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0164B1 -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키보드 악기 - Google Patents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키보드 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0164B1
KR100610164B1 KR1020040029432A KR20040029432A KR100610164B1 KR 100610164 B1 KR100610164 B1 KR 100610164B1 KR 1020040029432 A KR1020040029432 A KR 1020040029432A KR 20040029432 A KR20040029432 A KR 20040029432A KR 100610164 B1 KR100610164 B1 KR 100610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board
plate
cabinet
top plate
predetermine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3448A (ko
Inventor
오노마사하루
이치카와토모노리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9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3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0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0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02C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14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by screwing an intermediate part against the inside or outside of the wal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GREPRESENTATION OF MUSIC; RECORDING MUSIC IN NOTATION FORM; ACCESSORIES FOR MUSIC OR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UPPORTS
    • G10G7/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e.g. conductors' batons or separate holders for resin or st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전자 키보드 악기는 톤 발생장치(2)가 수용된 캐비넷(1)을 가지며, 캐비넷(1)은 보조물(KB)에 대해 기울어진 상면(6a)을 제공하고; 예로서, 연주자가 퍼스널 컴퓨터 장치의 도움에 의해 음악을 작곡하는 동안, 연주자는 기울어진 상면(6a)상에 컴퓨터 키보드(KB)를 놓아두고,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지 않고도 컴퓨터 키보드(KB)를 조작하므로, 연주자는 장시간 동안 작업을 계속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키보드 악기{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SLOPED TOP SURFA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보드 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전자 키보드 악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의 캐비넷내에 포함된 구동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그랜드 피아노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의 변형 구조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의 변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A, 1B, 1C, 1D, 21: 캐비넷
2, 2B, 2C, 30 : 톤 발생장치
3 : 저판 4 : 측판
5 : 정면판 6 : 상판
7 : 배면판 8 : 키 블록(key block)
9 : 키 슬립(key slip) 10, 10A, 10B, 10C, 40: 키보드
10a : 흰색 건반 10b : 검정색 건반
KB : 보조물
본 발명은 키보드 악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키보드 악기의 캐비넷에 관한 것이다.
하기 설명에 있어서, "정면", "배면", "종단방향" 및 "측방향"은 키보드 악기로 음악을 연주하는 연주자에 대해서 정의된다. "정면"이란 "배면"으로 수식되는 대응 위치 보다 연주자에게 가까운 위치를 수식한다. 정면위치와 대응 배면위치를 관통하는 방향을 "종단방향"이라고 수식한다. "측방향"이란 종단방향과 직각으로 교차하는 방향을 수식한다. 또한, 키보드 악기는 데스크의 수평 플로어 또는 수평 판(board) 상에 지지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어쿠스틱 피아노, 전기 피아노 및 전자 키보드가 키보드 악기로 분류된다. 키보드는 연주자에게 노출되어 있지만, 톤의 발생에 관여하는 컴포넌트부의 대부분은 캐비넷내에 수용되어 있다. 키보드는 톤 발생장치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어쿠스틱 피아노, 즉 그랜드 피아노 및 업라이트 피아노에 있어서는 액션유닛(action unit), 해머, 지음기(damper) 및 진동 현이 톤 발생장치로서 기능한다. 한편, 전자 키보드에 있어서는 톤 발생기, 파형 메모리 및 관련 데이터 프로세서가 전체로서 톤 발생장치를 구성한다.
캐비넷은 이들 컴포넌트부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크다. 어쿠스틱 피아노에 있어서 다수의 기계적 컴포넌트부가 톤 발생장치로 조립되므로, 어쿠스틱 피아노는 부피가 크다. 그랜드 피아노의 대표적인 예가 일본 특허 공개 평11-30576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일본 특허 공개 평11-305761호에 개시되어 있는 종래의 그랜드 피아노는 부피가 크고 무겁다. 그러나, 캐비넷은 크지 않다. 이는 음향판(sound board)이 피아노 캐비넷에 수평으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이다. 피아니스트가 키보드로 악절(music passage)을 핑거링하는 동안, 대부분의 피아니스트들은 피아노 캐비넷이 자신의 눈 아래에 있다는 것을 인지한다. 정면 및 배면 상판은 피아노 캐비넷의 상부를 형성한다. 정면 상판은 그 후단에서 배면 상판에 힌지되고, 차례로 측단에서 피아노 캐비넷에 힌지된다. 피아니스트가 자신의 연주를 위해 종래의 그랜드 피아노를 준비할 때, 정면 상판을 배면 상판으로 접고, 배면 상판을 리드 프롭(lid prop)에 의해 개방한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하여, 피아니스트는 연주하는 동안 진동하는 현으로부터 피아노 캐비넷의 외부로 톤이 발산되도록 한다. 그러나, 피아니스트는 연주후 정면 및 배면 상판을 측판으로 복귀시킨다. 정면 및 배면 상판을 측 판으로 복귀시킨 후, 피아니스트는 정면 상판이 측판 상에 평평하고 수평인 것을 인식한다.
표준 업라이트 피아노는 키보드 앞의 의자에 앉아 있는 피아니스트 보다 높다. 정면 및 배면 상판도 업라이트 피아노의 상부를 형성하며, 정면 상판을 배면 상판으로 접을 수 있다. 피아니스트가 정면 상판을 상부 정면판의 상부 가장자리로 복귀시킬 때, 또한 정면 상판이 평평하고 수평인 것을 인식하다.
한편, 전기/전자 컴포넌트부는 작아서 전자 키보드는 통상 소형이다. 전자 키보드의 대표적인 예가 일본 특허 공개 평5-241567호에 개시되어 있다. 측판은 캐비넷을 플로어 위에 수평으로 유지하고, 키보드는 양 팔 사이에 설치된다. 탑 패널(top panel)은 캐비넷의 상부를 형성하며, 키보드 앞의 의자에 앉아 있는 연주자의 눈 보다 아래에 있다. 데스크 판은 탑 패널의 선단부로부터 돌출되어, 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탑 패널의 상면의 대부분은 수평이지만, 정면영역은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고, 건반의 후방부를 시야에서 차단한다. 정면영역은 종이 보다 휠씬 좁다.
정면 상판의 수평면 및 탑 패널의 수평면은 교본 및 펜슬을 안정하게 유지하는데 편리하다. 그러나, 정면 상판 또는 탑 패널 상에서 행해지는 작업은 고려되지 않는다. 예컨대, 음악가가 종래의 전자 피아노로 음악을 작곡한다고 가정한다. 탑 패널상에 악보를 놓아두고, 키보드로 악절을 확인한 후 악보에 음표 및 쉼표를 기록한다. 다른 음악가는 상판/패널 상에 서브 키보드 또는 휴대용 컴퓨터 키보드를 놓아두어도 좋으며, 서브 키보드 또는 퍼스널 컴퓨터 장치의 도움에 의해 음악을 작곡하거나 연주한다. 탑 패널이 키보드 앞의 의자에 앉아 있는 음악가의 팔꿈치와 같은 높이이면, 음악가는 어떠한 문제도 없이 작곡 또는 연주를 행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판/탑 패널은 팔꿈치 보다 높다. 음악가는 팔을 상판/탑 패널 위로 올리고, 손을 악보 위에 내려서 악보에 음표 및 쉼표를 기록한다. 이러한 자세는 부자연스러우며, 단시간에 음악가를 피로하게 한다. 또한, 음악가는 수평면상에서 악보, 서브 키보드 및/또는 컴퓨터 키보드를 보기가 어렵다고 느낀다. 따라서, 종래의 키보드 악기 고유의 문제점은 캐비넷의 형상이 그 위에서 행해질 수 있는 작업에 부적당하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연주를 준비하는 연주자에게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키보드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넷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 상에 연주자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있는 소정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르면,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을 포함하는 캐비넷으로서, 연주를 준비하는 연주자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그 위에 보조물을 안정하게 유지하는 소정 영역을 갖는 캐비넷; 상기 캐비넷에 의해 지지되고 연주를 위해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보드; 및 상기 캐비넷내에 수용되고, 상기 키보드에 접속되어 톤을 생성하는 톤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종단방향 및 측방향을 갖는 키보드 악기를 제공한다.
(제1 실시형태)
도면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는 크게 캐비넷(1), 톤 발생장치(2) 및 키보드(10)를 포함한다. 키보드(10)는 캐비넷(1)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고,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어 톤의 음조가 생성되도록 지정한다. 톤 발생장치(2)는 캐비넷(1)내에 수용되고, 키보드(10)와 접속된다. 톤 발생장치(2)는 키보드(10)에 대한 핑거링에 응답하여 전기적으로 톤을 생성한다. 상세하게는, 톤 발생장치(2)는 연주자가 어떤 음조에서 톤을 생성하고자 하는지를 인지하기 위해 키보드(10)를 모니터링한다. 연주자가 키보드(10)를 통해 음조를 지정하면, 톤 발생장치(2)는 지정된 음조에서 톤을 표현하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그 음성신호를 톤으로 변환한다.
캐비넷(1)은 키보드(10)로 핑거링하는 연주자의 눈 보다 아래에 있는 상면(6a)을 가진다. 상면(6a)은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다. 기울어진 상면(6a)은 넓으므로, 연주자가 그 위에 서브 키보드/컴퓨터 키보드/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및 악보를 놓아둘 수 있다. 예컨대, 서브 키보드(KB)는 도 1 및 도 2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다. 기울어진 상면은 키보드(10)를 핑거링하는 연주자가 손목을 심하게 구부리지 않고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악보의 보표상에 음표를 기록할 수 있도록 최적화된다.
음악가가 전자 키보드 악기의 도움에 의해 음악을 작곡한다고 가정한다. 기울어진 상면(6a)상에 악보를 놓아둔다. 또한, 기울어진 상면(6a)상에, 작곡을 위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접속된 컴퓨터 키보드를 놓아두어도 좋 다. 음악가는 악절을 상상하여, 그것을 키보드(10)로 핑거링함으로써 악절의 톤을 생성한다. 음악가가 그것이 훌륭하다고 느끼면, 상면(6a)상의 악보에 음표 및 쉼표를 기록한다. 상면(6a)이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음악가는 자리에서 반쯤 일어나지 않고도 쉽게 보표를 보고,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키보드 악기를 식별한다.
이하, 캐비넷(1), 톤 발생장치(2) 및 키보드(10)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비넷(1)은 저판(3), 한쌍의 측판(4), 정면판(5), 상판(6), 배면판(7), 한쌍의 키 블록(8;key block) 및 키 슬립(9;key slip)을 포함한다. 측판(4)은 캐비넷(1)의 측부를 형성한다. 상판(6)은 그 자체로 캐비넷(1)만큼 넓으며, 캐비넷(1)의 상부를 형성한다. 정면판(5)은 저판(3)의 선단면으로부터 뒤로 설정되므로, 저판(3)은 테라스와 같이 전방으로 돌출한다. 배면판(7)은 캐비넷(1)의 배면부를 형성한다. 캐비넷(1)은 적당한 축받이 상에 장착되어도 좋으며, 측판(4)은 저판(3) 아래의 하방으로 연장되어 의자에 앉아 있는 연주자의 팔꿈치 근처에 키보드(10)를 유지시켜도 좋다.
저판(3)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상면을 가지며, 키보드(10) 보다 넓다. 측판(4)은 저판(3)의 양측에 대해 각각 수직이고, 서로 저판(3)과 키 블록(8)의 전체 폭과 거의 동일한 거리 만큼 간격을 두고 있다. 배면판(7)은 측판(4)의 후단면 간에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측판(4)에 안착된다.
측판(4)의 상면(4a)은 전방으로 기울어져 있고, 상판(6)은 두께가 일정하다. 상판(6)은 상면(4a) 상에 놓여 있고, 나사에 의해 측판(4), 배면판(7) 및 정면판(5)에 안착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상판(6)이 기울어져 있고, 상면(6a)이 θ로 기울어져 있다. 이 경우, 각 θ는 5°∼30°이다. 최적각 θ는 눈과 상면(6a)간의 높이 및 눈과 상면(6a)간의 거리의 차이에 의존한다.
상판(6)에는 한쌍의 직사각형 홀과 작은 홀이 형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라우드 스피커(2c)와 스위치(2b)는 각각 직사각형 홀과 작은 홀을 통해 캐비넷(1)의 외부로 노출된다.
측판(4)의 하부는 저판(3)과 길이가 동일하지만, 그 상부는 하부로부터 뒤로 설정되어, 사다리꼴과 같이 상면(4a)을 향해 점차적으로 감소된다. 정면판(5)은 측판(4)의 상부 사이로 연장되고, 측판(4)에 안착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저판(3)은 테라스와 같이 측판(4)의 하부 사이에 남아 있고, 저판(3)과 정면판(5) 사이에 슬롯이 개방되어 있다. 키보드(10)는 이 슬롯을 통해 전방으로 돌출되고, 키 블록(8)은 측판(4)과 키보드(10) 사이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키보드(10)는 캐비넷(1) 내부에 일부 숨겨지고, 캐비넷(1) 외부에 일부 노출된다. 키 슬립(9)은 저판(3)의 선단을 따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저판(3)에 안착된다. 키 슬립(9)은 흰색 건반(10a)과 검정색 건반(10b)이 연주자에 의해 스윙되도록 하고, 슬롯을 시야에서 차단한다.
키보드(10)는 흰색 건반(10a)과 검정색 건반(10b)을 포함하며, 흰색 및 검정색 건반(10a/10b)은 공지의 패턴으로 놓여져 있다. 톤 발생장치(2)는 전기/전자 회로(2a), 스위치(2b), 라우드 스피커(2c) 및 도전성 리드(2d)를 포함한다. 전기/전자 회로(2a)의 여러가지 예로는 키 스위치 어레이, 톤 발생기, 파형 메모리, 프로그램 메모리, 작업 메모리, 마이크로프로세서, 인터페이스, D/A 컨버터 및 증폭기 가 있다. 스위치(2b)는 인터페이스 및 도전성 리드(2d)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접속되고, 유저는 스위치(2b)를 통해 마이크로프로세서로 명령을 부여한다. 증폭기는 라우드 스피커(2c)에 접속되고, 아날로그 음성 신호가 라우드 스피커(2c)를 통해 톤으로 변환된다.
연주자가 키보드(10)로 음악을 핑거링하는 동안,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메인루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메인루틴 프로그램은 주기적 선택적으로 서브루틴 프로그램으로 분기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연주자가 흰색/검정색 건반(10a/10b)을 누르는 것을 인지한다고 가정한다. 관련된 건반 스위치는 눌려진 건반(10a/10b)에 의해 닫히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눌려진 건반(10a/10b)에 할당된, 생성되는 톤의 음조를 나타내는 건반 코드를 결정하고, 톤 발생기가 순차적으로 파형 메모리로부터 파형 데이터를 판독하도록 요청한다. 파형 데이터, 즉, 디지털 음성신호는 D/A 컨버터를 통해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변환되고, 이 아날로그 음성신호는 증폭기를 통해 라우드 스피커(2c)로 공급된다. 그리하여, 톤 발생장치(2)는 키보드(10)에 의한 핑거링에 응답하여 톤을 생성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울어진 상면은 음악가가 손목을 심하게 구부리지 않고도 쉽게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보표에 음표를 기록하도록 한다. 연주자는 연습하는 동안 기울어진 상면(6a)상에 음악 총보(music score)를 놓아두어도 좋다. 기울어진 상면(6a)은 음악 총보를 기울어지게 하고, 연주자는 음악 총보를 쉽게 읽을 수 있다고 느낀다. 그리하여, 기울어진 상면은 뮤직랙(music rack)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면의 도 3으로 돌아가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는 크게 캐비넷(1A), 톤 발생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키보드(10A)를 포함한다. 톤 발생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키보드(10A)는 제1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의 도면부호 2 및 10과 동일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캐비넷(1A)에 대한 설명에 초점을 맞춘다.
캐비넷(1A)은 정면판(5A)과 배면판(7A)을 제외하고는 캐비넷(1)과 유사하다. 또한, 상면(6a)도 θ로 기울어져 있다. 그외 컴포넌트 판(3,4,6,8,9)은 캐비넷(1)의 것과 동일하며, 간략화를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정면판(5A)과 배면판(7A)은 측판(4)사이의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측판(4)에 안착된다. 그러나, 정면판(5A)과 배면판(7A)은 상판(6)의 두께 만큼 정면판(5)과 배면판(7) 보다 짧다. 이런 이유 때문에, 캐비넷(1A)에 측판(4), 정면판(5A), 배면판(7A) 및 상판(6)이 조립될 경우, 상판(6)이 측판(4)의 상면 위로 돌출되지 않는다.
제1 실시형태의 이점은 제2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제3 실시형태)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를 나타낸다. 또한, 제3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는 캐비넷(1B), 톤 발생장치(2B) 및 키보드(10B)를 포함한다. 톤 발생장치(2B) 및 키보드(10B)는 제1 실시형태의 도면부 호 2 및 10과 유사하며, 간략화를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캐비넷(1B)은 캐비넷(1A)과 유사하다. 캐비넷(1A)과의 차이점은 정면판(5)과 상판(6B) 간의 접속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정면판(5)과 상판(6B) 간의 접속에 대해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판(6B)은 그 자체로 캐비넷(1A) 만큼 넓으며, 캐비넷(1A)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판(6B)은 토크 힌지(12)에 의해 정면판(5)에 접속된다. 토크 힌지(12)는 그 일단에서 정면판(5)의 내면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서 상판(6B)의 하면에 접속된다. 토크 힌지(12)는 그 주위의 상판(6B)의 회전에 대항하여 상당량의 저항력을 제공한다. 이 상당량의 저항력은 각 α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상판(6B) 및 상판(6B)상의 키보드를 안정하게 유지시키기에 충분히 크다. 그러나, 토크 힌지(12)는 유저에 의해 상판(6B)에 미치는 모멘트에 대항할 수 없다. 이런 이유 때문에, 유저는 각 α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각 α는 0°∼80°사이에서 변화된다. 유저가 상판(6B)상에 서브 키보드/컴퓨터 키보드/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악보를 놓아둘 경우, 각 α는 5°∼30°로 조정되어도 좋다. 그리하여, 캐비넷(1B)은 기울어진 상면(6b)을 가진다. 토크 힌지(12)는 상판(6B)을 수평으로, 상기 범위내의 임의의 각으로 또는 거의 수직으로 유지한다.
음악가가 키보드를 조작하거나 키보드(10B)와 함께 악보 상에 음표 및 쉼표를 기록하고자 할 경우, 상판(6B)상에 키보드 또는 악보를 놓아두고, 토크 힌지(12) 주위의 상판(6B)의 회전에 대해 상승(rise)을 부여한다. 음악가는 토크 힌지(12) 주위로 상판(6B) 및 키보드/악보를 회전시키고, 상판(6B)의 자세를 최적화한다. 음악가가 키보드 또는 악보의 최적 자세를 발견하면, 상판(6B)의 손을 놓 는다. 토크 힌지(12)는 상판(12B) 및 키보드/악보를 최적 자세로 유지한다. 상판(6B) 및 키보드/악보는 5°∼30°에서 최적 자세가 된다.
음악가가 키보드(10B)로 간단히 음악을 연습하고자 하면, 상판(6B)을 수평으로 유지하여도 좋다.
한편, 음악가가 음악 총보상의 음악을 연습하고자 할 경우, 상판(6B)을 최대각으로 회전시켜, 상판(6B)에 기대어 음악 총보를 지지한다. 그리하여, 토크 힌지(12)는 상판(6B)이 뮤직랙으로서 기능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기록용 데스크 또는 키보드랙(keyboard rack)으로서 기능하도록 한다.
제3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는 제1 실시형태의 모든 이점을 달성한다. 또한, 연주자는 토크 힌지(12)에 의해 각각의 값에서 각 α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4 실시형태)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를 나타낸다. 또한, 제4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는 크게 캐비넷(1C), 톤 발생장치(2C) 및 키보드(10C)를 포함한다. 톤 발생장치(2C) 및 키보드(10C)는 제1 실시형태의 도면부호 2 및 10과 유사하며, 간략화를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캐비넷(1C)은 캐비넷(1A)과 유사하다. 캐비넷(1A)과의 차이점은 상판(6C), 정면판(5)과 상판(6C)간의 접속 및 프롭기구(13)이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이들 차이점에 대한 설명에 초점을 맞춘다.
상판(6C)은 캐비넷(1C) 만큼 넓으며, 캐비넷(1C)의 상부를 형성한다. 상판(6C)은 정면 상판(6Ca)과 배면 상판(6Cb)으로 분리된다. 정면 상판(6Ca)은 수평으로 유지되며, 정면판(5)과 측판(4)에 안착된다. 그리하여, 정면 상판(6Ca)은 안정하다. 배면 상판(6Cb)은 토크 힌지(12)에 의해 정면 상판(6Ca)에 접속된다. 토크 힌지(12)는 그 일단에서 정면 상판(6Ca)의 후단면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서 배면 상판(6Cb)의 선단면에 접속된다. 토크 힌지(12)는 제3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므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한다.
배면 상판(6Cb)은 수평 위치로부터 최대각 위치로 회전 가능하고, 배면 상판(6Cb)을 임의의 각 위치에 유지시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롭기구(13)가 배면 상판(8Cb)의 안정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롭기구(13)는 이동가능한 프레임(13a)과 고정된 프레임(14)을 포함한다. 고정된 프레임(14)은 캐비넷(1C) 내부에 설치되고, 측판(5) 및 배면판(7)에 안착된다. 이동가능한 프레임(13a)은 고정된 프레임(14)에 힌지된다. 유저는 고정된 프레임(14)으로부터 이동가능한 프레임을 들어올리고, 배면 상판(6Cb)을 이동가능한 프레임(13a)에 기대어 지지한다. 경년 열화(aged deterioration)로 인해 토크 힌지(12)에 있어서 마찰이 감소되더라도, 프롭기구(13)는 배면 상판(6Cb)이 키보드/악보와 함께 아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유저가 배면 상판(6Cb)상에 서브 키보드/컴퓨터 키보드/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악보를 넣어두고자 할 경우, 각 α는 5°∼30°로 조정되어도 좋다. 그리하여, 캐비넷(1C)은 기울어진 상면(6c)을 가진다.
제4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는 제1 실시형태의 모든 이점을 달성한다. 또한, 연주자는 토크 힌지(12)에 의해 각각의 값에서 각 α를 최적화할 수 있다.
(제5 실시형태)
도면의 도 6으로 되돌아가면, 본 발명을 구성하는 또 다른 전자 키보드 악기는 크게 캐비넷(1D), 톤 발생장치(도시하지 않음) 및 키보드(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톤 발생장치 및 키보드는 제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다. 이런 이유 때문에, 톤 발생장치 및 키보드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며, 캐비넷(1D)에 대해서만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캐비넷(1D)은 상판(6D)용 구동기구(16)를 제외하고는 캐비넷(1A)과 유사하다. 상판(6D)은 캐비넷(1D) 만큼 넓으며, 캐비넷(1D)의 상부를 형성한다. 구동기구(16)는 축(16a), 전기모터(17) 및 한쌍의 기어(18)를 포함한다. 축(16a)은 측판(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캐비넷(1D)의 내부 공간 위의 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판(6D)의 선단부로부터 한쌍의 러그(6d; lug)가 돌출되어, 축(16a)에 안착된다. 전기모터(17)는 측판(4)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출력 축은 축(16a)과 평행하게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기어(18)는 축(16a) 및 전기모터(17)의 출력축에 각각 고정되고, 서로 맞물려진다. 도 6에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스위치(2b) 중 하나는 전기모터에 할당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기모터(17)용 구동회로에 명령을 부여한다.
유저는 상판(6D)을 수평 위치로부터 최적 위치로 들어올린다고 가정한다. 유저는 스위치(2b)를 통해 전기모터(17)를 활성화하도록 명령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 는 구동회로가 전기모터(17)를 활성화하도록 요청한다. 그후, 전기모터(17)는 도 6에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축력축을 구동하여, 기어(18)를 통해 출력축으로부터 축(16a)으로 토크가 전달된다. 그후, 축(16a)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어, 상판(6D)이 올라간다. 상판(6D)이 최적의 판 자세에 도달할 경우, 유저는 마이크로프로세서가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지시한다. 그후, 마이크로프로세서는 구동회로가 전기모터(17)로부터 대부분의 전력을 제거하도록 요청하고, 모터(17)는 출력축을 회전시키지 않으며, 따라서 상판(6D)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전기모터(17)는 상판(6D)을 최적의 판 자세에 유지하도록 기어(18)에 대해 작은 토크를 연속적으로 발휘한다.
유저가 배면 상판(6D)상에 서브 키보드/컴퓨터 키보드/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악보를 놓아두고자 할 경우, 그 각은 5°∼30°로 조정되어도 좋다. 그리하여, 캐비넷(1D)은 기울어진 상면(6d)을 가진다.
제5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전자 키보드 악기는 제1 실시형태의 모든 이점을 달성한다. 또한, 구동기구(16)는 유저가 상판(6D)을 최적 판 자세로 변경하도록 도와주므로, 유저는 판 자세를 쉽게 최적화한다.
(제6 실시형태)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그랜드 피아노를 나타낸다. 제6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그랜드 피아노는 크게 피아노 캐비넷(21), 톤 발생장치(30) 및 키보드(40)를 포함한다. 캐비넷(21)은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톤 발생장치(30)는 캐비넷(21)내에 수용되어 있다. 키보드(40)는 캐비넷(21)내에 일부 수용되고, 의자에 앉아 있는 연 주자에게 일부 노출된다. 연주자는 검정색 건반(41)과 흰색 건반(42)을 포함하는 키보드(40)로 음악을 핑거링하고, 키보드(40)는 톤 발생장치(30)의 작동에 상승을 부여한다. 그후, 톤 발생장치(30)는 톤을 생성한다. 그리하여, 톤 발생장치는 키보드(40)에 의한 핑거링에 응답하여 톤을 생성한다.
이 경우, 톤 발생장치(30)는 액션 유닛(31), 해머(32) 및 현(33)을 포함한다. 검정색 및 흰색 건반(41/42)은 액션 유닛(31)에 각각 연결된다. 눌려진 건반(41/42)은 관련된 액션 유닛(31)의 작동에 상승을 부여하고, 해머(32)는 관련된 액션 유닛(31)을 통한 회전에 대해 독립적으로 구동된다. 현(33)은 해머(32) 위로 신장되어 있고, 회전의 단부에서 해머(32)에 의해 타현된다. 액션 유닛(31)과 해머(32)는 표준 그랜드 피아노의 것과 유사하므로, 간략화를 위해 그 설명을 이하에 생략한다.
피아노 캐비넷(21)은 정면 상판(22), 측판(23), 상부 빔(24;upper beam), 건반 베드(25) 및 다리부(26;leg)를 포함한다. 측판(23)은 날개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고, 피아노 캐비넷(21)의 측부 및 배면부를 형성한다. 키보드(40)는 건반 베드(25)상에 장착되고, 건반 베드(25)는 내부 공간의 저부를 형성한다. 상부 빔(24)은 피아노 캐비넷(21)의 정면부를 형성하며, 정면 상판(22)은 배면 상판(22c)과 함께 피아노 캐비넷(21)의 상부를 형성한다. 배면 상판(22c)은 측판(23)에 힌지되고, 톤 발생장치(30)가 주변으로 개방되도록 한다. 다리부(26)는 플로어(FL)상에 지지되고, 플로어(FL) 위에 키보드(40)와 톤 발생장치(30)를 유지시킨다.
정면 상판(22)은 피아노 캐비넷(21) 만큼 넓으며, 이동가능한 판(22a)과 고정된 판(22b)으로 분리된다. 고정된 판(22b)은 상부 빔(24)과 측판(23)에 안착되고, 토크 힌지(12)는 그 일단에서 고정된 판(22b)에 접속되고, 그 타단에서 이동가능한 판(22a)에 접속된다. 토크 힌지(12)는 제3 및 제4 실시형태에서 사용된 것과 동일하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런 이유 때문에, 토크 힌지(12)는 이동가능한 판(22a)을 임의의 각 α로 유지한다. 각 α는 0°∼80°이다. 유저가 이동가능한 판(22a)상에 서브 키보드/컴퓨터 키보드/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악보를 놓아둘 경우, 이동가능한 판(22a)은 5°∼30°에서 최적화된다. 그리하여, 피아노 캐비넷(21)은 기울어진 상면(22d)을 가진다. 한편, 이동가능한 판(22a)상에 음악 총보를 지지할 경우, 각 α는 더욱 증가된다. 그리하여, 이동가능한 판(22a)은 앞서 설명한 실시형태들의 모든 이점을 달성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캐비넷(1, 1A, 1B, 1C, 1D 및 22)은 기울어진 상면(6a, 6b, 6c, 6d 및 22d)을 가지며, 이 기울어진 상면(6a, 6b, 6c, 6d 및 22d)은 연주자로 하여금 부자연스러운 자세를 취하도록 하지 않고도 기울어진 상면상에, 예컨대 서브 키보드, 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또는 컴퓨터 키보드 등의 보조장비, 예컨대 악보 또는 기록용 패드 등의 종이 또는 인쇄물을 놓아두도록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키보드 악기는 종래의 키보드 악기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형태에 대해 나타내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게 당업자에 의해 각종 변형 및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전자 키보드 악기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판(6)의 후단으로부터 상향 후방으로 돌출되는 뮤직랙(50)을 더 포함하여 음악 총보가 뮤직랙(50)에 기대어 지지되어도 좋다. 또한, 제2∼제6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다른 키보드 악기에 대해서도 뮤직랙이 설치되어도 좋다. 뮤직랙은 통상 그 위에 펼쳐지는 인쇄물 보다 넓으며, 캐비넷 보다 좁다. 또한, 뮤직랙은 캐비넷의 상면으로 형성되는 상부에 추가된다.
다리부는 저판(3)으로부터 아래로 돌출되고, 캐비넷(1)을 플로어 위에 유지시킨다.
토크 힌지(12)는 도 4 및 도 5에 있어서 시계방향의 회전에 대항하는 큰 저항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무시할 수 있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일방향 클러치로 치환되어도 좋다.
토크 힌지(12)는 도 7에 나타낸 실시형태에 있어서 표준 힌지로 치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이동가능한 판(22a)에 프롭기구(13)가 설치되어도 좋다.
전자 키보드 악기 및 그랜드 피아노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형 업라이트 피아노용 피아노 캐비넷은 기울어진 상면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예컨대 뮤트 피아노 및 자동연주 피아노 등의 다른 종류의 키보드 악기에도 적용 가능하다. 뮤트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와 전자 키보드의 절충안이며, 해머와 현의 배열 사이에 해머 스톱퍼가 설치된다.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동안, 해머 스톱퍼는 해머 궤도 밖에 위치되고, 해머에 의해 현을 선택적으로 타현함으로써 어쿠스틱 톤을 생성한다. 한편, 연주자가 어쿠스틱 톤 없이 음악을 연습하고자 할 경우, 해머 스톱퍼를 해머의 궤도로 이동시킨다. 해머가 액션 유닛으로부터 벗어나더라도, 해머가 현을 타현하기 전에 해머 스톱퍼상에서 되튕겨져서, 어쿠스틱 톤이 생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전자톤 발생장치는 건반 작동을 모니터링하여 어쿠스틱 톤에 상당하는 전자톤을 생성한다. 연주자가 헤드폰을 통해 전자톤을 들으면, 연주자는 주위가 분산되지 않고 핑거링을 연습할 수 있다. 자동연주 피아노는 어쿠스틱 피아노에 기초하여 제조되며, 건반 액추에이터가 설치된다. 건반 액추에이터는 선택적으로 활성화되어 인간 연주자의 어떠한 핑거링 없이도 검정색 및 흰색 건반을 누른다. 그리하여, 자동연주 피아노는 음악 데이터 코드에 기초하여 연주를 재생한다.
캐비넷(1, 1A, 1B, 1C, 1D 및 21) 만큼 넓은 기울어진 상면(6a, 6b, 6c, 6d 및 22d)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울어진 상면 영역 상에 보조장비 또는 종이가 어떠한 중량 또는 클립퍼(clipper) 없이도 안정하다면, 기울어진 상면은 본 발명에 따른 캐비넷의 상부를 형성하여도 좋다. 기울어진 상면 영역이 상판의 상면의 중앙영역에 형성되어도 좋으며, 수평 중앙영역으로부터 제공되어도 좋다.
5°∼30°의 각 θ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보조장비/종이와 기울어진 영역간의 마찰이 증가된 경우, 각 θ는 30°이상이어도 좋다. 고무판을 사용하여 마찰을 증가시켜도 좋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컨대 목재, 금속, 합금 및 합성섬유 등의 공지의 물질로 이루어진 상판에 대해서는 각 범위 5°∼30°가 안정하다.
보조장비의 예로는 서브 키보드, 컴퓨터 키보드, 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가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장비의 다른 예로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02-58494호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용 리듬머신, 전자 메트로놈, 텐 키 유닛(ten key unit), 전자 튜터 및 소형 전자 악기가 있다. 즉, 기울어진 상면 영역은 수십 ㎠∼수천 ㎠이어도 좋다.
클레임 언어는 다음과 같이 제1∼제6 실시형태를 실시하는 키보드 악기의 컴포넌트부와 상호 관련된다. 기울어진 상면(6a, 6b 및 6d)은 그 자체로 "상면"으로서 기능하고, 기울어진 상면(6c/22d)과 정면판(6Ca/22b)의 상면은 전체로서 "상면"을 구성한다. 기울어진 상면(6a, 6b, 6c, 6d 및 22d)은 "소정 영역"에 대응한다. "서브 키보드, 컴퓨터 키보드, 노트북 크기의 퍼스널 컴퓨터, 악보 및 교본은 "보조물"로서 기능한다. 물론, 다른 보조물로서 휴대용 리듬머신, 전자 메트로놈, 텐 키 유닛, 전자 튜터, 소형 전자 악기 및 기록용 패드가 있다. 기어(18)는 전체로서 "전달기구"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연주를 준비하는 연주자에게 작업영역을 제공하는 키보드 악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0)

  1. 상부를 형성하는 상면(6b; 6c; 6d; 22d)을 포함하는 캐비넷(1; 1A; 1B; 1C; 1D; 21);
    상기 캐비넷(1; 1A; 1B; 1C; 1D; 21)에 의해 지지되고, 연주를 위해 연주자에 의해 조작되는 키보드(10; 10A; 10B; 10C; 40); 및
    상기 캐비넷(1; 1A; 1B; 1C; 1D; 21)내에 수용되고, 상기 키보드(10; 10A; 10B; 10C; 40)에 접속되어 톤을 생성하는 톤 발생장치(2; 2B; 2C; 30)를 포함하는 종단방향 및 측방향을 갖는 키보드 악기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 1A; 1B; 1C; 1D; 21)은, 상기 연주를 준비하는 상기 연주자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있고, 보조물(KB)을 유지하는 소정 영역(6a; 6b; 6c; 6d; 22d)을 가지고, 상기 보조물(KB)은 상기 캐비넷(1; 1A; 1B; 1C; 1D; 21)과 물리적으로 독립되어 있고 상기 소정 영역(6a; 6b; 6c; 6d; 22d)의 각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로 상기 연주자를 향해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소정 영역(6a; 6b; 6c; 6d; 22d)은 상기 상면(6b; 6c; 6d; 22d)의 전부 또는 일부로 한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6a; 6b; 6d)이 상기 상면 만큼 넓도록 상기 상면이 상기 연주자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1B;21)은 상기 보조물에 대해 상기 연주자를 향해 아래로 기울어져 있는 상기 상면(6a; 6b; 6d)을 제공하는 상판(6; 6B; 6D)을 가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은 상기 소정 영역(6c; 22d) 및 상기 소정 영역(6c; 22d) 앞에 위치하며 상기 키보드 악기가 지지되는 플로어(FL)와 평행하게 연장되는 다른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은 상기 소정 영역(6c; 22d) 및 상기 다른 영역을 갖는 상판(6C; 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6C; 22)은 상기 다른 영역을 갖는 정면판(6Ca; 22b) 및 상기 소정 영역(6c; 22d)을 갖는 배면판(6Cb; 22a)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6a; 6b; 6c; 6d; 22d)의 연장부는 상기 키보드 악기가 지지되는 플로어(FL)와 5°∼30°의 소정 각(θ)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영역(6b; 6c; 6d; 22d)의 연장부는 상기 키보드 악기가 지지되는 플로어(FL)와 가변적인 소정 각(α)으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C;21)은 상기 플로어(FL)와 거의 평행하게 고정된 정면판(6Ca; 22b) 및 상기 정면판(6Ca; 22b)의 후단부에 이동가능하게 접속되어 상기 보조물(KB)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6c; 22d)을 제공하는 배면판(6Cb; 22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판(6Ca; 22b)은 힌지(12)에 의해 상기 배면판(6Cb; 22a)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12)는 상기 배면판(6Cb; 22a)이 상기 보조물(KB)을 임의의 각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배면판(6Cb; 22a)의 회전에 대항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판(6Cb)상에 상기 보조물(KB)을 임의의 각 위치에서 안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배면판(6Cb)에 대해 프롭기구(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1D)은 상기 보조물(KB)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6d)을 제공하는 상판(6D)을 포함하며, 상기 상판(6D)은 상기 소정 영역(6d)과 상기 키보드 악기가 지지되는 플로어(FL)사이의 각을 변화시키기 위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6D)에 구동기구(16)가 설치되고, 상기 상판(6D)은 상기 구동기구(16)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16)는,
    상기 캐비넷(1D)에 대해 고정된 전기모터(17), 및
    상기 전기모터(17)의 출력축과 상기 배면판(6D)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출력축으로부터 상기 배면판(6D)으로 토크를 전달하는 전달기구(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톤 발생장치(2; 2B; 2C)는 전기적으로 상기 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톤 발생장치(30)는 어쿠스틱 톤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톤 발생장치(30)는,
    상기 키보드(40)의 건반과 각각 연결된 액션 유닛(31),
    상기 액션 유닛(31)에 의한 회전에 대해 각각 구동되는 해머(32), 및
    상기 회전의 단부에서 상기 해머(32)에 의해 각각 타현되는 현(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액션 유닛(31), 상기 해머(32) 및 상기 현(33)은 표준 그랜드 피아노의 액션 유닛, 해머 및 현과 유사하게 배치되고; 상기 캐비넷(21)은 상기 캐비넷의 측 부 및 배면부를 형성하는 측판(23); 및 상기 보조물(KB)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22d)을 제공하며, 상기 측판(23)에 스윙 가능하게 접속된 배면 상판(22c)과 함께 상기 상부를 형성하는 정면 상판(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 상판(22)은 상기 측판(23)에 대해 고정된 정면판(22b); 및 상기 보조물(KB)에 대해 상기 소정 영역(22d)을 제공하며, 상기 소정 영역(22d)과 상기 키보드 악기가 지지되는 플로어(FL) 사이의 각(α)을 변화시키기 위해 회전가능한 배면판(22a)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악기.
KR1020040029432A 2003-04-28 2004-04-28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키보드 악기 KR1006101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23409A JP4059132B2 (ja) 2003-04-28 2003-04-28 鍵盤楽器の屋根板取付構造
JPJP-P-2003-00123409 2003-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3448A KR20040093448A (ko) 2004-11-05
KR100610164B1 true KR100610164B1 (ko) 2006-08-09

Family

ID=3298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9432A KR100610164B1 (ko) 2003-04-28 2004-04-28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키보드 악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88884B2 (ko)
EP (1) EP1473703A2 (ko)
JP (1) JP4059132B2 (ko)
KR (1) KR100610164B1 (ko)
CN (1) CN1542727B (ko)
TW (1) TWI2708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132B2 (ja) 2003-04-28 2008-03-12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屋根板取付構造
JP4487267B2 (ja) * 2005-12-27 2010-06-2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
US7479591B2 (en) * 2006-08-30 2009-01-20 Wheeler Ray L Mobile music entertainment systems
US7825312B2 (en) 2008-02-27 2010-11-02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20090282962A1 (en) * 2008-05-13 2009-11-19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Piano With Key Movement Detection System
US8148620B2 (en) * 2009-04-24 2012-04-03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and use thereof in pianos playable in acoustic and silent modes
US8541673B2 (en) 2009-04-24 2013-09-24 Steinway Musical Instruments, Inc. Hammer stoppers for pianos having acoustic and silent modes
JP2012145730A (ja) * 2011-01-12 2012-08-02 Roland Corp 譜面台装置
KR20170023275A (ko) 2015-08-19 2017-03-03 상도전기공업 주식회사 격막이 구비된 온수 가열장치
JP6311905B1 (ja) 2017-06-01 2018-04-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楽器
JP6323700B1 (ja) * 2017-06-01 2018-05-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鍵盤楽器
CN108766405A (zh) * 2018-06-07 2018-11-06 肖丹 一种可辅助钢琴演奏的电子乐谱
CN108648731A (zh) * 2018-06-30 2018-10-12 浙江欧莱克琴业有限公司 一种电子钢琴用支撑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3960A (ja) 1999-09-10 2001-03-30 Yamaha Corp グランドピアノ
JP2002258833A (ja) 2001-02-28 2002-09-1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譜面台組立品
JP2004325993A (ja) 2003-04-28 2004-11-18 Yamaha Corp 鍵盤楽器の屋根板取付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84487Y1 (ko) * 1968-07-31 1973-02-05
JPS484487U (ko) 1971-06-15 1973-01-19
US4656913A (en) * 1985-01-31 1987-04-14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with keyboard and cover
JPS63162398U (ko) * 1987-04-10 1988-10-24
JPH0267393A (ja) 1988-08-31 1990-03-07 Ricoh Co Ltd 液晶素子
JPH0267393U (ko) * 1988-11-07 1990-05-22
JP2765102B2 (ja) 1989-10-03 1998-06-11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バーゼンス測定装置
JPH0741033Y2 (ja) * 1990-03-20 1995-09-20 ヤマハ株式会社 譜面板付鍵盤蓋
JP2570940B2 (ja) 1992-03-02 1997-01-16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譜面台取付構造
TW311216B (ko) * 1995-09-28 1997-07-21 Kawai Musical Instr Mfg Co
JP3663720B2 (ja) * 1996-02-20 2005-06-22 ヤマハ株式会社 蓋体の開閉装置
USD400910S (en) 1997-03-05 1998-11-10 Yamaha Corporation Electronic keyboard musical instrument
JPH11305761A (ja) 1998-04-23 1999-11-05 Yamaha Corp 鍵盤楽器
US6288313B1 (en) * 1999-09-10 2001-09-11 Yamaha Corporatio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having split rear top board and/or visual display unit
JP4079013B2 (ja) * 2003-03-04 2008-04-23 ヤマハ株式会社 鍵盤楽器の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3960A (ja) 1999-09-10 2001-03-30 Yamaha Corp グランドピアノ
JP2002258833A (ja) 2001-02-28 2002-09-11 Kawai Musical Instr Mfg Co Ltd ピアノの譜面台組立品
JP2004325993A (ja) 2003-04-28 2004-11-18 Yamaha Corp 鍵盤楽器の屋根板取付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88884B2 (en) 2009-02-10
EP1473703A2 (en) 2004-11-03
TWI270849B (en) 2007-01-11
KR20040093448A (ko) 2004-11-05
CN1542727A (zh) 2004-11-03
JP2004325993A (ja) 2004-11-18
JP4059132B2 (ja) 2008-03-12
TW200525498A (en) 2005-08-01
US20040250671A1 (en) 2004-12-16
CN1542727B (zh) 2010-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0164B1 (ko) 기울어진 상면을 갖는 키보드 악기
US7332669B2 (en) Acoustic piano with MIDI sensor and selective muting of groups of keys
US20060254406A1 (en) Compact keyboard apparatus with accurate detection of key pressing speed
WO2004015684A1 (en) Roll-up electronic piano
JP3341438B2 (ja) 鍵盤楽器
TWI233088B (en) Keyboard musical instrument with laterally adjustable built-in music rack and music rack used therein
JP5251085B2 (ja) 電子鍵盤楽器のペダル装置
JPH07210150A (ja) 鍵盤楽器
EP1424682B1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KR20040075739A (ko) 자동 상부 보드 스페이서를 구비한 건반 악기
US8664497B2 (en) Double keyboard piano system
JP3772440B2 (ja) 鍵盤装置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4326384B2 (ja) 電子鍵盤楽器の鍵盤装置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JP3873034B2 (ja) アクション
JP4158035B2 (ja) 電子楽器
JPH06118943A (ja) 鍵盤楽器
JP2004246382A (ja) 鍵盤装置
JPH11282471A (ja) 鍵盤楽器
JPH0331979Y2 (ko)
JPS6044665B2 (ja) ピアノ用演奏トレ−ニング装置
KR940002130B1 (ko) 전자건반악기
KR200187327Y1 (ko)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JP2003091274A (ja) 電子楽器の鍵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