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34074B1 -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34074B1
KR100334074B1 KR1019990045311A KR19990045311A KR100334074B1 KR 100334074 B1 KR100334074 B1 KR 100334074B1 KR 1019990045311 A KR1019990045311 A KR 1019990045311A KR 19990045311 A KR19990045311 A KR 19990045311A KR 100334074 B1 KR100334074 B1 KR 100334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neck portion
coating layer
ray tube
metal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7659A (ko
Inventor
배민철
Original Assignee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택,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순택
Priority to KR101999004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074B1/ko
Priority to US09/688,232 priority patent/US6515411B1/en
Publication of KR20010037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7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8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8Coatings
    • H01J2229/882Coatings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resistive or conductive properties

Landscapes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과, 상기 패널과 봉착되면 내외표면에 내외장 흑연층이 도포된 펀넬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봉입되며 음극, 제어전극, 스크린 전극, 포커스 전극, 최종 가속 전극이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전자총과, 상기 포커스 전극의 상면보다는 윗면에 해당되는 네크부의 내표면에 도포되어 상기 내장 흑연층과 상호 통전되는 금속 피막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having improved convergence drift}
본 발명은 음극선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네크부와 전극사이의전하량을 줄여서 컨버어젼스 드리프트의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음극선관은 벌브의 네크부에 전자총을 봉입하고, 전원이 인가된 전자총의 전극으로부터 전자빔을 방출시킨다. 방출된 전자빔은 벌브의 콘부에 설치된 편향 요오크에 의하여 주사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편향되고, 스크린을 형성하는 패널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막을 여기시켜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음극선관(10)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11)과, 상기 패널(11)과 봉착되는 펀넬(12)과, 상기 패널(11) 내측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어 전자빔이 통과하는 무수개의 전자빔 통과공이 형성된 섀도우마스크(13)를 포함한다.
상기 섀도우마스크(13)는 섀도우마스크 프레임(14)에 결합되어 있고, 이것은 패널(11) 내면에 형성된 스터드 핀(15)과 훅 스프링(16)에 의하여 고정되어 상기 섀도우마스크(13)는 패널(11) 내측에서 위치가 정하여진다.
상기 펀넬(12)의 네크부(12a) 내부에는 상기 패널(11)의 내측에 형성된 형광막에 적,녹,청색의 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17)이 봉입되어 있고, 콘부(12b)에는 전자빔을 주사 위치에 따라 편향시키는 편향 요오크(1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펀넬(12)의 내표면과 외표면에는 유리로 된 펀넬(12)을 절연물로 하여 양극에 인가되는 고압의 안정화를 기하기 위하여 콘덴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내장 흑연층(19)과 외장 흑연층(100)이 각각 도포되어 있다.
한편, 상기 전자총(17)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음극과, 제어 전극과, 스크린전극으로 된 삼극부와, 상기 스크린 전극과대향되게 설치되어 예비 집속 렌즈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과, 상기 최종 포커스 전극과 대향되게 설치되어 주 집속 렌즈부를 형성하는 최종 가속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전자총(17)의 전면부에는 쉴드 컵(110)이 설치되며, 상기 쉴드 컵(110)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벌브 스페이스(1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벌브 스페이스(120)는 상기 내장 흑연층(19)과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상기 전자총의 전극에 양전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종래의 음극선관(10)은 전자총(17)의 적,녹,청색의 세 전자빔이 일점에 집중되는 컨버어젼스가 요구되는데, 전기장에 의하여 적,청색의 전자빔이 변위되는 이른바 컨버어젼스 드리프트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는 열적 드리프트(thermal drift)와 전하 드리프트(charge drift)로 구분될 수 있는데, 이중에서 전하 드리프트는 음극선관(10)에 고압 인가시 네크부(12a)의 외부 표면의 조건에 의하여 네크부(12a)의 전위가 변화하기 때문이다. 초기의 네크 전위는 빔 전류에 의한 네크 전하의 축적에 기인한 것으로 전자빔의 컨버어젼스의 오차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미국 특허 4868454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네크부의 내벽에 금속 미러 형태의 도전막을 증착시켜 형성시켜서 네크부 표면의 전위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음극선관에 고전압이 인가시 컨버어젼스 드리프트 변화량이 0.2 mm 이상으로 전하 제거 효과가 미약하고, 내전압이 발생될 확률이 높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내장 흑연층과 통전되며 최종 가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컨버어젼스 드리프트의 변화량을 최소화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컨버어젼스 드리프트가 개선된 음극선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극선관을 도시한 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의 네크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음극선관 11...패널
12..펀넬 12a,20...네크부
13...섀도우마스크 17,21...전자총
22...음극 23...제어 전극
24...스크린 전극 25...제 1 포커스 전극
26...제 2 포커스 전극 27...최종 가속 전극
28...쉴드 컵 29...벌브 스페이스
19,240...내장 흑연층 100,250...외장 흑연층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컨버어젼스 드리프트가 개선된 음극선관은,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과 봉착되며, 내표면 및 외표면에 내장 흑연층과 외장 흑연층이 각각 도포된 펀넬;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봉입되며, 음극과, 제어 전극과, 스크린 전극과,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과, 최종 가속 전극으로 이루어지고, 인라인 상태의 적,녹,청색의 전자빔이 상기 형광막으로 방출되는 전자총; 및
상기 네크부의 내표면에 상기 내장 흑연층과 상호 통전되도록 형성되는 금속 피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 피막층은 상기 포커스 전극의 상면보다는 상부의 위치에 해당되는 네크부의 내표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금속 피막층은 최종 가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상호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상기 금속 피막층은 최종 가속 전극중 외곽에 형성된 적,청색 전자빔이 통과하는 측의 전극에 인접한 네크부의 내표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음극선관의 네크부(20)를 발췌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네크부(20)의 내부에는 전자총(21)이 설치된다. 상기 전자총(21)에는 음극(22)과, 제어 전극(23)과, 스크린 전극(24)으로 된 삼극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 전극(24)의 전방에는 대향되게 설치되어 예비 집속 렌즈부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제 1,2 포커스 전극(25)(26)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26)의 전방에는 이와 대향되게 설치되어 주 집속 렌즈부를 형성하는 최종 가속 전극(27)이 배치된다. 상기 최종 가속 전극(27)의 전면부에는 쉴드 컵(28)이 설치되며, 상기 쉴드 컵(28)의 외주면에는 다수개의 벌브 스페이스(29)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전자총(21)에 포함된 음극(21)을 포함한 각 전극들은 네크부(20)의 양 측으로 평행하게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비이드 글래스(200)에 의하여 고정되고, 상기 음극(22)의 하부에는 전극들에 소정의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리이드(210)가 네크부(20)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스템(220)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스템(220)은 전자총(21)이 네크부(20) 내에 조립될 때 봉착된다.
상기 네크부(20)의 윗측의 콘부에는 상기 전자총(21)으로부터 주사된 전자빔이 도시되지 않은 패널의 형광막의 주사 위치에 따라 편향될 수 있도록 편향 요오크(23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네크부(20)의 내표면에는 도전성을 가지는 내장 흑연층(240)이 상기 쉴드 컵(28)의 인접한 위치까지 도포되어 있다. 그리고, 네크부(20)의 외표면에도 외장 흑연층(250)이 도포되어 있다. 이러한 내장 및 외장 흑연층(240)(250)은 유리로 된 네크부(20)를 포함한 펀넬을 절연체로 하여 콘덴서를 형성하게 되는데, 이것은 양극(미도시)에 인가되는 고압을 안정화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쉴드 컵(28)에 부착된 다수개의 벌브 스페이스(29)는 상기 내장 흑연층(240)에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양극에 인가되는 고전압을 최종 가속 전극(27)에 연결시키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쉴드 컵(28)은 음극(22)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이 각 전극들의 전자빔 통과공을 통과하여 패널의 형광막에 랜딩시 지자계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네크부(20)의 내표면에는 제 2 포커스 전극(26)과 최종 가속 전극(27) 사이에 형성되는 주 집속 렌즈부의 양전하 축적으로 인하여 상기 전자총(21)의 적,청색의 전자빔이 외곽으로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피막층(260)이 도포된다.
상기 금속 피막층(260)은 상기 내장 흑연층(240)과 상호 통전가능하도록 중첩되며, 네크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내표면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된다. 이 길이는 상기 제 2 포커스 전극(26)의 상면보다는 높은 위치까지 증착시키는 것이 방전 가능성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피막층(26)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최종 가속 전극(27)의 동일한 면에 인라인 형태로 형성되는 적,녹,청색의 전자빔 통과공중에서 적색 및 청색의 전자빔 통과공측과 인접한 네크부(20)에 내표면에만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금속 피막층(26)은 전도성이 우수한 물성을 가지는 금속재로 되어 있는데, 예컨대 철(Fe)과 크롬(Cr)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증착법등으로 소정 두께로 증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금속 피막층(26)은 최종 가속 전극(27)과 전기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도록 접속 수단, 이를테면 와이어(270)등와 같은 것으로 상호 통전이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은 초기의 고압이 인가시 빔 전류에 기인한 네크부(20)에서의 양전하의 축적으로 인하여 전자총(21)의 양 측 전자빔인 적,청색의 전자빔이 외곽으로 드리프트되어 수시간동안 컨버어젼스 변화량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이때, 상기 금속 피막층(260)이 양극 전압이 인가되어 흐르는 내장 흑연층(240)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게 되어 양전하가 축적되는 현상을 줄이게 되어 컨버어젼스 변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에는 전원을 인가후 24시간동안의 컨버어젼스의 변화량이 0.3 밀리미터였는데, 본 실험에 의하면, 0.1 밀리미터로 안정화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은 네크부의 내표면에 증착되는 내장 흑연층과 전기적으로 통전되도록 네크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금속 피막층을 도포하고, 이 금속 피막층과 최종 가속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킴으로써 네크부의 전위를 안정 상태로 유지하게 되어 컨버어젼스 드리프트 변화량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내면에 형광막이 형성된 패널;
    상기 패널과 봉착되며, 내표면 및 외표면에 내장 흑연층과 외장 흑연층이 각각 도포된 펀넬;
    상기 펀넬의 네크부에 봉입되며, 음극, 제어 전극, 스크린 전극, 복수개의 포커스 전극, 최종 가속 전극과, 쉴드컵을 가지는 전자총; 및
    상기 포커스 전극의 상면보다는 상부의 위치에 해당되는 네크부의 내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내장 흑연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금속 피막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층은 최종 가속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층은 최종 가속 전극중 외곽에 형성된 적,청색 전자빔이 통과하는 측의 전극에 인접한 네크부의 내표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피막층은 철과 크롬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금속재를 주성분으로 하는 금속 박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KR1019990045311A 1999-10-19 1999-10-19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KR100334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311A KR100334074B1 (ko) 1999-10-19 1999-10-19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US09/688,232 US6515411B1 (en) 1999-10-19 2000-10-16 Cathode ray tube having reduced convergence drif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5311A KR100334074B1 (ko) 1999-10-19 1999-10-19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59A KR20010037659A (ko) 2001-05-15
KR100334074B1 true KR100334074B1 (ko) 2002-04-26

Family

ID=1961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5311A KR100334074B1 (ko) 1999-10-19 1999-10-19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15411B1 (ko)
KR (1) KR100334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539A (ja) * 2001-06-08 2002-12-20 Hitachi Ltd ブラウン管
KR100447659B1 (ko) * 2002-10-24 2004-09-07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ITMI20030068A1 (it) * 2003-01-17 2004-07-18 Videocolor Spa Rivestimento esterno a bassa resistenza per tubo a raggi catodici.
WO2006052244A1 (en) * 2004-11-08 2006-05-18 Thomson Licensing S. A. Method for applying a convergence drift coating to a neck of a cathode ray tub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2641A (en) * 1975-03-14 1977-10-04 Corning Glass Works Electrically conductive coating in cathode ray tube
US4101803A (en) * 1977-06-01 1978-07-18 Zenith Radio Corporation Arc suppression and static elimination system for a television crt
US4153857A (en) * 1977-06-06 1979-05-08 Zenith Radio Corporation Television cathode ray tube having getter flash tolerant internal resistive element
JPS5645553A (en) * 1979-09-21 1981-04-25 Hitachi Ltd Color picture tube
GB8705308D0 (en) 1987-03-06 1987-04-08 Philips Nv Colour cathode ray tube
US5536997A (en) 1991-05-08 1996-07-16 U.S. Philips Corporation Cathode ray tube
JPH06260112A (ja) 1993-03-02 1994-09-16 Matsushita Electron Corp カラー受像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7659A (ko) 2001-05-15
US6515411B1 (en) 2003-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85223A (en) Electron gun structure
KR100334074B1 (ko) 컨버어젼스 드리프트를 개선한 음극선관
US3979632A (en) Cathode ray tube having surface charge inhibiting means therein
US4503357A (en) Cathode-ray tube
US4564786A (en) External neck charge dissipation means for an in-line color cathode ray tube
KR100599702B1 (ko) 음극선관의 컨버젼스 드리프트 보정 장치
JP3590219B2 (ja) カラー陰極線管
US6624561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EP0281197B1 (en) Colour cathode ray tube
KR100243948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433469B1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nternal voltage-dividing resistor
US6121724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high resistance film in the electron gun
EP1536451A1 (en) Cathode ray tube device with an in-line electron gun
US636256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prescribed neck thickness
US5202615A (en) Arc suppressing means for cathode ray tube
US6130499A (en)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cathode structure
KR100311870B1 (ko) 음극선관
KR950003459B1 (ko) 네크부 내면으로의 전류흐름이 방지된 음극선관
JPS6310859B2 (ko)
KR100351080B1 (ko) 내장형 분압 저항기를 구비한 음극선관
JP2000173496A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4124744U (ja) カラー受像管用電子銃
JPH10188843A (ja) 陰極線管
US20040056603A1 (en) Electron gun and cathode-ray tube
JPH113668A (ja) 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