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1074B1 - 회전형 전기 부품 - Google Patents

회전형 전기 부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1074B1
KR100601074B1 KR1020040083816A KR20040083816A KR100601074B1 KR 100601074 B1 KR100601074 B1 KR 100601074B1 KR 1020040083816 A KR1020040083816 A KR 1020040083816A KR 20040083816 A KR20040083816 A KR 20040083816A KR 100601074 B1 KR100601074 B1 KR 100601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hole
substrate
emitting element
opera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9581A (ko
Inventor
야마자키겐지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1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1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25Light-emitting indic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36Light emitt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19/00Legends
    • H01H2219/054Optical elements
    • H01H2219/064Optical isolation of switch si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46Casings convertible

Landscapes

  • Adjustable Resistors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LED 의 사이즈가 변경되어도 최소한의 부품 변경만 하면 되어 각종 버라이어티 대응이 용이한 회전형 전기 부품을 제공한다.
축선 방향으로 관통 구멍 (1c) 을 갖는 조작축 (1) 과, 조작축 (1) 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어링 (4) 과, 조작축 (1) 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슬라이딩자 (6) 와, 슬라이딩자 (6) 가 슬라이딩하는 패턴이 형성된 기판 (8) 과, 기판 (8) 을 유지하는 동시에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에 대응한 개구부 (8a, 7f) 를 갖는 제 1 케이스 (7) 와, 제 1 케이스 (7) 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2 케이스 (10) 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 (10) 에 발광 소자 (13) 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10a) 를 형성하고, 수납부 (10a) 에 제 1 케이스 (7) 의 개구부 (8a, 7f) 를 사이에 두고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을 면하게 하는 동시에 수납부 (10a) 에 수납되는 발광 소자 (13) 와 관통 구멍 (1c) 을 대치 가능하게 하였다.
회전형 전기 부품

Description

회전형 전기 부품{ROTARY ELECTRIC COMPONENT}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을 나타내는 저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조작축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조작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제 1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 1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 2 케이스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제 2 케이스를 나타내는 저면도, 및
도 11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조광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 부호의 설명*
1:조작축 1a:조작부
1b:회전판 1c:관통 구멍
1d:삽입홈 1e:캠부
1f:스토퍼부 2:C 링
3:클릭 스프링 4:베어링
4a:통형부 4b:기대부(基臺部)
4c:수용부 5:회전체
5a:슬라이딩자 수용부 5b:돌출형부
6:슬라이딩자 7:제 1 케이스
7a:오목부 7b:가이드구멍
7c:가이드구멍 7d:돌기
7e:돌기 7f:개구부
8:기판 8a:개구부
9:단자 10:제 2 케이스
10a:수납부 10b:돌출벽
10c:지지돌기 10d:걸림부
11:부착판 11a:상판부
11b:측판부 11c:다리부
11d:걸림편 12:실장 기판
13:발광 소자 (LED) 13a:리드
본 발명은 회전형 전기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향기기 등의 전자기기의 각종 컨트롤에 사용되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조로는, 전자기기의 실장 기판에 마운트된 LED (발광 다이오드) 등의 조광부재의 광을 조작축의 관통 구멍 등의 도광부를 통하여 손잡이의 도광체로 유도하는 조광구조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22243호 참조).
이하,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조광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전자기기의 패널 (101) 은, 구멍 (101a) 이 형성되는 동시에 투명한 합성 수지의 투광재료로 이루어지는 도광체 (102) 와 불투명한 비투광재료로 이루어지는 비도광체 (103) 로 형성되어 있다. 조광부재 (105) 는 LED 등의 발광 소자 (106) 와 단자부 (107) 를 가지며, 단자부 (107) 가 프린트기판 (104) 에 부착되어 있다.
회전형 인코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형 전기 부품 (108) 은 상자형 케이스 (109) 와, 단자부 (110a) 를 갖는 코드판 (110) 과, 외주부에 회전체 (111) 를 일체로 형성한 조작축 (112) 과, 조작축 (112) 을 회전유지하는 베어링부 (113) 와, 클릭용 스프링 부재 (114) 와, 회전체 (111) 에 부착된 슬라이딩자 (115) 를 갖고 있다.
슬라이딩자 (115) 는, 조작축 (112) 의 회전에 의해 회전체 (111) 를 통하여 회전되고, 코드판 (110) 에 인접하여 펄스신호를 발생시킨다. 이 때, 클릭용 스프링부재 (114) 에 회전체 (111) 의 요철부가 걸림 해제되어 조작축 (112) 의 회 전에 클릭감이 주어진다.
조작축 (112) 에는, 축방향으로 도광부로서의 중공부 (112b) 가, 하단면 (112a) 에서 상단면 (112c) 에 걸쳐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회전형 전기 부품 (108) 이 프린트기판 (104) 에 부착될 때, 조작축 (112) 의 중공부 (112b) 내에는 조광부재 (105) 의 발광 소자 (106) 가 위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손잡이 (116) 에는 투광재료로 이루어지는 도광체 (117) 가 형성되어 있고, 도광체 (117) 의 단면 (117a) 과 패널 (101) 의 구멍 (101a) 내에 노출된 도광체 (102) 의 노출부 (102b) 가 대향되어 있다. 이 손잡이 (116) 는 오목부 (116a) 에 조작축 (112) 이 끼워져 조작축 (112) 에 부착되는 동시에 도광체 (117) 를 조작축 (112) 의 중공부 (112b) 에 일치시킨 상태로 부착된다.
그리고, 손잡이 (116) 을 회전시키면 조작축 (112) 이 회전되어 펄스신호가 발생하고, 조광부재 (105) 의 광이 도광부의 작용을 실시하는 중공부 (112b) 로부터 도광체 (117) 를 통과하며, 또한 단면 (117a) 을 통하여 노출부 (102b) 가 조사되고, 이 노출부 (102b) 에 대응한 표시부 (102a) 를 조광하여 손잡이 (116) 의 회전위치를 표시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회전형 전기 부품에서는, 조광부재인 리드단자가 있는 LED 를 조작축이 관통하는 중공부 (112b) 에 격납하고 있기 때문에, LED 의 사이즈가 커지면 조작축, 코드판, 슬라이딩자 등의 부품을 거의 모두 변경할 필요가 있어 범용성이 모자라고, 비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LED 의 사이즈가 변경되더라도 최소한의 부품 변경만 하면 되어, 각종 버라이어티 대응이 용이한 회전형 전기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축선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갖는 조작축과, 이 조작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조작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슬라이딩자와, 이 슬라이딩자가 슬라이딩하는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이 기판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축의 관통 구멍에 대응한 개구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에 발광 소자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에 상기 제 1 케이스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축의 관통 구멍을 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관통 구멍을 대치 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고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벽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돌출벽의 외방에 복수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이 지지돌기의 돌출 높이를 상기 돌출벽의 돌출 높이보다도 약간 더 돌출되도록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기판을, 상기 제 1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 함으로써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할 때 상기 기판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구멍을 상기 제 1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 2 케이스로 막도록 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10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의 정면도, 도 2 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평면도, 도 3 은 회전형 전기 부품의 저면도, 도 4 는 회전형 전기 부품의 단면도, 도 5 는 조작축의 정면도, 도 6 은 조작축의 평면도, 도 7 은 제 1 케이스의 평면도, 도 8 은 제 1 케이스의 저면도, 도 9 는 제 2 케이스의 정면도, 도 10 은 제 2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조작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 또는 아연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장축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축 (1) 은, 일단측에 D 자형으로 커트된 조작부 (1a) 가 있고, 타단측에는 플랜지형의 회전판 (1b) 이 있다. 또, 축부의 축선 방향 중앙에는 일단측에서 타단측으로 관통된 관통 구멍 (1c) 이 형성되어 있고, 축부의 외주 중앙에는 탈락방지용 C 링 (2) 이 삽입되는 삽입홈 (1d) 이 형성되어 있다. 또, 회전판 (1b) 의 상면에는 조작축 (1) 의 회전조작시에 클릭 스프링 (3) 이 걸림 해제하여 클릭감을 발생시키는 캠부 (1e) 가 형성되고, 주면에는 회전조작시의 각도를 규제하는 스토퍼부 (1f) 가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 (4)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 또는 아연 등의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원통형의 통형부 (4a) 와, 이 통형부 (4a) 의 일단측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의 기대부 (4b) 를 갖고 있다. 또, 이 기대부 (4b) 에는 상자형 수용부 (4c) 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 (4c) 에 상기 클릭 스프링 (3) 이 고착되어 있다. 베어링 (4) 의 통형부 (4a) 에 상기 조작축 (1) 의 축부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플랜지형 회전판 (1b) 이 상기 캠부 (1e) 를 클릭 스프링 (3) 과 걸림 해제 가능하게 대향되어 수용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하지 않지만 베어링 (4) 의 수용부 (4c) 에는 상기 회전판 (1b) 의 주면에 형성된 스토퍼부 (1f) 와 맞닿아 회전이 규제되는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체 (5)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며, 약 평판형의 슬라이딩자 수용부 (5a) 와, 원통형으로 연장 돌출된 돌출형부 (5b) 를 갖고 있다. 이 슬라이딩자 수용부 (5a) 에는, 스프링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자 (6) 가 고착되어 있고, 돌출형부 (5b) 가 상기 조작축 (1) 의 회전판 (1b) 하측에 부착되어 있다. 이 때,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은, 회전체 (5) 의 원통형 돌출형부 (5b) 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회전체 (5) 는, 조작축 (1) 이 회전될 때 이 조작축 (1) 의 회전과 동시에 함께 회전하게 되어 있다.
제 1 케이스 (7)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 1 케이스 (7) 에는 상기 슬라이딩자 (6) 가 수납되는 원형 오목부 (7a)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 (1) 에는 페놀 수지 등의 수지 적층판으로 이루어지는 기판 (8) 이,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체화되어 유지되어 있다. 이 기판 (8) 에는 상기 슬라이딩자 (6) 가 슬라이딩하는, 은이나 카본 등 의 도전성 재료로 인쇄된 패턴 (8b) 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턴 (8b) 이 형성된 면이 상기 오목부 (7A) 의 내저면에 표출된 상태로 기판 (8) 이 제 1 케이스 (7) 에 매설되어 있다.
또, 상기 기판 (8) 의 일단에는 패턴 (8b) 과 도통되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단자 (9)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단자 (9) 가 제 1 케이스 (7) 의 일측면에서 외방으로 돌출된 후, 하방으로 직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단자 (9) 가, 도 4 에 나타내는 전자기기 등의 실장 기판 (12) 위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도전 패턴과 접속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오목부 (7a) 의 중앙, 즉 상기 기판 (8) 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개구부 (8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 (8a) 에 상기 조작축 (1) 및 회전체 (5) 의 돌출형부 (5b) 가 회전운동 가능하게 삽입되게 되어 있다. 즉,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은 제 1 케이스 (7) 의 기판 (8) 의 개구부 (8a) 를 관통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 (7) 에는, 매설된 상기 기판 (8) 의 외주부 위치에 상기 기판 (8) 을 제 1 케이스 (7) 에 인서트 성형할 때, 상기 기판 (8) 이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금형에 형성된 가이드핀의 궤적이 되는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 (7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 (7) 의 하면에는, 상기 기판 (8) 이 상하방향 (이 경우에는 하방향) 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동일하게 가이드핀의 궤적이 되는 원호형 가이드구멍 (7c)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케이스 (7) 의 상면측 및 하면측에는, 네 코너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돌기 (7d 및 7e) 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복수의 돌기 (7d 및 7e) 에 의해, 상부에 중합되는 상기 베어링 (4) 및 하부에 중합되는 후술하는 제 2 케이스 (10) 가 걸어 맞춰져 일체적으로 부착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케이스 (7) 의 하면에는 기판 (8) 의 개구부 (8a) 와 연이어 통과되어 개구부 (8a) 보다도 한 단계 큰 원형상을 한 개구부 (7f) 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참조).
제 2 케이스 (10)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케이스 (10) 의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형상의 개구로 이루어지는 수납부 (10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납부 (10a) 에, 상기 제 1 케이스 (7) 의 개구부 (7f) 및 제 1 케이스 (7) 에 매설된 기판 (8) 의 개구부 (8a) 를 통하여 상기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을 면하도록 제 2 케이스 (10) 가 상기 제 1 케이스 (7) 의 하면측에 중합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케이스 (10) 의 상기 수납부 (10a) 의 하면 둘레 가장자리에는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환형 (본 실시형태에서는 원환형) 의 돌출벽 (10b)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케이스 (10) 의 하면 측 네 코너부에서 상기 돌출벽 (10b) 의 외방 위치에는 복수의 지지돌기 (10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돌기 (10c) 의 돌출 높이 (H1) 는 상기 돌출벽 (10b) 의 돌출 높이 (H2) 보다도 약간 (0.02∼0.5㎎) 더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9 참조).
또, 제 2 케이스 (10) 의 하면측에는 복수의 오목형 걸림부 (10d) 가 형성되 어 있고, 이 걸림부 (10d) 에 후술하는 부착판 (11) 의 걸림편 (11d) 이 걸리며, 제 2 케이스 (10) 가 상기 베어링 (4) 및 제 1 케이스 (7) 와 중합되어 부착되게 되어 있다.
부착판 (11) 은, 금속판을 펀칭하고 절곡하여 형성되고, 개구를 구비한 상판부 (11a) 와 한 쌍의 측판부 (11b) 를 구비하며, 측판부 (11b) 에는 한 쌍의 다리부 (11c) 와 2 쌍의 걸림편 (11d)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판 (11) 은, 상기 베어링 (4) 의 상부에 끼워 장착되어 베어링 (4), 제 1 케이스 (7), 제 2 케이스 (10) 를 각각 중합한 후, 상기 걸림편 (11d) 을 절곡하여 제 2 케이스 (10) 의 걸림부 (10d) 에 걸어맞춤으로써 회전형 전기 부품이 구성된다.
이 경우, 제 1 케이스 (7) 에는, 상기 기판 (8) 을 제 1 케이스 (7) 에 인서트 성형할 때 상기 기판 (8) 이 좌우로 어긋나지 않도록 위치 결정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는 금형에 형성된 가이드핀의 궤적이 되는, 상하로 관통된 한 쌍의 가이드구멍 (7b) 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 가이드구멍 (7b) 을 제 1 케이스 (7) 의 하방에 부착된 상기 제 2 케이스 (10) 로 막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진애나 먼지 등이 제 1 케이스 (7) 의 가이드구멍 (7b) 에서 슬라이딩자 (6) 를 수납하는 오목부 (7A) 내로 침입하여 슬라이딩자 (6) 와 패턴 (8b) 의 슬라이딩에 장애를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회전형 전기 부품을,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자기기 등의 실장 기판 (12) 위에 설치할 때에는, 한 쌍의 상기 다리부 (11c) 에서 실장 기판 (12) 위에 임시 고정하고, 이 다리부 (11c) 와 상기 단자부 (9) 를 도시하지 않는 도전 패 턴에 납땜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 실장 기판 (12) 위에 배치된 LED 등의 발광 소자 (13) 를 제 2 케이스 (10) 의 수납부 (10a)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하면 되고, 배치된 발광 소자 (13) 의 광은 제 1 케이스 (7) 의 기판 (8) 의 개구부 (8a) 에 삽입통과된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을 통하여 조작축 (1) 선단의 조작부 (1a) 로부터 외방으로 도광되게 된다. 그리고, 조작부 (1a) 에 부착되는, 도시하지 않는 손잡이의 도광부를 통하여 전자기기 등의 표시패널의 표시부를 조광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납부 (10a) 에 상기 제 1 케이스 (7) 의 개구부 (7f) 및 제 1 케이스 (7) 에 매설된 기판 (8) 의 개구부 (8a) 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축 (1) 의 관통 구멍 (1c) 을 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부 (10a) 에 수납되는 상기 발광 소자 (13) 와 상기 관통 구멍 (1c) 을 대치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전자기기 조명광의 버라이어티에 대응하여 제 1 케이스 (7) 의 수납부 (10a) 에 수납되는 발광 소자 (13) 의 사이즈가 커졌다고 해도 제 2 케이스 (10) 의 수납부 (10a) 의 크기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축 (1) 이나 제 1 케이스 (7) 등의 본체측의 대폭적인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각종 버라이어티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2 케이스 (10) 의 상기 수납부 (10a) 의 하면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광 소자 (13) 를 둘러싸고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환형 돌출벽 (10b)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 소자 (13) 로부터 원치않게 상방측으로 광이 누설되는 것을 이 돌출벽 (10b) 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케이스 (10) 의 하면측 네 코너부에서, 상기 돌출벽 (10b) 의 외방 위치에는 복수의 지지돌기 (10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돌기 (10c) 의 돌출 높이 (H1) 는 상기 돌출벽 (10b) 의 돌출 높이 (H2) 보다도 약간 더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지지돌기 (10c) 에 의해 회전형 전기 부품을 실장 기판 (12) 위에 설치할 때 덜걱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장 기판 (12) 위에 형성된 발광 소자 (13) 의 리드 (13a) 와 도통하는 도시하지 않는 도전 패턴이 이 돌출벽 (10b) 에 의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형 전기 부품은, 축선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갖는 조작축과, 조작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어링과, 조작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슬라이딩자와, 슬라이딩자가 슬라이딩하는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기판을 유지하는 동시에 조작축의 관통 구멍에 대응한 개구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제 1 케이스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제 2 케이스에 발광 소자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수납부에 제 1 케이스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조작축의 관통 구멍을 면하게 하는 동시에 수납부에 수납되는 발광 소자와 관통 구멍을 대치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자기기의 조광부의 버라이어티에 대응하여 수납부에 수납되는 발광소자의 사이즈가 커졌다고 해도 제 2 케이스의 수납부 크기를 변경하기만 하면 되므로, 조작축이나 제 1 케이스 등의 본체측의 대폭적인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아, 각종 버라이어티 대응이 용이하다.
또, 제 2 케이스의 수납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발광 소자를 둘러싸고 하방 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벽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발광소자로부터 원치않게 광이 누설되는 것을 이 돌출벽에 의해 방지할 수 있다.
또, 제 2 케이스에는, 돌출벽의 외방에 복수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지지돌기의 돌출 높이를 돌출벽의 돌출 높이보다도 약간 더 돌출되도록 형성하였기 때문에, 지지돌기에 의해 회전형 전자부품을 실장 기판에 부착할 때 덜걱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실장 기판 위에 형성된 발광소자의 단자와 도통하는 도전 패턴이 돌출벽에 의해 파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판을 제 1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하는 동시에, 제 1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할 때 기판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여 가이드구멍을 제 1 케이스에 설치된 제 2 케이스로 막도록 하였기 때문에, 진애나 먼지 등이 제 1 케이스의 가이드구멍으로부터 슬라이딩자를 수납하는 공간 내로 침입하여 슬라이딩자와 패턴의 슬라이딩에 장애를 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축선 방향으로 관통 구멍을 갖는 조작축과, 이 조작축을 회전 가능하게 유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조작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운동하는 슬라이딩자와, 이 슬라이딩자가 슬라이딩하는 패턴이 형성된 기판과, 이 기판을 유지하는 동시에 상기 조작축의 관통 구멍에 대응한 개구부를 갖는 제 1 케이스와, 이 제 1 케이스의 이면측에 형성된 제 2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케이스에 발광 소자를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하고, 이 수납부에 상기 제 1 케이스의 개구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조작축의 관통 구멍을 면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는 상기 발광 소자와 상기 관통 구멍을 대치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의 상기 수납부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상기 발광 소자를 둘러싸고 하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돌출벽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케이스에는, 상기 돌출벽의 외방에 복수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이 지지돌기의 돌출 높이를 상기 돌출벽의 돌출 높이보다도 약간 더 돌출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을, 상기 제 1 케 이스에 인서트 성형함으로써 일체화하는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할 때 상기 기판을 위치 결정하는 가이드구멍을 형성하여 이 가이드구멍을 상기 제 1 케이스에 설치된 상기 제 2 케이스로 막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전기 부품.
KR1020040083816A 2003-10-22 2004-10-20 회전형 전기 부품 KR1006010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62240A JP4302482B2 (ja) 2003-10-22 2003-10-22 回転型電気部品
JPJP-P-2003-00362240 2003-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581A KR20050039581A (ko) 2005-04-29
KR100601074B1 true KR100601074B1 (ko) 2006-07-19

Family

ID=34641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816A KR100601074B1 (ko) 2003-10-22 2004-10-20 회전형 전기 부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02482B2 (ko)
KR (1) KR100601074B1 (ko)
CN (1) CN131514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67821B2 (ja) * 2016-09-14 2020-10-14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操作装置及び軸受部製造方法
CN107842517B (zh) * 2017-11-10 2020-01-07 奇鋐科技股份有限公司 风扇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14A (ja) * 1992-09-30 199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光式回転操作形電子部品
KR960025888A (ko) * 1994-12-14 1996-07-20 모리시타 요이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
JP2008025430A (ja) * 2006-07-20 2008-02-07 Yoshio Kanagu チューブポン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53976A (ja) * 1998-06-09 1999-12-24 Teikoku Tsushin Kogyo Co Ltd 照明機能付き回転式電子部品
JP2001229779A (ja) * 2000-02-10 2001-08-24 Alps Electric Co Ltd 照光付回転型電気部品の実装構造
JP2003151405A (ja) * 2001-11-15 2003-05-23 Alps Electric Co Ltd 回転型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12014A (ja) * 1992-09-30 1994-04-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照光式回転操作形電子部品
KR960025888A (ko) * 1994-12-14 1996-07-20 모리시타 요이찌 회전조작형 전자부품
JP2008025430A (ja) * 2006-07-20 2008-02-07 Yoshio Kanagu チューブポンプ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2002-54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9581A (ko) 2005-04-29
CN1315141C (zh) 2007-05-09
JP2005129655A (ja) 2005-05-19
JP4302482B2 (ja) 2009-07-29
CN1619739A (zh) 2005-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4856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5617389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US7295187B2 (en) Electronic apparatus
US6759613B2 (en) Key switch
US6225580B1 (en) Rotary switch contained inside a knob
US6967296B2 (en) Steering switch device
EP1037228A2 (en) Illuminated switching device for stabilized illumination to translucent portion of knob
KR100601074B1 (ko) 회전형 전기 부품
US7556522B2 (en) Land grid array connector having improved stiffener
JP2009146708A (ja) 電子機器の押し釦装置
JP2007520853A (ja) 電子装置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のキーパッドの背面照明の光導体
US73124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assembly thereof
JP4151513B2 (ja) 照光式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05347522A (ja) 回転型電気部品
KR100779437B1 (ko) 조광식 회전형 전기 부품
US6995650B2 (en) Electrical part prevented from improper mounting on circuit board, and mounting structure for the electrical part
JP2015106514A (ja) 照光機構付き回転式電子部品の防滴構造
JP2002190224A (ja) 操作装置
JP2004265687A (ja) 回転型電気部品
KR900006413Y1 (ko)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JP2007220438A (ja) 電気部品
EP1597740A1 (en) A switch device capable of being fitted with a central light source, and a keypad key for electrical equipment including such a switch device
JP2007073792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5150241A (ja) 回転型電気部品
JP2005251955A (ja) 回転型電気部品及びそ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