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327Y1 -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 Google Patents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327Y1
KR200187327Y1 KR2020000002624U KR20000002624U KR200187327Y1 KR 200187327 Y1 KR200187327 Y1 KR 200187327Y1 KR 2020000002624 U KR2020000002624 U KR 2020000002624U KR 20000002624 U KR20000002624 U KR 20000002624U KR 200187327 Y1 KR200187327 Y1 KR 2001873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ano
composite
string
plate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6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현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경수
권현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경수, 권현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경수
Priority to KR20200000026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73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3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3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CPIANOS, HARPSICHORDS, SPINETS OR SIMILAR 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TH ONE OR MORE KEYBOARDS
    • G10C3/00Details or accessories
    • G10C3/16Ac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2Constructional details
    • G10H1/34Switch arrangements, e.g. keyboards or mechanical 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44Structural association with individual keys
    • G10H1/346Keys with an arrangement for simulating the feeling of a piano key, e.g. using counterweights, springs, ca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21Keyboards, i.e. configuration of several keys or key-like input devices relative to one anothe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461Transducers, i.e. details, positioning or use of assemblies to detect and convert mechanical vibrations or mechanical strains into an electrical signal, e.g. audio, trigger or control signal

Abstract

본 고안은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에 관한 것으로서, 업 라이트형 또는 그랜드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1)의 저면에 음계버튼(20)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설치되고,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음계버튼의 누름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부(40)를 통해 스피커(50)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30)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60)가 설치되며, 업 라이트 피아노에 적용되어 있는 방음페달(P)의 링크(L)에 연결 설치되어 현(9)과 해머(8)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역할을 하는 텃치보드(70)가 상하작동 또는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일반적인 피아노에 디지털 방식의 연주가 가능한 음계버튼이 구비된 스위칭수단을 건반 저면에 설치하면서, 업 라이트 피아노의 경우 방음페달을 이용하거나, 그랜드형 피아노인 경우 레버의 동작으로 텃치보드를 제어하여 연주에 따른 해머의 가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방식의 전자음과 더불어 일반 피아노의 음을 이중 화음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로 구분하여 각각 사용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디지털 피아노에서 단점으로 남는 텃치감을 보상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Piano having single and multi play mode}
본 고안은 디지털 피아노를 업 라이트 또는 그랜드형 피아노에 적용한 것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디지털방식의 전자음과 더불어 일반 피아노의 음을 이중 화음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피아노에서 단점인 텃치감을 일반적인 피아노에서만 느낄 수 있는 텃치감을 갖도록 하면서 일반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로 구분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아노는 업 라이트형 피아노, 그랜드형 피아노 크게는 2가지로 분류되며, 각종 음량의 세기, 굵기, 리듬, 화음 등을 복합적으로 구사할 수 있는 디지털방식의 피아노가 있다.
상기 업 라이트형 피아노는 첨부된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건반(1)을 누르면 캡스톤 버튼(2:Capston batton)이 상승되면서 위펜(3:Wippen)을 상부로 밀어서 축(4)을 중심으로 위펜(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해머(8)의 쿠션부(10)가 축(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현(9:String)을 치도록 되어 있으며 순간적으로 잭(5)은 바트(6)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해머(8)가 현(9)을 치기 직전에 현(9)을 누르고 있던 댐퍼(11:Damper)는 댐퍼레버(19:Damper Lever)의 하단부가 댐퍼스푼(13:Damper Spoon)에 밀려 축(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현(9)이 격리된다. 이때 현(9)을 치고난 해머(8)는 잭(5)이 바트(6)에서 미끄러지는 반동 및 쿠션부의 반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튕겨나게 되며, 이때 해머샹크(15:Hammer Shank)는 헤머레일(16:Hammer Rail)의 휄트(17:Felt)에 접하게 된다.
또한, 위펜(3)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상태가 되면 댐퍼스푼(13)도 원래의 위치(수직상태)로 복원되고, 이때의 댐퍼(11)는 스프링(18)에 의해 다시 현(9)을 눌러 다음 현을 치는 소리와 혼합되지 않게 음을 차단시켜 준다.
또한, 상기 현(9)과 해머(8)의 사이에는 현을 치는 해머(8)가 직접 현(9)을 치지 못하도록 소리를 미세하게 저감시켜 주는 약음대(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약음대(7-1)는 일측에 음을 흡수하기 위한 천(7a)이 피아노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프레임(7b)에 부착 설치된 것으로, 여기서 약음대의 프레임의 일측은 피아노 본체 내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프레임의 타단은 피아노 하단에 설치된 3개의 페달 중 중앙에 위치하는 약음페달(도면에서 생략함)을 눌러 고정시켜 주면, 페달에 연결 설치된 링크의 동작에 의해 상기 약음대는 도시된 일점쇄선과 같이 동작되어 직접적인 해머(8)의 타격을 흡수시켜 소리를 저감시켜 줄 수 있는 구조로 상기 약음대는 일반적인 피아노에 모두 적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일련의 동작으로 건반을 칠 때마다 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현을 순간적으로 치고 난 뒤 현의 여음을 차단하는 효과 외에 건반이 초기상태로 복귀되는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구조물의 동작, 제어에 의해 건반을 누르는 연주자는 손가락 끝을 통한 미세한 텃치감으로 피아노의 연주감각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피아노에서 가장 중요한 점이 텃치감에 있다고 할 정도로 피아노의 생명은 바로 텃치감에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텃치감은 그 내부 구조물의 설계변경이 다를 뿐 업 라이트형 피아노와 그랜드형 피아노에서 건반을 칠 때 느끼는 텃치감은 상호 대등하다.
그러나, 학습용이나 현대음악용으로 사용, 시판되고 있는 디지털 파아노는 상기 통상적이 피아노와는 달리 내부에서 각각의 현을 칠 수 있는 구조물이 필요치 않고 바로 각 음계에 맞추어진 음계버튼을 직접 건반의 저면부위가 접촉 단락되도록 하여 소리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로 각 내부에는 스피커, 증폭기, 여러 소리로 변환시켜 주는 변환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디지털 피아노는 현을 치는 구조물의 생략으로 피아노의 부피 및 무게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지만, 일반적인 업 라이트형 피아노 및 그랜드형 피아노와 같이 건반을 칠 때의 텃치감을 느낄 수 없는 단점이 있어 피아노 연주의 유경험자는 디지털 피아노의 사용을 기피하는 실정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대우전자주식회사에서 1993년 11. 24자에 실용신안등록출원(고안의 명칭: 그래드 피아노형 디지털 피아노)하여 1997년 3. 15자에 공고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24800호, 공고번호 제 97-1639호는 디지털 피아노의 건반에 구조물을 장치하여 구조물의 동작에 의한 텃치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는 그랜드 형태를 갖는 디지털 피아노에 새롭게 창출한 구조물을 설치하여 텃치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단지 디지털 피아노의 특성에 구조물 장치를 부가한 기술고안으로 오로지 디지털 피아노를 한 단계 발전시킨 구성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디지털방식의 피아노 구조를 일반적인 업 라이트형 피아노 또는 그랜드형 피아노에 접목시켜 디지털방식의 전자음과 더불어 일반 피아노의 음을 이중 화음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디지털 피아노에서 단점인 텃치감을 일반적인 피아노에서만 느낄 수 있는 텃치감을 갖도록 하면서 일반 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로 구분하여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하면, 업 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의 저면에 음계버튼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설치되고,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음계버튼의 누름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가 설치되며, 업 라이트 피아노에 적용되어 있는 방음페달의 링크에 연결 설치되어 현과 해머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역할을 하는 텃치보드가 상하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그랜드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의 저면에 음계버튼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설치되고,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음계버튼의 누름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부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가 설치되며, 현과 해머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역할을 하는 텃치보드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업 라이트형 피아노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인 디지털형 피아노 건반이 적용된 업 라이트형 피아노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텃치보드가 방음 페달에 연결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텃치보드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텃치보드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피아노 건반이 적용된 그랜드형 피아노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그랜드형 피아노에 텃치보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건반 8: 해머
9: 현 20: 음계버튼
30: 제어부 40: 증폭부
50: 스피커 60: 제어패널부
70: 텃치보드 71: 프레임
72: 방음현 73: 가죽판
74: 고무판 75: 금속박판
P: 방음페달 L: 링크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인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인 디지털형 피아노 건반이 적용된 업 라이트형 피아노의 내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텃치보드가 방음 페달에 연결 설치되어 동작되는 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텃치보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텃치보드의 구조를 보이기 위한 도 5의 A-A선 단면도이다.
업 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1)의 저면에 음계버튼(20)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건반(1)이 배열되는 길이방향으로 설치되고, 음계버튼(20)의 누름 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부(40)를 통해 스피커(50)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30)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60)가 설치된다. 여기서 제어패널부(60)는 건반(1)이 설치되는 업 라이트 피아노의 길이방향 양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업 라이트 피아노에 적용되어 있는 방음페달(P)의 링크(L)에 연결 설치되어 현(9)과 해머(9)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역할을 하는 텃치보드(70)가 상하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텃치보드(70)는 직사각형태의 프레임(71)으로, 실제 현(9)위치에 대하여 해머(8)가 가각 위치될 수 있도록 저음, 중음 및 고음으로 구획되되, 프레임(71)의 길이방향 전면에는 방음현(72)이 설치되고, 이 방음현(72)의 후면에는 해머(8)의 타격에 의한 1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가죽판(73)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방음현(72)의 양단은 상기 프레임(71)의 상하측에 관통 설치되며, 그 일단은 접착제에 의해 부착 설치된다. 여기서 방음현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상태로 해머가 동작되어 가격될 때에 있어 탄력성을 보상할 정도로 고정 설치되면 된다.
그리고, 상기 가죽판(73)의 후면에는 가죽판(73)으로부터 흡수된 진동을 2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고무판(74)이 설치되고, 고무판(74)의 후면에는 고무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금속박판(75)이 부착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텃치보드(70)는 프레임(771)을 포함하여 그 두께는 12mm이내의 정도를 갖도록 하며, 상기와 같은 다수의 흡음재질과는 달리 독립적으로 프레임(71)에 소정두께를 갖고 자체적인 탄력성 및 흡음성을 갖는 콜크판 또는 압축 스펀지판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방음현(72)은 피아노 본체 내에 설치된 현의 실제 굵기와 일치되는 굵기로 배열 설치되되, 각 방음현(72)의 일단은 프레임(71)을 관통하여 별도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한편,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디지털 피아노 건반이 적용된 그랜드형 피아노의 내부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다.
그랜드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1)의 저면에 음계버튼(20)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설치되고,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음계버튼(20)의 누름 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부(40)를 통해 스피커(50)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30)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60)가 설치되며, 현(9)과 해머(8)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역할을 하는 텃치보드(70)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텃치보드의 구성은 상술한 업 라이트 피아노에 적용되는 텃치보드의 구조와 동일하여 그 단면적인 구성의 도시는 도면에서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도 7에서 그랜드형 피아노에 텃치보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텃치보드(70)는 그랜드 피아노에 설치된 현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되, 일측에는 피아노 본체의 일측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손잡이(70-1)가 설치되고, 타단은 피아노 본체 내에 마련되는 가이드(G)에 안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업 라이트형 피아노 및 그랜드형 피아노의 건반에 상호 연결 설치되어 현(9)을 타격하기 위한 해머(8), 해머샹크(15) 등의 구조물에 대한 동작되는 구성은 종래의 기술을 토대로 작용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업 라이트형 피아노인 경우 해당하는 건반을 누르면, 건반의 일측에 설치된 캡스톤 버튼(2)이 상승되면서 위펜(3)을 상부로 밀어서 축(4)을 중심으로 위펜(3)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함으로서 해머(8)의 쿠션부(10)가 축(7)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현(9)을 치도록 되어 있으며 순간적으로 잭(5)은 바트(6)에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또한, 해머(8)가 현(9)을 치기 직전에 현(9)을 누르고 있던 댐퍼(11)는 댐퍼레버(19)의 하단부가 댐퍼스푼(13)에 밀려 축(1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현(9)이 격리된다. 이때 현(9)을 치고난 해머(8)는 잭(5)이 바트(6)에서 미끄러지는 반동 및 쿠션부(10)의 반동에 의해 순간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튕겨 나게되며, 이때 해머샹크(15)는 헤머레일(16)의 휄트(17)에 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건반 측에 설치된 각 구조물의 일련동작에 의해 업 라이트 피아노를 연주할 수 있고, 제어패널부(60)로부터 디지털 피아노의 전원버튼을 눌러 온 시키면, 건반(1)은 각 저면에 위치된 수위칭수단인 음계버튼(20)을 눌러 첨부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받아 증폭기(40)를 통해 스피커(50)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는 상기 해머(8)가 통상적인 업 라이트 피아노를 동시에 연주하여 디지털 음색과 일반 업라이트 피아노의 연주음을 화음으로 연주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는 디지털 피아노 방식을 채택할 때 제어패널부(60)를 통해 각 음의 종류, 세기 및 굵기를 조정하여 업라이트 피아노의 연주 음과 믹싱시켜 연주 음을 색다르면서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피아노만을 연주하고자 할 경우에는 피아노의 하부에 마련된 페달 중 방음페달(P)을 눌러 고정시켜 주면, 방음페달(P)의 동작에 의해 상호 연결 설치된 링크(L)의 동작으로 첨부된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텃치보드(70)를 하강시켜 준다.
텃치보드(70)의 하강은 곧 현(9)을 치기 위해 동작되는 해머(8)의 타격을 흡수하기 위해 본 고안에 적용한 흡음장치로서, 해당하는 해머(8)의 가격(加擊)은 텃치보드의 프레임 전면에 배열 설치된 해당하는 방음현(72)을 가격하게 되고, 이때의 피아노의 현(9)은 텃치보드(70)의 차단으로 전혀 음을 발생시킬 수 없게 한다.
여기서 해머(8)의 가격에 의해 방음현(72)에 전달받는 충격은 방음현의 후면에 밀착 설치된 가죽판(73)에 일차적으로 전달되어 진동을 흡수하고, 이차적으로 가죽판 후면에 부착 설치된 고무판(74)에서 완전 흡수하여 해머의 충격에 의한 간섭되는 소리를 차단시켜 준다.
즉, 상기 텃치보드(70)는 피아노에 있어 가징 미니 스켈리톤(Skeleton)역할을 하며, 현과 햄머(8)사이에 설치되어 해머의 텃치감을 그대로 일반피아노의 연주와 같은 텃치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방음현(72)은 업 라이트 피아노 자체 내에 배열 설치된 현(9)의 굵기와 일치되는 굵기로 설치되어 있어, 해머(8)가 가격하는 정도, 가격 후 반동에 의한 원상태 복귀될 때 건반에 전달되는 텃치감은 업 라이트 피아노를 연주하는 텃치감과 동일함을 느낄 수 있어 텃치감이 떨어지는 기존의 독립적인 디지털 피아노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더불어 그랜드형 피아노에 있어, 그랜드 피아노만을 연주할 때에는 제어패널부(60)측의 전원버튼을 오프 시킨 상태에서 건반을 눌러 연주하고, 디지털 피아노 음과 그랜드 피아노 음을 혼합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제어패널부측의 전원버튼을 온 시킨 상태에서 연주하면 된다.
한편, 그랜드 피아노에 있어, 디지털 음만을 발생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첨부된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피아노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손잡이(70-1)를 연주자 방향측으로 당겨 손잡이(70-1)측에 설치된 텃치보드(70)를 수평 이동시켜 현(9)을 차단시켜 해머(8)의 가격을 상기 업 라이트 피아노측의 텃치보드와 같이 흡수하여 현으로부터의 음발생을 방지시켜 결국 건반의 누름은 저면에 설치된 스위칭수단의 음계번튼을 눌러 스피커를 통해 디지털 음만으로 연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텃치보드(70)는 손잡이(70-1)의 전후 조정에 의해 텃치보드는 가이드(G)를 따라 수평 이동되는 것으로, 해머(8)를 간섭시키거나 해제할 수 있어 사용상에 있어 편리하게 다룰 수 있다.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디지털 피아노형식으로 연주할 때에도 건반과 연결 설치된 구조물의 일련의 동작, 제어에 의해 건반에 전달되는 텃치감은 그랜드형 피아노를 칠 때와 동일하게 느낄 수 있어, 상기한 업 라이트 피아노, 그랜드형 피아노는 독립적으로 또는 디지털 방식이 적용된 복합적으로 연주가 가능하고, 디지털 음만으로 연주가 가능하여 한 대의 피아노에 대하여 복합적인 연주기술을 가질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점은 피아노를 처음 배우는 초보자부터 각양 각색의 음을 독창적으로 현대음악을 추구하는 전문 연주자 및 클래식 등의 고전연주자에 맞출 수 있어 활용도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일반적인 피아노에 디지털 방식의 연주가 가능한 음계버튼이 구비된 스위칭수단을 건반 저면에 설치하면서, 업 라이트 피아노의 경우 방음페달을 이용하거나, 그랜드형 피아노인 경우 레버의 동작으로 텃치보드를 제어하여 연주에 따른 해머의 가격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디지털방식의 전자음과 더불어 일반 피아노의 음을 이중 화음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서는 일반피아노, 디지털 피아노로 구분하여 각각 사용이 가능토록 하였으며, 디지털 피아노에서 단점으로 남는 텃치감을 보상하여 제품에 대한 신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업 라이트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1)의 저면에 음계버튼(20)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설치되고,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음계버튼의 누름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부(40)를 통해 스피커(50)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30)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60)가 설치되며, 업 라이트 피아노에 적용되어 있는 방음페달(P)의 링크(L)에 연결 설치되어 현(9)과 해머(8)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역할을 하는 텃치보드(70)가 상하작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2. 제 1항에 있어서, 제어패널부(60)는 건반이 설치되는 업 라이트 피아노의 길이방향 양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3. 제 1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프레임(71)의 길이방향 전면에 배열 설치되어 현과 접촉되기 위한 방음현(72)과, 방음현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어 1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가죽판(73)과, 가죽판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2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판(74)과, 고무판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고무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금속박판(7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12mm이내의 두께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5. 제 3항에 있어서, 방음현(72)은 피아노 본체 내에 설치된 현(9)의 굵기와 일치되는 굵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6. 제 1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프레임(71)에 소정두께를 갖고 자체적인 탄력성 및 흡음성을 갖는 탄력 콜크판 또는 압축 스펀지판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7. 그랜드형 피아노에 있어서,
    각 건반(1)의 저면에 음계버튼(20)이 배열 설치된 스위칭수단이 설치되고, 스위칭수단으로부터 음계버튼의 누름동작시 전기적인 신호를 받아 제어부(30)로부터 저장된 데이터 신호를 증폭부(40)를 통해 스피커(50)로 출력시키는 출력수단이 전기적으로 연결 설치되며, 제어부(30)로부터 데이터 신호, 음량, 화음, 전원 등을 조정하기 위한 버튼이 구비된 제어패널부(60)가 설치되며, 현과 해머사이의 공간을 차단하여 방음 및 스켈리톤 역할을 하는 텃치보드(70)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8. 제 7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프레임(71)의 길이방향 전면에 배열 설치되어 현과 접촉되기 위한 방음현(72)과, 방음현의 후면에 밀착 설치되어 1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가죽판(73)과, 가죽판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2차적으로 진동을 흡수하는 고무판(74)과, 고무판의 후면에 부착 설치되어 고무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금속박판(7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9. 제 7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그랜드 피아노에 설치된 현에 대응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되, 일측에는 피아노 본체의 일측에서 수평 이동가능하게 손잡이(70-1)가 설치되고, 타단은 피아노 본체 내에 마련되는 가이드(G)에 안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10.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12mm이내의 두께를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11. 제 8항에 있어서, 방음현(72)은 피아노 본체 내에 설치된 현의 굵기와 일치되는 굵기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12. 제 7항에 있어서, 텃치보드(70)는 프레임(71)에 소정두께를 갖고 자체적인 탄력성 및 흡음성을 갖는 탄력 콜크판 또는 압축 스펀지판으로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KR2020000002624U 2000-01-31 2000-01-31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KR2001873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24U KR200187327Y1 (ko) 2000-01-31 2000-01-31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624U KR200187327Y1 (ko) 2000-01-31 2000-01-31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327Y1 true KR200187327Y1 (ko) 2000-07-01

Family

ID=19639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624U KR200187327Y1 (ko) 2000-01-31 2000-01-31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732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477A (en) Percussive action silent electronic keyboard
JP3341438B2 (ja) 鍵盤楽器
JP3430638B2 (ja) 鍵盤楽器
JP3900706B2 (ja) 鍵盤装置
JPH07210150A (ja) 鍵盤楽器
EP1424682B1 (en) Keyboard instrument having pedal mechanism
US5986202A (en) Electronic keyboard instrument
JP3861906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2570704Y2 (ja) 鍵盤楽器
JP3533777B2 (ja) ピアノ用ハンマーおよびその成形方法
KR200187327Y1 (ko) 복합 및 독립적인 연주기능을 갖는 피아노
KR100236305B1 (ko) 전자 직립형 피아노 및 그 제조 방법
JP3823999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および鍵盤楽器
JP3448948B2 (ja) 鍵盤楽器およびその消音装置
CN101114445A (zh) 一种键盘类乐器乐音控制系统
JPS6232308Y2 (ko)
JP3693047B2 (ja) 鍵盤楽器の消音装置
JPH0753108Y2 (ja) 電子ピアノ兼用生ピアノ
JPH06118943A (ja) 鍵盤楽器
JP4572092B2 (ja) 音色変更装置、及び、音色変更装置を備えたピアノ
JPH07271351A (ja) 鍵盤楽器
JPH07152365A (ja) 鍵盤楽器
JP3413931B2 (ja) 竪型鍵盤楽器
JPH11282471A (ja) 鍵盤楽器
JPH041959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