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582B1 - 패키지 모듈 - Google Patents

패키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582B1
KR100613582B1 KR1020047011954A KR20047011954A KR100613582B1 KR 100613582 B1 KR100613582 B1 KR 100613582B1 KR 1020047011954 A KR1020047011954 A KR 1020047011954A KR 20047011954 A KR20047011954 A KR 20047011954A KR 100613582 B1 KR100613582 B1 KR 100613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adapter
module
adapter case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7433A (ko
Inventor
오테라소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074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74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9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the light guide being disconnectable from the opto-electronic element, e.g. mutually self align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 G02B6/4256Details of hous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42Coupling light guides with opto-electronic elements
    • G02B6/4201Packages, e.g. shape, construction, internal or external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4)와, 모듈 케이스(4)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어댑터를 구성하는 어댑터 케이스(11)는 그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이루며, 일단측 개구는 외부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며, 타단측 개구는 모듈 케이스(4)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11c)로 이루어진다.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구를 하향으로 한 감합 수납부(15)를 설치한다. 모듈 케이스(4)에는 감합용 철부 (17)를 설치한다. 모듈 케이스(4)의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해 감합용 철부(17)를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에 대향시켜 모듈 케이스(4)를 어댑터 케이스(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측으로 이동시켜서 감합용 철부(17)를 감합 수납부(15)에 끼워맞춤으로써 모듈 케이스(4)와 어댑터 케이스(11)를 접속한다.
패키지 모듈, 회로기판, 어댑터 케이스, 모듈 케이스, 광모듈

Description

패키지 모듈{PACKAGE MODULE}
본 발명은 회로기판을 모듈 케이스에 수용해 이루어지는 패키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패키지 모듈은 회로기판을 케이스 내에 수용해 구성되는 것이며, 패키지 모듈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패키지 모듈의 하나로서 광통신에 이용할 수 있는 광통신용 모듈이 있다. 도 10에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고 있는 광통신용 모듈(패키지 모듈)의 일예을 모식적인 분해도에 의해 나타내고 있다. 이 패키지 모듈(1)은 회로기판(2)과 광모듈 부품(3)과 회로기판(2) 및 광모듈 부품(3)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4)와 어댑터(5)를 가지며 구성된다.
광모듈 부품(3)은 회로부(3A)와 페룰부(ferrule; 3B)를 가지고 구성되고 있다. 회로부(3A)는 케이스의 내부에 발광소자(예를 들면, 레이저 다이오드(LD))와 수광소자(예를 들면, 포토 다이오드(PD)) 중 적어도 한쪽(도시하지 않음)이 배설되어 있으며, 당해 회로부(3A)의 케이스 내부에는 발광소자를 이용해 전기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와, 수광소자를 이용해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 중 한쪽 또는 양쪽의 변환부가 수용 배치되어 있다.
페룰부(3B)는 광파이버(도시하지 않음)가 삽통(揷通)되고 있는 페룰(도시하 지 않음)과, 상기 페룰을 수용하는 슬리브 및 슬리브를 수용하는 페룰 케이스를 가지며, 페룰 케이스는 회로부(3A)의 케이스와 일체화되어 있다. 페룰에 삽통된 광파이버의 일단측은 페룰의 회로부(3A)측의 단면에 노출해 회로부(3A)의 발광소자 또는 수광소자와 광결합 상태가 되고 있다. 또 그 광파이버의 타단측의 단면은 외부와 접속하기 위해서 페룰의 외측 단면에 노출한 상태로 되어 있다.
회로기판(2)에는 부품(7)이나 회로 패턴(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회로가 구성되고 있으며, 그 회로는 광모듈 부품(3)의 회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회로기판(2)에 형성되는 회로로서는 예를 들면, 전기신호의 증폭회로 등이 있다. 또 이 용도 설명의 예에서는 회로기판(2)에는 해당 회로기판(2)에 형성되어 있는 회로를 외부의 회로에 접속시키기 위한 단자(8)가 부착되어 있다.
모듈 케이스(4)는 기부(基部) 케이스(9)와 뚜껑측 케이스(10)를 가지며, 이들 기부 케이스(9)와 뚜껑측 케이스(10)의 결합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 내에, 회로기판(2) 및 광모듈 부품(3)이 수용된다. 또 이 기부 케이스(9)의 저벽(底壁)에는 회로기판(2)에 부착되어 있는 단자(8)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모듈 케이스(4)의 내부에 회로기판(2)를 수용했을 때에, 회로기판(2)의 단자(8)는 모듈 케이스(4)의 내부로부터 그 관통 구멍(20)을 통해서 외부로 돌출한다.
또한 모듈 케이스(4)의 기부 케이스(9)의 주벽에는 외향(外向)으로 신장된 암(12(12A, 12B)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암(12A, 12B)은 서로 간격을 두어 가로방향으로 병설되어 있다. 이들 암(12A, 12B)의 각각의 선단부에 손톱부 (13(13A,13B))가 설치되어져 있다. 이들 암(12)과 손톱부(nail; 13)는 후술하는 어댑터(5)에 끼워지는 외부의 커넥터와 끼워맞춰 외부의 커넥터(광커넥터)를 패키지 모듈(1)에 고정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암(12)과 손톱부(13)는 성형 기술에 의해서 기부 케이스(9)와 일체적으로 제작된다.
어댑터(5)는 외부의 커넥터를 끼워지는 어댑터 케이스(11)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이 어댑터 케이스(11)는 암(12) 및 손톱부(13)를 수용해 기부 케이스(9)에 부착되는 것이다. 상기 어댑터 케이스(11)의 후단부에는 외부의 광커넥터의 삽입구(entry; 11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 케이스(11)에는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저면에서 전단면에 걸쳐 개구부(1l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어댑터 케이스(11)의 개구부(1lb)는 어댑터 케이스(11)를 기부 케이스(9)에 부착할 때에 암(12) 및 손톱부(13)를 내부 공간으로 이끌기 위한 것이다. 나아가 어댑터 케이스(11)의 전단측의 상벽(上壁)에는 감합(嵌合) 수납부(15(15A, 15B))가 감합 수납구(16(16A, 16B))를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기부 케이스(9)에는 암(12(12A,12B))의 근방의 주벽부에 상측으로 돌출한 감합용 철부(凸部; 17(17A,17B))가 형성되어 있다. 감합용 철부(17)는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와 감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어댑터 케이스(11)를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은 모양으로 암(12)의 상방측에 배치한 다음, 암(12)을 향해서 어댑터 케이스(11)를 하방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암(12) 및 손톱부(13)를 어댑터 케이스(11)의 개구부(1lb)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 공간 내로 수용하고, 또 기부 케이스(9)의 감합용 철부(17(17A,17B))와 어댑터 케이스(11) 의 감합 수납부(15(15A,15B))를 끼워 맞춘다. 이렇게 하여 어댑터 케이스(11)는 암부(12) 및 손톱부(13)를 내부 공간에 수용한 상태로 기부 케이스(9)에 부착할 수 있다.
그 기부 케이스(9)에 부착된 어댑터 케이스(11)의 커넥터 삽입구(11a)로부터 외부의 광커넥터를 끼우고, 상기 외부의 광커넥터를 암(12) 및 손톱부(13)에 의해 기부 케이스(9; 패키지 모듈(1))에 고정함으로써, 광커넥터에 삽통되어 있는 광파이버의 단면과, 광모듈 부품(3)의 페룰에 삽통되어 있는 광파이버의 단면이 맞붙여 접속된 구성이 되고 있다.
그런데,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암(12)는 기부 케이스(9)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었지만, 예를 들어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부 케이스(9)와는 별도로 암(12) 및 손톱부(13)를 제작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이들 암(12) 및 손톱부(13)와 별개로 형성된 어댑터 케이스(11)가 조립되며, 상기 조립체가 기부 케이스(9)에 접착제 등으로 부착된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부 케이스(9)와는 별개로 어댑터 케이스(11)과 암(12)와 손톱부(13)를 일체화한 부품이 성형에 의해서 제작될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면 그 부품은 기부 케이스(9)에 접착제 등에 의해서 부착된다.
그러나,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암(12) 및 손톱부(13)를 제작하고, 또 그것과는 별도로 어댑터 케이스(11)를 제작해 그것들을 조립한 후에, 그 조립체를 접착제에 의해 기부 케이스(9)에 접속하는 것과 같이, 제조 공정이 번잡해진다. 또 접착제에 의한 부착은 접합 강도가 약하고, 또 접착제는 시간 경과로 인해 열화하 기 쉬우므로, 패키지 모듈(1)에 대한 강한 신뢰성을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다.
또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어댑터 케이스(11)와 암(12)과 손톱부(13)를 일체 성형하므로 어댑터 케이스(11)와 암(12) 및 손톱부(13)를 결합시키는 작업을 없앨 수 있으나, 성형 기술상의 문제에서 암(12)의 근원(根元) 부근에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멍(21)이 형성되어 버린다. 이 구멍(21)으로 인해 암(12)의 근원부의 강도(强度)가 약해지는 문제가 생기며, 암(12)이 파손될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나아가, 도 10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부 케이스(9)와 암(12)과 손톱부(13)를 일체 형성하기 때문에 암(12)을 기부 케이스(9)에 접착할 필요도 없고, 또 암(12)의 근원 부근에 성형으로 기인한 구멍부(21)가 형성될 일도 없다. 그러나,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에 큰 개구부(1lb)가 형성되므로, 그 개구부(1lb)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분진(粉塵; 가루)이 들어가기 쉽다. 이 때문에 개구부(1lb)로부터 어댑터 케이스(11) 내로 분진이 들어가기 쉬운데, 예를 들면 어댑터 케이스(11)에 광커넥터를 끼워서 광커넥터측의 광파이버와 광모듈 부품(3)측의 광파이버를 광접속할 때에 분진이 어댑터 케이스(11) 내로 들어와 광접속 상태가 악화되는 문제 발생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도 및 커넥터 접속에 대한 신뢰성의 향상이 꾀할 수 있는 패키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구성은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이 모듈 케이 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와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이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지며, 타단측 개구는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져,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감합 수납구을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모듈 케이스는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고, 이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지는 감합용 철부와,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어댑터 케이스 내의 지정 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측과 당접(當接)해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지점으로서 기능하는 회동 지점부와로 설치되며, 또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선방을 향해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되며, 그 암의 선단부에는 어댑터 케이스 내에 끼워진 외부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손톱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하향 선단(先端)위치와 접속구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은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의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이루어져, 또한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서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해서 위로 향해 기울면서 지정위치까지 삽입해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지점부를 지점으로서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회동하여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해 수평 상태로 했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에 대향하는 위치에,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와 어댑터 케이스측 의 감합 수납부와를 대향시켜 모듈 케이스를 어댑터 케이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춰(감합해)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은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이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이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며, 타단측 개구는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지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감합 수납구을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모듈 케이스는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고, 이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가 마련되지며, 또한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선방을 향해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되며, 그 암의 선단부에는 어댑터 케이스 내에 끼워진 외부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손톱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어댑터 케이스에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서 어댑터 케이스 내로 삽입되어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감합용 철부가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진행했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전진 이동을 정지시키는 삽입 정지부가 마련되어져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시켜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암을 어댑터 케이스의 저벽을 따라가게 하면서 어댑터 케이스의 삽입 정지 부에 의해 정지할 때까지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전진 이동시켜서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와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와를 대향시킨 후, 모듈 케이스를 어댑터 케이스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춰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모듈 케이스에는 암이 일체 형성되는 구성이므로 예를 들오 암을 접착제로 모듈 케이스에 부착할 필요가 없고, 제조 공정의 번잡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접착제로 인한 문제 발생이나, 암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이 발명에서는 어댑터 케이스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지며,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달았을 때, 커넥터의 삽입구 이외의 어댑터 케이스의 개구부는 모듈 케이스에 의해 막혀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댑터 케이스 내부로 들어가는 분진을 거의 없앨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키지 모듈이 광통신용 모듈인 경우에는 패키지 모듈측의 광파이버와 어댑터 케이스에 끼워진 광커넥터의 광파이버와의 광접속부에 먼지가 들어가서 광접속 상태를 악화시켜버리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발명에서는 어댑터 케이스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개구부를 감소시킨 구성이므로, 어댑터 케이스의 강도를 강화할 수 있다.
그런데,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하향의 선단위치와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이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 에 있어서의 감합용 철부의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할 경우나,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의 상하방향의 외형높이 치수를 Ho로 하고, 어댑터 케이스의 표면과 저면의 각각의 케이스 벽의 두께를 t로 하고, 어댑터 케이스의 표면위치와 감합 수납부의 하향 선단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L1로 하고, 모듈 케이스측의 손톱부를 포함하는 암의 최하위치와 감합용 철부의 돌출 선단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L3으로 했을 때에, L3≥Ho-t-L1의 수식을 만족시키는 구성을 구비할 경우에는, 모듈 케이스에 어댑터 케이스를 부착할 때에는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하여 위를 향하도록 기울려서 삽입한다. 그리고,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지정위치까지 어댑터 케이스 내에 삽입되었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측에 당접하고 있는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부분을 지점으로서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회동해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한다. 이 때,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가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의 대향위치에 배치되도록 설계 함으로써,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후에 모듈 케이스를 어댑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만으로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와,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출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하향의 선단위치와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이,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 있어서의 감합용 철부의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어도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부착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편의상, 그와 같은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부착하는 것을 암 경사삽입 타입(slanting-arm-insertion)이라 부른다.
그 암 경사삽입 타입에 있어서는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부착하기 위해서는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어댑터 케이스 내로의 삽입과, 삽입 후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과,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와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와의 끼워맞춤과 같은 복수의 동작이 필요한 것에서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로부터 간단하게 떨어지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나아가, 암 경사삽입 타입에 있어서는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해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회동할 때에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감합용 철부의 돌출 선단부가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端緣部)에 접촉하면서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회동하는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로부터 떨어지려고 해도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가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걸리므로,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로부터 떨어지는 사태를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암 경사삽입 타입에 있어서는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하향의 선단위치와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이, 모듈 케이스측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 있어서의 감합용 철부의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으므로, 그 개구폭의 협소화에 의해 어댑터 케이스의 상 하방향의 높이를 작게 할 수 있다. 그 결과, 어댑터 케이스의 소형화(저배화; 低背化)를 꾀할 수 있으며, 패키지 모듈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발명에서는 암 경사삽입 타입이 아닌, 암 수평삽입 타입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즉,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시켜 모듈 케이스측의 암을 어댑터 케이스의 저벽을 따르게 하면서 전진 이동시켜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와 어댑터 케이스측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와를 대향시킨 다음, 모듈 케이스를 어댑터 케이스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춰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도, 간단한 동작으로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어댑터 케이스가 모듈 케이스로부터 떨어지기 어렵게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의 구성을 구비함으로써 강도 및 커넥터 접속에 대한 신뢰성이 높고, 또한 제조 공정의 간략화로 인한 가격 저감이 용이한 패키지 모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특유한 구성 부분을 뽑아서 나타낸 모델도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의 어댑터 케이스와,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 형성영역과의 치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3은 도 2와 같이 제1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의 어댑터 케이스 와,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 형성영역과의 치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a는 제1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을 조립하는 공정에 있어서 특징적인 작업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4b는 도 4a에 나타낸 상태를 실현하기 위한 제1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의 사이즈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5a, 도 5b, 도 5c, 도 5d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어댑터 케이스를 모듈 케이스에 부착하는 공정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는 제2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을 조립하는 공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7a, 도 7b, 도 7c는 패키지 모듈을 구성하는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의 기타 형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8a, 도 8b, 도 8c, 도 8d는 더욱이 패키지 모듈을 구성하는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의 다른 형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9a와 도 9b는 각각 제1 실시형태에 나타낸 암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0는 본 출원인이 개발하고 있는 패키지 모듈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모델도이다.
도 11는 개발의 1단계 전의 어댑터 케이스의 일예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모델도이다.
도 12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암과, 어댑터 케이스의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3는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암과, 어댑터 케이스의 다른 종래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토대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도 10에 나타낸 패키지 모듈과 동일 구성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공통부분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형태의 패키지 모듈은 광통신용 모듈이며, 다음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특유한 구성(암 경사삽입 타입의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에서 서술하는 구성 이외의 패키지 모듈의 구성은 도 10에 나타내는 패키지 모듈(1)과 동일하다.
즉, 도 10에 나타내는 어댑터(5)의 어댑터 케이스(11)는 저면이 개구하고 있는데 비해(도 11참조),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은 폐색(閉塞)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11)는 측주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광커넥터)의 삽입구(11a)로 이루어져, 타단측 개구는 모듈 케이스(4)(기부 케이스(9))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11c)로 이루어져 있다.
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15(15A,15B))가 감합 수납구(16(16A,16B))를 하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부 케이스(9)측에는 그 감합 수납부(15(15A,15B))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17(17A,17B))가 설치되 어 있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의 하향 선단위치와 접속구(11c)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 H는 모듈 케이스(4; 기부 케이스(9))의 감합용 철부(17)의 상하방향의 높이(L2)보다도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4; 기부 케이스(9))의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위치와, 손톱부(13)를 포함하는 암(12)의 최하위치(즉,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손톱부(13)의 저면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L3)은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의 하향 선단위치와 접속구(11c)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H) 이상의 큰 치수로 되어 있다(L3≥H). 바꾸어 말하면, 여기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상하방향의 외형높이 치수를 Ho로 하고, 어댑터 케이스(11)의 상하방향의 안촌높이를 Hi로 하고, 어댑터 케이스(11)의 표면과 저면의 각각의 케이스 벽의 두께를 t로 하고, 어댑터 케이스(11)의 표면위치와 감합 수납부(15)의 하향 선단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L1로 한다. 이 경우, 어댑터 케이스(11)에 있어서의 접속구(11c)의 높이 방향의 개구폭(H)은 H=Ho-t-L1의 수식으로 나타내어진다. 이것에서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높이 간격(L3)은 L3≥Ho-t-L1의 수식을 만족시키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모듈 케이스(4)에 어댑터 케이스(11)를 장착하기 위해, 모듈 케이스(4)의 암(12) 및 손톱부(13)를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하고,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을 따라서 전진 이동시켜 가면,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가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의 외벽면에 당접하고, 모듈 케이스(4)의 전진 이동이 정지한다. 이 때문에, 이대로는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를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에 끼워맞출 수 없다.
그래서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 케이스(11)를 모듈 케이스(4; 기부 케이스(9))에 부착할 때에는 다음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특유한 순서에 의해 부착 작업을 행한다. 예를 들면, 도 5a의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에 대하여 위쪽으로 기울린 상태로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손톱부(13) 및 암(12)을 삽입해 간다.
암(12) 및 손톱부(13)의 삽입을 계속해 가면, 도 5b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 선단부에 기부 케이스(9)의 주벽이 당접해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의 삽입이 정지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부 케이스(9)의 주벽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에 당접하기 전에, 손톱부(13)가 어댑터 케이스(11) 상벽에 당접하지 않도록 암(12)의 길이 등이 설계되어 있다. 또한 도 5b의 예에서는 기부 케이스(9)의 주벽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 선단부에 당접했을 때에, 손톱부(13)가 어댑터 케이스(11) 위벽에 당접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기부 케이스(9)의 주벽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 선단부에 당접함과 동시에, 손톱부(13)가 어댑터 케이스(11) 위벽에 당접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그런 다음,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 선단부가 당접하고 있는 암(12)의 당 접부위(P)를 지점으로서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을 회동하여 도 5c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한다. 즉,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암(12)의 삽입이 정지했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 선단부가 당접하는 암(12)의 부위(P)가 회동 지점부가 되고 있다.
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부 케이스(9)와 암(12)을 회동시킬 때에,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부가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접촉하여 도 4a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를 구성하는 모듈 케이스측의 벽부를 약간 변형시키면서,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은 회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4)의 회동 지점부(P)와 감합용 철부(17)에 있어서의 회동 지점부에서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Q; 도 4b참조)과의 사이의 길이(β1)는 어댑터 케이스(11)에 있어서의 접속구(11c)의 하단의 선단위치(X)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의 모듈 케이스측의 내단부(Y)와의 사이의 거리(β2)보다도 조금 길게 되어 있다.
나아가,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감합용 철부(17)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접촉하면서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을 회동시킬 때에, 그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의 회동을 스무스하게 행하기 위해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의 모듈 케이스측의 내단부(內端部; 18)는 절단되거나, 동글게 만들어진다. 또한 그 내단부(18)를 자르거나 혹은 동글게 하지 않고, 감합용 철부(17)에 있어서의 감합 수납부 접촉부분을 자르거나 혹은 동글게 만드는 구성이여도 좋다.
나아가,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의 회동에 의해, 그들 기부 케이스(9) 및 암(12)가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에 대하여 수평 상태가 이루어졌을 때에, 기부 케이스(9)측(모듈 케이스(4)측)의 감합용 철부(17)가 어댑터 케이스(11)측의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16)에 대향하도록 감합 수납부(15)와 감합용 철부(17)의 배치 관계가 설계되어 있다.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의 회동에 의해 해당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로 한 후에, 도 5d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에 대하여 모듈 케이스(4)를 상대적으로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모듈 케이스(4)측의 감합용 철부(17)와, 어댑터 케이스(11)측의 감합 수납부(15)와를 끼워맞춘다. 이것에 의해, 기부 케이스(9; 모듈 케이스(4))로의 어댑터 케이스(11)의 장착이 완료한다.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감합용 철부(17)와 감합 수납부(15)가 끼워맞췄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과 모듈 케이스(4)의 저면이 일치하는 동시에, 모듈 케이스(4)의 암(12)의 신장방향의 중심선(O12; 도 5c참조)이 어댑터 케이스(11)의 중심위치(O11)에 일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도 5c의 상태에서 도 5d의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어댑터 케이스(11)에 대한 모듈 케이스(4; 기부 케이스(9))의 상대적인 상측 이동량을 Δh로 하고, 암(12)의 높이 치수를 D로 한다. 이 경우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그 상측 이동량 Δh는 Δh=Ho/2-D/2-t의 수식에 의해 정해지는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위치와 모듈 케이스(4)의 저면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 L2는 L2=L3+t+Δh의 수식을 만족시 키는 치수로 되어 있다.
또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감합용 철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기부 케이스(9)의 주벽부분과, 암(12)과 손톱부(13)가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α)를 구성하고 있다(도 5c참조).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기부 케이스(9)에 어댑터 케이스(11)를 부착한 후에, 회로기판(2) 및 광모듈 부품(3)을 수용한 기부 케이스(9)와 뚜껑측 케이스(10)를 결합함으로써 패키지 모듈(1)이 조립된다. 이 패키지 모듈(1)에 있어서는, 어댑터 케이스(11)가 기부 케이스(9; 모듈 케이스(4))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그 어댑터 케이스(11)는 커넥터의 삽입구(11a) 이외의 부분에 개구부는 없는 상태가 된다. 또 어댑터 케이스(11)에 광커넥터를 끼워서 이 광커넥터에 의해 어댑터 케이스(11)의 삽입구(11a)도 거의 막혀진 상태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광커넥터가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끼워져 광커넥터의 광파이버와 광모듈 부품(3)의 페룰의 광파이버가 광접속하고 있을 때에, 어댑터 케이스(11)의 외부에서 내부로 먼지가 들어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따라서, 어댑터 케이스(11)에 광커넥터를 빼거나 끼워도 먼지로 인해 그 광접속 상태가 악화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제1 실시형태에서는 암(12)의 근원의 하단위치는 기부 케이스(9)의 저면위치보다도 상측의 높이 위치에 있으며, 암(12)의 근원의 하단위치보다도 하측의 기부 케이스(9)의 주벽부분은 암(12)의 어댑터 케이스(11)로의 삽입 시에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에 당접해 암(12)의 삽입을 정지시키는 부분이었으나, 예를 들면 암(12)의 근원 또는 그 근방의 하단부에 도 9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요부(23)를 설치하고, 상기 요부(23)의 내벽면이 암(12)의 삽입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구성이여도 좋다. 또 암(12)에 도 9a에 나타낸 것과 같은 요부(23)나 도 9b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멍부(24)가 설치되는 구성의 경우에는 요부(23) 또는 구멍부(24)의 개구 가장자리의 일부(P)가 기부 케이스(9) 및 암(12)의 회동 지점부로서 기능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나아가, 기부 케이스(9)의 아래쪽의 주벽면이나, 암(12)에 형성한 요부(23) 에 의해 암(12)의 삽입을 정지시키는 것이 아니라, 손톱부(13)가 어댑터 케이스(11) 상벽에 당접함으로써 암(12)의 삽입을 정지시키는 구성이여도 좋은 것이다.
나아가, 제1 실시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4)에 어댑터 케이스(11)를 장착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모듈 케이스(4)를 회동할 때에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부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접촉하는 구성이었으나,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부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접촉하지 않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위치와 손톱부(13)의 저면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L3)은 전술한 L3≥Ho-t-L1의 수식을 만족시키는 간격으로 이루어지며, 또한 도 4b에 나타내지는 QP간의 간격 β1은 XY간의 간격 β2보다도 짧은 길이(β1 <β2)를 이룬다.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부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접촉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면, 패키지 모듈이 매우 소형인 경우에는 감합 수납부(15)와 감합용 철부(17)의 끼워맞춤이 깊지 않아서 감합 수납부(15)와 감합용 철부(17)와의 감합 상태가 해소되기 쉬워진다. 이 때문에, 소형의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는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 부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 단연부에 접촉하는 구성으로서, 감합 수납부(15)와 감합용 철부(17)의 감합을 가능하면 깊게 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제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이 제2 실시형태의 설명에 있어서, 제1 실시형태와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고, 그 공통 부분의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암 수평삽입 타입의 구성의 일예를 서술한다. 즉,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위치와 손톱부(13)의 저면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L3; 도 2참조)은 L3≤Ho-t-L1의 수식을 만족시키는 치수로 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높이 간격(L3)은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의 높이 방향의 개구폭(H; H=Ho-t-L1) 이하의 작은 치수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다음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에 어댑터 케이스(11)를 장착할 수 있다. 즉, 도 6a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의 암(12) 및 손톱부(13)를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하고,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벽을 따라가게 하면서 모듈 케이스(4)를 어댑터 케이스(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진 이동시켜 간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의 케이스 내측의 하단위치(15ib)는 감합 수납부(15)의 모듈 케이스측의 하단위치(15ob)보다도 아래쪽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도 6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측의 감 합용 철부(17)가 어댑터 케이스(11)측의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모듈 케이스(4)가 전진 이동했을 때에, 감합용 철부(17)가 감합 수납부(15)의 케이스 내측의 내단부에 당접해 모듈 케이스(4)의 전진 이동이 정지한다. 즉,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감합 수납부(15)의 케이스 내측 내단부(K)가 삽입 정지부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 다음, 모듈 케이스(4)를 어댑터 케이스(1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쪽에 이동시킴으로써, 도 6c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측의 감합용 철부(17)와,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를 끼워맞춘다. 이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와 같이 감합용 철부(17)와 감합 수납부(15)를 감합시켰을 때에, 모듈 케이스(4)의 저면위치와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위치가 일치하는 동시에, 암(12)의 신장방향의 중심선과, 어댑터 케이스(11)의 중심선이 일치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도 6b의 상태에서 도 6c의 상태에 이행할 때의 어댑터 케이스(11)에 대한 모듈 케이스(4)의 상측 이동량 Δh (도 6b참조)는 Δh=Ho/2-D/2-t의 수식에 의해 정해지는 수치로 되어 있다. 또한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위치와 모듈 케이스(4)의 저면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L2)은 L2=L3+t+Δh의 수식을 만족시키는 치수로 되어 있다.
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모듈 케이스(4)에 어댑터 케이스(11)를 장착할 수 있다.
그런데, 이 제2 실시형태의 구성에서는 제1 실시형태의 구성에 비교하면 모듈 케이스(4)에 어댑터 케이스(11)를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다. 그 반면, 어댑터 케 이스(11)가 모듈 케이스(4)로부터 떨어지기 쉬운 염려가 있다. 그래서 다음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설치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7a의 모델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의 감합용 철부(17)의 선단부에 외향의 손톱부(17a)를 설치한다. 도 7c는 도 7a에 나타내는 모듈 케이스(4)의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해서 감합용 철부(17)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에 대향했을 때의 상태를 의미하는 모델도이다. 도 7b는 도 7c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b의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에는 해당 감합 수납부(15)에 감합용 철부(17)가 끼워맞추었을 때에 감합용 철부(17)의 손톱부(17a)가 빠짐을 차단 고정하는 손톱 고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모듈 케이스(4)측의 감합용 철부(17)가 어댑터 케이스(11)측의 감합 수납부(15)에 끼워맞추어 모듈 케이스(4)의 저면위치가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위치와 일치하게 된 상태일 때에 감합용 철부(17)의 손톱부(17a)가 대향하는 위치에, 구멍부로 이루어지는 손톱 고정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감합용 철부(17)의 손톱부(17a)가 감합 수납부(15)의 손톱 고정부(26)에 고정되어 빠짐을 차단 고정함으로써 모듈 케이스(4)의 저면위치와 어댑터 케이스(11)의 저면위치가 일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또한 모듈 케이스(4)로부터 어댑터 케이스(11)가 분리되는 사태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이 예에서는 감합용 철부(17)의 선단부에 설치되는 손톱부(17a)는 외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었으나, 손톱부(17a)를 내향으로 형성해도 좋다. 이 경 우에는 물론 어댑터 케이스(11)의 감합 수납부(15)측에 설치되는 손톱 고정부(26)도 손톱부(17a)의 형성위치에 따라 설치되어진다.
또한, 다음에서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을 설치해 모듈 케이스(4)로부터 어댑터 케이스(11)가 떨어지는 사태를 방지하는 구성이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8b의 단면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어댑터 케이스(11)측의 감합 수납부(15)에 있어서, 모듈 케이스(4)측의 감합용 철부(17)의 측면을 따라가게 하기 위한 벽면(15w)은 내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것과 같이, 모듈 케이스(4)측의 감합용 철부(17)에는 상기 감합용 철부(17)의 첨단부분을 내향으로 기울어지게 하기 위한 굴곡부(17c)가 설치되어, 굴곡부(17c)보다도 선단측은 경사부(17b)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8c는 도 8a에 나타내는 모듈 케이스(4)의 암(12)을 어댑터 케이스(11)의 접속구(11c)에서 어댑터 케이스(11)의 내부로 삽입해 감합용 철부(17)가 감합 수납부(15)의 감합 수납구에 대향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델도이며, 도 8b는 도 8c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그와 같은 감합 수납부(15) 및 감합용 철부(17)의 구성에 의해 감합용 철부(17)를 감합 수납부(15)에 삽입하면, 예를 들어 감합용 철부(17)는 감합 수납부(15)의 벽면(15w)의 경사로 인해서 내향으로 탄성 변형하면서 감합 수납부(15)를 전진 이동해 도 8d에 나타낸 것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감합용 철부(17)의 선단부는 감합 수납부(15)의 안측 벽면에 당접해 상기 당접면을 내향의 가압력(Fi)로 가압한다. 또 감합용 철부(17)의 굴곡부(17c)는 감합 수납부(15)의 외측 벽면에 당 접해 상기 당접면을 내향의 가압력(Fo)으로 가압한다. 그들 가압력(Fo, Fi)에 의해서 감합용 철부(17)가 감합 수납부(15)에 고정되어 감합 수납부(15)로부터 감합용 철부(17)가 쉽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다.
아울러, 이 예에서는 감합용 철부(17)의 경사부(17b)는 내향이였으나, 외향이라도 좋다. 또 감합 수납부(15)의 벽면(15w)은 내향으로 기울고 있으나, 외향으로 기울어도 좋다.
아울러, 이 발명은 제1이나 제2의 각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과 제2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기부 케이스(9)의 주벽에 감합용 철부(17)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예를 들면 암(12)의 근원부분에 감합용 철부(17)가 형성되어 있는 구성이여도 좋다. 또 제1과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모듈 케이스(4)는 부 케이스(9)와 뚜껑측 케이스(10)의 상하로 분리된 모양이었으나, 모듈 케이스(4)는 그 이외의 모양이여도 좋다.
나아가, 제1과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암(12)의 저면위치보다도 손톱부(13)의 저면위치 쪽이 낮았으나, 암(12)의 저면위치와 손톱부(13)의 저면위치가 같은 구성이여도 좋다. 또 손톱부(13)의 저면위치가 암(12)의 저면위치보다도 상측으로 되어 있는 구성이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손톱부(13)를 포함하는 암(12)의 최하위치는 암(12)의 저면위치가 되므로, 전술한 높이 간격(L3)은 암(12)의 저면위치와 감합용 철부(17)의 돌출 선단위치와의 사이의 간격이 된다.
나아가, 제1 실시형태의 구성에 부가하여 도 7a∼ 도 7c에 나타낸 것과 같은 구성이나, 도 8a∼ 도 8d에 나타내어지는 구성을 구비해도 좋다.
나아가, 제1과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광통신용 모듈을 예로 설명했으나, 이 발명은 회로기판이 모듈 케이스 내에 수용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패키지 모듈이라면, 광통신용 모듈 이외의 모듈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면, 고주파 회로가 회로기판에 형성되어 케이스 내에 수용되어 있는 고주파 회로 모듈이나, 저 주파 전류나 직류 전류가 통전하는 회로가 형성되어 있는 회로 모듈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강도나 커넥터 접속에 대한 신뢰성이 높으며, 또한 제조 공정의 간략화로 인해 가격 저감이 용이한 것이여서, 예를 들어 범용부품으로서의 패키지 모듈 등에 적용하는 것은 매우 유효하다.

Claims (9)

  1.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고, 타단측 개구는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凸部)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의 지정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어댑터 케이스와 당접(當接)해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지점으로서 기능하는 회동 지점부가 설치되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선방(先方)을 향해서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되고, 상기 암의 선단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에 끼워진 외부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손톱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의 하향 선단위치와 접속구의 하단위치의 사이의 개구폭은 상기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위치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는 상기 모듈 케이스의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하여 위쪽으로 경사지게 기울리면서 지정위치까지 삽입하고, 나아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지점부(支点部)를 지점으로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회동시켜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하여 수평 상태로 했을 때에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되어지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를 대향시켜 상기 모듈 케이스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의 상하방향의 외형 높이 치수를 Ho로 하고,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상면(上面)과 저면의 각각의 케이스 벽의 두께를 t로 하고,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상면위치와 감합 수납부의 하향 선단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L1로 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의 돌출 선단위치와 상기 모듈 케이스의 저면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L2로 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측의 손톱부를 포함하는 암의 최하위치와 감합용 철부의 돌출 선단위치와의 사이의 높이 간격을 L3으로 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암의 높이 치수를 D로 하고,
    또 상기 모듈 케이스의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에 삽입시켜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를 대향시킨 상태에서, 그들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추어 상기 어댑터 케이스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된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 대한 상대적인 상기 모듈 케이스의 상측 이동량을 Δh로 했을 경우에,
    L3≥Ho-t-L1의 수식과,
    L2=L3+t+Δh의 수식과,
    Δh=Ho/2-D/2-t의 수식과의 모든 수식을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해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지점부를 지점으로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회동할 때에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감합용 철부의 돌출 선단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 단연부(端緣部)에 접촉하면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회동하게끔,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지점부와, 감합용 철부에서의 회동 지점부로부터 가장 떨어져 있는 부분과의 사이의 길이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서의 접속구의 하단의 선단위치와 감합 수납부의 상기 모듈 케이스측의 내단부(內端部)와의 거리에 따라 설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의 소자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설치된 소자에 광접속하는 광파이버가 배설되고, 상기 패키지 모듈은 광통신용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의 광파이버와 광접속하는 접속 상대의 광파이버를 구비한 광커넥터가 커넥터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
  5.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와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고, 타단측 개구는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凸部)가 설치되어,
    또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선방을 향해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되어, 상기 암의 선단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에 끼워진 외부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손톱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에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감합용 철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진행했을 때에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전진 이동을 정지시키는 삽입 정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암을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저벽을 따라가게 하면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상기 삽입 정지부에 의해 정지할 때까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을 전진 이동시켜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를 대향시킨 다음, 상기 모듈 케이스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 대하여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감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케이스의 내부에는 발광소자와 수광소자 중 어느 한 쪽의 소자가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설치된 소자에 광접속하는 광파이버가 배설되어, 상기 패키지 모듈은 광통신용 모듈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에는 상기 모듈 케이스 내의 광파이버와 광접속하는 접속 상대의 광파이버를 구비한 광커넥터가 커넥터 접속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패키지 모듈.
  7.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 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고, 타단측 개구는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뎁터 케이스의 접속구측의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 및 선방을 향해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으로 설치되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춘 상태에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
  8.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와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된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고, 타단측 개구는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의 지정위치까지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어댑터 케이스측과 당접해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지점으로서 기능하는 회동 지점부가 설치되어지며,
    나아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선방을 향해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되어, 상기 암의 선단부에는 어댑터 케이스 내로 끼워진 외부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손톱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의 하향 선단위치와 접속구의 하단위치와의 사이의 개구폭은 모듈 케이스측의 감합용 철부위치에 있어서의 상하방향의 높이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하여 윗쪽으로 경사지게 기울리면서 지정위치까지 삽입하고, 나아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회동 지점부를 지점으로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회동하여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저면에 대해 수평 상태로 하여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하고,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를 대향시켜 상기 모듈 케이스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추어 상기 어댑터 케이스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의 제조방법.
  9. 회로기판을 수용하는 모듈 케이스와,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되어 외부의 커넥터를 접속시키기 위한 어댑터를 가지는 패키지 모듈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측주면이 폐쇄의 원통형상을 한 어댑터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원통형상의 일단측 개구는 외부의 커넥터의 삽입구로 이루어지고, 타단측 개구는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기 위한 접속구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측 상벽에는 감합 수납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모듈 케이스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에 삽입되는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가지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끼워맞추는 감합용 철부가 설치되며,
    나아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에는 선방을 향해 돌출한 암이 일체 형성되며, 상기 암의 선단부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로 끼워진 외부의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한 손톱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는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 내로 삽입되어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감합용 철부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진행했을 때에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전진 이동을 정지시키는 삽입 정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모듈 케이스의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접속구로부터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내부로 삽입시켜,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의 암을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저벽을 따라가게 하면서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삽입 정지부에 의해 정지할 때까지 상기 어댑터 케이스 접속부를 전진 이동시켜 상기 모듈 케이스의 감합용 철부와 상기 어댑터 케이스의 감합 수납부의 감합 수납구와를 대향시킨 다음, 상기 모듈 케이스를 상기 어댑터 케이스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방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감합용 철부와 감합 수납부를 끼워맞추어 상기 어댑터 케이스를 상기 모듈 케이스에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키지 모듈의 제조방법.
KR1020047011954A 2003-04-18 2004-03-18 패키지 모듈 KR1006135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14531 2003-04-18
JPJP-P-2003-00114531 2003-04-18
PCT/JP2004/003666 WO2004095104A1 (ja) 2003-04-18 2004-03-18 パッケージモジュー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7433A KR20050007433A (ko) 2005-01-18
KR100613582B1 true KR100613582B1 (ko) 2006-08-17

Family

ID=33307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954A KR100613582B1 (ko) 2003-04-18 2004-03-18 패키지 모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021834B2 (ko)
EP (1) EP1617245A1 (ko)
JP (1) JP4063278B2 (ko)
KR (1) KR100613582B1 (ko)
CN (1) CN1697988A (ko)
TW (1) TWI243010B (ko)
WO (1) WO200409510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7094B2 (en) * 2009-10-01 2012-12-25 Acrolite, Inc. Fiber optic light source adapter
US8915653B2 (en) 2013-03-15 2014-12-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Optical connector housing assembly with dual insertion and extraction options
CN113540957B (zh) * 2021-09-16 2022-01-14 凯瑞电子(诸城)有限公司 一种金属封装外壳与绝缘端子的装配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75783A (en) * 1993-09-30 1995-12-12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ical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sleeve
US5561727A (en) * 1994-02-15 1996-10-0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Card-shaped optical data link device
JP3549231B2 (ja) * 1994-02-15 2004-08-04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ード型光データリンク
DE69723630T2 (de) * 1996-08-26 2004-04-15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Optoelektronisches Modul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JPH10111437A (ja) * 1996-10-04 1998-04-28 Sumitomo Electric Ind Ltd 光データリンク
JPH11119064A (ja) * 1997-10-17 1999-04-30 Fujitsu Ltd 光伝送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97988A (zh) 2005-11-16
US7021834B2 (en) 2006-04-04
EP1617245A1 (en) 2006-01-18
TW200425820A (en) 2004-11-16
JP4063278B2 (ja) 2008-03-19
WO2004095104A1 (ja) 2004-11-04
TWI243010B (en) 2005-11-01
US20050094948A1 (en) 2005-05-05
JPWO2004095104A1 (ja) 2006-07-13
KR20050007433A (ko) 2005-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243428Y (zh) 接纳电子模块的适配器框架和框架及附着到电路板的框架
US7258494B2 (en) Optical module for multi-wavelength
JP4090067B2 (ja) 光アダプター用シャッターとそれを用いた光コネクタ
KR100637636B1 (ko) 광 모듈을 수용하는 케이지와의 로킹 상태로부터 해제를용이하게 할 수 있는 광 모듈
JP3301791B2 (ja) 光コネクタ
EP1113300A1 (en) Receptacle module
EP0938002B1 (en) Optical connector
JP2015508214A (ja) 電気コネクタ
KR100613582B1 (ko) 패키지 모듈
US20050271335A1 (en) Optical assembly with a sleeve made of amorphous metal
CN112305685B (zh) 连接器组装体配置构造
CN112305686B (zh) 连接器组装体
KR100524167B1 (ko) 광코넥터
JP4268074B2 (ja) コネクタ
US4607184A (en) Brush holder with automatically released retainer
CN112103683A (zh) 插头连接器
US5926597A (en) Connector for optical fiber
CN109212676B (zh) 光纤连接器组件及其光纤插头组件和对应的适配器
CN110221389A (zh) 光纤插头及光纤连接组装体
JP2002353471A (ja) 光トランシーバ及び光トランシーバの製造方法
WO2000021141A1 (fr) Photo-interrupteur et boitier pour ce dernier
JP4289369B2 (ja) ロック機構
CN112305687B (zh) 连接器组装体
JP3779901B2 (ja) 光コネクタ用ハウジング及び光コネクタ
CN101257156B (zh) 卡片用连接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