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2403B1 -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 - Google Patents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2403B1
KR100602403B1 KR1020000010475A KR20000010475A KR100602403B1 KR 100602403 B1 KR100602403 B1 KR 100602403B1 KR 1020000010475 A KR1020000010475 A KR 1020000010475A KR 20000010475 A KR20000010475 A KR 20000010475A KR 100602403 B1 KR100602403 B1 KR 10060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al
adhesive
pressure
drug
sensitive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71402A (ko
Inventor
사이토준이치
이노우에유이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56249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80829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113076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0319167A/ja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00071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44Medic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58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02Anaestetics, analgesics, e.g. lidocai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10Scrim [e.g., open net or mesh, gauze, loose or open weave or knit, etc.]
    • Y10T442/102Woven scrim
    • Y10T442/109Metal or metal-coated fiber-containing scrim
    • Y10T442/131Including a coating or impregnation of synthetic polymeric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구강 접착 제제는 기재(substrate)와, 기재 표면중 하나 이상에 제공된 감압성(pressure-sensitive) 접착층을 포함하며, 감압성 접착층은 약물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다. 또한, 표면중 하나 또는 양면이 모두 방출-처리된 분리기와 1.5 내지 6의 인접하는 색션의 최단거리 Di에 대한 섹션의 중력 중심을 통과하는 내부환 W의 최소 내부 직경 Dp의 명시된 비로 명시된 2 내지 5 X 2 내지 5의 배열로 분리기의 표면중 하나 이상에 탑재된 구강 점막에 적용하기 위한 다수의 섹션을 포함하는 구강 접착 쉬트가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기재는 부직포와 같은 천이 바람직하다. 국소 마취제를 함유하는 섹션을 치과에서 표면 마취에 사용할 수 있다.
구강 접착 쉬트, 구강 접착 제제, 감압성 접착층, 치은 점막, 국소 마취제

Description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Oral adhesive sheet and oral adhesive preparation}
도 1은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구강에 적용되며 구강에 약물 투여시 사용되는 접착 제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구강 접착 쉬트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분리기 및 분리기상에 탑재되어 있는 다수의 섹션을 포함하며, 치은 점막과 같은 구강 점막에 접착시키기위해 약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을 갖고 있어 점막을 통하여 약물을 적용시켜 접착 쉬트의 취급성을 향상시킨 구강 접착 쉬트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구강에 약물을 투여하기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들어, 각각 액제, 연고, 젤리, 스프레이, 트로키, 협측 정제, 설하 정제 등을 이용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최근, 타액과 같은 수분으로 습윤화된 구강 점막에서도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제제로서, 약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를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층의 기제(주성분)를 갖는 구강 접착 제제가 제안된 바 있다. 예를들어, 기재와 알긴산 에스테르와 약물을 함유하는 기재상의 점막 접착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점막-접착 제제(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1-30516호), 주성분으로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스와 약제학적 제제를 함유하는 외용 필름 제제(일본 공개특허공보 제62-63513호),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수용성 중합체 및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와 같은 수-불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성 물질 및 생리학적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치은에 적용시키기위한 국소 마취성 접착 제제(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272521호), 및 폴리아크릴산 염, 카복시비닐 중합체 및 폴리비닐 알코올을 함유하는 액체를 주조하여 건조시킴으로써 생산된 2개-층 구조의 구강 적용 기재(일본 공개특허공보 제5-310561호) 등이 있다.
접착층의 기제(주성분)로서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통상의 구강 접착 제제의 경우,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는 피착체의 표면 (구강중 점막 표면)상에 존재하는 수분을 흡수한다. 이는 접착층의 표면이 피착체의 표면과 접촉하도록하여 접착이 일어나도록한다.
점막을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기위한 수단으로서, 습윤화된 부위에서도 양호한 접착성 (감압성 접착성)을 갖는 쉬트-형 접착 제제가 개발되었다. 조성의 관점에서 상기와 같은 쉬트-형 접착 제제에 대해 수많은 시도가 있었다. 예를들면, 습윤화된 부위에 대한 접착성을 부여하기위하여 접착제 기제로서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접착 제제가 고안되었다.
한편, 피부를 통하여 약물을 투여하기위한 수단으로서,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여러가지 피내 약제학적 제제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피내 약제학적 제제는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전형적인 예로서, 약물을 함유하는 비-수용성 감압성 접착층과 지지층을 갖는 접착 쉬트-형 접착 제제를 언급할 수 있다. 이들 형태의 접착 제제는 구강 접착 제제로서 사용되지 않는다. 이는 비-수용성 감압성 접착층이 일반적으로 수분으로 습윤화된 피착체에 대해 충분한 접착성을 나타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는 접착층중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가 물로 팽윤 또는 용해되기 때문에 떨어져 제거되거나 약물이 접착층으로부터 스며나와 유동하는 일이 때때로 발생한다. 수-팽윤성 중합체가 팽윤되어 접착층이 큰 정도로 이형될 경우, 사용자는 입안에 이물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느끼게 된다. 이탈 또는 떨어지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않는 경우, 일반적으로 강력한 접착강도를 갖는 접착이 발생하여 드레싱 제제를 단시간내에 떼어내려할 때 (즉, 신속하게 떼어내고자할 때), 통증이 수반되거나 구강 점막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또한, 쉬트-형 접착 제제를 구강에 적용시킬 때, 구강용 접착 제제, 특히 치은 점막에 적용하기위한 것은 적용 부위에서의 면적이 외용 피부 표면적과 비교하여 작기 때문에 1 ㎝ x 1 ㎝의 작은 섹션 (적용 섹션)의 형태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구강용 접착 제제는 약리학적 효과, 허용가능한 사용감, 접착성 등을 가져야 한다. 또한, 의학용 치료 분야에서, 예를들어, 치과 분야에서 표면 마취가 수행될 경우, 이의 적용시 용이한 취급성이 또한 중요하여 제품의 형태 또한 중요 인자중 하나이다. 이런 이유로, 치료 분야에 있어서 취급이 용이한 제품 형태를 갖는 제품이 요구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탈 또는 떨어지거나 약물이 스며나오거나 유동되지 않으며, 적용시 이물감을 거의 주지 않으며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구강내 접착에 부합하는 접착 강도로 구강 점막에 접착하는 구강 접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치료 분야에서의 용이한 취급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강에 적용함으로써 사용되는 접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집중적인 연구 결과, 본 발명자들은 소수성 감압성 접착층, 즉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감압성 접착층 (비-수용성 감압성 접착층) 또는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감압성 접착층이 물이 유체로서 작용할 정도로 다량으로 피착체의 표면상에 존재할 때 피착체에 접착하기 어렵지만 피착체의 표면이 다소의 수분으로 습윤화될 정도로 피착체의 표면상에 존재하는 다량의 유체수를 제거함으로써 피착체의 표면에 접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각각 약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과 기재를 포함하는 다수의 섹션을 일반적으로 정사각형인 분리기상에 명시된 배열 또는 패턴의 형태로 탑재할 경우 탁월한 취급성을 갖는 접착 쉬트가 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을 기본으로 완성되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다음을 제공한다:
1) 기재와 기재 표면중 하나 이상에 제공된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며, 감압성 접착층은 약물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구강 접착 제제.
2) 기재가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20 내지 150 g/㎡의 기본 중량과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0.1 내지 1.0 ㎜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3) 상기 부직포의 휨 내성 (45°캔틸레버법)이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10 내지 80 ㎜인, 상기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4) 부직포가 주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5) 부직포가 방사(spun) 레이스 부직포인, 상기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6) 약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과 기재 조합물의 휨 내성 (45°캔틸레버법)이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15 내지 60 ㎜인,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7)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감압성 접착층이 아크릴계 중합체, 고무 계열의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비닐 에테르계 접착제, 및 비닐 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8)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인, 상기 7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9)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65 내지 99 중량%와 (메트)아크릴산 1 내지 35 중량%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10) 약물이 국소 마취제인,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11) 국소 마취제가 리도카인, 코카인, 프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벤조카인, 메피바카인, 프릴로카인, 부피바카인, 디부카인, 프로폭시카인, 에티도카인, 디클로닌,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상기 10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12) 약물이 전신성 약물인, 상기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13) 전신성 약물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진통성 소염제, 마취성 진정제, 정신안정제, 고혈압치료제, 혈압강하성 이뇨제, 항생제, 전신성 마취제, 항균제, 항진균제, 비타민, 관상 혈관 확장제, 항히스타민제, 거담제, 성 호르몬, 항우울제, 뇌 순환 개선제, 항구토제, 항신생물제, 항궤양제, 및 생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상기 12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제제.
14) 표면중 하나 또는 양면이 모두 방출-처리된 분리기와 분리기의 표면중 하나 이상에 탑재된 구강 점막에 적용하기위한 다수의 섹션을 포함하며, 섹션은 각각 유연성 기재와 기재의 표면중 하나에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며, 2 내지 5개의 컬럼, 2 내지 5개의 열로 분리기상에 접착 배열되어 있고, 각 섹션은 인접하는 섹션과 실질적으로 등거리에 있으며, 인접하는 2개의 섹션사이의 섹션간 거리는 인접하는 색션의 최단거리 Di에 대한 섹션의 중력 중심을 통과하는 내부환 W의 최소 내부 직경 Dp의 비가 1.5 내지 6이 되도록 설정된 구강 접착 쉬트.
15) 기재가 천인, 상기 1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쉬트.
16) 약물이 국소 마취제인, 상기 1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쉬트.
17) 쉬트가 최대 직선 길이를 구획하는 분리기의 주변부 상의 2개의 점중 하나에서 5 ㎜의 포착폭으로 수평적으로 유지시 10° 이하의 편각을 나타내는, 상기 1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쉬트.
18) 상기 섹션이 치은 점막에 적용하기위한 섹션인, 상기 1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쉬트.
19) 감압성 접착층이 약물을 함유하고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 않는 상기 14에 기재된 바와 같은 구강 접착 쉬트.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는 구강내 점막에 중간 정도의 접착력으로 접착할 수 있으며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특히, 접착층이 떨어지거나 약물이 스며나오거나 유동되지 않고 효율적으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으며, 비-자기감 또는 이물감을 주지 않아 실질적으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기 때문에, 분리기로부터 섹션을 떼어낼 때 취급성이 탁월하다. 동시에, 실질적인 치료 분야에서 요구되는 수로 탑재된 적합한 크기를 갖는 각각의 섹션이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치 료 조작 시간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수치로 설정된 섹션간 거리에 대한 각 섹션의 크기의 비는 제조시 가공성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 효과, 특징 및 잇점은 다음의 바람직한 양태로부터 더욱 자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감압성 접착층"은 "주성분으로서 20 ℃에서 충분한 양의 물중에서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며 상온 (실온, 예로서, 20 ℃)에서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는 접착성 중합체 및(또는) 충분한 양의 물이 존재할 때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물을 흡수하며 상온 (실온, 예로서, 20 ℃)에서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는 접착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접착층 (여기서, 중량%의 기준은 중합체의 총 중량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 적용시, 다량의 물이 접착 제제를 적용할 구강내 부위에 존재할 경우, 적용전에 물을 닦아 내거나 달리 제거한다. 물론, 적용 부위의 물이 소량이어서 이로 인하여 문제가 발생되지 않을 경우, 수분 제거 조작을 수행할 필요없이 접착 제제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수분이 구강의 표면상에 상대적으로 다량으로 존재할 경우, 본 발명의 접착 제제는 약물의 종류에 따라 함유되어있는 약물이 투여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구강의 표면에 접착 상태를 유지한다.
예를들어, 실질적인 치료에 있어서 치과의들은 대부분의 경우 공기 주사기를 사용하여 공기 건조법에 의해 치은과 같은 구강 점막을 건조시킨다. 공기 주사기를 사용한 건조는 수분 증발로 인한 냉각이 종종 통증을 유발시키기때문에 단지 수초 동안 블로잉시켜 수행된다. 그러므로, 수많은 경우, 수분이 불충분하게 제거되며 다소의 물이 남아있게 된다. 그러한 경우,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는 구강 점막에 중간 정도로 약하게 접착하여 용이하게 떨어진다.
구강내로 약물을 실질적으로 투여할 경우, 접착 제제의 감압성 접착층은 공업용에 대해 요구되는 정도로 강력한 접착성을 필요로하지 않는다. 대신, 실제적인 사용에 있어서는 약한 접착성과 짧은 접착 시간으로 충분하다. 또한, 이후 기재되는 바와 같이, 때때로 더 약한 접착성과 짧은 접착 시간이 요구되는 경우도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는 표면상에 상대적으로 다량의 수분이 존재할 때 또는 피착체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연질일 때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내에 이의 접착성을 소실하며 피착체의 표면에 상대적으로 소량의 수분이 존재할 때 또는 피착체의 표면이 상대적으로 경질일 때 이의 접착성을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유지한다. 그러므로, 일반적으로, 구강 내부 표면상의 점막 표면상에서, 접착력이 약하고 접착 시간이 짧으며, 한편으로, 치은 표면에서, 접착력이 상대적으로 강하고 접착 시간이 상대적으로 긴 경향이 있다.
치과 분야에서의 치료 작업시, 국소 마취제의 투여는 가능한 단시간내에 수행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구강 접착 제제는 이들의 효과가 단시간내에 발휘되고 이들이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떨어질 정도로 약한 접착성을 나타낼 것이 요구된다. 기제로서 통상의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 중합체를 함유하는 상기 언급한 통상의 구강 접착 제제는 적용후 단시간내에 떼어낼 때, 통증이 수반되거나 점막이 손상될 두려움이 있을 정도로 상기한 바와 같이 높은 구강 점막에 대한 접착 강도를 갖는다. 이들중 수많은 것들은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도록 고안된 것으로 단시간내에 충분한 약리학적 효과가 수득될 수 없다.
대조적으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약물 함유 감압성 접착층을 갖는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는 약물이 접착제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은 친화성을 갖고 있어 약물이 일시에 방출되기 때문에 구강에 적용시 적용후 단시간내에 이의 약리학적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는 특히 약물로서 국소 마취제를 포함하며 치과 분야에서 표면 마취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감압성 접착층은 팽윤시 떼어지거나 떨어지지 않으며, 약물이 스며나오거나 유동되지 않고, 약물의 쓴맛을 제공하지 않으며, 원치않는 부위에서 약리학적 효과를 발휘하지않거나, 약물의 유용성을 높인다. 또한, 팽윤으로 인한 이형이 실질적으로 일어나지않아 이물질이 존재하는 느낌을 주지않는 경향이 있다.
구강은 민감성이 매우 높은 부위이며 치아, 혀 등으로 둘러싸인 복잡하고 좁은 공간이므로 구강내로 적용된 접착 제제는 취급성이 우수하여야하며 적용시 이물질의 존재를 느끼거나 지주를 댄 느낌이 적어야한다. 일반적으로, 감압성 접착층은 유연성이며 실질적인 두께 범위내에서 충분한 팔로우-업 (follow-up)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접착 제제의 구강중에서의 취급성 및 이물감은 대부분 감압성 접 착층을 지지하는 기재의 물성에 따른다. 즉, 기재가 유연성일 경우, 접착 제제는 구강내 불균질한 표면에 유리하게 적용시킬 수 있으며 비-자기감이 경감된다.
그러므로, 구강 접착 제제에서는,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을 거의 흡수하지않는,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을 유연성 기재로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에서 사용되는 기재는 실제적인 사용시 구강내에서 구강 접착 제제의 취급성을 향상시키며 중간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있어 적용시 비-자기감을 완화시키는 것인 한 이의 재료에서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 천을 언급할 수 있으며, 이의 예로는 합성 수지, 예로서,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가소화된 비닐 아세테이트-비닐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에틸셀룰로스, 에틸렌-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우레탄, 이오노머 수지중 하나로 이루어진 단순 필름 또는 적층 필름; 고무, 상기 합성 수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및 나일론과 같은 폴리아미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여 제작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 두께가 15 ㎛ 이하인 상기 합성 수지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갖는 이들의 부직포, 직물 또는 적층물이 있다. 이들중에서, 부직포가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는 구강 접착 제제에 바람직한 중간정도의 유연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어 접착 제제의 섹션의 취급성을 개선하고,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의 관통(strike-through)을 방지하며, 구강 점막에 적용시 비-자기감을 완화시키는데, 특히 이들을 적용한 상태에서의 비-자기감을 완화시키는데 유용하다.
부직포로서, 이들은 비스코스 레이욘, 구리 암모니아 레이욘, 디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프로믹스 (Promix: 우유 카제인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의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올레핀, 예로는,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알킬렌-파라-옥시벤조에이트), 폴리클랄 (폴리비닐 클로라이드와 폴리비닐 알코올의 1:1 혼합물)과 같은 화학 섬유, 및 면, 모직, 견, 및 대마과 같은 천연 섬유로부터 선택된 섬유 1종 이상으로 이루어져있다. 특히, 안정성, 안전성 및 경제성의 관점에서, 주로 폴리올레핀 섬유와 폴리에스테르 섬유중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진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또한, 2종의 상이한 성분으로 이루어진 분할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분할 섬유는 길이를 따라 연속적으로 반죽된, 2종의 성분, 예를들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져있으며 상기 성분중 하나를 추출하거나 강력한 쇼크를 제공하여 더욱 미세한 섬유를 수득하는 부직포 생산 공정에서 길이를 따라 분할되는 섬유이다.
부직포의 생산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지만 의료 제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여러가지 공정, 예를들면, 무수 결합제 공정, 열 결합법, 방사 결합법, 방사 레이스 공정, 에어 레이 공정, 니들 펀치법, TCF (Textile, 연속적으로 형성) 공정, Bemliese법, 습식 공정, 용융 취입법 등이 있다. 탄성의 관점에서, 방사 레이스법으로 생산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방사 레이스 부직포는 섬유를 결합제를 사용하지않고 얽히게 하는 생산 공정으로 생산되며, 상기 공정은 통상적으로 방사 레이스, 물 펀치, 물 제트, 제트 결합 등으로 표현된다.
부직포는 JIS 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기본 중량이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50 g/㎡,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20 g/㎡인 것이다. 기본 중량이 상기한 범위보다 더 적을 경우, 일반적으로 접착 제제가 너무 유연성이어서 접착 제제의 취급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고 약물 또는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의 관통 정도가 약물 및 접착성 중합체의 종류 또는 물질에 따라 변화될 수 있지만 약물 또는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이 기재로부터 관통될 수 있다. 기본 중량이 상기 범위보다 더 큰 경우, 접착 제제의 쿠션 특성이 증가되지만 일반적으로 전체적으로 딱딱해서 사용자에게 이물질이 존재하는 느낌을 주는 경향이 있다.
섬유의 기본 중량이 상기 범위내에 있는 경우라도, 섬유 밀도가 너무 높으면 섬유의 탄성을 저하시켜 불균일한 표면을 따라 팔로우-업 특성을 감소시킨다. 대조적으로, 너무 낮을 경우, 섬유의 얽힘이 불충분하여 섬유가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부직포의 두께는 JIS 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이어야 한다.
또한, 부직포의 휨 내성은 JIS 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45°캔틸레버법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80 ㎜,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70 ㎜이다. 상기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의 필름 적층물, 상기 합성 수지를 갖는 부직포 및(또는) 직물, 또는 두께가 10 ㎛ 이하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을 갖는 필름 적층물의 경우, 적층물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0.8 ㎜이다.
본 발명에서,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에 사용되며 20 ℃에서 충분한 양의 물중에 5 중량%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고 상온에서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는 접착성 중합체의 예로는, 아크릴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감압성 접착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및 폴리부타디엔과 같은 고무 계열의 감압성 접착제; 실리콘 고무, 디메틸실록산-계, 및 디페닐 실록산-계와 같은 실리콘 감압성 접착제;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에틸 에테르, 및 폴리비닐 이소부틸 에테르와 같은 비닐 에테르계 감압성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와 같은 비닐 에스테르계 감압성 접착제;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및 디메틸 프탈레이트와 같은 카복실산 성분 및 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다가 알코올 성분으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계 감압성 접착제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크릴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감압성 접착제, 고무 계열의 감압성 접착제, 실리콘계 감압성 접착제, 비닐 에테르계 감압성 접착제, 및 비닐 에스테르계 감압성 접착제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 사용된다. 이들중에서, 구강 점막에 대한 접착성, 약물의 용해도, 약물의 안정성 등의 관점에서 아크릴계 중합체로 이루어진 감압성 접착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한 아크릴계 중합체는 주성분으로서 통상의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제에서 사용되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작용성 단량체 1종 이상을 공중합시켜 수득한다. 사용될 수 있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는 알킬기가 특히 부틸, 펜틸,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및 트리데실과 같은 탄소수 4 내지 13의 직쇄 알킬기 또는 측쇄 알킬기인 것이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2종 이상을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는 상기 언급한 특정예로 제한되지 않지만 탄소수 1 내지 3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또는 탄소수 14 이상의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를 본 발명의 특성이 손상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공중합가능한 작용성 단량체는 분자중의 공중합 반응에 참여하는 불포화 이중 결합 1개 이상과 측쇄에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이다.
상기와 같은 작용성 단량체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콘산, 및 말레산과 같은 카복실기-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및 하이드록시프로필 에스테르와 같은 하이드록실기-함유 단량체; 스티렌설폰산, 알릴설폰산, 설포프로필 (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설폰산, 및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설폰산과 같은 설포닐기-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아미노에틸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3급-부틸아미노에틸 에스테르와 같은 아미노기-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 (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및 N-비닐아세트아미드와 같은 아미도기-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에톡시에틸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디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메트)아크릴산 메톡시폴리프로필렌 글리콜 에스테르, 및 (메트)아크릴산 테트라하이드로푸릴 에스테르와 같은 알콕실기-함유 단량체 등이 있다. 이들외에, 공중합가능한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N-비닐-2-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카프로락탐,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등이 있다.
상기 주성분 단량체 1종 이상과 작용성 단량체 1종 이상을 공중합시켜 수득한 아크릴계 중합체중에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가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가 감압성 접착성 및 부착성과 같은 접착 특성, 및 감압성 접착층중에 함유된 약물의 방출성에 있어서 특히 탁월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65 내지 99 중량%와 (메트)아크릴산 1 내지 35 중량%를 공중합시켜 수득한 공중합체가 더욱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접착성을 추가로 개량시키고자할 경우 점성화제 (예를들면, 로진, 개질된 로진, 석유-계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액체 폴리이소부틸렌 등), 가소제 (예를들면, 액체 파라핀 등), 흡수 촉진제, 계면활성제, 충전제 등과 같은 공지된 첨가제를 감압성 접착층중에 배합시킬 수 있다.
약물은 약리학적 효과 (용도 또는 용법)에 따라 용해된 상태, 결정이 침전되는 과포화 상태, 또는 분산된 상태로 함유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여러가지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용 구강 접착 제제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중에서는, 약물에 대한 접착제의 친화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약물이 적용후 상대적으로 단시간에 이의 효과를 발휘하며 감압성 접착층은 구강 점막에 대한 접착성이 약하여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다. 치과 분야에서는 치료 작업시 약물의 투여를 단시간내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는 국소 약물, 특히 투여 시간이 가능한 짧은 것이 요구되는 국소 마취제의 투여에 적합하다.
감압성 접착층중에 함유되어 단시간내에 투여되는 국소 약물의 예로는 리도카인과 같은 국소 마취제,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같은 치과용 항생제,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와 같은 붕해제, 클로로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와 같은 구강 감염 방지제/치료제, 아줄렌과 같은 소염제 등이 있다.
상기 국소 마취제로는 리도카인 외에, 코카인, 프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벤조카인, 메피바카인, 프릴로카인, 부피바카인, 디부카인, 프로폭시카인, 에티도카인, 디클로닌 등이 있다. 리도카인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의 염을 포함하여 상기 예시된 물질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물질 1종 이상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구강 접착 제제는 기본적으로 구강 점막에 대한 접착성은 낮지만 구강중 적용 부위에서 타액과 같은 수분이 점막 표면으로부터 만족스러울 정도로 제거되어 수분의 잔여량이 매우 소량일 때 약물이 점막을 통하여 흡수되기에 충분한 시간 동안 점막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가 전신성 약물 투여에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부 또는 하부 치은의 외부 표면에 적용되는 경우, 입술이 접착 제제를 유지시켜 접착 제제가 장시간 동안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장시간에 걸쳐 전신성 약물을 투여할 수 있도록 한다.
감압성 접착층중에 함유될 수 있는 전신성 약물로는 여러가지 전신성 약물, 예를들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진통성 소염제, 마취성 진정제, 정신안정제, 고혈압치료제, 혈압강하성 이뇨제, 항생제, 전신성 마취제, 항균제, 항진균제, 비타민, 관상 혈관 확장제, 항히스타민제, 거담제, 성 호르몬, 항우울제, 뇌 순환 개선제, 항구토제, 항신생물제, 항궤양제, 및 생약 등이 있다.
감압성 접착층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0 ㎛이다. 상기 층중 약물의 함량은 약물의 종류 및 투여 목적에 따라서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감압성 접착층은 약물을 약 1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70 중량% 함유한다. 상기 함량이 1 중량% 미만일 경우,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적인 양의 약물 방출을 기대할 수 없다. 한편,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접착성이 감소되어 접착 제제를 적용하기 어렵게되어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일정한 정도로 제한되며 또한 경제적으로 불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감압성 접착층을 구성하는 접착성 중합체를 투여 목적에 따라 선택한다. 더욱 상세하게, 단시간내 투여를 목적으로하는 경우, 함유된 약물의 방출성이 탁월한 접착성 중합체가 사용된다. 한편, 장시간 투여를 목적으로하는 경우, 함유된 약물에 대해 상대적 서방성 특성을 갖는 접착성 중합체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단시간 투여용 또는 장시간 투여용 접착 제제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층은 용해되거나 팽윤되지않아 감압성 접착층을 떼어내거나 떨어지는 것 또는 감압성 접착층으로부터 약물이 스며나오거나 유동하는 일이 발생하기 어려워, 약물의 유용성이 만족스럽게된다. 또한, 감압성 접착층의 팽윤으로 인한 이형이 발생하지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접착 제제는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실질적으로 주지 않는다.
취급성과 사용성간의 균형으로부터,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의 휨 내성 (45°캔틸레버법)은 감압성 접착층과 기재를 함께 취하여 측정시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15 내지 60 ㎜,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이다. 여기서,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은 45°캔틸레버법에 따라서, 시험편을 단부중 하나에 수평면에 대해 45°의 각도의 아래쪽 경사면을 갖는 수평대상에 놓고 시험편을 경사면쪽으로 부드럽게 미끄러뜨린다. 시험편의 단부중 하나의 중심점이 경사면에 도달하였을 때, 시험편이 이동함에 따른 거리 (㎜)를 측정한다. 상기 수치 (㎜)는 휨 내성을 나타낸다. 휨 내성이 상기 범위보다 더 낮을 경우, 취급성이 감소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들어, 치아 부분과 혀 부분이 좁고 복잡한 공간 배열을 형성하는 구강에 접착 제제를 적용하기 어렵다. 휨 내성이 상기 범위보다 더 높을 경우, 접착 제제는 사용자에게 적용시 비-자기감을 제공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의 생산 방법은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용매중에 약물, 접착성 중합체 등을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생성된 용액 또는 분산액을 기재의 표면중 하나 이상에 피복한 다음, 상기 피복물을 건조시켜 기재의 표면중 하나 이상에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키는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접착 제제는 상기 용액 또는 분산액을 박리 라이너상에 피복하고, 상기 용액 또는 분산액을 건조시켜 박리 라이너상에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키고, 박리 라이너상의 감압성 접착층을 기재에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박리 라이너가 제공된 형태의 접착 제제의 구조는 감압성 접착층이 기구 또는 용기와 원치않게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생산, 운반 또는 보관시 접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감압성 접착층의 노출된 표면이 피복되어 구강내 점막에 적용 직전까지 박리 라이너로 보호되고 감압성 접착층이 구강 점막에 적용시 먼저 박리 라이너가 제거되기 때문에, 감압성 접착층의 접착성의 열화 또는 약물의 열화가 방지될 수 있다.
박리 라이너 재료는 사용시 감압성 접착층으로부터 용이하게 떼어질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와 같은 합성 수지의 필름, 고품질 종이, 글래신 종이, 및 피복 종이와 같은 종이, 폴리올레핀과 같은 플라스틱 필름을 고품질 종이 또는 글래신 종이와 같은 종이 상에 적층시켜 수득한 적층 필름이 있으며, 상기 필름, 종이 또는 적층 필름은 감압성 접착층과 접촉하는 표면상에 실리콘 수지 또는 플루오로 수지를 피복시켜 박리 처리한다. 상기 박리 라이너의 두께는 통상적으로 10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이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의 형태는 이들이 실질적으로 적용되도록하는한 특 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들면,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사각형, 삼각형, 육각형 등의 형태가 언급될 수 있다. 임상의들이 어려움없이 이들을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직사각형 및 정사각형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의 크기는 구강에서 이의 적용에 적합한 것이다. 예를들면, 접착 제제가 직사각형의 형태인 경우, 이의 크기는 0.5 내지 2 ㎝ (더 짧은 단부) X 1 내지 5 ㎝ (더 긴 단부),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 (더 짧은 단부) X 2 내지 4 ㎝ (더 긴 단부)이다. 접착 제제가 정사각형인 경우, 각 단부는 0.5 내지 2 ㎝, 바람직하게는 0.8 내지 1.5 ㎝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 적용시, 적용 부위 및 근처에 타액과 같은 수분을 흡인, 닦아 내거나 공기 주사기 (압축 공기를 제팅시켜 구강에서의 작업 부위를 건조시키기위한 주사기-타입 장치)를 사용한 건조에 의해 예비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가 국소 약물을 함유하는 경우, 치은에 이를 적용시키면 약물은 이의 효과를 즉시 발휘한다. 전신성 약물을 함유할 경우, 수분을 충분하게 제거한, 협측 점막, 입술 뒷면의 점막, 성문밑, 치은 등에 적용시키면, 약물의 효과가 수분 내지 수시간 동안 지속된다. 또한, 전신성 약물을 함유하는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를 수분을 충분히 제거한, 윗입술 뒤면의 점막 또는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할 경우, 타액과의 접촉 발생 건수가 적고 입술과 잇몸이 이를 유지하여, 약물의 효과가 장시간 동안 지속된다.
일반적으로, 구강 접착 제제가 실제적인 치료 분야에서 사용될 경우, 취급성 이 더욱 우수한 제품 형태가 요구된다.
예를들어, 국소 마취제를 사용하는 구강 치료로서, 치과 분야에서 표면 마취가 언급된다. 치과 표면 마취로는 (a) 주로, 마취제 유입 또는 마취제 전달시 바늘을 삽입하는 부위에서의 점막상 마취, 및 또한 (b) 표면상, 작은 범위 치은 농양 절개 부위의 마취, (c) 스케일링 또는 치근막 포켓 소파시 포켓의 내부벽의 마취, (d) 치은 가장자리 또는 치관 보철로 연장시키는 충전시 마취, (e) 치과 기구의 구강 접촉에 대해 구토 반사 또는 개그 반사를 나타내는 환자의 마취, (f) 대체 단계의 주 치아와 같은 고도로 흔들리는 치아의 발치 또는 치아 파쇄 및 제거시 마취, (g) 무수 소킷, 구강 점막 궤양, 아구창 또는 기타 손상의 통증 제거, (h) 고무 댐 겸자의 부착시 치은 통증의 제거, (i) 금속 와이어 스플린트의 부착 또는 이탈시 마취 등이 있다.
상기 (a)에서 마취제 유입 또는 마취제 전달은 발치 또는 썩은이의 치료시 수반되는 통증을 완화시키기위하여 수행되며 약물의 용액을 치료할 단일 치아에 대해 약 3 내지 4개의 부위에 주사한다. 통상적으로 1 또는 2개의 치아를 1회 치료로 치료하기 때문에, 마취제를 유입 또는 마취제를 전달하기위한 주사는 때로는 많을 경우 약 10개의 부위에 실시한다. 상기 (b) 내지 (i)에서의 표면 마취의 적용 범위는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에서부터 치은 전체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통증을 수반하지않는 접착 제제를 상기와 같은 치과 표면 마취에서 주사 대신 사용할 경우, 단일 치료에 대해 십여개 섹션의 접착 제제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치료 분야에서의 취급성 관점에서, 1장의 쉬트가 십여개의 섹션의 접착 제제를 탑재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실제 작업시, 1장의 쉬트상에 탑재된 섹션을 핀셋 또는 손가락으로 떼어내어 구강의 적용 부위에 적용하므로 섹션을 탑재하는 쉬트는 적절한 자기-지지 특성 (소위 강성)을 갖고 있어야 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제제(10)는 분리기(1), 및 분리기(1)상에 배열된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구조를 갖는, 섹션(접착제 섹션)(2)을 포함하며, 쉬트(10)는 이의 코너상에 포착부(3)를 갖는다. 향상된 취급성의 관점에서, 섹션(2)은 분리기(1)상에 2 내지 5개의 컬럼,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컬럼, 및 2 내지 5개의 열,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개의 열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컬럼 및 열은 서로에 대해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로 존재한다. 섹션이 단일 컬럼 또는 열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 1개의 분리기상의 섹션 수가 너무 작고 충분한 수의 섹션이 단일 열 또는 컬럼 배열로 탑재되어 있는 경우 긴 수직 또는 수편 단부를 갖는 분리기가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배열은 사용에 적합치 못하다. 6개 이상의 컬럼 또는 열이 배열될 경우, 분리기상에 탑재된 섹션의 무게로 인하여 분리기가 구부러져 접착제 섹션의 취급성에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2개의 인접하는 섹션간의 거리는 인접하는 색션의 최단거리 Di에 대한 섹션의 중력 중심을 통과하는 내부환 W의 최소 내부 직경 Dp의 비가 1.5 내지 6,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가 되도록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접착 제제 쉬트는 분리기상에 분리기 표면 중 하나에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이 형성된 유연성 기재로 이루어진 접착 쉬트를 적층시켜 초기 직물을 형성시키고, 접착 쉬트만을 다수의 섹션으로 펀칭시킨 다음, 섹션간 불필요한 접착 쉬트 부위를 떼어 제거하여 제조한다. 즉, 소위 트리밍을 수행한다. 이 경우, 인접하는 2개의 섹션간의 거리가 너무 작을 경우, 트리밍이 확실하게 수행되지 않지만 섹션간의 거리가 너무 큰 경우 섹션이 분리기로부터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단지 섹션간 거리를 조정함으로써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나 섹션의 크기와 섹션간 거리의 균형이 중요하다. 이런 관점에서, 상기 Dp/Di 비는 중요하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의 크기는 구강에 적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어느 정도로 제한되며 상기 Dp는 2 내지 20 ㎜, 바람직하게는 4 내지 15 ㎜이다. 특히, 본 발명의 접착 쉬트의 섹션을 치은 점막에 적용할 경우, 섹션의 크기는 5 내지 13 ㎜ x 5 내지 1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는 이들을 구강 점막에 적용하기전에 분리기로부터 섹션을 떼어 사용한다. 이 경우, 접착 쉬트는 분리기로부터 섹션을 떼어낼 때의 취급성의 관점에서 적합한 유연성을 가져야 한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서는, 최대 직선 길이를 구획하는 분리기의 주변부상의 2개의 점중 하나에서 5 ㎜의 포착폭으로 수평으로 유지시, 구강 접착 쉬트가 10°이하, 바람직하게는 8°이하의 편각을 나타내도록 조정하여 적합한 강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구강 접착 쉬트는 분리기로부터 섹션을 떼어낼 때 취급성이 탁월하고 동시에, 실제적인 치료 분야에서 요구되는 수로 탑재된 각각 적합한 크기를 갖는 섹션의 배열은 치료 작업 시간을 감소시킨다. 또한, 명기된 수치로 맞춘 섹션간 거리에 대한 각 섹션의 크기의 비는 생산시 가공성을 증가시켜 생산성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에서, 분리기상에 형성된 접착제 섹션에 대한 기재의 재료로는 수-불용성 재료로 제한되지 않으며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염, 아가, 및 크산탄 고무와 같은 수용성 재료도 이들이 무독성인 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에서는, 분리기상에 형성된 구강 접착 쉬트용 섹션에 대한 접착제가 특별하게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정상 상태에서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들, 습한 조건하에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들, 가열시 감압성 접착성을 나타내는 것들이 구강, 특히 구강 점막, 또한 치은 점막에 목적하는 시간 동안 접착할 수 있다면 어느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주로 폴리비닐 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N-비닐아세트아미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아크릴아미드, 폴리아크릴산 염, 아가, 크산탄 고무 등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접착제, 주로 가교-결합된 수용성 중합체로 이루어진 수-팽윤성 접착제, 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알긴산 에스테르 등이 아크릴계 중합체, 고무 계열의 중합체, 실리콘계 중합체, 비닐 에테르계 중합체, 비닐 에스테르계 중합체 등과 같은 비-수용성 접착제와 유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무수 표면에 접착하지만 습윤 표면에 접착하지않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경우, 섹션을 적용할 점막 표면을 섹션 적용전에 공기-건조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실시예
이후, 본 발명은 실시예 및 비교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다음 기술에서, "부" 또는 "부들"은 모두 중량에 의한 것이다. 부직포의 기본 중량 및 두께는 JIS-L1085에 규정된 방법으로 측정한 수치이며 기재의 휨 내성 및 기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은 JIS-L1085에 규정된 방법 (45°캔틸레버법)으로 측정한 수치이다.
[감압성 접착 용액 A의 제조]
불활성 가스 대기하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95부 및 아크릴산 5부를 에틸 아세테이트중에서 공중합시켜 감압성 접착 용액 A를 제조하였다.
[감압성 접착 용액 B의 제조]
불활성 가스 대기하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부, 비닐피롤리돈 25부, 및 비닐 아세테이트 25부를 상기 감압성 접착 용액 A에 대한 공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중합시켜 감압성 접착 용액 B를 제조하였다.
[감압성 접착 용액 C의 제조]
불활성 가스 대기하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65부, 비닐피롤리돈 30부, 및 아크릴산 5부를 상기 감압성 접착 용액 A에 대한 공정과 유사한 방식으로 중합시켜 감압성 접착 용액 C를 제조하였다.
[고무 계열의 중합체 D의 제조]
폴리이소부틸렌 (점도 평균 분자량: 120,000) 50부, 폴리이소부틸렌 (점도 평균 분자량: 60,000) 30부, 및 지환족-계 석유 수지 (연화점: 100 ℃) 20부를 헥산중에서 균질하게 혼합하여 고무-계열의 중합체의 용액 D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감압성 접착 용액 A 40부 (고형분) 및 리도카인 60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상에 약 2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혼합 섬유 부직포 (두께: 0.5 ㎜, 기본 중량: 90 g/㎡)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국소 마취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부직포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부직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부직포의 휨 내성은 57 ㎜이고, 구강 접착 제제의 것은 42 ㎜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사각형 섹션 (1 ㎝ x 1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충분한 마취 효과가 2분간 발휘되었으며,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었다. 이 경우, 사용성 및 마취 효과의 평가는 5명의 지원자 (수험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하며 적용 작업성 (취급성)의 평가는 적용 작업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 하였다. 마취 효과는 5명의 수험자가 치은 부위상에 바늘로 자극할 때 통증을 느끼는지 체크함으로써 확인하였다. 마취 효과와 관련하여, 5명의 수험자 모두 바늘에 의한 통증을 느끼지 않았다.
실시예 2
감압성 접착 용액 A 40부 (고형분) 및 리도카인 60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상에 약 2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두께: 0.6 ㎜, 기본 중량: 100 g/㎡)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국소 마취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부직포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부직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부직포의 휨 내성은 33 ㎜이고, 구강 접착 제제의 것은 30 ㎜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사각형 섹션 (1 ㎝ x 1 ㎝)의 접착 제제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시험을 수행하고, 실시예 1에서 수득한 것과 유사한 양호한 결과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3
감압성 접착 용액 A 40부 (고형분) 및 리도카인 60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상에 약 2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에틸렌 필름 (두께: 40 ㎛)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국소 마취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에틸렌 필름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폴리에틸렌 필름과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부직포의 휨 내성과 구강 접착 제제의 휨 내성은 각각 21 ㎜ 및 17 ㎜인 것으로 밝혀졌다. 정사각형 섹션 (1 ㎝ x 1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충분한 마취 효과가 2분간 발휘되었으며,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었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취 효과와 관련하여, 5명의 수험자 모두 바늘에 의한 통증을 느끼지 않았다.
실시예 4
감압성 접착 용액 B 95부 (고형분) 및 테트라카인 5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상에 약 4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필름 (두께: 50 ㎛)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국소 마취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필름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필름과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이들의 휨 내성이 각각 18 ㎜ 및 16 ㎜인 것으로 밝혀졌다. 직사각형 섹션 (1 ㎝ x 3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충분한 마취 효과가 10분간 발휘되었으며,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었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취 효과와 관련하여, 5명의 수험자 모두 바늘에 의한 통증을 느끼지 않았다.
실시예 5
감압성 접착 용액 C 70부 (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20부 및 리도카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0부를 가한 다음 이들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두께)상에 약 40㎛(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두께: 약 2 ㎛)-적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두께: 600 ㎛, 기본 중량: 100 g/㎡)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국소 마취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적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폴리에스테르 필름-적층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이들의 휨 내성이 각각 69 ㎜ 및 44 ㎜인 것으로 밝혀졌다. 원형 섹션 (직경 1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충분한 마취 효과가 10분간 발휘되었으며,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었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취 효과와 관련하여, 5명의 수험자 모두 바늘에 의한 통증을 느끼지 않았다.
실시예 6
고무 계열의 중합체 용액 D 60부 (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30부 및 벤조카인 10부를 가한 다음 이들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두께)상에 약 40㎛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 (두께: 약 60 ㎛)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국소 마취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필름과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이들의 휨 내성이 각각 37 ㎜ 및 30 ㎜인 것으로 밝혀졌다. 직사각형 섹션 (1 ㎝ x 3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충분한 마취 효과가 10분간 발휘되었으며,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었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마취 효과와 관련하여, 5명의 수험자 모두 바늘에 의한 통증을 느끼지 않았다.
비교 실시예 1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용액 90부 (고형분) 및 리도카인 10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우레탄 필름 (100 ㎛ 두께)상에 약 4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국소 마취용 구강 치과용 필름 제제를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제제를 1 ㎝ x 3 ㎝ 크기의 직사각형 형태로 형상화하고, 이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켰다. 적용 10분 경과후, 떼어내었다. 주변에서 팽윤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험자에게 비-자기감을 주었다. 강력한 접착력으로 접착되었기 때문에, 적용 상태에서 환자가 통증을 느꼈으며 또한 떼어낼 때 강한 통증을 느꼈다. 또한 수험자는 약물이 스며나와 쓴맛을 느꼈다. 적용후 마취효과 10분은 불충분하였다. 평가 시험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하였다. 마취 효과와 관련하여, 5명의 수험자중 4명이 바늘에 의한 통증을 느꼈으며 나머지 1명은 약한 통증을 느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 내지 6은 국소 마취제 투여에 사용하기위한 구강 접착 제제의 예이다. 대조적으로, 본 실시예는 소염제 투여에 사용하기위한 구강 접착 제제에 관한 것이다. 감압성 접착 용액 B 95부(고형분) 및 아줄렌 5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 두께)상에 약 40㎛(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두께: 0.6 ㎜, 기본 중량: 100 g/㎡)에 적층시켜 소염제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이들은 각각 휨 내성이 43 ㎜ 및 29 ㎜인 것으로 밝혀졌다. 직사각형 섹션 (1 ㎝ x 3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의 치은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충분한 마취 효과가 10분간 발휘되었으며, 어려움없이 떼어낼 수 있었다.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평가를 수행하였다.
하기 실시예 8 및 9는 전신성 약물 투여용 구강 접착 제제의 예이다.
실시예 8
감압성 접착 용액 C 95부(고형분) 및 디아제팜 5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 두께)상에 약 40㎛(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두께: 0.6 ㎜, 기본 중량: 100 g/㎡)에 적층시켜 항우울제 투여에 사용하기위한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이들은 각각 휨 내성이 43 ㎜ 및 29 ㎜인 것으로 밝혀졌다. 직사각형 섹션 (1 ㎝ x 3 ㎝)의 접착 제제를 수험자의 왼쪽 볼의 점막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2시간 동안 적용 부위에 접착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 적용전에 왼쪽 볼의 점막의 표면의 수분은 공기 주사기를 사용하여 제거하였다. 이 경우, 평가는 5명의 지원자 (수험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하며 적용 작업성 (취급성)의 평가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작업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9
고무 계열의 중합체 용액 D 70부 (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20부 및 시메티딘 10부를 가한 다음 이들을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두께)상에 약 4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감압성 접착층을 형성시켰다. 이어서, 상기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혼합-섬유 부직포 (두께: 0.5 ㎜, 기본 중량: 90 g/㎡)상에 적층시켜 본 발명의 항궤양제용 구강 접착 제제를 제조하였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 혼합 섬유 부직포의 휨 내성 및 구강 접착 제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 혼합-섬유 부직포와 감압성 접착층의 조합물)의 휨 내성 측정시, 이들은 휨 내성이 각각 54 ㎜ 및 41 ㎜인 것으로 밝혀졌다. 직사각형 섹션 (1 ㎝ x 3 ㎝)의 접착 제제를 환자의 윗턱 치은의 바깥면에 적용시, 충분한 작업성 (취급성)으로 적용할 수 있었으며, 환자에게 적용 상태에서 비-자기감을 거의 주지 않았고, 적용후 8시간후에도 적용 부위에 접착되어있었다. 이 경우, 점막의 바깥면은 적용전에 공기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경우, 평가는 5명의 지원자 (수험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하며 적용 작업성 (취급성)의 평가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작업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 하였다.
비교 실시예 2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용액 95부 (고형분) 및 디아제팜 5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폴리우레탄 필름 (100 ㎛ 두께)상에 약 100 ㎛ (무수 기준)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항우울제로서 사용하기위한 수-팽윤성 구강 필름 제제를 형성시켰다. 직사각형 섹션 (1 ㎝ x 3 ㎝)의 접착 제제를 수험자의 윗턱의 바깥면에 적용시, 제제의 단부가 30분내에 팽윤되기 시작하였고, 2시간내에 원래 두께의 약 15배로 팽윤되었으며, 따라서 수험자에게 강한 비-자기감을 주었다. 상기 제제는 적용후 약 3시간내 떨어졌다. 이 경우 윗턱 치은의 점막 표면을 적용전에 공기 주사기를 사용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이 경우, 평가는 5명의 지원자 (수험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본으로하며 적용 작업성 (취급성)의 평가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 작업자에 의한 관능 평가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10
아크릴계 접착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 = 95/5 중량에 의함)의 에틸 아세테이트 용액 40부 (고형분)와 리도카인 60부를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이의 표면중 하나가 실리콘으로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분리기 (75 ㎛ 두께)의 처리된 표면상에 무수 기준으로 약 20 ㎛의 두께로 피복시키고 건조시켜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형성된 약물-함유 감압성 접착층을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기본 중량: 100 g/㎡, 두께: 약 0.6 ㎜)의 표면중 하나상에 적층시키고 이를 감아 접착 쉬트의 초기 직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초기 직물을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3개의 컬럼 x 4개의 열로 섹션이 배열되도록 접착 쉬트만 펀칭시켜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를 수득하였다. 수득한 섹션 각각은 다음 크기를 갖는다.
섹션의 크기: 10 ㎟;
인접하는 섹션간 거리: 3 ㎜;
Dp/Di: 3.3;
분리기의 말단으로부터 섹션까지의 거리: 7 ㎜; 및
분리기의 크기: 63 ㎜ x 50 ㎜.
생성된 구강 접착 쉬트의 분리기의 코너[도 1에서 포착부(3)]를 부여잡고 편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편각은 4.4°이고 사용하기위하여 각 섹션을 떼어낼 때 작업성과 작업 효율이 양호하였다. 상기 언급한 구강 접착 쉬트 생산시 섹션 주변의 접착 쉬트를 제거하는 트리밍 단계에서, 섹션 주변의 불필요한 부분 (잔재)이 절단되지 않으며 또한 섹션이 떨어지지 않아 펀칭 및 트리밍 공정을 유리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비교 실시예 3
실시예 10에서 수득한 접착 쉬트의 초기 직물을 3개의 컬럼 x 4개의 열로 배열된 섹션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를 수득하였다. 섹션의 크기는 다음과 같았다.
섹션의 크기: 10 ㎟;
인접하는 섹션간 거리: 1 ㎜;
Dp/Di: 10;
분리기의 말단으로부터 섹션까지의 거리: 7 ㎜; 및
분리기의 크기: 46 ㎜ x 57 ㎜.
생성된 구강 접착 쉬트의 분리기의 코너[도 1에서 포착부(3)]를 부여잡고 편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편각은 3.8°이고 사용하기위하여 각 섹션을 떼어낼 때 작업성과 작업 효율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구강 접착 쉬트 생산시 섹션 주변의 접착 쉬트를 제거하는 트리밍 단계에서, 섹션 주변의 불필요한 부분 (잔재)의 절단이 발생하였으며 트리밍 공정에 어려움이 있었다.
비교 실시예 4
실시예 10에서 수득한 접착 쉬트의 초기 직물을 3개의 컬럼 x 4개의 열로 배열된 섹션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를 수득하였다. 섹션의 크기는 다음과 같았다.
섹션의 크기: 10 ㎟;
인접하는 섹션간 거리: 8 ㎜;
Dp/Di: 1.25;
분리기의 말단으로부터 섹션까지의 거리: 7 ㎜; 및
분리기의 크기: 60 ㎜ x 78 ㎜.
생성된 구강 접착 쉬트의 분리기의 코너를 부여잡고 편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편각은 8.9°이고 사용하기위하여 각 섹션을 떼어낼 때 작업성과 작업 효율이 양호하였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구강 접착 쉬트 생산시 섹션 주변의 접착 쉬트를 제거하는 트리밍 단계에서, 트리밍중 섹션이 분리기로부터 떨어졌으며, 섹션 주변의 불필요한 부분 (잔재)의 절단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제품이 불량이 되었다.
비교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수득한 접착 쉬트의 초기 직물을 2개의 컬럼 x 6개의 열로 배열된 섹션으로 펀칭하여 본 발명의 구강 접착 쉬트를 수득하였다. 섹션의 크기는 다음과 같았다.
섹션의 크기: 9 ㎟;
인접하는 섹션간 거리: 3 ㎜;
Dp/Di: 3;
분리기의 말단으로부터 섹션까지의 거리: 7 ㎜; 및
분리기의 크기: 83 ㎜ x 35 ㎜.
생성된 구강 접착 쉬트의 분리기의 코너를 부여잡고 편각을 측정하였다. 결과, 편각은 11.4°이어서 쉬트는 사용하기위하여 섹션을 떼어낼 때 허용가능한 이탈 공정성을 제공하기에는 너무 많이 편향되었다. 그러나, 상기 언급한 구강 접착 쉬트 생산시 섹션 주변의 접착 쉬트를 제거하는 트리밍 단계에서, 섹션 주변의 불필요한 부분 (잔재)의 절단이 발생하지는 않았고 또한 섹션이 떨어지는 경우도 발생하지 않았다. 결과, 펀칭 및 트리밍 공정을 유리하게 수행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취지 또는 필수적인 특징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양태는 모든 면에 있어서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설명으로서 인지되어야하며, 본 발명의 범주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로 표시되며 따라서 특허청구의 범위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내에 속하는 모든 변화는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이탈 또는 떨어지거나 약물이 스며나오거나 유동되지 않으며, 적용시 이물감을 거의 주지 않으며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는, 구강내 접착에 부합하는 접착 강도로 구강 점막에 접착하는 구강 접착 제제와 치료 분야에서의 용이한 취급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형태로 구강에 적용함으로써 사용되는 접착 제제를 제공한다.



Claims (19)

  1. 기재와 기재의 표면중 하나 이상에 제공된, 약물을 함유하고,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에서 일정량의 물중에서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는 접착성 중합체 및/또는 일정량의 물이 존재할 때 5중량% 이하의 양으로 물을 흡수하는 접착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감압성(pressure-sensitive) 접착층을 포함하고, 기재가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20 내지 150g/㎡의 기본 중량과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0.1 내지 1.0㎜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를 포함하고, 약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층과 기재 조합물이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15 내지 60㎜의 45°캔틸레버법에 따라 측정된 휨 내성을 갖는 구강 접착 제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JIS-L1085에 규정된 바와 같이 10 내지 80㎜의 45°캔틸레버법에 따라 측정된 휨 내성을 갖는 구강 접착 제제.
  4.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주성분으로서 폴리올레핀 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섬유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구강 접착 제제.
  5. 제1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방사 레이스 부직포인 구강 접착 제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에서 일정량의 물중에서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는 접착성 중합체 및/또는 일정량의 물이 존재할 때 5중량% 이하의 양으로 물을 흡수하는 접착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된 감압성 접착층이 아크릴계 중합체, 고무 계열의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비닐 에테르계 접착제, 및 비닐 에스테르계 접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구강 접착 제제.
  8. 제7항에 있어서, 아크릴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제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인 구강 접착 제제.
  9. 제8항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와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가 (메트)아크릴산 알킬 에스테르 65 내지 99중량%와 (메트)아크릴산 1 내지 35중량%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구강 접착 제제.
  10. 제1항에 있어서, 약물이 국소 마취제인 구강 접착 제제.
  11. 제10항에 있어서, 국소 마취제가 리도카인, 코카인, 프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벤조카인, 메피바카인, 프릴로카인, 부피바카인, 디부카인, 프로폭시카인, 에티도카인, 디클로닌, 및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구강 접착 제제.
  12. 제1항에 있어서, 약물이 전신성 약물인 구강 접착 제제.
  13. 제12항에 있어서, 전신성 약물이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진통성 소염제, 마취성 진정제, 정신안정제, 고혈압치료제, 혈압강하성 이뇨제, 항생제, 전신성 마취제, 항균제, 항진균제, 비타민, 관상 혈관 확장제, 항히스타민제, 거담제, 성 호르몬, 항우울제, 뇌 순환 개선제, 항구토제, 항신생물제, 항궤양제, 및 생약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구강 접착 제제.
  14. 표면중 하나 또는 양면이 모두 방출-처리된 분리기와 분리기의 표면중 하나 이상에 탑재된 구강 점막에 적용하기위한 다수의 섹션을 포함하며,
    섹션이 각각 유연성 기재와 기재의 표면중 하나에 감압성 접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섹션이 2 내지 5개의 컬럼, 2 내지 5개의 열로 분리기상에 접착 배열되어 있고, 각 섹션이 인접하는 섹션과 등거리에 있으며,
    인접하는 2개의 섹션사이의 섹션간 거리가 인접하는 섹션의 최단거리 Di에 대한 섹션의 중력 중심을 통과하는 내부환 W의 최소 내부 직경 Dp의 비가 1.5 내지 6이 되도록 설정된 구강 접착 쉬트.
  15. 제14항에 있어서, 기재가 천인 구강 접착 쉬트.
  16. 제14항에 있어서, 약물이 국소 마취제인 구강 접착 쉬트.
  17. 제14항에 있어서, 쉬트가 최대 직선 길이를 구획하는 분리기의 주변부 상의 2개의 점중 하나에서 5㎜의 포착폭으로 수평적으로 유지시 10° 이하의 편각을 나타내는 구강 접착 쉬트.
  18. 제14항에 있어서, 섹션이 치은 점막에 적용하기위한 섹션인 구강 접착 쉬트.
  19. 제14항에 있어서, 감압성 접착층이 약물을 함유하고, 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에서 일정량의 물중에서 5중량% 이하의 양으로 용해되는 접착성 중합체 및/또는 일정량의 물이 존재할 때 5중량% 이하의 양으로 물을 흡수하는 접착성 중합체로부터 형성되는 구강 접착 쉬트.
KR1020000010475A 1999-03-03 2000-03-02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 KR1006024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56249 1999-03-03
JP05624999A JP4808294B2 (ja) 1999-03-03 1999-03-03 口腔内貼付製剤
JP99-130768 1999-05-12
JP11130768A JP2000319167A (ja) 1999-05-12 1999-05-12 口腔内貼付シ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402A KR20000071402A (ko) 2000-11-25
KR100602403B1 true KR100602403B1 (ko) 2006-07-20

Family

ID=26397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475A KR100602403B1 (ko) 1999-03-03 2000-03-02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6325993B1 (ko)
EP (1) EP1034781A3 (ko)
KR (1) KR100602403B1 (ko)
CA (1) CA2299950C (ko)
TW (1) TWI2488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248820B (en) * 1999-03-03 2006-02-11 Nitto Denko Corp Oral adhesive sheet and oral adhesive preparation
US6914169B1 (en) 2000-05-19 2005-07-05 Hisamitsu Pharmaceutical., Inc. Patch agent
JP4459414B2 (ja) * 2000-08-24 201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口腔内貼付製剤
JP2002080348A (ja) * 2000-08-31 2002-03-19 Nitto Denko Corp 口腔内貼付製剤
JP4820024B2 (ja) * 2001-01-10 2011-11-24 昭和薬品化工株式会社 局所麻酔用組成物
US20020156410A1 (en) * 2001-04-19 2002-10-24 Roger Lawry Scar tissue treatment bandage and method
ATE392863T1 (de) * 2001-08-17 2008-05-15 Smithkline Beecham Plc Streifen zur abgabe eines mundpflegewirkstoffes
US20060190040A1 (en) * 2001-09-27 2006-08-24 Roby Mark S Coated surgical needles
US6649669B2 (en) * 2001-12-28 2003-11-18 American Dental Association Health Foundation Single solution bonding formulation
US6821325B1 (en) * 2002-03-25 2004-11-23 Jeffrey D. Williams Multi-surface anti-bacterial protective device
US8956160B2 (en) * 2002-07-02 2015-02-17 Ranir, Llc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oral care agent
JP4468669B2 (ja) * 2003-09-22 2010-05-26 久光製薬株式会社 低刺激性貼付剤
US7168951B2 (en) * 2004-06-09 2007-01-30 Ultradent Products, Inc. Reinforced gingival retraction cord
WO2006036936A2 (en) * 2004-09-27 2006-04-06 Bridge Pharma, Inc. The s-isomer of 2-{2-[n-(2-indanyl)-n-phenylamino]ethyl}piperidine and other dermal anesthetic agents
US20060099550A1 (en) * 2004-11-10 2006-05-11 Ranir/Dcp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livering an oral care agent
CN101252923B (zh) * 2005-09-20 2010-11-03 久光制药株式会社 贴剂
CN101370893B (zh) * 2006-01-19 2012-11-14 陶氏康宁公司 用于粘合到湿表面上的有机硅粘合剂
WO2008011161A2 (en) * 2006-07-21 2008-01-24 Bridge Pharma, Inc. Dermal anesthetic compounds
US7901208B2 (en) * 2006-10-20 2011-03-08 Ultradent Products, Inc. Chemically impregnated absorbent gingival retraction cord comprising silk
US7922487B2 (en) 2008-06-09 2011-04-12 Ultradent Products, Inc. Chemically pre-impregnated silk retraction cords having increased strength
NZ592359A (en) * 2008-09-26 2012-10-26 Suzana Hillhouse Transdermal delivery device and method
US8978661B2 (en) 2010-08-05 2015-03-17 Altria Client Services Inc. Composite smokeless tobacco products, systems, and methods
BR112013002861A2 (pt) 2010-08-05 2016-06-07 Altria Client Services Inc tecido tendo tabaco emaranhado com fibras estruturais
WO2014152945A1 (en) 2013-03-14 2014-09-25 Altria Client Services Inc. Fiber-wrapped smokeless-tobacco product
EP2967122A1 (en) 2013-03-15 2016-01-20 Altria Client Services LLC Pouch material for smokeless tobacco and tobacco substitute products
US20150147555A1 (en) * 2013-11-23 2015-05-28 Orahealth Corporation Multilayer mucoadhering patch with a nonadhering layer comprising casein
WO2015138899A2 (en) 2014-03-14 2015-09-17 Altria Client Services Inc. Polymer encased smokeless tobacco products
CA2942875C (en) 2014-03-14 2022-07-19 Altria Client Services Llc Product portion enrobing process and apparatus
JP6281968B1 (ja) 2016-07-27 2018-02-21 株式会社リタファーマ 口腔粘膜貼付材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7127452A1 (de) * 2017-11-21 2019-05-23 Lts Lohmann Therapie-Systeme Ag Wasserlösliche Polymerklebschichten
US11058634B2 (en) 2018-11-19 2021-07-13 Steven J. Edwards Adherent oral pharmabiotic delivery strip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6080A1 (en) * 1984-03-05 1985-10-02 Nitto Denko Corporation Percutaneous absorption type adhesive pharmaceutical preparation
WO1991006290A1 (en) * 1989-11-03 1991-05-16 Riker Laboratories, Inc. Bioadhesive composition and patch
WO1992002619A1 (fr) * 1990-08-03 1992-02-20 Teijin Limited Plasmide destine a la production d'une proteine inhibant la phospholipase a2 derivee d'une region enflammee, cellule microbienne, et production et utilisation de ladite proteine
US5827525A (en) * 1995-09-12 1998-10-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uccal delivery system for therapeutic agents
KR100343877B1 (ko) * 1993-05-06 2002-12-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에스트라디올을함유하는경피치료시스템
KR100363052B1 (ko) * 1994-01-07 2003-02-11 노벤 파머수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용해증강제로서폴리비닐피롤리돈을함유하는경피형기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2995A (en) 1975-04-14 1976-08-03 American Home Products Corporation Dosage form
US5750134A (en) * 1989-11-03 1998-05-12 Riker Laboratories, Inc. Bioadhesive composition and patch
TWI248820B (en) * 1999-03-03 2006-02-11 Nitto Denko Corp Oral adhesive sheet and oral adhesive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6080A1 (en) * 1984-03-05 1985-10-02 Nitto Denko Corporation Percutaneous absorption type adhesive pharmaceutical preparation
WO1991006290A1 (en) * 1989-11-03 1991-05-16 Riker Laboratories, Inc. Bioadhesive composition and patch
EP0498841A1 (en) * 1989-11-03 1992-08-19 Riker Laboratories Inc BIOADHESIVE COMPOSITION AND PLASTER.
WO1992002619A1 (fr) * 1990-08-03 1992-02-20 Teijin Limited Plasmide destine a la production d'une proteine inhibant la phospholipase a2 derivee d'une region enflammee, cellule microbienne, et production et utilisation de ladite proteine
KR100343877B1 (ko) * 1993-05-06 2002-12-05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에스트라디올을함유하는경피치료시스템
KR100363052B1 (ko) * 1994-01-07 2003-02-11 노벤 파머수티컬즈, 인코퍼레이티드 용해증강제로서폴리비닐피롤리돈을함유하는경피형기구
US5827525A (en) * 1995-09-12 1998-10-27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uccal delivery system for therapeutic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455030B2 (en) 2002-09-24
KR20000071402A (ko) 2000-11-25
EP1034781A3 (en) 2000-10-11
EP1034781A2 (en) 2000-09-13
US20010041166A1 (en) 2001-11-15
CA2299950A1 (en) 2000-09-03
CA2299950C (en) 2010-09-21
TWI248820B (en) 2006-02-11
US6325993B1 (en) 2001-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3B1 (ko)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
JP4619894B2 (ja) 粘膜表面への、薬剤化合物の送達に適する薬剤キャリアデバイス
KR20040039290A (ko) 약물 및 다른 활성 화합물의 제어 투여를 위한 점막접착성침식성 약물 송달 장치
JPS63160649A (ja) 口腔貼付用基材
JP2008512214A (ja) ポリマー間の相互作用の機構を使用する、ポリマー性接着組成物の調製方法
KR100759656B1 (ko) 구강내 첩부 제제
JP2007211030A (ja) 粘膜表面および身体組織に付与可能な薬学的ゲル調製物
KR100759657B1 (ko) 구강내 부착용 제제
JP4808294B2 (ja) 口腔内貼付製剤
JP2003519641A (ja) 局所的薬用生体接着剤組成物、並びにその使用法および調製法
JP4295488B2 (ja) 経皮吸収型貼付製剤
WO2022215693A1 (ja) 歯科用局所麻酔マイクロニードルアレイ
AU769500B2 (en) Pharmaceutical carrier device suitable for delivery of pharmaceutical compounds to mucosal surfaces
JP2002080350A (ja) 口腔内麻酔製剤
JP2000319167A (ja) 口腔内貼付シート
JP2002068968A (ja) 口腔内貼付製剤
JP2004331631A (ja) 口腔内投与製剤
JPS6368523A (ja) 外用貼付製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