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362B1 - 복합필기구 - Google Patents

복합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362B1
KR100601362B1 KR1020040080502A KR20040080502A KR100601362B1 KR 100601362 B1 KR100601362 B1 KR 100601362B1 KR 1020040080502 A KR1020040080502 A KR 1020040080502A KR 20040080502 A KR20040080502 A KR 20040080502A KR 100601362 B1 KR100601362 B1 KR 100601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outer cylinder
slider
protrusion
t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5815A (ko
Inventor
타다오오다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도부키
Publication of KR2005004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4/0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 B43K24/10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 B43K24/14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 B43K24/146Mechanisms for selecting, projecting, retracting or locking writing units for selecting, projecting and locking several writing units operated by turning means with cam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08Nibs; Writing-points with ball points; Balls or ball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1/00Nibs; Writing-points
    • B43K1/12Writing-points comprising fibres; Felt p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2Combinations of pens and penc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7/00Multiple-point writing implements, e.g. multicolour; 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 B43K27/08Combinations of pens
    • B43K27/12Combinations of pens of ball-point p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9/00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 B43K29/02Combinations of writing implements with other articles with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9/00Erasers, rubbers, or erasing devices; Holders therefor
    • B43L19/0056Holders for erasers
    • B43L19/0068Hand-held holders
    • B43L19/0075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 B43L19/0081Hand-held holders of the pencil type of the mechanical pencil typ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앞쪽외통과 이 앞쪽외통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뒤쪽외통으로 이루어진 외부직경을 10.5mm 이하로 한 외통 내에 복수의 필심부재가 수납되어, 이들 복수의 필심부재의 각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외통의 선단부에 형성된 1개의 개구를 통해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로서,
상기 캠체가, 앞쪽으로 돌출한 V자 형상 캠돌기와, 앞쪽을 향해 상기 캠돌기를 따라 뻗은 캠면 및, 상기 캠면의 캠돌기의 정상부에 형성된 저지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 캠과, 뒤쪽을 향해 상기 캠을 따라 뻗고서 상기 캠면에 대해 눌려지게 되는 슬라이드접촉면을 이루어져, 상기 뒤쪽외통과 상기 앞쪽외통의 상대회전에 따라 상기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캠면에 슬라이드접촉해서 캠 중 하나가 상기 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캠에 형성된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복합필기구{Composite writing utensil}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서, 안내원통의 뒷부분은 상반부만 절단한 것이고,
도 2는, 1개의 필심부재가 돌출한 상태일 때의 캠체, 안내원통, 슬라이더 및 앞쪽외통의 상호관계를 나타낸 설명도로서, 도 2a는 캠체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의 상태와 반대편에서 본 도면,
도 3은, 필심부재가 모두 수납되었을 때의 캠체와 안내원통, 슬라이더 및 앞쪽외통의 상호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캠체의 캠돌기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3b는 도 3a와 반대쪽에서 바라본 도면,
도 4는, 캠체의 캠돌기의 선단부 근방과 슬라이더의 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한 확대도면,
도 5는, 캠체와 슬라이더의 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5a는 1개의 필심부재가 돌출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b는 필심부재가 모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조립에 관한 설명도,
도 7은, 도 6에서 계속되는 설명도,
도 8은, 도 3b와 관련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캠체와 슬라이더의 캠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1개의 필심부재가 돌출한 상태를, 도 9b는 필심부재가 모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b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제2저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도 9b에 상응하는 도면으로서, 제2저지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예컨대 볼펜심과 샤프펜슬, 잉크지우개, 컴퓨터입력필심과 같은 복수의 필심부재를 수용하고서, 외통의 선단부에 뚫려진 1개의 개구로부터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직경이 작은 외통을 갖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이 복수의 필심부재를 내장하는 형식의 복합필기구는, 외통 내에 복수의 필심부재를 수용하고서 그들을 선택적으로 출몰시키기 위한 기구를 내장하고 있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크기와 굵기가 커질 수 밖에 없었다.
그에 대해, 직경이 작은 복합필기구가 일본국 실개 제61-140887호 및 제55-47362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 중 상기 일본국 실개 제61-140887호에 기재된 복합필기구의 구조는, 각 필심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된 녹크부재가 필심부재의 후단부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어떤 필기구를, 당해 필심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된 녹크부재를 상기 관통구멍을 따라 돌출하도록 녹크부재를 전진시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을 하는 도중 녹크부재와 필심부재가 외통의 축방향을 따라 대략 선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일본국 실개 제55-47362호에 기재된 복합필기구의 구조는, 외통 내에 슬라이더가 배치되고서 이 슬라이더에 진자(振子)가 연결됨과 더불어, 슬라이더에 직경방향으로 돌출한 돌출핀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후단녹크버튼으로 슬라이더를 앞으로 밀면, 슬라이더의 돌출핀이 클립에 형성된 되돌림버튼에 걸려지고, 진자의 끝이 복수의 필심부재 중 가장 아래에 위치한 필심부재에 걸려져, 그 가장 낮게 위치한 필심부재를 선택해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돌출된 필심부재를 수납시킬 때는, 돌출핀과 걸려진 상태를 클립에 형성된 되돌림버튼을 압압해서 벗겨지도록 하면, 필심부재가 스프링의 탄발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되돌려지게 된다. 이러한 조작 도중, 필심부재는 외통의 축방향을 따라 대략 선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2개의 공지문헌에 기재된 구조는 모두 필심부재가 외통의 축방향을 따라 대략 선형적으로 이동하기는 하지만, 각 필심부재의 원주(圓周) 상의 위치는 기본적으로 바뀌지 않게 된다.
상기 일본국 실개 제61-140887호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관통구멍으로부터 복수의 녹크부재가 노출되도록 되어 있어서, 몇 개의 부품이 외통 밖으로 돌출한 형태의 필기구 외관을 하게 된다.
또, 일본국 실개 제55-47362호에 기재된 구조에서는, 되돌림버튼을 조작해야 하고, 돌출시킬 필심부재를 바꾸려면 손으로 잡고서 외통의 위치를 완전히 바꿔주어야 하므로 조작하기도 어렵고, 또 조작순서를 이해하기도 쉽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복합필기구가 갖고 있는 결점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외통의 외경이 작고, 조작하기도 쉬운 복합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는, 외통 내에 복수의 필심부재가 내장되고서, 그 중 1개의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통은 앞쪽외통과 이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뒤쪽외통으로 이루어지고서, 그 외부직경이 10.5mm 이하로 되어 있다.
상기 외통 내에는 캠체가 상기 뒤쪽외통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설치되는 한편, 상기 앞쪽외통에는 1개의 슬라이더가 회전할 수 없게 설치되고서 여기에 각 필심부재의 후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캠체는, 앞쪽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 캠돌기와, 앞쪽을 향해 상기 캠돌기를 따라 뻗은 캠면 및, 상기 캠면의 캠돌기의 정상부에 형성된 저지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 캠과, 뒤쪽을 향해 상기 캠을 따라 뻗고서 상기 캠면에 대해 눌려지는 슬라이드접촉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뒤쪽외통과 상기 앞쪽외통가 상대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캠면에 슬라이드접촉해서 캠 중 하나가 상기 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캠에 형성된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으로써, 뒤쪽외통이 앞쪽외통에 대해 회전하게 되면, 뒤쪽외통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된 캠체와 앞쪽위통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된 슬라이더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 슬라이더의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캠체의 캠면을 따라 이동해서 슬라이더의 캠이 상기 캠면의 V자 형상 캠돌기의 정상부 내에 형성된 저지부에 의해 저지되게 된다. 그에 따라,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가 전진한 상태로 되어, 그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개구로부터 돌출해서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는, 상기 외통의 최소외경이 10.5mm 이하로 되어 있어서 외관상 유리하고, 또 종래의 것과 같이 복수의 녹크부재가 밖으로 노출되지도 않으며, 또 외경이 작음에도 불구하고 되돌림버튼과 같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아 조작하기가 쉽게 된다.
한편, 상기 캠돌기가 돌출했을 때 상기 캠돌기의 정상부 부근 이외의 캠면이 축선방향과 나란한 선에서 경사져진 경사각이, 상기 캠이 돌출했을 때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 상기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경사져진 경사각보다 1±0.5°만큼 크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캠체의 캠돌기가 뾰족해지게 되어, 만일 캠체의 캠돌기의 캠면의 경사가 슬라이더의 캠의 슬라이더접촉면 보다 완만하면, 캠체의 캠돌기의 캠면의 경사각이 슬라이더의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의 경사각과 같은 경우 보다 원활하게 상기 캠의 슬라이더접촉면이 캠면에 슬라이드접촉할 수 있게 된다.
또, 상기 캠돌기가 돌출했을 때 상기 캠돌기의 정상부 근에서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 상기 캠면이 경사져진 경사각이 상기 정상부의 인근 이외 부분 보다 크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되면 상기 캠돌기가 뾰족해져, 슬라이더의 캠이 캠체의 캠돌기의 캠면을 따라 저지부 쪽으로 이동하였을 때, 만일 캠돌기의 경사가 그 정상부 부근에서의 경사각이 커지게 되어 경사가 완만해지게 되면, 캠이 저지부를 출입하는 것이 원활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캠돌기가 돌출했을 때 상기 캠돌기의 정상부 부근 이외의 부분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 경사져진 경사각(θ)이 21.5°~ 30°의 범위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에서는 캠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어서 외통의 외경이 작은 직경으로 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캠면이 V자 형상 캠돌기의 양쪽 단부에서 이어져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서, 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곳에 상기 캠이 저지되도록 하는 제2저지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캠돌기가 급하게 경사져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을 때도 모든 필심부재가 외통 내에 수납된 상태에서 이들 필심부재에 연결된 슬라이더의 캠체의 캠돌기의 캠면을 따라 저지부 쪽으로 이동함으로써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의도하지 않게 돌출하는 경우가 있지만, 상기와 같이 제2저지부가 형성됨으로써, 모든 필심부재가 외통 내로 들어가 수납되어 있을 때 상기 제2저지부가 슬라이더 중 하나를 저지하게 됨으로써 사용하지 않는 동안 슬라이더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
또 한편, 상기 제2저지부로 말미암은 캠의 저지력이 상기 저지부로 말미암은 캠의 저지력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모든 필심부재가 외통 내에 수납된 비사용상태로부터 어느 하나의 필심부재를 사용하려고 조작하면, 캠이 제2저지부에서 쉽게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필심부재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고 있는 동안에는, 캠이 제2저지부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않아 안정된 상태에서 필기를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필심부재의 수는 임의로 정할 수 있는 바, 필심부재의 수를 3개 이상으로 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3개 이상의 필심부재가 비록 외통의 직경이 작기는 하지만 외통을 바꿔줌으로써 조립되어 사용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 복합필기구(10)는 외통(12)을 갖고 있는 바, 이 외통(12)은 앞쪽외통(14)과 뒤쪽외통(16)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목표로 하는 상기 앞쪽외통(14)과 뒤쪽외통(16)의 외경을 작아지도록 하려는 목표는, 그들의 외경이 모두 10.5mm 이하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복수의 필심부재(30)를 내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통의 내경이 적어도 7.8mm는 되어야 하므로, 외통의 벽체를 얇게 할 필요가 있게 된다. 따라서, 앞쪽외통(14)과 뒤쪽외통(16)을 황동이나 알미늄과 같은 금속재로 만드는 것이 좋다. 황동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벽체의 두께를 대략 0.3mm~0.4mm로 하는 것이 좋고, 알미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대략 0.4mm~0,5mm로 하는 것이 좋은 바, 이로써 상기 외통(12)의 외경을 9mm 이하가 되도록 할 수가 있었다. 한편, 상기 앞쪽외통(14)과 뒤쪽외통(16) 중 적어도 하나를 플라스틱재질로 만든 경우에는, 벽체의 두께를 약 0.8mm~1.3mm로 할 수가 있다. 상기 뒤쪽외통(16)의 전단부에다 장식링(15)을 설치해야 하고, 그 장식링(15)의 외경이 외통(12)의 외경보다 크다고 하면, 필심부재(30)를 수용하기 위한 외통(12)의 최소외경은 10.5mm 보다는 작아야 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에에서는 앞쪽외통(16)과 뒤쪽외통(16)으로 이루어진 외통(12) 내에 복수(예컨대 3개)의 필심부재(30,30,30)가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1개의 필심부재(30)는 샤프펜슬이고 나머지 2개의 필심부재(30)는 잉크색을 달리하는 볼펜으로 하였다. 본 발명은 이에 한하지 않고, 잉크지우개나 컴퓨터압력용 펜슬도 함께 해서 사용될 수 있다.
앞쪽외통(14)의 선단개구(14a)가 외통(12)의 선단개구로 되어, 이 선단개구(14a)를 통해 복수의 필심부재(30,30,30) 중 하나가 선택적으로 출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앞쪽외통(14)과 뒤쪽외통(16)은 이음부(18)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호 착탈되거나 상대회전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이음부재(18)는 뒤쪽외통(16) 내에 이 뒤쪽외통(16)에 대해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된 안내부재(20)에 코킹(caulk)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음부(18)는 뒤쪽외통(16)의 전단부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앞쪽외통(14)이 연결부(18)의 돌출부에 착탈될 수 있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뒤쪽외통(16)의 전단부에서 돌출한 연결부(18)의 돌출부 상에는 앞쪽외통(14)이 연결부(18)에 연결되어, 양자가 원활히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력을 높이기 위한 환형돌조가 형성되어 있다.
뒤쪽외통(16) 내에는 캠체(22)가 고정되어 있다. 안내부재(20)의 후단부에는 구속용 칼라(20a)가 캠체(22)의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22a)에 걸려짐으로서 안내부재(20)가 뒤쪽외통(16) 내에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가 있게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안내부재(20)에는 각 필심부재(30)에 대응해서 축방향으로 뻗어 형성된 안내홈(20b)이 형성되어, 필심부재(30)에 연결되는 슬라이더(32)가 이들 안내홈(20b)을 따라 미끄럼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32)와 상기 안내부재(20)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칸막이부(20c) 사이에는 슬라이더(32)가 항상 뒤쪽으로 밀려지도록 하기 위한 스프링(20)이 필심부재(30) 주위에 감겨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체(22)는 전방으로 돌출한 캠돌출부(22b)와, 상기 캠돌출부(22b)와 마주보도록 V자 형상으로 형성된 후단면(22c)을 갖도록 되어 있는 바, 이 후단면(22c)은 상기 캠돌출부(22b)의 양단부로부터 원주방향으로 연속해서 뻗어 있다. 상기 후단면(22c)의 V자 형상의 정상부에는 저지부역할을 하는 오목부(22d)가 형성되어 있다.
이 캠돌출부(22b)를 따라 V자 형상으로 뻗은 캠돌기(22b) 후단부(22c)의 V자 형상 개방각(2θ)은, 개방된 상태에서 43°~ 60°로 되어 있다. 다시 말해 축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의 경사각(θ)이 21.5°~ 30°가 되어, 큰 직경을 가진 종래의 일반적인 외통을 가진 경우의 캠돌기 경사각 보다 작도록 되어 있다. 즉, 캠돌기(22b)의 V자 형상의 경사각이 종래의 것보다 급하게 되어 있다. 상기 경사각은 약 θ = 23°(2θ= 46°)가 된다. 이 점에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경사각이라 함은 축방향과 나란한 선으로부터 경사진 각을 말한다. 기울기가 축방향과 나란한 선과 가까워질수록 기울기가 급해지게 된다. 따라서, 경사각이 작을수록 기울기가 급해지고, 경사각이 클수록 기울기가 완만해지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캠체(22)의 캠돌기(22b)의 정상부에 가까운 지점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거리(t)의 범위 내의 단면(端面)이 V자 형상인 선 안쪽으로 뻗도록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캠체(22)의 캠돌기(22b) 정상부가 큰 곡률반경을 가진 원호를 이루게 됨으로써, 미리 설정된 거리(t)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단면(22c)의 경사각이 상기 설정된 거리(t)의 범위 밖에 위치한 캠돌출부(22b)의 단부의 경사각 보다 커서 기울기가 완만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더(32)의 외주면에는 캠(32a)이 형성되고, V자 형상으로 캠(3a)을 따라 뒤쪽으로 슬라이드면(32b)이 뻗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더(32)의 캠(32a)에 형성된 슬라이드면(32b)은 스프링(34)에 의해 단면(22c)에 뒤쪽으로 눌려진 상태에서 단면(22c)과 미끄럼이동할 수 있게 접해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32a)의 V자 형상 슬라이드면(32b)의 축방향과 평행한 선에서 경사져진 경사각(φ)은, 일반적으로 상기 캠돌기(22b)의 단면(22c)의 경사각과 같도록 하고 있다. 그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캠돌출부(22b)의 경사각(θ)이 경사각(φ)과 같지 않고, 개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32)의 캠(32a)의 경사각(φ) 보다 1±0.5° 크도록 되어 있는 바, 즉 슬라이더(32)의 캠(32a)의 기울기가 캠체(22)의 캠돌기(22b)의 경사각 보다 급하게 되어 있다. 예컨대, 캠체(22)의 캠돌기(22b)가 V자 형상 개방부의 개방각이 2θ = 46°이고, 슬라이더(32)의 캠(32a)의 V자 형상 개방부의 개방각은 2 φ = 44°이다.
또, 캠체(22)의 뒤쪽에는 지우개고무 지지체(24)가 고정되고서, 이 지우개고무 지지체(24)에 지우개고무(26)가 삽입되고서 고무덮개(28)로 덮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우개고무 지지체(24)와 뒤쪽외통(16)의 후단부 사이에 클립(29)의 기부가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바, 클립(29)은 뒤쪽외통(16)을 따라 뻗어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조립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요약하면, 먼저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연결부재(18)는 안내부(20)에 코킹으로 결합시키고서, 슬라이더(32)와 스프링(34)을 안내부(20)의 뒤쪽으로부터 안내홈(20b) 내로 삽입하고 나서, 필심부재(30)의 후단부를 연결부재(33)를 매개로 슬라이더(32)에다 연결시켜 유니트(unit)화되도록 한다. 즉,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 이 장식링(15)을 부착하고서 클립(29)을 뒤쪽외통(16)에 장착한 다음, 캠체(22)를 뒤쪽외통(16) 내에다 설치한다. 따라서, 안내원통(20)을 포함하는 도 6에 도시된 유니트가 뒤쪽외통(16)의 앞쪽으로부터 삽입되고, 안내원통(20)의 저지용 칼라(20a)가 캠체(22) 내부의 단차부(22a)에 걸려지고, 지우개고무 지지체(24)와 지우개고무(26) 및 고무덮개(28)가 뒤쪽외통(16)의 후단부에 장착되고, 마지막으로 앞쪽외통(14)이 연결부재(15)에 장착되면 복합필기구(10)의 조립이 끝나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조립된 복합필기구(10)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부터 뒤쪽외통(16)이 앞쪽외통(14)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되면, 뒤쪽외통(16)에 고정된 캠체(22)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한편, 앞쪽외통(14)과 결합되어 함께 회전하도록 된 연결부(18)와 이 연결부(18)에 연결된 안내원통(20)은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안내원통(20)과 캠체(22) 사이에는 상대적인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안내원통(20)의 안내홈(20b) 내에 위치한 슬라이더(32)와 캠체(22)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 상기 슬라이더(32)의 캠(32a)의 슬라이드접촉면(32b)이 캠체(22)의 단부표면(22c)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 결과, 슬라이더(32)의 캠(32a)이 캠체(22)의 캠저지부(22d)에 도달해서 이 캠저지부(22d)에 의해 저지되면, 슬라이더(32)와 필심부재(30)가 연결되어 전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필심부재(30)의 선단부가 앞쪽외통(14)의 선단개구(14a)로부터 돌출한 사용상태를 이루게 된다(도 2 및 도 5a 참조).
한편, 다른 슬라이더(32)의 캠(32a)은 캠체(22)의 단부표면(22c)의 캠저지부(22b)의 타단부에 도달해서, 슬라이더(32)와 필심부재(30)가 거기에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돌출해 있는 필심부재(30)의 사용이 끝나 외통 내로 수납시킬 경우, 뒤쪽외통(16)을 앞쪽외통(14)에 대해 다시 조금 더 강하게 회전시키면, 캠체(22)의 캠돌기(22b)가 캠저지부(22d)에 의해 저지되어진 슬라이더(32)의 캠(32a)이 이 캠저지부(22d)에서 빠져나와 도 3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은 상태로 옮겨지게 된다. 그리하여 모든 필심부재(30)가 수납상태를 이루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외통(12) 내에서 복수의 필심부재(30)가 회전을 하면서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면, 1개씩의 필심부재(30)가 차례로 앞쪽외통(14)의 선단에서 돌출한 상태로 되면서 나머지 필심부재(30)는 모두 수납상태로 바뀌게 된다. 외통(12)의 외경 및 내경이 작은 경우에도, 외통(12) 내에서 필심부재(30)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려면, 캠체(22)의 캠돌기(22b)의 단부표면(22c)과 슬라이더(32)의 캠(32a)의 슬라이드접촉면(32d) 사이에 미끄럼이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져야만 한다. 또한, 외통(12)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캠체(22)의 캠돌기(22d)의 단부표면(22c)의 축선방향과 나란한 선에 대한 경사각이 작아야 하는바, 즉 경사각이 급해야 한다.
이에 관해 본 발명자들이 시험한 바에 의하면, 캠체(22)의 캠돌기(22b)의 단부표면(22c)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상황에서, 캠체(22)의 캠돌기(22b)의 단부표면(22c)의 경사를 슬라이더(32)의 캠(32a)의 슬라이드접촉면(32a)의 경사보다 조금 완만하게 만들었을 때가, 캠체(22)의 캠돌기(22b)의 단부표면(22c)의 경사각을 슬라이더(32)의 캠(32a)의 슬라이드접촉면(32b)의 경사각과 같게 만들었을 때보다 원활하게 이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경사각의 차이로는 1±0.5°로 설정하고, V자 형상 개방각의 차이로는 2±1°로 설정할 수 있음을 알 수가 있었다. 그리고, 상기 단부표면(22c)의 경사각이 캠체(22)의 캠돌기(22b)의 정상부에서 커졌을 때, 슬라이더(32)의 캠(32a)의 저지부(22b)에 대한 출입이 원활함을 알 수가 있었다.
이렇게 해서 외통(12)의 직경이 작더라도 3개의 필심부재(30)를 가진 복합필기구가 필심부재(30)의 선단부가 원활하게 돌출하고 수납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출입동작이 뒤쪽외통(16)과 앞쪽외통(14) 사이의 상대회전에 따라 이루어지기 때문에 외통에서 노출된 녹크부재와 같은 것을 필요로 하지 않고, 또 녹크해제부재도 필요치 않으며, 외관이 미려하고 조작하기도 편리한 복합필기구를 얻을 수가 있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를 나타낸 것이다. 이 제2실시예가 제1실시에와 다른 점은, 제2저지부(22e)로서 제2저지오목부가 캠체(22)의 V자 형상 캠돌기(22b)가 형성되어 있는 부분과 반대되는 쪽 원주방향으로 뻗은 단부표면(22c) 내에 형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 제2저지부(22e)의 깊이는 상기 저지부(22d)의 깊이보다 얕게 되어 있다.
다음에는 제2실시예에 따른 복합필기구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1개의 필심부재(30)가 전진한 상태에서 필심부재(30)에 연결된 슬라이더(32)의 캠(32a)이 저지부(22d)에 의해 저지된 상태는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이 상태에서 뒤쪽외통 (16)이 앞쪽외통(14)에 대해 회전하여 슬라이더(32)의 캠(32a)이 저지부(22d)에서 빠져나와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하면, 슬라이더(32)의 캠(32a)은 제2저지부(22e)에 의해 저지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필심부재(30)가 모두 외통(12) 내에 수납된 상태로 되고, 1개의 슬라이더(32)가 제2저지부(22e)에 의해 저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도 9b 참조). 그에 따라, 슬라이더(32)의 의도하지 않은 이동이 저지됨으로써 수납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캠돌기(22b)의 단부표면(22c)이 이 예에서와 같이 특히 급한 경우에는, 비록 필심부재(30)가 수납상태에 있더라도 어느 필심부재(30)와 연결된 슬라이더(32)의 캠(32a)의 슬라이드접촉면(32b)이 캠체(22)의 캠돌기(22b)의 단부표면(22c)을 따라 저지부(22d)쪽으로 미끄러져, 의도하지 않게 필심부재(30)의 단부가 외통(12) 밖으로 돌출하게 된다. 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이러한 의도하지 않은 슬라이더(32)의 이동이 저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저지작용에 따라, 필기자는 1개의 슬라이더(32)의 캠(32a)이 제2저지부(22e)에 의해 저지됨에 따른 클릭(click)감을 느낄 수가 있어서, 필심부재(30)가 정확히 수납되었음을 정확히 알 수가 있게 된다.
이 점에서, 상기 제2저지부(22e)가 오목부 깊이에서 저지오목부(22d)의 깊이보다 얕아 저지력이 작기 때문에, 제2저지부(22e)에 의해 저지된 상태를 적은 힘으로 해제하도록 조작하여 필심부재(30)를 전진시킬 수가 있어 조작성이 우수해지게 된다. 제2저지부(22e)의 형상으로는,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제2저지부(22e',22e")와 같게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몇 가지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에 숙련된 기술자라면 다음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사상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을 것임은 익히 인정된다 하겠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앞쪽외통과 이 앞쪽외통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뒤쪽외통으로 이루어진 외부직경을 10.5mm 이하로 한 외통 내에 복수의 필심부재가 수납되어, 이들 복수의 필심부재의 각 선단부가 선택적으로 외통의 선단부에 형성된 1개의 개구를 통해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로서, 상기 캠체가, 앞쪽으로 돌출한 V자 형상 캠돌기와, 앞쪽을 향해 상기 캠돌기를 따라 뻗은 캠면 및, 상기 캠면의 캠돌기의 정상부에 형성된 저지부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슬라이더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 캠과, 뒤쪽을 향해 상기 캠을 따라 뻗고서 상기 캠면에 대해 눌려지게 되는 슬라이드접촉면을 이루어져, 상기 뒤쪽외통과 상기 앞쪽외통의 상대회전에 따라 상기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캠면에 슬라이드접촉해서 캠 중 하나가 상기 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캠에 형성된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이 미려하면서도 외통의 외경이 작고, 조작하기도 쉬운 복합필기구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앞쪽외통과 이 앞쪽외통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게 결합된 뒤쪽외통으로 이루어진 외부직경이 10.5mm 이하인 외통 내에 복수의 필심부재가 수납되고서, 이들 복수의 필심부재의 각 선단팁이 선택적으로 그 선단부에 형성된 1개의 개구부를 통해 출몰할 수 있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로서,
    상기 외통 내에는 캠체가 상기 뒤쪽외통에 대해 회전할 수 없도록 설치되고,
    상기 앞쪽외통에는 1개의 슬라이더가 회전할 수 없게 설치되고서 각 필심부재의 후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캠체는, 앞쪽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 캠돌기와, 앞쪽을 향해 상기 캠돌기를 따라 뻗은 캠면 및, 상기 캠면의 캠돌기의 정상부에 형성된 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라이더는, 뒤쪽으로 돌출하는 V자 형상 캠과, 뒤쪽을 향해 상기 캠을 따라 뻗고서 상기 캠면에 대해 눌려지게 되는 슬라이드접촉면을 이루어져,
    상기 뒤쪽외통과 상기 앞쪽외통의 상대회전에 의해 상기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캠면에 슬라이드접촉하여 캠 중 하나가 상기 저지부에 의해 저지됨으로써, 상기 캠에 형성된 슬라이더에 연결된 필심부재의 선단부가 외통의 선단개구로부터 선택적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 복합필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가 돌출했을 때 상기 캠돌기의 정상부 부근 이외의 캠면이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 경사져진 경사각이, 상기 캠이 돌출했을 때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 상기 캠의 슬라이드접촉면이 경사져진 경사각보다 1±0.5°가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가 돌출했을 때 상기 캠돌기의 정상부 부근에서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에서 상기 캠면이 경사져진 경사각이 상기 정상부의 인근 이외 부분 보다 크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가 돌출했을 때 상기 캠돌기의 정상부 부근 이외의 부분의 축선방향과 평행한 선으로부터 경사진 경사각(θ)이 21.5°~ 3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5.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이 V자 형상 캠돌기의 양쪽 단부에서 이어져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고서, 이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된 한 부분의 한곳에 상기 캠이 저지되도록 하는 제2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저지부로 말미암은 캠의 저지력이 상기 저지부로 말미암은 캠의 저지력보다 작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필심부재의 수가 3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필기구.
KR1020040080502A 2003-11-12 2004-10-08 복합필기구 KR100601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83088 2003-11-12
JP2003383088 2003-11-12
JP2004014798A JP4583769B2 (ja) 2003-11-12 2004-01-22 複合筆記具
JPJP-P-2004-00014798 2004-01-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5815A KR20050045815A (ko) 2005-05-17
KR100601362B1 true KR100601362B1 (ko) 2006-07-18

Family

ID=34554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0502A KR100601362B1 (ko) 2003-11-12 2004-10-08 복합필기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939069B2 (ko)
JP (1) JP4583769B2 (ko)
KR (1) KR100601362B1 (ko)
CN (1) CN100453341C (ko)
TW (1) TWI32796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0862B2 (en) * 2006-05-26 2011-05-31 Youngtack Shim Multicolor writing tools and methods
US8734040B2 (en) 2011-06-09 2014-05-27 A.T.X. International, Inc. Multi-function writing instrument with propulsion mechanism
JP6133121B2 (ja) 2012-05-08 2017-05-24 株式会社壽 筆記具
JP6199130B2 (ja) * 2013-09-06 2017-09-20 株式会社パイロットコーポレーション 回転操作式多芯筆記具
TW201726440A (zh) * 2015-12-17 2017-08-01 Kotobuki & Co Ltd 複合式筆具
KR101632590B1 (ko) * 2016-02-25 2016-06-22 천광주 자동 리턴기능을 갖는 다색 필기구
WO2021071891A1 (en) * 2019-10-08 2021-04-15 Sanford L.P. Convertible writing assemblies and component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16718B2 (en) * 1978-01-31 1981-06-18 Zebra Co. Ltd. Combination pen
US4268183A (en) * 1979-09-10 1981-05-19 Zebra Co., Ltd. Composite writing instrument
JPS6229273Y2 (ko) * 1980-09-09 1987-07-27
JPH0442153Y2 (ko) * 1985-05-10 1992-10-05
HUT57653A (en) * 1986-08-07 1991-12-30 Kotobuki & Co Ltd Double writing materials of refillable type
US5306085A (en) * 1991-12-03 1994-04-26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Multiplex writing implement with eraser
JPH0595786U (ja) * 1992-06-09 1993-12-27 三菱鉛筆株式会社 複式筆記具
US5642953A (en) * 1993-11-02 1997-07-01 Mitsubishi Pencil Kabushiki Kaisha Multiplex writing implement
JP2598110Y2 (ja) * 1993-11-30 1999-08-03 ぺんてる株式会社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3497568B2 (ja) * 1994-07-22 2004-02-16 株式会社壽 複合筆記具
JP3095986B2 (ja) * 1995-12-19 2000-10-10 セーラー万年筆株式会社 2芯筆記具
JPH1016485A (ja) * 1996-06-27 1998-01-20 Kotobuki:Kk 複合筆記具
CN2269311Y (zh) * 1996-12-14 1997-12-03 陈德芳 自动曲线旋转开关的多色彩笔
CN1168613C (zh) * 2002-02-07 2004-09-29 邱智铭 一种多笔头转动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3341C (zh) 2009-01-21
TWI327969B (en) 2010-08-01
CN1616247A (zh) 2005-05-18
KR20050045815A (ko) 2005-05-17
TW200524754A (en) 2005-08-01
JP2005161829A (ja) 2005-06-23
US6939069B2 (en) 2005-09-06
JP4583769B2 (ja) 2010-11-17
US20050100387A1 (en) 2005-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5875A (ko) 노크식 필기구
KR100601362B1 (ko) 복합필기구
US7581896B2 (en) Safety knock-type writing instrument
JP5006110B2 (ja) 筆記具の軸構造
JP5593646B2 (ja) 筆記具
US7452147B2 (en) Writing instrument with a lateral button
JP4027692B2 (ja) 筆記具
JP5768638B2 (ja) 複式筆記具
JP5262088B2 (ja) 筆記具
JP2006334832A (ja) 複式筆記具
JP5070942B2 (ja) 複式筆記具
JP2003312189A (ja) 入力ペン内蔵筆記具
JP2008155508A (ja) 多芯筆記具
JP5621630B2 (ja) 複式筆記具
JP2010082892A (ja) 筆記具
JP4814901B2 (ja) 複式筆記具
JP5300554B2 (ja) 多芯筆記具
JP3183485B2 (ja) 複式筆記具
JPS6222396Y2 (ko)
JPH10287088A (ja) 複式筆記具
JPH11314491A (ja) 複式筆記具
JP2010105222A (ja) サイドノック式筆記具
JP2000006573A (ja) 出没式筆記具
JP2002347391A (ja) 押出式筆記具
JPH0939484A (ja) 複式筆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