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070B1 -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070B1
KR100609070B1 KR1020007000392A KR20007000392A KR100609070B1 KR 100609070 B1 KR100609070 B1 KR 100609070B1 KR 1020007000392 A KR1020007000392 A KR 1020007000392A KR 20007000392 A KR20007000392 A KR 20007000392A KR 100609070 B1 KR100609070 B1 KR 100609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ection
recording
reproducing
termi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0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1828A (ko
Inventor
요도후미타케
아라마키준이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21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1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572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 G11B20/006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log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e.g. the structure of sectors, blocks, or frames
    • G11B20/0063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change the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said format change concerning the logical format of the recording medium, e.g. the structure of sectors, blocks, or frames wherein the modification to the logical format mainly concerns management data, e.g., by changing the format of the TOC or the subco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 G11B20/006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said measures preventing that data are read from the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purchase a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5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ith ROM/RAM area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25Magneto-optical [MO] disc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디스크에는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나, 목록데이터를 불완전한 것으로 하여 놓거나,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를 기록하여 놓고, 디스크를 재생할 수 없게 하여 놓는다. 이 음악데이터를 재생가능으로 할 때에는, 통신에 의해 목록데이터를 완전한 것으로 고쳐쓰거나, 음악데이터가 재생가능하게 되도록 허가신호를 보낸다. 이것에 의해,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음악데이터를 직접 보낼 필요가 없으므로, 데이터 전송시간이 단축되고, 고속으로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는 동시에, 부과금처리가 스므즈하게 행해져서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data reproducing method, and data recording/reproducing method}
본 발명은,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데이터의 재생을 하는 신호에 의거하여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데이터의 기록재생장치, 데이터의 재생방법 및 데이터의 기록재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컴퓨터 네트워크망을 사용한 각종의 서비스가 실현되고 있다. 그와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망을 사용한 서비스의 하나로서, 음악분배서버를 네트워크망 상에 설치하고, 사용자가 이 음악분배서버에 접속하고, 이 음악분배서버에서 소망의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한 음악분배시스템이 고려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음악분배시스템에서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 음악분배서버가 설치되어 있다. 음악데이터에는 다수의 음악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다. 이 음악분배서버에는 음악데이터뿐만 아니라 음악데이터에 부수하는 관련정보로서, 아티스트명이나 가사나, 최신의 히트곡정보, 신곡정보 등 음악에 관한 각종의 정보를 축적하도록 하여도 좋다. 사용자가 음악분배시스템을 이용하는 경 우에, 컴퓨터 네트워크망을 거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음악분배서버에 접속된다. 사용자의 단말장치가 음악분배서버에 접속되면, 음악분배서버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각종의 음악데이터와 음악데이터에 부수하는 관련정보가 보내진다. 사용자는 음악분배서버에서 보내져온 음악데이터나 관련정보에서, 최신의 히트곡정보나 신곡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음악분배서버에서는, 다운로드 가능한 악곡의 리스트정보가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보내지고, 이 송신되어 온 리스트정보가 사용자의 단말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영출된다. 사용자는 표시되어 있는 리스트정보를 보고, 사용자 자신이 구입하고 싶은 악곡이 있으면, 리스트정보 중에서 그 악곡을 지정하여 음악분배서버에 다운로드지령을 출력한다.
사용자로부터의 다운로드명령을 음악분배서버가 수신하면, 음악분배서버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에 보내져 온 다운로드명령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가 보내진다. 사용자의 단말장치 측에서, 이 음악분배서버에서 보내져 온 다운로드명령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가 수신되고, 수신한 음악데이터가 기록가능한 광디스크 등의 스토레이지 디바이스에 보존된다.
그런데, 1장의 콤팩트디스크(CD)에 수납되어 있는 데이터의 데이터량은 최대 640MB이며, 이 1장의 콤팩트디스크에 상당하는 음악데이터를 ISDN회선을 이용하여 128kps로 전송한다고 하여도, 전송이 종료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10시간 이상걸린다. 직경 64mm의 기록가능한 광디스크로 사용되는 압축방식,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3-139923호나 특개평3-139922호에 개시되어 있는 변형DCT(Modified Discreat Cosine Transform)를 사용하여 상술한 콤팩트디스크의 데이터를 대략 4.5분의 1로 압축하여 전송하였다고 하여도, 데이터의 전송이 종료하기까지 요하는 시간은 2시간 이상 필요하게 된다. 음악분배서비스를 실현하고자 하였을 때, 이와 같이 데이터의 전송시간의 길이가 문제가 된다.
음악데이터의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해서도, 상술한 바와 같은 음악분배 시스템에서는, 음악데이터를 음악분배서버에서 다운로드할 때마다 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부과금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음악분배서버 측에서 사용자등록이나 사용자의 인식, 사용자가 다운로드한 음악데이터의 인식, 사용자에의 부과금청구, 부과금처리가 종료하였는지 아닌지의 확인 등, 각종의 처리가 필요하게 되어 온다. 이와 같은 부과금처리를 행함으로써, 음악분배서버에서 다운로드지령을 수신하여 실제로 음악데이터를 분배하고, 사용자의 단말장치에서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 하기까지에 요하는 시간이 길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데이터 전송시간을 축소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과금처리가 스므즈하게 행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억부와,
기억부에의 데이터의 기입을 행하는 동시에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하는 기록재생부와,
기록재생부에 의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허가하는 허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와를 갖추고,
기록재생부에 의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동작 시에 신호발생부에서 허가신호가 기록재생부에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기록재생부에 의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가 기록되는 기억부를 가지며, 기억부에의 데이터의 기입과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부와,
기록재생부에 의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허가하는 허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가지는 서버장치와를 갖추고,
기록재생부에 의한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동작 시에 신호발생부에서 허가신호가 기록재생부에 송신되어 왔을 때에는, 기록재생부에 의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기록재생장치이다.
본 발명은, 단말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데이터에 관한 목록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기억부에서 데이터를 독출하여 재생할 때에 서버장치 측에 단말장치에서 재생하고저 하고 있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목록데이터의 송신의 송신요구를 행하고,
서버장치는 단말장치에서 송신되어 온 송신요구에 의거하여 단말장치에서 재생하고저 하고 있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목록데이터를 송신하고,
단말장치는 서버장치에서 송신되어 온 목록데이터에 의거하여 기억부에 기억 되어 있는 목록데이터를 고쳐쓰고,
단말장치는 고쳐써진 목록데이터에 의거하여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행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과금데이터가 기억되는 기억부를 가지는 단말장치가 부과금 처리장치에 접속되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부과금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과금데이터를 부과금 처리장치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는 서버장치에 송신하여 부과금처리를 행하고,
부과금 처리장치와 서버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부과금처리가 종료한 후에 단말장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제 1기억장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데이터의 부과금정보를 나타내는 부과금데이터와를 단말장치의 제 1기억부에 기억하고,
단말장치가 부과금 처리장치에 접속되면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부과금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과금데이터를 부과금 처리장치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는 서버장치에 송신하여 부과금처리를 행하고,
부과금 처리장치와 서버장치와의 사이에서의 부과금처리가 종료한 후에 단말장치는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하는 데이터기록 재생방 법이다.
음악데이터 그 자체는 기록되어 있으나, 이 디스크의 TOC데이터를 불완전하게 디스크를 사용한다. TOC데이터가 불완전하면, 이 디스크의 음악데이터는 재생할 수 없다. 디스크의 재생을 행할 때에는, 통신에 의해 그 데이터를 재생가능하게 되도록, TOC데이터가 고쳐써진다.
또, 통신으로 음악데이터를 구입할 때에, 음악데이터 그 자체는 기록되어 있으나 부과금처리가 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기 위한 신호를 기록하여 놓는다. 디스크에 재생을 금지하기 위한 신호를 기록되어 있으면, 이 디스크의 음악데이터는 재생할 수 없다. 디스크의 재생을 행할 때에는, 통신으로 부과금처리가 행해진다. 부과금처리가 행해지면, 그 데이터가 재생가능하게 되도록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가 캔슬된다.
이와 같이, 이 디스크에는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나, TOC를 불완전한 것으로 하거나,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를 기록하여 놓고, 디스크를 재생할 수 없게 하여 놓고, 그리고 이 음악데이터를 재생가능으로 할 때에는, 통신에 의해 이 음악데이터가 재생가능하게 되도록 TOC가 고쳐써지거나,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를 캔슬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 전송시간을 축소하여 고속으로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하거나, 부과금처리가 스므즈하게 행해져서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도 1b 및 도 1c는 디스크의 설명에 사용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기록재생장치의 일예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U-TOC 데이터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4는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U-TOC 데이터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5는 디스크기록 재생장치에서 사용되는 U-TOC 데이터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약선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정보판매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부과금처리기를 설명하기 위한 기능블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플로차트이 다.
도 1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의 설명에 사용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에 있어서의 휴대단말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101. 디스크 52. 사용자의 단말장치
53. 기록재생장치 55. 서버
102. 부과금 처리기기 104. 휴대단말장치
105. 정보판매기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의 일 예로서, 먼저 기록매체로서 광디스크를 사용한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시스템의 일예
디스크는, 디스크카트리지에 수납된 직경 64mm의 광디스크 또는 광자기디스크에 음악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것이다. 이 직경 64mm의 광디스크에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생전용의 디스크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생전용의 디스크와,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기록재생용의 디스크와,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재생전용의 기록영역과 기록재생 가능한 기록영역과가 혼재하 는 하이브리드 디스크가 있다.
재생전용의 디스크에서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든 기록영역은 피트형태로 정보가 기록된 재생전용 영역으로 되어 있고, 디스크의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후술하는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관리하는 TOC(Table Of Contents)데이터가 기록되는 TOC영역이 설치되고, TOC영역의 외측이 데이터를 피트형태로 기록되어 있는 프로그램영역으로 되고, 프로그램영역의 외주측에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다.
기록재생용의 디스크에서는, 도 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의 리드인영역은 피트의 형태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재생전용 영역으로 되어 있고, 이 재생전용 영역에 독출전용의 TOC(이하, P-TOC)가 데이터기록된다. P-TOC가 기록되어 있는 영역의 외측은,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는 기록재생영역으로 되어 있고, 이 기록재생영역의 내주에서 P-TOC가 기록되어 있는 외주측에는 기록재생영역에 기록된 데이터와 관리하기 위한 TOC(이하, U-TOC)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U-TOC영역이 설치되고, U-TOC영역의 외주측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이 행해지는 프로그램영역이 설치되고, 프로그램영역의 외주측에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다. 기록재생용의 디스크의 적어도 기록재생영역을 덮는 것같이 광자기기록층이 설치되어 있다.
하이브리드 디스크에서는, 도 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내주는 피트의 형태로 정보가 기록되어 있는 재생전용 영역으로 되어 있고, P-TOC가 기록되는 동시에, 프로그램 데이터가 재생전용의 프로그램영역이 설치된다. 재생전용영역의 외주측은, 정보의 기록 또는 재생을 할 수 있는 기록재생영역으로 되어 있고, 기록재생영역의 내주에는, 기록재생영역의 후술하는 프로그램영역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U-TOC데이터가 기록되는 U-TOC영역이 설치되고, U-TOC영역의 외주측에, 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프로그램영역이 설치되고, 프로그램영역의 외주측에 리드아웃영역이 설치된다. 하이브리드 디스크의 기록재생영역을 덮는 것같이 광자기기록층이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상술한 광디스크를 기록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광디스크(11B)는 디스크 카트리지(11A)에 수납되어 있다. 광디스크(11B)로서는, 상술한 재생전용의 광디스크(도 1a)와, 기록재생 가능한 광자기디스크(도 1b)와, 재생전용영역과 기록 가능한 영역과가 혼재하는 하이브리드 디스크(도 1c)의 3종류의 것이 있다. 광디스크(11B)에는 상술과 같이, 그 내주의 리드인영역에 P-TOC데이터의 기록영역이 설치되고, 기록재생영역의 내주에는 U-TOC 데이터가 기록되는 데이터 관리영역이 설치된다. 광디스크(11B)는 기록재생장치(10)의 스핀들모터(12)에 의해 서버회로(18)의 제어하에 회전구동된다.
장치(10)에는 광디스크(11B)에 대향하여, 광디스크(11B)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자재로 광학헤드(13)가 설치된다. 광학헤드(13)는 기록 시에는 광디스크(11B)의 기록재생영역의 광자기기록층을 큐리온도까지 가열하기 위한 고레벨의 레이저광을 출력하고, 광디스크(11B)의 재생 시에는 자기커효과에 의해 광자기 기록층으로부터의 반사광에서 데이터를 검출하기 위한 비교적 저레벨의 레이저를 출력한다.
광학헤드(13)는, 레이저광을 출력하기 위한 레이저 다이오드와, 편광빔스플리터나 대물렌즈로 이루는 광학계 및 반사광을 검출하기 위한 디텍터(도시생략)가 탑재되어 있다. 광학헤드(13) 내의 대물렌즈(도시생략)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에 의해 디스크의 반경방향의 트래킹방법 및 디스크에 접리하는 방향의 포커싱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유지되어 있다.
장치(10)에는 광학헤드(13)와 광디스크(11B)를 거쳐 대향해서 자기헤드(14)가 설치된다. 자기헤드(14)는 기록 시에 데이터에 의해 변조된 수직자계를 광디스크(11B)에 인가하는 것이다. 광학헤드(13) 전체 및 자기헤드(14)는, 서로 연결되어 이송기구(15)에 의해 광디스크(11B)의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광디스크(11B)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한 광학헤드(13)로부터의 출력방향은, RF앰프(16)에 공급된다. RF앰프(16)에서는 광학헤드(13)의 디텍터의 출력신호로 연산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재생RF신호, 트래킹에러신호, 포커스에러신호, 어드레스정보 등이 검출된다. 이 재생RF신호는, EFM(Eight To Fourteen Modulation)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부(17)에 공급된다. RF앰프(16)로부터의 트래킹에러신호 및 포커스에러신호는 서버회로(18)에 공급되고, 어드레스정보는 어드레스 디코더(19)에 공급되어서 디코드되고, 절대위치 어드레스로서 출력된다.
서버회로(18)는, 트래킹에러신호, 포커스에러신호나, 시스템제어기(20)로부터의 트랙점프지령, 시크지령 등에 의해 각종의 서버구동신호를 발생시켜서, 광학헤드(13)의 액추에이터 및 슬레드기구(15)를 제어하여, 포커스 및 트래킹제어를 행 한다.
기록재생장치 전체의 동작은, 시스템제어기(20)에 의해 제어되고 있다. 시스템제어기(20)에는, 조작키(21)에서 입력이 부여된다. 조작키(21)는 재생키, 정지키, FF키 및 REW키, 녹음키 등의 복수의 키가 포함되어 있다.
시스템제어기(20)에 의해 표시부(22)의 표시동작이 제어된다. 표시부(22)에는 장착된 광디스크(11B)의 총 연주시간, 연주 중의 곡의 경과시간, 재생 중의 곡의 나머지 연주시간, 전체의 나머지 연주시간 등의 시간정보나, 연주 중의 곡의 트랙번호 등이 표시된다. 장치(10)에 장착된 광디스크가 디스크명이나 트랙명이 기록되어 있는 관디스크인 경우에는 표시부(22)에 디스크명이나 트랙명이 표시된다. 곡이나 디스크의 기록일시가 기록되어 있으면, 기록일시가 표시부(22)에 표시된다.
기록시에는, 입력단자(25)에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공급된다. 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A/D컨버터(26)에 공급되고, A/D컨버터(26)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예를 들면 샘플링주파수 44.1kHz, 양자화비트수 16비트로 디지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A/D컨버터(26)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에 공급된다.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는, 상술한 변형DCT에 의해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압축하는 것이며,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약 1/5의 오디오데이터에 압축된다.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데이터는, 메모리제어기(28)의 제어를 기초로, RAM(29)에 일단 축적된다. RAM(29)의 출력은 EFM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17)에 공급된다. EFM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17)에 의해, RAM(29)에서 독출된 오디오데이터에 에러정정 부호처리가 실시되고, 다시 에러정정부호가 부가된 데이터가 EFM변조된다. 이 EFM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17)의 기록데이터는, 자기헤드 구동회로(30)를 거쳐서 자기헤드(14)에 공급된다.
자기헤드 구동회로(30)는, 인코더/디코더(17)에서 공급된 기록데이터에 따라서 자기헤드(14)에 자기헤드 구동신호를 공급된다. 즉, 광디스크(11B)에 자기헤드(14)에서 기록데이터에 의거하여 변조된 수직자계가 인가된다. 이때 광학헤드(13)에서는 기록레벨의 레이저광이 출력된다. 이것에 의해, 광디스크(11B)에는 자기헤드(14)로부터의 데이터가 기록된다.
광디스크(11B)에의 데이터의 기록은, 클러스터단위로 행해진다. 1클러스터는 36섹터이고, 1섹터(콤팩트 디스크의 1서브코드 블록에 상당한다)는 5.5사운드그룹이다. 실제의 1클러스터 중의 32섹터가 유효한 데이터가 된다. 나머지의 4섹터는 기록개시 시의 자기헤드의 자계의 상승이나 레이저파워의 제어에 대하여 타이밍을 맞추기 위해 링킹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재생 시에는, 광학헤드(13)에 의해 재생레벨의 레이저광이 조사되고, 광디스크(11B)로부터의 반사광이 광학헤드(13)의 디텍터에 의해 수광, 검출되어 광디스크(11B)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가 독출된다. 이 광학헤드(13)의 디텍터로부터의 출력신호는 RF앰프(16)에 공급되고, RF앰프(16)에서는 상술과 같이 재생RF신호, 트래킹에러신호 및 포커스에러신호가 얻어진다. 이 재생RF신호는 EFM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17)에 공급된다. EFM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17)에서, 재생RF신호에 EFM복조처리, 에러정정부호에 의거한 에러정정처리가 실시된다.
EFM 및 오류정정처리용 인코더/디코더(17)의 출력은, 메모리제어기(28)의 제어를 기초로, 일단 RAM(29)에 기입된다. 광학헤드(13)에 의한 광디스크(11B)로부터의 데이터의 독해 및 광학헤드(13)에서 RAM(29)까지의 계통에 있어서의 데이터의 전송은 1.41Mbit/sec이고, 더구나 간헐적으로 행해진다.
RAM(29)에 기입된 데이터는, 재생데이터의 전송이 0.3Mbit/sec이 되는 타이밍으로 독출되고,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에서 RAM(29)으로부터 독출된 재생데이터에 변형DCT에 의한 압축처리와는 역의 신장처리가 행해진다.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에 의해 디코드된 출력으로서의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D/A컨버터(31)에 공급된다. D/A컨버터(31)에 의해 인코더/디코더(27)로부터 공급된 디지털 오디오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된다. 이 D/A컨버터(31)에서 출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출력단자(22)에서 출력된다.
음성압축 인코더/디코더(27)에는, 디지털오디오 인터페이스(34)가 접속된다. 이 디지털오디오 이터페이스(34)를 사용하는 것으로, 디지털 오디오신호를 직접 입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RAM(29)에의 데이터의 기입/독출은, 메모리제어기(28)에 의해 기입포인터와 독출포인터의 제어에 의해 어드레스를 지정하여 행해지는바, 기입포인터 는 1.41Mbit/sec의 타이밍에서 증가되고, 한편 독출포인터는 0.3Mbit/sec의 타이밍에서 증가되어 간다. 이 기입과 독출의 비트레이트의 차에 의해, RAM(39) 내에 어느 정도 데이터가 축적된 상태가 된다. RAM(29) 내에 풀용량의 데이터가 축적된 시점에서 기입포인터의 증가는 정지되고, 광학헤드(13)에 의한 광디스크(11B)로부터의 데이터의 독출동작도 정지된다. 단, 독출포인터의 증가는 계속해서 실행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단자(22)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오디오신호 인터페이스(34)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중단되지 않는다.
그후, RAM(29)에서 독출동작만이 계속되어 가고, 어느 시점에서 RAM(29) 내의 데이터축적량이 소정량 이하가 되었다고 하면, 다시 광학헤드(13)에 의한 데이터 독출동작 및 기입포인터의 증가가 재개되고, 다시 광디스크(11B)에서 데이터가 독출되어서 RAM(29)에 데이터의 축적이 되어 간다.
이와 같이 RAM(29)을 거쳐서 재생오디오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예를 들면 외란 등으로 트래킹제어가 벗어난 경우 등이라도, 재생음성출력이 중단되지 않고, RAM(29)데이터의 축적이 남아있는 중에 예를 들면 트래킹제어가 벗어나기 전의 바른 트래킹위치 또는 주사위치까지 액세스하여 데이터 독출을 재개하는 것으로, 재생출력에 영향을 주지않고 재생동작을 속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디스크(11B)에는 사용자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TOC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U-TOC영역이 설치되어 있다. U-TOC영역의 U-TOC데이터의 섹터0에는, 기본정보와 각 곡의 스타트어드레스 및 엔드어드레스가 기록된다.
도 3은, U-TOC데이터의 섹터0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3에 나타내 는 바와 같이 U-TOC데이터의 섹터0에는, 선두에 소정의 비트패턴의 헤더가 설치된다. 헤더에 이어서 소정 어드레스위치에 메이커코드(Maker Code), 모델코드(Moder Code), 음악데이터로서의 최초의 악곡의 곡번(First TNO), 음악데이터로서의 최후의 악곡의 곡번(Last TNO), 섹터사용상황(Used Sectors), 디스크의 시리얼번호(Disc Serial No), 디스크ID(Disc ID)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또한, 상술한 디스크ID 데이터에 이은 U-TOC데이터의 섹터0에는, 사용자가 녹음을 행하여 기록되어 있는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 영역이나 음악데이터의 기록가능한 프리영역 등의 정보를 지시하는 각종의 테이블포인터가 기록된다. 이 테이블포인터에 의해 가르켜지는 섹터0 내의 포지션에, 테이블포인트와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구성하는 부분의 기점이 되는 스타트어드레스와, 종단이 되는 엔드어드레스와, 그 모드정보(트랙모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부분테이블로 표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부분의 스타트어드레스 및 엔드어드레스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링크정보(Link-P)가 기록된다.
또한, 포인터의 바이트포지션은,
76×4 + (포인터)×8
에 의해 구해진다.
테이블포인터(P-DFA)는, 광디스크(11B)의 기록재생영역에 결함영역이 있는 경우에, 그 결함영역의 선두의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즉, 결함부분이 존재하는 경우는, 테이블포인터(P-DFA)에 있어서 가르키는 포지 션의 부분테이블에, 결함이 존재하는 부분의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가 표시된다. 그 외에도 결함부분이 존재하는 경우, 그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이 링크정보(Link-P)에 지시된다. 다른 결함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링크정보(Link-P)는 예컨데 (00h)가 되고, 이후 링크 없음으로 된다.
테이블포인터(P-EMPTY)는, 미사용 부분테이블의 선두의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테이블포인터(P-EMPTY)에 의해 지정된 부분테이블에, 미사용 영역부분의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가 표시된다. 또한, 미사용의 부분테이블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링크정보(Link-P)에 의해 순차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이 지정된다. 다른 미사용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링크정보(Link-P)는 예컨데 (00h)가 되고, 이후 링크 없음으로 된다.
테이블포인터(P-FRA)는, 기입가능한 프리영역(소거영역을 포함)의 선두의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이와 같은 부분이 복수게 있고, 즉 부분테이블이 복수개가 되는 경우에는, 링크정보(Link-P)에 의해 순차 부분테이블이 지정된다. 다른 프리영역이 없는 경우에는, 링크정보(Link-P)는 예컨데 (00h)가 되고, 이후 링크 없음으로 된다.
테이블포인터(P-TNO1∼P-TNO255)는, 사용자가 기록한 각 악곡에 대한 선두의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즉, 테이블포인터(P-TNO1)는 1곡째로 된 악곡의 데이터의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가 기록된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고, 테이블포인터(P-TNO2)는 2곡째로 된 악곡의 데이터의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가 기록된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고, 테이블포인터(P-TNO3)는 3곡째 로 된 악곡의 데이터의 스타트 및 엔드어드레스가 기록된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킨다. 하나의 악곡의 데이터는 물리적으로 불연속하고, 즉 광디스크(11B)의 기록재생영역에 분산 또는 이산하는 복수의 부분에 걸쳐서 기록되어 있어도 좋다. 하나의 악곡이 복수의 부분으로 분할되어서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링크정보(Link-P)에 의해 순차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이 가르켜진다. 다른 부분테이블에 악곡이 계속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링크정보(Link-P)는 예컨데 (00h)가 되고, 이후 링크하는 부분테이블 없음으로 된다.
도 4는, U-TOC데이터의 섹터1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TOC데이터의 섹터 1에는, 상술한 U-TOC데이터의 섹터 0과 동일하게 소정의 비트패턴의 헤더가 설치된다. 이어서, 테이블포인터(P-EMPTY)와, 테이블포인터(P-TNA1, P-TNA2), …가 설치된다.
테이블포인터(P-EMPTY)는, 미사용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또한 테이블포인터(P-EMPTY)로 지시되는 슬롯에는, 링크정보(Link-P)가 포함되고, 이 Link-P에 의해 다음의 미사용 부분테이블의 선두의 포지션이 지시된다.
테이블포인터(P-TNA1, P-TNA2), …는, 각 트랙의 트랙명이 쓰여져있는 포지션을 가르키는 테이블포인터이다. 이 테이블포인터(P-TNA1, P-TNA2), …에 의해 지시되는 포지션에, 대응하는 부분의 기점이 되는 디스크명 또는 트랙명이 기록되어 있다. 각 부분테이블에서 표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이어서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부분의 디스크명 또는 트랙명이 기록되어 있는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링크정보(Link-P)가 기록된다.
도 5는, U-TOC 섹터 2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U-TOC 섹터 2에는 상술한 U-TOC데이터의 섹터 0이나 섹터 1과 동일하게 소정의 비트패턴의 헤더가 설치된다. 이어서, 테이블포인터(P-EMPTY)와, 테이블포인터(P-TRD1, P-TRD2), …가 설치된다.
테이블포인터(P-EMPTY)는, 미사용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포인터이다. 또한 테이블포인터(P-EMPTY)로 지시되는 슬롯에는, 링크정보(Link-P)가 포함되어 있고, 이 Link-P에 의해 다음의 미사용 부분테이블의 선두의 포지션이 지시된다.
테이블포인터(P-TRD1, P-TRD2), …는, 각 트랙의 기록일시 및 기록시간이 쓰여져 있는 포지션을 가르키는 테이블포인터이다. 이 테이블포인터(P-TRD1, P-TRD2), …에 의해 지시되는 포지션에, 대응하는 부분의 기점이 되는 기록일시 및 시간과, 메이커코드, 모델코드가 기록되어 있다. 또한, 각 부분테이블에서 표시되는 부분이 다른 부분에 계속하여 연결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 연결되는 부분의 기록일시 및 시간과, 메이커코드, 모델코드가 기록되어 있는 부분테이블의 포지션을 가르키는 링크정보(Link-P)가 기록된다.
이와 같이, U-TOC데이터의 각 트랙정보에는, Link-P라고 불리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Link-P는 U-TOC데이터의 섹터 0에서는, 그 다음이 어디에 연결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U-TOC데이터의 섹터 1에서는, 그 음악데이터로서의 악곡의 이름이 다음 어디에 연결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며, U-TOC데이터의 섹터 2에서는, 그 음악데이터의 악곡의 기록일시 및 기록시간이 다음 어디에 연결되는지를 나 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곡을 지우거나 2개의 곡을 하나로 하거나, 뒤에 트랙명의 문자수를 늘여도, 간단히 대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시스템에서는 선전용의 디스크를 배부하고, 이 선전용의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이 맘에 들면 사용자가 그 음악에 대응하는 음악데이터를 구입하는 서비스를 제공, 실현하는 것이다.
도 6에 있어서 디스크(51)는, 예를 들면 신곡 소개용으로서 배부되는 광디스크이며, 예를 들면 도 1b에 나타낸 기록재생용의 디스크 또는 도 1c에 나타낸 하이브리드형의 디스크가 사용된다. 이 디스크(51)의 프로그램영역에는,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다. 이와 같이 음악데이터가 기록된 디스크에서는, 통상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에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TOC데이터를 기록하여 두는바, 도 6 이하에서 설명하는 예에서는, 디스크(51)에는 음악데이터는 바르게 기록되어 있으나, TOC데이터는 불완전하게 기록하여 둔다. 예를 들면 TOC데이터는, 모든 악곡에 액세스할 수 없게 하거나, 예를 들면 1곡째만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여 둔다. 이와 같이, 디스크(51)의 TOC데이터를 불완전하게 기록하여 놓으면, 예를 들면 음악데이터가 다른 기록가능한 광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다고 하여도, TOC데이터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그 디스크에서 기록한 음악데이터, 즉 악곡을 재생할 수는 없다.
이와 같은 디스크(51)를 재생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TOC데이터를 완전한 것으로 고쳐쓸 필요가 있다. TOC데이터를 고쳐쓰기 위해, 통신이 이용된다.
즉, 도 6에 있어서,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를 재생가능하게 하 기 위해, 디스크(51)의 TOC데이터를 완전한 TOC데이터로 고쳐쓰는 경우에는, 기록재생장치(53)가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 접속된다. 이 기록재생장치(53)에 디스크(51)가 장착된다. 또한, 기록재생장치(53)는 상술한 도 2에 나타내는 기록재생장치(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예를 들면 퍼스널컴퓨터로 구성되고,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는, 서버(55)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디스크(51)의 TOC데이터를 고쳐쓰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인스톨되어 있다. 서버(55)는 디스크(51)를 배부하고 있는 정보센터의 서버이다. 서버(55)는 배부하고 있는 복수의 디스크의 음악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TOC데이터가 수용된 TOC데이터 베이스(56)를 갖추고 있다.
사용자의 단말장치(52)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사용자의 단말장치(52)가 통신망(54)을 거쳐서 서버(55)와 접속된다. 기록재생장치(53)에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51)에 대응하는 TOC데이터가 서버(55)에서 독출되어서, 독출된 TOC데이터가 통신망(54)을 거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 송신된다. 이 송신되어 온 TOC데이터에 의거하여, 장치(53)에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51)의 TOC데이터의 고쳐쓰기가 행해진다. 디스크(51)의 TOC데이터가 완전한 TOC데이터로 고쳐쓰임으로써, 디스크(51)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가 재생가능하게 된다.
도 6에 나타내는 시스템에서는, 예를 들면 디스크(51)로서 도 1c에 나타낸 바와 같은 하이브리드형의 디스크를 사용하고, 미리 기록되는 음악데이터를 하이브리드 디스크의 재생전용영역에 기록하여 놓으면, 잘못하여 음악데이터가 다른 음악 데이터에 의해 더 써져서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한다. 디스크(51) 내에, 상술한 TOC데이터와는 다른 오리지널한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제 2TOC영역을 예를 들면 재생전용영역에 설치하여 놓고, 이 제 2TOC영역을 보조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장치(53)에 장전된 디스크(51)를 식별하고, 디스크(51)에 기록되어 있는 악곡의 정보로서의 음악데이터를 취득하거나, 음악데이터를 대응하는 TOC데이터를 예를 들면 서버(55) 측에서 검색하거나 하는 것이 간단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술한 제 2TOC에 디스크(51)의 관리번호를 기록하여 두는 것으로 한다. 디스크(51)의 제 2TOC에 기록되어 있는 관리번호는, 그 디스크(51)를 식별하기 위한 특유한 관리번호이다. 디스크(51)의 재생전용영역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 2TOC의 관리번호를 독출하도록 프로그램을 기록하여 두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그 자체를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제 2TOC의 관리번호를 독출하도록 프로그래밍하여 놓는다.
이와 같이하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행되면 디스크(51)의 관리번호가 서버(55)에 송신되고, 서버(55)에서는 송신되어 온 관리번호에 의거하여 디스크(51)가 특정되고, 이 디스크(51)에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곡수, 곡순, 곡명 등의 정보가 TOC데이터 베이스(56)에 의해 검색된다. 데이터 베이스(56)에서 검색된 정보에 의거하여, 사용자는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하면, 선택된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TOC데이터가 서버(55)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32)에 보내지고, 이 송신되어 온 TOC데이터가 사용자의 단말장치(32)에서 수신되어 U-TOC데이터로서, 장치(53)에 장전되어 있는 디스크(51)에 기록된다.
기록재생장치(53)와 사용자의 단말장치(52)와의 사이는, 접속케이블 등에 의한 유선에 의해 접속하는 외, 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통신망(54)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ISDN 등의 유선에 의한 통신망뿐만 아니라, 무선에 의한 통신망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7은, 제 2TOC영역에 디스크(51)의 관리번호를 기록한 경우에의 U-TOC데이터의 고쳐쓰기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7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 접속된 기록재생장치(53)에, 디스크(51)를 장착한다(스텝(S1)).
사용자의 단말장치(52)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통신망(54)을 거쳐서, 서버(55)와 접속된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게 된다(스텝(S2)).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기록재생장치(53)는 제 2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로드명령을 부여한다. 기록재생장치(53)는 단말장치(52)에서 제 2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로드명령을 수취하면, 장치(53)에 장착된 디스크(51)의 제 2TOC영역을 액세스하고, 제 2TOC영역의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 2TOC영역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크의 관리번호가 기록되어 있다.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이 제 2TOC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를 로드하는, 또는 읽어 들인다(스텝(S3)).
이 제 2TOC영역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서 서버(55)에 보내지 고, 서버(55)는 송신되어 온 이 제 2TOC영역의 데이터 중의 디스크(51)의 관리번호에서, 대응하는 디스크(51)의 곡수, 곡순, 곡명 등의 정보를 통신망(54)을 거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 보낸다.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이 정보에 의거하여 곡수, 곡순, 곡명 등의 표시를 장치(52)의 표시부 혹은 기록재생장치(53)의 표시부에 행하고, 사용자는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에 의거하여 장치(52)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선택한다(스텝(S4)).
사용자가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의 선택을 종료하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음악데이터에 관한 정보는 서버(55)에 보내지고, 서버(55)는 송신되어 온 정보에 의거하여, 구입한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U-TOC데이터가 생성 또는 데이터베이스(56)에서 독출된다. 서버(55)는, 이 U-TOC데이터를 통신망(54)을 거쳐서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 보내고,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서버(55)에서 송신되어 온 U-TOC데이터를 수신한다(스텝(S5)).
구입한 음악데이터에 대한 부과금처리가 서버(55)와 단말장치(52)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부과금을 부과하는 방법은, 프리페이드카드나 전자머니를 사용하여, 구입한 음악데이터에 따라서 감액 또는 지정된 계좌에의 불입을 행하거나, 크레디트카드를 사용하여 지불하는 것이 고려된다(스텝(S6)).
부과금처리가 행해지면,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수신한 U-TOC데이터를 기록재생장치(53)에 보낸다. 기록재생장치(53)는 수신한 U-TOC데이터를 디스크(51)에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되어 있는 U-TOC데이터를 고쳐쓴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구입한 음악데이터로서의 악곡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스텝(S8)). 예를 들면, 수신한 U-TOC데이터는 장치(53)의 인터페이스를 거쳐서 입력되고, RAM에 일단 축적된 후, 광학헤드 및 자기헤드를 디스크(51)의 U-TOC영역에 액세스하여 U-TOC데이터가 고쳐써진다. U-TOC데이터의 고쳐쓰기는 음악데이터의 구입때마다 행하여도 좋으나, 디스크(51)를 장치(53)에서 배출할 때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서버(55)에서 송신되어 오는 U-TOC데이터는, 구입하는 음악데이터를 재생하는데 필요하게 되는 최소한의 U-TOC데이터라면 좋다.
제 2TOC영역에, 디스크(51)에 미리 기록되어 있던 모든 악곡, 즉 음악데이터의 TOC데이터를 기록하여 놓으면, 구입한 곡의 TOC데이터를 서버(55)의 데이터베이스(56)에서 독출하여 U-TOC에 카피하도록 하면 좋아진다.
도 8은, 제 2TOC영역에서 미리 디스크(51)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곡의 모든 악곡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곡명 등의 정보를 등록한 경우의 U-TOC데이터의 고쳐쓰기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에 있어서, 먼저 사용자의 단말장치(52)에 접속된 기록재생장치(53)에 디스크(51)를 장착한다(스텝(S11)).
사용자의 단말장치(52)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한다.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면,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통신망(54)을 거쳐서, 서버(55)와 접속되어 데이터의 수수가 가능하게 된다(스텝(S2)).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기록재생장치(53)에 제 2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로드명령을 부여한다. 기록재생장치(53)는 제 2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의 로드명령을 수취하면, 장치(53)에 장착된 디스크(51)의 제 2TOC영역을 액세스하고, 광학헤드를 사용하여 제 2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독출한다. 제 2TOC영역에는 그 디스크(51)에 기록되어 있는 곡의 모든 곡명 등의 정보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제 2TOC영역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거둬들이면, 디스크(51)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곡명 등의 정보가 얻어진다(스텝(S13)).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제 2TOC영역에서 독출된 데이터에 의거하여, 곡수, 곡순, 곡명 등의 표시를 장치(52) 또는 장치(53)의 표시부에 행하고, 사용자는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에 따라서 선택한다(스텝(S14)).
사용자가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의 선택을 종료하면, 그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제 2TOC영역에서 독출한 데이터를 기초로, 구입한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U-TOC데이터를 예를 들면 단말장치(52)의 제어부에서 생성한다(스텝(S15)).
구입한 음악데이터에 대한 부과금처리가 서버(55)와 단말장치(52)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부과금을 부과하는 방법은, 상술한 스텝(56)과 동일하게 프리페이드카드나 전자머니를 사용하거나, 크레디드카드를 사용하는 것이 고려된다(스텝(S16)).
부과금처리가 행해지면, 사용자의 단말장치(52)는 생성한 U-TOC데이터를 기록재생장치(53)에 보낸다(스텝(S17)).
기록재생장치(53)는, 단말장치(53)에서 공급된 U-TOC데이터를 디스크(51)의 U-TOC영역에 기록한다. 이것에 의해, 사용자가 구입한 악곡으로서의 음악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되도록, 디스크(51)의 U-TOC데이터가 고쳐써지고, 사용자가 구입한 악곡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스텝(S18)).
이와 같이 상술의 예에서는, 미리 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U-TOC데이터를 불완전한 것으로서, 그 상태에서는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불가능하게 하여놓고, 서버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여 부과금처리가 종료하면, 디스크의 U-TOC데이터가 완전한 U-TOC데이터로 고쳐써지고, 디스크 또는 소망으로 하는 악곡, 즉 악곡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시스템은, 새로운 음악디스크의 판매서비스를 구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즉, 예를 들면 신곡소개의 디스크를 판매할 때에는, 종래 가두(街頭)나 매스미디어를 사용하여 광고선전을 행하고, 사용자는 이 광고선전을 보고 신곡이 맘에 들면, 레코드점으로 나가 신곡이 기록되어 있는 콤팩트디스크를 구입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상술한 도 6에 나타낸 시스템을 사용하면, 가두나 매스미디어를 사용하여 광고선전과 함께, 상술과 같이 음악데이터는 기록되어 있으나, U-TOC데이터를 불완전한 디스크가 가두에서 혹은 잡지의 부록으로서 배부된다. 사용자는 배부된 디스크를 보고 맘에 들면, 통신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U-TOC데이터를 고쳐쓰고, 그 곡의 음악데이터를 구입한다.
이와 같은 디스크의 배부에 의한 선전광고는, 가두나 매스미디어에 의한 선전광고 이상으로 효과적이다. 또 사용자는, 통신으로 음악데이터를 직접 구입할 수 있으므로, 콤팩트디스크 등의 판매를 행하는 점포에 나갈 필요는 없게된다. 따라서, 음악데이터를 공급하는 측과 음악데이터를 구입하는 측과의 쌍방에 이익이 생긴다고 고려된다.
음악데이터를 통신으로 구입할 때에, 서버 등의 데이터를 공급하는 측에서 보내지는 데이터는 U-TOC데이터 등의 데이터이다. TOC데이터는 모든 데이터를 포함하여도 9k바이트 이하이기 때문에, 데이터의 다운로드는 단시간으로 종료할 수 있다.
2. 시스템의 다른 예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스템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술의 도 6에 나타낸 예에서는, 디스크에 미리 기록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재생의 가/불가를 음악데이터의 관리데이터로서의 TOC데이터가 완전한 것인지, 불완전한 것인지에 의해 결정하도록 하고 있고, 이것에 의해, 서버에서 다운로드되는 데이터를 감소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예에서는, 미리 음악데이터가 기록된 디스크의 재생의 가/불가를 부과금정보에 의해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도 9a 및 도 9b에 있어서, 서버(101)는 서비스제공을 행하는 정보센터 측의 서버이며, 서버(101)는 통신망을 거쳐서 사용자의 자택 등에 설정된 부과금처리기(102)에서 보내져오는 정보에 의거하여, 부과금처리를 행하고 있다. 서버(101)와 부과금처리기(102)와는, 통신망(103)을 거쳐서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통신망(103)으로서는 전용의 통신회선을 사용하여도 좋고,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망을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휴대단말장치(104)는, 음악데이터의 기록 또는 재생을 행하는 것으로, 이 휴대단말장치(104)는 음악데이터를 기록 또는 재생하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기록 또는 재생되는 오디오신호를 처리하는 회로 등을 가지고 있다.
정보판매기(105)는 음악데이터를 판매하기 위한 장치이고, 이 정보판매기(105)에는 다수의 음악데이터가 축적되어서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을 가진다. 이 정보판매기(105)는, 서비스의 제공자에 의해 레코드점이나 편의점의 점포앞, 가로 등에 설치된다.
사용자는 정보판매기(105)에서 사용자가 소망으로 하는 음악데이터를 구입하고, 이 음악데이터를 휴대단말장치(104)에 보존하여, 보존, 기억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재생을 즐긴다. 사용자가 서비스를 받는 경우에는, 사용자는 휴대단말장치(104)와 부과금처리기(102)를 구입하고, 서비스의 제공자, 즉 정보센터를 운영하는 회사 혹은 개인과의 사이에서 계약을 체결한다. 계약이 체결되면, 부과금처리기(102)를 통신망(103)을 거쳐서 서비스제공자가 관리, 운영하는 정보센터의 서버(101)와 접속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자는 음악데이터를 구입할 때에는, 정보판매기(105)가 놓여있는 장소까지 휴대단말장치(104)를 가지고 가서, 휴대단말장치(104)를 정보판매기(105)에 장착한다. 정보판매기(105)에는 다수의 음악데이터가 축적되어 있고, 예를 들면 단말장치(104)가 장착되면, 구입가능한 음악데이터의 리스트나 검색화면이 정보판매기(105)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정보판매기(105)의 조작부를 조작하여, 정보판매기(105)에 축적되어 있는 복수의 음악데이터 중에서 구입하고 싶은 음악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입하고 싶은 악데이터가 결정되고 정보판매기(105)의 조작부가 조작되면, 정보판매기(105), 예를 들면 정보판매기(105)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서 휴대단말장치(104)에, 구입하고 싶다고 지정된 음악데이터가 보내지고, 정보판매기(105)에서 송신되어 온 음악데이터가 휴대단말장치(104)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된다.
이와 같이하여, 음악데이터를 구입하였을 때에는, 그 음악데이터에 대한 부과금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부과금처리를 음악데이터의 구입과 동시 혹은 구입 시에 정보판매기(105) 측에서 행하는 것도 고려되나, 정보판매기(105) 측에서 부과금처리를 행하면, 부과금처리와 음악데이터의 다운로드를 포함한 처리시간이 오래 걸려서, 정보판매기를 이용하는 다른 사용자를 기다리게 하거나, 부정이 행해지거나 하는 것이 고려된다.
이 때문에, 이 예에서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과금을 부과할 경우에는 휴대단말장치(104)를 별도의 부과금처리기(102)에 접속한다. 휴대단말장치(104)를 부과금처리기(102)에 접속하면, 부과금처리기(102)가 통신망(103)을 거쳐서 서버(101)와 접속된다. 부과금처리기(102)를 서버(101)에 접속하여, 정보판매기(105)를 거쳐서 구입한 음악데이터에 통하여, 예를 들면 구입한 음악데이터의 수에 따라서 부과금처리가 행해진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정보판매기(105)는 음악데이터의 제공만을 행하고, 부과금처리는 사용자의 자택 등에 설정된 부과금처리기(102)에서 행하도록 하고 있 다.
즉, 정보판매기(105)에서 휴대단말장치(104)에 보내지는 데이터 중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텐츠데이터(음악데이터)와 함께, 휴대단말장치(104)의 고유의 정보인 단말 ID데이터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ID데이터와, 어떠한 음악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콘텐츠 ID데이터와 부과금정보와가 포함된다. 단말 ID데이터는, 예를 들면 단말장치(104)의 공장출하 시에 단말장치(104)의 RAM에 기입되고, 사용자 ID데이터는 단말장치(104)를 사용자가 구입하였을 때에 RAM에 기입된다. 이 부과금정보에는, 예를 들면 부과금 요구정보와 재생허가정보와가 포함된다.
이와 같이, 부과금정보에는 재생허가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재생허가정보는, 부과금처리를 행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오프, 예를 들면 재생허가를 나타내는 프래그가 서있지 않는 상태가 된다. 재생허가정보가 오프로 되어 있으면, 단말장치(104)에 거둬들여 있는 음악데이터의 재생은 행해지지 않는다.
이 음악데이터를 재생가능으로 하기 위해서는, 휴대단말장치(104)를 각 가정에 있는 부과금처리기(102)에 장착하고, 부과금처리기(102)와 서비스제공자의 서버(101)와의 사이에서 통신을 행하고, 부과금처리를 행할 필요가 있다. 부과금처리가 실행되면 재생허가정보가 온, 예를 들면 재생허가를 나타내는 프래그가 서있는 상태가 되고, 이 장치(104)에서의 데이터의 재생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휴대단말장치(104)와 정보판매기(105)와의 사이는, 휴대단말장치(104)를 정보판매기(105)에, 직접 기계적으로 장착시키는 구성 외에, 휴대단말장치(104) 와 정보판매기(105)와의 사이를 유선이나 무선으로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휴대단말장치(104)와 정보판매기(105)와의 사이도 유선에 의한 접속뿐만 아니라, 무선에 의해 접속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부과금처리기(102)와 서버(101)와의 사이의 통신망(103)에 대해서도, 예를 들면 ISDN이나 전화회선 등의 유선에 의한 통신망 외에, 무선에 의한 통신망을 사용하여도 좋다.
도 11∼도 13은 휴대단말장치(104), 정보판매기(105), 부과금처리기(102)의 각각을 나타내는 기능블록이며, 도 14는 휴대단말장치(104)를 정보판매기(105)에 접속하여 정보판매기(105)로부터의 음악정보를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며, 도 15는 휴대단말장치(104)를 부과금처리기(102)에 장착하여, 부과금처리를 행할 때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휴대단말장치(104)는 정보판매기(105)나 부과금처리기(102)에 접속되고, 정보판매기(105)와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기 위한 통신모듈(121)과,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어 장치(104)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모듈(122)과,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는 정보기록모듈(123)과, 정보기록모듈(123)에서 독출된 음악데이터의 재생처리동작을 행하는 정보재생모듈(124)과, 부과금처리를 행하는 부과금기록모듈(125)로 구성된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보판매기(105)는 휴대단말장치(104)와 접속되고 단말장치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하는 통신모듈(131)과, 연산모듈(132)과, 복수의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등으로 구성되는 정보기록모듈(133)과,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버튼을 표시부 등으로 구 성되어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듈(134)과, 부과금처리기(102)와 함께 부과금처리를 부과금 테이터베이스모듈(135)로 구성된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과금처리기(102)는 서버(101)와 접속되는 통신모듈(141)과, 후술하는 단말장치(104)의 인증처리를 행하거나, 처리기(102)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연산모듈(142)과, 단말장치(104)의 인증처리를 행하기 위한 데이터 등이 기록되어 있는 정보기록모듈(143)과,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듈(144)과, 정보재생모듈(145)로 구성된다.
도 14에 있어서, 정보판매기(105)에 휴대단말장치(104)를 장착하면, 휴대단말장치(104)의 통신모듈(121)과 정보판매기(105)와의 통신모듈(131)과의 사이의 테이터의 통신이 가능하게 된다(스텝(S21)). 정보판매기(105)는, 이 휴대단말장치(104)가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단말장치인지 어떤지의 인증처리를 단말ID 데이터나 사용자ID 데이터에 의거하여 연산모듈(132)에서 행한다(스텝(S22)). 서비스를 받을 수 없는 단말장치라고 판단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듈(134)을 통해서 에러표시를 정보판매기(105)의 표시부 또는 단말장치(104) 표시부에 행하고, 이후의 처리를 중단한다(스텝(S23)). 정보판매기(105)에 의해 장착된 휴대단말장치(104)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단말장치라고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모듈(134)의 조작부, 예를 들면 조작버튼을 사용하여 구입한 음악데이터를 정보판매기(105)의 표시부에 표시되어 있는 내용에 의거하여 선택한다(스텝(S24)). 이때 휴대단말장치(104)는, 정보기록모듈(123)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 즉 음악데이터와 구입하지 않을려고 하고 있는 음악데이터가, 이미 기록이 끝난 정보인지 어떤지를 연산모듈(122)에서 판단한다(스텝(S25)). 스텝(S25)에서 구입하지 않을려고 하고 있는 음악데이터가, 이미 기록이 끝난 음악데이터라면, 스텝(S23)으로 가서 에러표시를 행하고 처리를 중단한다. 스텝(S25)에서 구입하지 않을려고 하고 있는 음악데이터가 기록제가 아니라면, 통신모듈(121)을 거쳐서 선택된 정보를 정보판매기(105)에 보내고, 휴대단말장치(104)에 구입하지 않을려고 하고 있는 음악데이터의 전송의 커맨드를 보낸다(스텝(S26)). 이때, 부과금기록 데이터베이스(135)의 부과금정보를 정보판매기(105)에서 휴대단말장치(104)의 부과금기록모듈(125)에 보낸다. 휴대단말장치(104)의 정보기록모듈(123)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정보판매기(105)에서 공급된 음악데이터와, 부과금정보와를 기록한다.
도 15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104)를 부과금처리기(102)에 장착하고, 부과금처리를 행할 때의 처리를 행할 때에는, 먼저, 부과금처리기(102)와 휴대단말장치(104)와를 접속한다(스텝(S31)). 이것에 의해 부과금처리기(102)에 휴대단말장치(104)와의 사이에서, 통신모듈(123)과에 의해 상호 데이터의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부과금처리기(102)와 휴대단말장치(104)와를 접속하면, 부과금처리기(102)는 휴대단말장치(104)가 서비스를 받는 것이 가능한 정규의 단말장치인지 아닌지를 단말ID 데이터를 사용하여 인증처리를 행한다(스텝(S32)). 정규의 단말장치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부과금처리기(102)의 표시부에 에러를 표시하고 종료가 된다(스텝(S33)). 스텝(S32)에서 정규의 단말장치라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휴대단말장치(104)의 부과금모듈(125)은 단말장치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에 기록되어 있는 부과금정보를 휴대단말장치(104)에서 부과금처리기(102)에 전송한다. 부과금처리기(102)는 휴대단말장치(104)에서 부과금정보가 보내져오면, 송신되어 온 부과금정보를 부과금처리기(102)의 정보기록모듈(143)의 부과금 데이터베이스와 조합(照合)하고, 이미 부과금이 부과된 정보인지 어떤지를 연산모듈(142)로 체크한다(스텝(S35)). 스텝(S35)에서 아직 부과금이 부과되지 않았다고 판별되었을 때에는, 부과금처리기(102)는 통신모듈(140), 통신망(103)을 거쳐서 서버(101)와 접속하고, 단말장치(104)에서 독출한 부과금정보를 통신모듈(140)을 통신망(103)을 거쳐서 서버(101)에 전송한다. 서버(101)는 부과금처리기(102)에서 송신되어 온 부과금정보에 의거하여, 상술한 도 7의 스텝(S6) 또는 도 8의 스텝(S16)과 동일하게 하여 부과금처리를 행한다(스텝(S36)). 스텝(S36)에서의 부과금처리가 종료되면, 부과금처리기(102)는 휴대단말장치(104)에 부과금처리통지를 보내고, 휴대단말장치(104)는 부과금처리기(102)로부터의 부과금처리통지를 수취하면,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부과금정보의 재생정보를 온, 예를 들면 재생허가를 나타내는 프래그를 세운다(스텝(S37)). 스텝(S37)에서 재생허가정보가 온되면, 휴대단말장치(104)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던 음악데이터가 재생가능하게 된다. 즉, 정보재생모듈(124)에서 음악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스텝(S35)에서 이미 부과금처리가 행해지고 있다고 판단되면, 스텝(S37)으로 뛰어서 음악데이터와 함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부과금정보의 재생허가정보를 온으로 하는 처리, 즉 재생허가를 나타내는 프래그를 세우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4) 의 하드디스크에 기록되어 있는 부과금정보 중의 재생허가정보를 나타내는 프래그를 세우는 처리를 행하거나, 재생허가를 나타내는 부분을 고쳐쓴다.
또한, 상술의 예에서는 부과금정보 중에 재생허가정보를 포함하고, 이 재생허가정보를 온으로 하여 휴대단말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음악데이터의 재생허가로 하도록 하고 있으나, 예를 들면 재생하고저 하고 있는 음악데이터에 대응하여 부과금정보가 기억되어 있을 때에는 그 음악데이터의 재생불가로 하고, 부과금처리가 행해져서 부과금처리가 종료하면, 이 부과금정보를 소거하여 음악데이터를 재생가능으로 하고, 부과금정보가 재생하고저 하고 있는 음악데이터에 없으면, 음악데이터의 재생가능으로 하여도 좋다.
이 휴대단말장치(104)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휴대단말장치(104)의 구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 16에 있어서 휴대단말장치(104)에는, 푸시식 및 회동식의 키로 이루는 입력부(151)가 설치되어 있다. 입력부(151)는 조그다이얼이라고 불리는 회동푸시식의 키, 표시부로서의 LCD결정표시 디바이스 상의 터치패널 등이라도 상관없다. 사용자에 의해 입력부(151)가 조작됨으로써, 동작을 전환하고, 동작개시, 정지를 위한 입력조작신호가 송출되고, 이 입력조작신호에 따라서 단말장치(104)의 동작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단말장치(104)의 하드디스크 드라이브에 기록되는 음악데이터에 대응하는 곡명, 아티스트명 등의 입력을 용이하게 행하기 위해, 적외선 인터페이스 드라이버나, USB(universal serial bus) 드라이버를 거쳐서, 키보드를 단말장치(104)에 부착가능하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휴대단말장치(104)는, 인터페이스(152A 및 152B)를 거쳐서, 정보판매기(105)나 부과금처리기(102)에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인터페이스(152A 및 152B)를 거쳐서, 정보판매기(105)나 부과금처리기(102)와의 사이에서 데이터의 수수를 행한다. 휴대단말장치(104)에는, RAM(155), ROM(156), HDD(hard disk drive)(160)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 등으로 구성되는 제어부(158)에 의해 휴대단말장치(104) 전체의 동작제어가 행해진다. ROM(156)에는, 입력부(151)가 조작됨으로써 입력되는 입력신호에 따라서 제어부(158)가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고, RAM(155)에는 제어부(158)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위에서의 데이터영역, 태스크영역이 일시적으로 확보된다. ROM(156)에는 프로그램로더가 기억되어 있고, 그 프로그램로더에 의해 프로그램 자체가 로드되는 것도 가능하다. HDD(160)에 정보판매기(105)에서 구입한 음악데이터나 상술한 부과금정보가 기록된다. 또한, RAM(155)에는 상술한 단말ID 데이터가 예를 들면 단말장치(104)의 공장출하 시에 기억되어 있는 동시에, 사용자ID 데이터가 예를 들면 단말장치(104)의 구입 시에 기입된다.
HDD(160)에 기록되는 음악데이터는, 인터페이스(152A)를 거쳐서 정보판매기(105)에서 보내진다. HDD(160)에 음악데이터를 기록하는 전처리로서는, 인코더/디코더(162)에 의해 음악데이터가 압축된다. 오디오데이터의 인코드 알고리듬으로서는, ATRAC(상표), MPEG(moving picture coding experts group), PASC(precision adaptive sub-brand coding), TwinVQ(상표), RealAudio(상표), LiquidAudio(상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HDD(160)에 음악데이터를 기록할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장치(104)의 고유의 정보인 단말ID 데이터와,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ID 데이터와, 어떠한 음악데이터인지를 나타내는 콘텐츠ID 데이터와 부과금정보와가 포함되고, 부과금정보에는 부과금 요구정보와, 재생허가정보와가 포함된다.
또, 인코더/디코더(162)에 의해 인코드된 음악데이터가 HDD(160)에 축적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HDD(160)에 축적되도록 하여도 상관없다.
마이크로폰(163)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는, 앰프(164)를 거쳐서 A/D컨버터(166)에 공급된다. A/D컨버터(166)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가 디지털신호로 변환되고, A/D컨버터(166)에서 출력되는 디지털 오디오신호가 인코더/디코더(162)에 공급된다. 인코더/디코더(162)로 A/D컨버터(166)로부터의 디지털 오디오신호가 상술한 각종 압축방식의 어느 방식에서 오디오데이터로 압축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163)에서 입력된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를 인코더/디코더(162)로 압축하여, HDD(160)에 축적할 수도 있다.
재생시에는, HDD(160)에 축적되어 있는 음악데이터 또는 오디오데이터는, 인코더/디코더(162)에 보내져서 인코더/디코더(112)에 의해 디코드되는 신장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더/디코더(162)에 의해 신장된 음악데이터 또는 디지털 오디오신호는, D/A컨버터(167)에 의해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되고, 앰프(168)를 거쳐서 스피커(119)에서 출력된다. 여기서 인코더/디코더(162)는, 음성압축의 인코 드 및 디코드 알고리듬에 대응하기 전의 처리를 행하면 좋으며, 하드웨어를 갖지 않고 제어부(158)에 의한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역의 처리, 즉 신장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이 예에서는, 음악데이터의 다운로드와 부과금처리와가 별도로 행해진다. 이 때문에, 정보판매기(105)에서의 음악데이터의 구입이 원활히 행해지게 된다. 부과금처리가 자택에 있는 부과금처리기(102)에서 행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식별이나 휴대단말장치의 식별 등의 관리가 즐겁게 되고, 부과금처리가 원활히 행해지는 동시에, 부정사용의 방지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상술한 예에서는 기록매체로서 디스크를 사용하는 장치를 들어서 설명하였으나, 디스크 이외에 자기테이프나 반도체메모리를 기록매체로 사용하는 장치나 시스템에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음악데이터 그 자체는 기록되어 있으나, 이 디스크의 TOC데이터를 불완전하게 디스크를 사용한다. TOC데이터가 불완전하면 이 디스크의 음악데이터는 재생되지 않는다. 디스크의 재생을 행할 때에는, 통신에 의해 그 데이터를 재생가능하게 되도록 TOC데이터가 고쳐 써진다.
또 통신으로 음악데이터를 구입할 때에, 음악데이터 그 자체는 기록되어 있으나 부과금이 부과되지 않았을 때에는,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기 위한 신호가 기록되어 있으면, 이 디스크의 음악데이터는 재생되지 않는다. 디스크의 재생을 행할 때에는, 통신으로 부과금처리가 행해진다. 부과금처리가 행해지면, 그 데이터가 재생가능하게 되도록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가 취소된다.
이와 같이, 이 디스크에는 음악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으나, TOC를 불완전한 것으로 하거나,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를 기록하여 놓고, 디스크를 재생되지 않도록 하여 놓는다. 그리고, 이 음악데이터를 재생가능으로 할 때에는, 통신에 의해 이 음악데이터가 재생가능으로 되도록 TOC가 고쳐지거나, 디스크의 재생을 금지하는 신호를 취소하거나 한다.
이것에 의해, 데이터전송시간을 축소하여 고속으로 음악데이터를 다운로드될 수 있도록 하거나, 부과금처리가 스므즈하게 행해져서 부정사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은, 통신망을 사용하여 음악데이터를 취득하는 음악분배 시스템에 사용하여 호적하다.

Claims (31)

  1. 적어도 한 개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에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허가하는 허가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갖추고,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안에, 상기 신호발생부가 상기 기록재생부로 상기 허가신호를 전송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에 관한 목록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목록데이터를 재기입함으로써,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재기입된 목록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목록데이터를 공급하며,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기록재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목록데이터에 대응하는 허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록재생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목록 데이터는 불완전한 목록 데이터이며,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불완전한 목록 데이터를 완전한 목록데이터로 재기입하는 기록재생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허가신호는,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되어 상기 기록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의 완전한 목록데이터인 기록재생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신호발생부가 상기 허가신호를 발생하기 전에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과금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부가 의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에 상기 목록데이터를 공급하고, 상기 과금처리부는 과금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과금처리부가 과금처리를 종료했을 때에,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허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록재생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기록재생부에 접속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장치는 상기 신호발생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과금처리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서버장치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을 추가로 구비하는 기록재생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통신망을 거쳐서 서버장치에 접속되고, 상기 기록재생부에 접속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신호발생부로서 기능하고, 상기 과금처리는 상기 단말장치와 상기 서버장치 사이에서 행해지는 것을 추가로 구비하는 기록재생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부과금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부과금처리부에 부과금처리신호를 공급하므로, 상기 과금처리부는 과금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부과금처리부가 상기 부과금처리를 수행한 후에,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허가신호를 상기 기록재생부에 공급하는 기록재생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부과금처리신호와 재생허가신호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재생허가신호를 재기입하는 기록재생장치.
  11.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로서,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를 기입하고 상기 기억부로부터 데이터를 독출 및 재생하는 상기 기억부를 가지는 기록재생부와,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허가하는 허가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부를 가지는 서버로 구성되며,
    상기 신호발생부가 상기 기록재생부로 상기 허가신호를 전송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록재생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에 관한 목록데이터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목록데이터를 재기입함으로써,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재기입된 목록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기록재생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목록데이터를 공급하고,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기록배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목록데이터에 대응하여 허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록재생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상기 기억부에 저장된 상기 목록 데이터는 불완전한 목록데이터이며,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록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불완전한 목록 데이터를 완전한 목록데이터로 재기입하는 기록재생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에 의해 발생되는 허가신호는 상기 기억부에서 독출되어 상기 기록재생부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의 완전한 목록데이터가 되는 기록재생장치.
  16.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발생부가 상기 허가신호를 발생하기 전에 과금처리를 수행하는 부과금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에 상기 목록데이터를 공급하고, 상기 부과금처리부는 부과금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부과금처리부가 부과금처리를 종료했을 때에,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허가신호를 발생시키는 기록재생장치.
  17. 제 11항에 있어서,
    부과금처리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부과금처리부에 부과금처리신호를 공급하므로, 상기 부과금처리부는 상기 과금처리를 수행하며,
    상기 부과금처리부가 상기 부과금처리를 종료하였을 때에, 상기 신호발생부는 상기 허가신호를 상기 기록재생부에 공급하는 기록재생장치.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데이터와 함께 상기 과금처리신호와 재생허가신호를 기억하고,
    상기 기록재생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허가신호를 재기입하는 기록재생장치.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부는, 상기 기록재생부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서버장치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는 기록재생장치.
  20. 제 19항에 있어서,
    최소한 한 개의 고유한 식별데이터가 상기 단말장치내에 기억되어 있고,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식별데이터를 상기 과급처리부에 공급하며,
    상기 부과금처리부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유효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부과금처리부는 부과금처리를 시작하는 기록재생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부과금처리부에 의해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식별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유효하다고 판단되었을 때에, 상기 부과금처리부는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부과금처리부는 상기 신호발생부로부터 수신된 상기 허가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재생허가신호를 재기입하는 기록재생장치.
  22. 단말장치의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관한 목록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로부터 데이터가 독출되어 재생될 때에, 서버에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목록데이터의 송신요구를 발행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송신요구에 의거하여 상기 단말장치에 의해 재생되는 데이터에 대응하는 목록데이터를 상기 서버가 송신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목록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목록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가 재기입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재기입된 목록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가 재생하도록 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단말장치는 상기 서버에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상기 목록데이터를 공급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수신된 목록데이터에 대응하여 완전한 목록데이터를 상기 단말장치에 공급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재생부가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에, 상기 목록 데이터는 불완전한 목록데이터이며,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때에,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상기 완전한 목록데이터에 근거하여 상기 불완전한 데이터가 재기입되는 데이터 재생방법.
  25.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과금데이터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가지는 단말장치가 부과금처리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부과금데이터를 독출하고,
    상기 기억부로부터 독출된 상기 과금데이터를 상기 과금처리장치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는 서버장치에 송신하여 부과금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부과금처리장치와 상기 서버장치와의 사이에서 부과금처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데이터 재생방법.
  26. 제 2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데이터와 상기 과금데이터와 함께 상기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허가데이터를 기억하고 있으며,
    상기 부과금처리장치와 상기 서버장치와의 사이에서 부과금처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허가데이터는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재생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로 재기입되는 데이터 재생방법.
  27. 제 26항에 있어서,
    데이터가 기억부에 기입될 때에, 상기 허가데이터는,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상기 데이터가 재생되는 것을 금지하는 데이터가 되는 데이터 재생방법.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과금처리장치에 상기 단말장치가 접속되었을 때에,상기 단말장치는 인증처리를 수행하는 데이터 재생방법.
  29. 데이터 기록재생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과금정보를 나타내는 과금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1기억부내에 기억된 최소한 한 개의 데이터를 단말장치의 제 2기억부에 기억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가 부과금처리장치에 접속되면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부과금데이터를 독출하고,
    독출된 부과금데이터를 상기 과금처리장치와 통신망을 거쳐서 접속되는 서버장치에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부과금처리장치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 부과금처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데이터와 부과금데이터와 상기 데이터의 재생허가를 나타내는 허가데이터를 기억하며,
    상기 과금처리장치와 상기 서버와의 사이에서의 과금처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허가데이터가, 상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가 재생되도록 하는 데이터로 재기입되는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에 데이터에 데이터가 기입될 때에, 상기 허가데이터는, 상기 기억부에 기입된 상기 데이터가 재생되지 못하도록 하는 데이터가 되는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KR1020007000392A 1998-05-19 1999-05-19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KR100609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36472A JPH11328851A (ja) 1998-05-19 1998-05-19 端末装置及び再生方法
JP98-136472 1998-05-19
PCT/JP1999/002602 WO1999060569A1 (fr) 1998-05-19 1999-05-19 Appareil d'enregistrement / reproduction, procede de reproduction de donnees et procede d'enregistrement/reproduction de donne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1828A KR20010021828A (ko) 2001-03-15
KR100609070B1 true KR100609070B1 (ko) 2006-08-09

Family

ID=151759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0392A KR100609070B1 (ko) 1998-05-19 1999-05-19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93567B1 (ko)
EP (1) EP1030301A4 (ko)
JP (1) JPH11328851A (ko)
KR (1) KR100609070B1 (ko)
CN (1) CN1149566C (ko)
WO (1) WO19990605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9368B2 (en) * 2000-01-26 2004-12-07 Digimarc Corporation Establishing and interacting with on-line media collections using identifiers in media signals
JP4320817B2 (ja) * 1998-02-09 2009-08-2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記録再生システム、記録再生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380041B2 (en) * 1998-07-30 2013-02-19 Tivo Inc. Transportable digital video recorder system
US6233389B1 (en) * 1998-07-30 2001-05-15 Tivo, Inc. Multimedia time warping system
US7558472B2 (en) 2000-08-22 2009-07-07 Tivo Inc. Multimedia signal processing system
US8577205B2 (en) * 1998-07-30 2013-11-05 Tivo Inc. Digital video recording system
EP1885128A3 (en) 1999-09-20 2008-03-12 Tivo, Inc. Closed caption tagging system
JP2001093226A (ja) * 1999-09-21 2001-04-06 Sony Corp 情報通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情報通信装置および方法
GB2357165B (en) * 1999-12-02 2004-06-16 Internat Federation Of The Pho Copyright protection system and method
JP4507319B2 (ja) 1999-12-17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端末装置、並びに、システムおよびシステムの方法
JP2006099091A (ja) * 1999-12-28 2006-04-13 Sony Corp 携帯型再生装置及び携帯型再生装置の再生方法
EP1670235A1 (en) * 1999-12-28 2006-06-14 Sony Corporation A portable music player
KR100762559B1 (ko) * 2000-01-31 2007-10-01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방법 및 장치와 기록매체 재생권한부여방법
US8812850B2 (en) 2000-03-02 2014-08-19 Tivo Inc. Secure multimedia transfer system
US8171520B2 (en) 2000-03-02 2012-05-01 Tivo Inc. Method of sharing personal media using a digital recorder
US7908635B2 (en) 2000-03-02 2011-03-15 Tivo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ccess to a personal television service
JP2003525550A (ja) * 2000-03-02 2003-08-26 ティーアイヴィオ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パーソナルtvサービスへのインターネット・アクセス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7856485B2 (en) 2000-03-08 2010-12-21 Music Choic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customized media channels
US7076561B1 (en) * 2000-03-08 2006-07-11 Music Choice Personalized audio system and method
JP2001331184A (ja) * 2000-05-22 2001-11-30 Universal Magic Inc 音楽供給方法
US7046956B1 (en) * 2000-06-09 2006-05-16 67 Khz, Inc. Messaging and promotion for digital audio media players
JP2002014683A (ja) * 2000-06-28 2002-01-18 Pioneer Electronic Corp 記録媒体並びにその記録データ作成装置及びデータ復元装置
KR100595717B1 (ko) * 2000-07-28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제어 방법
US20020154558A1 (en) * 2000-09-05 2002-10-24 Yasuhiro Urata Pay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JP2002108350A (ja) 2000-09-28 2002-04-10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音楽配信の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4190742B2 (ja) * 2001-02-09 2008-12-03 ソニー株式会社 信号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2258874A (ja) * 2001-03-01 2002-09-11 Alpine Electronics Inc 音楽試聴方法、システムおよび情報端末、音楽検索サーバ
KR100406630B1 (ko) 2001-03-13 2003-11-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모용 데이터의 기록 및 재생방법과, 그에 따른 기록매체
KR20020072934A (ko) 2001-03-13 2002-09-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데모용 데이터가 기록된 재생전용 광디스크와, 그 재생방법
KR20040000296A (ko) * 2001-04-24 2004-01-03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과금처리를 행하는 정보처리장치 및 그 방법
JP2002324348A (ja) * 2001-04-25 2002-11-08 Sony Corp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装置及びデータ記録方法、並びにデータ再生装置及びデータ再生方法
AU2002349593A1 (en) * 2001-11-29 2003-06-10 Sharp Kabushiki Kaisha Data recording method, data deletion method, data display method, recording apparatus,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CN100515076C (zh) 2002-05-31 2009-07-15 安桥株式会社 网络型内容再现系统
JP4019796B2 (ja) * 2002-05-31 2007-12-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提供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503066B1 (ko) * 2002-09-14 2005-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악 파일 저장 및 재생 장치와 그 방법
KR20040069019A (ko) * 2003-01-28 2004-08-04 박동현 컨텐츠 사용 인증 방법 및 그 시스템
US20040186855A1 (en) * 2003-03-20 2004-09-23 Hiroshi Gotoh Client/server system and method of reproducing information therein
JP3888348B2 (ja) * 2003-11-25 2007-02-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提供システム、再生装置および方法、情報提供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5339615A (ja) * 2004-05-24 2005-12-08 Funai Electric Co Ltd 情報再生システム
JP2006004473A (ja) * 2004-06-15 2006-01-05 Sony Corp コンテンツ記録媒体、再生許可情報取得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装置
JP4438527B2 (ja) 2004-06-18 2010-03-2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管理方法、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管理装置
JP2006129169A (ja) * 2004-10-29 2006-05-18 Toshiba Corp コンテンツ記録媒体補償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記録装置及びコンテンツ再生/記録方法
WO2006055920A2 (en) 2004-11-19 2006-05-26 Tivo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e transfer of previously broadcasted content
JP4609059B2 (ja) * 2004-12-10 2011-01-12 ヤマハ株式会社 コンテンツ・データ利用装置
KR20060094838A (ko) * 2005-02-25 200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로컬 스토리지를 이용한 기록매체 재생방법 및 재생장치
US20070130422A1 (en) * 2005-11-25 2007-06-07 Mediatek Inc. Removable medium access method and related apparatus in an optical disc drive
US8254216B2 (en) * 2009-08-06 2012-08-28 Panasonic Corporation Content dubbing system, content recording apparatus and content dubb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88834B1 (en) * 1990-10-29 2001-02-13 Canon Kabushiki Kaisha Device and metho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image information
DE69122595T2 (de) * 1990-12-27 1997-03-20 Toshiba Kawasaki Kk Aufzeichnungs- und Abspielgerät
DE69222244T2 (de) * 1991-07-18 1998-03-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Magnetisches Aufnahme-/Wiedergabegerät
US5473584A (en) * 1992-01-29 1995-1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2963960B2 (ja) * 1992-01-29 1999-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装置及びディジタル信号記録再生方法
US5574570A (en) * 1992-05-12 1996-11-1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Video signal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rding/reproducing two kinds of video signals carrying different amounts of information
JPH06208760A (ja) * 1993-01-12 1994-07-26 Toshiba Corp データ再生管理システム
JP3141308B2 (ja) * 1993-02-24 2001-03-05 ソニー株式会社 デジタル記録再生装置
IL110891A (en) * 1993-09-14 1999-03-12 Spyrus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ccess to data
US6101070A (en) * 1993-09-30 2000-08-08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information and a cassette for use therewith
US5654516A (en) * 1993-11-03 1997-08-05 Yamaha Corporation Karaoke system having a playback source with pre-stored data and a music synthesizing source with rewriteable data
JPH0845246A (ja) * 1994-07-29 1996-02-16 Sony Corp 記録媒体、再生方法、記録装置、及び再生装置
US5619247A (en) * 1995-02-24 1997-04-08 Smart Vcr Limited Partnership Stored program pay-per-play
JP3458526B2 (ja) 1995-04-28 2003-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5999354A (en) * 1995-05-02 1999-12-07 Sony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reproducing digital data and header information to/from areas of a tape record medium
JP3752266B2 (ja) * 1995-05-12 2006-03-08 株式会社エクシング 通信式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インストール装置
US6324334B1 (en) * 1995-07-07 2001-11-27 Yoshihiro Morioka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hybrid data including text data
JPH0934480A (ja) * 1995-07-19 1997-02-07 Ekushingu:Kk カラオケ装置およびカラオケシステム
US5703859A (en) * 1995-09-01 1997-12-30 Sony Corporation Digital video copy protection system
SG43398A1 (en) * 1995-09-01 1997-10-17 Sony Corp Data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illegal copying
JP3456064B2 (ja) * 1995-09-08 2003-10-14 ソニー株式会社 音声・映像データ記録・再生装置
JP3371187B2 (ja) * 1995-12-04 2003-01-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記録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情報信号複製装置および方法
JP3304032B2 (ja) * 1995-12-08 2002-07-22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09265731A (ja) * 1996-01-24 1997-10-07 Sony Corp 音声再生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装置及び方法、音声録音再生システム、音声データの転送方法、情報受信装置、記録媒体
US6640306B1 (en) * 1997-08-15 2003-10-28 Sony Corporation Data transmitter, data reproduction method, terminal, and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transmitter
US6067541A (en) * 1997-09-17 2000-05-23 Microsoft Corporation Monitoring document changes in a file system of documents with the document change information stored in a persistent log
US6546193B1 (en) * 1997-10-28 2003-04-08 Lg Electronics Inc. Reproduction apparatus for remote rental system and control method of said apparatus
JP2002512412A (ja) * 1998-04-17 2002-04-23 アイオメガ コーポレイション 不正コピー防止のため特定媒体へ電子化保護データを対応づけるシステム
US6516337B1 (en) * 1999-10-14 2003-02-04 Arcessa, Inc. Sending to a central indexing site meta data or signatures from objects on a compute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93567B1 (en) 2006-01-31
EP1030301A4 (en) 2002-07-24
CN1274460A (zh) 2000-11-22
KR20010021828A (ko) 2001-03-15
EP1030301A1 (en) 2000-08-23
CN1149566C (zh) 2004-05-12
WO1999060569A1 (fr) 1999-11-25
JPH11328851A (ja) 1999-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9070B1 (ko) 기록재생장치, 데이터 재생방법 및 데이터기록 재생방법
KR100609503B1 (ko) 데이터 송수신시스템
US7350238B2 (en) Data transfer system, data transfer apparatus, data-recording apparatus, data management method and identifier generation method
US6011761A (en) Downloading compressed audio data from a server and detecting recording inhibiting information
KR100535289B1 (ko) 기록/재생장치,재생장치및기록장치
JP3557721B2 (ja) 記録装置
JP3353382B2 (ja) 記録又は再生装置、及びメモリ制御装置
US20020042777A1 (en) Information distribution system, terminal apparatus, information center, recording medium,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method
US20060294015A1 (en)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sample data to/from a recording medium and sample data containing recording medium
US20040139844A1 (en) Storing apparatus and storing method for music data
US6529290B2 (en) Dubbing apparatus
WO1994029867A1 (fr) Procede de gestion d&#39;un support d&#39;enregistrement
JP4304802B2 (ja) ダビング装置
JPH11312175A (ja) 情報配信システム及び方法
WO2004036573A1 (ja) データ記録媒体、データ記録方法、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配信方法およびデータ配信装置、データ送信方法およびデータ送信装置、ならびに、データ配信システムおよびデータ通信システム
JP3541535B2 (ja) 記録装置、記録再生装置
TW536695B (en) Dubbing apparatus and dubbing method
KR20010070337A (ko) 더빙 장치 및 더빙 방법
US60975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compressed audio data o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compressed audio data
JP5106737B2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システムの制御方法
JP3921783B2 (ja) オーディオダビング装置
JP3493766B2 (ja) 再生装置
JP2003123268A (ja) 記録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レンタルシステム
JP2001357452A (ja) 自動販売機
JP2002330395A (ja) デジタル信号処理装置、デジタル信号処理方法、情報センターおよび配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