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68243A - 칼라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68243A
KR20010068243A KR1020000000053A KR20000000053A KR20010068243A KR 20010068243 A KR20010068243 A KR 20010068243A KR 1020000000053 A KR1020000000053 A KR 1020000000053A KR 20000000053 A KR20000000053 A KR 20000000053A KR 20010068243 A KR20010068243 A KR 200100682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color cathode
neck portion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0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태식
황의정
조성근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20000000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68243A/ko
Publication of KR200100682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6824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1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the stru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Vessels and containers
    • H01J2229/8603Neck or cone portions of the CRT vesse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2Electrostatic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2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along one straight line or along two perpendicular straight lines
    • H01J29/76Deflecting by magnetic fields only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칼라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와 콘부를 가진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봉입되며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설치되는 편향요오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 또는 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네크부 내면에 챠지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줄이기 위한 절연층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Color cathode ray tube}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콘버어젼스 드리프트량을 줄일 수 있도록 네크부가 개선된 칼라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모니터, 텔리버젼등과 같은 화상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칼라 음극선관의 일예를 도 1에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10)은 패널(11)의 내면에 적, 청, 녹색형광체 및 블랙매트릭스가 소정의 패턴으로 이루어진 형광막(12)이 형성되고,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11)의 내부에는 형광막(12)와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프레임에 지지된 마스크(13)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패널(11)은 네크부(14a)와 콘부(14b)를 가지는 펀넬(14)과 봉착되고, 상기 펀넬(14)의 네크부(14a)에는 전자를 방출하는 캐소오드와 전자렌즈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자총(15)이 봉입된다. 상기 콘부(14b)에는 전자총(1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을 편향시키기 위한 편향요오크(16)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 칼라 음극선관은 전자총(15)로부터 방출된 세 전자빔이 형광막(12)의 주사위치에 따라 편향요오크(16)에 의해 선택적으로 편향되어 형광막을 이루는 형광체를 여기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상기 전자총(15)에는 캐소오드로부터 방출된 세 전자빔을 가속 및 집속하는 과정에서 이들의 궤도를 개별적 또는 전체적으로 수정하여 정확한 콘버어젼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정집중수단과 포커싱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정집중수단과 포커싱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하더라도 전자총의 구동시 캐소오드와 인접되게 설치된 전극(제어전극 및 스크린전극)이 열팽창됨으로써 발생되는 열적 콘버어젼스 드리프트 현상과, 전자가 네크부의 내주면에 챠지되거나 공간전하의 반발에 의해 발생되는 챠지 콘버어젼스 드리프트 현상을 보상할 수는 없다.
상기 챠지 콘버어젼스 드리프트(charge covergence drift)현상은 음극선관의동작시 음극선관의 내부도전막과 주렌즈를 이루는 전자총의 최종가속전극에 25 내지 35KV의 에노우드 전압이 인가되고 최종가속전극과 인접되는 전극에는 상기 에노우드 전압의 18 내지 33%의 전압이 인가되므로 이와 대응되는 네크부의 내면에는 챠지 전압이 발생된다.
이러한 챠지전압은 전자총의 전극사이에 형성되는 전자렌즈 또는 전자빔의 궤적에 경시변화를 일으킨다. 특히 이러한 경시변화는 인라인상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중 양측에 위치되는 전자빔이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콘버어젼스 트리프트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챠지 콘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주렌즈를 형성하는 전극들의 간격을 좁히거나 주렌즈를 이루는 전극의 림부를 크게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전극사이의 간격이 좁아짐으로써 내전압특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챠지의 경시변화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고저항의 유전체를 네크부의 내면에 코팅하고 있으나 이 코팅방법은 네크부의 내주면에 고저항 유전체의 코팅이 어렵고 작업에 따른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된다.
한편 네크부 내면에서의 챠지전압의 경시변화는 네크부 외면의 챠지전압의 경시변화을 일으키게 되고, 이 경시변화는 편향요오크의 펀넬 외주면 사이의 정전용량에 따라 그 변화정도가 달라지며 콘버어젼스 드리프트에도 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네크부의 내외주면에 챠지되는 챠지전압에 의해 콘버어젼스 드리프트량을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전자빔의 포커스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칼라 음극선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칼라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단면도,
도 3은 네크부에 절연층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선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형광막 32; 패널
33; 네크부 34; 콘부
35;펀넬 40; 절연층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칼라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와 콘부를 가진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봉입되며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설치되는 편향요오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 또는 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네크부 내면 정전용량 변화를 줄이기 위한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각종 비닐, 실리콘 수지와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칼라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31)이 형성된 패널(32)과, 상기 패널(32)과 네크부(33)와 콘부(34)를 가진 펀넬(35)이 봉착되어 외주용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펀넬(35)의 네크부(33)의 내부에는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36)이 설치되고, 상기 콘부(34)와 네크부의 외주면에는 편향요오크(37)과 콘버어젼스 퓨리티 마그네트(38)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펀넬의 내면에는 에노우드 단자(39a)에 의해 고전압이 인가되는 내부도전막(39)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극선관(30)에 있어서, 콘부의 외주면 또는/ 및 네크부의 외주면에는 네크부 내면의 전위가 순간적으로 양의 전위로 대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절연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40)은 콘부(34)로부터 전자총(36)의 메인렌즈를 이루는 전극과 대응되는 영역까지 연속 또는 단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40)은 콘부(34)의 외주면으로부터 전자총의 캐소오드와 대응되는 영역까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40)은 각종 비닐, 실리콘 수지등과 같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상기 절연층은 테이프가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테이프는 접착층을 가진 열경화성 러버(rubb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절연층의 표면저항은 단위 면적당 1012Ω 이상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연층의 형성위치나 절연층을 형성하기 위한 재질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네크부의 내외주면에 챠지되는 전압의 경시변화를 줄일 수 있는 것이면 어느것이나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구동은 에노우드 단자(39a)에 의해 내부도전막(39)에 고전압이 인가되고, 전자총(36)을 이루는 케소오드와 각 전극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전자총(3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편향요오크(37)에 의해 편향되어 형광막(32)에 랜딩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펀넬(32)의 내주면의 내부도전막(39)에는 고전압이 인가되므로 상기 전자총이 장착된 펀넬(35)의 네크부(33)에는 챠지 전압이 발생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네크부(33)와 콘부(34)에는 절연층(4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챠지 전압 즉 +로의 대전이 짧은 시간내에 이루어지게 되고, 챠지전압의 경시변화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인 챠지전압의 경시변화의 감소는 전자총의 주렌를 형성하는 전계의 왜곡을 줄이고 나아가서는 인라인으로 배열된 세 전자빔중 양측 전자빔의 경로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인의 실험에 의하면 편향요오크, 콘버어젼스 퓨리트 마그네트와 펀넬의 외주면 즉, 네크부 및 콘부의 외주면 사이에 정전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네크부 및 또는 콘부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시간에 따른 콘버어젼스 드리프트 변화량를 측정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었다.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네크부의 외주면 또는 콘부에 절연층을 형성한 경우의 시간에 따른 챠지 콘버어젼스 드리프트 변화(그래프 A)가 절연층을 형성하지 않은 음극선관의 챠지 콘버어젼스 드리프트 변화(그래프B)보다 작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은 네크부의 외주면에 절연층을 형성하여 편향요오크와 콘버어젼스 퓨리티 마그네트 사이에 정전용량을 최적화 할 수 있으므로 음극선관의 구동 초기의 챠지성 콘버어젼스 드리프트량을 줄일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음극선관의 구동에 따른 안정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는 것으로 네크부와 콘부를 가진 펀넬과, 상기 네크부에 봉입되며 전자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전극으로 이루어진 전자총과, 상기 펀넬의 콘부에 설치되는 편향요오크와, 상기 네크부의 외주면 또는 콘부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네크부 내면의 정전용량 변화를 줄이기 위한 절연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각종 비닐, 실리콘 수지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콘부로부터 전자총의 주렌즈를 이루는 전극과 대응되는 영역까지 연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콘부로부터 전자총의 캐소오드와 대응되는 영역까지 연장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
KR1020000000053A 2000-01-03 2000-01-03 칼라 음극선관 KR200100682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053A KR20010068243A (ko) 2000-01-03 2000-01-03 칼라 음극선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0053A KR20010068243A (ko) 2000-01-03 2000-01-03 칼라 음극선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68243A true KR20010068243A (ko) 2001-07-23

Family

ID=19636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0053A KR20010068243A (ko) 2000-01-03 2000-01-03 칼라 음극선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682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64786A (en) External neck charge dissipation means for an in-line color cathode ray tube
KR100601990B1 (ko) 전계방출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599702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KR20010068243A (ko) 칼라 음극선관
US3962599A (en) Shielding means for cathode ray tube
US6674224B2 (en) Tension focus mask for a cathode-ray tube (CRT)
US6677700B2 (en) Cathode-ray tube having a focus mask using partially conductive insulators
CA1170705A (en) Crt with quadrupolar-focusing color-selection structure
JP3510339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311870B1 (ko) 음극선관
US6307315B1 (en) Cathode ray tube
US6646393B1 (en) Method of operating a positive tolerance CRT
KR100649254B1 (ko) 전자총 및 이를 구비한 음극선관
KR200159844Y1 (ko) 칼라 수상관용 4극자 전극
KR016690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61502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스페이서를 채용한 전계 방출형디스플레이 장치
JP2000149815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2203493A (ja) 陰極線管
JP2000215828A (ja) カラ―陰極線管
US20040056603A1 (en) Electron gun and cathode-ray tube
WO2002052605A1 (en) Cathode ray tube with modified in-line electron gun
US20030222565A1 (en) Cathode-ray tube and image display apparatus
JP200017349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1155665A (ja) 平板型画像表示装置
KR20010017763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