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1 은 약물방출성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는 약효성분으로서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갖는 항염증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이러한 항염증제로는 카르복실기 (카르복실산기) 를 갖는 항염증제 (예를 들면,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 록소프로펜, 케토롤락) 및 그 카르복실기의 수소원자가 의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예를 들면,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암모늄염 등의 무기염, 또는 트로메타민염 등의 유기염) 으로 치환된 항염증제가 포함되는 것이며, 그 중에서도 인도메타신, 케토프로펜, 플루루비프로펜, 디클로페낙나트륨, 디클로페낙암모늄, 록소프로펜나트륨, 케토롤락트로메타민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갖는 항염증제의 배 합량은 0.1∼8 질량%, 바람직하게는 0.5∼5 질량% 이다. 이 배합비율로 함으로써, 약물의 경피흡수성, 약효의 지속성, 약물의 분산성 등이 양호하고, 경제적으로도 우수하게 된다. 또한, 항염증제의 배합량이 0.1 질량% 미만에서는 충분한 약효를 얻을 수 없으며, 한편 배합량이 8 질량% 를 초과하면 과잉투여에 의한 피부자극 등의 폐해의 발현이나 경제성의 면에서 적당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는 상기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갖는 항염증제에 대하여 용해제 등으로서 작용하는 L-멘톨을 함유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에 있어서는 항염증제의 에스테르화 반응은 충분히 방지되고, 게다가 용해제로서 작용하는 L-멘톨을 함유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후술하는 특정 성분을 특정 비율로 함유함으로써 항염증제에 의한 충분한 소염진통 효과가 피부자극 등의 폐해를 초래하는 일 없이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는 미국약전 방출시험법 (USP) 기재의 회전실린더에 의한 수방출시험을 하기 조건 :
시험액 증류수
액온 32 ±0.5℃
실린더 하단과 용기바닥 내면 사이의 거리 12 ±2 mm
회전수 50 rpm
으로 실시한 경우에 있어서의 시험개시로부터 1 시간후의 약물방출율이 20∼70 질량% (바람직하게는 30∼65 질량%), 3 시간후의 약물방출율이 40∼93 질량% (바람직하게는 60∼9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물방출율이 상기 범위의 하한 미만에서는 충분한 약효를 얻을 수 없고, 한편 상한을 초과하면 약물의 과잉투여에 의하여 피부자극 등의 폐해가 초래될 우려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항상적으로 높은 약물방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에 의하여 비로소, 투여하였을 때에 피부자극 등의 폐해를 초래하는 일 없이 우수한 치료효과가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어지는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점착부여제, 가소제 및 분산제를 각각 특정 배합비율로 포함하며, 또한 L-멘톨을 함유하지 않은 기제중에, 약효성분으로서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갖는 항염증제를 특정 배합비율로 함유함으로서 얻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첩부제를 구성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각종 기제성분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란, 스티렌 및 이소프렌의 블럭 공중합체로서 양단부에 폴리스티렌을 갖는 것이며, 이러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로는, 칼리플렉스 TR-1101, TR-1107 또는 칼리플렉스 TR-1111 (상품명, 쉘화학(주) 제조), JSR 5000 또는 JSR 5002 (상품명, 니혼고세이고무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퀸탁 3530, 3421 또는 3570C (상품명, 니혼제온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크레이톤 D-KX401CS 또는 D-1107CU (상품명, 쉘화학(주) 제조), 솔프렌 428 (상품명, 필립페트롤리암(주) 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의 배합량은 첩부제 (점착제제) 전체의 5∼40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8∼35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30 질량% 이다. 상기 배합량이 5 질량% 미만에서는 기제의 응집력이나 보형성 등이 저하되고, 한편 상기 배합량이 40 질량% 를 초과하면 기제의 응집력이 증가하여 접착력의 저하나 작업성의 저하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이란, 이소부틸렌의 중합체로서, 평균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50000∼200000 인 것이다. 이러한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으로는, 오판올 80, 100, 120, 150, 200 (상품명, BASF (주) 제조), 비스타넥스 MM L-80, MM L-100, MM L-120, MM L-140 (상품명, 엑손화학(주) 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의 배합량은 첩부제 (점착제제) 전체의 1∼25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2∼18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6∼12 질량% 이다. 상기 배합량이 1 질량% 미만에서는 장기보존시의 기제의 보형성 등이 저하되어 밀려나오기 쉬우며, 또한 항염증제의 방출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배합량이 25 질량% 를 초과한 경우에도 항염증제의 방출성의 저하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이란, 이소부틸렌의 중합체로서, 평균분자량이 바람직하게는 5000∼15000 인 것이다. 이러한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으로는, 오판올 10, 12, 12SF, 15, 15SF, 30SF, 50, 50SF (상품명, BASF (주) 제 조), 비스타넥스 LM-MS, LM-MH, LM-H (상품명, 엑손화학(주) 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의 배합량은 첩부제 (점착제제) 전체의 0.5∼24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1∼2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5 질량% 이다. 상기 배합량이 0.5 질량% 미만에서는 점착물성의 저하가 발생하여 첩부시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항염증제의 방출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배합량이 24 질량% 를 초과하면 점착물성이 너무 증가하여 카브레(피부가 붉게 됨)나, 박리시의 통증의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점착부여제로는, 로진 또는 로진 유도체를 베이스로 하는 로진계 수지가 바람직하며, 로지에스테르, 수첨 로진에스테르, 말레인산 변성 로진에스테르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점착부여제 (로진계 수지) 로는, 할리에스터 L, S 또는 P (상품명, 하리마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수퍼에스테르 A-75 또는 S-100, 파인크리스탈 KE-100 또는 KE-311, 에스테르검 A, AA-G, H 또는 HP (상품명, 아라카와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하리콘 D, 포랄 85, 100 또는 105 (상품명, 허큘리스(주) 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착부여제의 배합량은 첩부제 (점착제제) 전체의 3∼50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4∼40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 질량% 이다. 또한, 상기 배합량이 3 질량% 미만에서는 점착물성의 저하 및 항염증제의 결정화가 발생하여 점착시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우며, 또한 항염증제의 방출성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배합량이 50 질량% 를 초과하면 점착물성 및 기제에 대한 항염증제의 용해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고, 카브레나, 박리시의 통증 및 약물방출성의 저하의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가소제란, 다른 기제성분과 상용성이 좋고, 기제에 유연성을 부여하는 것으로, 아몬드유, 올리브유, 동백유, 퍼식유, 낙화생유, 유동파라핀 등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소제로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유동파라핀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의 배합량은 첩부제 (접착제제) 전체의 20∼70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25∼65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60 질량% 이다. 또한, 상기 배합량이 20 질량% 미만에서는 가소성이 부족하여 점착물성의 저하나 생산성의 저하가 발생하기 쉬우며, 한편 상기 배합량이 70 질량% 를 초과하면 점착제제가 너무 유연하여, 기제의 응집파괴 발생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에 있어서는, 상술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점착부여제 및 가소제를 함유하는 기제중에 추가로 분산제가 특정 배합비율로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분산제란, 제제중의 제성분, 특히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및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의 분산성을 높이는 것으로, 합성 규산알루미늄, 함수 규산알루미늄, 수산화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스테아린산 금속염 등의 지방산 금속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산제로는, 1 종 또는 2 종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는데, 그 중 에서도 스테아린산 금속염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아연, 스테아린산 칼슘, 스테아린산 알루미늄,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 바람직하며, 스테아린산 아연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분산제의 배합량은 첩부제 (점착제제) 전체의 0.01∼7 질량% 이며, 바람직하게는 0.05∼6 질량%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이다. 또한, 상기 배합량이 0.01 질량% 미만에서는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의 분산성이나 항염증제의 기제중에 있어서의 확산성이 부족하게 되므로 항염증제의 방출성의 저하가 발생한다. 한편, 상기 배합량이 7 질량% 를 초과하면 분산제 자체가 스며나와, 점착물성이 저하되어, 점착시의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점착제에 있어서는, 상기 기제중에 약효성분으로서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 염을 갖는 항염증제가 전술한 바와 같이 0.1∼8 질량%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조성을 갖는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상기 각 성분, 특히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및 분산제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제제중의 제성분 (특히,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및 폴리이소부틸렌) 이 응집되는 일 없이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항염증제의 균일분산성도 충분히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항염증제의 용해제로서 작용하는 L-멘톨이 함유되어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항상적으로 높은 약물방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항염증제에 의한 충분한 소염진통 효과가 피부자극 등의 폐해를 초래하는 일 없이 장시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얻어지며, 게다가 제제의 우수한 부착성, 박리시의 통증의 저감, 및 점착기제의 우수한 안정성도 실현된다.
본 발명의 첩부제는 상기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점착부여제, 가소제, 분산제 및 항염증제에 더하여, 항산화제, 충전제, 가교제, 방부제, 자외선 흡수제, 흡수촉진제 등의 다른 첨가성분을 필요에 따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러한 다른 첨가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첩부제 (점착제제) 전체의 바람직하게는 0.01∼7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 질량% 이다.
이러한 항산화제로는, 토코페롤 및 그 에스테르 유도체, 아스코르빈산, 아스코르빈산 스테아린산 에스테르, 노르디히드로구아이아레틴산,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제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규산염 (예를 들면,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늄 등), 규산, 황산바륨, 황산칼슘, 아연산칼슘, 산화아연, 산화티탄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교제로는 열경화성 수지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에폭시수지, 알지드수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블럭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같은 유기계 가교제나 금속 또는 금속화합물과 같은 무기계 가교제가 바람직하다.
또한, 방부제로는 파라옥시벤조산에틸, 파라옥시벤조산프로필, 파라옥시벤조산부틸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p-아미노벤조산 유도체, 안트라닐산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쿠마린 유도체, 아미노산계 화합물, 이미다졸린 유도체, 피리딘 유도체, 디옥산 유도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촉진제로는 d-리모넨 등의 테르펜유, 글리세린모노라우레이트, 글리세린모노올레이트, 세 바신산 디에틸 등의 지방산 에스테르, 에이존, 1-[2-(데실티오)에틸]아자시클로펜탄-2-온 등의 아자시클로알칸류, 올레인산, 라우린산, 밀리스틴산 등의 고급지방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성분을 사용하여 조제되는 본 발명의 첩부제 (첩부제층) 의 두께 (후술하는 지지체 및 박리피복물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음) 는 50∼300㎛ 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80∼200㎛ 이다. 또한, 상기 두께가 50㎛ 미만에서는 점착성이나 부착성의 지속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으며, 한편 상기 두께가 300㎛ 를 초과하면 응집력이나 보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첩부제는 후술하는 신축성이 풍부한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종횡 자유자재로 신축되어, 높은 수준의 첩부감이 달성된다. 즉, 상기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에 의하면,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팔꿈치나 무릎 등의 굴곡부위에도 충분히 사용가능하고, 또한 장시간 벗겨지는 일 없이 첩부할 수 있는 부착성이 실현된다.
상기 본 발명의 첩부제의 지지체로는, 본 발명의 첩부제로부터의 약물의 방출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축성 또는 비신축성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지지체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타디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수지의 필름, 시트, 시트형상 다공질체, 시트형상 발포체, 직포 또는 부직포 ; 종이 ; 직포 ; 부직포 ; 이들의 적층체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첩부제 지지체 중에서도, 신축성을 갖는 지지체가 바람직하며, 시료 폭 50mm, 시료 길이 200mm 및 신장속도 200mm/min 의 측정조건에서의 30% 신장시 하중 (JIS L 1096 에 규정) 이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긴변 방향) 100∼800g 및 횡방향 (짧은변 방향) 500∼2500g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100∼500g 및 횡방향 500∼2000g 이다. 또한, 시료폭 50mm, 시료길이 200mm 및 신장속도 200mm/min 의 측정조건에서의 50% 신장시 회복율 (JIS L 1096 에 규정) 이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75∼95% 및 횡방향 65∼85% 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종방향 80∼95% 및 횡방향 70∼85% 이다. 또한, 이들 지지체의 30% 신장시 하중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첩부시에 지지체의 「탄성」이 없어져 핸들링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한편, 30% 신장시 하중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장시간에 걸친 굴곡부위에 대한 부착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들 지지체의 50% 신장시 회복율이 상기 하한 미만인 경우에는 굴곡부위로의 첩부시에 굴곡부위에 대한 추종성이 부족하여 양호한 부착성을 얻을 수 없는 경향이 있다. 한편, 50% 신장시 회복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첩부시에 있어서의 핸들링이 어려워지는 경향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첩부제는 신축성이 풍부한 지지체를 사용함으로써 팔꿈치나 무릎 등의 움직임이 격렬한 굴곡부위 등에 장시간에 걸쳐 확실히 점착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상기 지지체의 눈금 (단위면적당 질량) 은 100 ±30g/㎡ 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의 제조방법의 적합한 일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점착부여제, 가소제 및 분산제 (다른 첨가성분 등을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추가로 그들 성분 (단, 산화방지제, 흡수촉진제는 제외)) 을 각각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물로 하고, 질소 등의 불활성 조건 하에서 가열교반하여 용해물로 한다. 교반시의 온도는 110∼200℃ 가 바람직하며, 교반시간은 30∼120 분간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약효성분인 항염증제 (산화방지제, 흡수촉진제를 함유시키는 경우에는 이들의 성분) 를 상기 용해물중에 첨가하고, 바람직하게는 110∼200℃ 에서 바람직하게는 5∼30 분간 교반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는다. 또한, 상기 제성분을 각각 소정 비율이 되도록 헥산, 톨루엔, 아세트산에틸 등의 유기용제에 첨가하고, 교반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어도 된다.
다음으로, 이 용해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직접 지지체상에 얇게 편 후에 박리 피복물로 피복한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하거나, 또는 일단 이 용해물을 박리피복물상에 얇게 편 후에 지지체상에 피복하여 용해물을 지지체상에 압착전사시킨 후에 원하는 형상으로 절단해도 된다. 또한, 유기용제를 이용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고 있는 경우에는, 지지체상에 얇게 편 후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하고 유기용제를 휘발제거시킨 후에 박리피복물로 피복하거나, 또는 박리피복물에 얇게 편 후 건조기에 의하여 건조하여 유기용제를 휘발제거시킨 후에 지지체를 압착전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박리피복물로는, 박리처리 (박리하기 쉽게 하기 위한 처리) 한 박리지, 셀로판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등의 합성수지필름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의 각 기제성분, 약효성분, 기타 첨가성분을 배합하는 순서는, 그 일예를 서술한데 불과하고, 본 발명의 첩부제의 제조방법은 이 배합순서의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에 대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는 하기 실시예에 기재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및 비교예 중, 「부」란 특별히 명기하지 않는 한 「질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51.90 부
스테아린산 아연 0.10 부
케토프로펜 2.00 부
상기 처방에 의하여 상기 제조방법에 따라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즉, 상기 처방 중의 항염증제 이외의 제성분을 혼합하여 혼합물로 하고, 질소 조건 하에서 가열교반하여 용해물로 하였다. 계속해서, 약효성분인 항염증제를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고, 가열교반하여 균일한 용해물을 얻었다. 다음에, 이 용해물을 지지체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상에, 얻어지는 첩부제층의 두께가 150㎛ 가 되도록 얇게 편 후에 박리피복물 (폴리에스테르 필름) 로 피복하고, 냉각후에 원하는 크기로 재단하여 항염증제 함유 첩부제를 얻었다. 사용한 지지체는 전술한 30% 신장시 하중이 종방향 250g 및 횡방향 1200g 이며, 50% 신장시 회복율이 종방향 90% 및 횡방향 75% 인 것이었다.
실시예 2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50.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2.00 부
케토프로펜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3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51.95 부
스테아린산 아연 0.05 부
케토프로펜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4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46.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6.00 부
케토프로펜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5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3.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53.90 부
스테아린산 아연 0.10 부
케토프로펜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6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2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30.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2.00 부
디클로페낙나트륨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7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10.00 부
(칼리플렉스 TR-110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3.60 부
(오판올 8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20.00 부
(비스타넥스 LM-MS)
로진계 수지 15.80 부
(파인크리스탈 KE-100)
유동파라핀 50.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0.10 부
인도메타신 0.5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8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20.00 부
(오판올 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17.00 부
(오판올 15)
로진계 수지 5.00 부
(에스테르검 A)
유동파라핀 30.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5.00 부
케토프로펜 3.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실시예 9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30.00 부
(JSR 5000)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8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1.00 부
(비스타넥스 LM-MH)
로진계 수지 30.00 부
(포랄 85)
유동파라핀 33.40 부
규산알루미늄 0.10 부
인도메타신 0.5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 다.
실시예 10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10.00 부
(JSR 5002)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0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MS)
로진계 수지 9.90 부
(포랄 100)
유동파라핀 65.00 부
수산화알루미늄 0.10 부
플루루비프로펜 5.00 부
상기 처방으로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1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0.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저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LM-H)
로진계 수지 16.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48.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2.00 부
케토프로펜 2.00 부
L-멘톨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하고, L-멘톨을 항염증제와 함께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도록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2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5.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로진계 수지 5.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68.00 부
케토프로펜 0.50 부
L-멘톨 1.50 부
상기 처방으로 하고, L-멘톨을 항염증제와 함께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도록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3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15.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로진계 수지 40.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23.00 부
케토프로펜 5.00 부
L-멘톨 10.00 부
부틸히드록시톨루엔 2.00 부
상기 처방으로 하고, L-멘톨 및 부틸히드록시톨루엔을 항염증제와 함께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도록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4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24.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로진계 수지 5.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68.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1.00 부
케토프로펜 0.50 부
L-멘톨 1.50 부
상기 처방으로 하고, L-멘톨을 항염증제와 함께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도록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비교예 5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럭 공중합체 15.00 부
(칼리플렉스 TR-1111)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 5.00 부
(비스타넥스 MM L-120)
로진계 수지 37.00 부
(파인크리스탈 KE-311)
유동파라핀 23.00 부
스테아린산 아연 5.00 부
케토프로펜 5.00 부
L-멘톨 10.00 부
상기 처방으로 하고, L-멘톨을 항염증제와 함께 상기 용해물 중에 첨가하도록 한 것 이외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첩부제를 제작하였다.
시험예 1 (약물방출성 시험)
실시예 1∼4 에서 수득된 첩부제의 약물방출성을 미국약전 방출시험법에 (USP) 기재된 회전실린더법에 의하여 하기 조건 :
시험액 증류수
액온 32 ±0.5℃
실린더 하단과 용기바닥 내면 사이의 거리 12 ±2 mm
회전수 50 rpm
으로 실시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1 및 도 1 에 나타낸다. 도 1 에 있어서, 횡축은 시험개시로부터의 시간, 종축은 항염증제의 방출율을 나타내고 있다.
표 1 및 도 1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실시예 1∼4 에서 수득된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1 시간후의 약물방출율이 20∼64 질량%, 3 시간후의 약물방출율이 40∼93 질량% 로, 항상적으로 높은 약물방출성이 안정적으로 지속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실시예 1 및 2 에서 수득된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1 시간후의 약물방출율이 약 30∼50 질량%, 3 시간후의 약물방출율이 약 60∼80 질량% 로, 피부자극성, 경피흡수성 및 지속성 등을 고려한 경우에 특히 우수한 첩부제임이 확인되었다.
|
약물방출율 [질량%] |
1 시간후 |
3 시간후 |
실시예 1 |
35.4 |
66.4 |
실시예 2 |
40.1 |
72.7 |
실시예 3 |
20.5 |
40.7 |
실시예 4 |
63.2 |
93.0 |
시험예 2 (인체피부 첩부 시험)
실시예 1, 2, 3 및 4 에서 수득된 첩부제를 5cm 사방으로 펀칭하여, 건강한 성인 10 명의 팔 안쪽에 첩부하고 12 시간후의 부착성 및 박리시의 통증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2 에 피험자 10 명의 평가결과를 나타낸다.
표 2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첩부제는 부착성 및 박리시의 통증에 있어서 우수하나, 스테아린산 아연이 0.1 질량% 내지 5 질량% 의 범위에서 배합된 경우에 특히 우수한 부착성을 유지하면서 박리시의 통증이 저감됨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첩부로부터 12 시간후의 부착성 [사람수] |
박리부분 없음 |
1 |
0 |
0 |
0 |
단 부분의 박리만 있음 |
9 |
9 |
10 |
0 |
박리부분이 전체의 1/2 미만 |
0 |
1 |
0 |
3 |
박리부분이 전체의 1/2 이상 |
0 |
0 |
0 |
6 |
탈락 |
0 |
0 |
0 |
1 |
첩부로부터 12 시간후의 박리시의 통증 [사람수] |
거의 통증을 느끼지 않음 |
10 |
9 |
0 |
10 |
약간 통증을 느낌 |
0 |
1 |
0 |
0 |
통증을 느낌 |
0 |
0 |
3 |
0 |
강한 통증을 느낌 |
0 |
0 |
7 |
0 |
시험예 3 (인체피부 점착력 측정 시험)
실시예 1, 2, 3, 4 에서 수득된 첩부제를 2cm ×2cm 의 작은 조각으로 절단하고, 건강한 성인 10 명의 팔 피부에 첩부하였다. 첩부하고나서 12 시간후, 첩부제의 주변둘레부를 디지털 용수철 저울 (디지털 포스 게이지) 에 접속한 클립으로 끼워 고정하고, 디지털 용수철 저울을 일정 속도로 상승시켜, 첩부제를 인체 피부에 대하여 90 도를 유지하면서 일정 시간 박리되지 않도록 유지시킨 후, 박리하여 그 때의 힘을 측정하였다. 표 3 에 10 명의 평가결과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또한, 수치의 판단기준으로는 100∼200g 이 바람직한 점착력을 나타내며, 그 미만에서는 점착력이 충분치 않아 첩부시의 박리가 발생하고, 그것을 초과하면 점착력이 너무 강하여 박리시의 통증을 유발시킨다.
표 3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첩부제는 점착성에 있어서 우수하나, 스테아린산 아연이 0.1 질량% 내지 5 질량% 의 범위에서 배합된 경우에 특히 적절한 점착력이 얻어짐이 확인되었다.
|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첩부하고나서 12 시간후의 점착력 [g] |
160 |
168 |
251 |
70 |
시험예 4 (열안정성 시험)
실시예 1, 2, 6 및 비교예 2, 3, 4, 5 에서 수득된 첩부제를 직경 3cm 의 원형으로 펀칭한 것을 알루미폴리에틸렌 복합필름으로 실링된 포장재에 넣고, 40℃ 에서 4 주간 보존한 후, 각 첩부제의 점착력을 프로브택 시험법 (사용장치 : PROVE TACK TESTER) 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3 회 반복하여 실시하고, 수득된 결과의 평균값을 표 4 에 나타낸다. 또한, 프로브택 시험을 실시할 때에 점착부분에 배어나오지 않는지 관찰하여, 수득된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표 4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첩부제는 점착기제의 열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나, 고분자 폴리이소부틸렌이 3.6 질량% 내지 12 질량% 의 범 위에서 배합된 경우에 특히 가열의 영향에 의한 점착기제의 가소화 및 배어나옴이 충분히 방지됨이 확인되었다.
|
보존후의 프로브택 측정값 [g] |
보존후의 점착부분의 상태 |
실시예 1 |
70 |
배어나오지 않음 |
실시예 2 |
74 |
배어나오지 않음 |
실시예 6 |
79 |
배어나오지 않음 |
비교예 2 |
32 |
배어나옴 |
비교예 3 |
42 |
배어나오지 않음 |
비교예 4 |
29 |
배어나옴 |
비교예 5 |
39 |
배어나오지 않음 |
시험예 5 (약물안정성 시험)
시험예 1∼10 및 비교예 1∼5 에서 수득된 첩부제를 40℃ 에서 6 개월간 보존한 후의 약물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즉, 보존후의 첩부제 (점착제제) 중의 잔존약물량 및 에스테르화된 약물량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3 회 반복하여 실시하고, 수득된 결과의 평균값을 표 5 에 나타낸다.
표 5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L-멘톨을 배합하지 않은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보존후에도 거의 100% 항염증제가 잔존하고 있는데 반해, L-멘톨을 함유하는 비교예 1∼5 에서 수득된 첩부제에 있어서는 보존후에 약 5∼15% 의 항염증제가 에스테르화되었음이 확인되었다.
|
잔존약물량 [질량%] |
에스테르화물 함유량 [환산값, 질량%] |
실시예 1 |
99.81 |
0 |
실시예 2 |
99.63 |
0 |
실시예 3 |
99.92 |
0 |
실시예 4 |
99.89 |
0 |
실시예 5 |
99.91 |
0 |
실시예 6 |
99.99 |
0 |
실시예 7 |
99.92 |
0 |
실시예 8 |
99.93 |
0 |
실시예 9 |
99.83 |
0 |
실시예 10 |
99.90 |
0 |
비교예 1 |
84.92 |
15.08 |
비교예 2 |
90.12 |
9.86 |
비교예 3 |
85.65 |
14.32 |
비교예 4 |
94.32 |
5.68 |
비교예 5 |
84.92 |
15.08 |
시험예 6 (모르모트 피부자극성 시험)
미리 털을 깍은 모르모트의 뒷목부분 피부에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3 에서 수득된 첩부제를 2cm ×2 cm 의 작은 조각으로 재단한 것을 24 시간 첩부하고, 벗겨내고나서 1 시간후의 피부의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이하의 기준에 의하여 평가하고, 수득된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또한, 모르모트의 시험예 수는 1 군 10 마리로 하였다. 또한, 양성율은 이하의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양성율 = (스코어 ×마리수) / (최대 스코어 ×합계 마리수)
[평가기준]
홍반 및 부스럼 딱지 형성 스코어
변화없음 0
매우 가벼운 홍반 1
가벼운 홍반 2
중간정도 내지 심한 홍반 3
진홍색의 심한 홍반과 가벼운 부스럼 딱지 형성 4
표 6 에 나타낸 결과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첩부제에 있어서는 피부자극에 의한 폐해의 발생이 충분히 방지되는데 반하여, 비교예 1, 3 에서 수득된 첩부제에 있어서는 피부자극에 의한 폐해의 발생이 충분히 방지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
피부의 상태 (홍반 및 부스럼 딱지 형성에 관한 스코어별 마리수 |
합계 (마리) |
양성율 (%) |
0 |
1 |
2 |
3 |
4 |
실시예 1 |
9 |
1 |
0 |
0 |
0 |
10 |
2.5 |
실시예 2 |
9 |
1 |
0 |
0 |
0 |
10 |
2.5 |
비교예 1 |
1 |
6 |
3 |
0 |
0 |
10 |
30.0 |
비교예 3 |
0 |
5 |
3 |
2 |
0 |
10 |
4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