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973B1 -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973B1
KR100609973B1 KR1020040093956A KR20040093956A KR100609973B1 KR 100609973 B1 KR100609973 B1 KR 100609973B1 KR 1020040093956 A KR1020040093956 A KR 1020040093956A KR 20040093956 A KR20040093956 A KR 20040093956A KR 100609973 B1 KR100609973 B1 KR 1006099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input
carrier
adjacent
digi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3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3551A (ko
Inventor
맹혜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3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973B1/ko
Publication of KR20060053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3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digital televi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4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in that additional data relating to the broadcast data are available via a different channel than the broadcast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오류채널로 판별되는 입력채널을,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채널맵에서 제공하는 인접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수행하여 해당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하여 그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상의 실수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채널값을 채널정보로 입력한 경우, 그러한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채널, 보정, 튜닝, DTV, 스캐닝, 시프트, 방향, 탐색

Description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Method for correcting channel tuning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방송수신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3과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튜닝보정을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LNB부 111 : 튜너부
112 : QPSK복조부 113 : A/D변환부
114 : 비터비디코더 115 : 디인터리버
116 : 리드솔로몬복조부 117 : 디스크램블러
121 : 디멀티플렉서 122 : 오디오디코더
123 : 비디오디코더 130 : 마이크로컴퓨터
140 : 채널맵메모리
본 발명은, 사용자가 조작상의 실수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채널값을 채널정보로 입력한 경우, 그러한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키 조작에 의해 소정의 채널이 선택되어 튜닝되면(S100), 해당 채널의 중심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이 발생되고(S101), 이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시프트시키면서(S102)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서치하며(S102),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락킹(locking)시키는(S104)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당 채널의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기준으로 설정주파수간격만큼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시프트한다. 예컨대, "0"의 위치를 기준으로 +1, -1, +2, -2,..와 같이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시프트시켜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속한 채널주파수대역을 검출하며, 채널주파수대역이 검출되면 이를 락킹시켜 튜닝이 이루어진다.
한편, 디지털방송이 시작되면서, 사용가능한 채널의 숫자는, 메이저 채널이 있고, 각 메이저채널에는 하위채널인 마이너채널이 있는 것으로서 메이저 채널과 마이너 채널을 모두 포함할 경우에 상당히 많은 수가 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채널 업/다운 키를 사용하여 튜닝할 채널을 선택하는 것보다 직접 숫자키를 이용해서 튜닝할 메이저 채널 및 마이너 채널을 입력하는 경우가 많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상기 직접 숫자 키를 이용해서 채널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실수로 채널 정보를 잘못 입력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예컨대, 1회만 입력해야 하는 숫자를 2회 이상 입력함으로써 해당 숫자가 연달아서 입력되는 경우라든지, 채널번호를 잘못 기억하고 있어서, 방송신호가 존재하지 않는 채널을 누르는 경우라든지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 정보를 잘못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는 다시 숫자 키를 눌러서 직접 채널정보의 입력을 보정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번거로움이나 불편함을 초래하게 되며, 전술한 것과 같은 복잡한 채널튜닝을 다시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채널튜닝시에 많은 시간이 걸리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사용자가 조작상의 실수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채널값을 채널정보로 입력한 경우, 그러한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류채널로 판별되는 입력채널을,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채널맵에서 제공하는 인접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수행하여 해당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하여 그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상의 실수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채널값을 채널정보로 입력한 경우, 그러한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하고자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된 디지털방송수신기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닝방법을 설명하는데, 상기 도 2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시스템 일부가 도시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튜닝방법은, 우선적으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의 채널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채널이 사용자가 선택한 정상채널인지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과 관련이 없는 오류채널인지에 대해 판별하며, 바람직한 양태는 입력 채널의 캐리어서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설정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명령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소정의 채널정보에 따라, 튜너부(111)가 마이크로컴퓨터(130)의 제어하에 입력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Phase Locked Loop) 값을 발생하고 지그-재그 스캐닝(zig-zag scanning)으로 LNB(LOW NOISE BLOCK DOWN CONVERTER)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캐리어의 서치를 수행하여, 튜너부(111)가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서치한 경우엔 마이크로컴퓨터는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이 정상채널인 것으로 판별하고 정해진 다음 번째 시퀀스를 수행하며, 이와 달리 튜너부가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서치하지 못한 경우엔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을 오류채널인 것으로 판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보정동작을 개시한다.
다음, 채널보정동작이 개시되면,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정해진 소정의 채널보정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즉,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는 경우엔, 초과된 자리(digit)수를 삭제 보정하고,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상기 삭제 보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해당 인접채널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엔 자리수에 대한 보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입력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해당 인접채널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마이크로컴퓨터(130)는 채널보정동작이 개시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비교한다. 그런 후, 상기 비교 결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는 경우엔, 초과된 자리(digit)수를 삭제 보정하고,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상기 삭제 보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정보를 채널맵메모리(140)에서 순차적으로 불러내어 튜너부의 스캐닝방향을 조정하면서 인접채널 각각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엔 자리수에 대한 보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입력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정보를 채널맵메모리(140)에서 불러내어 튜너부(111)의 스캐닝방향을 조정하면서 인접채널 각각의 캐리어서치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
그 결과, 소정의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에,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locking)하여 해당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 고, 이와 달리 소정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모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엔, 사용자가 설정하기 바로 직전의 채널로 복귀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론, 튜너부(111)가 마이크로컴퓨터(130)의 제어하에 인접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을 발생하고 기준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 캐리어를 탐색한 다음,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엔 캐리어 락킹(locking)을 수행하여 인접 채널을 사용자가 설정한 정상채널로 설정 튜닝한다. 상기 캐리어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엔 다음 번째로 인접하는 채널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튜닝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래서, 다수의 인접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인접 채널이 튜닝되면, 발진 주파수가 479.5MHZ인 2nd 발진기에 의해 캐리어 복구(carrier recovery)와 클럭복구(clock recovery) 등을 수행한다. 즉, 직교위상편이방식(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QPSK)이 적용되는 QPSK복조부(112)는 입력된 채널의 I/Q(IN/QUADRATURE)신호를 복조하며, A/D변환부(113)는 입력되는 I/Q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비터비디코더(viterbi decoder)(114)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I/Q신호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디인터리버(deinterlever)(115)는 버스트(burst)혹은 바이트(byte)오류 발생 시 오류량을 최소화하도록 인터리빙의 변환을 환원하고, 리드 솔로몬(Read-Solomon)복조부(116)는 리드 솔로몬 디코딩을 수행한 다음, 16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송/수신 중 발생한 오류를 8비트까지 수정하며, 이를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17)에서 입력받아 패킷 단위로 전송될 때 송신부에서 데이트 비트 중에서 한 개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비트에만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스크램블에 의한 불규칙 에너지 확산을 복구하여 패킷 단위로 디멀티플렉서로 전송하고, 마지막으로, 상기 패킷단위의 데이터스트림은 디멀티플렉서(121)에서 디멀티플렉싱되어 오디오 디코더(122)와 비디오 디코더(123)에서 각기 디코딩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는데, 이러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처리과정은 일반적인 공지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와 달리, 채널맵에서 제공한 소정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결과 캐리어서치가 모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엔,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입력하기 바로 직전의 채널정보를 이용해서 이전의 튜닝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류채널로 판별되는 입력채널을,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채널맵에서 제공하는 인접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수행하여 해당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하여 그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채널보정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채널이 오류채널로 판별되면,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채널맵에서 제공하는 인접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이 때, 입력채널의 마지막 자리수의 디지트(digit)를 변경하여 인접채널로 시프트(shift)시키게 되며 변경은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키 배열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채널의 마지막 자리수에 해당하는 디지트가 5인 경우에, 5와 인접하는 리모트 콘트롤러의 숫자키는 6, 8, 2임으로, 정해진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디지트를 변경하여 채널시프트를 시키게 되며, 결과적으로는, CH.16번의 MBC채널을 보기를 원했으나, 잘못된 키 입력으로 인해 방송신호가 실려있지 않은 CH.15를 누른 경우, 본 발명에 따라, 마지막 디지트(5)를 인접하는 디지트(6)로 보정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의 변경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예는 인접채널을 오른손잡이가 키를 누를 경우로 설정한 것이며, 더불어 순서 및 그 보정개수 또한 임의로 설정한 것으로서, 이에 대한 설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얼마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어떠한 이유로 키를 계속해서 누름으로써, 채널설정을 위한 자리수가 초과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도 4는 이러한 채널설정오류를 보정하기 위한 양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우선,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는 경우엔, 초과된 자리(digit)수를 삭제 보정하고,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상기 삭제 보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해당 인접채널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인 2자리수를 초과하는 경우엔, 2자리수를 초과하는 나머지 자리(digit)수를 삭제하고,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인 2->3->1에 따라, 상기 삭제 보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채널인 12번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인 13번과 11번으로 채널시프트시키면서 해당 인접채널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하면서, 채널보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채널튜닝 보정방법은, 우선적으로, 사용자 설정에 따라 소정의 채널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채널이 사용자가 선택한 정상채널인지 또는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과 관련이 없는 오류채널인지에 대해 판별하며(S500), 바람직한 양태는 입력 채널의 캐리어서치 여부에 따라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리모트 콘트롤러와 같은 소정의 명령입력부를 통해 사용자설정 채널정보가 입력되면, 입력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Phase Locked Loop) 값을 발생하고 지그-재그 스캐닝(zig-zag scanning)으로 입력채널의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여, 단계(S500)에 따라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서치되면 사용자가 설정한 채널이 정상채널인 것으로 판별하고 정해진 다음번째 시퀀스를 수행하며, 반면에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서치되지 않은 경우엔 사용자설정 채널을 오류채널로 판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보정동작을 개시한다.
다음, 단계(S500)에 따라 입력채널이 오류채널임이 판별되어, 채널보정동작이 개시되면, 본 발명은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비교하고, 비교 결과에 따라 정해진 소정의 채널보정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즉, 단계(S501)의 비교 결과,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는 경우엔, 초과된 자리(digit)수를 삭제 보정하고(S502),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상기 삭제 보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해당 인접채널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엔 자리수에 대한 보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입력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해당 인접채널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채널보정동작이 개시되면, 사용자 설정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비교한다(S501). 그런 후, 단계(S501)의 비교 결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는 경우엔, 초과된 자리(digit)수를 삭제 보정하고(S502),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상기 삭제 보정으로 인해 생성되는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정보를 채널맵메모리에서 순차적으로 불러내어 튜너부의 스캐닝방향을 조정하면서 인접채널 각각의 캐리어서치를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엔 자리수에 대한 보정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고, 입력 채널과 인접하는 다른 채널정보를 채널맵메모리에서 불러내어 튜너부의 스캐닝방향을 조정하면서 인접채널 각각의 캐리어서치를 순차적으로 수행한다(S506~S508, S510~S512).
그 결과, 소정의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엔(S509),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locking)하여 해당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고, 이와 달리 소정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모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엔, 사용자가 설정하기 바로 직전의 채널로 복귀하도록 한다(S511).
구체적으로는, 인접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을 발생하고 기준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 캐리어를 탐색한 다음,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엔 캐리어 락킹(locking)을 수행하여 인접 채널을 사용자가 설정한 정상채널로 설정 튜닝하고 이와 달리 캐리어 탐색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엔 다음번째로 인접하는 채널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순서에 따라 튜닝동작을 반복 수행한다.
그래서, 다수의 인접 채널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인접 채널이 튜닝되면, 튜닝된 채널이 사용자가 원하는 정상채널로 인식하여 해당 채널정보를 채널맵에 확정 등록하고, 상기와 달리, 채널맵에서 제공한 소정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를 순차적으로 수행한 결과 캐리어서치가 모두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엔, 사용자가 채널 정보를 입력하기 바로 직전의 채널정보를 이용해서 이전의 튜닝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류채널로 판별되는 입력채널을,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채널맵에서 제공하는 인접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수행하여 해당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하여 그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은, 오류채널로 판별되는 입력채널을,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채널맵에서 제공하는 인접채널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수행하여 해당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진 경우,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하여 그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조작상의 실수로 인하여 유효하지 않은 채널값을 채널정보로 입력한 경우, 그러한 키 입력 오류로 인해서 발생하는 채널정보를 사용자가 원하는 채널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채널 입력에 따라 입력된 채널이 오류채널인지의 여부를 판별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의 판별결과 입력채널이 오류채널인 경우, 미리 설정된 튜닝 보정 순서에 따라, 인접채널로 시프트시켜 캐리어의 서치를 수행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에서 인접채널에서 캐리어의 서치가 이루어진 경우, 서치된 캐리어를 락킹하여 해당 인접채널을 사용자가 입력한 채널로 설정 튜닝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채널 입력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캐리어 유무를 판별하여, 입력된 채널이 오류채널인지에 대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은;
    채널 입력에 따라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 수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 수를 비교하여, 입력된 채널이 오류채널인지에 대해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과 제2과정 사이에;
    상기 비교결과, 상기 입력된 채널의 자리(digit)수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 자리(digit)수를 초과하는 경우, 초과된 자리(digit)수를 삭제 보정하고, 상기 삭제보정하여 생성된 채널을 상기 제2과정의 입력채널로 설정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과정의 캐리어서치 수행결과, 소정 인접채널에 대한 캐리어서치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입력 이전 채널로 복귀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순서는;
    조작반의 숫자키 배열을 기준으로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KR1020040093956A 2004-11-17 2004-11-17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KR100609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956A KR100609973B1 (ko) 2004-11-17 2004-11-17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3956A KR100609973B1 (ko) 2004-11-17 2004-11-17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551A KR20060053551A (ko) 2006-05-22
KR100609973B1 true KR100609973B1 (ko) 2006-08-08

Family

ID=37150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3956A KR100609973B1 (ko) 2004-11-17 2004-11-17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9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3551A (ko) 200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3097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7322039B2 (en) Digital and analog broadcasting receiver
JP3733093B2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20060061694A1 (en) Channel scanning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a plurality of tuners
EP2239940A1 (en) A system for acquiring and processing video data and program guides transmitted in different coding format
KR19980018225A (ko) 가변 엔코딩 포맷과 다수의 전송 채널을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WO2000049799A1 (fr) Selecteur de canal pour la reception de television numerique, appareil recepteur et procede de selection de canal
US6430236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609973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AU768711B2 (en) Receiver for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US20050066374A1 (en) Receiving apparatus and television set equipped with the same
KR100252995B1 (ko) 디지탈/위성방송 수신용 공유장치
JP2000332578A (ja) デジタル放送用受信機
US20090092205A1 (en) Table data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KR20050076969A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JP405883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受信制御方法
JP379865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4354593B2 (ja) デジタル地上波放送用受信機
JP2004120144A (ja) 受信装置
JP3579925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KR100195746B1 (ko) 비터비 복호기의 동기 장치
KR101372927B1 (ko) 디지털 방송수신기 및 그 채널 선국 방법
KR19990056473A (ko) 위성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JP2004120475A (ja) 選局装置及び選局方法
JP2005167699A (ja) 受信装置及び閾値変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