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1225Y1 -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 Google Patents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1225Y1
KR950001225Y1 KR92016733U KR920016733U KR950001225Y1 KR 950001225 Y1 KR950001225 Y1 KR 950001225Y1 KR 92016733 U KR92016733 U KR 92016733U KR 920016733 U KR920016733 U KR 920016733U KR 950001225 Y1 KR950001225 Y1 KR 950001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gun
electron
color
bead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92016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8636U (ko
Inventor
김원현
Original Assignee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헌조, 주식회사 금성사 filed Critical 이헌조
Priority to KR92016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950001225Y1/ko
Publication of KR9400086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86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1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1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의 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를 보인 평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를 구성하는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4도의 (a) (b)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를 구성하는 종래의 실드와이어를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
제5도는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를 구성하는 전극에 요부 구성를 보인 사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의 요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
제7도의 (a) 및 (b)는 본 고안의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를 구성하는 실드와어를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를 구성하는 전극의 요부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9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의 각 전극 부위별 비드 글래스 표면의 전위 분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제3전극 13'a : 캡
21,21',22,22' : 고정돌기 23,23' : 실드와이어
24 : 수직부 24' : 수평부
본 고안은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실드와이어(shield wire)와 비드 글래스(bead glass)를 긴밀하게 접촉시켜, 방전 현상으로 인한 캐소우드면의 박리 및 히터의 단선등을 방지할 수 있게 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칼라수상관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패널(panel)(1)과, 훤넬(funnel)(2)과, 네크(neck)(3)로 이어진 글래브벌브(glass bulb)의 내에 새우도 마스크(4)와 전자총(5)이 장착되고 네크(3)에 편향 요크(6)가 결합되고, 상기 패널(1)의 내측면에 형광막(7)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중 8은 전자빔을 보인 것이다.
상기 전자총(5)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내부에 히터(heater)가 삽입되어 있는 캐소우드(cathode)(10)와 제1전극(11)을 포함한 수개의 전극(12) (13) (14)와, 실드 컵(shield cup) (15)이 서로 일정간격이 유지된 상태로 일렬로 배열되어 봉상의 전기 전연물인 비드 글래스(bead glass) (16)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전극(12) (13) (14)중 제3전극 (13)인 포커스(focus) 전극은 캡(13a)과, 보텀(13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실드 컵(15)에는 전자총(6)을 네크(3)의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수개의 벌브 콘택트 스프링(bulb contact spring) (17) 및 게터 스프링(getter spring) (18)이 용접고정되어 있다.
상기 비드 글래스(16)는 표면의 고유 저항이 약 1016Ω/㎡인 고유 저항치가 매우 높은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제3전극(13)의 캡(13a)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 하부 일측에 고정돌기(19)(19')가 각각 형성되어, 그 고정돌기 (19) (19')에 실드 와이어(shield wire) (20) (20')가 용접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실드 와이어(20)(20')는 단면 형상이 제4도의 (a) 및 (b)에 도시한 바와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은 칼라수상관은 전자총(5)에서 방출되는 전자빔(8)이 새도우 마스크(4)의 슬리트(slit)를 통과된 후, 선택된 형광막(7)을 발광시킴으로써 화사을 형성시키게 된다.
이때, 전자총(5)은 히터의 발열에 의하여 캐소우드(10)로 부터 열전자가 방출시켜, 다수의 전극(12) (13) (14)들에 의하여 스크린 상에 지복시키게 된다.
상기 전자총(5)은 통상 약 10-7torr의 고진공에서 동작하게 되는 바, 절연물인 비드 글래스(16) (16')의 표면 고유 저항이 1016Ω/㎡으로 매우 높기 때문에 전하가 축적되기 쉬운 결점이 있다
즉. 제3 전극 (13)의 내부 또는 주변 전극들에 내장 흑연, Ba 입자, 형광체 입자등의 도전성 입자가 부착되며, 이 입자들의 끝 부분에서 전계 집중 현상이 발생하여 불요 전자가 발생하게 되며, 이들 불요 전자의 대부분은 양극인 제4 전극(14)에 도달하여 소멸되나, 일부는 제4전극(14)의 표면에 충돌하여 2차 전자를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의 비드 글래스(16) (16') 표면이 정(正)의 위치로 대전되어, 이전 보다 더 많은 전자가 흘러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이 부근의 비드 글래서(16) (16') 표면도 불요 전자가 충돌하여 서서히 그 주위를 정(正)의 위치로 대전시킴으로써 최종적으로 제2전극(12) 및 제1전극(11) 부근의 비드 글래서(16) (16') 표면까지 비교적 높은 값의 포텐셜(potential)이 이동되어, 즉 제4전극 (14) 부근의 고전위가 제1전극(11) 및 제2전극(12), 제1전극(11), 캐소우드(10), 그리고 히터등과 방전(arcing)을 일으키게 되어, 직접 열전자를 방출하는 캐소우드(10)의 옥사이드(oxide) 층을 손상(박리)시키거나, 히터 단선의 원인이 되는등, 칼라수상관의 수명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는 현상이 있었다.
상기한 방전 현상은 칼라수상관 자체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칼라수상관이 사용되고 있는 장치의 전자부품, 특히 반도체 부품의 손상 원인이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같은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에 있어서는, 방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단면 형상이 원형인 와이어 형태(wire type)의 실드 와이어(20)(20')가 제3전극(13)을 구성하는 캡(13a)의 상,하부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9)(19')에 각각 용접 고정되어 있으나, 실드 와이어(20)(20')의 일측단부만 고정돌기(19)(19')에 고정됨으로써 비드 글래스(16)(16')와 실드 와이어(20)(20')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와같은 비드 글래스(16)(16')와 실드 와이어(20)(20')의 사이에 틈새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폐시키지 못함으로써 방전 현상에 의한 폐해를 감소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제3전극을 구성하는 캡의 플랜지(Flang)부 양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고, 그 고정돌기에 비드글래스를 둘러서 실드와이어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실드와이어와 비드 글래스를 긴밀하게 접촉시킴으로써 방전 현상으로 인한 캐소우드면의 박리를 방지하고, 히터의 단선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인 바,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6도 내지 제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3전극(13)(제2도 참조)를 구성하는 캡(13'a)의 상,하부 양측에 고정돌기(21)(21')(22)(22')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21)(21')(22')에 리본형태(ribbon type)의 실드와 이어(23)(23')의 양단부를 각각 고정하여, 실드와이어(23)(23')와 캡(13'a) 사이의 틈새를 없애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실드와이어(23)(23')는 두께(t)가 0.08∼0.13㎜이고, 폭(b)이 0.7∼1.2㎜인 것을 사용하여,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고정돌기(21)(21')(22)(22')는 수직부(24)의 단부에 수평부(24)를 갖도록 절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실드와이어(23)(23')의 양단부는 캡(13'a)의 각 고정돌기(21)(21')(22)(22')에 스포트 용접(spot welding)에 의하여 고정된다.
도면중 16, 16'는 비드 글래스를 보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실드와이어(23)(23')의 양단부가 캡(13'a)의 각 고정돌기(21(21')(22)(22')에 각각 용접고정됨으로써 실드와이어(23)(23')와 비드 글래스(16)(16')가 긴밀하게 접촉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실드와이어(23)(23')와 비드 글래스(16)(16')의 사이에는 틈새가 생기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내장 흑연등의 도전성 입자에 의하여 비드 글래스(16)(16)의 표면에 전하가 축적되더라도 그 고전위가 실드와이어(23)(23')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차폐되어, 제2도에 도시한 제2전극(12), 제1전극(11), 캐소우드(10), 그리고 히터 부근까지 내려오지 못하게 되므로 상기한 전극 부근에서의 방전 현상을 방지할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8도는 본 고안에 의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의 각 전극 부위별 비드 글래스 표면의 전위 분포도를 보인 것으로, 종래의 경우에 비하여 본 고안의 경우가 캐소우드(10)의 방향으로 갈수록 비드 글래스(16)(16')의 표면 전위가 낮아짐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제3전극을 구성하는 캡의 상,하부 양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그 고정돌기에 실드와이어를 각각 고정함으로써 실드와이어와 비드 글래스를 긴밀하게 접촉시켜, 방전 현상으로 인한 캐소우드면의 박리를 방지하고, 히터의 단선등을 방지하여,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구체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다수개의 전극과 이 전극들을 적정한 위치로 고정시켜주는 비드 글래스로 구성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체에 있어서, 제3전극(13)을 구성하는 캡(13'a)의 플랜지(Flang)부 양측에는 각각 2개의 고정돌기(21)(21')(22)(22')가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구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돌기는 방전방지용의 리본(Ribbon)형태의 와이어(23)가 비드글래스를 둘러서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드와이어(23)(23')는 두께(t)가 0.08∼0.13㎜이고, 폭(b)이 0.7∼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KR92016733U 1992-09-03 1992-09-0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KR950001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733U KR950001225Y1 (ko) 1992-09-03 1992-09-0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2016733U KR950001225Y1 (ko) 1992-09-03 1992-09-0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36U KR940008636U (ko) 1994-04-21
KR950001225Y1 true KR950001225Y1 (ko) 1995-02-24

Family

ID=1933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92016733U KR950001225Y1 (ko) 1992-09-03 1992-09-03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5000122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8636U (ko) 1994-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5205651A (ja) 陰極線管
US4571521A (en) Color CRT with arc suppression structure
KR95000122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구체
US4614896A (en) Getter and contact assembly for a cathode ray tube
JP3590219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599702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US4338543A (en) CRT With arc suppression means therein
US5202606A (en) Cathode-ray tube with focussing structure and getter means
KR930004795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US4491764A (en) Arc suppression structure for an electron gun
US4713578A (en) Getter assembly with diffusion directing structure
KR100243948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3639797A (en) Cathode-ray tube having a plated inner metal layer of high-tensile strength
US5202615A (en) Arc suppressing means for cathode ray tube
US6531813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cathode structure
US6495952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EP0333421B1 (en) Cathode ray tubes
JPH0411327Y2 (ko)
KR200239818Y1 (ko) 칼라수상관의전자총
KR950003459B1 (ko) 네크부 내면으로의 전류흐름이 방지된 음극선관
US3892992A (en) Colour picture tubes
KR100311870B1 (ko) 음극선관
US5001389A (en) Cathode-ray tube having arc suppressing means therein
KR100813830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74586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