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4289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4289B1
KR100614289B1 KR1020040002198A KR20040002198A KR100614289B1 KR 100614289 B1 KR100614289 B1 KR 100614289B1 KR 1020040002198 A KR1020040002198 A KR 1020040002198A KR 20040002198 A KR20040002198 A KR 20040002198A KR 100614289 B1 KR100614289 B1 KR 100614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brush
floor
rotary brush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7897A (ko
Inventor
야마구치유키후미
마쯔모토요시아키
소네야스시
코바야시토시나리
도히켄이치로
니시자와미쯔루
후쿠오카히데토시
사토케이이치
도이켄이치로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6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4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4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1Paper; Textile fabr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3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 adhesiv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203/00Applications of adhesives in processes or use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ly on one side of the carrier, e.g. single-sided adhesive t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6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structure of the carrier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 내의 회전브러시의 먼지 흡착시트를 장착해서 행하는 닦기 청소를 효과적으로, 또한 소음발생 등이 없는 최적인 상태에서 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집진용의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해당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가요성 호스와, 해당 가요성 호스에 접속되는 연장관과, 상기 가요성 호스의 상기 연장관 접속측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스위치부와, 회전 브러시, 해당 회전 브러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내장해서 상기 연장관에 접속되는 마루용 흡입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먼지 흡착 시트를 상기 마루용 흡입구의 회전 브러시에 휘감아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 스위치 부에는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한편, 해당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회전 브러시를 상기 먼지 흡착 시트 장착과 장착한 집진 흡착시트에 의한 마루 광내기에 최적인 회전수로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한다.
전기청소기, 먼지 흡착시트, 회전브러시 회전수 제어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ONIC CLEANER}
도 1 은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전기 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구의 상면도.
도 2 는 마찬가지로 측면도.
도 3 은 마찬가지로 정면도.
도 4 는 마찬가지로 상면도.
도 5 는 마찬가지로 이면도.
도 6 은 마찬가지로 중앙부의 종단면도.
도 7 은 마찬가지로 시트의 감을 때의 양상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8 은 시트의 붙이기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마루용 흡입구의 중앙부의 종단면도.
도 9 는 시트의 떼어내기에 관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마루용 흡입구의 중앙부의 종단면도.
도 1 0 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이용되는 롤러 단체의 종단면도.
도 1 1 은 시트 장착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마루용 흡입구의 상면도.
도 1 2 는 마찬가지로 시트의 장착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마루용 흡입구의 상면도.
도 1 3 은 시트의 떼어내기 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흡입구의 종단면도.
도 1 4 은 시트의 붙이기 시의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1 5 는 소음의 발생 억제에 유효한 형상의 시트 단면도.
도 1 6 은 마찬가지로 소음의 발생억제에 유효한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형상의 시트의 평면도.
도 1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휘감기 쉬운 구조의 시트의 평면도.
도 1 8 은 상기 도 1 7 에 있어서의 시트의 휘감기 상기 상태를 나타낸 마루용 흡입구의 종단면도.
도 1 9 는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휘감기 쉬운 구조의 시트의 평면도.
도 2 0 은 마찬가지로 본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휘감기 쉬운 구조의 시트의 평면도.
도 2 1 은 상기 도 20 에 있어서의 시트 휘감기 상태를 나타낸 마루용 흡입구의 종단면도.
도 2 2 는 종래의 회전 브러시의 배치형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 3 은 상기 도 2 2 의 회전 브러시의 단점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도 2 4 는 본 발명의 한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브러시의 측면도와 그 중의 하 나 브러시체의 정면도.
도 2 5 는 상기 도 2 4 의 회전브러시의 시트 휘감기 시의 형상을 나타낸 브러시체의 측면도.
도 2 6 은 마찬가지로 시트를 휘감기 시의 양상을 나타내는 마루용 흡입구 종단면도.
도 2 7 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 브러시의 측면도.
도 2 8 은 시트의 쏠림 장착 방지 기능을 가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회전 브러시의 정면도.
도 2 9 는 마찬가지로 시트의 쏠림 장착기능을 발휘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마루용 흡입구의 이면도.
도 3 0 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마루용 흡입구의 측면도.
도 3 1 은 본 발명의 전기청소기의 전체도.
도 3 2 는 손잡이 스위치부의 상면도.
도 3 3 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의 운전 제어회로도.
도 3 4 는 운전 제어 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마루용 흡입부 2 흡입구 본체 케이스
3 회전 브러시 5 커버
5 커버 선단 6 흡입구
8 브러시체 1 2 시트
1 2 프리 단 3 3 전동 송풍기
3 7 손잡이 스위치 부 4 0 회전 브러시 구동 모터
4 4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 4 5 벗기기 스위치
4 6 마루 검지 스위치
본 발명은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 내의 회전브러시의 먼지 흡착시트를 장착해서 행하는 닦기 청소를 효과적으로, 또한 소음발생 등이 없는 최적인 상태에서 행하기 위한 전기 청소기의 운전제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기 청소기로서, 마루용 흡입구 내에 털 브러시 또는 고무제 블레이드를 형성한 회전 브러시를 수납하고, 해당 회전 브러시가 청소기를 돌릴려 할 때에 회전구동해서 마루면의 먼지를 긁어내고 긁어낸 먼지를 흡인하여 효율적으로 청소를 할 수 있게 한 것이 알려져 있다. 또, 이러한 회전브러시를 가지는 마루용 흡입구에 있어서, 요즘 주택에서 증가하고 이는 마루면 (플로링) 의 거실 청소에 적합한 닦기 청소도 행할 수 있도록 쓰레기가 부착하기 쉬운 파일상부재 등의 포부재를 회전브러시에 나선상으로 접착시킨 마루용 흡입구 (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 나 회전브러시 블레이드부 선단에 같은 포 ( 布 ) 부재를 설치한 마루용 흡입구 (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 등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 5 - 1 9 2 2 7 1 호 공개
[특허문헌 2]
특개평 1 1 - 5 6 7 0 4 호 공개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것은 포부재가 회전브러시에 부착되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포부재는 쓰레기 처리 시에 회전브러시로부터 떼어내기에는 벗겨내지 않으면 안되고, 그 떼어내기 작업이 귀찮았었다. 또 교환장착을 할 때도 일일이 흡입구를 뒤집어서 좁은 케이스 내 공간에서 회전브러시에 포부재를 감는 작업이 필요하고 게다가 점착성이 있는 부포재를 흡입구 본체 케이스 등 회전 브러시 이외의 통에 달라붙지 않도록 주의하면서 신중히 장착하지 않으면 안되는 곤란함이 있었다.
또, 상기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것은 회전브러시의 블레이드부 앞에 별도 포 블레이드부를 형성한 것이기 때문에 복잡한 구조의 회전브러시로 되고, 또한, 포 블레이드가 소모해서 교환할 때도 회전 브러시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는 등 코스트 적인 면 및 회전 브러시 자체의 귀찮은 재장착 등 실용성의 면에서도 충분하다고 말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점에서 귀감을 삼은 것으로, 회전브러시의 회전으로 먼지의 부착성인 시트를 회전 브러시에 자동으로 감아서 장착하고, 이 장착한 시트의 회전에 의해 발휘되는 닦기 청소, 광내기 효과와 더불어 시트를 떼어내기도 회전브러시의 회전속도, 회전방향을 적절히 제어하는 것에 의해 달성할 수 있도록 한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집진용의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해당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가요성 호스와 해당 가요성 호스에 접속되는 연장관과, 상기 가요성 호스의 상기 연장관 접속측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스위치부와, 회전브러시, 해당 회전브러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내장하며, 상기 연장관에 접속되는 마루용 흡입구를 구비한 전기청소기에 있어서, 먼지 흡착시트를 상기 마루용 흡입구의 회전브러시에 감아서 장착 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 스위치부에는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한편, 해당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회전브러시를 상기 먼지 흡착시트의 장착과 장착한 먼지 흡착 시트에 의한 마루 광내기에 최적인 회전수로 제어하는 제 1 제어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먼지 흡착 시트에 의한 마루 광내기 시에 최적한 집진력으로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마루용 흡입구에 마루면과의 접촉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구동 모터를 운전 / 정지하는 마루 검지 스위치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의 본체 케이스 전면부에 상기 시트 후단과 걸어 맞추는 벗겨내기 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 스위치부에는 벗기기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한편, 해당 벗기기 모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브러시를 상기 흡착 시트를 제거하는 것에 적합한 저속 역회전으로 제어하는 제 3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다.
도 1 에서 도 3 0 에서 나타나는 전기 청소기의 마루용 흡입구 (1) 은 상 케이스 (2 a) 와 하 케이스 (2 b) 로부터 이루어져 하면에서 전면에 걸쳐 광범위하게 개구된 흡입구 (6) 이 형성된 가로로 긴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와,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내의 장방향 양단에 축수부를 통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전 브러시 (3) 과,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후면측에 상기 흡입구 (6) 과 연통함과 동시에 상하 좌우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벤드 (4) 와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전벽을 구성함과 동시에 흡입구 (6) 의 전측부분 (6 b)를 개폐하는 커버 (5) 로 구성되어 있고, 벤드 (4) 가 도시하지 않은 연장관이나 호스를 통해서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 케이스 (2 b) 의 저면 후방에 형성된 홈은 가로로 긴 털 브러시 (9 0) 이 설치되어 피청소면에 접촉해서 청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브러시 (9 0) 은 상기한 케이스 (2 b) 에 탈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고, 털끝이 더러워 졌을 때는 하 케이스 (2 b) 로부터 떼어내어 물세탁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전 브러시 (3) 에는 도 5 및 도 6 이 나타내듯이, 그 심체 (7) 의 외주면에 브러시체 (또는 블레이드체) (8) 이 등분한 각도, 예를 들어, 9 0° 또는 6 0 ° 간격으로 장방향으로 복수개 ,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러시체 (8) 의 구체적인 설치방법은 그 뿌리부 (8 b) 를 심체 (7) 의 외주면에 형성한 나선상의 홈에 끼워넣어 붙이는 것이다. 또, 브러시체 (8) 은 도시는 하지 않으나,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에 내장된 브러시 모터 (1 0 1) 에 의해 그 구동력이 전도 벨트 등을 통해서 전달되어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이 브러시체 (8) 이 회전하는 것으로 마루면의 먼지를 긁어내어 흡입구 (6)에서 효과적으로 빨아들여 효율 있게 청소된다.
상기 브러시체 (8) 에 근접해서 그 전방부분을 덮도록 위치하는 상기 커버 (5) 는, 그 장방향의 양 단측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암 ( A R M ) 부가 일체 형성되어 이 암부에 의해서 본체 케이스의 양단부 내측에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된다. 또, 상기 커버 (5) 에는, 흡입구 전단이 벽쪽 등을 청소하는 경우 벽면에 닿았을 때 회전해서 커버 (5) 를 상방향으로 회동시켜서 흡입구 (5) 의 전방부분을 개방시키려고 작동하는 롤러 (9) 가 그 양단부를 축수부 (9 a , 9 a) 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커버 (5) 의 회동축과 롤러 (9) 와의 위치관계는 커버 (5) 의 최전부에 있는 롤러 (9) 가 벽면 등에 닿았을 때 롤러 (9) 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커버 (5) 가 상방으로 회동하도록 롤러 (9) 가 커버 (5) 의 회동 중심인 회동축보다도 위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커버 (5) 의 개방작동을 이루어 낸다.
또, 상기 커버 (5) 는 도시하지 않으나, 회동축에 커버 (5)를 하방으로 회동하는 방향에 부세하는 부세수단으로서 스프링 (도시하지 않음) 이 장착되어 구성된다. 따라서, 흡입구 전단이 벽쪽 등 벽면에 닿지 않은 통상의 마루면 청소 시에는 커버 (5) 는 흡입구 (6) 의 전방부분을 폐쇄하고, 하방부분만을 개구한다. 또, 커버 (5) 가 열릴때에는 도 9 에 나타내듯이,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내측에 수납되는 구성이 되도록, 상 케이스 (2 a) 부분에는 커버 (5) 를 후단부로부터 마무리 하도록 형성한 공동 (空洞) 상의 수납요부 (1 0) 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 (9) 는 청소기를 돌릴 때에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전면측이 장애물에 닿았을 경우의 쇼크 흡수라는 범퍼 역할도 해낼 수 있기 때문에, 도 1 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동축 (1 1) 을 가지는 원통동부 (1 1 A) 의 외주면이, 부드럽고 미끄러워지기 쉬운 맞닿음 부재이며 섬유질 부재인 기모포 (1 1 d) 에 의해 덮여져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이라면 벽면이나 가구 등의 상처를 확실히 방지할 수 있게 됨과 동시에, 극히 부드럽게 커버 (5)를 회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기모포 (1 1 d) 에 의해 롤러 (9) 가 벽면에 맞닿은 상태로 가로방향으로 청소하는 경우의 좌우의 움직임은 부드러워진다는 점도 유용한 점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흡입구 (1) 에 있어서의 회전 브러시 (3) 은 걸레등으로 닦기 청소하는 것과 같은 청소의 방법도 가능하도록, 도 7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천이나 종이, 예를 들어 키친페이퍼 등의 먼지를 흡수 할 수 있는 흡착 시트 (1 2) ( 이하, "시트" 라고 한다 ) 를 자동적으로 감아서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한다.
다음으로, 이 시트 (1 2) 장착을 위한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 도 1 1 내지 도 3 0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시트 장착의 순서는 도 7 , 도 1 4 등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흡입구 (1) 의 바로 앞에 장형상의 시트 (1 2) 를 두고, 이 시트 (1 2) 의 단부의 위에 회전 브러시 (3) 을 같은 모양으로 올린다. 이 상태에서 청소기의 운전 스위치를 넣어서 회전브러시 (3)을 회전시키면, 회전하는 브러시 (3) 에 의해 시트 (1 2) 는 회전 브러시 (3) 에 자동적으로 얽혀서 장착된다. 또, 이 시트를 장착할 때 회전 브러시 (3) 은 시트가 찢어지거나 적절한 회전수로 제어된다.
여기에서 종래의 회전브러시 (1 4) 는 도 2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체 (7) 의 외주에 단순히 같은 길이의 브러시체 (1 3 b) 가 일정간격 ( 이 경우 9 0 °) 으로 설치된 일반적인 구조의 회전브러시로, 브러시체 (1 3 b) 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으로 단차 (D) 가 있어서, 시트 (1 2) 가 균일하게 감기지 않았다.
또, 감아도 도 2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1 2) 의 감음에 의해 브러시체 (1 3 b) 가 뿌리부 (1 3 d) 에서 쓰러져, 시트 (1 2) 를 제거한 후도 그 변형한 채로 되어 브러시체 (1 3 b) 에 의한 먼지 긁어내기 효과가 나빠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경우 회전브러시 (3 A) 는, 도 2 4 내지 도 2 6 에 도시한 구조로, 길고 부드러운 두 개의 털브러시 (1 5 a) 를 외측에 짧고 단단한 두 개의 털 브러시 (1 5 b) 를 내측에 설치한 제 1 브러시체 (1 5) 와, 제일 긴 털 브러시 (1 6 a) 를 설치한 제 2 브러시체 (1 6) 과, 두 번째로 긴 털 브러시 (1 7 a) 를 설치한 제 3 의 브러시체 (1 7) 의 3 종류의 브러시체로부터 이루어지는 회전 브러시 (3 A) 이다. 그 제 1 브러시체 (1 5) 는 심체 (7) 의 외주면에 1 2 0 ° 간격으로 3 열 축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제 2 브러시체 (1 6) 과 제 3 브러시체 (1 7) 은 상기 제 1 브러시체 (1 5) 를 끼우듯이 그 사이에 배열된다.
도 2 6 은 이 회전 브러시 (3 A) 에 의해 시트 (1 2) 가 감기는 모양을 나타내는 것으로, 시트 (1 2) 의 선단 (전단) 이 회전 브러시 (3 A) 와 접촉하면, 브러시 (3 A) 의 회전에 수반하여 시트 (1 2) 는 빨려 들면서 브러시체 (1 5 ∼ 1 7) 의 주위에 얽혀간다. 시트 (1 2) 가 얽힐 때, 3 종류인 브러시체 (1 5 ∼ 1 7) 은 도 2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각이 그 털의 단단함 ( 부드러움 ) 에 따라 변형 ( 구부러지는 방법 )을 하고, 그 털끝이 시트 (1 2) 내면에 무리없이 접촉해서 시트 (1 2) 를 찌그러지지 않는 둥근 모양으로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시트 (1 2) 는 둥글게 편 상태로 말아진다. 또 제 1 브러시체 (1 5) 에 있어서는, 외측의 긴 브러시 (1 5 a) 는 직립상태가 유지된 그 털끝이 시트 (1 2) 의 내면에 직각으로 부딪히게 된다. 제 1 브러시체 (1 5) 는 이 경우 1 2 0 ° 간격으로 3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시트 (1 2) 의 내측을 3 개의 브러시체 (1 5) 가 균등하게 3 점 지지하고 있는 상황은 시트 (1 2) 에 땅김새를 유지하게 해서 휘감는 것에 도움이 된다. 또, 제 1 브러시체 (1 5) 에 있어서의 짧은 브러시체 (1 5) b 는 시트 (1 2) 와의 얽힘에 관계없으므로, 종래와 같은 브러시체 (3 b) 와 같은 뿌리가 꺾어져 버리는 단점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앞의 제 2 , 제 3 의 브러시체 (1 6 , 1 7) 이 구부러지는 경우도, 서로 양 옆에 상기 제 1 내지 제 3 의 어떠한 종류의 브러시체가 간격을 크게넓히지 ( 간격을 매꾸듯이 ) 않도록 존재하기 때문에, 각각 브러시체 (1 5 ∼ 1 7) 은 시트 (1 2) 로부터의 응력을 분산해서 받아 적정 각도로 구부려짐으로써, 종래와 같은 브러시체 (1 3 b) 의 뿌리가 극도로 구부러지도록 극단적인 변형을 하지 않게 되고, 브러시체 (1 5 ∼ 1 7) 이 극도로 구부려서 광내기 효과를 잃는 일도 없어진다. 또, 심체 (7) 의 주위에, 3 종류의 브러시체 (1 5 ~ 1 7)을 합계 7 개가 감은 다수개를 균등적으로 배치하고 브러시체와 브러시체 사이의 단차 (D) 를 제거하여 회전 브러시 (3 A)을 형성하여, 시트 (1 2) 의 장력을 보유하고 휘감을 수 있다.
도 2 7 에 도시한 회전 브러시 (3 B) 도 시트 감기를 가능하게 하는 별도의 실시형태이다. 이 경우 회전 브러시 (3 B) 의 심체 (7) 에 리브 (1 8 , 1 8) 을 설치하도록 했다. 리브 (1 8 , 1 8) 은 바깥 방향으로 팔 (八) 자 형상으로 열린 두 개 다리 형태의 형상물로 브러시체 (1 9) 와 브러시체 (1 9) 사이에 존재하도록 심체 (7) 의 외주부에 일체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리브 (18 , 1 8) 은 심체 (7) 과 동심원적으로 형성되어 또 그 길이는 브러시체 (1 9) 보다 짧은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브러시체 (1 9) 사이의 공간 2 0 을 메우도록 리브 (1 8 , 1 8) 이 있는 회전 브러시 (3 B) 에 있어서, 리브 (1 8 , 1 8) 은 종래의 회전 브러시 (1 4) 와 같이 시트 (1 2) 의 휘감기를 방해하는 브러시체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에서 생기는 단차를 제거하여, 시트 (1 2) 가 균일하게 휘감도록 한다.
도 8 에 나타난 방법에서도 회전 브러시 (3) 에 시트 (1 2) 를 감을 수 있다.
즉, 흡입구 (1) 의 케이스 (1) 전면과 해당 케이스 (1) 에 설치된 롤러 (9) 와의 사이 간격 (2 2) 로부터 시트 (1 2) 를 압입시켜 압입한 시트 (1 2) 를 회전하는 브러시 (3) 에 의해 감아 빼도록 한다. 이 경우 시트 (1 2) 는 시트 가로폭에 충분할 정도로 가로방향으로 긴 롤러 (9) 에 의해서 시트 (1 2) 의 전방연 전체가 평균적으로 눌러지고, 또 좌우가 롤러 (9) 에 의해서 한 가이드가 되도록 되어 (9) 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시트 (1 2) 의 전면이 균일하게 당겨진 상태로 보내지므로, 회전 브러시 (3) 에 균일하게 휘감기게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먼저 설명한 시트 (1 2) 를 흡입구 (6) 내의 회전 브러시 (3) 에 흡입구 (1) 의 바로 앞 밑에서 주입하는 경우에, 때로 일어나 있는 시트 (1 2) 와 회전 브러시 (3) 과의 세팅 시의 위치 틀어짐으로 시트 (1 2) 가 사선으로 부착된 상태가 되어 버리고, 이것에서 닦기 효과가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나, 시트 (1 2) 의 전방연이 구겨져 감기기 시작된 시트 (1 2) 의 파손, 불균일한 장착이 되는 단점, 또 시트 (1 2) 의 다 감긴 단이 흘러내려 마루면에 닿아 소음발생의 원인이 되거나 하는 등의 단점을, 롤러 (1 2) 의 가이드 작용에서 제거할 수 있다는 점이 유리하다.
상기 롤러 (9) 를 이용한 시트 (1 2) 의 내보내지 않기를 시킬 경우에, 롤러 (9) 에 도 8 과 같이 기모포 (2 3) 이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롤러 (9) 가 수지등 저항이 적은 롤러이면 롤러 (9) 가 시트 (1 2) 를 가이드 할 때에 미끄러져버려서 목적으로 하는 균일한 휘감기 효과를 얻기 어려우므로, 롤러 (9) 의 외주면에 기모포 (2 3) 을 장착하거나 식모하고 있다. 이 롤러 (9) 의 외주부에 기모포 (2 3) 등 저항이 있는 부재가 형성되면, 롤러 (9) 와 시트 (1 2) 과의 접촉저항이 강해지고, 시트 전면이 균일하게 펴져 보다 확실히 또 원활하게 보낼 수 있게 되고, 또 균일하게 시트 (1 2) 를 흡기구 6 내의 회전 브러시 (3) 에 감을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해서 도 7 , 도 1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트 (1 2) 를 상기 구조의 회전 브러시 (3) 에 휘감은 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마루 면의 더러움이나 먼지는 시트 (1 2) 에서 확실히 닦이어진다. 또 광내기 효과도 더해져서 마루 면을 깨끗하게 청소 할 수 있다.
한편, 닦기 청소를 종료하고 더러워진 시트 (1 2) 를 버릴 때, 또는 새로운 시트 (1 2) 를 교환 장착 할 때는 시트 (1 2) 를 떼어 낼 필요가 있다. 시트 (1 2) 는 손으로 떼어낼 수도 있다. 도 9 에 나타냈듯이 흡입구 (6) 내의 회전 브러시 (3) 에 감긴 시트 (1 2) 의 감긴 끝 쪽의 프리 단 (1 2 d) 를 손가락으로 잡아 앞으로 잡아당겨 손으로 떼어낼 수가 있다. 또는 회전 브러시 (3) 을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도 1 3 과 같이, 시트 선단부가 커버 (5) 의 선단 (5 d) 에 닿아서 벗겨져 자연스럽게 회전 브러시 (3) 으로부터 시트 (1 2) 가 풀리 듯이 빠지게 된다. 이 경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회전 브러시를 역전시킨다.
또, 시트 (1 2)를 빼낼 때, 상기한 바와 같이, 커버 (5) 가 상하로 개폐하여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전벽을 형성하면 시트 (1 2) 가 꺼내기 쉽게 된다. 커버 (5) 는 스프링 등에 의해 닫혀 있으나, 도 9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 (5) 가 수조작으로 본체 케이스 내부에 수납하는 것과 같이 장방으로 움직여 셔터와 같이 개방되면, 흡입구 (6) 은 커버 개방 조작 이전의 아래만을 향하고, 빼내기 어려운 상황의 작은 개구로부터 전방도 열린 큰 개구로 변한다. 이 때문에, 전측부분의 개구 (6 b) 로부터 시트 (1 2) 에 손이 닿기 쉽게 되고, 시트 (1 2) 를 잡아서 간단하게 빼낼 수 있게 된다.
또, 이 시트 (1 2) 를 회전 브러시 (3) 에 휘감은 경우, 휘감은 상태가 간단하게 확인 할 수 있을 정도로 편리하다. 즉, 도 1 1 과 같이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전면부를 투명부 (1 2 A) 와 같이 투명부재에서 형성하거나, 도 1 2 와 같이 흡입구 본체 케이스 (2) 의 전면부 (2 A) 의 일부에 구멍 (2 4) , 이 경우는 좌우에 한 쌍의 구멍 (2 4 , 2 4) 를 설치하도록 한다. 그리고, 구멍 (2 4) 는 먼지가 투입하지 않도록 투명부재로 덮은 투명창으로 해도 좋다. 이렇게 해서 제대로 시트 (1 2) 가 휘감겼는지를 알면, 잘 감기지 않았을 경우에는 다시 감아서 정상으로 장착 할 수도 있다.
또, 시트로서 도 1 5 와 같은 시트 (1 2) 의 후단을 사선으로 커트해서 삼각형상으로 한 것이나, 도 1 6 과 같이 시트 (1 2) 의 후단을 M 자형상으로 자른 것을 사용하면, 시트 (1 2) 의 단이 흐트러져, 마루 면을 두들겨 나는 이음이 감소된다.
즉, 시트로서 일반적인 장방형상의 시트를 감아서 운전한 경우, 시트의 후방부 (다 감은 단부) 가 흐트러지거나, 흡입구에 시트 단부가 빨려들어가는 것에 의해 이음이 발생한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시트 (1 2) 와 같이 앞을 삼각형 혹은 M 자형상으로 하면 시트 단편부 (1 2 b , 1 2 c , 1 2 c) 는 마루 면이나 케이스 (흡입구 본체 케이스) 와 닿는 면적이 작은 앞부분이 되어, 종래의 장형상시트와 같이 단부에서 마루 면을 두드리는 현상은 없어지기 때문에 이상음 발생이 억제된다. 또, 시트 단부의 흐트러짐 ( 펄럭임 )도 억제된다.
도 1 7 내지 1 9 는 시트 (1 2) 의 감는 끝이 구겨져서 감기지 않도록 한 다른 시트를 나타낸다.
도 1 7 의 시트 (1 2) 에서는 시트 (1 2) 의 선단부 (감기 시작한 단) 에 끈 (2 5) 를 봉제나 접착으로 설치하도록 했다. 이 경우, 끈 (2 5) 가 도 1 8 에 나타내듯이 회전 브러시 (3) 의 임의 브러시체 (8) 에 엉키는 것에 의해 전단부에서 착실히 감기게 된다.
도 1 9 의 시트 (1 2) 에서는 선단에 와이어 (2 6) 등 단단한 재질을 꿰매어 끝 (감기 시작한 단) 을 단단한 구조, 즉 경질화 한 단연부 (2 7) 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시트 장착 시에는, 이 와이어 (2 6) 등에 의해 시트 전방단부가 빳빳히 당겨지게 되어, 전단부가 구겨지지 않고 회전 브러시 (3) 에 균일한 상태로 장착되며, 안정하게 감긴다.
또, 도 2 0 의 경우는, 시트 (1 2) 의 전단부의 양 옆에 끈 (2 8)의 바퀴를 설치한다. 한편, 회전 브러시 (1 2) 쪽의 끈 (2 8)의 바퀴가 걸리는 후크 (2 9) 를 심체 (7) 에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 도 2 1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크 (2 9) 에 끈 (2 8)의 바퀴가 걸리며, 전단부로부터 순서대로 균일하게 휘감게 된다. 이 외에 떼어 뺄 수 있는 테이프를 이용해서 시트 (1 2) 의 단을 회전 브러시 (3) 의 심체에 멈추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시트 (1 2) 의 끝에 걸림 수단을 설치하여, 시트 (1 2) 의 전방연이 구겨지지 않고, 균일하며, 또한 안정한 상태에서 회전브러시 (3) 에 휘감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시트 (1 2) 의 형상을 변형하거나 회전 브러시 (3) 으로의 붙이기 수단을 설치하여 시트 (1 2) 가 휘감기 쉽게 되나, 회전 브러시 (3) 의 브러시체 (블레이드) (8) 이 도 5 , 도 2 0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방향의 나선형상인 것일 경우, 시트 (1 2) 를 휘감을 때 혹은 감은 후 운전을 계속함에 따라, 시트 (1 2) 가 편측에 쏠려서 닦기 효과 및 마루 광내기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그 점을 생각해서 심체 (7) 의 주위에 브러시체 (블레이드) (8) 을 설치함에 있어서, 도 2 8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심체 (7) 을 수평으로 봤을 때에 브러시체 (블레이드) (8) 이 V 자 상으로 되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즉, 브러시체 (블레이드) (8) 을 축 장방향 중앙부를 향해서 한 방향 사선으로 심체 (7) 에 휘감은 형상으로 하고, 중앙부에서 꺾어 뒤집어서 역방향 사선으로 심체 (7) 에 휘감은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브러시체 (8) 의 표면에 접해서 감겨있는 시트 (1 2) 에는 회전 브러시 (3) 의 회전에 의해서 V 자형 배치의 브러시체 (8) 로부터 접속저항을 받으나, 그 저항 분력으로서 시트 (1 2) 를 서로 잡아당기는 방향의 힘이 좌우로 발생한다. 이것에 의해 시트 (1 2) 가 한쪽으로 쏠려 움직이는 단점이 방지된다. 따라서, 회전중에도 시트 (1 2) 의 정규 위치에 감겨 유지되고, 닦기 청소 및 광내기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도 2 9 는 본체 케이스 (2) 측에 같은 시트 당김 작용을 일으키는 가이드리브 (3 0) 을 설치한 구성을 나타내,고 본체 케이스 (2) ( 상 케이스 (2 a) ) 의 내부벽면 (2 D) 에는 브러시의 상방부위를 감싸듯이 그 회전 축적을 따른 형상의 가이드 리브 (3 0) 이 형설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가이드 리브 (3 0) 은 회전 브러시 (3) 의 축 장방향 중앙부에서 양측 방향으로 여는 듯한 V 자형상으로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 가이드 리브 (3 0) 은 그 끝이 회전 브러시 (3) 에 휘감긴 시트 (1 2) 에 닿을 정도로 돌출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형태로 설치된 가이드리브 (3 0) 에 의해 시트 (1 2) 가 안내되고, 또, 시트 (1 2) 와 맞닿는 경우에 발생하는 접촉저항에 의하여, 시트 (1 2) 를 잡아당기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분력이 생긴다. 이 결과, 회전하는 시트 (1 2) 의 휘감기 때는 물론이고 휘감은 후도 팽팽한 당김 상태를 보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심체 (7) 을 옆으로 어긋나게 하는 일이 없어져, 정규의 위치로 휘감아서 유지된다. 이 때문에, 끝 브러시체 (8) 을 V 자형으로 배치했을 때와 같이 닦기 청소 및 광내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1 내지 3 4 를 참조해서 본 발명의 회전브러시 (3) 에 대한 제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기청소기는, 도 3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용의 전동 송풍기 (3 3) (도 3 3 참조)을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 (3 4) 와, 해당 청소기 본체 (3 4) 에 접속되는 가요성 호스 (3 5 A) 와, 해당 가요성 호스에 접속된 연장관 (3 5 B) , 상기 가요성 호스 (3 6) 의 상기 연장관 접속측에 형성된 손잡이부 (3 7) 에 설치된 도 3 2 에 나타낸 손잡이 스위치부 (3 8) 과, 회전 브러시 (3), 해당 회전 브러시 (3)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 (4 0) (도 3 3 참조 )를 내장하며, 상기 연장관 (3 5 B) 에 접속되는 마루용 흡입구 (1) 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 스위치부 (3 8) 에는, 도 3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종 운전을 행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 예를 들어 흡인 능력을 강하게 하는 강 스위치 (4 1) , 약하게 하는 약 스위치 (4 2) , 청소기의 운전을 정지하는 전환 스위치 (4 3) , 마루 광내기 (4 4) , 페이퍼 벗기기 스위치 (4 5) 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강 스위치 (4 1) 이 눌리면 전동송풍기 (3 3) 이 고속회전 되어 청소기의 흡인능력이 높아진다. 또, 약 스위치 (4 2) 가 눌리면 상기 전동 송풍기 (3 3) 이 저속회전 되어 청소기 흡인 능력이 약해진다.
전환 스위치 (4 3) 이 조작되면 전동 송풍기 (3 3) 을 정지하고, 또 회전 브러시 (3) 을 회전 구동하는 구동모터 (4 0) 도 정지시켜, 완전하게 청소기의 운전을 스톱시킨다.
또, 상기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 (4 4) 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 브러시 (3) 에 키친페이퍼 등의 먼지를 흡착할 수 있는 시트 (1 2) 를 장착하여 닦기 청소를 행할 때에 조작하는 것으로, 조작 시에는 구동 모터 (3 8) 을 시트 (1 2) 의 장착에 최적인 회전수 (저속) 로 구동하고, 상기 회전 브러시 (3) 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시트 (1 2) 는 회전 브러시 (3) 에 그 회전에 따라 자동적으로 감겨진다.
또, 시트 장착 후도 상기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 (4 4) 의 조작시에는 마루 광내기 (닦아내기) 를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최적 회전수 (저속) 로 회전 브러시 (3) 은 회전 제어된다. 이것으로, 깨끗이 마루의 더러움, 닦아낼 수 있고, 또 시트 장착에서 무너지는 회전 밸런스가 고속일 정도 강해지고 이음이 나기 쉽다는 상황이 회피되며, 조용히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벗기기 스위치 (4 5) 는 상기 시트 (1 2)를 회전 브러시 (3) 으로부터 떼어낼 때 조작하는 것으로, 조작 시에는 구동 모터 (4 0) 을, 시트 (1 2) 를 자동적으로 벗기는데 최적인 회전수 ( 저속 ) 으로 역전구동 시켜서 회전 브러시 (3)을 역회전시킨다.
그런데, 마루용 흡입구 (1) 의 저부에는 흡입구 (1) 이 마루면 (2 4) 에 닿아서 청소상태에 있는지, 마루면 (2 4) 에서부터 흡입구 (1) 이 떨어져서 청소상태에 없는가를 검지하여 브러시 모터 (2 0) 을 온, 오프 작동하는 마루 검지 스위치 (4 6) (도 3 3 ) 이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마루 검지 스위치 (4 6) 은 스프링 등 탄성부재로 통상 하방에 부세되어 있는 상하 이동 가능한 차륜 (4 7) 에서 작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고, 흡입구 (1) 의 차바퀴 (4 7) 이 마루면 (2 4) 에 접지하며 스프링에 저항해서 상방으로 움직일 때에, 온 작동해서 회전 브러시 (3) 의 구동 모터 (4 0) 을 회전 구동한다. 차륜 (4 7) 이 마루면 (2 4) 로부터 떨어진 힘으로 하방으로 돌출할 때는, 오프 작동해서 구동 모터 (4 0) 을 정지한다. 이것으로 회전 브러시 (3) 은 흡입구 (1)을 마루면 (2 4) 에 붙인 청소 시에는 회전하고, 흡입구 (1) 이 마루면 (2 4) 로부터 떨어져 청소를 하지 않을 때에는 정지하여, 마루용 흡입구 (1) 의 마루 (2 4) 와의 접리상태로 회전 브러시 (3)을 자동적으로 운전 / 정지 제어한다.
이 상기 구조의 마루용 흡입구는 도 3 3 에 도시한 제어회로에 의해 운전 제어된다. 마이컴 (4 8) 에는 상기 각 스위치 (4 1 ∼ 4 6) 에서의 조작신호가 입력하고 그것들 입력 신호에 따라 마이컴 (4 8) 은 구동 모터 (4 0) 또는 전동 송풍기 (3 3) 을 각각 브러시모터 구동회로 (4 9) 및 흡인 모터 구동회로 (5 0)을 통해서 운전 제어한다.
도 3 4 는 상기 제어회로에 의해 제어된 제어 플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이 제어 플로에 의해 또 제어의 방법을 설명한다.
플로의 스타트로부터 각 스위치의 상태에 따른 제어가 실행된다. 지금은 마루 청소이기 때문에, 시트 (1 2)를 회전 브러시 (3) 에 장착해서 닦기 청소를 행하는 경우에는,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 (4 4) 가 눌린다 (처리 5 1 ) .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 (4 4) 가 눌리면, 구동 모터 (4 0) 이 상기 마이컴 (4 8) 및 브러시 모터 구동회로 (4 9) 에 의해 시트 (1 2) 의 장착에 최적인 회전수로 회전 제어된다 ( 처리 5 2 ). 이 때문에, 시트 (1 2) 는 회전하는 회전 브러시 (3) 에 감겨 자동적으로 시트 (1 2) 의 장착이 된다. 이 제어를 행하는 것이 제 1 제어수단이다.
또, 이 때 전동 송풍기 (3 3) 은 흡인 모터 구동회로 (5 0) 에 의해 최적인 속도로 회전한다 ( 처리 5 3 ). 시트의 장착에 영향주지 않는 흡인력이 약해진 상황이 바람직하다. 이 제어를 행하는 것이 제 2 제어수단이다.
이렇게 해서, 회전 브러시 (3) 에 시트 (1 2) 를 장착시킨 흡입구 (1) 로 마루면 (2 4) 를 청소한다. 이 때, 검지 스위치 4 5 의 O N / O F F 가 판단되어, ( 판단 5 4 ) 흡입구 (1) 이 마루 (2 4) 에 닿고 있는 마루 검지 스위치 O N 일 때 ( 판단 5 4 y ) 는 처리 5 2 , 5 3을 계속해서 실행하고, 시트 (1 2) 는 최적 ( 저속 ) 회전상태를 계속해서 닦기 청소를 할 수 있다.
한편, 흡입구 (1) 이 일시적으로 마루 (2 4) 로부터 떨어졌을 때 또 떨어진 채의 상태에 있을 때에는, 마루 검지 스위치 (4 6) 은 O F F 가 되고 ( 판단 5 4 n ) , 구동 모터 (4 0) 을 정지시킨다 ( 처리 5 5 ). 이 때문에, 시트 (1 2)를 장착한 회전 브러시 (3) 은 마루면 (2 4) 로부터 떨어지면 수시로 멈추기 때문에 닦기 청소시의 운전 소음을 감소할 수 있다.
다음으로, 더러워진 시트 (1 2) 를 떼어낼 때에는 벗기기 스위치 (4 5) 를 누른다. 해당 스위치 (4 1) 이 눌리면 ( 처리 6 1 ) 구동 모터 (4 0) 이 상기 마이컴 (4 8) 및 브러시 모터 구동 회로 (4 9) 에 의해 시트를 떼어내기에 최적인 회전수 ( 저속 )으로 역회전 제어된다 ( 처리 6 2 ). 회전 브러시 (3) 이 저속으로 역회전하기 시작하면, 도 1 3 에 나타냈듯이, 시트 (1 2) 의 만 끝의 프리단 (1 2 d) 가 커버 (5) 의 선단 (5 d) 에 닿는다. 닿은 후, 회전 브러시 (3) 의 더한 회전으로 이 커버 선단 (5 d) 가 시트 (1 2) 를 서서히 벗겨내도록 작용하고, 드디어 시트 (1 2) 는 완전히 벗겨져 자동으로 떼어내 진다. 이 제어를 행하는 것이 제 3 제어수단이다.
스위치 (3 8 , 3 9) 등은 시트 (1 2) 를 장착하지 않고, 회전 브러시 (3) 을 회전시켜 먼지를 긁어내면서 운전하는 통상의 청소시에 조작되어, ( 처리 71 , 7 2 ) 각각이 조작되면 흡인 모터의 고속회전 ( 처리 7 3 ) 과 저속 회전 ( 처리 7 4 ) 이 행해지는 흡인력이 강약으로 변한다. 또, 마루 검지 스위치 (4 6) 에 의한 ON / O F F 동작에 기초하여 구동모터 (3 0) 의 구동제어가 행해진다. 이 때에는, 마루 검지 스위치 (4 6) 이 O N ( 판단 7 5 y ) 이 되는 흡입구 (1) 이, 마루면 (2 4) 에 놓여져 있는 청소시에는 구동 모터 (4 0) 을 브러시 모터 구동 회로 (4 9) 로 고속 회전 제어 하고 ( 처리 7 6 ) , 쓰레기를 긁어내면서 운전한다.
전환 스위치 (4 3) 은 눌리면 ( 처리 8 1 ), 전동 송풍기 (3 3) 및 구동 모터 (4 0) 을 정지 ( 처리 8 2 , 8 3 ) 시키고 청소기의 운전은 일체 정지된다.
또, 상기 마루 닦기 모드 스위치 (4 4) 를 눌렀을 때에는 전환 스위치 (4 3) 을 조작하고, 청소기 운전을 일단 모두 정지하지 않으면 다른 조작 스위치 (4 1 , 4 2 , 4 5) 의 조작을 받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시트 (1 2)를 장착한 상태로 통상의 회전 브러시 (3) 이 고속 회전해서 먼지를 긁어내는 운전에는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부주의로 조작 스위치 (4 1 , 4 2) 가 조작되어도 회전 브러시 (3) 은 운전되지 않아서, 장착한 시트 (1 2) 가 파손 되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마루용 흡입구 (1) 은 타타미나 융단 등의 청소에는 시트 (1 2) 를 장착하지 않고 청소기를 돌려서 회전 브러시 (3) 으로 먼지를 긁어내는 흡입구에서 흡입해서 청소한다. 한편, 플로링 등 마루면의 청소일 때에 시트 (1 2)를 회전 브러시 (3) 에 감아서, 브러시와 일체로 회전하는 시트 (1 2) 에 의해 마루면이 닦기 청소됨과 동시에, 마루 광내기 효과도 이루어지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청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먼지를 흡착 할 수 있는 시트를 흡입구내의 회전 브러시에 장착하도록 할 때,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의 조작으로 회전 브러시는 시트를 장착하기 쉬운 회전수로 적절히 제어되기 때문에, 시트가 찢어지거나 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장착할 수 있다. 또, 시트 장착후에 있어서도 적절한 회전수에 제어되기 때문에, 확운음이 작고, 또 마루면의 더러움이나 쓰레기의 긁어내기 및 마루 광내기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는 청소기가 된다.
또, 동시에 전동 송풍기의 흡인력도 시트를 강하게 흡인하지 않도록 적절히 제어되기 때문에 시트의 장착이 쉬어진다.
또, 마루 광내기 시에는 흡입구의 하부에 설치한 마루 검지스위치에 의해 마루에 올려졌는지 떨어졌는지에 따라 회전 브러시가 운전 / 정지하기 때문에, 흡입구가 한순간이라도 마루에서 떨어지면 운전은 멈추고 청소중의 소음발생이 적어진다.
또 시트를 회전 브러시에 의해 제거할 때 조작하는 벗기기 스위치가 있고, 이것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회전 브러시가 시트를 감고 풀 때 적합한 저속으로 역회전되어, 자동적으로 떼어낼 수가 있고 시트 교환 등의 작업이 간단해져서 편리하다.

Claims (4)

  1. 집진용의 전동 송풍기를 내장하는 청소기 본체와 해당 청소기 본체에 접속되는 가요성 호스와, 해당 가요성 호스에 접속되는 연장관과, 상기 가요성 호스의 상기 연장관 접속측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설치되는 손잡이 스위치부와, 회전 브러시, 해당 회전 브러시를 회전 구동하는 구동 모터를 내장해서 상기 연장관에 접속되는 마루용 흡입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회전브러시는 주위면에 축방향으로 나선형으로 털의 길이, 경도가 다른 브러시체를 복수개 설치하고, 먼지 흡착 시트가 찌그러지지 않는 둥근 형상을 유지하도록 상기 마루용 흡입구의 회전 브러시에 휘감아서 장착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손잡이 스위치 부에는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한편, 해당 마루 광내기 모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며, 상기 회전 브러시를 상기 먼지 흡착 시트 장착과 장착한 집진 흡착시트에 의한 마루 광내기에 최적인 회전수로 제어하는 제 1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송풍기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먼지 흡착시트에 의한 마루 광내기 시에 최적인 집진력으로 제어하는 제 2 제어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루용 흡입구에 마루면과의 접촉상태를 검지하고, 상기 구동 모터를 운전 / 정지하는 마루 검지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구의 본체 케이스 전면부에 상기 시트 후단과 계합하는 벗겨내기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 스위치부에는 벗기기 모드 스위치를 설치하는 한편, 해당 벗기기 모드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회전 브러시를 상기 흡착시트를 제거하는 데에 적합한 저속 역회전으로 제어하는 제 3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20040002198A 2003-01-17 2004-01-13 전기 청소기 KR100614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10342A JP2004222738A (ja) 2003-01-17 2003-01-17 電気掃除機
JPJP-P-2003-00010342 2003-01-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897A KR20040067897A (ko) 2004-07-30
KR100614289B1 true KR100614289B1 (ko) 2006-08-21

Family

ID=32899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98A KR100614289B1 (ko) 2003-01-17 2004-01-13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4222738A (ko)
KR (1) KR100614289B1 (ko)
CN (1) CN127307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239B2 (ja) * 2005-04-07 2011-06-15 アマノ株式会社 フイルタ目詰まり検出機能を備えた床面清掃機
JP5172307B2 (ja) * 2007-02-09 2013-03-27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掃除機
JP2011019819A (ja) * 2009-07-17 2011-02-03 Sanyo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5413353B2 (ja) * 2010-10-15 2014-02-12 三洋電機株式会社 床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ES1180183Y (es) * 2017-02-23 2017-06-26 Com Carma S A Dispositivo para peinar y acondicionar césped artificial
JP7320360B2 (ja) * 2019-03-06 2023-08-03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シート
CN111745595B (zh) * 2019-03-26 2023-09-12 株式会社牧田 集尘系统
JP2021003271A (ja) * 2019-06-26 2021-01-14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気掃除機
CN117840094A (zh) * 2024-03-07 2024-04-09 赛诺威盛科技(北京)股份有限公司 用于医疗影像设备的碳粉收集装置和医疗影像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7897A (ko) 2004-07-30
CN1273071C (zh) 2006-09-06
JP2004222738A (ja) 2004-08-12
CN1517052A (zh) 2004-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2247B2 (ja) 電気掃除機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100614289B1 (ko) 전기 청소기
JP2008000382A (ja) 電気掃除機の吸口体及びこの吸口体を用いた電気掃除機
JP5232459B2 (ja) 電気掃除機
EP3731714B1 (en) Cleaning apparatus with selectable combing unit for removing debris from cleaning roller
JP4194628B2 (ja) 電気掃除機
JP4194629B2 (ja) 電気掃除機
JP2004147759A (ja) 電気掃除機
JP2004222739A (ja) 床用吸込具および塵埃の吸着用シート
CN111820813B (zh) 吸尘器头
JP4086750B2 (ja) 電気掃除機
JP4103095B2 (ja) 電気掃除機
KR960014574B1 (ko) 습건식 진공 청소기
KR100589790B1 (ko) 물걸레 청소기
EP4056090A9 (en) Floor cleaning head
JP2009022681A (ja) 電気掃除機
KR100589781B1 (ko) 물걸레 청소기
KR101169069B1 (ko) 전동식 물걸레 청소기
JP4147551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み具
JP3128599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CN115040027A (zh) 地板清洁头
JP2024030035A (ja) 掃除部及び電気掃除機
GB2604698A (en) Floor cleaning head
JP2004229953A (ja) 床用吸込具
JP2005102891A (ja) 床用吸込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