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7987B1 -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 Google Patents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7987B1
KR100387987B1 KR10-2000-0001230A KR20000001230A KR100387987B1 KR 100387987 B1 KR100387987 B1 KR 100387987B1 KR 20000001230 A KR20000001230 A KR 20000001230A KR 100387987 B1 KR100387987 B1 KR 100387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pipe
rail
boom
horizontal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024A (ko
Inventor
조원국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원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조원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정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00-000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7987B1/ko
Publication of KR2001006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7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7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36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mobile support, e.g. tru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은 인원으로도 효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는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형 타설기는 붐 조립체(2), 회전판(34), 아웃 리거(40), 레일(60) 및 레일 받침대(62)로 구성되며, 붐 조립체(2)는 수직배송관(6), 붐(4), 제1수평배송관(8), 제2수평배송관(10), 중심축(38) 및 밸런스 웨이트로 구성된다. 거푸집 위에 레일 받침대(62)를 설치하고 그 위로 레일(60)을 XY 방향으로 직교하게 설치한 다음 상기 레일(60)에 원형 타설기를 설치하며, 원형 타설기의 아웃 리거(40)에 90°회전이 가능한 바퀴 조립체(51)가 설치되어 XY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 위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Circular distributer}
본 발명은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 적은 인원으로도 효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직교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보통은 콘크리트 펌프카를 이용하게 된다. 그러나, 콘크리트 펌프카의 붐은 길이가 한정되어 있어 콘크리트 타설 면적이 넓거나 높이가 높은 구조물의 경우에는 콘크리트 펌프카 만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통상적으로 구조물의 측벽이나 내부에 수직으로 콘크리트 배송관을 배관하고, 다시 슬래브 거푸집 위로 수평으로 콘크리트 배송관을 배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그러나, 콘크리트 배송관을 배관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경우, 배송관의 무게가 과중하여 배관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수평배관 말단에 플렉서블 파이프를 설치하여 이를 슬래브 철근 위로 끌고 다니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므로 콘크리트 타설에 많은 인원이 소요되며, 슬래브 철근에 많은 손상을 입히게 된다. 또한, 수평배관을 수직배관에서 가장 먼 위치까지 배관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하면서 하나씩 해체해 나오므로 작업이 자주 중단되고, 배관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슬래브 거푸집 위에 회전이 자유롭고 직선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원형 타설기의 콘크리트 타설 반경에 제한이 있어 원형 타설기를 슬래브 거푸집 위에서 이동시켜 가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해야만 한다. 그러나, 종래의 원형 타설기는 직선 방향으로만 주행이 가능하여 직각으로 꺽인 경우나 평면이 일직선이 아닌 건물의 경우에는 원형 타설기를 이동시키기가 매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는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직교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와 이동이 용이하여 적은 인원으로도 효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고, 배근된 철근을 손상하지 않아 양호한 품질의 콘크리트 구조 물을 형성할 수 있는 원형 타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직교 방향으로 주행이 가능하여 복잡한 평면의 건물에도 사용이 용이한 원형 타설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원형 타설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원형 타설기의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5 내지 도8은 원형 타설기를 지지하기 위한 받침대의 사시도, 평면도,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9는 두 개의 레일 받침대 사이에 레일을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붐 조립체 4: 붐
6: 수직배송관 8: 제1수평배송관
10: 제2수평배송관 12: 제1엘보우
20: 제1회전축 22: 제2회전축
34: 회전판 38: 중심기둥
40: 아웃 리거 42: 사각 평판
44: 수평대 46: 1단다리
48: 실린더 50: 익스텐션
51: 바퀴 조립체 52: 바퀴
53: 베어링 고정판 54: 베어링
55: 바퀴 틀 56: 돌출판
57: 고정핀 60: 레일
62: 레일 받침대 64: 다리
66: 멍에 68: 고정쇠
69: 배관 청소용 공기압축기 70: 밸런스 웨이트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원형 타설기는 붐 조립체(2), 회전판(34), 아웃 리거(40), 레일(60) 및 레일 받침대(62)로 구성되며, 붐 조립체(2)는 수직배송관(6), 붐(4), 제1수평배송관(8), 제2수평배송관(10), 중심축(38) 및 밸런스 웨이트로 구성된다.
수직배송관(6)은 제1회전축(20)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직배송관(6)의 상단에 제1엘보우(12)가 설치되고 제1엘보우(12)에 다시 제1수평배송관(8)이 수평으로 설치된다. 제1수평배송관(8)과 제1엘보우(12)는 제1회전축(2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제1수평배송관(8)을 자유자재로 회전시키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붐(4)은 제1회전축(20)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연장되어 한쪽은 제1수평배송관(8)을 지지하고 다른쪽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된다. 제1수평배송관(8)은 붐(4)의 위쪽으로 붐(4)과 평행하게 설치되며, 붐(4) 위에 설치된 지지대(24)에 의해 붐에 지지된다. 제1수평배송관(8)의 단부에는 제2엘보우(14)가 설치되고, 제2엘보우(14)에는 다시 작은 직선 파이프(18)가 설치되며, 상기 직선 파이프(18)에 다시 제3엘보우(16)가 설치된다. 상기 직선 파이프(18)는 붐(4)의단부에 고정되며 제3엘보우(16)와의 사이에서 회전이 가능하여 제2회전축(22)을 형성한다. 제3엘보우(16)에는 제2수평배송관(10)이 연결되며, 제2수평배송관(10)의 단부에는 엘보우가 설치된다. 제2수평배송관(10)과 제3엘보우(16)는 제2회전축(22)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제2수평배송관(10)을 인력으로 또는 동력으로 회전시켜가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붐의 단부에는 제2수평배송관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하여 버팀대(26)가 설치되고, 제2수평배송관의 단부에는 파이프 홀더(28)가 설치되며, 상기 버팀대(26)와 상기 파이프 홀더(28) 사이에 환봉(30)을 턴 버클(32)과 함께 설치하고 턴 버클(32)을 조여줌으로써 제2수평배송관(10)의 하중이 붐(4)에 전달되어 지지된다.
밸런스 웨이트(70)는 제1 및 제2수평배송관 및 그 내부에 채워지는 콘크리트의 무게와 균형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 붐(4)의 후단에 위치하며, 콘크리트 블록을 이용할 수도 있고, 철판 또는 배관 청소용 공기압축기(69)등으로 대신할 수도 있다. 붐(4)의 후단부는 레벨을 높여주고 그 위에 밸런스 웨이트를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타설과정에서 붐(4)의 회전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1회전축상(20)에서 붐(4)의 하부에는 중심기둥(38)이 설치되어 고정되며, 중심기둥(38)의 하부에는 회전판(34)이 설치되어 붐 조립체(2)가 360°회전할 수 있으며, 수직배송관(6)은 중심기둥(38) 및 회전판(34)의 중앙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며, 하단에서 엘보우에 콘크리트 펌프로부터 연결되는 수평배송관이 연결된다.
회전판(34)은 아웃 리거(40)에 고정된다. 아웃 리거(40)는 중앙의사각평판(42)과 네 개의 수평대(44)와 네 개의 1단다리(46)로 구성되며, 사각 평판(42) 위에 회전판(34)이 고정되며, 상부의 붐 조립체(2)의 하중은 사각 평판(42)을 통해 수평대(44)를 통해 1단다리(46)로 전달된다. 네 개의 수평대(44)는 사각 평판(42)의 아래쪽에 고정되며, 사각 평판(42)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한다. 1단다리(46)는 사각 평판(42)에 고정될 수도 있고, 사각 평판과의 결합부에 힌지를 설치하여 원형 타설기의 설치 및 해체시 수평대(44)를 접고 펼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1단다리(46)는 슬래브 거푸집 위에 레일 받침대(62)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걸쳐놓은 레일(60) 위에 지지된다.
1단다리(46)는 유압 실린더(48)와 상기 유압 실린더(48)가 내부로 삽입된 익스텐션(50)으로 구성되며, 유압에 의해서 익스텐션(50)이 1단다리(46) 내부에서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원형 타설기의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1단다리(46)의 측면 하단에는 바퀴 조립체(51)가 설치된다.
바퀴 조립체(51)는 두 개의 베어링 고정판(53), 베어링(54), 바퀴 틀(55) 및 바퀴(52)로 구성된다. 1단다리(46)에 베어링 고정판(53)을 두 개를 설치하고 베어링 고정판(53) 사이에 베어링(54)을 설치한다. 상기 베어링(54)의 하우징에 바퀴 틀(55)이 고정되어 바퀴 틀(55)은 베어링(54)을 통해 1단다리(46)에 지지된 상태에서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바퀴 틀(55)의 하단에 바퀴(52)가 설치된다. 익스텐션(50)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바퀴(52)가 레일(60)에 접촉하고, 익스텐션(50)이 팽창한 상태에서는 바퀴(52)가 레일(60)에서 이탈하고 익스텐션(50)이 레일(60)에 접촉한다. 따라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하여 원형 타설기를 초기에 설치할때는 익스텐션(50)을 팽창시켜 익스텐션(50)을 레일(60) 위에 지지시키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그 위치를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익스텐션(50)을 축소시키고 바퀴(52)를 레일(60)에 지지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원형 타설기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윗쪽의 베어링 고정판(53)에는 90°간격으로 두 개의 돌출판(56)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판(56)에는 각각 하나씩의 구멍이 형성되며, 그 구멍을 관통하여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고정핀(57)이 각각 설치된다. 바퀴 틀(55)의 상면에도 동일한 구멍이 형성되어 돌출판(56)의 구멍과 바퀴 틀(55)의 구멍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핀(57)을 끼우면 바퀴 틀(55)은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며, 고정핀(57)을 빼면 바퀴 틀(55)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다. 고정핀(57)은 스프링에 의해 아래쪽으로 탄력을 받고 있어 고정핀(57)을 위로 잡아당겼다가 놓으면 자동으로 아래쪽으로 내려가 돌출판(56)의 구멍에 삽입된다.
레일은 XY 직교방향으로 설치되며 원형 타설기를 한 방향의 레일에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직교 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 설치된 레일의 위쪽으로 원형 타설기의 다리가 위치하는 곳에 직교하도록 직교 레일을 설치하고, 익스텐션(50)을 팽창시켜 익스텐션(50)이 레일(60)에 지지되도록 한 뒤, 고정핀(57)을 당기고 바퀴 틀(55)을 90°회전시킨 다음 다시 고정핀(57)을 삽입시켜 바퀴 틀(55)을 고정하고 익스텐션(50)을 축소시켜 바퀴(52)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 레일(60) 위에 위치시키면 된다. 따라서, 원형 타설기를 XY 어느 방향으로도 자유롭게 이동시켜가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도5 내지 도8은 원형 타설기를 지지하기 위한 레일(60) 및 레일 받침대(62)의 사시도,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레일 받침대(62)는 다리(64), 멍에(66) 및 고정쇠(68)로 구성된다. 다리(64)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나 환봉 등의 구조부재를 원호형으로 가공하여 사용한다. 두 개의 다리(64) 사이에 두 개의 멍에(66)를 부착하고 상기 멍에(66) 위로 레일 너비만큼 간격을 두어 양단부에 고정쇠(68)를 설치한다. 멍에(66)는 파이프나 환봉과 같은 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고정쇠(68)로는 파이프나 환봉을 사용한다. 멍에(66)는 레일(60)을 고정쇠(68) 사이에 올려놓은 상태에서 좌우방향으로 과도하게 유동하지 않도록 그 상부에 고정쇠(68)와 직교되도록 설치한다. 즉, 레일(60)은 고정쇠(68) 사이에 고정되어 타설시 과도한 맥동으로 인한 좌우유동을 억제하며, 타설후 이동시 바퀴(52)가 다리(64)의 원호부분에 부딪치는 것을 방지한다.
레일(60)은 두 개의 레일 받침대(62) 사이에 걸쳐지며, 양 단부는 다음 레일(6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제작한다. 레일(60)로는 각파이프나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웃 리거(40)의 1단다리(46) 측면에 설치된 바퀴(52)는 철제를 이용하는 것이 좋으며, 그 단면은 기차 바퀴와 같이 중앙에 홈이 있어 사각의 레일(60)이 상기 홈 속으로 삽입되어 바퀴(52)가 레일(60)에서 이탈되지 않으며, 익스텐션(50)의 단부도 바퀴(52)와 동일한 단면으로 형성되어 레일(60)위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레일(60)로써 채널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채널의 홈의 폭을 바퀴(52)의두께보다 조금 큰 치수로 함으로써, 이번에는 바퀴(52)나 익스텐션(50)의 단부가 레일(60) 속으로 삽입되어 바퀴(52)나 익스텐션(50)이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원형 타설기를 이용함으로써 고층에서 콘크리트 타설시 엔드호스를 끌고다니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지 않으므로 적은 인원으로도 효율적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고, 배근된 철근을 손상하지 않아 양호한 품질의 콘크리트를 생산할 수 있으며, 원형 타설기의 설치와 해체 및 이동이 용이하여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직교 방향으로 용이하게 주행이 가능하므로 어떠한 형상의 건물에서도 원형 타설기를 이동시켜가면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다.

Claims (3)

  1. 제1회전축(20)상에 설치되는 수직배송관(6)과 상기 수직배송관(6)의 상단에서 제1엘보우(12)를 통해 연결되는 제1수평배송관(8)과 제1회전축(20)을 중심으로 좌우로 수평으로 설치되어 한쪽에서는 상기 제1수평배송관(8)을 지지하고 다른쪽에는 균형을 잡기 위한 밸런스 웨이트가 설치되는 붐(4)과 상기 제1수평배송관(8)의 단부에서 제2엘보우(14) 및 제3엘보우(16)를 통해 연결되어 180°회전 가능한 제2수평배송관(10)과 제1회전축(20)상에서 상기 붐(4)의 하부에 고정되며 중공이 형성되어 그 속으로 수직배송관(6)이 관통하는 중심기둥(38)으로 구성되는 붐 조립체(2);
    상기 중심기둥(38)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붐 조립체(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판(34);
    상기 회전판(34)이 고정되는 사각 평판(42)과 상기 사각 평판(42)의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사각 평판(42)에서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네 개의 수평대(44)와 상기 수평대(44)의 단부에서 수직, 하방으로 설치되며 유압 실린더(48)와 상기 유압 실린더(48)가 내부로 삽입된 유압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익스텐션(50)으로 구성되는 네 개의 1단다리(46) 및 상기 1단다리(46)의 측면 하단에 90°회전 가능하게 부착된 바퀴 조립체로 구성되는 아웃 리거(40);
    상기 아웃 리거(40)의 1단다리(46)를 지지하는 레일(60); 및,
    슬래브 거푸집 위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60)을 지지하는 레일 받침대(62);
    로 구성되며,
    상기 아웃리거(40)의 바퀴 조립체(51)는,
    링 형상으로 1단다리(46)의 하단에 평행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베어링 고정판(53), 상기 베어링 고정판(53)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54), 상기 베어링(54)에 고정되어 1단다리(46)의 측면으로 돌출하는 바퀴 틀(55), 상기 바퀴 틀(55)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52), 상기 바퀴 틀(55)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과 상부 베어링 고정판(53)에서 외부로 돌출하여 90°간격으로 설치된 두 개의 돌출판(56)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바퀴 틀(55)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고정핀(57)으로 구성되는 바퀴 조립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타설기.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붐(4)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유압모터 또는 전동모터를 더 설치하여, 상기 붐(4)을 수동 또는 동력에 의해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타설기.
KR10-2000-0001230A 2000-01-11 2000-01-11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KR100387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230A KR100387987B1 (ko) 2000-01-11 2000-01-11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230A KR100387987B1 (ko) 2000-01-11 2000-01-11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6319U Division KR200213299Y1 (ko) 2000-09-19 2000-09-19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024A KR20010069024A (ko) 2001-07-23
KR100387987B1 true KR100387987B1 (ko) 2003-07-12

Family

ID=1963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230A KR100387987B1 (ko) 2000-01-11 2000-01-11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79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166B1 (ko) * 2005-03-11 2006-11-14 강봉조 건축공사용 플레이싱 붐의 크라이밍 장치
CN103161315B (zh) * 2011-12-16 2015-11-25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泵车
CN103161316B (zh) * 2011-12-16 2015-06-10 三一重工股份有限公司 一种混凝土泵车
CN108086688B (zh) * 2017-11-24 2020-06-05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轨道式楼层内混凝土布料系统及其施工方法
CN108149929B (zh) * 2017-11-24 2020-11-10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履带式楼层内混凝土布料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1962A (en) * 1980-10-20 1982-05-06 Daiwa Kiko Self-propelling slurry discharger
EP0469687A2 (en) * 1990-07-31 1992-02-05 Bremat B.V. Floor level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aking concrete floors
JPH0662108U (ja) * 1993-02-04 1994-09-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
KR19990073070A (ko) * 1999-03-22 1999-10-05 조원국 원형타설기및콘크리트배송관의맥동감소장치
KR200271490Y1 (ko) * 1999-06-18 2002-04-10 정남중 콘크리트 타설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1962A (en) * 1980-10-20 1982-05-06 Daiwa Kiko Self-propelling slurry discharger
EP0469687A2 (en) * 1990-07-31 1992-02-05 Bremat B.V. Floor leveling apparatus and system for making concrete floors
JPH0662108U (ja) * 1993-02-04 1994-09-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コンクリート打設装置
KR19990073070A (ko) * 1999-03-22 1999-10-05 조원국 원형타설기및콘크리트배송관의맥동감소장치
KR200271490Y1 (ko) * 1999-06-18 2002-04-10 정남중 콘크리트 타설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024A (ko) 2001-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3286B1 (ko) 공동구 시공용 슬라이딩 거푸집
KR100387987B1 (ko)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CN108086687B (zh) 楼层内混凝土布料系统及其施工方法
KR200213299Y1 (ko) 직교 주행이 가능한 원형 타설기
KR101030053B1 (ko) 스틸박스 교량의 이동식 거푸집 설치 및 해체장치
US7070158B1 (en) Support system for concrete column formwork and related bracket
KR19990073070A (ko) 원형타설기및콘크리트배송관의맥동감소장치
JP2004190450A (ja) ストラット付き箱桁用のワーゲン型枠装置およびストラット支持装置ならびにストラット付き箱桁の築造方法
KR100387988B1 (ko) 원형타설기 및 콘크리트 배송관의 맥동 감소 장치
KR20070046633A (ko) 거푸집용 주밴드 고정장치
JPH0571159A (ja) コンクリートブロツクの据付け方法
KR200193106Y1 (ko) 원형타설기 및 콘크리트 배송관의 맥동 감소장치
KR100357488B1 (ko) 슬래브 및 보 동시 구축용 테이블 폼
JPH07259334A (ja) 自昇式型枠装置に用いられる型枠パネルの支持構造
KR20060055268A (ko) 고층 건물용 콘크리트 분배기
KR200400009Y1 (ko) 장경간 교량 설치에 적용되는 회전장치
KR20010099532A (ko) 철근콘크리트 벽체 구축용 시스템 거푸집 및 시공방법
CN201802076U (zh) 一种平面振荡装置
JPH0446433Y2 (ko)
JP2992882B2 (ja) 梁型枠装置
KR200378317Y1 (ko) 슬라브테이블거푸집
KR200375322Y1 (ko) 고층 건물용 콘크리트 분배기
KR20010074319A (ko) 콘크리트 이송분배기
JP2000127135A (ja) 方円形カルバートの組立型枠
JPH1088786A (ja) 柱状構造物用足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