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6969A -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6969A
KR20050076969A KR1020040004825A KR20040004825A KR20050076969A KR 20050076969 A KR20050076969 A KR 20050076969A KR 1020040004825 A KR1020040004825 A KR 1020040004825A KR 20040004825 A KR20040004825 A KR 20040004825A KR 20050076969 A KR20050076969 A KR 2005007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tuning
channel
reference direction
tur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4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형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04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6969A/ko
Publication of KR2005007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6969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 E05C17/4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device carried on the wing for frictional or like engagement with a fixed flat surface, e.g. for holding wings open or closed by retractable feet of the retractable sliding feet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46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in which the wing or a member fixed thereon is engaged by a movable fastening member in a fixed position; in which a movable fastening member mounted on the wing engages a stationary membe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24Arms
    • E05Y2201/626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Abstract

캐리어 주파수의 시프트 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일정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전원이 온(ON)될 때의 초기 튜닝시에 그 시프트 방향을 저장해 그 다음의 튜닝시부터는 그 저장된 시프트 방향 정보를 이용해 캐리어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탐색 시간을 줄여 채널튜닝속도를 향상시킨다. 이를 위해, 디지털방송수신기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해당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기 직전의 저장된 채널정보를 이용해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고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캐리어를 탐색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가 탐색된 스캐닝 시프트방향을 소정의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로 설정해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 후에 발생되는 소정의 채널튜닝시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상기 제2과정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만, 탐색하여 튜닝하는 제3과정을 통해,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Description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Method for tuning in digital television receiver}
본 발명은 좌/우측 양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캐리어서치시간을 제거하여 튜닝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키 조작에 의해 소정의 채널이 선택되어 튜닝되면(S100), 해당 채널의 중심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이 발생되어(S101) 이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시프트시키면서(S102)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서치하여(S102)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경우 락킹(locking)시키는(S104) 방법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대해 도 2를 참조해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해당 채널의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기준으로 설정주파수간격(△x)만큼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예컨대, "0"의 위치를 기준으로 +1, -1, +2, -2,..와 같이 좌/우측 방향으로 번갈아 가며 시프트시켜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속한 채널주파수대역이 검출되면 이를 락킹시켜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위성중계기들의 캐리어 주파수의 서치가 이루어지는 시프트 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예컨대,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일정하기 때문에, 좌/우측 양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를 서치하게 되는 경우에는 불필요하게 캐리어서치시간이 낭비되어 튜닝속도를 저하시키게 되는데, 특히 채널변경에 따른 시간지연이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디지털방송의 경우에는 큰 문제점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좌/우측 양 방향으로 시프트시키면서 캐리어서치를 하게 됨으로써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캐리어서치시간을 제거하여 튜닝속도를 향상시키도록 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캐리어 주파수의 시프트 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일정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전원이 온(ON)될 때의 초기 튜닝시에 그 시프트 방향을 저장해 그 다음의 튜닝시부터는 그 저장된 시프트 방향 정보를 이용해 캐리어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탐색 시간을 줄여 채널튜닝속도를 향상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디지털방송수신기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해당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기 직전의 저장된 채널정보를 이용해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고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캐리어를 탐색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가 탐색된 스캐닝 시프트방향을 소정의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로 설정해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 후에 발생되는 소정의 채널튜닝시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상기 제2과정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만, 탐색하여 튜닝하는 제3과정을 통해,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가능한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제2과정 후에 소정의 채널튜닝이 선택된 경우,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제2과정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독출하는 제3-1과정;
상기 제3-1과정에서 발생한 기준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제3-1과정에서 독출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 캐리어를 탐색하는 제3-2과정;
상기 제3-2과정에서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 락킹(locking)을 수행하여 소정의 채널을 튜닝하는 제3-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튜닝방법이 적용된 디지털방송수신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도 1에 도시된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일부 구성도에서, 본 발명의 튜닝방법은, 먼저 튜너부(111)가 디지털방송수신기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마이크로 컴퓨터(130)의 제어하에 해당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기 직전의 플레쉬메모리(140)에 저장된 채널정보를 이용해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을 발생하고 지그-재그 스캐닝(zig-zag scanning)을 이용해 LNB부(100)를 통해 수신되는 캐리어를 탐색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컴퓨터(130)는 튜너부(111)가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탐색한 경우, 캐리어가 탐색된 스캐닝 시프트방향을 소정의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로 설정해 별도의 메모리에, 특히, 셋/리셋이 가능한 룩업테이블(LUT)(150)에 저장하여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가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초기에 셋(set)/리셋(reset)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이어지는 사용자 명령에 따른 소정의 채널튜닝시부터는, 튜너부(111)가 마이크로 컴퓨터(130)의 제어하에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본 발명에 따라 별도로 구비한 룩업테이블(LUT)(150)에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만, 탐색하여 튜닝한다. 즉, 상기 소정의 채널튜닝이 사용자명령에 따라 선택된 경우, 튜너부(111)는 마이크로 컴퓨터(130)의 제어하에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을 발생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룩업테이블(150)에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독출해, 기준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 캐리어를 탐색한 다음,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 락킹(locking)을 수행하여 소정의 채널을 튜닝하고, 그런 후 발진 주파수가 479.5MHZ인 2nd 발진기에 의해 캐리어 복구(carrier recovery)와 클럭복구(clock recovery) 등을 수행하는데, 이렇게 튜닝된 후 멀티플렉싱되까지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직교위상편이방식(Quadrature Phase Shift Keying)이 적용되는 QPSK복조부(112)는 입력된 I/Q신호를 복조하며, A/D변환부(113)는 입력되는 I/Q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시키고, 비터비디코더(114)는 디지털신호로 변환된 I/Q신호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디인터리버(115)는 버스트(burst)혹은 바이트(byte)오류 발생 시 오류량을 최소화하도록 인터리빙의 변환을 환원하고, 리드 솔로몬(read solomon)복조부(116)는 리드 솔로몬 디코딩을 수행한 다음, 16패리티 비트를 이용하여 송/수신 중 발생한 오류를 8비트까지 수정하며, 이를 디스크램블러(descrambler)(117)에서 입력받아 패킷 단위로 전송될 때 송신부에서 데이트 비트 중에서 한 개의 오류가 발생하더라도 해당 비트에만 영향을 미치도록 하기 위해 수행된 스크램블에 의한 불규칙 에너지 확산을 복구하여 패킷 단위로 디멀티플렉서로 전송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패킷단위의 데이터스트림은 디멀티플렉서(121)에서 디멀티플렉싱되어 오디오 디코더(122)와 비디오 디코더(123)에서 각기 디코딩되어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가 출력되는데, 이러한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처과정은 일반적인 공지 기술에 속하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캐리어 주파수의 시프트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일정하다는 공지된 사실을 이용해 전원이 온(ON)될 때의 초기 튜닝시에 그 시프트 방향을 저장해 그 다음의 튜닝시부터는 그 저장된 시프트 방향 정보를 이용해 캐리어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탐색 시간을 줄여 채널튜닝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다음,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디지털방송수신기 전원의 온(ON)여부를 감시하여(S400) 그 전원이 온(ON)됨에 따라(S401) 해당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기 직전의 저장된 채널정보를 독출해(S403)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고(S404)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캐리어를 탐색한다(S405).
그리고, 단계(S406)에서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락킹설정 가능여부에 따라(S407) 캐리어 락킹을 수행하고(S408), 캐리어 탐색시의 스캐닝 시프트방향을 소정의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로 설정해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데(S409), 이 때, 가능한한 셋/리셋이 가능한 룩업테이블(LUT) 등에 저장하여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가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초기에 셋(set)/리셋(reset)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후 사용자 선택에 따른 소정의 채널튜닝시부터는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단계(S409)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만, 탐색하여 튜닝한다.
즉, 단계(S409) 후에 사용자 키 조작에 따라 소정의 채널을 선택하여 튜닝을 하고자 하는 경우(S410),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에 대응되는 PLL값을 발생하고(S410), 이와 별도로 단계(S409)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독출하며(S412), 단계(S411)에서 발생한 기준주파수의 PLL값을 중심으로 단계(S412)에서 독출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 캐리어를 탐색한 다음(S413), 단계(S414)에서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 락킹(locking)설정 가능여부에 따라(S415) 캐리어 락킹(S416)을 수행하여 소정의 채널을 튜닝한 다음, 단계(S410)로 진행하여 본 발명을 종료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캐리어 주파수의 시프트 방향이 특정 방향으로 일정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전원이 온(ON)될 때의 초기 튜닝시에 그 시프트 방향을 저장해 그 다음의 튜닝시부터는 그 저장된 시프트 방향 정보를 이용해 캐리어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탐색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은, 캐리어 주파수의 시프트 방향은 특정 방향으로 일정하다는 특성을 이용해 전원이 온(ON)될 때의 초기 튜닝시에 그 시프트 방향을 저장해 그 다음의 튜닝시부터는 그 저장된 시프트 방향 정보를 이용해 캐리어를 탐색하도록 함으로써 캐리어 탐색 시간을 줄여 채널튜닝속도를 향상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지털 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튜닝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디지털방송수신기를 예로 들어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LNB부 111 : 튜너부
112 : QPSK복조부 113 : A/D변환부
114 : 비터비디코더 115 : 디인터리버
116 : 리드솔로몬복조부 117 : 디스크램블러
121 : 디멀티플렉서 122 : 오디오디코더
123 : 비디오디코더 130 : 마이크로컴퓨터
140 : 플레쉬메모리 150 : 룩업테이블(LUT)

Claims (3)

  1. 디지털방송수신기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해당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이 오프(OFF)되기 직전의 저장된 채널정보를 이용해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고 지그-재그 스캐닝을 통해 캐리어를 탐색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해당 채널의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가 탐색된 스캐닝 시프트방향을 소정의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로 설정해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
    상기 제2과정 후에 발생되는 소정의 채널튜닝시 해당 채널의 캐리어를, 상기 제2과정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만, 탐색하여 튜닝하는 제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상기 제2과정 후에 소정의 채널튜닝이 선택된 경우, 해당 채널의 기준주파수를 발생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제2과정에서 저장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독출하는 제3-1과정;
    상기 제3-1과정에서 발생한 기준주파수를 중심으로 상기 제3-1과정에서 독출한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를 이용해 해당 기준방향으로 캐리어를 탐색하는 제3-2과정;
    상기 제3-2과정에서 캐리어가 탐색된 경우 캐리어 락킹(locking)을 수행하여 소정의 채널을 튜닝하는 제3-3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시프트 기준방향정보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전원을 온(ON)시킴에 따라 초기에 셋(set)/리셋(reset)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KR1020040004825A 2004-01-26 2004-01-26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KR2005007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25A KR20050076969A (ko) 2004-01-26 2004-01-26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4825A KR20050076969A (ko) 2004-01-26 2004-01-26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6969A true KR20050076969A (ko) 2005-07-29

Family

ID=37264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4825A KR20050076969A (ko) 2004-01-26 2004-01-26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69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2039B2 (en) Digital and analog broadcasting receiver
CN100544341C (zh) 解调方案选择方法以及采用该方法的数字广播接收机
US7158190B2 (en) Broadcasting receiver and channel searching method in broadcasting receiver
US20060061694A1 (en) Channel scanning method of digital broadcast receiver having a plurality of tuners
JP2004088162A (ja) 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受信方法
US5598228A (en) Channel selection in a digital television receiver
US6519294B1 (en) BS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KR100367636B1 (ko) 디지털 방송 신호를 복조하는 복조기
US6430236B1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JP4449206B2 (ja) 階層変調放送受信装置及び階層変調放送受信方法
AU768711B2 (en) Receiver for digital terrestrial broadcasting
KR20050076969A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 튜닝방법
KR100266416B1 (ko) 센터링시에 pll회로의 루프대역폭을 변화시키는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
JP2000332578A (ja) デジタル放送用受信機
KR100609973B1 (ko) 디지털방송수신기의 채널튜닝 보정방법
JP3773042B2 (ja) 受信装置、受信装置の制御方法、受信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ならびに、こ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252995B1 (ko) 디지탈/위성방송 수신용 공유장치
US20090092205A1 (en) Table data generation device and method
JP4058834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および受信制御方法
JP2000209072A5 (ko)
CN1905648A (zh) 数字电视接收机的调谐方法
KR20000029415A (ko) 수신장치 및 수신 복호방법
JP2005217681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328432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番組の切り替え方法
KR100415576B1 (ko) 위성 셋탑박스의 고속 채널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