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702B1 -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702B1
KR100599702B1 KR1020000001393A KR20000001393A KR100599702B1 KR 100599702 B1 KR100599702 B1 KR 100599702B1 KR 1020000001393 A KR1020000001393 A KR 1020000001393A KR 20000001393 A KR20000001393 A KR 20000001393A KR 100599702 B1 KR100599702 B1 KR 100599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convergence
high potential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69125A (ko
Inventor
박영기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01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702B1/ko
Priority to US09/759,816 priority patent/US6316871B2/en
Priority to JP2001004522A priority patent/JP2001197515A/ja
Publication of KR2001006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5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electric fiel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Abstract

넥크부 내면에서의 전하 축적에 의한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총 전극과 넥크부 사이의 전위차를 최소화한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컨버젼스 전극과, 펀넬 내면에 도포된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되는 고전압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고전위 유도 수단과, 상기 컨버젼스 전극과 고전위 유도 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컨버젼스 전극에 고전위를 인가하는 도전성 연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펀넬의 콘부 외면에 부착되어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된 고전압에서 고전위를 유도하거나, 애노드 버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선에 제공되어 고전위를 유도한다.
음극선관, 컨버젼스드리프트, 넥크부, 전자총, 컨버젼스전극, 펀넬, 내장흑연막, 애노드버튼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Device for providing reduced convergence drift of CR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측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3a는 넥크부의 확대도.
도 3b는 컨버젼스 전극의 전개도.
도 3c는 넥크부의 단면도.
도 4a는 고전위 유도 수단의 확대 평면도.
도 4b는 도 4a A-A선의 단면도.
도 5는 정전기 유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및 제 3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
도 8는 도 7에 도시한 고전위 유도 수단의 단면도.
도 9a 및 도 9b는 전자총 주변의 정전위를 나타낸 그래프.
도 10은 테스트 항목별 컨버젼스 전극의 부착 위치를 나타낸 개략도.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convergence drift) 보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넥크부 내면에서의 전하 축적에 의한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총 전극과 넥크부 사이의 전위차를 최소화한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은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으로 형광막 스크린을 발광시켜 소정의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장치로서, 전자총에서 R, G, B 형광막에 대응하는 세 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면, 방출된 전자빔은 편향 요크에서 발생된 자계에 의해 편향되어 스크린상에 라스터(raster)를 형성하게 되고, 편향된 전자빔은 색선별 전극인 섀도우 마스크를 통과하면서 해당 R, G, B 형광막으로 분리되어 정확한 색을 표현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총은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드와, 전자 렌즈를 형성하여 전자빔을 제어하는 다수개의 전극들로 이루어지며, 넥크부 내주면에 부착되어 음극선관에 장착된다.
상기한 음극선관 동작 중에, 전자의 충돌 등에 의해 생성된 전하는 전기장에 끌리거나 밀리는 힘을 받게 되고, 힘을 받아 이동한 전하가 더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 되면 축적되어 주변의 전기장을 변화시키게 된다.
특히 전하는 전자총 전극과 넥크부 사이의 전위차에 의해 넥크부 안쪽에 축적되며, 축적된 전하에 의한 전기장 변화가 전자총내 각 전극들 사이의 틈새 내부 로까지 영향을 미쳐 진행하는 전자빔에 대칭적인 힘을 가함으로써 컨버젼스 드리프트를 유발시킨다.
상기한 컨버젼스 드리프트에 의한 음극선관 특성 저하를 방지하고자, 앞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제 4,868,454호와 제 4,564,786호 및 제 4,503,357호는 넥크부 외면에 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여 컨버젼스 드리프트의 조기 안정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전도성 테이프 부착 기술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있다.
첫째, 전도성 테이프가 단순히 넥크부에 부착된 경우, 전도성 테이프는 전기적으로 일정한 전위를 유지할 수 없는 들뜬(floating) 상태이므로 대전 물질의 접근이나 습도의 변화 등과 같은 외부 영향에 민감하여 넥크부 내부의 전위가 변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곤란하다.
둘째, 전도성 테이프가 접지된 경우, 고전압이 제공되는 전자총 전극과 전도성 테이프가 부착된 넥크부 사이의 전위차가 증가하여 이들 사이에 큰 전기장이 형성되므로 오히려 넥크부 주변부에 형성된 양전하의 축적 기회를 증가시킨다.
셋째, 전도성 테이프가 전자총내 각 전극들 사이의 틈새와 마주하는 부위에 부착된 경우, 전도성 테이프의 전위 변화가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전기장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등전위선이 수직 방향으로 조밀하게 형성된 틈새 부분에 전도성 테이프를 부착하면, 전도성 테이프의 전위가 조금만 변동되어도 넥크부 주변의 전기장 뿐만 아니라 전극 내부의 전기장에도 심각한 변화를 유발하여 오히려 전 자빔의 컨버젼스 특성을 저하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넥크부 외면에 고전위를 인가하여 전자총 전극과 넥크부 내면 사이의 전위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전하의 축적을 유발하는 전기장 형성을 약화시켜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발생을 억제한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별도의 전기적 회로를 추가하지 않고, 음극선관 자체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고 이를 넥크부 외면에 인가함으로써 구성과 설치를 단순화한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컨버젼스 전극과,
펀넬 내면에 도포된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되는 고전압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고전위 유도 수단과,
상기 컨버젼스 전극과 고전위 유도 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컨버젼스 전극에 고전위를 인가하는 도전성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펀넬의 콘부 외면에 부착되어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된 고전압에서 고전위를 유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애노드 버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선에 제공되어 전압 공급선 내부를 흐르는 고전압에서 고전위를 유도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 부재를 통하여 고전위 유도수단에서 발생된 고전위를 컨버젼스 전극에 제공하면, 전자총 전극과 넥크부 사이의 전위차가 감소되어 이들 사이의 전기장 발생을 약화시키고, 전하의 축적을 방지하여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음극선관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 스크린(2)이 형성되는 페이스 패널(4)과, 내주면으로 전자총(6)을 장착하는 넥크부(8)와, 페이스 패널(4)과 넥크부(8)를 연결하는 펀넬부(10)가 일체로 봉착되어 벌브를 구성하며, 벌브의 내부는 배기 공정에 의해 고진공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펀넬부(10) 가운데 넥크부(8)와 마주하며 외주면으로 편향 요크(12)가 장착되는 부분을 콘부(10a)라 하며, 펀넬부(10) 전체와 넥크부(8)의 일부 내면에 걸쳐 내장 흑연막(14)이 형성되고, 펀넬부(10)의 외면 일부에 걸쳐 외장 흑연막(16)이 형성된다.
상기 내장 흑연막(14)은 애노드 버튼(18)을 통하여 대략 25 kV 정도의 고전압을 인가받아 상기 고전압을 전자총(6)의 실드 컵(20) 및 최종 전극에 전달시키 며, 상기 외장 흑연막(16)은 내장 흑연막(14)과 함께 펀넬부(10) 글래스를 절연물로 하는 콘덴서를 형성하여 애노드 버튼(18)을 통하여 인가되는 고전압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구성의 음극선관에서, 벌브 외주면으로 본 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는 넥크부(8) 외주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컨버젼스 전극(22)과, 펀넬부의 콘부(10a) 외면에 부착되어 내장 흑연막(14)에 인가된 고전압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고전위 유도 수단과, 고전위 유도 수단과 컨버젼스 전극(2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전위를 컨버젼스 전극(22)에 인가하는 전도성 연결 부재(24)를 포함한다.
상기 컨버젼스 전극(22)은 고전위를 인가받아 이를 넥크부(8) 외면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컨버젼스 전극(22)은 도전성이 높은 금속막, 일례로 구리 박판으로 제조되며, 넥크부(8) 둘레를 소정의 길이로 감싸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컨버젼스 전극(22)은 도 3a∼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넥크부(8)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고전위 인가부(22a)와, 고전위 인가부(22a)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22b)와, 상기 연결부(22b)에 제공되고 전도성 연결 부재(24)와 접속되는 단자부(22c)로 구성된다.
상기 고전위 인가부(22a)는 단자부(22c)와 연결부(22b)에 의해 고전위를 전달받아 이를 넥크부(8) 외면에 제공하는 실질적인 컨버젼스 전극 역할을 하며, 일례로 고전위 인가부(22a)는 비드 글래스(26)가 위치하지 않는 전자총(6) 전극들의 2변과 마주하도록 넥크부(8)의 좌우 양측에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부(22c)는 2개가 구비되어 한쌍의 고전위 유도 수단에서 연장된 각각의 전도성 연결 부재(24)와 접속된다.
이와 같이 컨버젼스 전극(22)은 전자총(6) 전극을 둘러싸도록 넥크부(8) 외면에 부착되며, 상기 컨버젼스 전극(22)에 고전위를 제공하기 위하여, 고전위 유도 수단이 콘부(10a) 외면에 제공되어 내장 흑연막(14)으로 인가된 고전압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도 4a 및 도 4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콘부(10a) 외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유도 전극(28)과, 유전층(30) 및 접지 전극(32)이 적층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 전극(28)은 연결 부재(24)에 의해 컨버젼스 전극(2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접지 전극(32)은 일례로 도 1과 같이 별도의 전도성 연결 부재(34)에 의해 외장 흑연막(16)과 연결되어 접지된다.
상기한 구성의 고전위 유도 수단은 자체의 구성에 의해 내장 흑연막(14)으로 인가된 고전압에서 유도 전극(28)으로 고전위가 유도되는바, 도 5는 정전기 유도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로서, 콘부(10a) 내면에 내장 흑연막(14)이 형성되고, 콘부(10a) 외면에는 유도 전극(28)과 유전층(30) 및 접지 전극(32)이 순차적으로 위치한다.
상기 내장 흑연막(14)에는 애노드 버튼(18)으로부터 Eb의 고전압이 인가되는 반면, 접지 전극(32)은 0V의 전위를 유지한다. 그리고 상기 콘부(10a) 글래스와 유전층(30)의 유전율을 각각 ε1과 ε2이라 하고, 그 두께를 각각 d1과 d2라고 가정하면, 상기 유도 전극(28)으로 유도되는 전압(V)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현된다.
Figure 112000000551746-pat00001
이와 같은 원리로 유도 전극(28)에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고전위 유도 수단은, 유도 전압(V)을 높이기 위하여 유전율이 작고 두께가 큰 유전층(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례로 상기 유전층(30)으로 대략 17.71×10-12 ∼26.56×10-12 F/m 의 유전율을 갖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지 전극(32)은 유도 전극(28)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접지 전극(32)을 유도 전극(28)보다 크게 형성하면, 접지 전극(32)과 유도 전극(28) 사이의 전위차가 감소하여 유도 전압(V)이 작아질 수 있으며, 절연체를 사이에 두고 양 전극이 절연체 끝단까지 연장될 경우 방전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접지 전극(32)을 유도 전극(28)보다 작게 형성하여 유도 전압을 크게 하고, 양 전극 사이의 거리를 멀게하여 방전을 방지한다.
또한 접지 전극(32)과 유도 전극(28) 사이의 고저항을 확보하기 위하여, 접지 전극(32)의 둘레부에 절연층, 일례로 레드 실리콘층(36)을 형성한다. 상기한 구성의 고전위 유도 수단은 효과적인 고전위 유도를 위하여 한쌍으로 구비되며, 벌 브의 왼쪽과 오른쪽 외표면에 각각 부착된다.
이로서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음극선관 동작 중, 내장 흑연막(14)을 흐르는 고전압에서 유도 전극(28)으로 고전위를 유도하고, 이를 연결 부재(24)를 통해 컨버젼스 전극(22)에 전달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의 평면도로서, 상기 컨버젼스 전극(22)과 고전위 유도 수단 및 연결 부재(24)는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부재들을 보다 간편하게 조립하게 위해서 지지틀(38)을 더욱 구비한다.
상기 지지틀(38)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며, 콘부(10a)와 넥크부(8)에 끼워질 수 있도록 콘부(10a) 및 넥크부(8)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지지틀(38)은 그 외면으로 넥크부(8)와 대응하는 위치에 컨버젼스 전극(22)이, 콘부(10a)와 대응하는 위치에 고전위 유도 수단이, 상기 컨버젼스 전극(22)과 유도 전극(28)을 잇는 연결 부재(24)가 각각 위치한다.
이로서 편향 요크(12) 장착 전, 상기 부재들이 부착된 지지틀(38)을 벌브 외주면에 끼운 다음, 접지 전극(32)을 접지시킬 별도의 연결 부재(34)를 외장 흑연막(16)에 연결하면,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의 설치가 완료된다. 따라서 실제 음극선관 적용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의 조립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각 부재들의 위치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내장 흑연막(14)에 인가된 고전압에서 고전위를 유도하는 구성 이외에, 애노드 버튼(18)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선(40)에서 고전위를 유도하는 구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구비한 음극선관의 개략도로서, 컨버젼스 전극(22)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 고전위 유도 수단은 전압 공급선(40) 외주면에 소정의 길이로 부착되며,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압공급 와이어(42)를 감싸는 케이블 수지(44) 표면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유도 전극(46)과 유전층(48) 및 접지 전극(50)이 감싸여진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유도 전극(46)은 연결 케이블(52)을 통하여 컨버젼스 전극(22)에 연결되고, 접지 전극(50) 또한 별도의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외부의 일지점에 연결되어 접지된다.
따라서 음극선관 작동 중, 전압 공급선(40)을 통하여 애노드 버튼(18)에 Eb의 고전압이 인가되면, 전압 공급선(40)으로부터 앞선 제 1실시예와 동일한 원리로 유도 전극(46)에 유도 전압이 발생하며, 발생된 유도 전압은 연결 케이블(52)을 통하여 넥크부(8) 외주면을 감싸는 컨버젼스 전극(22)에 전달되어 넥크부(8) 외주면에 고전위를 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고전위 유도 수단이 전압 공급선(40) 또는 콘부(10a)에 제공되어 고전위를 유도함으로써 별도의 전기적 회로를 추가하지 않아도 상기 컨버젼스 전극(22)에 고전위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의 실제 작용과, 컨버젼스 전극의 길이 및 부착 위치에 따른 컨버젼스 드리프트의 최대 변화량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도 9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에서 전자총(6) 주변의 정전위(electrostatic potential)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g3 전극 중앙의 b부분은 등전위선이 넥크부(8)와 거의 평행하여 전기장 방향이 넥크부(8)와 거의 수직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부분은 넥크부(8) 내부에 전하가 유입될 경우, 전하가 축적되기 쉬운 부분이 된다.
그리고 g3 전극 양끝단 근처의 a부분 및 c부분은 등전위선이 넥크부(8)와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넥크부(8)와 수직한 방향의 전기장과 평행한 방향의 전기장이 함께 존재하므로 전하의 축적과 흐름에 의한 소멸이 공존하는 지역이다.
반면, 도 9b는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구비한 음극선관에서 전자총 주변의 정전위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컨버젼스 전극(22)은 g3 전극을 감싸도록 넥크부(8) 외면에 부착되며, 고전위 유도수단으로부터 대략 5 kV 정도의 고전위를 제공받은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컨버젼스 전극(22)에 의한 정전위 변화를 살펴보면, b부분은 g3 전극과 넥크부(8) 사이의 전위차가 감소하여 전기장 형성이 차단되었으며, a부분 및 c부분은 등전위선이 넥크부(8)에 수직한 방향, 즉 전기장이 넥크부(8)에 평행한 방향으로 유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b부분은 약화된 전기장에 의해 전하의 축적이 방지되고, a부분과 c부분은 전하의 흐름을 유도하여 전하의 축적 기회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컨버젼스 전극(22)을 통하여 넥크부(8) 외면에 고전위를 제공하면, 전자총(6) 전극과 넥크부(8) 사이의 전기장을 약화시켜 전기장에 의한 전하의 축적 기회를 감소시키고, 이에 따라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의 표 1은 일반적인 19인치 음극선관에서 전자총의 각 전극별 인가 전압과 치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g2 전극 전압 600 V
다이나믹 포커스 전극 (g3, g4, g5) 전압 7.2 kV
다이나믹 포커스 전극 (g3, g4, g5) 길이 32 mm
실드컵 및 g6 전극 전압 26.3 kV
실드컵 및 g6 전극 길이 15 mm
리고 상기한 표 1과 동일한 전자총 동작 조건에서, 넥크부(8) 외주면에 그 길이와 부착 위치가 각기 다른 컨버젼스 전극(22)을 부착하여 두번의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이 때, 각 테스트 항목별 컨버젼스 전극의 부착 위치를 도 10에 도시하였으며, 각 컨버젼스 전극에 인가된 유도 전압은 5 kV 정도이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테스트 항목별 컨버젼스 전극은 다이나믹 포커스 전극(g3, g4, g5)과 마주하는 넥크부(8) 외면에 위치한다. 특히 첫번째 테스트 항목의 컨버젼스 전극(22-A)은 일끝단이 g5 전극의 끝단과 마주하는 지점에 위치하며, g3 전극을 향하여 14 mm의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두번째 테스트 항목의 컨버젼스 전극(22-B)은 일끝단이 g5 전극의 끝단과 8 m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며, g3 전극을 향하여 15 mm의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조건에서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cg-drift) 최대 변화량을 측정한 결과를 다음의 표 2에 나타내었다.
No. cg-drift 최대 변화량 (mm)
1 0.16
2 0.13
종래 0.26
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음극선관에서 컨버젼스 드리프트의 최대 변화량이 0.26 mm인 반면,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를 구비한 본 발명에서는 각 테스트 항목별로 컨버젼스 드리프트의 최대 변화량이 각각 0.16 mm와 0.13 mm로서, 최대 0.13 mm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는 컨버젼스 전극을 통해 넥크부 외면에 고전위를 인가하여 전자총 전극과 넥크부 내면 사이의 전위차를 감소시키고, 시간에 따른 전기장 변화를 최소화하여 전자빔의 컨버젼스 드리프트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고전위 유도 수단을 구비하여 별도의 전기적 회로 구성 없이 내장 흑연막에 인가된 고전압에서 고전위를 유도하거나, 애노드 버튼으로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선에서 고전위를 유도하여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의 구성과 설치를 단순화할 수 있다.

Claims (14)

  1.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컨버젼스 전극과;
    펀넬 내면에 도포된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되는 고전압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고전위 유도 수단과;
    상기 컨버젼스 전극과 고전위 유도 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컨버젼스 전극에 고전위를 인가하는 도전성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용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젼스 전극은,
    넥크부 중심을 기준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쌍의 고전위 인가부와;
    상기 고전위 인가부를 일체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제공되고 전도성 연결 부재가 부착되는 단자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콘부 외면에 부착되어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된 고전압에서 정전기를 유도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콘부 외면에 부착되며 전도성 연결 부재와 접속되는 유도 전극과;
    상기 유도 전극 표면에 위치하는 유전층과;
    상기 유전층 표면에 위치하며 외부의 임의 지점으로 접지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은 유도 전극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은 별도의 전도성 연결 부재에 의해 외장 흑연막에 접속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 둘레부에 절연층이 위치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한쌍으로 구비되어 벌브의 왼쪽과 오른쪽 외표면에 각각 부착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컨버젼스 전극과 고전위 유도 수단 및 연결 전극이 설치되고, 자신이 벌브 외주면에 장착되는 지지틀을 더욱 구비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콘부와 넥크부 외주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콘부 및 넥크부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틀은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지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애노드 버튼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전압 공급선에 제공되어 전압 공급선 내부를 흐르는 고전압에서 정전기를 유도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전위 유도 수단은,
    전압 공급선 둘레에 부착되며 연결 케이블을 통하여 컨버젼스 전극과 연결되는 유도 전극과;
    상기 유도 전극 둘레에 위치하는 유전층과;
    상기 유전층 둘레에 위치하며 외부의 임의 지점으로 접지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14. 내면으로 형광막 스크린이 형성되는 페이스 패널과;
    상기 형광막 스크린을 향하여 세 줄기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과;
    내주면으로 상기 전자총을 장착하는 넥크부와;
    상기 페이스 패널과 넥크부를 연결하며, 내표면과 외표면에 각각 내장 흑연막과 외장 흑연막을 구비하고, 넥크부와 마주하는 콘부의 외주면에 편향 요크를 장착하는 펀넬부를 포함하는 음극선관에 있어서,
    전자총이 장착된 넥크부의 외주면에 부착되는 원통형의 컨버젼스 전극과;
    펀넬 내면에 도포된 내장 흑연막으로 인가되는 고전압에서 고압의 정전기를 유도하는 고전위 유도 수단과;
    상기 컨버젼스 전극과 고전위 유도 수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컨버젼스 전극에 고전위를 인가하는 도전성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 치를 더욱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KR1020000001393A 2000-01-12 2000-01-12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KR100599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393A KR100599702B1 (ko) 2000-01-12 2000-01-12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US09/759,816 US6316871B2 (en) 2000-01-12 2001-01-11 Compensation device for convergence drift used in cathode ray tube
JP2001004522A JP2001197515A (ja) 2000-01-12 2001-01-12 陰極線管のコンバージェンスドリフト補正装置及び陰極線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1393A KR100599702B1 (ko) 2000-01-12 2000-01-12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125A KR20010069125A (ko) 2001-07-23
KR100599702B1 true KR100599702B1 (ko) 2006-07-12

Family

ID=19638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393A KR100599702B1 (ko) 2000-01-12 2000-01-12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316871B2 (ko)
JP (1) JP2001197515A (ko)
KR (1) KR100599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015B1 (ko) * 1998-11-10 2002-09-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
US7322690B2 (en) * 2001-10-17 2008-01-29 Seiko Epson Corporation Fixed material transportation apparatus, liquid fixing apparatus having transporatation apparatus and sucking unit of fixed material in liquid fixing apparatus
CN101064503B (zh) * 2006-04-30 2010-05-12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宽输入共模电压比较器及低共模电压比较器
US7801277B2 (en) * 2008-03-26 2010-09-21 General Electric Company Field emitter based electron source with minimized beam emittance growth
US8707875B2 (en) * 2009-05-18 2014-04-29 Covanta Energy Corporation Gasification combustion system
US8588372B2 (en) * 2009-12-16 2013-11-19 General Electric Company Apparatus for modifying electron beam aspect ratio for X-ray genera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45045A (ja) 1982-02-24 1983-08-29 Hitachi Ltd 陰極線管
US4564786A (en) 1984-03-19 1986-01-14 North American Philips Consumer Electronics Corp. External neck charge dissipation means for an in-line color cathode ray tube
GB8705308D0 (en) 1987-03-06 1987-04-08 Philips Nv Colour cathode ray tube
NL8900069A (nl) * 1989-01-12 1990-08-01 Philips Nv Beeldweergeefbuis.
KR930002257B1 (ko) * 1990-06-18 1993-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탈시스템의 시스템클럭 발생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9125A (ko) 2001-07-23
US20010015610A1 (en) 2001-08-23
US6316871B2 (en) 2001-11-13
JP2001197515A (ja) 200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99360A1 (en) Pinched electron beam cathode-ray tube with high-voltage einzel focus lens
KR100599702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US2508001A (en) High-voltage cathode-ray tube corona ring
JP5599889B2 (ja) 高電圧遮蔽配置
EP0139760B1 (en) Cathode-ray tube
JP3590219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456080B1 (en) Cathode ray tube
KR100334074B1 (ko)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US4621214A (en) Color selection means having a charged insulator portion for a cathode-ray tube
JP2002093344A (ja) カラ−陰極線管
KR100392574B1 (ko) 컬러 음극선관
KR100311870B1 (ko) 음극선관
US4825122A (en) Color picture tube of in-line gun type operable at high horizontal scanning frequency
CN100550264C (zh) 阴极射线管
JPH01220341A (ja) 映像管
JPH05299032A (ja) 陰極線管装置
KR950003459B1 (ko) 네크부 내면으로의 전류흐름이 방지된 음극선관
KR95000122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KR0136828Y1 (ko) 브라운관의 고압정류장치
JPH0121470Y2 (ko)
JP200017349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S6310859B2 (ko)
KR20010088052A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2000173511A (ja) 陰極線管
KR20010068243A (ko) 칼라 음극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