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71646A - 이동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71646A
KR20140071646A KR1020120139453A KR20120139453A KR20140071646A KR 20140071646 A KR20140071646 A KR 20140071646A KR 1020120139453 A KR1020120139453 A KR 1020120139453A KR 20120139453 A KR20120139453 A KR 20120139453A KR 20140071646 A KR20140071646 A KR 201400716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lifting beam
hole
pedestal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94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오민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9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71646A/ko
Publication of KR201400716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16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8Manually-movable jib cranes for use in worksh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1General aspects of mobile cranes, overhead travelling cranes, gantry cranes, loading bridges, cranes for building ships on slipways, cranes for foundries or cranes for public 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 Units, Guards, And Driving Tracks Of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량물을 인양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식으로 구성되어 크레인이 필요한 장소로 크레인을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은 캐스터가 장착된 받침대와,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인양빔과, 포스트와 인양빔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신축하며 인양빔의 경사를 제어하는 잭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Movable Crane}
본 발명은 중량물을 인양하는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식으로 구성되어 크레인이 필요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크레인이란 중량물을 들어올려 상하 또는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기계를 말한다. 통상적인 대형 크레인은 중량물을 들어 옮기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특정 장소에 설치된다. 하지만, 선박을 건조하다보면 고정 설치된 대형 크레인의 작업 영역 밖에서도 작업자가 들기에 어려운 중량물을 옮겨야 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여러 작업자들이 힘을 합하여 중량물을 옮기거나 또는 지렛대 방식으로 짧은 거리만큼씩 중량물을 옮기게 된다. 따라서 중량물에 의한 상해 및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93-25627호(공개일; 1993.12.20)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중량물을 옮기기 위한 장소로 용이하게 이동하여 중량물을 옮길 수 있도록 구성한 이동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은 캐스터가 장착된 받침대와,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인양빔과, 포스트와 인양빔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신축하며 인양빔의 경사를 제어하는 잭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는 상부 포스트와 하부 포스트로 구분되며, 상부 포스트는 하부 포스트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부 포스트와 하부 포스트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홀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홀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공들 중 어느 한 관통공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포스트의 상단에는 경사빔이 형성되며, 경사빔의 단부에 인양빔이 힌지 결합되며, 경사빔과 인양빔에 잭의 양단이 힌지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양빔은 선단 인양빔과 후단 인양빔으로 구분되며, 선단 인양빔은 하부 인양빔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선단 인양빔과 후단 인양빔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홀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홀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공들 중 어느 한 관통공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양빔의 선단에는 후크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에는 원주를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고정되고, 포스트의 하단은 플랜지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며, 포스트의 하단에는 플랜지와 마주하는 회전각조절판이 형성되고, 회전각조절판에는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며, 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공들 중 어느 한 관통공에 삽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에는 손잡이가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대의 저면에는 리프마가 장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은 중량물을 옮겨야 하는 장소로 이동하여 중량물을 수작업으로 옮길 수 있게 구성하여 고정식 대형 크레인의 작업영역 밖에서도 작업자의 작은 힘으로 중량물을 옮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은 인양하는 중량물을 3차원으로 옮길 수 있어 작동이 용이하며, 작동에 따른 별도의 동력이 필요치 않고 작업자의 힘으로도 중량물을 옮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크레인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크레인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크레인의 작동관계를 설명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이동식 크레인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식 크레인(100)은 캐스터(111)가 달린 받침대(110)와, 받침대(11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포스트(120)와, 포스트(120)의 상단에 힌지(129) 결합되며 길이가 신축 가능한 인양빔(130)과, 포스트(120)와 인양빔(130)을 연결하며 신축되는 유압잭(140)을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0)의 저면에는 4개의 캐스터(111)가 장착되어 받침대(110)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다. 여기에서 캐스터(111)는 구름을 방지하는 고정식 캐스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받침대(110)에는 이동이 용이하도록 손잡이(113)가 장착되어 작업자는 받침대(110)의 손잡이(113)를 파지하고 받침대(110)를 밀어 이동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대(110)의 저면에는 리프마(150)가 장착되어 받침대(110)를 인양할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리프마(150)의 손잡이(151)를 선회하여 온(On)시킬 경우 리프마(150)의 자력에 의해 받침대(110)는 강판인 바닥에 고정된다. 반대로 리프마(150)의 손잡이(151)를 선회하여 오프(Off)시킬 경우 자력은 해제되어 받침대(110)의 이동이 자유롭게 된다. 리프마(150)는 자력으로 강판에 대상물을 고정하는 상용화된 제품으로서, 리프마(15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받침대(110)의 상면에는 플랜지(115)가 장착되는데, 플랜지(115)에는 원주를 따라 등각으로 제1관통공(119)이 형성된다.
플랜지(115)의 중공(115H)에는 포스트(120)의 하단이 삽입되는데, 포스트(120)의 하단은 원기둥 형태로서 플랜지(115)에 삽입되며, 원기둥과 플랜지(115)의 사이에 베어링(117)이 장착되어 포스트(120)가 원활하게 회전 가능하다. 한편, 포스트(120)에는 플랜지(115)의 상면과 접하는 회전각조절판(121)이 형성되며, 회전각조절판(121)에 형성된 제1홀(122)은 플랜지(115)에 형성된 제1관통공(119)과 대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포스트(120)의 회전방향을 설정한 상태에서 회전각조절판(121)에 형성된 제1홀(122)에 제1고정핀(123)을 삽입하면, 제1고정핀(123)은 플랜지(115)에 형성된 제1관통공(119)들 중 어느 한 제1관통공에 삽입되면서 포스트(120)의 회전을 제한한다.
한편, 포스트(120)는 그 길이가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포스트(120)는 하부 포스트(120L)와 상부 포스트(120H)로 구분되며, 상부 포스트(120H)는 하부 포스트(120L)의 안쪽으로 삽입되어 상하방향으로 인입 또는 인출된다. 하부 포스트(120L)의 측부에는 제2홀(128)이 형성되고, 상부 포스트(120H)에는 제2홀(128)과 대응하는 제2관통공(126)들이 상부 포스트(120H)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제2홀(128)을 관통하는 제2고정핀(125)이 제2관통공(126)에 삽입되면서 포스트(120)의 전체 길이는 설정된다. 만약 포스트(120)의 전체 길이를 신축시키기 위해서는 제2고정핀(125)을 뽑은 후에 상부 포스트(120H)로 포스트(120)의 전체 길이를 맞춘 후에 제2고정핀(125)을 제2홀(128)과 그에 대응하는 제2관통공(126)에 삽입하여 포스트(120)의 전체 길이를 설정한다.
한편, 상부 포스트(120H)의 상단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빔(127)이 연장되고, 경사빔(127)의 끝단에는 인양빔(130)이 힌지(129) 결합된다. 따라서 인양빔(130)은 경사빔(127)의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선회 가능하며, 경사빔(127)과 인양빔(130)의 각도는 경사빔(127)과 인양빔(130)을 연결하는 유압잭(140)에 의해 결정된다. 유압잭(140)의 양단은 인양빔(130)과 경사빔(127)에 힌지 결합되어 선회하는 인양빔(130)의 경사각도를 보상하며 지지한다.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유압잭(140)의 손잡이(141)를 작동하면 유압잭(140)의 피스톤(143)은 실린더(145)에서 인입 또는 인출하게 되는데, 피스톤(143)이 실린더(145)에서 인출되면 인양빔(130)은 상향으로 선회하고 반대로 피스톤(143)이 실린더(145)의 안쪽으로 인입되면 인양빔(130)은 하향으로 선회한다.
그리고 인양빔(130)은 선단 인양빔(130)과 후단 인양빔(130)으로 구분되며, 선단 인양빔(130)이 후단 인양빔(130)의 안쪽으로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그리고 선단 인양빔(130)에는 길이방향으로 제3관통공(135)들이 형성되고, 후단 인양빔(130)에는 제3홀(131)이 제3관통공(135)과 대응하게 형성되며 제3고정핀(133)이 제3홀(131)과 제3관통공(135)에 삽입되어 인양빔(130)의 전체 길이를 설정한다. 인양빔(130)의 길이조절은 앞서 설명한 포스트(120)의 전체 길이 조절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선단 인양빔(130)의 끝단에는 후크(137)가 장착되고, 후단 인양빔(130)의 끝단이 경사빔(127)에 힌지(129) 결합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이동식 크레인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업자는 좁은 공간에서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이동식 크레인(100)을 작업 장소로 이동시킨다. 이때 받침대(110)의 손잡이(113)를 파지하고 받침대(110)를 밀어 작업장소로 이동식 크레인(100)을 이동시킨 후 리프마(150)의 손잡이(151)를 선회하여 받침대(110)를 인양지점에 고정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2고정핀(125)을 뽑아 포스트(120)의 길이를 조절하고, 제3고정핀(133)을 뽑아 인양빔(130)의 길이를 조절한다. 또한 유압잭(140)의 손잡이(141)를 작동하여 인양빔(130)의 기울기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포스트(120)의 길이, 인양빔(130)의 길이 및 인양빔(130)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중량물을 인양빔(130)의 선단에 장착된 후크(137)에 걸어 인양한다. 이때 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해서는 체인블록 등을 중량물에 걸고 체인블록을 후크(137)에 걸어 체인블록을 작동시켜 인양할 수 있다.
중량물이 인양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제1고정핀(123)을 뽑고 포스트(120)를 회전시켜 중량물을 근거리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근거리란 인양빔(130)을 신장시킨 상태에서 포스트(120)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범위 내의 영역에 해당한다.
만약 근거리보다 먼 장거리 이송이 필요할 경우에는 중량물이 인양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이동식 크레인(100)을 밀어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중량물의 이송을 완료한 후에는 리프마(150)의 손잡이(151)를 선회하여 자력을 해제함으로써, 받침대(110)를 다른 장소로 자유롭게 이동시킨다.
100 : 이동식 크레인
110 : 받침대
111 : 캐스터
115 : 플랜지
120 : 포스트
121 : 회전각조절판
127 : 경사빔
129 : 힌지
130 : 인양빔
140 : 유압잭
150 : 리프마
151 : 손잡이

Claims (8)

  1. 캐스터가 장착된 받침대와,
    받침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포스트와,
    포스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인양빔과,
    포스트와 인양빔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고 신축하며 인양빔의 경사를 제어하는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포스트는 상부 포스트와 하부 포스트로 구분되며, 상부 포스트는 하부 포스트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상부 포스트와 하부 포스트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홀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홀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공들 중 어느 한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포스트의 상단에는 경사빔이 형성되며, 경사빔의 단부에 인양빔이 힌지 결합되며, 경사빔과 인양빔에 잭의 양단이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인양빔은 선단 인양빔과 후단 인양빔으로 구분되며, 선단 인양빔은 하부 인양빔의 내부로 인입 또는 인출되며 선단 인양빔과 후단 인양빔 중에서 어느 한 쪽에는 홀이 형성되고 다른 한 쪽에는 홀과 대응하는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공들 중 어느 한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인양빔의 선단에는 후크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받침대에는 원주를 따라 관통공이 형성된 플랜지가 고정되고, 포스트의 하단은 플랜지의 중공에 삽입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며, 포스트의 하단에는 플랜지와 마주하는 회전각조절판이 형성되고, 회전각조절판에는 플랜지에 형성된 관통공과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며, 홀을 관통한 고정핀이 관통공들 중 어느 한 관통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7. 제1항에 있어서,
    받침대에는 손잡이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8. 제1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받침대의 저면에는 리프마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크레인.
KR1020120139453A 2012-12-04 2012-12-04 이동식 크레인 KR201400716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53A KR20140071646A (ko) 2012-12-04 2012-12-04 이동식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9453A KR20140071646A (ko) 2012-12-04 2012-12-04 이동식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1646A true KR20140071646A (ko) 2014-06-12

Family

ID=51125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9453A KR20140071646A (ko) 2012-12-04 2012-12-04 이동식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7164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92638A (zh) * 2018-10-25 2019-02-01 海盐新星机电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便捷式液压吊机
JP2019111115A (ja) * 2017-12-22 2019-07-11 オリロー株式会社 避難用緩降機の取り付け装置
KR102036485B1 (ko) * 2019-08-22 2019-12-02 제모스 주식회사 중량물 운송용 선박의 대형 해양플랜트 고박구 설치장치
KR102103467B1 (ko) * 2019-09-06 2020-04-23 강봉조 콘크리트 분배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11115A (ja) * 2017-12-22 2019-07-11 オリロー株式会社 避難用緩降機の取り付け装置
CN109292638A (zh) * 2018-10-25 2019-02-01 海盐新星机电有限公司 一种可折叠的便捷式液压吊机
KR102036485B1 (ko) * 2019-08-22 2019-12-02 제모스 주식회사 중량물 운송용 선박의 대형 해양플랜트 고박구 설치장치
KR102103467B1 (ko) * 2019-09-06 2020-04-23 강봉조 콘크리트 분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28870A (en) Hoist
TW201813692A (zh) 健身機中的可回縮腳輪
KR20140071646A (ko) 이동식 크레인
US20110006273A1 (en) Scissor Jack
US8740188B1 (en) Cabinet lifting device
US11214469B2 (en) Lifting devices
US9394147B2 (en) Portable indpendent vehicle lift and support system
US8434737B2 (en) Crane with a freely positionable oil pump handle
KR20120072587A (ko) 굴삭기의 카운터 웨이트 볼트 체결 장치
US7044313B2 (en) Portable hoist
US6612548B2 (en) Hoist
JP6149167B2 (ja) 蓋を上昇させて水平に平行移動させる機構を備えるトラップ又はマンホール用の蓋
JPH0971399A (ja) 作業用アーム
KR101390472B1 (ko) 연단기용 원단 승강 장치
US10519009B2 (en) Portable lifting arm
JP7001839B2 (ja) 昇降装置とそれを備えた洗濯機
KR101579185B1 (ko) 수동식 드럼 운반장치
CN108639969B (zh) 一种蓄电池更换装置
US6817827B2 (en) Lifting apparatus with stabilizer
CN209906235U (zh) 一种起重机
KR20200111914A (ko) 무동력 수동 리프트 장치
KR200482087Y1 (ko) 샤클 체결용 치구
EP3733948B1 (en) Lifting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CN201762036U (zh) 一种配有可定位任意角度油泵手柄的吊机
CN116374826B (zh) 一种用于金属化薄膜的吊装搬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