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3109Y1 - 콘크리트 배송 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배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3109Y1
KR200193109Y1 KR2020000002323U KR20000002323U KR200193109Y1 KR 200193109 Y1 KR200193109 Y1 KR 200193109Y1 KR 2020000002323 U KR2020000002323 U KR 2020000002323U KR 20000002323 U KR20000002323 U KR 20000002323U KR 200193109 Y1 KR200193109 Y1 KR 20019310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delivery pipe
delivery
pi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23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5449U (ko
Inventor
조원국
전세기
Original Assignee
조원국
주식회사토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원국, 주식회사토펙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조원국
Priority to KR20200000023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310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54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44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310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3109Y1/ko

Links

Landscapes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개의 핀 홀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형 칼럼(원형 또는 사각형), 상기 중공형 칼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핀 홀에 삽입된 핀, 상기 핀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새들 및, 상기 새들을 일측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새들 프레임을 가지는 새들 프레임 조립체, 상기 새들 프레임을 건물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들 프레임의 일측과 건물의 천정 사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보강 비임, 상기 중공형 칼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들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상기 중공형 칼럼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수평바, 상기 제 1 수평바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콘크리트 가압원으로부터 연장된 수직 및 수평 배송관, 상기 수평 배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바에 대하여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배송관, 상기 제 2 배송관에 대하여 상하 경사 방향 및 수평면상에서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배송관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배송 장치{Concrete conveying machine}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배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층 건물의 건축시에 층고에 상관없이 용이하고 안전하게 콘크리트를 배송시켜서 타설할 수 있게 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장비를 필요로 하며, 특히 고층 건물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려면 복잡하고 값비싼 장비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시멘트, 모래 및, 자갈을 혼합하여 콘크리트를 만드는 레미콘 트럭과, 이렇게 만들어진 콘크리트를 건물의 소정 위치로 가압 이송시킬 수 있도록 콘크리트에 압력을 제공하는 콘크리트 펌프와, 가압된 콘크리트를 건물의 소정 위치까지 유도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를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의 일예에 따르면, 콘크리트 배송 장치는 건물의 층고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었다. 예를 들면, 콘크리트가 유동할 수 있는 배송관들을 커플링을 통해서 상호 연결되고, 배송관들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을 관절을 통해 연결하며, 상기 지지 프레임을 유압 실린더를 통해 수직에 가깝게 세움으로써 배송관들이 건물의 상층부에 도달할 수 있게 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서는 배송관, 지지 프레임 및, 실린더등이 차량에 탑재된 상태이므로 자유로운 이동이 보장된다. 그러나 차량 탑재형 콘크리트 배송 장치는 도달 높이에 한계가 있으며, 따라서 고층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에서는 사용될 수 없는 것이다.
종래 기술의 다른 예에서는 콘크리트 배송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칼럼을 이용한다. 콘크리트 배송관은 칼럼에 의해 지지되며, 칼럼은 건물의 측면에 세워지거나 또는 건물의 각층 중앙부를 관통시켜서 지지되고, 그러한 칼럼을 통해서 콘크리트 배송관이 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칼럼을 건물의 측면에 세울 경우, 지지용 브랙킷을 건물의 측면에 고정시켜야 하고, 칼럼을 건물에 관통시켜서 세울 경우, 각층의 중앙부에 칼럼 관통용 홀을 형성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칼럼을 하층에서 상층으로 이송시킬 경우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신규한 콘크리트 배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단순하고 효율적인 구조로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고층 건물의 건축에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저렴한 가격의 장비로 인해 고층 건물 건축시 원가 절감에 기여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배송 장치의 전체 구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도 1과 같은 구성도이며, 다른 층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수행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장치의 수평바와 배송관을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3의 평면도로서 배송관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의 A-A 선을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원 B 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3의 원 A 를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1-16. 제 1 층 내지 제 6 층 17. 칼럼
18. 핀홀 19a. 19b. 핀
20. 호이스트 21. 22. 새들
23. 24. 새들 프레임 25. 26. 보강 비임
31. 커넥팅 바 (보강 바) 33. 34. 수평바
29A, 29B, 35. 36. 37. 배송관 38. 엔드호스
39. 콘크리트 펌프 52. 모터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개의 핀 홀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형 칼럼, 상기 중공형 칼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핀 홀에 삽입된 핀, 상기 핀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새들 및, 상기 새들을 일측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새들 프레임을 가지는 새들 프레임 조립체, 상기 새들 프레임을 건물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들 프레임의 일측과 건물의 천정 사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보강 비임, 상기 중공형 칼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들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상기 중공형 칼럼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수평바, 상기 제 1 수평바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콘크리트 가압원으로부터 연장된 수직 및 수평 배송관, 상기 수평 배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바에 대하여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배송관 및, 상기 제 2 배송관에 대하여 상하 경사 방향 및 수평면상에서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배송관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칼럼의 상부에 고정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설치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속도를 변속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의해 변속 회전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제 1 수평바에 대하여 고정된 제 2 기어 및,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 1 수평바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베어링을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1 수평바와 상기 제 2 수평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평바 및 제 2 수평바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서로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 1 브랙킷 및 제 2 브랙킷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랙킷과 제 2 브랙킷에는 각각 핀 삽입홀이 형성되고, 회전시에 회전축이 되는 힌지 핀과, 해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핀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 3 배송관의 상하 경사 방향 회전은 상기 제 3 배송관에 일 단부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크류 잭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배송관의 수평면상에서의 회전은 작업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보다 상세히 설멍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배송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이것은 콘크리트 배송 장치가 복수의 층을 구비한 건축물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배송 장치는 중공형 칼럼(17)과, 상기 중공형 칼럼(17)을 지지하는 제 1 새들 프레임(23) 및, 제 2 새들 프레임(24)과, 상기 새들 프레임(23,24)을 건물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제 1 보강 비임(25) 및 제 2 보강 비임(26)과, 상기 중공형 칼럼(17)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수평 바(33, 34)와,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 바(33,34)를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과, 콘크리트 가압원으로부터 연장된 수직 및 수평 배송관(29a,29b)과, 상기 수평 배송관(29b)에 연결되고 수평바(33,34)에 대하여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배송관(35,36)과, 상기 제 2 배송관(3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배송관(37)을 구비한다.
콘크리트 가압원으로서는 통상의 펌프카(39)가 사용된다. 펌프카(39)는 수직 및 수평으로 각각 연장되는 배송관(29a, 29b)을 통해서 콘크리트를 배송시킬 수 있는 압력을 제공한다. 수직 배송관(29a)은 통상적으로 고층 건물 건설 현장에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타워(40)의 측면에 지지되거나 타워(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지지될 수도 있다.
펌프카(39)에 의해서 가압된 콘크리트는 수직 배송관(29a)을 통해 상승되어 수평 배송관(29b)을 통해 유동한다. 수평 배송관(29b)은 칼럼(17)의 측면을 통해 칼럼(17)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다시 칼럼(17)의 내측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제 1 배송관(35)에 연결된다. 따라서 가압된 콘크리트는 수직 및 수평 배송관(29a,29b)을 통해, 제 1 및 제 2 배송관(35,36)으로 유동되며, 다시 제 3 배송관(37)을 통해서 엔드 호스(38)로 유동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수평바(33,34)는 칼럼(17)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따라서 수평바(33,34)의 회전에 따라서 수평바(33,34)에 대하여 고정된 제 1 배송관(35) 및 제 2 배송관(36)도 회전할 수 있다. 제 3 배송관(37)은 도면 번호 37'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하로 경사지게 회동할 수 있으며, 이는 케이블(39)과 이후에 설명되는 스쿠류 잭에 의해 주어지는 동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제 3 배송관(37)은 수평면상에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러한 회전은 작업자가 엔드 호스(38) 부분을 수동으로 잡아 돌림으로써 가능해진다.
도 1에 도시된 건물은 제 1 층내지 제 5 층(11,12,13,14,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층의 번호는 지면으로부터 계산한 것이 아니며, 단지 본 고안의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번호이다. 즉, 제 1 층은 건물의 15 층일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제 5 층은 19층이 될 것이다. 도시된 예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제 5 층(15)에서 수행되어야 한다면, 엔드 호스(38)의 단부가 제 15 층에 도달하여하 할 것이다.
칼럼(17)에 가해지는 하중은 새들 프레임 조립체에 의해 지지된다. 새들 프레임 조립체는 제 1 및 제 2 새들 프레임(23,24), 제 1 및 제 2 써포트 파이트 (25,26), 제 1 및 제 새들(21,22), 제 1 및 제 2 핀(19a,19b)등을 구비한다. 제 1 및 제 2 새들 프레임(23, 24)은 제 5 층(15)에 대한 타설 작업 이전에 이미 완성되었던 제 1 층(11) 및 제 2 층(12)에 설치된다. 제 1 보강빔(25) 및 제 2 보강빔 (26)은 새들 프레임(23,24)의 단부와, 그 새들 프레임(23,24)이 설치된 층의 천정 사이를 지지하게 된다. 제 1 새들(21)과 제 2 새들(22)은 제 1 새들 프레임(23)과 제 2 새들 프레임(24)의 단부에 설치된다. 칼럼(17)은 새들 프레임(23,24)과 새들 (21,22)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해 연장된다. 칼럼(17)에는 소정 간격으로 핀 홀(18)이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핀 홀(18)에 삽입된 핀(19)이 상기 새들(21,22)에 각각 지지됨으로써 칼럽(17)의 고정 상태가 유지된다. 실질적으로 칼럼(17)의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은 가장 하부에 있는 새들 프레임이며, 칼럽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새들(21,22)에는 쐐기를 삽입 고정하며, 도 1의 예에서는 제 1 새들 프레임(23)이 실질적인 하중 지지 작용을 수행한다. 제 3 새들 프레임(27)은 칼럼(17)을 상승 후 사용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의 작용에 대해서는 후술될 것이다.
칼럼(17)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제 2 새들 프레임(24)의 저부에는 호이스트 (20)가 설치된다. 호이스트(20)는 와이어(20a)를 통해서 칼럼(17)을 상승시키게 된다. 즉, 와이어(20a)의 단부에 연결된 후크는 핀홀(19a)에 삽입된 핀에 걸려있는 고정 고리를 걸게 되어 있다. 와이어(20a)를 호이스트(20)가 끌어올리게 되면 그에 따라서 칼럼(17)도 상승할 수 있다. 칼럼(17)의 상승시 칼럼 주위 4 등분하여 레일이 용접되어 있고, 새들에는 레일을 안내해 주는 가이드 롤러가 있다.
제 1 수평바(33)의 일측에는 카운터 웨이트(30)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웨이트(30)는 수평바(33,34)와 배송관(35,35,37)들의 하중에 대한 균형을 잡기 위해서 설치된다. 칼럼(17)과 일직선상에 수직바(58)가 설치된다. 수직 바(58)의 상단으로부터 커넥팅 바(31) 및 텐션바(32)가 상기 제 1 수평바(32)에 대하여 연장됨으로써 수평바(33, 34)의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제 1 수평바(33)의 저부에는 다른 호이스트(28)와 그에 연결된 와이어(28a)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호이스트(28)는 새들 프레임(23)을 하부층에서 상부층으로 이동시키는데 사용된다. 즉, 와이어(28a)의 단부에 연결되 후크가 새들 프레임 (23)의 일 단부를 걸어서 상층부로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새들(21)은 대각선 2 분할 되어 새들 프레임(23)을 상승 시키는데 장애가 없다.
도 2는 도 1 과 같은 콘크리트 배관 장치의 구성도이며, 제 6 층에 대한 타설 작업을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5 층(15)의 상부에 제 6 층(16)의 골조가 형성되었으며, 제 6 층(16)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칼럼(17)이 상승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과 도 2를 상호 대비하면 칼럼(17)의 상승 방법이 이해될 수 있다. 우선 도 1에서 호이스트(20)를 이용하여 칼럼(17)을 상승시키면, 제 1 새들 프레임(23)에 대한 하중이 해제되며, 실질적으로 제 2 새들 프레임(24)이 칼럼(17)의 하중을 받게 된다. 다음에 제 1 보강빔(25)을 철거함으로써,제 1 새들 프레임 (23)과 제 1 새들(21)을 제 1 층(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이렇게 제거된 제 1 보강빔(25)과 제 1 새들(2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층(13)에서 제 3 새들 프레임(27)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칼럼(17)이 완전히 상승하여 정위치에 도달하면, 다시 핀(19a)을 다른 핀홀(18)에 삽입시키고 제 1 새들(21)에 지지시켜서 안정된 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다음에 다른 호이스트(28)를 이용하여 제 1 새들 프레임(23)을 제 4 층(14)에 설치할 수 있다. 도 3에서, 도면 번호 23'로 표시된 것은 호이스트 와이어(28a)에 의해 상승 이동되는 새들 프레임을 나타내며, 도면 번호 23으로 표시된 것은 이렇게 상승되어 제 4 층(14)에 설치된 제 1 새들 프레임(23)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론상으로는 최소한 3 개의 새들 프레임(23,24,27) 2 개의 보강빔(25,26), 2개의 새들(21, 22), 2개의 핀(19a, 19b)만으로도 칼럼(17)의 지지와 상승이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것은 수평바와 배송관을 확대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1 수평바(33)에 대해서는 제 1 배송관(35)이 고정되고, 제 2 수평바(34)에 대해서는 제 2 배송관(36)이 고정된다. 제 1 배송관(35)과 제 2 배송관(36)은 제 1 연결관(35a)을 통해서 두개의 커플링(35b,36b)에 의해 연결된다. 두개의 커플링들중 하나는 배송관(33,34)들이 상호 분리할 수 있도록 해체 가능한 것이 바람직스럽다. 이는 이후에 설명될 바로서, 수평바(33,34)들이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지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해서이다. 제 2 배송관(36)의 단부에는 제 3 배송관(37)이 연결된다. 위에서 일부 언급된 바와 같이, 제 3 배송관(37)은 제 1 회전부(47)와 제 2 회전부(48)를 통해서 두개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수평바(34)의 단부에는 지지 프레임(50)이 설치되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는 가이드 롤러 조립체(51)가 설치된다. 가이드 롤러 조립체(51)를 통해서 연장되는 케이블(39)의 일 단부는 제 3 배송관(37)에 고정되며, 케이블(39)의 타단부는 스크류 잭(58)에 설치된다. 스크류 잭(58)은 수직바(61)에 설치된다. 스크류 잭 (58)의 작동에 의해 케이블(39)이 견인되거나 해체됨으로써, 제 3 배송관(37)은 도면 번호 37` 또는 37``에 표시된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배송관(37)의 회전은 도면 번호 48 로 표시된 회전 커플링 지점에서 이루어지며, 이것은 도 4를 참조하면 보다 명확하게 알 수 있다.
제 1 수평바(33)와 제 2 수평바(34)가 상호 연결되는 지점에는 각각 제 1 브랙킷(45)과 제 2 브랙킷(46)이 각각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브랙킷(45,46)은 서로에 대하여 힌지핀(55)과 안전핀을 통해서 연결된다. 따라서 안전핀을 제거하면 제 2 수평바(33)는 힌지핀(55)를 회전 중심으로 제 1 수평바(33)의 단부에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도 후술될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것은 도 3에 도시된 배송관들에 대한 평면도이며, 가상선으로 도시된 것은 배송관들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도 37a 및 도 37b로 표시된 것은 제 3 배송관(37)이 수평면상에서 회전한 것을 도시한다.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제 3 배송관(37)은 작업자의 힘에 의해 수평면상에 회전될 수 있으며, 이는 제 2 배송관(36)으로부터 제 3 배송관(37)에 이르는 연결관들중 최소한 한부분이 회전 커플링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제 3 배송관(37)은 제 2 배송관(36)에 대하여 거의 360 도에 가까운 회동을 할 수 있다.
도 3에서 제 1 연결과(35a)의 양 단부에 설치된 커플링(35a,35b)들중 하나를 제거하고, 이후에 설명될 브랙킷(45,46)들의 안전핀을 제거하면 제 2 배송관(36)은 도면 번호 36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제 1 배송관(35)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게 접혀질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는 제 2 배송관(36)이 고정되어 있는 제 2 수평바(34)가 제 1 수평바(33)에 대하여 평해하게 접혀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이 접혀진 제 2 배송관(36)에 대하여 다시 제 3 배송관(37c)이 수평면상에서 회전함으로써, 배송관(35,36,37)들의 연장 길이가 최소한으로 짧아질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것은 도 4에서 A-A 선을 따라서 절단한 부분을 도시하는 것이지만, 배송관의 단면을 도시하지 아니하고 수평바들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수평바(34)에는 제 2 브랙킷(46)이 고정된다. 또한 도 5에는 도시되지 아니한 제 1 수평바(33)에는 제 1 브랙킷(45)이 고정된다. 제 1 브랙킷(45)과 제 2 브랙킷(46)에는 핀 삽입용 홀이 형성되며, 그러한 홀에 안전핀 (56)과 힌지 핀(55)이 삽입된다. 힌지핀(55)은 제 1 수평바(33)의 단부에서 제 2 수평바(34)가 회전하는 회전 중심이 된다. 즉, 도 3 내지 도 5의 해당 부분을 참조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수평바(33)와 제 2 수평바(34)는 힌지핀(55)과 안전핀(56)이 그 각각으로부터 연장된 브랙킷(45, 46)의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직선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안전핀(56)을 제거함과 동시에 제 1 연결과(35a)에 의한 연결 상태를 해체하면 제 2 수평바(34) 및, 제 2 배송관(36)을 힌지핀(55)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은 도 3에서 원 B 로 표시된 부분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 2 배송관(36)과 제 3 배송관(37)은 제 2 내지 제 6 연결관(82,83,84,85,86)을 통해서 연결된다. 제 3 연결관(83)은 제 2 수평바(34)의 단부에 고정된다. 제 4 연결관(84)은 지지 링크(49b)를 통해서 하부 프레임(49)에 대하여 핀(49c)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 4 연결관(84)과 제 3 연결관(83) 사이에 회전 커플링이 설치되면 제 3 연결관(37)이 수평면상으로 회전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은 도 3에 도시된 원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 확대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칼럼(17)의 상부에는 턴테이블 조립체가 설치된다. 턴테이블 조립체(57)는 제 1 수평바(33)를 회전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턴테이블 조립체는 칼럼(17)의 상부에 고정된 턴테이블(57), 상기 턴테이블(57)로부터 연장된 브랙킷 (53), 상기 브랙킷(53)에 고정된 모터(52) 및 감속기, 모터(52)의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제 1 기어(54) 상기 제 1 기어(54)에 맞물리며 상기 제 1 수평바(33)에 대하여 고정된 제 2 기어(55) 및,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 1 수평바(33)의 저부 연장부를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어링(56)을 구비한다. 모터(52)가 회전하면, 회전 구동력은 감속기를 통해서 제 1 기어(54)를 회전시키며, 이것은 제 2 기어(55)를 다시 회전시킨다. 제 2 기어(55)는 제 1 수평바(33)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으므로, 모터(52)의 회전에 의해서 제 1 수평바(33)가 회전할 수 있다. 도 1에서 수평 배송관(29b)의 단부는 칼럼(17)의 측면을 통해 내측으로 진입하며, 이것은 칼럼의 내부에서 연결용 배송관(88)을 통해 제 1 배송관(35)과 연결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배송 장치의 작용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 칼럼(17)은 새들 프레임 조립체에 의해서 건물의 측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수직 및 수평 배송관들이 칼럼(17)에 지지되어 제 1 배송관(35)에 연결된다. 칼럼(17)의 상승은 새들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된 호이스트(2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른 호이스트는 새들 프레임들을 다른 층으로 상승시킬 수 있다. 펌프카(39)에서 가압된 콘크리트 혼합물은 배송관(29a,29b,35,36,37)을 통해서 소정의 위치로 배송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서, 작업시에는 일직선상으로 유지되는 제 1 및 제 2 수평바 (33,34)는 칼럼(17)에 대하여 모터(52)의 구동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 3 배송관 (37)은 케이블(39)과 스크류 잭(58)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동할 수 있다. 또한 제 3 배송관은 작업자의 힘에 의해 수평 방향에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바(33,34)의 회전 및, 제 3 배송관(37)의 두방향 회전에 의해, 각층에서의 소정 위치에 대한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수평바(34)와 제 2 배송관(36)은 제 1 수평바(33)와 제 1 배송관(35)의 단부에서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최대한 짧은 거리로 배송관들이 접혀질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 배송 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 제작 및 사용이 단순하면서도 효과적인 구조를 가진다. 종래 기술에서 유압을 이용한 칼럼의 상승 방식은 상대적으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며, 따라서 제작 및 사용이 용이하지 않았으나. 본 고안의 배송 장치는 매우 단순화된 구조를 가진다. 특히 칼럼의 상승이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므로 큰 비용을 소용하지 않으면서도 고층 건물에 대한 콘크리트 배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둘째, 배송관의 적용 범위가 넓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내지 제 3 배송관(35,36,37)들은 다수의 회전부를 구비하므로 자유 자재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특히, 배송관 전체가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철근 보강 콘크리트 구조(라멘조 RC 공법)에서 거푸집이 완전히 조립한 상태에서 각 층의 바닥과 천정 사이의 높이에 무관하게 배송 파이프의 진출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복수개의 핀 홀이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 중공형 칼럼,
    상기 중공형 칼럼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핀 홀에 삽입된 핀, 상기 핀이 지지되는 복수개의 새들 및, 상기 새들을 일측 상부에 설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새들 프레임을 가지는 새들 프레임 조립체.
    상기 새들 프레임을 건물에 대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들 프레임의 일측과 건물의 천정 사이에 지지되는 복수개의 보강 비임,
    상기 중공형 칼럼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새들 프레임의 저면에 설치되는 호이스트,
    상기 중공형 칼럼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 1 및 제 2 수평바,
    상기 제 1 수평바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 수단,
    콘크리트 가압원으로부터 연장된 수직 및 수평 배송관,
    상기 수평 배송관에 연결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평바에 대하여 각각 지지되는 제 1 및 제 2 배송관 및,
    상기 제 2 배송관에 대하여 상하 경사 방향 및 수평면상에서의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된 제 3 배송관을 구비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 수단은,
    상기 칼럼의 상부에 고정된 턴테이블,
    상기 턴테이블에 대하여 설치된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속도를 변속시키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 의해 변속 회전되는 제 1 기어,
    상기 제 1 기어에 맞물리고 상기 제 1 수령바에 대하여 고정된 제 2 기어 및,
    상기 턴테이블과 상기 제 1 수평바를 상호 회전 가능하게 유지시키는 베어링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수평바와 상기 제 2 수평바가 서로에 대하여 회전하여 접혀질 수 있도록,
    상기 제 1 수평바 및 제 2 수평바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서로에 대하여 중첩되게 배치되는 제 1 브랙킷 및 제 2 브랙킷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브랙킷과 제 2 브랙킷에는 각각 핀 삽입홀이 형성되고, 회전시에 전축이 되는 힌지 핀과, 해체 가능하게 삽입되는 안전핀이 상기 삽압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배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배송관의 상하 경사 방향 회전은 상기 제 3 배송관에 일 단부가 연결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견인할 수 있도록 설치된 스크류 잭 또는 윈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상기 제 3 배송관의 수평면상에서의 회전은 작업자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콘크리트 배송장치.
KR2020000002323U 1998-08-28 2000-01-28 콘크리트 배송 장치 KR20019310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2323U KR200193109Y1 (ko) 1998-08-28 2000-01-28 콘크리트 배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6207 1998-08-28
KR2020000002323U KR200193109Y1 (ko) 1998-08-28 2000-01-28 콘크리트 배송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6207 Division 1998-08-28 1998-08-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449U KR20000015449U (ko) 2000-07-25
KR200193109Y1 true KR200193109Y1 (ko) 2000-08-16

Family

ID=19537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2323U KR200193109Y1 (ko) 1998-08-28 2000-01-28 콘크리트 배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310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1819A (en) Device for horizontally moving an apparatus working at a high location
CN108104475B (zh) 自爬式楼层内混凝土布料装备及其施工方法
WO2013110126A1 (en) Automated formwork climbing system
CN108002244B (zh) 用于高墩柱钢筋模板的吊装系统及其方法
CN108086687B (zh) 楼层内混凝土布料系统及其施工方法
JP2006028881A (ja) 自走式pc床版架設機およびpc床版の架設工法
KR200462945Y1 (ko) 콘크리트 배송장치가 구비된 타워 크레인
JP2011202406A (ja) 橋梁移動作業装置の組立て方法及び解体方法
KR200193109Y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CN208870380U (zh) 用于墙体模板的移动装置及可移动墙体模板
KR20000015449U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JP5292019B2 (ja) 杭施工装置及び場所打ちコンクリート杭の構築方法
KR100293687B1 (ko) 콘크리트 배송 장치 및 그 설치 방법
US4984936A (en) Stopper apparatus for rotary reaction force
JP2018123608A (ja) トンネル天井部コンクリート版の吊降し撤去機構
KR100387987B1 (ko)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JP7116583B2 (ja) 梁工事用吊り足場
JP3220397B2 (ja) 昇降式足場
JP3329751B2 (ja) 建築組立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せり上げ装置
CN211971561U (zh) 一种安装稳定的立柱式悬臂起重机
CN217780649U (zh) 一种建筑管道架设提升机
KR200367259Y1 (ko) Rc 역타공법에 적용되는 거더 거푸집 하강장치
CN217600234U (zh) 用于地下室转运大型设备的吊运设备
JP3889521B2 (ja) 杭打機及びその作業床取付方法
CN221093460U (zh) 一种邻近营业线桩基施工移动吊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