손상되었던 문제도 해소된다. 주부재(1)를 갖춘 그레이팅은 쓰레기 청소를 요하지 않아, 유지관리가 불필요하며, 평탄부분(3)과 홈부분(4)과의 패턴이 항상 깨끗한 요철모양을 나타내고, 경관 향상에 공헌한다.
또, 그레이팅 제작시에 용융 아연 도금 등의 도금처리나 아연 철판용 도료가 시행되는 케이스가 있는데, 지금까지는 도금 원료나 도료가 오목홈, 홈부에 쌓여서 눈막힘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주부재(1)에서는 잉여의 도금 원료나 도료는 구배가 형성된 경사로(41)의 타측으로 원활하게 흘러내리므로, 홈부분(4)으로의 체류나 눈막힘의 염려는 사라진다. 주부재(1)의 제작시에 있어서의 작업성 향상에 기여한다.
또, 홈부분(4)이 존재하는 어느 개소를 가로질러도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하는 최상부위(41a)가 존재하므로, 전기 압접으로 주부재(1)와 부부재(7)를 격자형상으로 고정하는 그레이팅을 채용하는 경우라도, 횡방향 어긋남 등의 문제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 주부재(1)의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하고, 금속제 부부재(7)를 도 2와 같이 전기 압접에 의해 격자형상으로 형성하는 금속제의 그레이팅에 있어서는, 홈부분(4)의 위치는 그 제법으로부터 어떻게 해도 가지런하지 않게 되는데, 가령 가지런하지 않더라도 부부재(7)인 트위스트 바가 홈부분(4) 에 빠지는 일은 없다. 주부재(1)의 어느 지점을 가로질러도 평탄부분(3) 또는 그 높이와 동일 레벨의 상측 가장자리(31)가 존재하므로, 홈부분(4)에 빠지는 일은 없다. 따라서, 부부재(7)는 전기 압접시에, 피치 간격이 어긋나거나 구부러지거나 하지도 않고, 처음의 자태를 유지하고 직선상인채로 주부재(1)에 고정된다. 트위스트 바(부부재(7))가 홈부분(4)에 꼭 맞아 사행하거나 홈부분(4)에 빠져서 상하로 물결치는 일도 없어, 완성된 제품은 외관이 좋아 품질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된다.
(2)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는 도 7과 같은 주부재(1)이다. 주부재(1)는, 실시형태 1과 동일하게 띠판 형상체로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되고, 금속제의 부부재(7)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금속제의 그레이팅용 주부재(1)이지만, 상면부(2a)에 설치되는 다수의 평탄부분(3)은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장방형)으로 한다. 이웃하는 평탄부분(3)의 사이에 주부재 상부(2)의 두께 폭방향으로 횡단하는 홈부분(4)이 다수 형성된다. 그리고, 이 홈부분(4)의 홈바닥(40)은 주부재(1)의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에서의 표면부(2a)에서,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로 형성되고, 더욱 이 경사로(41)가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된다. 모든 경사로(41)의 최상부위(41a)의 높이는, 주부재(1)의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시키고, 더욱 이 최상부위(41a)를 평탄부분(3)의 일측에 일치시키고 있다. 다른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 부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한 주부재(1)도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3)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의 하프 홈(4b)을 생략한 것이다. 하프 홈(4b)이 없는 만큼, 실시형태 1과 비교하면, 홈부분(4)으로 발휘하는 미끄럼방지 효과가 조금 약해지지만,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더욱,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에 도시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목적, 용도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에서 여러가지 변경할 수 있다. 주부재(1), 상부(2), 평탄부분(3), 홈부분(4), 경사로(41) 등의 형상, 크기, 재질 등은 용도에 맞추어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실시형태 1∼3에서는 평탄부분(3)을 평면도에서 사다리꼴이나 사각형으로 했지만, 다른 각형이나 평행사변형, 더욱이 부채형, 활형 등으로 할 수 있다. 주부재(1)는 소정두께의 플랫 바 등이라도 좋다. 주부재(1)는 스테인레스제나 철강제 등의 금속제라면 그 재질을 묻지 않는다. 경사로(41)의 일측의 최상부위(41a)는 실시형태 1∼3에서는 모두 상측 가장자리(31), 중앙 라인(32)으로 하고,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시켰지만, 경사로(41)의 최상부위(41a)의 일측에서 평탄부분(3)의 높이보다 낮게 하는 것도 물론 할 수 있다. 단, 이 경우는 최상부위(41a)에도 움푹 파인 홈이 생기므로, 전기 압접으로 주부재(1)와 부부재(7)를 격자형상으로 고정하는 그레이팅을 채용하는 경우의 상기 횡방향 어긋남 등의 문제 개선효과는 약간 약해진다.
본 발명의 그레이팅용 주부재는, 미끄럼방지용의 홈부분이 형성되고 비바람에 노출되는 그레이팅으로서, 주부재의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에서의 상면부에서, 그 홈부분의 홈바닥이 일측으로부터 타측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를 형성하고, 더욱이 경사로가 타측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하므로, 쓰레기 등이 홈부분에 일단 축적되어도, 비가 내리면 각도가 있는 경사로로 빗물이 흘러 그 유수의 힘으로 쓰레기를 씻어내어 홈부분을 원래의 상태로 깨끗하게 할 수 있다. 그 비바람을 이용하여 홈부분에 축적하는 쓰레기를 자연정화 배제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의 그레이팅를 유지하고, 미끄럼방지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등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3)

  1. 금속제의 띠판 형상체인 주부재(1)를 복수개 채용하여 폭방향을 상하로 하여 평행하게 배열설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주부재(1)를 가로질러 복수개의 부부재(7)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격자형상으로 고정하고, 고정결합된 주부재(1)와 부부재(7)의 주위를 테두리판(8)으로 둘러싸서 형성되는 그레이팅의 주부재(1)에 있어서,
    상면부(2a)에 복수의 평탄부분(3)과 복수의 홈부분(4)이 형성되고, 또한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에서의 상면부(2a)에서, 이 홈부분(4)의 홈바닥(40)이 상부(2)의 일측(E; F)으로부터 상부(2)의 타측(F; E)을 향해서 하강 경사하는 경사로(41)를 형성하고, 더욱 이 경사로(41)가 상부(2)의 타측(F; E)의 측면에까지 도달하여 그 측면에 모습을 나타내도록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주부재(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41)의 최상부위(41a)의 높이를,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상기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시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주부재(1).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로(41)의 최상부위(41a)의 높이를, 폭방향을 상하로 한 기립 상태하에서, 상기 평탄부분(3)의 높이에 일치시키고, 더욱 이 최상부위(41a)가 평탄부분(3)의 상부(2)의 일측(E; F)에 일치시켜져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레이팅의 주부재(1).
KR1020040018675A 2003-12-10 2004-03-19 그레이팅용 주부재 KR100616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412481 2003-12-10
JP2003412481A JP2005171611A (ja) 2003-12-10 2003-12-10 グレーチング用主部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56841A KR20050056841A (ko) 2005-06-16
KR100616285B1 true KR100616285B1 (ko) 2006-08-28

Family

ID=3437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8675A KR100616285B1 (ko) 2003-12-10 2004-03-19 그레이팅용 주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5171611A (ko)
KR (1) KR100616285B1 (ko)
CN (2) CN127369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449B1 (ko) * 2009-06-08 2009-10-30 이갑준 플라스틱 그레이팅
JP2015224496A (ja) * 2014-05-29 2015-12-14 東北岡島工業株式会社 グレーチング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639870B1 (ko) * 2023-07-25 2024-02-23 알미늄프라자 주식회사 그레이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46815A (zh) 2004-11-17
KR20050056841A (ko) 2005-06-16
JP2005171611A (ja) 2005-06-30
CN2706527Y (zh) 2005-06-29
CN1273694C (zh)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46202C2 (ru) Настил из нескольких вставленных друг в друга решеток
KR100616285B1 (ko) 그레이팅용 주부재
KR101253080B1 (ko) 미끄럼방지 데크
KR20100077184A (ko) 지붕부재
CN110893741B (zh) 充气轮胎
JP5460470B2 (ja) グレーチング付き側溝の排水構造
KR200322645Y1 (ko) 압연 강재 그레이팅
KR101030522B1 (ko) V자 홈을 가지는 그레이팅
KR20190000418U (ko) 탈부착 조정식 심플 그레이팅
DE102007043466A1 (de) Abdeckrost
JP2012144077A (ja) タイヤ洗浄装置及びこの装置用すのこユニット
JP3789451B2 (ja) 側溝用溝蓋
KR200438434Y1 (ko) 그레이팅 덮개
DE202009006031U1 (de) Regenrinne
KR100815295B1 (ko) 상승류 갈퀴 봉 스크린 조립체
KR102299315B1 (ko) 그레이팅용 미끄럼 방지 바
JP4408791B2 (ja) グレーチング
DE20103950U1 (de) Fertiggarage mit Regenwasserspeicher
KR20200000150U (ko) 탈부착 조정식 심플 그레이팅
US20110000045A1 (en) Scraper blade and scraper for scraping off materials from a substrate
EP1621672B1 (de) Rinnensteinsystem
US20090061158A1 (en) Friction profile for the top of pool grate bars
DE20119104U1 (de) Rinne zur Entwässerung von anfallendem Oberflächenwasser
JP4054819B2 (ja) 金属製谷瓦
JP4158052B2 (ja) 側溝用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