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297B1 - 액체연료 연소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연료 연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297B1
KR100606297B1 KR1020027009783A KR20027009783A KR100606297B1 KR 100606297 B1 KR100606297 B1 KR 100606297B1 KR 1020027009783 A KR1020027009783 A KR 1020027009783A KR 20027009783 A KR20027009783 A KR 20027009783A KR 100606297 B1 KR100606297 B1 KR 100606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pply
fuel
supply tank
tank
j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9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9028A (ko
Inventor
쯔다쯔또무
야마사끼가즈오
단노아께미
기따가이또히로시
시로우찌도요까즈
고또마사히꼬
구와하라야스아끼
모리까와마모루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2133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083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75069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103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79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662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79725A external-priority patent/JP38807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7972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5582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179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3558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256532A external-priority patent/JP3856631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9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9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04Feeding or distributing systems us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KFEEDING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0Feeding or distributing other fuel to combustion apparatus
    • F23K5/02Liquid fuel
    • F23K5/14Details thereof
    • F23K5/22Vaporis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Abstract

본체에 탈거가 자유롭게 장착된 급유 탱크(6)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B1)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B2)를 가지는 연소부(B)와, 급유 탱크의 연료를 기화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EP)를 가지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용기를 없애고, 상기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를 접속형성하기 위해서, 급유 탱크측에 송유 조인트(9)와, 그 송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롭게 본체측에 송유 조인트받이(10)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액체연료 연소장치{LIQUID FUEL COMBUSTION DEVICE}
본 발명은, 석유 팬히터 등의 난방기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겨울철의 난방기기로서 석유 팬히터가 일반가정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제119도는, 종래의 석유 팬히터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일부 생략 정면 단면도, 제120도는 그 측면 단면도이다. 제121도는 급유 탱크의 급유캡과 받이구의 단면도이다.
제11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석유 팬히터 본체(101)내부 측방에 접, 등유 등의 액체연료(104)를 미리 주입해서 비축해 두기 위한 급유 탱크(102)가 배치되어 있어서, 그 급유 탱크(102)의 하방에 연결된 연료 탱크(103)에 충분한 양의 액체연료(104)가 공급된다.
상기 연료 탱크(103)에 수용된 액체연료(104)는, 연료 압송용 전자 펌프(105)에 의해 송유 파이프(106)를 경유해서 기화기(107)에 유도된다. 여기에서 기화기(107)에 설치한 기화기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보내져 온 액체연료(104)를 기화시킨다. 109는 연소실이며, 그 저부에는, 버너(108)가 지지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화기(107)에 의해 기화된 연료는, 노즐로부터 기세 좋게 분사되어 연소용 공기와 함께 상기 버너(108)에 도입되어 불꽃구(108a)에서 연소되어, 연소실 (109)내의 공기가 가열된다. 그리고, 제120도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101)배면에 설치된 단상 유도 모터 등으로 이루어지는 팬 모터(110)에 부착한 송풍 팬(111)에 의해, 필터(112)를 통해 흡입한 실내의 공기를 연소실(109)내의 가열된 공기나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취출구(113)로 실내에 뿜어낸다.
한편, 불꽃구(108a)의 약간 상방에 설치한 프레임 센서(114)는 연소불꽃에 의한 불꽃전류를 검지하는 것으로, 미리 설정한 값 이상의 불꽃전류를 검지하면, 상기 팬 모터(11O)에 통전하고, 이것에 따라 송풍 팬(111)이 회전하여, 실내에서 흡입한 공기를 온풍으로서 취출구(113)로 실내에 뿜어낸다. 이 때, 실온 서미스터(115)로 실온을 검지하고, 실온과 설정온도의 온도차에 근거해서 제어장치(도시하지 않음)가 상기 연료 압송용 전자 펌프(105)(제119도 참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액체연료(104)의 기화기(107)에의 공급량을 조절하고, 버너(108)에서의 연소불꽃의 화력을 조절한다.
예를 들면, 실온이 낮을 때에 석유 팬히터의 운전을 개시하면, 기화기(107)에 액체연료(104)의 공급량을 많게 해서 실온을 급속히 설정온도까지 상승시키고, 그 후에는 액체연료(104)의 공급량을 조절해서 설정온도부근에서 일정하게 유지한다.
또한, 제12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102)의 연료의 보급은 급유 탱크(102)를 본체(101)에서 꺼내어, 상하방향을 역으로 하고, 급유 탱크(102)의 밸브부를 가지는 급유캡(116)을 벗겨, 금구(117)로 연료를 주입하고, 연료가 급유 탱크(102)에 공급된 것을 확인한 후, 금구(117)의 나사부에 급유캡(116)을 조이고, 급유캡(116)이 아래가 되도록 뒤집어, 본체(101)에 삽입하고, 연료 탱크(103)의 상면에 부착되어 받이구(118)에 급유캡부(116)를 삽입하고, 연료 탱크(103)위에 얹어 놓는다.
그런데, 종래의 석유 팬히터에서는, 급유 탱크의 연료보급을 위해, 본체에서 꺼내어, 급유캡을 위로 향하게 하기 위해서 급유 탱크를 뒤집을 필요가 있고, 또 연료공급 후, 급유캡을 조이고, 본체에 삽입하기 위해서 또 한번 급유 탱크를 상하방향에서 역으로 시킬 필요가 있어, 취급이 번거롭다.
더욱이, 급유캡의 조임은 금구부와 나사조임으로 되어 있어서, 급유캡의 조임이 불충분할 때에는, 급유 탱크를 뒤집었을 때에 급유캡이 벗겨지거나, 연료가 유출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령자 사회에 있어서, 쥐는 힘의 저하에 의해 나사를 조이는 힘이 떨어져 개선을 요망되어 있다.
또, 연료 탱크에 연료를 공급할 때(유면이 급유구 캡의 밸브부까지 상승하여, 공기의 치환에 의해 정유면을 유지하면서 급유 탱크내의 연료를 공급하기 때문에, 급유구 캡의 밸브부는 항상 연료로 젖고 있는 상태에 있어, 급유 탱크에 연료를 보급하기 위해서 급유캡을 벗길 때에, 손에 연료가 부착되어 나사를 조일 때에 미끄러져 버리는 동시에, 손이 냄새가 나고, 더럽혀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기화기내의 불순물을 공연소 클리닝 할 때에는, 급유 탱크를 본체에서 꺼내어, 급유 탱크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연료 탱크내의 잔유를 펌프 등으로 빼내는 작업이 필요한 점에서 불만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급유 탱크의 연료 보급시에 뒤집지 않고, 손에 연료의 부착이 안되고, 기화기의 공연소 클리닝에서 연료를 빼지 않고서 클리닝할 수 있는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2도는, 급유 탱크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3도는, 마찬가지로 접속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4도는, 빨아 올림관 하단부의 고정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5도는, 급유 탱크의 압력밸브부착 급유캡의 단면도이고,
제6도는, 전자 펌프와 전자밸브가 일체화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3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4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10도는, 마찬가지로 송유 조인트받이의 단면도이고,
제11도는, 마찬가지로 공기밸브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5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13도는, 본원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따른 석유 팬히터의 정면부분 단면도이고,
제14도는, 제13도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도이고,
제15도는, 제14도의 급유 탱크의 개략도이고,
제16도는, 제14도의 급유 탱크의 급유 조인트 인, 급유 조인트 아웃의 부착 구조도이고,
제17도는, 제14도의 급유 조인트 인의 구조도이고,
제18도는, 제14도의 급유 조인트 인과 급유 탱크내의 빨아 올림관의 구조도이고,
제19도는, 제14도의 급유 조인트 아웃의 구조도이고,
제20도는, 제14도의 급유 조인트 아웃과 급유 탱크의 구조도이고,
제21도는, 제15도의 급유 탱크의 압력밸브부착 급유캡의 구조도이고,
제22도는, 제14도의 급유 조인트 인받이와 공기밸브의 구조도이고,
제23도는, 제14도의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의 구조도이고,
제24도는, 제14도의 버너와 기화기의 구조도이고,
제25도는, 제14도의 히트 펌프의 구조도이고,
제26도는, 제14도의 냉각 핀의 구조도이고,
제27도는, (a)는 제14도의 급유 1탱크의 공기밸브를 생략한 급유 조인트 인과 급유 조인트 인받이의 장착 상태도이고, (b)는 받이부(61)의 정면도이고,
제28도는, 제14도의 급유 1탱크의 급유 조인트 아웃과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의 장착 상태도이고,
제29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석유 팬히터의 정면부분 단면도이고,
제30도는, 마찬가지로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구성도이고,
제31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개략도이고,
제32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접속부의 사시도이고,
제33도는, 마찬가지로 송유 조인트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34도는, 마찬가지로 복귀유 조인트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35도는, 마찬가지로 송유측 접속수단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36도는, 송유 조인트받이부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37도는, 마찬가지로 복귀유측 접속수단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38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접속수단의 평면도이고,
제39도는, 마찬가지로 그 정면도이고,
제40도는, 송유 조인트측의 단면도이고,
제41도는, 복귀유 조인트측의 단면도이고,
제42도는, 조인트받이측의 단면도이고,
제43도는, 마찬가지로 그 정면도이고,
제44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석유 팬히터의 정면부분 단면도이고,
제45도는, 마찬가지로 그 작용적 구성도이고,
제46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일부 단면도이고,
제47도는, 제46도의 화살표B-B 단면도이고,
제48도는, 급유 탱크의 흡입구의 일부 단면도이고,
제49도는, 급유 탱크의 압력밸브부착 급유캡의 단면도이고,
제50도는, 급유 조인트 인받이와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와 공기밸브의 단면도이고,
제51도는, 공기밸브의 단면도이고,
제52도는, 급유 탱크의 급유 조인트 인과 급유 조인트 인받이의 장착 설명도이고,
제53도는, 제44도의 화살표A-A 단면도이고,
제54도는, 제53도의 상면도이고,
제55도는, 급유 탱크의 급유 조인트 인과 급유 조인트 인받이의 장착중의 설명도이고,
제56도는, 급유 탱크의 급유 조인트 인과 급유 조인트 인받이의 장착후의 설명도이고,
제57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사시도이고,
제58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상면도이고,
제59도는, 마찬가지로 충격 방지수단을 부설한 경우의 상면도이고,
제60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상면도이고,
제61도는, 마찬가지로 충격 방지수단을 부설한 경우의 상면도이고,
제62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상면도이고,
제63도는, 마찬가지로 충격 방지수단을 부설한 경우의 상면도이고,
제64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1에 따른 석유 팬히터의 정면부분 단면도이고,
제65도는, 마찬가지로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구성도이고,
제66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개략도이고,
제67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접속부의 사시도이고,
제68도는, 마찬가지로 송유 조인트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69도는, 마찬가지로 복귀유 조인트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70도는, 마찬가지로 송유측 접속수단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71도는, 송유 조인트받이부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72도는, 마찬가지로 복귀유측 접속수단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73도는, 급유 탱크의 측면도이고,
제74도는, 마찬가지로 급유구의 구조 단면도이고,
제75도는, 마찬가지로 급유구 개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76도는, 급유 탱크와 재치대의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제77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저부 단면도이고,
제78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물받이 접시 부착구멍을 탱크 내부에서 본 사시도이고,
제79도는, 마찬가지로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제어 회로도이고,
제80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2에 따른 급유 탱크의 급유구부의 사시도이고,
제81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을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측면도이고,
제82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형태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일부 단면도이고,
제83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석유 팬히터의 본체 사시도이고,
제84도는, 제83도의 석유 팬히터의 배면 사시도이고,
제85도는, 제83도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제86도는, 제83도의 본체 정면도로 앞판의 일부를 자른 상태도이고,
제87도는, 제83도의 연소부와 기화부의 개략도이고,
제88도는, 제87도의 기화기의 개략도이고,
제89도는, 제83도의 본체의 연소부의 측단면도이고,
제90도는, 제83도의 본체의 연소부의 정면도이고,
제91도는, 제83도의 급유 탱크의 개략도이고,
제92도는, 제83도의 본체의 탱크측 상면도이고,
제93도는, 제91도의 급유 탱크의 공기구멍 폐색수단의 개략도이고,
제94도는, 제91도의 급유 탱크의 접속 조인트부의 개략도이고,
제95도는, 제94도의 송유측 조인트의 단면도이고,
제96도는, (a)는 송유측 조인트와 빨아 올림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b)는 동도(a)의 A-A단면도이고,
제97도는, 제94도의 복귀유측 조인트의 단면도이고,
제98도는, (a)는 복귀유측 조인트와 복귀관의 조립 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b)는 동도(a)의 B-B단면도이고,
제99도는, 제91도의 급유 탱크의 급유구 폐색수단의 개략도이고,
제100도는, 제91도의 급유 탱크의 물 검지수단 및 연료검지수단의 개략도이고,
제101도는, 급유 탱크의 탱크 장착 검지수단의 개략도이고,
제102도는, 제86도의 급유 탱크측의 검지대의 개략도이고,
제103도는, (a)는 검지대의 물받이 접시측의 전극 레버의 사시도, (b)는 마찬가지로 그 부착 상태도이고,
제104도는, 검지대의 탱크측의 전극 레버의 부착 상태도이고,
제105도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의 개략도이고,
제106도는, 급유 탱크 수납실의 상면도이고,
제107도는, 탱크 가이드와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의 조립 분해사시도이며,
제108도는,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의 정면도이고,
제109도는, 조인트받이부와 배관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며,
제110도는, 연소부측의 송유측 조인트받이와 공기밸브의 개략도이고,
제111도는, 연소부측의 복귀유측 조인트받이의 개략도이고,
제112도는, (a)는 접속 조인트받이부의 공기밸브측의 상면도, (b)는 공기밸브과 조인트받이부의 개략 단면도이고,
제113도는, 급유 탱크, 접속 조인트부, 및 조인트받이부, 및 공기밸브의 연료액위의 관계도이고,
제114도는, 제83도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 제어장치의 블록도이고,
제115도는, 제86도의 탱크 삽입시의 송유측 조인트와 그 조인트받이의 개략도이고,
제116도는, 제86도의 탱크 장착시의 송유측 조인트와 그 조인트받이의 개략도이고,
제117도는, 제86도의 탱크 삽입시의 복귀유측 조인트와 그 조인트받이의 개략도이고,
제118도는, 제86도의 탱크 장착시의 복귀유측 조인트와 그 조인트받이의 개략도이고,
제119도는, 종래의 석유 팬히터의 일부 생략 정면 단면도이고,
제120도는, 마찬가지로 석유 팬히터의 개략적인 측면 단면도이고,
제121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와 받이구의 요부 단면도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본체내에 탈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가지는 연소부와, 상기 급유 탱크의 연료를 상기 기화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와, 상기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를 접속형성하는 제1의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접속부가, 급유 탱크측에 설치한 송유 조인트와, 그 송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본체측에 설치한 송유 조인트받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할 수 있고, 송유 경로의 구성부재를 감소시켜서, 급유 탱크의 취급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 급유 탱크를 연료보급시에 뒤집을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상기 급유 탱크를 상기 연소부로부터의 복귀유 경로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의 접속부는 급유 탱크측에 설치한 복귀유 조인트와 그 복귀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본체측에 설치한 복귀유 조인트받이를 가지는 것에 의해, 연료를 공급 탱크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송유 조인트 또는 상기 송유 조인트, 송유 조인트받이, 및 복귀유 조인트에 송유 경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내장하는 것에 의해, 연소부에의 송유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송유 경로에 설치함으로써, 차단밸브의 제어에 의해 확실하게 연료보급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단밸브는, 송유 경로에 공기를 보내주는 것으로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 밸브이다.
또한, 상기 급유 탱크내의 빨아올림 통로에 접속된 송유 조인트내의 통로를 급유 탱크내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급유 탱크에 연료가 만량 상태여도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유 탱크와 송유 펌프를 연결하는 연료통로는, 역U자형으로 세워올려진 세워올림 통로를 형성하고, 그 세워올림 통로의 상단이 급유 탱크내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급유 탱크에 연료가 만량 상태여도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워올림 통로를 본체측에 형성하고, 상기 차단밸브가 상기 세워올림 통로의 통로 상단에 배치함으로써, 급유 탱크에 연료가 만량 상태여도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유 탱크측의 복귀유 조인트의 연료통로의 출구를,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하거나, 또는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이 되도록 상방을 향해서 배치함으로써, 급유 탱크에 연료가 만량 상태여도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밸브의 공기 도입구를,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한 것이라도 급유 탱크에 연료가 만량 상태여도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급유 탱크의 상면에 공기구멍을 설치하는 것으로 온도상승에 의한 급유 탱크내의 압력상승을 막을 수 있고, 탱크 전도시에 그 공기구멍을 폐색하는 폐색기구를 설치함으로써, 탱크 전도시의 공기구멍으로부터의 연료누설을 막을 수 있다.
상기 복귀유 경로의 통로 내경을, 송유 경로의 통로 내경보다도 크게 함으로써, 배관내의 연료를 재빨리 급유 탱크로 되돌릴 수 있다.
상기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할 때에, 급유 탱크는 한 방향으로 밖에 본체에 장착할 수 없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급유 탱크 장착시에 있어서 다른 부품을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유 탱크측의 송유 조인트 및 복귀유 조인트가 일체화되어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를 구성하고, 본체측의 송유 조인트받이와 복귀유 조인트받이가 일체화해서 본체측 조인트받이부를 구성함으로써, 제1, 제2의 접속수단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조립 가공수를 적게 할 수 있다.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의 배치개소는, 급유 탱크의 상방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급유 탱크는 본체의 상방에서 탱크 수용실로 삽입했을 때에, 조인트부와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가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급유 탱크에 있어서, 송유 조인트부의 하방으로는 전혀 기능부품을 배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실질적으로 송유 조인트부는 급유 탱크의 외면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고, 급유 탱크의 투영면적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급유 탱크는, 평면시로 U자형의 탱크부재와 평판상의 탱크부재를 접합해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급유 탱크의 투영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급유 탱크의 접합 가공면과 반대측에서 역U자형의 탱크부재의 일부를 안쪽으로 후퇴시켜서, 그 오목부에 조인트부를 배치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또한, 급유 탱크의 조인트부에는, 급유 탱크내로부터의 빨아올림 통로용의 배관이나 연료를 탱크내로 되돌리는 복귀 배관을 접속할 필요가 있지만, 이들 급유 탱크안으로의 배관을 위치 결정해서 조인트부에 접속하는 수단을 조인트부에 설치하면, 특별한 지그없이 배관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에 급유 탱크내의 배관을 접속하는 수단으로 체결하도록 하면, 배관의 접속가공이 용이하고 가공 스페이스가 작아서 좋아진다.
본체측 조인트받이부는,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와 그 차단밸브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가지고,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는, 충격을 방지하는 쿠션 커버를 가지고,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양 커버를 탱크 삽입용 가이드로 하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의 장착시에 커버에 보호기능과 삽입 가이드 기능을 겸용할 수 있다.
상기 급유 탱크내의 물을 검출하기 위해서, 급유 탱크 저면에 설치된 물받이 접시에 접촉하는 제1의 전극과, 급유 탱크에 접촉하는 제2의 전극을 구비한 물 검지부를 가지고, 상기 양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검지대에 있어서 한쪽 고정되는 동시에 그 고정부 이외에 지점을 가짐으로써, 전극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상기 연소부에서 제2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복귀유 경로에, 일차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용기나,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설치함으로써, 기화기로부터의 복귀 연료를 냉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유 탱크의 형상에 대해서 언급하면, 급유 탱크의 기체내 장착시에 급유 탱크측의 제1의 접속부, 및/또는, 제2의 접속부를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예를 들면, 탱크 운반시에 전도되었다고 하더라도, 이들 접속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들 접속부에 충격 방지수단이 부설된 구성의 경우에 있어서도, 충격 방지수단을 포함시켜서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호적하다.
여기에서, 접속부 등을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한다는 것는, 예를 들면, 급유 탱크의 인접하는 측면끼리 서로 교차해서 형성되는 능선으로부터 측면을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있어서 거의 3각형이나 거의 직사각형의 공간영역을 형성하고, 이 공간영역에 접속부 등을 배치하는 것, 또는, 급유 탱크의 측면에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오목부내에 접속부 등을 배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접속부 등에는, 공기밸브 등, 급유 탱크에 부설되는 다른 부재도 포함하고, 이것들을 포함해서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상기 급유펌프에의 연료의 빨아 올림 통로를 급유 탱크내에 고정하는 부재를 설치함으로써, 운반시에 있어서의 빨아 올림 통로와 급유 펌프 내벽의 접촉을 막고, 상호의 손상을 막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의 접속부, 및/또는, 제2의 접속부를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급유 탱크의 연료가 넘쳐 나올 수가 없다.
또한, 상기 급유 탱크에는, 급유펌프에 보내는 연료를 빨아 올리는 빨아 올림관을 설치하고, 상기 빨아 올림관의 연료흡인용 흡인구를 급유 탱크내의 하부근방에 위치시킴으로써, 낭비없이 연료의 흡인을 할 수 있다.
또, 제1의 접속부와 제2의 접속부에는, 급유 탱크측과, 연소부측에 서로 이접가능한 안내용 가이드부재를 설치함으로써, 본체와의 접속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하도록 하고, 송유 경로의 구성부재를 감소시켜서, 급유 탱크의 취급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 급유 탱크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설치하고, 급유 탱크를 연료보급시에 뒤집을 필요를 없앴다.
이 경우의 연소방식으로서는, JISS3030에 규정하는 포트식, 압력 분무식, 회전 안개화식, 제트 분무식, 기화식 중 어느 연소방식이라도 적용가능하다. 포트식이란, 연료를 증발접시에 의해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가 일체화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압력 분무식이란, 연료를 압력에 의해 안개화하여, 증발연소시키는 방식으로, 기화부와 연소부가 일체가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회전 안개화식이란, 연료를 원심력에 의해 안개화하여, 증발연소시키는 방식을 말한다. 제트 분무식이란, 연료를 공기분류에 의해 안개화하여, 증발연소시키는 방식으로 기화기와 연소부가 일체가 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기화식이란 연료를 기화실 또는 기화기로 증발시키는 방식으로, 기화부와 연소부가 구분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이것들 중, 특히, 기화부와 연소부가 일체화된, 상기 포트식, 압력 분무식, 회전 안개화식 및 제트 분무식의 연소방식에 호적하게 이용된다. 즉, 장치본체내에 탈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가 일체화된 연소부와, 급유 탱크의 연료를 기화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를 구비한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직접 송유방식의 액체연소장치에 있어서는, 종래와 같이, 연료 탱크에서 일단 연료를 모아두는 방식이 아니므로,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에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설치하고, 연소부에의 송유를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 호적하다.
또한, 기화부와 연소부가 일체화된 연소방식의 경우, 기화부에서 연료를 되돌릴 필요가 없으므로,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에 급유 탱크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이 있으면 충분한다. 이 접속수단으로서는, 급유 탱크측의 송유 조인트와, 연소부측의 송유 조인트받이로 구성하는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또, 송유 조인트에 밸브기구를 설치하고,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밸브 개방 상태로 되고, 급유 탱크를 본체로부터 탈거했을 때에 밸브 폐쇄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면, 탱크 탈거시에 급유 탱크내의 연료가 샐 우려가 없고, 또한 탱크 장착시에 있어서는, 확실하게 송유 경로가 개방상태가 된다.
이 차단밸브는 송유 경로에 있어서 급유 탱크와 송유 펌프를 연결하는 통로의 도중, 또는 송유 펌프와 연소부를 연결하는 통로의 도중의 어디에 배치해도 좋다. 또, 차단밸브는 송유 경로를 차단하는 기능이 있으면, 어떠한 구조의 것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전자밸브나 공기밸브를 예시할 수 있다. 전자밸브는, 전자 펌프 등으로 구성되는 송유 펌프와 일체화되고, 공간 절약화와 송유 경로의 접속시의 가공공정의 단축화를 꾀할 수도 있다.
공기밸브는, 송유 경로에 그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를 받아들이기 위해서 설치되는 것이며, 송유 경로에 있어서 적당한 개소에 배치가능하지만, 접속수단의 송유 조인트받이에 병치하면, 그 밖의 경로에 배치할 경우에 비해서 배관접속공정도 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공기밸브는, 급유 탱크의 연료가 만량 상태에서 공기밸브로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탱크 연료의 만량 액면보다도 높은 위치에 설치하는 것이 호적하다.
송유 펌프의 배치는, 접속수단보다도 연소부측에 배치하는 구성, 또는 접속수단보다도 급유 탱크측에 배치하는 구성 등, 송유 경로의 적당한 개소에 설정할 수 있다.
한편, 급유 탱크내의 연료를 송유 펌프에 빨아 올리는 빨아 올림 통로는, 급유 탱크의 저면부까지 도달할 만큼 긴 것이 되기 때문에, 이 통로를 움직이지 않도록 급유 탱크내에 고정하는 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또, 급유 탱크는, 상하역전시키지 않고서 주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급유 탱크의 상부에 연료를 주입하는 급유구와, 급유구를 폐색하는 급유캡을 구비한 구성이 바람직하고, 또한, 급유캡에 탱크내의 압력을 빼는 밸브기구를 설치하여, 탱크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탱크 내압이 상승해서 연료가 넘치지 않도록 구성하는 것이 호적하다.
즉, 본원 발명은, 기체내에 탈거가 자유로운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급유 탱크의 연료를 기화기에 보내는 전자 펌프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구비하고, 상기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용기를 없앤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 상기 급유 탱크에 연료를 주입하는 급유구와, 급유구를 폐색하는 급유캡과,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전자펌프에의 연료의 빨아올림 통로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고, 접속수단을 통해 급유 탱크와 전자 펌프를 경유해서 기화기로 연이어 통하게 한 연료경로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한, 상기 급유 탱크와 상기 전자 펌프를 연결하는 통로의 도중에 공기밸브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 상기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전자 펌프의 연료의 빨아올림 통로를 접속하는 접속수단에, 연료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한, 상기 기화기로부터 급유 탱크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고, 접속수단을 통해서 기화기와 급유 탱크를 연이어 통하게 한 연료의 복귀 통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 상기 기화기로부터 급유 탱크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가지고, 접속수단을 통해서 기화기와 급유 탱크를 연이어 통하게 한 연료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기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한, 상기 기화기와 급유 탱크를 연이어 통하게 한 연료의 복귀 통로의 도중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용기의 히트 펌프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 상기 급유 탱크에 압력을 빼는 밸브기구와 뚜껑을 겸한 급유캡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의 급유 조인트를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 상기 급유 탱크의 내측에 접속수단의 급유 조인트에 연이어 통하는 통로를 설치하고, 통로의 선단에 먼지 제거용 필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한, 운전정지중에, 상기 공기밸브를 개구하여, 기화기에 퇴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화기의 공연소 클리닝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 상기 기화기로부터 히트 펌프에 연료를 되돌리는 연료통로의 도중에 통로내의 연료를 냉각시키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내의 연료를 직접 연료부에 송유하도록 하여, 급유 탱크의 급유구 캡이 연료에 의해 젖지 않도록 했다.
이 경우의 급유 탱크에는, 그 상부에 설치한 연료주입용 급유구와, 이 급유구를 폐색하는 급유캡과,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송유펌프에의 연료의 빨아올림 통로와 접속하는 제1의 접속수단을 구비하고, 이 접속수단을 통해서 급유 탱크와 송유 펌프를 경유해서 기화기에 연이어 통하는 송유 경로를 형성하도록 하면, 급유 탱크를 뒤집지 않고서, 연료의 보급과 본체에의 장착을 행할 수 있다.
이 제1의 접속수단은, 급유 탱크측의 송유 조인트와, 이 송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연소부측의 송유 조인트받이로 구성하고, 송유 조인트에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시에 밸브를 열고, 급유 탱크를 본체로부터 탈거했을 때에 밸브를 닫는 밸브기구를 설치하면, 탱크를 본체로부터 탈거할 때에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송유 조인트받이에도 같은 밸브기구를 설치하고, 탱크의 본체 장착시에 서로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하는 형태도 채용가능하다.
또, 기화기로부터 급유 탱크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수단을 설치하고, 이 제2의 접속수단을 통해서 기화기와 급유 탱크를 연이어 통하게 한 연료의 복귀유 경유를 형성하면, 기화기로부터의 미연가스를 급유 탱크로 되돌릴 수 있다.
이 제2의 접속수단은, 급유 탱크측의 복귀유 조인트와, 그 복귀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연소부측의 복귀유 조인트받이로 구성하고, 복귀유 조인트에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시에 밸브를 열고, 급유 탱크를 본체로부터 탈거했을 때에 밸브를 닫는 밸브기구를 설치하면, 상기 제1의 접속수단과 마찬가지로, 탱크를 본체로부터 탈거할 때에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복귀유 조인트받이에도 같은 밸브기구를 설치하고, 탱크의 본체 장착시에 서로 밸브가 열리도록 구성하는 형태도 채용가능하다.
또, 이들 제1의 접속수단, 및/또는, 제2의 접속수단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충격 방지수단을 설치해서 접속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제1의 접속수단 및 제2의 접속수단이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하면, 탱크 만량 상태의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급유 탱크와 송유 탱크를 연결하는 송유 경로의 도중에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확실하게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차단하는 수단으로서는, 전자밸브나 공기밸브를 예시할 수 있다. 공기밸브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공기를 받아 들이는 것이며, 그 배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제1의 접속수단의 송유 조인트받이에 배치하는 것이 호적하다. 이 공기밸브에 대해서도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하면, 탱크 만량 상태의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접속수단에 급유 탱크내의 압력을 조정하는 압력밸브기구를 설치하면, 탱크 내압이 내려가서 탱크내에서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압력밸브기구는, 장치본체에 급유 탱크를 장착하고, 급유 탱크와 접속했을 때에 밸브를 열고, 급유 탱크를 본체에서 꺼냈을 때에 밸브가 열리도록 설정하면, 본체 장착시에 자동적으로 밸브가 열려서 탱크 내압을 조절할 수 있고, 또, 본체 탈거시에는 자동적으로 밸브가 닫히기 때문에, 탱크내에서 연료가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급유 탱크로부터 송유 펌프에의 연료의 빨아올림 통로를 급유 탱크내에 고정하는 수단을 설치하여, 빨아 올림 통로를 움직이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본체내에 탈거가 자유로운 연료를 비축하는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연소시키는 연소부를 구비하고, 상기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연소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에 직접 송유하도록 하여, 연료경로의 구성부재를 감소시켜서, 급유 탱크의 취급성이 양호해지도록 했다.
급유 탱크로부터 송유 펌프의 사이에는, 급유 탱크를 기체내에 장착시에,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송유 펌프에 연료를 보내는 빨아 올림 통로를 접속하는 제1의 접속수단을 가지는 구성으로 하여, 급유 탱크를 연료보급시에 뒤집을 필요를 없앴다. 이 급유 탱크와 송유 펌프를 연결하는 통로의 도중에 공기밸브를 설치하면, 공기밸브의 작동에 의해, 급유 탱크와 송유 펌프를 연결하는 연료경로가 차단된다. 또한, 송유펌프에의 연료의 빨아 올림 통로를, 급유 탱크내에 고정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탱크내에서 빨아올림 통로가 움직이지 않도록 해서 빨아 올림 통로를 변형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연소부는,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기와, 이 기화기로 기화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구비한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 기화기를 사용한 연소방식에서는, 기화기로부터 급유 탱크의 사이에 연료를 되돌리는 통로를 설치하고, 이 통로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부를 급유 탱크에 설치하면, 급유 탱크로부터 송유펌프에의 연료 누설이 일어나지 않는다. 이 복귀 통로에는,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히트 펌프나, 통로내의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수단을 설치하면, 기화기로부터의 복귀 연료를 냉각 액화할 수 있다.
또, 제1의 접속수단과 제2의 접속수단에는, 급유 탱크를 기체로부터 탈거시에, 연료의 흐름을 차단하는 밸브기구를 설치하면, 급유 탱크의 접속수단에서 연료가 새지 않는다. 이 제1의 접속수단과 제2의 접속수단을 일체화하여, 구성부품 가짓수를 적게 해서 콤팩트화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의 접속수단과 제2의 접속수단의 주위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수단을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제1의 접속수단, 및/또는, 제2의 접속수단을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하면, 급유 탱크의 연료가 넘쳐 나오지 않는다. 제1의 접속수단과 제2의 접속수단에는, 급유 탱크측과 기체측에 서로 이접가능한 안내용 가이드 수단을 설치하면, 본체의 접속수단을 받는 쪽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다.
한편, 급유 탱크에는, 송유펌프에 보내는 연료를 빨아 올리는 빨아 올림관을 설치하고, 빨아 올림관 연료흡인용 흡입구는, 급유 탱크내의 하부근방에 위치한 것에 의해, 빨아 올림관에의 연료의 흡입이 좋아진다. 더욱이, 빨아 올림관의 연료흡입용 흡입구에 먼지 제거용 필터를 설치하면, 빨아 올림관에의 먼지나 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급유 탱크에 연료를 주입하는 급유구를 폐색하는 급유캡에는, 급유 탱크내의 공기압을 빼는 밸브기구를 설치함으로써, 급유 탱크의 온도차에 의한 공기의 압력팽창에 의한 연료넘침의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연료의 연소운전 정지중에, 공기밸브를 개구함으로써 기화기에 연료를 대신해서 공기를 보내고, 기화기에 퇴적된 불순물을 공연소하는 기화기의 공연소 클리닝 기능을 가짐으로써, 연료를 빼지 않고서 클리닝을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내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하도록 하여, 급유 탱크의 급유구 캡이 연료에 의해 젖지 않도록 하는 동시에, 연료 탱크의 폐지에 따라 요구되는 여러 가지 기능을 급유 탱크에 부가하도록 했다.
급유 탱크내의 연료 떨어짐을 재빨리 검지하기 위해서 급유 탱크의 연료의 양을 검지하는 연료량 검지수단을 설치하는 구성이나, 급유 탱크내에 발생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 검지수단을 설치해서 급유 탱크내의 물이 연소부에 공급되는 것에 의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구성이나,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의 유무를 검지하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을 설치하여, 탱크가 장착되지 않으면 운전을 개시할 수 없도록 하는 구성을 채용했다.
이 경우의 연료량 검지수단, 물 검지수단, 나아가서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은, 탱크의 어느 개소에 설치해도 좋지만, 연료 및 물의 물성 또는 검지 기능성을 고려하면, 탱크의 저면측에 설치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연료량 검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탱크 내부에 배치된 자석부착 플로트와, 이 자석의 접근·이간 동작에 따라 ON·OFF하도록 하는 탱크 재치대측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를 구비한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물 검지수단으로서는, 결로한 물을 모으기 위해서 도전성의 탱크 저면에 설치된 도전성의 물받이 접시와, 그 물받이 접시에 접촉하는 전극과, 급유 탱크와 접촉하는 전극과, 물받이 접시와 급유 탱크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를 구비하고, 물받이 접시에, 저류되는 물과 연료의 전기 저항치의 차이에 의해 물의 검지를 행하도록 하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받이 접시는, 물 검지를 정밀도 높게 행하기 위해서, 탱크와 별체로 형성해서 탱크 저면의 설치구멍에 전기 절연체를 통해 부착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그 소재는 도전성 재료로 구성되지만, 스테인레스 강판을 사용하면, 녹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호적하다.
전기 절연체로서는, 탱크의 저면에 형성된 구멍의 주벽과, 물받이 접시의 주위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력이 있는 비도전성의 패킹을 예시할 수 있다. 이 패킹에는 발수 처리를 하면, 배수한 후라도 물이 모이기 어렵게 되어,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물받이 접시 및 탱크에 각각 접촉하는 전극은, 탱크 외측의 예를 들면 탱크 재치대에 설치하고, 각각의 전극에 물받이 접시 및 탱크를 접촉시키는 구성이 전극배치상으로도 호적하다. 이 경우, 물받이 접시와 탱크가 가장 접근한 위치가 선단전극으로서 기능하고, 이 사이에 저류되는 물 또는 연료의 저항치의 차이에 의해 물검지를 행한다. 이 때, 물받이 접시를 부착하는 탱크측의 구멍의 일부에 세폭상으로 선단이 예각이 된 침부를 설치하고, 이 부분을 탱크측 선단전극으로서 기능시키고, 또한, 물받이 접시의 일부를 비도전성 도료를 도포하는 것에 의해, 물의 검지를 보다 정밀도 높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 접시를 부착하는 탱크측에, 물받이 접시를 가드하는 가드 수단을 부착하면, 본체에서 탱크를 꺼내서 급유할 때에, 물받이 접시에 상처나 타흔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탱크 장착 검지수단은, 예를 들면, 탱크 재치대의 상면에 설치된 마이크로 스위치나, 탱크 저면에 설치된 자석 및 탱크 재치대상의 리드 스위치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연료량 검지수단, 물 검지수단, 및 탱크 장착 검지수단으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해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제어할 경우, 제어부에서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이 OFF(탱크 없음)일 때에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나, 마찬가지로 ON일 때에 기화기를 공연소하는 운전모드를 구동하는 제어도 할 수 있다. 또, 탱크 장착 검지수단이 ON상태에서,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 검지수단이 0FF상태(연료 있음)일 때에, 운전개시가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운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더욱이, 탱크 장착 검지수단이 ON상태(탱크 장착상태)에서,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 검지수단이 ON상태(연료 없음)일 때에는,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가 가능하고, 또는 연료량 검지수단의 ON상태에서 표시부에 급유보고하는 제어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는, 본체내에 탈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구비한 연소부와, 급유 탱크의 연료를 기화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를 구비하고,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급유 탱크를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에 접속하는 제1의 접속수단을 설치하고,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하도록 한 것이다.
이 구성에 따르면, 급유 탱크에의 연료보급시에 뒤집지 않아도 연료를 보급할 수 있게 하고, 또, 연료 탱크의 폐지에 의해, 그 용적분만큼 급유 탱크를 크게 하거나, 또는 본체의 크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부가해서,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급유 탱크를 연소부로부터의 복귀유 경로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수단을 설치하면, 기화기로부터의 연료를 급유 탱크로 되돌릴 수 있다. 이 경우, 복귀유 경로의 통로배관의 내경을 송유 경로의 통로배관의 내경보다도 크게 설정하면, 배관내의 연료를 재빨리 급유 탱크로 되돌릴 수 있다.
송유 경로 및 복귀유 경로의 2개 경로를 가지는 경우, 제1의 접속수단으로서, 급유 탱크측의 송유 조인트와 이것에 착탈이 자유로운 연소부측의 송유 조인트받이로 구성하고, 또, 제2의 접속수단으로서, 급유 탱크측의 복귀유 조인트와 이것에 착탈이 자유로운 연소부측의 복귀유 조인트받이로 구성한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리고, 급유 탱크측의 송유 조인트 및 복귀유 조인트를 일체화해서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로 하고, 또, 연소부측의 송유 조인트받이와 복귀유 조인트받이를 일체화해서 연소부측 조인트받이부로 하면, 조인트부 및 조인트받이부가 콤팩트해지고, 조립이나 가공수가 적어진다.
이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의 배치개소는, 급유 탱크의 상방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급유 탱크는 본체의 상방에서 탱크 수용실로 삽입했을 때에, 조인트부와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가 접속하는 구성을 채용한 경우, 급유 탱크에 있어서, 송유 조인트부의 하방에는 전혀 기능부품을 배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실질적으로 송유 조인트부는 급유 탱크의 외면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급유 탱크의 투영면적이 커진다. 일반적으로 급유 탱크는, 평면시로 U자형의 탱크부재와 평판상의 탱크부재를 접합해서 형성되는 것이기 때문에, 급유 탱크의 투영면적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급유 탱크의 접합 가공면과 반대측에서 역U자형의 탱크부재의 일부를 안쪽으로 후퇴시켜서, 그 오목부에 조인트부를 배치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또한, 급유 탱크의 조인트부에는, 급유 탱크내에서의 빨아올림 통로용 배관이나 연료를 탱크내로 되돌리는 복귀 배관을 접속할 필요가 있지만, 이들 급유 탱크안으로의 배관을 위치 결정해서 조인트부에 접속하는 수단을 조인트부에 설치하면, 특별한 지그없이 배관의 위치 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에 급유 탱크내의 배관을 접속하는 수단으로 체결하도록 하면, 배관의 접속가공이 용이하고 가공 스페이스가 작아서 좋아진다.
한편,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에 있어서는, 연소부와의 사이에 송유 펌프가 설치되어 있지만, 이 송유 펌프를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와 거의 동일면에 있어서 동일부재에 고정하면, 양자의 조립·검사나 치수관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급유 탱크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급유 탱크의 탈거시에 조인트부 및 조인트받이부에서 확실하게 연료를 차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에 있어서 송유 조인트 및 복귀유 조인트에 밸브기구를 내장하고, 연소부측 조인트받이부에 있어서 밸브기구를 내장하여, 송유 경로 및 복귀유 경로에 있어서의 연료누설을 방지하도록 하면 좋다.
이 경우,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에 있어서는, 그 송유 조인트받이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의 양쪽에 밸브기구를 내장하는 구성, 또는, 송유 조인트받이의 근방에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나 송유 펌프가 있는 경우, 송유 조인트받이에 밸브기구를 설치하지 않고서 복귀유 조인트받이에만 밸브기구를 내장시키는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가능하다.
이 밸브기구를 접속 조인트부 및 그 조인트받이부의 연료통로에 짜 넣을 경우, 밸브기구를 짜 넣기 위한 개구와, 이 개구를 폐색하는 폐색부(밸브 캡)를 설치하고, 이 폐색부를 개구에 나사식으로 붙이는 구성, 또는 다른 고정부재에 의해 빠져 나오기 불가능하게 폐색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지만, 다른 형태으로서, 접속 조인트부 및 그 조인트받이부는 각각 급유 탱크 및 연소부에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되므로, 이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폐색부를 개구로부터 빠져 나오기 불가능하게 유지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의 폐색부의 나사가공이나 다른 고정부재가 불필요해지는 데다가, 짜넣기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고정수단을 이용한 폐색부의 유지형태는, 접속 조인트부와 그 조인트받이부의 어느 쪽이든 한쪽 또는 양쪽에 채용가능하다.
또한, 송유 경로의 도중에,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를 설치하고, 연료가 연소부측에 부주의하게 보내지지 않도록 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차단밸브로서는, 송유 경로를 직접 차단하는 구성의 밸브기구, 또는 송유 경로를 외기에 개방하는 공기밸브를 이용한 구성의 어느 것이라도 채용가능하지만, 기구상에서 공기밸브를 이용한 방식이 호적하다.
또, 송유 경로로부터의 연료누설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유 탱크내의 빨아올림 통로에 접속된 송유 조인트의 통로를 급유 탱크내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이 되도록 배치하는 구성이나, 공기밸브의 공기 도입구를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또한, 급유 탱크와 송유 펌프를 연결하는 연료통로를 U자형으로 세워올리고, 그 통로 상단을 급유 탱크내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이 되도록 배치하면, 급유 탱크의 연료가 송유 펌프측에 부주의하게 보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세워올림 통로는, 연소부측 배관의 적절한 개소에 설정가능하지만,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에 형성하고, 또한, 차단밸브를 세워올림 통로의 통로 상단에 배치하면, 배관을 만곡시키는 스페이스가 불필요해지고, 콤팩트한 조인트받이부에서 연료의 공급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복귀유 경로에 있어서, 급유 탱크내의 연료가 온도상승에 의해 액위가 높아져서 복귀유 경로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급유 탱크측의 복귀유 조인트의 연료통로 및 급유 탱크측의 배관출구를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하는 구성이 호적하다. 구체적으로는, 복귀유 조인트의 급유 탱크측의 배관출구를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이 되도록 상방을 향해서 배치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급유 탱크에는, 탱크 내압이 부압이 되지 않도록 해서 연료의 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 탱크 상면에 공기구멍을 형성하지만, 탱크 전도시에 공기구멍으로부터 연료가 유출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이 공기구멍을 탱크 전도시에 폐색하는 수단을 설치해서 확실하게 연료누설을 막는 구성이 호적하다.
또,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할 때에 급유 탱크를 한 방향으로 밖에 본체에 장착할 수 없도록 하면, 탱크 장착시에 다른 부품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급유 탱크의 본체에의 장착에 관해서,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차단밸브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와,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의 충격을 방지하는 충격방지 커버를 설치하고,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시에, 양 커버를 탱크 삽입용 가이드로서 사용하면, 커버에 부품의 보호기능과 삽입 가이드 기능을 겸용시킬 수 있다.
또한, 급유 탱크내의 물을 검출하기 위해서, 탱크 저면에 설치된 물받이 접시에 접촉하는 제1의 전극과, 탱크에 접촉하는 제2의 전극을 구비한 물 검지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양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검지대에 한쪽 고정하는 동시에, 그 전극을 고정부 이외를 지점으로 하여 변위하도록 구성하면, 그 전극에 걸리는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제1의 실시형태]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액체연료 연소장치(1)는,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B1)와, 기화한 연료를 연소시키는 버너(B2)가 일체화된 연소부(B)를 구비한 회전 안개화식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 장치본체에 착탈이 자유로운 급유 탱크(6)와, 급유 탱크(6)의 연료를 기화부(B1)에 보내는 송유 펌프(EP)를 구비하고, 급유 탱크(6)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연소부(B)에 이르는 송유 경로(T)에 접속하는 접속수단(C)이 설치되고, 급유 탱크(6)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6)의 연료를 송유 펌프(EP)로부터 직접 연소부(B)에 송유하도록 한 것이다.
회전 안개화식의 연소부(B)의 구성은 JIS S3030에 나타내어져 있는 바와 같이 공지 구조의 것이기 때문에, 그 구성을 간단히 설명하면, 연소부(B)는, 바닥이 있는 원통상의 기화부(B1)와, 기화부(B1)의 상면을 덮어 기화부(B1)에서 기화한 연료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버너(B2)가 일체화되어 있다. 기화부(B1)의 저면 중앙구멍(H)에는, 송유 경로의 선단배관 노즐이 임설되고, 이 노즐로부터 유출된 연료를 원심력에 의해 안개화하는 안개화용 전동기(M) 및 회전체(R)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화부(B1)의 저면 중앙구멍(H)에는 연소용 공기로(AP)가 접속되어, 송풍기(F)에 의해 연소용 공기로(AP)를 통해 연소용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버너(B2)에는, 이것을 둘러싸도록 연소실(BR)이 설치되어 있고, 버너(B2)의 상방에는, 연소가스 점화용 전극(EL)과, 버너(B2)의 불꽃을 검출하는 프레임 로드(RD)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 밖에 연소실(BR)의 상방에는 대류용 송풍기가 배치되어, 석유 팬히터 본체내에 흡입한 실내의 공기를 연소실(BR)내의 가열된 공기나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본체전면의 취출구로뿜어지게 되어 있다.
제2도는 급유 탱크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정면도, 제3도는 마찬가지로 접속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6)는, 석유 팬히터 본체의 탱크 수용실에 착탈이 자유롭게 수용할 수 있는 세로형 상자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상면에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23)와, 그 손잡이(23)와 동일면에 설치한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과, 그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의 근접위치에 연료가 급유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유량계(25)와, 급유 탱크(6)의 본체 장착시에 송유 경로(T)와 접속하기 위한 접속수단(C)의 송유 조인트(9)와,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을 풀어서 연료를 급유하는 급유구(26)를 가지고 있다.
접속수단(C)은,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측에 설치된 송유 조인트(9)와, 연소부측의 송유 경로(T)에 설치된 송유 조인트받이(10)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송유 조인트(9) 및 송유 조인트받이(10)는, 급유 탱크(6)의 연료의 최대액면높이보다도 상방에 배치하고, 급유 탱크(6)로부터의 연료의 넘침을 막도록 하고 있다.
송유 조인트(9)는, 급유 탱크(6)의 상부측면에 충격방지용 보호 커버(28)로덮여지고, 이 보호 커버(28)를 통해 부착판(27)에 의해 부착된 것으로, 내부에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30)가 설치되는 동시에, 급유 탱크(6)내의 연료를 빨아 올려서 수송용 전자 펌프(EP)에 보내기 위한 빨아 올림관(31)이 접속되어 있다.
빨아 올림관(31)은, 일단이 급유 탱크(6)의 하면 근방까지 연장되고, 타단측이 급유 탱크(6)의 상면을 관통해서 거의 역U자 형상으로 절곡되고, 그 선단이 급유 조인트의 밸브기구(30)에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보호 커버(28)는, 송유 조인트(9)를 보호하는 동시에 급유 탱크(6)의 상면에 돌출하는 빨아 올림관(31)의 거의 역U자 형상의 연통부를 덮도록 하고 있다.
송유 조인트(9)의 밸브기구(30)는, 조인트 본체(33), 밸브체(34), 원주상의 O링 패킹(35), 스프링(36), 및 조인트 본체 패킹(37)을 가지고 있다. 조인트 본체(33)는, 금속제의 파이프를 로트형상으로 확관가공하고, 도중에 조인트 본체(33)를 커버(28)내부에 끼워맞춤하기 위해서 날밑모양으로 돌출한 끈 꺼냄부(33d)가 형성된 것으로, 원통상의 동체부(33a)와, 그 하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서서히 직경을 좁게 한 통상 테이퍼부(폐지면)(33b)와, 이 테이퍼부(33b)의 하단에 소정의 직경의 크기를 소정길이 유지하는 통상부(33c)가 연속 형성되고, 통상부(33c)의 하단은 더욱 직경을 좁게 하도록 테이퍼 가공이 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33)의 상단측에는, 내플랜지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33e)에 조인트 본체 패킹(37)을 통해 빨아 올림관(31)의 선단이 조인트 본체내에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33)의 소재는 금속에 한하지 않고, 수지제여도 좋고, 또, 동체부(33a), 테이퍼부(33b)나 통상부(33c)등의 단면형상 등은 원형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조인트 본체 패킹(37)은 고무제로 형성가공되어, 조인트 본체(33)의 실과 빨아 올림관(31)의 접속 실 기능을 가지고 있다.
밸브체(34)는, 조인트 본체(33)의 로트상의 내부형상으로 거의 상사한 형상을 하고, 조인트 본체(33)내부를 왕복 운동이 자유로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거의 원추상을 이루는 마개부(폐지면)(34a)와, 마개부(34a)의 하단에 통상부(33c)보다도 가늘고, 긴 주상의 가동부(34b)를 구비하고, 마개부(34a)의 테이퍼상 부분에는 링모양의 0링 패킹(35)이 조인트 본체(33)의 테이퍼부(33b)에 추밀상으로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34b)의 길이는, 마개부(34a)와 조인트 본체(33)의 테이퍼부(33b)의 이접을 제어하기 위해서, 마개부(34a)의 O링 패킹(35)이 테이퍼부(33b) 내부에 밀접한 밸브 폐쇄 상태로, 통상부(33c)보다도 선단이 돌출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36)은, 조인트 본체(33)의 동체부(33a)에 내장되고, 상단의 내 플랜지(33e)와 밸브체(34)의 마개부(34a)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34)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되어 있다.
부착판(27)은, 상자 형상으로 충격방지용 커버(28)를 부착하는 부착부(27a)와, 하방에는 급유 탱크(6)를 장착할 때의 가이드 수단이 되는 삽입 가이드부(27b)를 구비하고, 급유 탱크(6)의 측면에 용착되어 있다.
송유 조인트받이(10)는, 중앙부에 송유 조인트(9)의 밸브체(34)와 끼워맞춤하는 돌기(60)를 가지고, 그 주위에 송유 경로(T)를 연이어 통하는 환상의 홈부(69)를 가지는 통상의 밸브받이 본체(62)와, 상기 돌기(60)를 둘러싸도록 밸브받이 본체(6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설치된 통형 주름상자모양의 고무제 조인트 실부재(63)와, 이 실부재의 상단과 밸브받이 본체(62)의 사이에 개재되어 실부재를 상방으로 압박해서 그 신축을 조장하기 위한 스프링(64)과, 실부재(63)의 하단을 밸브받이 본체(62)에 고정하기 위한 누름판(66)을 구비하고 있다. 실부재(63)의 상단에는, 송유 조인트측의 밸브체(34)와 밀접하는 통과구멍(70)이 형성되어 있다.
송유 조인트받이(10)는, 급유 조인트받이판(72)에 의해, 장치본체의 탱크 수용실을 구획 형성하는 탱크 가이드(71)에 고정된다. 급유 조인트받이판(72)은, 상방개방의 コ자형으로 절곡형성되어, 바닥판에 송유 조인트받이(10)가 고정되고, 한쪽 측판이 탱크 가이드(71)에 고정되어 있다. 받이판(72)의 다른 쪽(탱크측)에 절곡형성된 측판(73)은, 그 선단부가 R구부림한 형상으로 되어, 급유 탱크(6)의 본체 삽입시의 가이드부(74)로 되어 있다. 또한, 받이판(72)의 탱크 가이드측에는, 급유 탱크측에 R구부림한 형상의 탄성을 가지는 가이드받이판(75)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받이판(75)은, 그 상방측만이 고정되어, 급유 탱크(66)의 본체 삽입시에, 송유 조인트(9)의 보호 커버(28)와 맞닿아서 송유 조인트(9)와 그 조인트받이(10)의 접속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 기능을 완수하고 있다.
제4도는 빨아 올림관 하단부의 고정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빨아 올림관(31)은, 급유 탱크(6)의 손잡이(23)와 반대측의 저면 가까이까지 이르고, 그 선단에는 흡입구(44)가 설치되어, 이 흡입구(44)에 물이나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45)가 내접되어 있다. 또한, 흡입구(44)는, 빨아 올림관(31)의 선단의 측면부 이외의 저면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 빨아 올림관(31)은, 급유 탱크(6)의 우·좌의 아드리얀 가공전 상태에 있어서, 흡입구(44)에 필터(45)를 내접한 후에 크랭크상으로 형성한 빨아 올림관 고정판(46)의 절결 구멍부(46a)에 빨아 올림관(31)을 통과시킨 후에, 급유 탱크(6)의 우·좌의 아드리얀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조립한다. 상기 구성의 빨아 올림관(31)은, 빨아 올림관 고정판(46)에 의해 급유 탱크(6)의 운반시에 움직임이 고정되므로, 빨아 올림관(31)의 흡입구(44)가 급유 탱크(6)의 내벽과 접촉하는 일이 없어지고,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5도는 급유 탱크의 압력밸브부착 급유캡의 단면도이다.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은, 급유 탱크(6)의 상면에 돌출해서 설치한 외주에 나사가공한 급유구(26)에 나사 합침하는 캡(53)과, 압력밸브기구(54)를 가지고, 급유구(26)는 고무제 패킹(55)을 통해 나사 합침되어 있다. 이 캡(53)에는, 압력을 빼는 압력제거 구멍(56)이 중심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있고, 측면은 나사가공되고, 그 단말은 컬가공이 되어 있다. 고무제 패킹(55)은, 급유구(26)와 캡(53)의 실 역할을 하고, 압력을 빼는 압력제거 구멍(57)이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압력밸브기구(54)는, 고무제 패킹(55)과 캡(53)의 천면의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밸브체(58)와, 이 밸브체(58)를 압력제거 구멍(52)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59)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압력밸브기구(54)를 설치한 것은 이하의 이유에 따른다. 급유 탱크(6)에 보급하는 연료의 보관장소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은 장소에 보관되고, 급유 탱크(6)에 연료를 보급 후, 실내의 온도가 높은 곳에서 사용하므로, 본체(1)내의 급유 탱크(6)의 주위온도가 높고, 급유 탱크(6)내의 연료 이외의 공간의 공기는 온도차에 의해 팽창하고, 공기의 압력이 상승하여, 탱크(6)내의 연료액면이 상승해서 연료가 넘칠 우려가 있다. 이것을 막기 위해서 압력밸브기구(54)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역으로 급유 탱크가 부압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고무제 패킹(55) 및 캡(53)의 천면에는, 직경 1.5mm 이하의 소직경의 관통구멍(77, 78)이 연이어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유 조인트받이(10)로부터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T)에는, 연료를 연소부(B)에 보내는 송유 펌프로서의 전자 펌프(EP)와,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로서의 전자밸브(EV)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 펌프(EP)와 전자편(80)은 송유 경로(T)에 있어서 별체로 설치해도 좋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자를 일체화해서 송유 경로(T)에 배치하고 있다.
제6도는 전자 펌프(EP)와 전자밸브(EV)를 일체화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전자밸브(EV)는, 통상의 밸브본체(EV1)와, 밸브본체(EV1)의 밸브실(EV2)에 내장되어, 전자 펌프(EP)와의 연통로(EV3)를 개폐하기 위해서 선단에 0링 또는 고무 시트(EV7)가 부설된 원주상의 밸브자(EV4)와, 이 밸브자(EV4)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밸브본체(EV1)의 주위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코일(EV5)과, 밸브실(EV2)의 출구측과 밸브자(42)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자(EV4)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EV6)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실(EV1)의 입구측에는 연통로(EV3)를 통해 전자 펌프(EP)의 끼워맞춤 오목부(EV8)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EV8)에 0링(OR)을 통해 전자 펌프(EP)의 출구측 볼록부(P)가 끼워맞춤 밀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전자밸브(EV)의 밸브실 출구측에는 배관 접속구(TC1)가 형성되고, 또한, 전자 펌프(EP)의 입구측에도 배관 접속구(TC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자펌프(EP)와 송유 조인트받이(10)를 연결하는 송유 파이프(T1), 전자밸브(EV)의 접속구(TC1)와 기화부(B1)를 접속하는 송유 파이프(T2)는 동관으로 구성되어, 송유 경로(T)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송유 조인트받이(10)와 전자 펌프(EP)를 연결하는 송유 파이프(T1)는 수지제 배관이어도 좋다.
상기한 구성의 석유 팬히터에 있어서, 급유 탱크(6)의 연료가 비었을 경우, 본체(1)의 뚜껑을 열고, 급유 탱크(6)를 손잡이(23)를 잡고 꺼내서,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한 상태에서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을 풀어서 벗기고, 급유 탱크(6)의 급유구(26)로 연료를 급유한다. 이 경우, 급유 탱크(6)는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해서 평평한 곳에 두고 보급하므로, 급유 탱크(6)를 상하로 역으로 하는 것이 불필요해지고, 이와 같이 급유 탱크(6)의 급유캡이 연료에 더럽혀질 일도 없어서, 간단, 확실하게 연료의 보급을 할 수 있다.
급유를 완료하면 본체(1)에 연료를 넣은 급유 탱크(6)를 본체(1)의 뚜껑을 열고,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그렇게 하면, 부착판(27)의 하방으로 연장된 삽입 가이드부(27A)가, 송유 조인트받이판(72)의 상방으로 연장된 삽입 가이드(74)와 밸브받이 본체(62)의 사이로 유도되고, 다시, 가이드받이판(75)으로 급유 탱크(6)의 보호 커버(28)를 눌러서, 송유 조인트받이(10)의 통과구멍(70)에, 송유 조인트(9)의 밸브체(34)가 안내되어 삽입되어서, 실부재(63)의 주름 상자가 줄어들고, 송유 조인트(9)의 밸브체(34)가 밸브받이 본체(62)의 돌기(60)와 접촉한다.
다시 급유 탱크(6)를 본체(1)에 삽입하면, 송유 조인트(9)의 밸브체(34)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스프링(36)이 압축상태가 되어, 밸브체(34)의 밸브 개방 상태가 되고, 급유 탱크(6)의 빨아 올림관(31)으로부터 접속수단(C)을 통해서 송유 경로(T)의 전자 펌프(EP)측으로 흘러가는 송유 경로가 개방상태에서 형성된다.
이 탱크 장착상태에서, 석유 팬히터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전원을 ON으로 하면, 전자밸브(EV)의 솔레노이드 코일(EV5)이 여자되어 밸브자(EV4)가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해서 전자 펌프(EP)로부터 기화부(B1)측으로의 송유 경로(T)가 개방되고, 전자 펌프(EP)를 통해서 기화부(B1)측으로 연료가 보내진다.
기화부(B1)에서는 전자 펌프(EP)에 의해 보내져 온 연료를 원심 안개화기의 회전체(R)에 의해 안개화시키는 동시에 증발시켜, 상방의 버너(B2)의 불꽃구로 뿜어 나오게 하고, 이 불꽃구에 있어서 점화된 연소실내에서 연소된다. 이 때, 실온 서미스터에 의해 검지한 실온과, 조작부에서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에 근거해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가 전자 펌프(EP)의 구동을 제어해서 기화부(B1)에 보내는 액체연료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에 의한 발열량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연소를 개시하고, 프레임 센서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의 불꽃전류를 검출하면, 도시하지 않은 팬 모터가 통전되어 송풍 팬이 회전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그 회전속도는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연소실(BR)내에서, 얻어지는 복사열을 빼앗고,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취출구로 실내로 뿜어 나오고, 실내온도가 상승해서 온도를 제어한다.
본체(1)의 운전을 정지하면, 전자 펌프(EP)의 구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전자밸브(EV)가 소자되어 밸브가 닫히고, 연료의 공급이 확실하게 차단된다.
(실시예 2)
제7도는 실시예 2에 나타내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펌프(EP)에서도 송유 조인트받이(10)측에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전자밸브(EV)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전자밸브(EV)와 전자 펌프(EP)를 일체화해서 공간 절약화 및 배관접속공정의 간략화를 꾀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3)
제8도는 실시예 3을 나타내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펌프(EP)가 급유 탱크(6)의 송유 조인트(9)측에서도 빨아 올림관(31)측에 배치되어, 급유 탱크(6)의 상면에 비스 등에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 전자펌프(EP)의 흡입측은 빨아 올림관(31)에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고, 토출측은 배관을 통해 송유 조인트(9)에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또, 전자밸브(EV)는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송유 조인트받이(10)와 기화부(B1)의 사이의 송유 경로(T)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도, 급유 탱크(6)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송유 조인트(9)와 조인트받이(10)가 접속되어, 급유 탱크(6)로부터 기화부(B1)에 이르는 송유 경로가 형성되고, 전자 펌프(EP)에 의해 기화부로 연료를 보낼 수 있다.
또한, 전자펌프에의 전원공급은, 탈거가 자유로운 급유 탱크(6)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도시하지 않은 접속 플러그에 의해 본체측에 전원에 접속하도록 하면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4)
제9도는 실시예 4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 제10도는 마찬가지로 송유 조인트받이의 단면도, 제11도는 마찬가지로 공기밸브의 구조 단면도이다. 실시예에서는,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로서, 상기 제1 내지 제3실시형태에 사용한 전자밸브(EV) 대신에 공기밸브(110)를 설치하고, 이 공기밸브(110)를 송유 조인트받이(10)에 배치한 것이다.
공기밸브(110)는, 급유 탱크(6)에서 전자 펌프(13)까지의 송유 경로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보내는 공기도입을 위한 것으로, 송유 조인트(9b)의 오목홈 (69)으로부터 연소부(B)측에 연이어 통해서 접속된 송유 경로(T)로부터 분기되는 연통로(112)가 설치되고, 이 연통로(112)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기밸브(110)의 배치는, 송유 조인트받이(10)와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6)의 연료의 최대액면높이보다도 상방에 설정되어, 급유 탱크(6)로부터 연료의 넘침을 막도록 하고 있다.
공기밸브(110)의 구조는,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한쪽이 외기에 개방되는 개구부(113)를 가지고, 다른 쪽이 상기 연통로(112)에 연이어 통하는 밸브실(114)을 구비한 통상의 밸브본체(115)와, 밸브본체(115)의 밸브실(114)에 내장되어, 상기 개구부(113)를 개폐하는 거의 원추상의 밸브자(116)와, 이 밸브자(116)를 밸브 개방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밸브본체(115)의 주위에 배치된 솔레노이드 코일(117)과, 밸브실(114)의 개구측과 밸브자(116)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자(116)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118)을 구비하고, 밸브자(116)의 폐지면측에 배치된 0링(119)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밸브(110)는,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석유 팬히터의 운전중에는 솔레노이드 코일(117)의 여자에 의해 개구상태가 되고, 석유 팬히터 정지중에는 솔레노이드 코일(117)을 소자해서 스프링(118)의 압박력에 의해 개방상태로 하고, 급유 탱크(6)로부터 전자 펌프(EP)까지의 송유 경로(T)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송유 경로(T)에 도입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공기밸브(110)의 제어는, 상기전기적 제어 이외에, 기계적 또는 수동으로 개폐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자 펌프(EP)는, 상기 실시예1 및 2와 같이, 송유 조인트(9b)에서도 연소부(B)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급유 탱크(6)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송유 조인트(9)와 조인트받이(10)가 접속되고, 급유 탱크(6)로부터 기화부(B1)에 이르는 송유 경로가 형성되어, 전자 펌프(EP)에 의해 기화부(B1)로 연료를 보낼 수 있다. 연료의 공급을 차단할 경우, 공기밸브(110)를 개방상태로 하면, 송유 경로(T)에 공기를 받아들일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급유 탱크(6)로부터의 연료의 공급을 정지시킬 수 있다. 그 밖의 구성·작용은 상기 실시예 1과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5)
제12도는 실시예 5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3과 같이 전자 펌프(EP)를 급유 탱크(6)측에 있어서 송유 조인트(9)보다도 빨아 올림관(31)측에 설치하고, 또한, 제4의 실시형태와 같이,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로서 공기밸브(110)을 이용하고, 이 공기밸브(110)를 송유 조인트받이(10)에 배치한 것이다. 이들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3 및 4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변경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회전 안개화식의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의 급유방식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포트식, 압력 분무식, 또는 제트 분무식 등의 다른 연소방식에 있어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 송유펌프는 연료를 보낼 수 있는 것이면, 전자 펌프에 한하지 않고, 다른 구조의 펌프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급유 탱크의 급유구를 폐색하는 폐색수단으로서, 급유구에 나사 합침하는 급유캡을 예시했지만, 회전운동 개폐식의 급유캡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유캡에 압력밸브를 부설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압력밸브기구는, 급유캡에 한하지 않고, 송유 조인트부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에서 밸브를 개방하여 탱크 탈거시에 밸브를 닫는 밸브기구를 송유 조인트에만 설치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러한 밸브기구를 송유 조인트받이측에도 배치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따르면, 회전 안개화식, 포트식, 압력 분무식, 또는 제트 분무식 등의 다른 연소방식을 채용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 급유 탱크를 장치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에 접속하는 접속수단을 설치하고,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연소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에 직접 송유하도록 했으므로, 연료경로의 구성부재를 감소시킬 수 있고, 더욱이, 급유 탱크를 뒤집지 않고서, 장착 및 연료보급을 할 수 있으므로, 급유 탱크의 취급성도 양호해진다.
[제2의 실시형태]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13도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탑재한 석유 팬히터의 정면 개략도이고, 제14도는 그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도이다.
석유 팬히터 본체(1)는,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앞판(2)과, 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천판(3)과, 운전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4)와, 온풍을 뿜어내는 취출구(5)와, 천판(3)의 상면 우측에 급유 탱크(6)가 출입을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7)으로 구성되고, 액체연료가 샜을 때에 이것을 받는 치대(8)위에 얹어 놓여져 고정되어 있다. 본체(1)의 내부에는, 제13도 또는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를 일시적으로 비축하는 탈거가 자유로운 급유 탱크(6)와, 액체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2)와, 급유 탱크(6)로부터 기화기(12)에 연료를 보내는 전자펌프(13)와, 기화기(12)로 기화된 연료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버너(14)와, 버너(14)를 둘러싸는 연소실(15)과, 버너(14)나 연소실(15)을 구분하는 칸막이판(16)과, 버너(14)를 수용하는 버너박스(17)와, 기화기(12)로부터의 연료를 모아두는 히트 파이프(18)와, 기화기(12)와 히트 파이프(18)의 사이에서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 핀(1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유 탱크(6)에는, 제1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운반용 손잡이(23)와,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과, 유량계(25)와, 급유구(26)와, 연료를 빨아 올리는 관과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내장한 급유 조인트 인(9A)과, 히트 파이프(18)로부터의 기화기로부터의 복귀 연료를 급유 탱크(6)에 보내는 급유 조인트 아웃(21A)이 설치되어 있다. 제16도에, 상기 급유 탱크(6)를 경사상 방향에서 보았을 때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급유 탱크(6)는 착탈이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 및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은, 각각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 및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에 있어서 착탈할 수 있는 구조로되어 있다.
제15도 및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에는,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28A)와 상기 급유 탱크(6)내의 연료를 빨아 올리는 빨아 올림관(27A)이,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에는,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29A)와 액화된 연료를 상기 급유 탱크(6)안으로 되돌리는 복귀관(30A)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은 상기 급유 탱크(6)에 있어서의 상기 급유 조인트(9)측에 설치된 부착 구멍(47A)에 의해 고무제의 패킹(50A)을 통해 상기 급유 탱크(6)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제1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기구(28A)는 오목형 형상의 밸브체(31A)와, 원주상의 O링 패킹(33A)과, 스프링(35A)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목부 저부에 관통 구멍이 설치된 가드(300A)의 오목부내에 끼워 넣어져서 실 패킹(37A)을 통해 뚜껑너트(39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31A)는 상기 0링 패킹(33A)을 통해 볼록부분을 상기 가드(300A)의 오목부 저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스프링(35A)은 상기 밸브체(31A)의 상부와 상기 뚜껑 너트(39A)의 공간(302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공간(302A)에 연료를 보내주는 통로(43A)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급유 탱크(6)내의 연료를 빨아 올리는 상기 빨아 올림관(27A)에 접속되어 있다.
제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빨아 올림관(27A)은 상기 급유 탱크(6)의 상면에 설치된 삽입구멍(46A)을 통해서 상기 급유 탱크(6)의 저면근방까지 연설 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흡입구(44A)와 필터(45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구(44A)는 상기 빨아 올림관(27A)의 선단부 이외의 측면부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또한, 제19도, 제2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기구(29A)는 오목형 형상의 밸브체(32A)와, 원주상의 0링 패킹(34A)과, 스프링(36A)으로 구성되어 있고, 오목부 저부에 관통 구멍이 설치된 가드(301A)의 오목부내에 끼워 넣어져서 실 패킹(38A)을 통해 뚜껑 너트(40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체(32A)는 상기 O링 패킹(34A)을 통해 볼록부분을 상기 가드(301A)의 오목부 저부에 설치된 관통 구멍에 끼워 넣어져 있고, 상기 스프링(36A)은 상기 밸브체(32A)의 상부와 상기 뚜껑 너트(40A)의 공간(303A)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를 상기 급유 탱크(6)안으로 되돌리는 상기 복귀관(30A)이 상기 공간(303A)에 연이어 통해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은 상기 급유 탱크(6)에 있어서의 상기 급유 조인트(21)쪽에 설치된 부착 구멍(49A)에 의해 고무제의 패킹(51A)을 통해 상기 급유 탱크(6)에 나사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복귀관(30A)을 삽입하는 삽입구멍(48A)이 상기 급유 탱크(6)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유 탱크(6)의 상면에 설치된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제13도)은, 제2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측에 나사가공된 급유구(26)와, 그 급유구(26)와 실의 역할을 하는 고무제 패킹(55)을 통해 나사 끼워맞춤되는 캡(53)과, 압력밸브기구(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급유구(26)는,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의 부착면과 동일면에 개방된 구멍(306A)과, 그 구멍(306A)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벽부(26a)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캡(53)은 돌출된 상기 급유구(26)에 씌워지고, 벽부(26a)로 걸림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캡(53)의 측면과 상기 벽부(26a)는, 쌍방이 이맞물림 할 수 있는 형상으로 가공되어 있다. 특히, 제21도에는 파형 형상으로 가공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또, 상기 압력밸브기구(54)는, 밸브체(58)와 스프링(59)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고무제 패킹(55)과 상기 캡(53)의 중앙부근에는 각각 압력을 빼는 압력제거 구멍(56, 5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제13도)는, 제2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기구(28A)(제17도)의 상기 밸브체(31A)를 받는 밸브기구(60A)와, 가드(68A)와, 그 가드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격자구멍(66A)이 설치된 밸브받이(61A)로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밸브기구(60A)는, 밸브체(62A)와 스프링(63A)과 실용 O링(64A)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받이(61A)는 상기 밸브체(62A)의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제16도)을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에 수납했을 때, 상기 밸브체(62A)의 측부(62a)가 상기 밸브받이(61A)의 밸브받이부(65A)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또한,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는 급유 조인트 인(9A)의 밸브기구(28A)와의 실을 하는 실면(67A)과, 상기 밸브받이(61A)의 상기 격자구멍(66A)에서 전자펌프(13)로 접속하는 통로(69A)와, 그 통로의 도중에는 전자 코일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기밸브(20)에 연이어 통해지는 통로(70A)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제16도)는, 제2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밸브기구(29A)(제20도)의 상기 밸브체(32A)를 받는 밸브기구(71A)와, 가드(79A)와, 그 가드(79A)에 끼워맞춤되어 있는 격자구멍(77A)이 설치된 밸브받이(72A)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밸브기구(71A)는, 밸브체(73A)와 스프링(74A)과 실용 0링(75A)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밸브받이(72A)는 상기 밸브체(73A)의 스토퍼로서의 역할을 담당하고,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제16도)을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의 상기 가드(79A)에 수납했을 때, 상기 밸브체(73A)의 측부(73a)가 상기 밸브받이(72A)의 밸브받이부(72a)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상기의 구조에 의해, 상기 본체(1)에 상기 급유 탱크(6)가 세트되면, 접속수단인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의 상기 밸브기구(28A)와 급유 조인트 아웃(21A)의 상기 밸브기구(29A)가,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 및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밸브기구(28A, 29A)의 외측의 0링(41A)(제17도), (42A)(제19도)이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의 상기 실면(67A)(제22도)과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의 실면(78A)(제23도)으로 실되어 밀폐상태가 된다.
또, 상기 공기밸브(20)(제22도)는, 운전중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밸브(20)는 개구상태가 되어 상기 전자 펌프(13)(제13도, 제14도)에 의해 상기 급유 탱크(6)내의 액체연료가 상기 기화기(12)로 보내지고, 정지 중에는 개방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시에 있어서는 상기 공기밸브(20)는 개방상태가 되고, 상기 전자 펌프(13)가 구동되어, 상기 기화기(12)에 공기가 보내진다.
(기화기 및 버너의 구성)
제24도는 기화기 및 버너부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기화기(12)는, 그 본체에 내장된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소자(81)과, 이 기화소자(81)로 기화된 연료를 분출하는 노즐(82)과, 이 노즐(82)의 구멍을 왕복운동하는 것으로 개폐하는 니들(83)과, 이 니들(83)에 연접되어 니들(83)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84)와, 기화소자(81)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입구(85)와, 운전정지시에 기화기(12)내부의 연료를 내보내는 복귀 회로(86)와, 버너(14)의 연소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87)로 구성되어 있다.
기화소자(81)는, 세라믹의 잔 입자를 원통상으로 소결한 것으로, 연료를 기화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타르분은 기화소자(81)의 표면에서 내부를 향해서 퇴적된다. 기화기(12)의 연료입구(85)는, 외측의 스테인레스 파이프(88)와, 내측의 동 파이프(89)의 이중구조로 하고 있다. 스테인레스 파이프(88)로 한 것은, 기화기(12)로부터의 열전도를 저하시켜, 기화기(12)로 들어오는 연료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 스테인레스 파이프(88)의 직경을 동 파이프보다도 크게 해서, 스테인레스 파이프(88)에서 동 파이프에 전해지는 열전도를 더욱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동 파이프(89)의 선단은, 기화기(12)보다 외측의 위치까지로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84)는, 코일상으로 두루 감겨진 전자 코일(90)과, 그 내부에 있어서 니들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가동편(91)과, 흡착편(92)과, 누름용 스프링(93)으로 개략 구성되고, 전자 코일(90)에의 통전·비통전에 의해, 가동편(91)이 흡착편(92)에 흡착·이탈하고, 가동편(91)에 연접되어 있는 니들(83)이 이동하여, 기화기(12)의 노즐(82)의 구멍부를 개·폐구하게 되어 있다.
버너(14)는, 기화기(12)로 기화된 연소 가스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94)과, 혼합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는 불꽃구(95)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 펌프, 저류 용기, 냉각 핀의 구성)
전자 펌프(13)는, 제14도와 같이, 급유 탱크(6)내의 연료를 빨아 올려서 기화기(12)측에 송유하기 위한 것으로, 제어부에 의해 연료토출량 등이 제어되어 있다.
제25도는 저류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저류 용기(18)는, 운전개시로부터 정지까지의 동안에, 실온제어에 있어서의 전자 펌프(13)의 정지와 기화기(12)의 노즐(82)의 폐색에 의해, 기화기(12)안에 잔류하고 있는 연료를 급유 탱크(6)로 되돌릴 때에 그 복귀분을 일시적으로 모아서 냉각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저류 용기(18)의 용기본체(96)는 밀폐상태가 되고, 그 용량은 약 20CC로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기화기(12)안에 잔류하고 있는 일부 기화한 연료를 급유 탱크(6)로 되돌릴 때에 액화해서 연료가 되지만, 이 연소의 복귀분은 대체로 O.3 내지 O.5CC/회이다. 1일중, 석유 팬히터를 운전했을 때에, 실온제어로 연소량이 변해서 전자 펌프(13)가 정지하는 횟수를 대략 10회로 하면, 1일당의 미연료의 복귀량은 약 3 내지 5CC가 된다. 따라서, 용기본체(96)는, 이 복귀량을 충분히 모을 수 있는 용량(약 20CC)으로 되어 있다.
이 용기본체(96)의 측면에는, 기화기(12)로부터의 연소 가스의 입구(97)가 형성되고, 용기본체(96)안에 모인 연료의 출구(98)가 용기본체(96)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용기 상면의 출구(98)에는 용기본체(96) 내부의 저면 가까이까지 이르는 파이프(99)가 배치되고, 그 하단은 래퍼상의 흡입구(200)가 되고, 용기내에 모인 연료가 표면장력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빨아 들여지기 쉽게 되어 있다.
제26도는 기화기(12)와 저류 용기(18)를 연결하는 경로의 도중에 설치된 냉각핀(19)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핀(19)은, 파이프(202)의 외측에 얇은 다수의 핀(20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으로, 기화기(12)로부터 되돌아오는 일부 기화한 연료의 열이 방열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와 상기 전자 펌프(13), 상기 전자 펌프(13)와 상기 기화기(12), 상기 기화기(12)와 상기 냉각핀(19), 상기 냉각핀(19)과 상기 히트 파이프(18), 상기 히트 파이프(18)와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의 각 부품을 연결하는 송유 파이프(203, 204, 205, 206, 207)는 강관제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관해, 그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빈 상기 급유 탱크(6)(제13도)를 상기 본체(1)의 상기 뚜껑(7)을 열고, 상기 급유 탱크(6)의 상기 손잡이(23)를 잡고 꺼내서, 상기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한 상태로 상기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을 풀어서 벗기고, 상기 급유 탱크(6)의 상기 급유구(26)로 연료를 급유한다. 급유가 완료되면 상기 본체(1)에 연료를 넣은 상기 급유 탱크(6)를 상기 본체(1)의 상기 뚜껑(7)을 열어서,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면, 제27도, 제2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급유 탱크(6)의 접속수단인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의 상기 밸브기구(28A)와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의 상기 밸브기구(29A)의 각각의 상기 밸브체(31A, 32A)가, 접속수단인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의 상기 밸브기구(60A)와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의 상기 밸브기구(71A)의 각각의 상기 밸브체(62A, 73A)를 누르면, 상기 밸브체(62A, 73A)가 내려가고, 상기 밸브체(62A, 73A)의 상기 측부(62a, 73a)가 상기 밸브체받이(61A, 72A)의 상기 축받이부(65A, 72a)에 닿고,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의 상기 밸브기구(28A)와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의 상기 밸브기구(29A)의 각각의 상기 밸브체(31A, 32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압박하고 있던 상기 스프링(35A, 36A)이 압축상태가 되고, 상기 밸브체(31A, 32A)의 폐지면 상기 O링 패킹(33A, 34A)이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과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의 각각의 폐지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사이에 의해 연료가 상기 전자 펌프(13)측에 흐르는 경로와 상기 히트 펌프(18)로부터 상기 급유 탱크(6)에의 통로가 형성된다.
그 다음에, 석유 팬히터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전원을 ON으로 하면, 상기 기화기(12)에 부착된 기화기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기화기(12)가 가열된다. 이 때, 기화기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기화기(12)의 온도가 검출되어 있고, 소정온도까지 상기 기화기(12)가 가열되면, 상기 전자 펌프(13)가 구동해서 상기 급유 탱크(6)내의 액체연료가 상기 빨아 올림관(27A)을 통해 빨아 올려지고, 상기 급유 조인트 인(9A), 상기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를 경유해서 상기 기화기(12)에 보내진다. 가열된 상기 기화기(12)에 의해 액체연료는 가스화되어, 상기 버너(14)의 상기 불꽃구(95)로 뿜어지고, 상기 불꽃구(95)에 있어서 점화되어 연소실내에서 연소된다. 이 때, 실온 서미스터에 의해 검지한 실온과, 조작부에서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에 근거해서 제어장치가 상기 전자 펌프(13)의 구동을 제어해서 기화기(12)에 보내는 액체연료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에 의한 발열량은 적절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연소가 개시된 후, 프레임 센서에 의해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의 불꽃전류가 검출되면, 팬 모터에 통전되어 송풍 팬이 회전해서 실내의 공기가 흡입된다. 또한, 그 회전속도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상기 연소실(15)내에 있어서 복사열을 빼앗고,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상기 취출구(5)로 상기 본체(1)의 외부(실내)로 뿜어져서 실내온도는 상승되게 된다.
그 다음에, 상기 본체(1)의 운전을 정지시키면, 상기 전자 펌프(13)의 구동이 정지되고, 기화기 히터의 통전이 정지된다.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84)의 통전이 0FF되어 상기 가동편(91)과 상기 흡착편(92)이 개방되고, 상기 니들(83)에 의해 상기 노즐(82)의 구멍부가 막히면, 상기 기화기(12)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일부 기화한 연료는, 상기 복귀구(86)(제24도)를 통과해서 상기 송유 파이프(205)(제14도)를 경유해서 상기 히트 펌프(18)에 비축된다. 상기 송유 파이프(205)와 상기 송유 파이프(20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냉각 핀(19)에 있어서 온도가 높은 일부 기화한 연료는 방열되어 상기 히트 파이프(18)에 보내진다. 상기 히트 파이프(18)안으로 보내져 오는 일부 기화한 연료는 시간이 경과하면 온도가 내려가 기체에서 액체로 변해서 모여진다. 그리고, 점화시에 있어서, 상기 기화기(12)안에서 연료를 액체에서 기체로 변화될 때까지의 동안(약 1 내지 2분간)상기 노즐(82)은 폐색상태가 되는 것에 의해, 상기 기화기(12)내의 내압은 약 O.2kg/cm로 올라가고, 그 압력이 상기 히트 파이프(18)의 내부에 걸려, 상기 히트 파이프(18)안의 액체를 밀어 올려서 상기 히트 파이프(1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상기 파이프(99)(제25도)의 하단의 상기 래퍼상구(200)에서 상기 송유 파이프(207)(제14도)를 경유해서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22A)의 상기 통로(80A)(제23도)를 거쳐서 상기 급유 조인트 아웃(21A)의 상기 복귀관(30A)(제20도)을 경유해서 상기 급유 탱크(6)안으로 보내진다.
또한, 상기 기화기(12)내부에서 액체연료를 가열해서 연료를 기화시켰을 때에 불순물이 발생하고, 장기간 운전을 하고 있으면 상기 기화기(12)내부에 불순물이 퇴적해서 상기 기화기(12)의 상기 노즐(82)로 분출되는 가스량이 저하하므로, 상기 기화기(12)의 내부에 퇴적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상기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이 다음 수순으로 행하여진다. 상기 급유 탱크(6)를 상기 본체(1)에 세트한 상태에서, 공연소 클리닝의 스위치가 ON되면, 자동적으로 상기 기화기(12)의 온도가 공연소 클리닝 온도까지 올라가고, 동시에 상기 공기밸브(20)(제14도)에 통전되어 개방상태가 되고 전자 펌프(13)가 구동된다. 그 때, 상기 급유 탱크(6)내의 압력보다 상기 공기밸브(20)로 들어가는 공기의 압력쪽이 크므로, 상기 공기밸브(20)로 공기가 흡입된 후, 상기 전자 펌프(13)에 의해 상기 기화기(12)에 보내진다. 그리고, 상기 기화기(12)의 불순물은 상기 기화기(12)안에 보내진 공기와 함께 일정시간 공연소되어 제거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상기 전자 펌프(13)에 공기를 흡입되게 하기 위해서, 연료 빼는 번거로움이 없이 간단히 상기 기화기(12)안의 클리닝을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정지중에, 상기 공기밸브를 개구하고, 기화기에 퇴적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기화기의 공연소 클리닝을 하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를 본체에서 꺼내지 않고서 기화기의 클리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공기밸브에 의해 연료경로중의 연료를 차단할 수 있다.
또, 전도시에 연료가 넘쳐 흐를 일이 없다.
또한, 일부 기화한 연료를 액체로 변화시켜서 급유 탱크로 되돌릴 수 있다.
또, 상기 급유 탱크에 압력을 빼는 밸브기구와 뚜껑을 겸한 급유캡을 설치함으로써, 온도차가 생겨도 연료가 넘칠 일이 없다.
또한, 상기 접속수단의 급유 조인트를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급유 탱크내의 연료가 넘쳐 나올 일이 없다.
또, 상기 급유 탱크의 안쪽에 접속수단의 급유 조인트에 연이어 통하는 통로를 설치하고, 통로의 선단에 먼지 제거용 필터를 설치함으로써, 물이나 먼지의 흡입이 없다.
또한, 상기 기화기로부터 히트 펌프에 연료를 되돌리는 연료통로의 도중에 통로내의 연료를 냉각시키는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기화기로부터의 복귀 연료의 온도를 내릴 수 있다.
[제3의 실시형태]
(실시예 1)
제2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의 실시형태의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탑재한 석유 팬히터의 정면 개략도, 제30도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석유 팬히터 본체(1)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앞판(2)과, 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천판(3)과, 운전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4)와, 온풍을 뿜어내는 취출구(5)와, 천판(3)의 상면 우측에 급유 탱크(6A)가 출입을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7)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1)가, 만일, 액체연료가 샜을 때에 이것을 받는 치대(8)에 얹어 놓여져 고정되어 있다.
본체(1)의 내부는, 제29도 및 제30도와 같이, 탱크 가이드(11) 및 칸막이판(16)에 의해, 급유 탱크(6A)를 수용하는 탱크 수용실(1a)과, 기화기(12)나 전자 펌프(13)등을 수용하는 기능부품 수용실(1b)과, 버너(14)나 연소실(15)이 배치된 연소부실(1c)로 구획되어 있다.
탱크 수용실(1a)에는,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두는 탈거가 자유로운 카트리지식의 급유 탱크(6A)와, 급유 탱크(6A)의 연료를 기화기측에 송유하는 송유 경로(300)와 급유 탱크(6A)를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송유측 접속수단(9A, 10A)과, 기화기(12)측에서 연료를 급유 탱크(6A)로 되돌아가는 복귀유 경로(301)와 급유 탱크(6A)를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복귀유측 접속수단(21B, 22A)가 배치되어 있다. 탱크 수용실(1a)의 저부에는, 급유 탱크를 수용할 때에, 접속수단(9A, 10A) 및 (21B, 22A)에 걸리는 충격을 흡수·완화하는 쿠션성이 있는 재치대(1d)가 설치되어 있다. 또, 탱크 수용실(1a)에는, 급유 탱크(6A)를 수용할 때에, 송유측 접속수단(9A, 10A) 및 복귀유측 접속수단(21B, 22A)이 확실하게 끼워맞춤 접속하도록, 가이드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유측 접속수단은, 빨아 올림관과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내장한 송유 조인트(9A)와, 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를 받는 송유 조인트받이(10A)로 구성되어 있다. 송유 조인트받이(10A)에는, 급유 탱크(6A)로부터 전자 펌프(송유 펌프)(13)에 공급되는 송유 경로(300)를 차단하기 위해서 송유 경로에 공기를 받아 들이는 공기밸브(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송유 조인트받이(10A)는, 상부가 기능부품 수용실측으로 돌출한 탱크 가이드(11)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기능부품 수용실(1b)은, 탱크 수용실(1a)과 연소부실(1c)의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급유 탱크(6A)로부터의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2)와, 급유 탱크(6A)로부터 기화기(12)에 연료를 보내는 전자 펌프(13)와, 기화기(12)로부터의 일부 기화한 연료를 모아두는 저류 용기(18)와, 기화기(12)와 저류 용기(18)의 사이에서 일부 기화한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핀(19)이 수용되어 있다.
연소부실(1c)은, 칸막이판(16)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고, 기화기(12)로 기화시킨 연료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버너(14)와, 연소시키는 버너(14)를 둘러싸는 연소실(15)과, 버너(14)를 수용하는 버너 박스(17)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화기(12) 및 버너(14)등에 의해 연료를 연소하는 연소부가 구성되어 있다.
송유 경로(300)는, 송유 조인트받이(1OA)와 전자 펌프(13)를 연결하는 배관(203), 및 전자 펌프(13)와 기화기(12)를 연결하는 배관(204)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복귀유 경로(301)는, 기화기(12)와 냉각 핀(19)을 연결하는 배관(205), 냉각 핀(19)과 저류 용기(18)를 연결하는 배관(206), 및 저류 용기(18)와 복귀유 조인트받이(10A)를 연결하는 배관(20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배관(203) 내지 (207)는 모두 동관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급유 탱크(6A)에서 전자 펌프(13)까지의 배관 및 배관(207)은, 동관 이외의 수지제 등의 배관을 사용해도 좋다.
제31도는 급유 탱크의 개략도, 제32도는 급유 탱크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33도는 송유 조인트와 급유 탱크내의 빨아 올림관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4도는 복귀유 조인트의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유 탱크(6A)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소재(예를 들면, 아연 도금 강판)에 의해 세로형 상자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연료를 넣어서 운반을 하기 위해 탱크상면에 설치된 손잡이(23)와, 이 손잡이(23)가 설치되어 있는 상면에 배치된 연료공급용 급유구(26)와, 이 급유구(26)를 폐색하는 고무제 패킹부착의 급유캡(24)과, 이 급유구(26)에 가까운 측면에 설치되어, 연료가 급유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는 유량계(25)와, 손잡이(23)가 설치되어 있는 상면에 있어서, 급유구(26)와 반대측에 배치된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유 조인트(21B)를 구비하고 있다.
송유 조인트(9A)는, 제33도와 같이, 급유 탱크(6A)의 상면에서 탱크 측방에 돌출하는 가로 L자형의 접속관(43A)과, 그 접속관(43A)의 선단에 설치되어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28A)를 내장한 조인트 접속관(43A)을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9Aa)는, 세로형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송유 조인트 받이(10A)측에 끼워맞춤하는 원통상의 소직경 돌출통(9Ab)이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접속 실용 O링(41A)이 바깥 끼움 밀착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9Aa)의 상단 개구부에는 밸브기구(28A)를 삽입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뚜껑너트(38A)가 나사 합침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9Aa)내의 밸브기구(28A)는, 조인트 본체(9Aa)의 소직경 돌출통(9Ab)의 중앙밸브 구멍(9Ac)과, 조인트 본체내의 하부에 형성된 역원추형의 밸브시트(9Ad)에 시트 이착이 자유로운 스핀들 모양의 밸브체(31A)와, 이 밸브체(31A)의 상단과 뚜껑 너트(38A)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31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35A)과, 밸브체(31A)의 밸브시트측 주면에 끼워붙여진 실용 O링(33A)을 구비하고, 밸브 폐쇄 상태로 밸브체(31A)의 하단이 소직경 돌출통(9Ab)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있다.
접속관(43A)은, 그 내부에 조인트 본체(9Aa)내의 밸브실에 연이어 통하는 흡입 통로(43A)가 형성되고, 그 탱크 측방쪽으로 돌출한 단부는 조인트 본체(9Aa)의 측부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43A)의 하단부는 급유 탱크(6A)의 상면의 삽입구멍(46A)으로 탱크 내부에 끼워져 통하고,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43b)가 고무 패킹(50A)을 통해 급유 탱크(6A)의 상면의 구멍(47A)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접속관(43A)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새겨 만들어지고, 이 수나사에 급유 탱크내의 빨아 올림관(27A)의 상단이 나사식 붙이기 되어 있다.
빨아 올림관(27A)은, 급유 탱크(6A)의 저면 가까이까지 이르고, 그 하단 측면에 형성된 흡입구(44A)에 물이나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45A)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44A)는 빨아 올림관(27A)의 하단 저면부에 설치해도 좋다.
이 빨아 올림관(27A)은, 급유 탱크(6A)의 우·좌의 아드리얀 가공전 상태에 있어서, 흡입구(44A)에 필터(45A)를 내접한 후에 크랭크 모양으로 형성된 빨아 올림관 고정판(50)의 절결 구멍부(50a)에 빨아 올림관(27A)을 통과시키고, 그 후 급유 탱크(6A)의 우·좌의 아드리얀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다. 이 빨아 올림관(27A)은, 고정판(50)에 의해 고정되므로, 급유 탱크(6A)의 운반시에 움직임이 규제되고, 빨아 올림관(27A)의 흡입구(44A)가 급유 탱크(6A)의 내벽에 접촉하는 일은 없어져서, 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복귀유 조인트(21B)는, 제34도와 같이, 송유 조인트(9A)와 함께 급유 탱크(6A)의 상면에 병설된 것으로, 빨아 올림관(27A)이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점, 및 급유 탱크(6A)의 압력밸브기구(700)를 설치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송유 조인트(9A)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위점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복귀유 조인트(21B)는, 제34도와 같이, 급유 탱크(6A)의 상면에서 탱크 측방으로 돌출하는 가로 L자형의 접속관(30A)과, 그 접속관(30A)의 선단에 설치되어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29A)를 내장한 조인트 본체(21a)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21a)는, 세로형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측에 끼워맞춤하는 원통상의 소직경 돌출통(21b)이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접속 실용의 O링(42A)이 바깥 끼움 밀착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21a)의 상단 개구부에는 밸브기구(29A) 및 압력밸브기구(700)를 삽입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뚜껑 너트(40A)가 나사 합침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기구(29A)는, 조인트 본체(21a)의 소직경 돌출통(21b)의 중앙밸브 구멍(21c)과, 조인트 본체내의 하부에 형성된 역원추형의 밸브시트(21d)에 시트 이착이 자유로운 스핀들 모양의 밸브체(32A)와, 이 밸브체(32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36A)과, 밸브체(32A)의 밸브시트측 주면에 끼워붙여진 실용 O링(34A)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32A)는 그 하단이 밸브 폐쇄 상태에서 소직경 돌출통(21b)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되어 있고, 또, 상단측에는 압력밸브기구(700)의 구슬 밸브자(703)를 누름가능한 압봉(709)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6A)은, 밸브체(32A)의 상면과 후술하는 압력밸브기구(700)의 밸브시트체(702)의 하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접속관(30A)은, 그 내부에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실에 연이어 통하는 복귀 통로(30a)가 형성되고, 그 탱크 측방쪽으로 돌출한 단부는 조인트 본체(21a)의 측부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30A)의 하단부는 급유 탱크(6A)의 상면의 삽입구멍(48A)으로 탱크 내부에 끼워져 통하게 되고,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0b)가 고무 패킹(51)을 통해 급유 탱크(6A)의 상면의 구멍(49A)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유 탱크(6A)의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탱크내의 공기압이 상승해서 탱크내 액면이 상승해서 연료누설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력밸브기구(700)가 복귀유 조인트(21B)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밸브기구(700)는, 밸브체(32A)의 상방에 배치된 통상의 밸브 구멍(701)부착 밸브시트체(702)와, 이 밸브시트체(702)의 밸브 구멍(701)보다도 상방의 밸브실에 있어서 폐지면에 대해서 시트 이착이 자유로운 구슬 밸브자(703)와, 이 구슬 밸브자(703)를 착시트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704)과, 상기 밸브시트체(702)를 조인트 본체(21a)내에 위치 결정하는 뚜껑 너트(40A)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너트(40A)에는, 그 중앙에 압력제거 구멍(705)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704)은, 구슬 밸브자(703)와 뚜껑 너트(40A)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밸브 구멍(701)은, 밸브체(32A)의 압봉(709)이 관통가능한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복귀유 조인트(21B)가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제32도)와 끼워맞춤 접속하고, 밸브체(32A)가 상방으로 밀렸을 때에, 압봉(709)이 밸브 구멍(701)을 관통해서 구슬 밸브자(70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으로 밸브 구멍(701)을 개공하고, 접속관(30A)을 통해 탱크안과 뚜껑 너트(40A)의 압력제거 구멍(705)이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송유 조인트(9A)(제32도) 및 복귀유 조인트(21B)는, 모두 조인트 본체의 밸브체(31A, 32A)가 하향으로 설정되고, 또한 동 레벨로 배치되고, 이것들과 대향해서 상향으로 배치된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와 상하방향에서 끼워맞춤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 탱크(6A)를 탱크실(1a)의 상방에서 장착하는 것만으로, 양 접속수단(9A, 10A) 및 (21B, 22A)는 원활하게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들 송유측의 제1의 접속수단과 복귀유측의 제2의 접속수단은,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에서, 급유 탱크의 연료의 만료상태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탱크 만량 상태의 연료가 탱크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35도는 송유측 접속수단(9A, 10A)의 구성도, 제36도는 송유 조인트받이부의 구조도, 제37도는 복귀유측 접속수단의 구조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수용실(1a)(제29도)에는, 급유 탱크(6A)의 탱크 수용상태에서,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 조인트(21B)의 하방에 대향해서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제32도)가 배치되어 있다.
송유 조인트받이(10A)는, 제35도와 같이, 원주상의 받이 본체(10Aa)의 상면에 개구하여 송유 조인트(9A)의 하단 소직경 돌출통(9Ab)을 개입가능하게 하는 단면 원형의 오목형 받이부(61A)와, 이 받이부(61A)에 배치되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의 밸브체(31A)와의 접압·이간에 의해 개폐하는 밸브기구(60A)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형의 받이부(61A)의 상단에는 송유 조인트(9A)의 소직경 돌출통(9Ab)의 주위와 밀접가능한 환상의 실면(6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받이부(61A)의 저면에는 밸브받이 수용부(68A)가 오목 설치되고, 이 밸브받이 수용부(68A)에 밸브받이(65A)가 끼워 붙여져 있다. 밸브받이(65A)는, 받이 본체(10Aa)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실(60a)에 연이어 통하는 밸브 구멍(60b)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연료가 흐르는 격자모양의 통로(66A)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기구(60A)는, 밸브실(60a)의 밸브시트에 시트 이착이 자유롭고 상단이 밸브 구멍(60b)을 통과하여 받이부(61A)측으로 돌출하는 밸브체(62A)와, 이 밸브체(62A)의 두부와 밸브받이(65A)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62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63A)과, 밸브체(62A)의 밸브실(60a)측에 바깥 끼움 밀착되어 밸브시트의 사이를 실하는 링(6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밸브기구(60A)는, 송유 조인트(9A)의 밸브체(33A)가 받이측의 밸브체(62A)의 두부를 접압함으로써 밸브를 열고, 밸브체(62A)의 두부로부터 이간함으로써 밸브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받이 본체(10Aa)의 밸브실(60a)하부에는, 전자 펌프(13)(제30도)와 접속하는 배관(203)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69A)(제36도)가 형성되고, 또한, 밸브실(60a)의 측부에는, 공기밸브(20)의 통로(70A)가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이 공기밸브(20) 및 통로(70A)는, 급유 탱크내의 연료의 만수상태의 액면수위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탱크로부터의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공기밸브(20)는, 급유 탱크(6A)로부터 전자 펌프(13)까지의 송유 경로(300)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송유 경로(300)에 받아 들이기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밸브본체의 공기도입 통로에 배치된 밸브자(20a)와, 밸브본체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그 여자에 의해 밸브자(20a)를 통로(70A)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 코일(20b)과, 밸브자(20a)를 밸브 개방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20c)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밸브(20)의 동작은, 운전중에는 공기밸브(20)가 밸브 폐쇄 상태이고,또한, 정지중에는 개방상태가 되어 송유 경로(300)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받아들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밸브(20)는,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시에는 개방상태로서 공기를 흡입하고, 전자 펌프(13)를 구동시켜서 기화기(12)에 공기를 보내는 역할도 하고 있다.
한편, 복귀유 조인트받이(22A)는, 상기 공기밸브(20)가 존재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송유 조인트받이(10A)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복귀유 조인트받이(22A)는, 제37도와 같이, 받이 본체(22a)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형 받이부(72A)와, 이 받이부(72A)에 배치되어 복귀유 조인트(21B)의 밸브기구(29A)의 밸브체(32A)의 접압·이간에 의해 개폐하는 밸브기구(71A)를 구비하고 있다.
받이부(72A)의 상단에는 환상의 실면(78A)이 형성되고, 또, 받이부(72A)의 저면에 오목 설치된 밸브받이 수용부(79A)에 밸브받이(76A)가 끼워 붙여져 있다. 밸브받이(76A)는, 받이 본체(22a)의 하부 밸브실(71a)에 연이어 통하는 밸브구멍(71b)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연료가 흐르는 격자모양의 통로(77A)를 가지고 있다.
밸브기구(71A)는, 밸브실(71a)의 밸브시트에 시트 이착이 자유롭고 상단이 밸브구멍(71b)을 통과하여 받이부(72a)측으로 돌출하는 밸브체(73A)와, 이 밸브체(73A)의 두부와 밸브받이(72)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73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74A)과, 밸브체(73A)의 밸브실(71a)측에 바깥 끼움 밀착된 실용 0링(75A)으로 구성되고, 복귀유 조인트(21B)의 밸브체(32A)가 받이측의 밸브체(73A)의 두부를 접압함으로써 밸브를 열고, 밸브체(73A)의 두부로부터 이간함으로써 밸브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받이 본체(22a)의 밸브실(71a)하부에는, 저류 용기(18)와 접속하는 배관(207)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8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유 탱크(6A) 및 접속수단(9A, 10A) 및 (21B, 22A)의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1)의 탱크 수용실(1a)에 급유 탱크(6A)를 상방에서 세트하면, 접속수단의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B)가,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고, 각 조인트 본체(9Aa, 21a)의 소직경 돌출부(9Ab, 21b)(제33도, 제34도)의 외측에 있는 O링(41A, 42A)이 송유 조인트받이(10A)의 실면(67A)과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실면(78A)으로 실되어 밀폐상태가 된다. 동시에, 각 조인트의 밸브기구(28A, 29A)와 그 받이측 밸브기구(60A, 71A)의 밸브체끼리 서로 누름으로써, 밸브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복귀유 조인트(21B)측에서는, 밸브체(32A)의 밸브 개방에 의해, 밸브체(32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상측의 압봉(709)이 압력밸브기구(700)의 밸브 구멍(701)에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구슬 밸브자(70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므로, 밸브 구멍(701)을 밸브 개방한다. 그 때문에, 탱크내에서 접속관(30A)을 통해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 구멍(701) 및 압력제거 구멍(705)을 통과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탱크 내압을 탱크 외압과 동일하게 하여, 탱크내의 온도상승에 따른 연료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기화기(12) 및 버너(14), 전자 펌프(13), 저류 용기(18), 냉각 핀(19)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석유 팬히터의 동작)
상기 석유 팬히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빈 급유 탱크(6A)를 본체(1)의 뚜껑(7)을 열고, 급유 탱크(6A)의 손잡이(23)를 잡고 꺼낸 후,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한 상태에서 급유캡(24)을 개방하여 그 급유구(26)로 연료를 급유한다.
급유가 완료되면, 연료를 넣은 급유 탱크(6A)를 본체(1)의 뚜껑(7)을 열고,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그렇게 하면, 제35도 및 제37도와 같이, 급유 탱크(6A)의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와 복귀유 조인트(21B)의 밸브기구(29A)의 각각 밸브체(31A, 32A)가, 송유 조인트받이(10A)의 밸브기구(60A)와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밸브기구(71A)의 각각의 밸브체(62A, 73A)를 눌러, 밸브체(62A, 73A)를 내린다.
이들 밸브체(62A, 73A)의 두부(62a, 73a)가 밸브받이(61A, 72A)의 상면부에 닿으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와 복귀유 조인트(21B)의 밸브기구(29A)의 각각의 밸브체(31A, 32A)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던 스프링(35A, 36A)이 압축상태가 되고, 밸브체(31A, 32A)의 폐지면 O링(33A, 34A)이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B)의 각각의 폐지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으로 연료가 전자 펌프(13)측에 흐르는 송유 경로(300)와, 저류 용기(18)로부터 급유 탱크(6A)에의 복귀유 경로(301)가 개방된다.
석유 팬히터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전원을 ON으로 하면, 기화기(12)에 부착된 기화기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화기(12)가 가열된다. 이 때, 기화기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기화기(12)의 온도를 검출하고 있고, 소정온도까지 기화기(12)가 가열되면, 전자펌프(13)가 구동해서 급유 탱크(6A)내의 액체연료를 빨아 올림관(27A)을 통해 빨아 올리고, 송유 조인트(9A), 송유 조인트받이(10A)를 경유해서 기화기(12)로 보낸다. 가열된 기화기(12)에 의해 액체연료는 가스화하여, 버너(14)의 불꽃구(95)로 뿜어지고, 이 불꽃구(95)에 있어서 점화되어 연소실(15)내에서 연소된다.
이 때, 실온 센서(153)(서미스터)에 의해 검지한 실온과, 조작부의 실내온도설정 스위치(157)에 의해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어부(950)가 전자 펌프(13)의 구동을 제어해서 기화기(12)로 보내는 액체연료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에 의한 발열량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연소가 개시되고, 프레임 센서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의 불꽃전류를 검출하면, 팬 모터에 통전되어 송풍 팬이 회전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그 회전속도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연소실(15)내에서 얻어지는 복사열을 빼앗고,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취출구(5)로 본체(1)의 외부(실내)에 뿜어내어지고, 실내온도가 상승해서 최적온도로 제어한다.
(실시예 2)
제38도는 실시예 2의 접속수단의 평면도, 제39도는 마찬가지로 그 정면도, 제40도는 송유 조인트측의 단면도, 제41도는 복귀유 조인트측의 단면도, 제42도는 조인트받이측의 단면도, 제43도는 마찬가지로 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송유측의 접속수단 및 복귀유측의 접속수단에 있어서,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C)를 일체화되고, 또한, 송유 조인트받이(10A)와 복귀유 조인트받이(22A) 및 공기밸브(20)를 일체화한 점,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유 조인트(21C)에 충격 방지수단으로서의 보호 커버(800)를 설치한 점, 복귀유 조인트(21C)의 구슬 밸브자(702a)의 형상을 다르게 한 것, 및 송유 조인트받이(10A)의 밸브기구를 없앤 점에서 실시예 1과 상위하고, 그 밖의 점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기본적으로는 동일한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상위점에 대해서만 상술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C)는, 급유 탱크(6A)의 상부측면에 병설되어 있지만, 이들 조인트 본체(9Aa) 및 (21a)의 급유 탱크측이 연접판(801)에 의해 일체화되고, 이 연접판(801)이 실부재(802)를 통해 급유 탱크(6A)의 측벽에 비스 고정되어 있다.
또,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유 조인트(21C)의 세방향을 둘러싸도록 상면에서 봐서 거의 コ자형의 보강판(804)이 피복되어 연접판(801)에 고정되고, 또한, 그 외측면에 접해서 수지제의 보호 커버(800)가 비스(806)에 의해 보강판(804)에 고정되어,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유 조인트(21C)에 걸리는 충격을 완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 탱크(6A)의 운반시, 또는 급유 탱크(6A)를 본체에 장착할 때에 조인트부를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송유 조인트받이(10A)와 복귀유 조인트받이(22A)도, 탱크 수용실의 실벽에 병설되어 있지만, 이들 조인트 본체(10Aa, 22a)도 연접체(810)에 의해 일체화되고, 또한 송유 조인트받이 본체(10Aa)의 밸브실에 연통로(70A)를 통해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는 공기밸브(20)도 받이 본체(10Aa)에 일체적으로 연접되어 있다.
단, 송유 조인트받이(10A)는, 원주상의 받이 본체(10Aa)의 상면에 개구하여 송유 조인트(9A)의 하단 소직경 돌출통(9Ab)을 개입가능하게 하는 단면 원형의 오목형 받이부(61A)와, 이 받이부(61A)에 중앙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의 밸브체(31A)의 접압을 해서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를 밸브 개방하는 돌기(812)를 구비하고, 이 돌기(812) 주위의 환상 홈부(813)에 공기밸브(20)에의 연통로(70A)와, 전자 펌프(13)에의 연통로(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구조 및 기능도 기본적으로는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 단,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받이 본체(22a)에 내장된 밸브기구(71A) 중, 밸브체(62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63A)이, 받이 본체(22a)의 밸브실(60a)에 있어서 그 저벽과 밸브체(62A)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점이 상위하다. 이 밸브기구(71A)는, 급유 탱크(6A)를 본체에서 꺼냈을 때에, 기화기(12)로부터의 미연료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설치된 것으로, 이것에 의해 악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급유 탱크(6A) 및 접속수단(9A, 10A) 및 (21C, 22A)의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1)의 탱크 수용실(1a)에 급유 탱크(6A)를 상방에서 세트하면, 접속수단의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C)가,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어, 각 조인트 본체(9Aa, 21a)의 소직경 돌출부(9Ab, 21b)의 외측에 있는 O링(41A, 42A)이 송유 조인트받이(10A)의 실면(67A)과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실면(78A)으로 실되어 밀폐상태가 된다. 동시에,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가 받이측 밸브기구(60A)의 밸브체과 서로 눌려져서 밸브를 열고, 또, 복귀유 조인트(21C)의 밸브기구(29A)가 받이측 밸브기구(71A)의 밸브체가 서로 누름으로써 밸브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복귀유 조인트(21C)측에서는, 밸브체(32A)의 밸브 개방에 의해, 밸브체(32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상측의 압봉(709)이 압력밸브기구(700)의 밸브 구멍(701)에서 상방으로 이동해서 구슬 밸브자(70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므로, 밸브 구멍(701)을 밸브 개방한다. 그 때문에, 탱크안으로의 접속관(30A)을 통해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 구멍(701) 및 압력제거 구멍(705)을 통과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탱크 내압을 탱크 외압과 동일하게 하여, 탱크내의 온도상승에 따른 연료누설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탱크안이 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효과는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변경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송유 조인트, 복귀유 조인트를 각각 급유 탱크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연설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실시예 2와 같이 측면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 급유 탱크의 급유구는 상면뿐만 아니라, 탱크 상부에 위치하는 한 탱크 측면에 배치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내의 연료를 송유 펌프에 직접 송유하도록 하였으므로, 급유 탱크의 급유구를 연료 탱크에 장착할 필요가 없고, 급유구 캡이 연료 탱크 연료에 의해 젖는 일도 없고, 특히 연료 탱크가 불필요해지는 만큼, 구성 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급유 탱크에서 연소부에 연료를 보내는 송유 경로, 및/또는, 연소부에서 급유 탱크에의 복귀유 경로에 접속수단을 설치하고, 이들 접속수단에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에서 밸브를 열고, 본체로부터의 탈거시에 밸브를 닫는 밸브기구를 설치했으므로, 본체로부터의 밸브 탈거시에 연료가 새는 일이 없어진다.
더욱이, 송유 경로에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를 받아 들이기 위한 공기밸브를 설치했으므로, 연료의 공급을 확실하게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접속수단의 복귀유 조인트를 이용해서 탱크 내압을 조절하는 압력밸브기구를 설치했으므로, 탱크의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내외에 압력차이가 생겼다고 하더라도, 이것을 해소해서 탱크안에서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 탱크안이 부압이 되는 일이 없어, 연료의 빨아올림 및 빨아올림량이 변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4의 실시형태]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4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탑재한 석유 팬히터(1)의 정면을 일부 잘라낸 개략도이고, 제45도는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작용적으로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제46도는 급유 탱크(6)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제47도는 제46도의 화살표(B-B)단면도이고, 제48도는 흡입구(44)등의 일부 단면으로 도시하는 설명도이고, 제49도는 급유 탱크(6)의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의 단면도이고, 제50도는 급유 조인트받이의 단면도이다.
제4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석유 팬히터 본체(1)는, 착탈가능하게 설치된 앞판(2)과, 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천판(3)과, 운전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4)와, 온풍을 뿜어내는 취출구(5)와, 천판(3)의 상면의 우측에 급유 탱크(6)가 출입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7)을 가지고, 만일, 액체연료가 샜을 때에 이것을 받는 치대(8)에 얹어 놓여져 고정되어 있다.
석유 팬히터 본체(1)의 내부에는, 제44도, 제4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두는 탈거가 자유로운 급유 탱크(6)와,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인(9a)과, 그 급유 조인트 인(9a)의 밸브와 접속가능한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와, 급유 탱크(6)와 후술하는 전자 펌프(13)(제45도)의 연료경로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밸브(20)(제45도)와,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를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탱크 가이드(11)과, 급유 탱크(6)로부터의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2)와, 급유 탱크(6)로부터 기화기(12)에 연료를 보내는 전자 펌프(13)와, 기화기(12)로 기화된 연료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버너(14)와, 연소시키는 버너(14)를 둘러싸는 연소실(15)과, 버너(14)나 연소실(15)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구분하는 칸막이판(16)과, 그 버너(14)를 수용하는 버너박스(17)와, 그 기화기(12)로부터의 일부 기화한 연료를 모으는 히트 파이프(18)(제45도)와, 그 기화기(12)와 히트 파이프(18)의 사이에서 일부 기화한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 핀(19)(제45도)과, 히트 파이프(18)로부터의 기화기로부터의 복귀 연료를 급유 탱크(6)에 보내는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아웃(9b)(제45도)과, 그 급유 탱크(6)의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를 구비하고 있다.
제46도는, 급유 탱크(6)의 일부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제47도는, 제46도의 화살표(B-B)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연료를 수용하는 상자모양 급유 탱크(6)에는, 그 상면에 운반하기 위한 손잡이(23)와, 그 손잡이(23)와 동일면에 설치한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과, 그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의 근접위치에 연료가 급유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유량계(25)와, 급유 탱크(6)의 본체 장착시의 송유 경로의 접속수단(9)과,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을 풀어서 연료를 급유하는 급유구(26)를 가지고 있다.
접속수단(9)은, 제46도 및 제4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일단이 급유 탱크(6)의 하면 근방까지 연장되고, 타단측이 거의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연료 빨아 올림관(31a)과, 연료 빨아 올림관(31a)의 거의 역U자 형상측에 연이어 통한 급유 조인트 인(9a)과, 기화기(12)로부터의 복귀 연료통로의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아웃(9b)과, 그 급유 조인트 아웃(9b)과 급유 탱크(6)를 연이어 통하는 거의 역U자 형상으로 형성된 복귀관(31b)과, 다시 그 급유 조인트 인(9a), 급유 조인트 아웃(9b), 연료 빨아 올림관(31a), 및 복귀관(31b)을 급유 탱크(6)에 대해서 소정위치에 유지, 커버하는 충격방지용 보호 커버(28)를 가지고 있다.
보호 커버(28)는, 부착판(27)을 통해 급유 탱크(6)의 측면측에 위치 결정되어 있다.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제4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가 설치되어, 급유 조인트 인(9a)측에는 급유 탱크(6)내의 연료를 빨아 올려서 전자 펌프(13)에 보내기 위한 빨아 올림관(31a)이 접속되고, 다른 쪽의 급유 조인트 아웃(9b)측에는 기화기(12)(제44도, 제45도)로부터의 복귀 연료를 급유 탱크(6)에 되돌리기 위한 복귀관(31b)이 접속되어 있다.
제4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밸브기구는 각각, 조인트 본체(33), 밸브체(34), 원주상의 O링(35), 스프링(36)과, 조인트 본체 패킹(37)을 가지고 있다.
조인트 본체(33)의 형상은,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제의 파이프를 로트형상으로 확관가공하고, 도중에 조인트 본체(33)를 커버(28)내부에 끼워맞춤하기 위해서 날밑모양으로 돌출한 끈 꺼냄부(33d)를 형성하고 있다. 즉 조인트 본체(33)의 형상은, 원통형상을 유지한 동체부(33a)와, 동체부(33a) 단부에서 선단을 향해서 서서히 직경을 좁게 하는 테이퍼부(폐지면)(33b)와, 테이퍼부(33b)의 선단에 소정의 직경의 크기를 소정길이 유지하는 통상부(33c)를 가지고, 통상부(33c)의 선단은 더욱 직경을 좁게 하도록 테이퍼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또, 조인트 본체(33)의 타단측에는, 빨아 올림관(31a)이나 복귀관(31b)을 조인트 본체 패킹(37)을 통해 추밀상으로 유지하기 위한 개구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퍼부(33b)에 근접한 동체부(33a)에는 날밑모양으로 밀려나온 끈 꺼냄부(33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조인트 본체(33)의 재료는 금속이 아니고 수지제여도 상관없다. 또, 동체부(33a), 테이퍼부(33b)나 통상부(33c)등의 단면 형상 등은 원형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조인트 본체 패킹(37)은 고무제로 형성가공되어, 조인트 본체(33)의 실과 송유 경로의 파이프의 접속 실을 형성하게 한다.
밸브체(34)는, 조인트 본체(33)의 로트상의 내부형상에 거의 상사한 형상을 하고, 조인트 본체(33)내부를 왕복 운동이 자유로운 형상으로 하고 있다. 즉, 거의 원추상을 이루는 마개부(폐지면)(34a)와, 마개부(34a)의 선단에 상기 통상부(33c)보다도 가늘고, 긴 주상의 가동부(34b)를 가지고, 마개부(34a)의 타단측에 상기 스프링(36)이 접속되고, 또, 마개부(34a)의 테이퍼상 부분에는 링모양의 0링 패킹(35)이 조인트 본체(33)의 로트상의 테이퍼부(33b)에 추밀상으로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34b)를 통해 O링 패킹(35)과 조인트 본체(33)의 테이퍼부(33b)의 이접을 제어하므로, 그 조작부(34b)의 길이는 마개부(34a)의 0링 패킹(35)이 테이퍼부(33b) 내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통상부(33c)보다도 선단이 돌출하는 길이로 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36)은, 일단측을 조인트 본체(33)의 개구부(33d)에, 타단측을 마개부(34a)에 접속하고, 마개부(34a)의 0링 패킹(35)이 테이퍼부(33b) 내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압박력이 작용하고 있다. 즉 스프링(36)이 늘어난 상태가 되어 있다.
따라서, 어떤 외력도 작용하지 않으면 스프링(36)의 압박력에 의해 0링 패킹(35)과 테이퍼부(33b)내부가 누름밀착상태가 되어 있다.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조립은, 우선, 밸브체(34)에 원주상의 0링 패킹(35)을 소정의 위치에 끼우고, 스프링(36)을 밸브체(34)에 끼우고 나서, 조인트 본체(33)의 개구부(33d)측에서 삽입하고, 조인트 본체 패킹(37)을 조인트 본체(33)에 장착하고, 접착재로 고정하는 것으로 조립한다.
급유 탱크(6)에 설치한 부착판(27)은, 상자 형상으로 충격방지용 커버(28)를 부착하는 부착부(27a)와, 하방에는 급유 탱크(6)를 장착할 때의 가이드 수단이 되는 삽입 가이드부(27b)로 이루어지고, 급유 탱크(6)에 용착하고 있다.
충격방지용 커버(28)는, 제4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후(39), 커버전(40), 커버상(41)으로 구성되어 있다.
커버후(39)는,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각각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유지, 수납하도록 오목형으로 하고, 조인트 본체(33)의 끈 꺼냄부(33d)를 받는 오목홈부(39a)와, 부착판(27)에 고정하기 위한 3개소의 나사구멍(39b)을 설치하고 있다.
커버전(40)도, 상기 커버후(39)와 마찬가지로 급유 조인트 인(9a),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수납하도록 오목형부를 설치하고, 조인트 본체(33)의 끈 꺼냄부(33d)를 받는 오목홈부와, 급유 탱크(6)의 부착판(27)의 고정용 나사구멍과, 커버상(41)의 고정용 받이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전(40)과 커버후(39)는, 각각의 오목형의 받이부를 대향해서 설치하고,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끼워넣는 상태로, 각각의 나사구멍이 동일한 위치가 되고, 공통의 나사에 의해 부착판(27)에 고정된다.
커버상(41)은,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에 연료를 보내는 빨아 올림관(31a)과 급유 탱크(6)에 연료를 되돌리기 위한 복귀관(31b)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가이드 핀이 복수 설치되고, 다시 커버전(40)의 받이부(42)와 걸어맞춤하기 위한 고정용 걸이부(43)와, 부착판(27)에의 고정용 나사구멍(41a)이 형성되어 있다.
급유 탱크(6)로부터 연료를 빨아 올리기 위한 빨아 올림관(31a)은, 제4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6)의 손잡이(23)와 반대측의 저면 가까이까지 이르고, 그 선단에는 흡입구(44)가 설치되어 있고(제46도, 제48도), 물이나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45)가 내접되어 있다. 그 흡입구(44)는, 빨아 올림관(31a)의 선단의 저면부 이외의 측면부에 설치해도 좋다.
또한, 빨아 올림관(31a)은, 급유 탱크(6)의 우·좌의 아드리얀 가공전 상태에 있어서, 흡입구(44)에 필터(45)를 내접한 후에 크랭크 형상으로 형성한 빨아 올림관 고정판(46)의 절결 구멍부(46a)에 빨아 올림관(31a)를 통과시킨 후에, 급유 탱크(6)의 우·좌의 아드리얀 가공을 행하는 것으로 조립할 수 있다. 빨아 올림관(31a)은, 빨아 올림관 고정판(46)에 의해 급유 탱크(6)의 운반시에 있어서의 움직임이 고정되므로 빨아 올림관(31a)의 흡입구(44)가 급유 탱크(6)의 내벽과 접촉할 일이 없으므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급유 탱크(6)의 접속수단의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조립은, 빨아 올림관(31a)에 접속 패킹(47)을 삽입하고, 급유 탱크(6)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한다.
다시 커버후(39)에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끈 꺼냄부(33d)를 커버후(39)의 오목홈부(39a)에 끼우고, 마찬가지로 커버전(40)을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커버후(39)의 사이에서 끼워넣도록 박아 넣고, 부착판(27)에 복수의 나사로 고정한다. 그리고, 2개의 조인트 본체(33)의 조인트 패킹(37)에 대해서, 대응하는 빨아 올림관(31a)과 복귀관(31b)을 그 중심에 삽입한다.
또, 커버상(41)의 고정용 걸이부(43)를, 커버전(40)의 고정용 받이부(42)에 삽입하고, 나사구멍(41a)을 통해 부착판(27)에 나사로 고정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급유 탱크(6)의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에 충격을 완화시키는 수단인 커버(28)를 설치했으므로, 외부에서 충격력이 가해져도 커버(28)로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으므로, 급유 탱크(6)나 급유 조인트 인(9a),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은, 제46도, 제4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6)의 상면에 돌출해서 설치한 외주를 나사가공한 급유구(26)에 나사 합침하는 캡(53)과, 압력밸브기구(54)를 가지고, 급유구(26)와는 고무제 패킹(55)을 통해 나사 합침되어 있다.
상기 캡(53)에는, 압력을 빼는 압력제거 구멍(56)이 중심을 관통해서 설치되어 있고, 측면은 나사가공되고, 그 단말은 컬가공이 되어 있다.
상기 고무제 패킹(55)은, 급유구(26)와 캡(53)의 실의 역할을 하고, 압력을 빼는 압력제거 구멍(57)이 중심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압력밸브기구(54)는, 밸브체(58)와 스프링(59)를 가지고 있다.
급유 탱크(6)에 보급하는 연료의 보관장소는 일반적으로 온도가 낮은 장소에 보관되고, 급유 탱크(6)에 연료를 보급후, 실내의 온도의 높은 곳에서 사용하므로, 본체(1)내의 급유 탱크(6)의 주위온도가 높고, 급유 탱크(6)안의 연료이외의 공간의 공기가 온도차에 의해 팽창하여, 공기의 압력이 상승하므로, 급유 탱크(6)내의 연료의 액면이 상승하고, 급유 탱크(6)로부터 연료가 넘쳐 나오는 것을 막기 위해서 상기 압력밸브기구(54)를 설치하고 있다. 또, 급유 탱크(6)가 부압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직경 1.5mm이하의 구멍(97, 98)이 고무제 패킹(55)과 캡(53)의 천면에 연이어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구멍(97, 98)은 급유 탱크의 상면에 설치해도 상관없다.
제4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조인트 인(9a)의 하방측에는, 받이측 접속수단이 되는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와,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밸브기구의 하방측에는 받이측 접속수단이 되는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가 형성되어, 급유 탱크(6)를 본체 장착시에 각각이 연결하고, 연료통로의 접속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나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측의 구성을 제50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나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측은, 밸브체(34)와 끼워맞춤하는 돌기상의 밸브받이(10A), 주위에 입벽(61), 및 내부에 연료통로를 형성하는 밸브받이 본체(62)와, 급유 조인트받이(10a),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와, 밸브받이 본체(62)를 실하기 위한 주름상자모양의 조인트 인받이(63)와, 주름상자모양의 조인트 인받이(63)의 신축을 조장하기 위한 스프링(64)과, 스프링(64)을 받는 스프링받이(65)와, 조인트 인받이(63)를 누르기 위한 누름판(66)을 각각 가지고, 소정간격을 두고 병렬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밸브받이(60)의 받이면(67)은, 급유 조인트 인(9a)의 밸브기구를 구성하는 밸브체(34)의 선단부(68)의 접촉면보다 크게 형성하여, 걸어맞춤을 확실하게 하고 있다. 밸브받이(60)의 주위에는, 오목형의 홈(69)이 설치되고, 전자 펌프(13)에의 통로(71a)나 히트 파이프(18)에의 통로(71b)가 개개로 연이어 통하고 있다.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측의 연료경로(71a)에는, 연료의 흐름을 차단하기 위해 공기를 받아들이는 밸브인 공기밸브(20)가 접속되고(제45도, 제50도, 제51도 참조), 연료경로(71a)와의 사이에 연이어 통하는 구멍(71c)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이어 통하는 구멍(71c)은, 급유 탱크내의 연료의 만수상태의 액면수위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급유 조인트 인(9a)측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측의 밸브받이(60)를 일체화함으로써, 밸브받이 본체(62)의 부착을 포함한 구조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조인트받이(63)는,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와 밸브받이 본체(62)를 실하기 위한 것으로, 탄력성이 있는 고무제로 되어 있고 측면에는 복수의 주름상자가 형성되어, 신축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조인트받이(63)의 밸브받이 본체(62)와의 하부(63a)에는 부착용 볼록형의 리브(63b)를 설치하고, 또한, 밸브체(34)의 삽입측에는 안쪽으로 접은 가장자리부(63c)를 형성하는 것으로 밸브체(34)와 밀접하는 통과구멍(70)을 실현하고 있다.
조인트받이(63)의 하부에는 밸브받이 본체(62)의 사이에 스프링(64)의 일단측을 지지하는 스프링받이(65)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받이(65)에는, 스프링(64)을 받는 부의 주위에는 연립부를 형성하고, 중앙부에 연료통과를 위한 구멍(65a)이 설치되어 있다.
누름판(66)은, 조인트받이(63)를 밸브받이 본체(62)로 누르기 위한 것으로, 조인트받이(63)의 하부(63a)를 밸브받이 본체(62)의 사이에서 끼우고, 나사고정되어 있다.
공기밸브(20)(제45도, 제50도, 제51도)는, 급유 탱크(6)에서 전자펌프(13)까지의 송유 경로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보내는 공기도입을 위해 설치되어 있고, 석유 팬히터를 운전중에는 공기밸브(20)가 개구상태로, 석유 팬히터 정지중에는 개방상태로 하여 급유 탱크(6)에서 전자 펌프(13)까지의 송유 경로(71a)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받아 들인다.
또 공기밸브(20)는,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시에는, 개방상태로서 송유 경로(71a)에 공기를 흡입하고, 전자 펌프(13)를 구동시켜서, 기화기(12)에도 공기를 보낸다. 공기밸브(20)는, 제5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로부터의 제어신호에 근거해서 송유 경로(71a)에 통하는 공기구멍(71c)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솔레노이드 밸브 등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전기 제어 외에 기계적, 또는 수동으로 공기 구멍을 개폐하는 공기밸브(20)여도 좋다.
상기 설명한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의 조립은, 밸브받이 본체(62)의 소정의 위치에 스프링받이(65)를 삽입하고, 스프링받이(65)안쪽에 스프링(64)을 끼우고, 스프링(64)의 상방에서 주름상자모양의 조인트 인받이(63)를 밸브받이 본체(62)의 소정의 위치의 오목부에 끼운 후, 누름판(66)을 나사로 밸브받이 본체(62)에 고정한다.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의 조립도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의 조립과 동일하도록 밸브받이 본체(62)의 다른 쪽을 사용해서 구성한다. 최후에, 통로(71)의 도중에 설치한 구멍(71c)부에 공기밸브(20)를 부착하여 고정한다.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나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를 밸브받이 본체(62)에 일체화된 것을, 제5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가이드(11)에 고정하기 위해서 급유 조인트받이판(72)에 고정한다.
급유 조인트받이판(72)은, 주위를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나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의 높이보다 높은 입벽(73)으로 하고, 탱크(6)측의 벽의 선단부를 R구부림한 형상으로 하고, 급유 탱크(6)의 본체 삽입시의 가이드부(74)를 형성하고 있다.
또, 급유 조인트받이판(72)의 탱크 가이드(11)의 고정측에는, 탄성체를 가지는 재료로, 급유 탱크측에 R구부림한 형상의 가이드받이판(75)을 상방측만을 고정하고 있어서, 급유 탱크(6)를 본체(1)에 삽입시에, 급유 탱크(6)를 연소실(15)의 반대측에 가까이 대기 위한 가이드 기능을 완수하고 있다.
또한, 제53도는 제44도의 화살표(A-A)단면도이고, 제54도는 제53도의 커버상(28)을 제거한 경우의 화살표(C)방향에서의 상면도이다.
기화기(12), 버너(14), 히트 펌프(18), 및 냉각핀(19)에 대해서는, 상기한 구성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석유 팬히터의 동작을, 이하에 설명한다.
빈 급유 탱크(6)를 본체(1)의 뚜껑(7)을 열고, 급유 탱크(6)의 손잡이(23)를 잡고 꺼내서,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한 상태로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을 풀어서 벗기고, 급유 탱크(6)의 급유구(26)로 연료를 급유한다.
급유를 완료하면 본체(1)에 연료를 넣은 급유 탱크(6)를 본체(1)의 뚜껑(7)을 열고, 소정의 위치에 세트하면, 제52도, 제55도 및 제5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착판(27)의 하방으로 연장된 삽입 가이드부(38)가, 급유 조인트받이판(72)의 상방으로 연장된 삽입 가이드(74)와 밸브받이 본체(62)의 사이에 유도되고, 다시, 가이드받이판(75)으로 급유 탱크(6)의 접속수단의 커버전(40)을 눌러, 급유 탱크(6)를 연소실(15)과 반대측에 가까이 대고,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나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의 조인트받이(63)의 통과구멍(70)에, 밸브체(34)가 삽입되어, 조인트받이(63)의 주름상자가 줄어들고, 밸브체(34)가 밸브받이 본체(62)의 밸브받이(60)와 접촉하고, 다시 제56도와 같이 급유 탱크(6)를 본체(1)에 삽입하면, 급유 조인트 인(9a)과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밸브체(34)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스프링(36)이 압축상태가 되어, 밸브체(34)의 폐지면에 설치한 O링(35)이 조인트 본체(33)의 폐지면과에 틈(S)이 생기고, 이 틈(S)으로 연료가 전자 펌프(13)측에 흐르는 경로와, 히트펌프(18)로부터 급유 탱크(6)에의 복귀통로가 따로따로 형성된다.
석유 팬히터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전원을 ON으로 하면, 기화기(12)에 부착된 기화기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화기(12)가 가열된다. 이 때, 기화기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기화기(12)의 온도를 검출하고 있고, 소정온도까지 기화기(12)가 가열되면, 전자 펌프(13)가 구동해서 급유 탱크(6)내의 액체연료를 빨아 올림관(31a)를 통해 빨아 올리고, 급유 조인트 인(9a), 급유 조인트 인받이(10a)를 경유해서 상기 기화기(12)에 보낸다.
가열된 기화기(12)에 의해 액체연료는 가스화하여, 버너(14)의 불꽃구(95)로 뿜어내고, 그 불꽃구(95)에 있어서 점화되어 연소실내에서 연소된다. 이 때, 실온 서미스터에 의해 검지한 실온과, 조작부(4)에서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가 상기 전자 펌프(13)의 구동을 제어해서 기화기(12)로 보내는 액체연료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에 의한 발열량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연소를 개시하고, 프레임 센서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의 불꽃전류를 검출하면, 팬 모터가 통전되어 송풍 팬이 회전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그 회전속도는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연소실(15)내에서, 얻어지는 복사열을 빼앗고,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취출구(5)로 본체(1)의 외부(실내)로 뿜어내어지고, 실내온도가 상승해서 온도를 제어한다.
본체(1)의 운전을 정지하면, 전자 펌프(13)의 구동이 정지되고, 기화기 히터의 통전이 정지된다. 그 때 솔레노이드 밸브(84)의 통전이 OFF하고, 솔레노이드 밸브(84)의 가동편(91)이 흡착편(92)에서 개방되어, 흡착편(92)에 장착되어 있는 니들(83)이 기화기(12)의 노즐(82)의 구멍부를 막는다.
기화기(12)의 내부에 잔류하고 있는 일부 기화한 연료는, 솔레노이드 밸브(84)의 본체와 니들(83)의 폐지면의 틈을 통과하여, 송유 파이프를 경유해서 히트 펌프(18)에 비축된다. 송유 파이프의 도중에 설치되어 있는 냉각 핀(19)으로 그 파이프(202)를 통과하는 온도가 높은 일부 기화한 연료가 방열되고, 일부 기화한 연료가 온도를 낮춰서 히트 파이프(18)에 보내진다.
히트 파이프(18)안의 일부 기화한 연료는, 보내져 왔을 때에는 기체로 존재하고 있고 시간이 경과하면 온도가 내려가 기체에서 액체로 변하여 모여진다.
점화시에는, 기화기(12)안에서 연료의 온도를 높여서 액체에서 기체로 해서 연료를 노즐(82)에서 분출까지의 1 내지 2분간 니들(83)로 노즐(82)을 폐색상태로 하고 있지만, 기화기(12)의 노즐(82)의 구멍부가 막혀진 것에 의해 기화기(12)의 내압이 약 O.2[kg/cm2]로 올라가고, 그 압력이 송유 파이프를 경유해서 히트 파이프(18)의 내부에 걸리고, 히트 파이프(18)의 용기(96)안의 액체가 된 연료의 표면에 압력이 가해져 유면을 눌러 내려서 히트 파이프(18)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파이프(99)의 하단의 래퍼상구(200)로 액체가 된 연료가 보내지고, 송유 파이프(202b)을 경유해서 급유 조인트 아웃받이(10b)의 통로(71b)를 거쳐서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복귀관(31b)을 경유해서 급유 탱크(6)에 보내진다.
기화기(12)내부에서 액체연료를 가열해서 연료를 가스로 만들었을 때에 불순물이 발생하고, 장기간 운전을 하고 있으면 기화기(12)내부에 불순물이 퇴적되서 기화기(12)의 노즐(82)로 분출되는 가스량이 저하하므로, 원래의 가스량으로 되돌리기 위해서 기화기(12)의 내부에 퇴적되어 있는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해서,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을 행한다.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은, 다음 수순으로 행한다.
우선, 급유 탱크(6)를 본체(1)에 세트한 상태로, 공연소 클리닝의 스위치를 ON하면, 자동적으로 기화기(12)의 온도를 공연소 클리닝 온도까지 올리고, 공기밸브(20)를 개방상태로 하고, 전자 펌프(13)를 구동하면, 급유 탱크(6)내의 압력보다도 공기밸브(20)로 들어가는 공기의 대기압쪽이 크기 때문에, 공기밸브(20)로 통로(71a)에 공기를 흡입하여, 다시 전자 펌프(13)로 그 공기를 기화기(12)에 보내고, 기화기(12)의 불순물을 기화기(12)안의 온도를 높여서 공기와 함께 일정시간 공연소해서 제거한다.
이제까지와 같은 전자 펌프(13)에 공기를 흡입시키기 위해서, 연료를 송유 경로에서 없애는 방법이 없어지고, 연료를 송유통로에서 빼내는 번거로움이 없어져 간단하게 기화기(12)의 클리닝을 할 수 있다.
또, 급유 탱크(6)에 연료를 보급할 때에, 본체(1)에서 급유 탱크(6)를 빼내고, 본체외에서 다른 용기로 연료를 보급하지만, 그 때 급유 탱크(6)는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해서 평평한 곳에 두고, 손잡이(23)가 있는 면의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을 풀어서 벗기고, 급유 탱크(6)의 급유구(26)로 급유펌프를 이용해서 연료를 보급한다. 이와 같이 급유 탱크(6)에 연료를 보급할 때에, 급유 탱크(6)를 상하를 역으로 하는 일이 없으므로, 종래와 같이 급유 탱크(6)의 급유캡이 연료로더럽혀지는 일도 없이, 간단, 확실하게 연료의 보급을 할 수 있다.
또한, 보급하는 연료는 실외의 온도가 낮은 장소에 보관되어 있는 수가 많은 케이스가 있어 연료의 온도는 낮지만, 한편, 본체내의 급유 탱크(6)의 주위온도가 높으므로 급유 탱크(6)내의 공기가 온도차에 의해 팽창하기 때문에 압력이 올라가고, 이 올라간 공기압은 압력밸브부착 급유캡(24)의 밸브체(58)를 밀어 올리고, 캡(53)의 릴리프구멍(56)으로 공기를 릴리프해서 급유 탱크(6)내의 공기압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고, 연료가 급유 탱크(6)에서 넘쳐 나오는 일은 없다.
또,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받이(10a)는, 급유 탱크(6)의 최대높이의 액면보다도 상방에 배치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급유 탱크(6)로부터의 연료의 넘침을 막도록 하고 있다.
(실시예 2)
제57도는 실시형태의 실시예 2를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사시도, 제58도는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유 탱크(6B)가 전도해도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등의 접속수단이 파손하지 않도록 한 것으로,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급유 탱크(6B)의 상면도의 외곽·능선(600)안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57도 및 제5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거의 직방체상으로 형성된 급유 탱크(6B)에 있어서, 인접하는 측면(6B1, 6B2)끼리 서로 교차해서 형성되는 능선(6B3)으로부터 측면(6B1, 6B2)을 탱크 중심방향에 후퇴시켜서, 급유 탱크(6B)의 상면도의 외곽·능선(6B0)내에 있어서 거의 삼각형의 공간영역(6B4)을 형성하고, 이 공간영역(6B4)의 탱크 벽면(6B5)에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설치하는 동시에, 이것들을 상기 공간영역(6B4)내에 배치하도록 하고 있다.
공간영역(6B4)의 탱크 벽면(6B5)은, 급유 탱크(6B)의 상단에서 하단부까지 형성되어 있고, 이 탱크 벽면에 각각 별체로 형성된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이 부착판(27)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조인트 인(9a) 및 조인트 아웃(9b)에는 각각 연료 빨아 올림관(31a)과 연료 복귀관(31b)이 접속되어 있고, 또, 제1의 실시형태와 같이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 가 내장되어, 송유 경로 및 복귀유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급유 탱크의 공간영역(6B4)이 형성된 능선(6b3)과 인접하는 능선(6B7)에는, 탱크 상면과 인접하는 2측면(6B2, 6B8)에 걸쳐서 경사면(6B9)이 형성되어, 이 경사면에 급유구(26)가 형성되고, 이 급유구에 급유캡(24)이 회전운동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급유캡(24)도 급유 탱크(6)의 상면도의 윤곽·능선(6B0)내에 배치되어, 탱크 전도시에 있어서 캡(24)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59도는 충격 방지수단을 부설한 경우의 상면도이고, 제57도 및 제58도의 구성에 부가해서, 충격완화용 보호 커버(28)를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의 외측에 배치한 것으로, 상면에서 봐서 거의 コ자형의 보호 커버(28)도 급유 탱크(6B)의 상면도의 외곽·능선(6B0)안의 거의 삼각형의 공간영역(6B4)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접속수단인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 및 보호 커버(28) 모두, 급유 탱크(6B)의 상면도의 외곽·능선(6B0)내의 거의 삼각형의 공간영역(6B4)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탱크 운반시에 잘못해서 탱크가 전도되었다고 하더라도, 탱크(6)의 측면(6B1, 6B2, 6B8)이 바닥에 닿아서,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이 바닥에 직접 닿는 것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이들 조인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3)
제60도는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급유 탱크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 2와 같이 거의 삼각형의 공간영역을 형성하는 대신에, 거의 직사각형의 공간영역(6C4)을 형성하고, 이 공간영역(6C4)에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배치한 것이다. 즉, 급유 탱크(6C)는, 그 인접하는 측면(6C1, 6C2)끼리 서로 교차해서 형성되는 능선(6C3)으로부터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6C)의 상면도의 외곽·능선(6C0)내에 있어서 거의 직사각형의 공간영역(6C4)을 형성하고, 이 공간영역에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배치하고, 부착판(27)에 의해 탱크 벽면(6C5)에 고정하도록 하고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실시예 2와 같다.
제61도는 제60도의 실시예에 있어서, 외곽·능선(6C0)에 따라 만곡한 충격방지용 보호 커버(28)를 부설한 예를 도시하는 상면도이고, 보호 커버(28)는 상기 외곽·능선(6C0)내에 배치되어 있다. 어느 실시예에 있어서나, 상기 실시예 2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내고, 접속부의 손상방지를 꾀할 수 있다.
(실시예 4)
제62도는 본 실시형태의 실시예 4를 나타내는 급유 탱크의 상면도, 제63도는 충격방지용 보호 커버(28)를 부설한 경우의 상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유 탱크(6D)의 측면(6D1)을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6D)의 상면도의 외곽·능선(6D0)내에 오목부(6D4)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 공간(6D4)안에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배치하고, 오목부(6D4)의 저벽에 상당하는 탱크 벽면(6D5)에 부착판(27)에 의해 고정된 것이고, 또, 제63도는 이것에 부가해서 급유 조인트 인(9a)이나 급유 조인트 아웃(9b)을 보호하는 단면 コ자형의 보호 커버(28)가 외곽·능선(6D0)내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제2 및 제3의 실시형태와 같이, 접속부의 손상방지를 꾀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변경을 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유캡에 압력밸브를 부설한 구성을 나타냈지만, 압력밸브기구는, 급유캡에 한하지 않고, 급유 조인트부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4에 있어서, 실시예 1에 나타내는 공기밸브(20)도 외곽·능선내에 배치하는 구성도 채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연소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에 직접 송유하도록 하고, 연료경로의 구성부재를 감소시켜서, 급유 탱크의 취급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둘 필요가 없으므로, 급유 탱크의 설계자유도가 높아지고, 급유 탱크의 연료배출구는 하부에 한정되지 않고, 급유캡에 연료배출기능을 아울러 갖게 할 필요도 없으므로, 급유캡 외측이 연료에 접촉하지 않아, 급유시의 급유캡의 개폐로 손이 연료로 더럽혀질 일은 없다. 또, 급유캡이 풀려도 연료가 넘쳐 흐를 불안이 없어진다.
더욱이, 급유 탱크의 접속수단 및 이것을 보호하는 충격방지 커버를,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했으므로, 접속수단 등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고, 그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제5의 실시형태]
제6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5의 실시형태의 액체연료 연소장치를 탑재한 석유 팬히터의 정면 개략도, 제65도는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개략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석유 팬히터 본체(1)는, 상자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된 앞판(2)과, 측면과 일체로 형성된 천판(3)과, 운전동작을 조작하는 조작부(4)와, 온풍을 뿜어내는 취출구(5)와, 천판(3)의 상면 우측에 급유 탱크(6E)가 출입을 하는 개폐가 자유로운 뚜껑(7)을 구비하고 있고, 이 본체(1)가, 만일, 액체연료가 샜을 때에 이것을 받는 치대(8)에 얹어 놓여져 고정되어 있다.
본체(1)의 내부는, 제64도 및 제65도와 같이, 탱크 가이드(11) 및 칸막이판(16)에 의해, 급유 탱크(6E)를 수용하는 탱크 수용실(1a)과, 기화기(12)나 전자 펌프(13)등을 수용하는 기능부품 수용실(1b)과, 버너(14)나 연소실(15)이 배치된 연소부실(1c)로 구획되어 있다.
탱크 수용실(1a)에는, 연료를 일시적으로 모아두는 탈거가 자유로운 카트리지식의 급유 탱크(6E)와, 급유 탱크(6E)의 연료를 기화기측에 송유하는 송유 경로(300)와 급유 탱크(6E)를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송유측 접속수단(9A, 10A)과, 기화기(12)측에서 연료를 급유 탱크(6E)에 되돌리는 복귀유 경로(301)와 급유 탱크(6E)를 착탈이 자유롭게 접속하는 복귀유측 접속수단(21C, 22A)이 배치되어 있다. 탱크 수용실(1a)의 저부에는, 급유 탱크를 수용할 때에, 접속수단(9A, 10A) 및 (21C, 22A)에 걸리는 충격을 흡수·완화하는 쿠션성이 있는 재치대(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탱크 수용실(1a)에는, 급유 탱크(6E)를 수용할 때에, 송유측 접속수단(9A, 10A) 및 복귀유측 접속수단(21C, 22A)이 확실하게 끼워맞춤 접속하도록, 가이드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송유측 접속수단은, 빨아 올림관과 통로를 개폐하는 밸브를 내장한 송유 조인트(9A)와, 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를 받는 송유 조인트받이(10A)로 구성되어 있다. 송유 조인트받이(10A)에는, 급유 탱크(6E)로부터 전자 펌프(송유 펌프)(13)에 공급되는 송유 경로(300)를 차단하기 위해서 송유경로에 공기를 받아 들이는 공기밸브(20)가 접속되어 있다. 이 송유 조인트받이(10A)는, 상부가 기능부품 수용실측으로 돌출한 탱크 가이드(11)의 벽면에 설치되어 있다.
기능부품 수용실(1b)은, 탱크 수용실(1a)과 연소부실(1c)의 사이에 배치된 것으로, 급유 탱크(6E)로부터의 연료를 기화시키는 기화기(12)와, 급유 탱크(6E)로부터 기화기(12)에 연료를 보내는 전자 펌프(13)와, 기화기(12)로부터의 일부 기화한 연료를 모아두는 저류 용기(18)와, 기화기(12)와 저류 용기(18)의 사이에서 일부 기화한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 핀(19)이 수용되어 있다.
연소부실(1c)은, 칸막이판(16)에 의해 칸막이되어 있고, 기화기(12)로 기화된 연료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버너(14)와, 연소시키는 버너(14)를 둘러싸는 연소실(15), 버너(14)를 수용하는 버너박스(17)가 수용되어 있다. 상기 기화기(12) 및 버너(14)등에 의해 연료를 연소시키는 연소부가 구성되어 있다.
송유 경로(300)는, 송유 조인트받이(10A)와 전자 펌프(13)를 연결하는 배관 (203), 및 전자 펌프(13)와 기화기(12)를 연결하는 배관(204)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복귀유 경로(301)는, 기화기(12)와 냉각핀(19)을 연결하는 배관(205), 냉각 핀(19)과 저류 용기(18)를 연결하는 배관(206), 및 저류 용기(18)와 복귀유 조인트받이(10A)를 연결하는 배관(207)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배관(203) 내지 (207)은 모두 동관으로 성형되어 있다. 또한, 급유 탱크(6E)에서 전자 펌프(13)까지의 배관은, 동관 이외의 수지제 등의 배관을 사용해도 좋다.
(급유 탱크의 구성)
제66도는 급유 탱크의 개략도, 제67도는 급유 탱크의 접속부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68도는 송유 조인트와 급유 탱크내의 빨아 올림관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69도는 복귀유 조인트의 구조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유 탱크(6E)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제의 소재(예를 들면, 아연 도금 강판)에 의해 세로형 상자모양으로 형성된 것으로, 연료를 넣어서 운반을 하기 위해 탱크 상면에 설치된 손잡이(23)와, 이 손잡이(23)가 설치되어 있는 상면과 이것에 인접하는 한쪽면의 사이에 형성된 경사면(501)과, 이 경사면(501)에 배치된 연료공급용 급유구(26)와, 이 급유구(26)를 개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수단(600)과, 이 급유구(26)에 가까운 측면에 설치되어, 연료가 급유된 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하게 하는 유량계(25)와, 손잡이(23)가 설치되어 있는 상면에 있어서, 급유구(26)와 반대측에 배치된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유 조인트(21C)를 구비하고 있다.
송유 조인트(9A)는, 제68도와 같이, 급유 탱크(6E)의 상면에서 탱크 측방으로 돌출하는 가로 L자형의 접속관(43A)과, 그 접속관(43A)의 선단에 설치되어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28A)를 내장한 조인트 본체(9Aa)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9Aa)는, 세로형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송유 조인트받이(10A)측에 끼워맞춤하는 원통상의 소직경 돌출통(9Ab)이 형성되어, 그 외주부에 접속 실용의 0링(41A)이 바깥 끼움 밀착되어 있다. 또, 조인트 본체(9Aa)의 상단 개구부에는 밸브기구(28A)를 삽입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뚜껑 너트(38A)가 나사 합침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9Aa)내의 밸브기구(28A)는, 조인트 본체(9Aa)의 소직경 돌출통(9Ab)의 중앙밸브 구멍(9Ac)과, 조인트 본체내의 하부에 형성된 역원추형의 밸브시트(9Ad)에 시트 이착이 자유로운 스핀들 모양의 밸브체(31A)와, 이 밸브체(31A)의 상단과 뚜껑너트(38A)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31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35A)과, 밸브체(31A)의 밸브시트측 주면에 끼워붙여진 실용 O링(33A)을 구비하고, 밸브 폐쇄 상태로 밸브체(31A)의 하단이 소직경 돌출통(9A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있다.
접속관(43A)은, 그 내부에 조인트 본체(9Aa)내의 밸브실에 연이어 통하는 흡입 통로(43A)가 형성되고, 그 탱크 측방쪽으로 돌출한 단부는 조인트 본체(9Aa)의 측부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43A)의 하단부는 급유 탱크(6E)의 상면의 삽입구멍(46A)으로 탱크 내부에 끼워져 통하게 되고,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43b)가 고무 패킹(50A)을 통해 급유 탱크(6E)의 상면의 구멍(47A)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접속관(43A)의 하단부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새겨 만들어지고, 이 수나사에 급유 탱크내의 빨아 올림관(27A)의 상단이 나사식 붙이기 되어 있다.
빨아 올림관(27A)은, 급유 탱크(6E)의 저면 가까이까지 이르고, 그 하단측면에 형성된 흡입구(44B)에 물이나 먼지를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45B)가 설치되어 있다. 이 흡입구(44B)는 빨아 올림관(27A)의 하단 저면부에 설치해도 좋다(제82도 참조).
복귀유 조인트(21C)는, 제69도와 같이, 송유 조인트(9A)와 함께 급유 탱크(6E)의 상면에 병설된 것으로, 빨아 올림관(27A)이 접속되어 있지 않는 점, 및 급유 탱크(6E)의 압력밸브기구(700)를 설치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 송유 조인트(9A)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상위점 이외의 구조에 대해서는 간단히 설명한다.
복귀유 조인트(21C)는, 제69도와 같이, 급유 탱크(6E)의 상면에서 탱크 측방으로 돌출하는 가로 L자형의 접속관(30A)과, 그 접속관(30A)의 선단에 설치되어 스핀들 방식의 밸브기구(29A)를 내장한 조인트 본체(21a)를 구비하고 있다.
조인트 본체(21a)는, 세로형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그 하면에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측으로 끼워맞춤하는 원통상의 소직경 돌출통(21b)이 형성되고, 그 외주부에 접속 실용의 O링(42A)이 바깥 끼움 밀착되어 있다. 또, 조인트 본체(21a)의 상단 개구부에는 밸브기구(29A) 및 압력밸브기구(700)를 삽입하기 위한 개폐가능한 뚜껑 너트(40A)가 나사 합침되어 있다.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기구(29A)는, 조인트 본체(21a)의 소직경 돌출통 (21b)의 중앙밸브 구멍(21c)과, 조인트 본체내의 하부에 형성된 역원추형의 밸브시트(21d)에 시트 이착이 자유로운 스핀들 모양의 밸브체(32A)와, 이 밸브체(32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36A)과, 밸브체(32A)의 밸브시트측 주면에 끼워붙여진 실용 O링(34A)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체(32A)는 그 하단이 밸브 폐쇄 상태로 소직경 돌출통(21b)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가 되어 있고, 또, 상단측에는 압력밸브기구(700)의 구슬 밸브자(703)를 누름가능한 압봉(709)이 일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36A)은, 밸브체(32A)의 상면과 후술하는 압력밸브기구(700)의 밸브시트체(702a)의 하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접속관(30A)은, 그 내부에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실에 연이어 통하는 복귀 통로(30a)가 형성되고, 그 탱크 측방쪽으로 돌출한 단부는 조인트 본체(21a)의 측부에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접속관(30A)의 하단부는 급유 탱크(6E)의 상면의 삽입구멍(48A)으로 탱크 내부에 끼워져 통하게 되고,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30b)가 고무 패킹(51A)을 통해 급유 탱크(6E)의 상면의 구멍(49A)에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급유 탱크(6E)의 내외의 온도차에 의해 탱크내의 공기압이 상승해서 탱크내 액면이 상승해서 연료누설을 일으키는 것과, 탱크안이 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압력밸브기구(700)가 복귀유 조인트(21C)에 설치되어 있다.
이 압력밸브기구(700)는, 밸브체(32A)의 상방에 배치된 통상의 밸브 구멍(701)이 딸린 밸브시트체(702a)와, 이 밸브시트체(702a)의 밸브 구멍(701)으로도 상방의 밸브실에 있어서 폐지면에 대해서 시트 이착이 자유로운 구슬 밸브자(703)와, 이 구슬 밸브자(703)를 착시트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704)과, 상기 밸브시트체(702a)를 조인트 본체(21a)내에 위치 결정하는 뚜껑 너트(40A)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 너트(40A)에는, 그 중앙에 압력제거 구멍(705)이 형성되어 있고, 스프링(704)은, 구슬 밸브자(703)와 뚜껑 너트(40A)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밸브 구멍(701)은, 밸브체(32A)의 압봉(709)이 관통가능한 직경으로 설정되어 있고, 복귀유 조인트(21C)가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와 끼워맞춤 접속하여, 밸브체(32A)가 상방으로 밀렸을 때에, 압봉(709)이 밸브 구멍(701)을 관통해서 구슬 밸브자(70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는 것으로 밸브 구멍(701)을 개공하고, 접속관(30A)을 통해 탱크안과 뚜껑 너트(40A)의 압력제거 구멍(705)이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유 조인트(21C)는, 모두 조인트 본체의 밸브체(31A, 32A)가 하향으로 설정되고, 또한 동 레벨로 배치되어, 이것들과 대향해서 상향으로 배치된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와 상하방향에서 끼워맞춤 접속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 탱크(6E)를 탱크실(1a)의 상방에서 장착하는 것만으로, 양 접속수단(9A, 10A) 및 (21C, 22A)는 원활하게 접속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70도는 송유측 접속수단(9A, 10A)의 구성도, 제71도는 송유 조인트받이부의 구조도, 제72도는 복귀유측 접속수단의 구조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 수용실(1a)에는, 급유 탱크(6E)의 탱크 수용상태에서, 송유 조인트(9A) 및 복귀 조인트(21C)의 하방에 대향해서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가 배치되어 있다.
송유 조인트받이(10A)는, 제71도와 같이, 원주상의 받이 본체(10Aa)의 상면에 개구하여 송유 조인트(9A)의 하단 소직경 돌출통(9Ab)을 개입가능하게 하는 단면 원형의 오목형 받이부(61A)와, 이 받이부(61A)에 배치되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의 밸브체(33A)와의 접압·이간에 의해 개폐하는 밸브기구(60A)를 구비하고 있다.
오목형의 받이부(61A)의 상단에는 송유 조인트(9A)의 소직경 돌출통(9Ab)의 주위와 밀접가능한 환상의 실면(6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받이부(61A)의 저면에는 밸브받이 수용부(68A)가 오목 설치되고, 이 밸브받이 수용부(68A)에 밸브받이(65A)가 끼워 붙여져 있다. 밸브받이(65A)는, 받이 본체(10Aa)의 하부에 형성된 밸브실(60a)에 연이어 통하는 밸브 구멍(60b)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연료가 흐르는 격자모양의 통로(66A)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기구(60A)는, 밸브실(60a)의 밸브시트에 시트 이착이 자유롭고 상단이 밸브 구멍(60b)을 통과하여 받이부(61A)측으로 돌출하는 밸브체(62A)와, 이 밸브체(62A)의 두부와 밸브받이(65A)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62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63A)과, 밸브체(62A)의 밸브실(60a)측에 바깥 끼움 밀착되어 밸브시트와의 사이를 실하는 O링(64A)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밸브기구(60A)는, 송유 조인트(9A)의 밸브체(33A)가 받이측의 밸브체(62A)의 두부를 접압함으로써 밸브를 개방하고, 밸브체(62A)의 두부로부터 이간하는 것으로 밸브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또, 받이 본체(10Aa)의 밸브실(60a)의 하부에는, 전자 펌프(13)와 접속하는 배관(203)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69A)가 형성되고, 또한, 밸브실(60a)의 측부에는, 공기밸브(20)의 통로(70A)가 연이어 통하게 되어 있다. 이 통로(70A)는, 급유 탱크내의 연료의 만수상태의 액면수위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공기밸브(20)는, 급유 탱크(6E)에서 전자펌프(13)까지의 송유 경로(300)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송유 경로(300)에 받아 들이기 위해서 설치된 것이며, 밸브본체의 공기도입 통로에 배치된 밸브자(20a)와, 밸브본체의 외주부에 배치되어 그 여자에 의해 밸브자(20a)를 통로(70A)의 밸브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전자 코일(20b)과, 밸브자(20a)를 밸브 개방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20c)을 구비하고 있다.
이 공기밸브(20)의 동작은, 운전중에는 공기밸브(20)가 밸브 폐쇄 상태이며, 또, 정지중에는 개방상태가 되어 송유 경로(300)의 연료를 차단하는 공기를 받아 들이는 역할을 한다. 또한, 공기밸브(20)는, 기화기(12)의 공연소 클리닝시에는 개방상태로 하여 공기를 흡입하고, 전자 펌프(13)를 구동시켜서 기화기(12)에 공기를 보내는 역할도 하고 있다.
한편, 복귀유 조인트받이(22A)는, 상기 공기밸브(20)가 존재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송유 조인트받이(10A)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그 구조를 간단히 설명하면, 복귀유 조인트받이(22A)는, 제72도와 같이, 받이 본체(22a)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형 받이부(72A)와, 이 받이부(72A)에 배치되어 복귀유 조인트(21C)의 밸브기구(29A)의 밸브체(32A)의 접압·이간에 의해 개폐하는 밸브기구(71A)를 구비하고 있다.
받이부(72A)의 상단에는 환상의 실면(78A)이 형성되고, 또, 받이부(72A)의 저면에 오목 설치된 밸브받이 수용부(79A)에 밸브받이(76A)가 끼워 붙여져 있다. 밸브받이(76A)는, 받이 본체(22a)의 하부 밸브실(71a)에 연이어 통하는 밸브 구멍 (71b)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연료가 흐르는 격자모양의 통로(77A)를 가지고 있다.
밸브기구(71A)는, 밸브실(71a)의 밸브시트에 시트 이착이 자유롭고 상단이 밸브구멍(71b)을 통과하여 받이부(72a)측으로 돌출하는 밸브체(73A)와, 이 밸브체(73A)의 두부와 밸브받이(72A)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73A)를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74A)과, 밸브체(73A)의 밸브실(71a)측에 바깥 끼움 밀착된 실용 0링(75A)으로 구성되고, 복귀유 조인트(21C)의 밸브체(32A)가 받이측의 밸브체(73A)의 두부를 접압함으로써 밸브를 개방하고, 밸브체(73A)의 두부로부터 이간함으로써 밸브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받이 본체(22a)의 밸브실(71a)의 하부에는, 저류 용기(18)와 접속하는 배관(207)과 연이어 통하는 통로(8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유 탱크(6E) 및 접속수단(9A, 10A) 및 (21C, 22A)의 구성에 있어서는, 본체(1)의 탱크 수용실(1a)에 급유 탱크(6E)를 상방에서 세트하면, 접속수단의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C)가, 송유 조인트받이(10A)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고, 각 조인트 본체(9Aa, 21a)의 소직경 돌출부(9Ab, 21b)의 외측에 있는 O링(41A, 42A)이 송유 조인트받이(10A)의 실면(67)과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실면(78A)으로 실되어 밀폐상태가 된다. 동시에, 각 조인트의 밸브기구(28A, 29A)와 그 받이측 밸브기구(60A, 71A)의 밸브체끼리 서로 누름으로써, 밸브 개방 상태가 된다.
또한, 복귀유 조인트(21C)측에서는, 밸브체(32A)의 밸브 개방에 의해, 밸브체(32A)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그 위쪽의 압봉(709)이 압력밸브기구(700)의 밸브 구멍(701)에서 상방으로 이동해서 구슬 밸브자(703)를 상방으로 밀어 올리므로, 밸브 구멍(701)을 밸브 개방한다. 그 때문에, 탱크내에서 접속관(30A)을 통해서 조인트 본체(21a)내의 밸브 구멍(701) 및 압력제거 구멍(705)을 통과하는 연통로가 형성되어, 탱크 내압을 탱크 외압과 동일하게 하고, 탱크내의 온도상승에 따른 연료누설과, 탱크안이 부압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급유구의 구성)
제73도는 급유 탱크의 측면도, 제74도는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에 있어서의 급유구부의 단면도, 제75도는 급유 탱크의 본체 꺼냄 상태에 있어서의 급유구부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급유 탱크(6E)는, 그 상면(6d)과 이것에 인접하는 측면(6E)의 사이에 탱크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소정각도의 경사면(501)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501)에 급유구(26)가 배치되어 있다. 경사면(501)의 경사각도는, 급유 탱크에 있어서 최소한의 용적 컷이 되고, 또한 본체 장착상태에 있어서 급유구(26)를 개폐할 수 없는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급유구(26)는 회전운동식의 뚜껑부재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즉, 급유구(26)의 폐색수단(600)은, 제7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구(26)에 끼워맞춤하는 구멍을 가지고 경사면(501)에 스폿 용접되어 일체화된 고정판(601)과, 이 고정판(601)의 상부 손잡이측에 있어서 기립편(602)에 회전운동 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판(603)과, 이 가동판(603)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급유구(28A)의 금구(26a)를 닫는 패킹(604)이 딸린 뚜껑부재(605)와, 이 뚜껑부재(605)와 가동판(603)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뚜껑부재(605)를 급유구(26)의 금구(26a) 측으로 누르는 코일상 용수철 부재(606)와, 가동판(603)을 급유구 폐쇄자세로 유지하는 걸림 수단(607)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601)은, 경사면(501)으로부터 탱크 상면까지 연설되어, 그 연설부에 있어서 손잡이(21C)의 하단 각부를 기복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받이부(도시하지 않음)도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603)은, 그 손잡이측이 회전운동지점(611)이 되어, 개방단측에 걸림 수단(607)이 배치되어 있고, 본체 장착상태에 있어서, 가동판(603)을 개방하려고 해도, 그 개방단이 탱크 가이드(11)에 맞닿아서 개방할 수 없도록, 가동판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뚜껑부재(605)는, 깊은 접시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단 플랜지(608)가 가동판(603)의 내면에 형성된 환상의 스토퍼 부재(610)로 빠져 나감 불능이고, 또한 가동판의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걸려 있다. 패킹(604)은, 뚜껑부재의 중앙 돌출부의 외주부에 끼워 맞춰진 환상부재로서, 금구(26a)의 상단 가장자리에 눌리도록 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606)는, 가동판(603)과 뚜껑부재(605)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 수단(607)은, 가동판(603)의 회전운동지점(611)과 반대측의 개방단측, 즉, 경사면(501)의 하단부측으로서 탱크 수용실의 탱크 가이드(11)쪽에 배치된 것이며, 가동판의 개방단측에 축(613)주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핀상의 걸림부(614)가 딸린 걸림레버(615)와, 걸림부(614)에 걸어 맞춤해서 가동판(603)을 폐쇄자세로 유지하도록 고정판(601)에 설치된 훅상의 걸림받이부(616)와, 레버(615)를 걸림부(614)가 걸림받이부(616)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레버 용수철(617)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 용수철(617)은, 걸림레버(615)의 회전운동축(618)에 두루 감겨져, 일단이 걸림레버의 탈거편(619)에 걸리고, 타단이 가동판(603)의 스토퍼 부재(610)에 걸린 코일상의 용수철 부재로서, 걸림레버(615)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걸림레버(615)를 가동판(603)으로도 바깥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받이부(616)는, 금구(26a)의 측벽과의 사이에 걸림부(614)의 개입을 허용하는 공간을 가지고, 또한 금구(26a)측으로 개방한 형태로 되어 있고, 걸림부(614)를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거는 형태로 되어 있다.
걸림레버(615)는, 그 외단측의 일부가 연설되어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레버(615)의 걸림자세로 배면이 탱크 가이드(11)와 대향되어, 양자사이에는 걸림레버의 해방을 위한 손가락의 삽입을 불가능하게 하는 작은 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레버(615)의 걸림상태에서는, 탱크 측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삐져나오지 않는 상태로 되어 있지만,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에서, 걸림레버(615)를 해방 회전운동하려고 하더라도, 연설부(620)와 탱크 수용실의 벽면(11)이 맞닿아, 걸림레버(615)의 회전운동 해방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걸림레버(615)의 걸림상태로 걸림레버(615)를 금구측으로 누르면, 걸림부(613)가 걸림받이부(616)로부터 벗어나서 폐색수단(600)의 걸림이 해방되지만, 탱크(6E)의 본체 장착상태에서는, 급유구를 경사면(501)에 설치하고, 또한 걸림레버(615)에 연설부(620)를 설치했기 때문에, 걸림레버(615)를 회전운동 해방하려고 하더라도, 걸림레버(615)가 가동판(603)에 감추어지고, 걸림레버(615)의 배면이 탱크 수용실의 벽면과 대향한 상태로, 그 틈으로 손을 넣을 수 없도록 되어 있으므로, 걸림레버(615)를 해방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급유 탱크(6E)를 본체에서 꺼내지 않으면, 급유를 할 수 없게 되고, 본체(1)내에의 연료보급시의 연료의 넘쳐 흐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레버를 가동판측에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걸림레버를 고정판측에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탱크 저부의 구성)
제76도는 탱크 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제77도는 마찬가지로 탱크 내부의 단면도, 제79도는 탱크 저면의 물받이 접시 부착구멍의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급유 탱크(6E)에 있어서는, 탱크 저부에, 급유 탱크의 연료의 양을 검지하는 연료량 검지수단(750)(제77도)과, 급유 탱크내에 발생하는 결로수를 검지하는 물 검지수단(W)과, 급유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의 유무를 검지하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 재치대(1d)는, 외주부에 치대(8)에 얹어 놓는 각부(755)를 가지고, 중앙부가 하방으로 돌출하고, 그 상면측에는 아랫쪽으로 움푹 들어가는 물받이 접시(W1)의 수용 오목부(754)가 형성되고, 그 외주부는 탱크의 저면(6b)의 재치대(757)가 된 합성 수지제의 것으로, 중앙 볼록부(756)가 치대(8)의 구멍(8a)에 끼워맞춤되어 얹어 놓여져 있다.
물 검지수단(W)은, 결로한 물을 모으기 위해 도전성의 탱크 저면에 설치된 도전성의 물받이 접시(W1)와, 그 물받이 접시(W1)에 접촉하는 전극(W2)과, 급유 탱크(6E)의 저부와 접촉하는 전극(W3)과, 물받이 접시(W1)와 급유 탱크(6E)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로서의 수밀 패킹(W4)을 구비하고, 물받이 접시(W1)에 저류되는 물과 연료의 전기 저항치의 차이에 의해 물의 검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물받이 접시(W1)는, 녹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 강판을 이용해서 탱크(6E)와 별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면측이 접시모양으로 움뿍 패인 형상이 되고, 그 외주부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주변 플랜지(W7)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W7)가 급유 탱크(6E)의 저면 부착구멍(W5)에 고무제의 패킹(W4)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패킹(W4)은, 급유 탱크(6E)의 저면 부착구멍(W5)의 주벽과, 물받이 접시(W1)의 주변 플랜지(W7)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력이 있는 비도전성의 것으로, 물받이 접시(W1)의 플랜지(W7)를 상하방향에서 끼우도록 하고 있다. 패킹(W4)은, 그 하면에 배치된 링모양의 누름부재(W9) 및 비스(W10)에 의해 탱크 부착구멍(W5)의 주위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물받이 접시(W1)가 부착구멍(W5)에 수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고무제 패킹(W4)은, 비도전성의 내유성을 가지고, 또 발수성을 가지는 고무부재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내유성이 뛰어난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이나 발수성이 뛰어난 불소 고무 등이 이용되어 있다. 특히, 패킹에 접수성이 부족하면, 물이 고이고, 배수한 후라도 패킹과 급유 탱크(6E)의 금속부에 물이 남은 상태가 되므로, 오동작의 요인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수성을 가지는 고무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정밀도 높게, 정확한 물검지가 가능해진다.
물받이 접시(W1)쪽의 전극(W2) 및 탱크측 전극(W3)은, 모두 급유 탱크 밖의 탱크 재치대(1d)에 부착되어 있다. 물받이 접시(W1)쪽의 전극(W2)은, 물받이 접시 수용 오목부(754)의 저벽으로부터 탱크측으로 돌출되어, 탱크 재치 상태로 물받이 접시(W1)의 외면에 접촉하는 침상 전극으로 되어 있다. 탱크측 전극(W3)은, 재치대(1d)의 외주 재치면(757)에 노출해서 탱크재치 상태로 탱크의 저면(6b)에 접촉하는 침상 전극이다. 양 전극을 전원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물받이 접시측 전극(W2), 물받이 접시(W1), 그 내면의 연료 또는 물, 탱크 저면(6b), 탱크측 전극(W3), 및 전원에 이르는 전기적인 폐회로가 구성되어, 물받이 접시(W1)안쪽의 액체(연료 또는 수)의 저항치의 차이에 의해, 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물 검지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받이 접시(W1)를 부착하는 탱크측의 부착구멍(W5)의 구멍벽이 하방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그 절곡부(W11)의 둘레방향의 복수개소에 간격을 두고, 세폭상으로 선단이 예각으로 된 침부(W12)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이 침부(W12)가 탱크측 선단전극으로서 기능하고, 탱크측 전극(W3)과 탱크 저면을 도통로로서 도통하고 있다. 또한, 탱크내에서 연료를 빨아 올리는 흡입구(44B)는, 침부(W12)보다도 상방에 설치되어, 물받이 접시(W1)의 내부 물받이부의 물을 직접 빨아 들이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물받이 접시(W1)의 저면부 내측, 외측부를 제외한 부분을 비도전성의 도료 등으로 피복함으로써, 패킹(W4)과 급유 탱크(6E)의 금속부에 물이 남은 상태가 되어도 오동작의 요인으로 되지는 않는다.
또, 급유 탱크(6E)의 내면에서, 탱크내에서 연료를 빨아 올리는 흡입구(44B)에서 위쪽까지, 비도전성의 도료 등으로 피복함으로써, 전기에 의한 물검지 방식 이외의 방식에서의 물에 의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급유 탱크(6E)의 저면에 설치된 도전성의 물받이 접시(W1)의 주변에는, 물받이 접시(W1)를 가드하는 탱크대(901)가 용착되어 있다. 이 탱크대(901)의 형상은, 급유 탱크(6E)에 용착되는 면보다도 높고, 또한 물받이 접시(W1)의 높이보다도 높게 한 리브 또는 U자형(902)을 한 형상을 주위에 설치한 것이다. 이것 때문에, 급유 탱크(6E)를 본체에서 꺼내어, 급유구를 상방으로 해서 급유할 때에, 급유 탱크(6E)의 저면이나 물받이 접시(W1)쪽과 접촉하는 면에 이물 등이 닿더라도, 탱크 저면 및 물받이 접시(W1)에 상처나 타흔이 생기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고, 물검지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연료량 검지수단(750)은, 탱크 내부에 배치되어 피검지부로서 기능하는 자석(751)이 내장된 플로트(752)와, 자석(751)의 접근·이간동작에 따라 ON·0FF 하도록 플로트(752)에 대향해서 탱크 재치대(1d)측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753)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752)는, 자석을 하측에 배치한 상태로, 천개가 딸린 투수성 통상 가이드(754)안에 연료의 액면 변동에 따라 상하운동 가능하게 내장되어 있고, 가이드(754)의 하단면은 물 검지수단(W)의 물받이 접시(W1)의 내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753)는, 플로트(752)에 대향하도록, 탱크 재치대(1d)의 중앙볼록부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754)는, 급유 탱크(6E)의 연료를 뺄 때에 시판품인 급유 호스가 플로트(752)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이 가이드(754)가 금속제인 경우에는 안쪽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가공이 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 탱크(6E)의 내부의 연료가 감소해서 일정한 액면수위가 되면, 플로트(752)의 자석에 의해 리드 스위치(753)가 감지동작하고, 그 동작을 제어부(950)에 보내어, 표시부(952)에서 연료떨어짐 등을 보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은, 스위치 본체(901a)가 탱크 재치대(1d)의 하면에 설치되어, 가동접점(901b)이 외주 재치면(757)에 형성된 구멍(758)으로 출몰이 자유롭게 설정된 마이크로 스위치(901)로 구성되고, 탱크(6E)가 재치면(757)에 얹어 놓였을 때에 가동접점(901b)이 탱크에 밀려서 후퇴하고, ON하도록 되어 있다.
제79도는 이들 연료량 검지수단(750), 물 검지수단(W), 및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종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950)는, CPU, ROM 및 RAM을 내장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입력측에 연료량 검지수단(750), 물 검지수단(W), 및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이 접속되고, 출력측에 전자 펌프 구동회로(951), 표시부(952), 및 밸브구동회로(953)가 접속되어, 각종 입력신호에 따라 운전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운전중에 급유 탱크가 뽑아지는 것에 의해,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이 0FF(탱크없음)일 때에는, 그 신호를 입력해서 펌프 구동회로(951)에 전자 펌프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밸브구동회로(953)에 공기밸브(20)의 개방신호를 출력해서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나, 마찬가지로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이 ON일 때에 기화기(12)를 공연소하는 공연소 클리닝 운전 모드를 구동하는 제어도 할 수 있다.
공연소 클리닝은, 운전정지중에 공기밸브(20)를 개구함으로써, 기화기(12)에 연료를 대신해서 공기를 보내고, 기화기에 퇴적된 불순물을 공연소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 공연소 클리닝은, 공연소 클리닝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ON하면, 자동적으로 기화기(12)의 온도를 공연소 클리닝 온도까지 올리고, 공기밸브(20)를 개방상태로 하여, 전자 펌프(13)를 구동해서 공기를 기화기측으로 보내주는 것에 의해 행한다.
이와 같이 제어하면, 급유 탱크(6E)내의 압력보다도 공기밸브(20)로 들어가는 공기의 대기압쪽이 크기 때문에, 공기밸브(20)로 공기를 흡입해서, 이것을 기화기(12)측에 보내고, 기화기(12)의 불순물을 기화기(12)의 온도를 높여서 공기와 함께 일정시간 공연소해서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공연소 클리닝에 있어서는, 연료를 송유 경로에서 없애는 수단이 없어져, 연료를 송유 경로에서 빼내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또한, 제어부(950)에서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이 ON상태에서,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 검지수단이 0FF상태(연료유)일 때에,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운전지령에 근거해서 전자 펌프(13)를 구동해서 운전을 개시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더욱이, 연소 운전중에 탱크 장착수단(900)이 ON상태(탱크 장착상태)에서, 연료량을 검출하는 연료량 검지수단이 ON상태(연료없음)일 때에는 운전을 정지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 연료량 검지수단(750)이 ON상태(연료 떨어짐)를 검지했을 경우, 표시부(952)에 급유보고시킬 수도 있다.
기화기, 버너, 전자 펌프, 저류 용기, 냉각핀의 구성은 상기한 것과 동일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석유 팬히터의 동작)
상기 석유 팬히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빈 급유 탱크(6E)를 본체(1)의 뚜껑(7)을 열고, 급유 탱크(6E)의 손잡이(23)를 잡고 꺼낸 후, 손잡이(23)를 위쪽으로 한 상태로 폐색수단(600)을 개방해서 그 급유구(26)로 연료를 급유한다.
급유가 완료되면, 연료를 넣은 급유 탱크(6E)를 본체(1)의 뚜껑(7)을 열고,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그렇게 하면, 제71도 및 제73도와 같이, 급유 탱크(6E)의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와 복귀유 조인트(21C)의 밸브기구(29A)의 각각의 밸브체(31A, 32A)가, 송유 조인트받이(10A)의 밸브기구(60A)와 복귀유 조인트받이(22A)의 밸브기구(71A)의 각각의 밸브체(62A, 73A)를 눌러, 밸브체(62A, 73A)를 내린다.
이들 밸브체(62A, 73A)의 두부(62a, 73a)가 밸브받이(61A, 72A)의 상면부에 닿으면, 송유 조인트(9A)의 밸브기구(28A)와 복귀유 조인트(21C)의 밸브기구(29A)의 각각의 밸브체(31A, 32A)가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 폐쇄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던 스프링(35A, 36A)이 압축상태가 되고, 밸브체(31A, 32A)의 폐지면 O링(33A, 34A)이 송유 조인트(9A)와 복귀유 조인트(21C)의 각각의 폐지면에 틈이 생기고, 이 틈으로 연료가 전자 펌프(13)측으로 흐르는 송유 경로(300)와, 저류 용기(18)로부터 급유 탱크(6E)에의 복귀유 경로(301)가 개방된다.
석유 팬히터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전원을 ON으로 하면, 기화기(12)에 부착된 기화기 히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화기(12)가 가열된다. 이 때, 기화기 서미스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기 기화기(12)의 온도를 검출하고 있고, 소정온도까지 기화기(12)가 가열되면, 전자 펌프(13)가 구동해서 급유 탱크(6E)내의 액체연료를 빨아 올림관(27A)을 통해 빨아 올리고, 송유 조인트(9A), 송유 조인트받이(10A)를 경유해서 기화기(12)에 보낸다. 가열된 기화기(12)에 의해 액체연료는 가스화하여, 버너(14)의 불꽃구(95)로 뿜어지고, 이 불꽃구(95)에 있어서 점화되어 연소실(15)내에서 연소된다.
이 때, 실온 센서(153)(서미스터)에 의해 검지한 실온과, 조작부의 실내온도설정 스위치(157)에 의해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어부(950)가 전자펌프(13)의 구동을 제어해서 기화기(12)에 보내는 액체연료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에 의한 발열량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연소가 개시되고, 프레임 센서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의 불꽃전류를 검출하면, 팬 모터에 통전되어 송풍 팬이 회전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그 회전속도는 제어부(950)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연소실(15)내에서 얻어지는 복사열을 빼앗고,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취출구(5)로 본체(1)의 외부(실내)에 뿜어내어지고, 실내온도가 상승해서 최적온도로 제어한다.
(실시예 2)
제80도는 급유 탱크의 상부 급유구의 형성위치에 관한 실시예 2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급유 탱크의 상면(6d)과 이것에 인접하는 2측면(6E, 6e)의 사이에 일정각도의 경사면(501)을 형성하고, 이 경사면(501)에 급유구(26)와 이것을 개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폐색하는 폐색수단(600)을 설치하고, 이 경사면에 있어서, 급유구(26)의 근방에 만량 상태를 눈으로 확인가능한 유량계(25)를 병설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탱크에서 일정각도의 경사면(501)을 최소한도의 용적컷이 되도록 형성하고 있고, 경사면(501)의 급유구(26)의 근방에 유량계(25)를 배치함으로써, 유량계(25)를 직시하면서 급유를 할 수 있으므로, 연료가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유량계를 탱크 측면에 형성할 경우에 비해서 유량계(25)의 눈으로 확인을 편한 자세로 행할 수 있다. 그 밖의 구성 및 작용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다.
(실시예 3)
제81도는 급유 탱크의 실시예 3을 도시하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급유 탱크(6F)의 상부측면에 급유구(26)가 형성되고, 이 급유구(26)에 급유캡(24)이 나사식으로 합쳐져진 것으로, 본체 장착상태에서 급유구(26)를 개방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탱크(6F)의 저부측에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a), 물 검지수단(W) 및 연료량 검지수단(750)이 설치되어 있다. 탱크 장착 검지수단(900a)은, 탱크(6F)의 저면 오목부에 배치된 자석(910)과, 이 자석(910)에 대향해서 탱크 재치대(1d)측에 배치된 리드 스위치(911)로 구성되어 있다.
물 검지수단(W)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또한, 연료량 검지수단(750)은, 물받이 접시(W1)의 내부에 세워 설치된 안내 막대(760)와, 이 안내 막대를 따라 연료의 액면변동에 따라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안내되는 자석이 딸린 플로트(76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플로트(761)에 대향해서 탱크 재치대(1d)측에는 제1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리드 스위치가 배치되어 있고, 플로트의 상하운동에 의해 리드 스위치가 동작해서 연료떨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제1의 실시형태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4)
제82도는 연료량 검지수단의 실시예 4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제1, 제2의 실시형태에서는, 연료량 검지수단(750)으로서, 물받이 접시(W1)에 플로트(761)를 설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제8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빨아 올림관(27A)의 하단부에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빨아 올림관(27A)의 하단부에 바깥 끼움 고정된 원통상 흡입구 본체(766)에 대해서 원통상의 플로트(761)를 상하운동이 자유롭게 바깥 끼움하고, 그 내면에 내장된 자석(763)과, 흡입구 본체(766)에 내장된 리드 스위치(753)가 감지동작하여, 연료떨어짐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해도 좋다. 그 밖의 구성은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 밖의 실시예)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많은 수정·변경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송유 조인트, 복귀유 조인트를 각각 급유 탱크의 상면에서 측방으로 연설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것에 한하지 않고, 급유 탱크의 상부이면, 상면뿐만 아니라, 측면으로 돌출시키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 연료량 검지수단, 및 물 검지수단 모두를 설치한 예를 게시했지만, 이것들 중 단수 또는 2개의 수단을 조합한 구성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있어서의 제어동작에 있어서도, 상기 탱크 장착 검지수단, 연료량 검지수단, 및 물 검지수단의 단독 또는 2개의 수단의 조합에 의한 입력신호에 근거해서 운전을 제어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내의 연료를 송유 펌프에 직접 송유하도록 했기 때문에, 급유 탱크의 급유구를 연료 탱크에 장착할 필요가 없고, 급유구 캡이 연료 탱크의 연료에 의해 젖을 일도 없고, 특히 연료 탱크가 불필요해지는 만큼, 구성부품수를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급유 탱크의 저면측에, 탱크 장착 검지수단, 연료량 검지수단, 나아가서는 물 검지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설치하고, 이들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의해 운전상태를 제어하도록 했으므로,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의 실시형태]
제8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석유난방기기의 본체 전면에서 본 사시도, 제84도는 마찬가지로 석유난방기기의 본체 배면에서 본 사시도이다. 제83도, 제8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석유난방기기에 있어서는, 연소부나 급유 탱크를 수납하는 본체(A1)의 외관부가, 전면을 커버하는 앞판(A6)과, 측면 및 배면을 커버하는 측이판(A7)과, 상면을 커버하는 상판(A8)으로 하개방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이 본체(A1)가 치대(A5)에 얹어 놓여져 있다.
앞판(A6)의 하부에는, 실내에 온풍을 뿜어내는 취출구(A2)가 형성되고, 앞판(A6)의 상부에는 운전상태를 전환하는 스위치류가 수납된 조작부(A3)가 배치되어 있다. 상판(A8)에는 급유 탱크의 꺼냄구(A4b)가 형성되고, 그 꺼냄구(A4b)에 탱크 뚜껑(A4)이 개폐가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측이판(A7)의 배면측(제84도)에는,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대류용 팬(A9)이 배치되고, 이 대류용 팬(A9)이 그물 모양의 대류용 가드(A10)에 의해 가드되어 먼지의 흡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측이판(A7)의 배면측에는, 실내온도를 검지하는 온도 센서(A11)가 설치되어 있다.
제85도는 제83도의 석유난방기기에 있어서의 액체연료 연소장치 및 그 연료경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액체연료 연소장치(A)는, 본체(A1)에서 탈거가 자유로운 급유 탱크(A12)와, 급유 탱크(A12)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급유 탱크(A12)와 연소부(A25)의 기화기(A15)를 접속하는 제1의 접속수단(A13) 및 제2의 접속수단(A17)과, 급유 탱크(A12)의 연료를 보내는 송유 펌프로서의 전자펌프(A14)와, 전자 펌프(A14)로부터의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 가스로 하는 기화기(A15)와, 기화기(A15)의 기화 가스를 노즐로 분출해서 연소공기와 혼합해서 연소시키는 버너(A16)와, 송유 경로에 공기를 보내 전자 펌프(A14)측에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로서의 공기밸브(A18)를 구비하고, 이들 부재를 접속해서 급유 탱크(A12)로부터 기화기(A15)에 연료를 송유하는 송유 경로(B)와, 기화기(A15)로부터 급유 탱크(A12)에 일부 기화한 연료를 되돌리는 복귀유 경로(C)가 형성되어 있다.
송유 경로(B)에서는, 급유 탱크의 송유측의 제1의 접속수단(A13)과 전자펌프(A14)의 사이는 배관(A21)에 의해, 또, 전자 펌프(A14)와 기화기(A15)의 사이는 배관(A22)에 의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복귀유 경로(C)에서는, 기화기(A15)와 복귀유측의 제2의 접속수단(A17)의 사이가 복귀유 배관(A23)으로 접속되어 있다.
급유 탱크(A12)와 연소부(A25)를 접속하는 접속수단(A13, A17)은, 급유 탱크(A12)로부터 전자 펌프(A14)에의 송유 경로(B)의 도중에 설치한 제1의 접속수단(A13)과, 기화기(A15)로부터 급유 탱크(A12)에 일부 기화한 연료를 되돌리는 복귀유 경로(C)의 도중에 설치한 제2의 접속수단(A17)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접속수단(A13, A17)은, 각각 급유 탱크측의 접속 조인트부와, 연소부측의 접속 조인트받이부로 분리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후술과 같이, 급유 탱크(A12)측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접속수단(A13, A17)의 양 접속 조인트(A13a, A17a)가 일체화되어 조인트부(A47)가 구성되고, 또한, 연소부측에 있어서 제1 및 제2의 접속수단(A13, A17)의 접속 조인트받이(A13b, A17b)가 일체화되어 조인트받이부(A1OO)(제107도)가 구성되어, 콤팩트한 구조로 되어 있다.
제86도는 제83도의 본체 앞판측을 일부 자른 상태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A1)의 정면에서 봐서, 좌측에는 연소부(A25)가, 우측에는 급유 탱크(A12)나 전자 펌프(A14)가 배치되어 있다. 본체(A1)의 좌측은, 버너(A16)나 기화기(A15)를 짜 넣은 연소부(A25)와, 연소부(A25)의 주위를 둘러싸는 연소부 프레임(A26)과, 연소부 프레임(A26)의 전면 상방부를 덮는 연소부 프레임전(A27)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부(A25)는, 기화기(A15)와, 버너(A16)와, 버너(A16)를 수납하는 버너박스(A28)와, 버너박스(A28)를 고정하는 버너 칸막이판(A29)과, 버너(A16)의 불꽃을 둘러싸는 연소실(A30)을 구비하고 있다.
제87도 및 제88도는 기화기(A15) 및 버너부(A16)의 구성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화기(A15)는, 그 본체에 내장되어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하는 기화소자(A15a)와, 이 기화소자(A15a)로 기화된 연료를 분출하는 노즐(A31)과, 이 노즐(A31)의 구멍을 개폐하는 니들(A32)과, 이 니들(A32)에 연접되어 니들(A32)을 이동시키는 솔레노이드 밸브(A33)와, 기화소자(A15a)에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입구(A15b)와, 운전정지시에 기화기(A15)내부의 연료를 내보내는 복귀유 배관(A23)과, 버너(A16)의 연소열을 회수하는 열회수부(A15c)로 구성되어 있다.
기화소자(A15a)는, 세라믹의 잔 입자를 원통상으로 소결한 것으로, 연료를 기화시켰을 때에 발생하는 타르 분은 기화소자(A15a)의 상면에서 내부를 향해서 퇴적된다.
기화기(A15)의 연료입구(A15b)는, 외측의 스테인레스 파이프(A34)와, 내측의 동 파이프(A22)의 이중구조로 되어 있다. 외측을 스테인레스 파이프(A34)로 한 것은, 기화기(A15)로부터의 열전도를 저하시켜, 기화기(A15)로 들어오는 연료의 온도상승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 스테인레스 파이프(A34)의 직경을 동 파이프보다도 크게 하여, 스테인레스 파이프(A34)로부터 동 파이프에 전해지는 열전도를 더욱 억제하도록 하고 있다. 동 파이프(A22)의 선단은, 기화기(A15)에서 외측위치까지로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A33)는, 코일상으로 두루 감겨진 전자 코일(A33a)과, 그 내부에 있어서 니들(A32)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가동편(A33b)과, 전자 코일(A33a)의 여자에 의해 가동편(A33b)을 노즐 폐색방향으로 흡착 이동시키는 흡착편(A33c)과, 가동편(A33b)을 노즐 개방방향으로 압박하는 누름용 스프링(A33d)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솔레노이드 밸브(A33)에 있어서는, 전자 코일(A33a)에의 통전·비통전에 의해, 가동편(A33b)이 흡착편(A33c)에 흡착·이탈하고, 가동편(A33b)에 연접되어 있는 니들(A32)이 이동하여, 기화기(A15)의 노즐(A31)의 구멍부를 개·폐구하도록 되어 있다.
버너(A16)는, 기화기(A15)로 기화한 연소 가스와 1차 연소공기를 혼합하는 혼합관(A16a)과, 혼합된 연소 가스를 연소시키는 불꽃구(A16b)로 구성되어 있다.
버너박스(A28)는, 제89도 및 제9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이 개방되어 버너(A16)를 수용가능한 상자형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저면측에는 버너(A16)의 혼합관의 플랜지를 부착하기 위한 거의 직사각형의 각구멍이 형성되고, 측면측에는 점화용 히터(A35)와 프레임 센서(A36)의 부착 구멍이 설치되어 있다.
이 버너박스(A28)의 하면에는 버너커버(A37)가 부착되어 있다. 버너커버(A37)는, 역산형을 한 형상으로, 버너(A16)의 하방에 설치되고, 안쪽에 흡음·단열재료를 펴붙인 상태로 버너박스(A28)에 고정되어, 연소음의 흡수와, 버너자체의 온도의 저하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버너 칸막이판(A29)은, 제89도 및 제9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양단과 배면측이 상향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전면측을 비스듬히 하방으로 절곡하여, 중앙부에 거의 직사각형의 각구멍이 형성되고, 그 주위에 버너박스(A28)의 상방개구 테두리가 고정되어, 각구멍으로 버너(A16)의 연소불꽃이 통과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칸막이판(A29)의 주위에는 연소실(A30)의 부착 구멍이 복수배치되어 있다.
연소실(A30)은, 제8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너(A16)의 연소불꽃을 사방에서 둘러싸고, 상방의 전면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것으로, 연소실전(A38)과 연소실후(A39)로 구성되어 있다.
연소실전(A38)은, 좌우를 안쪽으로 절곡하여, 상방을 약간 안쪽으로 경사시키고, 하방은 바깥쪽으로 절곡가공되어 칸막이판(A29)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연소실전(A38)은, 이상연소하더라도 소손하지 않도록 내열재료가 사용되어 있다.
연소실후(A39)는, 상면에서 봐서 역U자형을 하고, 그 좌우의 전면부가 안쪽으로 절곡되서 연립부가 형성되어, 연소실전(A38)에 부착되어 있다. 연소실후(A39)의 배면벽의 상방이 안쪽으로 경사지고, 또한, 하측은 바깥 쪽으로 절곡가공되어 칸막이판(A29)에 고정되어 있다. 연소실후(A39)의 좌우 측면부에는 잘라 세운 편(A39a, A39b)이 각각 설치되고, 대류용 팬(A9)로부터의 바람의 일부를 연소실(A30)안에 유입시켜, 2차연소공기로서 연소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연소온도의 저하를 꾀하도록 하고 있다.
연소실후(A39)의 배면부 상방은 안쪽으로 く자를 밀어낸 형상이 되어, 그 부분에 공기구멍(A39c)이 형성되고, 그 배면측에 배치된 대류용 팬(A9)로부터의 송풍의 일부를 연소실(A30)안에 유입시켜, 2차연소공기로서 연소불꽃의 솟아오름을 누르도록 하고 있다. 연소실전(A38) 및 후(A39)는, 모두 내측, 외측의 표면에 내열도장 또는 흑색처리가 실시되어, 내열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연소부 프레임(A26)은, 제8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역U자형의 상자형 형상이 되어, 연소실(A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대류용 팬(A9)으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해서 연소실(A30)의 열을 빼앗은 공기가 통과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이 연소부 프레임(A26)은, 본체(A1)의 측이판(A7)의 좌측면부·배면부와 치대(A5)에 갈고리나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연소부 프레임(A26)은, 상방 전측을 비스듬히 자른 사면부(A26a)가 형성되고, 전면부에는 취출구(A2)의 루버를 고정하는 걸림부가 절곡형성되어 있다. 사면부(A26a)에는, 버너(A16)나 기화기(A15)를 짜 넣은 연소부(A25)를 연소부 프레임(A26)에 장착한 후에, 연소부 프레임전(A27)을 본체(A1)의 전방부에서 비스듬하게 상방에 장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연소부 프레임전(A27)은, 대류용 팬(A9)으로 흡입한 공기를 본체(A1)전면부의 취출구(A2)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표면에는 대류용 팬이 어떠한 요인으로 풍량이 감소했을 때에 본체를 보호하는 과열방지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 연소부 프레임전(A27)의 구성은 이중구조로 되어, 국부적인 열영향을 막도록 되어 있다.
본체(A1)의 우측은, 제9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A1)의 상면의 탱크 뚜껑(A4)을 개폐해서 급유 탱크(A12)를 착탈이 자유롭게 수납하는 수납부(A4a)와, 이 수용부(A4a)의 저부측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연료량 검지수단(A69) 및 물 검지수단(A70)의 한 구성부재를 가지는 검지대(A40)(제86도)를 구비하고, 수납부(A4a)에는, 급유 탱크(A12)의 본체 장착시에 급유 탱크측의 접속 조인트부(A47)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A100)(제107도)가 설치되어 있다.
탱크 수납실(A4a)은, 탱크 착탈시에 급유 탱크(A12)를 안내하는 탱크 가이드(A41)(제86도)로 칸막이되어 있다. 이 탱크 가이드(A41)의 우전부에 있어서, 비스듬히 자른 부분에, 조인트받이부(A100)를 고정하는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수납실(A4a)은, 종래와 같은 연료 탱크를 폐지했기 때문에, 그 연료 탱크의 용적분을 급유 탱크의 용량의 증대나 본체의 용적의 축소에 할당할 수 있고, 사용장소의 스페이스가 작아져서 장소를 차지하지 않는 메리트가 있다.
수납부(A4a)의 탱크 꺼냄구(A4b)(제92도)를 포함하는 삽입개소의 형상은, 제9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상방에서 본 형상보다 한층 크게 거의 동형상으로 되어 있고, 좌측은 본체(A1) 앞쪽 및 뒤쪽에 대해서 거의 수직상태로, 우측은 본체(A1) 앞쪽과 뒤쪽에 대해서 거의 수직상태로, 전후의 코너부의 2개소가 함께 R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우전부의 코너부에는, 제10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소부측의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를 지지하는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가 본체(A1)의 상면(A8)으로부터 일정한 거리를 두고 하방에 배치하고 있다.
(급유 탱크의 구성)
제91도는 급유 탱크(A12)를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제92도는 급유 탱크를 탱크 수납실(A4a)에 수납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는, 거의 평판상의 급유 탱크 좌측부재(A12a)와, 단면 U자형의 좌측면 개방의 용기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급유 탱크 우측부재(A12b)가 아드리얀 가공에 의해 접합되어 거의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면측에서 봐서 거의 직사각형이 되고, 우측의 전·후의 코너가 R형상이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급유 탱크(A12)를 수납부(A4a)에 삽입할 때에, 제92도의 2점 쇠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우를 역으로 한 상태로 수납실(A4a)에 삽입하려고 하더라도, 탱크꺼냄구(A4b)의 우측전후의 R형상 코너부에 급유 탱크 우(A12b)의 전후의 코너부가 닿아서, 탱크(A12)를 삽입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급유 탱크 우측부재(A12b)측에는, 그 탱크 상면에 기복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금속환(A43b) 및 그 중앙부에 고정된 수지제 손잡이부(A43a)로 이루어지는 손잡이(A43)와, 양측면과 상면의 3면을 이어서 형성한 경사면(A12c)에 형성된 연료주입용 급유구(A44)와, 이 급유구(A44)를 폐색하는 폐색수단(A1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폐색하는 수단(A19)의 근방의 측면에는,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액위를 눈으로 확인하는 유량계가 설치되어, 이 유량계의 근방의 측면, 즉, 탱크 우측부재의 우전측의 코너부가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오목부(A12d)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A12d)에는 급유 탱크측의 접속 조인트부(A47)가 고정되어 있다. 이 접속 조인트부(A47)는, 급유 탱크의 오목부(A12d)에 고정되는 것으로, 거의 직사각형의 탱크 투영면에 대해서 외측으로 나오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고, 거의 직사각형의 탱크 수납실(A4a)에 수납되도록 되어 있다.
급유 탱크(A12)의 저면측에는, 탱크(A12)안의 물을 검지하는 물 검지수단(A68)(제91도)의 한 구성부품인 물받이 접시(A71)가 돌출되고, 이 물받이 접시(A71)를 보호하기 위해서, 그 주위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탱크 다리부(A50)가 용착고정되어 있다.
급유탱크(A12)의 상면측에는, 작은 공기구멍(A51)(직경이 약 1.5mm정도)이 형성되어, 급유 탱크(A12)의 내부가 부압상태가 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기구멍(A51)에는, 급유 탱크(A12)가 전도되더라도 공기구멍(A51)으로 탱크(A12)안의 연료가 새어 나오지 않도록, 공기구멍(A51)을 폐색하는 공기구멍 폐색수단(52)(제93도)이 설치되어 있다.
제93도는 공기구멍 폐색수단(A52)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기구멍 폐색수단(A52)은, 벨로우 방식의 것으로, 공기구멍(A51)의 내면측에 설치된 벨로우(A38)와, 이것을 안쪽 끼움 유지하는 환상의 벨로우 가 이드(A49)로 구성되어 있다. 벨로우(A48)는, 탄성력이 있는 고무제의 것으로, 그 주위(A48b)와 중앙부(A48c)가 두껍고, 그 외에는 얇은 형상으로, 얇은 부분에는 작은 구멍(A48a)이 형성되어 있다. 벨로우 가이드(A49)는, 단면 Z형상이 되어, 벨로우(A48)의 주위(A8b)를 누르도록 하고, 중앙부에는 구멍(A49a)이 형성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만일, 급유 탱크(A12)가 전도했을 경우, 벨로우 가이드(A49)안의 벨로우(A48)에 급유 탱크(A12)의 연료가 접촉하여, 벨로우(A48)가 공기구멍(A51)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벨로우(A48)의 중앙 두꺼운 부(A48c)가 공기구멍(A51)을 막게 되어,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가 공기구멍(A51)으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고, 또, 통상은 벨로우(A48)의 작은 구멍(A48a)으로 공기가 출입하도록 되어 있다.
(접속 조인트의 구성)
제94도는 접속 조인트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95도는 송유측의 조인트(A13a)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6도는 그 탱크측의 빨아 올림관(A20)과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97도는 복귀유측의 조인트(A17a)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98도는 그 탱크측의 배관(A63)과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제9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측의 접속 조인트부(A47)는, 송유측의 접속 조인트(A13a)와 복귀유측의 접속 조인트(A17a)를 일체화한 것이다. 각 접속 조인트(A13a, A17a)는, 조인트 본체(A55)와, 밸브기구(A56)와, 밸브 누름부(A57)을 구비하고 있고, 각 본체(A55)의 기단측 플랜지(A55d)가 서로 연접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이 접속 조인트부(A47)는, 급유 탱크(A12)의 측면의 우전 코너부에 형성된 오목부(A12d)에 배치되어, 조인트 누름판(A54)으로 패킹(A53)을 통해 급유 탱크(A12)의 오목부(A12d)의 저면에 나사(A54f)로 고정되어 있다.
각 조인트 본체(A55)는, 제9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측의 원통상 동체부(A55a)와, 각 동체부(A55a)로부터 급유 탱크측을 향해서 돌출한 관상의 돌출부(A55e, A55f)와, 이 돌출부(A55e)의 중간부에서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한 기단측 플랜지(55d)로 합성 수지에 의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양 접속 조인트(A13a, A17a)의 기단측 플랜지(A55d)가 서로 연접되어 일체화되어 있다.
동체부(A55a)에는, 그 하단부에서 하방을 향해 서서히 직경을 좁게 한 통상 테이퍼부(폐지면)(A55b)와, 이 테이퍼부(A55b)의 하단에 소정 직경의 크기를 소정길이 유지하는 통상부(55c)가 일체적으로 연속 형성되어, 내부에 밸브기구(A56)를 설치하고 있다.
통상 동체부(A55a)에 내장되는 각 밸브기구(A56)는, 급유 탱크(A12)로부터 전자 펌프(A14)(제85도)에의 송유 경로(B)와, 기화기(A15)로부터 급유 탱크(A12)에의 복귀유 경로(C)를 개폐가 자유롭게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체(A59)와 밸브체용 0링(A60)과 밸브체 스프링(A61)으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A59)는, 조인트 본체(A55)의 동체부(A55a), 테이퍼부(A55b), 및 통상부(A55c)의 로트상의 내부형상에 거의 상사한 형상으로 되고, 조인트 본체(A55)의 내부를 왕복 운동이 자유로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즉, 밸브체(A59)는, 거의 원추상을 이루는 마개부(폐지면)(A59b)와, 마개부(A59b)의 하단에 연접되어 통상부(A55c)보다도 가늘고, 또한 긴 주상의 가동부(A59a)를 구비하고, 마개부(A59b)의 테이퍼상 부분에는 환상의 0링 패킹(A60)이 조인트 본체(A55)의 테이퍼부(A55b)에 추밀상으로 접촉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가동부(A59a)의 길이는, 마개부(A59b)와 본체(A55)의 테이퍼부(A55b)의 이접을 제어하기 위해서, 마개부(A59b)의 0링 패킹(A60)이 테이퍼부(A55b) 내부에 밀접한 밸브 폐쇄 상태로, 통상부(A55a)보다도 선단이 돌출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밸브 누름부(A57)는, 통상 동체부(A55a)의 상부의 구멍을 0링(A58)을 통해 밀폐하고 있고, 그 이면에는 밸브체 스프링(A61)을 받기 쉽게 하기 위한 환상의 오목홈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체 스프링(A61)은, 동체부(A55a)에 내장되어, 상단의 밸브 누름부(A57)와 밸브체(A59)의 마개부(A59b)의 사이에 개재되어, 밸브체(A59)를 밸브 폐쇄방향으로 압박하도록 하고 있다.
기단측 플랜지(A55d)는 양 조인트(A13a, A17a)를 일체적으로 연접하기 위해서 반경방향 외측에 연설되어 거의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A55d)안쪽에 환상의 조인트 패킹(A53)이 바깥 끼움 밀착되어, 돌출부(A55e, A55f)의 주위에서의 연료누설을 막도록 되어 있다.
탱크측의 돌출부(A55e, A55f)는, 관상으로 형성되어, 기단측 플랜지(A55d)로부터도 내측부가 급유 탱크(A12)의 탱크 벽에 형성된 개구(A64)에서 안쪽으로 삽입되어 있고, 그 내부통로에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의 선단이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내부통로의 레벨은, 급유 탱크의 연료의 만액 레벨보다도 상방에 위치하고 있어, 탱크내의 연료가 부주의하게 동체부(A55a)측으로 흐르지 않도록 되어 있다.
돌출부(A55e, A55f)의 내부통로는, 제9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을 안쪽 끼움 가능한 직경으로 설정되어, 통로도중에서 탱크내단측까지 파이프 고정부재를 안쪽 끼움 가능한 대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대직경 통로(A55q)와 외단측의 소직경 통로(A55s)의 사이의 단계부(A55r)에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의 끈 꺼냄부(A20a, A63a)(제98도)를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소직경 통로(A55s)(제97도)는, 동체부(A55a)(제95도)의 밸브실에 연이어 통하고 있다.
돌출부(A55e)(제95도, 제96도), (A55f) (제97도) 내단측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 구멍(A55g)(제96도), (A55m) (제98도)이 형성되어 있고, 그 탄성을 이용해서 직경 확장 가능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 슬릿 구멍(A55g, A55m)을 끼우는 양측의 관내 주면에는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의 빠짐 제지부재(A65)의 끈 꺼냄부(A65a)를 걸어맞춤 가능한 삽입홈(A55J, 55n)(제96도(b), 제98도(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9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송유측의 돌출부(A55e)의 탱크내 치수는, 복귀유측의 돌출부(A55f)(제98도)의 그것보다도 짧게 설정되어, 빨아 올림관(A20)의 연결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빨아 올림관(A20)은, 역L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상방 수평부가 송유 조인트(A13a)(제95도)에 접속되고, 수직부 하단이 급유 탱크(A12)의 연료를 빨아올리기 위해서 급유 탱크(A12)의 저면 가까이까지 도달해서 흡입구(A66)(제100도)에 접속되어 있다. 빨아 올림관(A20)의 수평부 선단에는, 접속 조인트(A47)와의 접속시에, 0링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플랜지 모양의 끈 꺼냄부(A20a)(제96도)가 형성되어 있다.
복귀유측의 돌출부(A55f)(제98도)는, 송유측의 돌출부(A55e)보다도 길게 형성되고, 또 그 상하에 슬릿 구멍(A55k, A55m)이 형성되어 있다. 상하의 슬릿 구멍(A55k, A55m) 중, 상측의 슬릿구멍(A55k)은 하측 슬릿구멍(A55m)에 비해서 크게 설정되어, 내경이 복귀관(A63)의 외경보다 약간 큰 치수로 형성되고, 내측에는 복귀관(A63)이 삽입되는 구멍과, 외측을 향해서 파이프 고정부재(A65)의 끈 꺼냄부(A65a)를 거는 끈 꺼냄 홈(A55n)이 형성되어 있다.
복귀관(A63)은, 기화기(A12)로부터의 일부 기화한 연료를 급유 탱크(A12)에 되돌리기 위해서, 급유 탱크(A12)안에서는 L자형으로 절곡되고, 그 배관출구(A63b)가 상방향을 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이것은,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가 온도차에 의해 이상하게 상승한 상태라도, 배관출구(A63b)가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하여, 연료가 부주의하게 연소부측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을 돌출부(A55e, 55f)에 빠짐 제지 불가능하게 고정하는 수단으로서, 제96도 및 제9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단면 C자모양의 파이프 고정부재(A65)가 설치되어 있다. 파이프 고정부재(A65)는, 그 외면에 돌출부(A55e, A55f)의 내면 삽입홈(A55j, A55n)에 걸어맞춤가능한 플랜지 모양의 끈 꺼냄부(A65a)가 형성되어, 한 방향으로 슬릿 구멍(A65b)이 형성되고, 그 내경은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의 외경보다 약간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조인트 본체(A55)(제95도)의 소재는 수지제에 한하지 않고, 금속이어도 좋고, 또, 동체부(A55a), 테이퍼부(A55b), 통상부(A55c)등의 단면형상 등은 원형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접속 조인트부(A47)를 급유 탱크(A12)에 고정하는 조인트 누름판(A54)은, 제9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판의 중앙을 상측으로 잘라 세워 잘라 세움편(A5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잘라 세움편(A54a)은, 설축 조인트(A13a, A17a)의 밸브 누름부(A57)를 위쪽에서 눌러서 동체부(A55a)로부터 빠져 나오기 불가능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잘라 세움편(A54a)의 잘라 세운 중앙에 접속 조인트(A13a, A17a)의 돌출부(A55e, A55f)를 관통하는 릴리프 구멍(A54b)이 형성되어, 이 릴리프 구멍(A54b)의 주위는 접속 조인트부(A47)의 주연을 누르는 리브(A54c)가 딸린 주연 누름부(A54d)로 되고, 또한, 릴리프 구멍(A54b)의 하측 중앙부에서 중앙 누름부(A54e)가 양 접속 조인트(A13a, A17a) 사이에 연장되어 있다.
주연 누름부(A54d) 및 중앙 누름부(A54e)는, 접속 조인트부(A47)의 기단측 플랜지(A55d)와 함께 나사(A54f)로 급유 탱크(A1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릴리프 구멍(A54b)과 중앙 누름부(A54e)로 접속 조인트부(A47)의 좌우의 위치 어긋남을 방지하고 있다.
이 접속 조인트부(A47)는, 제92도 및 제9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전도시에 접속 조인트부(A47)가 다른 부재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단면 L자 형상의 쿠션 커버(A120)가 급유 탱크(A12)의 상면에서 피복되어 있다. 이 쿠션 커버(A120)의 외면은 평탄한 가이드면(A120a)으로 되어,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공기밸브(A18)(제85도)를 덮는 보호 커버(A111)의 대향면에 형성된 가이드면(A111a)과 대접하고,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할 때의 안내 가이드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빨아 올림관(A20)의 수직부 하단의 흡입구(A66)(제100도)측 접속부에도, 접속 조인트부와의 접속부와 마찬가지로 끈 꺼냄부가 형성되어, 흡입구(A66)가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A66)는, 거의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하단에 복수개의 발을 구비한 것으로, 근원부에는 스테인레스제의 그물상 필터(A66a)가 동시 가공되어 내접되고, 상방에는 빨아 올림관(A20)을 접속하기 위한 한쌍의 슬릿구멍(A66b)이 대향해서 형성되고, 그 상단에 빨아 올림관(A20)이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A66)는, 제10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흡입고정판(A67)의 구멍부에 장착되어 이동할 수 없도록 하고, 흡입구(A66)가 급유 탱크(A12)내의 내벽에 충돌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유 탱크(A12)에 접속 조인트부(A47)와 빨아 올림관(A20) 및 복귀관(A63)을 조립하는 순서는, 급유 탱크 좌측부재 및 우측부재(A12a, A12b)를 프레스 가공한 후, 급유 탱크 좌측부재(A12a), 및 우측부재(A12b)를 접합하는 아드리얀 가공전에, 급유 탱크 우측부재(A12b)의 소정의 위치에 패킹(A53)(제97도)을 통해 접속 조인트부(A47)를 조인트 누름판(A54)(제95도) 및 나사에 의해 고정한다.
이 때, 조인트의 밸브 누름부(A57)는, 조인트 누름판(A54)(제95도)의 잘라 세운편(A54a)에 의해 위에서 눌려지기 때문에, 밸브 누름부(A57)는 조인트 누름판(A54)의 잘라 세운편(A54a)에 의해 접속 조인트부(A47)에서 튀어나오지 않고 유지된다.
급유 탱크 우측부재(A12b)의 안쪽에서, 조인트 본체(A55)의 돌출부(A55e)(제95도), (A55f)(제97도)에, 각각 빨아 올림관(A20)으로 복귀관(A63)을 삽입해서 고정하는 방법은, 흡입구(A66)를 빨아 올림관(A20)에 짜 넣은 후에, 빨아 올림관(A20)의 끈 꺼냄부(A20a)(제96도)의 선단에 0링(A64)을 끼우고, 조인트 본체(A55)의 돌출부(A55e)의 구멍에 끼운다. 그 후, 빨아 올림관(A20)의 끈 꺼냄부(A20a)에서도 흡입구측에 파이프 고정부재(A65)를 그 슬릿 구멍(A65b)으로 삽입하고, 접속 조인트부(A47)측으로 억지로 밀어 넣어 가서, 파이프 고정부재(A65)의 끈 꺼냄부(A65a)를 돌출부(A55e)의 안쪽 끈 꺼냄 홈(A55J)에 삽입될 때까지 밀어 넣는다. 그렇게 하면, 파이프 고정부재(A65)가 안쪽으로 직경 축소되고, 빨아 올림관(A20)이 돌출부(A55e)에 고정되어, 접속 조인트부(A47)에서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복귀관(A63)을 고정하는 방법은, 제9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귀관(A63)의 끈 꺼냄부(A63a)의 선단에 0링(A64)을 끼우고, 조인트 본체(A55)의 돌출부(A55f)의 구멍에 끼울 때에, 조인트 본체(A55)의 돌출부(A55f)의 슬릿구멍(A55k)이 큰 쪽에 복귀관(A63)을 통과시키면, 복귀관(A63)은 상방향으로 배치된다. 그 후, 복귀관(A63)의 위에서 파이프 고정부재(A65)를 그 슬릿구멍(A65b)으로 삽입하고, 돌출부(A55f)에 밀어 넣어 가서, 파이프 고정부재(A65)의 끈 꺼냄부(A65a)를 돌출부(A55f)의 내측 끈 꺼냄 홈(A55n)에 삽입될 때까지 밀어 넣으면, 파이프 고정부재(A65)가 안쪽으로 직경 축소되고, 복귀관(A563)이 돌출부(A55f)에 고정되어, 접속 조인트부(A47)에서 빠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속 조인트부(A47)에 빨아 올림관(A20)이나 복귀관(A63)을 접속할 경우에, 파이프 고정부재(A65)를 이용해서 용착시키지 않고 간단히 접속할 수 있어서, 조립가공의 스페이스가 작은 개소나 장소에서의 사용이 적합하고, 또한, 부품도 분해할 수 있으므로 유지 비용도 저렴해진다.
(탱크 급유구의 구성)
제99도는, 탱크 급유구부의 단면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는, 그 상면과 이것에 인접하는 2측면의 사이에 탱크 상면에서 하방을 향해서 최저 30도의 구배가 되는 경사면(A12c)이 형성되고, 이 경사면(A12c)에 급유구(A44)가 배치되어 있다. 급유구(A44)는 경사면에서 바깥 방향으로 돌출하는 금구부(A44a)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금구부(A44a)의 개구가 회전운동식의 뚜껑부재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되어 있다.
즉, 급유구(A44)의 급유구 폐색수단(A19)은, 급유구(A44)의 금구부(A44a)에 끼워맞춤하는 구멍을 가지고 경사면(A12c)에 스폿 용접되어 일체화된 고정판(A82)과, 이 고정판(A82)의 상부 손잡이측에 있어서 기립편(A82a)에 회전운동개폐가 자유롭게 지지된 가동판(A83)과, 이 가동판(A83)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급유구(A44)의 금구(A44a)를 닫는 패킹(A84)이 딸린 뚜껑부재(A85)와, 이 뚜껑부재(A85)와 가동판(A83)의 내면의 사이에 개재되어 뚜껑부재(A85)를 급유구(A44)의 금구(A44a) 측으로 누르는 코일상 용수철 부재(A86)와, 가동판(A83)을 급유구 폐쇄자세로 유지하는 걸림 수단(A87)을 구비하고 있다.
고정판(A82)은, 경사면(A12c)의 하방에서 탱크 상면 근방 가까이까지 형성되어 있다. 가동판(A83)은, 그 탱크 상면측이 회전운동지점(A88)이 되어, 개방단측에 걸림 수단(A87)이 배치되어 있고, 본체 장착상태에 있어서 가동판(A83)을 개방하려고 하더라도, 그 개방단이 탱크 가이드(A41)에 맞닿아서 개방할 수 없도록, 가동판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뚜껑부재(A85)는, 깊은 접시상으로 형성되어, 그 외단 플랜지(A89)가 가동판(A83)의 내면에 형성된 환상의 스토퍼부재(A90)로 빠져 나감 불능이고, 또한 가동판(A83)의 판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걸려 있다. 패킹(A84)은, 뚜껑부재(A85)의 저면 볼록부 끼워 맞춤된 환상부재로서, 금구부(A44a)의 상단가장자리에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용수철 부재(A86)는, 가동판(A83)과 뚜껑부재(A85)의 사이의 내부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걸림 수단(A87)은, 가동판(A83)의 회전운동지점(A88)과 반대측의 개방단측, 즉, 경사면(A12c)의 하단부측으로서 탱크 수용실의 탱크 가이드(A41)쪽에 배치된 것으로, 가동판(A83)의 개방단측에 축(A96)주변에 회전운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핀상의 걸림부(A92)가 딸린 걸림레버(A93)와, 걸림부(A92)에 걸어 맞춤하여 가동판(A83)을 폐쇄자세로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판(A82)에 설치된 훅상의 걸림받이부(A94)와, 걸림부(A92)를 걸림받이부(A94)에 끼워맞춤하는 방향으로 압박하는 레버 용수철(A95)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 용수철(A95)은, 걸림레버(A93)의 회전운동축(A96)에 두로 감겨지고, 일단이 걸림레버의 잘라 세움편(A93a)에 걸리고, 타단이 가동판(A83)의 스토퍼부재(A90)에 걸린 코일상의 용수철 부재로서, 걸림레버(A93)의 내면측에 배치되어, 걸림레버(A93)를 가동판(A83)보다도 바깥 방향으로 압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걸림받이부(A94)는, 금구(A44a)의 측벽과의 사이에 걸림부(A92)의 개입을 허용하는 공간을 가지고, 또한 금구(A44a)측으로 개방한 형태로 되어 있고, 걸림부(A92)를 걸거나 벗김이 자유롭게 거는 형태로 되어 있다.
걸림레버(A93)는, 그 외단측의 일부가 연설(A97)되어 거의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걸림레버(A93)의 걸림자세로 배면이 탱크 가이드(A41)와 대향되고, 양자사이에는 걸림레버(A93)의 해방을 위한 손가락의 삽입을 불가능하게 하는 작은 틈을 가지는 상태가 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레버(A93)의 걸림상태에서는, 탱크 측면에서 바깥 방향에 삐져나오지 않는 상태가 되어 있지만, 탱크의 본체 장착상태에서, 걸림레버(A93)를 해방 회전운동하려고 하더라도, 걸림레버(A93)의 연설부(A97)와 탱크 수납실의 벽면의 탱크 가이드(A41)가 맞닿아서, 걸림레버(A93)의 회전운동 해방을 저지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는, 걸림레버(A93)의 걸림상태에서 걸림레버(A93)를 금구측으로 누르면, 걸림부(A92)가 걸림받이부(A93)로부터 벗겨져서 급유구 폐색수단(A19)의 걸림이 해방되지만, 탱크(A12)의 본체 장착상태에서는, 급유구(A44)를 경사면(A12c)에 설치하고, 또한 걸림레버(A93)에 연설부(A97)를 설치하고 있기 때문에, 걸림레버(A93)를 회전운동 해방하려고 하더라도, 걸림레버(A93)가 가동판(A83)에 감추어지고, 걸림레버(A93)의 배면이 탱크 수용실의 벽면과 대향한 상태에서, 그 틈으로 손을 넣을 수 없게 되어 있어, 걸림레버(A93)를 해방할 수 없다.
걸림레버(A93)를 해방하기 위해서, 걸림레버(A93)와 탱크 가이드(A41)의 틈에 개방부재를 무리하게 삽입해서 걸림레버(A93)의 걸림를 해제하더라도, 걸림레버(A93)의 연설부(A97) 및 가동판(A83)의 개방단이 탱크 수용실의 벽면(탱크 가이드)(A41)에 맞닿아서, 가동판(A83)의 해방이 저지된다. 그 때문에, 급유 탱크를 본체에서 꺼내지 않으면, 급유를 할 수 없게 되어, 본체(96)안으로의 연료보급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걸림레버를 가동판측에 배치한 예를 나타냈지만, 걸림레버를 고정판측에 배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급유 탱크 저부측의 구성)
제100도는 급유 탱크(12)의 저부측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101도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10O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저부측에는, 급유 탱크내에 발생하는 물을 검지하는 물 검지수단(A68)과, 급유 탱크(A12)의 연료의 양을 검지하는 연료량 검지수단(A69)과, 급유 탱크(A12)의 본체 장착상태의 유무를 검지하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이 설치되어 있다.
물 검지수단(A68)은, 물을 모으기 위해 도전성의 탱크 저면에 설치된 도전성의 물받이 접시(A71)와, 그 물받이 접시(A71)에 접촉하는 전극(A72)과, 급유 탱크(A12)의 저부와 접촉하는 전극(A73)과, 물받이 접시(A71)와 급유 탱크(A12)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체로서의 수밀 패킹(A74)을 구비하고, 물받이 접시(A71)에 저류되는 물과 연료의 전기 저항치의 차이에 의해 물의 검지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물받이 접시(A71)는, 녹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테인레스 강판을 이용해서 탱크(A12)와 별체로 형성된 것으로, 상면측이 접시모양으로 움푹 패인 형상 또는 중심부에 하향으로 테이퍼부를 가지는 형상으로 되고, 그 외주부에 반경방향외측으로 연장되는 주변 플랜지(A71a)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A71a)가 급유 탱크(A12)의 저면 부착구멍(A12d)에 고무제의 패킹(A74)을 통해 부착되어 있다. 또, 물받이 접시(A71)는, 그 전극(A72)과의 접촉부의 외측에서 상방에 걸쳐서 비도전성 도료를 내면, 외면에 도포하는 것에 의해, 물이 남은 상태에서의 오동작의 요인을 없애고, 정밀도가 높은 정확한 물검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패킹(A74)은, 급유 탱크(A12)의 저면 부착구멍(A12d)의 주벽과, 물받이 접시(A71)의 주연 플랜지(A71a)의 사이에 개재된 탄성력이 있는 비도전성의 것으로, 물받이 접시(A71)의 플랜지(A71a)를 상하방향에서 끼워넣도록 하고 있다. 패킹(A74)은, 그 하면에 배치된 링모양의 누름부재(A75) 및 비스(A76)에 의해 탱크 부착구멍(A12d)의 주위에 고정되고, 이것에 의해, 물받이 접시(A71)가 부착구멍(A12d)에 수밀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고무제 패킹(A74)은, 비도전성의 내유성을 가지고, 또 옹수성을 가지는 고무부재로 구성되고, 구체적으로는 내유성이 뛰어난 NBR(니트릴부타디엔 고무)이나 발수성이 뛰어난 불소기 고무 등이 이용되어 있다. 특히, 패킹(A74)에 발수성이 부족하면, 물이 고이고, 배수한 후에라도 패킹(A74)과 급유 탱크(A12)의 금속부에 물이 남은 상태가 되므로 오동작의 요인이 되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발수성을 가지는 고무 소재를 사용했기 때문에, 정밀도가 높고 정확한 물검지가 가능해진다.
물받이 접시(A71)측의 전극(A72) 및 탱크측 전극(A73)은, 모두 급유 탱크(A12)밖의 검지대(A40)에 부착되어 있다. 물받이 접시(A71)측의 전극(A72)은, 검지대(A40)의 물받이 접시 수용 오목부(A40a)의 저벽으로부터 탱크(A12)측으로 돌출되어, 탱크(A12)의 재치 상태로 물받이 접시(A71)의 외면에 접촉하는 침상 전극 또는 선접촉하는 형상의 전극으로 되어 있다.
탱크측 전극(A73)은, 검지대(A40)의 외주 재치대(A40b)에 노출되서 탱크(A12)의 재치 상태에서 탱크(A12)의 저면(A12f)에 접촉하는 침상 전극이다. 양 전극(A72, A73)을 전원에 접속하는 것에 의해, 전원으로부터 물받이 접시측 전극(A72), 물받이 접시(A71), 그 내면의 연료 또는 물, 탱크 저면(A12f), 탱크측 전극(A73), 및 전원에 이르는 전기적인 폐회로가 구성되고, 물받이 접시(A71)안쪽의 액체(연료 또는 물)의 전기 저항치의 차이에 의해, 물의 존재를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물 검지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 물받이 접시(A71)를 부착하는 탱크측의 부착구멍(A12d)의 구멍벽이 하방으로 절곡되는 동시에, 그 절곡부(A12d)의 둘레 방향의 복수개소에 간격을 두고, 세폭상으로 선단이 예각으로 된 침부(A12e)가 하방으로 돌출형성되어, 이 침부(A12e)이 탱크측 선단전극으로서 기능하고, 탱크측 전극(A73)과 탱크 저면을 도통로로 하여 도통하고 있다.
또한, 탱크(A12)안에서 연료를 빨아 올리는 흡입구(A66)는, 침부(A12e)보다도 상방에 배치되어, 물받이 접시(A71)의 내부 물받이부의 물을 직접 흡입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물받이 접시(A71)의 저면부의 내측, 외측부를 제외한 부분을 비도전성의 도료 등으로 피복함으로써, 패킹(A74)과 급유 탱크(A12)의 금속부에 물이 남은 상태가 되어도 오동작의 요인에는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급유 탱크(A12)의 내면에서, 탱크(A12)안에서 연료를 빨아 올리는 흡입구(A66)보다 위쪽까지, 비도전성의 도료 등으로 피복함으로써, 전기에 의한 물검지 방식 이외의 방식에서의 물에 의한 폐해를 방지할 수 있다.
급유 탱크(A12)의 저면에는, 제9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받이 접시(A71)의 주변에 물받이 접시(A71)를 가드하는 탱크 다리부(A50)가 용착되어 있다. 이 탱크 다리부(A50)의 형상은, 급유 탱크(A12)에 용착되는 탱크 저면보다도 높고, 또한, 물받이 접시의 높이보다도 높게 한 리브 또는 U자형 형상의 다리(A50a)가 좌우양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급유 탱크(A12)를 본체(A1)에서 꺼내어, 급유구(A24)를 상방으로 해서 급유를 할 때에, 급유 탱크(A12)의 저면, 물받이 접시(A71)측과의 접촉하는 면에 이물 등이 닿더라도 상처나 타흔이 생기지 않도록 보호를 하고, 물검지의 오동작을 방지를 하고 있다.
연료량 검지수단(A69)은, 제10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탱크(A12)내부에 배치되어 피검지부로서 기능하는 자석(A78)이 내장된 플로트(A77)와, 자석(A78)의 접근·이간동작에 따라 ON·0FF하도록 하는 플로트(77)에 대향해서 검지대(A40)측에 설치된 리드 스위치(A79)를 구비하고 있다.
플로트(A77)는, 자석을 하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천개가 딸린 투수성 통상 가이드(A80)안에 연료의 액면변동에 따라 상하운동할 수 있도록 것에 내장되어 있고, 가이드(A80)의 하단면은 물 검지수단(A68)의 물받이 접시(A71)의 내면측에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리드 스위치(A79)는, 플로트(A77)에 대향하도록, 검지대(A40)의 중앙 오목부(A40a)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이드(A80)는 급유 탱크(A12)의 연료를 뺄 때에 시판품인 급유 호스가 플로트(A77)에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금속 가공된 것인 경우에는 안쪽에 버어가 발생하지 않는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따라서, 급유 탱크(A12)의 내부의 연료가 감소해서 일정한 액면수위가 되면, 플로트(A77)의 자석에 의해 리드 스위치(A79)가 감지동작하고, 그 동작을 제어부(A80)에 보내서, 표시부(A81)에서 연료떨어짐 등을 보고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탱크 다리부(A50)는, 판상 부재를 프레스 가공한 것으로, 중앙부에 물받이 접시(A71)의 릴리프용의 구멍을 가지고, 좌우 양단측에 U자형의 다리(A50a)가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또한, 본체 뒤쪽에 상당하는 부위에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의 레버를 받는 탱크받이면(A50d)이 거의 Z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탱크 다리부(A50)는, 급유 탱크(A12)의 저면측에 용착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탱크 수납부의 주변구성)
(검지대의 구성)
수납실(A4a)의 저부에는, 급유 탱크(A12)를 얹어 놓는 검지대(A40)가 얹어 놓여져 있다. 이 검지대(A40)는, 제100도 내지 제10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하방의 치대(A5)에 장착된 것으로, 급유 탱크(A12)의 장착의 유무를 검지하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과, 물 검지수단(A68)의 전극을 부착하는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검지대(A40)는, 그 좌우단에 상방측과 하방측에 입벽(A40s)이 형성되고, 상방측의 입벽(A40s)의 선단은 외측으로 넓어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검지대(A40)의 거의 중앙부에는, 하방으로 움푹 들어가는 물받이 접시(A71)의 수용 오목부(A40a)가 형성되고, 그 수용 오목부(A40a)의 좌우양측에는, 급유 탱크(A12)하면의 탱크 다리부(A50)를 받는 전후방향으로 긴 수납 오목부(A40t)가 2개소 오목하게 만들어져 있다. 또, 검지대(A40)의 우측의 하방 입벽에는, 리드선을 지지·고정하기 위한 V홈(A40c)(제104도)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A40a)와, 수용 오목부(A40t)의 좌측의 재치면(A40b)(제100도)에는, 물 검지수단(A68)의 전극(A72, A73)의 접점이 상하하는 각구멍(A40d, A40e)(제102도)과, 전극이 되는 레버받이부(A40h, A40g)가 2개소 설치되어 있다.
검지대(A40)의 전후좌우의 4개소에, 탱크 가이드(A41)고정용의 부착 보스(A40J)가 설치되고, 뒤쪽의 부착 보스 근방에는 탱크 가이드(A41)를 측이판(A7)에 고정할 때의 안내용 레일(A40k)이 설치되어 있다.
검지대(A40)의 수용 오목부(A40a)의 이면에 형성된 오목부(A40n)(제103도(b))에는, 연료량 검지수단(A69)의 근접 스위치로서의 리드 스위치(A79)가 부착된다.
물 검지수단(A68)(제100도)의 전극(A72, A73)은, 전극 레버(A151) (제103도(a))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극 레버(A151)는, 제103도(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탄성력이 있는 스테인레스 강판을 계단상으로 절곡해서 형성되고, 근원부의 리드선 커넥터의 삽입받이(A151a)에는 검지대 고정용의 나사구멍(A151b)과, 그것보다 선단측에 형성된 받이구멍(A151c)이 형성되어, 선단이 L자모양으로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전극 레버(A151)와 부착하는 검지대(A40)측에는, 레버 부착용 보스(A40q)가 하방으로 돌출되어, 그 보스에 고정용 구멍(A40p)이 형성되고, 또한, 그, 부착부의 근방에 레버(A151)의 상하운동의 지점이 되는 원형 볼록형의 받이부(A40h)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전극 레버(A151)의 부착 방법은, 검지대(A40)의 받이부(A40h)에 전극 레버(A151)의 받이구멍(A151c)에 끼워 넣어지고 나서, 레버(A151)의 나사구멍(A151b)을 검지대(A40)의 부착구멍(A40q)에 맞춰서 보스(A40p)에 나사고정한다. 그렇게 하면, 전극 레버(A151)의 선단부가 각구멍(A40d, A40e)에서 표면으로 튀어 나오게 된다. 이 튀어 나옴 치수를 규제하기 위해서, 검지대(A40)의 이면에는 리브(A40m)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극 레버(A151)는, 그 근원의 고정부와 요동지점이 다르기 때문에, 고정부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아, 내구성이 양호해진다.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은, 검지대(A40)의 뒤쪽에 배치된 것으로, 제10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검지대(A40)의 뒤쪽에 고정되는 탱크 검지판(A117)과, 이 검지판(A117)에 상하방향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부착되고, 급유 탱크(A12)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급유 탱크 저부와 접촉요동하는 레버(A113)와, 이 레버의 상하운동에 의해 이접하는 스위치로 ON/OFF하도록 검지판(A117)에 부착된 마이크로 스위치(A112)와, 레버(A113)의 가동시에 압박하는 레버 스프링(A116)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A113)는, 소폭의 평면시 L자형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에 회전운동지점이 되는 보스(A113b)가 형성되고, 타단측이 탱크 검지판(A117)으로부터 검지대(A40)측으로 돌출되어 급유 탱크 자체를 받는 탱크받이면(A113a)으로 되어 있다.
탱크 검지판(A117)은, 판상 부재를 コ자형으로 절곡해서 형성되고, 그 입벽면에 레버를 부착하는 축부(A117a)와, 마이크로 스위치(A112)의 부착용 수납 오목부(A117b)와, 레버(A113)의 탱크받이면이 상하운동할 때의 가동폭과 거의 동등한 각구멍(A117c)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 스프링(A116)은, 그 양단이 탱크 검지판(A117)의 상판과 레버(A113)에 걸려, 레버(A113)를 마이크로 스위치(A112)를 ON하는 방향으로 압박하고 있다.
상기 장착 검지수단(A70)의 조립은, 레버(A113)에 레버 스프링(A116)을 삽입하여 건 후에, 탱크 검지판(A117)의 각구멍(A117c)에 레버(A113)의 탱크받이면 (A113b)을 통과시키고, 그 후, 탱크 검지판(A117)의 축부(A117a)에, 레버(A113)의 일단측 보스부(A113b)를 삽입하여 멈춤 고리로 고정한다. 또, 탱크 검지판(A117)의 수납 오목부(A117b)의 핀에 마이크로 스위치(A112)를 삽입해서 멈춤 고리로 고정해서 완성된다.
이 탱크 장착수단(A70)의 동작은, 급유 탱크(A12)가 본체(A1)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레버(A113)의 탱크받이면(A113a)이 급유 탱크(A12)에 의해 하방으로 눌러 내려져서, 마이크로 스위치(A112)가 개방상태가 되고, 회로상에서는 ON상태가 된다. 역으로, 급유 탱크(A12)가 본체에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에는, 레버(A113)의 탱크받이면(A113a)이 급유 탱크(A12)를 받지 않고 있으므로, 레버 스프링(A116)에 의해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서, 마이크로 스위치(A112)가 폐색상태가 되고, 회로상에서는 0FF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 스위치(A112)의 가동접점은 탱크 장착시에 개방상태가 되고, 탱크 탈거시에 폐색상태가 되는 사용방법을 채용하고 있으므로, 급유 탱크(A12)의 상하의 스트로크에서의 마이크로 스위치(A112)의 작동시의 여유도가 크고, 트러블의 발생이 적어진다.
(탱크 가이드의 구성)
다음에, 급유 탱크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6도는 탱크 수납실(A4a)의 상면도, 제107도는 탱크 가이드와 접속 조인트받이부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분해평면도, 제108도는 탱크 고정부재의 정면도, 제109도는 송유배관 및 복귀유 배관과 조인트 받이부의 접속상태를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제110도는 송유조인트 받이의 단면도, 제111도는 복귀유 조인트받이의 단면도, 제112도(a)는 세워올림 통로의 평면도, 동도(b)는 공기밸브의 종단면도이다.
제102도 및 제10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12)의 수납부(A4a)의 주변 4면은 탱크 가이드(A41)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다. 이 탱크 가이드(A41)는, 금속판재를 절곡해서 배면측 중앙부만을 개방한 평면시 직사각형 프레임상으로 형성되어, 배면측 중앙좌우 개구가장자리가 외측으로 L자형으로 절곡되고, 그 절곡부(A41c)의 상측이 본체측 뒷판(A7)의 배면부에 갈고리로 걸리고, 하측이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이 배면측 개구(A41d)의 하부에는,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이 배치된다.
탱크 가이드(A41)의 하측은, 검지대(A40)의 좌우 입벽(A40s)(제102도)의 안쪽을 따라 배치되고, 마찬가지로 앞쪽부분이 검지대(A41)의 앞벽 및 보스부(A40j)의 외측에 베치되고, 또, 뒤쪽 보스부(A40j)와 세워올림벽(A40k)의 사이에 배치되어, 나사에 의해 전후 하단부가 검지대(A50)에 체결되어 있다.
탱크 가이드(A41)의 우측 구석부는, 그 상단에서 중간부근까지 외측으로 잘라 세워서 개방되고, 그 개방부(A41a)에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를 잘라 세운 양 날개편(A41b)에 갈고리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는, 조인트받이부(A100) 및 전자 펌프(A14)를 부착하는 것으로, コ자 형상을 한 상자체를 이루고, 상면에는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가 소정의 위치에 나사로 고정되고, 하면에는 전자 펌프(A14)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고정부재(A42)의 내측면에는, 급유 탱크(A12)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급유 탱크의 접속 조인트부(A47)를 고정하는 오목부(A12d)(제100도)가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탱크 수납실(A4a)측으로 돌출하고, 그 상면의 조인트받이부(A110)와 탱크측의 접속 조인트부(A47)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접속조인트 받이부(A100)는, 송유측 조인트받이(A13b)와 복귀유측 조인트받이(A17b)가 일체화된 것으로, 송유측 조인트받이(A13b)에 동계의 가는 배관(A21)이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고, 복귀유측 조인트받이(A17b)에 동계의 복귀유 배관(A23)이 연이어 통해서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조인트 받이부(A100)와 가는 배관(A21) 및 복귀유 배관(A23)의 접속은, 제10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관(A21, A23)의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 모양의 끈 꺼냄부(A21a, A23a)의 선단측에 실용의 O링(A99)을 끼우고,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소정의 구멍(A98d, A98f)에 삽입해서, 배관(A21, A23)의 끈 꺼냄부(A21a, A23a)의 외측에서, 배관 고정판(A101)의 하변에 형성된 U자 홈(A101a)을 배관(A21, A23)에 상방에서 삽입하고, 고정판(A101) 및 조인트받이부(A100)에 각각 형성된 나사구멍(A101b, A100a)에 나사를 통해서 양자를 고정하면 된다.
가는 배관(A21)과 복귀유 배관(A23)은, 동계의 재료를 사용해서, 가는 배관(A21)과 복귀유 배관(A23)의 내경치수를 가는 배관(A21)쪽을 소직경으로 설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는 배관(A21)의 내경이 1.5mm로 설정되고, 복귀유 배관(A23)의 내경이 3mm로 설정되어 있다. 가는 배관(A21)의 내경을 1.5mm보다 대직경으로 하면, 소화시에 있어서의 가는 배관(A21)의 연료 잔존량이 많아지고, 운전 스타트시나 재점화시에 잔존한 연료를 기화기(A14)에서 급유 탱크(A12)로 되돌리는데 시간이 걸리게 되고, 악취 발생의 요인이 된다. 또, 복귀유 배관(A23)의 내경이 4mm이상이 되면, 배관내의 공기가 연료와 치환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연료가 급유 탱크(A12)로 되돌아가기 어려워지고, 배관내에 연료가 모여서, 악취 발생의 요인이 된다. 역으로 내경이 3mm보다도 작으면, 배관의 저항에 의해 공기만이 보내져, 연료가 급유 탱크(A12)로 돌아가기 어려워지는 수가 있다. 또한, 양 배관의 직경에 차이를 두어서 조립가공시에 접속 오류가 없도록 하고 있다.
(접속 조인트받이부의 구성)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는,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의 상면에 나사로 고정된 받이 본체(A98)와, 이 받이 본체에 병설된 송유측 조인트받이(A13b) 및 복귀유 조인트받이(A17b)와, 받이 본체(A98)에 배치된 밸브로서의 공기밸브(A18)를 구비하고 있다.
송유측 조인트받이(A13b)는, 제1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이 본체(A98)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 중앙위치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막대모양의 밸브받이 (A98a)와, 그 주위를 덮도록 받이 본체(A98)의 상면에 얹어 놓여진 거의 원통상의 고무제 접속패킹(A102)과, 이 패킹(A102)의 주위를 덮고 또한 패킹(A102)의 하단 플랜지(A102b)를 받아 본체(A98)의 상면에 나사로 고정하는 거의 원통상의 패킹누름부(A103)를 구비하고, 밸브받이(A98a)의 주위에 형성된 홈부(A98b)에서 전자 펌프(A14)측으로 연이어 통하는 수평방향의 관상의 통로(A98c)가 받이 본체(A98)에 형성되어 있다.
이 통로(A98c)의 도중에는, 제112도(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로(A98c)보다도 상방으로 세워올리는 역U자형의 세워올림 통로(A98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세워올림 통로(A98d)는, 받이 본체(A98)의 상면에 일체 성형된 통부(A98h)내에 형성되어 있고, 이 통부(A98h)의 상면 오목부에 패킹(A104)을 통해 공기밸브(A18)가 나사로 고정되어, 공기밸브(A18)의 출구(A18a)가 역U자형의 통로(A98d)의 상단에 개방한 상태가 되어 있다.
또한, 세워올림 통로(A98d)는, 제112도(a)에 도시하는 것 같이, 격벽(A98i)을 사이에 두고 조인트받이(A13b)측에 연이어 통하는 단면 초승달형의 세로방향의 상향 통로(A98d1)와, 전자 펌프(A14)측의 가는 배관(A21)에 연이어 통하는 단면원형의 세로방향 하향 통로(A98d2)로 구성되어 있고, 양 통로(A98d1, A98d2)의 상단부가 격벽(A98i)의 상방에서 연이어 통하도록 되어 있다.
이 양 통로(A98d1, A98d2)의 통로면적은, 통로(A98d2)의 통로(A98d1)의 면적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이것은, 소화시에 있어서의 연료의 잔존량을 적게 해서 운전 스타트시나 재점화시에 잔존한 연료를 기화기에서 급유 탱크로 되돌리는데 시간이 걸리는 것을 단축하기 위해서이며, 이것에 의해 더욱 악취의 발생의 요인을 없애고, 급유 탱크측으로 연료를 빨리 되돌려서 경로를 차단하도록 하고 있다.
접속패킹(A102)(제110도)은, 송유 조인트(A13a)측의 밸브체(A59)를 송유측 조인트받이(A13b)에 삽입했을 때에, 그 충격을 완화시키고, 실을 하기 위한 것으로, 거의 원통상으로 상면에 송유 조인트(A13a)측의 통상부(A55c) 및 밸브체(A59)가 침입가능한 구멍(A102a)이 형성되어 있다.
패킹누름부(A103)는, 접속패킹(A102)을 상방에서 눌러서 실성의 향상과, 접속 조인트부(A47)를 상방에서 받을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거의 원통상의 상면에 접속 조인트(A13a)측의 동체부(A55a) 및 테이퍼부(A55b)가 침입가능한 구멍(A103a)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밸브(A18)는, 급유 탱크(A12)로부터 전자 펌프(A14)에의 송유 경로에 경로밖으로부터 공기를 받아 들이고, 송유 경로의 연료공급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제112도(b)에 도시하는 것 같이, 밸브실(A18b)의 주위에 배치된 전자 코일(A18d)과, 이 전자 코일(A18d)의 소여에 따라 밸브실내를 가동하여 상방의 밸브누름부(A18e)에 형성된 공기 구멍(A18f)을 개폐하는 밸브체(A18g)와, 이 밸브체(A18g)를 공기 구멍(A18f)의 개방방향으로 압박하는 코일 스프링(A18h)과, 송유측의 역U자형 통로(A98d)와 연이어 통하도록 하는 밸브실의 하방에 형성된 연통출구(A18a)를 구비하고, 전자 코일(A18d)의 여자에 의해 밸브체(A18g)가 가동해서 공기 구멍(A18f)을 폐색하고, 또, 전자 코일(A18d)의 소자에 의해 코일 스프링(A18h)의 압박력에 의해 공기 구멍(A18f)을 개방하고, 밸브체(A18g)의 주위를 통과해서 연통 출구(A18a)로부터 세워올림 통로(A98d)측에 공기가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밸브체(A18g)는, 바닥이 있는 통체(A18i)와, 그 상단개구에 출몰이 자유롭게 내장된 밸브자(A18j)와, 이 밸브자(A18j)를 돌출측으로 압박하는 스프링(A18k)을 구비하고, 공기 구멍(A18f)의 폐색시에 밸브 누름부(A18e)와의 충돌을 완화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공기밸브(A18)의 외주에는, 이것을 보호하기 위한 공기밸브 커버(A111)가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받이 본체(98)와 함께 조여져 있다. 공기밸브 커버(A111)는, 적어도, 그 송유 조인트받이(A13b)측이 수직면(A111a)으로 되고, 급유 탱크(A12)를 본체에 장착할 때에, 접속 조인트부(A47)의 보호 커버(A120)와 대면하고, 이것을 안내하는 가이드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한편, 제2접속수단의 복귀유측 조인트받이(A17b)는, 제1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받이 본체(A98)의 상면에 형성된 밸브구멍(A98e)의 하방의 밸브실(A98i)에 밸브기구(A105)가 수용되고, 밸브실(A98i)의 측면에 기화기(A14)로부터의 통로(A98f)가 수평방향으로 연이어 통해서 형성되어 있다.
밸브기구(A105)는, 밸브구멍(A98e)을 개폐가 자유롭게 폐색하는 받이 밸브체(A106)와, 밸브실(A98i)의 하방을 폐색하는 받이 밸브체 캡(A108)과, 이 캡(A108)과 받이 밸브체(A106)의 사이에 개재되어 받이 밸브체(A106)를 밸브구멍 폐쇄방향으로 압박하는 받이 밸브체 스프링(A107)과, 받이 밸브체(A106)의 폐지면에 끼워붙여진 0링(A109)과, 받이 밸브체 캡(A108)을 실하는 캡용 0링(A110)을 구비하고 있다.
받이 밸브체(A106)를 설치한 것은, 제2의 접속수단인 복귀유측의 조인트(A17a)의 밸브체(A59)를 받기 위해서와, 급유 탱크(A12)를 탈거했을 때의 악취누설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받이 밸브체 스프링(A107)은, 급유 탱크(A12)가 본체에 세트되었을 때에 접속 조인트(A17a)가 받이 밸브체(A106)를 누름으로써 압축상태가 된다. 받이 밸브체 캡(A108)은, 받이 밸브체(A106)가 접속 조인트(A17a)의 밸브체(A59)에 의해 하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했을 때에 받이 밸브체(A106)의 하부를 안내하는 오목형 받이부(A108a)와, 그 주위에 형성된 받이 밸브체 스프링(A107)의 받이면(A108b)을 구비하고 있다.
이 받이 밸브체 캡(A108)은,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저면측의 연료통로의 개구로 삽입되어,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를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의 소정위치에 나사로 고정하면,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가 그 부분을 누르도록 되어, 삽입한 받이밸브체 캡(A108)이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에서 튀어 나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접속조인트 받이(A17b)는, 받이 본체(9Aa)에, 제1의 접속조인트 받이와 마찬가지로 접속패킹(A102)이 배치되고, 그 접속패킹(A102)의 상방에서 패킹 누름부(A103)가 나사로 고정되어 있다.
탱크 가이드 고정부재(A42)의 하방의 소정위치에는 송유 펌프로서의 전자 펌프(A14)가 고정된다. 이 전자 펌프(A14)에 접속되는 가는 배관(A21) 및 기화기(A15)로부터의 복귀유 배관(A23)의 접속조인트 받이부(A100)에의 접속은,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는 배관(A21) 및 복귀유 배관(A23)의 끈 꺼냄부(A21a, A23a)에 O링(A99)을 삽입하고 나서, 받이 본체(9Aa)의 소정의 구멍에 삽입하고, 그 후, 배관 고정판(A101)의 U자홈(A101a)에 배관(A21, A23)에 통과시킨 후, 나사로 고정하면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가 접속 조인트(A13a)로부터 접속 조인트받이(A13b)로 흐르는 것은, 전자 펌프(A14)의 구동에 의해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를 빨아 올림관(A20)으로 빨아 올리면, 접속 조인트부(A47)의 가로방향으로 연료가 들어와서 개방된 밸브기구(A56)의 본체 통상부(A55c)와 본체(A59)의 틈을 통과하여, 접속 조인트받이(A13b)에 흘러가고, 홈부(A98b)로부터 통로(A98c)를 거쳐서, 공기밸브(A18)의 하방의 세워올림 통로(A98d)를 거쳐서, 전자 펌프(A14)로부터 기화기(A15)로 연료가 보내진다.
(급유 탱크의 액위와 접속수단의 위치관계)
제113도는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의 액위와, 각 접속수단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접속 조인트부(A47)로, 급유 탱크(A12)의 연료가 빨아 올려져서 통과하는 통로(A55p)는, 급유 탱크(A12)의 만수표시액위(LO)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접속 조인트부(A47)의 탱크 접속부에서의 연료누설을 회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에서는, 공기밸브(A18)하방의 세워올림 통로(A98d)의 격벽(A98i)상단이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액위(LO)보다 상방에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급유 탱크내의 연료액위란, 통상시의 만수표시의 액위위치로 한다.
또,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가 온도차에 의해 이상하게 액위가 상승했을 때에도, 접속 조인트부(A47)의 기화기(A15)측으로부터의 급유 탱크(A12)에의 복귀유 관(A63)의 배관출구(A63b)가,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의 이상액위(L1)보다도 높아지도록 설정되어, 연료가 급유 탱크측에서 복귀유 경로를 통과해서 기화기(A15)측으로 돌아오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한, 이 때, 접속 조인트부(A47)로부터 전자 펌프(A14)측으로 보내져도 펌프(A14)가 정지하고 있으므로, 그 이상 앞서 연료가 보내지지 않는다. 또한, 공기밸브(A18)의 공기 구멍(A18f)의 위치는, 이상액위(L1)보다도 항상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연료가 급유 탱크(A12)로부터 공기밸브(A18)를 통과해서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에 있어서, 공기밸브(A18)하방의 세워올림 통로(A98d)의 격벽(A98i)의 상단은, 급유 탱크(A12)의 통상 액위(LO)보다 항상 상방에 있기 때문에, 소화시에 공기밸브(A18)를 개방해서 송유 경로에 공기를 받아 들이면, 세워올림 통로(A98d)의 급유 탱크측의 경로면적(A98d1)이 크기 때문에, 연료가 급유 탱크측으로 빨리 되돌려져서, 연료의 공급이 확실하게 차단된다.
(제어장치의 구성)
제114도는 이들 연료량 검지수단(A69), 물 검지수단(A68), 및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으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각종 운전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회로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40)는, CPU, ROM 및 RAM을 내장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입력측에 연료량 검지수단(A69), 물 검지수단(A68), 및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가 접속되고, 출력측에 전자 펌프 구동회로(A118), 표시부(A143), 및 밸브구동회로(A119)가 접속되어, 각종 입력신호에 의해 운전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운전중에 급유 탱크가 뽑아지는 것에 의해,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이 0FF(탱크없음)일 때에는, 그 신호를 입력해서 펌프 구동회로(A118)에 전자 펌프(A14)의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동시에 밸브구동회로(A119)에 공기밸브(A18)의 개방신호를 출력해서 운전을 정지하는 제어나, 마찬가지로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이 ON일 때에 기화기(A15)를 공연소하는 공연소 클리닝 운전 모드를 구동하는 제어도 할 수 있다.
(석유 팬히터의 동작)
다음에, 상기 구성 석유 팬히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급유 탱크(A12)의 연료가 빈 경우, 본체(A1)의 뚜껑(A4)을 열고, 급유 탱크(A12)를 손잡이(A43)를 잡고 꺼내서, 손잡이(A43)를 위쪽으로 한 상태에서 폐색수단(A19)을 벗기고, 급유 탱크(A12)의 급유구(A44)로 연료를 급유한다. 이 경우, 급유 탱크(A12)는 손잡이(A43)를 위쪽으로 해서 평평한 곳에 두고 보급하므로, 급유 탱크(A12)의 상하를 역으로 할 필요가 없고, 종래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급유캡이 연료에 더럽혀질 일도 없어서, 간단, 확실하게 연료의 보급을 할 수 있다.
급유를 완료하면, 연료가 든 급유 탱크(A12)를 본체(A1)의 탱크 뚜껑(A4)을 열고, 소정의 위치에 세트한다. 이 때, 제115도 내지 제11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유 탱크(A12)의 접속 조인트부(A47)에 부수되어 있는 쿠션 커버(A120)의 하방이, 연소부측의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공기밸브 보호커버(A111)의 외측을 따라,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하방으로 유도되고, 또한, 급유 탱크(A12)측의 접속 조인트부(A47)가 연소부측의 조인트받이부(A100)에 접속된다.
이 때, 접속 조인트부(A47)의 송유측 조인트(A13a)에 있어서는, 그 밸브체(A59)가, 송유측 조인트받이(A13b)의 패킹 누름부(A103)의 구멍(A103a)에 안내되어 삽입되어, 접속 패킹(A102)의 구멍(A102a)에 들어가고, 밸브받이(A98a)와 접촉한다. 이 때, 접속 패킹(A102)의 구멍(A102a)이 접속 조인트부(A47)의 본판 통상부(A55c)에서 폐색 실되어, 이 접속부에서 연료가 새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급유 탱크(A12)를 본체(A1)에 삽입하면, 밸브받이(A98a)에 밀려서 송유 조인트(A13a)의 밸브체(A59)가 상방으로 이동하고, 밸브체 스프링(A61)이 압축상태가 되어, 밸브체(A59)가 밸브 개방 상태가 되고, 급유 탱크(A12)의 빨아 올림관(A20)으로부터 접속 조인트(A13a)를 통해서 전자 펌프(A14)측으로 흘러가는 송유 경로(B)가 개방상태가 된다.
마찬가지로, 급유 탱크(A12)의 복귀유측의 조인트(A17a)도 동일한 움직임을 하고, 접속 조인트(A17a)의 밸브체(A59)가, 접속 조인트받이부(A100)의 패킹 누름부(A103)의 구멍(A103a)에 안내되어 삽입되어, 접속 패킹(A102)의 구멍(A102a)에 들어가고, 복귀유측 조인트(A13a)의 밸브체(A59)가 받이 본체(A98)의 밸브기구(A105)의 밸브체(A106)와 접촉한다. 이 때, 접속 패킹(A102)과 접속 조인트부(A47)의 본체 통상부(A55c)가 폐색 실되어 연료가 새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급유 탱크(A12)를 본체(A1)에 삽입하면, 밸브기구(A105)의 받이 밸브체(A106)가 하방으로 이동해서 받이 밸브체 캡(A108)에 오목부(A108a)에서 바닥에 닿고, 그 후, 복귀유 조인트(A17a)의 밸브체(A59)가 받이 밸브체(A106)에 밀려서 상방으로 이동하여, 밸브체 스프링(A61)이 압축상태가 되고, 밸브체(A59)가 밸브 개방 상태가 된다. 이것에 의해, 기화기(A15)로부터 배관(A23)을 통해 급유 탱크(A12)측으로 되돌아오는 복귀유 경로(C)가 개방상태가 된다.
급유 탱크(A12)를 본체(A1)에 장착하고, 급유 탱크(A12)의 저면이 수납실(A4a)의 저부에 있는 검지대(A40)까지 도달하면, 급유 탱크(A12)의 탱크 다리부(A50)의 뒤쪽 레버 접촉면(A50d)이 탱크 장착 검지수단(A70)의 레버(A113)의 레버 탱크받이면(A113a)을 눌러 내려서 마이크로 스위치(A112)를 회로상에서 ON상태로 한다.
급유 탱크 장착상태에서, 석유 팬히터의 운전 스위치(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해서 전원을 ON했을 때에는, 공기밸브(A18)는 소자상태로 개구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 펌프(A14)를 구동하면, 공기밸브(A18)의 공기구멍(A18f)으로 공기를 받아 들이고, 송유 경로(B)에 공기가 보내진다. 그 때문에, 급유 탱크(A12)의 연료를 빨아 올림관(A20)으로 빨아 올릴 수 없고, 역으로 송유 경로(B)에 잔존하고 있는 연료를 기화기(A15)에 보내는 동시에, 기화기(A15)안에 남아있는 일부 기화한 연료와 아울러 복귀유 경로(C)로부터 급유 탱크(A12)에 되돌려서 경로중에 연료가 남지 않도록 한다.
기화기(A15)에서는, 운전 스위치의 ON에 의해, 기화기 히터가 가열되어, 기화기(A15)를 소정의 온도까지 예열한다. 예열완료온도에 도달했으면, 공기밸브(A18)에 통전되어, 전자 코일(A18d)이 여자되어서 밸브체(A18g)가 공기구멍(A18f)을 밸브를 닫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공기구멍(A18f)으로의 공기의 도입을 정지한다. 그렇게 하면, 급유 탱크(A12)로부터 접속수단을 통과해서 전자 펌프(A14)로 흐르는 송유 경로(B)가 연이어 통하는 상태가 되고, 급유 탱크(A12)안의 연료가 송유 경로(B)에 보내진다.
기화기(A15)에서는, 전자 펌프(A14)에 의해 보내져 온 연료를 기화시켜, 기화기(A15)가스상으로 해서, 기화기(A15)의 노즐(A31)로 뿜어 연소공기와 버너안에서 혼합하고, 버너(A16)의 불꽃구(A16b)로 뿜게 하고, 이 불꽃구(A16b)에 있어서 점화되어 연소실(A30)안에서 연소된다. 이 때, 실온 서미스터(A11)에 의해 검지한 실온과, 조작부(A3)에서 설정한 설정온도의 차이에 근거하여, 제어부(140)가 전자 펌프(A14)의 구동을 제어해서 기화기(A15)로 보내는 액체연료의 양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연소에 의한 발열량을 적절하게 조절한다.
연소를 개시하고, 프레임 센서(A36)가 미리 설정한 전류값 이상의 불꽃전류를 검출하면, 도시하지 않은 팬 모터가 통전되어 송풍 팬(A9)이 회전해서 실내의 공기를 흡입한다. 또한, 팬 모터의 회전속도는 제어부(140)에 의해 제어된다. 흡입된 실내의 공기는, 연소실(A30)안에서, 얻어지는 복사열을 빼앗고, 연소 가스와 함께 온풍으로서 취출구(A2)로 실내에 뿜어지고, 실내온도가 상승해서 온도를 제어한다.
본체(A1)의 운전을 정지하면, 전자 펌프(A14)의 구동이 정지되는 동시에 공기밸브(A18)가 개방되고, 외부에서 공기가 경로에 들어와, 연료의 공급이 확실하게 정지 차단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급유 탱크의 하방에 일시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 탱크를 폐지하고, 급유 탱크의 연료를 직접 연소부에 송유하도록 한 것으로, 연료 탱크를 없앨 수 있고, 연료 탱크의 용적분을 급유 탱크를 크게 하거나, 본체의 크기를 작고 콤팩트하게 할 수 있어, 장소를 차지하지 않는 메리트가 있다.
이러한 액체연료 연소장치에 있어서, 급유 탱크를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에 접속하는 제1의 접속수단과, 급유 탱크를 연소부로부터의 연료 복귀유 경로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수단을 일체화하면, 접속수단이 콤팩트해지고, 조립이나 가공수도 적어, 구조를 간단히 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이상 각 실시형태, 및 각 실시예에서 설명한 각 구성은, 적용가능한 범위에서 다른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연료 연소장치는, 급유 탱크를 본체에서 빼내어, 연료를 충전한 후에 장전하는, 겨울철이나 한냉지의 난방기기, 예를 들면 석유 팬히터 등에 적합하다.

Claims (33)

  1.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본체내에 탈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기화한 연료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가지는 연소부와,
    상기 급유 탱크의 연료를 상기 기화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와,
    상기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를 접속 형성하는 제1의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접속부가, 급유 탱크측에 설치한 송유 조인트와, 상기 송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본체측에 설치한 송유 조인트받이를 갖고,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상기 연소부로의 연료를 보내기 위한 상기 송유 경로에 공기를 송입함으로써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상기 연소부로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공기 밸브의 공기 도입구는 공급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 액체연료 연소장치의 본체내에 탈거가 자유롭게 장착되는 급유 탱크와,
    연료를 가열해서 기화시키는 기화부와 기화한 연료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를 가지는 연소부와,
    상기 급유 탱크의 연료를 상기 기화부에 보내는 송유 펌프와,
    상기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했을 때에,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 이르는 송유 경로를 접속 형성하는 제1의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접속부가, 급유 탱크측에 설치한 송유 조인트와, 상기 송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본체측에 설치한 송유 조인트받이를 갖고,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상기 연소부로의 연료를 보내기 위한 상기 송유 경로에 공기를 송입함으로써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상기 연소부로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 밸브를 설치하고,
    상기 급유 탱크를 상기 연소부로부터의 복귀유 경로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부를 설치하고,
    상기 제2의 접속부는, 급유 탱크측에 설치한 복귀유 조인트와, 그 복귀유 조인트에 착탈이 자유로운 본체측에 설치한 복귀유 조인트받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송유 조인트, 송유 조인트받이, 및 복귀유 조인트는, 송유 경로를 개폐하는 밸브기구를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와 상기 송유 펌프를 연결하는 상기 송유 경로는, 역U자형으로 세워올려진 세워올림 통로를 형성하고, 상기 세워올림 통로의 상단이 상기 급유 탱크내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하고, 상기 송유 경로에 공기를 송입함으로써 상기 급유 탱크로부터 상기 연소부로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공기 밸브를 상기 세워올림 통로의 상단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9. 삭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측의 복귀유 조인트의 연료통로의 출구는,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유 조인트의 연료통로의 출구는, 급유 탱크의 연료액위보다 상방이 되도록 하방을 향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밸브는 본체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는, 상면에 공기구멍과, 탱크 전도시에 그 공기구멍을 폐색하는 폐색기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유 경로의 통로 내경은, 송유 경로의 통로 내경보다도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15. 삭제
  16. 삭제
  17.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측의 송유 조인트 및 복귀유 조인트가 일체화되어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를 구성하고, 본체측의 송유 조인트받이와복귀유 조인트받이가 일체화되어 본체측 조인트받이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는, 급유 탱크의 접합 가공면과 반대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는, 급유 탱크안으로의 배관을 위치 결정하기 위한 위치 결정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측 조인트부는, 급유 탱크내의 배관을 조여 붙임 가공으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1. 제17항에 있어서, 본체측 조인트받이부는, 급유 탱크로부터 연소부에의 연료의 공급을 차단하는 차단밸브와 그 밸브를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가지고,
    급유 탱크측의 조인트부는, 충격을 방지하는 쿠션 커버를 가지고,
    급유 탱크를 본체에 장착할 때에, 상기 양 커버를 탱크 삽입용 가이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내의 물을 검출하기 위해서, 급유 탱크 저면에 설치된 물받이 접시에 접촉하는 제1의 전극과, 급유 탱크에 접촉하는 제2의 전극을 구비한 물 검지부를 가지고,
    상기 양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은, 검지대에 있어서 한쪽 고정되는 동시에 그 고정부 이외에 지점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로부터 제2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복귀유 경로에, 일차적으로 연료를 모아두는 연료용기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부로부터 제2의 접속부와의 사이의 복귀유 경로에, 연료를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유 조인트가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탱크 수용실에의 급유 탱크 장착시에 상기 연소부로부터 급유 탱크로 연료를 되돌리는 통로에 접속하는 제2의 접속부가 급유 탱크에 설치되고, 그 제2의 접속부가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는, 그 인접하는 측면끼리 서로 교차해서 형성되는 능선으로부터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있어서 거의 삼각형의 공간영역이 형성되고, 이 공간영역에 제1의 접속부, 제2의 접속부, 또는 제1의 접속부와 제2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액체연료 연소장치.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는, 그 인접하는 측면끼리가 서로 교차해서 형성되는 능선으로부터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있어서 거의 직사각형의 공간영역이 형성되고, 이 공간영역에 제1의 접속부, 제2의 접속부, 또는 제1의 접속부와 제2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액체연료 연소장치.
  29.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는, 그 측면에 탱크 중심방향으로 후퇴시키는 것에 의해, 급유 탱크의 상면도의 외곽·능선내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내에 제1의 접속부, 제2의 접속부, 또는 제1의 접속부와 제2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가 배치된 액체연료 연소장치.
  30.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펌프에의 연료의 빨아 올림 통로를, 급유 탱크내에 고정하는 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31.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접속부, 제2의 접속부, 또는 제1의 접속부와 제2의 접속부 중 어느 하나를 급유 탱크의 연료의 액면보다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32.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 탱크에는, 급유 펌프로 보내는 연료를 빨아 올리는 빨아 올림관을 설치하고, 상기 빨아 올림관의 연료흡인용 흡인구는, 급유 탱크내의 하부근방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33.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제1의 접속부와 제2의 접속부에는, 급유 탱크측과, 연소부측에 서로 이접가능한 안내용 가이드부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연료 연소장치.
KR1020027009783A 2000-01-31 2001-01-31 액체연료 연소장치 KR1006062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021330 2000-01-31
JP2000021330A JP2001208335A (ja) 2000-01-31 2000-01-31 液体燃料燃焼装置
JPJP-P-2000-00085366 2000-03-24
JP2000085366 2000-03-24
JPJP-P-2000-00175069 2000-06-12
JP2000175069A JP3921034B2 (ja) 2000-03-24 2000-06-12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0179916A JP3856624B2 (ja) 2000-06-15 2000-06-15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0179725A JP3880777B2 (ja) 2000-06-15 2000-06-15 液体燃料燃焼装置
JPJP-P-2000-00179726 2000-06-15
JP2000179726A JP2001355827A (ja) 2000-06-15 2000-06-15 液体燃料燃焼装置
JPJP-P-2000-00179917 2000-06-15
JP2000179917A JP2001355829A (ja) 2000-06-15 2000-06-15 液体燃料燃焼装置
JPJP-P-2000-00179725 2000-06-15
JPJP-P-2000-00179916 2000-06-15
JP2000256532A JP3856631B2 (ja) 2000-08-25 2000-08-25 液体燃料燃焼装置
JPJP-P-2000-00256532 2000-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9028A KR20020069028A (ko) 2002-08-28
KR100606297B1 true KR100606297B1 (ko) 2006-07-31

Family

ID=27573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9783A KR100606297B1 (ko) 2000-01-31 2001-01-31 액체연료 연소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256762A4 (ko)
KR (1) KR100606297B1 (ko)
CN (1) CN100402929C (ko)
WO (1) WO200105744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85B1 (ko) 2012-03-02 2013-12-10 주식회사 파세코 팬히터용 연료공급장치
KR200495768Y1 (ko) * 2021-04-29 2022-08-12 김승기 선박 엔진용 담수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29458C (zh) * 2005-07-05 2008-10-29 吴世苏 含精镏装置的射吸式无压汽油气化发生器
KR200453433Y1 (ko) * 2008-06-10 2011-05-02 주식회사 중앙브레인 공구 또는 도구용 박스
CN106939950B (zh) * 2017-04-28 2023-03-14 中国电子科技集团公司第四十研究所 一种自泄压流体连接器
CN107299859B (zh) * 2017-07-05 2023-12-22 天津吉秝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燃油管理系统的排量标定仪及使用方法
CN108518519B (zh) * 2018-04-23 2024-01-30 科堡科技(江苏)有限公司 一种电磁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123B (de) * 1956-08-18 1958-02-27 Otto Ludwig Martin Einrichtung zum Konstanthalten des Brennstoffspiegels an Raumheizgeraeten fuer fluessigen Brennstoff, insbesondere Heizoel
FR1370606A (fr) * 1963-04-10 1964-08-28 Dispositif de régulation du débit d'un combustible liquide à un brûleur à vaporisation utilisé dans un appareil de chauffage ou de cuisson
US3302664A (en) * 1964-04-07 1967-02-07 Coleman Co Safety cap assembly for pressurized founts of gasoline burning devices
JPS5340537U (ko) * 1976-09-13 1978-04-08
JPS6026251Y2 (ja) * 1980-02-16 1985-08-07 ダイニチ工業株式会社 石油燃焼器の気化装置
JPS58137252U (ja) * 1982-03-04 1983-09-14 東芝熱器具株式会社 液体燃料燃焼装置
US5370527A (en) * 1992-10-28 1994-12-06 The Coleman Company, Inc. Fuel tube for burner assembly with remote fuel tank
SE503494C2 (sv) * 1994-10-07 1996-06-24 Ingf Glembring Ab Portabel spis
JPH10253045A (ja) * 1997-03-08 1998-09-25 Kengo Horiuchi 石油ストーブカートリッジタンク
CH697443B1 (de) * 1998-04-02 2008-10-15 Toby Ag Öleinlaufstutzenanordnung für einen Ölofen mit atmosphärischem Ölbrenn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85B1 (ko) 2012-03-02 2013-12-10 주식회사 파세코 팬히터용 연료공급장치
KR200495768Y1 (ko) * 2021-04-29 2022-08-12 김승기 선박 엔진용 담수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1057441A1 (fr) 2001-08-09
KR20020069028A (ko) 2002-08-28
EP1256762A1 (en) 2002-11-13
CN1396998A (zh) 2003-02-12
CN100402929C (zh) 2008-07-16
EP1256762A4 (en) 2005-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6297B1 (ko) 액체연료 연소장치
US20050098161A1 (en) Vapor fueled engine
KR100588037B1 (ko) 액체 연료 연소 장치
JP3880777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4109699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880776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3106516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856631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880787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KR101847284B1 (ko) 과열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3948895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CN209764265U (zh) 锅炉燃烧确认装置及锅炉
JP3856624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681974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の油量検知機構
JP3856570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942348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310651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8170135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3921034B2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808400B2 (ja) 流体噴出弁構造体
JPH09269118A (ja) 石油燃焼器の油タンク構造
US20180135564A1 (en) Propane shutoff system
JP2001355829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1355827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JP2002195513A (ja) 液体燃料燃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