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949B1 -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 Google Patents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949B1
KR100601949B1 KR1020040023805A KR20040023805A KR100601949B1 KR 100601949 B1 KR100601949 B1 KR 100601949B1 KR 1020040023805 A KR1020040023805 A KR 1020040023805A KR 20040023805 A KR20040023805 A KR 20040023805A KR 100601949 B1 KR100601949 B1 KR 10060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nanowire
emitting device
doped portion
nano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3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8540A (ko
Inventor
진영구
이성훈
이효석
최병룡
김종섭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3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1949B1/ko
Priority to US11/100,455 priority patent/US20050224780A1/en
Publication of KR20050098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8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949B1/ko
Priority to US12/040,686 priority patent/US791978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regions, e.g. laterally discontinuous light emitting layer or photoluminescent region integrated within the semiconducto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0/00Nanotechnology for information processing, storage or transmission, e.g. quantum computing or single electron log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04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 H01L33/0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quantum effect structure or superlattice, e.g. tunnel junction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e.g. quantum confinement structure or tunnel b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 H01L33/16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 H01L33/18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with a particular crystal structure or orientation, e.g. polycrystalline, amorphous or porous within the light emitting reg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762Nanowire or quantum wire, i.e. axially elongated structure having two dimensions of 100 nm or l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나노와이어 발광소자가 개시된다. 개시된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기판 상의 제1전도층과,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p 도핑부분과 n 도핑부분이 양측에 서로 구분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와이어와,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형성된 제2전도층과, 상기 나노와이어 사이를 채운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를 구비한다.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색은 상기 발광물질에 따라 달라진다.

Description

나노와이어 발광소자{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발광물질인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가 절연성 폴리머 사이에 임베드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퀀텀 도트에 유기분자 체인이 붙어 있는 콜로이덜 퀀텀 도트(colloidal quantum dot)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기판 110: 제1전도층
112: 반사막 120,120': 나노와이어
122: p형 도핑부분 124: 인트린식 부분
126: n형 도핑부분 128: 발광층
130: 절연성 폴리머 140: 제2전도층
본 발명은 나노와이어 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나노와이어에 의한 광을 변환하는 발광물질이 내부에 형성된 나노와이어 발광소자에 관한 것이다.
발광소자로는 질화갈륨(GaN)계 화합물 반도체를 이용한 발광소자(light emitting diode: LED)가 많이 연구되어 왔다. 질화갈륨(GaN)계 화합물 반도체 발광소자는 발광효율은 높으나 기판과의 부정합(mismatch) 문제로 대면적 소자의 생산이 어렵다.
발광소자(light emitting device)로서 나노구조, 예컨대 나노와이어를 사용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일본특허공보 H10-326,888호에는 실리콘 재질의 나노와이어를 구비한 발광소자와 이 발광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기판에 촉매층, 예컨대 금을 증착한 후, 반응로에 사염화규소(SiCl4) 개스를 흘러보내서 상기 촉매층으로부터 실리콘 나노와이어를 성장시키는 방법이다. 상기 특허공보에서는 나노와이어의 직경을 조절함으로써 발광되는 색을 조절하였다.
그러나, 상기 실리콘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제조비용이 저렴하지만 발광효율이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미국공개특허 2003/0168964호에는 나노와이어를 p-n 다이오드 구조로 형성하였다. 즉, 나노와이어의 하부는 n-type 나노와이어, 그 상부는 p-type 나노 와이어로 형성하고 그들 사이의 접합부로부터 발광을 시키는 구조이다. 상기 p-n 접합구조의 나노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해서 VLS(vapor phase-liquid phase-solid phase) 방법을 사용하여 다른 조성(components)을 첨가하였다. 상기 미국특허에서는 가시광선의 발광색을 얻기 위해서 투명한 기판에 원하는 형광물질을 배치하였다.
상기 p-n 접합구조의 나노와이어는 촉매층에서 성장되면서 n-type 나노와이어 및 p-type 나노와이어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양질의 p-n 접합구조를 얻기가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발광소자의 내부에 특정 색을 발광하는 물질을 채움으로써 원하는 색을 발광시키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p 도핑부분과 n 도핑부분이 양측에 서로 구분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와이어;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형성된 제2전도층; 및
상기 나노와이어 사이를 채운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색은 상기 발광물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은 각각 상기 나노와이어의 성장시 도판트 원자로 도핑시키거나, 또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유기물 분자를 흡착시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 유형에 따르면,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의 경계면이 발광층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에는 도핑되지 않은 인트린식(intrinsic) 부분으로 된 발광층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광물질은, 형광물질이다.
상기 발광물질은, 염료가 될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은, 퀀텀 도트일 수 있다.
상기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는, 콜로이덜 퀀텀 도트일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형에 따르면, 상기 반사막은, 상기 제1전도층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전극층은 광투과 물질이다.
본 발명의 다른 유형에 따르면, 상기 반사막은 상기 제2전도층 상부에 배치 되며,
상기 제2전도층은 투명전극이다.
상기 p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전기친화도가 큰 불소함유 분자가 흡착된다.
상기 n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로 흡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전도층(제1전극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도층(110) 상에는 다수의 나노와이어(120)가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 사이에는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130)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120) 상에는 전극층(제2전극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p-type 도핑 부분(122), n-type 도핑 부분(126)과, 이들 p-type 도핑부분(122) 및 n-type 도핑부분(126) 사이의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인 인트린식(intrinsic) 부분(1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인트린식 부분(124)은 도핑되지 않은 영역이다.
상기 기판(100)은 실리콘 웨이퍼, 사파이어 웨이퍼 또는 평탄한 금속박막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판(100) 쪽으로 광이 투과하는 경우, 상기 기판(100)은 투명 기판이 사용된다. 예컨대, 사파이어, 석영 또는 유리 기판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110)은 투명전극층, 예컨대 ITO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전극층(140)은 알루미늄, 금, 마그네슘 등으로 증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층(140)으로 광이 투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전극층(140)이 ITO 와 같은 투명전극을 증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자외선광 또는 청색광을 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와이어(120)이 ZnO 로 제조된 경우 자외선이 방출되며, Si 인 경우 적외선이 발광되며, GaN 인 경우 자외선 또는 청색광이 방출되며, InGaN 인 경우 청색광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그 직경이 대략 20~100 nm 이며, 그 길이는 대략 1 ㎛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와이어는 p 도핑부분(122), n 도핑부분(126)과 인트린식 부분(124)로 이루어진 p-i-n 접합구조이다.
상기 p-type 도핑부분(122)은 나노와이어(120)의 외주에 p-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이다. 상기 p-type 도핑물질로는 전기 친화도(electron affinity)가 큰 분자, 예컨대 organic electron acceptor 분자인 F4-TCNQ(tetrafluoro-tetracyano-quinodimethane)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type 도핑물질은 해당 나노와이어(120) 표면에서 전자를 뺏으므로, p-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은 그 표면 에 정공들이 생성되며 따라서 p-type 도핑 부분(122)이 된다. 상기 p-type 도핑부분(122)은 나노와이어(120) 내부에 전자 acceptor 원자가 함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n-type 도핑부분(126)은 나노와이어(120)의 외주에 n-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이다. 상기 n-type 도핑물질로는 이온화 전위(ionization potential)가 낮은 분자, 예컨대 리티움, 구리, 아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분자 또는 organic electron donor 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CuPc(copper phtalocyanine), ZnPc(zinc phtalocyanine), 펜타센(pentacene), BEDT-TTF(bis(ethylenddithio)tetrathiafulvalene)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n-type 도핑물질은 해당 나노와이어(120) 표면에 전자를 제공하며 따라서 n-type 도핑물질이 흡착된 부분은 그 표면에 자유전자가 생기며 따라서 n-type 도핑 부분(126)이 된다. 상기 n-type 도핑부분(126)은 나노와이어(120)의 내부에 전자 donor 원자가 함유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절연성 폴리머(130)는 나노와이어(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한다. 또한, 절연성 폴리머(130)는 나노와이어(12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특정한 가시광선을 발광하도록 그 내부에 형광물질이 임베디드(enbeded)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130)는 염료(dye) 또는 퀀텀 도트(quantum dot)가 임베디드된 절연성 폴리머일 수도 있다. 상기 퀀텀 도트로는 ZnS, CdS, ZnSe, CdSe, InP 등의 대부분의 반도체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가 포함된 절연성 폴리머로는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은 절연성 폴리머(130)에 임베디드된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에 의해서 자외선이 흡수된다. 상기 자외선을 흡수한 발광물질인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는 고유의 색을 발광한다.
상기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로부터 발광되는 가시광은 형광물질, 염료의 색 또는 퀀텀 도트의 사이즈에 따라 달라진다.
도 2는 발광물질인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가 절연성 폴리머 사이에 임베드된 것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절연성 폴리머(200)에 다수의 퀀텀 도트(202)가 임베드되어 있다.
도 3은 퀀텀 도트(300)에 유기분자 체인(302)이 붙어 있는 콜로이덜 퀀텀 도트(colloidal quantum dot)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가 임베디드된 폴리머 대신에 도 3의 콜로이덜 퀀텀 도트를 나노와이어들(120) 사이에 스태킹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유기분자 체인(302)으로는 TOPO(trioctylphospine oxide) 또는 HDT(1.6-hexanedithiol)와 같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기판(100) 및 제1전극층(110) 사이에 반사막(112)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112)은 장파장 투과필터(long-wave pass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112)은 그 두께가 나노와이어(120)에서 발광되는 광의 파장, 예컨대 자외선 파장 두께로 형성되면, 나노와이어(120)의 인트린식 부분(124)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발광소자 내부로 재반사시키며, 가시광선만 외부로 방출되게 한다. 따라서, 나노와이어(120)로부터의 자외선들을 모두 가시광의 발광에 기여하게 하 며, 이는 발광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반사막(112)은 반드시 제1전극층(110)의 하부에 배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반사막(112)이 전도성이 있으면, 제1전극층(110) 상부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광소자의 광이 제2전극층(140)을 향해서 방출되는 경우, 제2전극층(140)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반사막(120)은 제2전극층(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조의 발광소자의 작용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나노와이어(120)의 p-type 도핑부분(122)과 연결된 제1전극층(110)에 +전압, 나노와이어(120)의 n-type 도핑부분(126)과 연결된 제2전극층(140)에 - 전압을 인가하면, p-type 도핑부분(122)의 정공(hole)과 n-type 도핑부분(126)의 전자가 인트린식 영역(124)에서 재결합을 한다. 이때 자외선광이 방출된다. 인트린식 영역(124)에서 방출된 자외선광은 사방으로 퍼져나간다. 상기 자외선광 중 절연성 폴리머(130)에 임베드된 인접한 형광물질과 만난 광은 해당 형광물질을 여기시키며, 따라서 가시광선이 방출된다. 상기 가시광선은 투명한 제1전극층(110), 반사막(112) 및 투명 기판(100)을 투과한다.
한편, 나노와이어(12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 중, 제2전극층(140)을 향한 자외선은 상기 제2전극층(140)에서 반사되어서 발광소자 내부로 들어가고, 상기 형광물질을 만나서 가시광선을 발광시킨다. 또한, 나노와이어(12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 중, 제1전극층(110)을 향한 가시광선은 반사막(112)에서 반사되어서 형광물질이 포함된 폴리머(130)로 돌아가며, 상기 형광물질을 여기시킨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며,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0) 상에 전도층(제1전극층)(1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도층(110) 상에는 다수의 나노와이어(120')가 대체적으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 사이에는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130)가 채워져 있으며, 상기 나노와이어(120') 상에는 전극층(제2전극층)(1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판(100) 및 제1전극층(110) 사이에 반사막(112)이 더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반사막(112)은 장파장 투과필터(long-wave pass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반사막(112)은 나노와이어(120)의 인트린식 부분(124)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을 발광소자 내부로 재반사시키며, 가시광선만 외부로 방출되게 한다. 따라서, 나노와이어(120)로부터의 자외선들을 모두 가시광의 발광에 기여하게 하며, 이는 발광효과를 증대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는 p-type 도핑 부분(122), n-type 도핑 부분(126)이 서로 접촉되게 형성되며, 이들 접촉영역은 발광층(light emitting layer)(128)을 형성한다. 이러한 발광구조는 제1 실시예의 pin 접합구조와 비교하여 pn 접합구조를 이룬다.
상기 절연성 폴리머(130)는 나노와이어(120')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방지한다. 또한, 절연성 폴리머(130)는 나노와이어(120')로부터 방출되는 자외선을 흡수 하여 특정한 가시광선을 발광하도록 그 내부에 형광물질이 임베디드(enbeded)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폴리머(130)는 염료(dye) 또는 퀀텀 도트(quantum dot)가 임베디드된 절연성 폴리머일 수도 있다. 상기 퀀텀 도트로는 ZnS, CdS, ZnSe, CdSe, InP 등의 대부분의 반도체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가 포함된 절연성 폴리머(130)로는 포토레지스트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나노와이어(120')로부터 방출된 자외선은 절연성 폴리머(130)에 임베디드된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에 의해서 자외선이 흡수된다. 상기 자외선을 흡수한 형광물질, 염료 또는 퀀텀 도트는 고유의 색을 발광한다.
이러한 구조의 발광소자에서는 나노와이어(120')의 양단에 직류전압을 인가하면 발광층(128)에서 자외선광이 방출된다. 이 자외선광은 폴리머(130)의 형광물질 등을 여기시켜서 소정의 가시광선을 방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나노와이어 발광소자는 절연성 폴리머 속의 형광물질, 염료, 퀀텀 도트의 종류 또는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소정영역에서 방출되는 가시광선의 색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발광소자 내에 색을 조절하는 물질을 삽입시킴으로써 발색 효율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한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기판;
    상기 기판 상의 제1전도층;
    상기 제1전도층 상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은 p 도핑부분과 n 도핑부분이 양측에 서로 구분되게 형성된 다수의 나노와이어;
    상기 나노와이어 상에 형성된 제2전도층; 및
    상기 나노와이어 사이를 채운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발광색은 상기 발광물질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 및 상기 n 도핑부분은 각각 상기 나노와이어의 성장시 도판트 원자로 도핑시키거나, 또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유기물 분자를 흡착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의 경계면이 발광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과 상기 n 도핑부분 사이에는 도핑되지 않은 인트린식(intrinsic) 부분으로 된 발광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형광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염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7.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은, 퀀텀 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8.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물질이 박힌 절연성 폴리머는, 콜로이덜 퀀텀 도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9.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로부터 방출된 광을 반사시키는 반사막;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상기 제1전도층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기판 및 상기 제1전극층은 광투과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막은 상기 제2전도층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전도층은 투명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2.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전기친화도가 큰 분자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p 도핑부분은 불소함유 분자로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함유 분자는 F4-TCNQ 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부분은 상기 나노와이어의 외주에 이온화 전위가 낮은 분자가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부분은 리티움, 구리, 아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금속을 포함하는 분자 또는 유기 분자로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1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n 도핑부분은 CuPc, ZnPc, 펜타센(pentacene), BEDT-TTF(bis(ethylenddithio)tetrathiafulvalene)BEDT-TTF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흡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KR1020040023805A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KR10060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05A KR100601949B1 (ko)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US11/100,455 US20050224780A1 (en) 2004-04-07 2005-04-07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US12/040,686 US7919786B2 (en) 2004-04-07 2008-02-29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3805A KR100601949B1 (ko)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40A KR20050098540A (ko) 2005-10-12
KR100601949B1 true KR100601949B1 (ko) 2006-07-14

Family

ID=3505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3805A KR100601949B1 (ko) 2004-04-07 2004-04-07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20050224780A1 (ko)
KR (1) KR1006019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15449B2 (ja) * 2003-03-31 2010-07-28 ブリティッシュ・テレ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パブリック・リミテッド・カンパニー 光ファイバケーブル配線フレーム
KR100552707B1 (ko) * 2004-04-07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419B1 (ko) * 2004-04-07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8188494B2 (en) * 2006-06-28 2012-05-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Utilizing nanowire for generating white light
KR100793336B1 (ko) 2006-11-17 2008-01-11 삼성전기주식회사 발광 트랜지스터
CN101669219B (zh) * 2006-12-22 2011-10-05 昆南诺股份有限公司 带有直立式纳米线结构的led及其制作方法
EP2109900A1 (en) * 2007-01-08 2009-10-21 Plextronics, Inc. Quantum dot photovoltaic device
KR101524319B1 (ko) * 2007-01-12 2015-06-10 큐나노 에이비 시준 리플렉터를 갖는 나노구조 led 어레이
KR100785525B1 (ko) * 2007-01-30 2007-12-12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산화아연 나노와이어의 표면에 황화아연 양자점이 분포되어있는 형태의 발광 나노와이어 이종구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857542B1 (ko) 2007-07-19 2008-09-08 삼성전자주식회사 탄소 나노튜브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510356B1 (ko) * 2008-07-31 2015-04-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광학 신호들을 증폭, 변조 및 검출하기 위한 나노-와이어 광학 블록 디바이스들
KR100988645B1 (ko) * 2008-10-13 2010-10-18 한국기계연구원 나노결정 양자점을 이용한 자외선 검출기
KR20120057298A (ko) * 2010-11-26 2012-06-05 서울옵토디바이스주식회사 발광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US8951892B2 (en) 2012-06-29 2015-02-10 Freescale Semiconductor, Inc. Applications for nanopillar structures
TWI476953B (zh) * 2012-08-10 2015-03-11 Univ Nat Taiwan 半導體發光元件及其製作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193A (ja) 1999-10-05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71870A (en) 1971-07-27 1976-07-27 Semi-Elements, Inc. Semiconductor device material
US5075743A (en) 1989-06-06 1991-12-24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Quantum well optical device on silicon
US5332910A (en) 1991-03-22 1994-07-26 Hitachi, Ltd. Semiconductor optical device with nanowhiskers
JPH06260721A (ja) 1993-03-09 1994-09-16 Hitachi Ltd 半導体レーザ
JP4032264B2 (ja) 1997-03-21 2008-01-16 ソニー株式会社 量子細線を有する素子の製造方法
US6459095B1 (en) * 1999-03-29 2002-10-01 Hewlett-Packard Company Chemically synthesized and assembled electronics devices
CA2442985C (en) * 2001-03-30 2016-05-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ethods of fabricating nanostructures and nanowires and devices fabricated therefrom
JP4101468B2 (ja) * 2001-04-09 2008-06-18 豊田合成株式会社 発光装置の製造方法
TWI220319B (en) * 2002-03-11 2004-08-11 Solidlite Corp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JP3933591B2 (ja) 2002-03-26 2007-06-20 淳二 城戸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ト素子
CN1453884A (zh) 2002-04-25 2003-11-05 诠兴开发科技股份有限公司 纳米线发光元件及显示装置
US20040003839A1 (en) 2002-07-05 2004-01-08 Curtin Lawrence F. Nano photovoltaic/solar cells
AU2003261205A1 (en) 2002-07-19 2004-02-09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Nanoscale coherent optical components
AU2003302321A1 (en) 2002-09-12 2004-06-23 The Trustees Of Boston College Metal oxide nanostructures with hierarchical morphology
US20040086743A1 (en) * 2002-11-06 2004-05-06 Brown Cory S. Organometallic compounds for use in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6969897B2 (en) 2002-12-10 2005-11-29 Kim Ii John Optoelectronic devices employing fibers for light collection and emission
WO2004088755A1 (en) * 2003-04-04 2004-10-14 Startskottet 22286 Ab Nanowhiskers with pn junction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reof
KR100624419B1 (ko) 2004-04-07 2006-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552707B1 (ko) * 2004-04-07 2006-02-20 삼성전자주식회사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60207647A1 (en) 2005-03-16 2006-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High efficiency inorganic nanorod-enhanced photovoltaic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9193A (ja) 1999-10-05 2001-07-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発光素子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8540A (ko) 2005-10-12
US20050224780A1 (en) 2005-10-13
US20090008664A1 (en) 2009-01-08
US7919786B2 (en)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19786B2 (en) Nanowire light emitting device
KR100552707B1 (ko)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4419B1 (ko) 나노와이어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642108B2 (en) LED including photonic crystal structure
US7265374B2 (en) Light 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US5959401A (en) Light-emitting semiconductor device using group III nitride compound
US9318655B2 (en) Elevated LED
US20080237611A1 (en)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improved contrast
JP2009540614A (ja) 再発光半導体構成体を有する適応型ledデバイス
KR20090096704A (ko) 직립 나노와이어 구조를 갖는 led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US20130221320A1 (en) Led with embedded doped current blocking layer
KR20170129009A (ko) 반도체 소자
US20130187122A1 (en) Photonic device having embedded nano-scale structures
JP5296280B2 (ja) GaInNからなる薄い半導体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半導体層を備えたLEDさらにはこのLEDを備えた照明デバイス
JPH08279627A (ja) 発光素子
US6665329B1 (en) Broadband visible light source based on AllnGaN light emitting diodes
EP1467415B1 (en) Improved LED efficiency using photonic crystal structure
KR100742987B1 (ko) 고효율의 발광다이오드 및 패키지와 그 제조방법
KR101723540B1 (ko) 발광 소자 및 이를 갖는 발광 소자 패키지
JP4296921B2 (ja) 発光素子
JP2004104100A (ja) 発光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9938A (ko) 요철 버퍼층을 갖는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20070210315A1 (en) Semiconductor Device For Emitting Light
JP4298859B2 (ja) AlGaInP発光ダイオード
KR101202733B1 (ko) 발광 다이오드 및 그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