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3467B1 - 콘크리트 분배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분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03467B1 KR102103467B1 KR1020190110830A KR20190110830A KR102103467B1 KR 102103467 B1 KR102103467 B1 KR 102103467B1 KR 1020190110830 A KR1020190110830 A KR 1020190110830A KR 20190110830 A KR20190110830 A KR 20190110830A KR 102103467 B1 KR102103467 B1 KR 1021034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ng rod
- pipe
- support
- concrete
- ro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27—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on a static support, e.g. cran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04—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 E04G21/0418—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 E04G21/0445—Devices for both conveying and distributing with distribution hose with b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n-Site Construction Work That Accompanies The Preparation And Application Of Concre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콘크리트를 고층의 구석자리까지 공급 및 분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탑재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하부에 서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의 상면 상에서 구름 운동되는 복수의 지지바퀴가 구비된 회전프레임과; 일단이 제1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2회동수단을 매개로 제2연결대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대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고정바를 매개로 구비되는 웨이트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측으로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유니언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이송관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관체와;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니언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유니언관과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3이송관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대에 제1지지클램프로 지지되는 제2이송관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유니언관과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대에 제2지지클램프로 지지되며 타단에 제4이송관체가 연결된 제3이송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와 상기 제1연결대를 연결하는 강봉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마련된 제1연결브라켓에 핀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1로드부재를 가지며 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를 구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탑재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하부에 서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의 상면 상에서 구름 운동되는 복수의 지지바퀴가 구비된 회전프레임과; 일단이 제1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2회동수단을 매개로 제2연결대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대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고정바를 매개로 구비되는 웨이트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측으로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유니언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이송관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관체와;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니언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유니언관과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3이송관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대에 제1지지클램프로 지지되는 제2이송관체;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유니언관과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대에 제2지지클램프로 지지되며 타단에 제4이송관체가 연결된 제3이송관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와 상기 제1연결대를 연결하는 강봉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마련된 제1연결브라켓에 핀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1로드부재를 가지며 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를 구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콘크리트 분배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콘크리트를 고층의 구석자리까지 공급 및 분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딩과 같이 고층으로 이루어지고 연면적이 넓은 건물을 시공할 때에는 철근 배근을 하고 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벽체나 기둥, 천정바닥을 구축한다.
이와 같이, 연면적이 넓은 건물을 시공할 때 콘크리트를 동시에 부워 시공해야 하는 바, 종래 콘크리트를 타설 시공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콘크리트 펌프를 이용하여 해당 층위로 올린 후, 이를 손수레로 받아 건물의 천정바닥에 구석구석으로 운반하여 콘크리트를 부어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축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일일이 손수레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이송해야 함에 따라 콘크리트의 타설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성이 저하됨과 아울러, 작업자가 손수레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철근 배근의 손상 및 콘크리트 내측에 매립되는 전기배선 등 각종 삽치물에 힘이 가해져 변형 및 파손을 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콘크리트 펌프를 통해 이송 공급되는 콘크리트를 이송 분배토록 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및 적은 작업 인원으로 작업이 가능하도록 콘크리트 분배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분배기는, 펌프카에 의해 지면에서 슬라브 공사를 하는 장소까지 콘크리트 몰탈이 공급되고 공급된 콘크리트를 분배기의 분배관을 통해 토출되도록 하여 넓은 면적의 공간을 타설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 콘크리트 분배기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부측에 위치되어 지지체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콘크리트를 분배 타설하는 분배체로 구비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층 외에 다른 층 즉, 콘크리트가 타설된 층의 상부층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 분배기를 해체하여 상부층에 재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분배 타설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 콘크리트 분배기는, 지지체가 바닥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분배 타설하는 분배관이 지지체와 수평상태를 유지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예를 들어 지형 즉 콘크리트를 타설하고자 하는 지형의 높낮이가 다를 경우에는 지지체를 분리한 후 지형의 높이에 따라 다시 분리된 지지체를 이동시켜 재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함에 따라 콘크리트 분배 타설에 따른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고 작업시간이 크게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176729호인 "콘크리트 분배기"(등록일자 : 2000.01.18)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일정한 높이로서 직립되게 세워져서 전체적으로 균형이 유지되도록 지탱하여 주는 지지틀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중앙 상부에 길게 연장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수평지지체로서 수평하게 지지되어서 해당 작업위치에 미경화콘크리트를 분배하여 주는 분배통로부와, 상기 지지틀부의 하부를 바닥으로부터 떠받쳐서 전후방향으로 위치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주는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부의 상부면 주변 둘레에 환상형의 안내레일이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분배통로부의 수평지지체 하부 양측에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구름 운동하도록 구름로울러들을 설치하여서, 상기 분배통로부의 전체 길이에 대한 하중을 상기 지지틀부의 중심부 외측으로 분산시켜서 기계적인 발랜스 및 안정성이 증대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기존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56216호 "콘크리트 분배기"(공개일자 : 2000.09.1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의 상부에 제1 분배 호스와 제2 분배 호스를 설치하고, 상기 제1 분배 호스를 360。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빌딩 등의 건축 시에 각 층에서 바닥에 콘크리트를 용이하고 간편하게 살포할 수 있는 것이지만, 종래 기술 역시 콘크리크를 타설하는 지형의 높낮이에 따라 콘크리트 분배기를 이동 후 재설치해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앞서 언급한 문제점은 여전히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57099호 "콘크리트 분배기"(등록일자 : 2019.03.0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바닥면에 고정되는 지지체와 상기 지지체 상부에 구비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연결되되 상기 회전체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구비되고 일측에 중량체를 갖는 분배관지지체와 상기 분배관지지체의 수평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상기 분배관지지체에 고정되어 지지되는 이송관체와 상기 이송관체와 연결되는 분배관체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분배기로서, 상기 이송관체와 분배관체를 연결하여 상기 분배관체가 상기 이송관체에 대해 좌우측 힌지회전 또는 상하측 힌지회전되는 연결체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에 대해 상기 분배관체를 상하측 힌지회전시키는 회전구동체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관체의 끝단에는 제1연결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체는, 상기 제1연결플랜지와 밀착되는 제2연결플랜지가 상단에 구비되는 수직관부와; 상기 수직관부로부터 연장되되 호형으로 절곡 연장되고 끝단에 제3연결플랜지가 구비되는 연결관부와; 상기 제3연결플랜지와 밀착되도록 상기 분배관에 구비되는 제4연결플랜지와; 상기 제1연결플랜지와 상기 제2연결플랜지를 연결하는 제1연결구와; 상기 제3연결플랜지와 상기 제4연결플랜지를 연결하는 제2연결구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런데, 기존 콘크리트 분배기는 비교적 저층에 해당하는 건물의 시공작업시 실린더의 로드부재 신축동작만으로도 사용이 용이하였으나, 상대적으로 고층이고 수평방향 폭이 넓은 건물 시공시에는 구석진 장소까지 콘크리트를 분배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레미콘으로부터 공급된 콘크리트를 공사현장의 높이가 다른 각각의 공급층에 공급하기 위해 기존에는 크레인과 일체로 구성된 콘크리트 분배기도 있으나, 이 경우에는 크레인 설치를 위한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높은 건물의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레미콘 차량으로부터 공급된 콘크리트를 고층의 구석자리까지 공급 및 분배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콘크리트 타설 작업시 무게중심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콘크리트 분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중앙에 탑재되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하부에 서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의 상면 상에서 구름 운동되는 복수의 지지바퀴가 구비된 회전프레임과; 일단이 제1회동수단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2회동수단을 매개로 제2연결대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대와; 상기 회전프레임의 타측으로 고정바를 매개로 구비되는 웨이트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의 하측으로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유니언관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이송관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관체와;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니언관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유니언관과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3이송관체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대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서로 이격된 부위에 제1지지클램프로 제1연결대에 결속 지지되는 제2이송관체와; 일단부가 상기 제2유니언관과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대에 제2지지클램프로 지지되며 타단에 제4이송관체가 연결된 제3이송관체; 및 일단부에 상기 제3이송관체의 타단부가 배관 연결되고 타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플렉시블 소재의 공급호스가 연결된 엘보우관 형태의 제4이송관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와 상기 제1연결대를 연결하는 강봉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마련된 제1연결브라켓에 제1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1로드부재를 가지며 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를 구성하며,
상기 제2회동수단은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 좌,우 양측과 상기 제2연결대의 일단 좌,우 양측에 핀 연결되는 원호형태의 좌,우측 연결링크와,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의 중간 부위에 연결핀으로 연결되고 외부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2로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대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2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퀴는 상기 제1연결대의 하측에 타측 부위보다 하중이 많이 걸리는 회전프레임의 일측 부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제2지지바퀴의 개수보다 더 많은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좌,우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제1지지바퀴와, 상기 고정바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2지지바퀴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바의 단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텔레스코픽관과, 상기 고정바의 단부 및 상기 텔레스코픽관의 외측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과, 상기 고정바 및 텔레스코픽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로 개구된 사각 단면구조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납되는 수납함이 마련된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공과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바 또는 텔레스코픽관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회동수단은 상기 제1연결대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주대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와 상기 제1연결대를 연결하는 강봉부재와, 상기 지주대의 상부에 마련된 제1연결브라켓에 제1힌지핀으로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1로드부재를 가지며 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를 구성하며,
상기 제2회동수단은 상기 제1연결대의 타단 좌,우 양측과 상기 제2연결대의 일단 좌,우 양측에 핀 연결되는 원호형태의 좌,우측 연결링크와,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의 중간 부위에 연결핀으로 연결되고 외부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2로드부재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대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2유압실린더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퀴는 상기 제1연결대의 하측에 타측 부위보다 하중이 많이 걸리는 회전프레임의 일측 부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제2지지바퀴의 개수보다 더 많은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좌,우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제1지지바퀴와, 상기 고정바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2지지바퀴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바의 단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텔레스코픽관과, 상기 고정바의 단부 및 상기 텔레스코픽관의 외측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과, 상기 고정바 및 텔레스코픽관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로 개구된 사각 단면구조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과 대응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웨이트부재가 수납되는 수납함이 마련된 이동부재와, 상기 고정공과 결합공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를 상기 고정바 또는 텔레스코픽관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은 제1연결대가 지주대와 제1유압실린더에 의해 회전프레임으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제2연결대가 제1연결대의 타단 좌,우 양측과 핀 연결되는 원호형태의 좌,우측 연결링크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제2유압실린더에 의해 서로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회동되어 건물의 고층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타설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대가 연결된 회전프레임의 일측 하부에 복수의 제1지지바퀴가 지지프레임의 상측면 상에서 구름운동되고, 고정바가 연결된 회전프레임의 타측 하부에 제2지지바퀴가 지지프레임의 상측면 상에서 구름운동되므로, 상기 제1연결대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 하중을 복수의 제1지지바퀴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배기의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회동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회동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회동수단에 의해 제1,2연결대의 각도가 둔각과 예각의 상태를 갖도록 사용되는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제2회동수단에 의해 제2연결대가 제1연결대측으로 접히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고층 건물의 고층까지 콘크리트를 분배하도록 본 발명의 제1,2연결대가 180˚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고정바와 웨이트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 지지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을 확대하여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회동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회동수단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2회동수단에 의해 제1,2연결대의 각도가 둔각과 예각의 상태를 갖도록 사용되는 상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제2회동수단에 의해 제2연결대가 제1연결대측으로 접히기 전과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고층 건물의 고층까지 콘크리트를 분배하도록 본 발명의 제1,2연결대가 180˚의 각도로 펼쳐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고정바와 웨이트부재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배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분배기의 일 실시 예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중앙에 탑재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회전체(2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하부에 서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200)의 상면 상에서 구름 운동되는 복수의 지지바퀴(352,353,356)가 구비된 회전프레임(300)과; 일단이 제1회동수단(700)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2회동수단(800)을 매개로 제2연결대(420)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410)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대(420)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타측으로 고정바(610)를 매개로 구비되는 웨이트부재(620)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하측으로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410)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유니언관(515)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이송관체(52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관체(510)와;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니언관(515)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유니언관(525)과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3이송관체(53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대(410)에 제1지지클램프(415)로 지지되는 제2이송관체(520); 및 일단부가 상기 제2유니언관(525)과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대(420)에 제2지지클램프(425)로 지지되며 타단에 제4이송관체(540)가 연결된 제3이송관체(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이송관체(510)는 일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하측으로 배치되어 레미콘차량(미도시)으로부터 콘크리트가 공급되도록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상측에 마련된 턴테이블 형태의 회전체(200)에 의해 360°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은 일측에 제1연결대(410)가 연장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대(410)의 반대측에 고정바(610)가 연장되도록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회전동작을 지지하도록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일측 하부에는 복수의 제1지지바퀴(352,353)가 상기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구름 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타측 하부에는 제2지지바퀴(356)가 상기 지지프레임(100) 상에서 구름운동 가능하게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지지바퀴(352,353)는 복수개로 구비됨에 따라 타측보다 하중이 많이 걸리는 일측 부위를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회동수단(700)은 상기 제1연결대(410)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주대(710)와, 상기 지주대(710)의 상부와 상기 제1연결대(410)를 연결하는 강봉부재(720)와, 상기 지주대(710)의 상부에 마련된 제1연결브라켓(732)에 제1힌지핀(733)으로 힌지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1로드부재(735)를 가지며 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730)를 구비한다.
상기 지주대(710)는 상기 제1연결대(410)의 상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부 좌,우 양측에 제1연결대(410)와 연결되는 강봉부재(720)가 마련되고 상기 제1유압실린더(730)의 제1로드부재(735)가 제1연결브라켓(732)에 제1힌지핀(733)으로 힌지 결합되어 제1유압실린더(730)로부터 전달되는 유압력을 제1연결대(410)의 틸팅 회전동작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유압실린더(730)는 상기 제1로드부재(735)를 신축동작시켜 지주대(710)를 매개로 상기 제1연결대(410)측에 유압력을 전달하여 상기 지지프레임(100)에 대한 제1연결대(41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회동수단(800)은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 좌,우 양측과 상기 제2연결대(420)의 일단 좌,우 양측에 핀 연결되는 원호형태의 좌,우측 연결링크(810)와,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810)의 중간 부위에 핀 연결되고 외부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2로드부재(825)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제2연결브라켓(822)과 제2힌지핀(823)으로 힌지 연결된 제2유압실린더(820)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810)는 원호형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과 상기 제2연결대(420)의 일단 부위를 핀 결합방식으로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810)는 중간부위가 연결핀(815)으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핀(815)이 상기 제2로드부재(825)의 단부와 연동되도록 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유압실린더(820)는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면(하측면)에 제2연결브라켓(822)과 제2힌지핀(823)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고 제2로드부재(825)를 신축동작시켜 상기 제1연결대(410)와 제2연결대(4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2연결대(410,420)의 각도를 둔각의 각도를 갖도록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820)에 외부의 유압이 전달되어 상기 제2로드부재(825)를 신장시키게 되고, 상기 제2로드부재(825)의 신장력이 연결핀(815) 및 좌,우측 연결링크(810)를 통해 제1,2연결대(410,420)의 연결부위에 작용하게 되어 상기 제1,2연결대(410,420)의 연결각도를 둔각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제1,2연결대(410,420)의 각도를 예각의 각도를 갖도록 조절하기 위해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820)의 제2로드부재(825)를 수축 동작시켜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810)에 핀 결합된 제1,2연결대(410,420)의 연결부위 각도를 축소시켜 예각의 각도를 갖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이송관체(510)는 타단부가 제1연결대(410)의 일단 일측으로 연결되어 제1유니언관(515)을 매개로 제1연결대(410)의 타측에 마련된 상기 제2이송관체(520)의 일단부와 연통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이송관체(520)는 타단부가 상기 제2연결대(420)의 타단 타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유니언관(525)을 매개로 제2연결대(420)의 일측에 마련된 상기 제3이송관체(530)의 일단부와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상기 제3이송관체(530)는 타단부가 엘보우관 형태의 제4이송관체(540)의 일단부에 배관 연결되고, 상기 제4이송관체(540)는 타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플렉시블한 소재의 공급호스(542)가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2이송관체(520)는 제1연결대(410)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서로 이격된 부위에 제1지지클램프(415)로 제1연결대(410)와 결속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3이송관체(530)는 상기 제2연결대(420)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제2지지클램프(425)로 상기 제2연결대(420)와 결속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작업자가 높은 고층에 콘크리트를 공급하기 위해서 제1유압실린더(730)의 제1로드부재(735)를 수축동작시켜 회전프레임(300)에 대한 제1연결대(410)의 회전 각도를 일정 각도로 조절할 수 있으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압실린더(820)의 제2로드부재(825)를 신장시켜 제1,2연결대(410,420)의 회전 각도를 180°에 근접하도록 제1,2연결대(410,420)의 회전각도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제1유압실린더(730)는 상기 제1로드부재(735)의 수축동작으로 상기 지주대(710)측에 인장력을 부여하여 상기 제1연결대(410)를 들어올리게 된다.
상기 제1연결대(410)는 제1지지클램프(415)로 제2이송관체(520)와 연동되도록 결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2연결대(420)는 제2지지클램프(425)로 제3이송관체(530)와 연동되도록 결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2유압실린더의 제1,2로드부재의 신축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제1,2연결대(410,420)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제2,3이송관체가 연동되는 움직임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콘크리트 공급이 완료된 후에 차량을 이용하여 운반 이송이 용이하도록 제1,2연결대(410,420) 및 제2,3이송관체가 수평상태로 접히도록 절첩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압실린더(730)의 제1로드부재(735)를 신장시켜 상기 제1연결대(410)를 회전프레임(300)에 대해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2유압실린더(820)의 제2로드부재(825)를 수축시켜 제1,2연결대(410,420)가 접힘상태로 절첩동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제1연결대(410)가 지주대(710)와 제1유압실린더(730)에 의해 회전프레임(300)으로부터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제2연결대(420)가 제1연결대(410)의 타단 좌,우 양측과 핀 연결되는 원호형태의 좌,우측 연결링크(810)에 의해 연결된 상태로 제2유압실린더(820)에 의해 서로간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회동되어 건물의 고층 내부에도 콘크리트를 공급하여 타설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제1연결대(410)가 연결된 회전프레임(300)의 일측 하부에 복수의 제1지지바퀴(352,353)가 지지프레임(100)의 상측면 상에서 구름운동되고, 고정바(610)가 연결된 회전프레임(300)의 타측 하부에 제2지지바퀴(356)가 지지프레임(100)의 상측면 상에서 구름운동되므로, 상기 제1연결대(410)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 하중을 복수의 제1지지바퀴(352,353)를 통해 분산시킬 수 있게 되어 안정감있게 지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로 하되, 앞서 설명한 구성요소 중 고정바(610)와 웨이트부재(620)를 제외한 구성요소는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 고정바(610)와 웨이트부재(620)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고정바(610)의 단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텔레스코픽관(910)과, 상기 고정바(610)의 단부 및 상기 텔레스코픽관(910)의 외측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940)과, 상기 고정바(610) 및 텔레스코픽관(9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고 상기 결합공(940)과 대응되는 고정공(950)이 형성되며 상기 웨이트부재(620)가 수납되는 수납함(930)이 일체로 마련된 사각 중공관 형태의 이동부재(920)와, 상기 고정공(950)과 결합공(94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920)를 상기 고정바(610) 또는 텔레스코픽관(9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960)을 더 구비한 것이다.
상기 이동부재(920)는 전,후로 개구된 사각 단면 구조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중공관 내부에 상기 고정바(610) 또는 텔레스코픽관(910)이 수용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920)의 상측에는 웨이트부재(620)가 수납되는 수납함(930)이 마련되며, 상기 수납함(930)은 하나 또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건물 층의 높이에 따라 웨이트부재(620)를 가감하거나, 이동부재(920)의 전,후 위치를 이동시켜 무게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콘크리트 분배기가 설치되는 장소의 여건이 허용되는 만큼 이동부재(920)의 위치를 고정바(610)의 단부로부터 텔레스코픽관(910)을 외측으로 인출시키고, 상기 텔레스코픽관(910)의 외측을 이동부재(920)로 감싸도록 결합시킨 후에, 수납함(930)에 웨이트부재(620)를 수납함(930)으로써, 고정바(610)와 회전프레임(300)을 기준으로 지렛대 원리를 이용하여 제1,2연결대(410,420)의 절첩동작 및 펼침동작시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장소 여건에 따라 텔레스코픽관(910)을 인출시키거나, 수납함(930)에 수용되는 웨이트부재(620)의 개수를 차등지게 탑재시켜 상황별로 무게추의 무게 변동 상황을 유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지지프레임 200 : 회전체
300 : 회전프레임 352,353 : 제1지지바퀴
356 : 제2지지바퀴 410 : 제1연결대
415 : 제1지지클램프 420 : 제2연결대
425 : 제2지지클램프 510 : 제1이송관체
515 : 제1유니언관 520 : 제2이송관체
525 : 제2유니언관 530 : 제3이송관체
540 : 제4이송관체 542 : 공급호스
610 : 고정바 620 : 웨이트부재
700 : 제1회동수단 710 : 지주대
720 : 강봉부재 730 : 제1유압실린더
732 : 제1연결브라켓 733 : 제1힌지핀
735 : 제1로드부재 800 : 제2회동수단
810 : 좌,우측 연결링크 815 : 연결핀
820 : 제2유압실린더 822 : 제2연결브라켓
823 : 제2힌지핀 825 : 제2로드부재
910 : 텔레스코픽관 920 : 이동부재
930 : 수납함 940 : 결합공
950 : 고정공 960 : 고정핀
300 : 회전프레임 352,353 : 제1지지바퀴
356 : 제2지지바퀴 410 : 제1연결대
415 : 제1지지클램프 420 : 제2연결대
425 : 제2지지클램프 510 : 제1이송관체
515 : 제1유니언관 520 : 제2이송관체
525 : 제2유니언관 530 : 제3이송관체
540 : 제4이송관체 542 : 공급호스
610 : 고정바 620 : 웨이트부재
700 : 제1회동수단 710 : 지주대
720 : 강봉부재 730 : 제1유압실린더
732 : 제1연결브라켓 733 : 제1힌지핀
735 : 제1로드부재 800 : 제2회동수단
810 : 좌,우측 연결링크 815 : 연결핀
820 : 제2유압실린더 822 : 제2연결브라켓
823 : 제2힌지핀 825 : 제2로드부재
910 : 텔레스코픽관 920 : 이동부재
930 : 수납함 940 : 결합공
950 : 고정공 960 : 고정핀
Claims (4)
-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지지프레임(100)의 중앙에 탑재되는 회전체(200)와; 상기 회전체(200)의 상측에 구비되고 상기 회전체(200)의 회전시 연동 회전되며 하부에 서로 이격되고 상기 회전체(200)의 상면 상에서 구름 운동되는 복수의 지지바퀴(352,353,356)가 구비된 회전프레임(300)과; 일단이 제1회동수단(700)에 의해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일측과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 제2회동수단(800)을 매개로 제2연결대(420)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연결대(410)와; 일단이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연결대(420)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타측으로 고정바(610)를 매개로 구비되는 웨이트부재(620)와; 일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300)의 하측으로 마련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410)의 일단부에 마련된 제1유니언관(515)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2이송관체(52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제1이송관체(510)와; 일단부가 상기 제1유니언관(515)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부에 마련된 제2유니언관(525)과의 일측과 연결되어 제3이송관체(530)와 연통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1연결대(410)의 움직임에 연동되도록 서로 이격된 부위에 제1지지클램프(415)로 제1연결대(410)에 결속 지지되는 제2이송관체(520)와; 일단부가 상기 제2유니언관(525)과의 타측과 연결되고 상기 제2연결대(420)에 제2지지클램프(425)로 지지되며 타단에 제4이송관체(540)가 연결된 제3이송관체(530); 및 일단부에 상기 제3이송관체(530)의 타단부가 배관 연결되고 타단부에 콘크리트 타설작업을 위해 플렉시블 소재의 공급호스(542)가 연결된 엘보우관 형태의 제4이송관체(54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회동수단(700)은 상기 제1연결대(410)의 일면에 수직방향으로 기립되는 지주대(710)와, 상기 지주대(710)의 상부와 상기 제1연결대(410)를 연결하는 강봉부재(720)와, 상기 지주대(710)의 상부에 마련된 제1연결브라켓(732)에 제1힌지핀(733)으로 결합되고 외부의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1로드부재(735)를 가지며 단부가 상기 회전프레임(300)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1유압실린더(730)를 구성하며,
상기 제2회동수단(800)은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단 좌,우 양측과 상기 제2연결대(420)의 일단 좌,우 양측에 핀 연결되는 원호형태의 좌,우측 연결링크(810)와, 상기 좌,우측 연결링크(810)의 중간 부위에 연결핀(815)으로 연결되고 외부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신축동작되는 제2로드부재(825)를 가지며 상기 제1연결대(410)의 타면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 연결된 제2유압실린더(820)로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바퀴(352,353,356)는 상기 제1연결대(410)의 하측에 타측 부위보다 하중이 많이 걸리는 회전프레임(300)의 일측 부위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제2지지바퀴(356)의 개수보다 더 많은 복수개로 구비되도록 좌,우 양측으로 각각 마련되는 제1지지바퀴(352,353)와, 상기 고정바(610)의 하측에 마련되는 제2지지바퀴(356)로 구성하며,
상기 고정바(610)의 단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텔레스코픽관(910)과, 상기 고정바(610)의 단부 및 상기 텔레스코픽관(910)의 외측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천공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공(940)과, 상기 고정바(610) 및 텔레스코픽관(910)의 외측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전,후로 개구된 사각 단면구조의 중공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940)과 대응되는 고정공(950)이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웨이트부재(620)가 수납되는 수납함(930)이 마련된 이동부재(920)와, 상기 고정공(950)과 결합공(940)에 삽입되어 상기 이동부재(920)를 상기 고정바(610) 또는 텔레스코픽관(910)에 고정시키는 고정핀(960)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분배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830A KR102103467B1 (ko) | 2019-09-06 | 2019-09-06 | 콘크리트 분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10830A KR102103467B1 (ko) | 2019-09-06 | 2019-09-06 | 콘크리트 분배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03467B1 true KR102103467B1 (ko) | 2020-04-23 |
Family
ID=70472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10830A KR102103467B1 (ko) | 2019-09-06 | 2019-09-06 | 콘크리트 분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03467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12046A (zh) * | 2020-12-29 | 2021-02-26 | 中建四局第三建设有限公司 | 一种可周转混凝土泵管竖向弯管固定装置 |
CN114263181A (zh) * | 2021-12-30 | 2022-04-01 |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 主桥桩基混凝土超浇高度精确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6729Y1 (ko) | 1999-11-08 | 2000-04-15 | 다산건설주식회사 | 콘크리트 분배기 |
KR20000056216A (ko) | 1999-02-18 | 2000-09-15 | 전형준 | 콘크리트 분배기 |
KR20000057002A (ko) * | 1999-02-26 | 2000-09-15 | 전형준 | 콘크리트 분배기 |
KR20060045623A (ko) * | 2004-10-13 | 2006-05-17 | 이병렬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
KR20140071646A (ko) * | 2012-12-04 | 2014-06-1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이동식 크레인 |
KR20140128180A (ko) * | 2013-04-27 | 2014-11-05 | 홍광의 |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
KR101957099B1 (ko) | 2018-05-08 | 2019-03-11 | 강봉조 | 콘크리트 분배기 |
JP2019520285A (ja) * | 2016-07-08 | 2019-07-18 | テレックス グローバル ゲーエムベーハー | カウンターウェイト調整装置を有する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上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を調整する方法 |
-
2019
- 2019-09-06 KR KR1020190110830A patent/KR1021034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56216A (ko) | 1999-02-18 | 2000-09-15 | 전형준 | 콘크리트 분배기 |
KR20000057002A (ko) * | 1999-02-26 | 2000-09-15 | 전형준 | 콘크리트 분배기 |
KR200176729Y1 (ko) | 1999-11-08 | 2000-04-15 | 다산건설주식회사 | 콘크리트 분배기 |
KR20060045623A (ko) * | 2004-10-13 | 2006-05-17 | 이병렬 | 콘크리트 플레이싱 붐 장치 |
KR20140071646A (ko) * | 2012-12-04 | 2014-06-12 |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 이동식 크레인 |
KR20140128180A (ko) * | 2013-04-27 | 2014-11-05 | 홍광의 | 러핑 집 플레이싱 붐 장치 |
JP2019520285A (ja) * | 2016-07-08 | 2019-07-18 | テレックス グローバル ゲーエムベーハー | カウンターウェイト調整装置を有する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上のカウンターウェイトを調整する方法 |
KR101957099B1 (ko) | 2018-05-08 | 2019-03-11 | 강봉조 | 콘크리트 분배기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412046A (zh) * | 2020-12-29 | 2021-02-26 | 中建四局第三建设有限公司 | 一种可周转混凝土泵管竖向弯管固定装置 |
CN114263181A (zh) * | 2021-12-30 | 2022-04-01 |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 主桥桩基混凝土超浇高度精确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
CN114263181B (zh) * | 2021-12-30 | 2023-09-29 | 安徽省公路桥梁工程有限公司 | 主桥桩基混凝土超浇高度精确控制装置及其使用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668027B1 (ko) | 고밀도 물질 분배 장치 | |
JP4917094B2 (ja) | レールガイド式クライミングシステム | |
KR102103467B1 (ko) | 콘크리트 분배기 | |
CN206477602U (zh) | 装载平台 | |
JPH08501609A (ja) | コンクリート分配ブーム | |
KR101305913B1 (ko) | 프리캐스트 박스 거더용 철근망 조립대 | |
CN108086687B (zh) | 楼层内混凝土布料系统及其施工方法 | |
US6767000B2 (en) | Manufacturing platform | |
KR101957099B1 (ko) | 콘크리트 분배기 | |
US9895827B2 (en) | Method and manufacturing system for producing prefabricated parts from mineral-bound building materials | |
JP2004190450A (ja) | ストラット付き箱桁用のワーゲン型枠装置およびストラット支持装置ならびにストラット付き箱桁の築造方法 | |
CN106922156B (zh) | 工作机器 | |
CN113756584B (zh) | 一种轨道移动式混凝土布料机及其施工方法 | |
CN105600686A (zh) | 便携式移动起重架 | |
KR100367518B1 (ko) | 콘크리트 이송분배기 | |
JP3547505B2 (ja) | 山留め補強材 | |
KR20100033786A (ko) | 동바리 부재간 접이식 결합구조 및 접이식 다중 동바리 | |
CN105174091B (zh) | 伸缩式悬臂和起重机 | |
CN216196709U (zh) | 混凝土布料装置 | |
JPS6214276Y2 (ko) | ||
JP4739096B2 (ja) | トンネル内部の構築装置 | |
CN209940409U (zh) | 一种用于铺设主梁两侧模板的工具 | |
CN216042704U (zh) | 一种轨道移动式混凝土布料机 | |
CN210598121U (zh) | 一种顶墙模板台车 | |
CN219365336U (zh) | 一种成型隧道箱涵两侧移动平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