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956B1 -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956B1
KR100600956B1 KR1020040058403A KR20040058403A KR100600956B1 KR 100600956 B1 KR100600956 B1 KR 100600956B1 KR 1020040058403 A KR1020040058403 A KR 1020040058403A KR 20040058403 A KR20040058403 A KR 20040058403A KR 100600956 B1 KR100600956 B1 KR 100600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ecoding
parallel
latch
la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9725A (ko
Inventor
양성승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956B1/ko
Publication of KR200600097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97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static cells with positive feedback, i.e. cells not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e.g. bistable multivibrator or Schmitt trigger
    • G11C11/41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timing or power redu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78Data input circuits, e.g. write amplifiers, data input buffers, data input registers, data in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87Data input latch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0Decod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2207/22Control and timing of internal memory operations
    • G11C2207/2227Standby or low power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atic Random-Access Memo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빠르게 쓰기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SRAM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한 본 발명으로 메모리셀어레이블럭;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컬럼-디코딩부;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로우-디코딩부; 상기 컬럼-디코딩부의 출력신호에 제어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된 복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이를 병렬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부; 및 병렬로 인가된 상기 제1 래치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로우-디코딩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블럭에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하기 위한 제2 래치부를 구비하는 SRAM을 제공한다.
쓰기 동작, 래치, 병렬, 속도, 마진

Description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SRAM WITH HIGH SPEED WRITE TIME AND OPERATION METHOD THERE FO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SRAM의 메모리 구조도.
도 2는 도 1의 메모리셀어레이블럭을 액세스하는 과정에 따른 신호 파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RAM의 메모리 구조도.
도 4는 도 3의 메모리셀어레이블럭을 액세스하는 과정에 따른 신호 파형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모리셀어레이블럭
200 : Y-디코딩부
300 : X-디코딩부
400 : 제1 래치부
500 : 제2 래치부
본 발명은 반도체 설계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속으로 쓰기동작을 수행하는 SRAM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요즈음 출시되는 소형 LCD 드라이버 IC는 임베디드(embeded) SRAM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우, 동영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처리를 요구하는 데이터 양이 많아짐에 따라, 고속의 쓰기동작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SRAM의 메모리셀 구조도이다.
도 1를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따른 SRAM은 메모리셀어레이블럭(10)과,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메모리셀어레이블럭 내 워드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Y-디코딩부(20)와,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메모리셀어레이블럭 내 컬럼라인을 선택하기 위한 X-디코딩부(30)를 구비한다.
도 2는 도 1의 메모리셀어레이블럭 내 셀을 액세스하는 과정에 따른 신호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인가된 로우-어드레스가 X-디코딩부(20)에 의해 디코딩되며, 컬럼-어드레스가 Y-디코딩부(30)에 의해 디코딩되므로, 로우-어드레스와 컬럼-어드레스에 해당되는 메모리셀어레이블럭 내 셀이 워드단위로 액세스 된다.
컬럼-어드레스와 로우-어드레스가 SRAM 셀의 셋업타임과 홀드타임을 만족할 때 셀에 액세스되기 때문에, 쓰기동작의 시간이 많이 필요하다. 또한,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MOS의 빠른 스위칭 동작 때문에 파워소모도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빠르게 쓰기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SRAM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SRAM은 메모리셀어레이블럭;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컬럼-디코딩부;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로우-디코딩부; 상기 컬럼-디코딩부의 출력신호에 제어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된 복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이를 병렬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부; 및 병렬로 인가된 상기 제1 래치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로우-디코딩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블럭에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하기 위한 제2 래치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SRAM의 구동방법은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해당 제1 래치부에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래치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래치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병렬로 제2 래치부에 인가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해당 메모리셀어레이블럭 내에 상기 제2 래치부의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래치부의 데이터를 상기 제2 래치부에 인가한 이후, 상기 제1 래치부에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가 병렬적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RAM의 메모리 구성도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SRAM은 메모리셀어레이블럭(100)과,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Y-디코딩부(200)와,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X-디코딩부(300)와, Y-디코딩부(200)의 출력신호에 제어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된 복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이를 병렬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부(400)와,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액티브되어 병렬로 인가되는 제1 래치부(400)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X-디코딩부(300)에 의해 선택된 메모리셀어레이블럭(100)에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하기 위한 제2 래치부(500)를 구비한다.
그리고 제1 래치부(400) 및 제2 래치부(500)는 각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인가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래치를 구비한다.
도 4는 도 2의 SRAM의 메모리셀어레이블럭에 액세스하는 과정에 따른 신호 파형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Y-디코딩부(200)가 디코딩하여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해당 제1 래치부(400)에 순차적으로 저장된다. 제1 래치부(400)의 모든 래치가 데이터를 저장되면, 활성화되는 제1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제2 래치부(500)에 병렬로 전달한다.
이어, 제2 제어신호에 의해 액티브된 X-디코딩부(300)는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메모리셀어레이블럭(100)을 선택하므로서, 제2 래치부(500)의 데이터가 선택된 메모리셀어레이블록(100) 내에 병렬로 저장되도록 한다.
참고적으로, SRAM 셀이 갖는 셋업/홀드타임 보다 래치의 셋업/홀드타임이 작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SRAM은 제1 래치부(400)의 데이터가 제2 래치부(500)에 저장된 이후에도, 새로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Y-디코딩부(200)를 통해 디코딩하여 제1 래치부(400)를 선택하여 외부 데이터를 저장한다. 따라서, 제2 래치부(500)가 메모리셀어레이블록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에도 제1 래치부(400)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쓰기 시간의 마진을 많이 가질 수 있어 안정적으로 쓰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 따른 SRAM보다 적은 전력소모를 갖는다. 왜냐하면, 종래에는 n비트의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X-디코딩부가 n번의 스위칭을 수행해야 했는데, 본 발명에서는 1번의 스위칭으로 메모리셀어레이블럭에 n비트의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래치부를 구비하여,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데이터를 제1 래치부에 순차적으로 저장한뒤, 제2 래치부에 병렬로 저장하는 동안에도, 제1 래치부에 새로운 데이터를 또한 인가 받을 수 있으므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또한, 한번의 스위칭을 통해 n비트의 데이터를 메모리셀어레이블록에 저장할 수 있으므로 쓰기동작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3)

  1. 메모리셀어레이블럭;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컬럼-디코딩부;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기 위한 로우-디코딩부;
    상기 컬럼-디코딩부의 출력신호에 제어받아 외부로부터 인가된 복수의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고,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이를 병렬로 출력하기 위한 제1 래치부; 및
    병렬로 인가된 상기 제1 래치부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로우-디코딩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블럭에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하기 위한 제2 래치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래치부가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블록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에 상기 제1래치부가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RAM.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래치부 및 제2 래치부는,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래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RAM.
  3. 인가된 컬럼-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해당 제1 래치부에 외부로 부터 인가되는 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래치부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제1 래치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병렬로 제2 래치부에 인가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인가된 로우-어드레스를 디코딩하여 해당 메모리셀어레이블럭 내에 상기 제2 래치부의 데이터를 병렬로 저장하는 단계를 구비하되,
    상기 제2래치부가 상기 메모리셀어레이블록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동안에 상기 제1래치부가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병렬적으로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RAM의 구동방법.
KR1020040058403A 2004-07-26 2004-07-26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KR100600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03A KR100600956B1 (ko) 2004-07-26 2004-07-26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8403A KR100600956B1 (ko) 2004-07-26 2004-07-26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25A KR20060009725A (ko) 2006-02-01
KR100600956B1 true KR100600956B1 (ko) 2006-07-13

Family

ID=37120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8403A KR100600956B1 (ko) 2004-07-26 2004-07-26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9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370A (ko) * 1993-11-17 1995-06-16 김광호 고속으로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플래쉬 라이트 모드 동작방법
JP2000306379A (ja) 1999-04-16 2000-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5370A (ko) * 1993-11-17 1995-06-16 김광호 고속으로 데이타를 라이트하기 위한 플래쉬 라이트 모드 동작방법
JP2000306379A (ja) 1999-04-16 2000-11-02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9725A (ko)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4908B2 (en) SRAM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burst operation
US8164938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I27162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ulti-programmable function with one-time programmable memories
JPWO2007074517A1 (ja) Sram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バッファ回路
JP5038657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JP2008503029A (ja) データ保持ラッチを含むメモリ素子
ITRM20070382A1 (it) Attivazione di linee di parole in dispositivi di memoria.
JPH1166839A (ja) 半導体メモリ、半導体メモリのデータ読み出し方法及び書き込み方法
JP2011048876A (ja) 半導体記憶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1331738B1 (ko) 비휘발성 메모리를 위한 수정된 판독 동작
TWI442375B (zh) And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for display control
KR100600956B1 (ko) 고속의 쓰기시간을 갖는 에스램 및 그를 위한 구동방법
JP2002133860A (ja) 半導体装置、そのリフレッシュ方法、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2005196952A (ja) ダイナミック半導体記憶装置及びこの装置の節電モード動作方法
US6917553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W200423129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enhancing refresh operation in high speed data access
JP3624849B2 (ja) 半導体装置、そのリフレッシュ方法、メモリ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JP2007305027A (ja) 汎用レジスタ回路
JP2004146051A (ja) データ読み取り動作及び書き込み動作を同時に実行可能な集積回路及び方法
JP3192081B2 (ja) 半導体記憶装置
KR100331782B1 (ko) 멀티라이트동작이가능한반도체메모리장치
KR20070064714A (ko) 메모리 셀 회로 및 그 동작방법
JPH10134565A (ja) 半導体記憶装置
US7518941B2 (en) Methods and apparatus to provide refresh for local out of range read requests to a memory device
KR100575260B1 (ko) 고속 라이트 기능을 갖는 그래픽 메모리 및 그 고속라이트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