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212B1 - 삽목묘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 Google Patents

삽목묘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212B1
KR100616212B1 KR1020047005819A KR20047005819A KR100616212B1 KR 100616212 B1 KR100616212 B1 KR 100616212B1 KR 1020047005819 A KR1020047005819 A KR 1020047005819A KR 20047005819 A KR20047005819 A KR 20047005819A KR 100616212 B1 KR100616212 B1 KR 100616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ferm
accession
seedlings
cu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5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53189A (ko
Inventor
마에카와요시오
사카모토이호리
진노기요시
Original Assignee
다끼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끼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끼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531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531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7Pseudomona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Bio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 분야에 있어서, 채소, 화훼, 과수 등의 삽목에 대한 환경중의 오염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방지하고, 삽목시의 수율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FPT-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8), FPH-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9), TSB-25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3), FPT-Y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1), FPT-B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0) 및 잔토모나스 말토필리아 XM-D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2) 중에서 선택된 균주를 접종한 삽목묘; 및 이들 균주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한 용액 또는 고형물을 이용하여 삽목묘에 균주를 접종하는 것으로써 상기 목적을 해결한다.
삽목묘, 균주, 접종

Description

삽목묘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ROOTED CUTTING AND METHOD OF INOCULATING ROOTED CUTTING WITH MICROBIAL STRAIN}
본 발명은 농업 분야에 있어서, 균주를 접종한 채소, 화훼, 과수 등의 삽목묘(揷木苗)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식물체의 절단면에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Pseudomonas)속 세균 또는 잔토모나스(Xanthomonas)속 세균 중에서 선택된 균주를 접종하고, 이 균주를 접종한 식물체를 삽목으로 이용함으로써, 삽목이 환경중의 오염 미생물에 감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삽목의 수율 향상을 도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채류 및 화훼류에 있어서는, 육묘(育苗)의 효율성(접목률을 높이는 것을 포함) 또는 병해에 대한 저항성을 높이는 묘재배로서, 액아(腋芽)의 삽목, 유묘(幼苗)의 단근삽목(斷根揷木)이나 단근삽접(斷根揷接) 등의 삽목에 의한 묘재배가 행해지고 있다. 오늘날에는, 농업의 분업화가 진행되면서, 다수의 농가가 파종부터 육묘하지 않고, 시판묘를 구입하여 이것을 생육하고 있다. 예를 들어 시판되는 박(Cucurbitaceae)과 묘의 경우, 그 접목묘에서는 단근삽접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한편 학술적 연구에 있어서는, "식물조직배양의 새로운 단계"[도요키 고자이(古在豊樹) 저, 노분쿄(農文協) 발행, 1998]에 기지마(木嶋) 등의 연구 그룹의 성과로 서, 토양 병해 억제를 목적으로 하는 길항미생물의 조직내 공생법인, 스트렙토미세스(Streptomyces)속 방선균, 바실러스(Bacillus)속 세균, 트리코데르마(Trichoderma)속 및 아스페르길러스(Aspergillus)속 사상균의 배축절단 접종삽목법이 소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농업 현장에서는, 화훼류 및 과채류 모체의 정아(頂芽)의 삽목, 액아의 삽목, 과채류 유묘의 삽목, 및 단근접목의 삽목[접수(接穗)와 대목(臺木)의 균형을 조정하는 것에 의한 접목성묘율(接木成苗率)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접목] 등이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농업 현장은 학술 연구와는 작업 환경이 매우 상이하다. 그러므로, 농업 현장에서는 각종 삽목법에 있어서, 삽목눈(정아, 액아 등)의 절단면에 대한 세균 감염 등에 의해 절단면 및 조직(발근 부위)의 연화가 일어나거나, 절단 작업 및 고온시의 삽목 등에 의한 물리적 스트레스의 결과로 발근 불량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온기 농업 현장에서의 삽목 작업에 있어서는 절단면 및 조직(발근 부위)이 연화된 묘가 전체 삽목묘의 20 내지 30%나 발생하는 일이 있지만, 아직 충분한 대책은 마련되지 않은 상태이다.
일련의 삽목 작업에 있어서, 시험을 거친 식물체(채집한 이삭, 정아, 액아, 단근 유묘, 배축절단 유묘 등)가 정상일 때 조차도, 농작업 환경하에서는 그 절단면 및 조직에 대한 공기 감염, 인위 감염, 삽목판[삽목판용 배양토, 암면 큐브(rock wool cube), 수경양액 및 물 등] 감염 등에 의해 병해가 발생하여, 삽목묘의 성묘율 저하를 초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오염의 방지책을 총체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지금까지는 곤란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오염 미생물로 인한 병해를 방 지하는 일이 삽목에 의한 묘재배에서는 불가결하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삽목묘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관한 각종 조사를 반복적으로 수행한 결과, 이하에 상세히 기재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FPT-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8), FPH-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9), TSB-25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3), FPT-Y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1), FPT-B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0) 및 잔토모나스 말토필리아[Xanthomonas maltophyllia] XM-D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2) 중에서 선택된 균주를 접종한 삽목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FPT-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8), FPH-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9), TSB-25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3), FPT-Y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1), FPT-B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0) 및 잔토모나스 말토필리아 XM-D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2) 중에서 선택된 균주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하는 용액 또는 고형물을 이용하여 삽목묘에 균주를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당해 균주의 함유 농도가 102 내지 108 CFU/ml인 용액 또는 104 내지 107 CFU/g인 고형물을 이용하여 삽목묘에 균주를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세균은,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총합연구소의 특허생물 기탁센터[일본 이바라키켄 츠쿠바시 히가시 1쵸메 1-1 AIST 츠쿠바 중앙 6(우편번호 305-8566)](구 통상산업성 공업기술원 생명공학공업기술연구소[일본 이바라키켄 츠쿠바시 히가시 1쵸메 1-3(우편번호 305)])에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FPT-9601(기탁번호 FERM BP-5478)[기탁일 1996년 3월 21일] 및 슈도모나스 sp. FPH-9601(기탁번호 FERM BP-5479)[기탁일 1996년 3월 21일]로서 기탁한 것, 및 독립행정법인 산업기술총합연구소의 특허생물 기탁센터[일본 이바라키켄 츠쿠바시 히가시 1쵸메 1-1 AIST 츠쿠바 중앙 6(우편번호 305-8566)]에 TSB-25(기탁번호 FERM BP-8193)[기탁일 2000년 1월 18일], FPT-Y1(기탁번호 FERM BP-8191)[기탁일 2000년 1월 18일], FPT-B1(기탁번호 FERM BP-8190)[기탁일 2000년 1월 18일] 및 XM-D(기탁번호 FERM BP-8192)[기탁일 2000년 1월 18일]로서 기탁한 것이고, 작물근내에서 분리한 슈도모나스속 세균 및 잔토모나스속 세균이며, 식물생체내에서의 공생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 세균은 토양 및 근권에서 서식하는 동속동종의 세균에 비해서 저증식성이다. 따라서, 삽목눈 등의 줄기내 피층세포간극 또는 배축내 피층세포간극에서 대략 103 내지 105 CFU/ml의 균밀도로 서식(이하, "콜로니화"라 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삽목묘는 삽목에 제공할 식물체를 채취하여 이것을 삽목판에 삽목하는 동안에 본 발명의 균주를 접종하거나, 미리 본 발명의 균주를 접종한 고형물(삽목판)에 채취한 식물체를 삽목하는 방식으로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균주를 접종한 삽목묘는 채취한 식물체의 절단면으로부터 오염 미생물이 침입하는 것을 억 제한다. 즉, 오염 미생물의 침입 억제에 의해, 삽목묘의 발근부 조직의 연화를 방지하고, 발근 불량을 방지하여, 성묘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균주의 줄기내 및 배축내에서의 콜로니화에 의한 발근 촉진작용의 결과로, 절단면 및 그 상부 조직에서의 발근이 촉진되어, 다단근(多段根)이 형성된 삽목묘를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균주를 삽목에 접종하기 위해서, 균주의 집적배양을 수행한다. 집적배양에서는, 미생물 배양에 사용하는 통상의 배지[예를 들면, 부용(bouillon) 배지 및 포테이토-덱스트로스(potato-dextrose) 배지 등]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라면 배지에 대해 한정되는 것은 없지만, 사용되는 균주의 저증식성을 유지시켜 주면서 배양하는 것이 중요하다. 빈영양조건하에서 배양함으로써, 본 발명 균주 접종후 본 발명 균주의 줄기내 및 배축내에서의 콜로니화율은 현저하게 향상된다. 빈영양배지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 배양배지를, 배양후의 균밀도가 107 내지 108 CFU/ml이 되도록 희석하여 배양배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빈영양배지를 이용하여 집적배양을 수행한 각 균주의 배양균체는, 사용되는 식물체의 삽목 방법에 맞춰 각종 접종 형태(용액, 고형물 등)로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삽목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카네이션에서 채취한 이삭 또는 토마토의 액아를 예로 든다면, 이들을 균체 현탁용액에 침지시켜 접종하는 방법이 작업상 적절하다. 이 경우의 균주의 균체농도로서는 102 내지 108 CFU/ml 범위이면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5 CFU/ml 이상이 양호하다. 102 CFU/ml 미만에서는 환경중의 미생물의 영향에 의해 효과가 불안정하고, 반면에 108 CFU/ml을 초과하면 효과의 향상이 없으므로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식물체 채취후, 즉시 본 발명 균체의 용액에 식물체의 절단면을 침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균체를 접종할 수 있다. 침지 시간으로는 10 내지 60분 정도면 충분하다.
식물체를 본 발명 균체를 함유한 양액에서 양액재배하는 경우에는, 그대로 육성함으로써 삽목묘가 되지만, 양액재배의 경우는 육성 기간이 길다. 또한, 최근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박과 작물의 단근삽접묘의 경우에는, 대목과 접수를 각각 육묘하고, 대목을 자엽상부와 배축하부에서 절단한 후, 이것에 자엽하부에서 배축절단한 접수를 삽접하고, 균체를 함유한 고형물에 삽입함으로써 접종 작업을 수행하여, 그대로 육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형물로서는, 배양토 또는 암면 매트(rock wool mat) 등 삽목에 적절한 형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렇지만, 배양토는 연소 등에 의해 멸균시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고형물중에 전술한 본 발명 균주의 배양액을 첨가하여 함유시켰는데, 이 때의 균밀도로서는 104 내지 107 CFU/g 범위이면 접종에 문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04 CFU/g 미만에서는 고형물중의 미생물의 영향에 의해 효과가 불안정하고, 반면에 107 CFU/g을 초과하면 효과의 향상이 없으므로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지 않다. 특히 바람직한 균밀도는 105 CFU/g 이상이다.
또한, 전술한 카네이션에서 채취한 이삭 및 토마토 액아를 이 고형물에 삽입함으로써 육성할 수도 있다.
그런데 본 발명 고형물의 경우, 이것을 이용하여 본 발명 균주를 접종한 후 삽목묘의 이식을 원할 시에는, 사용된 식물체의 종류, 삽목의 이용부위, 균주의 종류, 고형물의 종류, 환경 온도, 접종후 삽목의 재배방식 등에 따라 다르지만, 적어도 10일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일 이상 본 발명 고형물중에서 삽목묘를 육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육묘의 상한에 관해서는, 50일이면 충분하다. 예를 들어 셀 성형(cell molded) 육묘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충분히 근침을 형성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삽목묘의 이식을 수행하지 않고 그대로 본 발명 고형물중에서 계속적으로 삽목묘를 육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삽목묘를 육성하는 경우, 본 발명의 균주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균주를 복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균주 접종의 재현성 및 안정성을 고려해서, 본 발명 균주를 함유하는 배양토를 목적한 균주 각각에 대해 제조하여, 대략 동일한 정도의 농도로 조정한 후, 이것을 혼합해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대상이 되는 삽목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없지만, 특히 토마토, 피망, 가지 등의 가지(Solanaceae)과 작물, 및 오이, 수박 등의 박과 작물 등을 사용할 때 양호한 결과를 달성할 수 있다.
균주를 접종한 본 발명의 삽목묘는 육성시의 연화묘 발생률이 낮고, 삽목묘 의 근부는 다단근으로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어 토마토의 통상적인 육묘와 비교할 때, 묘입고병(苗立枯病)의 발생을 경감시키는 효과도 인정된다.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균체 현탁액 및 균체 함유물의 조제
표 1에 제시한 전술한 균체를, 5배 희석한 포테이토-덱스트로스 한천 배지에서 25℃로 2주간 배양한 후, 표 1에 제시한 소정 농도의 균체 현탁액 및 균체 함유 고형물로 조제했다. 현탁액의 조제에는, 멸균수, 0.1% 알긴산 나트륨 용액 및 0.1% 염화 나트륨 용액을 사용했다. 고형물의 조제에서는, 사용할 균체를 멸균수에 현탁시키고, 이것을 표 1에 제시한 소정 농도가 되도록, 고형물에 대해 10 v/v% 내지 30 v/v% 범위로 첨가하여 조제했다. 고형물로는 비료 성분(N 함유량) 10 mg/100g 이하의 토양, 육묘토, 버미큘라이트(vermiculite), 규산 분말 등을 건열 멸균시킨 후 사용했다.
재료 번호 사용된 균종 형상 균체 농도(용액은 CFU/ml, 고형물은 CFU/g)
①-1 FPT-9601 수성 현탁액 107
①-2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 102
①-3 칼슘 용액의 현탁액 104
①-4 고형물 (a)105, (b)107
②-1 FPH-9601 수성 현탁액 107
②-2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 (a)102, (b)104
②-3 고형물 (a)105, (b)107
③-1 TSB-25 수성 현탁액 107
③-2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 (a)102, (b)104
③-3 고형물 (a)105, (b)107
④-1 FPT-Y1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 (a)103, (b)108
④-2 고형물 106
⑤-1 FPT-B1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 (a)103, (b)108
⑤-2 고형물 106
⑥-1 XM-D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 (a)103, (b)108
⑥-2 고형물 106

실시예 2
토마토 액아에 의한 삽목묘
2001년 6월 하순에 효고켄 이보군 이보카와쵸의 농가에서 시설재배중인 토마토[품종: 모모타로 요크(桃太郞 York)]의 수확기의 액아를 채취한 후, 즉시 표 1의 수성 현탁액 및 알긴산 용액의 현탁액[①-1, ②-1, ③-1, ④-1(a), ⑤-1(a), ⑥-1(a)]에 절단면을 침지시켰다. 대조군으로서, 이들을 멸균수 및 0.1% 알긴산 나트륨 수용액에 동일한 방식으로 침지시켰다. 30분간 침지후, 이것을 시판용 셀 성형 육묘 배양토를 충전한 50-셀 플러그 트레이(plug tray)에 삽목하고, 통상적인 삽목 육묘를 수행했다. 평균 육묘 온도 28℃로 4주간, 농가 온실내에서 육묘후, 성묘율 을 조사했다. 근침이 형성되지 않은 묘, 절단면 및 축부가 연화된 묘, 및 고사묘를 불량묘로 정의했다. 각 구역에 50개의 묘를 사용했다. 결과를 표 2에 제시했다.
본 발명의 구역 대조 구역
재료번호 성묘율(%) 성묘율(%)
①-1 96 73
②-1 90
③-1 92
④-1(a) 94 75
⑤-1(a) 98
⑥-1(a) 88

실시예 3
피망, 가지, 및 오이의 배축절단묘의 삽목
피망[품종: 교나미(京波)], 가지[품종: 센료(千兩) 1호], 및 오이[품종: 난쿄쿠(南極) 2호]를 시판용 육묘 배양토를 충전한 파종판에 파종하고, 본엽 전개후에 배축하부(뿌리와 배축의 경계)를 절단한 다음, 즉시 시판용 셀 성형 육묘 배양토를 충전한 72-셀 플러그 트레이에 삽목했다. 시험 구역은 미리 표 1의 고형물[①-4(b), ②-3(b), ③-3(b), ④-2, ⑤-2, ⑥-2]을 각 셀의 중앙부에 원주상으로 약 4 내지 5 ml 충전하고, 이 부분에 삽목했다. 대조군으로서는, 건열 멸균시킨 고형물에 멸균수를 동량 첨가한 재료를 동일한 방식으로 셀 중앙부에 충전하고, 삽목을 수행했다. 고형물로서는, 규산 분말과 버미큘레이트를 부피비 1:2로 혼합한 재료를 사용했다. 평균 육묘 온도 26℃로 5주간 육묘후, 실시예 2와 동일한 방식으로 성묘율을 조사했다. 각 구역에 30개의 묘를 사용했다. 결과를 표 3에 제시했다.
시험 구역 본 발명의 구역 대조 구역
작물 재료번호 성묘율(%) 성묘율(%)
피망 ①-4(b) 93 70
②-3(b) 83
③-3(b) 93
④-2 90
⑤-2 90
⑥-2 80
가지 ①-4(b) 100 79
②-3(b) 90
③-3(b) 93
④-2 93
⑤-2 93
⑥-2 83
오이 ①-4(b) 90 65
②-3(b) 73
③-3(b) 93
④-2 93
⑤-2 90
⑥-2 80

실시예 4
토마토 액아묘의 용액에서의 삽목 육묘
평균 기온이 29℃인 조건하에서, 양액재배중인 토마토의 액아를 채취하여, ①-4(a)와 ②-3(a) 또는 ②-3(a)와 ③-3(a)를 각 5%씩 첨가[고형물로는 아카다마츠치(赤玉土)와 버미큘레이트를 부피비 2:1로 혼합한 재료를 사용]한 수용액(깊이 약 3 cm)중에 절단면을 침지시키고 발근시켰다. 대조군으로서는, 건열 멸균시킨 버미큘레이트에 멸균수를 동량 첨가한 재료를 동일한 방식으로 첨가하여 발근시켰다. 침지 2주후의 성묘율 및 2단근의 형성률을 조사했다. 본 시험에서는, 절단면 및 축부가 연화된 묘는 적절하게 제거했다. 각 구역에 100개의 묘를 사용했다. 결과를 표 4에 제시했다.
시험 구역 본 발명의 구역 대조 구역
성묘율(%) 2단근 형성률(%) 성묘율(%) 2단근 형성률(%)
①-4(a), ②-3(a) 96 88 62 9
②-3(a), ③-3(a) 94 83

실시예 5
수박 단근삽접묘
평균 기온이 27℃인 조건하에서, 박[Lagenaria siceraria var. hispida(품종: 가치도키 2호)]을 파종하고, 2일 후에 수박[품종: 시마우(縞王)MK]을 파종한 다음, 각각의 파종 10일 후에 박을 배축하부(뿌리와 배축의 경계)와 자엽상부에서 절단하고(대목으로 사용), 이것에 자엽하부에서 절단한 수박을 삽접했다. 이 접목묘를 실시예 3과 동일한 토양을 충전한 50-셀 플러그 트레이에 삽목했다. 각 셀 트레이(부피 약 80 ml)에는, 시험 구역과 대조 구역 둘다에 통상의 육묘토를 충전한 후, 시험 구역에 1셀당 20 ml의 ①-3을 관수하고, 이어서 ②-2(b)와 ③-2(b)를 각각 20 ml씩 관수했다. 대조 구역에는 물과 0.1% 알긴산 나트륨 용액을 동량 및 동일한 방식으로 관수했다. 3주간 육묘를 수행하고, 접목부의 활착불량묘(活着不良苗)를 제거한 다음, 성묘율을 조사했다. 각 구역에 20개의 묘를 사용했다. 결과를 표 5에 제시했다.
시험 구역 본 발명의 구역 대조 구역
성묘율(%) 성묘율(%)
①-3, ②-2(b) 90 73
①-3, ③-2(b) 85
실시예 6
고온기의 배축절단 토마토의 삽목
온실내 최고 온도 43℃ 및 최저 온도 28℃인 조건하에서, 토마토(품종: 모모타로 요크)를 통상의 육묘토에 파종하고, 본엽 2매 전개시에 배축하부(뿌리와 배축의 경계)를 절단한 다음, 시험 구역과 대조 구역 둘다에 통상의 육묘토를 충전한 50-셀 플러그 트레이에 삽목했다. 시험 구역에는 삽목 전에 ①-2, ②-2(a), ③-2(a), ④-1(b), ⑤-1(b), ⑥-1(b)를 각 20 ml씩 관수했고, 대조 구역에는 알긴산 나트륨 용액을 동량 및 동일한 방식으로 관수했다. 삽목후 2 내지 3주간 육묘를 수행했다. 육묘후의 성묘율 및 2단근의 형성률을 조사했다. 각 구역에 1500개의 묘를 사용했다. 2단근의 형성률은 각 구역에서 20개의 묘를 임의로 선발하여 조사했다. 결과를 표 6에 제시했다.
시험 구역 본 발명의 구역 대조 구역
성묘율(%) 2단근 형성률(%) 성묘율(%) 2단근 형성률(%)
①-2 99 95 86 4
②-2(a) 97 65
③-2(a) 99 85
④-1(b) 98 70
⑤-1(b) 97 80
⑥-1(b) 96 65

Claims (7)

  1.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FPT-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8), FPH-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9), TSB-25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3), FPT-Y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1), FPT-B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0) 및 잔토모나스 말토필리아[Xanthomonas maltophyllia] XM-D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2) 중에서 선택된 균주를 접종한 삽목묘(揷木苗).
  2.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Pseudomonas fluorescens] FPT-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8), FPH-9601 균주(기탁번호 FERM BP-5479), TSB-25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3), FPT-Y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1), FPT-B1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0) 및 잔토모나스 말토필리아[Xanthomonas maltophyllia] XM-D 균주(기탁번호 FERM BP-8192) 중에서 선택된 균주의 적어도 1종 이상을 함유한 용액 또는 고형물을 이용하여 삽목묘에 균주를 접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제2항에 기재한 균주의 균체 농도가 용액에서 102 내지 108 CFU/ml이거나 고형물에서 104 내지 107 CF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제3항에 기재한 용액에 10 내지 60분간 삽목을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제3항에 기재한 고형물중에서 10 내지 50일간 삽목묘를 육묘(育苗)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삽목묘가 가지(Solanaceae)과 작물 또는 박(Cucurbitaceae)과 작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목묘가 가지과 작물 또는 박과 작물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KR1020047005819A 2001-10-22 2002-10-18 삽목묘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KR1006162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322922A JP4079209B2 (ja) 2001-10-22 2001-10-22 挿し木苗及び挿し木苗への菌株の接種方法
JPJP-P-2001-00322922 2001-10-22
PCT/JP2002/010864 WO2003034807A1 (fr) 2001-10-22 2002-10-18 Bouture racinee et procede d'inoculation de bouture racinee avec une souche microbien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53189A KR20040053189A (ko) 2004-06-23
KR100616212B1 true KR100616212B1 (ko) 2006-08-25

Family

ID=19139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5819A KR100616212B1 (ko) 2001-10-22 2002-10-18 삽목묘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449427A4 (ko)
JP (1) JP4079209B2 (ko)
KR (1) KR100616212B1 (ko)
WO (1) WO200303480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67064B2 (ja) * 2013-06-26 2018-01-24 株式会社前川製作所 Stenotrophomonas属細菌の新規農業用途
CN104054481A (zh) * 2014-06-09 2014-09-24 卞佳林 一种金银花的扦插育苗方法
CN105993454A (zh) * 2016-05-20 2016-10-12 孙建英 一种厚皮甜瓜在南方夏季的种植方法
JP7078982B2 (ja) 2018-04-10 2022-06-01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植物の土壌伝染性病害防除方法
CN115125176B (zh) * 2022-08-02 2023-04-11 河南省林业科学研究院 一种促进杨树扦插苗生长及抗病的复合微生物菌剂和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4913B2 (ja) * 1989-02-14 1997-05-28 農林水産省 シュードモナス属細菌p―4菌株、土壌病害防除剤及び土壌病害防除方法
JPH088858B2 (ja) * 1991-09-10 1996-01-31 栃木県 双子葉植物の病害防除に用いる共生微生物の分離選抜方法
JP2660317B2 (ja) * 1993-12-10 1997-10-08 多木化学株式会社 蛍光性細菌の活性維持法及び保存法並びにこの培養物からなる微生物資材
JPH09194315A (ja) * 1996-01-19 1997-07-29 Japan Tobacco Inc 新規微生物並びにそれを用いた植物の発芽・生育促進剤および促進方法
JP2835598B2 (ja) * 1996-05-20 1998-12-14 多木化学株式会社 育苗培土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耐病性苗の育成方法
JP3119349B2 (ja) * 1997-04-15 2000-12-18 多木化学株式会社 植物成長抑制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449427A4 (en) 2010-09-01
WO2003034807A1 (fr) 2003-05-01
JP2003125651A (ja) 2003-05-07
EP1449427A1 (en) 2004-08-25
KR20040053189A (ko) 2004-06-23
JP4079209B2 (ja) 200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227228B2 (en) Bacterial inoculants for enhancing plant growth
JP5714603B2 (ja) 植物の出芽および生長を増強するためのシュードモナス・アゾトフォルマンス(pseudomonasazotoformans)種の新規蛍光シュードモナス菌
AU2002227228A1 (en) Bacterial inoculants for enhancing plant growth
JPH09500268A (ja) 植物病原体を制御するためのStreptomycesWYEC108の使用
Declerck et al. Entrapment of in vitro produced spores of Glomus versiforme in alginate beads: in vitro and in vivo inoculum potentials
CN116622581B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hm-3及其应用
CN103087960A (zh) 一株解淀粉芽孢杆菌fqs38及其应用
CN113980877B (zh) 一种复配微生物菌剂及其制备方法
EP0808571B1 (en) Plug mixture for raising seedlings and method for producing it, and method for raising disease tolerant seedlings
KR100942228B1 (ko) 플라보박테리움 헤르시니움 이피비-씨313 균주를 이용한 식물병 방제제
CN111363691B (zh) 一株多粘类芽孢杆菌及其应用
KR100616212B1 (ko) 삽목묘 및 삽목묘에 대한 균주의 접종 방법
KR100746310B1 (ko) 풋마름병 방제 효과를 갖는 페니바실러스 폴리믹사kpb3종
KR0165895B1 (ko) 농작물의 생자극 활성을 갖는 스트렙토마이세스 ncimb 40227
CN109161511B (zh) 一种诱导番茄抗南方根结线虫的不动杆菌及应用
KR100690816B1 (ko)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KR100376800B1 (ko) 식물생장촉진 및 입고병 방제능을 갖는 신규한 세라시아마르센스 변이 균주
JP2939467B1 (ja) ナス科植物の生育促進効果及び青枯病防除効果を示す細菌並びに栽培方法
CN109182209B (zh) 一种用于防治植物根结线虫的肠杆菌及应用
JP7430960B2 (ja) 植物の培土、培土を含む栽培セット、培土を用いた栽培方法、及び、培土付き植物の苗
JPH07163334A (ja) 蛍光性細菌の活性維持法及び保存法並びにこの培養物からなる微生物資材
KR0183517B1 (ko) 식물생장 촉진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제제
RU2649359C1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й Bacillus megaterium V3 в качестве средства для ускорения роста и увеличения продуктивности винограда, зерновых, овощных и древесных культур
JPH0591869A (ja) 植物病原菌抑制微生物及びその利用法
JPH09157122A (ja) 植物の栽培促進剤およびそれを用いた植物の栽培促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