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8307B1 - 광 기록/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광 기록/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8307B1
KR100598307B1 KR1019990011653A KR19990011653A KR100598307B1 KR 100598307 B1 KR100598307 B1 KR 100598307B1 KR 1019990011653 A KR1019990011653 A KR 1019990011653A KR 19990011653 A KR19990011653 A KR 19990011653A KR 100598307 B1 KR100598307 B1 KR 100598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light
light source
reproducing
recording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1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5406A (ko
Inventor
김진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90011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8307B1/ko
Publication of KR20000065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5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8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8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11B7/1275Two or more lasers having different wavelength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8Modulato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 G11B2220/2579HD-DVDs [high definition DVDs]; AODs [advanced optical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광기록매체들을 기록/재생 할 수 있는 광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광 기록/재생 장치는 제1 광을 발생하는 제1 광원을 구비하여 기록가능한 제1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제1 광을 이용하여 제1 기록매체를 재생하고 제1 광보다 단파장인 제2 광을 발생하는 제2 광원을 구비하여 다른 기록방식의 재생전용 제2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원 구동수단, 그리고 로딩된 기록매체의 종류 및 동작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광원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세대 고밀도 광 기록매체인 재생전용의 HD-DVD와 기록가능한 광자기디스크를 호환하여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 기록/재생 장치{Optic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픽업과 신호처리부의 상세하게 나타내는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 : 데이터 변조기 4 : 자기헤드
6A : 광자기디스크 6B : HD-DVD
8 : 광픽업 10 : 신호처리부
12 : 데이터 복조기 14 : 제1 LD 구동부
16 : 제2 LD 구동부 18 : 제어부
20 : 적색광원 22 : 청색광원
24 : 제1 빔스프리터 26 : 제2 빔스프리터
28 : 대물렌즈 30 : 편광 빔스프리터
32 : 제1 센서렌즈 34 : 제1 광검출기
36 : 제2 센서렌즈 38 : 제2 광검출기
40 : 차동증폭기 42 : 가산증폭기
44 : 멀티플렉서 46 : 디지털신호처리기(DSP)
본 발명은 광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밀도 광기록매체들을 기록/재생 할 수 있는 광 기록/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영상정보, 음성정보, 컴퓨터데이터(이하 '데이터'라 한다)를 저장하는 저장매체로서 CD, DVD 등과 같은 광기록매체 또는 광자기 기록매체(이하, 양자를 '광기록매체'라 한다)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광기록매체들은 디지털신호 처리기술이나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등 동영상 압축기술의 발전과 함께 고밀도화되어 감에 따라 대용량의 데이터 저장이 가능하여 광기록매체의 한층 더큰 역할이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2시간 이상의 동영상 정보를 MPEG-2라고 하는 동영상압축기술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경우 15GB로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현재의 DVD의 경우 용량이 4.7GB로 상기 2시간 이상의 동영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배 이상의 기록밀도가 높은 기록매체가 필요하게 된다.
광기록매체의 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트랙피치, 피트 사이즈 등을 작게하는 등 매체의 물리적인 구조를 바꾸는 방법과 기록/재생용 광빔의 스폿을 작게 하기 위해 광원을 단파장화하고 대물렌즈의 개구수를 크게하는 방법 등이 있다. 특히, 광원의 단파장화는 고밀도화의 주요요소로서 현재 DVD의 경우 650nm파장대의 광원 을 사용하고 있지만 보다 단파장인 청색광원의 도래가 기대되고 있다. 예를 들면, GaN계 레이저는 상용화가 예상되는 광원으로 그의 파장대는 400nm의 전후가 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청색광원을 이용하는데는 몇가지 문제가 있다. 첫 번째는 저출력의 청색광원은 조기에 상용화될 수 있지만 고출력의 청색광원은 상용화되기 까지는 시간이 상당히 걸린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청색광원에 대응하는 기록용 매체(즉, 기록가능한 매체)의 개발이 극히 곤란하다는 것이다. DVD-RAM과 같은 상변화 기록방식의 경우 고출력의 청색광원이 조기에 상용화될 수 없으므로 청색광원을 이용하는 것이 극히 곤란하다.
한편, 차세대 광자기 기록방식의 경우에는 적색광원을 이용하면서도 방식의 특성상 비교적 고밀도화가 가능하기 때문에 아직 청색광원을 이용하려는 시도가 없다. 따라서, 청색광원을 이용한 광기록매체는 재생전용의 광디스크(이하, HD-DVD라 한다)만이 조기에 상용화가 가능해질 것이다. 다시 말하여, 고밀도의 재생전용디스크는 HD-DVD만이 가능하게 된다. 재생전용은 스탬퍼를 이용하여 대량복제가 가능하므로 타이틀(Title) 등의 보급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앞으로는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재생전용의 광기록매체와 기록가능 타입이 모두 필요시되고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출력의 청색광원은 상용화 시기가 멀기 때문에 적색광원을 사용하면서도 대용량의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매체로서 조기에 상용화가 가능한 것은 차세대 광자기 디스크이다. 이러한 차세대 광자기 기록방식의 예로는 초고밀도 자기증폭기술, 소위 MAMMOS(Magnetic Amplifying Magneto-optical System)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적색광원으로도 10GB 이상의 큰 기록용량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광자기 기록방식은 광 펄스와 자계 변조(Laser Pumped and Magnetic Field Modulation; LP-MFM) 기록방법을 채택하여 작고 안정된 자구를 형성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기록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미소 기록마크들에 의해 기록밀도가 증가된 광자기디스크는 자기 초해상(Magnetic Super Resolution; MSR) 기술로 재생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MAMMOS 기술을 들 수 있다. 이 MSR 방식의 디스크는 기록층의 기록마크들이 재생광에 의해 확대전사될 수 있는 재생층을 더 구비하여 광 스폿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미소 기록마크들을 양호한 신호 대 잡음비(SNR)를 가지고 재생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발전에 따라 앞으로는 청색광원을 이용하는 재생전용의 HD-DVD, 기록가능한 매체로서는 차세대 광자기디스크가 보급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따라서, 사용자 입장에서는 위와 같은 차세대 광기록매체들에 대응할 수 있는 기록/재생 장치가 요구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하여 재생전용의 HD-DVD와 기록가능한 차세대 광자기디스크에 대응할 수 있는 광 기록/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는, 제1 광을 발생하는 제1 광원을 구비하여 기록가능한 제1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제1 광을 이용하여 제1 기록매체를 재생하고 제1 광보다 단파장인 제2 광을 발생하는 제2 광원을 구비하여 다른 기록방식의 재생전용 제2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원 구동수단, 그리고 로딩된 기록매체의 종류 및 동작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광원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도 1의 광 기록/재생 장치는 기록용 데이터를 변조하기 위한 데이터 변조기(2) 와, 데이터 변조기(2)로부터의 변조 데이터에 따른 자계를 발생하여 광자기디스크(6A)에 자기기록을 행하는 자기헤드(4)와, 광자기디스크(6A) 또는 HD-DVD(6B)에 광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기 위한 광픽업(8)과, 광픽업(8)으로부터 입력되는 광검출신호를 신호처리하기 위한 신호처리부(10)와, 신호처리부(10)의 재생신호를 복조하기 위한 데이터복조기(12)와, 제어부(18)의 제어에 따라 광픽업의 제1 및 제2 레이저다이오드(Laser Diode; 이하 'LD'라 한다)를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LD 구동부(14, 16)와, 외부 판별신호에 따라 제1 및 제2 LD 구동부(14, 16)와 데이터복조기(1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를 구성으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광픽업(8)은 2개의 광원, 즉 광자기디스크(6A)의 기록/재생시 사용되는 적색광원과 HD-DVD(6B)의 재생시 사용되는 청색광원을 구비하게 된다. 이 경우, 광픽업(8)은 적색광원과 청색광원을 각각 구비하는 2개의 광픽업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판별신호에 따라 광 기록/재생 장치에 로딩된 디스크의 종류 즉, 광자기 디스크(6A) 또는 HD-DVD(6B)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18)는 판별신호에 따라 로딩된 디스크가 광자기 디스크(6A)인 경우 기록모드인지 또는 재생모드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우선, 로딩된 광자기디스크(6A)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제어부(18)는 제1 LD 구동부(14)를 제어하여 광픽업(8)의 적색광원이 기록모드로 구동되도록 한다. 데이터복조기(12)는 광자기디스크(6A)에 프리포맷된 보조정보에 기초하여 제1 채널 클럭신호와 스핀들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제어신호 등을 발생하게 된다. 제1 LD 구동부(14)는 데이터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제1 채널클럭신호에 따라 광픽업(8)에 내장된 적색광원을 구동하게 된다. 광픽업(8)은 적색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긴파장, 고출력의 광을 광자기디스크(6A)에 조사하고, 광픽업(8)과 얼라인먼트된 자기헤드(4)는 데이터변조기(2)에서 데이터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제1 채널클럭신호에 따라 변조된 데이터에 대응하여 발생된 자계를 광자기디스크(6A)에 인가함으로써 마크형태로 변조 데이터를 기록하게 된다. 반면에, 로딩된 광자기디스크(6A)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제어부(18)는 제1 LD 구동부(14)를 제어하여 광픽업(8)의 적색광원이 재생모드로 구동되도록 한다. 광픽업(8)의 적색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긴파장, 저출력의 광을 광자기디스크(6A)에 조사하고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신호처리부(10)는 광픽업(8)으로부터 입력되는 광검출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데이터복조기(12)는 신호처리부(10)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를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해 광자기디스크에 적합한 복조과정을 수행하여 재생데이터와 보조정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보조정보신호에는 제1 채널클럭신호 및 회전제어신호와 위치정보 등이 포함된다.
또한, 로딩된 HD-DVD(6B)에 기록된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제어부(18)는 제2 LD 구동부(16)를 제어하여 광픽업(8)의 청색광원이 재생모드로 구동되도록 한다.데이터복조기(12)는 HD-DVD(6B)에 프리포맷된 보조정보에 기초하여 제2 채널클럭신호와 스핀들모터(도시하지 않음)의 회전제어신호 등을 발생하게 된다. 제2 LD 구동부(16)는 데이터복조기(12)로부터 입력되는 제2 채널클럭신호에 따라 광픽업(8)에 내장된 청색광원을 재생모드로 구동하게 된다. 광픽업(8)은 청색광원으로부터 발생된 단파장, 저출력의 광을 HD-DVD(6B)에 조사하고 반사된 광을 검출하여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신호처리부(10)는 광픽업(8)으로부터 입력되는 광검출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재생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데이터복조기(12)는 신호처리부(10)로부터 입력되는 재생신호를 제어부(18)의 제어에 의해 HD-DVD에 적합한 복조과정을 수행하여 재생데이터와 보조정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 기록/재생 장치에 대한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서 광픽업(8)은 적색광원(20) 및 청색광원(22)과, 입사되는 광을 광디스크(6)에 집광시키기 위한 대물렌즈(28)와, 적색광원(20) 및 청색광원(22)과 대물렌즈(28) 사이에 배치된 제1 및 제2 빔스프리터(24, 26)와, 제2 빔스프리터(26)를 통해 입사되는 반사광을 편광성분에 따라 분리시키기 위한 편광 빔스프리터(30)와, 편광 빔스프리터(30)에 의해 분리된 반사광을 각각 검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검출기(34, 38)와, 편광 빔스프리터(30)와 제1 및 제2 광검출기(34, 38) 사이 각각에 배치된 제1 및 제2 센서렌즈(32, 36)를 구성으로 한다. 또한, 신호처리부(10)는 광픽업(8)의 제1 및 제2 광검출기(34, 38)에 접속된 차동증폭기(40) 및 가산증폭기(42)를 구성으로 하고, 데이터복조기(12)는 차동증폭기(40) 및 가산증폭기(42)의 출력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 위한 멀티플렉서(44)와, 멀티플렉서(44)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복조하기 위한 디지털신호처리기(이하 'DSP'라 한다)(46)를 구성으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광 기록/재생 장치에서 로딩된 광자기디스크(6A)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적색광원(20)은 제1 LD 구동부(14)로부터 입력되는 펄스형태 또는 직류형태의 구동신호에 따라 기록파워로 펄스형태 또는 직류형태의 기록광을 발생하게 된다. 적색광원(20)으로부터 발생된 긴파장, 고출력의 기록광은 제1 빔스프리터(24) 및 제2 빔스프리터(26)을 투과하고 대물렌즈(28)에 의해 광자기디스크(6A) 기록층의 해당부위에 조사된다. 이렇게 조사된 기록광에 의해 광자기디스크(6A)의 해당부위는 큐리온도 이상으로 상승됨으로써 자화현상이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광픽업(8)과 얼라인먼트된 자기헤드(4)가 데이터변조기(2)로부터의 변조된 데이터에 따라 발생된 자계를 광자기디스크(6A)에 인가하여 기록광에 의해 가열된 부분이 실온으로 돌아가면서 인가되는 자계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마크, 즉 자구(Magnetic Domain)가 형성됨으로써 데이터가 기록되게 된다. 이때, 자구의 방향에 따라 데이터 '1' 또는 '0'이 기록되어진다. 이 경우, 광 펄스와 자계 변조(Laser Pumped and Magnetic Field Modulation; LP-MFM) 기록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작고 안정된 자구를 형성시킬 수 있으므로 기록밀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데이터 기록시 채널클럭신호 및 회전제어신호 등을 발생하기 위하여 보조정보를 검출하는데 광자기디스크(6A)로부터 반사된 광을 이용하게 된다. 상세히 하면, 광자기디스크(6A)에 조사된 기록광은 광자기디스크(6A)에 의해 반사되어 대물렌즈(28)를 경유하고 제2 빔스프리터(26)에 의해 반사되어 편광 빔스프리터(30)로 진행하게 된다. 편광 빔스프리터(30)는 입사된 반사광을 상호 직교하는 편광성분으로 분리하여 수직 선편광(이하 'P파'라 한다)은 투과시키고 수평 선편광(이하 'S파'라 한다)은 수직반사시키게 된다. 제1 광검출기(34)는 편광 빔스프리터(30)로부터 제1 센서렌즈(32)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P파를 수광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제1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2 광검출기(38)는 편광 빔스프리터(30)로부터 제2 센서렌즈(36)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S파를 수광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제2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차동증폭기(40)는 제1 및 제2 광검출기(34, 38)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및 제2 광검출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 로딩된 디스크가 광자기디스크(6A)이므로 제어부(18)는 멀티플렉서(44)가 차동증폭기(40)의 출력단을 디지털신호처리기(이하 'DSP'라 한다)(46)에 접속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DSP(46)는 멀티플렉서(44)를 통해 입력되는 차동증폭기(4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함으로써 채널클럭신호를 발생하여 데이터변조기(2) 및 제1 LD 구동부(14)로 출력하고, 회전제어신호를 발생하여 광자기디스크(6A)를 회전시키는 스핀들모터의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로 출력하게 된다.
또한, 로딩된 광자기디스크(6A)에 기록되어진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적색광원(20)은 제1 LD 구동부(14)로부터 입력되는 펄스형태 또는 직류형태의 구동신호에 따라 재생파워로 펄스형태 또는 직류형태의 재생광을 발생하게 된다. 적색광원(20)으로부터 발생된 긴파장, 저출력의 재생광은 제1 빔스프리터(24) 및 제2 빔스프리터(26)을 투과하고 대물렌즈(28)에 의해 광자기디스크(6A)의 해당부위에 조사된다. MAMMOS 방식의 디스크인 경우 재생광은 광자기디스크(6A) 재생층에 조사된다. 이렇게 조사된 재생광에 의해 기록층의 자구가 재생층으로 확대전사되고 확대전사된 자구에서 반사된 반사광의 편광방향은 커르(Kerr) 효과에 의해 자구의 자화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이러한 반사광은 대물렌즈(28)를 경유하고 제2 빔스프리터(26)에 의해 반사되어 편광 빔스프리터(30)로 진행하게 된다. 편광 빔스프리터(30)는 입사된 반사광의 P파 성분은 투과시키고 S파 성분은 수직반사시키게 된다. 제1 광검출기(34)는 편광 빔스프리터(30)로부터 제1 센서렌즈(32)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P파를 수광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제1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2 광검출기(38)는 편광 빔스프리터(30)로부터 제2 센서렌즈(36)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S파를 수광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제2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광검출기(34, 38)에서 검출되는 광검출신호의 크기는 상기 자구의 자화방향에 따라 상이하게 된다. 상세히 하면, 자구의 자화방향이 ↑인 경우 반사광의 P파 성분이 S파 성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1 광검출기(34)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상기 제2 광검출기(38)에서 검출되는 광량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반면에 자구의 자화방향이 ↓인 경우 반사광의 S파 성분이 P파 성분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제2 광검출기(38)에서 검출되는 광량이 제1 광검출기(34)에서 검출되는 광량보다 크게 나타나게 된다. 이에 따라, 신호처리부(10)의 차동증폭기(40)를 이용하여 제1 광검출기(34)로부터 입력되는 광검출신호와 제2 광검출기(38)로부터 입력되는 광검출신호를 차동증폭하여 출력하는 경우 출력신호의 극성에 따라 자구방향을 알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멀티플렉서(44)는 로딩된 디스크가 광자기디스크(6A)이므로 제어부(18)의 제어신호에 의해 차동증폭기(40)의 출력단을 DSP(46)에 접속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DSP(46)는 멀티플렉서(44)를 통해 입력되는 차동증폭기(40)의 출력신호를 복조함으로써 자구방향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DSP(46)는 멀티플렉서(44)를 통해 차동증폭기(40)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채널클럭신호 및 회전제어신호와 디스크 위치정보와 같은 보조정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로딩된 HD-DVD(6B)에 기록되어진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청색광원(22)은 제2 LD 구동부(16)로부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재생모드로 발광하게 된다. 청색광원(22)으로부터 발생된 단파장, 저출력의 재생광은 제1 빔스프리터(24)에 의해 수직반사되고 제2 빔스프리터(26)을 투과하여 대물렌즈(28)에 의해 HD-DVD(6B) 기록층의 해당부위에 조사되어 반사된다. HD-DVD(6B)의 기록층에서 반사된 반사광은 대물렌즈(28)를 경유하고 제2 빔스프리터(26)에 의해 반사되어 편광 빔스프리터(30)로 진행하게 된다. 편광 빔스프리터(30)는 입사된 반사광의 P파 성분은 투과시키고 S파 성분은 수직반사시키게 된다. 제1 광검출기(34)는 편광 빔스프리터(30)로부터 제1 센서렌즈(32)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P파를 수광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제1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제2 광검출기(38)는 편광 빔스프리터(30)로부터 제2 센서렌즈(36)를 경유하여 입사되는 S파를 수광하여 그 광량에 비례하는 제2 광검출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신호처리부(10)의 가산증폭기(42)는 제1 및 제2 광검출기(34, 38)로부터 입력되는 제1 및 제2 광검출신호를 가산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 멀티플렉서(44)는 로딩된 디스크가 HD-DVD(6B)이므로 제어부(18)의 제어신호에 의해 가산증폭기(42)의 출력단을 DSP(46)에 접속시키게 된다. DSP(46)는 멀티플렉서(44)를 통해 입력되는 가산증폭기(42)의 출력신호를 복조함으로써 데이터를 재생하게 된다. 또한, DSP(46)는 멀티플렉서(44)를 통해 가산증폭기(42)의 출력신호를 디지털신호처리하여 채널클럭신호 및 회전제어신호와 디스크 위치정보와 같은 보조정보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 기록/재생 장치에 의하면 차세대 고밀도 광 기록매체인 재생전용의 HD-DVD와 기록가능한 광자기디스크를 호환하여 기록/재생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에 대응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데이터를 광기록매체에 기록/재생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에 있어서,
    제1 광을 발생하는 제1 광원을 구비하여 기록가능한 제1 기록매체에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록수단과,
    상기 제1 광을 이용하여 상기 제1 기록매체를 재생하고 상기 제1 광보다 단파장인 제2 광을 발생하는 제2 광원을 구비하여 다른 기록방식의 재생전용 제2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재생수단과,
    상기 제1 광원 및 제2 광원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제1 및 제2 광원 구동수단과,
    로딩된 기록매체의 종류 및 동작모드를 판단하여 상기 제1 및 제2 광원 구동수단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적색광을 발생하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광원은 청색광을 발생하는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록매체는 광자기기록방식의 매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수단은
    자계변조된 데이터를 상기 제1 기록매체에 자기 기록방식으로 기록하기 위한 자계변조 기록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 광원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에 기록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검출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광픽업수단과,
    상기 광픽업수단의 광검출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재생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도록 상기 재생신호를 복원하여 재생데이터와 채널클럭신호를 포함하는 보조정보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데이터 복조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복조수단은
    상기 제1 기록매체를 기록/재생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광검출신호를 차동증폭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복원하고,
    상기 제2 기록매체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신호처리수단에 의해 상기 광검출신호를 가산증폭한 재생신호를 입력하여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픽업수단은
    제1 광을 발생하는 제1 광원과,
    상기 제1 광보다 단파장의 제2 광을 발생하는 제2 광원과,
    기록가능한 제1 기록매체의 기록/재생시 그 제1 기록매체에 상기 제1 광이 조사되게 함과 아울러 다른 기록방식의 재생전용 제2 기록매체의 재생시 상기 제2 광이 조사되게 하는 집광 광학계와,
    상기 제1 및 제2 기록매체 중 어느 하나로부터 반사되는 반사광을 수광하는 수광 광학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기록/재생 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19990011653A 1999-04-02 1999-04-02 광 기록/재생 장치 KR100598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653A KR100598307B1 (ko) 1999-04-02 1999-04-02 광 기록/재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1653A KR100598307B1 (ko) 1999-04-02 1999-04-02 광 기록/재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06A KR20000065406A (ko) 2000-11-15
KR100598307B1 true KR100598307B1 (ko) 2006-07-10

Family

ID=19578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1653A KR100598307B1 (ko) 1999-04-02 1999-04-02 광 기록/재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830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247A (ja) * 1994-09-12 1996-05-31 Hitachi Maxell Ltd 光記録媒体、そ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KR19980072831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Cd-r을 겸용할 수 있는 dvd용 광픽업장치
KR100268486B1 (ko) * 1997-11-01 2000-10-16 윤종용 광디스크기록및재생방법과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38247A (ja) * 1994-09-12 1996-05-31 Hitachi Maxell Ltd 光記録媒体、そ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KR19980072831A (ko) * 1997-03-08 1998-11-05 김광호 Cd-r을 겸용할 수 있는 dvd용 광픽업장치
KR100268486B1 (ko) * 1997-11-01 2000-10-16 윤종용 광디스크기록및재생방법과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5406A (ko) 200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6477B1 (ko) 광신호검출회로
JPH11120639A (ja) 光磁気情報記録装置
JPH10283689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JP2699992B2 (ja) 光学デイスク駆動装置
JP4791335B2 (ja) トラッキング誤差検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光ディスク再生装置
KR100477501B1 (ko) 디스크드라이브장치
KR100598307B1 (ko) 광 기록/재생 장치
US6091693A (en) Optical recording medium an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unit
JP3923979B2 (ja) Rom−ram媒体及び、その記憶装置
JPH10198964A (ja) ディスク再生装置
US7075881B2 (en) Signal recording/playback apparatus, and recording compensation method and playback method used therefor
JP3086465B2 (ja) 信号再生方法
JP3792430B2 (ja) 光磁気記録媒体及びその再生方法並びに再生装置
JP339247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1248240A (ja) 光学記録再生装置
JPH03157820A (ja) 光学式再生装置
JPH01125727A (ja) ディスク再生方法
JPH0371439A (ja) 光ディスク装置のトラッキングサーボ方法及びその装置
JPH0316028A (ja) 情報記録担体の記録再生装置
JPH05334755A (ja) 光学式情報再生装置
JPH0711876B2 (ja) 光磁気デイスクプレ−ヤ
JPH04117650A (ja) 光磁気記録再生方法
JPS62124646A (ja) 光磁気メモリ装置
JP2001256651A (ja)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05189833A (ja) 光情報記録方法および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