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6413Y1 -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6413Y1
KR900006413Y1 KR2019870014369U KR870014369U KR900006413Y1 KR 900006413 Y1 KR900006413 Y1 KR 900006413Y1 KR 2019870014369 U KR2019870014369 U KR 2019870014369U KR 870014369 U KR870014369 U KR 870014369U KR 900006413 Y1 KR900006413 Y1 KR 9000064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d lamp
hole
cap
button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43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800U (ko
Inventor
강형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시환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8700143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6413Y1/ko
Publication of KR8900058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8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64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64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83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characterised by legends, e.g. Braille, liquid crystal displays, light emitting or optic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분리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단면도.
제4도는 종래 키이버튼의 분리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횡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탄성부 3 : 버튼
4 : 통공 5 : 고무리브
6 : 버튼캡 7 : 리브
본 고안은 전화기 및 통신장비등에 사용되는 키이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버튼 내부에 발광다이오드를 내장하여 스위치 작동시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여 외부에서 스위치의 기능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키이 버튼의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제4∼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육면체 버튼(22) 하부에 탄력부(21)를 설치하고 육면체버튼(22) 몸체일측에 LED램프를 설치할 수 있게 통공(23)을 형성한 후 버튼(22) 상부에 기능 표시판(24)을 삽설하고 버튼캡(25)을 씌워서 된 것이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버튼(22) 일측에 LED램프를 수장하는 통공(23)을 형성하므로서 구조가 복잡하고 버튼의 전체적인 부피가 커져 다수개의 버튼을 종횡으로 배열할시 기기의 표면에 차지하는 면적이 커지므로 결국 기기의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고무판에 설치되는 버튼부 측면에 LED를 설치 할 수 있는 통공을 설치하여 통공(23)의 측벽면을 배제시킴으로써 버튼의 부피를 축소하여 좁은 면적에 보다 많은 버튼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본 고안의 목적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2,3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고무판(1)에 탄성부(2)를 갖는 버튼(3)을 일체로 구성하는 버튼(3) 일측면에는 LED램프를 설치할 수 있는 통공(4)를 형성하고 통공(4) 주변에 버튼(3)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고무리브(5)를 형성함과 동시에 버튼캡(6)의 중앙에는 리브(7)를 설치하여 일측에 버튼(3)을 삽입할 수 있도록하며 타측공간에는 LED램프를 수장하는 공간부(8)를 형성하고 LED램프를 수장하는 버튼캡(6) 내측에는 반사돌기부(9)를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도면중 미설명부호 10은 도전성접점 11은 걸림턱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는 버튼캡(6) 상면에 인쇄된 기능표시를 확인한후 원하는 기능에 해당하는 버튼캡(6)을 누르면 버튼(3) 하측에 형성된 탄성부(2)가 눌리면서 도전성접점(10)이 인쇄회로 기판상에 접점을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토록 한다.
이때 통공(4)을 통하여 버튼캡(6) 내부의 공간부(8)에서 LED램프가 점등하게 되므로 빛이 버튼캡(6) 일측에 형성된 반사돌기(9)를 통하여 빛을 발산하게 되므로 기능 수행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통공(4) 주변의 리브(6)는 버튼(3)을 눌렀을때 버튼캡(6)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버튼의 동작을 원할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버튼캡(6)에서 손을 떼게되면 버튼(3) 하부의 탄성부(2)의 탄력에 의해 버튼이 상승되며 이때에는 버튼캡(6) 하부 전, 후측에 설치된 걸림턱(11)이 기기의 하우징에 걸려 버튼캡(6)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LED램프를 수장하는 통공을 형성하는 벽면의 두께(T)를 배제함으로서 길이(L) 방향에 있어서 T만큼이, 폭(W) 방향으로는 2T만큼 스위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다수개의 버튼이 종횡으로 배열되는 통신장비에 있어서는 좁은 면적에 여러가지 기능을 수행하는 버튼스위치를 배열할 수 있으며 또한 스위치의 작동이 버튼 캡 상면에 LED램프의 점멸로 인한 기능수행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기기작동시 정확을 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고무판(1)에 탄성부(2)를 갖는 버튼(3)을 일체로 구성하며 버튼(3) 일측면에는 LED램프를 설치할 수 있는 통공(4)를 형성하고 통공(4) 주변에 버튼(3)과 대향되는 위치에는 고무리브(5)를 형성함과 동시에 버튼캡(6)의 중앙에는 리브(7)를 설치하여 일측에 버튼(3)을 삽입할 수 있도록하며 타측공간에는 LED램프를 수장하는 공간부(8)를 형성하고 LED램프를 수장하는 버튼캡(6) 내측에는 반사돌기부(9)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의 키이버튼.
KR2019870014369U 1987-08-27 1987-08-27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KR9000064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369U KR900006413Y1 (ko) 1987-08-27 1987-08-27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4369U KR900006413Y1 (ko) 1987-08-27 1987-08-27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00U KR890005800U (ko) 1989-04-21
KR900006413Y1 true KR900006413Y1 (ko) 1990-07-20

Family

ID=1926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4369U KR900006413Y1 (ko) 1987-08-27 1987-08-27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641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800U (ko) 1989-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5120A (en) Illuminated keyboard
US3988557A (en) Lighted pushbutton electrical switch assembly
JP4248563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JP3715356B2 (ja) 電話機
US4531034A (en) Key switch devices with indicator lamp means
US5789716A (en) One-way shaking switch
US6388220B1 (en) Illuminated switching device for stabilized illumination to translucent portion of knob
JP2002289058A (ja) キースイッチ
JP2007520853A (ja) 電子装置用のリモート・コントロールのキーパッドの背面照明の光導体
US73124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key assembly thereof
KR900006413Y1 (ko) 전자기기의 키이 버튼
KR20010047847A (ko) 전원 스위치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 시스템 및전원 스위치 입력 처리 방법
TWI600039B (zh) Press the switch structure
CN213584458U (zh) 按键开关和插座
JPH01159917A (ja) 照明付キーボード・スイッチ
KR870002205Y1 (ko) 전자 기기의 키이 보턴
JPH0231706Y2 (ko)
CN210607062U (zh) 按钮以及电子设备
KR101066841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발광소자 실장장치
JPH0143775Y2 (ko)
JPS5826427Y2 (ja) 自照式押ボタン電鍵
KR200177530Y1 (ko) 엘리베이터용 버튼 스위치
JP3336195B2 (ja) 光源保持装置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20070071932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버튼 구조
KR900004309Y1 (ko) 전자기기의 푸쉬 버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4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