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503B1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503B1
KR100602503B1 KR1020050030340A KR20050030340A KR100602503B1 KR 100602503 B1 KR100602503 B1 KR 100602503B1 KR 1020050030340 A KR1020050030340 A KR 1020050030340A KR 20050030340 A KR20050030340 A KR 20050030340A KR 100602503 B1 KR100602503 B1 KR 100602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bow
boom
bracket
pipe
pl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03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5623A (ko
Inventor
이병렬
Original Assignee
이병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병렬 filed Critical 이병렬
Publication of KR2006004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5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15/00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 F04B15/02Pumps adapted to handle specific fluids, e.g. by 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for pumps or pump parts the fluids being viscous or non-homogene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의 회전부에 장착된 플레이싱 붐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1차 회전되고, 플레이싱 붐대의 선단에서 제 1 타설관과 제 2 타설관을 연결하는 엘보장치에 의해 제 2 타설관의 선단이 엘보장치를 중심으로 2차 회전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수직이동될 수 있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스트(110)에 본체(120)의 고정부(12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120)의 회전부(122)가 고정부(121)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고, 상기 본체(120)의 회전부(122)에 제 1 플레이싱 붐(130)이 슬라브(S)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의 일단에 웨이트 발란스(132)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에 제 1 타설관(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타설관(140)의 일단이 콘크리트 펌핑관(14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타설관(140)과 제 2 타설관(144)이 엘보장치(L)를 통해 연결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과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타설관(144)이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중공부에 끼워지고, 상기 엘보장치(L)가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Concrete placing boo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엘보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의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유압 실린더가 장착되어 제 2 타설관이 작동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도 1의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서 제 2 타설관과 유압 실린더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서 윈치 타입의 견인장치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7a 및 도 7b는 마스트에 본체의 고정부가 장착되는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사시도
도 8은 도 6의 엘보장치와 커넥팅 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결합관계 그리고 제 1 엘보와 제 2 엘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8의 제 2 브라켓과 제 2 플레이싱 붐의 결합관계 그리고 제 2 및 3 엘보와 제 2 타설관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도 11의 엘보장치와 커넥팅 장치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제 1 브라켓과 제 2 브라켓의 결합관계 그리고 제 1 엘보와 제 2 엘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도 14은 도 12의 제 2 브라켓과 제 2 플레이싱 붐의 중공축핀 그리고 제 2 엘보와 제 3 엘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본체의 회전부에 장착된 플레이싱 붐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1차 회전되고, 플레이싱 붐대의 선단에서 제 1 타설관과 제 2 타설관을 연결하는 엘보장치에 의해 제 2 타설관의 선단이 엘보장치를 중심으로 2차 회전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수직이동될 수 있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329593호(2002년 3월 11일 등록,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원형타설기), 실용신안등록 제178329호(2000년 2월 1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콘크리트 원형 타설기), 실용신안등록 제196712호(2000년 7월 7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콘크리트 타설기용 타설관의 회전장치), 실용신안등록 제329391호 (2003년 9월 29일 등록, 고안의 명칭 : 콘크리트타설기의 타설관 회전지지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그러나, 위에 소개된 콘크리트 타설기는 모두 콘크리트를 토출하는 제 2 타설관이 제 1 타설관에 대해 상대적으로 수평회전운동만 할 수 있어, 상기 제 2 타설관의 토출구 위치를 변경하기 위해 상기 제 1 타설관에 대해 제 2 타설관을 수평으로 상대회전시킬 때 건축중인 건물의 수직앙카철근 등에 의해 제 2 타설관의 회전이 간섭되면 제 2 타설관의 토출구를 작업자가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키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수직앙카철근의 돌출 높이가 높을 때 위에 소개된 콘크리트 타설기를 사용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302661호(2001년 7월 5일 등록)에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선회 베어링 구조에 의하여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회전본체의 상단에 부착된 채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하로의 기복작동과 절첩작동이 가능하게 조립된 플레이싱 붐에 있어서,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일측에 부착된 수평 제 1 플레이싱 붐에 고정상태로 장착되며, 상기 플레이싱 붐의 유압실린더들을 제어하는 콘트롤 장치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의 수평 제 1 플레이싱 붐에 설치되어 플레이싱 붐의 무게에 대응하여 상부 회전본체의 균형을 유지시키는 웨이트 밸런스와, 상기 상부 회전본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하부 고정본체의 사방에 형성되는 다수의 부착 플랜지와, 건설되고 있는 건물의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고정설치되며, 엘리베이터 공간부에 삽입되는 연결원통부와 상기 공 간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립부로 구성되는 튜브라 장치와, 상기 튜브라 장치의 조립부 사방에 설치되며, 상기 하부 고정본체의 부착 플랜지를 조립핀으로 결합하여 하부 고정본체를 고정시키는 조립 브라켓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2개의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고, 2개의 유압 실린더를 작동시켜 콘크리트를 토출하는 토출관을 소정의 타설위치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작동을 위해 전문기사가 필요하고, 토출관을 타설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유압 실린더가 적용되는 관절을 매우 견고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기계가 무거워 슬라브에 설치할 경우 슬라브가 처지지 않도록 슬라브 하부에서 슬라브를 지지해야 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타설관을 근거리 이동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회전부에 장착된 플레이싱 붐대가 회전부를 중심으로 1차 회전되고, 플레이싱 붐대의 선단에서 제 1 타설관과 제 2 타설관을 연결하는 엘보장치에 의해 제 2 타설관의 선단이 엘보장치를 중심으로 2차 회전되는 것은 물론 상하로 수직이동될 수 있어, 높게 돌출된 수직앙카철근에 의해 이동이 간섭되지 않으며, 누구나 쉽게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고, 기계를 경량화할 수 있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슬라브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바퀴를 포함하는 받침다리(3)를 가진 타입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본체(1)의 회전부(5)에 플레이싱 붐(9)이 수평하게 장착되어, 상기 회전부(5)의 회전에 의해 플레이싱 붐(9)이 제 1 수직축(Y1)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싱 붐(9)에 장착되는 제 1 타설관(11)이 플레이싱 붐(9)와 함께 회전될 수 있도록 펌프카(도시하지 않음)의 분사관(7)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제 1 타설관(11)과 제 2 타설관(13)이 엘보장치(L)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엘보장치(L)가 플레이싱 붐대(9)의 선단에 용접된 받침브라켓(15)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엘보장치(L)에 의해 제 2 타설관(13)이 제 1 타설관(11)에 대해 제 2 수직축(Y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 1 타설관(11)의 상부에 배치되는 유압 실린더(35)와 상기 엘보장치(L)에 의해 제 2 타설관(11)의 토출구(13a)가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플레이싱 붐(9)은 일단부에 웨이트 발란스(8)가 장착되어, 상기 플레이싱 붐(9)의 수평이 유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엘보장치(L)는 제 1 타설관(11)에 연결되는 고정엘보(L1)와, 상기 고정엘보(L1)의 하단에 연결되는 직관(L2)과, 상기 직관(L2)의 하단에 연결되는 수평회전엘보(L3)와, 상기 수평회전엘보(L3)에 연결되는 수직회전엘보(L4)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회전엘보(L3)가 클램프(24)에 의해 직관(L2)의 하단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연결됨으로서, 상기 수평회전엘보(L3)가 상기 직관(L2)에 대해 화살표(22) 방향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작업자가 제 2 타설관 (13)의 토출구(13a)을 제 1 타설관(11)에 대해 도 1의 제 2 수직축(Y2)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직관(L2)이 받침브라켓(15)의 장착구멍에 끼워짐으로서, 받침브라켓(15)이 고정엘보(L1)와 직관(L2)을 연결하는 클램프(20)를 지지하여, 고정엘보(L1)를 통해 가해지는 힘이 직관(L2) 및 수평회전엘보(L3)로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엘보장치(L)는 수직회전엘보(L4)가 클램프(28)에 의해 수평회전엘보(L3)의 하단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서, 상기 수직회전엘보(L4)가 상기 수평회전엘보(L3)에 대해 화살표(23) 방향으로 상대회전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압 실린더(35)의 작용에 의해 상기 수직회전엘보(L4)에 연결된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가 자신의 고정단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수평축(X ; horizontal axis)을 중심으로 상하 화살표(51, 53)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보장치(L)는 수평회전엘보(L3)의 연결을 보강하기 위해 서포팅 수단(27)을 더 포함한다. 상기 서포팅 수단(27)은 링 브라켓(25)이 직관(L2)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링 브라켓(25)과 일체로 형성된 아암(26)의 하단이 수평회전엘보(L3)와 수직회전엘보(L4)를 연결하는 클램프(28)의 장착부(29)에 핀절점된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35)는 회전원판(34)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원판(34)이 플레이싱 붐(9)에 장착된 받침대(33)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피스톤로드(37)에 와이어(39 ; 또는 환봉)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39)의 타단이 제 2 타설관(13)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가 화살표(22) 방향으로 회전될 때, 회전원판(34)에 의해 유압 실린더(35)도 제 2 타설관(13)과 함께 화살표(22)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유압실린더(35)의 피스톤로드(37)가 인입 또는 인출되면,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가 화살표(51 또는 53)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타설관(13)은 와이어(39)의 고정 위치와 유압 실린더(35)의 지지점 위치가 X축 방향으로 동축선상에 위치하도록 곡선으로 만곡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35) 대신에 윈치(41 : winch)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윈치(41)의 와이어(43)가 제 2 타설관(13)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상기 윈치(41)에 와이어(43)를 감으면,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가 화살표(51) 방향으로 상승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본체(1)의 회전부(5)를 회전시켜 플레이싱 붐(9)과 함께 제 1 타설관(11)을 제 1 수직축(Y1)을 중심으로 화살표(21)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서, 제 2 타설관(13)을 콘크리트 타설위치 부근으로 회전이동시킨다. 이와같이 본체(1)의 회전부(5)를 회전시켜 플레이싱 붐(9)과 제 1 타설관(11)을 수평 회전시키는 것은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큰 어려움이 없어 전문가가 아니어도 누구나 쉽게 플레이싱 붐(9)을 수평회전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를 밀거나 잡아당겨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를 콘크리트 타설위치로 정확하게 이동시킨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수평회전엘보(L3)가 직관(L2)에 대해 수평으로 상대회전할 수 있어,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를 정확한 콘크리트 타설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를 콘크리트 타설위치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도 3b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중간에 수직앙카철근(50) 등이 높게 돌출되어 제 2 타설관(13)의 수평회전이동이 간섭될 경우, 유압 실린더(35)를 이용하여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를 위로 들어올려 수직앙카철근(50)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수직회전엘보(L3)가 수평회전엘보(L2)에 대해 화살표(23) 방향으로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타설관(13)을 콘크리트 타설위치로 수평이동시킨 후,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를 수평위치에서 하부로 내려야 할 경우, 유압 실린더(31)를 이용하여 상기 제 2 타설관(13)의 토출구(13a)를 낮출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의 구성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196712호(고안의 명칭 : 콘크리트 타설기용 타설관의 회전장치) 또는 실용신안등록 제329391호(고안의 명칭 : 콘크리트타설기의 타설관 회전지지장치)에 소개되어 있어,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는 마스트(mast)에 의해 지지되는 타입으로써, 마스트(110)에 본체(120)의 고정부(12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120)의 회전부(122)가 고정부(121)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고, 상기 본체(120)의 회전부(122)에 제 1 플레이싱 붐(130)이 슬라브(S)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의 일단에 웨이트 발란스(132)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과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에 제 1 타설관(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타설관(140)의 일단이 콘크리트 펌핑관(14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타설관(140)과 제 2 타설관(144)이 엘보장치(L)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타설관(144)이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중공부에 끼워지고, 상기 엘보장치(L)가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지지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마스트(110)에 본체(120)의 고정부(121)를 장착하는 구조는 마스트(110)의 상부 플랜지(111)에 핀구멍(112)이 형성된 체결돌기부(113)가 상기 고정부(121)의 하부 플랜지(123)에 형성된 장착구멍(124)에 끼워져, 상기 장착구멍(124)의 양측부에 형성된 결합돌기부(125a, 125b)와 일치되고, 핀(127)이 결합돌기부(125a)의 핀구멍(126a)과 체결돌기부(113)의 핀구멍(112)과 결합돌기부(125b)의 핀구멍(126b)에 동시에 끼워짐으로서, 마스트(110)의 상부 플랜지(111)에 본체(120)의 고정부(121)의 플랜지(121)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마스트(110)의 상부 플랜지(111)에는 2개의 가이드 돌기부(114)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121)의 하부 플랜지(123)에 가이드 돌기부(114)에 대응되는 2개의 가이드 구멍(126)이 형성됨으로서, 고정부(121)의 하부 플랜지(123)가 하강하여 마스트(110)의 상부 플랜지(111)에 안착될 때, 마스트(110)의 체결돌기부(113)가 하부 플랜지(123)의 장착구멍(124)에 정확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가이드 돌기부(114) 및 가이드 구멍(126)에 의해 안내된다.
도 7a 및 도 7b에는 체결돌기부(113)와 결합돌기부(125a, 125b)가 4개로 도시되어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조건에 따라 그 갯수를 달리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장치(150)는 제 1 플레이싱 붐(130)에 제 1 브라켓(151)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151)의 중공부에 부싱관(152)이 끼워지고, 상기 제 1 브라켓(151)의 하부에 제 2 브라켓(153)이 배치되도록 제 2 브라켓(153)이 부싱관(152)에 끼워지고, 제 2 브라켓(153)에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연결단이 연결됨으로서, 제 1 플레이싱 붐(130)과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연결되고, 부싱관(152)에 의해 제 2 브라켓(153)이 제 1 브라켓(151)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어 상기 제 2 브라켓(153)에 연결된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제 1 플레이싱 붐(130)에 대해 회전중심축(Y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다.
도 8 및 도 10를 참조하면, 또한, 상기 커넥팅 장치(150)는 제 2 브라켓(153)의 연결부(153a)와 제 2 타설관(144)을 포함하는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연결부(134a)가 중공축핀(154)에 의해 링크되고, 유압 실린더(155)가 제 2 브라켓(153)에 장착되어 제 2 플레이싱 붐(134)을 지지함으로서, 유압 실린더(155)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Z축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157) 방향으로 제 2 브라 켓(53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된다.
도 8 내지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상기 엘보장치(L)는 제 1 타설관(140)과 연결된 제 1 엘보(L1)와 제 2 직관(L2)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직관(L2)과 제 3 엘보(L3)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엘보(L3)와 제 4 엘보(L4)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엘보(L4)와 제 5 직관(L5)이 연결되고, 상기 제 5 직관(L5)과 제 6 엘보(L6)가 연결되고, 상기 제 6 엘보(L6)와 제 7 엘보(L7)가 연결되고, 상기 제 7 엘보(L7)와 제 2 타설관(144)이 연결되고, 제 2 플레이싱 붐(134)에 의해 커넥팅 장치(150)의 제 2 브라켓(153)이 Y2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 2 직관(L2)과 제 3 엘보(L3)가 클램프(162)에 의해 연결되어, 제 3 엘보(L3)가 제 2 직관(L2)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어, 제 2 타설관(144)이 Y2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엘보장치(L)는 제 2 브라켓(153)의 연결부(153a)와 제 2 타설관(144)이 끼워진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연결부(134a)가 중공축핀(154)에 의해 링크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축핀(154)의 중공부에 제 7 엘보(L7)가 배치되도록 제 6 엘보(L6)의 일단이 제 7 엘보(L7)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클램프(16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7 엘보(L7)의 타단에 제 2 타설관(144)이 연결되어, 제 7 엘보(L7)와 제 2 타설관(144)이 제 6 엘보(L6)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 1 브라켓(151)은 플랜지부(151a)가 제 1 플레이싱 붐(130)의 자유단에 볼팅된다.
상기 부싱관(152)은 상부 받침부(152a)가 제 1 브라켓(151)의 상부면에 지지되고, 하부 받침부(152b)가 제 2 브라켓(153)을 지지한다.
상기 제 1 엘보(L1)와 제 2 직관(L2)를 연결하는 제 1 클램프(161)는 부싱관(152)의 상부 받침부(152a)에 지지되어, 제 1 엘보(L1)의 하중이 제 2 직관(L2)로 전달되지 않는다.
상기 제 2 브라켓(153)이 제 1 브라켓(151)에 대해 매끄럽게 상대회전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151)과 제 2 브라켓(153) 사이에 부싱(156)이 배치된다.
상기 중공축핀(154)은 외주면의 어느 한 부분에 개구부(154a)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54a)를 통해 제 7 엘보(L7)가 제 2 플레이싱 붐(134) 내부로 돌출되며, 제 7 엘보(L7)가 제 2 타설관(144)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20)의 회전부(122)를 고정부(12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서, 제 1 플레이싱 붐(130) 및 제 1 타설관(140)을 Y1축을 중심으로 크게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제 1 타설관(140)에 연결된 제 2 타설관(144)의 자유단을 Y1축을 중심으로 크게 회전시킬 수 있고, 타설작업을 위한 적절한 장소에 제 2 타설관(144)이 도달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 2 타설관(144)의 자유단을 Y2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제 2 타설관(144)의 자유단의 배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유압실린더(155)를 이용하여 제 2 타설관(144)의 자유단을 화살표(165)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제 1 브라켓(151)의 상부면에 지지된 부싱관(152)의 상부 받침부(152a)에 클램프(161)가 지지되어, 제 1 엘보(L1)의 하중이 제 2 직관(L2)으로 전달되지 않게 됨으로서, 제 1 엘보(L1)와 제 1 클램프(161)의 연결 강도가 증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제 2 직관(L2)이 부싱관(152)을 통해 제 1 브라켓(151)의 중공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진동이 제 1 브라켓(151)으로 전달되어 구조적으로 강한 내구성을 갖게 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마스트(210)에 본체(220)의 고정부(22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220)의 회전부(222)가 고정부(221)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고, 상기 본체(220)의 회전부(222)에 제 1 플레이싱 붐(230)이 슬라브(S)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230)의 일단에 웨이트 발란스(232)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230)의 타단이 커넥팅 장치(250)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234)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제 1 타설관(240)이 받침대(24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타설관(240)의 일단이 콘크리트 펌핑관(24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타설관(240)과 제 2 타설관(246)이 엘보장치(L)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타설관(246)이 클램프(236)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234)에 지지되고, 상기 엘보장치(L)가 커넥팅 장치(250)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타설관(11)의 상부에 유압 실린더(260)가 배치되도록, 상기 유압 실린더(260)가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장착된 지지대(262)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260)의 피스톤 로드(260a)가 제 2 플레이싱 붐(234)의 선단에 연결된다.
상기 마스트(210)에 본체(220)의 고정부(221)를 장착하는 구조는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 치와 같다.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면, 상기 커넥팅 장치(250)는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제 1 브라켓(251)이 고정되고, 상기 제 1 브라켓(251)의 중공부에 부싱관(252)이 끼워지고, 상기 제 1 브라켓(251)의 하부에 제 2 브라켓(253)이 배치되도록 제 2 브라켓(253)이 부싱관(252)에 끼워져 상기 부싱관의 하부 플랜지부(252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브라켓(253)과 부싱관(252)의 하부 플랜지부(252a) 사이에 베어링(254)이 배치되어, 제 2 브라켓(253)이 제 1 브라켓(251)에 대해 Y2축을 중심으로 상대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2 브라켓(253)의 하부 축구멍에 제 2 플레이싱 붐(234)의 중공축핀(255)이 끼워짐으로서, 상기 제 2 플레이싱 붐(234)이 제 2 브라켓(253)에 대해 Z축선을 중심으로 제 2 브라켓(253)에 대해 상하로 상대회전을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엘보장치(L)는 제 1 타설관(240)과 연결된 제 1 엘보(L1)의 하단에 제 2 직관(L2)이 연결되고, 상기 직관(L2)이 부싱관(252)의 중공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직관(L2)의 하단에 제 3 엘보(L3)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엘보(L3)에 제 4 엘보(L4)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엘보(L4)에 제 2 타설관(246)이 연결되며, 제 3 엘보(L3)가 클램프(273)에 의해 제 2 직관(L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어, 제 2 브라켓(253)이 제 1 브라켓(251)에 대해 Y2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때, 제 3 엘보(L3)가 Y2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브라켓(253)과 함께 회전한다.
또한, 상기 엘보장치(L)는 제 3 엘보(L3)가 상기 중공축핀(255)의 중공부를 통해 제 4 엘보(L4)와 클램프(275)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4 엘보 (L4)가 제 3 엘보(L3)에 대해 Z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유압 실린더(260)는 회전원판(264)에 장착되고, 상기 회전원판(264)이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장착된 받침대(262)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피스톤로드(260a)가 제 2 플레이싱 붐(234)에 연결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234)이 도 11 및 도 13의 Y2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유압 실린더(260)도 회전원판(264)에 의해 상기 제 2 플레이싱 붐(234)의 회전 방향으로 제 2 플레이싱 붐(234)과 함께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220)의 회전부(222)를 고정부(221)에 대해 상대 회전시킴으로서, 제 1 플레이싱 붐(230) 및 제 1 타설관(240)을 Y1축을 중심으로 크게 회전시킬 수 있어, 상기 제 1 타설관(240)에 연결된 제 2 타설관(246)의 토출구(자유단)를 Y1축을 중심으로 크게 회전시킬 수 있고, 타설작업을 위한 적절한 장소에 제 2 타설관(246)이 도달되면, 작업자가 수동으로 제 2 타설관(246)의 자유단을 Y2축을 중심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로 회전시킬 수 있고, 제 2 타설관(246)의 자유단의 배치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유압실린더(260)를 이용하여 제 2 타설관(246)의 자유단을 X축선에서 화살표(280) 방향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는 콘크리트를 외부로 토출하는 제 2 타설관을 Y1축, Y2축 및 X축을 중심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고, 경량으로 슬라브에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높게 돌출된 수 직앙카철근에 의해 이동이 간섭되지 않고, 마스트에 의해 지지되는 플레이싱 붐 타입에 적용할 경우, 1개의 유압 실린더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경량화시킬 수 있고, 비전문가가 운전하여도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가 중심을 잃고 무너질 염려가 없는 효과가 있다.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마스트(110)에 본체(120)의 고정부(12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120)의 회전부(122)가 고정부(121)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고, 상기 본체(120)의 회전부(122)에 제 1 플레이싱 붐(130)이 슬라브(S)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의 일단에 웨이트 발란스(132)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에 제 1 타설관(140)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타설관(140)의 일단이 콘크리트 펌핑관(14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타설관(140)과 제 2 타설관(144)이 엘보장치(L)를 통해 연결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130)과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2 타설관(144)이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중공부에 끼워지고, 상기 엘보장치(L)가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장치(150)는 제 1 플레이싱 붐(130)에 제 1 브라켓(151)이 장착되고, 상기 제 1 브라켓(151)의 중공부에 부싱관(152)이 끼워지고, 상기 제 1 브라켓(151)의 하부에 제 2 브라켓(153)이 배치되도록 제 2 브라켓(153)이 부싱관(152)에 끼워지고, 제 2 브라켓(153)에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연결단이 연결됨으로서, 제 1 플레이싱 붐(130)과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커넥팅 장치(150)에 의해 연결되고, 부싱관(152)에 의해 제 2 브라켓(153)이 제 1 브라켓(151)에 대해 상대 회전할 수 있어 상기 제 2 브라켓(153)에 연결된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제 1 플 레이싱 붐(130)에 대해 회전중심축(Y2)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장치(150)는 제 2 브라켓(153)의 연결부(153a)와 제 2 타설관(144)을 포함하는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연결부(134a)가 중공축핀(154)에 의해 링크되고, 유압 실린더(155)가 제 2 브라켓(153)에 장착되어 제 2 플레이싱 붐(134)을 지지함으로서, 유압 실린더(155)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134)이 Z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브라켓(530)에 대해 상대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11.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장치(L)는 제 1 타설관(140)과 연결된 제 1 엘보(L1)와 제 2 직관(L2)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직관(L2)과 제 3 엘보(L3)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엘보(L3)와 제 4 엘보(L4)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엘보(L4)와 제 5 직관(L5)이 연결되고, 상기 제 5 직관(L5)과 제 6 엘보(L6)가 연결되고, 상기 제 6 엘보(L6)와 제 7 엘보(L7)가 연결되고, 상기 제 7 엘보(L7)와 제 2 타설관(144)이 연결되고, 제 2 플레이싱 붐(134)에 의해 커넥팅 장치(150)의 제 2 브라켓(153)이 Y2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제 2 직관(L2)과 제 3 엘보(L3)가 클램프(162)에 의해 연결되어, 제 3 엘보(L3)가 제 2 직관(L2)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어, 제 2 타설관(144)이 Y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제 2 브라켓(153)의 연결부(153a)와 제 2 타설관(144)이 끼워진 제 2 플레이싱 붐(134)의 연결부(134a)가 중공축핀(154)에 의해 링크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축핀(154)의 중공부에 제 7 엘보(L7)가 배치되도록 제 6 엘보(L6)의 일단이 제 7 엘보(L7)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클램프(163)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7 엘보(L7)의 타단에 제 2 타설관(144)이 연결되어, 제 7 엘보(L7)와 제 2 타설관(144)이 제 6 엘보(L6)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브라켓(153)이 제 1 브라켓(151)에 대해 매끄럽게 상대회전되도록, 상기 제 1 브라켓(151)과 제 2 브라켓(153) 사이에 부싱(156)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축핀(154)은 외주면의 어느 한 부분에 개구부(154a)가 형성되어, 상기 개구부(154a)를 통해 제 7 엘보(L7)가 제 2 플레이싱 붐(134) 내부로 돌출되며, 제 7 엘보(L7)가 제 2 타설관(144)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14. 삭제
  15. 마스트(210)에 본체(220)의 고정부(221)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220)의 회전부(222)가 고정부(221)에 대해 상대회전을 할 수 있고, 상기 본체(220)의 회전부(222)에 제 1 플레이싱 붐(230)이 슬라브(S)와 평행하게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230)의 일단에 웨이트 발란스(232)가 장착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230)의 타단이 커넥팅 장치(250)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234)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제 1 타설관(240)이 받침대(244)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1 타설관(240)의 일단이 콘크리트 펌핑관(242)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1 타설관(240)과 제 2 타설관(246)이 엘보장치(L)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엘보장치(L)가 커넥팅 장치(250)에 의해 지지되고, 제 1 타설관(11)의 상부에 유압 실린더(260)가 배치되도록, 상기 유압 실린더(260)가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장착된 지지대(262)에 장착되고, 상기 유압 실린더(260)의 피스톤 로드(260a)가 제 2 플레이싱 붐(234)의 선단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2 타설관(246)이 클램프(236)에 의해 제 2 플레이싱 붐(234)에 지지되고,
    상기 커넥팅 장치(250)는 제 1 플레이싱 붐(230)에 제 1 브라켓(251)이 고정되고, 상기 제 1 브라켓(251)의 중공부에 부싱관(252)이 끼워지고, 상기 제 1 브라켓(251)의 하부에 제 2 브라켓(253)이 배치되도록 제 2 브라켓(253)이 부싱관(252)에 끼워져 상기 부싱관의 하부 플랜지부(252a)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 2 브라켓(253)과 부싱관(252)의 하부 플랜지부(252a) 사이에 베어링(254)이 배치되어, 제 2 브라켓(253)이 제 1 브라켓(251)에 대해 Y2축을 중심으로 상대회전할 수 있고, 상기 제 2 브라켓(253)의 하부 축구멍에 제 2 플레이싱 붐(234)의 중공축핀(255)이 끼워짐으로서, 상기 제 2 플레이싱 붐(234)이 제 2 브라켓(253)에 대해 Z축선을 중심으로 제 2 브라켓(253)에 대해 상하로 상대회전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엘보장치(L)는 제 1 타설관(240)과 연결된 제 1 엘보(L1)의 하단에 제 2 직관(L2)이 연결되고, 상기 직관(L2)이 부싱관(252)의 중공부를 관통하고, 상기 제 2 직관(L2)의 하단에 제 3 엘보(L3)가 연결되고, 상기 제 3 엘보(L3)에 제 4 엘보(L4)가 연결되고, 상기 제 4 엘보(L4)에 제 2 타설관(246)이 연결되며, 제 3 엘보(L3)가 클램프(273)에 의해 제 2 직관(L2)에 대해 상대회전할 수 있어, 제 2 브라켓(253)이 제 1 브라켓(251)에 대해 Y2축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할 때, 제 3 엘보(L3)가 Y2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 2 브라켓(253)과 함께 회전하고, 제 3 엘보(L3)가 상기 중공축핀(255)의 중공부를 통해 제 4 엘보(L4)와 클램프(275)에 의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4 엘보(L4)가 제 3 엘보(L3)에 대해 Z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KR1020050030340A 2004-10-13 2005-04-12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KR1006025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1587 2004-10-13
KR20040081587 2004-10-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623A KR20060045623A (ko) 2006-05-17
KR100602503B1 true KR100602503B1 (ko) 2006-07-19

Family

ID=37149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0340A KR100602503B1 (ko) 2004-10-13 2005-04-12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25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08032A1 (de) 2017-05-12 2018-11-15 Putzmeister Engineering Gmbh Verteilermast für mobile Betonpumpen mit Gelenken für nebeneinanderliegende Arme und mobile Betonpumpe
CN109403636A (zh) * 2018-12-24 2019-03-01 陈兴龙 一种基于高层建筑混凝土施工的输送浇筑装置
CN109914809A (zh) * 2019-04-11 2019-06-21 长沙赛搏机器智能有限公司 一种混凝土臂架末端机构及混凝土泵送设备
KR102103467B1 (ko) * 2019-09-06 2020-04-23 강봉조 콘크리트 분배기
CN111594227A (zh) * 2020-05-14 2020-08-28 洛阳兴坤隧道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旋转浇注机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866A (en) 1979-05-24 1980-12-04 Kyokuto Kaihatsu Kogyo Co Bent boom with concrete conveying pipe
JPH07233634A (ja) * 1994-02-25 1995-09-05 Matao Shimodaiku コンクリート移送管の接続装置
KR0118086Y1 (ko) * 1994-11-30 1998-07-15 김무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토출구 연결장치
JPH11182044A (ja) 1997-12-24 1999-07-06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ブーム付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
KR200196712Y1 (ko) 2000-03-27 2000-09-15 이병렬 콘크리트타설기용 타설관의 회전장치
KR100293687B1 (ko) 1998-12-09 2001-07-20 박용우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010093109A (ko) * 1998-11-25 2001-10-27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개선된 수용각 및 선택적 투과성을 갖는 다층 반사기
KR20030029391A (ko) * 2001-10-08 2003-04-14 김태규 이중 호스용 꼬임 방지구
KR20030075322A (ko) * 2002-03-18 2003-09-26 주식회사 코오롱 혈관신생억제제용 설폰아마이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0329391Y1 (ko) 2003-06-23 2003-10-17 이병렬 콘크리트타설기의 타설관 회전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55866A (en) 1979-05-24 1980-12-04 Kyokuto Kaihatsu Kogyo Co Bent boom with concrete conveying pipe
JPH07233634A (ja) * 1994-02-25 1995-09-05 Matao Shimodaiku コンクリート移送管の接続装置
KR0118086Y1 (ko) * 1994-11-30 1998-07-15 김무 콘크리트 펌프카의 호퍼토출구 연결장치
JPH11182044A (ja) 1997-12-24 1999-07-06 Ishikawajima Constr Mach Co ブーム付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
KR20010093109A (ko) * 1998-11-25 2001-10-27 스프레이그 로버트 월터 개선된 수용각 및 선택적 투과성을 갖는 다층 반사기
KR100293687B1 (ko) 1998-12-09 2001-07-20 박용우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KR200196712Y1 (ko) 2000-03-27 2000-09-15 이병렬 콘크리트타설기용 타설관의 회전장치
KR20030029391A (ko) * 2001-10-08 2003-04-14 김태규 이중 호스용 꼬임 방지구
KR20030075322A (ko) * 2002-03-18 2003-09-26 주식회사 코오롱 혈관신생억제제용 설폰아마이드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200329391Y1 (ko) 2003-06-23 2003-10-17 이병렬 콘크리트타설기의 타설관 회전지지장치

Non-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7233634
2001931090000
2003293910000
2003753220000
551558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5623A (ko) 2006-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503B1 (ko)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CN208885016U (zh) 混凝土浇筑装置及浇筑系统
WO2000032510A1 (en) Articulating truss boom
CN110984427B (zh) 基于全预制楼板的剪力墙施工工艺
CN109057350A (zh) 混凝土浇筑装置及浇筑系统
CN209179514U (zh) 一种预应力张拉千斤顶设备
US7070158B1 (en) Support system for concrete column formwork and related bracket
CN106351400A (zh) 一种预制混凝土八角柱装配装置及其安装方法
CN110512849A (zh) 一种便于安装脚手板的脚手架及设置方法
JPH0849235A (ja) 構真柱建て込み工法における傾斜調整装置
JP2016516142A (ja) 定置ブームおよび回転ヘッドを備えた作業機
CN112832530A (zh) 可实现大面积布料的便捷组装式布料装置及其组装方法
CN213927533U (zh) 一种混凝土布料机
JPH06294214A (ja) 柱鉄筋先組用治具
KR100554395B1 (ko) 교각 코핑용 가시설 구조
JPH0111670Y2 (ko)
CN112523203B (zh) 一种用于灌注桩的便于拆卸的吊挂装置
CN219527654U (zh) 一种双导管灌桩施工平台
KR200193109Y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CN212388961U (zh) 一种便携式外脚手架衔接定位装置
CN216945882U (zh) 一种承插式预制挡墙墙身调节架
CN214834859U (zh) 可实现大面积布料的便捷组装式布料装置
CN216196709U (zh) 混凝土布料装置
JPH0448281Y2 (ko)
JP2000291261A (ja) 鉄塔建設用ブ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