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9657B1 - 구강내 부착용 제제 - Google Patents

구강내 부착용 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9657B1
KR100759657B1 KR1020010053174A KR20010053174A KR100759657B1 KR 100759657 B1 KR100759657 B1 KR 100759657B1 KR 1020010053174 A KR1020010053174 A KR 1020010053174A KR 20010053174 A KR20010053174 A KR 20010053174A KR 100759657 B1 KR100759657 B1 KR 100759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tion
nonwoven fabric
attachment
intraoral
dr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3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8588A (ko
Inventor
사이토준이치
니노미야가즈히사
이토마사아키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18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8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525Coating or impregnation functions biologically [e.g., insect repellent, antiseptic, insecticide, bactericide, et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Adhesive Tap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Dental Prepa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형 복합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위에 형성되는 약품 함유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포함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의 분할 후 단면 형상이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최장 직경의 길이(DL)가 5 내지 15㎛이며 상기 최장 직경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최장 선분의 길이(DS)가 2 내지 10㎛인 구강내 부착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구강내 부착용 제제{INTRAORAL ADHESIVE PREPARATION}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분할형 복합 섬유의 한 가지 실시 양태의 개략적인 도이다.
도 2는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된 후의 도 1의 분할형 복합 섬유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으로서, 중앙부 부근에는 단면이 대략적인 원 형상인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가 1개 보이고, 주변부 부근에는 단면이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인 분할된 분할형 복합 섬유가 다수 보인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의 한 가지 실시 양태의 개략적인 도이다.
본 발명은 구강내에 적용되며, 구강내의 약물 투여용으로 사용되는 부착용 제제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구강내 약물 투여용 제제로는 액체, 연고, 젤리, 스프레이 등이 포 함된다. 이들 제제에서, 타액으로의 약물의 불필요한 누출 및 약물이 필요치 않은 부위로 이동하는 것이 필연적인데, 이는 용액이 유동하며, 연고 및 젤리의 기제 물질이 용해되고, 스프레이가 과량으로 적용될 수 있는 등의 이유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이들 제제는 환자가 쓴 맛 등과 같은 불편함으로 불필요하게 고생하며 약물의 이용률을 감소시켜 충분한 약물 효능을 방해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 타액 등의 수분으로 젖어 있는 구강 점막에서도 양호한 접착성을 갖는 제제로서, 수용성 또는 수팽윤성의 고분자를 약품 함유 접착제층의 기제로 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수분에 의해 용해되거나 팽윤되기 때문에, 타액 등에 접촉하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팽윤력에 의해 박리 탈락되고, 용해 또는 팽윤에 의해 약품이 누출되고 씻겨나가는 등의 종래의 투여방법에서와 같은 문제점이 생길 우려가 있다.
더욱이, 최근에는 외피 경유 약물 투약 수단으로서 감압성 접착제를 사용한 다양한 경피 흡수형 의약품이 고안되었으며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경피 흡수형 의약품은 여러 양태를 포함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약물을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층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 지지체층으로 이루어진 접착 시이트형의 제제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점착 시이트형 제제가 구강 점막에 대해 적합한 접착력을 갖는 경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접착제층과 타액의 접촉을 충분히 차단하고, 감압성 접착제층이 약물의 용해 또는 누출을 막아주기 때문에 환자에 의해 느껴지는 쓴 맛 등으로 인한 불필요한 불편함을 예방하거나, 약물의 이용률을 저하시켜 충분한 약효를 얻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피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렇지만, 상기 점착성 시이트형 제제는 구강내에 실제로 적용된 예가 없었다. 이는 상기 점착성 시이트형 경피 흡수 제제용으로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단지 약 12 ㎛의 두께인 경우에도 상당히 딱딱하고 요철이 많아서, 감각이 예민한 구강내에 적용되었을 경우에 곡면으로의 추종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밀착성이 떨어지고 착용시에 이질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필름이 얇으면 취급성이 떨어져서 구강내에 시이트를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
한편, 지지체로서 폴리에틸렌, 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가요성 필름을 포함하는 제제는 곡면에 대한 양호한 추종성을 보여주므로 적용 위치에 대한 접착력을 강화시키지만, 가요성으로 인해 취급성이 떨어져서 구강내로의 적용이 곤란하게 된다. 가요성 필름은 필름 내부에서 약물이 이동하는 경향이 많으므로, 약물의 안정성에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그 목적은 지지체와 점착성 플라스터 층의 앵커(anchor) 효과가 양호하고, 우수한 가요성으로 인해 요철이 있는 표면에 대한 접착성이 뛰어나서 딱딱함과 같은 이질감을 없애고, 구강내와 같은 협소한 부위에서도 취급성이 양호하며, 타액으로 인한 약물의 누출 및 씻겨나감이 거의 없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주의깊게 검토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 르렀다. 즉,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로 제조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약물 함유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포함하고, 분할형 복합 섬유는 분할 후에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최장 직경의 길이(DL)는 5 내지 15㎛이며 상기 최장 직경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최장 선분의 길이(DS)는 2 내지 10㎛이다. 본 발명의 시이트는 상기 목적을 달성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DL/DS 비는 1.5 내지 2.5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는 단면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조합된 2종 이상의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 복합 섬유를 분할시킴으로써 수득되며, 분할 횟수는 16 이상이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부직포는 0.1㎟의 단면적에 1 내지 50개의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를 함유한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부직포는 300 내지 600㎛의 두께 및 0.17 내지 0.25 g/㎤의 밀도를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양태에서, 상기 구강내 점착 제제는 0.5 내지 1.5㎝의 단직경 및 1 내지 3㎝의 장직경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이라는 용어는 넓은 의미에서 삼각형이라는 것을 의미하며, 수학적인 삼각형 형상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대략적인 부채 꼴, 한 변이 곡선이어서 오목형 또는 볼록형을 형성하는 삼각형 형상, 둥그스름한 모서리를 갖는 다각형을 닮은 삼각형 형상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분할 전의 분할형 복합 섬유의 중심이었던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의 정점으로부터 분할전의 분할형 복합 섬유의 외부 둘레를 형성하였던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부채꼴)의 호에 이르는 선분중 가장 긴 것을 최장 직경(그 길이가 DL)으로 한다. 또한, 최장 직경과 수직으로 교차하고 삼각형의 가장자리를 가로지르는 선분중 가장 긴 선분은 DS의 길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분할형 복합 섬유"란 용어는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중합체 성분을 예비결정된 수로 분할된 방적기로 복합시켜 방사함으로써 수득되는 복합 섬유를 말한다. 이러한 분할형 복합 섬유는 예를 들어 한쪽 중합체 성분을 추출함으로써, 또는 강한 충격(예컨대, 고압 수 스트림)를 적용함으로써 오렌지가 얇은 조각으로 잘렸을 때 분리된 오렌지의 단면과 같이 더욱 가는 섬유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하에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상에 형성되는 약물 함유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할형 복합 섬유의 섬유 재료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형성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비스코스 레이온, 구리 암모늄 레이온, 디아세테이트, 트리아세테이트, 나일론,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 드),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우레탄, 폴리알킬렌파라옥시벤조에이트, 폴리클랄(염화비닐과 폴리비닐알콜의 1:1 혼합물) 등으로부터 수득된 2종 이상의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분할형 복합 섬유가 사용된다. 특히, 안전성, 안정성, 경제성 등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분할형 복합 섬유가 사용하기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분할형 복합 섬유의 분할 후의 단면 형상은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이고,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에서 최장 직경의 길이(DL)는 5㎛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3㎛이고, 또한 상기 최장 직경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최장 선분의 길이(DS)는 2㎛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이다. DL 및 DS가 상기 범위보다 짧을 경우, 섬유는 더 가늘어지고 가요성이 너무 높아져서 수득된 구강내 의료 점착 시이트의 취급성이 열화된다. 또한, 섬유 사이 간격이 너무 좁으므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이 충분히 침투되지 않고 앵커 효과가 작아진다. DL 및 DS가 상기 범위보다 길 경우, 섬유는 더 두꺼워지고 가요성이 열화된다. 그 결과, 수득된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접착시에 불쾌한 이질감을 유발한다.
상기 DL와 DS의 비(DL/DS)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더욱 바람직하게는 1.7 내지 2.3이다. DL/DS의 비가 1.5보다 작을 경우, 섬유는 이등변 삼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져서, 섬유간의 간격이 더욱 넓어지게 한다. 이것은 가요성이 너무 높아 지게 함으로써 수득된 구강내 부착용 제제의 취급성을 열화시킨다. DL/DS의 비가 2.5보다 클 경우, 섬유는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짐으로써 섬유의 얽힘(interlacing)이 충분히 수행되지 않음으로 인해 촉감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분할형 복합 섬유는 분할후에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을 가지고, 비-크림프 경향을 나타낸다. 따라서, 높은 섬유 밀도를 갖는 치밀한 부직포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부직포 표면의 점착성 플라스터 층과의 접촉 면적이 넓으므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은 부직포에 대한 우수한 접착성을 나타낸다. 대략적인 삼각형이 5㎛ 내지 15㎛의 최장 직경의 길이(DL), 및 최장 직경과 수직으로 교차하는 2㎛ 내지 10㎛의 최장 선분의 길이(DS)를 갖기 때문에, 점착성 플라스터 층은 적합하게 치밀한 섬유 사이의 간극에 바람직하게 진입하여 양호한 앵커 효과, 및 가요성을 유지하면서 적절한 딱딱함을 나타낼 수 있다. DL/DS의 비가 1.5 내지 2.5로 조정되는 경우, 필요시에 상기 특성이 나타날 수 있다.
의약품 용도를 위한 전형적인 부직포는 신축성 습포제의 기포로서,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크림프 섬유를 니들 천공법 또는 스펀 레이스법에 의해 얽음으로써 수득된 신축성 부직포가 언급되었다. 이러한 부직포는 코일 형태의 크림프로 상호 얽혀 있고, 대략 원형의 섬유 단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신축성이 풍부하고, 또한 가요성이 우수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직물은 15㎛ 이상의 직경을 갖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 때문에, 점착성 플라스터 층과 접하는 부직포 표면의 섬유가 분할형 복합 섬유에 비해 더 분산되며, 플라스터의 종류에 따라서는 앵커 효과가 불충분해진다. 또한, 습포제의 기포로 사용되는 부직포는 전반적으로 두께가 800㎛ 이상인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들을 사용한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부착 부위에 따라서는 현저한 이질감을 준다. 또한, 신축성 부직포는 가요성이 매우 높고 유연하기 때문에, 이러한 직물을 사용한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제제의 크기에 따라서는 매우 취급성이 열화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분할형 복합 섬유의 한 가지 실시 양태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이다. 분할형 복합 섬유(1)는, 그 대략적인 원형 단면의 거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선상으로 결합된 2종 이상의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복합 섬유를 예비결정된 수로 분할하여 얻어지며, 거의 중심축의 주위에 각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의 단면을 갖는 복수의 분획(2)을 갖는다. 분할형 복합 섬유(1)는 각각의 섬유 재료로 이루어진 분획(2)이 원주 방향으로 교대로 나타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1)를 얻는 방법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컨대 내부가 예비결정된 수로 분할된 방적돌기를 사용하여 성질이 다른 2종 이상의 중합체 성분(이 중합체 성분들은 각각 섬유 재료를 형성한다)을 복합하여 방사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분할수는, 일반적으로는 8 또는 16이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바람직하게는 16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다. 상기 분할수가 16보다 작은 경우, 바람직한 DL/DS 비를 갖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얻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1)의 섬유 직경 및 섬유 길이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 며, 예를 들어 섬유 직경이 20 내지 22㎛, 섬유 길이가 40 m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또한,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1)의 단면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대략적인 타원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분할형 복합 섬유의 분할 방법은 특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분할형 복합 섬유를 수 스트림 중에 맞도록 하여 분할시킬 수 있다. 도 2는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시킨 후의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1)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전자 현미경 사진이다. 도 2의 중앙부 부근에는 단면이 대략적인 원형 형상인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가 1개 보이고, 주변부 부근에는 단면이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인 분할된 분할형 복합 섬유가 다수 보인다.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1)의 경우, 분할 후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인 단면에서의 DL은 약 10㎛ 정도이며, DS는 약 5㎛ 정도이다.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1)의 재료로는 상기 각종 섬유 재료를 들 수 있고, 이것들의 조합물로서는 폴리에스테르/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폴리에틸렌이 바람직하다. 이것들의 배합비(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는 바람직하게는 35:65 내지 65:35, 보다 바람직하게는 40:60 내지 60:40, 가장 바람직하게는 45:55 내지 55:45(중량%:중량%)이다. 배합비가 상기 범위 밖인 경우, 수득되는 분할형 복합 섬유를 깨끗히 분할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분할된 분할형 복합 섬유는, 보통의 공정, 예컨대 스펀 레이스법, 스펀 본드법, 니들천공법 등에 의해 부직포로 마무리되지만, 점착성 플라스터 층과의 앵커 효율, 느낌 및 안전성의 측면에서 스펀 레이스법에 의해 제조 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O.1mm2의 단면 중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개의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를 함유한다. 부직포중에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를 함유함으로써, 부직포의 형태 유지성이 향상되고, 따라서 제제의 치수 안정성이 향상된다. 더욱이, 적절한 강성을 갖게 됨으로써 제제의 취급성이 향상된다. 부직포의 0.1mm2의 단면에 포함되는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의 수가 지나치게 많으면, 부직포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이러한 부직포를 사용한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요철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하여 부착시에 현저한 이질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부직포는, 두께가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600㎛, 보다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500㎛이며, 또한 밀도가 바람직하게는 0.17 내지 0.25g/cm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g 내지 0.23g/cm3이다. 여기에서 말하는 「두께」란, JIS L1085 (부직포 심지 시험방법)에 규정되는 두께를 의미하며, 「밀도」란, 상기 두께와 JIS L1085(부직포 심지 시험방법)에 규정되는 질량으로부터 산출되는 단위 부피당 질량을 의미한다.
상기 두께 및 밀도를 갖는 부직포를 사용한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적합한 두께 및 딱딱함을 갖고, 따라서 점착성 시이트 제제가 방출 라이너부터 박리될 때 또는 점착성 시이트 제제를 구강내에 적용시킬 때 우수한 취급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시이트는 적절히 밀도가 높으므로 타액 등의 수분이 배어들기 어렵고, 구강내 부착시에 타액에 의한 약품의 누출 및 씻겨나감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점착성 플라스터 층과의 접착에 관여하는 부직포 표면의 섬유의 양이 적당하게 되므로 점착성 플라스터 층과 부직포의 앵커 효과가 양호하게 된다.
부직포의 두께가 300㎛보다 얇아지면, 취급성이 저하되고 타액 등의 수분이 배어들기 쉽게 되며, 600㎛보다 두꺼워지면, 부착시에 현저한 이질감을 줄 우려가 있다. 또한, 부직포의 밀도가 0.17g/cm3보다 낮게 되면, 취급성이 저하됨과 동시에 타액 등의 수분이 배어들기 쉽게 되고, 또한 점착성 플라스터 층과의 앵커 효과가 낮아지며, 0.25 g/cm3보다 높아지면 강성이 증가하므로 이 부직포를 사용한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요철에 대한 추종성이 저하하여 부착시에 현저한 이질감을 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약품은 실질적으로 구강내에서 경점막 투여가 가능한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전신성 약품으로서는, 코르티코스테로이드류, 진통 소염제, 최면 진정제, 정신 안정제, 항고혈압제, 항압 이뇨제, 항생 물질, 전신 마취제, 항균제, 항진균제, 비타민제, 관혈관 확장제, 항히스타민제, 진해제, 성 호르몬, 항울제, 뇌순환 개선제, 제토제, 항종양제, 생체 의약 등을 들 수 있다. 국소성 약품으로서는, 예컨대 리도카인 등의 국소마취제, 테트라사이클린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의 치과용 항생물질,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등의 살균소독제, 클로로헥시딘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등의 구강내 감염 예방치료제, 아줄렌 등의 소염제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카인, 프로카인, 클로로프로카인, 테트라카인, 벤조카인, 리도카인, 메피바카인, 프릴로카인, 부피바카인, 디부카인, 프로폭시카인, 에티도카인, 디클로닌, 옥시부프로카인, 테카인, 아메토카인, 프로피토카인, 피페로카인, 콰타카인, 부타카인, 메프릴카인, 아밀로카인, 이소부카인, 트리카인, 파레톡시카인, 피로카인, 헥실카인, 메타부톡시카인, 크실로카인, 옥세타자인, 피리독신, 디메티소킨, 에틸 아미노벤조에이트, 에틸 피페리디노아세틸 아미노벤조에이트, 벤질 알콜, 클로로부탄올 및 이들의 약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국소 마취약이 사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리도카인, 염산 리도카인, 테트라카인, 벤조카인이 사용된다.
감압성 접착제층내 이들 약물의 함량은 약물의 종류, 투여 목적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결정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70중량%이다.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 치료 또는 예방에 효과량으로 약물을 방출하지 못하고, 이에 비해 함량이 80중량%를 넘는 경우, 접착제 특성이 저하되어 충분한 접착성을 잃게 되어 치료 또는 예방 효과를 제한하며 경제적으로 불리하게 된다.
약물은 약물 효능(사용 목적)에 따라서 결정이 과포화에 의해 침전된 감압성 접착제층내에서 용해된 상태로 함유되거나 감압성 접착제층내에 분산된다. 이런 방식으로, 다양한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을 위한 구강내 부착용 제제가 수득될 수 있다.
감압성 접착제층은 실질적으로 구강 점막에 접착될 수 있는 한 임의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는 상온에서 감압 접착성을 나타내는 임의의 중합체를 베이스(base)로 사용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형성된다.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에 실질적으로 비흡수성인 감압성 접착제층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인 감압성 접착제층 또는 물에 실질적으로 비흡수성인 감압성 접착제층"이란 20℃의 물에서 5중량% 이하의 가용성을 나타내고 상온에서 감압 접착성을 나타내는 점착성 중합체 및/또는 20℃의 물에서 5중량% 이하의 흡수량을 나타내고 상온에서 감압 접착성을 나타내는 점착성 중합체를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형성된 감압성 접착제층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이거나 물에 실질적으로 비흡수성인 감압성 접착제층용으로 사용될 접착제의 예로는 아크릴성 접착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폴리이소프렌, 폴리이소부틸렌, 폴리부타디엔 등과 같은 고무 접착제; 실리콘 고무, 디메틸실록산 기재 실리콘, 디페닐실록산 기재 실리콘 등과 같은 실리콘 접착제; 폴리(비닐 메틸 에테르), 폴리(비닐 에틸 에테르), 폴리(비닐 이소부틸 에테르) 등과 같은 비닐 에테르 접착제; 비닐 아세테이트-에틸렌 공중합체 등과 같은 비닐 에스테르 접착제; 카복실산 성분(예컨대, 디메틸 테레프탈레이트, 디메틸 이소프탈레이트, 디메틸 프탈레이트 등) 및 다가 알콜 성분(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접착제 등이 포함된다. 이들 중에서, 아크릴성 접착제가 천 고정 효과, 점막에 대한 접착, 약물 가용성, 약물 안정성 등과 같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언급된 아크릴성 접착제는 주요 성분인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를 작용성 단량체와 함께 공중합함으로써 수득된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예로는 알 킬(메트)아크릴레이트(이때, 이의 알킬기는 탄소수 4 내지 13의 직쇄 알킬기 또는 분지쇄 알킬기이며, 예컨대, 부닐, 펜틸, 헥실, 헵틸, 옥틸, 2-에틸헥실, 노닐, 데실, 운데실, 도데실, 트리데실 등이고,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가 포함된다.
상기 언급된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와 공중합될 작용성 단량체는 분자내에 공중합 반응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불포화 이중 결합 및 측쇄내 작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작용성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산, 이타코닌산, 말레산, 말레산 무수물 등과 같은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하이드록실기 함유 단량체; 스티렌설폰산, 알릴설폰산, 설포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메트)아크릴로일옥시나프탈렌 설폰산, 아크릴아미드 메틸프로판설폰산 등과 같은 설포기 함유 단량체;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급-부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미노기 함유 단량체; (메트)아크릴아미드, 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비닐아세트아미드 등과 같은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 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디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프로필린 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알콕시기 함유 단량체 등이 포함된다. 이들 이외에도, 공중합용 단량체의 예로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N-비닐-2-피롤리돈, 메틸비닐피롤리돈,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카프로락탐,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역효과를 내지 않는 한, 탄소수 1 내지 3 또는 14 이상의 알킬기를 갖는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가 공중합될 수 있다.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산의 공중합체, 특히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65 내지 99중량%) 및 (메트)아크릴산 (1 내지 35중량%)을 중합함으로써 수득된 공중합체가 본 발명의 아크릴성 접착제로 바람직한데, 이들이 특히 접착제 특성으로서의 감압 접착성 및 고착성, 감압성 접착제층 등내에 함유된 약물의 방출 특성보다 우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감압성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진 점착성 중합체(접착제)가 약물의 투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결정된다. 짧은 시간내에 투여될 필요가 있는 경우, 함유된 약물의 방출이 우수한 점착성 중합체가 선택되고, 긴 시간내에 투여될 필요가 있는 경우, 함유된 약물을 비교적 지속적으로 방출시킬 수 있는 점착성 중합체가 선택된다.
전술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예로는 점착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점착성 부여제(예: 로신, 변성 로신, 석유 수지, 폴리테르펜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부텐 수지, 액상 폴리이소부틸렌 등), 가소제(예: 액상 파라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등), 점착성 플라스터 층 내에서 약물의 용해성 및 확산성을 높이기 위한 흡수 개선제(예: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글리콜류, 및 올리브유, 피마자유, 스쿠알란, 라놀린 등의 유지류), 계면활성제(예: 자당 지방산 글리세린, 스테아릴 알콜,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디에틸 세바케이트, 나트륨 라우릴 술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수소화 피마자유, 콜레스테롤 등), 충전제(예: 카올린, 산화티탄, 탈크,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규산, 알루미늄 수화물, 황산바륨, 황산칼슘, 마그세늄 알루미노메타실리케이트 등)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의 제조법은 임의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약물, 점착성 중합체 등을 용매중에 용해하거나 분산시키고, 수득된 용액 또는 분산액을 지지체의 한면상에 도포하고 건조시켜 지지체의 한면상에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또한, 이는 상기 언급된 용액 또는 분산액을 보호 방출 라이너상에 도포하고, 이를 건조시켜 방출 라이너상에 감압성 접착제층을 형성하고, 방출 라이너상의 감압성 접착제층을 지지체에 접착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 경우, 제조, 운송 또는 저장 동안 장비, 용기 등에 감압성 접착제층이 예상치 못하게 접촉되고 접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구강 점막에 접착시키기 바로 전까지 방출 라이너를 적용하고 구강 점막에 접착하는 경우 방출 라이너를 분리시켜 접착용 감압성 접착제층을 노출시킴으로써 감압성 접착제층의 노출 표면을 보호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감압성 접착제층의 접착성의 저하 및 약물의 질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방출 라이너의 물질은 사용시 감압성 접착제층으로부터 쉽게 방출될 수 있는 한 임의로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합성 수지 필름, 목질이 없는 페이퍼와 같은 페이퍼, 글라신지 등, 목질이 없는 페이퍼 또는 글라신지 등의 적층 필름 및 폴리올레핀 필름 등이 사용되며, 이때 감압성 접착제층에 접촉될 표면을 방출 처리용 실리콘 수지, 플루오로카본 수지 등으로 피복한다. 방출 라이너는 일반적으로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의 두께를 갖는다.
감압성 접착제층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50㎛의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단직경이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5㎝,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1.3㎝이며, 장직경이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6㎝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단직경" 및 "장직경"이라는 용어는 임의의 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최단 직경 및 최장 직경을 각각 의미한다.
상기 크기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취급성이 뛰어나고, 치은 등의 구강내 적용 부위에도 알맞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용 시트 제제의 단직경 및 장직경이 상기 크기 범위보다 짧은 경우, 상기 제제는 적용 부위를 충분히 덮을 수 없어 목적하는 약효를 기대할 수 없으며 취급성이 저하된다. 부착용 시트 제제의 단직경 및 장직경이 상기 크기 범위보다 긴 경우, 상기 제제는 적용 부위에 부착되지 못하며 취급성이 또한 저하된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의 형상은 실질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한 임의 의 특정한 형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정방형, 삼각형, 육각형 등을 들 수 있다. 제조 및 사용면에서 정방형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사용시 취급성 및 촉감 사이에서의 균형을 위해서, 15 내지 6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mm의 JIS-L1085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굴곡 강도(45°캔틸레버법에 의한다)를 갖는다. 굴곡 강도가 상기 범위보다 적은 경우, 취급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면, 치아 부분, 혀 부분 등에 의해 형성된 바와 같은 복잡하고도 좁은 간격에 시이트를 구강내 접착시키는 것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굴곡 강도가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 적용시 이질감이 쉽게 느껴지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가 국소 약물을 함유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로 제조되는 경우, 이는 주로 치경에 접착되어 약물 효능을 신속히 나타낸다. 본 발명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가 조직 계통 약물을 함유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로 제조되고, 이는 은협이행부, 구순 점막, 저성문(hypoglottis), 치경 등에 접착되며, 약물 효능은 10분 내지 수 시간 동안 유지된다. 본 발명의 조직 계통 약물을 함유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가 상부 구순 점막 또는 상악골 치경에 접착되는 경우, 타액과의 접촉이 감소되므로 약물 효능이 장기간 동안 유지되며, 시이트가 구순 및 치은에 의해 압착 유지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방식으로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는 않는다. 하기 기술내용에서, "부"란 "중량부"를 의미하며 부직포의 두께 및 질량이 JIS-L1085에 정의된 방법에 따라 서 측정된다.
실시예
접착성 용액 A의 제조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95부) 및 아크릴산(5부)을 불활성 가스 분위기하에서 에틸 아세테이트중에서 공중합시켜 접착성 용액 A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용액 B의 제조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50부,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5부 및 비닐 아세테이트 25부를 에틸 아세테이트중에서 공중합시켜 점착제 용액 B를 제조하였다.
점착제 용액 C의 제조
불활성 기체 분위기하에서 2-메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 65부, 비닐피롤리돈 30부 및 아크릴산 5부를 에틸 아세테이트중에서 공중합시켜 점착제 용액 C를 제조하였다.
고무 중합체 용액 D의 제조
폴리이소부틸렌(점도평균분자량: 120,000) 50부, 폴리이소부틸렌(점도평균분자량: 60,000) 30부 및 지환족 석유 수지(점착성 부여제, 연화점: 100℃) 20부를 헥산중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고무 중합체 용액 D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점착제 용액 A(고형물) 40부에 리도카인 6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박리 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20분할의 분할형 복합섬유(폴리프로필렌 함량: 55중량%, 폴리에스테르 함량: 45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10㎛, DS= 5㎛, DL/DS= 2) 얽히게 짜서(interlace) 제조한 부직포(두께: 420㎛, 밀도: 0.21g/㎤,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섬유의 수: 12섬유/0.1㎟단면)에 상기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점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의료용의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부착용 시트 제제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직경이 약 1㎝이고 장직경이 약 1.4㎝인 정방형으로 천공하여, 방출 라이너(3)상에 배치된 다수의 시험편(4)을 수득하였다. 도 3에 있어서, L1= 63㎜, L2= 50㎜, L3=L4= 10㎜, L5=L6= 7㎜, L7=L8= 3㎜, L9=L10= 7㎜이다.
비교예 1
점착제 용액 A(고형물) 40부에 리도카인 6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필름(두께 12㎛)에 점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의료용의 구강내 부착용 시트를 제 조하였다. 수득된 시트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직경이 약 1㎝이고 장직경이 약 1.4㎝인 정방형으로 천공하여, 방출 라이너(3)상에 배치된 다수의 시험편(4)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2
점착제 용액 A(고형물) 40부에 리도카인 6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섬유 직경이 20㎛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스펀 레이스된(spun laced) 연신성 부직포(두께: 700㎛, 밀도: 0.14g/㎤)에 점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의료용의 구강내 부착용 시트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부착용 시트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직경이 약 1㎝이고 장직경이 약 1.4㎝인 정방형으로 천공하여, 방출 라이너(3)상에 배치된 다수의 시험편(4)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3
점착제 용액 A(고형물) 40부에 리도카인 60부를 첨가하고 혼합하여 용해시켰다.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0㎛로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섬유 직경이 4㎛이고 섬유 단면이 원형상인 폴리에스테르 섬유로 제조된 스펀 레이스된 부직포(두께 325㎛, 밀도: 0.23g/㎤)에 점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의료용의 구강내 부착용 시트를 제조하 였다. 수득된 시트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직경이 약 1㎝이고 장직경이 약 1.4㎝인 정방형으로 천공하여, 방출 라이너(3)상에 배치된 다수의 시험편(4)을 수득하였다.
실용성 평가
실시예 1, 비교예 1, 2 및 3의 시험편을 미리 탈지면으로 가볍게 수분을 닦아낸 상악 치은내에 적용하였다. 상기 시험편의 방출 라이너로부터의 박리 용이성,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적용 부위에 대한 밀착성, 부착감, 사용시의 쓴 맛, 적용 부위로부터의 박리 용이성, 박리시 풀 잔존성 및 약리 효과를 하기의 방법에 따라 5명의 대상자에게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표 1에는 5명 대상자의 평가 점수의 평균치가 기재되어 있다.
방출 라이너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라이너상에 배치된 시험편을 각각 왼쪽 손의 엄지 손가락과 집게 손가락을 사용하여 위치 A에 두고 핀셋으로 박리시킨다. 이때의 취급성을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0점: 박리하기 어려움, 1점: 박리하기 약간 어려움, 2점: 박리하기 용이함.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핀셋으로 시험편을 각각 자기 이외의 다른 대상자의 상악 치은에 부착시켜 구강내에서의 취급성을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0점: 취급하기 어려움, 1점: 취급하기 약간 어려움, 2점: 취급하기 용이함.
적용 부위에 대한 밀착성
상악 치은내 적용 부위에 대한 각각의 시험편의 밀착성을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0점: 일부가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고 충분히 밀착되어 있지 않음, 1점: 둘레가 약간 느슨하게 부착되어 있고 거의 충분히 밀착되어 있음, 2점: 충분히 밀착되어 있음.
부착감
부착 동안의 불편함을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O점: 불편함을 느낌, 1점: 불편함을 약간 느낌, 2점: 거의 불편함을 느끼지 않음.
사용시 쓴 맛
시험편의 지지체(접착제 시이트)를 약물로 인한 쓴 맛을 평가하기 위해 접착 후 3분 동안 매 30초마다 타액으로 젖은 혀의 끝으로 시험하여 하기 숫자 기준에 따라서 평가하였다.
0점: 접착 후 1분 이내에 느껴지는 쓴 맛, 1점 : 접착 후 1분 이내 및 3분 이내에 느껴지는 쓴 맛, 2점: 접착 후 3분 후에서조차 느껴지지 않는 쓴 맛.
적용 부위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부착한지 3분 후에 시험편을 각각 핀셋으로 박리하였다. 이때의 취급성을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0점: 박리하기 어려움, 1점: 박리하기 약간 어려움, 2점: 박리하기 용이함.
박리시 풀 잔존성
시험편을 박리하고, 시험편의 적용 부위에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의 잔류 정도를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0점: 부착 면적의 10% 이상으로 잔류함, 1점: 부착 면적의 10% 미만으로 잔류함, 2점: 잔류하지 않음.
약리 효과
시험편을 박리하고, 적용 부위를 주사 바늘로 자극하였다. 마취 효과를 하기 점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0점: 통증을 느낌, 1점: 통증을 약간 느낌, 2점: 통증을 느끼지 않음.
평가 항목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방출 라이너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2.0 0.0 1.6 1.4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2.0 0.6 1.0 0.8
적용 부위에의 밀착성 2.0 0.4 2.0 2.0
부착감 2.0 0.4 2.0 2.0
사용시의 쓴 맛 2.0 2.0 1.4 0.6
적용 부위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2.0 0.2 1.8 1.4
박리시 풀 잔존성 2.0 2.0 0.2 2.0
약리 효과 2.0 1.8 2.0 2.0

타액의 침투성
실시예 1, 비교예 1, 2 및 3의 부착용 시트 제제(하나의 치수가 1㎝×1㎝인 시험편을 갖는 도 3에 도시된 타입)를 방출 라이너가 하향으로 배향되게 비이커의 밑바닥에 배치하고, 37℃로 가열하였다. 37℃에 유지시킨 성인 남자의 타액 1방울(약 25㎎)을 지지체상의 중심부에 적하하고, 비이커를 밀봉하여 37℃에 유지시켰다. 적하 30분 후 타액의 크기 및 경과 도중 타액의 크기를 관찰하여, 타액의 침투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타액 방울의 크기(높이×위로부터 본 최대폭) (㎜) 2.3×4.2 2.1×4.5 20분내에 모두 습윤됨 적하후 즉시 모두 습윤됨
타액의 침투성 저침투성 침투되지 않음 고침투성 고침투성

표 1 및 2로부터, 실시예 1의 부착용 시트 제제는 모든 평가 항목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고, 타액 침투성이 저조함을 알 수 있다. 대조적으로, 지지체로서 PET 필름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부착용 시트 제제는 방출 라이너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적용 부위에 대한 밀착성, 부착감 및 적용 부위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의 평가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또한, 지지체로서 분할형 복합섬유로 제조된 부직포가 없는 비교예 2 및 3의 부착용 시트 제제는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사용시의 쓴 맛 및 박리시 풀 잔존성의 평가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타액의 침투성도 높았다.
실시예 2
점착제 A 용액 40부(고형분)에 리도카인 60부를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20㎛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16-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유(폴리에틸렌계 수지 함량: 50중량%, 폴리프로필렌 함량: 50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두께: 330㎛, 밀도: 0.18 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약 1cm의 단직경 및 약 1.4cm의 장직경을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점착제 B 용액 95부(고형분)에 아줄렌 5부를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40㎛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20-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유(폴리프로필렌 함량: 55중량%, 폴리에스테르 함량: 45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두께: 420㎛, 밀도: 0.21 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의 수: 12섬유/0.lmm2 단면)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약 1 cm의 단직경 및 약 1.5 cm의 장직경을 갖는 타원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4
점착제 C 용액 70부(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가소제) 25부 및 디아제팜(신경 안정제) 5부를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30㎛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20-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유(폴리프로필렌 함량: 55중량%, 폴리에스테르 함량: 45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 (두께: 420㎛, 밀도: 0.21 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의 수: 12섬유/O.1mm2 단면)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직경 약 1.2cm의 원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5
고무계 고분자 D 용액 70부(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가소제) 20부 및 시메티딘(항위암제) 10부를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40㎛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20-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 유(폴리프로필렌 함량: 55중량%, 폴리에스테르 함량: 45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두께: 420㎛, 밀도: 0.21 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의 수: 12섬유/0.lmm2 단면)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약 1cm의 단직경 및 약 2cm의 장직경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6
점착제 B 용액 95부(고형분)에 테트라카인 5부를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40㎛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16-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유(폴리에틸렌계 수지 함량: 50중량%, 폴리프로필렌 함량: 50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두께: 330㎛, 밀도: 0.18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약 0.6cm의 단직경 및 약 1cm의 장직 경의 이등변 삼각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7
점착제 C 용액 70부(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가소제) 20부 및 리도카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10부를 가하여 혼합 용해하여 수득된 용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3O㎛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16-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유(폴리에틸렌계 수지 함량: 50중량%, 폴리프로필렌 함량: 50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두께: 330㎛, 밀도: 0.18 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약 1cm의 단직경 및 약 1.4cm의 장직경을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8
고무계 고분자 D 용액 60부(고형분)에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가소제) 30부 및 벤조카인 10부를 가하여 혼합 분산되어 수득된 분산액을 박리처리한 폴리에스테르 필름(방출 라이너, 두께 75㎛)상에 건조 후의 두께가 약 40㎛이 되도록 도포하고, 건조시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이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친수성기를 갖는 폴리에틸렌계 수지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16-분할의 분할형 복합 섬유(폴리에틸렌계 수지 함량: 50중량%, 폴리프로필렌 함량: 50중량%; 섬유 직경: 20㎛)를 고압 수 스트림에 의해 분할하여(분할 후의 섬유 단면 형상: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 DL = 10㎛, DS = 5㎛, DL/DS = 2) 얽히게 짜서 제조한 부직포(두께: 330㎛, 밀도: 0.18g/cm3,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에 부착시켜 방출 라이너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조하였다. 수득된 제제를 1개의 소편의 치수가 약 1cm의 단직경 및 약 1.4cm의 장직경을 갖는 사각형 형상으로 펀칭하여 도 3에 도시된 제제 시험편을 얻었다.
실시예 2 내지 8에서 수득된 제제 시험편을 미리 탈지면으로 가볍게 건조된 상악 치은의 내부에 적용하였다. 방출 라이너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적용 부위에의 밀착성, 부착감, 사용시의 쓴 맛, 적용부위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박리시의 풀 잔존성 및 약리 효과(실시예 3 내지 5는 제외함)를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5명의 지원자에 의해 평가했다. 그 평가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표 3에서, 5명의 지원자의 평가 점수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방출 라이너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2.0 2.0 2.0 2.0 2.0 2.0 2.0
구강내에서의 취급성 2.0 2.0 2.0 2.0 2.0 2.0 2.0
적용 부위에의 밀착성 2.0 2.0 2.0 2.0 2.0 2.0 2.0
부착감 2.0 2.0 2.0 2.0 2.0 2.0 2.0
사용시의 쓴 맛 2.0 2.0 2.0 2.0 2.0 2.0 2.0
적용부위로부터의 시험편 박리 용이성 2.0 2.0 2.0 2.0 2.0 2.0 2.0
박리시의 풀 잔존성 2.0 2.0 2.0 2.0 2.0 2.0 2.0
약리 효과 2.0 - - - 2.0 2.0 2.0
표 3으로부터, 실시예 2 내지 8의 제제는 모든 평가항목에 있어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 명백하다.
본 출원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일본 특허 출원 제 2000-263623 호를 기초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주로 분할형 복합 섬유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제조된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위에 형성된 약품을 함유한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가지며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의 분할 후 단면 형상이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최장 직경의 길이(DL)가 5 내지 15㎛이며 상기 최장 직경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최장 선분의 길이(DS)가 2 내지 10㎛인 구강내 부착용 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와 점착성 플라스터 층의 앵커 효과가 양호하며 가요성이 뛰어나고 요철 부위에의 밀착성이 양호하여 딱딱함 등의 불편함이 생기지 않고 구강내의 협소한 부위에 있어서도 취급성이 양호하고 또한 타액에 의한 약품의 누출 및 씻겨나감이 일어나기 어려운 구강내 부착용 제제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분할형 복합 섬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지지체, 및 상기 지지체 위에 형성되는 약물 함유 점착성 플라스터 층을 포함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에 있어서,
    상기 분할형 복합 섬유의 분할 후 단면 형상이 대략적인 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삼각형 형상의 최장 직경의 길이(DL)가 5 내지 15㎛이며 상기 최장 직경에 수직으로 교차하는 최장 선분의 길이(DS)가 2 내지 10㎛인 구강내 부착용 제제.
  2. 제 1 항에 있어서,
    DL/DS의 비가 1.5 내지 2.5인 구강내 부착용 제제.
  3. 제 1 항에 있어서,
    분할형 복합 섬유의 단면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선상으로 결합된 2종 이상의 섬유 물질로 이루어진 복합 섬유로 분할시키되, 분할 횟수를 16회 이상으로 하여 수득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
  4. 제 1 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0.1mm2의 단면적에 1 내지 50개의 분할되지 않은 분할형 복합 섬유를 함유 하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
  5. 제 1 항에 있어서,
    부직포가 300 내지 600㎛의 두께 및 0.17 내지 0.25g/cm3의 밀도를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
  6. 제 1 항에 있어서,
    0.5 내지 1.5cm의 제제 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최단 직경 및 1 내지 3cm의 제제 형상의 중심을 지나는 최장 직경을 갖는 구강내 부착용 제제.
KR1020010053174A 2000-08-31 2001-08-31 구강내 부착용 제제 KR1007596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0-00263623 2000-08-31
JP2000263623A JP2002080348A (ja) 2000-08-31 2000-08-31 口腔内貼付製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8588A KR20020018588A (ko) 2002-03-08
KR100759657B1 true KR100759657B1 (ko) 2007-09-17

Family

ID=18751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3174A KR100759657B1 (ko) 2000-08-31 2001-08-31 구강내 부착용 제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676960B2 (ko)
EP (1) EP1188435B1 (ko)
JP (1) JP2002080348A (ko)
KR (1) KR100759657B1 (ko)
AT (1) ATE280576T1 (ko)
CA (1) CA2356120C (ko)
DE (1) DE60106703T2 (ko)
TW (1) TWI2436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9414B2 (ja) * 2000-08-24 2010-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口腔内貼付製剤
DE10157124A1 (de) * 2001-11-21 2003-05-28 Lohmann Therapie Syst Lts Mikrofaserhaltige Vorrichtung zur kontrollierten Freisetzung von Stoffen
US9393343B2 (en) * 2004-12-29 2016-07-19 Samyang Biopharmaceuticals Corporation Monofilament su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S20100291182A1 (en) * 2009-01-21 2010-11-18 Arsenal Medical, Inc. Drug-Loaded Fibers
US9044580B2 (en) 2009-08-24 2015-06-02 Arsenal Medical, Inc. In-situ forming foams with outer layer
US20110202016A1 (en) * 2009-08-24 2011-08-18 Arsenal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polymer foams
US10420862B2 (en) 2009-08-24 2019-09-24 Aresenal AAA, LLC. In-situ forming foams for treatment of aneurysms
US9173817B2 (en) 2009-08-24 2015-11-03 Arsenal Medical, Inc. In situ forming hemostatic foam implants
US8968626B2 (en) 2011-01-31 2015-03-03 Arsenal Medical, Inc. Electrospinning process for manufacture of multi-layered structures
US9194058B2 (en) 2011-01-31 2015-11-24 Arsenal Medical, Inc. Electrospinning process for manufacture of multi-layered structures
US9034240B2 (en) 2011-01-31 2015-05-19 Arsenal Medical, Inc. Electrospinning process for fiber manufacture
US8993831B2 (en) 2011-11-01 2015-03-31 Arsenal Medical, Inc. Foam and delivery system for treatment of postpartum hemorrhage
JP6907390B1 (ja) * 2020-07-08 2021-07-21 株式会社スギノマシン 洗浄方法および洗浄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926A (en) * 1995-06-07 1998-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denier fibers and fabrics made therefro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156080B2 (en) * 1984-03-05 1993-10-20 Nitto Denko Corporation Percutaneous absorption type adhesive pharmaceutical preparation
JPS6185315A (ja) * 1984-10-04 1986-04-30 Teikoku Seiyaku Kk シ−ト状製剤
JP3550882B2 (ja) 1996-05-23 2004-08-04 チッソ株式会社 極細繊維不織布
JPH10331063A (ja) 1997-05-29 1998-12-15 Unitika Ltd 複合不織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59442B2 (ja) * 1998-02-24 2004-09-02 大和紡績株式会社 貼付剤用基布およびその製造方法
CA2299950C (en) 1999-03-03 2010-09-21 Nitto Denko Corporation Oral adhesive sheet and oral adhesive prepa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59926A (en) * 1995-06-07 1998-06-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ne denier fibers and fabrics made therefr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106703T2 (de) 2005-11-10
TWI243688B (en) 2005-11-21
JP2002080348A (ja) 2002-03-19
EP1188435B1 (en) 2004-10-27
ATE280576T1 (de) 2004-11-15
DE60106703D1 (de) 2004-12-02
CA2356120A1 (en) 2002-02-28
KR20020018588A (ko) 2002-03-08
US6676960B2 (en) 2004-01-13
CA2356120C (en) 2008-12-02
EP1188435A1 (en) 2002-03-20
US20020071860A1 (en) 2002-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2403B1 (ko) 구강 접착 쉬트 및 구강 접착 제제
ES2526700T3 (es) Composición de adhesivo
US6290984B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applicable to mucosal surfaces and body tissues
EP1716850B1 (en) Transdermal plaster
KR100759657B1 (ko) 구강내 부착용 제제
CA2355584C (en) Intraoral adhesive preparation
JPS63160649A (ja) 口腔貼付用基材
JP3159688B2 (ja) 経皮吸収テープ剤
WO2003103641A1 (ja) 貼付剤
WO1999036061A1 (fr) Plastifiant et timbre adhesif contenant ce plastifiant
JP4808294B2 (ja) 口腔内貼付製剤
JP2001029383A (ja) 医療用貼付材および経皮吸収型貼付製剤
JP2002363069A (ja) 貼付製剤
JP4317075B2 (ja) 貼付剤
JP4252203B2 (ja) 口腔内麻酔製剤
JP4295488B2 (ja) 経皮吸収型貼付製剤
JP2002068968A (ja) 口腔内貼付製剤
JP2004331631A (ja) 口腔内投与製剤
JP2003300866A (ja) 歯科用表面麻酔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